KR102124852B1 - Push switch - Google Patents
Push switch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24852B1 KR102124852B1 KR1020140046040A KR20140046040A KR102124852B1 KR 102124852 B1 KR102124852 B1 KR 102124852B1 KR 1020140046040 A KR1020140046040 A KR 1020140046040A KR 20140046040 A KR20140046040 A KR 20140046040A KR 102124852 B1 KR102124852 B1 KR 1021248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nob
- movable
- contact
- push switch
- spr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36—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sliding
- H01H1/40—Contact mounted so that its contact-making surface is flush with adjoining insula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01H13/32—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one end of spring being fixedly connected to the stationary or movable part of the switch and the other end reacting with a movable or stationary rigid member respectively through pins, cams, toothed, or other shaped surfa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3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 H01H3/4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using cam or eccentric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58—Actuators to avoid tilting or skewing of contact area or actuato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or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covered by H01H
- H01H2300/01—Application power window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과제] 푸쉬 스위치의 노브의 조작 방향의 두께를 얇게 한다.
[해결수단] 노브(8)의 압압 조작에 의해, 고정접점(7a)에 맞닿게 한 가동접점(9a)를 슬라이딩시켜서, 가동접점(9a)과 고정접점(7a)의 접리를 행하는 구성의 푸쉬 스위치(2)에 있어서, 가동접점(9a)의 슬라이딩 방향을 노브(8)의 압압 방향(축선(X1)방향)의 직교 방향(축선(Y)방향)으로 설정하여, 고정접점(7a)에 맞닿게 한 가동접점(9a)이, 노브(8)의 압압 조작에 의해, 노브(8)의 압압 방향의 직교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하였다.[Task] Reduce the thickness of the push switch knob in the operating direction.
[Solution] Push of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movable contact 9a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xed contact 7a by sliding operation of the knob 8, and the movable contact 9a and the fixed contact 7a are folded. In the switch 2,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movable contact 9a is set in the orthogonal direction (axial (Y) direction) of the pressing direction (axial (X1) direction) of the knob 8, and the fixed contact 7a is set. The movable contact 9a brought into contact was made to slide in the orthogonal direction of the pressing direction of the knob 8 by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knob 8.
Description
본 발명은 푸쉬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sh switch.
노브의 압압(押壓) 조작에 의해 가동반(可動盤)을 노브의 조작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가동반에 구비된 가동접점이, 고정접점 위를 슬라이딩하도록 한 구성의 푸쉬 스위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A push switch hav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movable panel is moved in the operating direction of a knob by a pressing operation of the knob, and a movable contact provided on the movable panel is slid over a fixed contact ((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도 6은, 특허문헌 1로 대표되는 종래 예에 따른 푸쉬 스위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push switch according to a conventional example represented by
종래 예에 따른 푸쉬 스위치(100)에서는, 가동접점(104a)을 구비한 가동반(104)이, 커버(102)와 극반(極盤,103)을 조립하여 구성되는 케이스(101) 안에서, 노브(107)의 조작 방향(도 6에서 상하 방향)으로 진퇴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In the
케이스(101) 안에서 가동반(104)은 노브(107)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있으며, 스프링(Sp)으로부터 작용하는 부세력에 의해, 그 상부를 노브(107)로부터 아래쪽으로 뻗는 각부(脚部, 108A, 108B)에 결합시킨다.In the
푸쉬 스위치(100)에서는, 노브(107)의 압압 조작에 의해, 노브(107)가 극반(103)측의 하방으로 이동하면, 가동반(104)도 또한, 노브(107)의 각부(108A, 108B)에 의해 밀려서 극반(103)측의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In the
가동접점(104a)은, 가동반(104)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의 부세력으로, 가동반(104)의 측방에 배치된 고정접점(103a))에 노브(107)의 조작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압접(壓接)된다.The
고정접점(103a)은, 극반(103)으로부터 상방으로 뻗는 지지벽(109)에 설치되어 있으며, 지지벽(109)의 길이방향(도면의 상하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The
그 때문에, 노브(107)의 압압 조작에 의해, 가동반(104)이 극반(103)측의 하방으로 이동하면, 가동접점(104a)이, 고정접점(103a)의 표면을 슬라이딩하면서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Therefore, when the
여기서, 지지벽(109)에는, 극반(103)의 바닥벽부(103c)측의 하부에, 고정접점(103a)보다 가동반(104)쪽으로 돌출된 단부(段部, 109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노브(107)가 도 6(A)에 나타낸 기준 위치로부터 눌러 내려져서 도 6(B)에 나타낸 조작 위치까지 이동하면, 가동접점(104a)이 단부(109a)위로 올라옴으로써, 고정접점(103a)과의 접촉 상태가 해소되도록 되어 있다.Here, the
그리고, 이 푸쉬 스위치(100)에서는, 가동접점(104a)이 단부(109a)위로 올라와서, 고정접점(103a)과 가동접점(104a)이 비접촉 상태로 됨으로써, 노브(107)의 조작이 검지되도록 되어 있다.Then, in this
이 종래 예에 따른 푸쉬 스위치(100)에서는, 노브(107)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가동반(104(가동접점(104a))을, 노브(107)의 조작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진퇴 이동시켜서, 가동접점(104a)과 고정접점(103a)이 붙었다가 떨어졌다가 하는(이하, 접리(接離)라고 함) 구성으로 되어 있다.In the
이 때문에, 노브(107)와 가동반(104)이 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케이스(101)내에 확보할 필요가 있으므로, 노브(107)의 조작 방향에서의 푸쉬 스위치(100)의 두께가 두꺼워져 버린다.For this reason, since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space for the
따라서, 노브의 압압 조작에 의해 고정접점에 맞닿게 한 가동접점을 슬라이딩시켜서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의 접리(接離)를 행하는 구성의 푸쉬 스위치에 있어서, 노브의 조작 방향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Therefore, in a push switch hav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movable contact brought into contact with a fixed contact is slid by a pressing operation of the knob to perform folding of the movable contact and a fixed contact, the thickness of the operating direction of the knob can be reduced. It is required to do.
본 발명은, 노브의 압압 조작에 의해 고정접점에 맞닿게 한 가동접점을 슬라이딩시켜서 상기 가동접점과 상기 고정접점의 접리를 행하는 구성의 푸쉬 스위치에 있어서,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sh switch hav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movable contact brought into contact with a fixed contact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fixed contact by a pressing operation of the knob, and the movable contact and the fixed contact are folded.
상기 가동접점의 슬라이딩 방향을, 상기 노브의 압압 방향의 직경방향으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스위치.The push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movable contact is set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pressing direction of the knob.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접점에 맞닿게 한 가동접점의 슬라이딩 방향이 노브의 압압 방향의 직경방향이므로, 가동접점이 슬라이딩하기 위한 공간을 노브의 압압 방향에 확보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가동접점이 노브의 압압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종래의 푸쉬 스위치보다 노브의 압압 방향에서의 푸쉬 스위치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movable contact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xed contact is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pressing direction of the knob, there is no need to secure a space for the movable contact to slide in the pressing direction of the knob. Therefore, the thickness of the push switch in the pressing direction of the knob can be made thinner than the conventional push switch in which the movable contact slides in the pressing direction of the knob.
도 1은 스위치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푸쉬 스위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푸쉬 스위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푸쉬 스위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푸쉬 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종래 예에 관련된 푸쉬 스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switch devic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ush switch.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ush switch.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ush switch.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ush switch.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push switch according to a conventional example.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스위치 장치(1)에 설치된 푸쉬 스위치(2)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도 1은 스위치 장치(1)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는 스위치 장치(1)의 사시도이며, (B)는 스위치 장치(1)에 있어서의 푸쉬 스위치(2)의 부분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도 2는 도 1(A)에서의 면(A)에서, 푸쉬 스위치(2)를 절단한 단면도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도 3은 푸쉬 스위치(2)의 단면도로서, (A)는 도 2에 있어서의 A-A 단면도이고, (B)는 도 2에 있어서의 B-B 단면도이며, (C)는 도 3(A)에 있어서의 A-A 단면도이다.Fig. 3 is a sectional view of the
도 4는 푸쉬 스위치(2)의 단면도로서, (A)는 도 2에 있어서의 C-C 단면도이고, (B)는 도 4(A)에 있어서의 A-A 단면도이며, (C)는 극반(7)의 상면에 노출되는 고정접점(7a, 7a)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D)는 도 4(C)에 있어서의 B-B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아울러, 도 4(C)는, 도 4(A)에 있어서 가동반(9)과 스프링(Sp2)의 도시를 생략한 도면에 상당하는 것으로, 극반(7)의 상면에 노출되는 고정접점(7a, 7a)에 해칭을 넣어 나타낸다.In addition, FIG. 4(C) corresponds to a drawing in which the
여기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1(A)에 있어서의 커버(6)측을 「상방」, 극반(7)측을 「하방」, 푸쉬 스위치(2)측을 「전방」, 요동 스위치(4)측을 「후방」으로 필요에 따라 표기한다.Her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치 장치(1)는, 커버(6)와 극반(7)을 조립하여 구성되는 케이스(5)에, 복수의 스위치(2, 3, 4)를 갖추어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스위치(2)는 노브(8)의 압압 조작에 의해 온/오프되는 푸쉬 스위치(이하, 푸쉬 스위치(2)로 표기함)이며, 푸쉬 스위치(2)는, 노브(8)와, 노브(8)에 의해 조작되는 가동반(9)과, 가동반(9)에 설치된 가동접점(9a)과, 극반(7)에 설치된 고정접점(7a)을 구비한다.The
노브(8)는 커버(6)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통 모양의 지지벽부(61)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The
푸쉬 스위치(2)에서는, 노브(8)가 압압 조작되면, 가동반(9)이, 노브(8)로부터 뻗는 각부(脚部,83)에 의해, 노브(8)의 조작 방향(축선(X)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축선(Y)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때, 가동반(9)에 설치된 가동접점(9a)이 고정접점(7a)의 상면을 슬라이딩함으로써, 푸쉬 스위치(2)가 온/오프되도록 되어 있다.In the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브(8)는 푸쉬 스위치(2)를 온/오프할 때에 압압되는 압압부(81)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압압부(81)는 평면으로 볼 때 대략 직사각형 형상인 상벽부(810)와, 상벽부(810)의 주연(周緣)을 전채 둘레에 걸쳐 둘러싸는 둘레벽부(811)를 갖는다.As shown in Fig. 2, the
둘레벽부(811)의 내측에는, 노브(8)의 상하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벽(82)과, 노브(8)의 조작을 가동반(9)에 전달하는 각부(83)가 구비되어 있으며, 노브(8)는 가이드벽(82)과 둘레벽부(811)의 사이에, 커버(6)측의 지지벽부(61)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지지벽부(61)에서 지지되어 있다.Inside the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벽부(61)는 커버(6)에 구비된 개구(62)를 둘러싸도록, 커버(6)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62)의 측연(側緣)을 따라 스위치 장치(1)의 전후방향으로 뻗는 측벽부(612, 613)와, 개구(62)의 측연mdf 따라 스위치 장치(1)의 좌우 방향(폭방향)으로 뻗는 측벽부(614, 615)를 갖는다.2 and 3, the supporting
측벽부(612, 613)는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들 측벽부(612, 613)의 후방측의 단부(端部)끼리가 측벽부(615)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The
측벽부(613)의 전단(前端)에는 후술하는 하트캠(25)의 판 스프링(26)이 부착되는 부착벽(616)이, 측벽부(613)보다 내측으로 오프셋된 위치에 구비되어 있는데, 이 부착벽(616)을 통해, 측벽부(613)와 측벽부(614)가 접속되어 있다.At the front end of the
부착벽(616)은 측벽부(612, 613)에 대하여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측벽부(612)와의 사이에, 후술하는 각부(83)가 삽입 통과 가능한 공간(S1)을 확보하는 동시에, 노브(8)의 둘레벽부(811)와의 사이에, 하트캠(25)의 잠금핀(27) 및 판 스프링(26)을 수용 가능한 공간(S2)을 형성한다.The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브(8)에 구비된 가이드벽(82)은, 지지벽부(61)의 후방측의 측벽부(615)를 따라 배치되는 벽부(821)와, 이 벽부(821)의 양단으로부터, 벽부(821)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는 벽부(822, 823)를 갖는데, 단면(斷面)으로 볼 때 ㄷ자 형상을 이룬다.As shown in FIG. 3(A), the
벽부(821)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도중 위치에는, 측벽부(615)측의 후방으로 돌출된 돌기(821a)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돌기(821a)는 노브(8)가 커버(6)에 조립된 상태에서, 측벽부(615)의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615a)에 결합된다.In the middle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노브(8)측의 돌기(821a)와 측벽부(615)측의 가이드 홈(615a)은, 각각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데, 노브(8)가 압압되어 극반(7)측의 하방으로 이동할 때, 가이드 홈(615a)을 따라서 돌기(821a)가 이동함으로써, 노브(8)의 후방측의 상하 방향의 이동이 가이드되도록 되어 있다. The
벽부(822, 823)는, 지지벽부(61)의 측벽부(612, 613)의 내측을, 이들 측벽부(612, 613)를 따라 뻗어 있고, 길이방향 중앙부에는 벽부(822, 823)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개구부(822a, 823a)가 형성되어 있다.The
이들 개구부(822a, 823a)는 측벽부(612, 613)의 상하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 h(도 3(C) 참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개구부(822a, 823a)에는 노브(8)가 커버(6)에 조립된 상태에서, 지지벽부(61)의 측벽부(612, 613)의 내측면에 구비된 결합부(612b, 613b)가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These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 형태에서는 스프링(Sp1, Sp2)의 부세력이 노브(8)에 작용하고 있어, 노브(8)는 지지벽부(61)로부터 탈락하는 방향(도면상 윗방향)으로 상시 부세력이 작용한다. As shown in Fig. 2, in the embodiment, the negative forces of the springs Sp1 and Sp2 act on the
그 때문에, 노브(8)에 상기 노브(8)를 극반(7)측의 하방으로 압압하는 힘이 작용하지 않을 때에는, 지지벽부(61)측의 결합부(612b, 613b)가, 개구부(822a, 823a)의 하측 가장자리(도 2의 경우에는, 개구부(822a)의 하측 가장자리(822a1))에 결합함으로써, 노브(8)의 지지벽부(61)로부터의 탈락이 저지되도록 되어 있다.Therefore, when the force for pressing the
아울러, 측벽부(612, 613)에 있어서 개구부(822a, 823a)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 길이 h(도 3의 (C) 참조)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노브(8)가 조작되어 극반(7)측의 하방으로 이동해도, 결합부(612b, 613b)가 개구부(822a)의 상측 가장자리(822a2)와 간섭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노브(8)가 극반(7)측의 하방으로 이동했을 때, 상기 노브(8)의 이동이, 지지벽부(61)측의 결합부(612b, 613b)에 의해 방해받지 않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벽부(822)의 전단에는, 단면으로 볼 때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각부(8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A), the front end of the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각부(83)는 극반(7)측의 하방을 향하여 직선형상으로 뻗어 있는데, 노브(8)가 지지벽부(61)에서 지지된 상태에서, 그 선단부(先端部, 831)를 케이스(5) 안에서 가동반(9)에 맞닿도록 한다.As shown in Fig. 2, this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각부(83)의 측벽부(612)와의 대향면에는, 상기 측벽부(612)의 가이드 홈(612a)에 결합하는 가이드 돌기(83a)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부(83)의 측벽부(614)와의 대향면에는, 상기 측벽부(614)의 가이드 돌기(614a)가 결합되는 가이드 홈(83b)이 구비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A), a
각부(83)측의 가이드 돌기(83a) 및 가이드 홈(83b)과, 지지벽부(61)측의 가이드 홈(612a) 및 가이드 돌기(614a)는, 각각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데, 노브(8)가 압압되어 극반(7)측의 하방으로 이동할 때, 각부(83)측의 가이드 돌기(83a)와 지지벽부(61)측의 가이드 돌기(614a)가, 각각 가이드 홈(612a, 83b)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각부(83)(노브(8)의 전방측)의 상하 방향의 이동이 가이드되도록 되어 있다.The
여기서, 스위치 장치(1)에는, 노브(8)로부터 극반(7)측의 하방으로 뻗는 각부(83)가, 노브(8)의 조작과 연동하여 축선(X1)(도 2 참조)의 축방향으로 진퇴 이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노브(8)가 극반(7)측의 하방으로 눌러 내려지면, 각부(83)가 노브(8)와 같은 방향(극반(7)측의 하방)으로 이동하여, 가동반(9)에 맞닿게 한 선단부(831)에서, 가동반(9)을 축선(X1)의 직교 방향(축선(Y)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Here, in the
이 때문에, 이때 각부(83)가 축선(X1)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이동하면, 그 선단부(831)와 후술하는 가동반(9)의 맞댐점(P)이 축선(X1)의 직경방향(축선(Y)방향)으로 어긋나버리기 때문에, 축선(Y) 방향에서의 가동반(9)의 위치가 본래 있어야 할 위치로부터 벗어나 버린다.For this reason, when each
실시 형태에서는, 가이드 돌기(83a, 614a) 및 가이드 홈(612a, 83b)으로 구성되는 가이드 기구를 2개 구비하여, 노브(8)의 압압 조작시에 각부(83)가 축선(X1)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극반(7)측의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In the embodiment, two guide mechanisms comprising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치 장치(1)의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노브(8)의 후방측에서는 가이드벽(82)의 내측에, 극반(7)측의 하방으로 돌출하여 스프링 지지부(24)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on the rear side of the
스프링 지지부(24)에는, 스프링(Sp1)의 일단이 외부 삽입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이 스프링(Sp1)의 타단은, 커버(6)과 일체로 형성된 스프링 지지부(64)에 외부 삽입으로 장착되어 있다.One end of the spring Sp1 is attached to the
스프링(Sp1)은, 노브(8)의 압압 방향(축선(X)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는데, 노브(8)를 지지벽부(61)로부터 탈락시키는 방향(도면상 윗방향)의 부세력을 노브(8)에 작용시키고 있다.Spring (Sp1) is provided along the pressing direction (axial (X) direction) of the
노브(8)로부터 극반(7)측의 하방으로 뻗는 각부(83)는, 스위치 장치(1)의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노브(8)의 전방측에 위치한다.Each
이 각부(83)는, 노브(8)의 압압 방향(축선(X1)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있는데, 축선(X)를 따라 설치된 스프링(Sp1)에 대하여 평행하게 구비되어 있다.The each
각부(83)는, 둘레벽부(811)보다 극반(7)측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커버(6)의 개구(62)를 관통시킨 선단부(831)에는, 가동반(9)의 맞댐부(92)에 맞닿게 하는 경사면(831a)이 구비되어 있다.Each
각부(83)에 있어서 경사면(831a)은, 스위치 장치(1)의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후측에 구비되어 있으며, 이 경사면(831a)은 노브(8)의 조작 방향(축선(X1))에 대하여 소정 각도θ로 경사되어 있다.In each
이 때문에, 각부(83)의 선단부(831)측은 극반(7)측의 하방을 향함에 따라 스위치 장치(1)의 전후방향의 폭(W)이 좁아져 있으며, 각부(83)는 그 선단부(831)에 구비된 경사면(831a)을 스위치 장치(1)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상측으로부터, 가동반(9)의 맞댐부(92)에 맞닿도록 한다.For this reason, the width W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가동반(9)은 극반(7)에 구비된 단자 지지부(71)에서, 노브(8)의 조작 방향(축선X, X1방향)의 직교 방향(축선(Y)방향)으로 진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각부(83)가 노브(8)의 조작방향(축선X, X1방향)으로 이동하면, 각부(83)의 경사면(831a)과 가동반(9)의 맞댐부(92)의 맞댐점(P)의 위치가 축선(Y)방향으로 변화함으로써, 축선(Y)방향에서의 가동반(9)의 위치가 노브(8)의 조작에 연동하여 변화하도록 되어 있다.The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반(9)은, 평면으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의 본체부(91)를 갖고, 이 본체부(91)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측의 일측(91a)에는 상기한 각부(83)가 맞닿는 맞댐부(92)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맞댐부(92)는, 본체부(91)의 일측(91a)으로부터 전방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부(91)의 폭(W1)보다 좁은 폭(W2)을 갖는다.The abutting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맞댐부(92)의 선단측의 상면은, 단면(斷面)상으로 볼 때 원호형상의 외주(外周)를 이루는 맞댐면(92a)으로 되어 있으며, 이 맞댐면(92a)에, 각부(83)의 경사면(831a)이 상방측으로부터 맞닿아 있다.As shown in FIG. 2,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end side of the
도 1(B) 및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맞댐부(92)의 양측에는, 본체부(91)의 일측(91a)으로부터 맞댐부(92)와 동일 방향으로 뻗는 아암부(93, 93)가 형성되어 있다.1(B) and 4(A),
아암부(93, 93)는, 본체부(91)의 길이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뻗는 기둥 형상의 부재이며, 그 선단부에는, 본체부(91)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결합부(93a, 93a)가 구비되어 있다.The
본체부(91)에서의 맞댐부(92)와는 반대측인 타측(91b)에는 원기둥 형상의 돌기(9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94)는 본체부(91)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로부터 스위치 장치(1)의 후방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그 외주에는 스프링(Sp2)의 일단측이 외부 삽입으로 장착되어 있다.A cylinder-
이 스프링(Sp2)의 타단측은, 극반(7)측의 지지부(77)에 형성된 돌기(78)에 외부로부터 끼워져 있으며, 스프링(Sp2)은 가동반(9)을 극반(7)에 조립했을 때, 본체부(91)와 지지부(77)의 사이에 압축 상태로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The other end side of this spring (Sp2) is fitted from the outside to the projection (78) formed on the support portion (77) on the pole plate (7) side, and the spring (Sp2) is when the movable plate (9) is assembled to the pole plate (7) , It is to be installed in a compressed state between the
이때, 가동반(9)은 스프링(Sp2)으로부터 작용하는 부세력에 의해, 스위치 장치(1)의 전방측으로 압압되어 있는데, 상기 아암부(93, 93)의 결합부(93a, 93a)를 가이드판(75, 75)의 결합홈(75a, 75a)에 결합시켜, 가이드판(75, 75)으로부터의 가동반(9)의 탈락이 방지된다.At this time, the
여기서, 가동반(9)의 맞댐부(92)는 스프링(Sp2)으로부터 작용하는 부세력으로, 축선(Y)방향으로부터 각부(83)의 경사면(831a)에 맞닿아 있으며, 스프링(Sp2)은 노브(8)를 도면상의 상측으로 이동시키면서, 경사면(831a)과 맞댐부(92)의 맞댐점(P)의 위치를 스위치 장치(1)의 전방측(도면상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의 부세력을 작용시킨다.Here, the
이 때문에, 노브(8)의 각부(83)가 설치된 전방측에는, 스프링(Sp2)의 부세력이, 노브(8)를 도면 중 윗방향(지지벽부(61)로부터 탈락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한다.For this reason, on the front side where each
실시 형태에서는, 각부(83)의 선단부(831)의 전방측으로, 상기 선단부(831)를 따라 지지벽부(614b)가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벽부(614b)는 지지벽부(61)의 측벽부(614)의 연장선상을 케이스(5) 내로 뻗어 있으며, 각부(83)의 선단부(831)측이, 경사면(831a)에 가동반(9)의 맞댐부(92)를 압접시키는 스프링(Sp2)의 부세력으로, 축선(X1)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이 지지벽부(614b)는 각부(83)가 축선(X1)방향으로 진퇴 이동할 때의 가이드로서도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In the embodiment, a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91)의 극반(7)측의 하부는 중공으로 형성되어 있고, 본체부(91)의 길이방향에서의 중앙부에, 스프링 지지부(95)가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지지부(95)의 중앙부에는, 본체부(91)의 폭방향을 따라 수용홈(95a)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수용홈(95a) 안에, 가동접점(9a)이 수용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lower portion of the
가동접점(9a)은 한 장의 금속판을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단면상에서 볼 때 대략 U자 형상을 가지며,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접점(9a)의 폭방향에서의 중앙부에는, 스프링(Sp3)을 결합시키는 오목부(9a1)가 형성되어 있다.The
이 오목부(9a1)의 폭방향에서의 중앙부에는, 스프링 지지부(95)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된 스프링(Sp3)의 일단이 맞닿아 있으며, 이 스프링(Sp3)의 타단측은 스프링 지지부(95)에 형성된 원통형상의 스프링 유지 구멍(95b)에 삽입되어 있다.In the central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cave portion 9a1, one end of the spring Sp3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가동접점(9a)은, 스프링 유지 구멍(95b)에 수용된 스프링(Sp3)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이 스프링(Sp3)으로부터 작용하는 부세력에 의해 그 하면을, 극반(7)측에 구비된 고정접점(7a, 7a)에 압접시킨다.The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극반(7)에 있어서 고정접점(7a, 7a)은, 스위치 장치(1)의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고정접점(7a, 7a)은 가동반(9)의 이동 방향(축선(Y)방향)으로 직선형상으로 뻗어 있다.As shown in Fig. 4(C), in the
고정접점(7a, 7a)은, 인서트 성형에 의해 극반(7)의 단자 지지부(7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단자 지지부(71)에 있어서 고정접점(7a, 7a)은 단자 지지부(71)의 상면(71a)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부(73)의 상면으로 노출되어 있다.The fixed
단자 지지부(71)는, 아래 커버부(72)의 상면에 놓여져 있으며, 단자 지지부(71)에 인서트 성형된 고정접점(7a, 7a)은, 단자 지지부(71) 내에 구비된 다른 배선 부재와 마찬가지로, 아래 커버부(72)의 상면에 놓인 도시하지 않은 프린트 기판에 접속되어 있다.The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접점(7a, 7a)이 설치된 돌출부(73)는, 평면으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이들 고정접점(7a, 7a)과 같은 방향(도면상 오른쪽 방향)으로 직선형상으로 뻗어 있다.As shown in Fig. 4(C), the
이 돌출부(73)의 후방측(도 4(C) 에서 우측)의 연장선상에는, 상기한 스프링(Sp3)의 타단측을 지지하는 지지부(77)가, 돌출부(73)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해서 형성되어 있다.On the extension line of the rear side (right side in Fig. 4C) of the protruding
돌출부(73)에서의 지지부(77)측에는, 돌출부(73)보다 노브(8)측의 상방으로 돌출된 단부(74)가 형성되어 있다. 단부(74)는, 고정접점(7a, 7a)의 사이를, 이들 고정접점(7a, 7a)과 같은 방향으로 뻗어 있고, 평면으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을 이룬다.An
이 단부(74)의 전방측(도면상 좌측)의 단부에는, 전방측을 향함에 따라 돌출부(73)로부터의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면(74a)이 형성되어 있으며, 노브(8)의 조작에 의해 가동반(9)(가동 접점(9a))이 지지부(77)측(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했을 때, 가동접점(9a)이 경사면(74a)을 통하여 단부(74)위로 올라감으로써, 가동접점(9a)이 고정접점(7a)으로부터 상방측으로 소정 높이 ha 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도 4(D) 참조).At an end portion of the front side (left side in the drawing) of the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치 장치(1)의 폭방향에서의 고정접점(7a)의 양측에는, 가동반(9)의 축선(Y)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판(75, 75)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C), on both sides of the fixed
가이드판(75, 75)은 가동반(9)의 이동 방향(축선(Y)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단자 지지부(71)의 전방측(도면상 좌측)의 단부(71b)로부터 지지부(77)의 근방까지의 범위로,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가이드판(75, 75)은 극반(7)의 단자 지지부(7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단부에는 가이드판(75, 75) 사이에 배치된 가동반(9)의, 도면상에서 상측으로의 탈락을 저지하기 위한 스톱퍼(76, 76)가 설치되어 있다.The guide plates (75, 75) are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terminal support portion (71) of the pole plate (7), the upper portion of the movable plate (9) disposed between the guide plates (75, 75), in the
가이드판(75, 75)에 있어서 스톱퍼(76, 76)는 지지부(77)측의 후방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판(75, 75)의 스톱퍼(76, 76)에 인접한 전방측에는, 상기한 가동반(9)의 아암부(93, 93)에 구비된 결합부(93a, 93a)가 결합되는 결합홈(75a, 75a)이 설치되어 있다.In the
이하, 푸쉬 스위치(2)의 동작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도 5는, 푸쉬 스위치(2)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는 노브(8)가 기준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B)는 노브(8)가 극반(7)측 하방으로 밀려 넣어진 조작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C)는 (A)에 있어서의 A-A 단면도이며, (D)는 (B)에 있어서의 B-B 단면도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도 5의 (A),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브(8)가 기준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축선(Y)방향에 있엇서 노브(8)의 각부(83)에 구비된 경사면(831a)은, 지지부(77)로부터 가장 떨어진 위치에서 가동반(9)의 맞댐부(92)에 맞닿아 있다.As shown in (A) and (C) of FIG. 5, in the state where the
이 상태에서, 노브(8)의 압압 조작에 의해 노브(8)가 극반(7)측의 하방으로 이동하면(도면상의 화살표(A1) 참조), 노브의 각부(83)도 또한, 극반(7)측의 하방으로 이동한다(도면상의 화살표(A2) 참조).In this state, when the
그러면, 각부(83)의 선단부(831)의 폭(W)은, 도면상의 상측으로 향해 갈수록 넓어지므로 각부(83)가 극반(7)측의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가동반(9)의 이동 방향(축선(Y)방향)에 있어서의 경사면(831a)과, 가동반(9)의 맞댐부(92)와의 맞댐점(P)이, 도면상의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Then, the width W of the
이에 의해, 가동반(9)은, 각부(83)(경사면(831a))에 의해 밀려서, 지지부(77)측(도면상의 화살표(A3)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이 가동반(9)에 설치된 가동접점(9a)이 고정접점(7a)의 상면을 슬라이딩하면서, 도면상의 우측 방향(도면의 화살표(A4)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Thereby, the
극반(7)(단자 지지부(71))에는, 고정접점(7a)보다 노브(8)측의 상방으로 돌출해서 단부(7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단부는 고정접점(7a, 7a) 사이의 지지부(77) 근처의 위치에 구비된다. 이 때문에, 노브(8)의 압압 조작에 의해 도면상의 우측으로 이동한 가동접점(9a)은, 최종적으로 단부(74)에 구비된 경사면(74a)을 타고, 단부(74)위로 올라가게 되며, 가동접점(9a)이 단부(74) 위로 올라감으로써, 가동접점(9a)이 고정접점(7a)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도 4(D), 도 5(D) 참조).In the pole 7 (terminal support portion 71), an
이때, 실시 형태의 푸쉬 스위치(2)에서는, 각부(83)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부에 하트캠(25)이 설치되어 있다. 이 하트캠(25)은 각부(83)에 구비된 캠홈(28)과, 캠홈(28)에 결합하는 잠금핀(27)을 갖는데, 잠금핀(27)은 부착벽(616)(도 3의 (A), (B) 참조)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동시에, 부착벽(616)에 구비된 판 스프링(26)으로부터 작용하는 부세력에 의해, 그 일단측을 캠홈(28)에 압접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At this time, in the
실시 형태에서는, 노브(8)가 압압 조작되어 극반(7)측의 하방으로 눌려 내려오면, 부착벽(616)에 설치된 잠금핀(27)과, 캠홈(28)이 상하 방향(축선(X1)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잠금핀(27)과 캠홈(28)의 맞댐 위치가, 도 5(A)에서 화살표(a)로 나타낸 궤적를 따라 변화하도록 되어 있다.In the embodiment, when the
그리고, 노브(8)를 도면상 하방으로 이동시킨 후, 노브(8)의 압압 조작을 해소하면, 노브(8)는 스프링(Sp1, Sp2)으로부터 작용하는 부세력으로, 도면상의 상측으로 힘을 받으므로, 하트캠(25)의 결합부(29)가, 도면상의 하방으로부터 잠금핀(27)에 결합되어, 노브(8)의 상측의 이동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도 5(B) 참조).Then, after moving the
이 때문에, 기준 위치(도 5(A) 참조)에 있는 푸쉬 스위치(2)의 노브(8)를 1회 눌러 내리면, 잠금핀(27)이 결합부(29)에 결합되어, 노브(8)가 기준 위치보다 극반(7)측의 하방으로 배치된 조작 위치(도 5(B) 참조)에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For this reason, when the
여기서, 노브(8)의 각부(83)는, 가이드 돌기(83a, 614a) 및 가이드 홈(612a, 83b)으로 구성되는 가이드 기구(도 3(A) 참조)를 2개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 가이드 기구에 의해 축선(X1)방향 이동이 안내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노브(8)의 압압 조작시에, 각부(83)가 축선(X1)에 대하여 기울어진 상태로 극반(7)측의 하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Here, each
그리고, 이 도 5(B)에 나타낸 조작 위치에 있는 노브(8)를, 극반(7)의 하방으로 눌러 내리면(도 5(B), 도면의 화살표(B1)참조), 잠금핀(27)과 캠홈(28)이 상하 방향(축선(X1)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잠금핀(27)과 결합부(29)의 결합이 해제된다.Then, when the
이때, 캠홈(28)에 형성된 경사에 의해, 축선(Y)의 축방향에서 잠금핀(27)과 결합부(29)의 위치가 어긋나므로, 노브(8)를 눌러 내린 후에, 노브(8)의 압압 조작을 해제하면 잠금핀(27)과 캠홈(28)의 맞댐 위치가 도 5(B)에서 화살표(b)로 나타낸 궤도를 따라 변화하도록 되어 있다.At this time, due to the inclination formed in the
이에 의해, 노브(8)가 지지벽부(61)로부터 탈락하는 방향(도면상 상방)으로 이동하여, 도 5(A)에 나타낸 기준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Thereby, the
이때, 노브(8)의 각부(83)가 도면상의 상측으로 이동하므로, 이 각부(83)의 이동을 따라 스프링(Sp2)에 밀린 가동반(9)과 각부(83)의 맞댐점(P)이 가동반(9)의 이동 방향(축선(Y))에 있어서의 좌측으로 이동한다.At this time, since each
그러면, 가동반(9)에 설치된 가동접점(9a)이 단부(74)의 상면을 슬라이딩하면서 도면상의 좌측으로 이동한다(도면의 화살표(B2)참조). 그리고, 단부(74)가 설치되지 않은 위치에 도달하면, 스프링(Sp3)의 부세력으로, 고정접점(7a)에 압접된 상태에서, 고정접점(7a)의 상면을 슬라이딩하게 된다.Then, the
그리고, 가동접점(9a)이 고정접점(7a)에 접촉한 시점에서, 고정접점(7a, 7a)이 가동접점(9a)을 통해 연이어 통하게 되므로, 푸쉬 스위치(2)가 오프된 상태로 된다.And, when the movable contact (9a) is in contact with the fixed contact (7a), the fixed contact (7a, 7a) through the movable contact (9a) in succession, so that the push switch (2) is turned off.
아울러, 노브(8)가, 도 5(B)에 나타낸 조작 위치로부터 도 5(A)에 나타낸 기준 위치로 이동할 때, 스위치 장치(1)의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노브(8)의 후방측에는 커버(6)와 일체로 형성된 스프링 지지부(64)와, 커버(6)측의 스프링 지지부(24)의 사이에 개재시킨 스프링(Sp1)으로부터의 부세력이 작용하며, 노브(8)의 전방측에는, 각부(83)가 맞닿은 가동반(9)에 작용하는 스프링(Sp2)으로부터의 부세력이 작용한다.In addition, when the
실시 형태에서는, 노브(8)의 후방측에 작용하는 스프링(Sp1)의 부세력과, 전방측에 작용하는 스프링(Sp2)의 부세력이 대략 동일하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때문에, 노브(8)는 축선(X1)에 대하여 기울어지지 않고, 도면상의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the embodiment, the negative force of the spring Sp1 acting on the rear side of the
이상과 같이, 실시 형태에서는, 노브(8)의 압압 조작에 의해 고정접점(7a)에 맞닿게 한 가동접점(9a)을 슬라이딩시켜서 가동접점(9a)과 고정접점(7a)의 접리를 행하는 구성의 푸쉬 스위치(2)에 있어서,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the
가동접점(9a)의 슬라이딩 방향을, 노브(8)의 압압 방향(축선X, X1방향)의 직경방향(축선(Y)방향)으로 설정한 구성으로 하였다.The sliding direction of the
이와 같이 구성하면, 고정접점(7a)에 맞닿게 한 가동접점(9a)의 슬라이딩 방향이 노브(8)의 압압 방향(축선X, X1방향)의 직경방향(축선(Y)방향)이므로, 가동접점(9a)이 슬라이딩하기 위한 공간을 노브(8)의 압압 방향(축선X, X1방향)으로 확보할 필요가 없다.When configured in this way,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따라서, 가동접점이 노브의 압압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종래의 푸쉬 스위치보다, 노브(8)의 압압 방향(축선X, X1방향)에 있어서의 푸쉬 스위치(2)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Therefore, the thickness of the
가동접점(9a)은, 노브(8)의 압압 방향(축선X, X1방향)의 직경방향(축선(Y)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가동반(9)에 설치되어 있으며,The
노브(8)는 압압 방향(축선X, X1방향)으로 뻗는 각부(83)를 갖는 동시에, 각부(83)의 선단부(831)에는 가동반(9)의 이동 방향(축선(Y)방향)에서의 일방측으로, 선단을 향함에 따라서, 축선(Y)방향의 폭(W)이 좁아지는 쪽의 경사면(831a)(경사부)이 형성되어 있어, 노브(8)는, 경사면(831a)을 가동반(9)에 맞닿게 하여 구비된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노브(8)의 압압 조작에 의해, 노브(8)의 각부(83)가 노브(8)의 압압 방향(축선X, X1방향)측으로 이동하면, 각부(83)에 구비된 경사면(831a)과 가동반(9)의 맞댐점(P)이, 가동반(9)의 이동 방향(축선(Y)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측으로 변위하여, 가동반(9)이 일방측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된다.When configured in this way, when the pressing part of the
따라서, 각부(83)에 구비된 경사면(831a)을 가동반(9)에 맞닿게 하여 형성한다고 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노브(8)의 압압 방향(축선(X1)방향)의 이동을, 가동반(9)의 압압 방향에 대한 직경방향(축선(Y)방향)의 이동으로 변환하여, 고정접점(7a)에 맞닿게 한 가동접점(9a)을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Therefore, in a simple configuration in which the
여기서, 가동반(9)은 경사면(831a)이 외주에 맞닿는 맞댐부(92)를 갖고 있으며, 상기 맞댐부(92)의 외주면(맞댐면(92a))은, 축선(Y)방향의 단면(斷面)으로 볼 때 원호 형상을 이루고, 경사면(831a)이 맞댐부(92)의 외주면에 점접촉하도록 구성하였다.Here, the
이에 의해, 노브(8)의 압압 조작에 의해 노브(8)의 조작 방향쪽으로 이동한 각부(83)(맞댐면(831a))로 가동반(9)를 이동시킬 때의 마찰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푸쉬 스위치(2)의 노브(8)의 압압 조작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Thereb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frictional resistance when moving the
노브(8)를 압압 방향과는 반대쪽으로 부세시키는 스프링(Sp1)(제 1 부세 수단)과, 가동반(9)을, 압압 방향의 직경방향(축선(Y)방향)에 있어서의 타방측으로 부세시키는 스프링(Sp2)(제 2 부세수단)을 구비하고,The spring Sp1 (first biasing means) for biasing the
스프링(Sp1)을, 노브(8)의 직경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측에 구비하여, 노브(8)의 일방측에 스프링(Sp1)으로부터의 부세력이 작용하며,A spring (Sp1) is provided on one sid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knob (8), and a negative force from the spring (Sp1) acts on one side of the knob (8),
노브(8)의 타방측에 각부(83)를 구비하여, 노브(8)의 타방측에 스프링(Sp2)으로부터의 부세력이 작용하도록 구성했다.Each
이와 같이 구성하면, 스프링(Sp1)과 스프링(Sp2)의 부세력을 조정하여, 노브(8)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측에 작용하는 부세력과, 타방측에 작용하는 부세력을 같게 함으로써, 노브(8)가 압압 방향으로 이동할 때, 노브(8)가 압압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진 상태로 이동하는 것을 적절히 방지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by adjusting the negative forces between the spring Sp1 and the spring Sp2, and making the negative forces acting on one sid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노브(8)가 압압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져서 노브(8)의 이동에 지장이 생기는 것을 적절하게 방지할 수 있으므로, 노브의 이동에 지장이 생기는 것에 기인하는 푸쉬 스위치의 동작 불량의 발생을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다.Since the
또한, 노브(8)가, 스프링(Sp1)과 스프링(Sp2)의 부세력으로, 도 5(B)에 나타낸 조작 위치로부터 도 5(A)에 나타낸 기준 위치로 복귀할 때에도, 스위치 장치(1)의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노브(8)의 전방측과 후방으로 작용하는 부세력을 동일하게 할 수 있으므로, 노브(8)를, 수평상태를 유지한 채로 기준 위치까지 되돌릴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가동접점(104a)을 갖는 가동반(104)을 노브(107)의 압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고정접점(103a)에 맞닿게 한 가동접점(104a)을 슬라이딩시키는 구성인 종래의 푸쉬 스위치(도 6 참조)의 경우, 가동반(104)을 균등하게 압압하여 이동하기 때문에, 노브(107)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각부(108a, 108b)를 구비하였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ush switch (which is a configuration that moves the
그 때문에, 각부(108a, 108b)로부터 작용하는 압압력에 대한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가동반(104)의 크기가 필연적으로 커져 있었다.Therefore, the size of the
상기와 같이 구성하면, 각부(83)가 가동반(9)을 압압하는 개소는, 맞댐부(92) 일개소 만으로 되므로, 종래 예의 푸쉬 스위치의 경우에 비해, 가동반(9)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푸쉬 스위치(2)의 크기를, 종래의 것보다 소형화할 수 있다.Whe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lace where each
그리고, 가동반(9)이 소형화한 만큼, 케이스(5) 내의 레이아웃의 자유도가 향상하는 동시에, 가동반(9)의 소형화에 따른 케이스(5)의 소형화에 의해, 푸쉬 스위치(2)의 작성에 필요한 재료를 줄일 수 있으므로, 제작 비용의 저감이 가능해진다.And, as the
1 스위치 장치
2 푸쉬 스위치
4 요동 스위치
5 케이스
6 커버
7 극반
7a 고정접점
8 노브
9 가동반
9a 가동접점
61 지지벽부
62 개구
71 단자 지지부
72 아래 커버부
73 돌출부
74 단부
74a 경사면
75 가이드판
75a 결합홈
76 스톱퍼
77 지지부
78 돌기
81 압압부
82 가이드벽
83 각부
83a 가이드 돌기
83b 가이드 홈
91 본체부
92 맞댐부
93 아암부
93a 결합부
94 돌기
95 스프링 지지부
95a 수용홈
95b 스프링 유지 구멍
612~615 측벽부
612a, 615a 가이드 홈
612b, 613b 결합부
614a 가이드 돌기
616 부착벽
810 상벽부
811 둘레벽부
821, 822 벽부
822a 개구부
831 선단부
831a 경사면
P 맞댐점
Sp, Sp1, Sp2, Sp3 스프링
X 축선
X1 축선
Y 축선1 switch device
2 push switch
4 swing switch
5 cases
6 cover
7 extreme
7a fixed contact
8 knob
9 Operation panel
9a movable contact
61 Support wall
62 opening
71 Terminal support
72 lower cover
73 protrusion
74 ends
74a slope
75 Guide plate
75a coupling groove
76 stopper
77 Support
78 Turn
81 Pressing part
82 Guide wall
83 Legs
83a Guide turning
83b guide groove
91 Body
92 butt
93 Arm part
93a joint
94 projections
95 spring support
95a accommodation home
95b spring retaining hole
612~615 side wall part
612a, 615a guide home
612b, 613b coupling
614a guide projection
616 attachment wall
810 upper wall
811 Perimeter Wall
821, 822 wall part
822a opening
831 tip
831a slope
P butt
Sp, Sp1, Sp2, Sp3 spring
X axis
X1 axis
Y axis
Claims (3)
상기 가동접점의 슬라이딩 방향을, 상기 노브의 압압 방향의 직경방향으로 설정하고,
상기 가동접점은, 상기 직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 가동반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노브는, 상기 압압 방향으로 뻗는 각부(脚部)를 갖는 동시에, 상기 각부의 선단측의 상기 직경방향에서의 일방측에, 선단으로 향해감에 따라 상기 직경방향의 폭이 좁아지는 쪽의 경사부를 갖고,
상기 노브는, 상기 경사부를 상기 가동반에 맞닿게 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노브를, 상기 압압 방향과는 반대쪽으로 부세시키는 제 1 부세수단과,
상기 가동반을, 상기 직경방향에서의 타방측으로 부세시키는 제 2 부세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부세수단을, 상기 노브의 상기 직경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측에 구비하여, 상기 노브의 상기 일방측으로 상기 제 1 부세수단으로부터의 부세력이 작용하며,
상기 노브의 상기 직경방향에 있어서의 타방측에 상기 각부를 구비하여, 상기 노브의 상기 타방측으로 상기 제 2 부세수단으로부터의 부세력이 작용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스위치.
In the push switch of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movable contact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xed contact by sliding operation of the knob to slide the movable contact and the fixed contact,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movable contact is set to the radial direction of the pressing direction of the knob,
The movable contact is provided on a movable panel that is movable in the radial direction,
The knob has a leg extending in the pressing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inclination of the width in the radial direction becomes narrower toward one end in the radial direction on the tip side of the leg. With wealth,
The knob is provided so that the inclined portion abuts the movable panel,
A first biasing means for biasing the knob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pressing direction;
And a second biasing means for biasing the movable plate to the other side in the radial direction,
The first biasing means is provided on one sid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knob, and the biasing force from the first biasing means acts on the one side of the knob,
A push switch having the corner portion on the other sid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knob, and configured to exert a biasing force from the second biasing means on the other side of the knob.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3087845A JP6188397B2 (en) | 2013-04-18 | 2013-04-18 | Push switch |
JPJP-P-2013-087845 | 2013-04-1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25318A KR20140125318A (en) | 2014-10-28 |
KR102124852B1 true KR102124852B1 (en) | 2020-06-19 |
Family
ID=50349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46040A KR102124852B1 (en) | 2013-04-18 | 2014-04-17 | Push switch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EP (1) | EP2793245B1 (en) |
JP (1) | JP6188397B2 (en) |
KR (1) | KR102124852B1 (en) |
CN (1) | CN104112615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491044B2 (en) * | 2020-05-14 | 2024-05-28 |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 Push button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
TWI805117B (en) | 2021-12-08 | 2023-06-11 | 技嘉科技股份有限公司 | Circuit board module |
US20230178935A1 (en) * | 2021-12-08 | 2023-06-08 | Giga-Byte Technology Co.,Ltd. | Circuit board module and release component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202008002853U1 (en) * | 2008-02-28 | 2009-07-09 | Saia-Burgess Halver Gmbh | Electrical switching device, such as pushbutton switch or the like.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916150A (en) * | 1974-03-04 | 1975-10-28 | Stackpole Component Co | Data machine keyboard assembly with elongated key cap for actuating an electric switch |
JPS57101311A (en) * | 1980-12-16 | 1982-06-23 | Mitsumi Electric Co Ltd | Pushbutton type switch |
JPS5939837U (en) * | 1982-09-07 | 1984-03-14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push button switch |
JP2001243850A (en) | 1999-12-21 | 2001-09-07 | Niles Parts Co Ltd | Composite switch device |
DE102006036143A1 (en) * | 2006-07-31 | 2008-02-07 |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 switch module |
KR100945210B1 (en) * | 2009-03-05 | 2010-03-03 | 김창호 | Apparatus for cutting off standby pow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
2013
- 2013-04-18 JP JP2013087845A patent/JP6188397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4
- 2014-03-21 EP EP14161183.0A patent/EP2793245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14-04-17 KR KR1020140046040A patent/KR102124852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4-04-18 CN CN201410157704.XA patent/CN104112615B/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202008002853U1 (en) * | 2008-02-28 | 2009-07-09 | Saia-Burgess Halver Gmbh | Electrical switching device, such as pushbutton switch or the lik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4112615A (en) | 2014-10-22 |
JP6188397B2 (en) | 2017-08-30 |
KR20140125318A (en) | 2014-10-28 |
JP2014212038A (en) | 2014-11-13 |
EP2793245B1 (en) | 2016-07-20 |
EP2793245A1 (en) | 2014-10-22 |
CN104112615B (en) | 2017-11-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381069B2 (en) | Card connector having an ejecting member with which a cam follower and a locking member are integrally coupled | |
US7319202B2 (en) | Key switch device | |
KR102124852B1 (en) | Push switch | |
EP2006868B1 (en) | Push button switch device with lever | |
CN114005694B (en) | Key switch | |
KR100899312B1 (en) | Rotary type electric component attached with push switch | |
KR20130006306A (en) | Switch | |
KR102051153B1 (en) | Push switch | |
CN109318624B (en) | Pen for writing and drawing purposes | |
JP5611742B2 (en) |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 |
WO2014155920A1 (en) | Push-button switch | |
JP2604910Y2 (en) | Lock structure of push / push switch | |
TW380269B (en) | Multi-position, multi-directional electric switch mechanism | |
JP5006293B2 (en) | Slide operation mechanism and slide operation type switch device provided with the mechanism | |
US20100175498A1 (en) | Adjustment mechanism | |
JP4715694B2 (en) | switch | |
US6313730B1 (en) | Linear sliding variable resistor | |
US9552936B2 (en) | Push switch | |
JP4619196B2 (en) | Sliding electronic parts with pressure switch | |
JP4021257B2 (en) | Switch device | |
JP2005310439A (en) | Multidirectional slide switch | |
JP4932658B2 (en) | Slide operation type electric parts with push mechanism | |
KR200365289Y1 (en) | Connecting Structure for Wing Guide and Knob of Wide Switch | |
JPH0721873A (en) | Push-button device | |
JPH06267372A (en) | Pushbutton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