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4697B1 - 가구 다리용 받침 - Google Patents

가구 다리용 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4697B1
KR102124697B1 KR1020180090482A KR20180090482A KR102124697B1 KR 102124697 B1 KR102124697 B1 KR 102124697B1 KR 1020180090482 A KR1020180090482 A KR 1020180090482A KR 20180090482 A KR20180090482 A KR 20180090482A KR 102124697 B1 KR102124697 B1 KR 102124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groove
taper
pusher
fit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0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5118A (ko
Inventor
조현옥
Original Assignee
(주)누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누리 filed Critical (주)누리
Priority to KR1020180090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4697B1/ko
Publication of KR20200015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5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12Leg supports, e.g. cup-shaped, also under cas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나 테이블과 같은 가구의 다리 밑면에 손쉽게 결합시켜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가구 다리용 받침에 관한 것으로, 무엇보다도 본 발명은, 바닥면에 안착되며 중심부에 걸림턱을 가지는 구멍이 수직으로 형성된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다리의 하면 결합홈에 끼워지는 확장부로 구성되며, 상기 확장부에 절개홈들이 형성되고 내측의 구멍이 위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로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에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는 있는 몸체; 상기 구멍에 투입하여 걸림턱 안쪽에 걸쳐지며 상기 테이퍼의 끼움홈에 끼워져 맞물리는 푸셔, 상기 푸셔의 하부에 연장 형성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 하단부의 헤드에 핀 분리홈이 형성된 고정핀; 으로 구성되며, 상기 헤드를 타격해서 끼움홈에 강제 삽입시킴에 따라 상기 확장부가 확장하면서 결합홈에 강제로 밀착 및 고정되되, 상기 끼움홈 및 푸셔는 삼각형(<) 또는 라체트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구 다리용 받침{Support for furniture legs}
본 발명은 의자나 테이블과 같은 가구의 다리 밑면에 손쉽게 결합시켜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가구 다리용 받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나 테이블, 책상 등(이하 '의자'라 함)은 하부에 다리를 구비하여 일정 높이로 받쳐진다. 상기 다리의 밑면에는 긁힘이나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패드 또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바퀴가 구비된다.
상기 의자 다리의 받침대에 관한 종래의 선행기술(특허문헌)로는 (특허문헌 001)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622354호(2006년09월04일)의 '바닥보호용 가구 다리 캡', (특허문헌 002)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1624호(2004년05월17일)의 '책상 및 의자 다리의 받침부' 등이 공지된 바에 있다. 그런데 상기의 선행기술(특허문헌 001,002)은 내구성이 약해서 장시간 사용시 결합부위가 헐거워 지거나 분리되기 쉽고 취약하여 손상 및 파손될 위험성이 높은 단점이 예상된다. (특허문헌 002)의 경우 그 구성요소가 복잡다단하고 다리에 설치하기가 불편하며, 제작이 어렵고 생산성이 저하되며, 불량의 발생률이 높고, 생산원가 및 제품의 가격이 비싸서 비경제적이고 비실용적인 문제점들이 예상된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622354호(2006년09월04일)의 '바닥보호용 가구 다리 캡'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1624호(2004년05월17일)의 '책상 및 의자 다리의 받침부'
본 발명의 목적은 의자 다리의 저면 홈에 누구나 손쉽게 부착할 수 있는 편의성과 고정력이 뛰어난 가구 다리용 받침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가구 다리용 받침에 있어서, 바닥면에 안착되며 중심부에 걸림턱을 가지는 구멍이 수직으로 형성된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다리의 하면 결합홈에 끼워지는 확장부로 구성되며, 상기 확장부에 절개홈들이 형성되고 내측의 구멍이 위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로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에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는 있는 몸체; 상기 구멍에 투입하여 걸림턱 안쪽에 걸쳐지며 상기 테이퍼의 끼움홈에 끼워져 맞물리는 푸셔, 상기 푸셔의 하부에 연장 형성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 하단부의 헤드에 핀 분리홈이 형성된 고정핀; 으로 구성되며, 상기 헤드를 타격해서 끼움홈에 강제 삽입시킴에 따라 상기 확장부가 확장하면서 결합홈에 강제로 밀착 및 고정되되, 상기 끼움홈 및 푸셔는 삼각형(<) 또는 라체트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다리용 받침를 제안하고자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의자의 다리에 설치가 간편하여 남녀노소 누구가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편의성과 고정력 및 내구성이 뛰어나고 의자를 이동하거나 바닥의 끌림에도 쉽게 분리되지 않고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몸체 내측의 끼움홈 및 푸셔를 삼각형(<) 또는 라체트형(∠)으로 형성하여 푸셔가 끼움홈에 정확히 끼워져 맞물리면서 고정력이 향상되며 임의대로 분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헤드에 분리홈을 형성하여 고정핀 및 받침을 분리 및 교체하기가 쉽고 편리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몸체의 내측 구멍에 걸림턱을 형성하여 푸셔가 걸쳐진 상태로 고정핀을 함께 보관 및 취급할 수 있어서, 고정핀을 분실할 염려가 없고 작업성 및 작업효율이 한층더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구의 다리와 받침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구 다리용 바닥 받침대의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상기 다리 받침대에 결합하는 상태를 내부 단면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상기 다리와 받침대의 결합상태를 내부 단면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상기 도 4의 "A"-"A"선 단면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구 다리용 받침를 종단면으로 나타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구 다리용 받침에 있어서, 바닥면에 안착되며 중심부에 걸림턱(18)을 가지는 구멍(13)이 수직으로 형성된 안착부(12), 상기 안착부(12)의 상부에 형성되며 다리(1)의 하면 결합홈(2)에 끼워지는 확장부(14)로 구성되며, 상기 확장부(14)에 절개홈(15)들이 형성되고 내측의 구멍(13)이 위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16)로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16)에는 끼움홈(17,17a)이 형성되어 있는 있는 몸체(10); 상기 구멍(13)에 투입하여 걸림턱(18) 안쪽에 걸쳐지며 상기 테이퍼(16)의 끼움홈(17,17a)에 끼워져 맞물리는 푸셔(22,22a), 상기 푸셔(22,22a)의 하부에 연장 형성된 샤프트(24), 상기 샤프트(24) 하단부의 헤드(26)에 핀 분리홈(27,27a)이 형성된 고정핀(20); 으로 구성되며, 상기 헤드(26)를 타격해서 끼움홈(17,17a)에 강제 삽입시킴에 따라 상기 확장부(14)가 확장하면서 결합홈(2)에 강제로 밀착 및 고정되되, 상기 끼움홈(17,17a) 및 푸셔(22,22a)는 삼각형(<) 또는 라체트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구의 다리와 받침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구 다리용 바닥 받침대의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다리 받침대에 결합하는 상태를 내부 단면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위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의 가구 다리용 받침를 상기의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리(1)의 하단에 결합되는 몸체(10), 상기 몸체(1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0)는 바닥면에 안착하는 안착부(12), 상기 다리(1)의 하면 결합홈(12)에 끼워지는 확장부(14)로 구성되며, 중심부에는 구멍(13)이 수직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부(12)는 바닥면에 안착하여 다리(1)를 받치게 되며, 상기 다리(1) 하단부의 단면적(바깥둘레)과 크기가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는 다리(1)의 단면적보다 좀 더 크게 형성하여 바닥면과의 접촉면적을 확장하도록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몸체(10)는 바닥과의 마찰음을 줄이고 소음을 방지하고 완충작용을 하도록 경질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 고무 및 합성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장부(14)는 안착부(12)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어 다리(1) 하면의 결합홈(2)에 삽입되며, 상기 안착부(12)보다 작은 단면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확장부(14)는 내측의 구멍(13)이 위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16)로 형성되며, 절개홈(15)들이 복수 개가 등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탄력적으로 확장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테이퍼(16)에는 수평으로 둥근 끼움홈(17)들이 일정 간격을 두고 단계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핀(20)은 푸셔(22), 샤프트(24), 헤드(26)로 구성된다. 상기 푸셔(22)는 테이퍼(16)의 중간부에서 상단부 사이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맞물리고 하단부에 형성된 헤드(26)의 사이에 샤프트(24)가 일정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푸셔(22)는 테이퍼(16)의 하단부보다 작고 상단부보다 크게 형성되어 위로 갈수록 끼움홈(17)에 강하게 맞물리게 된다. 즉 상기 푸셔(22)가 테이퍼(16)의 중간 부분에 있는 끼움홈(17) 정도의 크기로 형성하여 테이퍼(16)의 위쪽 부분의 끼움홈(17)으로 갈수록 확장부(14)는 바깥쪽으로 지름이 확장하게 된다.
또 상기 몸체(10)의 구멍(13)에는 테이퍼(16)의 아랫부분에 걸림턱(18)을 형성하고 푸셔(22)를 걸림턱(18)에 걸쳐진 상태로 몸체(10)와 고정핀(20)을 함께 보관 및 취급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핀(20)의 분실 염려가 없고 한 세트로 제공 가능하다.
도 4는 상기 다리와 받침대의 결합상태를 내부 단면으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상기 도 4의 "A"-"A"선 단면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상기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몸체(10)의 상부 확장부(14)를 다리(1)의 끼움홈(17)에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핀(20) 상단의 푸셔(22)를 구멍(13)으로 투입하고 하단의 헤드(26)를 망치나 둔기 등으로 타격해서 강제 삽입하면 푸셔(22)가 끼움홈(17)에 강제 삽입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확장부(14)가 바깥으로 벌어지면서 지름이 확장함에 따라 다리(1) 결합홈(102)의 내면에 강하게 밀착 및 고정된다. 이에 상기 헤드(26)는 구멍(13)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므로 안착부(12)가 바닥면에 접촉하게 된다. 또한, 상기 헤드(26)를 구멍(13) 속으로 더 깊게 삽입할수록 확장부(14)는 더 확장하면서 좀 더 강인하게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고정력이 단계별로 증대된다. 한편, 상기 구멍(13)보다 작은 소정의 봉체(구멍 속으로 밀어 넣을 수 있는 보조도구)를 이용하면 고정핀(10)을 구멍 속으로 더 깊이 삽입하기가 편리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구 다리용 받침를 종단면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상기 끼움홈(17,17a) 및 푸셔(22,22a)는 삼각형(<) 또는 라체트형(∠)으로 구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끼움홈(17,17a)은 도 3에서처럼, 삼각형(<)의 끼움홈(17)으로 형성되고, 또는 도 6에서처럼, 라체트형(∠)의 끼움홈(17a)으로 형성되며, 상기 푸셔(22,22a)는 상기의 끼움홈(17,17a)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삼각형(<)의 끼움홈(17)은 푸셔(22)를 삽입 및 고정하기가 원활하여 푸셔(22)가 끼움홈의 중간에 정확하게 끼워져 맞물린다. 또 상기 라체트형(∠)의 끼움홈(17a) 및 푸셔(22a)은 경사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삽입되어 직각의 수평면에 걸쳐지면서 고정력이 증대되고 쉽게 이탈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리 받침대는 장기간 사용하거나 교체하는 등, 다리에서 분리할 필요성이 있을 때 고정핀(20)을 분리할 수 있게 구성된다.
또, 상기 헤드(26)에 핀 분리홈(27,27a)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핀(20)은 구멍 속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분리홈(27,27a)에 고리나 철사 등을 끼우고 바깥으로 잡아당길 수 있게 구성된다.
10: 몸체, 12: 안착부, 13: 구멍, 14: 확장부, 15: 절개홈, 16: 테이퍼, 17,17a: 끼움홈, 18: 걸림턱, 20: 고정핀, 22,22a: 푸셔, 24: 샤프트, 26: 헤드, 27,27a: 분리홈

Claims (3)

  1. 가구 다리용 받침에 있어서,
    바닥면에 안착되며 중심부에 걸림턱(18)을 가지는 구멍(13)이 수직으로 형성된 안착부(12), 상기 안착부(12)의 상부에 형성되며 다리(1)의 하면 결합홈(2)에 끼워지는 확장부(14)로 구성되며, 상기 확장부(14)에 절개홈(15)들이 형성되고 내측의 구멍(13)이 위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16)로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16)에는 끼움홈(17,17a)이 형성되어 있는 있는 몸체(10);
    상기 구멍(13)에 투입하여 걸림턱(18) 안쪽에 걸쳐지며 상기 테이퍼(16)의 끼움홈(17,17a)에 끼워져 맞물리는 푸셔(22,22a), 상기 푸셔(22,22a)의 하부에 연장 형성된 샤프트(24), 상기 샤프트(24) 하단부의 헤드(26)에 핀 분리홈(27,27a)이 형성된 고정핀(20); 으로 구성되며,
    상기 헤드(26)를 타격해서 끼움홈(17,17a)에 강제 삽입시킴에 따라 상기 확장부(14)가 확장하면서 결합홈(2)에 강제로 밀착 및 고정되되, 상기 끼움홈(17,17a) 및 푸셔(22,22a)는 삼각형(<) 또는 라체트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다리용 받침.
  2. 삭제
  3. 삭제
KR1020180090482A 2018-08-02 2018-08-02 가구 다리용 받침 KR102124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482A KR102124697B1 (ko) 2018-08-02 2018-08-02 가구 다리용 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482A KR102124697B1 (ko) 2018-08-02 2018-08-02 가구 다리용 받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5118A KR20200015118A (ko) 2020-02-12
KR102124697B1 true KR102124697B1 (ko) 2020-06-18

Family

ID=69569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0482A KR102124697B1 (ko) 2018-08-02 2018-08-02 가구 다리용 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46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18402B2 (en) 2020-02-07 2023-04-04 Hyundai Mobis Co., Ltd. Vehicle collision determination system and method
SE2250568A1 (en) * 2022-05-11 2023-11-12 Ikea Supply Ag A device for attaching a leg to a panel of a cabinet
JP7289022B1 (ja) * 2023-03-15 2023-06-08 茂 宮古 口元管および口元管埋設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68976A1 (en) 2000-12-04 2002-06-06 Jackson Roger P. Posterior expandable fusion cag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0487A (ja) * 1995-11-23 1997-06-03 Nifco Inc 支持脚
JPH11346866A (ja) * 1998-06-09 1999-12-21 Houtoku Co Ltd 椅子・机等の脚端部キャップ取付構造
KR200351624Y1 (ko) 2004-03-09 2004-05-24 김영기 책상 및 의자 다리의 받침부
KR100622354B1 (ko) 2005-08-16 2006-09-11 주식회사 와이케이엠 바닥보호용 가구 다리 캡
KR20100007291U (ko) * 2009-01-08 2010-07-16 심재덕 앙카
KR20170110263A (ko) * 2016-03-23 2017-10-11 주식회사 모인에스엔티 결합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가구의 판넬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68976A1 (en) 2000-12-04 2002-06-06 Jackson Roger P. Posterior expandable fusion c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5118A (ko) 2020-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4697B1 (ko) 가구 다리용 받침
US10016058B2 (en) Foot for molded plastic furniture
US6669281B1 (en) Pull rod-type foldable chair structure
US7762506B2 (en) Glide device and article of furniture incorporating the same
US3505724A (en) Method of making a chair glide
JP5765947B2 (ja) 取り換え可能な家具グライド
US5191676A (en) Split hemisphere foot with cooperating snap-over retaining lips
EP2108409B1 (en) Adjustable golf tee assembly
US7314252B2 (en) Chair supported by a plurality of legs
KR101372132B1 (ko) 골프 티 및 그 제조방법
US3342445A (en) Plastic foot for tubular-type chair leg
US20150290507A1 (en) Multifunctional golf tee
JP5765948B2 (ja) 取り換え可能なベースを有する家具グライド
US2238705A (en) Furniture leg shoe
US6541685B2 (en) Conga stand
US20060202094A1 (en) Support stand
MXPA05001346A (es) Deslizador de mueble con base de poliuretano.
US2135945A (en) Furniture leg shoe
KR20100044417A (ko) 테이블의 다리 높이조절장치
US2177170A (en) Supporting base
KR101581404B1 (ko) 책걸상용 받침구
US2916241A (en) Pedestals for tables or chairs
CN214711517U (zh) 一种组合式脚塞
US1952602A (en) Furniture leg shoe
CN210930239U (zh) 一种户外休闲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