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4446B1 - 담배 물품용 필터 - Google Patents

담배 물품용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4446B1
KR102124446B1 KR1020187012498A KR20187012498A KR102124446B1 KR 102124446 B1 KR102124446 B1 KR 102124446B1 KR 1020187012498 A KR1020187012498 A KR 1020187012498A KR 20187012498 A KR20187012498 A KR 20187012498A KR 102124446 B1 KR102124446 B1 KR 102124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filter
section
tobacco products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2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4457A (ko
Inventor
켄이치 이타바시
료헤이 이즈미
유스케 나가마츠
료지 후지타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64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4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4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A24D3/048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contain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6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 A24D3/061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containing additives entrapped within capsules, sponge-like material or the like, for further release upon smok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02Cigars; Cigarettes with additives, e.g. for flavou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2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 A24D3/0204Preliminary operations before the filter rod forming process, e.g. crimping, blooming
    • A24D3/0212Applying additives to filter materials
    • A24D3/0216Applying additives to filter materials the additive being in the form of capsules, bea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4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A24D3/043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with ventilation means, e.g. air dilution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6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 A24D3/062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24D3/063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the fib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Abstract

입 안으로 공급하기 위한 내용물을 수용하는 캡슐(5)을 구비하는 담배 물품용 필터(4)에 있어서, 종래보다도 제조 적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제공한다.
담배 물품용 필터는, 흡구단에 형성되는 흡구단 섹션(S3)과, 흡구단 섹션의 전단에 연설됨과 아울러 필터재를 포함하지 않는 캐비티 섹션(S2)으로서, 내용물이 수용된 캡슐이 배치된 캐비티 섹션을 구비하며, 캡슐은, 그 캡슐이 압압된 때에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방출하는 용이파괴부(55)를 가지며, 캐비티 섹션에는, 용이파괴부가 흡구단 섹션에 면하도록 규정된 자세로 캡슐이 배치되어 있으며, 흡구단 섹션에는, 용이파괴부로부터 방출된 내용물을 흡구단으로 안내하는 도입부(43a)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담배 물품용 필터{FILTER FOR TOBACCO PRODUCTS}
본 발명은, 담배 물품용 필터에 관한 것이다.
흡연 중 혹은 흡연 후에 있어서의 입 안의 불쾌감을 해소시킬 목적에서, 액체를 내부에 포함한 캡슐을 필터에 배치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액체를 내부에 포함함과 아울러 흡연자의 손가락에 의해 가해진 힘에 의해 변형 가능한 캡슐을 필터 재료(플러그)의 내부에 매립하여, 캡슐의 변형에 의해 방출되는 액체를 필터의 흡구 단면에 형성된 개구부로부터 흡연자의 입 안으로 공급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국제 공개 제2013/178515호 특허문헌 2: 국제 공개 제2014/068295호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 있어서는, 캡슐이 필터 재료에 매립되어 있기 때문에, 제조 적성(適性)이 높다고는 말할 수 없는 것이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입 안으로 공급하기 위한 내용물을 수용하는 캡슐을 구비하는 담배 물품용 필터에 있어서, 종래보다도 제조 적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담배 물품용 필터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흡구단(吸口端)에 형성되는 흡구단 섹션의 전단(前段)에 연설(連設)됨과 아울러 필터재를 포함하지 않는 캐비티 섹션에, 내부에 수용하는 내용물을 방출하는 용이파괴부를 흡구단 섹션에 면하는 자세로 캡슐을 배치하여, 용이파괴부로부터 방출된 내용물을 흡구단으로 안내하는 도입부를 흡구단 섹션에 형성하도록 했다.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담배 물품용 필터는, 흡구단에 형성되는 흡구단 섹션과, 상기 흡구단 섹션의 전단에 연설됨과 아울러 필터재를 포함하지 않는 캐비티 섹션으로서, 내용물이 수용된 캡슐이 배치된 캐비티 섹션을 구비하며, 상기 캡슐은, 그 캡슐이 압압(押壓)된 때에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방출하는 용이파괴부를 가지며, 상기 캐비티 섹션에는, 상기 용이파괴부가 상기 흡구단 섹션에 면하도록 규정된 자세로 상기 캡슐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흡구단 섹션에는, 상기 용이파괴부로부터 방출된 내용물을 상기 흡구단으로 안내하는 도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예를 들면 흡연 후에 있어서, 유저(흡연자)가 팁 페이퍼를 통해 필터의 캐비티 섹션을 손가락으로 집고, 이 캐비티 섹션에 배치된 캡슐에 외력을 가함으로써 캡슐을 으깬다. 그때, 캡슐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방출하는 용이파괴부가 흡구단 섹션에 면하도록 규정된 자세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용이파괴부로부터 방출된 내용물이 흡구단 섹션으로 유입한다. 그리고, 흡구단 섹션에 있어서의 도입부를 통해, 용이파괴부로부터 방출된 내용물이 흡구단으로 안내되어, 내용물을 입 안으로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필터에 의하면, 캡슐이 배치되는 캐비티 섹션에는 필터재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이에 의하면, 캡슐을 필터재에 매립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필터의 제조 적성을 종래에 비해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캡슐은, 상기 캐비티 섹션의 내경보다도 작은 외경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캐비티 섹션에 있어서의 캡슐의 외주(外周)측에 주류연(主流煙)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캐비티 섹션 내에 캡슐을 수용한 필터의 제조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흡구단 섹션에는, 축방향으로 연신(延伸)함과 아울러 상기 용이파괴부로부터 방출된 내용물을 유통시키는 중공 채널을 가지며, 그 중공 채널 이외의 영역에 있어서 내용물의 유통을 규제하는 흡구 형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흡구 형성 부재의 상기 중공 채널에 의해 상기 도입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흡구 형성 부재의 중공 채널을 통해, 캡슐의 용이파괴부로부터 방출된 내용물을 흡구단으로 적합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티 섹션에 있어서, 상기 용이파괴부가 상기 중공 채널과 대향 배치되도록 상기 캡슐이 지지체에 지지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하면, 캐비티 섹션 내의 캡슐을 원하는 자세로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캡슐에 있어서의 상기 용이파괴부의 중심 위치와 상기 중공 채널의 중심 위치의 차이가 1㎜ 이하여도 된다. 이에 의하면, 캡슐의 용이파괴부로부터 방출된 내용물을, 효율적으로 중공 채널에 유입시킬 수 있고, 중공 채널을 통해 충분한 양의 내용물을 입 안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흡구 형성 부재는, 상기 중공 채널의 직경이 1㎜ 이상이어도 된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캡슐의 용이파괴부로부터 방출된 내용물을 중공 채널에 유입시키기 쉽고, 또한, 중공 채널을 통해 충분한 양의 내용물을 입 안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캡슐의 직경은, 상기 캐비티 섹션의 내경의 50%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캡슐의 직경은, 상기 캐비티 섹션의 내경의 85% 이상이어도 된다. 이에 의하면, 캐비티 섹션에 배치되는 캡슐에 있어서의 용이파괴부의 중심 위치와 중공 채널의 중심 위치의 차이량을 작게 할 수 있어, 내용물을 원활하게 입 안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흡구 형성 부재는, 상기 중공 채널의 길이가 10㎜ 이하여도 된다. 이렇게 중공 채널의 길이를 규정함으로써, 중공 채널을 통해 충분한 양의 내용물을 입 안으로 도입할 수 있으며, 또한, 캡슐이 으깨지고 나서 입 안으로 내용물이 공급될 때까지의 소요 시간도 비교적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흡구 형성 부재는, 축방향으로 상기 중공 채널이 관통 형성되는 필터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필터재에는, 그 필터재를 형성하는 섬유 질량에 있어서의 19질량% 이상의 가소제(可塑劑)가 첨가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하면, 제조된 필터재에 있어서의 중공 채널의 내주면에 있어서의 섬유의 보풀 일어남을 적게 할 수 있어, 중공 채널을 통해 원활하게 내용물을 입 안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필터재는 가소제가 첨가되어 있고, 또한, 상기 필터재 중 상기 중공 채널에 면하는 내주(內周) 영역이 다른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가소제가 첨가되어 있어도 된다. 이처럼, 중공 채널에 면하는 내주 영역에 대해, 국소적으로 가소제의 첨가량을 늘림으로써, 중공 채널의 내주면에 있어서의 섬유의 보풀 일어남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캡슐의 축방향 길이가, 상기 캐비티 섹션의 축방향 길이보다도 짧아도 된다. 이에 의하면, 캐비티 섹션에 캡슐을 배치한 필터의 제조가 용이해진다. 그 경우, 상기 캡슐의 축방향 길이와 상기 캐비티 섹션의 축방향 길이의 차가 5㎜ 이하이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캡슐로부터 방출된 내용물을 원활하게 흡구 형성 부재의 중공 채널에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캡슐에 있어서의 상기 내용물의 충전량이 50㎎ 이상이어도 된다. 캡슐에 수용되는 내용물의 양을 이 정도 확보함으로써, 입 안으로 충분한 양의 내용물을 공급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은, 가능한 한 조합하여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입 안으로 공급하기 위한 내용물을 수용하는 캡슐을 구비하는 담배 물품용 필터에 있어서, 종래보다도 제조 적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도 1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시가렛의 사시도이다.
[도 2] 도 2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시가렛의 개략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도 3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캡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도 4는, 실시예 1에 따른 필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도 5는, 실시예 1에 따른 각 LOT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도 6은, 실시예 2에 따른 시가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도 7은, 실시예 2에 따른 각 LOT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도 8은, 실시예 2에 따른 LOT7, 8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도 9는, 실시형태 2에 따른 시가렛의 개략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도 10은, 실시형태 2에 따른 필터의 캐비티 섹션에 있어서의 횡단면을 나타낸다.
[도 11] 도 11은, 실시형태 2에 따른 지지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도 12는, 실시형태 2에 따른 지지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도 13은, 실시형태 3에 따른 시가렛의 개략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시가렛용의 필터의 실시형태에 관하여, 도면에 근거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 요소의 치수, 재질, 형상, 그 상대 배치 등은, 특히 특정적인 기재가 없는 한은,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그것들만으로 한정하는 취지의 것은 아니다.
<실시형태 1>
도 1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시가렛(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시가렛(1)의 개략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시가렛(1)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시가렛(1)은, 담배 권부(卷部)(2)와, 이 담배 권부(2)의 일단(一端)에 팁 페이퍼(3)를 통해 접속된 필터(4)를 가지고 있다. 담배 권부(2)는, 살담배(21)를 권지(卷紙)(22)로 감싼(卷取) 것이며, 원주(圓柱) 모양(봉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필터(4)는, 팁 페이퍼(3)에 의해 둘러 감아져 있고, 팁 페이퍼(3)를 통해 담배 권부(2)의 후단측에 접속되어 있다. 팁 페이퍼(3)는, 담배 권부(2)의 단부와 필터(4)를 일체로 감쌈으로써, 이들을 접속(연결)한다. 이하, 담배 권부(2)의 길이방향(축방향)에 있어서, 필터(4)와 접속되는 쪽의 단부를 「후단」으로 부르고, 그와는 반대측의 단부를 「전단」으로 부른다. 또한, 필터(4)의 길이방향(축방향)에 있어서, 담배 권부(2)와 접속되는 쪽의 단부를 「전단」으로 부르고, 전단과 반대측의 단부를 「후단」으로 부른다. 필터(4)의 후단은, 흡연 시에 있어서 흡연자에게 물려지는 「흡구단」을 형성한다. 또한, 시가렛(1)(담배 권부(2), 필터(4))의 길이방향(축방향)을 따른 단면(斷面)을 「종단면」으로 정의하고, 그와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을 「횡단면」으로 정의한다.
필터(4)의 내부에는, 전단측으로부터 필터 섹션(S1), 캐비티 섹션(S2), 흡구단 섹션(S3)이, 이들 순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필터 섹션(S1)에는, 예를 들면 원주 모양으로 성형한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섬유를 권취지(卷取紙)(플러그 랩)에 의해 감싼 필터재(41)가 설치되어 있다. 단, 필터재(41)는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의 섬유 다발로 한하지 않고, 여러 가지 소재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필터재(41)는, 섬유 내부에 활성탄이나 향료 등의 입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흡구단 섹션(S3)에는, 원주 모양으로 성형됨과 아울러 축방향을 따라서 센터 홀(CH)(43a)이 형성된 센터 홀 필터재(이하, 「CH필터재」로 부른다)(43)가 설치되어 있다. 센터 홀(43a)은, CH필터재(43)의 중심을 통과하는 관통로이며, 본 발명에 따른 중공 채널 및 도입부에 대응하고 있다. CH필터재(43)는,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의 섬유 다발을 권취지에 의해 감쌈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CH필터재(43)가 본 발명에 따른 흡구 형성 부재에 상당한다.
필터재(41) 및 CH필터재(43)는, 축선(軸線)방향으로 떨어져서 배치되어 있다. 캐비티 섹션(S2)은, 필터재(41) 및 CH필터재(43)에 낀 공동부(空洞部)로서 캐비티(42)가 형성되어 있다. 캐비티 섹션(S2)에 있어서의 캐비티(42)에는, 내부에 내용물이 봉입된 캡슐(5)이 설치되어 있다. 필터재(41), 캡슐(5), 및 CH필터재(43)는, 성형지(成形紙)(44)에 의해 일체로 감싸져 있다. 또한, 캐비티 섹션(S2)은, 흡구단 섹션(S3)의 전단에 연설(連設)되며, 필터재를 포함하지 않은 섹션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캡슐(5)은, 캐비티 섹션(S2)의 내경보다도 작은 외경을 가진다. 이에 의해, 캐비티 섹션(S2)에 있어서의 캡슐(5)의 외주측에 주류연의 유로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캡슐(5)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캡슐(5)은, 대략 원통 형상의 캡슐 보디(51)를 포함하며, 이 캡슐 보디(51)는 탄성 변형 가능하다. 캡슐 보디(51)는, 전벽(前壁)(53) 및 주벽(周壁)(54)으로 이루어지는 바닥이 있는 통체이며, 개구단(52)을 가진다. 전벽(53)은, 주벽(54)의 한쪽을 폐색(閉塞)하고 있다. 캡슐 보디(51)는, 예를 들면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이하, 원통 형상을 가지는 캡슐 보디(51)의 축방향을 캡슐(5)의 축방향으로 부른다.
캡슐(5)은, 캐비티 섹션(S2)에 확보되는 원통 형상의 캐비티(42) 내에 배치 가능한 크기를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필터(4)는, 캐비티 섹션(S2)(캐비티(42))에 배치되는 캡슐(5)의 축방향을 따른 길이(이하, 「축방향 길이」라고도 한다.)가, 캐비티 섹션(S2)의 축방향을 따른 길이(축방향 길이)보다도 짧게 되어 있다. 그 경우, 캐비티 섹션(S2)(캐비티(42))의 축방향 길이와 캡슐(5)의 축방향 길이의 차는 5㎜ 이하이면 바람직하다. 또한, 캡슐(5)의 외경은, 캐비티 섹션(S2)의 내경보다도 수 100㎛∼수 ㎜ 정도 작은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말하는 캐비티 섹션(S2)의 내경이란, 캐비티(42)의 외주를 덮는 성형지(44)의 내경(필터재(41) 및 CH필터재(43)의 외경)을 말한다. 캡슐(5)이 캐비티(42)에 대해서 상술한 크기를 가지고 있음으로써, 캐비티 섹션(S2)에 있어서의 캡슐(5)의 외주측에 주류연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캐비티 섹션(S2)의 내경보다도 캡슐(5)의 외경을 작게 함으로써, 캐비티(42) 내에 캡슐(5)을 수용한 필터(4)의 제조가 용이하고, 또한, 유저는 필터(4) 내의 캡슐(5)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으며, 또한, 캐비티(42) 내에서의 캡슐(5)의 위치나 방향도 안정된다.
캡슐(5)의 상세에 관하여 설명하면, 캡슐 보디(51)에 있어서의 전벽(53)의 중심부에는, 다른 부위보다도 얇은 용이파괴부(55)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용이파괴부(55)는 원형 모양을 가지며, 그 두께는 예를 들면 0.1㎜ 이상이고 0.2㎜ 미만이다. 또한, 용이파괴부(55)의 중심에는 로드 형상의 돌기(5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기(56)는 캡슐 보디(51)의 바깥으로 향해 돌출되어 있다. 돌기(56)의 직경은 예를 들면 0.5∼0.6㎜ 정도, 돌출 길이는 예를 들면 0.8㎜ 정도이다.
캡슐 보디(51)의 개구단(開口端)(52)은 씰 부재(57)에 의해 액밀(液密)하게 폐색되어 있다. 이 씰 부재(57)는 가요성(可撓性)을 가진 시트이며, 캡슐 보디(51)의 탄성 변형을 저해하는 일없이, 주벽(54)의 단면에 접착되어 있다. 씰 부재(57)는, 예를 들면 주벽(54)에 히트 씰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단, 캡슐 보디(51)의 형상이나, 캡슐 보디(51) 및 씰 부재(57)의 접착 방법 등은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상술한 캡슐 보디(51) 및 씰 부재(57)는 캡슐(5)을 형성하며, 이러한 캡슐(5)은 그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캡슐(5) 내에 수용되는 내용물로서, 증류수에 향료 등의 첨가제를 용해한 수용액(이하, 「향료액」이라고 한다)을 채용하고 있지만, 이에 한하지 않는다. 캡슐(5)에 수용하는 내용물은, 예를 들면 물, 식용유, 식용 조미료, 식용 향료, 구강 청량제 등의 단독물 또는 혼합물이어도 된다. 내용물의 상태는 액체, 기체, 고체여도 된다. 고체를 내용물로 할 때는, 분체로 가공한 후, 액체에 현탁(懸濁), 분산시킬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캡슐(5)은, 용이파괴부(55)를 흡구단 섹션(S3)에 배치된 CH필터재(43)의 전단면(前端面)에 면하도록 규정된 자세로 캐비티(42) 내에 배치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캡슐(5)은, CH필터재(43)의 센터 홀(43a)에 용이파괴부(55)를 대향시켜 캐비티(42)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시가렛(1)에 의하면, 예를 들면 흡연 후에 있어서, 유저(흡연자)는 팁 페이퍼(3)를 통해 필터(4)의 캐비티 섹션(S2)을 손가락으로 집고, 이 캐비티 섹션(S2)에 배치된 캡슐(5)에 외력을, 캡슐(5)의 직경방향으로부터 가할 수 있다. 이러한 외력은 캡슐 보디(51)의 탄성 변형을 수반하여, 캡슐(5)을 으깬다. 그 결과, 캡슐(5)의 내압이 상승한다.
여기서, 캡슐(5)의 내압 상승은, 전벽(53)을 외측으로 향해 팽출(膨出)시키는 한편, 주벽(54)을 외주측으로 향하여 확장시키도록 탄성 변형시킨다. 이러한 탄성 변형은, 돌기(56)에 대해 용이파괴부(55)를 지름방향 외측으로 향하여 인장한다. 그 때문에, 용이파괴부(55)에 있어서의 돌기(56)의 근원(根元)에 인접한 특정 부위가 특히 늘어나고, 이 특정 부위의 두께는 크게 감소하는 결과, 용이파괴부(55)가 맨 처음에 파단된다. 이 경우, 돌기(56)는 용이파괴부(55)가 파단될 때의 트리거가 되어, 박육(薄肉) 영역으로서의 용이파괴부(55)의 파단을 용이하게 하는 한편, 용이파괴부(55)의 파단 위치를 결정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캡슐(5)이 으깨진 때, 우선 처음에 용이파괴부(55)의 중심에 위치하는 돌기(56)로부터 캡슐(5)에 수용되는 향료액이 전벽(53)의 전방을 향해 분출한다.
캡슐(5)에 있어서의 용이파괴부(55)가 일단 파단되면, 캡슐(5)의 내압은 급격히 저하하기 때문에, 유저는, 손가락을 통해 캡슐(5)의 파괴, 즉, 향료액의 방출을 감지할 수 있다. 용이파괴부(55)의 파단 후, 유저가 캡슐(5)의 으깸을 계속해서 유지하면, 캡슐 보디(51) 내의 향료액은 용이파괴부(55)로부터 CH필터재(43)의 센터 홀(43a)을 향해 비산(飛散)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필터(4)는, 캡슐(5)에 있어서의 용이파괴부(55)의 중심 위치와, CH필터재(43)에 있어서의 센터 홀(43a)의 중심 위치와의 차이가 1㎜ 이하가 되도록 조정되어 있다. 캡슐(5)의 용이파괴부(55)로부터 비산함으로써 방출된 향료액은, CH필터재(43)의 전단측으로부터 센터 홀(43a)에 유입한다. 그리고, 센터 홀(43a)에 유입한 향료액은, 센터 홀(43a)을 통해 흡구단으로부터 유저의 입 안으로 도입된다. 흡연 중 또는 흡연 후에 유저는 향료액을 입에 머금음으로써, 입 안의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CH필터재(43)에 있어서의 횡단면 중, 중공의 센터 홀(43a)을 제외한 영역은 필터 섬유가 점유하고 있어, 캡슐(5)로부터 방출된 향료액의 유통을 규제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필터(4)에 의하면, 캡슐(5)을 배치하는 캐비티 섹션(S2)에 필터재(여재)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이에 의하면, 필터(4)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캡슐(5)을 필터재에 매립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필터(4)의 제조 적성이 매우 뛰어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시가렛(1)에 있어서, 필터(4)의 캡슐(5)로부터 내부의 향료액을 방출하는 타이밍은 임의이다. 유저는, 흡연 중, 흡연 후, 혹은 흡연 전에 있어서의 적절한 타이밍에서 상기와 같이 캡슐(5)에 대해 압압력을 가해, 캡슐(5)을 으깸으로써 향료액을 용이파괴부(55)로부터 센터 홀(43a)을 향해 분출시키고, 센터 홀(43a)을 통해 입 안에 향료액을 머금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필터(4)에 있어서, 캐비티 섹션(S2)(캐비티(42))에 배치된 캡슐(5)을 으깬 때에, 용이파괴부(55)로부터 비산한 향료액을 충분히 구강 안으로 도입하기 위해서 유리해지는 각종 파라미터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형태의 캡슐(5)은, 50㎎ 이상의 향료액을 수용하고 있다. 캡슐(5)에 수용되는 향료액의 충전량을 이 정도 확보함으로써, 캡슐(5)의 용이파괴부(55)로부터 방출된 향료액을 충분히 구강 안으로 공급하기 쉬워진다.
또한, CH필터재(43)의 센터 홀(43a)(중공 채널)의 직경은,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센터 홀(43a)의 직경이 너무 작으면, 캡슐(5)의 용이파괴부(55)로부터 방출된 향료액이 센터 홀(43a)을 유통하기 어려워져 버릴 염려가 있어, 그 직경을 1㎜ 이상 확보함으로써 원활하게 센터 홀(43a)을 향료액이 흐르기 쉬워진다.
또한, CH필터재(43)의 센터 홀(43a)(중공 채널)의 길이가 너무 길면, 센터 홀(43a)의 전단으로부터 유입한 향료액이 흡구단까지 도달할 때까지의 소요 시간이 과도하게 길어지고, 센터 홀(43a)의 공간 용적이 커지게 됨으로써 향료액이 센터 홀(43a)에 머물러, 입 안으로 도입되는 향료액의 양이 부족하기 쉬워질 염려가 있다. 그래서, CH필터재(43)의 센터 홀(43a)(중공 채널)의 길이는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센터 홀(43a)(중공 채널)의 길이를 규정함으로써, 센터 홀(43a)을 통해 향료액을 입 안에 충분히 공급하기 쉬워지고, 또한, 캡슐(5)이 으깨지고 나서 입 안에 향료액이 공급될 때까지의 소요 시간도 비교적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캡슐(5)에 있어서의 용이파괴부(55)의 중심 위치(돌기(36)가 형성되어 있는 위치)와 CH필터재(43)의 센터 홀(43a)(중공 채널)의 중심 위치의 차이가 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용이파괴부(55)의 중심 위치란, 필터(4)의 횡단면 내에 있어서의 용이파괴부(55)의 중심 위치를 의미한다. 동일하게, 센터 홀(43a)(중공 채널)의 중심 위치란, 필터(4)의 횡단면 내에 있어서의 센터 홀(43a)의 중심 위치를 의미한다. 이처럼, 필터(4)의 횡단면 내에 있어서, 캡슐(5)에 있어서의 용이파괴부(55)의 중심 위치와 CH필터재(43)에 있어서의 센터 홀(43a)의 중심 위치의 차이량(이하, 「중심 차이량」이라 한다)을 적게 함으로써, 파단된 용이파괴부(55)로부터 비산한 더 많은 향료액을 센터 홀(43a)로도 유입시킬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캡슐(5)의 축 중심과 용이파괴부(55)의 중심이 동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캡슐(5)(캡슐 보디(51))의 직경이 캐비티 섹션(S2)(캐비티(42))의 내경과 같은 경우에는, 용이파괴부(55)의 중심 위치와 센터 홀(43a)의 중심 위치가 필터(4)의 횡단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이에 대해, 캐비티 섹션(S2)(캐비티(42))의 내경에 대한 캡슐(5)의 직경 비율(이하, 「캡슐 직경 비율」이라고도 한다.)이 작을 경우에는, 용이파괴부(55)의 중심 위치가 센터 홀(43a)의 중심 위치로부터 어긋나 버려, 캡슐 직경 비율이 작아질수록 상기 중심 차이량이 증대한다. 그래서, 캡슐(5)에 있어서의 용이파괴부(55)와 CH필터재(43)에 있어서의 센터 홀(43a)과의 중심 차이량이 커지게 되는 것을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캡슐 직경 비율을 크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캡슐(5)의 직경을, 캐비티 섹션(S2)(캐비티(42))의 내경의 5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캡슐(5)의 직경을 이렇게 설정함으로써, CH필터재(43)에 있어서의 센터 홀(43a)과 캡슐(5)의 전벽(53)을 필터(4)의 횡단면 내에 있어서 서로 겹쳐 맞출(重合) 수 있어, 유저가 캡슐(5)을 으깬 때에 캡슐(5)로부터 방출되는 향료액을 CH필터재(43)에 있어서의 센터 홀(43a)에 유입시키기 쉬워진다.
또한, 예를 들면 필터(4)의 직경을 7.8㎜로 하고, 또한, CH필터재(43)의 센터 홀(43a)의 직경을 1㎜로 한 경우, 캡슐(5)의 직경을 5.8㎜ 정도 확보함으로써, 캡슐(5)에 있어서의 용이파괴부(55)와 CH필터재(43)에 있어서의 센터 홀(43a)과의 중심 차이량을 1㎜ 이하로 할 수 있다. 그래서, 캡슐(5)의 직경을, 캐비티 섹션(S2)(캐비티(42))의 내경의 75% 이상으로 하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예를 들면 필터(4)의 직경을 7.8㎜로 하고, 또한, CH필터재(43)의 센터 홀(43a)의 직경을 1㎜로 한 경우, 캡슐(5)의 직경을 6.8㎜ 정도 확보함으로써, CH필터재(43)의 센터 홀(43a)에 대해 캡슐(5)에 있어서의 용이파괴부(55)의 중심 위치를 필터(4)의 횡단면 내에 있어서 중합할 수 있다. 그래서, 캡슐(5)의 직경을, 캐비티 섹션(S2)(캐비티(42))의 내경의 85% 이상으로 하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에서는, 센터 홀(43a)의 직경을 1㎜로 한 경우를 기준으로 하여, 캡슐 직경 비율에 관한 적합한 하한값을 50%, 75%, 85%로 단계적으로 나타내고 있지만, 캡슐 직경 비율이 동일한 조건 하에 있어서는, 센터 홀(43a)의 직경이 커질수록, 캡슐(5)의 용이파괴부(55)와 센터 홀(43a)이 필터(4)의 횡단면 내에 있어서 중합하는 랩 영역이 늘어나게 되어, 캡슐(5)의 용이파괴부(55)로부터 비산한 향료액이 센터 홀(43a)에 한층 더 유입하기 쉬워진다.
또한, 캡슐 직경 비율의 상한값에 관해서 설명하면, 캡슐 직경 비율이 100%인 경우에, 캡슐(5)에 있어서의 캡슐 보디(51)의 외경이 캐비티 섹션(S2)의 내경(상세하게는, 캐비티(42) 공간을 획정하는 성형지(44)의 내경)과 같아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캡슐(5)의 외경을, 캐비티 섹션(S2)의 내경보다도 작은 치수로 설정함으로써(즉, 캐비티 섹션(S2)(캐비티(42))의 내경에 대한 캡슐(5)의 직경 비율(캡슐 직경 비율)을 100% 미만으로 설정함으로써), 캐비티 섹션(S2)에 배치된 캡슐(5)의 외주측, 더 상세하게는 캡슐 보디(51)의 주벽(54)과 성형지(44)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주류연의 유로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캐비티 섹션(S2)(캐비티(42))의 내경에 대한 캡슐(5)의 직경 비율(캡슐 직경 비율)은, 9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캡슐 직경 비율의 상한값을 규정함으로써, 캐비티 섹션(S2)에 배치된 캡슐(5)의 외주부를 통과하는 주류연의 통기(通氣) 저항이 과도하게 커지는 것을 억제하여, 흡연 시에 있어서 주류연을 원활하게 유통시킬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CH필터재(43)를 제조하는 공정에 있어서,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섬유의 토우에 트리아세틴 등과 같은 액상의 가소제를 롤 전사 방식이나 스프레이 방식 등에 의해 첨가하는 것이 행해진다. 가소제는,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섬유의 토우를 모아서 원주 형상으로 성형하는 것에 기여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CH필터재(43)를 형성하는 섬유 질량에 있어서의 19질량% 이상의 가소제를 섬유에 첨가하는 것으로 했다. CH필터재(43)의 제조 시에 있어서의 가소제의 첨가량을 이와 같이 규정함으로써, 제조된 CH필터재(43)에 있어서의 센터 홀(43a)의 내주면에 있어서의 섬유의 보풀 일어남을 적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CH필터재(43) 중, 센터 홀(43a)(중공 채널)에 대면하는 내주 영역이 다른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가소제가 첨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센터 홀(43a)의 내주면에 있어서의 섬유의 보풀 일어남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캡슐(5)의 축방향 길이가, 캐비티 섹션(S2)의 축방향 길이보다도 짧게 되어 있기 때문에, 캐비티(42) 내에 캡슐(5)을 수용한 필터(4)의 제조가 용이해진다. 또한, 캐비티 섹션(S2)(캐비티(42))의 축방향 길이와 캡슐(5)의 축방향 길이의 차를 5㎜ 이하로 하고 있기 때문에, 캡슐(5)로부터 방출된 향료액을 원활하게 CH필터재(43)의 센터 홀(43a)(중공 채널)에 유입시킬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의 기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4는, 실시예 1에 따른 필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 1에 따른 각 LOT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필터는, 전단측에서부터, 통상의 모노아세테이트 필터(AF)를 사용하여 제작한 필터재, 길이가 10㎜인 캐비티부(部), 센터 홀 필터(CH필터)를 배치하고, 투명 권취지(후타무라 화학사 제)로 이들을 권취함으로써, 전체 길이(全長) 30㎜의 트리플 캐비티 필터로서 제작했다. 캐비티부에는, 물을 내부에 수용하는 물 캡슐을 배치했다. 실시예에 사용한 센터 홀 필터는, 길이 5㎜ 또는 15㎜의 2수준으로 하고, 모노아세테이트 필터(AF)는, 트리플 캐비티 필터의 전체 길이가 30㎜가 되도록, 15㎜ 또는 5㎜로 조정했다.
시험 방법은, 제작한 트리플 캐비티 필터의 캐비티부가 붕괴되도록 레오미터(산 과학사 제, 품번: CR-3000EX)에 세팅하고, 흡구단측에 트레이를 배치한다. 그리고, 레오미터를 클리어런스 1.0㎜, 이동 속도 20㎜/min.의 시험 조건으로 캐비티부에 배치된 물 캡슐을 으깨고, 그때에 비산한 물을 트레이로 받아내어, 물 캡슐을 으깨기 전후에 있어서의 트레이의 중량 차로부터, 비산한 액량을 산출했다. 도 5에 나타내는 LOT마다에 있어서의 샘플 수 n은 3개로 하고, 그 평균값을 이하, 「비산 내용액량」으로 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LOT의 파라미터는, 센터 홀 필터에 있어서의 센터 홀의 길이(이하, 「CH 길이」라고 한다), 모노아세테이트 필터(AF)의 길이(이하, 「AF 길이」라고 한다), 센터 홀의 직경(이하, 「CH 지름」이라고 한다)으로 했다. 또한, 캐비티부의 길이(이하, 「캐비티 길이」라고 한다), 물 캡슐의 길이(이하, 「캡슐 길이」라고 한다)는 전체 LOT 공통으로 각각 10㎜, 8㎜로 설정했다. 또한, 물 캡슐에 있어서의 물의 충전량은, 전체 LOT 공통으로 130㎎으로 했다. 도 5에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CH 지름을 1㎜ 이상 확보함으로써 비산 내용액량은 충분히 확보되는 것이 판명되었다. 즉, 물 캡슐로부터 방출된 물이, 센터 홀 필터의 센터 홀을 통해 충분히 흡구단에 공급되는 것이 판명되었다. 또한, 전체적으로, 센터 홀 필터의 CH 지름이 클수록, CH 길이가 짧을수록, 비산 내용액량이 늘어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도 6은, 실시예 2에 따른 시가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예 2에 따른 각 LOT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예 2에 따른 시가렛은, 시판된 시가렛으로부터 필터를 제거하고, 도 4에 나타내는 필터로 치환함으로써 제작했다. 실시예 2의 LOT7∼9에 있어서, AF 길이를 8㎜, 캡슐 길이를 14㎜, 캐비티 길이를 15㎜, 센터 홀 필터의 CH 지름을 2㎜, 물 캡슐의 충전량을 310㎎로 했다. 또한, 센터 홀 필터의 필터 섬유에 첨가하는 가소제의 목표 첨가율을 파라미터로 하여 각 LOT에서 다르게 했다.
가소제의 첨가율은, 센터 홀 필터의 필터 섬유 질량에 대한 가소제의 질량 비율이다. LOT7, 8은, 가소제의 목표 첨가율을 19%로 설정하고, LOT9는, 가소제의 목표 첨가율을 10%로 설정했다. 또한, LOT8은, 센터 홀 필터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필터 섬유에 대해 필터 섬유 질량의 19중량%에 상당하는 가소제를 똑같이 첨가한 것에 대해, LOT7은, 필터 섬유의 17질량%에 상당하는 질량의 가소제를 필터 섬유에 대해 똑같이 첨가하고, 또한, 필터 섬유의 2질량%에 상당하는 질량의 가소제를 센터 홀 내주면에 대응하는 영역에 대해 국소적으로 첨가했다(똑같이 첨가 17%+국소 첨가 2%).
또한, 도 8에, LOT7 및 LOT8에 관하여, 실측(實測) 가소제 첨가율, 센터 홀의 실측 단면적(이하, 「CH 단면적」이라고 한다)을 나타낸다. 실측 가소제 첨가율은, 가스 크로마토그래피(SHIMAZU사 제, 품번: GC-2010 Plus)를 사용하여, 센터 홀 필터 중의 가소제 질량을 산출하고, 센터 홀 필터의 필터 섬유 질량으로 나눔으로써 산출했다.
시험 방법은, 제작한 트리플 캐비티 필터의 캐비티부에 배치된 물 캡슐을 손으로 으깨고, 그때에 비산한 물을 트레이로 받아내어, 물 캡슐을 으깨기 전후에 있어서의 트레이의 중량 차로부터 비산한 액량을 산출했다. 또한, 실시예 2와 동일하게, LOT마다에 있어서의 샘플 수 n은 3개로 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소제의 목표 첨가율을 10질량%로 설정한 LOT9에 비해, 가소제의 목표 첨가율을 19질량%로 설정한 LOT7, 8 쪽이, 비산 내용액량이 많았다. 필터 섬유에 대한 가소제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센터 홀 내주면의 보풀 일어남이 적어지고, 비산 내용액량이 많아졌다고 생각된다. 도 8로부터 판단되는 바와 같이, LOT7 및 LOT8에 관하여, 실측 가소제 첨가율은 같은 것에 관계없이, 센터 홀 내주면에 가소제를 국소 첨가한 LOT7 쪽이, LOT8에 비해 CH 단면적이 큰 결과가 되었다. 이는, LOT8에 비해 LOT7 쪽이, 센터 홀 내주면에 있어서의 섬유의 보풀 일어남이 저감된 것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LOT8에 비해 LOT7 쪽이 CH 단면적도 커진 결과, LOT7의 비산 내용액량이 더 많이 확보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지털 마이크로스코프(Keyence사 제, 품번: VHX-2000)를 이용하여, 20배, 50배로 센터 홀 단면적을 확인한바, LOT8에 비해 LOT7 쪽이 센터 홀 내주면의 보풀 일어남이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형태 2>
다음으로, 실시형태 2에 따른 필터(4A)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실시형태 2에 따른 시가렛(1A)의 개략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시가렛(1A)이 구비하는 필터(4A)는, 캐비티 섹션(S2)의 캐비티(42)에 배치되는 캡슐(5)이 지지체(6)(도시된 예는, 제1 지지체(6a) 및 제2 지지체(6b))에 지지되어 있는 점에서, 실시형태 1에 따른 필터(4)와 상이하다. 지지체(6)(제1 지지체(6a), 제2 지지체(6b))는, 예를 들면 캐비티(42)의 외주를 덮는 성형지(44)의 내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절결부를 가진 링 부재이다.
도 10에, 실시형태 2에 따른 필터(4A)의 캐비티 섹션(S2)에 있어서의 횡단면을 나타낸다. 도 10은, 캐비티 섹션(S2) 중, 지지체(6)를 통과하는 위치의 횡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지지체(6)는, 절결부 모양의 중공 유로(61)를 가지는 C 형상의 링 부재이다. 지지체(6)는, 캡슐(5)에 있어서의 캡슐 보디(51)의 외경과 같은 내경을 가지며,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슐(5)의 주벽(54)에 끼워져(外嵌) 있다. 또한, 지지체(6)는, 성형지(44)의 내경과 같은 외경을 가지고 있으며, 캡슐(5)을 지지한 상태에서, 성형지(44)의 내주면을 따라 위치 결정되어 있다.
지지체(6)의 중공 유로(61)는, 흡연 시에 있어서, 필터 섹션(S1)에 배치된 필터재(41)를 통과해서 캐비티 섹션(S2)의 캐비티(42)로 유입한 주류연을 유통시키기 위한 중공부이다. 지지체(6)의 중공 유로(61)에 의해, 캐비티(42) 내에 있어서의 지지체(6)의 전방 영역과 후방 영역이 연통하기 때문에, 중공 유로(61)를 통해 주류연이 캐비티(42) 내를 하류측을 향해 원활하게 유통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캐비티(42)에 배치되는 캡슐(5)이 지지체(6)(도시된 예는, 제1 지지체(6a) 및 제2 지지체(6b))에 지지됨으로써, 캡슐(5)의 중심축이 필터(4)의 중심축과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캡슐(5)의 용이파괴부(55)를, CH필터재(43)의 센터 홀(43a)(중공 채널)에 대하여 대향 배치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캡슐(5)에 있어서의 용이파괴부(55)의 중심 위치를, CH필터재(43)에 있어서의 센터 홀(43a)의 중심 위치에 일치시킬 수 있어, 캡슐(5)의 용이파괴부(55)로부터 비산한 향료액을 원활하게 센터 홀(43a) 안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캐비티 섹션(S2)(캐비티(42))에 있어서 캡슐(5)을 지지하는 지지체(6)의 형상, 상세 구조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1, 도 12에 나타내는 변형예와 같이, 지지체(6)의 디테일에 관해서는 여러 가지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있어서, 필터(4)의 성형지(44), 팁 페이퍼(3)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지지체(6)는, O 형상의 외주 링(60)과, 외주 링(60)의 내주측으로 돌출하여 캡슐(5)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 돌기(62)를 가지며, 지지 돌기(62)끼리의 사이에 중공 유로(6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지지체(6)는, O 형상의 외주 링(60)에, 복수의 중공 유로(61)가 관통구멍으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 링(60)의 내주면에 의해 캡슐(5)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술까지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CH필터재(43)의 센터 홀(43a)을 원형 단면의 중공 채널로서 구성하고 있지만, 중공 채널의 형상은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CH필터재(43)에 있어서의 센터 홀(43a)은, CH필터재(43)의 횡단면에 있어서의 중심으로부터 편심(偏心)하여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술까지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캐비티 섹션(S2)의 전단에 필터재(41)를 가지는 필터 섹션(S1)을 설치하고 있지만, 필터 섹션(S1)은 반드시 설치할 필요는 없다.
<실시형태 3>
도 13은, 실시형태 3에 따른 시가렛(1B)의 개략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시가렛(1B)이 구비하는 필터(4B)는, 흡구단 섹션(S3)의 구조가 상술까지의 필터(4, 4A) 등과 상이하다. 필터(4B)는, 소위 리세스 필터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흡구단 섹션(S3)에는 CH필터재(43)가 설치되는 대신에 공동(空洞) 모양의 도입부(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필터(4B)에 있어서의 캐비티 섹션(S2) 및 흡구단 섹션(S3)과의 경계부에는, 캡슐(5)이 흡구단 섹션(S3) 내에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이동 억제 부재(8)가 설치되어 있다. 이동 억제 부재(8)는, 캡슐(5)의 빠져나감을 억제하는 규제부(81)와, 캡슐(5)이 유저에게 으깨진 때에 캡슐(5)의 용이파괴부(55)로부터 분출한 향료액의 흡구단 섹션(S3) 내에의 유통을 허용하는 격자 모양 또는 메쉬 모양의 유통 허가부(82)를 포함하는 부재이다. 캡슐(5)은, 이동 억제 부재(8)의 규제부(81)와 필터재(41) 사이에 끼여 있어, 그 결과, 흡구단 섹션(S3) 내에의 캡슐(5)의 이동이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필터(4B)에 의하면, 유저가 캡슐(5)을 으깸으로써 용이파괴부(55)로부터 방출된 향료액이 이동 억제 부재(8)의 유통 허가부(82)를 통과해서, 흡구단 섹션(S3)의 도입부(7)를 통해 흡구단(입 안)으로 안내된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 따른 담배용 필터는, 여러 가지 변경, 개량, 조합 등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1…시가렛
2…담배 권부
3…팁 페이퍼
4…필터
5…캡슐
6…지지체
7…도입부
8…이동 억제 부재

Claims (15)

  1. 흡구단에 형성되는 흡구단 섹션과,
    상기 흡구단 섹션의 전단에 연설됨과 아울러 필터재를 포함하지 않는 캐비티 섹션으로서, 액체의 내용물이 수용된 캡슐이 배치된 캐비티 섹션,
    을 구비하고,
    상기 캡슐은, 그 캡슐이 압압된 때에 내부에 수용된 액체의 내용물을 방출하는 용이파괴부를 가지며,
    상기 캐비티 섹션에는, 상기 용이파괴부가 상기 흡구단 섹션에 면하도록 규정된 자세로 상기 캡슐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흡구단 섹션에는, 축방향으로 연신함과 아울러 상기 용이파괴부로부터 방출된 액체의 내용물을 유통시키는 중공 채널을 가지며, 그 중공 채널 이외의 영역에서 액체의 내용물의 유통을 규제하는 흡구 형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중공 채널이 상기 용이파괴부로부터 방출된 액체의 내용물을 상기 흡구단으로 안내하는,
    담배 물품용 필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슐은, 상기 캐비티 섹션의 내경보다도 작은 외경을 가지는,
    담배 물품용 필터.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섹션에 있어서, 상기 용이파괴부가 상기 중공 채널과 대향 배치되도록 상기 캡슐이 지지체에 지지되어 있는,
    담배 물품용 필터.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캡슐에 있어서의 상기 용이파괴부의 중심 위치와 상기 중공 채널의 중심 위치의 차이가 1㎜ 이하인,
    담배 물품용 필터.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흡구 형성 부재는, 상기 중공 채널의 직경이 1㎜ 이상인,
    담배 물품용 필터.
  6.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캡슐의 직경은, 상기 캐비티 섹션의 내경의 50% 이상인,
    담배 물품용 필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캡슐의 직경은, 상기 캐비티 섹션의 내경의 85% 이상인,
    담배 물품용 필터.
  8.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흡구 형성 부재는, 상기 중공 채널의 길이가 10㎜ 이하인,
    담배 물품용 필터.
  9.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흡구 형성 부재는, 축방향으로 상기 중공 채널이 관통 형성되는 필터재로 구성되어 있는,
    담배 물품용 필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필터재에는, 그 필터재를 형성하는 섬유 질량에 있어서의 19질량% 이상의 가소제가 첨가되어 있는,
    담배 물품용 필터.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필터재는 가소제가 첨가되어 있고, 또한, 상기 필터재 중 상기 중공 채널에 면하는 내주 영역이 다른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가소제가 첨가되어 있는,
    담배 물품용 필터.
  12.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캡슐의 축방향 길이가, 상기 캐비티 섹션의 축방향 길이보다도 짧은,
    담배 물품용 필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캡슐의 축방향 길이와 상기 캐비티 섹션의 축방향 길이의 차가 5㎜ 이하인,
    담배 물품용 필터.
  1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캡슐에 있어서의 상기 내용물의 충전량이 50㎎ 이상인,
    담배 물품용 필터.
  15. 삭제
KR1020187012498A 2015-10-21 2015-10-21 담배 물품용 필터 KR1021244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79698 WO2017068664A1 (ja) 2015-10-21 2015-10-21 たばこ物品用フィル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457A KR20180064457A (ko) 2018-06-14
KR102124446B1 true KR102124446B1 (ko) 2020-06-18

Family

ID=58557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2498A KR102124446B1 (ko) 2015-10-21 2015-10-21 담배 물품용 필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6627156B2 (ko)
KR (1) KR102124446B1 (ko)
MY (1) MY185472A (ko)
RU (1) RU2687639C1 (ko)
UA (1) UA123438C2 (ko)
WO (1) WO20170686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2764A (en) * 2017-05-24 2018-11-28 Robert Hopps Jason Tobacco-containing consumable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s
CN215649210U (zh) * 2021-05-24 2022-01-28 深圳市舜宝科技有限公司 气溶胶生成制品
KR20230099734A (ko) 2021-12-27 2023-07-0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구강청결제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0516A1 (ja) * 2012-11-26 2014-05-30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フィルタシガレット製造方法並びにフィルタ及びフィルタシガレット
JP2014513539A (ja) * 2011-05-13 2014-06-05 ブリティッシュ アメリカン タバコ (インヴェストメンツ) リミテッド 喫煙品用フィルター
JP6002164B2 (ja) * 2014-02-24 2016-10-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7032A (en) * 1985-10-25 1987-04-14 Dorr Robert T Aspiration device for a smoking article
US4991605A (en) * 1989-04-24 1991-02-12 Philip Morris Incorporated Container for additive materials for smoking articles
JPH062164B1 (ja) * 1990-07-18 1994-01-12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喫煙用物品
US9516895B2 (en) * 2011-05-13 2016-12-13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imited Additive release component
WO2013098957A1 (ja) * 2011-12-27 2013-07-04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シガレット用フィルターアセンブリおよびシガレット
JP6266886B2 (ja) 2012-02-09 2018-01-24 東京応化工業株式会社 レジストパターン形成方法
JP2014068295A (ja) 2012-09-27 2014-04-17 Kddi Corp 無線環境に適したマルチキャストデータを配信する配信サー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13539A (ja) * 2011-05-13 2014-06-05 ブリティッシュ アメリカン タバコ (インヴェストメンツ) リミテッド 喫煙品用フィルター
WO2014080516A1 (ja) * 2012-11-26 2014-05-30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フィルタシガレット製造方法並びにフィルタ及びフィルタシガレット
JP6002164B2 (ja) * 2014-02-24 2016-10-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687639C1 (ru) 2019-05-15
WO2017068664A1 (ja) 2017-04-27
JP6627156B2 (ja) 2020-01-08
UA123438C2 (uk) 2021-04-07
MY185472A (en) 2021-05-19
KR20180064457A (ko) 2018-06-14
JPWO2017068664A1 (ja) 2018-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8145B2 (en) Smoking article having filter with hollow tube segment
KR102468694B1 (ko) 흡연 물품
KR102246445B1 (ko) 액체 전달 부재 및 래퍼를 포함하는 흡연 물품
CN110392533B (zh) 被配置成收纳插入单元的吸烟制品衔嘴
KR102124446B1 (ko) 담배 물품용 필터
CN105813484B (zh) 具有双重添加剂递送系统的吸烟制品
EA013725B1 (ru) Выделяющее жидкость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урительного изделия
JP7374083B2 (ja) 喫煙品またはエアロゾル発生製品用のフィルター
KR102418433B1 (ko) 인서트 유닛을 수용하기 위한 흡연 물품 마우스피스
RU2661841C2 (ru) Фильтр курительного изделия для легкого тушения
JP7235757B2 (ja) 喫煙品用フィルターまたはエアロゾル発生製品
US20200054067A1 (en) Filter e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JP6236408B2 (ja) シガレット
WO2013178515A1 (en) Filter for a smoking article
TWI599321B (zh) 香煙物品用過濾器
KR20160112773A (ko) 담배 필터 기능 부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