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3764B1 - 용역과제 사후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용역과제 사후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3764B1
KR102123764B1 KR1020190118795A KR20190118795A KR102123764B1 KR 102123764 B1 KR102123764 B1 KR 102123764B1 KR 1020190118795 A KR1020190118795 A KR 1020190118795A KR 20190118795 A KR20190118795 A KR 20190118795A KR 102123764 B1 KR102123764 B1 KR 102123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report
information
terminal
extra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8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민경
Original Assignee
송민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민경 filed Critical 송민경
Priority to KR1020190118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37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3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3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6Sequencing of tasks or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역과제 사후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용역과제 사후 관리 서버(300)가 용역 관리자 단말(100)의 네트워크(200)를 통한 액세스(access)를 허여한 뒤, 용역 관리자 단말(100)에 의한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연구용역 정보 중 하나에 대한 선택정보를 수신하면 선택정보에 해당하는 연구용역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에서 추출하는 제 1 단계; 용역과제 사후 관리 서버(300)가 추출된 연구용역 정보에 대해서 웹 페이지 상에 게시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용역 참여자 단말 그룹(400g)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역 참여자 단말(400)로부터 용역 참여 신청을 수신하거나,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용역 참여자 단말 그룹(400g)에서 추출된 연구용역 정보의 조사관리분야와 매칭되는 용역 참여자 단말(400)을 추출한 뒤 추출된 용역 참여자 단말(400)에 대해서 용역 참여 의뢰 이후 용역 참여자 단말(400)로부터 용역 참여 신청을 수신하는 제 2 단계; 및 용역과제 사후 관리 서버(300)가 용역 참여를 신청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역 참여자 단말(400)에 대해서 용역 관리자 단말(100)에서 제공한 용역 세부 계획서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한 뒤, 최종적으로 용역 참여를 신청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역 참여자 단말(400)로부터 용역 참여 결정을 수신하여, 용역 참여 결정을 제공한 용역 참여자 단말(400)의 단말식별번호를 데이터베이스(330)에 용역 계약 단말로 최종적으로 저장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환경영향평가, 화학물질 관련 연구 등과 같이 효과가 입증되어야 하는 신규 사업 조사를 위한 용역과제를 중개하되, 용역과제 참여자의 용역과제 보고서에 대한 사후품질을 관리함으로써, 각 용역과제 참여자의 자체 수행역량을 향상시켜 자립형 전문컨설턴트 그룹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용역과제 사후 관리 방법{POST SERVICE MANAGEMENT METHOD}
본 발명은 용역과제 사후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환경영향평가, 화학물질 관련 연구 등과 같이 효과가 입증되어야 하는 신규 사업 조사를 위한 용역과제를 중개하되, 용역과제 참여자의 용역과제 보고서에 대한 사후품질을 관리함으로써, 각 용역과제 참여자의 자체 수행역량을 향상시켜 자립형 전문컨설턴트 그룹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용역과제 사후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국가 기관 주도의 환경영향평가, 화학물질 관련 연구 등의 용역과제는 수행가능사업 서치 과정, 입찰 및 제안서 작성/제출, 선정평가 및 계약, 연구수행, 연구종료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수행가능사업 서치 과정은 각종 사이트 등 검색, 즉 공공구매종합정보망, 환경부,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중소기업청, 국립환경과학원 등 수시로 모니터링하는 과정이 수행될 있다.
입찰 및 제안서 작성/제출 중 입찰은 "입찰참가등록 → 입찰참가 → 입찰금액 투찰"로 이루어지며, 보다 구체적으로, 나라장터(g2b) 등에서 용역 참가자가 바이오토큰 로그인, 입찰보증금 납부(서울보증보험 등), 기초금액 발표되면 예비가격 고려하여 투찰 금액 결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입찰 및 제안서 작성/제출 중 제안서 작성/제출은 "초안작성 → 회의 → 수정/보완 → 완료"로 이루어지며, 제안서 및 관련서류에 법인등기부등본, 소상공인 확인서 등을 참가하여 제출할 수 있다.
선정평가 및 계약 중 선정평가는 발표자료 작성 및 제안내용 발표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계약은 나라장터(g2b) 등에서 계약하고 선급금 신청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나라장터를 통한 계약절차시 "계약서 초안검토 → 계약서 송신 → 계약보증금 납부 → 선급금 신청 → 세금계산서 출력"로 수행될 수 있다.
연구수행은 착수, 중간, 최종보고회, 연구비 집행(2주마다 중간정산 실시), 연구비 잔여액 발생시 비목간 전용신청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연구종료는 최종/정산보고서 완료, 그리고 나라장터 통한 잔금 신청 과정에 따른 세금계산서 출력의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외부 용역과제에 대해서는 명확한 성과에 대한 판단 기준이 불분명하고, 관리자 또는 관리자 그룹의 주관적 시각에 따라 평가가 달라지므로, 평가에 대한 객관성을 담보하기 어려운 한계점이 있어 왔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1-0079349(2011.08.10)호 "서비스시점평가를 이용한 서비스품질평가 시스템(Using Assessment to the point of service, quality of service evaluation system)"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환경영향평가, 화학물질 관련 연구 등과 같이 효과가 입증되어야 하는 신규 사업 조사를 위한 용역과제를 중개하되, 용역과제 참여자의 용역과제 보고서에 대한 사후품질을 관리함으로써, 각 용역과제 참여자의 자체 수행역량을 향상시켜 자립형 전문컨설턴트 그룹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용역과제 사후 관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략적 사고기반의 용역과제 연구수행을 통해 환경인허가, 화학물질·환경보건, 환경인검증, 기후변화적응/온실가스감축 컨설팅, 환경법률, 환경기술산업기획, 환경정책컨설팅 등과 같은 전문적 분야에 대한 기존에 비해 전문적인 보고서가 제공되도록 사후 관리를 위한 전문사업을 추진하도록 하기 위한 용역과제 사후 관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용역결과의 객관성 및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용역 총괄책임자는 발주처의 요구사항과 주요 이슈, 산출물, 목표 등을 토대로 품질관리를 이행하도록 하기 위한 용역과제 사후 관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역과제 사후 관리 방법은, 용역과제 사후 관리 서버(300)가 용역 관리자 단말(100)의 네트워크(200)를 통한 액세스(access)를 허여한 뒤, 용역 관리자 단말(100)에 의한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연구용역 정보 중 하나에 대한 선택정보를 수신하면 선택정보에 해당하는 연구용역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에서 추출하는 제 1 단계; 용역과제 사후 관리 서버(300)가 추출된 연구용역 정보에 대해서 웹 페이지 상에 게시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용역 참여자 단말 그룹(400g)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역 참여자 단말(400)로부터 용역 참여 신청을 수신하거나,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용역 참여자 단말 그룹(400g)에서 추출된 연구용역 정보의 조사관리분야와 매칭되는 용역 참여자 단말(400)을 추출한 뒤 추출된 용역 참여자 단말(400)에 대해서 용역 참여 의뢰 이후 용역 참여자 단말(400)로부터 용역 참여 신청을 수신하는 제 2 단계; 및 용역과제 사후 관리 서버(300)가 용역 참여를 신청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역 참여자 단말(400)에 대해서 용역 관리자 단말(100)에서 제공한 용역 세부 계획서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한 뒤, 최종적으로 용역 참여를 신청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역 참여자 단말(400)로부터 용역 참여 결정을 수신하여, 용역 참여 결정을 제공한 용역 참여자 단말(400)의 단말식별번호를 데이터베이스(330)에 용역 계약 단말로 최종적으로 저장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제 3 단계 이후, 용역과제 사후 관리 서버(300)가 품질 관리자 단말(500)로부터 각 연구용역 정보에 해당하는 품질관리 정보(품질 목표, 품질 관리 계획, 용역 표준에 관한 정보를 포함)을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한 뒤, 용역 계약 단말에 해당하는 용역 관리자 단말(100) 및 용역 참여자 단말(400)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는 제 4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4 단계 이후,
용역과제 사후 관리 서버(300)가 용역 계약 단말에 해당하는 용역 참여자 단말(400)에 의한 산출물인 조사보고서(착수 보고서, 진도 보고서, 중간 보고서, 최종 보고서, 세미나 및 간담회 안건 제시 보고서를 포함)를 용역 참여자 단말(4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한 뒤, 각 용역 참여자 단말(400)의 단말식별번호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하는 제 5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역과제 사후 관리 방법은, 환경영향평가, 화학물질 관련 연구 등과 같이 효과가 입증되어야 하는 신규 사업 조사를 위한 용역과제를 중개하되, 용역과제 참여자의 용역과제 보고서에 대한 사후품질을 관리함으로써, 각 용역과제 참여자의 자체 수행역량을 향상시켜 자립형 전문컨설턴트 그룹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역과제 사후 관리 방법은, 전략적 사고기반의 용역과제 연구수행을 통해 환경인허가, 화학물질·환경보건, 환경인검증, 기후변화적응/온실가스감축 컨설팅, 환경법률, 환경기술산업기획, 환경정책컨설팅 등과 같은 전문적 분야에 대한 기존에 비해 전문적인 보고서가 제공되도록 사후 관리를 위한 전문사업을 추진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역과제 사후 관리 방법은, 용역결과의 객관성 및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용역 총괄책임자는 발주처의 요구사항과 주요 이슈, 산출물, 목표 등을 토대로 품질관리를 이행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역과제 사후 관리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역과제 사후 관리 시스템(1) 중 용역과제 사후 관리 서버(3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역과제 사후 관리 시스템(1)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역과제 사후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역과제 사후 관리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용역과제 사후 관리 시스템(1)은 복수의 용역 의뢰자 단말(10)로 이루어진 용역 의뢰자 단말 그룹(10g), 용역 관리자 단말(100), 네트워크(200), 용역과제 사후 관리 서버(300), 복수의 용역 참여자 단말(400)로 이루어진 용역 참여자 단말 그룹(400g), 품질 관리자 단말(500)을 포함할 수 있다.
용역과제 사후 관리 서버(300)는 용역 의뢰자 단말 그룹(10g)을 이루는 각 용역 의뢰자 단말(10)로부터 환경영향평가, 화학물질 관련 연구에 관한 외부 용역을 통한 보고서 작성 의료를 수신하여 하나의 연구용역 정보로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용역 의뢰자 단말 그룹(10g)을 구성하는 용역 의뢰자 단말(10)은 국가 기관, 지자체 등의 공공기관이 관리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200)는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200)가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네트워크(200)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그 밖의 5G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200)는 용역 관리자 단말(100), 용역과제 사후 관리 서버(300), 복수의 용역 참여자 단말(400)로 이루어진 용역 참여자 단말 그룹(400g), 품질 관리자 단말(500),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역과제 사후 관리 시스템(1) 중 용역과제 사후 관리 서버(3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역과제 사후 관리 시스템(1)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용역과제 사후 관리 서버(300)는 송수신부(310), 제어부(320) 및 데이터베이스(330)를 포함하며, 제어부(320)는 조사관리모듈(321), 결과분석모듈(322), 품질관리 설계 모듈(323), 수준관리 모듈(324), 사후보완 모듈(325)을 포함할 수 있다.
조사관리모듈(321)은 용역 관리자 단말(100)의 네트워크(200)를 통한 액세스(access)를 수행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용역 관리자 단말(100)에 의한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연구용역 정보 중 하나에 대한 선택정보를 수신하면 선택정보에 해당하는 연구용역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후, 조사관리모듈(321)은 추출된 연구용역 정보에 대해서 웹 페이지 상에 게시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용역 참여자 단말 그룹(400g)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역 참여자 단말(400)로부터 용역 참여 신청을 수신하거나,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용역 참여자 단말 그룹(400g)에서 추출된 연구용역 정보의 조사관리분야와 매칭되는 용역 참여자 단말(400)을 추출한 뒤 추출된 용역 참여자 단말(400)에 대해서 용역 참여 의뢰 이후 용역 참여자 단말(400)로부터 용역 참여 신청을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조사관리모듈(321)은 용역 참여를 신청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역 참여자 단말(400)에 대해서 용역 관리자 단말(100)에서 제공한 용역 세부 계획서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최종적으로 용역 참여를 신청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역 참여자 단말(400)로부터 용역 참여 결정을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용역 참여 결정을 제공한 용역 참여자 단말(400)의 단말식별번호를 데이터베이스(330)에 용역 계약 단말로 최종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결과분석모듈(322)은 용역 계약 단말에 해당하는 용역 참여자 단말(400)에 의한 산출물인 조사보고서(착수 보고서, 진도 보고서, 중간 보고서, 최종 보고서, 세미나 및 간담회 안건 제시 보고서)를 용역 참여자 단말(4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각 용역 참여자 단말(400)의 단말식별번호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할 수 있다.
품질관리 설계 모듈(323)은 품질 관리자 단말(500)로부터 각 연구용역 정보에 해당하는 품질관리 정보(품질 목표, 품질 관리 계획, 용역 표준)을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한 뒤, 용역 계약 단말에 해당하는 용역 관리자 단말(100) 및 용역 참여자 단말(400)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조사관리모듈(321)이 용역 참여자 단말(400)로부터 용역 참여 결정을 수신시, 품질관리 설계 모듈(323)은 연구용역 정보를 즉각적으로 용역 계약 단말에 해당하는 용역 관리자 단말(100) 및 용역 참여자 단말(400)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수준관리 모듈(324)은 각 연구용역 정보에 대한 품질관리 정보(품질 목표, 품질 관리 계획, 용역 표준)에 따른 조사보고서(착수 보고서, 진도 보고서, 중간 보고서, 최종 보고서, 세미나 및 간담회 안건 제시 보고서)에 대한 수준을 자체적으로 평가하여 각 단계별 용역 평가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사후보완 모듈(325)로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준관리 모듈(324)은 착수보고서에 있어서 품질 목표에 해당하는 단어 또는 문장을 분석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핵심 키워드를 추출한 뒤, 추출된 핵심 키워드에 대한 빅데이터 서버(600)에 저장된 유사 키워드를 모두 요청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유사 키워드뿐만 아니라, 핵심 키워드와 착수보고서에 포함된 문장에 포함된 단어 간의 매칭 회수를 연산한 뒤, 각 키워드(핵심 키워드 또는 유사 키워드)별 매칭 회수를 정렬하고, 미리 설정된 빈도 이상의 매칭이 수행된 키워드(핵심 키워드 또는 유사 키워드)의 개수를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준관리 모듈(324)은 추출된 개수의 범위에 따라 "착수 보고서에 대한 용역 평가정보"를 정량적 수치로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수준관리 모듈(324)은 진도 보고서, 중간 보고서, 최종 보고서에 있어서 품질 관리 계획, 용역 표준에 따른 용역 평가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착수보고서와 마찬가지로 진도 보고서, 중간 보고서, 최종 보고서에서 미리 설정된 회수 이상 반복되는 핵심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핵심 키워드와 유사 키워드를 빅데이터 서버(600)에 대한 질의 형식을 수집할 수 있다.
이후, 수준관리 모듈(324)은 품질 관리 계획 및 용역 표준에 포함된 효과이벤트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효과이벤트정보에 포함된 그래프 정보, 화학식 정보 등과 같은 효과 입증 파라미터 정보를 추출하고, 각 추출된 파라미터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로 저장된 검색 단어도 함께 추출할 수 있다.
이후, 수준관리 모듈(324)은 획득된 키워드(핵심 키워드 및 유사 키워드)와 추출된 검색 단어에 대한 매칭을 통해 매칭되는 키워드가 있는지 1차적으로 검증한 뒤, 각 진도 보고서, 중간 보고서, 최종 보고서 상에서 각 키워드가 포함된 동일한 패러그래프(paragraph) 또는 상·하로 이웃하는 패러그래프 상에 매칭시 제공된 검색 단어를 메타데이터로 저장된 효과 입증 파라미터 정보가 있는지의 2차적인 검증을 통해 2차 검증에서 통과되는 횟수를 연산한 뒤, 각 검색 단어별 매칭 회수를 정렬하고, 미리 설정된 빈도 이상의 매칭이 수행된 검색 단어의 개수를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준관리 모듈(324)은 추출된 개수의 범위에 따라 "진도 보고서, 중간 보고서, 최종 보고서에 대한 용역 평가정보"에 대한 정량적 수치로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수준관리 모듈(324)은 세미나 및 간담회 안건 제시 보고서에 있어서 품질 관리 계획, 용역 표준에 따른 용역 평가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착수보고서, 진도 보고서, 중간 보고서, 최종 보고서와 마찬가지로 세미나 및 간담회 안건 제시 보고서에서 미리 설정된 회수 이상 반복되는 핵심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핵심 키워드와 유사 키워드를 빅데이터 서버(600)에 대한 질의 형식을 수집할 수 있다.
이후, 수준관리 모듈(324)은 품질 관리 계획 및 용역 표준에 포함된 주제 단어를 추출하여, 추출된 주제 단어에 해당하는 전문가 자문, 연구회, 간담회를 포함하는 영상 또는 음성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600)로 액세스하여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전문가 자문, 연구회, 간담회를 포함하는 영상 또는 음성 정보는 미리 설정된 전문가 그룹, 연구회 그룹, 간담회 그룹에서 제공한 정보로 용역과제 사후 관리 서버(300)에 의한 인증을 통해 빅데이터 서버(600)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준관리 모듈(324)은 수신된 전문가 자문, 연구회, 간담회를 포함하는 영상 또는 음성 정보에서 음성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자문이벤트정보를 추출하여, 세미나 및 간담회 안건 제시 보고서 상에서 키워드를 제공한 패러그래프와 자문이벤트정보에 포함된 패러그래프에 포함된 단어 간의 매칭 회수를 연산한 뒤, 각 키워드(핵심 키워드 또는 유사 키워드)별 매칭 회수를 정렬하고, 미리 설정된 빈도 이상의 매칭이 수행된 키워드(핵심 키워드 또는 유사 키워드)의 개수를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준관리 모듈(324)은 추출된 개수의 범위에 따라 "세미나 및 간담회 안건 제시 보고서에 대한 용역 평가정보"를 정량적 수치로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수준관리 모듈(324)은 "착수 보고서에 대한 용역 평가정보"를 정량적 수치, "진도 보고서, 중간 보고서, 최종 보고서에 대한 용역 평가정보"에 대한 정량적 수치, "세미나 및 간담회 안건 제시 보고서에 대한 용역 평가정보"를 정량적 수치를 모두 합산하여 합산된 정량적 수치의 범위에 따라 수준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사후보완 모듈(325)은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각 용역 참여자 단말(400)의 단말식별번호를 메타데이터로 저장된 각 단계별 용역 평가정보로 이루어진 용역품질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부적합 사항을 각 단계별로 추출하여 각 용역 참여자 단말(400)에 대한 시정조치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사후지원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부적합 사항은 "착수 보고서에 대한 용역 평가정보"를 정량적 수치의 미리 설정된 착수 보고서 임계치 이하, "진도 보고서, 중간 보고서, 최종 보고서에 대한 용역 평가정보"에 대한 정량적 수치의 미리 설정된 진도, 중간, 최종 보고서 임계치 이하, "세미나 및 간담회 안건 제시 보고서에 대한 용역 평가정보"를 정량적 수치의 미리 설정된 세미나, 간담회 안건 제시 보고서 임계치 이하인 것이거나, 각 보고서의 정량적 수치를 모두 합산한 정량적 수치의 범위에 따라 수준 단계가 미리 설정된 수준 이하인 경우일 수 있다.
한편, 사후보완 모듈(325)은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에 빅데이터 서버(600)에 저장된 진도, 중간, 최종 보고서를 기반으로 사후보완되기 위해 분석되는 진도, 중간, 최종 보고서에 대한 사후보완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후보완 모듈(325)은 과거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의 보고서의 키워드(핵심 키워드 및 유사 키워드)의 변동에 따른 효과에 해당하는 그래프 및 화학식의 개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실적 예측 수치를 모델링 할 수 있고, 실적예측 모델은 회귀분석, 시계열 분석, 또는 데이터 마이닝(디씨전트리, 신경망, rule-based approach) 등의 통계 기법을 활용할 수 있다.
이후, 사후보완 모듈(325)은 상술한 선택정보에 해당하는 연구용역 정보를 제공한 용역 의뢰자 단말(10)로부터 사업계획, 자금계획, 인력계획, 생산계획을 입력받아 매출추정을 통해 향후 추정재무제표를 생성하고 미래현금흐름 추정을 통해 수익성지표(NPV, IRR, ROI)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사후보완 모듈(325)은 향후 추정재무제표를 생성시, 과거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의 보고서에 대한 기작성된 추정재무제표를 기준으로 사후분석되기 위해 대기중인 보고서의 실적예치 수치를 수익에 미리 설정된 가중치에 따라 추가 또는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가중치는 자금계획, 인력계획, 생산계획에 포함되는 기존의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의 평균 자금, 인력, 생산 설비에 대한 증대/감소되는 퍼센테이지(%)로 각각 설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역과제 사후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용역과제 사후 관리 서버(300)는 용역 관리자 단말(100)의 네트워크(200)를 통한 액세스(access)를 허여한 뒤, 용역 관리자 단말(100)에 의한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연구용역 정보 중 하나에 대한 선택정보를 수신하면 선택정보에 해당하는 연구용역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에서 추출한다(S11).
단계(S11) 이후, 용역과제 사후 관리 서버(300)는 추출된 연구용역 정보에 대해서 웹 페이지 상에 게시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용역 참여자 단말 그룹(400g)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역 참여자 단말(400)로부터 용역 참여 신청을 수신하거나,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용역 참여자 단말 그룹(400g)에서 추출된 연구용역 정보의 조사관리분야와 매칭되는 용역 참여자 단말(400)을 추출한 뒤 추출된 용역 참여자 단말(400)에 대해서 용역 참여 의뢰 이후 용역 참여자 단말(400)로부터 용역 참여 신청을 수신한다(S12).
단계(S12) 이후, 용역과제 사후 관리 서버(300)는 용역 참여를 신청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역 참여자 단말(400)에 대해서 용역 관리자 단말(100)에서 제공한 용역 세부 계획서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한 뒤, 최종적으로 용역 참여를 신청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역 참여자 단말(400)로부터 용역 참여 결정을 수신하여, 용역 참여 결정을 제공한 용역 참여자 단말(400)의 단말식별번호를 데이터베이스(330)에 용역 계약 단말로 최종적으로 저장한다(S13).
단계(S13) 이후, 용역과제 사후 관리 서버(300)는 품질 관리자 단말(500)로부터 각 연구용역 정보에 해당하는 품질관리 정보(품질 목표, 품질 관리 계획, 용역 표준에 관한 정보를 포함)을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한 뒤, 용역 계약 단말에 해당하는 용역 관리자 단말(100) 및 용역 참여자 단말(400)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한다(S14).
단계(S14) 이후, 용역과제 사후 관리 서버(300)는 용역 계약 단말에 해당하는 용역 참여자 단말(400)에 의한 산출물인 조사보고서(착수 보고서, 진도 보고서, 중간 보고서, 최종 보고서, 세미나 및 간담회 안건 제시 보고서)를 용역 참여자 단말(4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한 뒤, 각 용역 참여자 단말(400)의 단말식별번호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한다(S15).
단계(S15) 이후, 용역과제 사후 관리 서버(300)는 연구용역 정보에 대한 품질관리 정보(품질 목표, 품질 관리 계획, 용역 표준)에 따른 조사보고서(착수 보고서, 진도 보고서, 중간 보고서, 최종 보고서, 세미나 및 간담회 안건 제시 보고서)에 대한 수준을 자체적으로 평가하여 각 단계별 용역 평가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한다(S16).
단계(S16) 이후, 용역과제 사후 관리 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각 용역 참여자 단말(400)의 단말식별번호를 메타데이터로 저장된 각 단계별 용역 평가정보로 이루어진 용역품질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부적합 사항을 각 단계별로 추출하여 각 용역 참여자 단말(400)에 대한 시정조치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함으로써, 사후지원을 수행한다(S17).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 용역과제 사후 관리 시스템
10 : 용역 의뢰자 단말
10g : 용역 의뢰자 단말 그룹
100 : 용역 관리자 단말
200 : 네트워크
300 : 용역과제 사후 관리 서버
310 : 송수신부
320 : 제어부
321 : 조사관리모듈
322 : 결과분석모듈
323 : 품질관리 설계 모듈
324 : 수준관리 모듈
325 : 사후보완 모듈
330 : 데이터베이스
400 : 용역 참여자 단말
400g : 용역 참여자 단말 그룹
500 : 품질 관리자 단말
600 : 빅데이터 서버

Claims (3)

  1. 복수의 용역 의뢰자 단말(10)로 이루어진 용역 의뢰자 단말 그룹(10g), 용역 관리자 단말(100), 네트워크(200), 용역과제 사후 관리 서버(300), 복수의 용역 참여자 단말(400)로 이루어진 용역 참여자 단말 그룹(400g), 품질 관리자 단말(500)을 포함하는 용역과제 사후 관리 시스템(1)에 있어서, 용역과제 사후 관리 서버(300)는, 송수신부(310), 제어부(320) 및 데이터베이스(330)를 포함하며, 제어부(320)는,
    용역 관리자 단말(100)의 네트워크(200)를 통한 액세스(access)를 수행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용역 관리자 단말(100)에 의한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연구용역 정보 중 하나에 대한 선택정보를 수신하면 선택정보에 해당하는 연구용역 정보를 추출하며,
    추출된 연구용역 정보에 대해서 웹 페이지 상에 게시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용역 참여자 단말 그룹(400g)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역 참여자 단말(400)로부터 용역 참여 신청을 수신하거나,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용역 참여자 단말 그룹(400g)에서 추출된 연구용역 정보의 조사관리분야와 매칭되는 용역 참여자 단말(400)을 추출한 뒤 추출된 용역 참여자 단말(400)에 대해서 용역 참여 의뢰 이후 용역 참여자 단말(400)로부터 용역 참여 신청을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며,
    용역 참여를 신청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역 참여자 단말(400)에 대해서 용역 관리자 단말(100)에서 제공한 용역 세부 계획서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최종적으로 용역 참여를 신청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역 참여자 단말(400)로부터 용역 참여 결정을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용역 참여 결정을 제공한 용역 참여자 단말(400)의 단말식별번호를 데이터베이스(330)에 용역 계약 단말로 최종적으로 저장하는 조사관리모듈(321);
    용역 계약 단말에 해당하는 용역 참여자 단말(400)에 의한 산출물인 조사보고서(착수 보고서, 진도 보고서, 중간 보고서, 최종 보고서, 세미나 및 간담회 안건 제시 보고서를 포함)를 용역 참여자 단말(4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각 용역 참여자 단말(400)의 단말식별번호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하는 결과분석모듈(322);
    품질 관리자 단말(500)로부터 각 연구용역 정보에 해당하는 품질관리 정보(품질 목표, 품질 관리 계획, 용역 표준 포함)을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한 뒤, 품질관리 정보를 용역 계약 단말에 해당하는 용역 관리자 단말(100) 및 용역 참여자 단말(400)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며,
    조사관리모듈(321)이 용역 참여자 단말(400)로부터 용역 참여 결정을 수신시, 연구용역 정보를 즉각적으로 용역 계약 단말에 해당하는 용역 관리자 단말(100) 및 용역 참여자 단말(400)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는 품질관리 설계 모듈(323);
    각 연구용역 정보에 대한 품질관리 정보(품질 목표, 품질 관리 계획, 용역 표준)에 따른 조사보고서(착수 보고서, 진도 보고서, 중간 보고서, 최종 보고서, 세미나 및 간담회 안건 제시 보고서 포함)에 대한 수준을 자체적으로 평가하여 각 단계별 용역 평가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사후보완 모듈(325)로 제공하되, 착수보고서에 있어서 품질 목표에 해당하는 단어 또는 문장을 분석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핵심 키워드를 추출한 뒤, 추출된 핵심 키워드에 대한 빅데이터 서버(600)에 저장된 유사 키워드를 모두 요청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유사 키워드뿐만 아니라, 핵심 키워드와 착수보고서에 포함된 문장에 포함된 단어 간의 매칭 회수를 연산한 뒤, 각 키워드(핵심 키워드 또는 유사 키워드)별 매칭 회수를 정렬하고, 미리 설정된 빈도 이상의 매칭이 수행된 키워드(핵심 키워드 또는 유사 키워드)의 개수를 추출하고, 추출된 개수의 범위에 따라 "착수 보고서에 대한 용역 평가정보"를 정량적 수치로 생성하며,
    진도 보고서, 중간 보고서, 최종 보고서에 있어서 품질 관리 계획, 용역 표준에 따른 용역 평가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착수보고서와 마찬가지로 진도 보고서, 중간 보고서, 최종 보고서에서 미리 설정된 회수 이상 반복되는 핵심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핵심 키워드와 유사 키워드를 빅데이터 서버(600)에 대한 질의 형식을 수집하며,
    품질 관리 계획 및 용역 표준에 포함된 효과이벤트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효과이벤트정보에 포함된 그래프 정보, 화학식 정보 등과 같은 효과 입증 파라미터 정보를 추출하고, 각 추출된 파라미터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로 저장된 검색 단어도 함께 추출하며,
    획득된 키워드(핵심 키워드 및 유사 키워드)와 추출된 검색 단어에 대한 매칭을 통해 매칭되는 키워드가 있는지 1차적으로 검증한 뒤, 각 진도 보고서, 중간 보고서, 최종 보고서 상에서 각 키워드가 포함된 동일한 패러그래프(paragraph) 또는 상·하로 이웃하는 패러그래프 상에 매칭시 제공된 검색 단어를 메타데이터로 저장된 효과 입증 파라미터 정보가 있는지의 2차적인 검증을 통해 2차 검증에서 통과되는 횟수를 연산한 뒤, 각 검색 단어별 매칭 회수를 정렬하고, 미리 설정된 빈도 이상의 매칭이 수행된 검색 단어의 개수를 추출하고, 추출된 개수의 범위에 따라 "진도 보고서, 중간 보고서, 최종 보고서에 대한 용역 평가정보"에 대한 정량적 수치로 생성하며,
    세미나 및 간담회 안건 제시 보고서에 있어서 품질 관리 계획, 용역 표준에 따른 용역 평가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착수보고서, 진도 보고서, 중간 보고서, 최종 보고서와 마찬가지로 세미나 및 간담회 안건 제시 보고서에서 미리 설정된 회수 이상 반복되는 핵심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핵심 키워드와 유사 키워드를 빅데이터 서버(600)에 대한 질의 형식을 수집하며,
    품질 관리 계획 및 용역 표준에 포함된 주제 단어를 추출하여, 추출된 주제 단어에 해당하는 전문가 자문, 연구회, 간담회를 포함하는 영상 또는 음성 정보(전문가 자문, 연구회, 간담회를 포함하는 영상 또는 음성 정보에 대해서는 미리 설정된 전문가 그룹, 연구회 그룹, 간담회 그룹에서 제공한 정보로 용역과제 사후 관리 서버(300)에 의한 인증을 통해 빅데이터 서버(600)에 저장되어 관리되는 것에 해당)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600)로 액세스하여 수신하며,
    수신된 전문가 자문, 연구회, 간담회를 포함하는 영상 또는 음성 정보에서 음성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자문이벤트정보를 추출하여, 세미나 및 간담회 안건 제시 보고서 상에서 키워드를 제공한 패러그래프와 자문이벤트정보에 포함된 패러그래프에 포함된 단어 간의 매칭 회수를 연산한 뒤, 각 키워드(핵심 키워드 또는 유사 키워드)별 매칭 회수를 정렬하고, 미리 설정된 빈도 이상의 매칭이 수행된 키워드(핵심 키워드 또는 유사 키워드)의 개수를 추출하고, 추출된 개수의 범위에 따라 "세미나 및 간담회 안건 제시 보고서에 대한 용역 평가정보"를 정량적 수치로 생성하며,
    "착수 보고서에 대한 용역 평가정보"를 정량적 수치, "진도 보고서, 중간 보고서, 최종 보고서에 대한 용역 평가정보"에 대한 정량적 수치, "세미나 및 간담회 안건 제시 보고서에 대한 용역 평가정보"를 정량적 수치를 모두 합산하여 합산된 정량적 수치의 범위에 따라 수준 단계로 구분하는 수준관리 모듈(324); 및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각 용역 참여자 단말(400)의 단말식별번호를 메타데이터로 저장된 각 단계별 용역 평가정보로 이루어진 용역품질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부적합 사항을 각 단계별로 추출하여 각 용역 참여자 단말(400)에 대한 시정조치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사후지원을 수행하되, 부적합 사항에 대해서는 "착수 보고서에 대한 용역 평가정보"를 정량적 수치의 미리 설정된 착수 보고서 임계치 이하, "진도 보고서, 중간 보고서, 최종 보고서에 대한 용역 평가정보"에 대한 정량적 수치의 미리 설정된 진도, 중간, 최종 보고서 임계치 이하, "세미나 및 간담회 안건 제시 보고서에 대한 용역 평가정보"를 정량적 수치의 미리 설정된 세미나, 간담회 안건 제시 보고서 임계치 이하인 것이거나, 각 보고서의 정량적 수치를 모두 합산한 정량적 수치의 범위에 따라 수준 단계가 미리 설정된 수준 이하인 경우로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후보완 모듈(325);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역과제 사후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190118795A 2019-09-26 2019-09-26 용역과제 사후 관리 방법 KR102123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795A KR102123764B1 (ko) 2019-09-26 2019-09-26 용역과제 사후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795A KR102123764B1 (ko) 2019-09-26 2019-09-26 용역과제 사후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3764B1 true KR102123764B1 (ko) 2020-06-16

Family

ID=71141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8795A KR102123764B1 (ko) 2019-09-26 2019-09-26 용역과제 사후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37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28915A (zh) * 2021-05-17 2021-07-16 中铁高新工业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化科研数据管理分析系统和分析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8796A (ja) * 2003-10-23 2005-05-19 Toshiba Corp プロジェクト品質管理システムと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並びにサービス方法
KR101162705B1 (ko) * 2010-07-08 2012-07-05 주식회사 네트웍텔레콤 프로젝트 매칭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60092768A (ko) * 2015-01-28 2016-08-05 주식회사 비욘드테크 연구개발 성과물 수집 및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8796A (ja) * 2003-10-23 2005-05-19 Toshiba Corp プロジェクト品質管理システムと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並びにサービス方法
KR101162705B1 (ko) * 2010-07-08 2012-07-05 주식회사 네트웍텔레콤 프로젝트 매칭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60092768A (ko) * 2015-01-28 2016-08-05 주식회사 비욘드테크 연구개발 성과물 수집 및 관리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1-0079349(2011.08.10)호 "서비스시점평가를 이용한 서비스품질평가 시스템(Using Assessment to the point of service, quality of service evaluat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28915A (zh) * 2021-05-17 2021-07-16 中铁高新工业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化科研数据管理分析系统和分析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eljković et al. Benchmarking open government: An open data perspective
Bukowitz et al. Visualizing, measuring and managing knowledge
Tirado-Valencia et al. Integrated thinking in the reporting of public sector enterprises: a proposal of contents
Gurmu Fuzzy synthetic evaluation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practices influencing construction labour productivity
Weidlich et al. Matching business process models using positional passage-based language models
Johnson et al. Business process costs of implementing “gold” and “green” open access in institutional and national contexts
Limpeeticharoenchot et al. Innovative mobile application for measuring big data maturity: Case of SMEs in Thailand
Singh et al. Adoption of e-Government services: A case study on e-Filing system of income tax department of India
Khan et al. Utilizing the collective wisdom of fintech in the gcc region: A systematic mapping approach
KR102123764B1 (ko) 용역과제 사후 관리 방법
Pattyn Enhancing startup success rates: towards a pragmatic framework for product managers (PFPM)
KR20200104011A (ko) 자산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웰스매니저 추천 및 매칭 방법
Vashist et al. An analysis of e-governance and its impact on the profitability of MSMEs: A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approach
Hwalek et al. The small sellers of program evaluation services in the United States
Averch Measuring the cost‐efficiency of basic research investment: Input‐output approaches
Chappa et al. Shaping the gig economy
KR102538221B1 (ko) Nft를 이용한 기업맞춤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Parnell et al. Improving resource allocation within the National Reconnaissance Office
US11797940B2 (en) Method and system for assessment and negotiation of compensation
Rubino et al. Accounting for Sustainability—Could Cost Accounting Be the Right Tool?
Yeager Using Technology and Analytics to Enhance Stakeholder Engagement in Environmental Decision-Making
US20170052959A1 (en) Filtering Resources Using a Multilevel Classifier
KR20200027842A (ko) 재무제표 최적화 방향 컨설팅 제공 시스템
US20230153740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using machine learning to categorize and select suggested source entities
Srivastava et al. Capacity requirement planning using petri dynam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