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3652B1 - 카약 추진 장치 - Google Patents

카약 추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3652B1
KR102123652B1 KR1020180145806A KR20180145806A KR102123652B1 KR 102123652 B1 KR102123652 B1 KR 102123652B1 KR 1020180145806 A KR1020180145806 A KR 1020180145806A KR 20180145806 A KR20180145806 A KR 20180145806A KR 102123652 B1 KR102123652 B1 KR 102123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gear
kayak
shaft
prope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5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0162A (ko
Inventor
박대광
Original Assignee
박대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대광 filed Critical 박대광
Priority to KR1020180145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3652B1/ko
Publication of KR20200060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0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3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3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20Canoes, kaya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26Accessories for canoes, kaya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02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with mechanical gearing
    • B63H23/06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with mechanical gearing for transmitting drive from a single propulsion power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3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characterised by use of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B63B2739/00
    • B63B2741/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6/00Marine propulsion by muscle power
    • B63H16/08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 B63H16/20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using rotary cranking arm
    • B63H2016/202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using rotary cranking arm specially adapted or arranged for being actuated by the feet of the user, e.g. using bicycle-like ped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약 추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선자 손을 이용하지 않고 발로 페달을 일방으로 회전시키면서 선체를 추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력 전달 수단으로 프로펠러의 회전 방향을 변환시킴으로써 선체를 용이하게 전후진시킬 수 있는 카약 추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는, 선체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추진시키기 위한 카약 추진 장치에 있어서, 상부의 일부분은 상기 선체의 바닥 상부에 위치되고 하부의 일부분은 상기 선체의 바닥 하부에 위치되게 상기 선체의 바닥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선체의 바닥 하부에 위치된 상기 하우징 하부의 일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선체의 바닥 아래에서 회전되는 프로펠러와, 상기 선체의 바닥 상부에 위치된 상기 하우징 상부의 일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승선자가 발로 밟아 회전시키는 페달과, 상기 페달의 회전을 상기 프로펠러로 전달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된 회전력 전달 수단이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카약 추진 장치{DEVICE FOR PROPELLING KAYAK}
본 발명은 카약 추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선자 손을 이용하지 않고 발로 페달을 일방으로 회전시키면서 선체를 추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력 전달 수단으로 프로펠러의 회전 방향을 변환시킴으로써 선체를 용이하게 전후진시킬 수 있는 카약 추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카약은 에스키모인이 사용하던 소형 배로써 1인승으로 이루어지며, 노를 좌우로 번갈아 저어 전진하는 선박으로, 근래들어 수상 레저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카약은 이동과 보관이 용이하도록 대한믹국 등록특허 제10-1577280호(공기주입식 카약, 2015.12.08)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541995호(인플레이터블 에어시트 프레임을 가지는 차량 루프랙 장착형 접이식 카약, 2015.07.29)에서와 같이 에어를 주입하여 팽창시키는 타입의 카약이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1724호(접이식 카약, 2015.07.29)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1725호(차량의 루프랙 장착형 접이식 카약, 2015.07.29)에서와 같이 접는 방식의 카약에 대한 개발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카약의 추진을 위해서는 통상 노를 젓는데, 노를 저어 카약을 추진하는 것은 매우 힘들 뿐만 아니라 승선자가 손으로 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에는 노를 저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8-0001004호(2018.04.11, 모터 추진체를 갖는 카약)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104856호(2017.09.18, 무(無)동력 워터젯 추진기를 사용한 카약 및 원리)에서와 같이 동력을 이용하는 카약의 개발되었으나 이는 기본적으로 엔진이나 모터와 같은 동력을 이용하는 한계를 갖는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8-0001004호(2018.04.11) : 모터 추진체를 갖는 카약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104856호(2017.09.18) : 무(無)동력 워터젯 추진기를 사용한 카약 및 원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인식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승선자 손을 이용하지 않고 발로 페달을 일방으로 회전시키면서 선체를 추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력 전달 수단으로 프로펠러의 회전 방향을 변환시킴으로써 선체를 용이하게 전후진시킬 수 있는 카약 추진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는, 선체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추진시키기 위한 카약 추진 장치에 있어서, 상부의 일부분은 상기 선체의 바닥 상부에 위치되고 하부의 일부분은 상기 선체의 바닥 하부에 위치되게 상기 선체의 바닥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선체의 바닥 하부에 위치된 상기 하우징 하부의 일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선체의 바닥 아래에서 회전되는 프로펠러와, 상기 선체의 바닥 상부에 위치된 상기 하우징 상부의 일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승선자가 발로 밟아 회전시키는 페달과, 상기 페달의 회전을 상기 프로펠러로 전달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된 회전력 전달 수단이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는, 상기 하우징은, 상부의 기어 박스부와, 하부의 프로펠러 지지부와, 상기 기어 박스부와 프로펠러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구비되어 구성되고, 선체에는 바닥에 하우징 통과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기어 박스부가 상기 선체의 바닥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프로펠러 지지부는 상기 선체의 바닥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연결부가 상기 하우징 통과홀을 지나게 상기 선체의 바닥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는, 상기 회전력 전달 수단은, 상기 페달의 회전력을 입력받아 회전 방향을 전환하여 출력하는 방향 전환 기어부와, 상기 방향 전환 기어부의 출력을 상기 프로펠러로 전달하는 회전 전달부가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는, 상기 회전 전달부는 상기 방향 전환 기어부의 출력 기어와 연결되어 연직으로 세워진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의 회전을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축에 전달하도록 상기 연결축과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축에 구비되어 서로 맞물린 전달 기어가 구비되어 구성되고, 상기 방향 전환 기어부는 기어 박스부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연결축은 상기 기어 박스부에서 상기 프로펠러 지지부로 이어지게 연장되고, 상기 연결축과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축에 구비되어 서로 맞물린 전달 기어는 상기 프로펠러 지지부 내부에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는, 상기 방향 전환 기어부는, 중앙 부분에 스플라인이 형성되어 상기 페달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기어축과, 상기 기어축의 스플라인에 맞물려 상기 기어축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클러치 슬리브와, 각각의 내측에 상기 클러치 슬리브의 양측 말단부와 맞닿아 맞물리는 클러치부가 형성되고, 각각 상기 클러치 슬리브의 양측 각각에 위치되어 상기 기어축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상기 기어축의 양측 단부 각각에 지지된 한 쌍의 방향 전환 기어와, 상기 연결축과 일체로 회전되게 상기 연결축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방향 전환 기어와 동시에 맞물리는 출력 기어가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는 승선자 손을 이용하지 않고 발로 페달을 일방으로 회전시키면서 선체를 추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력 전달 수단으로 프로펠러의 회전 방향을 변환시킴으로써 선체를 용이하게 전후진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가 적용된 카약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가 적용된 카약에서 아웃리거 접이 장치에 의해 아웃리거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가 적용된 카약에서 카약의 아웃리거 접이 장치에 의해 아웃리거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가 적용된 카약에서 아웃리거 접이 장치, 추진 장치 및 조향 장치의 배치를 선체에서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가 적용된 카약에서 카약의 아웃리거 접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가 적용된 카약에서 카약의 아웃리거 접이 장치의 가이드 바, 스크류 바 및 슬라이더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도 5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가 적용된 카약에서 아웃리거 접이 장치의 아웃리거와 접철 링크의 힌지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도 5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가 적용된 카약에서 아웃리거 접이 장치에 의해 아웃리거가 접혀진 상태 및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가 선체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의 페달 복귀 수단의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가 적용된 카약에서 조향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가 적용된 카약에서 조향 장치의 조타 드럼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8a 내지 도 18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가 적용된 카약에서 조타 드럼을 회전시키는 조향 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평면도
도 19a 내지 도 19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가 적용된 카약에서 조타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는 조향 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평면도 및 정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가 적용된 카약에서 조향 장치의 조타 드럼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 및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가 적용된 카약에서 방향키가 선미 및 선두에 장착된 조향 장치의 실시예 및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가 적용된 카약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가 적용된 카약에서 아웃리거 접이 장치에 의해 아웃리거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가 적용된 카약에서 카약의 아웃리거 접이 장치에 의해 아웃리거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가 적용된 카약에서 아웃리거 접이 장치, 추진 장치 및 조향 장치의 배치를 선체에서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가 적용된 카약에서 카약의 아웃리거 접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가 적용된 카약에서 카약의 아웃리거 접이 장치의 가이드 바, 스크류 바 및 슬라이더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도 5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가 적용된 카약에서 아웃리거 접이 장치의 아웃리거와 접철 링크의 힌지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도 5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가 적용된 카약에서 아웃리거 접이 장치에 의해 아웃리거가 접혀진 상태 및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가 선체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의 페달 복귀 수단의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가 적용된 카약에서 조향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가 적용된 카약에서 조향 장치의 조타 드럼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18a 내지 도 18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가 적용된 카약에서 조타 드럼을 회전시키는 조향 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9a 내지 도 19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가 적용된 카약에서 조타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는 조향 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평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가 적용된 카약에서 조향 장치의 조타 드럼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 및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가 적용된 카약에서 방향키가 선미 및 선두에 장착된 조향 장치의 실시예 및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20)가 적용된 카약에는 카약의 아웃리거 접이 장치(10)가 구비되어 이는 수상에서 복원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아웃리거(2)가 선체(1)의 양측에 부착된 카약에 적용된다. 특히, 상기 카약의 아웃리거 접이 장치(10)는 카약의 운반이나 보관이 용이하도록 상기 아웃리거(2)가 선체(1)의 양측에서 펼쳐질 뿐만 아니라 선체(1)의 양측에 포개지게 접혀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선, 카약의 아웃리거 접이 장치(10)가 적용된 카약은 비교적 폭이 좁고 길이가 긴 선체(1)의 양측 각각에 아웃리거(2)가 부착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카약 아웃리거 접이 장치(10)가 적용된 카약은 선체(1)의 바닥(1a) 아래에 카약의 추진을 위한 프로펠러(3)가 장착되고, 후미에 카약의 방향 조절을 위한 방향키(4)가 구비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선체(1)의 내부에는 탑승자가 앉을 수 있는 좌석(5)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카약의 아웃리거 접이 장치(10)가 적용된 카약에는 상기 프로펠러(3)를 회전시키기 위한 카약 추진 장치(20)가 구비되고, 카약의 조향을 위해서 상기 방향키(4)를 좌우로 회전시키기 위한 카약의 조향 장치(30)가 구비된다.
상기 카약의 아웃리거 접이 장치(10)는 접철 수단(11)과 접철 구동 수단(12)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9에는 본 발명에 따른 카약의 아웃리거 접이 장치(10)의 구조 및 작동이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접철 수단(11)은 상기 아웃리거(2) 각각과 선체(1)의 양측 각각을 연결하되, 상기 선체(1)의 양측 각각에서 아웃리거(2)를 선체(1)에 접근시키고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접히고 펼쳐지도록 하는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접철 수단(11)은 선두 및 선미 부착구(111a,111b), 가이드 바(112),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 선두 및 선미 접철 링크(114a,114b) 및 구속부(115)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선두 및 선미 부착구(111a,111b)는 상기 가이드 바(112)의 양단이 지지되게 고정되고, 상기 접철 구동 수단(12)의 스크류 바(121)가 회전이 가능하게 그 양단이 지지되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선두 및 선미 부착구(111a,111b)는 상기 선체(1)의 양측 각각에 구비되는데, 상기 선체(1)의 양측 각각의 선두의 위치와 선미의 위치에서 상기 선체(1)의 측면에 부착된다.
상기 가이드 바(112)는 상기 선체(1)의 양측 각각에 구비되는데, 직선으로 길이가 긴 봉형상의 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선체(1)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양단 각각이 상기 선두 및 선미 부착구(111a,111b)에 결합되어 상기 선체(1)의 측면 각각에 부설된다. 상기 가이드 바(112)를 따라 직선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상기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는 상기 가이드 바(112)에 지지된다.
상기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는 각각에 일단이 결합된 상기 선두 및 선미 접철 링크(114a,114b)의 일단을 상기 가이드 바(112)를 따라 직선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에는 상기 가이드 바(112)가 삽입되기 위한 슬라이딩 홀(113-1)이 형성되고, 그 슬라이딩 홀(113-1)에 이웃하여 내부에 스크류잭(sCfew jack) 구동을 위해 상기 스크류 바(121)의 수나사에 결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된 스크류 홀(113-2)이 형성된다. 상기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는 상기 스크류 바(121)의 왕복 회전으로 상기 가이드 바(112)를 따라 선체(1) 전후 방향의 직선으로 왕복 이동되게 된다. 상기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에는 상기 선두 및 선미 접철 링크(114a,114b)의 일단에 구비된 힌지축(114-1)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힌지부(113-3)가 형성된다.
상기 선두 및 선미 접철 링크(114a,114b)는 상기 선체(1)의 측부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선체(1)의 선두부 및 선미부와 상기 아웃리거(2)의 전단부와 후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막대형상의 링크부재이다. 상기 선체(1), 선두 및 선미 접철 링크(114a,114b) 및 아웃리거(2)는 서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4절 링크 구조를 형성하게 되고, 상기 선두 및 선미 접철 링크(114a,114b)의 왕복 회전으로 링크 구조가 접혀지거나 펼쳐지면서 상기 아웃리거(2)가 선체(1)의 측부에 포개지는 방향(F)으로 이동되거나 상기 선체(1)의 측부에서 벌어지는 방향(U)으로 이동되게 된다. 상기 선체(1)의 측부에 부설된 가이드 바(112)를 따라 상기 선체(1)의 선두와 선미 각각의 위치에서 왕복 이동되는 상기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 각각에는 상기 선두 및 선미 접철 링크(114a,114b) 각각의 일단이 연결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선두 및 선미 접철 링크(114a,114b) 각각의 일단에는 연직의 힌지축(114-1)이 구비되고, 그 힌지축(114-1)이 상기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에 구비된 힌지부(113-3)에 연결되어 상기 선두 및 선미 접철 링크(114a,114b)의 일단은 상기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에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아웃리거(2)의 전단부와 후단부 각각에는 상기 선두 및 선미 접철 링크(114a,114b) 각각의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기 위한 힌지부(2-1)가 형성된다. 상기 아웃리거(2)의 측부에 형성된 힌지부(2-1) 각각에는 상기 선두 및 선미 접철 링크(114a,114b) 각각의 타단에 구비된 연직의 힌지축(114-2)이 연결된다.
상기 접철 수단(11)의 구속부(115)는 상기 선두 및 선미 접철 링크(114a,114b)의 이동으로 4절 링크 구조가 펼쳐지면서 상기 선체(1)의 측부에서 아웃리거(2)가 벌어지는 방향(U)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4절 링크 구조의 회전이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고 아웃리거(2)가 선체(1)에서 벌어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상기 구속부(115)는 상기 선두 및 선미 접철 링크(114a,114b)가 펼쳐진 상태에서 그 회전을 구속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접철 수단(11)의 구속부(115)는 상기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에 구비된 힌지부(113-3)나 상기 아웃리거(2)에 구비된 힌지부(2-1)에서 힌지축(114-1,114-2)이 회전되지 않도록 핀(pin)을 꼽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나, 도면에는 상기 아웃리거(2)에 구비된 힌지부(2-1)에 상기 구속부(115)로서 스토핑 돌기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선두 및 선미 접철 링크(114a,114b)가 충분히 펼쳐진 상태까지 회전되면 상기 선두 및 선미 접철 링크(114a,114b)가 그 스토핑 돌기에 걸려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구속부(115)는 상기 아웃리거(2)의 선두측과 선미측에 구비된 2개의 힌지부(2-1) 각각에 구비되고, 상기 선두 및 선미 접철 링크(114a,114b)가 완전히 펼쳐져 각각 펼쳐지는 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상기 구속부(2-1)에 걸리는데, 선두 및 선미 접철 링크(114a,114b)가 구속부(2-1)에 걸리는 상태까지 회전된 상태에서는 4절 링크의 구조상 선두 접철 링크(114a)가 접히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선미 접철 링크(114b)는 펼쳐지는 방향으로 회전되어야 하는데 상기 구속부(2-1)에 의해 선미 접철 링크(114b)가 더 이상 펼쳐지는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상기 아웃리거(2)는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이는 상기 선미 접철 링크(114b)가 내측으로 접히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반대의 경우에도 동일한 원리로 작동되어 상기 선두 및 선미 접철 링크(114a,114b)는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되어 상기 아웃리거(2)의 펼쳐진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접철 구동 수단(12)은 상기 접철 수단(11)이 접혀지고 펼쳐지도록 구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접철 구동 수단(12)은 상기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를 상기 가이드 바(112)를 따라 서로 반대방향(Sf,Su,Sf',Su')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그에 따라 상기 접철 수단(11)의 선두 및 선미 접철 링크(114a,114b)가 서로 반대방향(Rf,Ru,Rf',Ru')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아웃리거(2)가 접히는 방향(F)으로 이동되거나 벌어지는 방향(U)으로 이동되게 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접철 구동 수단(12)은 스크류 바(121)와 구동기(122)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스크류 바(121)는 상기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스크류 바(121)는 상기 가이드 바(112)와 유사한 막대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가이드 바(112)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양단 각각이 상기 선두 및 선미 부착구(111a,111b)에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선체(1)의 측부에 장착된다. 상기 스크류 바(121)의 선두 측 단부와 선미 측 단부 각각에는 상기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 각각의 스크류 홀(113-2)에 형성된 암나사와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121-1,121-2)가 형성된다. 상기 수나사(121-1,121-2)에 상기 스크류 홀(113-2)이 나사 결합된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는 상기 스크류 바(121)의 회전으로 상기 가이드 바(112)를 따라 직선으로 이동되게 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는 상기 스크류 바(121)의 일방 회전으로 서로 반대방향(Sf,Su,Sf',Su')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스크류 바(121)의 선두 측 단부와 선미 측 단부 각각에 형성된 수나사(121-1,121-2)는 서로 반대방향의 나사방향을 갖도록 형성되어 한다. 참고로, 상기 스크류 바(121)의 일방 회전으로 상기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가 서로 반대방향(Sf,Su,Sf',Su')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구성은 상기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의 스크류 홀(113-2)의 암나사의 나사 방향을 동일하게 하고, 상기 스크류 바(121)의 선두 측 단부와 선미 측 단부 각각에 형성된 수나사(121-1,121-2)의 나사 형성 방향을 반대로 하여 달성될 수 있지만, 반대로 상기 스크류 바(121)의 선두 측 단부와 선미 측 단부 각각에 형성된 수나사(121-1,121-2)의 나사 형성 방향을 동일하게 하고, 상기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의 스크류 홀(113-2)의 암나사의 나사 방향을 반대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 각각의 스크류 홀(113-1)에 형성된 암나사는 상기 스크류 바(121)의 선두 측 단부와 선미 측 단부 각각에 형성된 수나사(121-1,121-2) 각각과 맞물려 결합되고, 그에 따라 상기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 각각은 상기 스크류 바(121)의 일방 회전으로 서로 반대 방향(Sf,Su,Sf',Su')으로 이동되게 된다.
상기 구동기(122)는 상기 스크류 바(121)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기(122)는 좌석(5)에 앉은 승선자가 손으로 잡아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선체(1)의 측부에 회전지지된 구동 핸들(122-1)과, 상기 구동 핸들(122-1)의 회전을 상기 스크류 바(121)에 전달하도록 한 쌍의 베벨 기어로 구성된 기어부(122-2)로 구성된다.
한편, 도면에는 상기 구동기(122)가 선체(1)의 좌측 측부에 구비되어 좌측에 장착된 스크류 바(121)가 직접 회전구동되고, 우측에 장착된 스크류 바(121)는 좌측 스크류 바(121)에서 우측 스크류 바(121)로 벨트 전동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구성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선체(1)의 좌측 및 우측에 구비된 스크류 바(121) 각각의 선미측 말단에는 벨트 풀리(123)가 결합되고, 그 벨트 풀리(123)를 벨트(124)로 감아 회전 동력이 좌측 스크류 바(121)에서 우측 스크류 바(121)로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벨트 전동에 의해 승선자가 선체(1)의 좌측에 구비된 구동 핸들(122-1)을 회전시키면 좌측에 구비된 스크류 바(121) 뿐만 아니라 우측에 구비된 스크류 바(121)도 회전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아웃리거 접이 장치(10)의 작동은 도 6a 및 도 6b에 개념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카약의 승선자가 선체(1)의 좌석(5)에 앉은 상태에서 손으로 상기 구동기(122)의 구동 핸들(122-1)을 정회전 및 역회전시켜 아웃리거(2)를 선체(1)의 측부에 근접시켜 포개거나 선체(1)의 측부로부터 일정 거리로 떨어뜨려 펼치게 된다.
도 8a는 선체(1)의 측부에 아웃리거(2)가 가깝게 붙어 포개진 상태를 도시한 상태인데, 이 상태에서는 상기 접철 수단(11)의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는 선체(1)의 중앙으로 가깝게 모아진 위치에 위치된다.
도 8b는 선체(1)의 측부에서 아웃리거(2)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상태인데, 이 상태에서는 상기 접철 수단(11)의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는 선체(1)의 중앙에서 서로 멀어진 위치에 위치된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1)의 측부에 아웃리거(2)가 가깝게 붙어 포개진 상태에서 승선자가 아웃리거(2)를 펼치기 위해서 상기 구동기(122)의 구동 핸들(122-1)을 일방으로 회전시키면, 그 회전은 기어부(122-2)를 거쳐 상기 스크류 바(121)를 일방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스크류 바(121)의 회전으로 상기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는 서로 중앙에서 멀어지는 반대 방향(Su,Su')으로 이동되게 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에 연결된 선두 및 선미 접철 링크(114a,114b)의 일단은 상기 가이드 바(112)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선두 및 선미 접철 링크(114a,114b)는 가이드 바(112)에서 벌어지는 방향(Ru,Ru')으로 회전된다. 상기 선두 및 선미 접철 링크(114a,114b)가 상기 가이드 바(112)에서 벌어지는 방향(Ru,Ru')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아웃리거(2)는 선체(1)에서 멀어지면서 펼쳐지는 방향(U)으로 이동되게 된다. 상기 아웃리거(2)가 선체(1)에서 멀어져 충분히 펼쳐진 상태에 도달되면 상기 선두 및 선미 접철 링크(114a,114b)는 상기 구속부(115)에 걸려 더 이상 어느 방향으로도 회전되지 않게 되면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리거(2)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가 유지된다.
반대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1)의 측부에 아웃리거(2)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승선자가 아웃리거(2)를 접기 위해서 상기 구동기(122)의 구동 핸들(122-1)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 회전은 기어부(122-2)를 거쳐 상기 스크류 바(121)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스크류 바(121)의 회전으로 상기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는 서로 중앙으로 모아지는 반대 방향(Su,Su')으로 이동되게 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에 연결된 선두 및 선미 접철 링크(114a,114b)의 일단은 상기 가이드 바(112)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선두 및 선미 접철 링크(114a,114b)는 가이드 바(112)에 포개지는 방향(Rf,Rf')으로 회전된다. 상기 선두 및 선미 접철 링크(114a,114b)가 상기 가이드 바(112)로 모아지는 방향(Rf,Rf')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아웃리거(2)는 선체(1)로 가까워지면서 상기 선체(1)에 포개지는 방향(F)으로 이동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접철 구동 수단(12)은 도 3 내지 도 8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스크류 잭(SCfew Jack) 구동으로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를 왕복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는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9는 와이어를 연결하여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를 이동시키는 접철 구동 수단(12')의 다른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로서 제시된 접철 구동 수단(12')은 승선자가 왕복으로 회전시켜 선두 및 선미 와이어(122a',122b')를 풀고 감을 수 있도록 구성된 권취 핸들(121')을 승선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위치에서 선체(1)의 측부에 설치하고, 상기 권취 핸들(121')의 양측으로 인출되어 상기 권취 핸들(121')에 감기고 풀리는 선두 및 선미 와이어(122a',122b') 각각의 가닥을 선체(1)의 선두측과 선미측에 구비된 선두 및 선미 와이어 지지 롤러(123a',123b')에 지지하여 방향을 전환시키고 각 가닥의 양쪽 말단 각각을 상기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에 연결하여 각 선두 및 선미 와이어(122a',122b')가 무한 궤도상으로 연결되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접철 구동 수단(12')은 상기 권취 핸들(121')을 승선자가 양방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선두 및 선미 와이어(122a',122b')는 상기 권취 핸들(121')에 감기고 풀리게 되고, 그 과정에서 상기 선두 및 선미 와이어(122a',122b') 각각이 상기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 각각을 양방으로 왕복이동 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113a,113b)를 이동시키는 접철 구동 수단은 와이어를 체인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체인을 이용하는 접철 구동 수단의 다른 예는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가 연결된 구동 체인을 도 9에 도시된 와이어와 마찬가지로 선체에 일주하게 무한궤도상으로 설치하고, 구동기가 상기 구동 체인을 잡아당겨 회전시키도록 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20)는 카약 선체(1)의 하부에 장착된 프로펠러(3)를 회전시켜 카약 선체(1)를 전진 또는 후진으로 추진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도 1 내지 도 4 및 도 10 내지 도 15b에는 본 발명에 따른 카약 추진 장치(20)의 구조 및 작동이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상기 추진 장치(20)는 승선자가 좌석(5)에 앉은 상태에서 발로 페달을 밟아 구동시키도록 선체(1)의 바닥(1a)에 고정되고, 승선자가 발로 밟아 생성된 구동력을 선체(1)의 바닥(1a)의 아래에 장착된 프로펠러(3)로 전달시켜 프로펠러(3)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추진 장치(20)는 하우징(21), 프로펠러(3), 페달(22), 회전력 전달 수단(23) 및 페달 복귀 수단(24)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21) 상기 추진 장치(20)를 선체(1)의 바닥(1a)에 고정되는 부분으로, 내부에는 상기 회전력 전달 수단(23)이 수용되어 보호되고, 그 회전력 전달 수단(23)의 입력 측에 연결된 페달(22)이 상기 하우징(21)의 상부에서 양측 외부로 돌출되게 장착되며, 상기 회전력 전달 수단(23)의 출력 측에 연결된 프로펠러(3)가 상기 하우징(21)의 하부에서 후방으로 노출되게 장착되도록 하는 케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21)은 상부의 일부분은 상기 선체(1)의 바닥(1a) 상부에 위치되고, 하부의 일부분은 상기 선체(1)의 바닥(1a) 하부에 위치되게 상기 선체(1)의 바닥에 고정된다. 선체(1)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기 하우징(21)의 상부는 대략 사각 박스 형태의 기어 박스부(211)로 형성되고, 상기 기어 박스부(211)의 하부 중앙에서 하방으로 길게 기둥 형상으로 연장된 연결부(212)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211)의 하단에는 상기 선체(1)의 바닥(1a) 하부에 위치되는 프로펠러 지지부(213)가 전후방향의 원통체 형상으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하우징(21)은 중간의 연결부(212)의 상부에 하부에 기어 박스부(211)와 프로펠러 지지부(213)가 연결된 상태가 되게 상부의 기어 박스부(211), 하부의 프로펠러 지지부(212) 및 연결부(213)가 일체가 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하우징(21)을 선체 바닥(1a)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선체(1)에는 바닥(1a)에 하우징 통과홀(1b)이 형성되고, 그 통과홀(1b)의 주위가 상방으로 연장된 지지단(1c)이 상방으로 돌출되어 그 입구로 물이 넘치지 않도록 입구가 수면 위에 위치되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단(1c)의 상단에는 상기 하우징(21)의 기어 박스부(211)가 걸쳐져 지지되어 상기 지지단(1c)의 상단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21)은 상기 기어 박스부(211)가 상기 지지단(1c)의 상단에 지지되어 상기 선체(1)의 바닥(1a)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프로펠러 지지부(213)는 상기 선체(1)의 바닥(1a)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연결부(212)가 상기 하우징 통과홀(1b)을 지나게 상기 선체(1)의 바닥(1a)에 고정된다.
상기 페달(22)은 좌석(5)에 앉은 승선자가 발로 밟아 회전력을 상기 추진 장치(20)에 입력하기 위한 구성으로 통상 자전거의 페달과 같이 구성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페달(22)은 상기 선체(1)의 바닥(1a) 상부에 위치된 상기 하우징(21) 상부의 일부분, 즉 기어 박스부(211)의 양측으로 돌출되에 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페달(22)은 하술하는 방향 전환 기어부(231)의 기어축(231a)의 양단으로 연결되어 페달(22)의 회전은 상기 기어축(231a)의 회전으로 이어지게 된다.
상기 프로펠러(3)는 수중에서 회전되어 물을 밀어내면서 반력에 의해 선체(1)에 추력을 가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프로펠러(3)는 상기 선체(1)의 바닥(1a) 하부에 위치된 상기 하우징(21) 하부의 일부분, 즉 프로펠러지 지지부(233)의 후미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선체(1)의 바닥(1a) 아래 수중에서 회전된다.
상기 회전력 전달 수단(23)은 상기 페달(22)의 회전을 상기 프로펠러(3)로 전달하도록 기어 및 클러치 등이 조합되어 상기 하우징(21)의 내부에 구비된 구성이다. 상기 회전력 전달 수단(23)은 상기 페달(22)의 회전력을 입력받아 회전 방향을 전환하여 출력하는 방향 전환 기어부(231)와, 상기 방향 전환 기어부(231)의 출력을 상기 프로펠러로 전달하는 회전 전달부(232)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방향 전환 기어부(231)는 기어축(231a), 클러치 슬리브(231b), 한 쌍의 방향 전환 기어(231c,231c') 및 출력 기어(231d)가 구비되어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21)의 기어 박스부(211)의 내부에 수용된다.
상기 기어축(231a)은 상기 페달(22)에 연결되어 페달(22)의 회전으로 회전력을 입력받는 축 부재이다. 상기 기어축(231a)은 페달(22)에 직접 연결될 수 있으나 도면에는 하술하는 페달 복귀 수단(24)을 구성하는 일방향 클러치(241)를 통해 페달(22)과 간접적으로 연결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기어축(231a)과 페달(22)을 매개하는 일방향 클러치(241)에 기어축(231a)이 연결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기어축(231a)은 가공과 조립의 편의를 위해 외면에 스플라인이 형성된 코어축(231a-1)과, 상기 코어축(231a-1)이 삽입되어 스플라인 결합되는 통 형상의 스플라인 케이스(231a-2)로 구성된다.
상기 코어축(231a-1)의 양측 단부는 상기 스플라인 케이스(231a-2)의 양측으로 노출되고 그 노출된 단부 부위는 상기 일방향 클러치(241)의 클러치 캠(241b)의 중앙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스플라인 결합되며, 그에따라 상기 일방향 클러치(241)를 통해 상기 페달(22)로부터 회전력이 상기 코어축(231a-1)으로 입력되게 된다.
상기 스플라인 케이스(231a-2)는 상기 코어축(231a-1)에 스플라인 결합되어 상기 코어축(231a-1)과 일체로 회전된다. 상기 스플라인 케이스(231a-2)의 중앙 부위에는 상기 클러치 슬리브(231b)가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면서 스플라인 결합되기 위한 슬리브 스플라인부(231a-3)가 형성되고, 그 슬리브 스플라인부31a-3)의 양측 각각에는 상기 방향 전환 기어(231c,231c')가 미끄러지면서 회전이 가능하게 삽입되어 지지되는 기어 장착부(231a-4,231a-4')가 형성된다.
상기 클러치 슬리브(231b)는 상기 기어축(231a)의 회전을 상기 방향 전환 기어(231c,231c')로 전달하거나 단절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클러치 슬리브(231b)는 상기 기어축(231a)의 슬리브 스플라인부(231a-3)에 형성된 스플라인에 맞물려 상기 기어축(231a)과 일체로 회전되며, 또한 상기 기어축(231a)의 양측에 위치된 한 쌍의 방향 전환 기어(231c,231c')와 접촉되어 결합되고 떨어지도록 상기 기어축(231a)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클러치 슬리브(231b)에는 중앙 부위에 클러치 스틱(231e)의 말단이 회전방향으로는 미끄러지면서 축방향으로 걸리기 위한 스틱홈(231b-1)이 형성되고, 양측 말단부 측면에는 상기 방향 전환 기어(231c,231c')의 내측에 형성된 클러치부(231c-1)와 맞물리는 클러치 돌기(231b-2)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클러치 슬리브(231b)는 승선자가 상기 클러치 스틱(231e)을 좌우로 조작함으로써 상기 기어축(231a)의 축방향으로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되고, 그 말단부 측면이 상기 방향 전환 기어(231c,231c')의 내측면에 접촉되면서 말단부 측면에 형성된 클러치 돌기(231b-2)가 상기 방향 전환 기어(231c,231c')의 클러치부(231c)와 맞물리게 된다.
상기 한 쌍의 방향 전환 기어(231c,231c')는 상기 클러치 슬리브(231b)의 양측에 배치되어 각각 상기 기어축(231a)의 기어 장착부(231a-4, 231a-4)에 삽입되어 미끄러지면서 상기 기어축(231a)와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게 상기 기어축(231a)의 양측 단부에 지지되게 장착된다.
상기 한 쌍의 방향 전환 기어(231c,231c')의 내측면에는 상기 클러치 슬리브(231b)의 양측 말단부 측면이 접촉되는데, 그 접촉시 상기 클러치 슬리브(231b)의 클러치 돌기(231b-2)와 맞물리는 클러치부(231c-1)가 돌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한 쌍의 방향 전환 기어(231c,231c')는 각각의 내측에 상기 클러치 슬리브(231b)의 양측 말단부 측면에 형성된 클러치 돌기(231b-2)와 맞닿아 맞물리는 클러치부(231c-1)가 형성되고, 각각 상기 클러치 슬리브(231b)의 양측 각각에 위치되어 상기 기어축(231a)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상기 기어축(231a)의 양측 단부 각각에 지지된다.
상기 출력 기어(231d)는 상기 한 쌍의 방향 전환 기어(231c,231c')와 동시에 맞물리게 장착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방향 전환 기어(231c,231c')와 출력 기어(231d)는 베벨 기어로 형성되어 서로 직각을 이루게 배치되어 서로 맞물린 상태가 된다. 상기 출력기어(231d)에는 상기 회전 전달부(232)의 연결축(232a)의 상단이 결합되어 상기 출력 기어(231d)와 연결축(232a)은 일체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출력 기어(231d)는 한 쌍의 방향 전환 기어(231c,231c') 중 하나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연결축(232a)과 일체로 회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방향 전환 기어부(231)는 페달(22)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입력되는 일방향 회전 방향을 바꾸어 상기 출력 기어(231d)를 회전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회전 전달부(232)를 통해 상기 출력 기어(231d)의 회전을 전달받는 프로펠러(3)의 회전 방향이 바꾸어 선체(1)를 전진시키거나 후진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방향 전환 기어부(231)의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우선, 도 14a는 페달(22)의 회전이 상기 출력 기어(231d)로 전달되지 않는 중립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a를 참조하면, 승선자가 클러치 스틱(231e)을 중앙의 위치로 조작하면 상기 클러치 슬리브(231b)는 기어축(231a)의 중앙의 위치에 위치되어 양측 말단부 측면 모두가 상기 방향 전환 기어(231c,231c')의 내측면과 떨어진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페달(22)의 회전으로 상기 기어축(231a)과 상기 클러치 슬리브(231b)가 회전되더라도 그 양측에 위치된 한 쌍의 방향 전환 기어(231c,231c')는 모두 회전되지 않고 정지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방향 전환 기어(231c,231c') 모두와 맞물린 출력 기어(231d)도 회전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도 14b는 페달(22)의 회전이 상기 출력 기어(231d)를 정방향(Tf)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클러치 슬리브(231b)가 우측 방향 전환 기어(231c)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b를 참조하면, 승선자가 클러치 스틱(231e)을 좌측 방향(Af)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조작하면 상기 클러치 스틱(231e)의 말단은 스틱홈(231b-1)에 걸리면서 상기 클러치 슬리브(231b)를 우측 방향(Bf)으로 밀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클러치 슬리브(231b)는 기어축(231a)의 우측 방향(Bf)으로 이동되면서 우측 말단부 측면이 우측에 위치된 방향 전환 기어(231c)의 내측면과 접촉되게 되고 결과적으로 클러치 슬리브(231b)의 우측 말단부 측면에 형성된 클러치 돌기(231b-2)가 우측에 위치된 방향 전환 기어(231c)의 클러치부(231c-1)와 맞물리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페달(22)의 회전은 상기 기어축(231a), 상기 클러치 슬리브(231b) 및 우측에 위치된 방향 전환 기어(231c)를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우측에 위치된 방향 전환 기어(231c)와 맞물린 출력 기어(231d)는 정방향(Tf)으로 회전되게 된다.
반대로 도 14c는 페달(22)의 회전이 상기 출력 기어(231d)를 역방향(Tb)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클러치 슬리브(231b)가 좌측 방향 전환 기어(231c')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c를 참조하면, 승선자가 클러치 스틱(231e)을 우측 방향(Ab)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조작하면, 상기 클러치 스틱(231e)의 말단은 스틱홈(231b-1)에 걸리면서 상기 클러치 슬리브(231b)를 좌측 방향(Bb)으로 밀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클러치 슬리브(231b)는 기어축(231a)의 좌측 방향(Bb)으로 이동되면서 좌측 말단부 측면이 좌측에 위치된 방향 전환 기어(231c')의 내측면과 접촉되게 되고 결과적으로 클러치 슬리브(231b)의 좌측 말단부 측면에 형성된 클러치 돌기(231b-2)가 좌측에 위치된 방향 전환 기어(231c')의 클러치부(231c-1)와 맞물리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페달(22)의 회전은 상기 기어축(231a), 상기 클러치 슬리브(231b) 및 좌측에 위치된 방향 전환 기어(231c')를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좌측에 위치된 방향 전환 기어(231c')와 맞물린 출력 기어(231d)는 역방향(Tb)으로 회전되게 된다.
상기 회전 전달부(232)는 연결축(232a) 및 전달 기어(232b)가 구비되어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21)의 연결부(212) 및 프로펠러 지지부(213)의 내부에 수용된다.
상기 연결축(232a)은 상기 방향 전환 기어부(231)의 출력기어(231d)와 상기 전달 기어(232b)를 연결하는 축부재이다. 상기 연결축(232a)은 상단이 상기 방향 전환 기어부(231)의 출력기어(231d)와 연결되어 연직으로 세워져 상기 기어 박스부(211)에서 상기 프로펠러 지지부(213)로 이어지게 연장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축(232a)은 상기 하우징(21)의 연결부(212)를 지나 상기 기어 박스부(211)에서 상기 프로펠러 지지부(213)로 이어지게 세워져 베어링 등의 구성으로 상기 하우징(2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전달 기어(232b)는 상기 연결축(232a)의 회전을 상기 프로펠러(3)의 회전축에 전달하도록 상기 연결축(232b)과 상기 프로펠러(3)의 회전축에 구비되어 서로 맞물린 한 쌍의 베벨 기어로 구성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전달 기어(232b)는 상기 프로펠러 지지부(213) 내부에 수용된다.
상기 페달 복귀 수단(24)은 승선자가 한 쌍의 페달(22)을 밟는 힘만 가하면서 상기 기어축(231a)에 한 방향으로의 회전을 입력하기 위한 구성이다. 통상 페달(22)을 일회전 시키면 기어축(231a)은 페달의 일회전 방향으로 회전되지만 승선자가 좌석(5)에 앉은 상태에서 페달(22)을 양발로 일회전시키는 동작은 힘이 들고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페달 복귀 수단(24)에 의해 승선자가 한 쌍의 페달(22)을 교대로 앞으로 미는 방향으로 밟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승선자가 밟아 앞으로 회전된 페달(22)은 다시 복귀되어야 승선자가 다시 밟을 수 있는데, 상기 페달 복귀 수단(24)는 승선자가 밟아서 앞으로 회전된 페달(22)이 후방으로 복귀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페달 복귀 수단(24)은 한 쌍의 일방향 클러치(241,241'), 한 쌍의 드럼 기어(242,242') 및 중개 기어(243)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일방향 클러치(241,241')는 승선자가 상기 페달(22)을 밟는 동작에 의해 앞으로 회전되는 회전력만 상기 기어축(231a)에 전달되고 상기 페달(22)가 후방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는 기어축(231a)으로의 연결이 단절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일방향 클러치(241,241')는 상기 페달(22)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상기 페달(22)의 회전 중심에서 상기 페달(22)에 연결된 클러치 드럼(241a)과, 상기 클러치 드럼(241a)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클러치 드럼(241a)과 캠기구에 의해 일방향으로만 회전이 연결되도록 상기 클러치 드럼(241a)과 맞물리거나 단절되는 클러치 캠(241b)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클러치 캠(241b)에는 상기 기어축(231a)의 양측 말단부가 스플라인 결합되며, 그에 따라 상기 클러치 캠(241b)과 기어축(231a)은 일체로 회전된다.
상기 한 쌍의 드럼 기어(242,242') 및 중개 기어(243)는 우측(또는 좌측) 페달(22)의 전방으로의 회전시 좌측(또는 우측) 페달(22)을 후방으로 회전시켜 승선자가 밟을 수 있는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드럼 기어(242,242') 각각은 상기 한 쌍의 일방향 클러치(241,241') 각각의 클러치 드럼(241a)과 결합되어 상기 클러치 드럼(242a)과 일체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상기 페달(22)의 회전에 의해 클러치 드럼(241a) 및 드럼 기어(242,242')은 상기 페달(22)와 일체로 회전되게 된다. 상기 중개 기어(243)는 한 쌍의 드럼 기어(242,242')와 동시에 맞물리려 상기 일측 드럼 기어의 회전을 타측 드럼 기어의 회전으로 전달하는 구성이다. 도면에는 상기 한 쌍의 드럼 기어(242,242')와 중개 기어(243)은 베벨 기어로 형성되어 서로 직각으로 배치되어 연결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페달 복귀 수단(24)은 한 쌍의 페달(22)을 번갈아 밟는 동작만으로 상기 기어축(231a)을 한 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5a 및 도 15b는 상기 페달 복귀 수단(24)의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 15a에서와 같이 우측 페달(22)을 승선자가 밟아 전방(Cf1)으로 회전시키면 그에 따라 우측에 위치된 드럼 기어(242)도 전방(Cf2)으로 회전되게 되며, 그 회전은 우측에 위치된 일방향 클러치(241)의 연결에 의해 기어축(231a)을 전방(Cf3)로 회전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우측에 위치된 드럼 기어(241)에 맞물린 중개 기어(243)은 우회전 방향(Cf4)로 회전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중개 기어(243)의 좌측에 위치되어 상기 중개 기어(243)와 맞물린 드럼 기어(242')는 후방(Cf5)으로 회전된다. 상기 좌측에 위치된 드럼 기어(242')가 후방(Cf5)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좌측에 위치된 페달(22)도 후방(Cf6)으로 회전되면서 승선자가 다시 밟을 수 있는 위치로 복귀된다. 이때, 좌측에 위치된 드럼 기어(242')는 후방(Cf5)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좌측에 위치된 일방향 클러치(241')는 연결되지 않아 좌측에 위치된 드럼 기어(242')는 기어축(231a)의 회전과는 간섭되지 않고 자유롭게 회전되게 된다.
반대로 도 15b에서와 같이 좌측 페달(22)을 승선자가 밟아 전방(Cb1)으로 회전시키면 그에 따라 좌측에 위치된 드럼 기어(242')도 전방(Cb2)으로 회전되게 되며, 그 회전은 좌측에 위치된 일방향 클러치(241')의 연결에 의해 기어축(231a)을 전방(Cb3)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좌측에 위치된 드럼 기어(241')에 맞물린 중개 기어(243)은 좌회전 방향(Cb4)로 회전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중개 기어(243)의 d우측에 위치되어 상기 중개 기어(243)와 맞물린 드럼 기어(242)는 후방(Cb5)으로 회전된다. 상기 우측에 위치된 드럼 기어(242)가 후방(Cb5)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우측에 위치된 페달(22)도 후방(Cb6)으로 회전되면서 승선자가 다시 밟을 수 있는 위치로 복귀된다. 이때, 우측에 위치된 드럼 기어(242)는 후방(Cb5)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우측에 위치된 일방향 클러치(241)는 연결되지 않아 우측에 위치된 드럼 기어(242)는 기어축(231a)의 회전과는 간섭되지 않고 자유롭게 회전되게 된다.
상기 조향 장치(30)는 카약 선체(1)의 후미에 장착된 방향키(4)를 좌우로 회전시켜 카약 선체(1)를 회전시켜 추진 방향을 조절하거나 바꾸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조향 장치(20)는 승선자가 좌석(5)에 앉은 상태에서 발이 무릎으로 방향키(4)의 회전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4 및 도 16 내지 도 21에는 상기 조향 장치(30)의 다양한 실시예의 구조 및 작동이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조향 장치(30)은 조타 드럼(31), 연결구(32), 방향키(4) 및 한 쌍의 케이블(33)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조타 드럼(31)은 승선자가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선체(1)의 바닥(1a)의 상부에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장착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조타 드럼(31)은 승선자가 좌석(5)에 앉은 상태에서 발로 눌러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추진 장치(20)의 페달(22)과 좌석(5) 사이의 위치에서 선체(1)의 바닥(1a)의 상부에 회전이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회전 드럼(31)은 그 자체의 외주에 케이블(33)이 감기고 풀리면서 케이블(33)을 잡아 당김으로써 방향키(4)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뿐만 아니라 그 내부에 상기 케이블(33)을 일방으로 잡아 당기는 조타 슬라이더(333)가 장착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조타 드럼(31)은 하부의 베이스 드럼(311)과 그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 드럼(312)으로 구성되고, 그 내부에 조타 슬라이더(313)가 장착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베이스 드럼(311)은 하부 중심에 있는 지지축(331a)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선체 바닥(1a)에 지지된다. 상기 베이스 드럼(311)의 양쪽으로는 상기 한 쌍의 케이블(33)이 연결되는데, 상기 조타 드럼(31)의 회전으로 상기 케이블(33)이 이탈되지 않고 안착되어 감기도록 상기 베이스 드럼(311)의 외주면에는 케이블 권취홈(311b) 원주 방향으로 길게 패여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드럼(311)의 양측 각각에는 케이블 권취홈(311a)의 시작 위치에 상기 한 쌍의 케이블(33) 각각의 말단 부분이 삽입되어 통과되기 위한 케이블 통과홀(311c)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조타 드럼(31)의 내부에는 상기 조타 드럼(31)을 회전시키지 않고서 상기 케이블(33)을 잡아당길 수 있도록 좌우로 이동되는 조타 슬라이더(313)이 장착되는데, 상기 베이스 드럼(311)의 내부에는 상기 조타 슬라이더(313)의 좌우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홈(311d)이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커버 드럼(312)은 상기 베이스 드럼(311)의 상부를 커버하면서 상기 조타 드럼(31)의 내부에 장착된 조타 슬라이더(313)이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도록 상기 베이스 더름(311)의 상부에 결합되는 구성이다. 상기 커버 드럼(311)의 상면에는 상기 조타 슬라이더(313)의 조타 레버(313b)가 통과되게 상하로 관통되고, 상기 조타 슬라이더(313)의 좌우 이동시 간섭되지 않고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가이드 슬롯(312a)이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 드럼(312)의 상부에는 조타 레버(313b)가 상방으로 돌출되지 않고 상기 커버 드럼(312)의 상부로 수용되기 위한 레버 안착홈(312b)가 상기 가이드 슬롯(312a)의 중앙의 위치에서 전방으로 길게 패여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슬롯(312a)과 상기 레버 안착홈(312b)는 전체적으로 T자의 형상을 갖게 된다.
상기 조타 슬라이더(313)은 상기 조타 드럼(31)을 회전시키지 않고서도 조타 슬라이더(313)의 좌우 이동만으로 상기 케이블(33)을 잡아 당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조타 슬라이더(313)는 슬라이딩 블록(313a)과 조타 레버(313b)로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블록(313a)은 상기 베이스 드럼(311)의 내부에 좌우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홈(311d)에 지지되어 그 가이드홈(311d)를 따라 좌우로 이동되는 구성이다. 상기 슬라이딩 블록(313a)의 양측 각각에는 상기 케이블 통과홀(311c)을 통과하여 상기 조타 드럼(31)의 내부로 삽입된 케이블(33) 각각의 말단이 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딩 블록(313a)가 상기 가이드홈(311d)을 따라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슬라이딩 블록(313a)의 타측 방향의 위치에 연결된 케이블(33)은 잡아 당겨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방향키(4)가 회전되게 된다.
상기 조타 레버(313b)는 승선자가 상기 조타 슬라이더(313)를 좌우 일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조타 슬라이더(313)에 미는 힘을 가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블록(313a)에 연결되어 상기 커버 드럼(312)의 상부로 노출되는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조타 레버(313b)는 막대 형상의 부재로 형성되어, 전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그 하부 말단이 상기 슬라이딩 블록(313a)의 상부에 힌지 연결된다. 상기 슬라이딩 블록(313a)의 상부에 힌지 연결된 조타 레버(313b)는 상기 가이드 슬롯(312a)를 통과하여 상기 커버 드럼(312)의 상부로 노출되게 된다. 상기 조타 레버(312b)는 전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상기 슬라이딩 블록(313a)에 힌지 연결되어 있어, 전방으로 회전되어 눕혀져 상기 커버 드럼(312)의 상면에 형성된 레버 안착홈(312b)에 수용되어 안착된다. 승선자는 상기 조타 슬라이더(313)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조타 레버(313b)를 눕혀 상기 레버 안착홈(312b)에 안착시키고, 상기 조타 슬라이더(313)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타 레버(313b)를 연직으로 세우게 된다. 상기 조타 레버(313b)가 세워진 상태에서 승선자는 손이나 무릎 또는 발로 상기 조타 레버(313b)를 좌우로 밀어 상기 조타 슬라이더(313)을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방향키(4)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승선자는 상기 조타 드럼(31)을 발로 밟아 회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조타 슬라이더(313)을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조타 레버(313b)를 손으로 잡고 상기 조타 드럼(31)을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조타 레버(313b)는 상기 조타 드럼(31)의 회전 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구(32)는 상기 방향기(4)를 회전시킬 수 있는 위치에 한 쌍의 케이블(33)이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구(32)는 상기 방향키(4)의 회전 중심에서 좌우로 편심된 위치로 연장된 부분을 갖고 상기 방향키(4)와 일체로 회전되게 상기 방향키(4)에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방향키(4)의 회전 중심에서 좌우로 편심된 위치로 연장된 부분에는 한 쌍의 케이블(33) 각각의 말단이 연결된다.
상기 한 쌍의 케이블(33)은 상기 조타 드럼(31)의 좌우 회전이나 상기 조타 슬라이더(313)의 좌우 이동으로 잡아 당겨지는 힘을 상기 연결구(32)로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케이블(33)은 각각 상기 조타 드럼(31)의 외주에 감기게 각각의 일단이 상기 조타 드럼(31)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케이블(33)은 각각 상기 조타 드럼(31)의 좌우 측부에서 상기 방향키(4) 방향으로 연장되어 각각의 타측 말단이 상기 연결구(32)의 좌우 양측에 편심된 위치에 연결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케이블(33) 각각은 상기 베이스 드럼(311)의 양측에 형성된 케이블 통과홀(311c)로 삽입되어 그 말단이 상기 조타 드럼(31)의 내부에 장착된 조타 슬라이더(313)의 양측 각각에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케이블(33)은 상기 조타 드럼(31)의 폭방향 양측 각각에 형성된 케이블 통과홀(311c)에 지지되어 일단이 상기 조타 슬라이더(313)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케이블 통과홀(311c)은 케이블(33)이 지지되는 '케이블 지지부'의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조향 장치(30)는 상기 조타 드럼(31)을 좌우로 회전시키거나 조타 슬라이더(313)을 좌우로 이동시켜 방향키(4)를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8a 내지 도 18c는 상기 조타 드럼(31)의 좌우 회전으로 방향키(4)가 회전되는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8a는 조타 드럼(31)이 좌우로 회전되지 않고 중립 위치에 위치되어 방향키(4)가 중립의 위치에서 정지되어 선체가 직진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 18b는 승선자가 조타 드럼(31)을 좌측 방향(Df1)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선체가 우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8b를 참조하면, 승선자가 조타 드럼(31)을 좌측 방향(Df1)으로 회전시키면 한 쌍의 케이블(33) 중 우측에 위치된 케이블이 상기 조타 드럼(31)에 감기면서 전방(Df2)으로 잡아 당겨지게 되고 그에 따라 우측에 위치된 케이블이 상기 연결구(32)를 잡아 당겨 좌측 방향(Df3)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방향키(4)도 좌측 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반대로 도 18c는 승선자가 조타 드럼(31)을 우측 방향(Db1)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선체가 좌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8c를 참조하면, 승선자가 조타 드럼(31)을 우측 방향(Db1)으로 회전시키면 한 쌍의 케이블(33) 중 좌측에 위치된 케이블이 상기 조타 드럼(31)에 감기면서 전방(Db2)으로 잡아 당겨지게 되고 그에 따라 좌측에 위치된 케이블이 상기 연결구(32)를 잡아 당겨 우측 방향(Db3)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방향키(4)도 우측 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한편, 도 19a 내지 도 19c는 상기 조타 드럼(31)을 회전시키지 않고 조타 슬라이더(313)의 좌우 방향 이동으로 방향키(4)가 회전되는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9a는 조타 슬라이더(313)이 좌우로 이동되지 않고 중립 위치에 위치되어 방향키(4)가 중립의 위치에서 정지되어 선체가 직진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 19b는 승선자가 조타 슬라이더(313)를 좌측 방향(Ef1)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선체가 우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9b를 참조하면, 승선자가 조타 슬라이더(313)을 좌측 방향(Ef1)으로 이동시키면 한 쌍의 케이블(33) 중 우측에 위치된 케이블이 전방(Ef2)으로 잡아 당겨지게 되고 그에 따라 우측에 위치된 케이블이 상기 연결구(32)를 잡아 당겨 좌측 방향(Ef3)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방향키(4)도 좌측 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반대로 도 19c는 승선자가 조타 슬라이더(313)를 우측 방향(Eb1)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선체가 좌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9c를 참조하면, 승선자가 조타 슬라이더(313)을 우측 방향(Eb1)으로 이동시키면 한 쌍의 케이블(33) 중 좌측에 위치된 케이블이 전방(Eb2)으로 잡아 당겨지게 되고 그에 따라 좌측에 위치된 케이블이 상기 연결구(32)를 잡아 당겨 우측 방향(Eb3)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방향키(4)도 우측 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한편, 상기된 실시예서는 조타 레버를 승선자가 좌우로 잡아 당겨 상기 조타 슬라이더(313)를 좌우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이 설명되었는데, 상기 조타 슬라이더(313)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타 레버를 지렛대의 지지점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구성하고 그 조타 레버를 지렛대와 같이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조타 슬라이더(313)을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0에서 (a)는 조타 레버가 연직으로 세워진 상태로서 조타 슬라이더(313)가 중립의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b)는 조타 레버를 좌측(Gf1)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조타 슬라이더(313)가 우측(Gf2)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c)는 조타 레버를 우측(Gb1)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조타 슬라이더(313)가 좌측(Gb2)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조향 장치에 의해 방향키가 선체(1)의 후미에만 구비된 카약의 방향을 조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강물과 같이 역류나 순류를 주행하는 경우에도 조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도 21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향 장치는 선체(1)의 후미 및 선두 각각에 방향키(4,4')를 장착하고, 하나의 조타 드럼(31)으로 후미 및 선두 방향키(4,4') 모두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카약 추진 장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선체
1a 선체 바닥
1b 하우징 통과홀
1c 지지단
2 아웃리거
2-1 힌지부
3 프로펠러
4 방향키
5 좌석
10 아웃리거 접이 장치
11 접철 수단
111a,111b 선두 및 선미 부착구
112 가이드 바
113a,113b 선두 및 선미 슬라이더
113-1 슬라이딩 홀
113-2 스크류 홀
113-3 힌지부
114a,114b 선두 및 선미 접철 링크
114-1,114-2 힌지축
115 구속부(스토핑 돌기)
12 접철 구동 수단
121 스크류 바
121-1,121-2 수나사
122 구동기
122-1 구동 핸들
122-2 기어부
123 벨트 풀리
124 벨트
20 추진 장치
21 하우징
211 기어 박스부
212 연결부
213 프로펠러 지지부
22 페달
23 회전력 전달 수단
231 방향 전환 기어부
231a 기어축
231a-1 코어축
231a-2 스플라인 케이스
231a-3 슬리브 스플라인부
231a-4, 231a-4’ 기어 장착부
231b 클러치 슬리브
231b-1 스틱홈
231b-2 클러치 돌기
231c,231c' 방향 전환 기어
231c-1 클러치부
231d 출력 기어
231e 클러치 스틱
232 회전 전달부
232a 연결축
232b 전달기어
24 페달 복귀 수단
241,241’ 일방향 클러치
241a 클러치 드럼
241b 클러치 캠
242,242’ 드럼 기어
243 중개 기어
30 조향 장치
31 조타 드럼
311 베이스 드럼
311a 지지축
311b 케이블 권취홈
311c 케이블 통과홀
311d 가이드홈
312 커버 드럼
312a 가이드 슬롯
312b 레버 안착홈
313 조타 슬라이더
313a 슬라이딩 블록
313b 조타 레버
32 연결구
33 케이블

Claims (5)

  1. 선체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추진시키기 위한 카약 추진 장치에 있어서,
    상부의 일부분은 상기 선체의 바닥 상부에 위치되고 하부의 일부분은 상기 선체의 바닥 하부에 위치되게 상기 선체의 바닥에 고정되는 하우징(21)과, 상기 선체의 바닥 하부에 위치된 상기 하우징(21) 하부의 일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선체의 바닥 아래에서 회전되는 프로펠러(3)와, 상기 선체의 바닥 상부에 위치된 상기 하우징 상부의 일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승선자가 발로 밟아 회전시키는 페달(22)과, 상기 페달의 회전을 상기 프로펠러로 전달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된 회전력 전달 수단(23)이 구비되어 구성되되,
    상기 하우징(21)은, 상부의 기어 박스부(211)와, 하부의 프로펠러 지지부(213)와, 상기 기어 박스부와 프로펠러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212)가 구비되어 구성되고,
    선체에는 바닥에 하우징 통과홀(1b)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21)은, 상기 기어 박스부(211)가 상기 선체의 바닥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프로펠러 지지부(213)는 상기 선체의 바닥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연결부(212)가 상기 하우징 통과홀(1b)을 지나게 상기 선체의 바닥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력 전달 수단(23)은, 상기 페달의 회전력을 입력받아 회전 방향을 전환하여 출력하는 방향 전환 기어부(231)와, 상기 방향 전환 기어부의 출력을 상기 프로펠러로 전달하는 회전 전달부(232)가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약 추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전달부(232)는 상기 방향 전환 기어부의 출력 기어와 연결되어 연직으로 세워진 연결축(232a)과,
    상기 연결축의 회전을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축에 전달하도록 상기 연결축과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축에 구비되어 서로 맞물린 전달 기어(232b)가 구비되어 구성되고,
    상기 방향 전환 기어부(231)는 기어 박스부(211)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연결축(232a)은 상기 기어 박스부(211)에서 상기 프로펠러 지지부(213)로 이어지게 연장되고,
    상기 연결축(232a)과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축에 구비되어 서로 맞물린 전달 기어(232b)는 상기 프로펠러 지지부(213) 내부에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약 추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전환 기어부(231)는, 중앙 부분에 스플라인이 형성되어 상기 페달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기어축(231a)과,
    상기 기어축(231a)의 스플라인에 맞물려 상기 기어축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클러치 슬리브(231b)와,
    각각의 내측에 상기 클러치 슬리브(231b)의 양측 말단부와 맞닿아 맞물리는 클러치부(231c-1)가 형성되고, 각각 상기 클러치 슬리브(231b)의 양측 각각에 위치되어 상기 기어축(231a)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상기 기어축의 양측 단부 각각에 지지된 한 쌍의 방향 전환 기어(231c,231c')와,
    상기 연결축(232a)과 일체로 회전되게 상기 연결축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방향 전환 기어와 동시에 맞물리는 출력 기어(231d)가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약 추진 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180145806A 2018-11-22 2018-11-22 카약 추진 장치 KR102123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806A KR102123652B1 (ko) 2018-11-22 2018-11-22 카약 추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806A KR102123652B1 (ko) 2018-11-22 2018-11-22 카약 추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0162A KR20200060162A (ko) 2020-05-29
KR102123652B1 true KR102123652B1 (ko) 2020-06-26

Family

ID=70912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5806A KR102123652B1 (ko) 2018-11-22 2018-11-22 카약 추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365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7687A (ja) * 2002-02-20 2003-08-27 Yamaha Motor Co Ltd 小型船舶のアウトリガー構造
KR101801636B1 (ko) 2016-08-04 2017-11-27 조민수 보트용 추진장치 및 이를 적용한 보트
US20180001986A1 (en) * 2016-06-30 2018-01-04 Confluence Outdoor, Llc Propulsion system for a watercraf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0709A (ko) * 2006-08-17 2008-03-06 강용중 무동력보트를 지렛대로 이용한 동력전달 장치
KR20170104856A (ko) 2016-03-08 2017-09-18 주식회사 태은 무(無)동력 워터젯 추진기를 사용한 카약 및 원리
KR200490670Y1 (ko) 2018-03-22 2019-12-13 이정석 모터 추진체를 갖는 카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7687A (ja) * 2002-02-20 2003-08-27 Yamaha Motor Co Ltd 小型船舶のアウトリガー構造
US20180001986A1 (en) * 2016-06-30 2018-01-04 Confluence Outdoor, Llc Propulsion system for a watercraft
KR101801636B1 (ko) 2016-08-04 2017-11-27 조민수 보트용 추진장치 및 이를 적용한 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0162A (ko) 2020-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60161A (ko) 카약의 아웃리거 접이 장치
EP2396220B1 (en) Remote drive
US6607207B2 (en) Wheeled personal mobility devices with collapsible wheel axle assemblies and integrated steering and propulsion linkages
CN107249979A (zh) 水上自行车
US7568444B2 (en) Folding kayak
DE3334482A1 (de) Zusammenklapp- bzw. legbares paddelboot
KR102123652B1 (ko) 카약 추진 장치
EP3353045B1 (de) Wassergleitfahrzeug
US3844246A (en) Amphibious bicycle
US9428255B2 (en) Flexible propeller and uses for small vessels
CN101586643A (zh) 传动装置
KR20200060163A (ko) 카약의 조향 장치
CN101559278A (zh) 组合游泳器
KR102123654B1 (ko) 카약 추진 장치
WO2010091485A2 (en) Portable boat
WO2018184380A1 (zh) 水陆两用脚踏车外组架
DE102015115893B4 (de) Transportierbares Wassergleitfahrzeug
DE4031336C2 (ko)
JP2017105417A (ja) 折畳車両
KR200392490Y1 (ko) 소형선박의 어로작업용 보조엔진의 조향장치
US10286973B2 (en) Bicycle handlebar folding mechanism
KR101327532B1 (ko) 추진 핀의 좌우 추진식 수상 자전거
KR20120083657A (ko) 수동형 수상 겸 수중 추진장치
KR200273215Y1 (ko) 수상이동구조물
JP2003237687A (ja) 小型船舶のアウトリガー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