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3400B1 - 청소용 세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청소방법 - Google Patents

청소용 세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청소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3400B1
KR102123400B1 KR1020200035753A KR20200035753A KR102123400B1 KR 102123400 B1 KR102123400 B1 KR 102123400B1 KR 1020200035753 A KR1020200035753 A KR 1020200035753A KR 20200035753 A KR20200035753 A KR 20200035753A KR 102123400 B1 KR102123400 B1 KR 102123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detergent composition
sodium
starfish
trichlor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5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보경
Original Assignee
(주)신흥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흥기업 filed Critical (주)신흥기업
Priority to KR1020200035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34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3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34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4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8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the liquid having chemical or dissolving effect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11D1/29Sulfates of polyoxyalkylene 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83Mixtures of non-ionic with anionic compounds
    • C11D1/831Mixtures of non-ionic with anionic compounds of sulfonates with ethers of polyoxyalkylenes without phosph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04Water-soluble compounds
    • C11D3/046Sal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04Water-soluble compounds
    • C11D3/10Carbonates ;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11D3/2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in the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4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C11D3/3481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ur in a heterocyclic ring, e.g. sultones or sulfol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4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C11D3/349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additionally containing nitrogen atoms, e.g. nitro, nitroso, amino, imino, nitrilo, nitrile groups containing compounds or their derivatives or thio urea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용 세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청소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아염소산나트륨, 산도조절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2,4,4-트리클로로-2-히드록시 디페닐에테르, 3,4,4-트리클로로 카바닐리드 및 정제수를 포함하며,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소듐라우릴에테르설페이트(sodium lauryl ethersulfate), 소듐알파올레핀설페이트(sodium alpha olefin sulfate) 및 소듐라우릴설페이트(sodium laurylsulfate) 중 1종 이상의 것이고,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알킬글루코시드(poly alkyl glucoside), 알킬알콜에톡시레이트(alkyl alcohol ethoxylate) 및 라우릴디메틸아민옥사이드(lauryl dimethyl amine oxide) 중 1종 이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청소용 세제 조성물에 의하면, 세정력이 우수함은 물론, 강한 자극성 냄새가 없고, 항균성 및 항곰팡이성이 우수하며, 악취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금속에 대한 부식 유발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청소용 세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청소방법{DETERGENT COMPOSITION FOR CLEANING AND CLEANING MEHTO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청소용 세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청소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정력이 우수하면서도, 강한 자극성 냄새가 없고, 항균성 및 항곰팡이성이 우수한 청소용 세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청소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제에는 응용분야에 따라 가정용과 공업용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특히 가정용에는 주방용, 세탁용, 청소용으로 세분화된다. 또한, 세제에 사용되는 원료의 종류에 따라 합성 세제와 천연 세제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 청소용 세제로는 염소계 화합물인 락스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상기 락스는 차아염소산(HClO)에서 발생하는 산소에 의해 항균 및 탈취효과를 발휘하므로 강력한 항균력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러한 락스류는 사용할 때 발생하는 독성으로 인하여 사용자들의 불쾌감이 있으며, 인체 안전성에 대한 불안감으로 사용을 꺼리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 락스는 금속에 대하여 강한 부식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24106호에서는 계면활성제, 빌터, 표백활성제, 과탄산나트륨 및 파인 오일을 포함하는 세제 조성물을 제안하여, 강한 세정 및 살균력을 제공토록 하였으나, 이러한 세제 조성물은 항곰팡이성이 결여되고, 악취 제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56910호에서는 구연산소다, 베이킹소다 등을 포함하는 천연 세제를 이용한 청소용 세제 조성물을 제시하였으나, 천연 세제의 특성상 세정력이 약하며, 악취의 제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KR 10-0324106 B1 KR 10-2017-0056910 A
따라서, 본 발명은 세정력이 우수함은 물론, 강한 자극성 냄새가 없고, 항균성 및 항곰팡이성이 우수한 청소용 세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청소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악취를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청소용 세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청소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청소용 세제 조성물은, 차아염소산나트륨, 산도조절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2,4,4-트리클로로-2-히드록시 디페닐에테르, 3,4,4-트리클로로 카바닐리드 및 정제수를 포함하며,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소듐라우릴에테르설페이트(sodium lauryl ethersulfate), 소듐알파올레핀설페이트(sodium alpha olefin sulfate) 및 소듐라우릴설페이트(sodium laurylsulfate) 중 1종 이상의 것이고,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알킬글루코시드(poly alkyl glucoside), 알킬알콜에톡시레이트(alkyl alcohol ethoxylate) 및 라우릴디메틸아민옥사이드(lauryl dimethyl amine oxide) 중 1종 이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청소용 세제 조성물은, 치아벤다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청소용 세제 조성물은, 불가사리 추출물, 난각 소성물 및 태산목 추출물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불가사리 추출물은, 불가사리에 물을 첨가한 후, 단백질 분해 효소로 불가사리 내 단백질 성분을 분해하고, 무기성분인 탄산칼슘만을 수득하여 건조한 것이고, 상기 난각 소성물은 난각을 800~1,000℃로 소성하여 분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청소방법은, 상기 청소용 세제 조성물을 청소 대상물에 분사하고, 이를 물로 세척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청소용 세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청소방법에 의하면, 세정력이 우수함은 물론, 강한 자극성 냄새가 없고, 항균성 및 항곰팡이성이 우수하며, 악취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금속에 대한 부식 유발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청소용 세제 조성물은, 화장실, 베란다, 싱크대 및 배수구, 창틀, 실리콘, 주방 후드 등의 청소는 물론, 각종 생활 물품을 세정할 수 있는 것으로, 그 사용 분야를 한정하지 않음을 밝혀둔다. 아울러, 이외에도 가정용, 산업용의 각종 세정제로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산도조절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2,4,4-트리클로로-2-히드록시 디페닐에테르 및 3,4,4-트리클로로 카바닐리드를 통해 차아염소산나트륨의 강한 자극성 냄새 및 독성을 완화하고, 금속에 대한 부식 유발이 없어 안전한 사용이 가능토록 한다는데 있다. 또한, 항균, 항곰팡이 및 악취 제거의 효과 역시 부여한다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청소용 세제 조성물은, 차아염소산나트륨, 산도조절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2,4,4-트리클로로-2-히드록시 디페닐에테르, 3,4,4-트리클로로 카바닐리드 및 정제수를 포함하며,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소듐라우릴에테르설페이트(sodium lauryl ethersulfate), 소듐알파올레핀설페이트(sodium alpha olefin sulfate) 및 소듐라우릴설페이트(sodium laurylsulfate) 중 1종 이상의 것이고,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알킬글루코시드(poly alkyl glucoside), 알킬알콜에톡시레이트(alkyl alcohol ethoxylate) 및 라우릴디메틸아민옥사이드(lauryl dimethyl amine oxide) 중 1종 이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차아염소산나트륨은 물때는 물론, 유기물 등의 오염을 손쉽게 제거하며, 염기성의 암모니아와 트리메틸아민 등의 아민화합물, 산성의 황화수소 및 메틸메르캅탄 등의 황화 화합물 그리고 휘발점이 낮은 아세트알데하이드 등의 냄새 제거에도 효과적인 성분이다. 또한, 항균 및 항곰팡이성 역시 제공한다.
상기 차아염소산나트륨은 전체 조성물 100중량%를 기준으로, 1~10중량%로 포함 가능하다.
다만, 이러한 차아염소산나트륨은 단독 사용시 그 냄새가 강하고, 독성이 있어 사용이 꺼려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단점을 산도조절제, 음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2,4,4-트리클로로-2-히드록시 디페닐에테르 및 3,4,4-트리클로로 카바닐리드의 상호작용을 통해 개선하는 것이다.
상기 산도조절제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산도를 조절하여 안정성을 높임으로써, 그 냄새 및 독성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산도조절제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및 트리에탄올아민 중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산도조절제는 전체 조성물 100중량%를 기준으로 0.1~5중량%로 포함 가능한데, 그 사용량이 너무 적거나 많으면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안정성을 높일 수 없기 때문이다.
아울러, 상기 산도조절제와 함께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모두 사용하는바, 상기 계면활성제 중 1종만을 사용할 경우 차아염소산나트륨의 강한 냄새를 완화하기 어려우므로,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2종 모두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세정력 역시 높여준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소듐라우릴에테르설페이트(sodium lauryl ethersulfate), 소듐알파올레핀설페이트(sodium alpha olefin sulfate) 및 소듐라우릴설페이트(sodium laurylsulfate) 중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폴리알킬글루코시드(poly alkyl glucoside), 알킬알콜에톡시레이트(alkyl alcohol ethoxylate) 및 라우릴디메틸아민옥사이드(lauryl dimethyl amine oxide) 중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폴리알킬글루코시드 및 알킬알코올에톡시레이트는 탄소수 12 내지 14의 알킬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전체 조성물 100중량%를 기준으로 0.1~10중량%,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전체 조성물 100중량%를 기준으로 0.1~10중량%로 포함 가능한바, 우수한 안정성, 세정력을 위한 것이다.
상기 2,4,4-트리클로로-2-히드록시 디페닐에테르는 우수한 살균 및 항균 작용을 하는 것은 물론, 안정성이 뛰어나고, 세정력 역시 월등히 높여준다.
상기 2,4,4-트리클로로-2-히드록시 디페닐에테르는 상기 세제 조성물 100중량%를 기준으로, 0.1~2중량%로 포함될 수 있는바, 상기한 배합비보다 소량일 경우 그 역할일 미미하고, 과량일 경우 제형 안정성이 좋지 못하기 때문이다.
상기 3,4,4-트리클로로 카바닐리드 역시 우수한 살균 및 항균작용을 나타낸다.
상기 3,4,4-트리클로로 카바닐리드는 세제 조성물 100중량%를 기준으로, 0.1~2중량%로 포함될 수 있는바, 상기한 배합비보다 소량일 경우 그 역할일 미미하고, 과량일 경우 제형 안정성이 좋지 못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상기 2,4,4-트리클로로-2-히드록시 디페닐에테르 및 3,4,4-트리클로로 카바닐리드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여, 그 냄새 및 독성을 완화시켜 준다.
상기 정제수는 용제로 사용되는 것으로, 전체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잔부로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차아염소산나트륨, 산도조절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2,4,4-트리클로로-2-히드록시 디페닐에테르, 3,4,4-트리클로로 카바닐리드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청소용 세제 조성물은, 세정력이 우수함은 물론, 강한 자극성 냄새가 없고, 항균성 및 항곰팡이성이 우수하며, 악취를 효율적으로 제거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금속에 대한 부식유발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난각 소성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난각 소성물은 난각, 즉 계란의 껍데기 등을 800~1000℃로 30~60분간 소성한 후, 분쇄하여 0.1~0.5㎛ 범위의 입자를 포집한 것으로, 살균 능력이 우수하며, 자극성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난각 소성물은 난각 특유의 공극을 많이 포함함으로써, 물에 대한 용해도가 높고, 우수한 항균성을 발휘한다. 또한, 상기 난각 소성물은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자극성 냄새를 제거해주는 역할도 한다.
상기 난각 소성물은 세제 조성물 100중량%를 기준으로 0.1~5중량%로 포함될 수 있는바, 그 배합비가 0.1중량% 미만이면 그 역할이 미미하고, 5중량%를 초과하면 제형 안정성이 좋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은 불가사리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불가사리 추출물은 우수한 항균성을 부여함은 물론, 악취 역시 효과적으로 제거해준다. 그리고 상기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자극성 냄새를 제거해주는 역할도 한다.
상기 불가사리 추출물은 불가사리에 물을 첨가한 후, 단백질 분해 효소로 불가사리 내 단백질 성분을 분해하고, 무기성분인 탄산칼슘만을 수득하여 건조하고, 0.1~0.5㎛ 범위의 입자로 분쇄한 것이다. 이때, 상기 불가사리는 그 종류를 제한하지 않는바, 별불가사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별불가사리에 2~10중량배의 증류수를 첨가하고, 이에 단백질 분해 효소인 펩신을 첨가하여 45~55℃에서 3~5시간 교반하여 단백질 성분을 분해한다. 이때, 상기 펩신의 첨가량은 상기 불가사리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01~1중량부이면 족하다. 그리고 무기성분인 탄산칼슘만을 수득하여 40~50℃에서 건조 및 분쇄하는 것이다.
상기 불가사리 추출물은 세제 조성물 100중량%를 기준으로 0.1~5중량%로 포함될 수 있는바, 그 배합비가 0.1중량% 미만이면 그 역할이 미미하고, 5중량%를 초과하면 제형 안정성이 좋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은 치아벤다졸(Thiabendazol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아벤다졸은 인체에 안정한 살곰팡이제로서, 곰팡이를 안정적으로 제거하고 서식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치아벤다졸은 세제 조성물 100중량%를 기준으로 0.1~1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태산목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태산목(Magnolia grandiflora)은 목련목의 식물로서, 탠산목의 열수추출물은 우수한 항균활성은 물론, 악취 제거 효과를 갖는다. 상기 태산목의 열수 추출물은, 태산목의 잎, 줄기 또는 그 혼합물에 5~20중량배의 물을 가하고, 60~100℃에서 1~20시간 추출하여, 여과 및 감압증류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태산목 추출물은 세제 조성물 100중량%를 기준으로 0.1~1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세제 조성물은, 치아벤다졸, 난각 소성물, 불가사리 추출물 및 태산목 추출물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세제 조성물은 통상 세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증점제, 보존제, 거품 형성제 등의 보조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한바, 이의 실시를 제한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세제 조성물은 원액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고, 이를 물로 2~30부피배 희석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바, 그 사용방법을 제한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청소용 세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청소하는 방법은, 공지된 다양한 방법에 의하는바, 구체예로서, 상기 청소용 세제 조성물을 청소 대상물에 분사하고, 이를 물로 세척하여 청소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분사 후, 10초 내지 1시간 가량 방치할 수도 있으며, 청소용 솔 또는 스펀지 등으로 청소 대상물을 닦을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차아염소산나트륨 5중량%, 수산화칼륨 3중량%, 소듐라우릴에테르설페이트 5중량%, 라우릴디메틸아민옥사이드 5중량%, 2,4,4-트리클로로-2-히드록시 디페닐에테르 1중량%, 3,4,4-트리클로로 카바닐리드 1중량% 및 잔부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세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치아벤다졸 0.5중량%를 더 혼합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불가사리 추출물 1중량%, 난각 소성물 1중량%를 더 혼합하였다.
이때, 상기 불가사리 추출물은, 불가사리 100g을 깨끗이 씻어 표면상의 염분을 제거한 후에 교반 장치와 가열 장치가 구비된 반응기에 담고 1L의 증류수를 가한 후, 온도를 45℃로 설정한 상태에서 단백질 분해효소로 펩신 0.1g을 넣고 75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72시간 동안 방치하고, 반응기에 침전되어 있는 다공성 지지체를 분리하여 증류수로 세척한 후, 건조기에 투입하고 50℃의 온도로 건조시켜 0.1~0.5㎛의 입자크기로 분쇄하였다.
상기 난각 소성물은 달걀의 껍데기를 깨끗이 씻은 후, 이를 900℃로 30분간 소성한 후, 분쇄하여 0.1~0.5㎛ 범위의 입자를 포집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태산목 추출물 1중량%를 더 혼합하였다.
상기 태산목 추출물은, 건조된 태산목 잎 100g에 정제수 1L를 가하고, 80℃에서 4시간 추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여과하여 감압 증류함으로써, 추출물을 얻었다.
(비교예 1)
차아염소산나트륨 5중량%, 수산화칼륨 3중량%, 베타인 10중량% 및 잔부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세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실시예 1 내지 4의 항곰팡이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액상원액에 시험균주인 아스페르길루스 나이거( Aspergillus niger )의 포자를 접종하고, 30분간 정치시켰다. 그리고 아스페르길루스 나이거( Aspergillus niger )의 포자의 사멸률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1 결과(단위 %)
구분 30분 후 포자 사멸률
아스페르길루스 나이거 실시예 1 99.9
실시예 2 99.9
실시예 3 99.9
실시예 4 99.9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 모두 아스페르길루스 나이거( Aspergillus niger )의 포자를 30분 이내에 99.9% 사멸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실시예 1 내지 4의 항균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대장균(Escherichia coli ATCC 25922) 및 화농균(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에 대한 항균시험을 공시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2 결과(단위 %)
구분 1시간 후 세균감소율
대장균 실시예 1 99.9
실시예 2 99.9
실시예 3 99.9
실시예 4 99.9
화농균 실시예 1 99.9
실시예 2 99.9
실시예 3 99.9
실시예 4 99.9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는 대장균 및 화농균에 대해 항균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실시예 1 내지 4의 탈취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각각의 시료 20mL를 FT-IR(가스셀의 온도 60℃, 압력 14.57psi, 경로길이10m)의 시험챔버(크기 5L)에 넣고 30분 간격으로 120분까지의 탈취율을 분석하였다. 탈취율 시험은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황화수소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시험환경은 20.9±0.3℃에서 44.7±05 %R.H.로 하여 실시하였다.
그리고 탈취율은 [(시간대별 블랭크(blank) 농도 - 시간대별 시료 농도)/시간대별 블랭크 농도] × 100으로 계산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았다.
시험예 3 결과(단위 %)
구분 0분 60분
실시예 1 암모니아 0.0 99.9
트리메틸아민 0.0 99.9
황화수소 0.0 99.9
실시예 2 암모니아 0.0 99.9
트리메틸아민 0.0 99.9
황화수소 0.0 99.9
실시예 3 암모니아 0.0 99.9
트리메틸아민 0.0 99.9
황화수소 0.0 99.9
실시예 4 암모니아 0.0 99.9
트리메틸아민 0.0 99.9
황화수소 0.0 99.9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는,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황화수소에 대하여 우수한 탈취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4)
실시예 1 내지 4의 세정력 및 사용감을 평가하기 위하여, 30인으로 구성된 패널들로 하여 물때 및 유기물로 오염된 30cm×30cm의 타일에 각각의 시료를 분사하고 10초간 방치한 후, 세척용 솔로 10초간 문지르고, 이를 수돗물로 세척하게 하였다. 그리고 사용시 냄새, 세척 후 오염물 존재 여부, 사용 후 피부 상태, 전체적인 사용감의 항목을 1~5점으로 평가하게 하였다. 이때, 1점(나쁨), 2점(조금 나쁨), 3점(보통), 4점(조금 좋음), 5점(아주 좋음)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시험예 4 결과
구분 냄새 오염물 잔존 여부 사용 후 피부 상태 전체적인 사용감
실시예 1 2.7 4.1 4.0 3.5
실시예 2 2.8 4.2 4.2 3.7
실시예 3 2.9 4.5 4.4 3.8
실시예 4 2.9 4.6 4.4 4.0
비교예 1 1.5 4.2 1.1 1.7
상기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 내지 4는 비교예 1에 비해 사용시 냄새, 피부 상태, 전체적인 사용감에서 매우 우수한 평가를 받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차아염소산나트륨, 산도조절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2,4,4-트리클로로-2-히드록시 디페닐에테르, 3,4,4-트리클로로 카바닐리드, 치아벤다졸, 불가사리 추출물, 난각 소성물, 태산목 추출물 및 정제수를 포함하며,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소듐라우릴에테르설페이트(sodium lauryl ethersulfate), 소듐알파올레핀설페이트(sodium alpha olefin sulfate) 및 소듐라우릴설페이트(sodium laurylsulfate) 중 1종 이상의 것이고,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알킬글루코시드(poly alkyl glucoside), 알킬알콜에톡시레이트(alkyl alcohol ethoxylate) 및 라우릴디메틸아민옥사이드(lauryl dimethyl amine oxide) 중 1종 이상의 것이며,
    상기 불가사리 추출물은, 불가사리에 물을 첨가한 후, 단백질 분해 효소로 불가사리 내 단백질 성분을 분해하고, 무기성분인 탄산칼슘만을 수득하여 건조한 것이고,
    상기 난각 소성물은 난각을 800~1,000℃로 소성하여 분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세제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의 청소용 세제 조성물을 청소 대상물에 분사하고, 물로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방법.
KR1020200035753A 2020-03-24 2020-03-24 청소용 세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청소방법 KR102123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753A KR102123400B1 (ko) 2020-03-24 2020-03-24 청소용 세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청소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753A KR102123400B1 (ko) 2020-03-24 2020-03-24 청소용 세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청소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3400B1 true KR102123400B1 (ko) 2020-06-17

Family

ID=71405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5753A KR102123400B1 (ko) 2020-03-24 2020-03-24 청소용 세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청소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340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4106B1 (ko) 1998-10-20 2002-08-14 주식회사옥시 청소도구세척및청소용세정제조성물
KR20090019163A (ko) * 2007-08-20 2009-02-25 주식회사 누보비앤티 알칼리제,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및 살균제로 이루어진세정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세척방법
KR20140129195A (ko) * 2012-02-20 2014-11-06 바스프 에스이 중합체를 사용한 살생물제의 항미생물 활성의 증진
KR20140135870A (ko) * 2013-05-16 2014-11-27 (주)에이씨티 태산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및 방부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20140137899A (ko) * 2013-05-24 2014-12-03 정현석 불가사리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살균, 살충 효과를 갖는 토양 개량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70017551A (ko) * 2015-08-07 2017-02-15 애경산업(주) 곰팡이 제거 및 탈취용 세정제 조성물
KR20170017952A (ko) * 2017-01-23 2017-02-15 이칠우 난각 소성분말을 이용한 천연 항균성 세정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56910A (ko) 2015-11-16 2017-05-24 조영숙 계피분말과 베이킹소다 분말 및 구연산소다 분말을 배합하여 제조된 천연세제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사용하여 청소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4106B1 (ko) 1998-10-20 2002-08-14 주식회사옥시 청소도구세척및청소용세정제조성물
KR20090019163A (ko) * 2007-08-20 2009-02-25 주식회사 누보비앤티 알칼리제,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및 살균제로 이루어진세정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세척방법
KR20140129195A (ko) * 2012-02-20 2014-11-06 바스프 에스이 중합체를 사용한 살생물제의 항미생물 활성의 증진
KR20140135870A (ko) * 2013-05-16 2014-11-27 (주)에이씨티 태산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및 방부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20140137899A (ko) * 2013-05-24 2014-12-03 정현석 불가사리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살균, 살충 효과를 갖는 토양 개량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70017551A (ko) * 2015-08-07 2017-02-15 애경산업(주) 곰팡이 제거 및 탈취용 세정제 조성물
KR20170056910A (ko) 2015-11-16 2017-05-24 조영숙 계피분말과 베이킹소다 분말 및 구연산소다 분말을 배합하여 제조된 천연세제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사용하여 청소하는 방법
KR20170017952A (ko) * 2017-01-23 2017-02-15 이칠우 난각 소성분말을 이용한 천연 항균성 세정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0304B1 (ko) 시금치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방용 세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2510723A (zh) 包含丁香酚、萜品醇和百里酚的消毒剂
MX2014005403A (es) Una composicion limpiadora antimicrobiana liquida de superficie dura.
JP2016532634A (ja) 殺菌洗浄用製剤
CN104606119A (zh) 杀菌消毒无水洗手剂
WO2022092902A1 (ko) 항균 세정 조성물
KR102123400B1 (ko) 청소용 세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청소방법
KR101975896B1 (ko) 커피 부산물을 포함하는 천연 세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29345A (ko) 화산석 추출물의 미네랄 복합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탈취제 조성물
KR100583061B1 (ko) 주방용 세제 조성물
EP2787955B1 (en) An antimicrobial composition
KR20170017551A (ko) 곰팡이 제거 및 탈취용 세정제 조성물
KR101420225B1 (ko) 세탁 또는 세정 보조용 발포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743793A (zh) 一种洗手液及其制备方法
CN105255620A (zh) 一种皮革清洗剂
CN112043611A (zh) 一种泡沫型免洗抑菌洗手液
CN105255604A (zh) 一种杀菌洗衣液
KR20080089891A (ko) 다목적 세정제
US20240000688A1 (en) Composition for eliminating odor
KR20190037476A (ko) 초전수를 함유한 화장품 및 그 제조방법
CN113897248B (zh) 一种除菌除螨洗衣液及其制备方法
KR101646606B1 (ko) 스프레이형 세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세정방법
KR102586840B1 (ko) 반도체 라인 로봇 세정제 조성물
KR100789621B1 (ko) 스팀청소기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
EP4091452A1 (en) Disinfection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