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3387B1 - 방수 구조체 - Google Patents

방수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3387B1
KR102123387B1 KR1020170166250A KR20170166250A KR102123387B1 KR 102123387 B1 KR102123387 B1 KR 102123387B1 KR 1020170166250 A KR1020170166250 A KR 1020170166250A KR 20170166250 A KR20170166250 A KR 20170166250A KR 102123387 B1 KR102123387 B1 KR 102123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aterproof
grass
bubbl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6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6499A (ko
Inventor
공경록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6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3387B1/ko
Publication of KR20190066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6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3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3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02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at least one of the layers permitting turfing of th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54Roof garden systems; Roof coverings with high solar reflec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방수층, 그리고 상기 방수층과 연결되어 있고 파일이 터프팅되어 있는 잔디층을 포함하며, 상기 방수층과 상기 잔디층의 접하는 부분은 같은 재질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방수 구조체는 지상, 건축물 등의 구조물 표면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보행이 잦은 구역에 설치 시 잔디층이 보행자의 충격을 완충하여 방수층이 보행자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부로 노출되는 잔디층에 의해 구조물의의 조경 환경이 개선되어 새로운 공간창출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방수 구조체{Waterproof structures}
본 발명은 방수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현대식 양옥 건물축물에서 옥상은 일반적으로 그 기초적 형태가 평면 바닥 모양이나, 활용목적에 따라 그 용도가 다양한 방식으로 증가되고 있다. 옥상은 구조물의 외면에 해당하는 구조물이기 때문에 내부 공간의 안전한 사용을 보장하는 기능적 조건을 근본적으로 필요로 한다.
다시 말해서, 옥상은 눈, 비, 추위, 더위, 햇볕, 바람과 같은 자연현상과 재해로부터의 안전이 보장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어떠한 형태나 어떠한 용도의 옥상이라도 눈, 비에 의한 물이 아래의 내부 공간으로 침투되는 누수를 완전하게 방지해야 한다. 이에, 옥상의 누수방지를 위해 방수공사를 실시할 수 있다.
방수공사에는 다양한 공법이 존재하며 일반적으로 도막 방수, 시트 방수, 복합 방수 공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도막 방수 공법의 경우 소정 두께의 방수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도막방수제를 도포, 양생하여 시공하나 일정 기간이 지나면 재시공을 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도막 방수의 경우 크랙 보수 문제가 있으며 옥상의 바닥이 균일하지 않으면 도포한 방수층이 들뜨게 되었다.
시트 방수 공법은 방수성능을 가지는 다양한 소재의 시트의 이음매를 밀봉하여 설치하며 장기 내구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으나 보행이 잦은 구역에 설치 시 오염에 취약하며 시트 파손에 의한 누수발생 가능성 높으며 동일한 칼라로 설치 되어 디자인 구현이 어렵다.
등록특허 제10-0725187호 (2007.05.29.) 등록특허 제10-0777142호 (2007.11.10.)
본 발명은 방수 성능을 가지는 잔디층과 방수층을 결합하여 다양한 칼라 및 디자인을 구현하여 심미감을 향상시키며 인조잔디의 특성을 통해 조경효과를 부여하여 새로운 공간을 창출할 수 있는 방수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설치된 구조물의 온도 유지를 통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인조잔디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체는 방수층, 그리고 상기 방수층과 연결되어 있고 파일이 터프팅되어 있는 잔디층을 포함한다.
상기 방수층은, 구조물의 표면과 접할 수 있는 기초층, 상기 기초층 위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잔디층과 연결된 표면층 및 상기 기초층과 상기 표면층 사이에 배치되어 연결하는 형태 안정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초층과 상기 표면층은 열가소성 폴리올레핀(Thermoplastic Polyolefin; TPO)이고, 상기 형태 안정층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일 수 있다.
상기 잔디층은, 열가소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기포층, 그리고 상기 기포층에 터프팅된 파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기포층은 상기 표면층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잔디층은, 파일, 상기 파일이 터프팅된 기포층 및
상기 기포층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파일이 상기 기포층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백킹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백킹층은 열가소성 수지이고, 상기 표면층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잔디층과 상기 방수층은 라미네이션(lamination), 티-다이(T-Die) 및 접착제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방수층은, 상기 잔디층과 중첩된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부분을 벗어난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잔디층의 하면과 상기 제1 부분의 상면은 서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잔디층의 하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2 부분의 상면은 상기 제1 부분의 상면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방수 구조체는 제1 구조체 및 제2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구조체의 제1 부분 가장자리 하면은 상기 제1 구조체의 제2 부분 상면과 접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구조체의 제2 부분을 관통하여 지면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2 구조체의 제1 부분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상기 방수층과 상기 잔디층의 접하는 부분은 같은 재질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방수층은, 구조물의 표면과 접할 수 있는 기초층 및 상기 기초층 위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잔디층과 연결된 표면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체는, 방수층, 상기 방수층과 연결되어 있고 파일이 터프팅되어 있는 잔디층 및 상기 방수층과 상기 잔디층을 연결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방수층 상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잔디층을 관통하며 고리를 갖는 돌기, 상기 돌기가 관통하는 상기 잔디층의 관통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고리가 걸리는 단턱이 형성된 캡 및 상기 캡과 상기 잔디층 사이에 배치된 실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가 돌출된 상기 방수층의 주변부에는 상기 캡의 일부분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은, 상기 관통홀의 둘레와 상기 잔디층의 상면 및 하면과 접하는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의 상면과 연결되어 상기 돌기를 가리는 돔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고리는 상기 플랜지부의 상면에 걸리며, 상기 돔부는 상기 파일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상기 캡은, 상기 돔부 외부둘레를 감싸고 있으며 파일이 터프팅되어 있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수 구조체는 지상, 건축물 등의 구조물 표면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보행이 잦은 구역에 설치 시 잔디층이 보행자의 충격을 완충하여 방수층이 보행자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부로 노출되는 잔디층에 의해 구조물 표면의 조경 환경이 개선되어 새로운 공간창출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수 구조체는 잔디층이 구조물 표면에 햇빛이 직접 조사되는 것이 차단된다. 이에 열 섬 효과 방지 통한 구조물의 온도 유지를 통한 에너지 절감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수층과 결합된 잔디층의 기포층과 방수층이 눈, 비에 의한 물이 건물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완전하게 차단하므로 구조물 표면 방수 효율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돌기와 캡에 의해 잔디층과 방수층이 서로 결합되므로 잔디층과 방수층을 결합함에 있어 장비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방수층과 잔디층의 결합 공정이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어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수 구조체가 복수로 구성되어 이웃하게 배치될 때 적어도 일부분이 서로 중첩된 상태로 결합되므로 눈, 비에 의한 물이 이웃한 구조체 사이를 통해 구조물 표면으로 침투하는 것을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으며 이웃한 구조체의 결합력이 높아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체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A 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체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체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도 6은 도 4의 저면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체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도 7의 B 부분 확대도.
도 9는 도 7의 결합부를 분리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체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체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체(1)는 방수층(10), 그리고 잔디층(20)을 포함하며 지상, 건축물 등의 구조물 표면에 설치되어 방수 성능을 발휘하면서 다양한 칼라 및 디자인을 구현하여 심미감을 향상시키고 인조잔디의 특성을 통해 조경효과를 부여하여 새로운 공간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한다.
방수층(10)은 구조물 표면과 접하여 눈, 비에 의한 물이 구조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며 기초층(11), 표면층(13) 및 형태 안정층(12)을 포함한다.
기초층(11), 형태 안정층(12) 및 표면층(13)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으며 서로 결합되어 있다. 기초층(11)은 구조물의 표면과 접할 수 있고 표면층(13)은 잔디층(20)과 결합되며 형태 안정층(12)은 기초층(11)과 표면층(13)을 연결한다. 기초층(11)과 표면층(13)은 열가소성 폴리올레핀(Thermoplastic Polyolefin; TPO)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열가소성 폴리올레핀은 비, 바람, 습기 등 자연환경에도 성질이 변하지 않으며 열가소성 고분자물질이다. 열가소성 폴리올레핀은 건물 내의 에너지를 절감할 뿐만 아니라 건물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자외선에 강한 특징이 있다.
여기서, 열가소성(heat plasticity)은 가열하면 소성 변형을 일으키기 쉽기 때문에 냉각하면 가소적으로 경화하는 성질을 말한다. 사슬형고분자 중합체로 이루어진 합성수지(열가소성 수지)에서 볼 수 있다. 온도에 의한 유동성 증대가 큰 것일수록 열가소성이 크다.
따라서, 기초층(11)과 표면층(13)에 기설정된 온도로 열을 가하면 소성 변형을 일으킬 수 있다.
형태 안정층(12)은 위사와 경사를 가지며 네트(nat)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형태 안정층(12)은 부직포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형태 안정층(12)은 내열성, 강성, 전기적 성질 등이 뛰어나고, 높은 온도에 오랫동안 있어도 극한강도가 약간만 줄어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에 형태 안정층(12)은 기초층(11)과 표면층(13)을 결합하는 동시에 방수층(10)이 외부 요건에 의해 변하지 않도록 형태를 유지한다.
방수층(10)은 1.2 내지 3mm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방수층(10) 두께가 1.2mm 미만인 작업 시 외부 요건에 의해 쉽게 찢어질 수 있다. 방수층(10) 두께가 3mm 초과할 경우 방수 효율은 높아지나 원가 상승과 중량 증가로 운반, 설치 등이 어려워 방수 구조체(1)의 설치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형태 안정층(12)은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초층(11)과 표면층(13)은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잔디층(20)은 방수층(10)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방수 구조체(1)의 외적 미감을 향상시킨다. 잔디층(20)은 파일(21) 및 기포층(22)을 포함한다.
파일(21)은 기포층(22)에 터프팅, 모켓 또는 라섹방식으로 입모될 수 있다. 기포층(22)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기포층(22)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파일은 폴리올레핀, 폴리염화비닐리넨(polyvinylidene chlorid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나이론(nylon)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기포층(22)은 표면층(13)과 같은 열가소성 폴리올레핀로 만들어질 수 있다. 기포층(22)은 네트, 필름 등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기포층(22)과 표면층(13)은 라미네이션(lamination) 또는 티-다이(T-Die)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열과 압력에 의해 기포층(22)과 표면층(13)은 서로 결합되어 방수층(10)과 잔디층(20)은 일체로 제조되어 설치 장소에 공급되어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설치할 구조물에 따라 방수층(10)과 잔디층(20)은 분리된 상태로 현장에 공급될 수 있으며 방수층(10)을 구조물에 고정한 후 접착제를 이용하여 잔디층(20)을 방수층(10)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방수층(10)이 먼저 설치된 현장에 잔디층(20)을 추가로 형성하는 경우 방수층(10)과 잔디층(20)은 접착제로 결합될 수 있다. 접착제는 방수시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접착제가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를 한정하지 않는다.
잔디층(20)의 구성 및 작용 효과는 널리 공지된 인조잔디 구조체 구성이 적용될 수 있는 바, 이하 상세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방수 구조체(1)는 구조물 표면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보행이 잦은 구역에 설치 시 잔디층(20)이 보행자의 충격을 완충하여 방수층(10)이 보행자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부로 노출되는 잔디층(20)에 의해 구조물 표면의 조경 환경이 개선되어 새로운 공간창출이 가능하다.
그리고 방수 구조체(1)는 잔디층(20)이 구조물 표면에 햇빛이 직접 조사되는 것이 차단된다. 이에 열 섬 효과 방지 통한 구조물의 온도 유지를 통한 에너지 절감 효과 구현 가능하다.
아울러, 방수층(10)과 결합된 잔디층(20)의 기포층(22)과 방수층(10)이 눈, 비에 의한 물이 구조물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완전하게 차단하므로 구조물 방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체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체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체는 도 1 및 도 2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대부분 가진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체(2)의 잔디층(20)은 백킹층(23)을 더 포함한다.
백킹층(23)은 기포층(22) 아래에 배치되어 파일(21)이 기포층(22)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파일(21)은 백킹층(23)에 의하여 견고히 고정되어 기포층(22) 상에서 이탈하지 않아 방수 구조체(2)의 조경효과가 높아질 수 있다. 백킹층(23)은 코팅, 필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백킹층(23)은 표면층(13)과 같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로 만들어질 수 있다. 잔디층(20)의 백킹층(23)과 표면층(13)은 서로 접하며, 백킹층(23)과 표면층(13)은 라미네이션(lamination) 또는 티-다이(T-Die)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백킹층(23)과 표면층(13)은 접착제로 결합될 수 있다.
백킹층(23)이 코팅, 필름 구조로 형성되어 방수 기능을 갖는다. 이에 백킹층(23)과 방수층(10)이 방수 기능을 함께 발휘할 수 있다. 백킹층(23) 형성으로 방수층(10)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방수층(10) 두께 감소로 인해 방수 구조체의 경량화 및 방수층(10) 형성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체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체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체(4)는 제1 구조체(4a) 및 제2 구조체(4b)를 포함하며, 제1 구조체(4a) 및 제2 구조체(4b)는 각각 방수층(10), 잔디층(20) 및 결합부재(40)를 포함하며 배열되는 제1 구조체(4a)와 제2 구조체(4b)의 결합력을 높인다.
잔디층(20)의 구성 및 작용 효과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실시예의 잔디층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구조체(4a)의 방수층(104a)과 제2 구조체(4b)의 방수층(104b)은 동일하므로 이하, 제1 구조체(4a)의 방수층(104a)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방수층(104a)은 잔디층(20) 아래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1 부분(101a) 및 제2 부분(102a)을 포함한다. 제1 부분(101a)과 제2 부분(102a)은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부분(101a)은 잔디층(20)과 연결되어 있고, 제2 부분(102a)은 잔디층(20)을 벗어나 있다. 제2 부분(102a)이 잔디층(20)에서 벗어난 길이(L)는 100mm 내지 1700mm일 수 있다. 제2 부분(102a)이 벗어난 길이가 100mm 미만인 경우 제1 구조체(4a)와 제2 구조체(4b)의 연결이 용이하지 않으며, 1700mm를 초과할 경우 원가 상승의 요인이 될 수 있다. 제2 부분(102a)이 잔디층(20)에서 벗어난 길이는 방수 구조체(4)의 규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잔디층(20)의 하면과 제1 부분(101a)의 상면은 서로 결합되어 있다. 잔디층(20)의 하면을 기준으로 제2 부분(102a)의 상면은 제1 부분(101a)의 상면보다 낮다. 이에 제1 부분(101a)의 상면과 제2 부분(102a)의 상면 사이에 단차(D)가 형성된다.
한편, 제2 부분(102a)과 연결되어 있지 않은 제1 부분(101a)의 가장자리의 두께(t)는 제2 부분(102a)과 제1 부분(101a)이 연결된 부분의 두께 보다 얇다. 이에, 제1 부분(101a)의 가장자리 두께(t) 값은 제2 부분(102a)의 상면과 제1 부분(101a)의 상면 간격(단턱(D)의 길이) 값과 같다.
결합부재(40)는 제1 구조체(4a) 및 제2 구조체(4b)를 구조물 표면에 고정한다. 결합부재(40)는 제2 부분(102a)을 관통한다. 결합부재(40)와 제2 부분(102a) 사이를 통해 물이 구조물 표면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결합부재(40)가 배치된 제2 부분(102a)의 주변에는 방수층(10)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덮개(도시하지 않음)가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체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구조체(4a)는 구조물 표면에 배치하여 고정한다. 이때 방수층(10)은 접착제 등으로 구조물의 표면에 고정한다. 그러나 방수층(10)은 접착제로 고정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제1 구조체(4a)의 고정력을 높이기 위하여 제2 부분(102a)이 결합부재(40)를 통해 구조물의 표면에 더 고정한다.
제1 구조체(4a)의 고정이 완료되면 제2 구조체(4b)를 제1 구조체(4a)와 이웃하게 배치하며 제2 구조체(4b)의 제1 부분(102b)하면 가장자리가 제1 구조체(4a)의 제2 부분(102a) 위에 위치하도록 한다. 제1 구조체(4a)의 제2 부분(102a)과 제2 구조체(4b)의 제1 부분(101a) 가장자리 하면이 중첩되면 열융착 방식으로 제1 부분(101b)과 제2 부분(102a)을 서로 결합한다. 제1 부분(101b)과 제2 부분(102a)은 티-다이(T-Die)가공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구조체(4b)의 제2 부분(102b)을 결합부재(40)로 구조물의 표면에 더욱 고정한다.
이에 따라 구조체가 복수로 구성되어 이웃하게 배치될 때 적어도 일부분이 서로 중첩된 상태로 결합되므로 눈, 비에 의한 물이 이웃한 구조체 사이를 통해 구조물의 표면으로 침투하는 것을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으며 이웃한 구조체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체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체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8은 도 7의 B 부분 확대도이며, 도 9는 도 7의 결합부를 분리한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체(3)는 방수층(10), 잔디층(20) 및 결합부(30)를 포함한다. 방수층(10) 및 잔디층(20)의 구성 및 작용효과는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대부분 가진다. 다만, 방수층(10)과 잔디층(20)이 결합부(30)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수층(10) 및 잔디층(20)은 전술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결합부(30)는 돌기(31), 캡(32) 및 실링부재(34)를 포함하며 잔디층(20)과 방수층(10)을 간편하게 결합한다.
돌기(31)는 방수층(10)의 표면층(13)에서 잔디층(20)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돌기(31)는 방수층(1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돌기(31)는 상면에서 방수층(10) 방향으로 중앙부분이 절개되어 있다. 돌기(31)의 상부측은 외부에서 외력이 가해지면 절개된 부분에 의해 오므려질 수 있다. 돌기(31)의 상부측 외부 둘레에는 고리(31a)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31)와 마주하는 잔디층(20)에는 캡(32)이 배치된 관통홀(20a)이 형성되어 있다. 캡(32)은 돌기(31)를 고정하는 것으로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플랜지부(321) 및 돔부(322)를 포함한다.
플랜지부(321)는 내부가 상하 관통되어 관통홀(20a)의 내부 둘레와 접하며, 플랜지부(321)의 상면과 하면은 중앙 부분으로 압착되어 잔디층(20)의 상면과 하면 상에서 펼쳐져 있다. 돌기(31)의 상부측은 플랜지부(321)를 관통하며 이때 돌기(31)의 상부측은 오므려질 수 있다. 플랜지부(321)를 관통한 돌기(31)의 상부측은 오므려진 부분이 펼쳐질 수 있고 고리(31a)는 플랜지부(321)의 상면(단턱(321a))에 접하여 걸리어 방수층(10)과 잔디층(20)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플랜지부(321) 단턱(321a)에 걸린 고리(31a)에 의해 돌기(31)는 플랜지부(321)에서 이탈하지 않는다. 이에 잔디층(20)과 방수층(10)은 분리되지 않는다.
돔부(322)는 돌기(31)의 상면을 덮고 있으며 그 가장자리가 플랜지부(321)의 상면 가장자리와 연결되어 있다. 돔부(322)는 돌기(31)를 가리는 동시에 눈, 비 등에 의한 물이 돌기(31)가 관통한 플랜지부(32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한편, 돔부(322)는 파일(21) 속에 위치하여 파일(21) 외부로 노출되어 있지 않다.
실링부재(34)는 캡(32)과 잔디층(2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실링부재(34)는 캡(32)과 잔디층(20)을 결합하는 동시에 관통홀(20a)과 플랜지부(321) 사이로 물이 통과하는 것을 차단한다.
한편, 돌기(31)가 돌출된 방수층(10)의 주변부에는 플랜지부(321)의 하부가 수용되는 수용홈(31b)이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321) 하부가 수용홈(31b)에 수용되어 있어 방수층(10) 외부로 플랜지부(321)가 돌출되어 있지 않아 방수층(10)과 잔디층(20)이 공간 발생 없이 전체적으로 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32)은 커버(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33)는 돔부(322) 외부 둘레를 감싸고 있으며 파일(331)이 더프팅되어 있다. 커버(33)에 결합된 파일(331)에 의해 잔디층(20)의 파일(21)과 캡(32)이 이질감이 발생하지 않아 잔디층(20)의 외적 미감이 높아질 수 있다.
돌기(31)와 캡(32)에 의해 잔디층(20)과 방수층(10)이 서로 결합되므로 잔디층(20)과 방수층(10)을 결합함에 있어 장비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방수층(10)과 잔디층(20)의 결합 공정이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어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대부분 가진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방수층(10)의 표면층(13)이 일측으로 타측방향으로 경사져 구배될 수 있다. 이에 방수층(10)의 구배된 표면층(13)에 의해 눈, 비에 의한 물이 일측 방향에서 타측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또한 방수층(10)의 표면층(13)에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물의 흐름을 유도하는 유로(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 눈, 비에 의한 물이 구배, 유로 등을 따라 흐르므로 방수 구조체에 고이지 않는다. 이에 물이 고이면서 발생할 수 있는 유해 환경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2, 3, 4: 방수 구조체
4a: 제1 구조체 4b: 제2 구조체
10: 방수층 11: 기초층
12: 형태 안정층 13: 표면층
20: 잔디층 20a: 관통홀
21, 331: 파일 22: 기포층
23: 백킹층 30: 결합부
31: 돌기 31a: 고리
32: 캡 321: 플랜지부
321a: 단턱 322: 돔부
33: 커버 34: 실링부재
40: 결합부

Claims (15)

  1. 방수층,
    상기 방수층과 결합되어 있고 파일이 터프팅되어 있는 잔디층 및
    상기 방수층에서 상기 잔디층을 관통하여 상기 방수층과 상기 잔디층을 연결하는 결합부
    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방수층에서 돌출되어 상기 잔디층을 관통하며 고리를 갖는 돌기,
    상기 돌기가 관통하는 상기 잔디층의 관통홀에 결합되어 상기 고리가 걸리는 단턱이 형성된 캡 및
    상기 캡과 상기 잔디층의 사이에 배치된 실링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가 돌출된 상기 방수층의 주변부에는 상기 캡의 일부분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방수 구조체.
  2. 제1항에서,
    상기 방수층은,
    구조물의 표면과 접할 수 있는 기초층,
    상기 기초층 위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잔디층과 연결된 표면층 및
    상기 기초층과 상기 표면층 사이에 배치되어 연결하는 형태 안정층
    을 포함하는
    방수 구조체.
  3. 제2항에서,
    상기 기초층과 상기 표면층은 열가소성 폴리올레핀(Thermoplastic Polyolefin; TPO)이고,
    상기 형태 안정층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인
    방수 구조체.
  4. 제3항에서,
    상기 잔디층은,
    열가소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기포층, 그리고
    상기 기포층에 터프팅된 파일
    을 포함하며,
    상기 기포층은 상기 표면층과 연결되어 있는
    방수 구조체.
  5. 제3항에서,
    상기 잔디층은,
    파일,
    상기 파일이 터프팅된 기포층 및
    상기 기포층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파일이 상기 기포층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백킹층
    을 포함하며,
    상기 백킹층은 열가소성 수지이고, 상기 표면층과 연결되어 있는
    방수 구조체.
  6. 제4항 또는 제5항에서,
    상기 잔디층과 상기 방수층은 라미네이션(lamination), 티-다이(T-Die) 및 접착제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결합된 방수 구조체.
  7. 제1항에서,
    상기 방수층은,
    상기 잔디층과 중첩된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잔디층을 벗어난 제2 부분
    을 포함하는 방수 구조체.
  8. 제7항에서,
    상기 잔디층의 하면과 상기 제1 부분의 상면은 서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잔디층의 하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2 부분의 상면은 상기 제1 부분의 상면보다 낮은 방수 구조체.
  9. 제8항에서,
    상기 방수 구조체는
    제1 구조체 및 제2 구조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구조체의 제1 부분 가장자리 하면은 상기 제1 구조체의 제2 부분 상면과 접하여 결합되어 있는 방수 구조체.
  10. 제9항에서,
    상기 제1 구조체의 제2 부분을 관통하여 지면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2 구조체의 제1 부분에 의해 가려지는 방수 구조체.
  11. 제1항에서,
    상기 방수층과 상기 잔디층의 접하는 부분은 같은 재질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어 있는 방수 구조체.
  12. 제1항에서,
    상기 방수층은,
    구조물의 표면과 접할 수 있는 기초층 및
    상기 기초층 위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잔디층과 연결된 표면층
    을 포함하는
    방수 구조체.
  13. 삭제
  14. 제1항에서,
    상기 캡은,
    상기 관통홀의 둘레와 상기 잔디층의 상면 및 하면과 접하는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의 상면과 연결되어 상기 돌기를 가리는 돔부
    를 포함하며,
    상기 고리는 상기 플랜지부의 상면에 걸리며, 상기 돔부는 상기 파일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방수 구조체.
  15. 제14항에서,
    상기 캡은, 상기 돔부 외부둘레를 감싸고 있으며 파일이 터프팅되어 있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방수 구조체.
KR1020170166250A 2017-12-05 2017-12-05 방수 구조체 KR102123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250A KR102123387B1 (ko) 2017-12-05 2017-12-05 방수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250A KR102123387B1 (ko) 2017-12-05 2017-12-05 방수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499A KR20190066499A (ko) 2019-06-13
KR102123387B1 true KR102123387B1 (ko) 2020-06-17

Family

ID=66847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6250A KR102123387B1 (ko) 2017-12-05 2017-12-05 방수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33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88591B1 (ko) * 2023-06-28 2024-07-24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배수성 및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인조잔디 구조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705B1 (ko) * 2007-07-26 2007-11-16 주식회사 유로비전 가로수 및 산책로 주변 녹도 조성용 인조잔디의 고정장치및 그의 시공방법
KR100881167B1 (ko) * 2008-04-03 2009-02-02 백점숙 인조잔디를 포함하는 구조체 및 그의 설치 방법
KR101764695B1 (ko) * 2016-10-28 2017-08-07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413A (ja) * 1996-06-26 1998-01-13 Kureha Chem Ind Co Ltd 人工芝生の接合構造
KR100777142B1 (ko) 2006-06-23 2007-11-19 김동현 옥상 슬라브의 단열 방수 구조
KR100725187B1 (ko) 2006-08-25 2007-06-04 서울산업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성 옥상용 복합방수공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705B1 (ko) * 2007-07-26 2007-11-16 주식회사 유로비전 가로수 및 산책로 주변 녹도 조성용 인조잔디의 고정장치및 그의 시공방법
KR100881167B1 (ko) * 2008-04-03 2009-02-02 백점숙 인조잔디를 포함하는 구조체 및 그의 설치 방법
KR101764695B1 (ko) * 2016-10-28 2017-08-07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499A (ko) 2019-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45582T3 (es) Ensamblaje de lamina de sellado para superficies de construccion y procedimientos de fabricacion y aplicacion del mismo.
KR100872127B1 (ko) 방근시트와 이 방근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방근구조의 시공방법
US20030054127A1 (en) Sealing sheet assembly for construction surfaces and methods of making and applying same
US20120110931A1 (en) Isolation mount and methods therefor
US20240051255A1 (en) Roofing Underlayment
KR20190110012A (ko) 방수방근시트 및 그 시공방법
KR102123387B1 (ko) 방수 구조체
KR101366160B1 (ko)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US4948652A (en) Elastomeric composite membrane
KR101097218B1 (ko) 녹화를 위한 방수 및 방근 구조물 및 그것의 시공방법
KR100412935B1 (ko) 복합 시트 방수재와 그 방수재를 이용한 방수방법
KR100806634B1 (ko) 폴리에스테르 강화 pvc 방수 시트와 단부 실링재의열화방지 캡을 이용한 옥상의 방수 구조
JP5147439B2 (ja) 廃棄物被覆用のキャッピングシート
KR20210092889A (ko) 방수용 복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101465453B1 (ko) 건물의 방수구조
JP6540197B2 (ja) 積層シート、および、積層シートの接合方法
KR101298794B1 (ko) 도로 및 교면 방수부재
KR100939695B1 (ko) 내구성 및 상용성이 향상된 tpu 필름층을 구비한 복합 방수 방근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EP2704210A1 (en) Solar roof tile
KR101488843B1 (ko) 시트 방수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US20120040124A1 (en) Reinforced walkway system
KR102464981B1 (ko) 아파트 옥상 방수를 위한 메쉬 우레탄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도막 일체형 방수공법
KR200211908Y1 (ko) 복합 시트 방수재
KR20110127763A (ko) 엑스매트를 이용한 단열방수구조
KR100695721B1 (ko) 조립식 방수구조 및 조립식 방수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