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3383B1 - 조인트 커넥터 - Google Patents

조인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3383B1
KR102123383B1 KR1020200020004A KR20200020004A KR102123383B1 KR 102123383 B1 KR102123383 B1 KR 102123383B1 KR 1020200020004 A KR1020200020004 A KR 1020200020004A KR 20200020004 A KR20200020004 A KR 20200020004A KR 102123383 B1 KR102123383 B1 KR 102123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terminal
terminal plate
contact
joint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0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점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200020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33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3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3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Abstract

조인트 커넥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조인트 커넥터는: 삽입홀부와 다수개의 접속홀부를 형성하는 하우징과, 접속홀부에 삽입되어 전기적인 접속신호를 전달하는 터미널부와, 삽입홀부에 삽입 설치되어 터미널부 중 일부에서 전달된 전기 접속신호를 연결하여 터미널부 중 다른 일부에 전달하는 접속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인트 커넥터{JOINT CONNECTOR}
본 발명은 조인트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금속재질의 접속연결부를 하우징에 슬라이드방식으로 결합하고, 반대측에서 메일터미널부를 삽입하여 접속하므로 하우징 내부에서 란스부를 삭제하여 동절기에 란스부의 피손을 방지하면서 하우징의 금형구조를 단순화하며, 피메일터미널의 미사용으로 제조원가를 낮추고, 커넥터의 크기를 소형화하여 공간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조인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에는 상대커넥터가 결합됨으로써 둘 사이에 각각 구비된 터미널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커넥터에는 다수개의 터미널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대커넥터에는 다수개의 터미널 사이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버스바 타입(busbar type)의 터미널이 구비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커넥터를 일반적으로 조인트커넥터라고 칭한다. 물론, 조인트커넥터가 반드시 커넥터와 결합되는 것은 아니며, 자동차용 박스에 형성된 커넥터부에 결합되기도 한다.
조인트 커넥터는 내부에 복수개의 단자 핀들이 연결된 버스바가 구비되어 하나의 회로에서 복수의 회로로 전류를 분기하거나 반대로 복수개의 회로에서 하나의 회로로 전류를 통합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조인트 커넥터의 구성은, 접속홀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접속홀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터미널부와, 접속홀부에 설치되고, 터미널부에 결합되어 도전되는 핀터미널부와, 하우징의 안착홈부에 결합되어 터미널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TPA라고도 함)를 포함한다.
이러한 이탈방지부재의 주된 기능은 터미널부의 위치 확인을 통한 터미널부의 덜삽입 검지 및 터미널부의 이탈을 하우징 내부의 란스부에 걸리는 1차 걸림과 더불어 2차 걸림을 통해 이중으로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하우징에 삽입되어 란스부에 걸림 결합된 터미널부에는 반데측에서 삽입되어 핀터미널부가 결합되면서 단자간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연결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터미널부에 피복이 제거된 전선이 압착을 통해 고정되는 것으로서, 압착하는 과정에서 변형되거나 벌어지는 등 여러가지 부분에서 취약하여 취급시 주의를 요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하우징은 단자를 수용하는 구조와 단자의 체결을 위한 란스의 걸림구조를 가짐에 따라 하우징의 틈새가 증대될 수 있고, 란스부가 외팔보 형태로 형성되어 겨울철에 추위로 인해 부러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055973호(2013.11.14, 발명의 명칭: 조인트 커넥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금속재질로서 이탈방지부와 접촉부를 포함하는 접속연결부를 하우징에 슬라이드방식으로 결합하고, 반대측에서 메일터미널부를 삽입하여 접속하므로 하우징 내부에 란스부를 삭제하여 동절기에서 란스부의 피손을 방지하면서 하우징의 금형구조를 단순화하며, 피메일터미널의 미사용으로 제조원가를 낮추고, 커넥터의 크기를 소형화하여 공간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조인트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는, 삽입홀부와 다수개의 접속홀부를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접속홀부에 삽입되어 전기적인 접속신호를 전달하는 터미널부; 및 상기 삽입홀부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터미널부 중 일부에서 전달된 전기 접속신호를 연결하여 상기 터미널부 중 다른 일부에 전달하는 접속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속홀부는 상기 삽입홀부를 기준으로 상하측으로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속홀부는 상기 삽입홀부를 기준으로 상하측에 배치되되, 상하 간에 상호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속연결부는, 상기 삽입홀부에 삽입되는 접속터미널판체; 상기 접속터미널판체에 구비되어 상기 터미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속터미널판체에 구비되어 상기 터미널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터미널부의 일측면에 접촉되도록 반원형상 또는 반타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접속터미널판체에서 상기 터미널부의 단턱부에 걸리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속연결부는 결속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속부는, 상기 접속연결부에 구비된 접속터미널판체에 형성되는 제1결속부; 및 상기 제1결속부에 결속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제2결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는, 금속재질로서 이탈방지부와 접촉부를 포함하는 접속연결부를 하우징에서 슬라이드방식으로 결합하고, 반대측에서 메일터미널부를 삽입하여 접속하므로 하우징 내부에 란스부를 삭제하여 동절기에 란스부의 피손을 방지하면서 하우징의 금형구조를 단순화하며, 피메일터미널의 미사용으로 제조원가를 낮추고, 커넥터의 크기를 소형화하여 공간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의 반대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에서, 접속연결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에서, 하우징에 접속연결부가 결합된 상태 평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의 반대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에서, 접속연결부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3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에서, 하우징에 접속연결부가 결합된 상태 평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는, 하우징(100), 터미널부(200) 및 접속연결부(3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삽입홀부(110)와 다수개의 접속홀부(120)를 형성하는 구성어이다. 접속홀부(120)는 너비방향으로 다수개 구비되되 상하측으로 2개층이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접속홀부(120)는 삽입홀부(110)를 기준으로 상하측으로 각각 배치된다. 하우징(100)은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블럭 형태로 형성된다. 삽입홀부(110)는 하우징(100)의 중심부위에 수평으로 길게 연통되되, 터미널부(200)가 진입하는 타측이 차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접속홀부(120)는 삽입홀부(110)를 기준으로 상하측에 배치되되, 상하 간에 상호 엇갈리게 배치된다. 이로써, 접속홀부(120)가 삽입홀부(110)를 기준으로 상하 간에 상호 엇갈리게 배치됨에 따라 1개라인에 모두 설치하는 것에 비해 하우징(100)의 너비방향 설치공간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일예로서, 접속홀부(120)는 상측에 4개 하측에 4개 모두 8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도록 한다.
터미널부(200)는 접속홀부(120)에 삽입되어 전기적인 접속신호를 전달하는 구성이다. 터미널부(200)는 전선과, 전선이 고정되는 터미널을 포함한다, 터미널은 하우징(100)의 접속홀부(120)에 결합되어 전기적 신호를 통하게 해주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터미널부(200)에는 후술되는 이탈방지부(330)와 대응되어 걸려지도록 단턱부(210)가 형성된다.
이때, 터미널부(200)는 피메일터미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접속연결부(300)는 삽입홀부(120)에 삽입 설치되어 터미널부(200) 중 일부에서 전달된 전기 접속신호를 연결하여 터미널부(200) 중 다른 일부에 전달하는 구성이다. 접속연결부(300)는 예를 들어서, 터미널부(200) 8개 중 어느 1개가 전기 접속신호를 공급시키면, 터미널부(200) 8개 중 어느 7개의 회로로 분기시켜 전달하가나, 터미널부(200) 8개 중 어느 7개가 전기 접속신호를 공급시키면, 터미널부(200) 8개 중 어느 1개의 회로로 통합시켜 전달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전기 접속신호를 조인트(접속)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접속연결부(300)는, 삽입홀부(110)에 삽입되는 접속터미널판체(310)와, 접속터미널판체(310)에 구비되어 터미널부(2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하는 접촉부(320)와, 접속터미널판체(310)에 구비되어 터미널부(2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330)를 포함한다.
접속터미널판체(310), 접촉부(320) 및 이탈방지부(330)는 모두 금속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접속터미널판체(310)는 합성수지재로 형성하고, 접촉부(320)와 이탈방지부(330)는 금속재로 형성하되, 접촉부(320) 간에 전기적으로 도전되도록 접속터미널판체(310)에 동박을 포함하는 금속박막을 형성하여 상호 도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접촉부(320)는 터미널부(200)의 일측면에 접촉되도록 반원형상 또는 반타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접촉부(320)는 접속터미널판체(310)를 프레스로 눌러 반대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형성한다. 이로써, 접촉부(320)에 터미널부(200)가 접촉될 때, 단성적으로 눌려지면서 탄성접촉력을 발휘할 수 있다.
접촉부(320)는, 접속터미널판체(310)에서 굴곡 경사지게 한 쌍 돌출 형성되는 굴곡경사면부(310)와, 굴곡경사면부(310)의 단부에서 수평으로 상호 연결되고, 터미널부(200)의 표면이 접촉되는 수평면부(324)를 포함한다.
한 쌍의 굴곡경사면부(322) 중 터미널부(200)의 진입측에 형성되는 굴곡경사면부(322)는 삽입홀부(120)에서 터미널부(200)의 진입을 경사지게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탈방지부(330)는 접속터미널판체(310)에서 터미널부(200)의 단턱부(210)에 걸리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탈방지부(330)의 단부는 터미날부(200)의 단턱부(210)의 걸림부위 수직면에 정확하게 일치되도록 수직면부(332)를 형성한다. 특히, 이탈방지부(330)의 단부는 단턱부(210)의 바닥 또는 천정 모서리에 끼워지도록 뾰족하게 형성된다.
터미널부(200)가 하우징(100)의 접속홀부(120)에 진입함에 따라 접촉부(320)가 탄성적으로 접촉되면서 진입하게 되고, 터미널부(200)의 단부가 이탈방지부(330)를 지냐면, 이탈방지부(330)가 탄성적으로 접속터미널판체(310)의 평면방향으로 눌려지게 된다,
연이어, 눌려졌던 이탈방지부(330)가 단턱부(210)에 도달하는 순간 탄성복원력을 회복하면서, 단턱부(210)의 일측 수직면에 접촉되어 걸림 지지력을 발휘한다. 이로써, 이탈방지부(330)는 하우징(100)에서 터미널부(2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접속연결부(300)는 결속부(400)에 의해 하우징(100)에 고정된다.
결속부(300)는, 접속연결부(300)에 구비된 접속터미널판체(310)에 형성되는 제1결속부(410)와, 제1결속부(410)에 결속되도록 하우징(100)에 형성되는 제2결속부(420)를 포함한다.
제1결속부(410)는 접속터미널판체(310)의 양측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는 결속돌기이다. 제1결속부(410)는 접속터미널판체(310)의 후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되, 갈퀴형상으로 2단 이상으로 돌출 형성시켜 구속력을 높이도록 한다.
제2결속부(420)는 하우징(100)의 삽입홀부(110) 내측 가장자리에 함몰 형성되는 결속홈이다. 제2결속부(420)는 하우징(100)에서 삽입홀부(110)의 진입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되, 제1결속부(410)에 대응되도록 2단 이상의 홈으로 형성시켜 구속력을 높이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는, 금속재질로서 이탈방지부와 접촉부를 포함하는 접속연결부를 하우징에 슬라이드방식으로 결합하고, 반대측에서 메일터미널부를 삽입하여 접속하므로 하우징 내부에서 란스부를 삭제하여 동절기에 란스부의 피손을 방지하면서 하우징의 금형구조를 단순화하며, 피메일터미널의 미사용으로 제조원가를 낮추고, 커넥터의 크기를 소형화하여 공간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하우징 110 : 삽입홀부
120 : 접속홀부 200 : 터미널부
210 : 단턱부 300 : 접속연결부
310 : 접속터미너판체 320 : 접촉부
322 : 굴곡경사면부 324 : 수평면부
330 : 이탈방지부 400 : 결속부
410 : 제1결속부 420 : 제2결속부

Claims (4)

  1. 삽입홀부와 다수개의 접속홀부를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접속홀부에 삽입되어 전기적인 접속신호를 전달하는 터미널부; 및 상기 삽입홀부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터미널부 중 일부에서 전달된 전기 접속신호를 연결하여 상기 터미널부 중 다른 일부에 전달하는 접속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연결부는, 상기 삽입홀부에 삽입되는 접속터미널판체; 상기 접속터미널판체에 구비되어 상기 터미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속터미널판체에 구비되어 상기 터미널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터미널부의 일측면에 접촉되도록 반원형상 또는 반타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접속터미널판체에서 상기 터미널부의 단턱부에 걸리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이탈방지부의 단부는 상기 단턱부의 걸림부위인 수직면에 면접되도록 수직면부를 형성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접속터미널판체에서 굴곡 경사지게 한 쌍 돌출 형성되는 굴곡경사면부; 및 상기 굴곡경사면부의 단부에서 수평으로 상호 연결되고, 상기 터미널부의 표면이 접촉되는 수평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홀부는 상기 삽입홀부를 기준으로 상하측으로 각각 배치되며,
    상기 접속터미널판체는 합성수지재로 형성하고, 상기 접촉부와 상기 이탈방지부는 금속재로 형성하되, 상기 접촉부 간에 전기적으로 도전되도록 상기 접속터미널판체에 동박을 포함하는 금속박막을 형성하여 상호 도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홀부는 상기 삽입홀부를 기준으로 상하측에 배치되되, 상하 간에 상호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연결부는 결속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상기 접속연결부에 구비된 접속터미널판체에 형성되는 제1결속부; 및
    상기 제1결속부에 결속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제2결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KR1020200020004A 2020-02-18 2020-02-18 조인트 커넥터 KR102123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004A KR102123383B1 (ko) 2020-02-18 2020-02-18 조인트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004A KR102123383B1 (ko) 2020-02-18 2020-02-18 조인트 커넥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9882A Division KR102088888B1 (ko) 2018-12-26 2018-12-26 조인트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3383B1 true KR102123383B1 (ko) 2020-06-16

Family

ID=71141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004A KR102123383B1 (ko) 2020-02-18 2020-02-18 조인트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338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2415A (ja) * 1995-09-22 1997-04-04 Sumitomo Wiring Syst Ltd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JP2000306645A (ja) * 1999-04-21 2000-11-02 Sumitomo Wiring Syst Ltd ジョイントコネクタ
KR20100121950A (ko) * 2009-05-11 2010-11-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조인트터미널이 구비된 커넥터
KR20120002160A (ko) * 2010-06-30 2012-01-0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조인트 커넥터
KR101830422B1 (ko) * 2017-10-13 2018-02-20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커넥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2415A (ja) * 1995-09-22 1997-04-04 Sumitomo Wiring Syst Ltd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JP2000306645A (ja) * 1999-04-21 2000-11-02 Sumitomo Wiring Syst Ltd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3724976B2 (ja) * 1999-04-21 2005-12-07 住友電装株式会社 ジョイントコネクタ
KR20100121950A (ko) * 2009-05-11 2010-11-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조인트터미널이 구비된 커넥터
KR20120002160A (ko) * 2010-06-30 2012-01-0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조인트 커넥터
KR101830422B1 (ko) * 2017-10-13 2018-02-20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5907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fool-proof function
US8043110B2 (en) Plug-in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s
CN100514103C (zh) 双工插头适配器模块
EP3116071B1 (en) Connector assembly
US9735526B1 (en) Hybrid socket connector integrated with power supply and signal transmission functions
US8021170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terminal module
US20220173550A1 (en) Integrally shielded cable connector
CN113497397B (zh) 一种连接器
JP2014241251A (ja) 多極型コネクタ
US8851928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2088888B1 (ko) 조인트 커넥터
US10892127B2 (en) Contactor assembly for distribution board
US7980882B2 (en) Electrical plug receiving connector
CN100585947C (zh) 端子板部件和无螺钉连接器
US7396258B2 (en) Cable connector
US8696390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ransfer contact for connecting cable and another contact
KR102123383B1 (ko) 조인트 커넥터
KR102123384B1 (ko) 조인트 커넥터
US9774146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printed circuit board module
US20220344852A1 (en) Conductor connection terminal
KR19990044258A (ko) 특성상 스냅을 갖는 접점 블록
US8808022B2 (en) Connector structure
CN210607794U (zh) 一种6PIN Mini USB板端连接器
JP4287600B2 (ja) 基板用圧接コネクタ付の絶縁基板
CN110829081A (zh) 电连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