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2676B1 - 개량형 관로 변형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개량형 관로 변형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2676B1
KR102122676B1 KR1020190007466A KR20190007466A KR102122676B1 KR 102122676 B1 KR102122676 B1 KR 102122676B1 KR 1020190007466 A KR1020190007466 A KR 1020190007466A KR 20190007466 A KR20190007466 A KR 20190007466A KR 102122676 B1 KR102122676 B1 KR 102122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housing body
bending
hing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7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곤
Original Assignee
서영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영곤 filed Critical 서영곤
Priority to KR1020190007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26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6Pigs or moles, i.e. devices movable in a pipe or conduit with or without self-contained propulsion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1/00Uses or applications of pigs or moles
    • F16L2101/30Inspecting, measuring or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로 내부의 변형상태를 측정하는 측정장치의 블레이드를 한 방향이 아닌 측정장치의 중앙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시소처럼 하강되도록 하여 관로의 내경으로부터 돌출된 변형부의 통과가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변위센서에 의한 변형부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방향으로 각각 시소됨에 따라 와이어를 당기는 과정에서 변형부 구간이 아닌 구간 통과시에 블레이드의 하강에 의한 변위센서의 측정값이 달라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관로 내부 굴곡진 변형부에 대한 정확하고 정교한 측정이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측정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개량형 관로 변형 측정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개량형 관로 변형 측정장치{device for measuring deformation of pipe route}
본 발명은 관로 변형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로의 내경을 따라 가변되는 블레이드가 한방향이 아닌 양방향으로 각각 가변되도록 하여 관로의 내경 변형에 관계없이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측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개량형 관로 변형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로 변형 측정장치는 와이어에 연결한 후 윈치로 당겨내는 권취 이동방식이나 자주차에 연결한 후 모터 또는 원동기의 구동력으로 작동시키는 동력 이동방식을 이용하여 관로 내부로 이동시키면서 내경의 상태를 카메라로 촬영하고 내경에 접하는 판스프링 또는 블레이드의 가변에 따른 길이변화를 통해 변형상태를 측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관로 변형 측정장치는, 관로 내경으로 이동하면서 변형된 위치에서 변위 수치를 거리(길이) 변위센서로 측정하고는 있으나, 구조가 복잡하고 관로 내경에 접촉하는 확장간이 독립적으로 작동하지 않으며, 부품 수량의 증대와 각각의 거리(길이) 변위센서의 측정값을 취득하기 위한 전선 등의 결합 작업이 복잡하여 제조원가와 유지관리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관로 변형 측정장치는, 외측 몸체와, 상기 외측 몸체의 내부 중공부에 안정되게 고정되어 있는 공압실린더와, 일단이 상기 공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에 연결되어 있어 상기 외측 몸체의 내부 중공부에서 왕복운동을 할 수 있고 타단은 와이어가 연결되는 고리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외주연에는 일정 길이로 숫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내측 몸체와, 상기 내측 몸체의 숫나사선과 나사 결합하기 위해 내측에 암나사선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면에 상기 내측 몸체의 왕복운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고정편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조절링과, 상기 내외측 몸체에 고정되어 있는 일정개수의 고정부재와 일단은 상기 고정부재와 힌지 결합하고 타단은 롤러와 결합되어 있는 아암부재 및 상기 아암부재를 상호 교차하면서 결합시켜 전개 및 접철이 용이하도록 하는 체결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관경에 따른 아암부재의 전개나 접철에 의해 다양한 관경에 적용이 가능한 효과를 기대하고 있으나, 구성이 복잡하고 좁은 관로 내경에서 롤러가 펼쳐지고 접어짐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굴곡진 관로를 지나가는 과정에서의 관로의 굴곡에 대한 측정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출원인은 종래 관로 변형 측정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공개특허 10-2018-0084373호인 관로 변형 측정장치를 안출한 바 있으며, 이는 선단에 카메라가 구비되는 제1하우징체와, 상기 제1하우징체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1가변블레이드체와, 상기 제1하우징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가변블레이드체의 가변동작에 의해 변위값을 측정하는 제1변위센서를 포함하는 관로변형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가변블레이드체는 상기 제1하우징체의 외면 일측으로부터 돌출 연장되는 제1힌지편과, 상기 제1힌지편에 하단 일측이 힌지 연결되고 하단 타측에 제1누름가이드부를 갖는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1블레이드의 제1누름가이드부를 승하강가이드하도록 상기 제1하우징체의 외면 타측으로부터 돌출 연장되고 제1가이드홈을 갖는 제1가이드편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하우징체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슬라이딩부와 연결되는 조인트부와, 상기 슬라이딩부에 끼워지고 일측이 조인트부에 밀착되는 제1스프링과, 상기 제1블레이드의 제1누름가이드부와 밀착되고 상기 제1누름가이드부에 의해 눌러지는 경사가이드면이 구비되며 일측면은 상기 제1변위센서가 밀착되고 타측면은 제1스프링의 타측이 밀착되어 상기 제1가변블레이드체의 제1블레이드가 하강되어 상기 제1누름가이드부에 의해 눌러질 때 상기 조인트부측으로 밀려나 상기 제1변위센서가 조인트부측으로 위치이동되고 상기 제1가변블레이드체의 제1블레이드가 승강될 때 상기 제1하우징체의 카메라측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변위센서가 카메라측으로 이동되어 제1변위센서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제1가변가이드로 구비되어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관로의 내경에 대한 변형상태를 측정함에 있어서, 내경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위에 대해 측정이 가능함은 물론 내경의 굴곡부분에 대한 굴곡값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관로의 내경의 변형상태를 정확하게 실시간 측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경우 가변블레이드체의 블레이드가 변형된 관로 내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선단측에 대해 후단측이 힌지되어 눌러지거나 펼쳐지는 것에 의해 관로 내부의 변형된 공간을 통과하도록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관로 내부를 한 방향으로만 측정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 방향으로만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변형된 관로 내부의 굴곡부분 중 측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구간이 발생될 경우에는 관로 내부에 위치된 측정장치를 빼낸 후 다시 처음부터 재측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더욱이, 종래 기술은 와이어를 당겨주는 것에 의해 하우징체가 관로 내부를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서 관로 내부의 굴곡진 변형부 구간이 아닌 구간을 통과할 때 와이어의 당겨지는 당김력에 의해 블레이드가 하강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변형부 구간이 아닌 구간에도 변위센서의 측정값이 달라지는 오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변형된 관로 내부를 통과하면서 관로 내부의 변형상태를 한 방향이 아닌 양방향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8-0084373호(2018.07.25. 공개) 특허문헌 2 : 대한민국등록특허 10-1581694호(2015.12.24. 등록)
본 발명은 와이어의 당기는 동작에 의해 블레이드의 눌러짐을 방지하여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고 관로 내부의 굴곡부분을 통과할 때 굴곡부분에 따라 가변되는 블레이드를 일측 힌지방향이 아닌 양측방향 즉 좌측과 우측방향으로 각각 가변되도록 하여 굴곡진 관로 내부를 통과하여 측정함이 용이하도록 하고 굴곡부분을 갖는 변형된 관로내부에서 전진은 물론 후진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관로 내부의 변형상태를 한 방향이 아닌 양방향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좁은 관로 내부에서의 이동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변형된 관로 내경과의 접지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변형된 관로 내경을 정교하게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로의 굴곡에 대한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도록 한 개량형 관로 변형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개량형 관로 변형 측정장치는, 일측에 카메라가 구비되는 하우징체와 상기 하우징체의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는 복수개 블레이드를 갖는 블레이드체와 상기 블레이드체의 블레이드가 상기 하우징체에 대해 눌러지거나 펼쳐질 때 하우징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진 이동되는 이동구와 상기 이동구의 이동거리에 의해 관로 내부의 변위값을 측정하는 변위센서와 상기 이동구가 상기 하우징체의 타측방향으로 이동된 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관로 변형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체의 블레이드는, 상기 하우징체가 와이어의 당김 동작에 의해 상기 카메라가 구비되는 일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관로 내부에 굴곡진 변형부가 없을 경우 상기 하우징체의 둘레부로부터 펼쳐져 상기 하우징체에 대해 수평상태로 위치되었다가, 관로 내부에 굴곡진 변형부에 블레이드가 닿을 때 상기 블레이드의 일측부가 하강되었다가 굴곡진 변형부를 통과할 때 블레이드가 눌러지면서 상기 이동구를 스프링측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스프링이 눌러진 만큼 이동구의 이동된 거리를 변위센서가 측정하고, 굴곡진 변형부를 완전히 통과한 후 하강된 블레이드 일측부가 승강되고 블레이드의 타측부가 하강되면서 스프링측으로 밀어진 상기 이동구가 스프링의 복귀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복귀되는 이동구의 복귀된 거리를 변위센서가 측정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체에는 상기 이동구가 이동한 후 복귀될 때 이동구의 복귀 위치를 간섭하는 스토퍼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관로 내부의 변형상태를 측정하는 측정장치의 블레이드를 한 방향이 아닌 측정장치의 중앙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시소처럼 하강되도록 하여 관로의 내경으로부터 돌출된 변형부의 통과가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변위센서에 의한 변형부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방향으로 각각 시소됨에 따라 와이어를 당기는 과정에서 변형부 구간이 아닌 구간 통과시에 블레이드의 하강에 의한 변위센서의 측정값이 달라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관로 내부 굴곡진 변형부에 대한 정확하고 정교한 측정이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측정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개량형 관로 변형 측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개량형 관로 변형 측정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개량형 관로 변형 측정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개량형 관로 변형 측정장치의 블레이드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인 개량형 관로 변형 측정장치가 관로 내부를 통과하는 상태를 각각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관로 변형 측정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측에 카메라(11)가 구비되는 하우징체(10)와 상기 하우징체(10)의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는 복수개 블레이드(21)를 갖는 블레이드체(20)와 상기 블레이드체(20)의 블레이드(21)가 상기 하우징체(10)에 대해 눌러지거나 펼쳐질 때 하우징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진 이동되는 이동구(30)와 상기 이동구(30)의 이동거리에 의해 관로 내부의 변위값을 측정하는 변위센서(40)와 상기 이동구(30)가 상기 하우징체(10)의 타측방향으로 이동된 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관로 변형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체(10)가 관로(101)의 내부에 인입된 후 하우징체(10)를 와이어로 당겨주는 동작에 의해 하우징체(10)가 관로(101) 내부를 따라 전진하면서 관로 내부의 굴곡진 변형부(102)에 대한 굴곡값을 측정하는 것으로, 이 때 블레이드체(20)의 블레이드(21)가 굴곡진 변형부(102)를 따라 하강될 때 이동구(30)가 밀리게 되고 이동구(30)의 밀린 거리가 변위센서(40)에 의해 측정되어 관로 내부의 굴곡진 변형부에 대한 굴곡값을 측정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관로(101)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관로(101) 내부에 형성된 굴곡진 변형부(102)의 굴곡값을 측정하는 과정에서 하우징체(10)의 통과가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변형부(102)에 대한 정교하고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며 변형부(102) 구간을 통과할 때 오류측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상기 블레이드체(20)의 블레이드(21)는, 상기 하우징체(10)가 와이어의 당김 동작에 의해 상기 카메라(11)가 구비되는 일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관로(101) 내부에 굴곡진 변형부(102)가 없을 경우 상기 하우징체(10)의 둘레부로부터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체(10)에 대해 수평상태로 위치되기 때문에, 와이어가 강하게 하우징체(10)를 당기더라도 블레이드체(20)의 블레이드(21)가 하강되는 것이 방지되어 이동구(30)의 이동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어 변형부(102)가 없는 구간을 통과할 때 측정오류를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블레이드체(20)의 블레이드(21)는, 관로(101) 내부에 굴곡진 변형부(102)에 블레이드(21)가 닿을 때 상기 블레이드(21)의 일측부가 하강되었다가 굴곡진 변형부(102)를 통과할 때 블레이드(21)가 눌러지면서 상기 이동구(30)를 스프링(50)측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스프링(50)이 눌러져 이동되는 이동구(30)의 이동된 거리를 변위센서(40)가 측정하여 굴곡진 변형부(102)를 측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블레이드체(20)의 블레이드(21)는, 굴곡진 변형부(102)를 완전히 통과한 후 하강된 블레이드(21) 일측부가 승강되고 블레이드(21)의 타측부가 하강되면서 스프링(50)측으로 밀어진 상기 이동구(30)가 스프링(50)의 복귀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복귀되는 이동구(30)의 복귀된 거리를 변위센서(40)가 측정한다.
이와 같이 굴곡진 변형부(102)를 블레이드(21)가 통과할 때 변위센서(40)에 의해 굴곡진 변형부(102)의 최하측까지의 높이를 측정하였다가 굴곡진 변형부(102)를 블레이드(21)가 빠져나올 때 다시 변위센서(40)에 의해 굴곡진 변형부(102)의 최상측까지의 높이를 측정함은 물론, 변형부(102)에 대한 길이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관로(101) 내부에 형성된 굴곡진 변형부(102)의 정확하고 정교한 측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기 하우징체(10)에는 상기 이동구(30)가 이동한 후 복귀될 때 이동구(30)의 복귀 위치를 간섭하는 스토퍼(6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스토퍼(60)는 용접 또는 핀결합에 의해 상기 하우징체(10)의 외면에 고정되어 구비되는 것으로, 이와 같이 하우징체(10)의 외면에 고정된 스토퍼(60)에 의해 이동구(30)가 스프링(50)측 방향으로 밀리면서 이동되었다가 스프링(50)의 복귀력에 의해 상기 카메라(11)측 방향으로 복귀될 때 상기 스토퍼(60)에 걸리면서 멈추게 되어 스프링(50)의 복귀력에 의해 이동구(3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때 설정된 위치 이상으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이동구(30)는, 상기 스프링(50)에 일측이 밀착되고 상기 변위센서(40)와 연결되되 상기 하우징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진 이동되며 복수개 제1힌지연결부(31)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체(20)는, 복수개 블레이드(21)와 고정구(22), 복수개 제1승하강링크(24), 복수개 제2승하강링크(25) 및 힌지체결구(26)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복수개 블레이드(21)는, 상기 하우징체(10)의 카메라(11)측에 위치되는 제1절곡밀착부(211)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50)측에 위치되는 제2절곡밀착부(212)가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절곡밀착부(211)와 제2절곡밀착부(212)를 연결하는 수평밀착부(213)와 상기 제1절곡밀착부(211)와 제2절곡밀착부(212) 및 상기 수평밀착부(213)의 하단을 연결하는 보강지지부(214)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1절곡밀착부(211)와 제2절곡밀착부(212)를 각각 상기 블레이드(21)의 수평밀착부(213)에 대해 하향되게 절곡 구비한 이유는, 관로(101) 내부의 변형부(102) 구간을 통과할 때 상기 블레이드체(20)의 블레이드(21)가 걸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고정구(22)는, 상기 하우징체(10)의 카메라(11)측에 위치되고 상기 하우징체(10)의 외면에 고정되며 방사상으로 상기 복수개 블레이드(21) 각각이 연결되는 제2힌지연결부(221)가 복수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고정구(22)는 용접 또는 핀에 의해 상기 하우징체(10)의 외면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복수개 제1승하강링크(24)는, 상기 복수개 블레이드(21) 각각에 구비되는 상기 보강지지부(214) 중앙 일면에 일측이 각각 힌지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고정구(22)에 복수개 구비되는 제2힌지연결부(221)에 각각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복수개 제2승하강링크(25)는, 상기 복수개 블레이드(21) 각각에 구비되는 상기 보강지지부(214) 중앙 타면에 일측이 각각 힌지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이동구(30)에 복수개 구비되는 제1힌지연결부(31)에 각각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승하강링크(24)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21)의 일측이 하강되고 상기 제2승하강링크(25)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21)의 타측이 하강된다.
또한 상기 힌지체결구(26)는, 상기 블레이드(21)의 보강지지부(214) 중앙 일면에 힌지연결되는 제1승하강링크(24)의 일측과 상기 블레이드(21)의 보강지지부(214) 중앙 타면에 힌지연결되는 제2승하강링크(25)의 타측을 힌지체결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관로(101) 내부의 변형부(102)가 형성되지 않은 구간을 통과할 때에는 상기 블레이드(21)가 상기 하우징체(10)에 대해 펼쳐진 상태에서 하우징체(10)에 대해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통과되는 것으로, 이 때 상기 블레이드(21)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절곡밀착부(211)와 제2절곡밀착부(212)에 의해 관로(101)의 내면에 상기 블레이드(21)가 닿아 걸림에 따라 하우징체(10)가 관로(101) 내부를 따라 이동될 때의 간섭을 미연에 방지한다.
본 발명의 상기 블레이드(21)는, 상기 보강지지부(214) 중앙 일면에 일측이 힌지연결되는 상기 제1승하강링크(24)와 상기 보강지지부(214) 중앙 타면에 일측이 힌지연결되는 제2승하강링크(25)를 힌지체결하는 상기 힌지체결구(26)를 축으로 하여 시소(seesaw)형으로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각각 승하강된다.
이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21)의 제1절곡밀착부(211)가 관로(101) 내부의 굴곡진 변형부(102)에 닿을 때 상기 힌지체결구(26)를 축으로 상기 제1절곡밀착부(211)가 하강되고, 상기 블레이드(21)의 제2절곡밀착부(212)가 관로 내부의 굴곡진 변형부(102)에 닿을 때 상기 힌지체결구(26)를 축으로 상기 제2절곡밀착부(212)가 하강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상기 블레이드체(20)의 블레이드(21)가 펼쳐진 상태에서 하우징체(10)에 대해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관로(101) 내부를 통과하기 때문에, 와이어에 의해 하우징체(10)가 당겨지면서 이동될 때 블레이드(21)가 하강되지 않기 때문에 변형부(102)가 없는 구간을 통과할 때 이동구(30)가 이동되지 않음에 따라 측정오류를 방지한다.
또한, 관로(101) 내부에 형성된 굴곡진 변형부(102)에 블레이드(21)가 닿을 때 상기 힌지체결구(26)를 축으로 하여 상기 블레이드(21)의 제1절곡밀착부(211)가 하강되면서 굴곡진 변형부(102) 내측으로 인입되기 때문에 블레이드(21)가 변형부(102)측으로 용이하게 통과될 수 있음은 물론 굴곡진 변형부(102)를 통과할 때 블레이드(21)가 눌러지면서 상기 이동구(30)를 스프링(50)측으로 밀어 이동시키게 되어 상기 이동구(30)의 이동된 거리를 변위센서(40)가 측정하여 굴곡진 변형부(102)를 측정한다.
또한, 변형부(102)의 최하측지점을 상기 블레이드(21)가 통과하면 하강된 블레이드(21)의 제1절곡밀착부(211)가 승강되는 것에 의해 상기 힌지체결구(26)를 축으로 하여 상기 제2절곡밀착부(212)가 하강되면서 상기 스프링(50)측으로 밀어진 상기 이동구(30)가 스프링(50)의 복귀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이동되고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는 이동구(30)의 복귀된 거리를 변위센서(40)가 측정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하우징체 11 : 카메라
20 : 블레이드체 21 : 블레이드
22 : 고정구 24 : 제1승하강링크
25 : 제2승하강링크 26 : 힌지체결구
30 : 이동구 31 : 제1힌지연결부
40 : 변위센서 50 : 스프링
60 : 스토퍼
211 : 제1절곡밀착부 212 : 제2절곡밀착부
213 : 수평밀착부 214 : 보강지지부
221 : 제2힌지연결부

Claims (3)

  1. 일측에 카메라(11)가 구비되는 하우징체(10)와 상기 하우징체(10)의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는 복수개 블레이드(21)를 갖는 블레이드체(20)와 상기 블레이드체(20)의 블레이드(21)가 상기 하우징체(10)에 대해 눌러지거나 펼쳐질 때 하우징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진 이동되는 이동구(30)와 상기 이동구(30)의 이동거리에 의해 관로 내부의 변위값을 측정하는 변위센서(40)와 상기 이동구(30)가 상기 하우징체(10)의 타측방향으로 이동된 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50)을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체(20)의 블레이드(21)는, 상기 하우징체(10)가 와이어의 당김 동작에 의해 상기 카메라(11)가 구비되는 일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관로(101) 내부에 굴곡진 변형부(102)가 없을 경우 상기 하우징체(10)의 둘레부로부터 펼쳐져 상기 하우징체(10)에 대해 수평상태로 위치되었다가, 관로(101) 내부에 굴곡진 변형부(102)에 블레이드(21)가 닿을 때 상기 블레이드(21)의 일측부가 하강되었다가 굴곡진 변형부(102)를 통과할 때 블레이드(21)가 눌러지면서 상기 이동구(30)를 스프링(50)측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스프링(50)이 눌러진 만큼 이동구(30)의 이동된 거리를 변위센서(40)가 측정하고, 굴곡진 변형부(102)를 완전히 통과한 후 하강된 블레이드(21) 일측부가 승강되고 블레이드(21)의 타측부가 하강되면서 스프링(50)측으로 밀어진 상기 이동구(30)가 스프링(50)의 복귀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복귀되는 이동구(30)의 복귀된 거리를 변위센서(40)가 측정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체(10)에는 상기 이동구(30)가 이동한 후 복귀될 때 이동구(30)의 복귀 위치를 간섭하는 스토퍼(60)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관로 변형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구(30)는,
    상기 스프링(50)에 일측이 밀착되고 상기 변위센서(40)와 연결되되 상기 하우징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진 이동되며 복수개 제1힌지연결부(31)가 구비되며,
    상기 블레이드체(20)는,
    상기 하우징체(10)의 카메라(11)측에 위치되는 제1절곡밀착부(211)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50)측에 위치되는 제2절곡밀착부(212)가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절곡밀착부(211)와 제2절곡밀착부(212)를 연결하는 수평밀착부(213)와 상기 제1절곡밀착부(211)와 제2절곡밀착부(212) 및 상기 수평밀착부(213)의 하단을 연결하는 보강지지부(214)로 이루어지는 복수개 블레이드(21)와;
    상기 하우징체(10)의 카메라(11)측에 위치되고 상기 하우징체(10)의 외면에 고정되며 방사상으로 상기 복수개 블레이드(21) 각각이 연결되는 제2힌지연결부(221)가 복수개 구비되는 고정구(22)와;
    상기 복수개 블레이드(21) 각각에 구비되는 상기 보강지지부(214) 중앙 일면에 일측이 각각 힌지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고정구(22)에 복수개 구비되는 제2힌지연결부(221)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개 제1승하강링크(24)와;
    상기 복수개 블레이드(21) 각각에 구비되는 상기 보강지지부(214) 중앙 타면에 일측이 각각 힌지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이동구(30)에 복수개 구비되는 제1힌지연결부(31)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개 제2승하강링크(25)와;
    상기 블레이드(21)의 보강지지부(214) 중앙 일면에 힌지연결되는 제1승하강링크(24)의 일측과 상기 블레이드(21)의 보강지지부(214) 중앙 타면에 힌지연결되는 제2승하강링크(25)의 타측을 힌지체결하는 힌지체결구(26)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관로 변형 측정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21)는,
    상기 보강지지부(214) 중앙 일면에 일측이 힌지연결되는 상기 제1승하강링크(24)와 상기 보강지지부(214) 중앙 타면에 일측이 힌지연결되는 제2승하강링크(25)를 힌지체결하는 상기 힌지체결구(26)를 축으로 하여 시소(seesaw)형으로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각각 승하강되어,
    상기 블레이드(21)의 제1절곡밀착부(211)가 관로(101) 내부의 굴곡진 변형부(102)에 닿을 때 상기 힌지체결구(26)를 축으로 상기 제1절곡밀착부(211)가 하강되고,
    상기 블레이드(21)의 제2절곡밀착부(212)가 관로 내부의 굴곡진 변형부(102)에 닿을 때 상기 힌지체결구(26)를 축으로 상기 제2절곡밀착부(212)가 하강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관로 변형 측정장치.
KR1020190007466A 2019-01-21 2019-01-21 개량형 관로 변형 측정장치 KR102122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466A KR102122676B1 (ko) 2019-01-21 2019-01-21 개량형 관로 변형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466A KR102122676B1 (ko) 2019-01-21 2019-01-21 개량형 관로 변형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2676B1 true KR102122676B1 (ko) 2020-06-12

Family

ID=71088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7466A KR102122676B1 (ko) 2019-01-21 2019-01-21 개량형 관로 변형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26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0290A (ko) * 2022-07-15 2024-01-23 주식회사 파워플러스이앤씨 전주 철근의 파단 검출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9788A (ko) * 2010-10-18 2012-04-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배관 탐지장치
KR101282496B1 (ko) * 2012-12-27 2013-07-04 한국가스공사 배관 비파괴검사용 센서시스템 거치용 링크구조
KR101569501B1 (ko) * 2015-06-10 2015-11-17 주식회사 일성엔지니어링 견인방향 보정 및 도통봉의 간격 유지 장치가 장착된 곡률 반경 측정 시스템
KR101581694B1 (ko) 2014-11-13 2016-01-04 승리전력기술(주) 관로 변형 측정장치
KR101608012B1 (ko) * 2016-02-26 2016-03-31 비큐에스 주식회사 송배전 지중관로의 도통시험장치
KR20180084373A (ko) 2017-01-17 2018-07-25 서영곤 관로 변형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9788A (ko) * 2010-10-18 2012-04-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배관 탐지장치
KR101282496B1 (ko) * 2012-12-27 2013-07-04 한국가스공사 배관 비파괴검사용 센서시스템 거치용 링크구조
KR101581694B1 (ko) 2014-11-13 2016-01-04 승리전력기술(주) 관로 변형 측정장치
KR101569501B1 (ko) * 2015-06-10 2015-11-17 주식회사 일성엔지니어링 견인방향 보정 및 도통봉의 간격 유지 장치가 장착된 곡률 반경 측정 시스템
KR101608012B1 (ko) * 2016-02-26 2016-03-31 비큐에스 주식회사 송배전 지중관로의 도통시험장치
KR20180084373A (ko) 2017-01-17 2018-07-25 서영곤 관로 변형 측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0290A (ko) * 2022-07-15 2024-01-23 주식회사 파워플러스이앤씨 전주 철근의 파단 검출장치
KR102639931B1 (ko) 2022-07-15 2024-02-23 주식회사 파워플러스이앤씨 전주 철근의 파단 검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2676B1 (ko) 개량형 관로 변형 측정장치
US9968241B2 (en) Apparatus for maintaining a tensioned pull-wire in an endoscope
CN206802027U (zh) 一种弹簧线稳定机构
KR101914357B1 (ko) 관로 변형 측정장치
CN206488766U (zh) 端子弯曲自动检测装置
US8359736B2 (en) Crimping tool
US8038690B2 (en) Vascular graft
CN103926076B (zh) 一种测试用的换挡机构
US8555933B2 (en) Wire untwisting tool
CN105423837A (zh) 一种电子卷尺的零点复位方法
CN109531491B (zh) 拉拔紧固器
US20120204417A1 (en) Compression tool
JP6004636B2 (ja) 超音波肉厚測定システム
CN112040922B (zh) 康复用柔软机器人手套
KR102306788B1 (ko) 플러그를 인출시키기 용이한 콘센트
CN1247168C (zh) 插入装置
EP2451013A1 (en) An electrical coaxial connector and method for connecting a coaxial connector to a cable
KR101288104B1 (ko) 강연선 가이드 홀더 및 이를 구비한 강연선 인장장치
JPS5982119A (ja) 折曲げ機の曲げ角度検出装置
US2453531A (en) Internal mandrel
CN207309872U (zh) 一种汽车门把手弹簧装配设备
CN109834199A (zh) 自动式电缆矫正装置及其使用方法
CN216208310U (zh) 一种房地产评估用的房屋墙体硬度检测装置
CN108584535A (zh) 发热丝送线装置
CN217358968U (zh) 一种储能式销钉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