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2201B1 - 족압분포와 심박변이도 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체중계 - Google Patents

족압분포와 심박변이도 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체중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2201B1
KR102122201B1 KR1020180074268A KR20180074268A KR102122201B1 KR 102122201 B1 KR102122201 B1 KR 102122201B1 KR 1020180074268 A KR1020180074268 A KR 1020180074268A KR 20180074268 A KR20180074268 A KR 20180074268A KR 102122201 B1 KR102122201 B1 KR 102122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ing frame
load supporting
load
measuring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4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1666A (ko
Inventor
김종호
최재혁
김민석
Original Assignee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표준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74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2201B1/ko
Publication of KR20200001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36Measuring load distribution, e.g. podologic stu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61B5/4872Body f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52Load ce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족압분포와 심박변이도 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체중계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판 하중지지프레임과, 하판 하중지지프레임; 상기 상판 하중지지프레임과 상기 하판 하중지지프레임 사이의 가장자리측에 복수로 구비되어 무게를 측정하는 힘측정부; 및 상기 상판 하중지지프레임 상측에 구비되어 힘의 분포를 측정하는 힘분포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압분포와 심박변이도 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체중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족압분포와 심박변이도 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체중계{Smart sclae able to measure HRV and Foot pressure distribution}
본 발명은 족압분포와 심박변이도 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체중계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체중계를 통해 몸무게뿐 아니라, 몸의 밸런스, 족압분포, HRV(심박변이도), 체지방을 측정할 수 있는 스마트 체중계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과 비만에 대한 염려가 증가하면서 다이어트를 위한 다양한 운동방법 및 식단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운동방법 및 식단은 주로 헬스클럽에서 체중 및 체지방을 측정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제공되고 있다
현재 통상적인 체중, 몸무게를 측정함과 동시에, 체성분, 체지방을 함께 측정하는 장치가 사용되어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측정데이터를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체지방 측정 겸용 스마트 체중계가 적용되어지고 있다.
인체를 구성하는 성분은 크게 물, 단백질, 뼈(무기질) 및 지방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것을 체성분 분석이라 한다 체성분 분석은 피검자의 건강 상태를 점검하는데 있어 가장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검사로서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비만, 골다공증, 영양불량, 부종 등의 질환 및 증상을 판별하는데 효과적이다 특히 현대인의 경우, 바쁜 일상과 서구식 식습관으로 인하여 성인병과 같은 비만관련 질환이 크게 대두되고 있는데, 체성분의 분석은 체중에서 체지방이 차지하는 비율을 제시함으로써 비만을 정확히 진단하여 이의 치료에 매우 중요한 정보로 활용된다.
인체 성분 중 체지방을 제외한 성분을 제지방량(FFM; Fat Free Mass)이라 하는데, 제지방에는 근육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제지방량을 통해 피검자의 근육 발달 수준, 암 환자나 소모성 질환자의 영양 상태, 질환의 진행 속도, 치료 효과 등을 진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체성분 분석에는 수중체밀도법, 피지후법, 근적외선법 등 여러 가지 방법이 활용되고 있으나, 최근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으로 생체전기 임피던스 방법(BIA;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이 있다 생체전기 임피던스 방법은 인체 내부로 약한 교류 전기를 흘려주어 인체의 전기 저항(impedance) 또는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고 이를 체중 및 신장 측정치와 함께 연산하여 체내 수분함유량, 세포내외의 수분 균형도, 제지방량, 체지방량 등을 산출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임피던스 방법을 이용한 체지방 측정장치로는 USP 4,008,721 호를 비롯해 일본국 특허공보 평 5-49050호, 일본국 특허공개 평 7-51242호 등 이외에도 다양한 구성들이 제안되어 출원된 바 있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그 내부에 체중계 센서를 구비하고 있으며, 피측정자가 체중계에 올라섰을 때 양 발바닥이 접촉하는 위치에 생체 임피던스 측정을 위한 평평한 금속제 전극이 체중계 표면에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 체지방 측정장치에 의하면, 측정자가 측정기의 지정된 위치에 맨발로 올라서면 인체 말단간 임피던스와 체중을 동시에 측정하여 계산식을 통해 체지방율을 도출하여 측정자가 알아볼 수 있도록 그 수치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자신의 신체조성 상태를 보다 정확히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선행기술이 공개번호 제10-2006-0054814호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체중관리장치 및 그 방법이란 명칭으로 개시된 바 있다. 그리고 등록특허 제10-1572687호는 휴대단말기 연동형 다이어트 가이드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휴대단말기 연동형 다이어트 가이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휴대단말기 연동형 다이어트 가이드장치는, 대상자의 현재 체중 및 체지방율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상자가 수행하여야 할 운동량 및 섭취하여야 하는 음식량에 관련된 권장섭취량 정보를 제공하는 다이어트프로그램이 내장된 휴대단말기와; 측정된 대상자의 현재 체중 및 현재 체지방율 데이터를 휴대단말기(70)로 전송하는 디지털체중계(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 이러한 체중계는 단순히 몸무게와 체지방만을 측정하며 스마트폰과 연계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몸무게 측정시 바닥이 불균형할 경우 오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존재하며, 몸무게와 체지방 이외의 정도를 측정, 분석할 수 없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하나의 체중계를 통해 몸무게뿐 아니라, 몸의 밸런스, 족압분포, HRV(심박변이도), 체지방을 측정할 수 있는 스마트 체중계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06-0054814호 한국 등록특허 제10-1572687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체중계를 통해 몸무게뿐 아니라, 몸의 밸런스, 족압분포, HRV(심박변이도), 체지방을 측정할 수 있는 스마트 체중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판 하중지지프레임을 포함하여 불규칙한 지면에서도 오차 없이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고, 필름형 어레이 촉각센서를 구비하여 로드셀에서의 측정값과 연계되어 족압분포를 측정, 분석할 수 있고, 피에조 센서에서 측정된 압력값의 변화를 통해 심박변이도를 측정할 수 있는 스마트 체중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4개의 로드셀을 이용하여 모멘트 중심에 해당하는 발의 무게중심을 계산하게 되고, 상판 하중지지프레임과 로드셀, 하판 하중지지프레임의 체결구조에서 구 형태의 접촉부재를 적용하게 되어 항상 로드셀에 수직방향으로의 힘만이 인가되도록 하여 보다 정확한 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체중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체중계에 있어서, 상판 하중지지프레임과, 하판 하중지지프레임; 상기 상판 하중지지프레임과 상기 하판 하중지지프레임 사이의 가장자리측에 복수로 구비되어 무게를 측정하는 힘측정부; 및 상기 상판 하중지지프레임 상측에 구비되어 힘의 분포를 측정하는 힘분포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압분포와 심박변이도 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체중계로서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힘측정부는, 상기 상판 하중지지프레임과 상기 하판 하중지지프레임 사이 모서리에 4개의 로드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하판 하중지지프레임 하측에 구비되는 체지방 측정용 전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판 하중지지프레임과, 하판 하중지지프레임 각각은 중앙홀이 형성되며, 4개의 로드셀 각각의 신호선이 상기 중앙홀을 통해 신호처리보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힘분포측정부는, 각각에 중앙홀이 형성된 상판과 하판; 및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 양측 각각에 구비되며 힘의 분포를 측정하는 필름형 어레이 촉각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촉각센서의 신호선은 상기 하판의 중앙홀을 통해 신호처리보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촉각센서 하측에 구비되어 압력변화를 측정하는 피에조 센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판 하중지지프레임의 모서리 하단 각각에 연결되는 로드셀 장착단과, 상기 하판 하중지지프레임의 모서리 상단 각각에 연결되는 삽입단과, 상기 로드셀 장착단에 장착된 로드셀에 접촉되도록 상기 삽입단 상측에 고정되는 접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판 하중지지프레임과, 하판 하중지지프레임의 재질은 유리 및 강화플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판과 하판의 재질은 실리콘, 폴리우레탄, 메탈쉬트, 및 플라스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4개의 상기 로드셀에 의해 측정된 값을 기반으로 모멘트 중심에 해당하는 발의 무게 중심을 산출하고, 상기 촉각센서에서 측정된 값을 기반으로 족압분포와 몸의 밸런스를 분석하고, 상기 피에조 센서에서 측정된 압력값을 통해 심박동 사이간격을 측정하여 심박변이도를 분석하고, 상기 체지방 측정용 전극을 통해 측정된 값을 기반으로 체지방을 측정하는 분석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처리보드에는 상기 로드셀, 상기 체지방 측정용 전극, 상기 촉각센서 및 상기 피에조센서에서 측정된 값을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체중계에 따르면, 하나의 체중계를 통해 몸무게뿐 아니라, 몸의 밸런스, 족압분포, HRV(심박변이도), 체지방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체중계에 따르면, 하판 하중지지프레임을 포함하여 불규칙한 지면에서도 오차 없이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고, 필름형 어레이 촉각센서를 구비하여 로드셀에서의 측정값과 연계되어 족압분포를 측정, 분석할 수 있고, 피에조 센서에서 측정된 압력값의 변화를 통해 심박변이도를 측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체중계에 따르면, 4개의 로드셀을 이용하여 모멘트 중심에 해당하는 발의 무게중심을 계산하게 되고, 상판 하중지지프레임과 로드셀, 하판 하중지지프레임의 체결구조에서 구 형태의 접촉부재를 적용하게 되어 항상 로드셀에 수직방향으로의 힘만이 인가되도록 하여 보다 정확한 측정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 휴대단말기 연동형 다이어트 가이드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체중계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체중계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체중계의 분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체중계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판 하중지지프레임과 하판 하중지지프레임과 로드셀의 체결구조를 나타난 부분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에조 센서에서 측정되는 압력 변화 그래프,
도 8은 체지방 측정모드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체중계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처리 흐름을 나타낸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가 전송되는 사용자 단말기의 UI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체중계(10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체중계(10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체중계(10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체중계(100)의 분해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체중계(100)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상판 하중지지프레임(10)과, 하판 하중지지프레임(3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종래와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판 하중지지프레임(30)이 구비되어 측정시 바닥의 불균형에 대응하여 오차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판 하중지지프레임(10)과, 하판 하중지지프레임(30)의 재질은 유리 및 강화플라스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체중계(100)는 상판 하중지지프레임(10)과 하판 하중지지프레임(30) 사이의 가장자리측에 복수로 구비되어 무게를 측정하는 힘측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힘측정부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 하중지지프레임(10)과 하판 하중지지프레임(30) 사이 모서리에 4개의 로드셀(20)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로드셀(20)과 하판 하중지지프레임(30) 사이에는 전극이 구비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 하중지지프레임(10)과, 하판 하중지지프레임(30) 각각은 중앙홀이 형성되며, 4개의 로드셀(20)의 전극 각각의 신호선(51)이 중앙홀을 통해 신호처리보드(50)와 연결되게 된다.
그리고 신호처리보드(50)에서는 4개의 로드셀(20)에서 측정된 값을 이용하여 모멘트 중심에 해당하는 발의 무게중심을 계산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판 하중지지프레임(10)과 하판 하중지지프레임(30)과 로드셀(20)의 체결구조를 나타난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 하중지지프레임(10)의 모서리 하단 각각에 로드셀 장착단(11)이 연결되어지고 이러한 로드셀 장착단(11) 내에 로드셀(20)이 장착되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하판 하중지지프레임(30)의 모서리 상단 각각에는 삽입단(31)이 연결되고, 이러한 삽입단(31)은 로드셀 장착단(11) 내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셀 장착단(11) 내부에 장착된 로드셀(20)과 삽입단(31) 상면 사이에 구 형태의 접촉부재(21)가 구비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접촉부재(21)는 삽입단(31) 상면에 고정설치되며, 로드셀(20)의 하면과 점접촉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접촉부재(21)에 의해 하중에 의한 힘은 항상 수직방향으로 로드셀(20)에 인가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체중계(100)의 상판 하중지지프레임(10) 상측에는 체중 측정시 발의 압력 분포를 측정하는 힘분포측정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힘분포측정부(6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홀이 형성된 상판(62)과 하판(61)을 포함하며, 이러한 상판(62)과 하판(61)의 재질은 실리콘, 폴리우레탄, 메탈쉬트, 및 플라스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판(62)과 하판(61) 사이 양측 각각에 구비되며 힘의 분포를 측정하는 필름형 어레이 촉각센서(63)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촉각센서(63)의 신호선(51)은 하판(61)의 중앙홀을 통해 신호처리보드(50)로 연결되어 진다.
신호처리보드(50)에서는 로드셀(20)에서 측정된 값과 촉각센서(63)에서 측정되는 압력분포값을 기반으로, 족압분포를 분석하게 되며 몸의 밸런스를 분석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촉각센서(63) 하측에 구비되어 압력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피에조 센서(6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에조 센서(64)에서 측정되는 압력 변화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 피에조 센서(64)는 사용자가 상판(62) 위로 올라 섰을때 특정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압력 변화를 측정하게 되며, 이러한 압력변화 그래프를 통해 신호처리보드(50)는 심박동 사이 간격을 측정하여 심박변이도(HRV, Heart rate variability)를 분석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체중계(100)는 하판 하중지지프레임(30)의 하면 양측에 체지방 측정용 전극(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체지방 측정용 전극(40)의 신호선(51)은 하판 하중지지프레임(30)의 중앙홀을 통해 신호처리보드(50)에 연결되게 된다.
도 8은 체지방 측정모드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체중계(10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가 체지방을 측정하고자 할 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 체중계(100)를 뒤집어 체지방 측정용 전극(40)이 상측에 위치되도록 하여 측정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처리 흐름을 나타낸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셀(20)에서 측정된 값과, 촉각센서(63)에서 측정된 값, 피에조 센서(64)에서 측정된 값 그리고 체지방 측정용 전극(40)에서 측정된 값은 신호처리보드(50)로 전송되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분석수단(53)은 4개의 상기 로드셀(20)에 의해 측정된 값을 기반으로 모멘트 중심에 해당하는 발의 무게 중심을 산출하고, 촉각센서(63)에서 측정된 값과 로드셀(20)에서 측정된 값을 기반으로 족압분포와 몸의 밸런스를 분석하고, 피에조 센서(64)에서 측정된 압력값을 통해 심박동 사이간격을 측정하여 심박변이도를 분석하고, 체지방 측정용 전극(40)을 통해 측정된 값을 기반으로 체지방을 측정하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54)을 통해 측정된 값과, 분석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처리보드(50)에 통신모듈(52)이 구비되어, 로드셀(20), 상기 체지방 측정용 전극(40), 촉각센서(63) 및 상기 피에조센서(64)에서 측정된 값, 분석데이터가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70)로 전송되어 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가 전송되는 사용자 단말기(70)의 UI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모듈(52)을 통해 스마트폰 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70)로 측정값과 분석데이터를 전송하여 사용자가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70)는 측정때 마다 전송된 데이터가 저장되게 되고,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70)를 통해 자신의 체중 변화도, 족압분포의 변화, 몸의 밸런스 변화, 체지방률 변화, 심박변이도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종래 스마트 체중계
2:캡
10:상판 하중지지프레임
11:로드셀 장착단
20:로드셀
21:접촉부재
30:하판 하중지지프레임
31:삽입단
40:체지방 측정용 전극
50:신호처리보드
51:신호선
52:통신모듈
53:분석수단
54:디스플레이부
60:힘분포측정부
61:하판
62:상판
63:촉각센서
64:피에조 센서
70:사용자 단말기
100:족압분포와 심박변이도 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체중계

Claims (11)

  1. 체중계에 있어서,
    상판 하중지지프레임과, 하판 하중지지프레임;
    상기 상판 하중지지프레임과 상기 하판 하중지지프레임 사이의 가장자리측에 복수로 구비되어 무게를 측정하는 힘측정부; 및
    상기 상판 하중지지프레임 상측에 구비되어 힘의 분포를 측정하는 힘분포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힘분포측정부는,
    각각에 중앙홀이 형성된 상판과 하판; 및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 양측 각각에 구비되며 힘의 분포를 측정하는 필름형 어레이 촉각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촉각센서의 신호선은 상기 하판의 중앙홀을 통해 신호처리보드로 연결되며,
    상기 촉각센서 하측에 구비되어 압력변화를 측정하는 피에조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힘측정부는, 상기 상판 하중지지프레임과 상기 하판 하중지지프레임 사이 모서리에 4개의 로드셀로 구성되며, 4개의 상기 로드셀에 의해 측정된 값을 기반으로 모멘트 중심에 해당하는 발의 무게 중심을 산출하고, 상기 촉각센서에서 측정된 값을 기반으로 족압분포와 몸의 밸런스를 분석하고, 상기 피에조 센서에서 측정된 압력값을 통해 심박동 사이간격을 측정하여 심박변이도를 분석하는 분석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상판 하중지지프레임의 모서리 하단 각각에 연결되는 로드셀 장착단과, 상기 하판 하중지지프레임의 모서리 상단 각각에 연결되는 삽입단과, 상기 로드셀 장착단에 장착된 로드셀에 접촉되도록 상기 삽입단 상측에 고정되는 접촉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재는 삽입단 상면에 고정설치되며, 로드셀의 하면과 점접촉되게 되어 상기 접촉부재에 의해 하중에 의한 힘은 수직방향으로 로드셀에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압분포와 심박변이도 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체중계.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 하중지지프레임 하측에 구비되는 체지방 측정용 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석수단은 상기 체지방 측정용 전극을 통해 측정된 값을 기반으로 체지방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압분포와 심박변이도 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체중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 하중지지프레임과, 하판 하중지지프레임 각각은 중앙홀이 형성되며, 4개의 로드셀 각각의 신호선이 상기 중앙홀을 통해 신호처리보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압분포와 심박변이도 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체중계.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 하중지지프레임과, 하판 하중지지프레임의 재질은 유리 및 강화플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압분포와 심박변이도 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체중계.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과 하판의 재질은 실리콘, 폴리우레탄, 메탈쉬트, 및 플라스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압분포와 심박변이도 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체중계.
  10. 삭제
  11.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보드에는 상기 로드셀, 상기 체지방 측정용 전극, 상기 촉각센서 및 상기 피에조센서에서 측정된 값을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압분포와 심박변이도 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체중계.
KR1020180074268A 2018-06-27 2018-06-27 족압분포와 심박변이도 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체중계 KR102122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268A KR102122201B1 (ko) 2018-06-27 2018-06-27 족압분포와 심박변이도 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체중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268A KR102122201B1 (ko) 2018-06-27 2018-06-27 족압분포와 심박변이도 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체중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666A KR20200001666A (ko) 2020-01-07
KR102122201B1 true KR102122201B1 (ko) 2020-06-15

Family

ID=69153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4268A KR102122201B1 (ko) 2018-06-27 2018-06-27 족압분포와 심박변이도 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체중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22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5677B1 (ko) * 2021-02-24 2023-01-1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신체 밸런스와 운동 측정 시스템
KR20230122482A (ko) 2022-02-14 2023-08-22 김한빛 탄소섬유를 이용한 체중계
WO2024054081A1 (ko) * 2022-09-08 2024-03-14 차희찬 칫솔을 이용한 체성분 측정 시스템
KR102570452B1 (ko) * 2023-01-27 2023-08-24 (주)메디헬프라인 3d 스캔을 이용한 체성분 분석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4814A (ko) 2004-11-16 2006-05-23 주식회사 카스라벨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체중관리장치 및 그 방법
EP3154427A4 (en) * 2014-06-12 2018-03-14 Physiowave, Inc. Impedance measurement devices, systems, and methods
KR101572687B1 (ko) 2014-12-15 2015-12-11 주식회사 제니스헬스케어 휴대단말기 연동형 다이어트 가이드장치
KR102614487B1 (ko) * 2016-07-29 2023-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666A (ko) 2020-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2201B1 (ko) 족압분포와 심박변이도 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체중계
US20070179360A1 (en) Apparatus for measurement of body composition
US20150223723A1 (en) Body condi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method for processing body condition information
Utter et al. Evaluation of multifrequency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in assessing body composition of wrestlers
Williams et al. Bias and limits of agreement between hydrodensitometry, bioelectrical impedance and skinfold calipers measures of percentage body fat
Khan et al. Body composition of Bangladeshi children: comparison and development of leg-to-leg bioelectrical impedance equation
US20230178249A1 (en) Health level determination system, health level determination program, and health level determination server
KR20170111762A (ko) 무선 신장 및 체성분 체중측정 시스템
Reinert et al. Correlation of air displacement plethysmography with alternative body fat measurement techniques in men and women
US20170319130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hydration levels in animals
JP2019511932A (ja) 体液平衡及び/又は電解質平衡を検出するためのデバイス
US20210068702A1 (en) Condition evaluation device, condition evaluation method, and program
KR101865814B1 (ko) 휴대용 체성분 측정기에 활동량센서를 부가한 스마트 디바이스
CN210813699U (zh) 可称重跑步机
Diboll et al. A COMPARISON OF BIOELECTRICAL IMPEDANCE AND NEAR-INFRARED INTERACTANCE TO SKINFOLD MEASURES IN DETERMINING MINIMUM WRESTLING WEIGHT IN COLLEGIATE WRESTLERS.
KR200401437Y1 (ko) 체지방 및 수분 측정기능을 구비한 체중계
Chabowska et al. Juvenile obesity in terms of various evaluation methods
CN204995474U (zh) 一种脂肪秤面板
KR200376723Y1 (ko) 체성분분석 결과지
TWM573213U (zh)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instrument
KR102114095B1 (ko) 복합 전자 체중계
KR20020026338A (ko) 2점 측정법으로 구현한 체지방 측정장치 및 그 측정 방법
US11510609B2 (en) Muscle mass estimation method, muscle mass estim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storing a muscle mass estimation program
CN210009024U (zh) 一种人体成分分析仪
CN209997163U (zh) 一种普适型智能化运动风险评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