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1929B1 - 맞춤형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판매 방법 - Google Patents

맞춤형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판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1929B1
KR102121929B1 KR1020180146024A KR20180146024A KR102121929B1 KR 102121929 B1 KR102121929 B1 KR 102121929B1 KR 1020180146024 A KR1020180146024 A KR 1020180146024A KR 20180146024 A KR20180146024 A KR 20180146024A KR 102121929 B1 KR102121929 B1 KR 102121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information
customer terminal
companion animal
cust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6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1431A (ko
Inventor
이현석
장현민
Original Assignee
(주)펫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펫박스 filed Critical (주)펫박스
Priority to KR1020180146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1929B1/ko
Publication of KR20200061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1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맞춤형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판매 방법에 관한 것으로, 판매 서버가 온라인(인터넷)으로 접속된 고객 단말기로부터 고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판매 서버가 상기 수신한 고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고객 단말기의 주문 자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고객이 주문 자격자인 경우에 한하여 상기 판매 서버가 상기 고객 단말기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판매서버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화면을 통해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판매 서버가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품 정보DB에 저장된 상품들 중에서 필터링하여 상품을 추천하거나, 재접속된 상기 고객 단말기는 상기 필터링된 상품에 고객 단말기의 액션(Action) 정보를 부가하여 상품을 추천하는 단계; 상기 판매 서버가 상기 고객 단말기에 상기 결정된 상품에 대한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판매 서버가 상기 대금이 결제된 상품의 출고를 지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맞춤형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판매 방법{ONLINE SELLING METHOD PROVIDING CUSTOMIZED REFERRAL SERVICE}
본 발명은 판매 서버에 접속 및 입력 받은 고객 및 반려동물의 정보 고객 단말기의 액션정보를 이용하여 각 고객별 개인화된 최적 상품을 추천하는 맞춤형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판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반려동물은 1인가구, 노인가구, 핵가족화 등에 의해 반드시 필요한 가족의 일원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과거 집에서 기르는 개나 고양이를 애완동물(Pet)이라 하였으며, 최근에 들어 사람과 더불어 사는 동물로써, 사람과 정서적으로 의지하는 가족의 일원으로 대우하는 차원에서의 동물을 반려동물이라 한다.
오늘날의 사회에서 반려동물은 재미로 혹은 예뻐서 키우는 동물적 동반이 아닌, 가족구성원의 일원으로써, 1인 가족 혹은 고령화에 매우 적절한 동반자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반려동물은 현시점에서 약 1천 마리 이상이 반려동물로써 등록되어 있으며, 등록되지 않은 반려동물 수까지 고려하면 어마어마한 실정이다.
이와 같이, 반려동물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면서 반려동물에게 먹이는 반려동물 사료시장은 물론 반려동물을 위한 용품 시장이 함께 성장하여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렇지만, 방대한 양의 사료나 용품에 대한 상품 정보가 늘어나고 있어, 고객들이 원하는 상품을 특정하여 구매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품 검색에 대한 어려움은 고객의 만족도와 재구매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된다.
또한, 일반 고객들이 알아보기 어려운 정보 표시들로 고객들이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 정보들에 대한 진위 여부를 판단하기가 어려워 제품에 대한 신뢰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자 상거래 서비스에서는, 고객들에게 선호하는 상품들을 추천해주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한편 이와 관련하여, 국내등록특허 제10-0368129호("전자 상거래를 위한 상품 추천 장치 및 방법", 이하 선행문헌 1)에서는 구매자의 과거 구매 경향을 분석하여 상품을 추천하는 것이 아니라, 실용적인 관점, 성능적인 관점, 심미적인 관점 및 다른 소비자의 추천에 의한 평가치 관점 등의 각기 서로 다른 관점으로 구매 조건에 적합한 상품을 검색하여 추천함으로써, 구매자가 원하는 최적의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상품 추천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방대한 상품정보들 속에서 말을 할 수 없고, 요구사항을 알 수 없는 반려동물을 위해 필요한 상품을 추천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없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368129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건강을 개선 및 유지해주는 최적의 상품을 추천하는 맞춤형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판매 시스템 및 판매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객 단말기의 액션에 따라 선호하는 상품을 예측하고, 고객 단말기의 액션 정보를 업데이트함으로써, 고객이 가입 시 최초 정보를 입력한 후 별도의 추가적인 정보 입력 없이도 선호하는 정보가 자동 업데이트되어, 반려동물을 위한 상품을 추천하되, 고객이 선호하는 상품을 추천하는 맞춤형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판매 시스템 및 판매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맞춤형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판매 방법은, 판매 서버가 온라인(인터넷)으로 접속된 고객 단말기로부터 고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판매 서버가 상기 수신한 고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고객 단말기의 주문 자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고객이 주문 자격자인 경우에 한하여 상기 판매 서버가 상기 고객 단말기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판매서버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화면을 통해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판매 서버가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품 정보DB에 저장된 상품들 중에서 필터링하여 상품을 추천하거나, 재접속된 상기 고객 단말기는 상기 필터링된 상품에 고객 단말기의 액션(Action) 정보를 부가하여 상품을 추천하는 단계; 상기 판매 서버가 상기 고객 단말기에 상기 결정된 상품에 대한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판매 서버가 상기 대금이 결제된 상품의 출고를 지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는 반려동물의 종류, 품종, 몸무게, BCS 레벨, 선호 동물 식재료, 알러지 동물 식재료, 질병내역, 및 사료 또는 간식의 급여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매 서버는 상기 상품을 추천하는 단계 전, 상기 상품 정보DB에 상품의 종류, 각 상품에 적합한 반려동물의 종류, 함유 성분, 기능정보, 브랜드명, 및 가격대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하거나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선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품 정보DB에 저장된 상품들 중에서 필터링하여 상품을 추천하는 방법은 전체 상품 중 반려동물의 종류 및 품종에 맞는 상품을 리스트업하는 1단계; 상기 1단계의 상품 리스트 중 알러지 식재료가 포함된 상품을 제외하는 2단계; 상기 2단계의 상품 리스트 중 반려동물의 질병에 따라 금지 영양소를 포함하는 상품을 제외하는 3단계; 상기 3단계의 상품 리스트 중 반려동물의 질병에 따른 필요 영양소를 포함하 는 상품으로 리스트업하는 4단계; 및 상기 4단계의 상품 리스트 중 반려동물의 선호 동물 식재료 및 상기 고객의 요구정보를 바탕으로 정렬하여 상위 일부의 상품을 추천하는 5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품 추천 시,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에 포함된 반려동물의 BCS레벨에 의거하여 표준 BCS 레벨 5 중 3에 맞도록 급여횟수 및 1회 급여량의 정보를 노출하되, 상기 급여횟수 및 1회 급여량의 정보는 입력된 반려동물의 BCS레벨에 따라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객 단말기의 액션 정보로 상품을 추천하는 방법은 상기 고객 단말기의 액션정보에 따라 각 상품에 발생된 액션 값(Cost)으로 추천 상품 리스트를 생성하되, 상기 추천 상품 리스트 생성은 각 상품에 따라 이루어지는 액션에 따라 기 설정된 가중치로 하기의 수식에 따라 연산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각 액션 값(Cost)을 기준으로 내림차순하여 상위 일부의 상품으로 추천 상품 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식]
액션 값(Cost) = (w1 * 해당상품 클릭횟수) + (w2 * 검색 후, 상품클릭횟수) + (w3 * 해당상품 장바구니 추가횟수) + (w4 * 해당상품 장바구니 삭제횟수) + (w5 * 해당상품 주문횟수) + (w6)
이때, w1은 클릭 가중치, w2는 검색 후, 상품클릭 가중치, w3은 장바구니 추가 가중치, w4는 장바구니 제거 가중치, w5는 주문 가중치, 및 w6은 상품 화면에 머문 시간에 따른 가중치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고객 단말기의 액션정보에 따라 고객이 선호하는 브랜드 및 선호하는 가격대 정보를 추출하되, 상기 고객이 선호하는 브랜드 및 선호하는 가격대 정보는 상기 고객단말기의 액션정보로 발생된 값으로 추천된 상품 리스트의 통계에 의해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등록된 반려동물의 등록정보를 바탕으로 반려동물의 건강을 위해 사료를 추천함으로써, 반려동물의 건강 개선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등록정보를 바탕으로 반려동물의 건강을 위해 사료를 추천하되, 이들 중 고객 단말기의 행동을 분석하고 고객이 고객 단말기를 통해 관심을 보였던 상품을 바탕으로 재접속시에 이와 관련된 상품을 추천함으로써, 고객의 온라인 구매시간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판매 시스템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판매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판매 방법의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를 활용한 추천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본 발명은 온라인 판매 방법이긴 하나 본 발명의 요지는 맞춤형 추천 서비스를 제공한다는데 있으므로, 일반적인 온라인 판매시 활용되는 재고관리 및 배송관리 등과 같은 기술 내용의 설명은 생략 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판매 방법을 제공하는 판매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로, 고객 단말기(100), 판매 서버(200), 상품정보 DB(310), 질병정보 DB(320), 고객 및 반려동물정보 DB(410), 및 액션정보 DB(4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품 정보DB(310) 및 질병 정보DB(320)는 판매 서버(200)에 의해 저장된 내용이며, 고객 및 반려동물 정보 DB(410) 및 액션 정보 DB(420)는 고객 단말기(100)에 의해 저장되었거나, 고객 단말기(100)의 액션 정보를 저장한다.
고객 단말기(100)는 반려동물 용품 또는 사료의 주문자에 의해 사용되는 구성으로, 인터넷(10)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수단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10)은 통신 네트워크의 해당되며, 인터넷(10)으로 한정하지는 아니한다. 판매서버(200)와 인터넷(10)으로 연결된 고객 단말기(100)는 온라인으로 연결되었다고 할 수 있다.
판매 서버(200)는 반려동물 용품 및 사료를 판매하는 판매자에 의해 사용되는 구성으로, 인터넷(10)을 통해 접속한 고객 단말기(100)에 맞춤형 상품을 제시하도록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판매 서버(200)에 포함된 추천 추론부(210)는 고객 단말기(100)를 통해 등록된 고객 정보, 반려동물 정보 및 고객 단말기(100)의 액션 정보를 통해 맞춤형 상품을 추론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품정보 DB(310)는 판매 서버(200)를 통해 판매되는 상품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상품정보 DB(310)에는 상품의 종류, 각 상품에 적합한 반려동물의 종류, 함유 성분, 브랜드명, 및 가격대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품 정보가 저장된 상품정보 DB(310)만을 기재하였으나, 상품이 세분화 되거나 다른 특성을 갖는 상품들을 저장시 각각 다른 DB로 구현될 수 있음이 바람직하다.
질병정보 DB(320)은 질병의 종류, 각 질병의 원인유발 영양소, 금지 영양소, 필요 영양소, 원인유발 행동, 개선가능 영양소, 및 개선가능 행동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개선가능 영양소는 반려동물의 식이요법을 위해 저장되며, 개선가능 행동정보는 반려동물의 운동처방을 위해 저장된다.
질병 정보를 통해 반려동물의 상품을 처방하면서 개선을 위한 가이드를 제시한다.
고객 및 반려동물 정보 DB(410)는 고객 단말기(100)가 판매서버에 접속하여 등록하는 고객의 기본정보,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고객의 기본정보는 개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는 반려동물의 종류, 품종, 몸무게, BCS 레벨, 선호 동물 식재료, 알러지 식재료, 질병내역, 및 사료 또는 간식의 급여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이때, 고객 정보 및 반려동물 정보가 매칭되어 저장됨이 바람직하다.
액션 정보 DB(420)는 고객 단말기(100)가 판매 서버(200)에 접속하여 각 상품에 행하는 일련의 행동(action)들을 수치화하되, 고객 단말기(100)를 통해 선택된 상품들에 대해 각각에 액션 값을 부여하여 고객의 관심도를 파악한다.
고객 단말기(100)는 결정된 상품을 결제하되, 결제 시스템(50)을 통해 상품 대금을 결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판매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 먼저, 판매 서버(200)가 온라인으로 접속된 고객 단말기(100)로부터 고객 정보를 수신한다(S100).
고객 정보를 수신하긴 전이나, 고객 단말기(100)에 상품을 추천하기 전에 판매 서버(200)는 상품정보 DB(310)에 상품의 종류, 각 상품에 적합한 반려동물의 종류, 함유 성분, 기능정보, 브랜드명, 및 가격대 정보를 저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하거나 업데이트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품정보 DB(310)는 국내외 반려동물 사료/간식 공급회사에서 제공하는 사료/간식에 대하여 각회사 제품별로 사용원료 및 영양성분이 어느 회사 제품에 조단백질이 많고, 어느 회사 제품에 칼슘이 적은지 또는 어느 성분이 몇%를 함유하고 있는지 개별 또는 통계 처리하여, 각회사 제품별로 20개 정도를 8대 영양성분별로 분석 가공처리하여 각 회사별로 어느 제품이 어느 성분을 얼마만큼 함유하고 있는지 저장한다.
특히, 상품의 종류는 사료인지 간식인지, 함유성분 및 함유량은 주요 영양성분인 탄수화물, 조단백, 조지방, 조섬유, 조회분, 인, 칼슘, 수분등이 있으며, 이에 대한 각각의 양을 저장한다.
또한, 특이 영양성분의 비타민A, 비타민C, 비타민D3, 비타민E, 오메가-3, 오메가-6, DHA, EPA, L-카르니틴, 글루코사민, 나이아신, 나트륨, 아연, 타우린, 황산 콘드로이틴, 구리, 바이오틴, 철, 망간, 마그네슘, 유산균 등의 함유 여부를 저장한다.
또한, 기능정보는 비만 개선, 피부병 완화, 털 윤기 유지등과 같은 기능적인 역할을 저장한다.
그 밖에, 포함된 기호성 동물성 식재료가 무엇인지 g당 칼로리(kcal)와 같은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이어, 판매 서버(200)가 수신한 고객 정보에 기초하여 고객 단말기(100)의 주문 자격 여부를 판단한다(S200). 이때, 고객 단말기(100)의 주문자격이 없는 경우에는 회원가입 절차를 통해 주문자격을 부여한다.
이어, 고객이 주문 자격자인 경우에 한하여 판매 서버(200)가 고객 단말기(100)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화면을 제공한다(S300).
이어, 판매 서버(2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화면을 통해 고객 단말기(100)로부터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다(S400).
이때,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는 반려동물의 종류, 품종, 몸무게, BCS 레벨, 선호 동물 식재료, 알러지 동물 식재료, 질병내역, 및 사료 또는 간식의 급여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반려동물의 종류는 개, 고양이, 및 토끼 등과 같이 어떤 동물인지, 품종은 반려동물의 종류에 따라 개인 경우, 골든 리트리버, 코카스파니엘, 불독, 기타등등이 해당되며, 고양이인 경우, 코리안 숏헤어, 샴, 기타 등등이 해당된다.
BCS(Body Condition Score) 레벨은 5단계로 구분되며, 1단계(마른 형태)는 갈비뼈 및 허리뼈, 골반뼈가 돌출되어 있고 지방충 없으며 허리윤곽 뚜렷하고 복부주름 없는 형태이고, 2단계(저체중 형태)는 갈비뼈가 만져지고 지방층 얇고 허리곡선 및 복부주름 뚜렷한 보이는 형태이며, 3단계(이상적 형태)는 갈비뼈가 만져지나 외관성 보이지 않고 갈비뼈 뒤쪽으로 허리윤곽이 보이고 복부살이 약간 있는 형태이고, 4단계(과체중 형태)는 갈비뼈가 만져지고 얇은 지방층 있으며 허리 부분이 분간되지만 돌출되지 않고 복부살 바깥으로 드러난 형태이며, 5단계(비만 형태)은 갈비뼈가 만져지지 않고 두꺼운 지방충 있으며 허리뼈와 꼬리뼈가 시작하는 부분에 지방층 있고 허리윤곽이 보이지 않으며 복부주름 없고 팽팽함 상태를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사료 또는 간식의 급여정보는 현재 먹이고 있는 사료 또는 간식의 종류, 해당 사료 또는 간식의 일일급여 횟수, 및 해당 사료 또는 간식의 1회 급여시 급여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질병 내역은 과거에 걸린 완치된 질병 정보 중 질병 보유 기간, 및 치료여부사항과, 현재 걸린 질병 정보 중 발견된 시기 및 치료 진행여부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이 알러지가 자주 발생하다면, 사료/간식 중에 단백질 및 지방이 적고 콩 성분이 함유된 야채 성분이 많이 포함된 사료로 대체하도록 추천하는 것이 가능하고, 반려동물이 설사를 자주 한다면 수렴자용이 우수한 타닌성분이 소화에 부드러운 원료가 첨가된 사료/간식를 추천할 수 있다.
이어, 판매 서버(200)가 고객 단말기(100)로부터 제공받은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에 해당하는 항목을 바탕으로 상품 정보DB(310)에 저장된 상품들 중에서 필터링하여 상품을 추천 하거나, 재접속된 고객 단말기(100)는 필터링된 상품에 고객 단말기(100)의 액션(Action) 정보를 부가하여 상품을 추천하거나, 고객 단말기(100)의 액션정보에 따라 상품을 추천한다(S500).
여기서, 상품정보 DB(310)에 저장된 상품들 중에서 필터링하여 상품을 추천하는 방법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상품 중 반려동물의 종류 및 품종에 맞는 상품을 리스트업한다(S510)
이어, (S510)의 상품 리스트 중 알러지 식재료가 포함된 상품을 제외한다(S520)
이어, (S520)의 상품 리스트 중 반려동물의 질병에 따라 금지 영양소를 포함하는 상품을 제외한다(S530).
이어, (S530)의 상품 리스트 중 반려동물의 질병에 따른 필요 영양소를 포함하는 상품으로 리스트업한다(S540).
이때, 질병에 따른 금지영양소 및 필요 영양소는 질병정보 DB(320)에 저장된 질병에 관한 질병의 종류, 각 질병의 원인유발 영양소, 금지 영양소, 필요 영양소, 원인유발 행동, 개선가능 영양소, 및 개선가능 행동정보을 통해 분리한다.
마지막으로, (S540)의 상품 리스트 중 반려동물의 선호 동물 식재료 및 상기 고객의 요구정보를 바탕으로 정렬하여 상위 일부의 상품을 추천한다(S550).
이와 같이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 및 알러지 유무 등을 파악하여 반려동물의 건강을 개선 및 유지해주는 상품으로 추천한다.
또한, 판매 서버(200)는 질병정보 DB(320)에 저장된 내용과 반려동물의 질병을 매칭하여 반려동물의 건강개선을 위한 가이드를 함께 제시한다.
반려동물은 식중독, 눈병, 귓병, 열사병, 감기, 구토와 설자, 기생충 감염, 피부병, 폐렴, 골절, 알러지 등 다양한 질병이 존재하고, 또한 중성화 수술, 성대 수술, 인대 수술, 슬개골 수술 등 다양한 수술을 받을 수 있으며, 특히 일부 중요한 부위응 수술을 했을 경우에는 일정기간 또는 장기적으로 사료의 선택을 달리하여 급여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따라, 수술 부위 또는 해당 질병에 좋은 브랜드의 사료/간식을 장기적으로 급여하였을 경우에 어느 한쪽은 영양결핍이 발생하고 어느 한쪽으로는 영양과다로 나타나, 영양성분 불균형 섭취로 반려견의 건강에 이상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정보들에 대해 가이드한다.
또한, 고객 단말기(100)의 액션 정보에 따라 상품을 추천하는 방법은 고객 단말기(100)의 액션정보에 따라 각 상품에 발생된 액션 값(Cost)으로 추천 상품 리스트를 생성하되, 추천 상품 리스트 생성은 각 상품에 따라 이루어지는 액션에 따라 기 설정된 가중치로 하기의 [수학식1]에 따라 연산하여 상품에 대한 각 액션값(cost)을 기준으로 내림차순하여 상위 일부의 상품으로 추천 상품 리스트를 생성한다.
[수학식1]
값(cost) = (w1 * 해당상품 클릭횟수) + (w2 * 검색 후, 상품클릭횟수) + (w3 * 해당상품 장바구니 추가횟수) + (w4 * 해당상품 장바구니 삭제횟수) + (w5 * 해당상품 주문횟수) + (w6)
이때, w1은 클릭 가중치, w2는 검색 후, 상품클릭 가중치, w3은 장바구니 추가 가중치, w4는 장바구니 제거 가중치, w5는 주문 가중치, 및 w6은 상품 화면에 머문 시간에 따른 가중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w1 내지 w6의 가중치는 다음과 표 1과 같다.
내용 가중치
w1 상품 클릭 0.05
w2 검색후, 상품 클릭 0.15
w3 장바구니 추가 0.15
w4 장바구니 제거 -0.05
w5 주문 0.4
w6 상품 화면에 머문시간 - ~9초 : 0
- 10~29초 : 0.04
- 30~59초 : 0.08
- 60~119초 : 0.1
- 120~299초 : 0.15
- 300~ : 0.2
또한, 고객 단말기(100)의 액션 정보에 따라 고객이 선호하는 브랜드 및 선호하는 가격대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고객이 선호하는 브랜드 및 선호하는 가격대 정보는 고객 단말기(100)의 액션정보로 발생된 값으로 추천된 상품 리스트의 통계에 의해 추출된다.
즉, 추천된 상품들 정보에 포함된 브랜드명 및 가격대를 통계화하여 고객이 선호하는 브랜드 및 선호하는 가격대 정보를 추출하여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추천한 상품들 중 고객이 선호하는 브랜드 및 가격대를 추출하여 고객 단말기로 상품을 추천한다.
이와 같이, 추출된 고객이 선호하는 브랜드 및 선호하는 가격대 정보를 이용하여 고객의 맞춤형 추천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필터링된 상품에 고객의 맞춤형 추천 정보를 부가하여 상품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상품 추천 시,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에 포함된 반려동물의 BCS레벨에 의거하여 표준 BCS 레벨 5중 3에 맞도록 급여횟수 및 1회 급여량의 정보를 노출하되, 상기 급여횟수 및 1회 급여량의 정보는 입력된 반려동물의 BCS레벨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예컨대, BCS 레벨1인 반려동물의 급여횟수 및 1회 급여량을 늘리고, BCS 레베링 5인 반려동물의 급여횟수 및 1회 급여량을 줄여 표준이 될 수 있도록 급여횟수 및 1회 급여양을 조절해준다.
더욱 상세하게, 성견을 예로 들면, 1일 급여횟수는 일반 강아지는 적은량으로 3~4회, 작은 성견은 하루에 적은량으로 2~3회, 중강에서 대형 성견은 하루 2회, 대형에서 초대형 성견은 하후 1~2회, 노견은 적은량으로 하루 1~2회 정도 급여하는 것으로 하되, 강아지나 성견의 크기, 품종, 사료에 대한 선호도, 평상시 먹는 량을 감안하여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애완견의 경우, 영양학적으로 단백질25%, 탄수화물50%, 지방8% 정도의 비율이 이상적이고, 하루 필요한 열량은 소형견일 경우 체중 1kg당 110 Cal, 대형견은 체중 1kg당 60Cal 가 필요하며 발육기의 강아지나, 임신 중의 개는 평소보다 2배 정도의 Cal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나타내면, 예를 들어, 1kg의 강아지는 성견 필요 열량(cal)의 2배, 5kg의 강아지는 성견 필요열량(cal)의 1.5배, 7kg의 강아지는 성견 필요 열량(cal)의 1.2배 정도로 상견에 비해 열량이 더 필요하며, 실시예로 애완견 체중/40으로 계산하여 25kg의 애완견은 625g, 2kg의 50g으로 식사량을 조절하면 되고, 하루 필요로 하는 칼로리는 체중 1kg당 50Kcal~150Kcal를 기준으로 하면, 체중 25kg의 애완견은 1250Kcal ~3759Kcal의 칼로리가 필요하고 체중 2kg의 애완견은 100Kcal ~300Kcal의 칼로리의 열량으로 계산할 수도 있으며, 반려동물이 품종 및 몸무게가 동일하다고 하여도 해당 반려동물의 개별적인 특성이나 체질, 주변환경,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과의 관게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이런 모든 요소를 감안하여 조절할 수 있다.
이어, 판매 서버(200)가 고객 단말기(100)에 결정된 상품에 대한 결제를 요청한다(S600). 이때, 고객 단말기(100)는 결제시스템(50)을 통해 결제한다.
마지막으로, 결제가 완료되면, 판매 서버(200)가 상기 대금이 결제된 상품의 출고를 지시한다(S700).
따라서, 본 발명은 등록된 반려동물의 등록정보를 바탕으로 반려동물의 건강을 위해 사료를 추천함으로써, 반려동물의 건강 개선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등록정보를 바탕으로 반려동물의 건강을 위해 사료를 추천하되, 이들 중 고객 단말기의 행동을 분석하고 고객이 고객 단말기를 통해 관심을 보였던 상품을 바탕으로 재접속시에 이와 관련된 상품을 추천함으로써, 고객의 온라인 구매시간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고객 단말기
200...판매 서버
210...추천 추론부
310...상품 정보 DB
320...질병 정보 DB
410...고객 및 반려동물 정보 DB
420...액션 정보 DB

Claims (7)

  1. 판매 서버가 온라인(인터넷)으로 접속된 고객 단말기로부터 고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판매 서버가 상기 수신한 고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고객 단말기의 주문 자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고객이 주문 자격자인 경우에 한하여 상기 판매 서버가 상기 고객 단말기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판매서버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화면을 통해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판매 서버가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품 정보DB에 저장된 상품들 중에서 필터링하여 상품을 추천하거나, 재접속된 상기 고객 단말기는 상기 필터링된 상품에 고객 단말기의 액션(Action) 정보를 부가하여 상품을 추천하는 단계;
    상기 판매 서버가 상기 고객 단말기에 상기 결정된 상품에 대한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판매 서버가 상기 대금이 결제된 상품의 출고를 지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품 정보DB는 국내외 반려동물 사료/간식 공급회사에서 제공하는 사료/간식에 대하여 각회사 제품별로 사용원료 및 영양성분이 어느 회사 제품에 조단백질이 많고, 어느 회사 제품에 칼슘이 적은지 또는 어느 성분이 몇%를 함유하고 있는지 개별 또는 통계 처리하여, 각회사 제품별로 20개 정도를 8대 영양성분별로 분석 가공처리하여 각 회사별로 어느 제품이 어느 성분을 얼마만큼 함유하고 있는지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고객 단말기의 액션(Action) 정보를 부가하여 상품을 추천하는 것은, 상기 고객 단말기의 액션정보에 따라 각 상품에 발생된 액션 값(Cost)으로 추천 상품 리스트를 생성하되, 상기 추천 상품 리스트 생성은 각 상품에 따라 이루어지는 액션에 따라 기 설정된 가중치로 하기의 수식에 따라 연산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각 액션 값(Cost)을 기준으로 내림차순하여 상위 일부의 상품으로 추천 상품 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판매 방법.
    [수식]
    액션 값(Cost) = (w1 * 해당상품 클릭횟수) + (w2 * 검색 후, 상품클릭횟수) + (w3 * 해당상품 장바구니 추가횟수) + (w4 * 해당상품 장바구니 삭제횟수) + (w5 * 해당상품 주문횟수) + (w6)
    이때, w1은 클릭 가중치(0.05), w2는 검색 후, 상품클릭 가중치(0.15), w3은 장바구니 추가 가중치(0.15), w4는 장바구니 제거 가중치(-0.05), w5는 주문 가중치(0.4), 및 w6은 상품 화면에 머문 시간에 따른 가중치(0~0.2)를 나타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는 반려동물의 종류, 품종, 몸무게, BCS 레벨, 선호 동물 식재료, 알러지 동물 식재료, 질병내역, 및 사료 또는 간식의 급여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판매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매 서버는 상기 상품을 추천하는 단계 전, 상기 상품 정보DB에 상품의 종류, 각 상품에 적합한 반려동물의 종류, 함유 성분, 기능정보, 브랜드명, 및 가격대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하거나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선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판매 방법.
  4.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정보DB에 저장된 상품들 중에서 필터링하여 상품을 추천하는 방법은 전체 상품 중 반려동물의 종류 및 품종에 맞는 상품을 리스트업하는 1단계;
    상기 1단계의 상품 리스트 중 알러지 식재료가 포함된 상품을 제외하는 2단계;
    상기 2단계의 상품 리스트 중 반려동물의 질병에 따라 금지 영양소를 포함하는 상품을 제외하는 3단계;
    상기 3단계의 상품 리스트 중 반려동물의 질병에 따른 필요 영양소를 포함하 는 상품으로 리스트업하는 4단계; 및
    상기 4단계의 상품 리스트 중 반려동물의 선호 동물 식재료 및 상기 고객의 요구정보를 바탕으로 정렬하여 상위 일부의 상품을 추천하는 5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맞춤형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판매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품 추천 시,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에 포함된 반려동물의 BCS레벨에 의거하여 표준 BCS 레벨 5 중 3에 맞도록 급여횟수 및 1회 급여량의 정보를 노출하되, 상기 급여횟수 및 1회 급여량의 정보는 입력된 반려동물의 BCS레벨에 따라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판매 방법.
  6. 삭제
  7. 삭제
KR1020180146024A 2018-11-23 2018-11-23 맞춤형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판매 방법 KR102121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024A KR102121929B1 (ko) 2018-11-23 2018-11-23 맞춤형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판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024A KR102121929B1 (ko) 2018-11-23 2018-11-23 맞춤형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판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431A KR20200061431A (ko) 2020-06-03
KR102121929B1 true KR102121929B1 (ko) 2020-06-12

Family

ID=71087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6024A KR102121929B1 (ko) 2018-11-23 2018-11-23 맞춤형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판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19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5703B1 (ko) 2020-12-02 2021-07-09 발로 주식회사 건강기능식품 추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7017B1 (ko) * 2020-07-30 2022-01-05 주식회사 레시펫 인공지능 기반 반려동물의 맞춤형 개인화 식단 추천 방법 및 시스템
KR102479962B1 (ko) * 2020-08-07 2022-12-22 이혜경 반려 동물을 위한 맞춤형 사료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272830B1 (ko) * 2020-09-08 2021-07-05 주식회사 요필 안전 식품 검색을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22065535A1 (ko) * 2020-09-23 2022-03-31 주식회사 디디케어스 동물의 상태에 기초하여 제품을 추천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541B1 (ko) * 2017-01-24 2018-06-01 (주)바이앱스 쇼핑몰 이용자를 위한 맞춤형 이벤트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8129B1 (ko) 2000-04-29 2003-01-15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전자 상거래를 위한 상품 추천 장치 및 방법
KR101721053B1 (ko) * 2014-10-07 2017-03-29 주식회사 이레본 주문식 맞춤형 애완동물 사료의 온라인 판매 방법
KR20160107079A (ko) * 2015-03-03 2016-09-13 주식회사 이에쓰씨컴퍼니 사용자의 웹에서의 활동에 기초한 사용자 맞춤형 상품 추천 장치 및 방법
KR20180078458A (ko) * 2016-12-30 2018-07-10 이경문 동물 개체별 맞춤형 식료품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541B1 (ko) * 2017-01-24 2018-06-01 (주)바이앱스 쇼핑몰 이용자를 위한 맞춤형 이벤트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5703B1 (ko) 2020-12-02 2021-07-09 발로 주식회사 건강기능식품 추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431A (ko) 202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1929B1 (ko) 맞춤형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판매 방법
CN105209903B (zh) 用于订购和制造定制宠物食物的系统和方法
Villalba et al. Understanding and manipulating diet choice in grazing animals
JP4241371B2 (ja) ペット・フードをカストマイズ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2138271B1 (ko) 맞춤 검색 및 맞춤 추천 기능을 제공하는 반려동물 사료정보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Schröder Food quality and consumer value: Delivering food that satisfies
van de Vijver et al. Health effects of an organic diet—consumer experiences in the Netherlands
Golan et al. Food product composition, consumer health, and public policy: Introduction and overview of special section
Sheibani et al. Linear programming: an alternative approach for developing formulations for emergency food products
Casas et al. Effects of full fat or defatted rice bran on growth performance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weanling pigs
Karmaus et al. Future foods symposium on alternative proteins: Workshop proceedings
KR20160092845A (ko) 지역 특산물 사용자 맞춤형 식습관 개선 시스템 및 그 방법
Hartmann et al. Bugs on the menu: drivers and barriers of consumer acceptance of insects as food
Jolly et al. Groundnut consumption frequency in Ghana
Takeuchi et al. Using social media to change eating habits without conscious effort
Slade et al. Killing the sacred dairy cow? Consumer preferences for plant‐based milk alternatives
KR102321666B1 (ko)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 및 방법
Verma et al. Effect of aflatoxin, ochratoxin and their combination on protein and energy utilisation in white leghorn laying hens
KR20210023679A (ko) 기간별 식단 설계가 가능한 요양 시설 시니어용 식단 서비스 제공 방법
Predanocyová et al. Key factors affecting consumption of meat and meat products from perspective of Slovak consumers.
Frandsen et al. Consumer evaluation of milk authenticity explained both by consumer background characteristics and by product sensory descriptors
Nutrition Health
Buzby et al. Will 2005 Be the Year of the Whole Grains?
Tiffin et al. Food choice in an interdisciplinary context
KR20210130375A (ko) 애완 동물 맞춤형 식료품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