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1381B1 - 완충 및 안마가 가능한 신발 깔창 장치 - Google Patents

완충 및 안마가 가능한 신발 깔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1381B1
KR102121381B1 KR1020200020291A KR20200020291A KR102121381B1 KR 102121381 B1 KR102121381 B1 KR 102121381B1 KR 1020200020291 A KR1020200020291 A KR 1020200020291A KR 20200020291 A KR20200020291 A KR 20200020291A KR 102121381 B1 KR102121381 B1 KR 102121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wearer
buffer
cushioning
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0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랑석
Original Assignee
서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랑석 filed Critical 서랑석
Priority to KR1020200020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1381B1/ko
Priority to US17/800,224 priority patent/US20230062453A1/en
Priority to PCT/KR2020/003091 priority patent/WO202116715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16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ith heel or toe cap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7Resiliency achieved by the features of the material, e.g. foam, non liquid materials
    • A43B3/0005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43B7/14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provided with acupressure points or means for foot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Gait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4Garments; Clothes
    • A61B5/6807Footwe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2Feet
    • A61H2205/125Foot reflex z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완충 및 안마가 가능한 신발 깔창 장치는 신발 내부의 바닥면에 깔리는 패드부; 및 상기 패드부의 중앙부 내지 뒤꿈치부 사이에 접착되어 착용자의 뒤꿈치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패드부의 뒤꿈치부에서 앞꿈치부로 향할수록 높이가 감소하는 몸체부; 상기 패드부의 뒤꿈치부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여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완충홈; 및 상기 완충홈의 내측면 중에서 대향하는 두 내측면 사이를 연결하도록 연장 형성되고, 상기 착용자의 뒤꿈치와 접촉되는 복수의 완충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완충 및 안마가 가능한 신발 깔창 장치{Apparatus for absorbing shock and massaging in shoes}
본 발명은 완충 및 안마가 가능한 신발 깔창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착용자의 발 뒤꿈치에 인가되는 충격을 완충하고, 착용자의 발을 지압하여 안마할 수 있는 완충 및 안마가 가능한 신발 깔창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은 통상적으로 제2의 심장이라고 일컬어지고 있으며, 발의 중대성이 심대하게 부각(인식)되고 있다.
발은 발가락을 중심으로 하여 구성되는 전족부, 발가락 부분과 발꿈치 부분을 제외한 중간부분에 위치하는 중족부, 그리고 발꿈치를 중심으로 하여 구성되는 후족부로 구분된다.
전족부는 하나의 엄지발가락과 나머지 4개의 발가락에 의하여 이루어져 전진 이동시에 힘을 받게 되고, 중족부는 중족골들로 구성되어 전방부는 전족부와 연결되고 후부는 후족부와 연결되며 신체(체중)를 지탱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후족부는 발뒤꿈치뼈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보행시 체중의 최초 충격을 흡수하고 서 있을 때 체중을 지탱하여 균형을 이루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신발(구두 및 운동화 등)은, 발등을 포함하는 발전체를 보호하는 갑피부분과, 발바닥을 받쳐 보호하고 충격을 완환시키는 중창 및 밑창으로 되는 아웃 솔(OUT SOL)과, 상기 아웃 솔(OUT SOL)의 내부에 설치되어 발바닥을 실질적으로 받쳐 보호하고 충격을 완화시키는 깔창(인 솔:IN SOL)으로 크게 구분하여 구성된다.
부편적으로 신발(구두 및 운동화 등)은 자신의 발에 맞게 제작되는 맞춤신발과 표준치수를 기준으로 하여 제작되는 기성신발(기성구두 및 기성운동화)을 사용하고 있으며, 현대 생활에는 대부분 기성신발을 사용(착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기성신발은 규격화되어 있고, 특히 깔창도 규격화(동일한 형상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반면에 각 개인은 동일한 치수의 발이라 할지라도 발(발가락, 발바닥, 후족부)의 곡선 모양 및 형상(3차원적 형상)이 전혀 다르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 개인은 규격화된 기성신발을 착용하여야 하는 실정이며, 규격화된 기성신발의 깔창이 각 개인의 발의 개성에 맞지 않게 되어 착용이 불편하고 자세가 불안정하며, 그로 인해 발의 피로감을 가중시킨다.
근자에는 상기와 같은 기성신발을 구입하더라도 깔창(인 솔:IN SOL)을 자신의 발(곡선 모양 및 3차원적 형상)에 맞는 맞춤형으로 하여 착용하기도 하고 있다.
종래의 깔창은, 히팅장치가 구비된 오븐기(열성형기)를 별도로 제조하고, 상기 오븐기(열성형기)에 깔창을 넣고 예열시키며, 오븐기(열성형기)에 의해 예열된 깔창을 신발에 넣고 신발을 신어 맞춤형 인솔(깔창)을 성형하도록 된 것이다.
또 다른 종래의 깔창은, 족형틀 성형액이 충진된 족형 성형용 용기를 전자레인지 또는 뜨거운 물로 가열하여 족형틀 성형액을 예열시키고, 예열된 족형틀 성형액에 발을 올려 발바닥을 형성하며, 발바닥이 성형된 부분에 발바닥본 성형액을 부어 발바닥 본을 뜨며, 분리된 발바닥본을 가열된 열 성형 사출물(깔창)에 눌러 인솔을 형성하도록 된 것이다.
또 다른 종래의 깔창은, 맞춤 깔창을 전기오븐을 이용하여 예열하고, 예열된 맞춤 깔창을 성형틀의 위에 올려놓으며, 상기 예열된 맞춤 깔창이 굳어지기 전에 사용자가 서서 발을 예열된 맞춤 깔창에 올려놓아 굳어질 때까지 기다려 성형하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장치 및 방법에 의해 맞춤형 깔창(인솔)을 성형하기 위하여 깔창을 예열시킬 때에, 깔창의 두께 및 재질로 인해 전반부가 후방으로 말리는 현상이 발생하고 중간부분은 부풀어 오르는 현상이 발생하며, 이러한 변형으로 인해 맞춤형 깔창(인솔)을 용이하게 성형할 수 없는 현상이 발생한다.
또 예열된 깔창(인솔)을 외부에 완전히 노출시킨 상태에서 성형(발을 누르거나 찍어 성형)을 실시하므로 깔창(인솔)의 열기가 쉽게 방출되어 맞춤형 깔창(인솔)의 성형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없는 현상도 발생한다.
특히, 상기와 같이 형성된 종래의 깔창들은 공기를 공급할 수 없으므로 발바닥을 시원하게 유지시킬 수 없고, 땀이 발생하여 세균이 번식하며, 그로인해 발에서 냄새가 극심하게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깔창들은 착용자 발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푹신한 소재로 형성됨으로써, 일정 강성 이상의 소재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발을 지압하는 안마 기능을 추가할 수 없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13559호
본 발명은 착용자의 발 뒤꿈치에 인가되는 충격을 완충하고, 착용자의 발을 지압하여 안마할 수 있는 완충 및 안마가 가능한 신발 깔창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완충 및 안마가 가능한 신발 깔창 장치는 신발 내부의 바닥면에 깔리는 패드부; 및 상기 패드부의 중앙부 내지 뒤꿈치부 사이에 접착되어 착용자의 뒤꿈치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패드부의 뒤꿈치부에서 앞꿈치부로 향할수록 높이가 감소하는 몸체부; 상기 패드부의 뒤꿈치부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여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완충홈; 및 상기 완충홈의 내측면 중에서 대향하는 두 내측면 사이를 연결하도록 연장 형성되고, 상기 착용자의 뒤꿈치와 접촉되는 복수의 완충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완충홈은 신발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는 세로축의 세로 길이와 상기 세로축과 수직하는 가로축의 가로 길이가 각각 신발 길이에 비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의 완충플레이트는 신발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완충플레이트의 면적을 확장시키는 완충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완충 및 안마가 가능한 신발 깔창 장치는 상기 완충홈의 내측면 중에서 상기 복수의 완충플레이트가 형성되지 않은 내측면 및 상기 복수의 완충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의 완충플레이트 간의 제1 이격 거리를 측정하는 센싱부; 및 상기 제1 이격 거리가 미리 설정된 기준 이격 거리 이하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완충부의 수명 종료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이격 거리가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이격 거리 이하이면, 상기 완충부의 수명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센싱부는 신호 강도 정보를 이용하여 한 쌍의 신발 중 제1 신발과 제2 신발 간의 제2 이격 거리, 제1 신발의 제1 움직임 정보 및 제2 신발의 제2 움직임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움직임 정보 및 상기 제2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착용자가 보행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착용자가 보행 중이면 제2 이격 거리의 이격 거리 평균을 산출하고, 상기 이격 거리 평균에 기초하여 상기 착용자의 보행 불균형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착용자의 발 뒤꿈치에 인가되는 충격을 완충함으로써, 착용자가 보행 또는 뛰는 동작으로 인한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착용자의 발을 지압하여 안마함으로써, 착용자의 혈액순환을 촉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완충 및 안마가 가능한 신발 깔창 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완충 및 안마가 가능한 신발 깔창 장치의 구성요소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완충 및 안마가 가능한 신발 깔창 장치의 완충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완충 및 안마가 가능한 신발 깔창 장치의 완충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완충 및 안마가 가능한 신발 깔창 장치의 구성요소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완충 및 안마가 가능한 신발 깔창 장치의 완충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완충 및 안마가 가능한 신발 깔창 장치의 완충부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 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 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 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 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 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착용자 기기와 제2 착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착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 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 (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 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컨텍스트 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컨텍스트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완충 및 안마가 가능한 신발 깔창 장치(100)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완충 및 안마가 가능한 신발 깔창 장치(100)의 구성요소가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완충 및 안마가 가능한 신발 깔창 장치(100)의 완충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완충 및 안마가 가능한 신발 깔창 장치(100)의 완충부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완충 및 안마가 가능한 신발 깔창 장치(100)는 패드부(110), 완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패드부(110)는 신발 내부의 바닥면에 깔리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패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패드부(110)는 신발 내부의 바닥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신발 내부의 바닥면 전체를 덮을 수 있다.
이러한, 패드부(110)는 탄성을 갖는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완충부(120)는 상기 패드부(110)의 중앙부 내지 뒤꿈치부 사이에 접착되어 착용자의 뒤꿈치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한편, 패드부(110)는 상부 표면 중에서 착용자 발의 혈자리에 대응되는 혈 위치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제1 안마 돌기(110a)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안마 돌기(110a)는 미리 설정된 곡률에 대응되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정 강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안마 돌기(110a)는 착용자가 신발을 착용하고 보행 또는 달리는 중에 착용자의 체중이 인가되면, 상기 착용자의 체중을 이용하여 착용자 발의 혈자리를 가압하여 착용자의 혈액 순환을 촉진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제1 안마 돌기(110a)는 착용자가 신발을 착용한 동안에 착용자의 발을 지압하여 안마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완충부(120)는 탄성을 갖는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완충부(120)는 몸체부(121), 완충홈(122) 및 복수의 완충플레이트(123)를 구비할 수 있다.
몸체부(121)는 상기 패드부(110)의 중앙부 내지 뒤꿈치부 사이에 접착되고 상기 패드부의 뒤꿈치부에서 앞꿈치부로 향할수록 높이가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뒤꿈치부는 패드부(110) 중에서 착용자의 발뒤꿈치와 접촉하는 영역을 의미하고, 앞꿈치부는 착용자가 발뒤꿈치를 들었을 때 패드부(110와 접촉하는 영역을 의미하며, 중앙부는 앞꿈치부와 뒤꿈치부 사이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몸체부(121)는 상부 표면 중에서 착용자 발의 혈자리에 대응되는 혈 위치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제2 안마 돌기(121a)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안마 돌기(121a)는 미리 설정된 곡률에 대응되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정 강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안마 돌기(121a)는 착용자가 신발을 착용하고 보행 또는 달리는 중에 착용자의 체중이 인가되면, 상기 착용자의 체중을 이용하여 착용자 발의 혈자리를 가압하여 착용자의 혈액 순환을 촉진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제2 안마 돌기(121a)는 착용자가 신발을 착용한 동안에 착용자의 발을 지압하여 안마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완충홈(122)은 상기 패드부(110)의 뒤꿈치부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몸체부(121)를 관통하여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완충홈(122)은 신발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는 세로축의 세로 길이(y)와 상기 세로축과 수직하는 가로축의 가로 길이(x)가 각각 신발 길이에 비례할 수 있다.
즉, 완충홈(122)은 완충 및 안마가 가능한 신발 깔창 장치(100)가 설치되는 신발의 길이가 길수록 세로축의 세로 길이(y)와 가로축의 가로 길이(x)가 각각 길게 형성되고, 신발의 길이가 짧을수록 세로축의 세로 길이(y)와 가로축의 가로 길이(x)가 각각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완충플레이트(123)는 상기 완충홈(122)의 내측면 중에서 대향하는 두 내측면 사이를 연결하도록 연장 형성되고, 상기 착용자의 뒤꿈치와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완충플레이트(123)는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뒤꿈치에 의해 압착됨으로써, 착용자의 뒤꿈치에 인가되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완충플레이트(123)는 완충홈(122) 내에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착용자의 뒤꿈치로부터 외력이 인가되면 복수의 완충플레이트(123) 간이 벌어지거나 좁혀짐으로써, 착용자의 뒤꿈치에 인가되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완충 및 안마가 가능한 신발 깔창 장치(100')의 구성요소가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완충 및 안마가 가능한 신발 깔창 장치(100')의 완충부(120')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완충 및 안마가 가능한 신발 깔창 장치(100')의 완충부(120')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완충 및 안마가 가능한 신발 깔창 장치(100) 대비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완충 및 안마가 가능한 신발 깔창 장치(100')는 복수의 완충플레이트(123')에 완충돌출부(123a') 및 체결샤프트(123b')가 더 구비되고, 센싱부(130), 프로세서(140), 통신부(150), 저장부(160) 및 배터리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반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완충 및 안마가 가능한 신발 깔창 장치(100')는 패드부(110), 완충부(120'), 센싱부(130), 프로세서(140), 통신부(150), 저장부(160) 및 배터리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완충부(120')에 구비된 복수의 완충플레이트(123') 각각은 신발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완충플레이트(123')의 면적을 확장시키는 완충돌출부(123a')를 구비할 수 있다.
완충돌출부(123a')는 완충플레이트(123') 중앙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착용자의 뒤꿈치로부터의 외력이 인가되는 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완충플레이트(123') 각각은 완충돌출부(123a') 사이에 배치되어 완충돌출부(123a')를 체결하는 체결샤프트(123b')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체결샤프트(123b')는 어느 하나의 완충돌출부(123a')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어느 하나의 완충돌출부(123a')와 가장 가까운 완충돌출부(123a')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완충플레이트(123')는 착용자의 뒤꿈치로부터 과도한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복수의 완충플레이트(123') 간의 이격된 거리가 기준 거리를 초과하여 착용자의 뒤꿈치에 인가되는 충격을 완충하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센싱부(130)는 상기 완충홈(121)의 내측면 중에서 상기 복수의 완충플레이트(123')가 형성되지 않은 내측면 및 상기 복수의 완충플레이트(123') 중 어느 하나의 완충플레이트(123') 간의 제1 이격 거리(L1)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싱부(130)는 상기 완충홈(121)의 내측면 중에서 상기 복수의 완충플레이트(123')가 형성되지 않은 내측면에 배치되고, 적외선 또는 초음파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30)는 신호 강도 정보를 이용하여 한 쌍의 신발 중 제1 신발과 제2 신발 간의 제2 이격 거리, 제1 신발의 제1 움직임 정보 및 제2 신발의 제2 움직임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싱부(130)는 제1 신발과 제2 신발 각각에 배치되고,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신호 강도 정보를 측정하고, 신호 강도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이격 거리로 출력하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30)는 제1 신발과 제2 신발 각각에 배치되어 제1 움직임 정보 및 제2 움직임 정보를 각각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센싱부(130), 통신부(150), 저장부(160) 및 배터리부(17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140)는 하나 이상의 코어(core, 미도시) 및 그래픽 처리부(미도시)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 통로(예를 들어, 버스(bus)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40)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완충 및 안마가 가능한 신발 깔창 장치(100)의 작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상기 제1 이격 거리가 미리 설정된 기준 이격 거리 이하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완충부(120')의 수명 종료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이격 거리가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이격 거리 이하이면, 상기 완충부(120')의 수명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기준 이격 거리는 복수의 완충플레이트(123')의 탄성이 소실되어 완충홈(121)의 내측면을 향해 벌어진 상태에서 복원되지 않는 경우의 제1 이격 거리일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40)는 완충부(120')의 수명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완충부(120')의 수명 종료를 알리는 수명 종료 알림 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도록 통신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는 착용자가 사용하는 착용자 단말일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상기 제1 움직임 정보 및 상기 제2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착용자가 보행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착용자가 보행 중이면 제2 이격 거리의 이격 거리 평균을 산출하고, 상기 이격 거리 평균에 기초하여 상기 착용자의 보행 불균형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상기 제1 움직임 정보가 나타내는 제1 가속도 정보와 상기 제2 움직임 정보가 나타내는 제2 가속도 정보 각각의 가속도 평균이 미리 설정된 기준 가속도 범위 내에 포함되면, 착용자가 보행 중인 것을 판단 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기준 가속도 범위는 착용자가 보행 중인 경우에 측정될 수 있는 가속도 평균일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40)는 착용자가 보행 중이면 제1 움직임 정보가 움직임이 없음 나타내는 정보인 제1 기간 동안의 제2 이격 거리의 제1 이격 거리 평균을 산출하고, 제2 움직임 정보가 움직임이 없음 나타내는 정보인 제2 기간 동안의 제2 이격 거리의 제2 이격 거리 평균을 산출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0)는 착용자가 보행 중인 상황에서 어느 한발은 정지한 상태로 다른 한발을 움직이는 경우의 제1 이격 거리 평균과 다른 한발은 정지한 상태로 어느 한발을 움직이는 경우의 제2 이격 거리 평균을 각각 산출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프로세서(140)는 제1 이격 거리 평균과 제2 이격 거리 평균 간의 평균차가 미리 설정된 기준 평균차를 초과하면 착용자가 보행 불균형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싱부(13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제1 신발과 제2 신발 각각으로부터 측정된 측정 결과를 프로세서(14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1 통신부(140)는 통신망에 연결되어 범용 통신을 이용하여 외부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50)는 범용 통신을 수행하는 범용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범용 통신은 인터넷 망을 이용한 통신이거나,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로서, 예를 들면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d),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저장부(160)에는 프로세서(14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들(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6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구분될 수 있다.
배터리부(170)는 제1 신발 및 제2 신발 각각에 배치되어 완충 및 안마가 가능한 신발 깔창 장치(100)의 구성요소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센싱부(130), 프로세서(140), 통신부(150), 저장부(160) 및 배터리부(170)는 하나의 직접회로(IC)로 형성되어 완충부(120')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완충 및 안마가 가능한 신발 깔창 장치
110: 패드부
120, 120': 완충부
130: 센싱부
140: 프로세서
150: 통신부
160: 저장부
170: 배터리부

Claims (5)

  1. 신발 내부의 바닥면에 깔리는 패드부; 및 상기 패드부의 중앙부 내지 뒤꿈치부 사이에 접착되어 착용자의 뒤꿈치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패드부의 뒤꿈치부에서 앞꿈치부로 향할수록 높이가 감소하는 몸체부; 상기 패드부의 뒤꿈치부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여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완충홈; 및 상기 완충홈의 내측면 중에서 대향하는 두 내측면 사이를 연결하도록 연장 형성되고, 상기 착용자의 뒤꿈치와 접촉되는 복수의 완충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및 안마가 가능한 신발 깔창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완충홈의 내측면 중에서 상기 복수의 완충플레이트가 형성되지 않은 내측면 및 상기 복수의 완충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의 완충플레이트 간의 제1 이격 거리를 측정하는 센싱부; 및
    상기 제1 이격 거리가 미리 설정된 기준 이격 거리 이하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완충부의 수명 종료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이격 거리가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이격 거리 이하이면, 상기 완충부의 수명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및 안마가 가능한 신발 깔창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홈은
    신발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는 세로축의 세로 길이와 상기 세로축과 수직하는 가로축의 가로 길이가 각각 신발 길이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및 안마가 가능한 신발 깔창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완충플레이트는
    신발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완충플레이트의 면적을 확장시키는 완충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및 안마가 가능한 신발 깔창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신호 강도 정보를 이용하여 한 쌍의 신발 중 제1 신발과 제2 신발 간의 제2 이격 거리, 제1 신발의 제1 움직임 정보 및 제2 신발의 제2 움직임 정보를 측정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움직임 정보 및 상기 제2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착용자가 보행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착용자가 보행 중이면 제2 이격 거리의 이격 거리 평균을 산출하고, 상기 이격 거리 평균에 기초하여 상기 착용자의 보행 불균형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및 안마가 가능한 신발 깔창 장치.
KR1020200020291A 2020-02-19 2020-02-19 완충 및 안마가 가능한 신발 깔창 장치 KR102121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291A KR102121381B1 (ko) 2020-02-19 2020-02-19 완충 및 안마가 가능한 신발 깔창 장치
US17/800,224 US20230062453A1 (en) 2020-02-19 2020-03-05 Shoe insole apparatus capable of buffering and massaging
PCT/KR2020/003091 WO2021167153A1 (ko) 2020-02-19 2020-03-05 완충 및 안마가 가능한 신발 깔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291A KR102121381B1 (ko) 2020-02-19 2020-02-19 완충 및 안마가 가능한 신발 깔창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1381B1 true KR102121381B1 (ko) 2020-06-10

Family

ID=71087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291A KR102121381B1 (ko) 2020-02-19 2020-02-19 완충 및 안마가 가능한 신발 깔창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062453A1 (ko)
KR (1) KR102121381B1 (ko)
WO (1) WO2021167153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086B1 (ko) * 2006-07-28 2007-11-30 (주)한신코리아 신발용 컵인솔
KR20120001237U (ko) * 2010-08-13 2012-02-22 윤성주 복합 기능 건강 신발
KR20160013559A (ko) 2014-07-28 2016-02-05 권미정 에어쿠션기능이 구비된 맞춤형신발깔창
KR20190036814A (ko) * 2017-09-28 2019-04-05 스피나 시스템즈 주식회사 에어홀을 구비한 압력센싱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33040B2 (en) * 2014-01-16 2017-12-05 Ukies LLC Footwear and insole system
KR101815007B1 (ko) * 2015-08-10 2018-01-04 (주)매직에코 스마트 인솔 시스템
KR20170098638A (ko) * 2016-02-22 2017-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솔 및 이동 단말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086B1 (ko) * 2006-07-28 2007-11-30 (주)한신코리아 신발용 컵인솔
KR20120001237U (ko) * 2010-08-13 2012-02-22 윤성주 복합 기능 건강 신발
KR200462400Y1 (ko) * 2010-08-13 2012-09-10 윤성주 복합 기능 건강 신발
KR20160013559A (ko) 2014-07-28 2016-02-05 권미정 에어쿠션기능이 구비된 맞춤형신발깔창
KR20190036814A (ko) * 2017-09-28 2019-04-05 스피나 시스템즈 주식회사 에어홀을 구비한 압력센싱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67153A1 (ko) 2021-08-26
US20230062453A1 (en) 2023-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32890C1 (ru) Система обувной опорной стельки
US4100686A (en) Shoe sole construction
US20170224050A1 (en) Customizable inserts for footwear
TW200946049A (en) Customisable inserts, footwear for use with same and a method of selecting an insert for footwear
US20110252665A1 (en) Soft and elastic shoe pad
KR101815007B1 (ko) 스마트 인솔 시스템
US20090019728A1 (en) Adjustable Arch Support
KR102309534B1 (ko) 족부 맞춤 3d 인솔 모델링 방법 및 서버
KR102121381B1 (ko) 완충 및 안마가 가능한 신발 깔창 장치
US20190133250A1 (en) Orthopedic insoles
KR20160135495A (ko) 바른 보행, 관절 보호 및 피로 방지 구두용 중창
CN111657628B (zh) 减压鞋垫结构
JP3211473U (ja) インソール構造
Li et al. Biomechanical effects of foam inserts on forefoot load during the high-heeled gait: a pilot study
CN212911962U (zh) 一种可免足模塑形的热塑定制型鞋垫
KR101276093B1 (ko) 개인 맞춤용 깔창
Meng et al. The effectiveness of personalized custom insoles on foot loading redistribution during walking and running
KR101874539B1 (ko) 신발 밑창
KR20180001749U (ko) 신발용 논-슬립 패치
KR200252034Y1 (ko) 족저아치높이가 조절가능한 신발깔창
KR101697135B1 (ko) 스마트 지골 교정 장치
KR100437934B1 (ko) 족저아치높이가 조절가능한 신발깔창
JPH0716321Y2 (ja) 靴 底
CN221012173U (zh) 一种碳纤维鞋垫及鞋子
KR101513246B1 (ko) 발열체가 내장된 신발 안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