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1359B1 - 압력 완충 장치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압력 완충 장치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1359B1
KR102121359B1 KR1020180084692A KR20180084692A KR102121359B1 KR 102121359 B1 KR102121359 B1 KR 102121359B1 KR 1020180084692 A KR1020180084692 A KR 1020180084692A KR 20180084692 A KR20180084692 A KR 20180084692A KR 102121359 B1 KR102121359 B1 KR 102121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eat
barrier material
manufacturing
air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4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9802A (ko
Inventor
고영빈
강용수
최동식
Original Assignee
(주)더에스테크
고영빈
강용수
최동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더에스테크, 고영빈, 강용수, 최동식 filed Critical (주)더에스테크
Priority to KR1020180084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1359B1/ko
Publication of KR20200009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combined operations or combined techniques, e.g. welding and sti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welding and severing, or by joining and severing, the severing being performed in the area to be joined, next to the area to be joined, in the joint area or next to the joint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29C66/92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pressure, the force, the mechanical power or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 B29C66/924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pressure, the force, the mechanical power or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pressure, the force, the mechanical power or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복수의 에어부, 상기 복수의 에어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 흐름부, 및 상기 에어 흐름부의 소정 영역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에어 흐름부 내의 공기 흐름을 제어하는 에어 제어부,를 포함하는 압력 완충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 제1 부재 및 제2 부재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에어 제어부를 형성하기 위한 열 융착 차단재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가 서로 포개져 겹쳐지도록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를 배열시키는 단계, 및 서로 포개져 겹쳐진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를 열 융착 지그로 열 융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복수의 에어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에어 제어부의 폭은 상기 에어 흐름부의 폭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완충 장치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압력 완충 장치의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PRESSURE RELIEVING DEVICE}
본 발명은 압력 완충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압력 제어 장치 없이도, 열 융착 차단재를 부재에 부착하고, 이를 열 융착함으로써 에어 제어부의 형성이 가능하여 원가절감의 효과 및 제조 공정의 단순화를 도모할 수 있고, 적용 상황에 부합하는 압력 완충 장치 구조의 용이한 설계와 이에 따른 압력 완충 효과의 최대화를 도모할 수 있는 압력 완충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에어백 등 압력 완충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는, 튜브형 또는 시트형 두 장의 부재를 가열하여 금형에 넣은 후 부재 사이에 공기를 불어 넣어 금형에 밀착시킴으로써 모양과 에어백 내부 압력을 정하는 블로우식과, 두 장의 부재를 포갠 후 열 융착 지그로 융착시키는 열 융착식이 있다.
그러나, 상기 열 융착식은 부재의 두께, 융착 온도, 압축 강도 등의 문제로인해 공기 유로의 폭과 단면적을 최소화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압력 완충 장치의 제조 방법(열 융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두 장의 부재(20,30)가 포개져 배열되어 있고, 그 위에 열 융착 지그(10)가 위치되어 있다((a)단계). 포개져 있는 두 장의 부재(20, 30)가 열 융착 지그(10)에 의해 융착된다((b)단계). 두 장의 부재(20, 30)가 열 융착된 후 공기 유로부(40)가 형성된다((c)단계).
그러나, 칼날부 간격이 좁은 열 융착 지그(10)를 사용하여 폭과 단면적이 좁은 공기 유로부를 형성하는 경우, 열 융착 과정에서 두 장의 부재(20, 30)가 서로 뭉개져 융착됨으로써 좁은 폭과 단면적을 갖는 공기 유로부를 형성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한편, 폭과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큰 공기 유로부를 형성한 경우, 에어백의 소정 위치에 압력이 가해지면 공기가 다른 에어 격실로 흐르며 충격을 완충시킨다는 이론상의 기능과는 달리, 압력이 가해진 위치는 아무런 저항(반발 탄성) 없이 수축되어버려 충격이 발 등에 그대로 전달되어 실질적인 충격 완충의 효과가 없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체크밸브, 클램프 등 압력제어 장치가 구비된 에어백 제품이 등장하였으나, 압력제어 장치의 제작이나 에어백 내의 설치방법 등의 어려움으로 상용화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6437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열 융착 차단재를 이용하여 에어 제어부가 형성됨으로써, 원가절감과 제조 공정 단순화를 도모할 뿐만 아니라, 에어 제어부의 폭과 단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압력 완충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 융착 차단재를 이용하여 형성된 에어 제어부가 체중, 활동방식 등 다양한 상황에 맞게 압력 완충 장치 내에 마련될 수 있어, 설계의 편리성이 도모될 뿐만 아니라, 상황에 맞는 최대화된 압력 완충 효과를 도모하는 압력 완충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에어 제어부의 폭이 에어 흐름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일 에어부에서 빠져나온 공기가 다른 에어부로 천천히 흐르기 때문에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는 압력 완충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완충 장치의 제조 방법은 복수의 에어부, 상기 복수의 에어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 흐름부, 및 상기 에어 흐름부의 소정 영역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에어 흐름부 내의 공기 흐름을 제어하는 에어 제어부,를 포함하는 압력 완충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 제1 부재 및 제2 부재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에어 제어부를 형성하기 위한 열 융착 차단재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가 서로 포개져 겹쳐지도록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를 배열시키는 단계, 및 서로 포개져 겹쳐진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를 열 융착 지그로 열 융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복수의 에어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에어 제어부의 폭은 상기 에어 흐름부의 폭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 융착 차단재를 부착하는 단계는, 인쇄 공정, 나염 공정 및 스티커 공정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의 하방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열 융착 차단재는 상기 제1 부재의 하부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의 하방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열 융착 차단재는 상기 제2 부재의 상부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열 융착 차단재는 실리콘 및 도금 소재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 제어부의 형상은 상기 열 융착 차단재의 형상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 제어부 길이는 상기 열 융착 차단재의 길이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 융착 지그는, 상기 복수의 에어부를 수용하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복수의 에어부 수용부, 상기 복수의 에어부 수용부를 연결하고, 내부가 비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 흐름부 형성부, 상기 에어 흐름부 형성부의 소정 영역에 마련되어 있는 에어 제어부 형성부, 및 상기 복수의 에어부 수용부의 둘레 및 상기 에어 흐름부 형성부의 둘레를 형성하는 칼날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 제어부 형성부는 상기 칼날부의 높이와 동일거나 낮은 높이를 갖을 수 있다.
상기 칼날부는, 열 융착시,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가 열 융착되도록 눌러주는 평평한 형상의 누름부, 및 상기 누름부로부터 외측으로 단차져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를 절단하도록 구성된 칼날 형상의 커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 제어부 형성부는 상기 에어 흐름부 형성부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영역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열 융착 차단재가 부착된 부분을 누를 수 있도록 구성된 평평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 제어부 형성부는 열 융착시, 상기 열 용착 차단재의 좌우의 외측 부분도 누를 수 있도록 구성된 사각의 평평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 융착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열 융착 차단재가 부착된 부분은 열 융착이 차단되고, 상기 열 융착 차단재의 좌우 외측 부분은 열 융착되어 상기 에어 제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제어부 형성부의 길이는 상기 열 용착 차단재의 길이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 제어부는 일 영역의 폭이 타 영역의 폭보다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 제어부는 중앙 영역의 폭이 양 단부 영역의 폭보다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완충 장치의 제조 방법은 복수의 에어부, 상기 복수의 에어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 흐름부, 및 상기 에어 흐름부의 소정 영역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에어 흐름부 내의 공기 흐름을 제어하는 에어 제어부를 포함하는 압력 완충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 제1 부재 및 제2 부재에 상기 에어 제어부를 형성하기 위한 제1 열 융착 차단재와 제2 열 융착 차단재를 각각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제1 부재, 상기 제2 부재,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사이에 위치된 제3 부재가 서로 포개져 겹쳐지도록 상기 제1 부재, 상기 제2 부재, 상기 제3 부재를 배열시키는 단계, 및 서로 포개져 겹쳐진 상기 제1 부재, 상기 제2 부재, 상기 제3 부재를 열 융착 지그로 열 융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복수의 에어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에어 제어부의 폭은 상기 에어 흐름부의 폭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열 융착 차단재와 제2 열 융착 차단재를 각각 부착하는 단계는, 인쇄 공정, 나염 공정 및 스티커 공정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1 열 융착 차단재와 상기 제2 열 융착 차단재는 실리콘 및 도금 소재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체크밸브, 클램프 등의 압력제어 장치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열 융착 차단재를 이용하여 에어 제어부가형성될 수 있으므로 원가절감과 제조 공정 단순화를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 융착 차단재를 이용하여 형성된 에어 제어부가 체중, 활동방식 등 다양한 상황에 맞게 압력 완충 장치 내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설계의 편리성이 도모될 뿐만 아니라, 상황에 맞는 최대화된 압력 완충 효과를 도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 제어부의 폭이 에어 흐름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일 에어부에서 빠져나온 공기가 다른 에어부로 천천히 흐르기 때문에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 융착 차단재를 이용하여 에어 제어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열 융착되는 부재가 뭉개지지 않아 최소화된 폭과 단면적 등 원하는 폭과 단면적을 갖는 에어 제어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압력 완충 장치의 제조 방법(열 융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완충 장치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열 융착 지그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완충 장치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압력 완충 장치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완충 장치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압력 완충 장치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완충 장치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솔형 압력 완충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3의 열 융착 지그에 의해 열 융착된 양 부재의 일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력 완충 장치의 제조 방법의 일부 공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력 완충 장치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압력 완충 장치가 부착된 가방의 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지만, 하기 예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완충 장치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완충 장치의 제조 공정은, 제1 부재 및 제2 부재 중 어느 하나에 열 융착 차단재를 부착하는 단계((a)단계),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배열시키는 단계((b)단계), 및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를 열 융착 지그로 열 융착시키는 단계((c)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단계에서, 인쇄 공정, 나염 공정 및 스티커 공정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제2 부재(B)에 상기 열 융착 차단재(C)가 부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2 부재의 상부면에 상기 열 융착 차단재(C)가 부착된다.
대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열 융착 차단재(C)가 제1 부재(A)의 하부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열 융착 차단재(C)가 상기 부재(A)의 하부면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부재(A)와 상기 부재(B)의 상, 하 배열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열 융착 차단재(C)는 열 융착시, 상기 열 융착 차단재(C)가 부착된 부분에서는 상기 부재(A)와 상기 부재(B)가 융착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내열성이 좋으며, 열 융착 후 상기 부재(A)와 쉽게 떨어져 에어 제어부 형성이 용이한 이형성이 강한 소재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 융착 차단재는 상기 부재(A) 및 상기 부재(B)와 열융착 되지 않으며, 인쇄, 나염, 스티커의 형태로 재현성이 좋은 실리콘, 금속 또는 도금 소재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b)단계에서, 에어부(110, 120)가 형성되어 있는 부재(A)와 열 융착 차단재(C)가 부착된 부재(B)가 서로 포개져 겹쳐지도록 배열시킨다. 이때, 상기 부재(B)는 상기 1 부재(A)의 하방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부재(A)와 상기 부재(B)는 TPU(열가소성 폴리우레탄)필름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c)단계에서, 서로 포개져 겹쳐진 상기 부재(A)와 상기 부재(B)를 열 융착 지그(300)로 열 융착한다. 상기 열 융착은 고주파 열 융착일 수 있다. 고주파 열 융착에 의해 상기 부재(A)와 부재(B)는 융착되지만, 열 융착 차단재(C)가 부착되어 있는 부분은 융착되지 않으므로 열 융착 차단재(C)의 형상을 따라 에어 제어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도 3은 열 융착 지그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열 융착 지그(300)는 칼날부(310), 에어부 수용부(320), 에어 흐름부 형성부(330) 및 에어 제어부 형성부(340)를 포함한다.
상기 칼날부(310)는 누름부(312)와 커팅부(314)를 포함한다. 상기 커팅부(314)는 상기 누름부(312)와 단차져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부재(A)와 상기 부재(B)를 자를 수 있는 날카로운 형상이다. 상기 누름부(312)는 상기 부재(A)와 상기 부재(B)가 열 융착될 수 있도록 평평한 형상이다.
상기 에어부 수용부(320)는 상기 부재(A)에 형성되어 있는 에어부(110, 12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에어부(110, 12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상기 에어 흐름부 형성부(330)는 양 측면의 칼날부(310) 사이에 비어 있는 공간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에어 제어부 형성부(340)는 상기 에어 흐름부 형성부(330)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마련되어 있고, 평평한 형상이며, 상기 칼날부, 바람직하게는 누름부와 동일하거나 낮은 높이일 수 있다. 대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에어 제어부 형성부(340)는 상기 부재(A)와 상기 부재(B)의 두께 대비 약 50~80% 낮게 위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부재(A)와 상기 부재(B)의 융착 부분이 보다 잘 붙게 되는 효과가 있다.
서로 포개져 있는 상기 부재(A)와 상기 부재(B)를 상기 열 융착 지그(300)로 눌러 열 융착시키는 경우, 상기 에어 흐름부 형성부(330)는 양 측면의 칼날부(310) 사이에 있는 비어 있는 공간이므로, 비어 있는 공간 형상에 대응되는 에어 흐름부(130)가 형성된다(도 4 참조).
또한, 상기 열 용착 지그(300)의 상기 에어 제어부 형성부(340)는 상기 열 융착 차단재(C)가 부착된 부분을 누르게 되는데, 상기 에어 제어부 형성부(340)는 사각의 평평한 형상이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 용착 차단재(C)의 좌우의 외측 부분도 누르게 되므로, 상기 열 융착 차단재(C)가 부착된 부분은 열 융착되지 않지만, 상기 열 융착 차단재(C)의 좌우 외측 부분의 부재(A)와 부재(B)는 열 융착되고, 그 결과, 도 4의 확대된 부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의 에어 제어부(14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에어 제어부 형성부(340)의 길이는 상기 열 용착 차단재(C)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는 데, 이로 인해, 열 융착 과정을 거쳐 형성된 상기 에어 흐름부(130)와 상기 에어 제어부(140)의 통로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완충 장치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압력 완충 장치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압력 완충 장치(100)는, 복수의 에어부(110, 120), 에어 흐름부(130) 및 에어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에어부(110, 120)가 2개 마련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상황, 예를 들면 고체중, 저체중, 조깅용, 워키용 등 다양한 상황에 맞추어 에어부의 개수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에어 흐름부(130)는 상기 복수의 에어부(110, 120)를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복수의 에어부(110, 120) 중 일 에어부(110)에 압력이 가해지면 일 에어부(110) 내의 공기가 상기 에어 흐름부(130)를 통해 다른 에어부(120)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에어 제어부(140)는 상기 에어 흐름부(130)의 소정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에어 제어부(140)가 상기 에어 흐름부(130)의 중간부에서 약간 아래쪽 영역에 마련되어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에어 흐름부(130)와 상기 에어 제어부(140)는 도 4의 확대된 부분에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의 확대된 부분을 참조하면, 상기 에어 흐름부(130)의 폭은 일정하나, 상기 에어 제어부(140)의 폭은 일정하지 않고, 양 단부가 폭이 넓고 중앙부가 폭이 좁은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에어 제어부(140)의 폭은 어느 영역에서든 상기 에어 흐름부(130)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에어부(110, 120) 중 일 에어부(110)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일 에어부(110) 내의 공기는 상기 에어 흐름부(130a), 상기 에어 흐름부(130a)의 폭보다 좁은 폭의 에어 제어부(140), 그리고 상기 에어 제어부(140)의 폭보다 넓은 폭의 에어 흐름부(130b)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되므로, 상기 공기가 일 에어부(110)에서 다른 에어부(120)로 급하게 이동하지 않고 서서히 이동하게 되어 압력을 완충시키는 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가해진 압력에 의해 다른 에어부(120)로 이동된 공기는 보행자의 무게중심이 이동되면, 에어 흐름부(130b), 상기 에어 흐름부(130b)의 폭보다 좁은 폭의 에어 제어부(140), 상기 에어 제어부(140)의 폭보다 넓은 폭의 에어 흐름부(130a)를 거쳐 일 에어부(110)로 서서히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압력 완충 효과는 물론, 별도의 공기 충진 없이도 압력 완충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완충 장치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압력 완충 장치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압력 완충 장치(200)는 복수의 에어부(210, 220, 230, 240, 250), 에어 흐름부(260, 270, 280) 및 에어 제어부(265, 275, 28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에어부(210, 220, 230, 240, 250)가 5개 마련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상황에 따라 에어부의 개수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에어 흐름부(260)는 제1 에어부(210)와 제2 에어부(220)를, 상기 에어 흐름부(270)는 제1 에어부(210)와 제3 에어부(230)를, 상기 에어 흐름부(280)는 제4 에어부(240)와 제5 에어부(250)를 연결하고 있다.
제1 에어부(210)에 압력이 가해지면 제1 에어부(210) 내의 공기가 상기 에어 흐름부(260)와 상기 에어 흐름부(270)를 통해 각각 제2 에어부(220)와 제3 에어부로 이동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5 에어부(250)에 압력이 가해지면, 제5 에어부(250) 내의 공기가 에어 흐름부(280)를 통해 제4 에어부(240)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에어 흐름부(260, 270, 280)의 소정 영역에, 상기 에어 흐름부(260, 270, 280)의 폭보다 좁은 폭의 에어 제어부(265, 275, 285)가 각각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 에어부에서 다른 에어부로의 공기의 이동은 급하지 않고 서서히 이루어진다. 그 결과, 압력을 완충시키는 효과를 도모하고, 별도의 에어 충진 없이도 압력 완충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예의 압력 완충 장치를 신발에 적용하는 경우, 신발 앞쪽에 위치하는 부분에 에어부가 보강되어 있으므로 스프린터용으로 적합하다.
이러한 압력 완충 장치는 열 융착 차단재를 이용하여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제조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체중이 무거운 사람의 경우에는 넓은 면적의 에어부를 마련하고, 체중이 가벼운 사람의 경우에는 좁은 면적의 에어부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조깅용으로 적용하는 경우와 워킹용으로 적용하는 경우 등 다양한 상황에 맞추어 압력 완충 장치의 에어부와 에어 흐름부, 에어 제어부를 제조할 수 있어서, 상황에 맞춤화된 최대화된 압력 완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완충 장치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솔형 압력 완충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인솔형 압력 완충 장치(100)는 복수의 에어부(110, 120), 에어 흐름부(130), 에어 제어부(140), 및 패드(150)를 포함한다.
복수의 에어부, 에어 흐름부, 에어 제어부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패드(150) 상에는 복수의 에어부(110, 120), 에어 흐름부(130), 에어 제어부(140)가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솔형 압력 완충 장치(100)는 신발용 인솔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도 3의 열 융착 지그에 의해 열 융착된 양 부재의 일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열 융착 차단재(C)가 부착된 부분은 열 융착되지 않지만 상기 열 융착 차단재(C)의 좌우 외측 부분의 부재(A)와 부재(B)는 열 융착되어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에어 제어부 형성부(340)가 사각의 평평한 형상이어서 상기 열 용착 차단재(C)의 좌우의 외측 부분도 누르기 때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력 완충 장치의 제조 방법의 일부 공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력 완충 장치의 제조 방법은, 제1 부재(A) 및 제2 부재(B)에 제1 열 융착 차단재와 제2 열 융착 차단재를 각각 부착하는 단계((a)단계), 상기 제1 부재(A), 상기 제2 부재(B), 상기 제1 부재(A)와 상기 제2 부재(B) 사이에 위치된 제3 부재(D)를 배열시키는 단계((b)단계), 및 서로 포개져 겹쳐진 상기 제1 부재(A), 상기 제2 부재(B), 상기 제3 부재(D)를 열 융착 지그로 열 융착시키는 단계(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제1 부재(A)와 상기 제2 부재(B) 각각에 제1 열 융착 차단재(C1)와 제2 열 융착 차단재(C2)를 부착시킨다. 이때, 인쇄 공정, 나염 공정 및 스티커 공정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부착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제1 부재(A), 상기 제2 부재(B), 상기 제1 부재(A)와 상기 제2 부재(B) 사이에 위치된 제3 부재(D)가 서로 포개져 겹쳐지도록 상기 제1 부재(A), 상기 제2 부재(B), 상기 제3 부재(D)를 배열시킨다.
상기 (c)단계에서, 서로 포개져 겹쳐진 상기 제1 부재(A), 상기 제2 부재(B), 상기 제3 부재(D)를 열 융착 지그로 열 융착시킨다(미도시). 이로써 압력 완충 장치가 제조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력 완충 장치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된 압력 완충 장치가 부착된 가방의 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압력 완충 장치(400)는 복수의 에어부(410, 420, 430, 440), 에어 흐름부(450, 460) 및 에어 제어부(455, 465)를 포함한다.
도 9의 확대된 부분을 참조하면, 상기 에어 흐름부(450)와 상기 에어 제어부(455)는 아래쪽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에어 흐름부(460)와 상기 에어 제어부(465)는 위쪽에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에어부(430)와 에어부(440) 사이에서의 공기의 이동은 상기 에어 흐름부(450)와 상기 에어 제어부(455)를 통해서 아래측에서 이루어지고, 에어부(410)와 에어부(420) 사이에서의 공기의 이동은 상기 에어 흐름부(460)와 상기 에어 제어부(465)를 통해서 위쪽에서 이루어진다.
제1 부재(A)와 제2 부재(B)에 각각 부착된 제1 열 융착 차단재(C1)와 제2 제2 열 융착 차단재(C2) 사이에 분리용 부재인 제3 부재(D)가 위치되어 있어서, 제1 부재(A)와 제3 부재(D)를 통해서 에어 흐름부(450)와 에어 제어부(455)가 형성되고, 제2 부재(B)와 제3 부재(D)를 통해서 에어 흐름부(460)와 에어 제어부(465)가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의 2단으로 구성된 에어 흐름부와 에어 제어부를 포함하는 압력 완충 장치(4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방의 끈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완충 장치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압력 완충 장치는 신발의 바닥, 중창, 안창(인솔) 등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가방의 끈에도 적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압력의 완충 내지는 충격의 완화 등이 요구되는 다양한 물품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100, 200 압력 완충 장치
110, 120, 210, 220, 230, 240, 250 에어부
130, 260, 270, 280 에어 흐름부
140, 265, 275, 285 에어 제어부
300 열 융착 지그
310 칼날부
320 에어부 수용부
330 에어 흐름부 형성부
340 에어 제어부 형성부

Claims (18)

  1. 복수의 에어부, 상기 복수의 에어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 흐름부, 및 상기 에어 흐름부의 소정 영역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에어 흐름부 내의 공기 흐름을 제어하는 에어 제어부,를 포함하는 압력 완충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
    제1 부재 및 제2 부재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에어 제어부를 형성하기 위한 열 융착 차단재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가 서로 포개져 겹쳐지도록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를 배열시키는 단계; 및
    서로 포개져 겹쳐진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를 열 융착 지그로 열 융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복수의 에어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에어 제어부의 폭은 상기 에어 흐름부의 폭보다 좁고,
    상기 열 융착 차단재를 부착하는 단계는, 인쇄 공정, 나염 공정 및 스티커 공정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완충 장치의 제조 방법.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의 하방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열 융착 차단재는 상기 제1 부재의 하부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완충 장치의 제조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의 하방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열 융착 차단재는 상기 제2 부재의 상부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완충 장치의 제조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열 융착 차단재는 실리콘 및 도금 소재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완충 장치의 제조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제어부의 형상은 상기 열 융착 차단재의 형상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완충 장치의 제조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제어부 길이는 상기 열 융착 차단재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완충 장치의 제조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열 융착 지그는,
    상기 복수의 에어부를 수용하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복수의 에어부 수용부;
    상기 복수의 에어부 수용부를 연결하고, 내부가 비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 흐름부 형성부;
    상기 에어 흐름부 형성부의 소정 영역에 마련되어 있는 에어 제어부 형성부; 및
    상기 복수의 에어부 수용부의 둘레 및 상기 에어 흐름부 형성부의 둘레를 형성하는 칼날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 제어부 형성부는 상기 칼날부의 높이와 동일거나 낮은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완충 장치의 제조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부는,
    열 융착시,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가 열 융착되도록 눌러주는 평평한 형상의 누름부; 및
    상기 누름부로부터 외측으로 단차져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를 절단하도록 구성된 칼날 형상의 커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완충 장치의 제조 방법.
  10. 제8 항에 있어서, 에어 제어부 형성부는 상기 에어 흐름부 형성부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영역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열 융착 차단재가 부착된 부분을 누를 수 있도록 구성된 평평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완충 장치의 제조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제어부 형성부는 열 융착시, 열 용착 차단재의 좌우의 외측 부분도 누를 수 있도록 구성된 사각의 평평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완충 장치의 제조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열 융착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열 융착 차단재가 부착된 부분은 열 융착이 차단되고, 상기 열 융착 차단재의 좌우 외측 부분은 열 융착되어 상기 에어 제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완충 장치의 제조 방법.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제어부 형성부의 길이는 열 용착 차단재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완충 장치의 제조 방법.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제어부는 일 영역의 폭이 타 영역의 폭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완충 장치의 제조 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제어부는 중앙 영역의 폭이 양 단부 영역의 폭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완충 장치의 제조 방법.
  16. 복수의 에어부, 상기 복수의 에어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 흐름부, 및 상기 에어 흐름부의 소정 영역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에어 흐름부 내의 공기 흐름을 제어하는 에어 제어부를 포함하는 압력 완충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
    제1 부재 및 제2 부재에 상기 에어 제어부를 형성하기 위한 제1 열 융착 차단재와 제2 열 융착 차단재를 각각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제1 부재, 상기 제2 부재,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사이에 위치된 제3 부재가 서로 포개져 겹쳐지도록 상기 제1 부재, 상기 제2 부재, 상기 제3 부재를 배열시키는 단계; 및
    서로 포개져 겹쳐진 상기 제1 부재, 상기 제2 부재, 상기 제3 부재를 열 융착 지그로 열 융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복수의 에어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에어 제어부의 폭은 상기 에어 흐름부의 폭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완충 장치의 제조 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 융착 차단재와 제2 열 융착 차단재를 각각 부착하는 단계는, 인쇄 공정, 나염 공정 및 스티커 공정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완충 장치의 제조 방법.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 융착 차단재와 상기 제2 열 융착 차단재는 실리콘 및 도금 소재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완충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80084692A 2018-07-20 2018-07-20 압력 완충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121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692A KR102121359B1 (ko) 2018-07-20 2018-07-20 압력 완충 장치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692A KR102121359B1 (ko) 2018-07-20 2018-07-20 압력 완충 장치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802A KR20200009802A (ko) 2020-01-30
KR102121359B1 true KR102121359B1 (ko) 2020-06-26

Family

ID=69321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692A KR102121359B1 (ko) 2018-07-20 2018-07-20 압력 완충 장치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135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0169B2 (ja) 1994-01-26 2000-05-08 リーボック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履き物のクッション部材
KR100664398B1 (ko) 2006-04-13 2007-01-03 조종수 쿠션 및 통풍장치가 내설된 신발
JP2014018275A (ja) 2012-07-13 2014-02-03 Dm Novafoam Ltd 防寒用靴中敷
JP2016050028A (ja) * 2014-09-01 2016-04-11 克敏 吉房 排気弁装置及び気体クッション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97428B2 (en) 2007-10-03 2012-06-12 Electromed, Inc. Portable air pulsator and thoracic therapy garment
KR101873916B1 (ko) * 2016-11-17 2018-08-02 조영찬 통기성과 큐숀이 포함된 일체형 중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0169B2 (ja) 1994-01-26 2000-05-08 リーボック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履き物のクッション部材
KR100664398B1 (ko) 2006-04-13 2007-01-03 조종수 쿠션 및 통풍장치가 내설된 신발
JP2014018275A (ja) 2012-07-13 2014-02-03 Dm Novafoam Ltd 防寒用靴中敷
JP2016050028A (ja) * 2014-09-01 2016-04-11 克敏 吉房 排気弁装置及び気体クッション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802A (ko) 2020-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30774B (zh) 具有包括承拉构件的流体填充室的鞋类鞋底结构
CN110636769B (zh) 具有拉伸部件的缓冲物品和制造缓冲物品的方法
TWI605767B (zh) 鞋製品及其製造方法
US7131218B2 (en) Fluid-filled bladder incorporating a foam tensile member
US11633011B2 (en) Articulated cushioning article with tensile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cushioning article
KR102135439B1 (ko) 중심 인장 피처를 갖는 신발류 유체충전 챔버
EP1838177B1 (en) Method of thermoforming a fluid-filled bladder
CA2514483C (en) Method for flange bonding
KR20020007413A (ko) 블래더 및 그 형성 방법
KR102305553B1 (ko) 챔버를 용접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121359B1 (ko) 압력 완충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90981B1 (ko) 압력 완충 장치
US11318684B2 (en) Fluid-filled cushioning article with seamless side wall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TUB20153165A1 (it) Valvola di gonfiaggio con funzione di non ritorno per la realizzazione di imballaggi gonfiat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