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1195B1 - 파괴 인성 시험의 좌굴방지 지그 - Google Patents

파괴 인성 시험의 좌굴방지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1195B1
KR102121195B1 KR1020180115337A KR20180115337A KR102121195B1 KR 102121195 B1 KR102121195 B1 KR 102121195B1 KR 1020180115337 A KR1020180115337 A KR 1020180115337A KR 20180115337 A KR20180115337 A KR 20180115337A KR 102121195 B1 KR102121195 B1 KR 102121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men
jig unit
jig
fracture toughness
toughness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5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5783A (ko
Inventor
성효경
김상식
정대호
박준혁
이관호
Original Assignee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15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1195B1/ko
Priority to PCT/KR2019/011682 priority patent/WO2020067661A1/ko
Priority to US17/278,569 priority patent/US11906473B2/en
Publication of KR20200035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5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01N3/04Chu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16Tensile or compressive
    • G01N2203/0017Tensi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16Tensile or compressive
    • G01N2203/0019Compressiv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58Kind of property studied
    • G01N2203/006Crack, flaws, fracture or rupture
    • G01N2203/0062Crack or flaw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58Kind of property studied
    • G01N2203/006Crack, flaws, fracture or rupture
    • G01N2203/0062Crack or flaws
    • G01N2203/0064Initiation of crac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58Kind of property studied
    • G01N2203/006Crack, flaws, fracture or rupture
    • G01N2203/0062Crack or flaws
    • G01N2203/0066Propagation of crac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58Kind of property studied
    • G01N2203/006Crack, flaws, fracture or rupture
    • G01N2203/0067Fracture or rup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26Specifications of the specimen
    • G01N2203/0262Shape of the specimen
    • G01N2203/027Specimens with holes or notch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4Chucks, fixtures, jaws, holders or anv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4Chucks, fixtures, jaws, holders or anvils
    • G01N2203/0423Chucks, fixtures, jaws, holders or anvils using screw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괴 인성 시험의 좌굴방지 지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편의 일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제1지그유닛과 상기 시편의 타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제2지그유닛과 상기 제1지그유닛과 제2지그유닛이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시편의 파괴 인성 시험 시, 상기 제1지그유닛과 제2지그유닛이 상기 시편의 양측면을 동시에 지지함으로서 상기 시편이 단일방향으로 균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괴 인성 시험의 좌굴방지 지그{Anti-buckling jig for fracture toughness test}
본 발명은 파괴 인성 시험의 좌굴방지 지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편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지그를 이용하여 시편에 좌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시편에 균일이 발생하는 것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파괴 인성 시험의 좌굴방지 지그에 관한 것이다.
파괴 인성(Fracture Toughness)은 파괴역학적 인자로서 시편이 외부 하중에 견딜 수 있는 저항 정도를 나타내는 재료 고유의 성질이다. 이 물성치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은 제품 구조물 해석에 매우 중요하다.
재료의 파괴인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일정 크기의 균열을 가지는 시편에 응력을 가하여 파괴를 일으킨 후, 그 파괴응력을 구하게 된다. 재료의 파괴 인성치는 재료의 파괴역학적인 관점에서 보았을 때 재료의 이론적 강도보다 실제적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도입된 개념이다.
그러나, 박판 두께의 강판을 사용하여 인장시험과 압축시험을 반복하는 시험에서는 시편의 두께가 매우 얇아 쉽게 좌굴이 발생하게 되어 측정값에 오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0035719호를 살펴보면, 시편의 일면과 타면에 각각 위치하며, 시편의 압축 시, 시편의 좌굴을 방지하기 위한 한 쌍의 좌굴방지 지그가 구비된다. 상기 지그를 통하여 시편에 좌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시험 중 균열이 진전되는 상황과 균열의 전파각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균열이 성장하는 모습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0035719호(2017.03.3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시험 중 시편에 좌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험 중 균열이 진전되는 상황과 균열의 전파각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파괴 인성 시험의 좌굴방지 지그에 있어서, 시편의 일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제1지그유닛과 상기 시편의 타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제2지그유닛과 상기 제1지그유닛과 제2지그유닛이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시편의 파괴 인성 시험 시, 상기 제1지그유닛과 제2지그유닛이 상기 시편의 양측면을 동시에 지지함으로서 상기 시편이 단일방향으로 균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제1지그유닛과 제2지그유닛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시편이 받는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마찰감소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지그유닛과 제2지그유닛은, 상기 시편의 파괴 인성 시험 시, 상기 시편의 균열발생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관찰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지그유닛과 제2지그유닛은, 상기 시편의 파괴 인성 시험 시, 상기 시편과 시험 장치를 결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지그유닛과 제2지그유닛은, 상기 시편을 사이에 두고 상기 나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지그유닛과 제2지그유닛의 모퉁이에 다수개로 구비되는 나사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파괴 인성 시험의 좌굴방지 지그는, 시험 중 시편에 좌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괴 인성 시험의 좌굴방지 지그는, 시험 중 균열이 진전되는 상황과 균열의 전파각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괴 인성 시험의 좌굴방지 지그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괴 인성 시험의 좌굴방지 지그의 시험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괴 인성 시험의 좌굴방지 지그의 조립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괴 인성 시험의 좌굴방지 지그의 균열열의 모습을 확대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파괴 인성 시험의 좌굴방지 지그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시편(1)의 일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제1지그유닛(100)과 상기 시편(1)의 타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제2지그유닛(200)과 상기 제1지그유닛(100)과 제2지그유닛(200)이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나사(300)를 포함한다. 상기 시편(1)의 파괴 인성 시험 시, 상기 제1지그유닛(100)과 제2지그유닛(200)이 상기 시편(1)의 양측면을 동시에 지지함으로서 상기 시편(1)이 단일방향으로 균열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1지그유닛(100)과 제2지그유닛(200)은 상기 시편(1)을 사이에 두고 양쪽으로 구비되어 상기 시편(1)을 지지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파괴 인성 시험은 상기 시편(1)에 반복하중이나 인장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시편(1)의 파괴 저항성을 측정하는 시험이다. 따라서, 도 2를 참조하면, 시험 장치(2)에 상기 시편(1)을 고정시키고, 상기 시편(1)을 기준으로 상하로 반복하중을 가하여 상기 시편(1)에 균열이 성장하는 모습을 관찰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시편(1)이 얇은 부재로 만들어진 물체인 경우, 상기 시편(1)이 외부로부터 응력을 받으면 급격하게 횡방향 변형을 일으키는 좌굴이 발생하게 된다. 즉, 상기 파괴 인성 시험에서 상기 시편(1)이 얇을 경우, 다축응력이 발생하여 상기 시편(1)의 두께부 방향으로 가해지는 작은 힘에도 변형되어 버리는 좌굴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상기 좌굴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시편(1)의 균열의 성장과 관계없이 상기 시편(1)이 변형을 일으켜 정확한 실험을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시편(1)의 파괴 인성 시험 시, 상기 제1지그유닛(100)과 제2지그유닛(200)이 상기 시편(1)의 양쪽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시편(1)의 양측면을 동시에 지지함으로서 상기 시편(1)에서 좌굴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1지그유닛(100)과 제2지그유닛(20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시편(1)이 받는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마찰감소부재(400)를 더 포함한다. 즉, 상기 마찰감소부재(400)는 상기 시편(1)의 양쪽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시편(1)과 제1지그유닛(100), 제2지그유닛(200)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마찰감소부재(400)는 상기 제1지그유닛(100), 제2지그유닛(200)과 단면이 같은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마찰감소부재(400)의 두께는 상기 제1지그유닛(100)과 제2지그유닛(200) 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마찰감소부재(400)는 테프론 테이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1지그유닛(100)과 제2지그유닛(200)은, 상기 시편(1)의 파괴 인성 시험 시, 상기 시편(1)의 균열발생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관찰홈(10)을 포함한다. 상기 관찰홈(10)은 상기 제1지그유닛(100)과 제2지그유닛(200)의 중앙부에 위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관찰홈(10)은 상기 제1지그유닛(100)과 제2지그유닛(200)의 한 측면에서부터, 상기 제1지그유닛(100)과 제2지그유닛(200)의 중앙부를 지나 하단부 일측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관찰홈(10)은 상기 제1지그유닛(100)과 제2지그유닛(200)의 중앙부까지는 비스듬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다가 상기 제1지그유닛(100)과 제2지그유닛(200)의 중앙부에서부터는 일직선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시편(1)의 파괴 인성 시험 시, 상기 시편(1)에 발생하는 균열이 성장하는 과정을 관찰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시편(1)의 파괴 인성 시험 시, 상기 시편(1)내에 발생하는 균열이 진전되는 상황과 상기 균열의 전파각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관찰홈(10)은 상기 시편(1)의 중앙부부터 일측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시편균열홈(11)보다 더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시편(1)의 파괴 인성 시험 시, 상기 시편균열홈(11)에서부터 발생되는 균열이 성장하는 과정을 볼 수 있도록 상기 관찰홈(10)은 상기 시편균열홈(11) 보다 더 깊숙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1지그유닛(100)과 제2지그유닛(200)은, 상기 시편(1)의 파괴 인성 시험 시, 상기 시편(1)과 시험 장치(2)를 결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결합홈(20)을 포함한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시편(1)의 일측에 구비되는 2개의 시편결합홈(12)으로 인해 상기 시편(1)과 시험 장치(2)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홈(20)은 상기 시편결합홈(12)과 동심원을 이루며, 상기 시편결합홈(12) 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결합홈(20)은 제1지그유닛(100)과 제2지그유닛(200) 사이에 상기 시편(1)을 구비한 상태로 상기 시편(1)을 상기 시험 장치(2)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결합홈(20)은 상기 제1지그유닛(100)과 제2지그유닛(200)에 각각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2개씩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합홈(20)은 상기 시험 장치(2)가 상기 시편(1)에 인장력 및 압축력을 반복적으로 가할 때, 상기 제1지그유닛(100)과 제2지그유닛(200)에는 상기 인장력 및 압축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시험 장치(2)가 승강하면서 상기 시편(1)에 상기 인장력 및 압축력을 가할 때, 상기 시험 장치(2)가 승강하는 길이보다 상기 결합홈(20)의 직경이 더 길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지그유닛(100)과 제2지그유닛(200)은 상기 시험 장치(2)에 의해 직접적으로 힘을 받지 않고, 상기 시편(1)이 단일방향으로 힘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1지그유닛(100)과 제2지그유닛(200)은, 상기 시편(1)을 사이에 두고 상기 나사(300)를 통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지그유닛(100)과 제2지그유닛(200)의 모퉁이에 다수개로 구비되는 나사홈(30)을 포함한다. 즉,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지그유닛(100)과 제2지그유닛(200)의 각 모퉁이에 상기 나사홈(30)이 마련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제1지그유닛(100)과 제2지그유닛(200)은 각각 4개의 상기 나사홈(30)이 마련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시편(1)의 파괴 인성 시험 시, 상기 제1지그유닛(100)과 제2지그유닛(200)이 상기 시편(1)의 양쪽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나사홈(30)을 통해 상기 나사(300)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시편(1)의 양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시편(1)에서 좌굴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파괴인성 시험의 시험 방법 및 시험 조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파괴인성 시험은 시험 전 인위적으로 상기 시편(1)에 균열을 만드는 Pre-cracking 과정을 거친다. 즉, 균열이 있는 소재의 파괴 저항성을 측정하는 시험인 것이다.
다음으로, W는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시편결합홈(12)의 중심에서부터 가장 먼 거리에 위치하는 상기 시편(1)의 모서리까지의 직선 길이를 나타낸다. a는 상기 시편결합홈(12)의 중심에서부터 상기 시편균열홈(11)의 끝단부까지의 길이를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B는 상기 시편(1)의 두께를 나타낸다. 상기 파괴인성 시험은 ASTM E1820 규격에 따라 두께 3mm 이하인 박판 시편(1)에서 B = 0.5W 조건에 맞추어 상기 시편(1)을 제작해야 한다. 또한, 상기 Pre-cracking으로 생성된 균열의 크기는 0.45W 내지 0.55W로 생성되어야 하고, 상기 균열은 전체 a의 2.5% 이내로 생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균열의 각도는 상기 시편(1)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10°이내로 생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제1지그유닛(100)과 제2지그유닛(200)의 너비는 각각 상기 시편(1)의 너비에 1.1배 내지 1.7배로 제작된다. 이때, 상기 제1지그유닛(100)과 제2지그유닛(200)의 너비가 각각 상기 시편(1)의 너비에 1.1배 미만이면, 상기 제1지그유닛(100)과 제2지그유닛(200) 사이에 상기 시편(1)을 구비한 상태로 상기 제1지그유닛(100)과 제2지그유닛(200)을 결합하기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1지그유닛(100)과 제2지그유닛(200)의 너비가 각각 상기 시편(1)의 너비에 1.7배를 초과이면, 상기 제1지그유닛(100)과 제2지그유닛(200) 사이에 상기 시편(1)을 구비한 상태로 상기 제1지그유닛(100)과 제2지그유닛(200)을 결합하였을 때, 상기 시편(1)이 완전히 고정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과 상기 시편(1)을 치구(22)에 결합할 시에 상기 제1지그유닛(100)과 제2지그유닛(200)이 상기 치구(22)에 간섭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지그유닛(100)과 제2지그유닛(200)의 너비는 각각 상기 시편(1)의 너비에 1.1배 내지 1.7배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관찰홈(10)의 길이는 상기 시편균열홈(11)의 길이에 1.0배 내지 1.3배로 제작된다. 이때, 상기 관찰홈(10)의 길이가 상기 시편균열홈(11)의 길이에 1.0배 미만이면, 상기 시편(1)의 파괴 인성 시험 시, 상기 시편(1)의 균열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관찰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관찰홈(10)의 길이가 상기 시편균열홈(11)의 길이에 1.3배 초과이면, 상기 제1지그유닛(100)과 제2지그유닛(200)의 강성이 약해져 좌굴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관찰홈(10)의 길이는 상기 시편균열홈(11)의 길이에 1.0배 내지 1.3배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결합홈(20)의 직경은 상기 시편결합홈(12)의 직경에 1.2배 내지 1.4배로 제작된다. 상기 결합홈(20)의 직경이 상기 시편결합홈(12)의 직경에 1.2배 미만이면, 상기 제1지그유닛(100)과 제2지그유닛(200)이 상기 시험 장치(2)에 의해 직접적으로 힘을 받게 되어 시험의 정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과 파괴 인성 시험 시 상기 시편(1)으로 가해져야하는 힘이 상기 제1지그유닛(100)과 제2지그유닛(200)으로 전달되어 상기 제1지그유닛(100)과 제2지그유닛(200)이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결합홈(20)의 직경이 상기 시편결합홈(12)의 직경에 1.4배 초과이면, 상기 제1지그유닛(100)과 제2지그유닛(200)의 강성이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홈(20)의 직경은 상기 시편결합홈(12)의 직경에 1.2배 내지 1.4배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파괴 인성 시험의 좌굴방지 지그에 대한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시편(1)이 마련된다. 상기 시편(1)은 상기 시편(1)의 일측면에서부터 상기 시편(1)의 중앙부까지 연장 형성되는 상기 시편균열홈(11)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시편(1)의 일측면에 상기 제1지그유닛(100)이 위치되고, 상기 시편(1)과 제1지그유닛(100) 사이에는 상기 마찰감소부재(400)가 위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시편(1)의 다른 측면에는 상기 제2지그유닛(200)이 위치되고, 상기 시편(1)과 제2지그유닛(200) 사이에는 상기 마찰감소부재(400)가 위치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나사홈(30)을 이용하여 상기 나사(300)로 상기 제1지그유닛(100)과 제2지그유닛(200)을 결합한다. 즉, 상기 시편(1)의 파괴 인성 시험 시, 상기 제1지그유닛(100)과 제2지그유닛(200)이 상기 시편(1)의 양쪽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시편(1)의 양측면을 동시에 지지함으로서 상기 시편(1)에서 좌굴 현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결합홈(20)을 이용하여 상기 시편(1)과 시험 장치(2)를 결합한다. 다음으로, 상기 시편(1)의 시험을 진행하면서, 상기 관찰홈(10)을 통하여 상기 시편(1)내의 균열의 진행을 육안으로 관찰한다. 이때, 상기 시편(1)이 상기 제1지그유닛(100)과 제2지그유닛(200)으로 인하여 단일방향으로 균열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시편
11 : 시편균열홈
12 : 시편결합홈
2 : 시험 장치
22 : 치구
100 : 제1지그유닛
200 : 제2지그유닛
300 : 나사
400 : 마찰감소부재
10 : 관찰홈
20 : 결합홈
30 : 나사홈

Claims (5)

  1. 시편의 일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제1지그유닛;
    상기 시편의 타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제2지그유닛; 및
    상기 제1지그유닛과 제2지그유닛이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시편의 파괴 인성 시험 시, 상기 제1지그유닛과 제2지그유닛이 상기 시편의 양측면을 동시에 지지함으로서 상기 시편이 단일방향으로 균열되도록 하며,
    상기 제1지그유닛과 제2지그유닛은,
    상기 시편의 파괴 인성 시험 시, 상기 시편의 균열발생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지그유닛과 제2지그유닛의 중앙부에 각각 구비되는 관찰홈;을 포함하고,
    상기 시편은,
    상기 시편의 중앙부에 구비되어 상기 시편의 파괴 인성 시험 시, 상기 시편의 균열을 유도하는 시편균열홈;을 포함하며,
    상기 관찰홈의 길이는 상기 시편균열홈의 길이에 1.0배 내지 1.3배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괴 인성 시험의 좌굴방지 지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그유닛과 제2지그유닛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시편이 받는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마찰감소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괴 인성 시험의 좌굴방지 지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그유닛과 제2지그유닛은,
    상기 시편의 파괴 인성 시험 시, 상기 시편과 시험 장치를 결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괴 인성 시험의 좌굴방지 지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그유닛과 제2지그유닛은,
    상기 시편을 사이에 두고 상기 나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지그유닛과 제2지그유닛의 모퉁이에 다수개로 구비되는 나사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괴 인성 시험의 좌굴방지 지그.
  5. 삭제
KR1020180115337A 2018-09-27 2018-09-27 파괴 인성 시험의 좌굴방지 지그 KR102121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5337A KR102121195B1 (ko) 2018-09-27 2018-09-27 파괴 인성 시험의 좌굴방지 지그
PCT/KR2019/011682 WO2020067661A1 (ko) 2018-09-27 2019-09-10 파괴 인성 시험의 좌굴방지 지그
US17/278,569 US11906473B2 (en) 2018-09-27 2019-09-10 Anti-buckling jig for fracture toughness te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5337A KR102121195B1 (ko) 2018-09-27 2018-09-27 파괴 인성 시험의 좌굴방지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5783A KR20200035783A (ko) 2020-04-06
KR102121195B1 true KR102121195B1 (ko) 2020-06-10

Family

ID=69952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5337A KR102121195B1 (ko) 2018-09-27 2018-09-27 파괴 인성 시험의 좌굴방지 지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906473B2 (ko)
KR (1) KR102121195B1 (ko)
WO (1) WO2020067661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5064B1 (ko) 2012-05-07 2013-12-2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압축 시험 장치
KR101506908B1 (ko) 2013-08-30 2015-03-30 주식회사 포스코 피로 시험기의 박판 시편 좌굴방지장치
KR101811619B1 (ko) * 2016-10-14 2017-12-27 (주)알에스피 좌굴 방지 기능을 갖는 박판 시편 피로 시험용 지그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15916A (en) * 1971-01-26 1973-02-13 Instr Specialties Co Inc Grips for holding specimens
US3795134A (en) 1972-03-30 1974-03-05 Nasa Anti-buckling fatigue test assembly
US5297441A (en) * 1992-08-14 1994-03-29 The Boeing Company Apparatus for supporting a test specimen for compression testing
JP2004279083A (ja) * 2003-03-13 2004-10-07 Toray Ind Inc Frpの曲げ試験方法
KR20060089295A (ko) * 2005-02-03 2006-08-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박판시편용 좌굴방지 가이드를 구비한 피로시험기
JP2006242645A (ja) * 2005-03-01 2006-09-14 Oji Paper Co Ltd シート状材料の面内せん断試験用治具および面内せん断試験機
KR101166462B1 (ko) * 2010-10-29 2012-07-19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로시험 계측장치
KR200464706Y1 (ko) * 2012-04-19 2013-01-2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인장 시험편용 보강 지그
US9513200B1 (en) * 2015-11-04 2016-12-06 Rolls-Royce Corporation Determination of a threshold crack length
KR102287660B1 (ko) * 2019-11-25 2021-08-0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온 및 온간 판재 압축시험 장치
JP2021162585A (ja) * 2020-03-31 2021-10-11 東レ株式会社 面接合試験体の引張せん断接合強さ測定方法および測定用治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5064B1 (ko) 2012-05-07 2013-12-2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압축 시험 장치
KR101506908B1 (ko) 2013-08-30 2015-03-30 주식회사 포스코 피로 시험기의 박판 시편 좌굴방지장치
KR101811619B1 (ko) * 2016-10-14 2017-12-27 (주)알에스피 좌굴 방지 기능을 갖는 박판 시편 피로 시험용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5783A (ko) 2020-04-06
US11906473B2 (en) 2024-02-20
WO2020067661A1 (ko) 2020-04-02
US20210348996A1 (en) 2021-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7351B1 (ko) 굴곡 지그를 포함하는 지그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굴곡 인장강도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굴곡 인장강도 측정 방법
US9513200B1 (en) Determination of a threshold crack length
JP5720798B2 (ja) 金属部材の疲労亀裂進展抑制方法及び疲労亀裂進展抑制された金属部材
US1159870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creep crack growth property using small specimen with micro groove
KR101497579B1 (ko) 유한요소해에 기초한 취성재료의 압입파괴인성평가 방법
Wang et al. An experimental study on J (CTOD)-R curves of single edge tension specimens for X80 steel
KR101996344B1 (ko) 특정 폭과 깊이를 가지는 휨 균열이 미리 발생되어 있는 휨 공시체,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Li et al. Temperature dependence of the three-point bending fracture behavior of soda–lime–silica glass with surface scratch
Kinoshita et al. Fatigue strength improvement and fatigue crack closure by portable pneumatic needle-peening treatment on welded joints
KR102121195B1 (ko) 파괴 인성 시험의 좌굴방지 지그
Tyson et al. Low-constraint toughness testing: results of a round robin on a draft SE (T) test procedure
Gubeljak et al. Fracture toughness measurement by using pipe-ring specimens
JP6543019B2 (ja) 鋼材の腐食疲労寿命の評価方法
JP2014102132A (ja) 低サイクル疲労き裂進展評価方法
Yamada et al. Crack closure under high load ratio and Kmax test conditions
Park et al. Low-constraint toughness testing of two SE (T) methods in a single specimen
Tiku et al. Standardization of SENT (or SE (T)) fracture toughness measurement: Results of a round robin on a draft test procedure
Khlystov et al. Uniaxial tension and compression testing of materials
CN111735722A (zh) 一种落锤撕裂试样
RU2319944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максимальных истинных напряжений и деформаций
US8225675B2 (en) Controlled shear/tension fixture
Hertelé et al. Experimental and numerical slip line analysis of welded single-edge notched tension specimens
Kohri et al. Residual stress measurement of the engineering plastics by the hole-drilling strain-gage method
Tagawa et al. Experimental proof of reverse bending technique for modifying weld residual stress in weld CTOD specimen and comparison of effect with other techniques
Hormaza et al. Fatigue failure of a Slickline wire induced by corrosion pi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