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1172B1 - 교정 진단 기구 - Google Patents

교정 진단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1172B1
KR102121172B1 KR1020200021855A KR20200021855A KR102121172B1 KR 102121172 B1 KR102121172 B1 KR 102121172B1 KR 1020200021855 A KR1020200021855 A KR 1020200021855A KR 20200021855 A KR20200021855 A KR 20200021855A KR 102121172 B1 KR102121172 B1 KR 102121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diagnostic tool
panel
user
orthodontic diagno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1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언의
Original Assignee
송언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언의 filed Critical 송언의
Priority to KR1020200021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11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7Measuring of profi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14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교정 진단 기구는 사용자의 코에 고정되는 제1 바디, 사용자의 턱에 고정되는 제2 바디, 제1 바디 및 제2 바디를 연결함으로써, 사용자의 코와 턱을 연결하는 에스테틱 라인(ESTHETIC LINE)을 제공하는 링크, 링크 상에 배치되는 패널 및 패널에 배치되고, 에스테틱 라인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에스테틱 라인을 기준으로 사용자 안면 윤곽의 이격 거리를 측정하는 복수의 핀들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교정 진단 기구{ORTHODONTIC DIAGNOSIS APPARATUS}
본 출원에 의해 개시되는 발명은 교정 진단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면 윤곽의 교정 상태를 자가 진단하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에스테틱 라인(Esthetic line)은 코 끝과 턱 끝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으로서, 코, 입 및 턱 등의 돌출 또는 함몰 여부를 판단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스테틱 라인을 기준으로 윗입술은 1-2mm 후방으로 이격되고, 아랫입술은 2-3mm 후방으로 이격되었을 때, 안면 윤곽은 치과 교정의 표본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치과 교정 분야에서는 교정 진행 상태를 확인할 때, X-ray 선을 이용하여 치아 및 안면 골격의 상태에만 의존하여 판단하거나, 에스테틱 라인을 육안으로 부정확하게 확인하는 등 에스테틱 라인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에스테틱 라인을 정확하고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관련하여, 성형수술용 안면 측정시스템에 관해 개시하는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0945893호가 공개된 바 있다.
(특허문헌 1) KR10-0945893 B1
본 발명의 과제는, 사용자의 코 및 턱에 고정되도록 장착함으로써, 에스테틱 라인을 기준으로 안면 윤곽의 이격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교정 진단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양상에 따르면, 교정 진단 기구는 사용자의 코에 고정되는 제1 바디, 사용자의 턱에 고정되는 제2 바디, 제1 바디 및 제2 바디를 연결함으로써, 사용자의 코와 턱을 연결하는 에스테틱 라인(ESTHETIC LINE)을 제공하는 링크, 링크 상에 배치되는 패널 및 패널에 배치되고, 에스테틱 라인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에스테틱 라인을 기준으로 사용자 안면 윤곽의 이격 거리를 측정하는 복수의 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복수의 핀들은, 에스테틱 라인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고, 사용자 안면 윤곽의 이격 거리에 따라 패널의 일 면을 통해 돌출될 수 있다.
또, 복수의 핀들은, 패널에서 에스테틱 라인을 따라 정렬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 패널은, 링크 상에서 에스테틱 라인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또, 링크는, 실린더 및 로드를 포함함으로써 에스테틱 라인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또, 제1 바디는 링크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제1 회전부를 포함하고, 제2 바디는 링크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제2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링크는 제1 바디에 연결되는 상부 링크 및 제2 바디에 연결되는 하부 링크를 포함하고, 교정 진단 기구는 상부 링크 및 패널에 연결되는 제1 사이드 링크 및 하부 링크 및 패널에 연결되는 제2 사이드 링크를 더 포함하고, 패널은 제1 사이드 링크 및 제2 사이드 링크를 따라 에스테틱 라인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또, 상부 링크는 제1 사이드 링크를 따라 에스테틱 라인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고, 하부 링크는 제2 사이드 링크를 따라 에스테틱 라인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또, 교정 진단 기구는, 패널 상에서 복수의 핀들 중 에스테틱 라인을 따라 정렬된 적어도 일부의 핀들의 슬라이드 이동을 동시에 방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교정 진단 기구는, 제1 바디에 연결되는 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코 및 턱에 고정되도록 장착하는 교정 진단 기구를 통해, 에스테틱 라인을 기준으로 안면 윤곽의 이격 거리를 정확하고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고, 이로써 교정의 진행 상태를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 진단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 진단 기구의 측면 사용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 진단 기구의 정면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 진단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 진단 기구의 정면도이다.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 진단 기구(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 진단 기구(100)의 측면 사용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 진단 기구(100)의 정면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교정 진단 기구(100)는 제1 바디(110), 제2 바디(120), 제1 바디(110) 및 제2 바디(120)를 연결하는 링크(130), 링크(130) 상에 배치되는 패널(140), 패널(140)에 배치되는 복수의 핀(150) 및 교정 진단 기구(100)를 사용자에게 고정하기 위한 밴드(160)를 포함할 수 있다.
교정 진단 기구(100)의 사용 시 제1 바디(110)는 사용자의 코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바디(110)는 코의 형상을 본떠 제작될 수 있다. 제1 바디(110)의 소재는 피부에 대해 점착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바디(110)의 코 끝에 대응되는 일 지점은 링크(130)의 일 단과 연결될 수 있다.
교정 진단 기구(100)의 사용 시 제2 바디(120)는 사용자의 턱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바디(120)는 턱 끝의 형상을 본떠 제작될 수 있다. 제2 바디(120)의 소재는 피부에 대해 점착성을 가질 수 있다. 제2 바디(120)의 턱 끝에 대응되는 일 지점은 링크(130)의 타 단과 연결될 수 있다.
링크(130)는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바(bar)로서, 제1 바디(110) 및 제2 바디(12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로써, 링크(130)는 교정 진단 기구(100)의 사용 시 사용자의 코와 턱을 연결하는 에스테틱 라인(ESTHETIC LINE)을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실물로 구현할 수 있다.
복수의 핀(150)들은 패널(140)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핀(150)들은, 패널(140)에서 링크(130)의 연장선(AA') 또는 에스테틱 라인을 따라 정렬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핀(150)들은 압력에 의해 패널(140)의 일 면을 통해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즉, 복수의 핀(150)들은 에스테틱 라인을 가로지르는 방향(B-B')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복수의 핀(150)들은, BB'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핀(150)들은 사용자 안면 윤곽이 이격 거리에 따라 패널(140)의 일 면을 통해 돌출될 수 있다. 복수의 핀(150)들에는 연장 방향을 따라 눈금이 그려질 수 있다. 이로써, 복수의 핀(150)들은 에스테틱 라인을 기준으로 사용자 안면 윤곽의 이격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 사용자는 복수의 핀(150)들의 각 단부들이 이루는 윤곽선(CC' 또는 DD')의 형상에 기초하여, 에스테틱 라인을 기준으로 사용자 안면 윤곽의 형태를 파악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자신의 안면 윤곽을 측면에서 확인하기 어렵다. 교정 진단 기구(100)의 복수의 핀(150)들은 사용자의 안면 윤곽을 본떠 윤곽선(CC' 또는 DD')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안면 윤곽을 시각적이고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복수의 핀들은 5개로 도시되었으나, 복수의 핀들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설계에 따라 3개이거나, 또는 다른 다양한 개수로 제작될 수 있다.
밴드(160)는 교정 진단 기구(100)의 사용 시 교정 진단 기구(100)를 사용자 안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밴드(160)는 제1 바디(11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160)는 사용자의 귀에 장착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머리를 둘러싸면서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교정 진단 기구(100)는 사용자마다 상이한 형상 및 크기의 안면 윤곽에 따라 적응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패널(140)은 링크(130) 상에 배치되고, 링크(130)의 연장선(AA')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이로써, 교정 진단 기구(100)의 사용 시 패널(140)은 안면 윤곽을 측정하고자 하는 부분에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링크(130)에는 연장 방향을 따라 눈금이 그려질 수 있다. 사용자는 링크(130)의 눈금에 기초하여, 사용 시 같은 위치에서 안면 윤곽을 측정할 수 있다.
링크(130)는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링크(130)는 신장 및 수축이 가능한 실린더 및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140)은 링크(130)의 연장선(AA')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제1 바디(110)는 일 지점에서 링크(130)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회전부는 축, 링, 허브 및 베어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120)는 일 지점에서 링크(130)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회전부는 축, 링, 허브 및 베어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교정 진단 기구(100)의 정면도를 보면, 패널(140)의 너비는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140)의 너비는 제2 바디(120)의 너비에 대응하도록 설계됨으로써, 사용자의 입의 전체 너비에 대응한 안면 윤곽을 파악할 수 있다. 또는, 패널(140)의 너비는 제1 바디(110)의 너비에 대응하도록 설계됨으로써, 사용자의 코의 너비에 대응한 안면 윤곽을 파악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 진단 기구(100)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교정 진단 기구(100)의 링크(130)는 제1 바디(110)에 연결되는 상부 링크(130a) 및 제2 바디(120)에 연결되는 하부 링크(13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링크(130a)의 길이 및 하부 링크(130b)의 길이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부 링크(130a) 및 하부 링크(130b)는 신장 또는 수축됨으로써, 사용자의 안면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교정 진단 기구(100)는 패널(140)과 상부 링크(130a)를 연결하는 제1 사이드 링크(170a) 및 패널(140)과 하부 링크(130b)를 연결하는 제2 사이드 링크(17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이드 링크(170a)의 일단은 상부 링크(130a)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사이드 링크(170a)는 레일(171)을 따라 상부 링크(130a) 상에서 에스테틱 라인을 가로지르는 방향(BB')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제1 사이드 링크(170a)의 타단은 패널(140)에 연결될 수 있다. 패널(140)은 레일(172)을 따라 제1 사이드 링크(170a) 상에서 에스테틱 라인을 가로지르는 방향(BB')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제2 사이드 링크(170b)의 일단은 하부 링크(130b)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사이드 링크(170b)는 레일을 따라 하부 링크(130b) 상에서 에스테틱 라인을 가로지르는 방향(BB')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제2 사이드 링크(170b)의 타단은 패널(140)에 연결될 수 있다. 패널(140)은 레일을 따라 제2 사이드 링크(170b) 상에서 에스테틱 라인을 가로지르는 방향(BB')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제1 사이드 링크(170a) 및 제2 사이드 링크(170b)에는 연장선을 따라 눈금이 그려질 수 있다. 사용자는 사이드 링크(130)의 눈금에 기초하여, 패널(140)이 상부 링크(130a) 및 하부 링크(130b)에 대해서 슬라이드 이동한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안면이 에스테틱 라인보다 전방으로 돌출된 경우에, 사용자는 패널(140)을 사이드 링크(130) 상에서 안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써, 교정 진단 기구(100)는 에스테틱 라인보다 전방으로 돌출된 안면 윤곽에 대해서도 에스테틱 라인을 기준으로 이격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핀(150)의 눈금 상 핀(150)이 패널(14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된 거리 및 패널(140)이 링크(13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된 거리의 합이 에스테틱 라인을 기준으로 안면 윤곽의 이격 거리에 해당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 진단 기구(100)의 정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교정 진단 기구(100)는, 복수의 핀(150)들의 적어도 일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방지하는 고정부(180) 및 조임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와 조임부는 링크, 축, 스프링 및 기어 등의 동력 전달 기구들에 의해 연결되며, 고정부의 조작에 따라 조임부의 개구가 조절될 수 있다.
핀(150)은 패널(140)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고정부(180)의 조작에 따라 조임부(190)는 개구의 직경을 감소시키면서 핀(150)을 포위할 수 있다. 조임부(190)의 직경이 핀(150)의 직경과 일치할 때, 조임부(190)는 마찰력에 의해 핀(150)의 슬라이드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부(180) 및 조임부(190)는 패널(140) 상에서 복수의 핀(150)들 중 에스테틱 라인을 따라 정렬된 핀(150)들을 동시에 고정할 수 있다. 교정 진단 기구(100)가 에스테틱 라인을 기준으로 사용자 안면 윤곽을 측정한 후, 고정부(180) 및 조임부(190)에 의해 에스테틱 라인을 따라 정렬된 핀(150)들이 동시에 고정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교정 진단 기구(100)를 탈착할 때 복수의 핀(150)들이 움직이는 것을 간편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교정 진단 기구
110 제1 바디
120 제2 바디
130 링크
140 패널
150 핀
160 밴드
170 사이드 링크
180 고정부
190 조임부

Claims (10)

  1. 사용자의 코에 고정되는 제1 바디;
    사용자의 턱에 고정되는 제2 바디;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를 연결함으로써, 사용자의 코와 턱을 연결하는 에스테틱 라인(ESTHETIC LINE)을 제공하는 링크;
    상기 링크 상에 배치되는 패널; 및
    상기 패널에 배치되고, 상기 에스테틱 라인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상기 에스테틱 라인을 기준으로 사용자 안면 윤곽의 이격 거리를 측정하는 복수의 핀들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는, 실린더 및 로드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에스테틱 라인을 따라 연장 가능한
    교정 진단 기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핀들은, 상기 에스테틱 라인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고, 상기 사용자 안면 윤곽의 이격 거리에 따라 상기 패널의 일 면을 통해 돌출되는
    교정 진단 기구.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핀들은, 상기 패널에서 상기 에스테틱 라인을 따라 정렬하여 배치되는
    교정 진단 기구.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상기 링크 상에서 상기 에스테틱 라인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교정 진단 기구.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링크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제1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링크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제2 회전부를 포함하는,
    교정 진단 기구.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기 제1 바디에 연결되는 상부 링크 및 상기 제2 바디에 연결되는 하부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교정 진단 기구는 상기 상부 링크 및 상기 패널에 연결되는 제1 사이드 링크 및 상기 하부 링크 및 상기 패널에 연결되는 제2 사이드 링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널은 상기 제1 사이드 링크 및 상기 제2 사이드 링크를 따라 상기 에스테틱 라인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교정 진단 기구.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링크는 상기 제1 사이드 링크를 따라 상기 에스테틱 라인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하부 링크는 상기 제2 사이드 링크를 따라 상기 에스테틱 라인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교정 진단 기구.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 진단 기구는,
    상기 패널 상에서 상기 복수의 핀들 중 상기 에스테틱 라인을 따라 정렬된 적어도 일부의 핀들의 슬라이드 이동을 동시에 방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교정 진단 기구.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 진단 기구는, 상기 제1 바디에 연결되는 밴드를 더 포함하는
    교정 진단 기구.
KR1020200021855A 2020-02-21 2020-02-21 교정 진단 기구 KR102121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855A KR102121172B1 (ko) 2020-02-21 2020-02-21 교정 진단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855A KR102121172B1 (ko) 2020-02-21 2020-02-21 교정 진단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1172B1 true KR102121172B1 (ko) 2020-06-10

Family

ID=71087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855A KR102121172B1 (ko) 2020-02-21 2020-02-21 교정 진단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117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27973A (en) * 1997-12-10 1999-07-27 Hanebaum; All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position of the occlusal plane of the mouth
JP2006115990A (ja) * 2004-10-20 2006-05-11 Hokkaido Univ 顎顔面形態計測装置および顎顔面形態計測方法
KR100945893B1 (ko) * 2003-04-15 2010-03-05 이재화 성형수술용 안면 측정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27973A (en) * 1997-12-10 1999-07-27 Hanebaum; All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position of the occlusal plane of the mouth
KR100945893B1 (ko) * 2003-04-15 2010-03-05 이재화 성형수술용 안면 측정시스템
JP2006115990A (ja) * 2004-10-20 2006-05-11 Hokkaido Univ 顎顔面形態計測装置および顎顔面形態計測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ield-Gehrig Fundamentals of periodontal instrumentation & advanced root instrumentation
US5078600A (en) Multifunction mandibular movement measuring device
Currier A computerized geometric analysis of human dental arch form
Fukui et al. Correlation between facial morphology, mouth opening ability, and condylar movement during opening–closing jaw movements in female adults with normal occlusion
US20100279249A1 (en) Dental oral mirror
Pellitteri et al. Comparison of the accuracy of digital face scans obtained by two different scanners: An in vivo study
US6200278B1 (en) Gender specific soft tissue cephalometric analysis for diagnosis and cephalometric treatment planning of facial imbalance
US10772493B2 (en) Dental retractor
KR102121172B1 (ko) 교정 진단 기구
Ghani et al. Correlation of ANB angle and wits appraisal in different malocclusion groups
US10945816B1 (en) Orthodontic bracket positioning instrument
Khouw et al. Cephalometric evaluation of patients with dentofacial disharmonies requiring surgical correction
KR20150066124A (ko) 개구량 측정 및 증대기
US5622492A (en) Dental mirror handle
RUCKER et al. Declination angle and its role in selecting surgical telescopes
KR20120047732A (ko) 3차원 안면 진단 장치
US3745665A (en) Orthodontic gauge device for indicating interincisal angles
US20040166467A1 (en) Dental marking film holder
JP4699295B2 (ja) 歯科用表示装置
KR101539586B1 (ko)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 및 이를 갖는 측정게이지 세트
Teguh et al. Facial and Hand Landmark Measurements for Making Accurate Occlusal Vertical Dimension Determinations
Dmitriev et al. Determination of individual angular characteristics of the teeth positions according to the computer tomography in Ukrainian adolescents with orthognathic bite
US7144251B1 (en) Dental-facial measuring instrument
US20050064362A1 (en) Dental inspection mirror
CN213030879U (zh) 一种适用于儿童耳部手术备皮的卡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