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6124A - 개구량 측정 및 증대기 - Google Patents

개구량 측정 및 증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6124A
KR20150066124A KR1020130151273A KR20130151273A KR20150066124A KR 20150066124 A KR20150066124 A KR 20150066124A KR 1020130151273 A KR1020130151273 A KR 1020130151273A KR 20130151273 A KR20130151273 A KR 20130151273A KR 20150066124 A KR20150066124 A KR 20150066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groove
patient
handle
aper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1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3754B1 (ko
Inventor
김수관
Original Assignee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51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3754B1/ko
Publication of KR20150066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6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3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3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구량 측정 및 증대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관, 세척이 용이하고, 재사용이 가능하며, 환자의 개구량 측정과 개구량 증대를 병행하여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개구량 측정 및 증대기{Apparatus for opening mouth measurement and increase}
본 발명은 개구량 측정 및 증대기에 관한 것이다.
턱관절 수술, 악교정 수술 등 구강악 안면 영역의 수술의 경우, 수술 후 안정을 위해 악간 고정을 시행하게 된다.
이 경우, 악간 고정을 위한 기구를 제거한 후에 환자가 개구 제한의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턱관절 질환을 가진 환자나 장시간의 치과 치료를 받은 환자, 턱관절부에 갑작스런 외상을 받은 환자도 개구 제한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서 다양한 진단법이 적용되나, 기본적으로 현재 환자의 개구량을 측정하고, 치료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되는 개구량을 측정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치료법 또한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으나, 기본적으로 환자의 개구 가동 범위를 증가시키기 위해 구강 내 특히 상하악 치아 사이에 설압자 등을 점층적으로 위치시켜 개선을 도모하고 있으며, 이러한 설압자에 대한 일예로, 한국공개특허 10-2012-0118701에는 펜라이트의 탈부착이 가능한 설압자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펜라이트의 탈부착이 가능한 설압자는 구조가 복잡하고, 환자 치료시 단지 혀를 누르는 기능만을 수행할 뿐이어서, 환자의 개구량을 측정하면서 동시에 개구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기구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보관, 세척, 재사용이 가능하고, 환자의 개구량 측정과 개구량 증대를 병행하여 실시할 수 있는 개구량 측정 및 증대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측 가장자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되 개구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눈금이 표시된 몸체부; 및 몸체부의 타측에서 연장형성되며, 손가락을 파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요홈이 형성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량 측정 및 증대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치아의 단부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몸체부의 일측 가장자리 하부에 요홈 형상의 기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량 측정 및 증대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홈은, 손잡이부의 상하 양측 가장자리에서 중심축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량 측정 및 증대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홈은, 손잡이부의 타측 전면과 후면에 함몰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량 측정 및 증대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와 손잡이부는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량 측정 및 증대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관, 세척이 용이하고, 재사용이 가능하며, 환자의 개구량 측정과 개구량 증대를 병행하여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구량 측정 및 증대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구량 측정 및 증대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개구량 측정 및 증대기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구량 측정 및 증대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구량 측정 및 증대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개구량 측정 및 증대기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구량 측정 및 증대기(100)는, 일측 가장자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되 개구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눈금이 표시된 몸체부(101); 및 몸체부(101)의 타측에서 연장형성되며, 손가락을 파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요홈(103)이 형성된 손잡이부(1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몸체부(101)는 소정의 두께를 가진 판 형상으로 제공되는데, 몸체부(101)의 일측 가장자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가장자리를 따라 눈금이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눈금은 환자의 개구량(즉, 환자가 입을 벌리는 크기)을 측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한편, 몸체부(101)의 일측 가장자리 하부에는 요홈 형상의 기준홈(107)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기준홈(107)은 사용자가 개구량 측정 및 증대기(100)로 환자의 개구량을 측정할 때, 일예로 환자의 하악 치아 단부가 기준홈(107)에 삽입되어 지지됨으로써, 상악과 하악의 벌려진 양을 측정하는 기준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몸체부(101)의 일측 가장자리의 눈금이 표시된 위치에, 눈금홈(109)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눈금홈(109)은 사용자가 개구량 측정 및 증대기(100)로 환자의 개구량을 측정할 때, 환자의 상악 치아 단부가 눈금홈(109)에 삽입되어 지지됨으로써, 기준홈(107)과 더불어 환자의 상악과 하악의 벌려진 양을 측정하는 기준 역할을 하게 된다.
이어서, 손잡이부(105)는 몸체부(101)의 타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데,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105)는 몸체부(10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별도로 만들어져 몸체부(101)에 탈착가능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손잡이부(105)에는 손가락을 파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요홈(103)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요홈(103)은 일예로, 손잡이부(105)의 상하 양측 가장자리에서 중심축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손잡이부(105)의 상하 양측 가장자리에 복수의 요홈(103)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개구량 측정 및 증대기(100)를 사용할 때, 손잡이부(105)를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105)에 형성된 요홈(203)은, 손잡이부(105)의 타측 전면과 후면에 함몰되어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이 손잡이부(105)의 타측 전면과 후면에 요홈(203)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개구량 측정 및 증대기(200)를 사용할 때, 엄지와 검지를 요홈(203)에 파지한 상태에서 손잡이부(105)를 잡을 수 있어서, 개구량 측정 및 증대기(200)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게 된다.
한편, 전술한 개구량 측정 및 증대기(100,200)의 몸체부(101)와 손잡이부(105)는 인체에 무해한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일예로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 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ABS 수지는 내충격성, 내약품성, 내후성 등이 뛰어나고, 사출성형, 압출성형 등의 성형성과 착색 등 2차 가공성이 우수한 합성수지이다.
이와 같이 개구량 측정 및 증대기가 인체에 무해한 합성수지로 형성됨으로써, 개구량 측정 및 증대기의 보관, 세척이 용이하고, 재사용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개구량 측정 및 증대기의 사용예를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환자의 입을 조금 벌린 상태에서 환자의 하악 치아(301)의 단부가 몸체부(101)의 기준홈(107)에 삽입되도록 하고, 손잡이부(105)를 잡은 상태에서 개구량 측정 및 증대기(100)를 기준홈(107) 기준으로 환자가 불편함을 느끼기 시작하는 시점까지 일방향으로 천천히 회전시킨 후, 환자의 상악 치아(303) 단부가 위치하는 지점의 눈금을 읽어 환자의 개구량을 측정한다.
이 때, 사용자는 개구량 측정 및 증대기(100)를 일방향으로 좀 더 회전시킴으로써, 환자의 개구량을 증대시키는 물리치료를 병행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보관, 세척이 용이하고, 재사용이 가능하며, 환자의 개구량 측정과 개구량 증대를 병행하여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구량 측정 및 증대기
101 : 몸체부
103,203 : 요홈
105 : 손잡이부
107 : 기준홈
109 : 눈금홈
200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구량 측정 및 증대기

Claims (5)

  1. 일측 가장자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되 개구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눈금이 표시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서 연장형성되며, 손가락을 파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요홈이 형성된 손잡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량 측정 및 증대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치아의 단부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의 일측 가장자리 하부에 요홈 형상의 기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량 측정 및 증대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은,
    상기 손잡이부의 상하 양측 가장자리에서 중심축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량 측정 및 증대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은,
    상기 손잡이부의 타측 전면과 후면에 함몰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량 측정 및 증대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손잡이부는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량 측정 및 증대기.
KR1020130151273A 2013-12-06 2013-12-06 개구량 측정 및 증대기 KR101533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1273A KR101533754B1 (ko) 2013-12-06 2013-12-06 개구량 측정 및 증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1273A KR101533754B1 (ko) 2013-12-06 2013-12-06 개구량 측정 및 증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6124A true KR20150066124A (ko) 2015-06-16
KR101533754B1 KR101533754B1 (ko) 2015-07-03

Family

ID=53514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1273A KR101533754B1 (ko) 2013-12-06 2013-12-06 개구량 측정 및 증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375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62724A (zh) * 2017-10-13 2019-04-23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第九人民医院 张口度测量装置
RU190241U1 (ru) * 2019-01-29 2019-06-24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Ом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медицин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Министерства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ФГБОУ ВО ОмГМУ Минздрава России) Фронтальный депрограмматор
RU2710679C1 (ru) * 2019-09-23 2019-12-3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Центр комплексной стоматологи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епрограммирования жевательных мышц
KR102138463B1 (ko) * 2019-03-15 2020-07-27 정진환 게이지 트위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222B1 (ko) 2018-11-21 2019-07-15 주식회사 진바이오테크 개구량 측정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1506A (en) * 1991-12-19 1994-11-08 Therabite Corporation Jaw opening measurement device
KR200350523Y1 (ko) * 2004-02-13 2004-05-17 학교법인단국대학 구강기관 측정스케일
JP3150439U (ja) * 2009-02-13 2009-05-21 清水 敦 歯科用口腔の計測器具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62724A (zh) * 2017-10-13 2019-04-23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第九人民医院 张口度测量装置
RU190241U1 (ru) * 2019-01-29 2019-06-24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Ом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медицин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Министерства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ФГБОУ ВО ОмГМУ Минздрава России) Фронтальный депрограмматор
KR102138463B1 (ko) * 2019-03-15 2020-07-27 정진환 게이지 트위저
RU2710679C1 (ru) * 2019-09-23 2019-12-3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Центр комплексной стоматологи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епрограммирования жевательных мыш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3754B1 (ko) 2015-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3754B1 (ko) 개구량 측정 및 증대기
US4971557A (en) Cheek retractor
US10307228B2 (en) Retractor for periodontal surgery
CN107411756B (zh) 手指夹持装置及具有手指夹持装置的血氧仪
JP2024001348A (ja) 根管長測定器アタッチメント
US3126631A (en) Articulating paper apparatus
CA2880364A1 (en) Gauze pad holder for post-surgical intraoral use
US10864060B1 (en) Root canal filling material marker
CN100387197C (zh) 口腔摄影牙片固定测量夹
CN202751406U (zh) 剪钳型口腔牙片摄影固定支架
FI125271B (fi) Käsi-instrumentti manuaaliseen hammashoitoon
KR20170002019A (ko) 치주낭측정기
RU55573U1 (ru) Пинцет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ий
US10010391B2 (en) Device for evaluating dental crown contacts
RU2281718C2 (ru) Набор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их инструментов (варианты),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ий зонд,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ое зеркало,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ий пинцет
CN211560064U (zh) 一种具有刻度线的口腔探针
CN211512119U (zh) 一种口腔专用精密小器械持物镊
CN202605049U (zh) 实用的口腔镜
KR101407242B1 (ko) 치과용 리트렉터
GB2490668A (en) Double ended interdental cleaning device
CN205866879U (zh) 一种一次性口腔器械盒托盘
RU58326U1 (ru) Зонд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размеров дефекта хряща коленного сустава
KR102000222B1 (ko) 개구량 측정자
CN108542418B (zh) 局部牙托组合式牙片拍照定位及测量装置
RU187973U1 (ru) Оттискная лож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