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1036B1 - 뜸기구 - Google Patents

뜸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1036B1
KR102121036B1 KR1020200032579A KR20200032579A KR102121036B1 KR 102121036 B1 KR102121036 B1 KR 102121036B1 KR 1020200032579 A KR1020200032579 A KR 1020200032579A KR 20200032579 A KR20200032579 A KR 20200032579A KR 102121036 B1 KR102121036 B1 KR 102121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xibustion
storage box
main body
support
sm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2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민
Original Assignee
박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민 filed Critical 박성민
Priority to KR1020200032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10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0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caused by chemical reaction, e.g. moxabur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0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caused by chemical reaction, e.g. moxaburners
    • A61B2018/06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caused by chemical reaction, e.g. moxaburners one of the reactants being oxygen
    • A61B2018/064Moxabur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2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5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by direct air flow on the patient's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78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by chemical re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83Surface of interface
    • A61H2201/169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e.g. material, relief, texture or indic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뜸재료가 연소하면서 발생되는 연기와 냄새에 의한 고통과 불편 없이 편안하게 뜸 시술을 받을 수 있는 뜸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뜸기구는 하부에 제1개방홈(110)이 형성된 수납함체(100)와, 상기 수납함체 내부로 수납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바닥면에는 제1개방홈과 연통되는 제2개방홈(210)이 형성된 본체부(200)와, 상기 제2개방홈에 구비되어 뜸재료(S)를 지지하는 철망(220)과,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의 일측단에 형성된 제1통기공(230)과, 상기 본체부의 개방된 상부를 커버하는 뚜껑(240)과, 상기 제1통기공과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뚜껑의 타측단에 형성되어 상기 뜸재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연기와 냄새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통기공(250)과, 상기 수납함체의 상부에 형성된 배기공(130)과, 상기 배기공에 설치되어 상기 뜸재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연기와 냄새를 수납함체의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는 배기관(30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뜸기구{Moxibus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뜸재료가 연소하면서 발생되는 연기와 냄새에 의한 고통과 불편 없이 편안하게 뜸 시술을 받을 수 있는 뜸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뜸은 쑥과 같은 뜸재료를 피부의 혈(穴) 위에 올려놓고 태워 뜸재료의 진액과 열에너지가 시술 부위의 경혈을 자극하게 함으로써 각종 질병을 치료하는 전통적인 치료 방법 중 하나이다.
이러한 뜸은 양기를 보호하여 시술 부위를 따뜻하게 해주고, 기가 가라앉는 것을 끌어 올려주며, 약이 미치지 못하고 침이 치료하지 못하는 한계부위를 상기 뜸재료의 진액이 침투하여 약리작용을 함으로써 피하조직의 활성과 밸런스를 회복시켜 질환을 치료한다.
도 1은 종래의 뜸기구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뜸기구는 바닥면에 개방홈(11)이 관통 형성된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뜸재료를 지지하기 위해 높이를 달리하여 구성되는 복수의 철망(20)과, 상기 본체부(10) 상부에 구비되며 뜸재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연기가 배출되도록 다수의 통공(31)이 형성된 뚜껑(30)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본체부(10)의 바닥면과 끼움홈(12)에 각각 철망(20)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철망(20) 위에 뜸재료(S)를 올려놓고 불을 붙인 후 뚜껑(30)을 덮으면 뜸재료(S)가 연소되면서 열기가 축적되고 축적된 열기는 상기 개방홈(11)을 통해 시술부위로 전달되며 뜸재료(S)의 연기는 통공(31)을 통해 배출되므로 상기 개방홈(11)의 아래에 시술부위를 위치시키면 직접적인 열자극 없이 안전하게 뜸 시술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도 3은 종래의 뜸기구를 침대에 설치한 사용상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뜸기구는 본체부(10)를 침대(60)에 고정된 지지프레임(40)에 올려 놓고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환자가 침대(60)에 누워서 편하고 안정되게 시술을 받을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뜸기구는 뜸재료(S)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다량의 연기가 환자의 호흡기를 자극하여 시술시 환자들이 고통과 불편함을 호소하는 경우가 빈번하므로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875032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환자가 뜸재료가 연소하면서 발생되는 연기와 냄새에 의한 고통과 불편함이 방지되는 뜸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뜸기구는 하부에 제1개방홈이 형성된 수납함체와, 상기 수납함체 내부로 수납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바닥면에는 제1개방홈과 연통되는 제2개방홈이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제2개방홈에 구비되어 뜸재료를 지지하는 철망과,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의 일측단에 형성된 제1통기공과, 상기 본체부의 개방된 상부를 커버하는 뚜껑과, 상기 제1통기공과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뚜껑의 타측단에 형성되어 상기 뜸재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연기와 냄새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통기공과, 상기 수납함체의 상부에 형성된 배기공과, 상기 배기공에 설치되어 상기 뜸재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연기와 냄새를 수납함체의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는 배기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개방홈을 횡단하는 지지와이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철망은 상기 지지와이어의 상부에 안착되는 제1철망과 상기 제2개방홈을 커버하면서 본체부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제2철망을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수납함체를 올려 놓는 지지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대의 중앙에는 상기 수납함체의 제1개방홈과 연통되는 통공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지지대는 침대를 따라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수납함체에 배기관이 설치됨과 함께 상기 수납함체 내부에 수납되는 본체부에는 제1통기공이 형성되고 뚜껑에는 제1통기공과 서로 반대방향에 상하 위치가 다르게 제2통기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뜸재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연기와 냄새가 배기관을 통해 강제 배출되는 과정에서 본체부 내에서 와류를 형성하면서 제1유입공으로 유입되는 공기와 함께 본체부를 가로질러 제2통기공을 통해 신속하게 빠져 나가게 되며, 이로 인하여 환자는 연기와 냄새를 전혀 느끼지 못하고 쾌적하고 편안한 상태에서 뜸 시술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뜸기구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뜸기구를 침대에 설치한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뜸기구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뜸기구의 사용상태사시도.
도 6은 도 5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뜸기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뜸기구의 사용상태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뜸기구는 수납함체(100)를 구비한다.
상기 수납함체(100)의 내측에는 수납공간(101)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제1개방홈(110)이 형성된다.
상기 수납함체(100)는 금속과는 달리 열전도율이 낮아 쉽게 뜨거워지지 않고 부식되거나 독성이 없으며 환자에게 심리적으로 안정된 느낌을 제공할 수 있는 나무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수납함체(100)의 수납공간(101)으로는 뜸재료(S)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본체부(200)가 수납된다. 상기 본체부(200)는 부식되거나 독성이 없으며 내열성이 우수한 세라믹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부(200)는 상부가 개방되며 바닥면에는 상기 제1개방홈(110)과 연통되는 제2개방홈(210)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2개방홈(210)에는 뜸재료(S)가 놓여지는 철망(220)이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제2개방홈(210)에는 철망(220)의 탈락을 방지하는 지지와이어(21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와이어(211)는 제2개방홈(210)을 가로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횡단하도록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철망(220)은 뜸재료(S)가 제2개방홈(210)을 통해 환자에게 낙하하지 않도록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철망(220)은 지지와이어(211)의 상부에 안착되는 제1철망(220a)과, 상기 제1철망(220a) 보다 큰 사이즈로 제작되어 상기 제2개방홈(210)을 커버하면서 본체부(200)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제2철망(220b)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200)의 바닥면의 일측단에는 제1통기공(230)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200)의 개방된 상부에는 뚜껑(240)이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뚜껑(240)에는 제2통기공(250)이 형성된다. 상기 제2통기공(250)은 제1통기공(230)과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뚜껑(240)의 타측단 상부에 형성된다. 즉, 상기 제1통기공(230)과 제2통기공(250)은 상하 높이가 다르고 본체부(200)를 가로질러 가장 원거리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수납함체(100)의 전면에는 상기 수납공간(101)을 개폐하는 도어(120)가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도어(120)에는 용이한 개폐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손잡이(121)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본체부(200)는 상기 도어(120)와 손잡이(121)를 이용하여 상기 수납공간(101)으로 용이하게 수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납함체(100)의 상부에는 배기공(13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공(130)에는 상기 뜸재료(S)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연기와 냄새를 수납함체(100) 외부로 강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배기관(300)이 설치된다. 상기 배기관(300)에는 선택적으로 적당량의 배기가 이루어지도록 밸브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배기관(300)에는 강제 배기가 가능하도록 진공펌프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편안한 뜸시술을 위하여 수납함체(100)를 일정 높이로 올려 놓는 지지대(40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대(400)는 다리부(410)와, 각 다리부(410)의 상단에 양단이 수평으로 고정된 받침판(4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판(420)의 중앙에는 상기 수납함체(100)의 제1개방홈(110)과 받침판(420)의 하부를 연통시키는 통공(421)이 형성된다.
상기 수납함체(100)는 통공(421)을 커버하도록 상기 지지대(400)의 받침판(420) 상부에 놓여진다.
한편, 상기 지지대(400)는 편안한 시술을 위하여 침대(B)에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지지대(400)는 시술부위에 따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침대(B)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대(400)는 침대(B)의 설치된 이송레일(도시안됨)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이송레일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침대(B)의 저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이송레일이 침대(B)의 저부에 설치되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므로 전체적인 미관이 향상되고 상기 이송레일에 이물질이나 옷자락이 개입되는 방지되므로 원활한 작동이 보장되며 상기 이송레일에 신체가 끼이면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침대(B)에 환자가 누운 상태에서 지지대(400)를 손으로 밀게 되면, 상기 지지대(400)가 환자의 위쪽에서 이송레일을 따라 침대(B)의 전후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하게 되므로, 환자는 침대(B)에 누운 상태에서 원하는 부위에 편안하게 뜸 시술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뜸기구는 먼저, 수납함체(100)의 도어(120)를 개방하여 수납공간(101)에 본체부(200)를 올려놓고 뜸재료(S)에 불을 붙인 다음 뚜껑(240)을 덮은 후 도어(120)를 닫는다.
그리고 침대(B)에 누운 환자의 시술부위 위로 지지대(400)를 밀어서 이동시키면, 뜸재료(S)가 연소되면서 열기가 축적되고 축적된 열기가 본체부(200)의 개방홈(311)과 수납함체(100)의 개방하부와 받침판(420)에 형성된 통공(421)을 차례로 통과하여 시술부위로 전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환자의 시술부위에 직접적인 열자극 없는 안전한 뜸 시술이 가능한 것은 물론 시술부위에 따라 뜸기구를 자유롭게 이동시켜 가면서 시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뜸 시술 시에 뜸재료(S)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연기와 냄새는 뚜껑(240)에 형성된 제2통기공(250)을 통해 수납함체(100) 내부로 배출된 후, 배기관(300)를 통해 수납함체(100)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된다.
이때, 본체부(200)에 형성된 제1통기공(230)과 뚜껑(240)에 형성된 제2통기공(250)은 서로 반대방향에 형성되어 있고 상하 위치도 다르며 상기 철망(220)에는 뜸재료(S)가 올려져 있어 제2개방홈(210)을 통한 공기흐름이 불량하기 때문에, 본체부(200) 내부의 연기와 냄새는 제1통기공(230)으로 유입되는 공기와 함께 본체부(200)를 가로질러 신속하게 제2통기공(250)으로 빠져 나가게 된다.
특히, 뜸재료(S)가 도시된 바와 같이 고형체가 아닌 분말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제2개방홈(210)을 통한 공기흐름이 극도로 불량해지므로 제1통기공(230)과 제2통기공(250)을 통한 연기와 냄새의 배출은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본체부(200) 내부의 공기흐름은 본체부(200) 내부에 서 와류를 형성시키게 되며, 이로 인하여 본체부(200) 내부의 연기와 냄새는 정체되는 구간 없이 신속하고 완전하게 배출된다.
따라서, 환자는 연기와 냄새를 전혀 느끼지 못하고 쾌적하고 편안한 상태로 뜸 시술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100...수납함체 110...제1개방홈
130...배기공 200...본체부
210...제2개방홈 211...지지와이어
220...철망 220a...제1철망
220b...제2철망 230...제1통기공
240...뚜껑 250...제2통기공
300...배기관 400...지지대
421...통공 B...침대
S...뜸재료

Claims (4)

  1. 하부에 제1개방홈이 형성된 수납함체;
    상기 수납함체의 내부로 수납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바닥면에는 상기 제1개방홈과 연통되는 제2개방홈이 형성된 본체부;
    상기 제2개방홈에 구비되어 뜸재료를 지지하는 철망;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의 일측단에 형성된 제1통기공;
    상기 본체부의 개방된 상부를 커버하는 뚜껑;
    상기 제1통기공과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뚜껑의 타측단에 형성되어 상기 뜸재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연기와 냄새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통기공;
    상기 수납함체의 상부에 형성된 배기공;
    상기 배기공에 설치되어 상기 뜸재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연기와 냄새를 수납함체의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는 배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2개방홈을 횡단하는 지지와이어가 더 구비되며,
    상기 철망은 상기 지지와이어의 상부에 안착되는 제1철망과 상기 제2개방홈을 커버하면서 본체부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제2철망을 구비한 뜸기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수납함체를 올려 놓는 지지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지지대의 중앙에는 상기 수납함체의 제1개방홈과 연통되는 통공이 형성된 뜸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침대를 따라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뜸기구.
KR1020200032579A 2020-03-17 2020-03-17 뜸기구 KR102121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579A KR102121036B1 (ko) 2020-03-17 2020-03-17 뜸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579A KR102121036B1 (ko) 2020-03-17 2020-03-17 뜸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1036B1 true KR102121036B1 (ko) 2020-06-09

Family

ID=71082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2579A KR102121036B1 (ko) 2020-03-17 2020-03-17 뜸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103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6438A (ko) * 2001-06-19 2002-12-31 배삼훈 진공 쑥 뜸 기
KR20100010634U (ko) * 2009-04-21 2010-10-29 이제홍 훈증기가 구비된 침대
KR20140045654A (ko) * 2012-10-09 2014-04-17 정순국 휴대 가능한 쑥뜸기 및 쑥뜸 연기 옥외 배출장치
KR20170003228U (ko) * 2016-03-08 2017-09-18 강동기 이중덮개를 갖는 쑥뜸기구
KR101875032B1 (ko) 2018-02-13 2018-07-05 고봉구 황토 뜸기구
KR20200008325A (ko) * 2018-07-16 2020-01-28 고봉구 뜸 기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6438A (ko) * 2001-06-19 2002-12-31 배삼훈 진공 쑥 뜸 기
KR20100010634U (ko) * 2009-04-21 2010-10-29 이제홍 훈증기가 구비된 침대
KR20140045654A (ko) * 2012-10-09 2014-04-17 정순국 휴대 가능한 쑥뜸기 및 쑥뜸 연기 옥외 배출장치
KR20170003228U (ko) * 2016-03-08 2017-09-18 강동기 이중덮개를 갖는 쑥뜸기구
KR101875032B1 (ko) 2018-02-13 2018-07-05 고봉구 황토 뜸기구
KR20200008325A (ko) * 2018-07-16 2020-01-28 고봉구 뜸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13180B (zh) 大功率集烟艾灸器
KR20210012267A (ko) 다리관리장치, 및 다리관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126439B1 (ko) 이동식 뜸기구
KR20200008325A (ko) 뜸 기구
KR102121036B1 (ko) 뜸기구
CN208974579U (zh) 立式艾灸装置
CN109157409A (zh) 带有超声波按摩装置的艾灸理疗机
CN206324996U (zh) 一种艾相伴无烟聚能扶阳艾灸器
CN206381371U (zh) 多功能足部保健箱
KR101440683B1 (ko) 쑥뜸 연기 옥외 배출장치
CN211934856U (zh) 一种收集艾灰的艾灸盒
CN2183169Y (zh) 针灸治疗床
KR20050059386A (ko) 건식훈증기를 구비한 한방헬스 의자
CN208989630U (zh) 一种痔疮熏蒸椅
CN209751634U (zh) 一种艾灸床
KR20110005936U (ko) 대용량 쑥뜸기
CN215426094U (zh) 一种新型艾灸床
CN215274196U (zh) 一种艾灸床
KR200234828Y1 (ko) 쑥뜸사우나기
KR20210013405A (ko) 다리관리장치
KR101852090B1 (ko) 쑥뜸기
KR20010073472A (ko) 적외선 쑥뜸기
CN210812553U (zh) 一种坐式多功能炙熏椅
KR102669367B1 (ko) 쑥 뜸기구
KR102139504B1 (ko) 좌식 뜸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