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0584B1 - 탱크 냉각시스템, 재액화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 Google Patents

탱크 냉각시스템, 재액화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0584B1
KR102120584B1 KR1020190041038A KR20190041038A KR102120584B1 KR 102120584 B1 KR102120584 B1 KR 102120584B1 KR 1020190041038 A KR1020190041038 A KR 1020190041038A KR 20190041038 A KR20190041038 A KR 20190041038A KR 102120584 B1 KR102120584 B1 KR 102120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liquefied gas
heat
boil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1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청기
이재준
노일용
Original Assignee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0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0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3/04Driving of auxiliaries from power plant other than propulsion power pla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탱크 냉각시스템, 재액화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재액화 시스템은, 증발가스 압축기 상류의 증발가스 공급라인 또는 고압펌프 상류의 액화가스 공급라인과, 상기 증발가스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잉여 증발가스를 액화가스 저장탱크로 복귀시키는 증발가스 회수라인 상에 마련되어 상기 잉여 증발가스를 재액화시키는 액화기를 포함하고, 상기 액화기는, 열전소자의 발열부를 상기 증발가스 압축기로 공급되는 증발가스 또는 상기 고압펌프로 공급되는 액화가스로 냉각시키고, 상기 발열부를 냉각시킴에 따라 상대적으로 더욱 냉각되는 상기 열전소자의 흡열부의 냉각 온도를 이용하여 상기 증발가스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상기 잉여 증발가스를 재액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탱크 냉각시스템, 재액화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Tank Cooling System, Liquefaction System and Ship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탱크 냉각시스템, 재액화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천연가스는, 육상 또는 해상의 가스배관을 통해 가스 상태로 운반되거나, 또는 LNG나 LPG와 같은 액화가스의 상태로 수송선에 저장된 채 원거리의 수요처로 운반된다. 액화천연가스는 천연가스를 극저온(대략 -163℃)으로 냉각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일 때보다 그 부피가 대략 1/600로 줄어들므로 해상을 통한 원거리 운반에 매우 적합하다.
이러한 액화천연가스는 다양한 수요처로 공급되어 사용되는데, 최근에는 액화천연가스를 운반하는 LNG 운반선에서 LNG를 연료로 사용하여 엔진을 구동하는 LNG 연료공급 방식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와 같이 엔진의 연료로 LNG를 사용하는 방식은 LNG 운반선 외의 다른 선박에도 적용되고 있다.
LNG를 싣고 바다를 운항하여 육상 수요처에 LNG를 하역하기 위한 LNG 운반선은 내부에 액화천연가스의 극저온에 견딜 수 있는 LNG 저장탱크(흔히, '화물창'이라 함)가 설치된다. 또한, LNG를 연료로 사용하는 선박은 선박은 내부 또는 외부에 액화천연가스의 극저온에 견딜 수 있는 LNG 저장탱크(연료 저장탱크)가 설치된다.
이러한 LNG 저장탱크는 단열재에 화물의 하중이 직접적으로 작용하는지 여부에 따라 독립형(Independent Type)과 멤브레인형(Membrane Type)으로 분류할 수 있다. 독립형 탱크는 크게 "SPB" 방식과 "MOSS" 구형 탱크 방식으로 나눌 수 있으며, 국제해사기구에서 Type A, Type B, Type C 탱크 유형(Type)으로 분류하고 있다.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를 단열하여도 외부의 열을 완벽하게 차단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고, 액화천연가스 내부로 전달되는 열에 의해 액화천연가스는 저장탱크 내에서 지속적으로 기화하게 된다. 저장탱크 내부에서 기화된 천연가스를 증발가스(BOG; Boil-Off Gas)라고 한다.
증발가스의 발생으로 인하여 저장탱크의 압력이 설정된 안전압력 이상이 되면, 증발가스는 안전밸브를 통하여 저장탱크의 외부로 배출된다. 저장탱크 외부로 배출된 증발가스는 선박의 연료로 사용되거나 재액화되어 다시 저장탱크로 돌려보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극저온의 액화천연가스를 저장하는 저장탱크는 외부로부터 열 유입으로 인해 탱크 내에 증발가스가 발생하고 압력이 상승하게 되며, 특히 독립형 저장탱크의 경우, 지지부(saddle)로 유입되는 열이 면적에 비해 큰 값을 가지며, 단열재의 성능을 증가 시켜 외부로부터 열을 차단하더라도, 선체에 연결되는 지지부로 유입되는 열을 줄일 수 없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지속적인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열침투에 의해 발생되는 증발가스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방안도 다각도로 연구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지지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내부로 유입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펌프 또는 증발가스 압축기로 공급되는 액화가스 또는 증발가스를 예열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증발가스를 효과적으로 재액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재액화 시스템은, 증발가스 압축기 상류의 증발가스 공급라인 또는 고압펌프 상류의 액화가스 공급라인과, 상기 증발가스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잉여 증발가스를 액화가스 저장탱크로 복귀시키는 증발가스 회수라인 상에 마련되어 상기 잉여 증발가스를 재액화시키는 액화기를 포함하고, 상기 액화기는, 열전소자의 발열부를 상기 증발가스 압축기로 공급되는 증발가스 또는 상기 고압펌프로 공급되는 액화가스로 냉각시키고, 상기 발열부를 냉각시킴에 따라 상대적으로 더욱 냉각되는 상기 열전소자의 흡열부의 냉각 온도를 이용하여 상기 증발가스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상기 잉여 증발가스를 재액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액화기는, 상기 흡열부와 상기 발열부로 이루어지는 상기 열전소자; 상기 발열부 측에 형성되며, 상기 증발가스 압축기로 공급되는 상기 증발가스 또는 상기 고압펌프로 공급되는 상기 액화가스의 통로를 제공하는 제1통로; 및 상기 흡열부 측에 형성되며, 상기 증발가스 압축기로부터 토출되어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로 복귀되는 상기 잉여 증발가스의 통로를 제공하는 제2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전소자는, 상기 흡열부가 중앙 측에 상기 제2통로를 갖는 내측 환형을 이루고, 상기 발열부가 외측에 상기 제1통로를 갖는 외측 환형을 이루는 환형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전소자는, 상기 제1통로를 갖는 제1기판과 상기 제2통로를 갖는 제2기판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층간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발열부가 상기 제1기판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흡열부가 상기 제2기판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기판형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와 상기 액화기 사이의 상기 증발가스 회수라인 상에 마련되는 감압밸브를 더 포함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선박은, 상기에 기재된 재액화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은, 열전소자의 흡열부가 액화가스 저장탱크 측으로 배치되고 열전소자의 발열부가 선체 측으로 배치되도록 액화가스 저장탱크를 지지하는 지지부에 탱크 냉각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지지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내부로 유입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은, 액화가스 저장탱크로부터 배출되는 극저온의 액화가스 또는 증발가스를 직접 또는 간접 방식으로 이용하여 열전소자의 발열부에서 방출되는 열을 흡수하도록 탱크 냉각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열전소자의 발열부에서 방열 효율이 증가됨에 따라 열전소자의 흡열부 냉각 온도를 크게 낮출 수 있어,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냉각 효율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압펌프로 공급되는 액화가스 또는 증발가스 압축기로 공급되는 증발가스가 예열되어 고압펌프 또는 증발가스 압축기의 구동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은, 열전소자의 발열부를 액화가스 저장탱크로부터 배출되는 극저온의 액화가스 또는 증발가스로 냉각시킴에 따라 상대적으로 더욱 냉각되는 열전소자의 흡열부의 냉각 온도를 이용하여 증발가스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잉여 증발가스를 재액화시키도록 재액화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냉매나 증발가스 고압 압축 없이 잉여 증발가스의 재액화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증발가스 압축기로 공급되는 증발가스 또는 고압펌프로 공급되는 액화가스가 예열되어, 증발가스 압축기의 구동 능력 또는 고압펌프의 구동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탱크 냉각시스템 및/또는 재액화 시스템이 적용되는 선박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구비되는 탱크 냉각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구비되는 탱크 냉각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구비되는 탱크 냉각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구비되는 탱크 냉각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구비되는 탱크 냉각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구비되는 재액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구비되는 재액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7 및 도 8의 액화기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7 및 도 8의 액화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액화가스는 LNG 또는 LPG, 에틸렌, 암모니아, 에탄, 액체질소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액체 상태로 보관되는 모든 가스 연료를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액화가스는 액체 상태의 액화가스뿐만 아니라 기화된 액화가스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탱크 냉각시스템 및/또는 재액화 시스템이 적용되는 선박의 구성도이다.
선박(1)은,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후술할 탱크 냉각시스템(200a, 200b, 200c, 200d, 200e) 및/또는 도 7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후술할 재액화 시스템(300)이 구비될 수 있다. 선박(1)은 선체(2) 내부 및/또는 외부의 공간에 설치되어 액화가스를 다양한 수요처로 공급하거나 액화가스를 연료로 사용하기 위한 액화가스 저장탱크(10)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액화가스 저장탱크(10)는 독립형 저장탱크일 수 있다. 독립형 탱크는 크게 "SPB" 방식과 "MOSS" 구형 탱크 방식으로 나눌 수 있으며, 국제해사기구에서 Type A, Type B, Type C 탱크 유형(Type)으로 분류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선박(1)은, 액화가스를 연료로 사용하기 위해 연료 저장용 액화가스 저장탱크(10)가 설치되는 상선 외에도 선체(2)의 내부에 다수의 액화가스 저장탱크(10)가 설치되어 액화가스를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수송하는 상선 및 해상의 일정 지점에 부유하여 특정한 작업을 수행하는 해양구조물을 포괄하는 개념임을 알려둔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구비되는 탱크 냉각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 냉각시스템(200a)은,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서 외부로부터 내부로 열 유입량이 큰 부위인 지지부(10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열전소자(21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00)는, 선박(1)의 선체(2)에 설치되어 액화가스 저장탱크(1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100)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하중을 지지하며, 선체(2)에 설치되는 설치구조물(110)과, 액화가스 저장탱크(10)와 설치구조물(110) 사이에 설치되는 우드블록(120)으로 구성되는 새들서포트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100)는, 새들서포트로 한정되지 않으며, 수직서포트를 비롯하여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회전 및 부유를 방지하는 각종 초크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열전소자(210)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와 선체(2) 사이의 설치구조물(110)에 마련되어 선체(2)로는 온열을 제공하고 액화가스 저장탱크(10)로는 냉열을 제공할 수 있으며, 열과 전기의 상호작용으로 나타나는 각종 효과를 이용한 소자의 총칭일 수 있다. 열전소자(210)에는 크게 전기저항의 온도 변화를 이용한 소자인 서미스터, 온도 차에 의해 기전력이 발생하는 현상인 제베크효과를 이용한 소자, 전류에 의해 열의 흡수(또는 발생)가 생기는 현상인 펠티에효과를 이용한 소자인 펠티에소자 등이 있다.
이중 펠티에효과는 2종류의 금속 끝을 접속시켜, 여기에 전류를 흘려보내면, 전류 방향에 따라 한쪽 단자는 흡열하고, 다른 쪽 단자는 발열을 일으키는 현상이다. 2종류의 금속 대신 전기전도 방식이 다른 비스무트·텔루륨 등 반도체를 사용하면, 효율성 높은 흡열·발열 작용을 하는 펠티에소자를 얻을 수 있다. 이것은 전류 방향에 따라 흡열·발열의 전환이 가능하고, 전류량에 따라 흡열·발열량이 조절되므로, 용량이 적은 냉동기 또는 상온 부근의 정밀한 항온조(恒溫槽) 제작에 응용한다.
본 실시예에서 열전소자(210)는,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냉열을 얻을 수 있는 흡열부(211)와, 온열을 얻을 수 있는 발열부(212)를 포함하는 펠티어 소자일 수 있으며, 열전소자(210)에 공급되는 전류는, 전원케이블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열전소자(210)의 흡열부(211)와 발열부(212)의 온도 차이는 약 60℃ 정도이다. 예를 들어, 흡열부(211)의 온도가 -50℃일 경우 발열부(212)의 온도는 +10℃가 된다.
이러한 열전소자(210)는, 설치구조물(110)에 설치되되, 흡열부(211)가 액화가스 저장탱크(10) 방향으로 배치되고, 발열부(212)가 선체(2)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열전소자(210)를 배치함으로써, 선체(2) 방향으로는 고온의 열이 공급되므로 선체의 강종(steel grade)를 낮출 수 있어 자재비를 줄일 수 있고, 액화가스 저장탱크(10) 방향으로는 저온의 열이 공급되므로 액화가스 저장탱크(10) 내부로의 열 유입을 차단 및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저온 단열성능이 향상될 수 있어, 액화가스 저장탱크(10) 내부의 증발가스 발생과 압력상승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열전소자(210)의 설치 위치는, 설치구조물(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열유입이 예상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열전소자(210)는, 우드블록(12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우드블록(120)을 생략할 수 있다.
상기한, 열전소자(210)는, 일정 크기의 모듈로 제작하여 가로 세로 방향으로 조립 설치 가능할 수 있으며, 독립적으로도 설치 가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구비되는 탱크 냉각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탱크 냉각시스템(200b)은, 액화가스 연료공급 시스템(3)에 연계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전술한 제1 실시예의 탱크 냉각시스템(200a)에서 열전소자(210)에 더하여 제1방열장치(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실시예의 탱크 냉각시스템(200b)을 설명하기 전에 액화가스 연료공급 시스템(3)을 설명한다.
액화가스 연료공급 시스템(3)은, 액화가스 저장탱크(10), 고압 엔진(20a), 저압 엔진(20b), 펌프(30), 베이퍼라이저(40), 증발가스 압축기(50)를 포함한다.
엔진(20)은, 액화가스 저장탱크(10)로부터 공급되는 액화가스를 통해 구동되어 동력을 발생시킨다. 이때 엔진(20)은 고압 엔진(20a)과 저압 엔진(20b)을 포함하며, 고압 엔진(20a)은 MEGI 엔진일 수 있고, 저압 엔진(20b)은 이중연료 엔진일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 엔진(20)은 프로펠러를 구동하기 위한 엔진일 수 있으나, 발전을 위한 엔진 또는 기타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엔진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엔진(20)의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엔진(20)은 액화가스의 연소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내연기관일 수 있다.
펌프(30)는, 액화가스 공급라인(21) 상에 마련되며, 액화가스 저장탱크(10)로부터 배출된 액화가스를 가압한다. 펌프(30)는 부스팅펌프(31)와 고압펌프(32)를 포함할 수 있다.
부스팅펌프(31)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 내에 구비되거나, 또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와 고압펌프(32) 사이의 액화가스 공급라인(21) 상에 구비될 수 있으며, 고압펌프(32)에 충분한 양의 액화가스가 공급되도록 하여 고압펌프(32)의 공동현상(cavitation)을 방지한다.
또한 부스팅펌프(31)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로부터 액화가스를 빼내어서 액화가스를 수 내지 수십 bar 이내로 가압할 수 있으며, 부스팅펌프(31)를 거친 액화가스는 1bar 내지 25bar로 가압될 수 있다.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액화가스는 액체 상태에 놓여있다. 이때 부스팅펌프(31)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로부터 배출되는 액화가스를 가압하여 압력 및 온도를 다소 높일 수 있으며, 부스팅펌프(31)에 의해 가압된 액화가스는 여전히 액체 상태일 수 있다.
고압펌프(32)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로부터 배출된 액화가스를 고압으로 가압하여, 고압 엔진(20a)에 공급되도록 한다. 액화가스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로부터 약 10bar 정도의 압력으로 배출된 후 부스팅펌프(31)에 의해 1차로 가압되는데, 고압펌프(32)는 부스팅펌프(31)에 의해 가압된 액체상태의 액화가스를 2차로 가압하여, 베이퍼라이저(40)에 공급한다.
이때 고압펌프(32)는 액화가스를 고압 엔진(20a)에서 요구하는 압력, 예를 들어 200bar 내지 400bar까지 가압하여 고압 엔진(20a)에 공급함으로써, 고압 엔진(20a)이 액화가스를 통해 동력을 생산하도록 할 수 있다.
베이퍼라이저(40)는, 고압 엔진(20a)과펌프(30) 사이의 액화가스 공급라인(21) 상에 마련되며, 펌프(30)로부터 공급되는 액화가스를 가열한다. 베이퍼라이저(40)에 액화가스를 공급하는 펌프(30)는 고압펌프(32)일 수 있으며, 베이퍼라이저(40)는 과냉액체 상태 또는 초임계 상태의 액화가스를 고압펌프(32)에서 배출되는 압력인 200bar 내지 400bar를 유지하면서 가열시켜서, 30℃ 내지 60℃의 초임계 상태의 액화가스로 변환한 후 고압 엔진(20a)에 공급할 수 있다.
증발가스 압축기(50)는, 증발가스 공급라인(22)에 설치되며,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서 발생되어 배출되는 증발가스를 가압하여, 고압 엔진(20a)이나 저압 엔진(20b)으로 공급할 수 있다.
증발가스 압축기(50)는, 복수로 구비되어 증발가스를 다단 압축시킬 수 있다. 일례로 증발가스 압축기(50)는 5개가 구비되어 증발가스가 5단 압축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때 2단 압축된 증발가스는 저압 증발가스 공급라인(23)을 통해 저압 엔진(20b)에 공급될 수 있고, 5단 압축된 증발가스는 증발가스 공급라인(22)에 연결되는 액화가스 공급라인(21)을 통해 고압 엔진(20a)에 공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탱크 냉각시스템(200b)에서, 열전소자(210)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열전소자(210)의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어,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는데, 반드시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열전소자(210)가 제1 실시예의 열전소자(210)와 구성이 동일한 경우를 예로서 설명할 것이며, 이에 따라 여기서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인 제1방열장치(220)와 이로 인하여 달라지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제1방열장치(220)는, 열전소자(210)의 발열부(212) 상에 마련될 수 있으며, 액화가스 저장탱크(10)로부터 배출되는 액화가스를 직접 방식으로 이용하여 발열부(212)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방열장치(220)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와 고압펌프(32) 사이의 액화가스 공급라인(21) 일부분이 열전소자(210)의 발열부(212) 상으로 지나가도록 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액화가스 저장탱크(10)로부터 배출되는 액화가스는 부스팅펌프(31)에 의해 가압되어 온도가 다소 높아질 수 있으나 저장된 액화가스가 LNG인 경우 온도가 -163℃인 점을 고려할 때 여전히 극저온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극저온의 액화가스가 제1방열장치(220)를 통해 발열부(212)를 통과하면서 발열부(212)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함에 따라 발열부(212)의 온도가 낮아지고, 발열부(212)의 온도가 낮아질 수록 이에 비례하여 흡열부(211)의 온도 역시 더욱 낮아져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냉각 효율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열부(212)가 극저온의 액화가스에 의해 -50℃ 이하가 된다면 흡열부(211)는 이 온도보다 60℃정도 낮은 -110℃ 이하가 되어, 지지부(100)를 통해 액화가스 저장탱크(10)로 유입되는 열을 이론적으로 100% 차단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지지부(100)에 미치는 온도가 극저온 상태이므로, 지지부(100)를 일반 강재가 아닌 저온강으로 제작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탱크 냉각시스템(200b)에 연계되는 액화가스 연료공급 시스템(3)에서는 고압펌프(32)로 공급되는 액화가스가 발열부(212)에서 방출되는 열에 의해 예열될 수 있어, 고압펌프(32)의 구동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구비되는 탱크 냉각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탱크 냉각시스템(200c)은, 액화가스 연료공급 시스템(3)에 연계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전술한 제1 실시예의 탱크 냉각시스템(200a)에서 열전소자(210)에 더하여 제2방열장치(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액화가스 연료공급 시스템(3)은, 상기한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 여기서는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탱크 냉각시스템(200c)에서, 열전소자(210) 역시 상기한 제1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 바, 여기서는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다만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인 제2방열장치(230)와 이로 인하여 달라지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제2방열장치(230)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로부터 배출되는 액화가스를 간접 방식으로 이용하여 발열부(212)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으며, 제1순환라인(231), 제1순환펌프(232), 제1열교환기(233), 제1방열기(2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순환라인(231)은, 냉매를 순환시키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제1순환라인(231) 상에는 제1순환펌프(232), 제1열교환기(233), 제1방열기(234)가 마련될 수 있다.
제1순환펌프(232)는, 냉매가 제1열교환기(233)와 제1방열기(234) 사이를 순환할 수 있도록, 제1순환라인(231)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제1열교환기(233)는 제1순환라인(231)과 고압펌프(32) 상류의 액화가스 공급라인(21) 상에 마련될 수 있으며, 제1순환라인(231)을 순환하는 냉매를 액화가스 공급라인(21)을 통해 고압펌프(32)로 공급되는 극저온의 액화가스와 열교환시켜 냉매를 냉각시킬 수 있다.
제1방열기(234)는, 열전소자(210)의 발열부(212) 상에 마련될 수 있으며, 액화가스 저장탱크(10)로부터 배출되는 액화가스를 간접 방식으로 이용하여 발열부(212)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방열기(234)는, 제1열교환기(233)에서 냉각된 냉매가 순환하는 제1순환라인(231) 일부분이 열전소자(210)의 발열부(212) 상으로 지나가도록 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액화가스 저장탱크(10)로부터 배출되는 액화가스는 부스팅펌프(31)에 의해 가압되어 온도가 다소 높아질 수 있으나 저장된 액화가스가 LNG인 경우 온도가 -163℃인 점을 고려할 때 여전히 극저온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제1열교환기(233)에서 극저온의 액화가스에 의해 냉각된 냉매가 제1방열기(234)를 통해 발열부(212)를 통과하면서 발열부(212)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함에 따라 발열부(212)의 온도가 낮아지고, 발열부(212)의 온도가 낮아질 수록 이에 비례하여 흡열부(211)의 온도 역시 더욱 낮아져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냉각 효율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열부(212)가 극저온의 액화가스에 의해 -50℃ 이하가 된다면 흡열부(211)는 이 온도보다 60℃정도 낮은 -110℃ 이하가 되어, 지지부(100)를 통해 액화가스 저장탱크(10)로 유입되는 열을 이론적으로 100% 차단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지지부(100)에 미치는 온도가 극저온 상태이므로, 지지부(100)를 일반 강재가 아닌 저온강으로 제작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탱크 냉각시스템(200c)에 연계되는 액화가스 연료공급 시스템(3)에서는 고압펌프(32)로 공급되는 액화가스가 제1열교환기(233)에서 냉매의 온열과 열교환되어 예열될 수 있어, 고압펌프(32)의 구동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구비되는 탱크 냉각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탱크 냉각시스템(200d)은, 액화가스 연료공급 시스템(3)에 연계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전술한 제1 실시예의 탱크 냉각시스템(200a)에서 열전소자(210)에 더하여 제3방열장치(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액화가스 연료공급 시스템(3)은, 상기한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 여기서는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탱크 냉각시스템(200d)에서, 열전소자(210) 역시 상기한 제1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 바, 여기서는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다만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인 제3방열장치(240)와 이로 인하여 달라지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제3방열장치(240)는, 열전소자(210)의 발열부(212) 상에 마련될 수 있으며, 액화가스 저장탱크(10)로부터 배출되는 증발가스를 직접 방식으로 이용하여 발열부(212)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방열장치(240)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와 증발가스 압축기(50) 사이의 증발가스 공급라인(22) 일부분이 열전소자(210)의 발열부(212) 상으로 지나가도록 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액화가스가 LNG인 경우 LNG 저장탱크(10)로부터 배출되는 증발가스는 약 -100℃인 점을 고려할 때 여전히 극저온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극저온의 증발가스가 제3방열장치(240)를 통해 발열부(212)를 통과하면서 발열부(212)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함에 따라 발열부(212)의 온도가 낮아지고, 발열부(212)의 온도가 낮아질 수록 이에 비례하여 흡열부(211)의 온도 역시 더욱 낮아져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냉각 효율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열부(212)가 극저온의 증발가스에 의해 -50℃ 이하가 된다면 흡열부(211)는 이 온도보다 60℃정도 낮은 -110℃ 이하가 되어, 지지부(100)를 통해 액화가스 저장탱크(10)로 유입되는 열을 이론적으로 100% 차단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지지부(100)에 미치는 온도가 극저온 상태이므로, 지지부(100)를 일반 강재가 아닌 저온강으로 제작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탱크 냉각시스템(200d)에 연계되는 액화가스 연료공급 시스템(3)에서는 증발가스 압축기(50)로 공급되는 증발가스가 발열부(212)에서 방출되는 열에 의해 예열될 수 있어, 증발가스 압축기(50)의 구동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구비되는 탱크 냉각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탱크 냉각시스템(200e)은, 액화가스 연료공급 시스템(3)에 연계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전술한 제1 실시예의 탱크 냉각시스템(200a)에서 열전소자(210)에 더하여 제4방열장치(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액화가스 연료공급 시스템(3)은, 상기한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 여기서는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탱크 냉각시스템(200e)에서, 열전소자(210) 역시 상기한 제1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 바, 여기서는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다만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인 제4방열장치(250)와 이로 인하여 달라지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제4방열장치(250)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로부터 배출되는 증발가스를 간접 방식으로 이용하여 발열부(212)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으며, 제2순환라인(251), 제2순환펌프(252), 제2열교환기(253), 제2방열기(2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순환라인(251)은, 냉매를 순환시키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제2순환라인(251) 상에는 제2순환펌프(252), 제2열교환기(253), 제2방열기(254)가 마련될 수 있다.
제2순환펌프(252)는, 냉매가 제2열교환기(253)와 제2방열기(254) 사이를 순환할 수 있도록, 제2순환라인(251)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제2열교환기(253)는 제2순환라인(251)과 증발가스 압축기(50) 상류의 증발가스 공급라인(22) 상에 마련될 수 있으며, 제2순환라인(251)을 순환하는 냉매를 증발가스 공급라인(22)을 통해 증발가스 압축기(50)로 공급되는 극저온의 증발가스와 열교환시켜 냉매를 냉각시킬 수 있다.
제2방열기(254)는, 열전소자(210)의 발열부(212) 상에 마련될 수 있으며, 액화가스 저장탱크(10)로부터 배출되는 증발가스를 간접 방식으로 이용하여 발열부(212)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방열기(254)는, 제2열교환기(253)에서 냉각된 냉매가 순환하는 제2순환라인(251) 일부분이 열전소자(210)의 발열부(212) 상으로 지나가도록 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액화가스가 LNG인 경우 LNG 저장탱크(10)로부터 배출되는 증발가스는 약 -110℃인 점을 고려할 때 여전히 극저온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제2열교환기(253)에서 극저온의 증발가스에 의해 냉각된 냉매가 제2방열기(254)를 통해 발열부(212)를 통과하면서 발열부(212)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함에 따라 발열부(212)의 온도가 낮아지고, 발열부(212)의 온도가 낮아질 수록 이에 비례하여 흡열부(211)의 온도 역시 더욱 낮아져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냉각 효율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열부(212)가 극저온의 증발가스에 의해 -50℃ 이하가 된다면 흡열부(211)는 이 온도보다 60℃정도 낮은 -110℃ 이하가 되어, 지지부(100)를 통해 액화가스 저장탱크(10)로 유입되는 열을 이론적으로 100% 차단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지지부(100)에 미치는 온도가 극저온 상태이므로, 지지부(100)를 일반 강재가 아닌 저온강으로 제작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탱크 냉각시스템(200e)에 연계되는 액화가스 연료공급 시스템(3)에서는 증발가스 압축기(50)로 공급되는 증발가스가 제2열교환기(253)에서 냉매의 온열과 열교환되어 예열될 수 있어, 증발가스 압축기(50)의 구동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구비되는 재액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구비되는 재액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7 및 도 8의 액화기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7 및 도 8의 액화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 실시예 및 제7 실시예의 재액화 시스템(300)은, 액화가스 연료공급 시스템(3)에 연계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액화기(310), 감압밸브(3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액화가스 연료공급 시스템(3)은, 전술한 제2 실시예에서 설명된 구성에 더하여, 증발가스 회수라인(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증발가스 회수라인(24)은, 일단이 증발가스 공급라인(22) 상에서 복수 개의 증발가스 압축기(50) 사이에 연결되고, 타단이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 연결되어, 증발가스 압축기(50)로부터 회수되는 잉여 증발가스를 액화시켜 액화가스 저장탱크(10)로 복귀시키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5개의 증발가스 압축기(50)가 구비될 경우, 증발가스의 흐름을 기준으로 3번째 증발가스 압축기(50)의 하류에 증발가스 회수라인(24)이 연결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 실시예에 따른 재액화 시스템(300)의 액화기(310)는, 증발가스 압축기(50) 상류의 증발가스 공급라인(22)과 증발가스 회수라인(24) 상에 마련되어 증발가스 회수라인(24)을 통해 액화가스 저장탱크(10)로 복귀되는 잉여 증발가스를 재액화시킬 수 있다.
액화기(310)는, 흡열부(311a)와 발열부(311b)로 이루어지는 열전소자(311)와, 열전소자(311)의 발열부(311b) 측에 형성되며, 증발가스 압축기(50)로 공급되는 증발가스의 통로를 제공하는 제1통로(312)와, 열전소자(311)의 흡열부(311a) 측에 형성되며, 증발가스 압축기(50)로부터 토출되어 액화가스 저장탱크(10)로 복귀되는 잉여 증발가스의 통로를 제공하는 제2통로(3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액화기(310)는, 열전소자(311)의 발열부(311b)를 액화가스 저장탱크(10)로부터 배출되는 극저온의 증발가스로 냉각시킬 수 있고, 발열부(311b)를 냉각시킴에 따라 상대적으로 더욱 냉각되는 열전소자(311)의 흡열부(311a)의 냉각 온도를 이용하여 증발가스 압축기(50)로부터 토출되는 잉여 증발가스를 재액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열부(311b)가 극저온의 증발가스에 의해 -100℃로 된다면 흡열부(311a)는 이 온도보다 60℃정도 낮은 -160℃가 되어, 별도의 냉매나 증발가스 고압 압축 없이 잉여 증발가스의 재액화를 이론적으로 100%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재액화 시스템(300)에 연계되는 액화가스 연료공급 시스템(3)에서는 증발가스 압축기(50)로 공급되는 증발가스가 발열부(311b)에서 방출되는 열에 의해 예열될 수 있어, 증발가스 압축기(50)의 구동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7 실시예에 따른 재액화 시스템(300)의 액화기(310)는, 고압펌프(32) 상류의 액화가스 공급라인(21)과 증발가스 회수라인(24) 상에 마련되어 증발가스 회수라인(24)을 통해 액화가스 저장탱크(10)로 복귀되는 잉여 증발가스를 재액화시킬 수 있다.
액화기(310)는, 흡열부(311a)와 발열부(311b)로 이루어지는 열전소자(311)와, 열전소자(311)의 발열부(311b) 측에 형성되며, 고압펌프(32)로 공급되는 액화가스의 통로를 제공하는 제1통로(312)와, 열전소자(311)의 흡열부(311a) 측에 형성되며, 증발가스 압축기(50)로부터 토출되어 액화가스 저장탱크(10)로 복귀되는 잉여 증발가스의 통로를 제공하는 제2통로(3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액화기(310)는, 열전소자(311)의 발열부(311b)를 액화가스 저장탱크(10)로부터 배출되는 극저온의 액화가스로 냉각시킬 수 있고, 발열부(311b)를 냉각시킴에 따라 상대적으로 더욱 냉각되는 열전소자(311)의 흡열부(311a)의 냉각 온도를 이용하여 증발가스 압축기(50)로부터 토출되는 잉여 증발가스를 재액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열부(311b)가 극저온의 액화가스에 의해 -130℃로 된다면 흡열부(311a)는 이 온도보다 60℃정도 낮게 됨을 고려할 때 별도의 냉매나 증발가스 고압 압축 없이 잉여 증발가스의 재액화를 이론적으로 100%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재액화 시스템(300)에 연계되는 액화가스 연료공급 시스템(3)에서는 고압펌프(32)로 공급되는 액화가스가 발열부(311b)에서 방출되는 열에 의해 예열될 수 있어, 고압펌프(32)의 구동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제6 및 제7 실시예의 액화기(31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소자(311)가 환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환형의 열전소자(311)는, 흡열부(311a)가 중앙 측에 제2통로(313)를 갖는 내측 환형을 이루고, 발열부(311b)가 외측에 제1통로(312)를 갖는 외측 환형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제6 및 제7 실시예의 액화기(31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소자(311)가 기판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기판형의 열전소자(311)는, 제1통로(312)를 갖는 제1기판(314)과 제2통로(313)를 갖는 제2기판(315)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층간 사이에 설치되되, 발열부(311b)가 제1기판(314) 방향으로 배치되고, 흡열부(311a)가 제2기판(315)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감압밸브(320)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와 액화기(310) 사이의 증발가스 회수라인(24) 상에 마련될 수 있으며, 액화기(310)에서 냉각된 고압의 잉여 액화가스 또는 잉여 증발가스를 액화가스 저장탱크(10) 내부 압력과 유사한 압력이 되도록 감압할 수 있다. 이때, 감압밸브(320)는, 액화기(310)에서 액화되지 않고 잔류하는 증발가스를 액화시킬 수 있다.
감압밸브(320)는 줄-톰슨 효과를 이용하는 줄-톰슨 밸브(J-T Valve)일 수 있고, 물론 도면과 달리 감압밸브(320)를 대신하여 팽창기(도시하지 않음)를 마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실시예들의 조합 또는 상기 실시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공지 기술의 조합을 또 다른 실시예로서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열전소자(210)의 흡열부(211)가 액화가스 저장탱크(10)측으로 배치되고 열전소자(210)의 발열부(212)가 선체(2)측으로 배치되도록 액화가스 저장탱크(10)를 지지하는 지지부(100)에 탱크 냉각시스템(200a)을 구성함으로써,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지지부(100)를 통해 외부로부터 내부로 유입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로부터 배출되는 극저온의 액화가스 또는 증발가스를 직접 또는 간접 방식으로 이용하여 열전소자(210)의 발열부(212)에서 방출되는 열을 흡수하도록 탱크 냉각시스템(200b, 200c, 200d, 200e)을 구성함으로써, 열전소자(210)의 발열부(212)에서 방열 효율이 증가됨에 따라 열전소자(210)의 흡열부(211) 냉각 온도를 크게 낮출 수 있어,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냉각 효율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압펌프(32)로 공급되는 액화가스 또는 증발가스 압축기(50)로 공급되는 증발가스가 예열되어 고압펌프(32) 또는 증발가스 압축기(50)의 구동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열전소자(311)의 발열부(311b)를 액화가스 저장탱크(10)로부터 배출되는 극저온의 액화가스 또는 증발가스로 냉각시킴에 따라 상대적으로 더욱 냉각되는 열전소자(311)의 흡열부(311a)의 냉각 온도를 이용하여 증발가스 압축기(50)로부터 토출되는 잉여 증발가스를 재액화시키도록 재액화 시스템(300)을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냉매나 증발가스 고압 압축 없이 잉여 증발가스의 재액화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증발가스 압축기(50)로 공급되는 증발가스 또는 고압펌프(32)로 공급되는 액화가스가 예열되어, 증발가스 압축기(50)의 구동 능력 또는 고압펌프(32)의 구동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기술내용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예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조합 또는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용이하게 도출 가능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기술내용들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선박 2: 선체
3: 액화가스 연료공급 시스템 10: 액화가스 저장탱크
20: 엔진 20a: 고압 엔진
20b: 저압 엔진 21: 액화가스 공급라인
22: 증발가스 공급라인 23: 저압 증발가스 공급라인
24: 증발가스 회수라인 30: 펌프
31: 부스팅펌프 32: 고압펌프
40: 베이퍼라이저 50: 증발가스 압축기
100: 지지부 110: 설치구조물
120: 우드블록
200a, 200b, 200c, 200d, 200e: 탱크 냉각시스템
210: 열전소자 211: 흡열부
212: 발열부 220: 제1방열장치
230: 제2방열장치 231: 제1순환라인
232: 제1순환펌프 233: 제1열교환기
234: 제1방열기 240: 제3방열장치
250: 제4방열장치 251: 제2순환라인
252: 제2순환펌프 253: 제2열교환기
254: 제2방열기 300: 재액화 시스템
310: 액화기 311: 열전소자
311a: 흡열부 311b: 발열부
312: 제1통로 313: 제2통로
314: 제1기판 315: 제2기판
320: 감압밸브

Claims (6)

  1. 증발가스 압축기 상류의 증발가스 공급라인 또는 고압펌프 상류의 액화가스 공급라인과, 상기 증발가스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잉여 증발가스를 액화가스 저장탱크로 복귀시키는 증발가스 회수라인 상에 마련되어 상기 잉여 증발가스를 재액화시키는 액화기를 포함하고,
    상기 액화기는,
    열전소자의 발열부를 상기 증발가스 압축기로 공급되는 증발가스 또는 상기 고압펌프로 공급되는 액화가스로 냉각시키고, 상기 발열부를 냉각시킴에 따라 상대적으로 더욱 냉각되는 상기 열전소자의 흡열부의 냉각 온도를 이용하여 상기 증발가스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상기 잉여 증발가스를 재액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액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화기는,
    상기 흡열부와 상기 발열부로 이루어지는 상기 열전소자;
    상기 발열부 측에 형성되며, 상기 증발가스 압축기로 공급되는 상기 증발가스 또는 상기 고압펌프로 공급되는 상기 액화가스의 통로를 제공하는 제1통로; 및
    상기 흡열부 측에 형성되며, 상기 증발가스 압축기로부터 토출되어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로 복귀되는 상기 잉여 증발가스의 통로를 제공하는 제2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액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는,
    상기 흡열부가 중앙 측에 상기 제2통로를 갖는 내측 환형을 이루고, 상기 발열부가 외측에 상기 제1통로를 갖는 외측 환형을 이루는 환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액화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는,
    상기 제1통로를 갖는 제1기판과 상기 제2통로를 갖는 제2기판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층간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발열부가 상기 제1기판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흡열부가 상기 제2기판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기판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액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와 상기 액화기 사이의 상기 증발가스 회수라인 상에 마련되는 감압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액화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재액화 시스템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KR1020190041038A 2018-12-04 2019-04-08 탱크 냉각시스템, 재액화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KR1021205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54682 2018-12-04
KR1020180154682 2018-12-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0584B1 true KR102120584B1 (ko) 2020-06-09

Family

ID=7108252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1033A KR102192105B1 (ko) 2018-12-04 2019-04-08 탱크 냉각시스템, 재액화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KR1020190041038A KR102120584B1 (ko) 2018-12-04 2019-04-08 탱크 냉각시스템, 재액화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1033A KR102192105B1 (ko) 2018-12-04 2019-04-08 탱크 냉각시스템, 재액화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1921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8229A (ko) * 2021-10-22 2023-05-03 하이리움산업(주) 보일 오프 가스 저감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6450B1 (ko) * 2021-08-26 2023-08-14 한화오션 주식회사 선박용 엔진의 암모니아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561803B1 (ko) * 2021-10-07 2023-08-01 한화오션 주식회사 연료 공급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513985B1 (ko) * 2022-05-06 2023-03-24 에스탱크엔지니어링(주) 액화수소 저장탱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526B1 (ko) * 2006-12-01 2008-03-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저장 탱크
KR101276129B1 (ko) * 2011-10-24 2013-06-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화물창의 히팅시스템
JP2014104847A (ja) * 2012-11-27 2014-06-09 Mitsubishi Heavy Ind Ltd 低温液化燃料の冷熱利用装置
KR20170073077A (ko) * 2015-12-18 2017-06-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9325B1 (ko) * 2014-05-02 2016-03-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고정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526B1 (ko) * 2006-12-01 2008-03-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저장 탱크
KR101276129B1 (ko) * 2011-10-24 2013-06-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화물창의 히팅시스템
JP2014104847A (ja) * 2012-11-27 2014-06-09 Mitsubishi Heavy Ind Ltd 低温液化燃料の冷熱利用装置
KR20170073077A (ko) * 2015-12-18 2017-06-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8229A (ko) * 2021-10-22 2023-05-03 하이리움산업(주) 보일 오프 가스 저감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34827B1 (ko) * 2021-10-22 2024-02-08 하이리움산업(주) 보일 오프 가스 저감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2105B1 (ko) 2020-12-16
KR20200067710A (ko) 2020-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0584B1 (ko) 탱크 냉각시스템, 재액화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KR102179195B1 (ko) 가스 처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US11760462B2 (en) Boil-off gas re-liquefying device and method for ship
KR101258934B1 (ko) 선박
KR102132082B1 (ko) 증발가스 냉각 시스템 및 선박
JP6021430B2 (ja) 液体水素貯槽から発生するボイルオフガスの再液化方法
KR101326091B1 (ko) Lng 증발가스의 재액화 장치 및 방법
KR20200121934A (ko) 수소-액화가스 운반선
KR20160086554A (ko) 재액화 시스템
KR20110118988A (ko) 재액화 전력 소비량을 절감하기 위한 증발가스 처리장치 및 방법
KR101224924B1 (ko) 선박
KR101681715B1 (ko) 선박용 엔진의 연료공급 시스템 및 방법
KR100885796B1 (ko) 증발가스 재액화 장치
KR20150061276A (ko) 초전도 냉각시스템
KR101623092B1 (ko) 냉열발전을 이용한 증발가스 재액화 방법 및 장치
KR101224931B1 (ko) 선박
KR102189807B1 (ko) 증발가스 처리장치
KR101996285B1 (ko) 증발가스 재액화 시스템 및 방법
KR102211433B1 (ko)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75199A (ko) 선박의 연료공급시스템 및 방법
KR102512996B1 (ko) 액화수소 증발가스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183944B1 (ko)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71760B1 (ko) 선박의 연료공급시스템 및 방법
KR102176544B1 (ko) 선박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75259B1 (ko)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액화가스 운반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