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0484B1 - 재난 임시용 에너지 독립형 가변주택 - Google Patents

재난 임시용 에너지 독립형 가변주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0484B1
KR102120484B1 KR1020180155413A KR20180155413A KR102120484B1 KR 102120484 B1 KR102120484 B1 KR 102120484B1 KR 1020180155413 A KR1020180155413 A KR 1020180155413A KR 20180155413 A KR20180155413 A KR 20180155413A KR 102120484 B1 KR102120484 B1 KR 102120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wall
roof
closing
insul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5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9421A (ko
Inventor
강태영
Original Assignee
(주)비에이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에이에너지 filed Critical (주)비에이에너지
Publication of KR20200049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9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0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0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4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with hinged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36Structures movable as a whole, e.g. mobile home structures
    • E04B1/34357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non-metallic or unspecified sheet-materi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재지변 및 자연재해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이재민이 임시로 생활할 수 있는 주택을 마련함에 있어 신속하게 제작 공급함과 동시에 실외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내부의 단열 효율을 향상시키며, 자연에너지를 이용 발전시켜 사용함으로써 전기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도록 한 재난 임시용 에너지 독립형 가변주택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전·후면패널(10,10')의 사이에 내부단열층(30)이 형성되고, 상기 전·후면패널 중 일 측의 패널 외부에는 외부단열층(40)을 형성시켜 된 단열패널(P)을 이용하여 지붕과 4각의 외벽(51)을 형성하고, 바닥면에는 난방시설을 설치되며, 외벽의 일 측에는 출입문(52)을 설치되고, 그 출입문의 반대 측 외벽에는 외부를 볼 수 있는 개폐 창(53)을 설치되며 외벽의 일 측에는 투시 창(54)을 설치하여 된 주택 본체(50)가 마련되고, 상기 주택본체의 바닥면 하부에는 일측 외부로 입·출되는 데크(70)가 설치되고, 상기 데크의 상부 지붕의 상단에는 상부 표면에 태양전지판(61)이 설치된 보조지붕(60)이 절첩수단(62)에 의해 외벽 측으로 절첩되게 설치되며, 상기 개폐 창(53)이 설치되는 외벽(51)에는 그 외벽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개폐 창을 개폐시키는 보조개폐문(80)이 설치되고, 상기 지붕에는 각도조절수단(90)에 의해 각도 조절되는 태양전지판(100)을 설치하여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재난 임시용 에너지 독립형 가변주택{Energy stand-alone variableness house for disaster temporarily}
본 발명은 천재지변 및 자연재해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이재민이 임시로 생활할 수 있는 주택을 마련함에 있어 신속하게 제작 공급함과 동시에 실외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내부의 단열 효율을 향상시키며, 자연에너지를 이용 발전시켜 사용함으로써 전기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도록 한 재난 임시용 에너지 독립형 가변주택에 관한 것이다.
태풍, 폭우, 집중호우 등에 의한 산사태, 폭설, 지진, 해일, 화재, 각종 전염병 등의 갑작스러운 천재지변 및 자연재해로 인해 불가피하게 이재민이 발생되는 사건이 비일비재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로 인해 이재민들이 거주하고 있던 주택이 파손, 붕괴 또는 상실 및 소실되어서 이재민들이 오갈데가 없이 공공기관에서 제공하는 관공서나 학교 교실 및 체육관 등의 안전한 공공시설물에 집단생활을 할 수 없는 상황에 놓여 있고, 이러한 이재민의 임시대피 상황이 언제 끝날지 기약이 없으며, 재해 전 주택의 복구가 끝날 때까지 마냥 지루하게 기다리게 되는 상황으로 이재민의 정신적 피해뿐만 아니라 육체적 피해도 가해져 이재민의 심신이 지쳐가는 현상이 자연재해가 발생할 때 마다 반복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러한 이재민의 장기간의 집단생활로 인해 이재민의 사생활이 노출되고 있고, 노약자 및 어린이 등의 이재민이 전염병 등에 의해 2차 재해에 노출될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의 불편함이 가중되고 있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의 기술에서 임시적으로 텐트를 제공하여 해당 가족끼리 기거할 수는 있으나, 그 텐트가 소형이면서 수면만을 제공하는 것이어서 이재민의 생활이 불편하고, 또한 정해진 공간을 공동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타 이재민의 소음으로 인해 충분한 수면을 취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서 이재민을 위하여 가설주택을 건설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가설주택을 건설하는데 전문인력의 동원과 더불어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고 있고, 수 백명, 수 천명, 수 만명의 이재민이 동시에 많이 한꺼번에 발생될 경우 건축장소와 더불어 이재민을 모두 수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으며, 많은 가설주택을 공급한다고 하더라도, 재해전으로 주택복구가 완료될 경우 상기 가설주택의 재활용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폐기되는 상황으로 비용낭비가 심한 실정이다.
또한, 이재민의 임시 대피소로 상기와 같은 텐트 및 가설주택은 급수시설과 세면시설, 주방시설을 갖추지 못하고, 관공서의 공동시설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재민에게 많은 불편을 줄 뿐만 아니라, 숙박 및 거주에 있어서도 냉난방 등의 불편한 문제와 더불어 TV 및 인터넷 등이 제공되지 아니하여 이재민에게 많은 불편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이뿐만 아니라, 관공서나 학교시설 및 가설주택이나 텐트 등의 임시 대피장소의 바닥에 간단한 스티로폼이나 모포 등을 활용하기 때문에 충분한 수면을 취하지 못하고, 또한 텐트를 이용하여 긴급 대피를 위해 집단생활을 하고 있어서 이재민의 냉난방 등이 어려워 긴급대피생활의 불편함이 그대로 노출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청년 등의 창업을 하고자 할 때, 초기 창업비용을 절감을 하기 위해 컨테이너 등에서 사무실 및 주거공간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냉난방 설비가 갖추어 지지 아니하여 겨울에 화재사고, 하절기에 선풍기 등의 전기과열로 화재가 발생하여 인명피해로 이어지고 있다.
또한, 휴양지의 펜션 등에서 집중호우로 인해 긴급 재난상황이 발생될 경우 그 긴급상황을 휴양객이 전달 받지못해 인명피해의 사고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서 접이식 재난 구호주택은 단순히 접혀져서 부피를 감소하고 운송 및 보관이 용이하게 한다는 것만 제공될 뿐, 이재민의 주거생활공간의 편의성을 제공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서 임시주택은 태양열집열판에 의해 난방으로 활용과 더불어 내부공간을 복층으로 활용하긴 하나, 급수 및 세면, 데크, 인터넷 등의 정주공간 및 긴급안내방송 등의 기타 편의시설이 없어 이재민이 여전히 불편하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서 임시주택의 태양광 발전장치에서 지붕을 태양전지판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태양전지판, 축전지 및 인버터 등의 일체화와, 태양열을 이용한 실내난방, 상기 태양전지판이 계절별 고도 및 시간별 위치에 따라 좌우측 및 전후측으로 가변 되도록 되어 있을 뿐, 급수 및 세면, 데크, 인터넷 등의 정주공간 및 긴급안내방송 등의 기타 편의시설이 없어 이재민이 여전히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서 벽촌에 물공급이 어려운 장소에 물탱크가 부설된 이동식 간이주택은 물탱크를 장착하여 물은 공급할 수 있으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데크, 인터넷 등의 정주공간 및 긴급안내방송 등의 기타 편의시설이 없어 이재민이 여전히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서 캠핑트레일러을 이용하여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이동식 펜션은 가족이나 친지와 함께 강이나 산, 바닷가 등에 자연공간에서 시간을 보내기 위해 프레임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그리고 지면의 고정과 견인을 안전성 있게 한다는 것일 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급수 및 세면, 데크, 인터넷 등의 정주공간 및 긴급 안내방송 등의 기타 편의시설이 없어 이재민이 여전히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서, 임시주택은 도로의 폭과 높이를 감안하여 상기 임시주택에 바퀴를 장착하여서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하고, 조립이 용이하게 하여 설치시간이 단축되는 것만 개시되어 있을 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냉난방, 인터넷 등의 정주공간 및 긴급안내방송 등의 기타 편의시설이 없어 이재민이 여전히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서 임시주택의 상하수도 시스템은 급수와 생활 하수만을 처리하고 있을 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냉난방 및 세면, 데크, 인터넷 등의 정주공간 및 긴급안내방송 등의 기타 편의시설이 없어 이재민이 여전히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여름철에 태풍, 폭우, 집중호우 등에 의한 산사태, 겨울철의 폭설, 지진, 해일, 화재, 각종 전염병 등의 갑작스러운 천재지변 및 자연재해로 인해 재해 전의 주택이 복구될 때까지 이재민의 장기간 주거공간으로 편안하면서 안정된 주거생활을 할 수 있는 재난 긴급 구호주택의 개발 및 보급이 시급한 실정임은 물론, 전기를 자연에너지를 이용하여 사용하고. 단열이 이루어지는 벽체구조의 구조가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616520호(2016. 4. 28)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56470호(2011. 8. 1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7-0015693호(2007. 2. 6)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첫째, 천재지변 및 자연재해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이재민이 임시로 생활할 수 있는 임시주택을 신속하게 제작 공급할 수 있고,
둘째, 이재민이 임시로 생활함에 있어 실외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함은 물론, 내부의 단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셋째, 이재민이 임시로 생활함에 있어 필수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전기를 자연에너지를 이용 발전시켜 사용함으로써 전기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도록 한 재난 임시용 에너지 독립형 가변주택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구성은,
전·후면패널(10,10')의 사이에 내부단열층(30)이 형성되고, 상기 전·후면패널 중 일 측의 패널 외부에는 외부단열층(40)을 형성시켜 된 단열패널(P)을 이용하여 지붕과 4각의 외벽(51)을 형성하고, 바닥면에는 난방시설을 설치되며, 외벽의 일 측에는 출입문(52)을 설치되고, 그 출입문의 반대 측 외벽에는 외부를 볼 수 있는 개폐 창(53)을 설치되며 외벽의 일 측에는 투시 창(54)을 설치하여 된 주택 본체(50)가 마련되며, 상기 주택 본체의 바닥면 하부에는 일측 외부로 입·출되는 데크(70)가 설치되고, 상기 데크의 상부 지붕의 상단에는 상부 표면에 태양전지판(61)이 설치된 보조지붕(60)이 회동부재(62a)와 유압 또는 에어실린더(62b) 중 어느 하나인 절첩수단(62)에 의해 외벽 측으로 절첩되게 설치되며, 상기 개폐 창(53)이 설치되는 외벽(51)에는 그 외벽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개폐 창을 개폐시키는 보조개폐문(80)이 설치하되, 그 보조개폐문(80)은, 상기 개폐 창(53)의 상부 외벽(51)의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개폐문의 상부에는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휠이 복수 개 설치되며, 상기 외벽(51)의 양측에는 보조개폐문이 열린 후 그 열린 보조개폐문을 수용하는 개폐문수용공간(82)이 형성되고, 그 개폐문수용공간의 외부 표면에는 태양전지판(83)이 태양전지판(83)이 설치되며, 상기 보조개폐문(80)을 닫은 후에는 그 닫은 보조개폐문을 잠금 할 수 있는 락킹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지붕에는 각도조절수단(90)에 의해 각도 조절되는 태양전지판(100)을 설치하여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재난 임시용 에너지 독립형 가변주택은, 상기 목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천재지변 및 자연재해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이재민이 임시로 생활할 수 있는 주택을 신속하게 제작 공급할 수 있고, 또 이재민이 임시로 생활함에 있어 실외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함은 물론, 내부의 단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재민이 임시로 생활함에 있어 필수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전기를 자연에너지를 이용 발전시켜 사용함으로써 전기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재난 임시용 에너지 독립형 가변주택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재난 임시용 에너지 독립형 가변주택 사용상태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재난 임시용 에너지 독립형 가변주택 사용하지 않을 때의 정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재난 임시용 에너지 독립형 가변주택 사용하지 않을 때의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지붕에 설치되는 태양전지판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재난 임시용 에너지 독립형 가변주택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재난 임시용 에너지 독립형 가변주택에 사용되는 패널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재난 임시용 에너지 독립형 가변주택에 사용되는 패널의 외부단열층을 나타낸 구성도.
본 발명은 천재지변 및 자연재해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이재민이 임시로 생활할 수 있는 주택을 마련함에 있어 신속하게 제작 공급함과 동시에 실외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내부의 단열 효율을 향상시키며, 자연에너지를 이용 발전시켜 사용함으로써 전기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도록 한 재난 임시용 에너지 독립형 가변주택에 관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 아 래 -
본 발명의 주택 본체(50)는, 전·후면패널(10,10')의 사이에 내부단열층(30)이 형성되고, 상기 전·후면패널 중 일 측의 패널 외부에는 외부단열층(40)을 형성시켜 된 단열패널(P)을 이용하여 지붕과 4각의 외벽(51)을 형성하고, 바닥면에는 난방시설을 설치되며, 외벽의 일 측에는 출입문(52)을 설치되고, 그 출입문의 반대 측 외벽에는 외부를 볼 수 있는 개폐 창(53)을 설치하여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후면패널(10,10') 양측 사이에 상호 간 이격 간격을 두고 구조목(20)이 고정 배치되고, 상기 각 구조목(20)과의 사이 공간에 내부단열층(30)을 형성하는 단열패널(P)을 마련한다.
상기의 전·후면패널(10,10')의 재질은, 금속재, 합성수지재 또는 목재의 합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는데 바람직하게는 목재의 합판이 좋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전·후면패널(10,10')을 전·후면합판으로 하여 설명한다.
상기 내부단열층(30)은 질석과 무발포우레탄이 혼합 충진되고, 상기 질석은 상기 무발포우레탄이 질석과 반응열에 의해 용융되어 무발포우레탄에 해당하는 기공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전·후면패널(10,10')의 외면에는 외부단열층(40)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 전처리 작업이 불필요하여 간단한 작업시공은 물론, 공기 단축과 그에 따른 비용절감을 실현할 수 있고, 질석과 무발포우레탄을 충전하여 제작함으로써, 가볍고 내구성이 뛰어나면서도 비틀림이나 변형 등에 대하여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물리적 강성이 충분히 확보된다.
전·후면합판(10,10')은 목재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 종래의 합성수지 또는 철재로 이루어진 패널에 비해 친 환경적이다
상기 구조목(20)은 전·후면합판(10,10') 사이에 고정 배치되어 보강 골조를 이룰 수 있는데, 그 개수와 두께, 강도 정도는 설치 대상장소의 여건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목(20)은 목재로 이루어지는게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스틸, 알루미늄, 함성수지 등과 같은 다른 재질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전·후면합판은 그 종류가 다양한데, 예컨대 OSB(oriented strand board)합판, MDF(medium density fiberboard)합판 및 파티클보드(particle board)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MDF합판은 중밀도 섬유판으로써, 목질 재료를 원료로 하여 얻는 목섬유를 접착제와 함께 고온, 고압으로 압착 성형한 판재로, 3 - 30mm 두께로 주로 생산한다. 조직이 치밀하고 균일한 특성이 있으며, 기계 가공성과 강도가 우수하므로 일반 목재를 대신하여 가구, 스피커 외관, 탁구대 등의 재료로 널리 이용된다.
상기 파티클보드는 원목으로 목재를 생산하고 남은 폐 잔재를 부수어 작은 조각으로 만들고 접착제를 섞어 고온 고압으로 압착시켜서 만든 가공재 원목이 가지는 단점을 보완할 수 있으며, 원목의 가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 잔재를 재활용한다는 측면에서 효율적이고 경제적이다.
한편, 본 발명의 외벽을 형성하는 패널(P)은, 바람직하게는 OSB합판을 사용하는게 합리적인데, 이는 상기 OSB합판은 손가락 두 개 정도 크기의 나무 입자를 방수성 수지와 함께 압착하여 만든 인공 판재로써, 강도와 안정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내부단열층(30)은 질석과 무발포우레탄이 혼합 충진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질석과 무발포우레탄의 바람직한 혼합비율은, 중량%로 질석 40 - 60 : 무발포우레탄 40-60이나, 질석의 입경크기 등에 따라 상기 무발포우레탄과의 혼합비율은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질석은 다공질 형태로써, 주요 특징으로는 불에 잘 타지 않으며(약 1,400℃까지 견딜 수 있음), 소리를 흡수하여 흡음재 역할도 한다. 또한, 유해오염물질인 포름알데히드(HCHO), 휘발성유기화합물질(TVOC)을 방출하지 않아 친환경적이고, 토지개량제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건축폐기물이 나오지 않는다. 또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경량의 패널제작이 가능하다.
상기 질석을 이루는 화학성분에 대해 살펴보면, 이산화규소(SiO2) 39.5%, 산화알루미늄(Al2O3) 12%, 삼산화이철(Fe2O3) 7%, 이산화티타늄(TiO2) 1%, 산화마그네슘(MgO) 23%, 산화칼슘(CaO) 1.5%, 산화칼륨(K2O) 2%, 잔부가 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물리적 특성은 비중이 0.07 - 0.18, pH 4.5 - 7.5, 전기전도도 0.05 - 0.14, 보습력 65 - 68%, 흡수율 285 - 368%, 통기성 62.8 - 72.8%이고, 색상은 주로 밤색, 은색이며, 입도는 10mm 미만이다.
상기 무발포우레탄은 700 - 800℃ 불연성능을 갖으며, 현재 시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접착제는 무기질접착제가 사용되나, 본 발명에서는 무발포우레탄을 충진함으로써 질석과 합판을 접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무발포우레탄은 고체화시킴으로써 강도, 내화,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발생하며, 앞서 설명한 질석과 무발포우레탄을 먼저 혼합한 다음 충진하거나 또는 질석 충진 후 무발포우레탄을 충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발포우레탄은 '레진(resin)'이라고도 불리며, 높은 경도와 우수한 내구성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특성을 지닌 질석과 무발포우레탄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질석은 무발포우레탄이 질석과 반응열에 의해 용융되어 무발포우레탄에 해당하는 기공을 갖도록 형성되며, 이로써, 가볍고 내구성이 뛰어나면서도 비틀림이나 변형 등에 대하여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물리적 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질석과 무발포우레탄은 통상의 충진 방법을 이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압출로를 통한 충진 방법 등으로 상기 질석과 무발포우레탄을 충진할 수 있다.
상기 전·후면합판(10,10')의 일측 외면에는 외부단열층(40)이 형성된다.
상기 외부단열층(4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후면합판(10,10')의 외면에 부착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최하부에 마련되는 제1알루미늄 은박시트(42)와, 상기 제1알루미늄 은박시트(42)의 상부에 적층되는 폴리에틸렌 수지시트(44)와,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시트(44)의 상부에 적층되는 부직포 시트(46)와, 상기 부직포시트(46)의 상부에 적층되는 제2알루미늄 은박시트(48)와, 상기 제2알루미늄 은박시트(48)의 상부에 적층되는 알루미늄 코팅시트(49)가 라미네이팅 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알루미늄 은박시트(42)는 단열재 접합층(40)의 최하부에 배치되어 주로 복사열 차단, 방음, 난연 및 표면 강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1알루미늄 은박시트(42)의 상부에 적층되는 폴리에틸렌 수지시트(44)는 단열(전도열 차단), 난연, 방음, 방습 및 방전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시트(44)의 상부에 적층되는 부직포시트(46)는 방습 기능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부직포시트(46)의 상부에 적층되는 제2알루미늄 은박시트(48)는 상기 단열재 접합층(40)의 최하부에 배치되는 제1알루미늄 은박시트(42)와 마찬가지로 복사열 차단, 방음, 난연 및 표면 강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2알루미늄 은박시트(48)의 상부에 적층되는 알루미늄 코팅시트(49)는 알루미늄의 박판 보호 및 저방사율을 강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외부단열층(40)은 부피와 무게가 줄어 간편하고 그에 따라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탁월한 단열효과로 인해 냉·난방비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장점을 갖는 본 발명의 패널(P)을 이용하여 지붕과 4각의 외벽(51)이 형성하고, 외벽의 일측에는 출입문(52)이 설치되며, 그 출입문(52)의 반대측 외벽에는 외부를 볼 수 있는 개폐 창(53)을 설치되며 외벽의 일측에는 투시창(54)이 설치된다.
상기의 구성에서 출입문(52)은 본 발명의 재난 임시용 에너지 독립형 가변주택의 실내·외를 입·출하는 곳이고, 개폐 창(53)은 실내·외를 입·출 함은 물론, 실내에서 실외를 볼 수 있도록 한 것이며, 개폐 창(53)은 실내로 햇빛이 들어오도록 함과 동시에 실내에서 실외를 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주택본체(50)의 바닥면 하부에는 일측 외부로 입·출되는 데크(70)가 설치되고, 상기 데크(70)의 상부 지붕의 상단에는 상부 표면에 태양전지판(61)이 설치된 보조지붕(60)이 절첩수단(62)에 의해 외벽 측으로 접첩되게 설치된다.
상기 데크(70)를 주택본체(50)의 바닥면 하부에서 외부로 입·출되게 설치시킨 이유는, 사용할 때는 인출하여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주택본체(50)의 바닥면 하부로 밀러 넣어 보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테크(70)의 주된 용도는, 실외에서 휴식을 취하고자 할 때에 사용하는 용도로써 그 외에도 실외에서 간단한 음식을 조리하거나 또는 고기 등을 구어 먹을 때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조지붕(60)을 설치하는 이유는, 테크(70)를 사용할 때에 햇빛을 막을 수 있고 또 우천시 비로부터 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테크(70)는 기계적인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입·출할 수 있도록 설치할 수도 있고, 수동으로 입·출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단 상기 테크(70)의 하부에는 지면에 지지될 수 있는 지지수단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보조지붕(60)에 태양전지판(61)을 설치한 이유는,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발전시켜 사용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보조지붕(60)은 절첩수단(62)에 의해 외벽 측으로 접첩되게 설치되는데, 상기 절첩수단(62)은, 상기 지붕의 상단과 상기 보조지붕(60)의 단부 사이에 회동부재(62a)가 설치되고, 상기 보조지붕(60)이 설치되는 외벽(51)의 양측단에는 상기 보조지붕(60)의 앙측단과 연결 설치되는 유압 또는 에어실린더(62b) 중 어느 하나를 설치하여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보조지붕(60)을 외벽 측으로 접게 되면 외벽의 층이 두꺼워 지면서 단열의 효과가 발휘됨은 물론, 방음의 효과가 이루게 되는 것이다.
상기 유압 또는 에어실린더(62b)를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 또는 에어공급장치는 별도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보조개폐문(80)은 상기 개폐 창(53)이 설치되는 외벽(51)에 그 외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개폐 창(53)을 필요에 따라 개폐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낮에는 보조개폐문(80)을 열고 개폐 창(53)을 활용하며, 밤에는 보조개폐문(80)을 닫고 외부와 차단함으로써 단열을 물론, 외부 침입자를 막을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조개폐문(80)은 닫은 후 잠금 할 수 있는 락킹수단(도면 미도시)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보조개폐문(80)은, 상기 개폐 창(53)의 상부 외벽(51)의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개폐문(80)의 상부에는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휠이 복수 개 설치되어 있음으로 개폐가 원활하고 자유롭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보조개폐문(80)은 자동으로 개폐되거나 수동으로 개폐되게 구성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벽(51)의 양측에는 보조개폐문(80)이 열린 후 그 열린 보조개폐문(80)을 수용하는 개폐문수용공간(82)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문수용공간(82)의 외부 표면에는 태양전지판(83)이 설치되어 자연에너지를 발전하여 전기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상기 지붕에는 각도조절수단(90)에 의해 각도 조절되는 태양전지판(100)이 설치되는데, 그 이유는, 태양에너지를 발전하여 본 발명의 재난 임시용 에너지 독립형 가변주택에서 사용되는 전기를 사용하고자 하기 위함이며, 상기 태양전지판(61,100)에서 발전되는 전기에너지가 부족할 때에는 발전기 또는 외부전기(이하 "외부전기"라 함)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자동으로 태양전지판(61,100)에서 발전되는 전기에너지가 부족할 때에는 외부전기로 자동 변환되어 사용하도록 시스템을 설치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태양전지판(100)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90)은 태양전지판(100)의 이면에 설치되는 지지패널에 다단계로 받침 턱(91)이 형성되고 상기 지붕에는 상기 받침 턱(91)에 끼워지는 지지봉(92)을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그 지지봉(91)을 상기 받침 턱(91)에 끼워 결합하는 위치에 따라 태양전지판(100)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재난 임시용 에너지 독립형 가변주택은, 상기 효과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천재지변 및 자연재해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이재민이 임시로 생활할 수 있는 주택을 신속하게 제작 공급할 수 있고, 또 이재민이 임시로 생활함에 있어 실외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함은 물론, 내부의 단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재민이 임시로 생활함에 있어 필수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전기를 자연에너지를 이용 발전시켜 사용함으로써 전기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10' : 전·후면 합판 20 : 구조목
30 : 내부단열층 40 : 외부단열층
50 : 주택본체 51 : 외벽
52 : 출입문 53 : 개폐 창
54 : 투시 창 60 : 보조지붕
61 : 태양전지판 62 : 절첩수단
70 : 데크 80 : 보조개폐문
82 : 개폐문수용공간 83 : 태양전지판
90 : 각도조절수단 100 : 태양전지판

Claims (7)

  1. 전·후면패널(10,10')의 사이에 내부단열층(30)이 형성되고, 상기 전·후면패널 중 일 측의 패널 외부에는 외부단열층(40)을 형성시켜 된 단열패널(P)을 이용하여 지붕과 4각의 외벽(51)을 형성하고, 바닥면에는 난방시설을 설치되며, 외벽의 일 측에는 출입문(52)을 설치되고, 그 출입문의 반대 측 외벽에는 외부를 볼 수 있는 개폐 창(53)을 설치되며 외벽의 일 측에는 투시 창(54)을 설치하여 된 주택 본체(50)가 마련되며, 상기 주택 본체의 바닥면 하부에는 일측 외부로 입·출되는 데크(70)가 설치되고, 상기 데크의 상부 지붕의 상단에는 상부 표면에 태양전지판(61)이 설치된 보조지붕(60)이 회동부재(62a)와 유압 또는 에어실린더(62b) 중 어느 하나인 절첩수단(62)에 의해 외벽 측으로 절첩되게 설치되며, 상기 개폐 창(53)이 설치되는 외벽(51)에는 그 외벽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개폐 창을 개폐시키는 보조개폐문(80)이 설치하되, 그 보조개폐문(80)은, 상기 개폐 창(53)의 상부 외벽(51)의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개폐문의 상부에는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휠이 복수 개 설치되며, 상기 외벽(51)의 양측에는 보조개폐문이 열린 후 그 열린 보조개폐문을 수용하는 개폐문수용공간(82)이 형성되고, 그 개폐문수용공간의 외부 표면에는 태양전지판(83)이 태양전지판(83)이 설치되며, 상기 보조개폐문(80)을 닫은 후에는 그 닫은 보조개폐문을 잠금 할 수 있는 락킹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지붕에는 각도조절수단(90)에 의해 각도 조절되는 태양전지판(100)을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임시용 에너지 독립형 가변주택.
  2. 제1항에 있어서,
    전·후면패널(10,10')은 OSB(oriented strand board)합판, MDF(medium density fiberboard)합판 및 파티클보드(particle board)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상기 내부단열층(30)은 질석과 무발포우레탄이 혼합 충진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임시용 에너지 독립형 가변주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단열층(30)을 형성하는 질석과 무발포우레탄의 혼합비율은, 중량%로 질석 40-60 : 무발포우레탄 40-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임시용 에너지 독립형 가변주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단열층(40)은, 제1알루미늄 은박시트(42)와, 그 제1알루미늄 은박 시트의 상부에 적층되는 폴리에틸렌 수지시트(44)와, 그 폴리에틸렌 수지시트(44)의 상부에 적층되는 부직포시트(46)와, 그 부직포시트(46)의 상부에 적층되는 제2알루미늄 은박시트(48)와, 그 제2알루미늄 은박시트(48)의 상부에 적층되는 알루미늄 코팅시트(49)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임시용 에너지 독립형 가변주택.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155413A 2018-10-31 2018-12-05 재난 임시용 에너지 독립형 가변주택 KR1021204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566 2018-10-31
KR20180131566 2018-10-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421A KR20200049421A (ko) 2020-05-08
KR102120484B1 true KR102120484B1 (ko) 2020-06-09

Family

ID=70677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5413A KR102120484B1 (ko) 2018-10-31 2018-12-05 재난 임시용 에너지 독립형 가변주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04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0581B1 (ko) * 2022-10-14 2023-11-08 천봉국 태양광 컨테이너 장치
KR20240056206A (ko) 2022-10-21 2024-04-30 김태경 순환 난방구조를 갖는 이동식 재난주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8084B1 (ko) 2020-10-29 2023-03-08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임시구호 대피소
CN115095028A (zh) * 2022-07-14 2022-09-23 山东东珠新型房屋科技有限公司 智能化移动房屋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574Y1 (ko) * 2006-05-29 2006-08-08 주식회사 세영폴리머 건축용 반사 단열재
JP2011513608A (ja) * 2008-02-29 2011-04-28 アペール,ジャン−ピエール 住宅ユニットモジュール及び対応する住宅ユニット
KR101845211B1 (ko) * 2018-01-10 2018-05-18 김선 재난 긴급 구호주택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230B1 (ko) 2005-08-01 2008-01-07 강영식 이동식 주택의 태양광 발전장치
KR20090092098A (ko) * 2008-02-26 2009-08-31 (주)현대후렘 가판대
KR101091392B1 (ko) * 2008-10-24 2011-12-07 이상문 친환경공법의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가구별 테라스를 구비한 공동주택 구조
KR101056470B1 (ko) 2011-04-26 2011-08-11 진우건철(주) 태양열집열판이 구비된 이동식 주택
KR20130110285A (ko) * 2012-03-29 2013-10-10 (주)엘지하우시스 건식 일체형 단열 벽체
KR101616520B1 (ko) 2015-01-22 2016-04-28 유혜진 접이식 재난 구호 주택
KR101753489B1 (ko) * 2015-11-16 2017-07-04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용 바닥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574Y1 (ko) * 2006-05-29 2006-08-08 주식회사 세영폴리머 건축용 반사 단열재
JP2011513608A (ja) * 2008-02-29 2011-04-28 アペール,ジャン−ピエール 住宅ユニットモジュール及び対応する住宅ユニット
KR101845211B1 (ko) * 2018-01-10 2018-05-18 김선 재난 긴급 구호주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0581B1 (ko) * 2022-10-14 2023-11-08 천봉국 태양광 컨테이너 장치
KR20240056206A (ko) 2022-10-21 2024-04-30 김태경 순환 난방구조를 갖는 이동식 재난주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421A (ko) 202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0484B1 (ko) 재난 임시용 에너지 독립형 가변주택
KR101873706B1 (ko) 재난 긴급 구호주택
KR101845211B1 (ko) 재난 긴급 구호주택
KR101980490B1 (ko) 재난 긴급 구호주택
Cambiaso et al. Innovative Timber Construction: Sustainability and Gigh Performance Building Skin
CN205134990U (zh) 一种智能多用途节能环保型集装箱
CN207583207U (zh) 一种遮阳一体化门窗结构
CN215803477U (zh) 一种钢木结合的可移动房屋
Zaborova et al. Engineering solutions for the social housing, integrated into urban environment
US11873651B2 (en) Sustainable net zero modular building and assembly method
CN206486985U (zh) 一种便于快捷施工的集成房屋
DE102010049122A1 (de) Schutz- und Notraum für den Einsatz in Krisen- und Katastrophengebieten
JP2018040105A (ja) パイプ状発泡断熱材
CN204941026U (zh) 一种藏区帐篷
US11976485B2 (en) System for self-sustaining modular housing
DE10300656B3 (de) Mobile Wohneinheit
CN2191263Y (zh) 多功能轻体实芯门
CN201137267Y (zh) 无机复合轻质保温板
CN201874260U (zh) 应急屋
Wheeler Design workshop: Garage to granny flat
DE202012000779U1 (de) Energieeffiziente Gebäudehülle mit Innendämmung und Strahlungswärme
CN108930417A (zh) 一种多功能复合型赈灾活动板房
Neculai et al. GREEN CORE HOUSE
CN205577116U (zh) 一种车载式移动房屋
Hamm Multi-Functional Building Envelopes: Key Properties, State-of-the-Art Technologies and Visions for the Fu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