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0155B1 - 모바일 융합형 3dtv 방송 송수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융합형 3dtv 방송 송수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0155B1
KR102120155B1 KR1020130118712A KR20130118712A KR102120155B1 KR 102120155 B1 KR102120155 B1 KR 102120155B1 KR 1020130118712 A KR1020130118712 A KR 1020130118712A KR 20130118712 A KR20130118712 A KR 20130118712A KR 102120155 B1 KR102120155 B1 KR 102120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additional
frames
image
3dtv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8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0110A (ko
Inventor
김성훈
이주영
정세윤
최진수
김진웅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18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0155B1/ko
Publication of KR20150040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0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0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0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7Demultiplexing of several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8De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모바일 융합형 3DTV 수신 장치는 모바일 융합형 3DTV 송신 장치로부터 복수의 PLP(physical layer pipe) 스트림을 수신하여 기준영상, 부가영상, 부가데이터 및 시그널링 정보를 추출하고, 기준영상과 부가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일치시킨 후 상기 부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부가영상의 화질을 제어한 후 시그널링 정보 중 기준영상의 재생 시간과 부가영상의 재생시간 사이의 오차 정보를 이용하여 기준영상과 부가영상을 합성한 3D 영상을 재생한다.

Description

모바일 융합형 3DTV 방송 송수신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3DTV BROADCASTING OF MOBILE HYBRID TYPE}
본 발명은 모바일 융합형 3DTV 방송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DVB-T2(Digital Video Broadcasting-Terrestrial 2)기반 모바일 융합형 3DTV 방송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양안식 3D 콘텐츠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양안식 3DTV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방송 시스템은 두 개의 영상을 송출해야 한다. 기존 모바일 융합형 3DTV 방송 시스템은 비디오 코덱 성능 및 전송 비트율의 제약사항으로 인해서 HD급 양안식 3D 영상을 수신단에서 만들기 위해 좌/우 비대칭 해상도를 사용할 수 밖에 없었다. 이러한 좌/우 비대칭 해상도는 경우에 따라 3DTV 시청자의 피로감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제공한다.
모바일 융합형 3DTV 방송 시스템에서 부가 영상은 항상 모바일 방송채널로 전송되나, 서비스 모드에 따라 모바일 방송에서의 전송채널 특성상 FEC, 변조모드에 대한 과도한 오버헤드에 기인하여 주파수 효율측면에서 비효율적일 수 있다.
또한 기준 영상과 부가 영상간의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 불일치의 경우 프레임 레이트 변환 과정에서 부가 데이터를 이용한 화질 개선 알고리즘 적용 시 기준 영상과 부가 영상의 프레임별로 불일치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좌/우 대칭해상도의 3D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모바일 융합형 3DTV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주파수 효율을 고려하여 부가 영상을 전송할 수 있고, 기준영상과 부가영상간 프레임 레이트의 불일치 시 기준영상과 부가영상간 프레임 레이트를 일치시킨 후 부가영상의 화질을 개선할 수 있는 모바일 융합형 3DTV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DVB-T2 기반의 모바일 융합형 3DTV 방송 수신 장치의 수신 방법이 제공된다. 모바일 융합형 3DTV 수신 방법은 복수의 PLP(physical layer pipe)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PLP 스트림을 처리하여 기준영상, 부가영상, 부가데이터 및 시그널링 정보에 각각 해당하는 MPEG-TS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기준영상에 해당하는 MPEG-TS와 상기 부가영상에 해당하는 MPEG-TS를 각각 디코딩하는 단계, 디코딩된 기준영상과 부가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일치시키는 단계, 상기 부가데이터에 해당하는 MPEG-TS로부터 부가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부가영상의 화질을 제어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시그널링 정보에 해당하는 MPEG-TS로부터 상기 기준영상의 재생 시간과 상기 부가영상의 재생시간 사이의 오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영상과 상기 부가영상을 합성한 3D 영상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기존의 HD급 3D 영상 지원을 위해 좌/우 비대칭 해상도를 사용하는 모바일 융합형 3DTV 시스템에 비해 좌/우 대칭 풀해상도(Full-HD)를 사용하는 3D 방송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좌/우 비대칭 해상도를 사용할 경우 UHD급 3D 영상서비스를 지원 할 수 있다.
또한 방송사가 데이터 전송효율을 고려하여 경우에 따라 부가영상 및 화질개선용 부가데이터를 모바일 방송 채널 또는 고정 방송 채널 중 선택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기준영상과 부가영상간의 프레임 레이트 불일치의 경우에 기준영상과 부가영상의 각 프레임간 프레임 레이트 불일치 없이 화질개선을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VB-T2 기반 모바일 융합형 3DTV 송신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VB-T2 기반 모바일 융합형 3DTV 송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VB-T2 기반 모바일 융합형 3DTV 수신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VB-T2 기반 모바일 융합형 3DTV 수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각각 도 3에 도시된 프레임 레이트 제어부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융합형 3DTV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VB-T2 기반 모바일 융합형 3DTV 송신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VB-T2 기반 모바일 융합형 3DTV 송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DVB-T2 기반 모바일 융합형 3DTV 송신 장치(이하, "3DTV 송신 장치"라 함)(100)에 의해 송신되는 콘텐츠는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등이 될 수 있고, 특히 3차원(3-dementional, 3D) 영상은 기준영상과 부가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3D 영상은 좌영상 및 우영상을 포함하며, 좌영상과 우영상 중 하나는 기준(base) 영상으로 사용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부가(additional) 영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부가 영상은 기준 영상과 쌍 및/또는 세트를 이루어 하나의 3D 영상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영상을 의미할 수 있으며 기준영상보다 낮은 해상도의 영상일 수 있다. 아래에서는 3DTV 송신 장치(100)에서 3D 영상을 전송하는 것을 실시 예로서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DVB-T2 기반 모바일 융합형 3DTV 송신 장치(이하, "3DTV 송신 장치"라 함)(100)는 기준영상 인코더(110), 부가영상 인코더(120), 시그널링 정보 생성부(130), 부가데이터 생성부(140), 다중화부(Multiplexer)(150), 채널 선택부(160) 및 전송부(170)를 포함한다.
도 2를 보면, 기준영상 인코더(110)는 기준영상의 로우(raw) 데이터를 정해진 방식을 이용하여 풀 HD(Full High Definition) 또는 UHD(Ultra High Definition) 해상도로 인코딩하고(S210), 인코딩한 기준영상을 다중화부(150)로 출력한다. 기준영상 인코더(110)는 기준영상의 로우 데이터를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ing)나 H.264 방식으로 인코딩할 수 있다. 기준영상 인코더(110)에 의해 인코딩된 기준영상은 MPEG 전송 스트림(MPEG transport stream, MPEG-TS) 또는 IP 스트림 형태로 출력된다. 기준영상에 해당하는 MPEG-TS는 기준영상의 재생 시간 정보를 포함한다.
부가영상 인코더(120)는 부가영상의 로우 데이터를 정해진 방식을 이용하여 풀 HD 또는 UHD 해상도로 인코딩하고(S220), 인코딩한 부가영상을 인코딩한 기준영상을 다중화부(150)로 출력한다. 부가영상 인코더(120)는 부가영상의 로우 데이터를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ing)나 H.264 방식으로 인코딩할 수 있다. 부가영상 인코더(120)에 의해 인코딩된 부가영상은 MPEG-TS 또는 IP 스트림 형태로 출력된다. 부가영상에 해당하는 MPEG-TS는 부가영상의 재생 시간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기준영상 인코더(110) 및 부가영상 인코더(120)에서 각각 HEVC 방식으로 기준영상과 부가영상을 풀 HD의 해상도로 인코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기준영상 및 부가영상의 해상도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반면, 기준영상 인코더(110)에서 HEVC 방식으로 기준영상을 UHD의 해상도로 인코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기준영상 및 부가영상간 해상도는 비대칭이 된다.
시그널링 정보 생성부(130)는 시그널링 정보를 생성하고(S230), 시그널링 정보를 MPEG-TS 또는 IP 스트림 형태로 다중화부(150)로 출력한다. 시그널링 정보는 3DTV 서비스의 종류, 부가 영상의 영상 포맷, 기준 영상이 좌영상인지 우영상인지에 대한 정보, 기준영상의 재생 시간과 부가영상의 재생 시간 사이의 오차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데이터 생성부(140)는 부가영상의 화질개선용 부가데이터를 생성하고(S240), 부가데이터를 MPEG-TS 또는 IP 스트림 형태로 다중화부(150)로 출력한다. 부가데이터는 SVC(Scalable Video Codec)의 향상 계층 정보, 3차원 영상의 깊이 정보(3D Depth Information), 양안 시차(disparity map) 정보, 다시점 3차원 영상의 깊이 정보, 및 다시점 3차원 영상의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가 데이터는 부가 영상의 블록별 영상의 화질이 인코딩된 기준 영상 또는 인코딩된 부가영상에 가까운지 나타내는 블록별 화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블록은 소정 단위로 이루어진 픽셀 집합을 나타낸다. 이를 위해 부가데이터 생성부(140)는 부가영상, 기준영상 인코더(110)에 의해 인코딩된 기준영상 및 부가영상 인코더(120)에 의해 인코딩된 부가영상을 수신하며, 블록별로 부가영상과 인코딩된 기준영상/인코딩된 부가영상을 비교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블록별 화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부가데이터를 이용하여 DVB-T2 기반 모바일 융합형 3DTV 수신 장치에서는 부가영상의 화질을 기준영상의 화질에 가깝게 향상시킬 수가 있다.
다중화부(150)는 인코딩된 기준영상, 인코딩된 부가영상, 시그널링 정보 및 부가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출력한다(S250). 예를 들어, 인코딩된 기준영상, 인코딩된 부가영상, 시그널링 정보 및 부가 데이터가 MPEG-TS 형태인 경우에 다중화부(150)는 이들을 다중화하여 MPEG-TS로 출력할 수 있다. 인코딩된 기준영상, 인코딩된 부가영상, 시그널링 정보 및 부가 데이터가 IP 스트림 형태인 경우에 이들을 다중화하여 IP 스트림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편의상 다중화부(150)의 출력이 MPEG-TS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게이트웨이(160)는 기준영상에 해당하는 MPEG-TS 및 시그널링 정보에 해당하는 MPEG-TS의 전송 채널로 DVB-T2 고정 방송채널을 선택하고, 부가영상 및 부가데이터에 해당하는 MPEG-TS의 전송 채널로 DVB-T2 고정방송 채널 또는 DVB-T2 이동방송 채널을 선택한다(S260). 이와 같이, 부가영상 및 부가데이터에 해당하는 MPEG-TS의 전송 채널로 DVB-T2 고정방송 채널 또는 DVB-T2 이동방송 채널로 선택함으로써, 데이터 전송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이트웨이(160)는 기준영상에 해당하는 MPEG-TS, 시그널링 정보에 해당하는 MPEG-TS, 부가영상 및 부가데이터에 해당하는 MPEG-TS을 각각 물리계층 파이프(physical layer pipe, PLP) 스트림으로 변환하고, 각 PLP 스트림의 채널 상황에 따라서 FEC의 부호화율 및 성상도를 결정하여 전송부(170)로 출력한다.
전송부(170)는 복수의 PLP 스트림을 정해진 변조 방식으로 변조하여 전송한다(S270). 변조 방식으로 예를 들면 OFDM 변조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VB-T2 기반 모바일 융합형 3DTV 수신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VB-T2 기반 모바일 융합형 3DTV 수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DVB-T2 기반 모바일 융합형 3DTV 수신 장치(이하, "3DTV 수신 장치"라 함)(200)는 수신부(210), 역다중화부(220), 기준영상 디코더(230), 부가영상 디코더(240), 프레임 레이트 제어부(250), 화질 제어부(260) 및 재생부(270)를 포함한다.
도 4를 보면, 수신부(210)는 복수의 PLP 스트림을 수신하고(S410), 수신한 복수의 PLP 스트림을 복조하여 다중화되어 있는 MPEG-TS를 추출한다.
역다중화부(220)는 MPEG-TS를 역다중화하여 기준영상, 부가영상, 시그널링 정보 및 부가데이터에 해당하는 MPEG-TS로 분리한다(S420).
역다중화부(220)는 기준영상에 해당하는 MPEG-TS를 기준영상 디코더(230)로 전달하고, 부가영상에 해당하는 MPEG-TS를 부가영상 디코더(240)로 전달하며, 부가데이터에 해당하는 MPEG-TS를 화질 제어부(260)로 전달한다. 또한 역다중화부(220)는 시그널링 정보에 해당하는 MPEG-TS로부터 기준영상의 재생 시간과 부가영상의 재생 시간 사이의 오차 정보를 추출하고(S430), 오차 정보를 재생부(270)로 전달한다.
기준영상 디코더(230)는 기준영상에 해당하는 MPEG-TS를 정해진 방식을 이용하여 원래의 해상도로 디코딩하고(S440), 디코딩된 기준영상을 프레임 레이트 제어부(250)로 출력한다. 기준영상 디코더(230)는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ing)나 H.264 방식으로 디코딩할 수 있다. 또한 기준영상 디코더(230)는 기준영상에 해당하는 MPEG-TS로부터 기준영상의 재생 시간을 추출하여 재생부(270)로 출력한다.
부가영상 디코더(240)는 부가영상을 정해진 방식을 이용하여 원래의 해상도로 디코딩하고(S450), 디코딩된 부가영상을 프레임 레이트 제어부(250)로 출력한다. 부가영상 디코더(240)는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ing)나 H.264 방식으로 디코딩할 수 있다. 또한 부가영상 디코더(240)는 부가영상에 해당하는 MPEG-TS로부터 부가영상의 재생 시간을 추출하여 재생부(270)로 출력한다.
프레임 레이트 제어부(250)는 화질 제어부(260)에 의해 부가영상의 화질 개선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준영상과 부가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레이트를 조절하여 기준영상과 부가영상간 프레임 레이트를 일치시킨다(S460).
화질 제어부(260)는 부가데이터를 이용하여 부가영상의 화질(quality)을 기준영상의 화질에 가깝게 제어한다(S470).
재생부(270)는 기준영상과 부가영상간 프레임 레이트를 원하는 프레임 레이트로 변환시키고(S480), 기준영상과 부가영상을 합성하여 3D 영상을 생성한 후 기준영상의 재생 시간, 부가영상의 재생 시간 및 기준영상의 재생 시간과 부가영상의 재생 시간 사이의 오차 정보를 이용하여 3D 영상을 재생한다(S490).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프레임 레이트 제어부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프레임 레이트 제어부(250)는 영상 판별부(252) 및 디인터레이스 처리부(254)를 포함한다.
영상 판별부(252)는 입력되는 기준영상과 부가영상의 영상 포맷 방식과 프레임 수를 확인하고, 기준영상이 인터레이스(interlace) 영상 포맷이고, 부가영상이 프로그래시브(progressive) 포맷이며, 기준영상의 프레임 수가 부가영상의 프레임 수보다 많은 경우에 기준영상을 디인터레이스 처리부(254)로 출력한다. 기준영상과 부가영상의 영상 포맷은 3DTV 송신 장치(100)로 기준영상의 로우 데이터 및 부가영상의 로우 데이터가 입력되기 전에 결정된다.
디인터레이스 처리부(254)는 인터레이스 영상 포맷의 기준영상을 역인터레이스(deinterlace)하여 출력함으로써, 부가영상과 프레임 레이트를 일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 레이트 제어부(250)는 기준영상이 50 프레임의 인터레이스 영상 포맷으로 입력되고, 부가영상이 25 프레임의 프로그래시브 영상 포맷으로 입력되면, 기준영상을 디인터레이스하여 부가영상과 동일한 25프레임의 프로그레시브 영상 포맷으로 변환함으로써, 기준영상과 부가영상간 프레임 레이트를 일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준영상과 부가영상간 프레임 레이트를 일치시킴으로써, 화질 제어부(260)는 부가데이터를 이용하여 부가영상의 화질을 기준영상의 화질에 가깝게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프레임 레이트 제어부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프레임 레이트 제어부(250')는 영상 판별부(252) 및 프레임 선택부(256)를 포함한다.
영상 판별부(252)는 입력되는 기준영상과 부가영상의 영상 포맷 방식과 프레임 수를 확인하고, 기준영상과 부가영상이 동일한 영상 포맷으로 이루어지고 기준영상의 프레임 수가 많은 경우에, 기준 영상을 프레임 선택부(256)로 출력한다.
프레임 선택부(256)는 기준영상의 재생 시간과 부가영상의 재생시간 사이의 오차 정보를 고려하여 기준영상의 짝수 또는 홀수번째 프레임을 선택하여 기준영상과 부가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일치시킬 수 있다. 이때 프레임 레이트 제어부(250')는 기준영상의 재생 시간과 부가영상의 재생시간 사이의 오차 정보를 역다중화부(220)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 레이트 제어부(250')는 기준영상이 50 프레임의 프로그레시브 영상 포맷으로 입력되고, 부가영상이 25 프레임의 프로그레시브 영상 포맷으로 입력되면 기준영상의 재생 시간과 부가영상의 재생시간 사이의 오차 정보를 고려하여 기준영상의 50 프레임 중 홀수 또는 짝수 프레임을 선택하여 25프레임의 프로그레시브 영상으로 변환함으로써, 기준영상과 부가영상간 프레임 레이트를 일치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프레임 레이트 제어부의 또 다른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프레임 레이트 제어부(250")는 영상 판별부(252), 디인터레이스 처리부(254) 및 프레임 선택부(256)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판별부(252)는 입력되는 기준영상과 부가영상의 영상 포맷 방식과 프레임 수를 확인하고, 기준영상이 인터레이스(interlace) 영상 포맷이고, 부가영상이 프로그래시브(progressive) 포맷이며, 기준영상의 프레임 수가 부가영상의 프레임 수보다 많은 경우에 기준영상을 디인터레이스 처리부(254)로 출력한다. 또한 영상 판별부(252)는 기준영상과 부가영상이 동일한 영상 포맷으로 이루어지고 기준영상의 프레임 수가 많은 경우에, 기준 영상을 프레임 선택부(256)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방법으로 기준영상과 부가영상간 프레임 레이트가 일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8)

  1. DVB-T2(Digital Video Broadcasting-Terrestrial 2) 기반의 모바일 융합형 3DTV 방송 수신 장치의 수신 방법으로서,
    복수의 PLP(physical layer pipe)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PLP 스트림을 처리하여 인코딩된 기준영상, 인코딩된 부가영상, 상기 부가영상의 화질개선을 위한 부가데이터 및 시그널링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인코딩된 기준영상과 상기 인코딩된 부가영상을 각각 디코딩하는 단계,
    디코딩된 상기 기준영상과 상기 부가영상의 영상 포맷 방식과 프레임 수를 토대로 상기 기준영상과 상기 부가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수를 조절하여 상기 기준영상과 상기 부가영상의 프레임 수를 일치시키는 단계,
    상기 부가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부가영상의 화질을 제어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시그널링 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기준영상의 재생 시간과 상기 부가영상의 재생시간 사이의 오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영상과 상기 부가영상을 합성하여 3D 영상을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융합형 3DTV 수신 방법.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일치시키는 단계는
    상기 기준영상이 인터레이스(interlace) 영상 포맷이고, 상기 부가영상이 프로그래시브(progressive) 포맷이며, 상기 기준영상의 프레임 수가 상기 부가영상의 프레임 수보다 많은 경우에, 상기 기준 영상을 역인터레이스(deinterlace)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융합형 3DTV 수신 방법.
  4. 제1항에서,
    상기 일치시키는 단계는
    상기 기준영상과 상기 부가영상이 동일한 영상 포맷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준영상의 프레임 수가 상기 부가영상의 프레임 수보다 많은 경우에, 상기 오차 정보를 토대로 상기 기준 영상의 일부 프레임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융합형 3DTV 수신 방법.
  5. 제1항에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인코딩된 기준 영상 및 상기 시그널링 정보를 DVB-T2 고정방송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인코딩된 부가 영상 및 상기 부가 데이터를 상기 DVB-T2 고정방송 채널 또는 DVB-T2 이동방송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융합형 3DTV 수신 방법.
  6. 제1항에서,
    상기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영상과 상기 부가영상간 프레임 수를 원하는 프레임 수로 변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융합형 3DTV 수신 방법.
  7. 제1항에서,
    상기 부가데이터는 부가 영상의 블록별 영상의 화질이 인코딩된 기준 영상 또는 인코딩된 부가영상에 가까운지 나타내는 블록별 화질 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융합형 3DTV 수신 방법.
  8. 제1항에서,
    상기 기준영상과 상기 부가영상은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ing)을 이용하여 동일한 해상도로 인코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융합형 3DTV 수신 방법.
KR1020130118712A 2013-10-04 2013-10-04 모바일 융합형 3dtv 방송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2120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712A KR102120155B1 (ko) 2013-10-04 2013-10-04 모바일 융합형 3dtv 방송 송수신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712A KR102120155B1 (ko) 2013-10-04 2013-10-04 모바일 융합형 3dtv 방송 송수신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0110A KR20150040110A (ko) 2015-04-14
KR102120155B1 true KR102120155B1 (ko) 2020-06-08

Family

ID=53031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8712A KR102120155B1 (ko) 2013-10-04 2013-10-04 모바일 융합형 3dtv 방송 송수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01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16915B2 (en) 2015-04-24 2019-12-24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of processing metadata for indicating a change in HDR information
WO2016204490A1 (ko) * 2015-06-16 2016-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KR102546152B1 (ko) * 2017-02-15 2023-06-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고정/이동방송 융합형 3DTV에서 화질 개선을 위한 부가 데이터(Video Enhancement Information, VEI) 시그널링 방법 및 장치
CN108174273B (zh) * 2017-12-29 2021-01-08 北京安云世纪科技有限公司 基于数据合成实现分层控制的方法、系统以及移动终端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42422A (ja) * 2010-01-06 2011-07-21 Sony Corp 受信装置及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受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5385B1 (ko) * 2011-10-10 2019-04-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융합형 3dtv에서 컨텐츠 스트림에 접근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컨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42422A (ja) * 2010-01-06 2011-07-21 Sony Corp 受信装置及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受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0110A (ko) 2015-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43590B2 (ja) モバイルマルチメディア放送システムにおける階層送信方法、階層受信方法、階層送信装置、及び階層受信装置
JP6013920B2 (ja) ビデオコンテンツを処理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US20100284466A1 (en) Video and depth coding
US10419718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broadcast signal
KR102464061B1 (ko) 미디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10812841B2 (en) Apparatus for encoding and transcoding which applies multi-format ultra-high definition high-efficiency codec
US10368144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broadcast signal
KR102361314B1 (ko) 360도 가상현실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1046985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3DTV broadcasting
US9264782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alistic broadcasting image
KR102120155B1 (ko) 모바일 융합형 3dtv 방송 송수신 장치 및 방법
JP2023100978A (ja) 3dtv放送送受信装置
US20140002598A1 (en) Transport system and client system for hybrid 3d content service
US927101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broadcasting
KR101697385B1 (ko) 채널 적응형 계층적 방송 장치 및 방법
US2012002710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extended broadcast service in digital broadcasting
KR102440395B1 (ko) 3dtv 방송 송수신 장치 및 방법
Hellge et al. Efficient HDTV and 3DTV services over DVB-T2 using multiple PLPs with layered media
KR20150114854A (ko) 하이브리드 방송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914375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tereoscopic video
KR20080098119A (ko) 무선 다중접속에 의한 실시간 동영상 전송장치, 무선다중접속에 의한 실시간 동영상 수신장치, 무선 다중접속에의한 실시간 동영상 송수신장치 및 무선 다중접속에 의한실시간 동영상 송수신 방법
KR101745652B1 (ko) 복호 정보 고속 취득이 가능한 방송 송신기와 수신기 및 그 방법
Pal et al. Effect of UHD high frame rates (HFR) on DVB-S2 bit error rate (BER)
You et al. UHDTV transmission based on broadcasting channel bonding
KR20170093637A (ko) 이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미디어 전송 스트림 버퍼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수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