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9725B1 - 촬영 기능을 가지는 단말 장치와 그 촬영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촬영 기능을 가지는 단말 장치와 그 촬영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9725B1
KR102119725B1 KR1020130113740A KR20130113740A KR102119725B1 KR 102119725 B1 KR102119725 B1 KR 102119725B1 KR 1020130113740 A KR1020130113740 A KR 1020130113740A KR 20130113740 A KR20130113740 A KR 20130113740A KR 102119725 B1 KR102119725 B1 KR 102119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amera
terminal device
mode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3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3898A (ko
Inventor
최진태
하상철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3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9725B1/ko
Publication of KR20150033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3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9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9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촬영 기능을 가지는 단말 장치와 그 촬영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단말 장치는 이미지 센서를 통해 피사체의 영상을 입력받는 카메라 모듈부와, 이미지 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피사체의 영상을 분석하여 이미지 센서와 상기 피사체의 이격거리를 산출하는 영상 분석부와, 산출된 이격거리와 기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카메라 모듈부의 촬영 모드를 변경하는 촬영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단말 장치에 탑재된 카메라와 피사체의 이격거리, 즉 사용자에 대한 카메라의 촬영거리에 따라 카메라의 촬영 모드를 셀프 촬영 모드로 자동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셀프 촬영을 위해 아이콘이나 메뉴 등을 다단 조작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촬영 기능을 가지는 단말 장치와 그 촬영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DEVICE APPARATUS HAVING PHOTOGRAPH FUNCTION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PHOTOGRAPH PROGRAM RECORDED}
본 발명은 이미지 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는 기능을 가지는 단말 장치와 그 촬영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이동 통신 단말 장치에는 고성능의 중앙처리장치(CPU)가 장착되는 추세이다. 또, 최근의 이동 통신 단말 장치는 터치패드와 디스플레이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스크린을 채용하여 입력 기능과 출력 기능을 모두 수행하도록 한 터치스크린 기반 이동 통신 단말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아울러, 이동 통신 단말 장치에는 본연의 이동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이 부가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 카메라 기능이 있다. 현재 출시되고 있는 대부분의 이동 통신 단말 장치에는 후면 카메라와 함께 전면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중에서 전면 카메라는 화상 통화와 셀프 촬영에 주로 이용된다.
이렇게 이동 통신 단말 장치에 일체로 포함된 카메라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카메라 아이콘을 터치하여 카메라 구동용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여야 하며, 해당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되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의 촬영 아이콘을 터치하여 촬영 명령을 카메라에 인가하면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 구동용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 초기에는 디폴트 값에 의해 일반 촬영 모드로 진입하며, 이때는 후면 카메라에 의해 피사체가 촬영된다. 메뉴 화면 등을 통해 셀프 촬영 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때는 전면 카메라에 의해 피사체가 촬영된다.
이처럼 종래 기술에 의하면 셀프 촬영을 위해서는 카메라 아이콘 터치, 메뉴 선택 및 촬영 아이콘 터치 등과 같이 총 3단계의 조작을 통해서만 수행할 수 있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더욱이, 야외 환경에서는 터치스크린의 인식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장갑 등의 착용으로 카메라 아이콘, 메뉴 또는 촬영 아이콘의 터치가 인식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셀프 촬영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번거로움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2-0126842, 공개일자 2012년 11월 21일.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한 것으로서, 이미지 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피사체의 영상을 분석하여 산출된 이격거리와 기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카메라 모듈부의 촬영 모드를 변경하는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또, 이러한 단말 장치에서 피사체와의 이격거리에 따라 카메라 모듈부의 촬영 모드를 변경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으로서 단말 장치는, 이미지 센서를 통해 피사체의 영상을 입력받는 카메라 모듈부와, 상기 이미지 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피사체의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이미지 센서와 상기 피사체의 이격거리를 산출하는 영상 분석부와, 산출된 상기 이격거리와 기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부의 촬영 모드를 변경하는 촬영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이미지 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피사체의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이미지 센서와 상기 피사체의 이격거리를 산출하는 단계와, 산출된 상기 이격거리와 기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의 결과에 따라 상기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촬영 모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영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단말 장치에 탑재된 카메라와 피사체의 이격거리, 즉 사용자에 대한 카메라의 촬영거리에 따라 카메라의 촬영 모드를 자동으로 변경한다. 예컨대, 카메라와 사용자의 눈이 일정거리 이상으로 이격되면 촬영 모드를 일반 촬영 모드에서 셀프 촬영 모드로 자동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셀프 촬영을 위해 사용자가 카메라 아이콘, 메뉴 및 촬영 아이콘 등을 다단 조작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된다. 더욱이, 터치스크린의 인식성이 떨어지는 야외 환경이나 장갑 등의 착용으로 터치 입력을 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셀프 촬영 모드를 손쉽게 선택할 수 있는 편의성이 제공된다.
또한, 셀프 촬영 모드에서는 기 설정된 시간 후에 피사체의 영상을 자동으로 촬영하기 때문에 셀프 촬영의 편의성이 제고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기능을 가지는 단말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 의한 촬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 화면의 시간 변화에 따른 천이 과정을 보인 예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기능을 가지는 단말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통신부(110), 마이크로폰(120), 카메라 모듈부(130), 사용자 입력부(14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등을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이동 통신부(111), 근거리 통신부(112), GPS(Global Position System) 수신부(113) 등을 포함한다.
이동 통신부(111)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과 외부의 단말 또는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 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통화 신호, 화상 통화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등의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112)는 근거리 통신을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 한다. 예컨대,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GPS 수신부(113)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마이크로폰(120)은 오디오 신호를 입력 받는다. 이러한 마이크로폰(120)은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 통신부(111)를 통하여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부(130)는 후면 카메라(131)와 전면 카메라(132)를 포함한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부(130)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카메라 구동 프로그램(162)의 실행에 따른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비디오 신호를 입력 받는다. 후면 카메라(131)는 단말 장치(100)의 후면에 설치되며, 전면 카메라(132)는 단말 장치(100)의 전면에 설치된다. 이 중에서 전면 카메라(132)는 화상 통화 및 셀프 촬영에 주로 이용된다. 후면 카메라(131) 및 전면 카메라(132)는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40)는 사용자가 단말 장치(100)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40)는 사용자의 푸쉬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을 포함한다. 특히, 터치 패드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형성하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한다. 예컨대, 단말 장치(100)는 터치스크린을 입출력 인터페이스의 일종으로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 장치일 수 있다.
출력부(150)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를 포함하며, 오디오 신호와 비디오 신호 등의 각종 신호를 출력 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단말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단말 장치(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은 대기모드, 통화모드,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52)는 단말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메모리부(160)에는 운영체제 프로그램(161), 카메라 구동 프로그램(162) 등이 저장된다. 제어부(180)가 운영체제 프로그램(161)을 실행하여 단말 장치(100)를 부팅하며, 카메라 구동 프로그램(162)을 실행하여 카메라 모듈부(130)를 구성하는 후면 카메라(131) 및/또는 전면 카메라(132)를 구동한다. 이러한 메모리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단말 장치(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단말 장치(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제어부(180)는 영상 분석부(181), 촬영 제어부(182), 접촉 판정부(183)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어부(180)는 통신부(110), 마이크로폰(120), 카메라 모듈부(13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등을 각각 제어하여 단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이러한 제어부(180)를 구성하는 영상 분석부(181)는 전면 카메라(132)의 이미지 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피사체의 영상을 분석하여 이미지 센서와 피사체의 이격거리를 산출한다.
접촉 판정부(183)는 단말 장치(100)의 기 설정 영역에 인체가 접촉되는지를 판정한다.
촬영 제어부(182)는 영상 분석부(181)에 의해 산출된 이격거리와 기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카메라 모듈부(130)의 촬영 모드를 일반 촬영 모드에서 셀프 촬영 모드로 변경하거나 다시 일반 촬영 모드로 환원시킬 수 있다. 또, 촬영 제어부(182)는 접촉 판정부(183)에 의한 접촉의 판정 결과에 따라 카메라 모듈부(130)의 촬영 모드를 일반 촬영 모드에서 셀프 촬영 모드로 변경하거나 다시 일반 촬영 모드로 환원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 의한 촬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에 의한 촬영 방법은, 카메라 구동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른 일반 촬영 모드에서 후면 카메라의 입력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201 내지 S205)와, 이미지 센서가 설치된 단말 장치의 기 설정 영역에 인체가 접촉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S207)를 포함한다.
아울러, 전면 카메라의 이미지 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피사체의 영상을 분석하여 이미지 센서와 피사체의 이격거리를 산출하는 단계(S209 및 S211)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이미지 센서와 피사체의 이격거리와 기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촬영 모드 변경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213)를 더 포함한다.
또, 단계 S207에서 단말 장치의 기 설정 영역에 인체가 접촉된 것으로 판정되거나 단계 S213의 비교의 결과에 따라 촬영 모드 변경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촬영 모드를 일반 촬영 모드에서 셀프 촬영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S215)를 더 포함한다.
이어서, 셀프 촬영 모드에서 전면 카메라의 입력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면서 기 설정된 자동 촬영 시간 값을 로드하는 단계와, 기 설정된 자동 촬영 시간이 경과하기 전까지 경과 시간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아울러, 셀프 촬영 모드에서 기 설정된 자동 촬영 시간이 경과하면 전면 카메라의 영상을 자동으로 촬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단계 S213에서 단말 장치의 기 설정 영역에 인체가 접촉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거나 이미지 센서와 피사체의 이격거리가 촬영 모드 변경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일반 촬영 모드를 유지하는 단계(S227)를 더 포함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 화면의 시간 변화에 따른 천이 과정을 보인 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 의한 셀프 촬영 모드 등의 촬영 방법을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단말 장치(100)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운영체제 프로그램(161)의 실행에 따라 구동된다.
그리면, 단말 장치(100)의 메모리부(160)에 카메라 구동 프로그램(162)이 저장된 상태, 즉 카메라 구동 프로그램(162)이 설치된 상태이기 때문에 카메라 모듈부(130)의 구동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가 출력부(151)의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제공된다. 예컨대, 사용자 입력부(140)의 일종인 터치패드와 디스플레이부(151)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된 경우에, 터치스크린에는 카메라 모듈부(130)의 구동을 선택할 수 있는 카메라 아이콘이 출력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카메라 아이콘을 터치 선택하면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카메라 구동 프로그램(162)이 실행됨과 아울러 카메라 모듈부(130)가 구동되며, 카메라 구동 프로그램(162)의 실행에 따라 터치스크린에는 촬영 아이콘 등이 포함된 GUI 화면이 출력된다(S201).
여기서, 카메라 모듈부(130)의 구동 초기에는 디폴트 값에 의해 일반 촬영 모드로 진입하며(S203), 일반 촬영 모드에서는 후면 카메라(131)의 입력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디스플레이 된다(S205).
여기서, 제어부(100)의 접촉 판정부(183)는 단말 장치(100)의 기 설정 영역, 예컨대, 사전에 설정된 터치스크린의 소정 영역에 인체가 접촉되는지를 판정하며, 그 판정 결과를 촬영 제어부(182)에게 제공한다(S207).
이 때, 단말 장치(100)를 움켜 쥔 사용자의 손이 기 설정 영역에 접촉되면 촬영 제어부(182)는 카메라 모듈부(130)의 촬영 모드를 일반 촬영 모드에서 셀프 촬영 모드로 변경한다(S215).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처럼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의 기 설정 영역(예컨대, 화면의 왼쪽 하단 부분 등)에 인체를 접촉시켜서 셀프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방안 이외에도 비접촉 방식으로 셀프 촬영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즉, 단말 장치(100)의 전면에 설치된 전면 카메라(132)가 자신의 얼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단말 장치(100)가 얼굴에서 적절히 이격된 거리에 위치하도록 들고 있는다.
이 때, 일반 촬영 모드에서 카메라 모듈부(130)의 전면 카메라(132)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은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곧바로 디스플레이 되지는 않지만 영상 분석부(181)에게 제공된다.
그러면, 영상 분석부(181)는 전면 카메라(132)의 이미지 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피사체의 영상을 분석하여 이미지 센서와 피사체의 이격거리를 산출한다(S209, S211). 예컨대, 영상 분석부(181)는 Adaboost face detector 등의 공지의 얼굴 영역 검출기를 이용하여 얼굴 영역을 찾고, Adaboost eye detector, Rapid Eye, Camshift, SURF(Speeded Up Robust Feature), 이진화, 라벨링 등의 공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얼굴 영역에서 눈 영역을 검출하고, 공지의 Circular Edge Detector를 이용하여 홍채 크기를 검출한다. 그리고, 홍채 크기와 촬영거리가 반비례 관계에 있는 점을 이용하여 촬영거리를 산출한다. 즉, 홍채 크기에 미리 정해진 상수를 곱하여 촬영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촬영 제어부(182)는 영상 분석부(181)에 의해 산출된 이격거리와 기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가 촬영 모드 변경 조건인가를 판단한다. 예컨대, 전면 카메라(132)와 피사체의 특정 부위, 즉 사용자 눈과의 이격거리가 일정거리 이상으로 멀어져서 셀프 촬영을 위한 적정한 촬영거리 범위에 놓이는가를 판단할 수 있다(S213).
이 때, 전면 카메라(132)가 피사체에 대해 적정한 촬영거리에 놓이는 것으로 판단되면 촬영 제어부(182)는 카메라 모듈부(130)의 촬영 모드를 일반 촬영 모드에서 셀프 촬영 모드로 변경한다(S215).
이처럼, 단계 S207 및/또는 단계 S213의 결과에 의해 셀프 촬영 모드로 자동 변경되면 전면 카메라(132)의 입력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출력, 즉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되며(S217), 촬영 제어부(182)는 기 설정된 자동 촬영 시간 값을 로드(load)한다(S219). 예컨대, 이 때에 이용되는 자동 촬영 시간 값은 카메라 구동 프로그램(162)의 환경 설정 과정 등을 통해 설정 및 갱신될 수 있다.
그리고, 촬영 제어부(182)는 타이머 등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자동 촬영 시간이 경과하는지를 확인하며(S221),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자동 촬영 시간이 경과하기 전까지 경과 시간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S223).
다음으로, 셀프 촬영 모드에서 기 설정된 자동 촬영 시간이 경과하면 촬영 제어부(182)는 전면 카메라(132)의 영상을 자동으로 촬영하며, 이렇게 촬영된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출력된다. 또, 메모리부(160)의 사용자 저장영역에 촬영된 영상이 자동으로 저장될 수 있다(S225).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 화면의 시간 변화에 따른 천이 과정을 보인 예이다. 도 3a와 도 3b는 단계 S223에서 순차적으로 제공되는 셀프 촬영 화면(300)이며, 피사체 영상(310) 위에 경과 시간 영상(320)이 오버레이되는 예를 나타내었다. 도 3c는 단계 S225에 의해 셀프 촬영 화면(300)에서 자동 촬영된 피사체 영상(310)를 나타내었다.
한편, 단계 S213에서 단말 장치(100)의 기 설정 영역에 인체가 접촉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거나 전면 카메라(132)와 피사체의 이격거리가 촬영 모드 변경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일반 촬영 모드가 유지된다(S227).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단말 장치에 탑재된 카메라 모듈부와 피사체의 이격거리, 즉 사용자에 대한 카메라의 촬영거리에 따라 카메라 모듈부의 촬영 모드를 셀프 촬영 모드로 자동으로 변경한다. 따라서, 셀프 촬영을 위해 사용자가 카메라 아이콘, 메뉴 및 촬영 아이콘 등을 다단 조작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된다. 더욱이, 터치스크린의 인식성이 떨어지는 야외 환경이나 장갑 등의 착용으로 터치 입력을 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셀프 촬영 모드를 손쉽게 선택할 수 있는 편의성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장치에 탑재된 카메라와 피사체의 이격거리, 즉 사용자에 대한 카메라의 촬영거리에 따라 카메라의 촬영 모드를 자동으로 변경한다. 예컨대, 카메라와 사용자의 눈이 일정거리 이상으로 이격되면 촬영 모드를 일반 촬영 모드에서 셀프 촬영 모드로 자동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셀프 촬영을 위해 사용자가 카메라 아이콘, 메뉴 및 촬영 아이콘 등을 다단 조작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된다. 더욱이, 터치스크린의 인식성이 떨어지는 야외 환경이나 장갑 등의 착용으로 터치 입력을 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셀프 촬영 모드를 손쉽게 선택할 수 있는 편의성이 제공된다. 또한, 셀프 촬영 모드에서는 기 설정된 시간 후에 피사체의 영상을 자동으로 촬영하기 때문에 셀프 촬영의 편의성이 제고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와 그 촬영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 장치는 물론이고 유선망을 통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유선통신 단말 장치에도 이용할 수 있다.
100 : 단말 장치 110 : 통신부
130 : 카메라 모듈부 131 : 후면 카메라
132 : 전면 카메라 140 : 사용자 입력부
150 : 출력부 160 : 메모리부
161 : 운영체제 프로그램 162 : 카메라 구동 프로그램
170 : 인터페이스부 180 : 제어부
181 : 영상 분석부 182 : 촬영 제어부
183 : 접촉 판정부

Claims (6)

  1. 후면 카메라를 통해 입력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일반 촬영 모드에서 전면 카메라의 이미지 센서를 통해 피사체의 영상을 입력받는 카메라 모듈부;
    상기 이미지 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피사체의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이미지 센서와 상기 피사체의 이격거리를 산출하는 영상 분석부와,
    산출된 상기 이격거리와 기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부의 촬영 모드를 상기 일반 촬영 모드에서 셀프 촬영 모드로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촬영 기능을 가지는 단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프 촬영 모드는, 기 설정된 시간 후에 상기 피사체의 영상을 자동으로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기능을 가지는 단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기 설정 영역에 인체가 접촉되는지를 판정하는 접촉 판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정의 결과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부의 촬영 모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기능을 가지는 단말 장치.
  4. 후면 카메라를 통해 입력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일반 촬영 모드에서 전면 카메라의 이미지 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피사체의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이미지 센서와 상기 피사체의 이격거리를 산출하는 단계와,
    산출된 상기 이격거리와 기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의 결과에 따라 상기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촬영 모드를 상기 일반 촬영 모드에서 셀프 촬영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촬영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셀프 촬영 모드는, 기 설정된 시간 후에 상기 피사체의 영상을 자동으로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가 설치된 단말 장치의 기 설정 영역에 인체가 접촉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판정의 결과에 따라 상기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촬영 모드를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촬영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130113740A 2013-09-25 2013-09-25 촬영 기능을 가지는 단말 장치와 그 촬영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119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3740A KR102119725B1 (ko) 2013-09-25 2013-09-25 촬영 기능을 가지는 단말 장치와 그 촬영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3740A KR102119725B1 (ko) 2013-09-25 2013-09-25 촬영 기능을 가지는 단말 장치와 그 촬영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5299A Division KR102224662B1 (ko) 2020-05-29 2020-05-29 촬영 기능을 가지는 단말 장치와 그 촬영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898A KR20150033898A (ko) 2015-04-02
KR102119725B1 true KR102119725B1 (ko) 2020-06-16

Family

ID=53030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3740A KR102119725B1 (ko) 2013-09-25 2013-09-25 촬영 기능을 가지는 단말 장치와 그 촬영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972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3197A (ja) * 2005-05-06 2006-11-16 Olympus Imaging Corp 携帯型撮像機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6028B1 (ko) * 2009-11-20 2016-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20120126842A (ko) 2011-05-13 2012-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영상 촬영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3197A (ja) * 2005-05-06 2006-11-16 Olympus Imaging Corp 携帯型撮像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898A (ko) 2015-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08456A1 (zh) 图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6951884B (zh) 采集指纹的方法、装置及电子设备
EP3143477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aptic feedback to assist in capturing images
US9674395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generating photograph
CN108399349B (zh) 图像识别方法及装置
US2017009155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US993026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in device having camera
EP3200125B1 (en) Fingerprint template input method and device
KR102488563B1 (ko) 차등적 뷰티효과 처리 장치 및 방법
US9338359B2 (en) Method of capturing an image in a device and the device thereof
US941396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an image using photographing guide
US9924090B2 (en) Method and device for acquiring iris image
KR20160024143A (ko) 영상 처리 방법 및 전자 장치
CN106527682B (zh) 切换环境画面的方法及装置
WO2016136837A1 (ja) ウェアラブル装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CN111027490A (zh) 人脸属性识别方法及装置、存储介质
CN105138956A (zh) 人脸检测方法和装置
EP3438924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picture
CN109561255B (zh) 终端拍照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2224662B1 (ko) 촬영 기능을 가지는 단말 장치와 그 촬영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119725B1 (ko) 촬영 기능을 가지는 단말 장치와 그 촬영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N111064886B (zh) 终端设备的拍摄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13989889A (zh) 遮光板调节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2015612A (zh) 一种获取卡顿信息的方法及装置
US9667854B2 (en) Electornic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