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9659B1 -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9659B1
KR102119659B1 KR1020130112772A KR20130112772A KR102119659B1 KR 102119659 B1 KR102119659 B1 KR 102119659B1 KR 1020130112772 A KR1020130112772 A KR 1020130112772A KR 20130112772 A KR20130112772 A KR 20130112772A KR 102119659 B1 KR102119659 B1 KR 102119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video
display unit
image
graphic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2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3150A (ko
Inventor
김두환
김병주
전라온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2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9659B1/ko
Priority to EP14180591.1A priority patent/EP2852138B1/en
Priority to US14/457,607 priority patent/US9521328B2/en
Priority to CN201410457909.XA priority patent/CN104469132B/zh
Publication of KR20150033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3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9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9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23/635Region indicators; Field of view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3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in a digital photofinishing system, i.e. a system where digital photographic images undergo typical photofinishing processing, e.g. printing ordering
    • H04N1/00183Photography assistance, e.g. displaying suggestions to the us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352Input means
    • H04N1/00381Input by recognition or interpretation of visible user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93Particular location of the interface or conso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64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ergonomic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12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still video cameras
    • H04N1/212Motion video recording combined with still video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12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still video cameras
    • H04N1/2125Display of information relating to the still picture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44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with head-mounted left-right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23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s increasing the field of view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mage capture systems, e.g. camera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4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of image modifying data, e.g. handwritten addenda, highlights or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5Modified version of the image, e.g. part of the image, image reduced in size or resolution, thumbnail or screennail
    • H04N2201/3251Modified version of the image, e.g. part of the image, image reduced in size or resolution, thumbnail or screennail where the modified version of the image is relating to a person or 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53Position information, e.g. geographical position at time of capture, GPS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6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multimedia information, e.g. a sound signal
    • H04N2201/3263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multimedia information, e.g. a sound signal of a graphical motif or symbol, e.g. Christmas symbol, log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6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multimedia information, e.g. a sound signal
    • H04N2201/3267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multimedia information, e.g. a sound signal of motion picture signals, e.g. video cl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73Display

Abstract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동작방법에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신체의 특정 부위에 착용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와 결합되어 동영상 촬영을 위한 프리뷰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프리뷰 화면에서 제 1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을 감지하고, 촬영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수행하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영역을 나타내는 제 1 그래픽 객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 중, 상기 제 1 그래픽 객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촬영부의 화각으로부터 기준범위 이상 벗어나면,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중단하고 상기 제 1 영역이 상기 화각으로부터 이격된 정도를 나타내는 제 2 그래픽 객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시킨다.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신체의 특정 부위에 착용가능하도록 형성되며, 동영상 촬영이 가능한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시대가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현실감 있는 화면을 구현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최근 신체의 특정 부위에 착용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영상표시장치가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한 일 예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가 있다.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는 주로 보안경이나 헬멧형 기기로 눈앞에 있는 스크린을 보도록 이루어지며, 가상 현실감을 실현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양안(양쪽 눈)에 근접한 위치에 액정 등의 소형 디스플레이가 설치되어 영상을 투영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며, 현재는 우주 개발, 원자로, 군사 기관 및 의료 기관에서 사용하기 위한 것과 업무용이나 게임용 등에 대한 각종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개량에 힘입어,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일 실시 예로서, 스마트 안경(smart glasses)이 출시되고 있다. 착용 가능한 장치(Wearable device)로 구현된 스마트 안경은 기존의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되던 기능을 간편하게 실행할 수 있다.
그러한 기능의 예로, 스마트 안경을 착용하고 스마트 안경을 통해 보이는 외부 이미지를 동영상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움직이는 스마트 안경의 특성상, 동영상 촬영시 사용자의 두부나 시선이 촬영을 원하는 피사체에 고정되어야만 하는 제약이 있다. 이에, 스마트 안경을 착용한 사용자의 움직임이나 시선변화와 같은 제약을 고려하여, 좀더 편리하게 특정 피사체나 특정 영역을 지속적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사용자 신체의 특정 부위에 착용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영역이나 특정 객체를 지속적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한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촬영을 원하는 특정 영역이나 특정 객체가 카메라의 화각으로부터 벗어난 경우 사용자가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촬영이 종료된 후 화각을 기준으로 존재하는 특정 영역이나 특정 객체의 위치정보와 시간 정보에 근거하여 원하는 장면의 편집이 가능하도록 한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신체의 특정 부위에 착용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와 결합되어 동영상 촬영을 위한 프리뷰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프리뷰 화면에서 제 1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을 감지하고, 촬영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수행하는 촬영부와; 상기 제 1 영역을 나타내는 제 1 그래픽 객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상기 촬영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촬영부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 중, 상기 제 1 그래픽 객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촬영부의 화각으로부터 기준범위 이상 벗어나면,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중단하고 상기 제 1 영역이 상기 화각으로부터 이격된 정도를 나타내는 제 2 그래픽 객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폐곡선 형상의 제스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폐곡선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 1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폐곡선 형상에 대응되는 상기 제 1 그래픽 객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그래픽 객체의 경계를 안으로 좁히는 제스처의 입력이 감지되는 것에 응답하여, 동영상 촬영할 상기 제 1 영역의 범위를 감소시키고, 상기 제 1 그래픽 객체의 경계를 밖으로 넓히는 제스처의 입력이 감지되는 것에 응답하여, 동영상 촬영할 상기 제 1 영역의 범위를 증가시키고, 상기 제 1 그래픽 객체를 상기 변경된 제 1 영역에 대응되도록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폐곡선 형상이 사용자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키는 제스처 입력이 감지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폐곡선 형상을 중심으로 줌-인 기능이 실행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폐곡선 형상이 사용자에 가까워지도록 이동시키는 제스처 입력이 감지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폐곡선 형상을 중심으로 줌-아웃 기능이 실행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영역을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그래픽 객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화각으로부터 기준범위 이상 벗어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사라지면, 소정의 알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그래픽 객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화각으로부터 기준범위 이상 벗어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사라지면, 상기 제 1 영역이 상기 화각의 중앙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와 방향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 2 그래픽 객체의 길이와 표시방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그래픽 객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화각으로부터 기준범위 이상 벗어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사라지면, 상기 화각 전체에 대한 동영상 촬영 모드로 변경하거나 상기 동영상 촬영의 중단 여부를 질의하는 팝업창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팝업창이 출력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제1 제스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중단하고, 기설정된 제2 제스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이 중단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제 1 그래픽 객체가 상기 화각내에 다시 출력되면,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재개하고 상기 제 2 그래픽 객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프리뷰 화면내의 특정 영역이거나 상기 프리뷰 화면에 포함된 특정 객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 1 그래픽 객체가 출력된 상태에서, 제 2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상기 제 2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으로 변경하고, 상기 제 2 영역을 나타내는 제 3 그래픽 객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그래픽 객체의 경계가 밖으로 넓혀지는 정도가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상기 화각 전체에 대한 동영상 촬영으로 변경하고, 상기 변경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영상 촬영 동안에, 상기 화각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제 1 영역의 위치 정보, 상기 제 1 영역이 촬영된 시간 정보, 및 촬영된 이미지의 화질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여 메모리에 저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영상 촬영의 편집 기능이 실행되면, 상기 저장된 메타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 1 이미지 객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상기 터치 센서에 인가된 터치가 드래그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이미지 객체를 스크롤하고, 상기 제 1 이미지 객체의 특정 구간에 대해 기설정된 방향의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특정 구간에 대응되는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이미지를 삭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기기와 접속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리뷰 화면에서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다중 촬영 옵션이 선택되면, 상기 본체와 접속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에 대응되는 대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대표 이미지 중 선택된 대표 이미지에 대응되는 외부기기로부터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응답한 외부기기와 접속하고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접속된 외부기기에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영역에 대응되는 화면 이미지와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상기 접속된 외부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접속된 외부기기의 화각에서 상기 제 1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기준범위 이상 벗어나면, 상기 접속된 외부기기로부터 소정의 알람이 수신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이 종료되면, 상기 접속된 외부기기의 화각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제 1 영역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접속된 외부기기에서 상기 제 1 영역이 촬영된 시간 정보와, 그리고 상기 접속된 외부기기에서 촬영된 이미지의 화질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메타 데이터가 상기 접속된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 영역에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중 촬영에 대한 편집 기능이 실행되면, 상기 본체에서 생성된 제1 메타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 1 이미지 객체와 상기 접속된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된 제2 메타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2 이미지 객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상기 터치 센서에 인가된 터치가 드래그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및 제2이미지 객체 중 어느 하나를 스크롤하고, 상기 제2 이미지 객체의 특정 구간에 대해 기설정된 방향의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특정 구간에 대응되는 상기 제 1 이미지 객체에 대응되는 동영상 이미지를 상기 특정 구간에 대응되는 동영상 이미지로 대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은, 신체의 특정 부위에 착용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으로서, 사용자의 양안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디스플레이부에 동영상 촬영을 위한 프리뷰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출력된 프리뷰 화면에서 동영상 촬영할 제 1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영역을 나타내는 제 1 그래픽 객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촬영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 중, 상기 제 1 그래픽 객체의 적어도 일부가 화각으로부터 기준범위 이상 벗어나면,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중단하고 상기 제 1 영역이 상기 화각으로부터 이격된 정도를 나타내는 제 2 그래픽 객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동작방법은, 상기 제 1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제 1 그래픽 객체가 다시 상기 화각내에 출력되면,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재개하고 상기 제 2 그래픽 객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동작방법에 의하면, 사용자 신체의 특정 부위에 착용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 영역이나 특정 객체를 지속적으로 동영상 촬영할 수 있는 편의가 제공된다. 따라서, 설정된 특정 영역이나 특정 객체가 카메라의 화각에 포함되기만 하면 사용자의 움직임이나 시선변화에 관계없이 원하는 장면을 지속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동작방법에 의하면, 설정된 특정 영역이나 특정 객체가 카메라의 화각을 벗어난 경우, 설정된 영역이나 객체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중단하고, 설정된 영역이나 객체의 현재 위치를 사용자에게 알려주어 다시 원하는 영역이나 객체에 대한 촬영이 속행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동작방법에 의하면, 설정된 영역이나 객체에 대한 동영상 촬영이 종료되면, 촬영된 영역이나 객체가 화각을 벗어나는 경우의 시간정보가 시각적으로 표시된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특정 구간을 편집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가 동작 가능한 통신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흐름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6a 내지 도 6f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에서 동영상 촬영할 영역을 설정하는 실시 예들을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에서 설정된 영역이 화각을 벗어난 경우의 처리방법의 예시들을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에서 설정된 영역이 다시 화각내에 포함된 경우의 처리방법의 예시들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에서 설정된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이 종료된 후, 원하지 않는 동영상 이미지를 편집하는 방법의 예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d와,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에서, 기설정된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접속된 다른 외부기기와 함께 수행하는 예시들을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에서, 복수의 기기에 의하여 기설정된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이 종료된 후, 원하지 부분의 동영상 이미지를 병합시키는 방법의 예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영상표시장치(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감지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영상표시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영상표시장치(100)와 영상표시장치(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영상표시장치(100)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은 화상통화모드 및 음성통화모드를 구현하도록 이루어진다. 화상통화모드는 상대방의 영상을 보면서 통화하는 상태를 지칭하고, 음성통화모드는 상대방의 영상을 보지 않으면서 통화를 하는 상태를 지칭한다. 화상통화모드 및 음성통화모드를 구현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모듈(112)은 음성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된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영상표시장치(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영상표시장치(1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촬영부(120)는 오디오 신호 및/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여기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는(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21)에서 획득되는 화상 프레임으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 등이 산출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또, 상기 마이크(122)는 촬영모드에서 동영상 촬영 동안 입려된 외부의 음향신호를 신호 처리한다. 신호처리된 데이터는, 통화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에 따른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감지부(또는 센싱부, 14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영상표시장치(100)의 방위, 영상표시장치(10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영상표시장치(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감지 신호(또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감지부(140)는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감지할 수도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3), 알람부(154) 및 햅틱 모듈(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영상표시장치(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152)로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입체영상은 3차원 입체영상(3-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을 나타내며, 3차원 입체 영상(3-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은 모니터나 스크린 상에서 사물이 위치한 점진적 깊이(depth)와 실체(reality)를 현실 공간과 동일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한 영상이다. 3차원 입체 영상은 양안시차(binocular disparity)를 이용하여 구현된다. 양안시차란 떨어져 있는 두 눈의 위치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시차를 의미하는 것으로, 두 눈이 서로 다른 2차원 화상을 보고 그 화상들이 망막을 통하여 뇌로 전달되어 융합되면 입체 영상의 깊이 및 실제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가정용 텔레비전 수신기 등에 많이 이용되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에는 휘스톤 스테레오스코프 방식 등이 있다.
상기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의 예로서, 패럴렉스 배리어(parallex barrier) 방식, 렌티큘러(lenticular) 방식, 집적영상(integral imaging) 방식, 스위츠블 렌즈(switchable lens) 등이 있다. 프로젝션 방식에는 반사형 홀로그래픽 방식, 투과형 홀로그래픽 방식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3차원 입체 영상은 좌 영상(좌안용 영상)과 우 영상(우안용 영상)으로 구성된다. 좌 영상과 우 영상이 3차원 입체 영상으로 합쳐지는 방식에 따라, 좌 영상과 우 영상을 한 프레임 내 상하로 배치하는 탑-다운(top-down)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을 한 프레임 내 좌우로 배치하는 L-to-R(left-to-right, side by side)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의 조각들을 타일 형태로 배치하는 체커 보드(checker board)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열 단위 또는 행 단위로 번갈아 배치하는 인터레이스드(interlaced) 방식, 그리고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시간 별로 번갈아 표시하는 시분할(time sequential, frame by frame) 방식 등으로 나뉜다.
또한, 3차원 썸네일 영상은 원본 영상 프레임의 좌 영상 및 우 영상으로부터 각각 좌 영상 썸네일 및 우 영상 썸네일을 생성하고, 이를 합쳐서 하나의 3차원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썸네일(thumbnail)은 축소된 화상 또는 축소된 정지영상을 의미한다. 이렇게 생성된 좌 영상 썸네일과 우 영상 썸네일은 좌 영상과 우 영상의 시차에 대응하는 깊이감(depth)만큼 화면 상에서 좌우 거리차를 두고 표시됨으로써 입체적인 공간감을 나타낼 수 있다.
3차원 입체영상의 구현에 필요한 좌 영상과 우 영상은 입체 처리부(미도시)에 의하여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에 표시될 수 있다. 입체 처리부는 3D 영상을 입력받아 이로부터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추출하거나, 2D 영상을 입력받아 이를 좌 영상과 우 영상으로 전환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는 상기 센싱부(140)의 일 예로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141)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이하, 포인터라 함)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와 터치 센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입체 터치스크린'이라 함)나,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3차원 센서가 서로 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152)는 3차원의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3차원 센서의 예로서,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 입체 터치센싱부(142), 초음파 센싱부(143), 카메라 센싱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141)는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터치를 가하는 감지대상(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와 검출면과의 거리를 측정한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이러한 거리를 이용하여 입체영상의 어느 부분이 터치되었는지를 인식하게 된다. 특히,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감지대상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감지대상의 근접 정도를 검출하고, 이러한 근접 정도를 이용하여 3차원상의 터치를 인식하도록 구성된다.
입체 터치센싱부(142)는 터치 스크린상에 가해지는 터치의 세기나 지속시간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입체 터치센싱부(142)는 터치를 가하는 압력을 감지하고, 가압력이 강하면 이를 단말기의 내부를 향하여 터치 스크린과 보다 멀리 위치한 객체에 대한 터치로 인식한다.
초음파 센싱부(143)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하도록 이루어진다.
초음파 센싱부(143)는, 예를 들어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 센서는 광을 감지하도록 형성되며,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감지하도록 형성된다.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르기 때문에,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은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르다. 따라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카메라 센싱부(144)는 카메라(121), 포토 센서,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한다.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2차원 영상에 레이저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거리정보가 더해지면, 3차원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포토 센서가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음향 출력 모듈(153)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3)은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3)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4)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영상표시장치(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4)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 출력 모듈(153)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향 출력 모듈(153)은 알람부(154)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5)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5)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택 모듈(155)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180)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5)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5)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5)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5)은 영상표시장치(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영상표시장치(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영상표시장치(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영상표시장치(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영상표시장치(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영상표시장치(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영상표시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영상표시장치(100)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감지되는 터치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잠금 상태에서 표시되는 잠금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를 통해 실시 가능한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가 동작 가능한 통신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먼저, 도 2a를 살펴보면,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물리 계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에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특히,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CDMA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 모든 통신 시스템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영상표시장치(100),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Base Station, BS)(270),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s, BSCs)(275), 이동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280)를 포함할 수 있다. MSC(280)는, 일반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290) 및 BSCs(275)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BSCs(275)는, 백홀 라인(backhaul line)을 통하여, BS(270)와 짝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라인은, E1/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BSCs(275)가 도 2a에 도시된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복수의 BS(270)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 또는 BS(270)로부터 방사상의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섹터는,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를 두 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BS(270)는, 복수의 주파수 할당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주파수 할당은 각각 특정 스펙트럼(예를 들어, 1.25MHz, 5MHz 등)을 가질 수 있다.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교차는, CDMA 채널이라고 불릴 수 있다. BS(270)은 는, 기지국 송수신 하부 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s)이라고 불릴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나의 BSC(275) 및 적어도 하나의 BS(270)를 합하여 “기지국”이라고 칭할 수 있다. 기지국은, 또한 "셀 사이트"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특정 BS(270)에 대한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셀 사이트로 불릴 수도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송신부(Broadcasting Transmitter, BT)(295)는,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단말기들(100)에게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 도 1에 도시된 방송 수신 모듈(111)은, BT(295)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영상표시장치(100) 내에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도 2a에서는,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의 위성(300)을 도시한다. 상기 위성(300)은, 영상표시장치(100)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돕는다. 도 2a에서는 두 개의 위성이 도시되어 있지만, 유용한 위치 정보는, 두 개 이하 또는 이상의 위성들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위치정보 모듈(115)은, 원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도 2a에 도시된 위성(300)과 협력한다. 여기에서는, GPS 추적 기술뿐만 아니라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을 이용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위치가 추적될 수 있다. 또한, GPS 위성(300)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위성 DMB 전송을 담당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형적인 동작 중, BS(270)는, 영상표시장치(100)로부터 역 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영상표시장치(100)는, 호를 연결 중이거나, 메시지를 송수신 중이거나 또는 다른 통신 동작을 수행하고 있다.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수신된 역 링크 신호들 각각은,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내에서 처리된다. 상기 처리 결과 생성된 데이터는, 연결된 BSC(275)로 송신된다. BSC(275)는, 기지국들(270) 간의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들의 조직화를 포함하여, 호 자원 할당 및 이동성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BSCs(275)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MSC(280)로 송신하고, MSC(280)는, PSTN(290)과의 연결을 위하여 추가적인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이와 유사하게 PSTN(290)은 MSC(280)와 연결되고, MSC(280)는 BSCs(275)와 연결되고, BSCs(275)는 영상표시장치(100)로 순 링크 신호가 전송되도록 BS(27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b에서는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WPS: WiFi(Wireless Fidelity) Positioning System)을 이용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WPS: WiFi Positioning System, 300)은 영상표시장치(100)에 구비된 WiFi모듈 및 상기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 320)를 이용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위치를 추적하는 기술로서, WiFi를 이용한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기반의 위치 측위 기술을 의미한다.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300)은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 영상표시장치(100), 상기 영상표시장치(100)와 접속된 무선 AP(330), 임의의 무선 AP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330)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또는 신호)에 근거하여, 영상표시장치(100)와 접속된 무선 AP(320)의 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영상표시장치(100)와 접속된 무선 AP(320)의 정보는 영상표시장치(100)를 통해 상기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로 전송되거나, 무선 AP(320)에서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영상표시장치(100)의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에 근거하여, 추출되는 무선 AP의 정보는 MAC Address, SSID, RSSI, 채널정보, Privacy, Network Type, 신호세기(Signal Strength) 및 노이즈 세기(Noise Strength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는 위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와 접속된 무선 AP(320)의 정보를 수신하여,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330)에 포함된 정보와 상기 수신된 무선 AP(320)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영상표시장치(100)의 위치정보를 추출(또는 분석)한다.
한편, 도 2b에서는 일 예로서, 영상표시장치(100)와 접속되어 있는 무선 AP를 제1, 제2 및 제3 무선 AP(320)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영상표시장치(100)와 접속되는 무선 AP의 수는 영상표시장치(100)가 위치한 무선 통신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와이파이 위치추척 시스템(300)은 영상표시장치(100)가 적어도 하나의 무선 AP와 접속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위치를 추적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임의의 무선 AP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베이스(33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데이터 베이스(330)에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임의의 무선 AP들의 다양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300)에 저장되는 임의의 무선 AP들의 정보는 MAC Address, SSID, RSSI, 채널정보, Privacy, Network Type, 무선 AP의 위경도 좌표, 무선 AP가 위치한 건물명, 층수, 실내 상세 위치정보(GPS 좌표 이용가능), AP소유자의 주소, 전화번호 등의 정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데이터베이스(330)에는 임의의 무선 AP정보 및 상기 임의의 무선 AP에 대응되는 위치정보가 함께 저장되어 있으므로,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330)에서 영상표시장치(100)에 접속된 무선 AP(320)의 정보와 대응되는 무선 AP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무선 AP정보에 매칭된 위치정보 추출함으로써, 영상표시장치(100)의 위치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추출된 영상표시장치(100)의 위치정보는 상기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를 통해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됨으로써, 영상표시장치(100)는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도 1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 또는 영상표시장치(100)의 구성요소들이 배치된 영상표시장치(100)의 일 예로, 스마트 안경의 예시 구조를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스마트 안경을 예시로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영상표시장치(100)와 스마트 안경으로 혼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스마트 안경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지 않는 형태, 사용자의 신체 특정 부위(예, 두부, 손목, 귀, 어깨, 손목, 목, 의류장착형) 등에 착용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무선 통신부(110)를 이용하여 다른 외부기기(예, 다른 영상표시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른 외부기기는 무선 통신부를 구비한 모든 전자 기기들이 될 수 있고, 외부기기와 접속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이하에서 '마스터 영상표시장치'로 명명될 수 있고, 접속된 다른 외부기기는 '슬레이브 영상표시장치'로 명명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의 일 실시 예로, 두부 장착형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인 실시 예로, 스마트 안경(smart glasses)의 예시 구조를 보여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본체(101)와, 디스플레이부(151) 및 제어부(1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영상표시장치(100)는 터치센서를 구비한 사용자 입력부(130)가 본체(101)의 일 영역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양안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위치에 카메라(121)가 배치된다.
본체(101)는 영상표시장치(100)가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본체(101)는 스마트 안경에서의 프레임과 다리 부분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본체(101)와 일체로 결합되어, 사용자의 양안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광투과성을 가지며, 양안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부에 시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각 정보는 스마트 안경에서 생성되거나 또는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받은 가상의 객체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가상의 객체는 제어부(180)에 의하여 생성되거나 또는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받은 애플리케이션이나 이에 대응하는 아이콘, 콘텐츠, 통화모드의 UI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상술한 바와 같이 광투과성을 갖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외부 환경을 그대로 볼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보이는 외부 환경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시각 정보가 함께 표시(Augmented Reality)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외부 환경을 구성하는 임의의 객체에 대한 정보를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다.그에 따라, 촬영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보이는 외부 환경이 촬영 모드의 프리뷰 화면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광 투과율을 변화시킬 수 있는 스마트 유리(smart glass)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는 특정 상황이나 조건에서 빛의 투과율을 변화시켜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안경을 통해 보이는 외부 이미지와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시각 정보가 함께 표시됨에 따라(Augmented Reality), 시각 정보를 인식하기 어렵게 되거나 또는 보안이 요구되는 콘텐츠가 타인에게 노출될 우려가 있는 경우, 사용자 조작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의 투명도를 조절하여 시각정보를 출력시킬 수 있다.
카메라(121)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151)가 구비된 경우에, 좌안 및 우안 중 적어도 하나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121)는 본체(101)의 안쪽 및 바깥쪽에 각각 배치되어, 사용자의 시야와 외부환경을 촬영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본체(101) 프레임의 일 영역에 구비된 터치 센서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레임에 구비된 물리적 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체(101) 프레임의 일 지점에 전원의 ON/OFF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동영상 촬영을 하는 경우, 사용자는 원하는 특정 영역이나 특정 객체를 중점적으로 지속적인 촬영을 수행하기 위해, 신체의 특정 부위나 시선을 특정 영역이나 객체에 지속적으로 고정해야만 하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스마트 안경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영역이나 객체를 동영상 촬영하는 경우, 지정된 특정 영역이나 객체가 카메라의 화각에 있기만 하면 사용자의 시선이 변화하더라도 해당 영역이나 객체를 계속 촬영할 수 있도록 구현되었다.
이하에서는, 도 4와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동영상 촬영할 특정 영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특정 영역이 카메라의 화각을 벗어난 경우의 처리와 관련된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흐름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사용자의 양안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디스플레이부(151)에 동영상 촬영을 위한 프리뷰 화면을 출력시킬 수 있다(S410).
여기서, 상기 프리뷰 화면은 사용자가 상기 영상표시장치(100)의 메뉴를 조작하여 촬영 모드로 진입하게 되는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리뷰 화면은 스마트 안경의 특성상, 투광성 있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보여지는 외부 환경의 이미지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촬영 모드에 진입하기 전이라도 즉, 대기 화면(idle)이나 잠금 화면 상태에서도 프리뷰 화면이 출력된 상태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리뷰 화면은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되거나 또는 영상표시장치(100)에 기저장된 영상의 재생화면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상에서 재생되는 영상에서,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동영상 촬영할 특정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리뷰 화면이 출력되면, 상기 영상표시장치(100)의 촬영부(120)는 동영상 촬영할 제 1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기설정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한다(S420).
여기서, 제 1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기설정된 제스처 형상이거나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제스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영상 촬영할 제 1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제스처 입력은 액자 모양을 나타내는 손동작이거나, 또는 제 1 영역에 대응되도록 폐곡선 형상을 그리는 동작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상기 영상표시장치(100)에 구비된 특정 키를 푸쉬(push)하거나, 기설정된 음성명령을 수행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이에 한정되지는 않음).
일 예에서는, 이와 같은 제스처 입력이 감지되면, 제 1 영역의 설정과 함께 촬영 모드에 대응되는 프리뷰 화면의 출력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프리뷰 화면내의 특정 영역(예, 특정 표지판, 축구 골대)을 의미할 수도 있고, 상기 프리뷰 화면에 표시되는 특정 객체(예, 사람, 동물, 비행기 등과 같은 움직이는 사물)를 의미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카메라의 화각을 기준으로 특정 영역에 대한 좌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지만, 후자의 경우 특정 객체가 이동가능한 것을 고려하여 특정 객체의 인식과정과 추출과정이 함께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동영상 촬영할 제 1 영역이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제 1 영역을 나타내는 제 1 그래픽 객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한다(S430).
여기서, 상기 제 1 그래픽 객체는 제 1 영역의 위치와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그래픽 객체는 제 1 영역의 적어도 일 경계에 그려지는 프레임 이미지일 수 있다. 또, 상기 제 1 그래픽 객체는 제 1 영역이 이동되거나 또는 카메라(121)의 화각가 변경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상에서 표시되는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제 1 영역에 대응되는 제 1 그래픽 객체가 출력된 상태에서 촬영신호가 인가되면(S440),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수행한다(S450).
여기서, 촬영신호는 제 1 영역이 설정된 상태에서, 동영상 촬영을 시작하기 위한 제어명령으로 인식되는 어떠한 방식의 입력이든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촬영신호는 사용자의 음성명령(예, '촬영'이라고 외침)이나, 본체(1001)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이나,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보여지는 제어 메뉴의 조작이나, 기설정된 제스처 동작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촬영신호나 촬영종료신호에 대응되는 표시가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은 전체 화각에서 설정된 제 1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만 촬영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부분 촬영 모드는 화각 전체를 촬영하는 전체 촬영 모드와 구별된다.
이와 같이,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이 개시되면, 전체 동영상 촬영과 시각적으로 구별되는 표시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를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를 착용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보여지는 외부 환경 이미지(501)에서 동영상 촬영을 원하는 피사체(예, 어린이)를 기설정된 제스처 입력을 통해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설정된 피사체 주변에는 소정의 프레임(502)이 출력되고, 설정된 피사체에 대한 촬영이 시작되면,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영역, 예를 들어 상단에는 촬영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자(510)(예, '촬영중'임을 나타내는 Rec 표시)가 출력된다. 그리고, 영상표시장치(100)는 화각내에서 프레임(502)내의 이미지만 지속적으로 촬영한다.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이 지속되는 동안,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 1 그래픽 객체의 적어도 일부가 화각으로부터 기준범위 이상 벗어나는지를 감시한다.
감시결과, 제 1 그래픽 객체의 적어도 일부가 카메라의 화각으로부터 기준범위 이상을 벗어나거나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로부터 사라지면, 상기 제어부(180)는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중단하고, 상기 제 1 영역이 상기 화각으로부터 이격된 정도를 나타내는 제 2 그래픽 객체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한다(S460).
그에 따라, 사용자는 제 2 그래픽 객체가 가리키는 방향에 따라 제 1 영역의 현재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 제 2 그래픽 객체가 출력되면, 사용자는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지속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지속하고 싶으면 제 2 그래픽 객체가 가리키는 방향으로 카메라(121)의 화각가 이동하도록 움직이고,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잠시 중단하고 싶은 경우에는 현재 상태를 유지하거나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b를 참조하면, 설정된 피사체의 대부분이 화각으로부터 벗어난 경우, 즉 프레임(502)이 디스플레이부(151)로부터 사라진 정도가 소정의 기준범위(예, 40%~50%이상)를 초과하는 경우, 피사체에 대한 동영상 촬영은 일시 중단되고(510"), 디스플레이부(151)의 중앙에는 피사체의 현재 위치를 가리키는 방향 표시자(520)가 출력된다. 영상표시장치(100)를 착용한 사용자는 출력된 표시자(520)를 통해 현재 피사체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표시자(520)가 가리키는 방향으로 고개를 약간 회전시켜서 피사체에 대한 촬영이 속행되도록 하거나, 또는 현재 상태를 유지하여 촬영 중단 상태가 지속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사용자가 동영상 촬영을 원하는 특정 영역이나 객체를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고, 설정된 특정 영역이나 특정 객체가 카메라의 화각에 포함되기만 하면 사용자의 움직임이나 시선변화에 관계없이 원하는 장면을 지속적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관련된 UI(User Interface)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한 환경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 4의 단계(S420)과 관련하여, 동영상 촬영할 제 1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의 구체적인 예시들을 살펴보기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6a 내지 도 6f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에서 동영상 촬영할 영역을 설정하는 실시 예들을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다.
디스플레이부(151)에 프리뷰 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제 1 영역을 설정하는 제스처 입력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스처 입력은 도 6a에 도시된 것처럼, 촬영하고 싶은 영역이나 피사체(602)를 포함하는 폐곡선 형상, 좀더 구체적으로 액자 모양의 손 제스처의 입력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설정된 폐곡선 형상의 제스처 입력은 카메라(121)를 통해서 감지될 수 있다. 기설정된 폐곡선 형상의 제스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감지된 폐곡선 형상에 대응되도록 제 1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상기 폐곡선 형상에 대응되는 제 1 그래픽 객체를 출력시킨다.
상기 제 1 그래픽 객체는, 예를 들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곡선 형상을 나타내는 손가락을 경계로 하는 프레임 이미지(603)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카메라(121)는 촬영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프레임 이미지(603) 안쪽에 표시되는 대상이나 이미지만을 촬영하게 된다.
한편, 제 1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제스처 입력은 폐곡선 형상을 나타내는 제스처 외에도,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보여지는 가상 이미지에 기설정된 근접터치나 근접터치를 기설정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스처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그래픽 객체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그래픽 객체에 인가된 터치를 다른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부(180)는 동영상 촬영할 특정 영역이나 객체를 터치가 이동된 지점에 대응되는 영역이나 객체로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기설정된 제스처 입력에 근거하여, 설정된 영역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설정된 영역에 포함된 이미지를 줌인/아웃 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80)는, 제 1 영역에 대응되는 제 1 그래픽 객체의 경계를 안으로 좁히는 제스처의 입력이 감지되는 것에 응답하여, 동영상 촬영할 상기 제 1 영역의 범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제어부(180)는 제 1 영역에 대응되는 제 1 그래픽 객체의 경계를 밖으로 넓히는 제스처의 입력이 감지되는 것에 응답하여, 동영상 촬영할 상기 제 1 영역의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영역의 범위(또는 크기)가 변경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 제 1 그래픽 객체의 형상도 상기 변경된 제 1 영역에 대응되도록 변경시켜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도 6c에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 제 1 영역에 대응되는 프레임 이미지(603")를 일 방향(6a), 예를 들어 밖으로 당기거나 또는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제스처를 수행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 1 영역의 크기가 프레임 이미지(603")가 당겨지거나 또는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정도에 따라 증가된다.
반면, 사용자가 프레임 이미지(603")를 반대 방향(미도시), 예를 들어 안으로 밀거나 또는 중심에 가까워지는 제스처를 입력하면, 제 1 영역의 크기는 프레임 이미지(603")가 밀리거나 또는 중심에 가까워지는 정도에 따라 감소된다.
이와 같이 제 1 영역의 크기는 사용자가 상기 프레임 이미지(603")의 경계를 바깥쪽으로 당기거나 또는 안으로 미는 정도에 따라 점진적으로 조절된다.
이때, 프레임 이미지(603")가 바깥쪽으로 당겨지는 정도가 기준범위(예, 화각)를 초과하게 되면, 제 1 영역의 설정은 취소되고 화각 전체에 대한 동영상 촬영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제 1 그래픽 객체의 경계가 밖으로 넓혀지는 정도가 소정의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화각 전체에 대한 동영상 촬영으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변경에 대응되는 이미지(예, 전체 촬영 모드를 나타내는 표시)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영역에 출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 도중이라도, 사용자가 제 1 영역에 대응되는 프레임 이미지(920)를 바깥쪽으로 심하게 당기게 되면, 부분 촬영 모드(930)에서 전체 촬영 모드(930")로 변경된다. 그에 따라, 제 1 영역에 대응되는 프레임 이미지(920)도 화면에서 사라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카메라(121)를 통해, 상기 제 1 영역에 대응되는 폐곡선 형상이 사용자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되는 제스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스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폐곡선 형상내에 보여지는 이미지를 중심으로 줌-인(zoom-in)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폐곡선 형상을 중심으로 줌-인 기능이 실행된 상태에서 제 1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반면, 카메라(121)를 통해, 상기 제 1 영역에 대응되는 폐곡선 형상이 사용자에 가까워지도록 이동되는 제스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폐곡선 형상을 중심으로 줌-아웃(zoom-out) 기능이 실행된 상태에서 제 1 영역을 설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스처 입력이 사용자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정도에 따라서 줌인/아웃 기능에 대응되는 화면의 확대/축소범위가 다르게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e에서, 영상표시장치(100)를 착용한 사용자가 기설정된 제스처 형상, 예를 들어 액자 모양의 손 제스처를 자신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또는 촬영화면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면, 출력된 프레임 이미지(603)를 기준으로 줌-인 기능이 실행된 상태로 동영상이 촬영된다. 반면, 도 6f에서, 사용자가 액자 모양의 손 제스처를 자신에 가까워지도록 또는 촬영화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면, 출력된 프레임 이미지(603)를 기준으로 줌-아웃 기능이 실행된 상태로 동영상이 촬영된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가 액자 모양의 손 제스처를 유지한 상태로 기설정된 시간이 초과되면, 네비게이션 방식(즉, 단계적으로 레벨이 높아지는 방식)으로 해당 영역에 대한 줌-인 기능이 실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4의 단계(S460)과 관련하여, 설정된 제 1 영역에 대응되는 제 1 그래픽 객체가 카메라의 화각을 벗어나는 경우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처리하는 예시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에서 설정된 영역이 화각을 벗어난 경우의 처리방법의 예시들을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다.
제어부(180)는, 설정된 제 1 영역에 대응되는 제 1 그래픽 객체의 적어도 일부가 화각으로부터 기준범위 이상 벗어나거나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사라지는 경우, 소정의 알람(예, 알림음, 하이라이팅 효과, 투명도 조절, 팝업 메시지 출력 등)을 출력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그래픽 객체의 적어도 일부가 화각에서 사라지면, 상기 제어부(180)는,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중단하고, 제 1 영역이 화각으로부터 이격된 정도를 표시하는 제 2 그래픽 객체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시킨다.
예를 들어, 도 7a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피사체에 대응되는 프레임 이미지(702)가 화각으로부터 기준범위(예, 50%이상) 이상 벗어나면, 디스플레이부(151)의 중앙에 상기 프레임 이미지(702)에 대응되는 피사체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화살표 형상(710)이 출력된다. 한편, 화각의 이동이 없더라도 사용자가 설정한 피사체가 화각 밖으로 이동하게 되면, 피사체가 이동된 위치를 나타내는 화살표 형상이 출력된다. 예를 들어, 피사체가 화각을 벗어나 제1지점(702a)으로 이동한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에 제1지점을 가리키는 제1 화살표 형상(710a)이 출력된다. 또, 피사체가 화각을 벗어나 제2지점(702b)으로 이동한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에 제2지점을 가리키는 제2 화살표 형상(710b)이 출력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그래픽 객체는 제 1 영역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방향 정보와 거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 1 영역이 상화각의 중앙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와 방향에 대응되도록 제 2 그래픽 객체의 길이와 표시방향을 조절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도 7c를 참조하면, 제 2 그래픽 객체가 화살표 형상의 이미지인 경우, 화살표 형상의 머리가 가리키는 방향이 제 1 영역이 위치한 방향을 나타낸다. 그리고, 화살표의 길이가 짧은 경우(70a)는 제 1 영역이 가까이에 위치한 것을 의미하고, 화살표의 길이가 긴 경우(70b)는 제 1 영역이 멀리 위치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 제 1 영역의 크기에 따라 화살표의 굵기가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70c). 한편, 제 2 그래픽 객체는 화살표 형상이 아닌 다른 이미지(예, 손 모양이 회전하는 이미지)나 텍스트(예, 제 1 영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텍스트)로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영역이 화각으로부터 이격된 정도와 방향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해줌으로써, 사용자가 움직여야하는 방향이나 정도를 안내해줄 수 있다.
한편, 설정된 제 1 영역에 대응되는 제 1 그래픽 객체의 적어도 일부가 화각에서 사라지면,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은 중단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화각 전체에 대한 동영상 촬영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80)는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의 중단 여부를 질의하는 소정의 팝업창(예, 일시중단(Pause)? 메시지를 포함하는 팝업창))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영역, 예를 들어 중앙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이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화면의 조도(예, 어둡게)를 조절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에 상기와 같은 팝업창이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80)는 기설정된 제1 제스처 입력(예, 고개를 끄덕이는 동작)이 감지되면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중단(일시중단)할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제2 제스처 입력이(예, 고개를 흔드는 동작) 감지되면,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제스처나 제2 제스처 입력이 감지되면,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 팝업창은 사라지게 된다.
제2 제스처 입력이 감지됨에 따라,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이 유지되는 경우에도, 기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도록 제 1 영역이 화각을 벗어난 상태가 유지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다시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의 중단 여부를 질의하는 팝업창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제스처 입력기 감지됨에 딸,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이 중단되더라도, 기설정된 조건(예, 제 1 영역이 화각내로 들어오거나, 사용자 조작에 따라 촬영신호가 인가되는 경우)이 만족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중단된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속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에서 설정된 영역이 다시 화각내에 포함된 경우의 처리방법의 예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이 중단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제 1 그래픽 객체가 다시 화각내에 출력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재개하고 제 2 그래픽 객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로부터 사라지도록 제어한다.
즉, 설정된 제 1 영역이 화각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 1 영역내의 이미지만을 촬영하고, 제 1 영역이 화각을 벗어나면 촬영을 멈추었다가 다시 화각에 나타나면 이어서 촬영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장면만 촬영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서 피사체(802)를 촬영하다가(A), 설정된 피사체(802)의 대부분이 화각을 벗어나게 되면 촬영을 잠시 중단하고(810)(B), 피사체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820)를 표시한다. 한편, 다시 피사체(802)가 화각내에 들어오면 자동으로 피사체를 이어서 촬영한다(810")(C). 촬영된 동영상 이미지는 피사체가 촬영된 부분만(A, C) 연결되어 보여진다.
다른 예에서는, 설정된 제 1 영역이 화각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 1 영역내의 이미지만을 촬영하고, 제 1 영역이 화각을 벗어나면 화각 전체를 동영상 촬영하다가 다시 제 1 영역이 화각내에 보여지면 제 1 영역내의 이미지만 촬영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촬영된 동영상 이미지는 피사체가 촬영된 부분(A, C)과 촬영되지 않은 부분(B)이 하나로 연결되어 보여진다(A, B, C).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 도중 제 1 영역을 변경하거나 또는 제 1 영역외에 다른 영역을 더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제 1 영역에 대응되는 제 1 그래픽 객체가 출력된 상태에서, 제 1 영역과 다른 제 2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제스처 입력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상기 제 2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으로 대체하거나 또는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 2 영역을 표시하는 제 3 그래픽 객체(제 1 영역에 대응되는 제 1 그래픽 객체와 시각적으로 구별되는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설정된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은 사용자의 메뉴 조작이나 기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 종료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이 종료된 경우, 촬영된 동영상 이미지에서 원하지 않는 부분을 편집하는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에서 설정된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이 종료된 후, 원하지 않는 동영상 이미지를 편집하는 방법의 예시들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제어부(180)는 제 1 영역과 관련된 메타 데이터를 계속해서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타 데이터는 설정된 제 1 영역이 화각에 포함되는지 여부와, 제 1 영역이 화각에 포함되거나 포함되지 않는 경우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이 수행되거나 수행되지 않은 시간 정보와, 촬영된 동영상 이미지의 화질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메타 데이터는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 동안 제 1 영역과 관련된 위치 정보와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이 종료되면, 영상표시장치(100)의 메뉴 조작에 따라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의 편집 모드(또는, 편집 기능의 실행)에 진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편집 모드에 진입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 동안 생성 및 저장된 메타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 1 이미지 객체를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이미지 객체는 복수의 구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1 영역이 촬영된 시간 정보와, 제 1 영역에 대한 촬영이 중단되거나 화각 전체가 촬영된 구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이미지 객체는 촬영된 이미지의 품질(화질 상태)에 관한 정보와 제 1 영역의 일부만 촬영된 구간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정보들은 상기 제 1 이미지 객체에서 시각적으로 구별되도록(예, 서로 다른 색상이나 서로 다른 명암으로 표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b에서 제 1 이미지 객체(1010)의 전체 길이는 동영상 촬영된 전체 시간에 대응되고, 복수의 구간은 특정 정보들을 포함하며, 각 구간의 색상은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 상태(예, 화각에의 포함여부와 포함된 정도, 화질 상태 등)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구간(1011)은 제 1 영역에 대한 촬영 상태가 좋은 구간이고, 제3구간(1013)은 제 1 영역에 대한 촬영 상태가 좋지 않거나 촬영되지 않은 구간을 의미한다.
또한, 제 1 이미지 객체는 실제 촬영된 동영상 이미지보다 더 많은 이미지와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제 촬영된 동영상 이미지는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이미지만 포함되고, 이에 대응되는 제 1 이미지 객체는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이미지와 함께 화각 전체에 대한 동영상 이미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 동안 생성된 메타 데이터를 기초로 한 제 1 이미지 객체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면, 사용자는 제 1 이미지 객체에 대한 기설정된 제스처 입력을 통해 실제 촬영된 동영상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표시장치(100)의 본체(101)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터치 센서에 인가된 터치의 드래그 방향을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 제 1 이미지 객체가 스크롤되도록 제어함으로써, 편집하고 싶은 구간을 검색할 수 있다.
편집하고 싶은 구간이 디스플레이부(151)에 나타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 1 이미지 객체의 특정 구간(편집하려는 구간)에 대해 기설정된 방향의 제스처 입력이 인가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특정 구간에 대응되는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이미지를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51)에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 동안 생성된 메타 데이터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1010)가 출력된 상태에서(디스플레이부(151)에는 전체의 일부만 출력될 수 있음), 도 9a와 같이 사용자가 본체(101)의 특정 지점(터체 센서가 구비된 지점)에 기설정된 방향(A방향 또는 B방향)의 드래그 터치 입력을 인가하면, 드래그 방향을 따라 그래픽 객체(1010)가 스크롤되어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범위가 달라진다.
편집하고 싶은 구간(1014, 1015)이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고, 사용자가 특정 구간(1014)을 터치하면, 터치된 특정 구간(1014)에 대응되는 동영상 이미지의 대표 프레임(1024)이 인접되게 표시된다. 해당 구간(1014)을 삭제하고 싶으면, 기설정된 방향, 예를 들어 위로 플리킹 터치하면 해당 구간(1014)이 삭제되고, 삭제 결과는 실제 촬영된 동영상에도 그대로 반영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설정된 영역이나 객체에 대한 동영상 촬영이 종료된 후, 촬영된 영역이나 객체가 화각을 벗어나는 경우의 시간정보가 시각적으로 표시된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특정 구간을 용이하게 편집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가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외부기기(예, 다른 영상표시장치)와 접속되어 설정된 제 1 영역을 함께 촬영하고 이를 하나로 통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10a 내지 도 10d와,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에서, 기설정된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접속된 다른 외부기기와 함께 수행하는 예시들을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다.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에서, 복수의 기기에 의하여 기설정된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이 종료된 후, 원하지 부분의 동영상 이미지를 병합시키는 방법의 예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영상표시장치(10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외부기기와 접속하여, 무선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 wireless mesh network, a wireless metropolitan area network,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a cellular network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무선 네트워크의 종류는 위에서 열거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영상표시장치(100)와 다른 외부기기는 3G 또는 4G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100)는 3G 또는 4G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다른 외부기기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영상표시장치(100) 및 다른 외부기기는 2G 또는 차세대 통신방법에 의하여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장치(100) 및 다른 외부기기는 개인 통신망(personal area network,PAN)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한편,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PAN)는 IrDA, Wireless USB, Bluetooth, Z-Wave, ZigBee, or even Body Area Network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 기술을 통해 PAN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PAN은 USB 및 FireWire와 같은 유선 컴퓨터 버스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방식 또한, PAN의 한 종류로서 사용될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것 외에도, 영상표시장치(100) 및 다른 외부기기는,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Wireless-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식을 통해서도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특정 이미지를 선택함으로써, 접속할 외부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80)는 촬영 모드에서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다중 촬영 옵션이 선택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다중 촬영 옵션은 영상표시장치(100)에 구비된 메뉴를 조작함으로써,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중 촬영 옵션이 선택되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상표시장치(100)와 접속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외부기기에 대응되는 대표 이미지의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다. 여기서, 상기 대표 이미지(1110)는 접속가능한 외부기기에 대응되는 썸네일 이미지(1110b)와 사용자정보(1110a)가 포함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를 착용한 사용자가 특정 대표 이미지(1110)에 대한 근접 터치를 수행함으로써, 접속할 외부기기가 선택된다.
선택된 대표 이미지에 대응되는 외부기기(1110b)로부터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응답한 외부기기(1110b)와 접속된다.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80)는 위에서 자세하게 설명한, 동영상 촬영할 제 1 영역에 대한 설정과정과, 설정된 제 1 영역을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의 출력과정을 출력한다. 그런 다음, 촬영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접속된 외부기기에도 전송한다.
이와 같이 접속된 외부기기에 촬영을 명하는 제어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설정된 제 1 영역에 대응되는 화면 이미지와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상기 접속된 외부기기(이하, '제2영상표시장치'로 칭하기로 한다)로 더 전송해준다. 즉, 촬영할 제 1 영역을 설정한 영상표시장치(100)(A)는 '마스터 영상표시장치'가 되고, 영상표시장치(100)(A)로부터 제 1 영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촬영하는 제2영상표시장치(B)는 '슬레이브 영상표시장치'가 된다. 이때, '마스터 영상표시장치'의 촬영시작 시간과 '슬레이브 영상표시장치'의 촬영시작 시간은 다를 수 있다.
도 10b에서, 접속된 외부기기, 즉 제2영상표시장치(B)의 화각으로부터 제1영상표시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제 1 영역(1102)의 적어도 일부가 기준범위(예, 50%) 이상 벗어나면, 제2영상표시장치(B)로부터 소정의 알람이 수신된다.
그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A)를 착용한 제1사용자는 제2영상표시장치(B)를 착용한 제2사용자가 제 1 영역을 제대로 촬영하고 있지 않고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접속된 제2영상표시장치(B)의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영상표시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제 1 영역에 대한 이미지(1150)가 출력되고, 제 1 영역(1102)이 화각으로부터 벗어난 정도와 방향을 표시하는 화살표 형상의 가이드(1120)가 출력된다. 제 1 영역의 설정, 변경, 취소 등은 '마스터 영상표시장치'에 의해서만 수행될 수 있다.
'마스터 영상표시장치'(A)는 접속된 모든 외부기기에 대한 촬영 상태 정보를 인지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된 각 외부기기들의 정보(A, B, C)와 그들의 촬영 상태(촬영중(Rec), 일시중단)를 나타내는 메뉴창(1160)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영역에 표시된다. 반면, '마스터 영상표시장치'(A)와 접속된 '슬레이브 영상표시장치'(B)는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된 '마스터 영상표시장치'(A)에 대한 기기정보(1160b)와 촬영 상태 정보(1160a)만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것으로 족하다.
이와 같이, '마스터 영상표시장치'(A)와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영상표시장치'(B)가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수행하는 동안,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 영상표시장치'(100a)에 의해 설정된 피사체(1202)를 동일한 각도나 서로 다른 각도(예, 하나는 피사체의 정면을 지속적으로 촬영하고 다른 하나는 피사체의 측면을 지속적으로 촬영)로 촬영한다. 촬영 도중, '마스터 영상표시장치'(100a)에서 피사체에 대한 동영상 촬영이 일시중단되면, '슬레이브 영상표시장치'(100b)가 피사체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계속하고, '슬레이브 영상표시장 치'(100b)의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마스터 영상표시장치'(100a)에 대한 촬영 상태(1230a)까지도 표시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기기에 의하여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이 종료되면, '마스터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부(180)는 본체에서 생성된 상술한 제1 메타 데이터와 '슬레이브 영상표시장치'에서 생성된 제2 메타 데이터를 수집한다.
여기서, 제2 메타 데이터는 제1 메타 데이터와 유사한 정보들, 예를 들어, 화각내에 제 1 영역의 포함 여부 및 위치 정보와, 상기 접속된 외부기기에서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 여부에 대응되는 시간 정보와, 그리고 상기 접속된 외부기기에서 촬영된 동영상 이미지의 화질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제어부(180)는 접속된 외부기기, 즉 '슬레이브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2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술한 제 1 이미지 객체와 유사한 제2 이미지 객체를 생성한다.
그런 다음,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의 편집 모드(또는, 편집 기능의 실행)에 진입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 동안 생성된 제1 메타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 1 이미지 객체와, 접속된 '슬레이브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수신된 제2 메타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2 이미지 객체를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메뉴 조작에 따라 제 1 이미지 객체와 제 2 이미지 객체는 하나의 화면에 동시에 출력되거나 서로 다른 화면에 출력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이미지 객체(1210b)는 제 1 이미지 객체(1210a)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구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1 영역이 촬영된 시간 정보와, 제 1 영역에 대한 촬영이 중단되거나 화각 전체가 촬영된 구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이미지 객체는 촬영된 이미지의 품질(화질 상태)에 관한 정보와 제 1 영역의 일부만 촬영된 구간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정보들은 상기 제2 이미지 객체에서 시각적으로 구별되도록(예, 서로 다른 색상이나 서로 다른 명암으로 표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서 제2 이미지 객체(1210b)의 전체 길이는 동영상 촬영된 전체 시간에 대응되고, 복수의 구간은 특정 정보들을 포함하며, 각 구간의 색상은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 상태(예, 화각에의 포함여부와 포함된 정도, 화질 상태 등)를 나타낸다.
또한, 제2 이미지 객체는 실제 촬영된 동영상 이미지보다 더 많은 이미지와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제 촬영된 동영상 이미지는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이미지만 포함되고, 이에 대응되는 제2 이미지 객체는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이미지와 함께 화각 전체에 대한 동영상 이미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이미지 객체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면, 사용자는 제1 및 제2 이미지 객체에 대한 기설정된 제스처 입력을 통해 실제 촬영된 동영상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이미지 객체에 표시된 복수의 구간은 서로 대응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영상표시장치(100)의 본체(101)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터치 센서에 인가된 터치의 드래그 방향을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 제 1 이미지 객체나 제2 이미지 객체를 동시에 또는 각각 스크롤되도록 제어함으로써, 편집하고 싶은 구간을 검색할 수 있다.
편집하고 싶은 구간이 디스플레이부(151)에 나타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이미지 객체의 특정 구간(편집하려는 구간)에 대해 기설정된 방향의 제스처 입력이 인가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특정 구간에 대응되는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이미지를 제 1 이미지 객체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51)에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 동안 생성된 제1 메타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 1 이미지 객체(1210a)와 '슬레이브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수신된 제2 메타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2 이미지 객체(1210b)가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본체(101)의 특정 지점(터체 센서가 구비된 지점)에 기설정된 방향(A방향 또는 B방향)의 드래그 터치 입력을 인가하면, 드래그 방향을 따라 제 1 이미지 객체(1210a) 및 /또는 제2 이미지 객체(1210b)가 스크롤되어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범위가 달라진다.
편집하고 싶은 구간(1213, 1231)이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고, 사용자가 대체하고 싶은 제 2 이미지 객체의 특정 구간(1231)을 터치하면, 터치된 특정 구간(1231)에 대응되는 동영상 이미지의 대표 프레임(1241)이 인접된 위치, 예를 들어 위헤 표시된다. 해당 구간(1231)에 인가된 터치를 기설정된 방향, 예를 들어 위로 플리킹 터치하면 해당 구간(1231)에 대응되는 제 1 이미지 객체의 구간(1213)이 터치된 구간(1231)에 대응되는 동영상 이미지로 바뀐다. 영상이 대체된 결과는 실제 촬영된 동영상에도 그대로 반영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동작방법에 의하면, 사용자 신체의 특정 부위에 착용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 영역이나 특정 객체를 지속적으로 동영상 촬영할 수 있는 편의가 제공된다. 따라서, 설정된 특정 영역이나 특정 객체가 카메라의 화각에 포함되기만 하면 사용자의 움직임이나 시선변화에 관계없이 원하는 장면을 지속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설정된 특정 영역이나 특정 객체가 카메라의 화각을 벗어난 경우, 설정된 영역이나 객체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중단하고, 설정된 영역이나 객체의 현재 위치를 사용자에게 알려주어 다시 원하는 영역이나 객체에 대한 촬영이 속행될 수 있도록 하는 편의를 제공한다. 나아가, 설정된 영역이나 객체에 대한 동영상 촬영이 종료되면, 촬영된 영역이나 객체가 화각을 벗어나는 경우의 시간정보가 시각적으로 표시된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특정 구간을 편집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 상기와 같이 설명된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0)

  1. 신체의 특정 부위에 착용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본체;
    상기 본체와 결합되어 동영상 촬영을 위한 프리뷰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프리뷰 화면에서 제 1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을 감지하고, 촬영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수행하는 촬영부; 및
    상기 촬영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영역을 나타내는 제 1 그래픽 객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 중, 상기 제 1 그래픽 객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촬영부의 화각으로부터 기준범위 이상 벗어나면,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중단하고 상기 제 1 영역이 상기 화각으로부터 벗어난 정도를 나타내는 제 2 그래픽 객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시키고, 기설정된 폐곡선 형상의 제스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폐곡선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 1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폐곡선 형상에 대응되는 상기 제 1 그래픽 객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그래픽 객체의 경계를 안으로 좁히는 제스처의 입력이 감지되는 것에 응답하여, 동영상 촬영할 상기 제 1 영역의 범위를 감소시키고,
    상기 제 1 그래픽 객체의 경계를 밖으로 넓히는 제스처의 입력이 감지되는 것에 응답하여, 동영상 촬영할 상기 제 1 영역의 범위를 증가시키고,
    상기 제 1 그래픽 객체를 범위가 변경된 상기 제 1 영역에 대응되도록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폐곡선 형상이 사용자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키는 제스처 입력이 감지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폐곡선 형상을 중심으로 줌-인 기능이 실행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폐곡선 형상이 사용자에 가까워지도록 이동시키는 제스처 입력이 감지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폐곡선 형상을 중심으로 줌-아웃 기능이 실행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영역을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그래픽 객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화각으로부터 기준범위 이상 벗어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사라지면, 소정의 알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6. 신체의 특정 부위에 착용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본체;
    상기 본체와 결합되어 동영상 촬영을 위한 프리뷰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프리뷰 화면에서 제 1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을 감지하고, 촬영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수행하는 촬영부; 및
    상기 촬영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영역을 나타내는 제 1 그래픽 객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 중, 상기 제 1 그래픽 객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촬영부의 화각으로부터 기준범위 이상 벗어나면,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중단하고 상기 제 1 영역이 상기 화각으로부터 벗어난 정도를 나타내는 제 2 그래픽 객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시키고,
    상기 제 1 그래픽 객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화각으로부터 기준범위 이상 벗어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사라지면,
    상기 제 1 영역이 상기 화각의 중앙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와 방향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 2 그래픽 객체의 길이와 표시방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그래픽 객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화각으로부터 기준범위 이상 벗어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사라지면,
    상기 화각 전체에 대한 동영상 촬영 모드로 변경하거나 상기 동영상 촬영의 중단 여부를 질의하는 팝업창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팝업창이 출력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제1 제스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중단하고, 기설정된 제2 제스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이 중단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제 1 그래픽 객체가 상기 화각내에 다시 출력되면,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재개하고 상기 제 2 그래픽 객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프리뷰 화면내의 특정 영역이거나 상기 프리뷰 화면에 포함된 특정 객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1. 신체의 특정 부위에 착용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본체;
    상기 본체와 결합되어 동영상 촬영을 위한 프리뷰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프리뷰 화면에서 제 1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을 감지하고, 촬영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수행하는 촬영부; 및
    상기 촬영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영역을 나타내는 제 1 그래픽 객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 중, 상기 제 1 그래픽 객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촬영부의 화각으로부터 기준범위 이상 벗어나면,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중단하고 상기 제 1 영역이 상기 화각으로부터 벗어난 정도를 나타내는 제 2 그래픽 객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 1 그래픽 객체가 출력된 상태에서, 제 2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상기 제 2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으로 변경하고, 상기 제 2 영역을 나타내는 제 3 그래픽 객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2. 신체의 특정 부위에 착용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본체;
    상기 본체와 결합되어 동영상 촬영을 위한 프리뷰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프리뷰 화면에서 제 1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을 감지하고, 촬영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수행하는 촬영부; 및
    상기 촬영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영역을 나타내는 제 1 그래픽 객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 중, 상기 제 1 그래픽 객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촬영부의 화각으로부터 기준범위 이상 벗어나면,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중단하고 상기 제 1 영역이 상기 화각으로부터 벗어난 정도를 나타내는 제 2 그래픽 객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시키고, 기설정된 폐곡선 형상의 제스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폐곡선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 1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폐곡선 형상에 대응되는 상기 제 1 그래픽 객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1 그래픽 객체의 경계를 안으로 좁히는 제스처의 입력이 감지되는 것에 응답하여, 동영상 촬영할 상기 제 1 영역의 범위를 감소시키고,
    상기 제 1 그래픽 객체의 경계를 밖으로 넓히는 제스처의 입력이 감지되는 것에 응답하여, 동영상 촬영할 상기 제 1 영역의 범위를 증가시키고,
    상기 제 1 그래픽 객체를 범위가 변경된 상기 제 1 영역에 대응되도록 변경시키고,
    상기 제 1 그래픽 객체의 경계가 밖으로 넓혀지는 정도가 기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상기 화각 전체에 대한 동영상 촬영으로 변경하고, 상기 변경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영상 촬영 동안에, 상기 화각내의 상기 제 1 영역의 포함 여부 및 위치 정보와,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 여부에 대응되는 시간 정보와, 그리고 촬영된 동영상 이미지의 화질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여 메모리에 저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4. 신체의 특정 부위에 착용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본체;
    상기 본체와 결합되어 동영상 촬영을 위한 프리뷰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프리뷰 화면에서 제 1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을 감지하고, 촬영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수행하는 촬영부; 및
    상기 촬영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영역을 나타내는 제 1 그래픽 객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 중, 상기 제 1 그래픽 객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촬영부의 화각으로부터 기준범위 이상 벗어나면,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중단하고 상기 제 1 영역이 상기 화각으로부터 벗어난 정도를 나타내는 제 2 그래픽 객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시키고,
    상기 동영상 촬영 동안에, 상기 화각내의 상기 제 1 영역의 포함 여부 및 위치 정보와,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 여부에 대응되는 시간 정보와, 그리고 촬영된 동영상 이미지의 화질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여 메모리에 저장시키며,
    상기 동영상 촬영의 편집 기능이 실행되면, 상기 저장된 메타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 1 이미지 객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상기 터치 센서에 인가된 터치가 드래그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이미지 객체를 스크롤하고,
    상기 제 1 이미지 객체의 특정 구간에 대해 기설정된 방향의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특정 구간에 대응되는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이미지를 삭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5. 신체의 특정 부위에 착용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본체;
    상기 본체와 결합되어 동영상 촬영을 위한 프리뷰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프리뷰 화면에서 제 1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을 감지하고, 촬영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수행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영역을 나타내는 제 1 그래픽 객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제어부; 및
    외부기기와 접속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 중, 상기 제 1 그래픽 객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촬영부의 화각으로부터 기준범위 이상 벗어나면,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중단하고 상기 제 1 영역이 상기 화각으로부터 벗어난 정도를 나타내는 제 2 그래픽 객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시키고,
    상기 프리뷰 화면에서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다중 촬영 옵션이 선택되면, 상기 본체와 접속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에 대응되는 대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대표 이미지 중 선택된 대표 이미지에 대응되는 외부기기로부터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응답한 외부기기와 접속하고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접속된 외부기기에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영역에 대응되는 화면 이미지와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상기 접속된 외부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접속된 외부기기의 화각에서 상기 제 1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기준범위 이상 벗어나면, 상기 접속된 외부기기로부터 소정의 알람이 수신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이 종료되면,
    상기 접속된 외부기기의 화각내의 상기 제 1 영역의 포함 여부 및 위치 정보와, 상기 접속된 외부기기에서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 여부에 대응되는 시간 정보와, 그리고 상기 접속된 외부기기에서 촬영된 동영상 이미지의 화질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 2 메타 데이터가 상기 접속된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 영역에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중 촬영에 대한 편집 기능이 실행되면, 상기 본체에서 생성된 제1 메타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 1 이미지 객체와 상기 접속된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된 제2 메타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2 이미지 객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상기 터치 센서에 인가된 터치가 드래그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및 제2이미지 객체 중 어느 하나를 스크롤하고,
    상기 제2 이미지 객체의 특정 구간에 대해 기설정된 방향의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특정 구간에 대응되는 상기 제 1 이미지 객체에 대응되는 동영상 이미지를 상기 특정 구간에 대응되는 동영상 이미지로 대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9. 신체의 특정 부위에 착용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으로서,
    사용자의 양안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디스플레이부에 동영상 촬영을 위한 프리뷰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프리뷰 화면에서 동영상 촬영할 제 1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 1 영역을 나타내는 제 1 그래픽 객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촬영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 중 상기 제 1 그래픽 객체의 적어도 일부가 화각으로부터 기준범위 이상 벗어나면,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중단하고 상기 제 1 영역이 상기 화각으로부터 이격된 정도를 나타내는 제 2 그래픽 객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기설정된 폐곡선 형상의 제스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폐곡선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 1 영역을 설정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폐곡선 형상에 대응되는 상기 제 1 그래픽 객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제 1 그래픽 객체가 다시 상기 화각내에 출력되면,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재개하고 상기 제 2 그래픽 객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KR1020130112772A 2013-09-23 2013-09-23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119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772A KR102119659B1 (ko) 2013-09-23 2013-09-23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EP14180591.1A EP2852138B1 (en) 2013-09-23 2014-08-12 Head mounted display system
US14/457,607 US9521328B2 (en) 2013-09-23 2014-08-12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CN201410457909.XA CN104469132B (zh) 2013-09-23 2014-09-10 移动终端和该移动终端的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772A KR102119659B1 (ko) 2013-09-23 2013-09-23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150A KR20150033150A (ko) 2015-04-01
KR102119659B1 true KR102119659B1 (ko) 2020-06-08

Family

ID=51359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2772A KR102119659B1 (ko) 2013-09-23 2013-09-23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21328B2 (ko)
EP (1) EP2852138B1 (ko)
KR (1) KR102119659B1 (ko)
CN (1) CN10446913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9704A1 (ko) * 2021-01-07 2022-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12647A1 (en) * 2012-10-10 2015-07-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content
US9402055B2 (en) * 2013-10-11 2016-07-26 Fuji Xerox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peripheral awareness of, and nominal interaction with, a remote meeting using a wearable device
JP6516480B2 (ja) * 2015-01-19 2019-05-22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及び表示方法
EP3076660B1 (en) * 2015-03-31 2021-04-28 Xiaomi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framing information
CN104702848B (zh) * 2015-03-31 2019-02-12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显示取景信息的方法及装置
EP3096303B1 (en) * 2015-05-18 2020-04-08 Nokia Technologies Oy Sensor data conveyance
JP2016218268A (ja) * 2015-05-21 2016-12-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可搬型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表示方法
US10473942B2 (en) * 2015-06-05 2019-11-12 Marc Lemch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capture of medical or dental images using a head mounted camera and computer system
KR102352680B1 (ko) * 2015-07-24 2022-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영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12979A (ko) * 2015-07-27 2017-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공유 서비스를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JP6960212B2 (ja) * 2015-09-14 2021-11-05 株式会社コロプラ 視線誘導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5137601B (zh) * 2015-10-16 2017-11-14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眼镜
CN105263004B (zh) * 2015-11-03 2018-12-18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基于摄像监控系统的主动申请式安全防护方法
US10015400B2 (en) * 2015-12-17 2018-07-0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for capturing an image and associated image capturing method
EP3217379A1 (en) * 2016-03-10 2017-09-13 Nokia Technologies Oy Avatar-enforced spatial boundary condition
CN105929957A (zh) * 2016-04-26 2016-09-07 深圳市奋达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眼镜的控制方法、装置及设备
US10712562B2 (en) * 2016-05-11 2020-07-14 Hcl Technologies Limited Immersive multimedia viewing
CN106210508B (zh) * 2016-06-24 2019-09-2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拍摄预览方法、可穿戴设备及移动终端
CN107645628B (zh) * 2016-07-21 2021-08-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装置
US10770113B2 (en) * 2016-07-22 2020-09-08 Zeality Inc. Methods and system for customizing immersive media content
US10222958B2 (en) 2016-07-22 2019-03-05 Zeality Inc. Customizing immersive media content with embedded discoverable elements
GB2557593A (en) * 2016-12-09 2018-06-27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Virtual reality
US10395342B2 (en) * 2017-01-20 2019-08-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selecting communication interfa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351542B1 (ko) 2017-06-23 2022-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시차 보상 기능을 갖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를 구비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CN110709839A (zh) * 2017-07-17 2020-01-17 谷歌有限责任公司 用于呈现媒体内容预览的方法、系统和介质
CN111566433B (zh) * 2017-09-27 2023-03-07 布什内尔有限责任公司 热瞄准器
CN109582122B (zh) * 2017-09-29 2022-05-03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增强现实信息提供方法、装置及电子设备
TWI707306B (zh) * 2018-03-06 2020-10-11 國立臺灣大學 用於提升在虛擬環境中找尋感興趣區域之效率的方法及裝置
CN108629820A (zh) * 2018-04-28 2018-10-0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编辑方法及移动终端
US10635895B2 (en) 2018-06-27 2020-04-28 Facebook Technologies, Llc Gesture-based casting and manipulation of virtual content in artificial-reality environments
US10712901B2 (en) 2018-06-27 2020-07-14 Facebook Technologies, Llc Gesture-based content sharing in artificial reality environments
US10783712B2 (en) * 2018-06-27 2020-09-22 Facebook Technologies, Llc Visual flairs for emphasizing gestures in artificial-reality environments
JP7258482B2 (ja) 2018-07-05 2023-04-17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
US10937217B2 (en) * 2018-12-28 2021-03-02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for generating edited VR content
CN109936697B (zh) * 2019-04-29 2020-12-22 嘉兴奥恒进出口有限公司 一种视频拍摄目标跟踪方法和装置
US10726631B1 (en) * 2019-08-03 2020-07-28 VIRNECT inc. Augmented reality system and method with frame region recording and reproduction technology based on object tracking
KR20210017081A (ko) * 2019-08-06 2021-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객체에 대응하는 그래픽 요소 표시 방법 및 장치
CN112929641B (zh) * 2019-12-05 2023-06-20 北京芯海视界三维科技有限公司 3d图像显示方法、3d显示设备
CN116095460B (zh) * 2022-05-25 2023-11-21 荣耀终端有限公司 录像方法、装置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86709B2 (ja) 2005-11-02 2010-11-24 オムロン株式会社 撮像装置
US7855743B2 (en) 2006-09-08 2010-12-21 Sony Corporation Image capturing and displaying apparatus and image capturing and displaying method
JP4964807B2 (ja) * 2008-03-07 2012-07-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US8723811B2 (en) * 2008-03-21 2014-05-1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screen displaying method thereof
US8300117B2 (en) * 2008-03-28 2012-10-30 Fuji Xerox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exposing video-taking heuristics at point of capture
WO2009128884A1 (en) * 2008-04-14 2009-10-22 Thomson Licensing Technique for automatically tracking an object
WO2010062479A1 (en) * 2008-11-02 2010-06-03 David Chaum System and apparatus for eyeglass appliance platform
US8397181B2 (en) 2008-11-17 2013-03-1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rking a position of a real world object in a see-through display
US20150169119A1 (en) * 2010-02-17 2015-06-18 Google Inc. Major-Axis Pinch Navigation In A Three-Dimensional Environment On A Mobile Device
WO2011106797A1 (en) * 2010-02-28 2011-09-01 Osterhout Group, Inc. Projection triggering through an external marker in an augmented reality eyepiece
JP2012029245A (ja) * 2010-07-27 2012-02-09 Sanyo Electric Co Ltd 撮像装置
KR101266198B1 (ko) * 2010-10-19 2013-05-21 주식회사 팬택 증강현실 객체정보의 가시성을 높이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1794350B1 (ko) * 2011-02-08 2017-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영상 촬영 방법
JP2013013050A (ja) * 2011-05-27 2013-01-17 Ricoh Co Ltd 撮像装置及びこの撮像装置を用いた表示方法
US8223088B1 (en) * 2011-06-09 2012-07-17 Google Inc. Multimode input field for a head-mounted display
JP5532026B2 (ja) * 2011-08-10 2014-06-2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3093906A1 (en) * 2011-09-19 2013-06-27 Eyesight Mobile Technologies Ltd. Touch free interface for augmented reality systems
CN103018903A (zh) * 2011-09-23 2013-04-03 奇想创造事业股份有限公司 具有显示方位锁定装置的头戴式显示器及其显示方法
EP2791899B1 (en) * 2011-12-16 2016-11-09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capture target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9704A1 (ko) * 2021-01-07 2022-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469132A (zh) 2015-03-25
EP2852138A1 (en) 2015-03-25
EP2852138B1 (en) 2019-10-23
US9521328B2 (en) 2016-12-13
US20150085171A1 (en) 2015-03-26
CN104469132B (zh) 2017-12-08
KR20150033150A (ko) 2015-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9659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11095808B2 (e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100911B1 (ko) 안경형 단말기와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안경형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2127928B1 (ko) 입체적 입력장치를 갖는 글래스형 단말기 및 그의 화면 제어방법
KR10208074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02185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파노라마 촬영방법
KR10208891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135353B1 (ko) 시계형 단말기와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US9761050B2 (en) Information provision device for glasses-type terminal and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US20160011767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2846250A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12480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13079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20170255841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05109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08074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20150119003A1 (en) Method for generating recipe information in mobile terminal
KR10202339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50026644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10546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13308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공유 컨텐츠 표시방법
US20150070525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2452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3535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025774B1 (ko) 그림 입력을 통한 동작 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