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9490B1 - 위상 잡음의 영향을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위상 잡음의 영향을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9490B1
KR102119490B1 KR1020180046977A KR20180046977A KR102119490B1 KR 102119490 B1 KR102119490 B1 KR 102119490B1 KR 1020180046977 A KR1020180046977 A KR 1020180046977A KR 20180046977 A KR20180046977 A KR 20180046977A KR 102119490 B1 KR102119490 B1 KR 102119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mbol
samples
rotation angle
determining
phas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6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9136A (ko
Inventor
자코 에이노 일마리 비리알라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솔루션스 앤드 네트웍스 오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솔루션스 앤드 네트웍스 오와이 filed Critical 노키아 솔루션스 앤드 네트웍스 오와이
Publication of KR20180119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9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9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9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14Carrier reg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04L27/38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 H04L27/3845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using non - coherent demodulation, i.e. not using a phase synchronous carrier
    • H04L27/3854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using non - coherent demodulation, i.e. not using a phase synchronous carrier using a non - coherent carrier, including systems with baseband correction for phase or frequency offset
    • H04L27/3872Compensation for phase rotation in the demodula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0082Monitoring; Testing using service channels; using auxiliary channels
    • H04B17/0087Monitoring; Testing using service channels; using auxiliary channels using auxiliary channels or channel simul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45Interference val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4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5/03178Arrangements involving sequence estimation techniques
    • H04L25/03305Joint sequence estimation and interference remov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5/03821Inter-carrier interference cancellation [IC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8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phase-shift keying
    • H04L27/22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 H04L27/233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using non-coherent demodulation
    • H04L27/2338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using non-coherent demodulation using samp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57Carrier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04L27/3405Modifications of the signal spac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ransmission, e.g. reduction of the bit error rate, bandwidth, or average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04L27/3405Modifications of the signal spac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ransmission, e.g. reduction of the bit error rate, bandwidth, or average power
    • H04L27/3416Modifications of the signal spac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ransmission, e.g. reduction of the bit error rate, bandwidth, or average power in which the information is carried by both the individual signal points and the subset to which the individual points belong, e.g. using coset coding, lattice coding, or related schemes
    • H04L27/3427Modifications of the signal spac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ransmission, e.g. reduction of the bit error rate, bandwidth, or average power in which the information is carried by both the individual signal points and the subset to which the individual points belong, e.g. using coset coding, lattice coding, or related schemes in which the constellation is the n - fold Cartesian product of a single underlying two-dimensional constellation
    • H04L27/3433Modifications of the signal spac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ransmission, e.g. reduction of the bit error rate, bandwidth, or average power in which the information is carried by both the individual signal points and the subset to which the individual points belong, e.g. using coset coding, lattice coding, or related schemes in which the constellation is the n - fold Cartesian product of a single underlying two-dimensional constellation using an underlying square constel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14Carrier regulation
    • H04L2027/0024Carrier regulation at the receiver end
    • H04L2027/0026Correction of carrier offset
    • H04L2027/003Correction of carrier offset at baseband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14Carrier regulation
    • H04L2027/0024Carrier regulation at the receiver end
    • H04L2027/0026Correction of carrier offset
    • H04L2027/0038Correction of carrier offset using an equali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14Carrier regulation
    • H04L2027/0044Control loops for carrier regulation
    • H04L2027/0063Elements of loops
    • H04L2027/0067Phase error det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제안된 해결책은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결책은 데이터 심볼들 및 참조 심볼들의 집합 - 각각의 데이터 심볼은 샘플들의 직사각형 심볼 컨스텔레이션을 형성함 - 으로 이루어진 프레임을 입력으로서 수신하는 단계(300), 참조 심볼들에 기초하여 집합 중의 제 1 심볼을 반회전시키는 단계(302) 및 제 1 심볼의 위상 회전 각도를 0으로 설정하는 단계(304)를 포함한다. 해결책은 또한 심볼들의 집합 내의 각각의 다음의 연속적인 심볼에 대해, 등화를 수행하는 단계(306); 두 개 또는 그 초과의 문턱 값들을 이용하여 컨스텔레이션의 두 개 또는 그 초과의 코너들에서 샘플들을 선택함으로써 컨스텔레이션 내의 샘플들의 수를 감소시키는 단계(308); 감소된 수의 샘플들로부터 심볼의 위상 회전 각도를 추정하는 단계(310); 및 결정된 위상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심볼을 반회전시키는 단계(312)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위상 잡음의 영향을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EFFECTS OF PHASE NOISE}
본 발명의 예시적이고 비 제한적인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통신들에 관한 것이다.
통신, 특히 무선 통신에서, 통신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요인들이 있다. 이러한 요인들 중 일부는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통신 채널에 기인하며, 일부는 송신기와 수신기에서, 특히 장치들의 무선 주파수 및 아날로그 부품들에서 발생하는 비 이상적인 것들로 인한 것이다.
무선 통신에서, 사용되는 주파수들은 높아지고 변조 방법들은 복잡해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요인들은 이용 가능한 통신 채널의 용량 및 품질을 최대화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통신 장치들을 설계하는데 있어서 과제들을 제시한다.
무선 통신과 관련된 문제들 중 일부는 공통 위상 오차(common phase error) 및 반송 주파수 오프셋(carrier frequency offset)이다. 이러한 문제들은 특히 반송 주파수들이 높을 때 내재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데이터 심볼들 및 참조 심볼들의 집합 - 각 데이터 심볼은 샘플들의 직사각형 심볼 컨스텔레이션을 형성함 - 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구조를 입력으로서 수신하기 위한 수단, 참조 심볼들에 기초하여 집합 중의 제 1 심볼을 반회전(derotating)시키기 위한 수단, 제 1 심볼의 위상 회전 각도를 0으로 설정하기 위한 수단; 및 심볼들의 집합 내의 각각의 다음의 연속적인 데이터 심볼에 대해: 등화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 두 개 또는 그 초과의 문턱 값들을 이용하여 컨스텔레이션의 두 개 또는 그 초과의 코너들에서 샘플들을 선택함으로써 컨스텔레이션 내의 샘플들의 수를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 감소된 수의 샘플들로부터 심볼의 위상 회전 각도를 추정하기 위한 수단 및 결정된 위상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심볼을 반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데이터 심볼들 및 참조 심볼들의 집합 - 각 데이터 심볼은 샘플들의 직사각형 심볼 컨스텔레이션을 형성함 - 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구조를 입력으로서 수신하는 단계, 참조 심볼들에 기초하여 집합 중의 제 1 심볼을 반회전시키는 단계, 제 1 심볼의 위상 회전 각도를 0으로 추정하는 단계, 심볼들의 집합 내의 각각의 다음의 연속적인 데이터 심볼에 대해: 등화를 수행하는 단계, 두 개 또는 그 초과의 문턱 값들을 이용하여 컨스텔레이션의 두 개 또는 그 초과의 코너들에서 샘플들을 선택함으로써 컨스텔레이션 내의 샘플들의 수를 감소시키는 단계, 감소된 수의 샘플들로부터 심볼의 위상 회전 각도를 추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위상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심볼을 반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수신기에서의 방법이 제공된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구현들의 예들은 첨부된 도면들 및 아래의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다른 특징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 및 청구항들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별첨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 심볼의 예를 도시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흐름도들이다.
도 4a 및 도 4b는 심볼의 위상 회전 각도를 결정하는 일부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도 5a, 도 5b, 도 5c, 도 6a 및 도 6b는 심볼의 위상 회전 각도를 결정하는 일부의 추가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도 7은 설명된 해결책의 성능의 예를 도시한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용하는 장치들의 단순화된 예들을 도시한다.
실시예들은 임의의 기지국,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UE), 사용자 단말기(user terminal)(UT),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적용 가능하고, 그리고/또는 임의의 통신 시스템 또는 요구되는 기능성들을 지원하는 상이한 통신 시스템들의 임의의 조합에 적용 가능하다.
사용된 프로토콜들, 특히 무선 통신에서 통신 시스템들, 서버들 및 사용자 단말기들의 사양들은 급속하게 발전한다. 그러한 발전은 실시예에 대한 가외의 변경들을 요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모든 단어들 및 표현들은 광범위하게 해석되어야 하며, 이들은 실시예들을 설명하려 의도된 것이지 제한하려 의도된 것은 아니다.
통신 시스템들에 사용될 많은 상이한 무선 프로토콜들이 존재한다. 상이한 통신 시스템들의 일부 예들은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UMTS) radio access network)(UTRAN 또는 E-UTRAN),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LTE, E-UTRA로서도 알려짐), 롱텀 에볼루션 어드밴스드(long term evolution advanced) (LTE-A), 5세대 이동 네트워크들, IEEE 802.11 표준에 기반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마이크로웨이브 액세스를 위한 전세계 상호운용성(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WiMAX), 블루투스(Bluetooth®), 개인 통신 서비스들(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PCS) 및 초광대역(ultra-wideband)(UWB) 기술을 사용하는 시스템들이다. IEEE는 전기 전자 기술자 협회(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를 지칭한다.
이하에서,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는 도 1에 도시된 액세스 아키텍처의 예로서 사용하여 상이한 실시예들이 설명될 것이다. 다만, 여기서 LTE-A라는 용어는 본 발명을 LTE-A로 제한하지 않고 사용된다.
도 1은 도시된 것과 그 구현이 다를 수 있는 모두 논리 유닛들인 일부 요소들과 기능 엔티티들만을 도시하는 단순화된 시스템 아키텍처이다.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시스템이 도시되지 않은 다른 기능들 및 구조들,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시스템과의 접속부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음이 자명하다.
도 1에 도시된 예시적인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0)(도 1에는 하나만 도시됨) 및 무선 액세스 시스템에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셀들을 제어하는 네트워크 노드(102), 및 이동성 관리 엔티티/서빙 게이트웨이(104)를 포함한다.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MME)는 예를 들어, 베어러 활성화/비활성화 프로세스들에 관여된 코어 네트워크 내의 이동성 앵커 엔티티를 나타낸다. 이동성 관리 엔티티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aggregation) 결합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S-GW)는 사용자 데이터 패킷들을 추가로 라우팅하고 포워딩한다.
사용자 단말기(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100)는 무선 인터페이스상의 자원들이 할당 및 배정되는 장치의 한가지 유형을 도시하며,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장치(사용자 장비)에 대해 설명된 임의의 특징은 대응하는 장치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가입자 식별 모듈(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SIM) 유무에 관계없이 동작하는 무선 이동 통신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를 지칭하며,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다음과 같은 유형들의 디바이스들: 이동 전화, 스마트 폰, 개인용 디지털 보조 장치(personal digital assistant)(PDA), 핸드셋, 랩톱 컴퓨터, 전자 독서 디바이스 및 태블릿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102)는 또한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의 예에서, 네트워크 노드들(102)은 사용자 단말기들 및 네트워크 노드들이 연결된 네트워크로 액세스가 제공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셀을 제어하는 장치를 도시한다. LTE-A 시스템에서, 이러한 네트워크 노드는 진화된 노드 B(evolved node B)(eNB)이다. 진화된 노드 B(102) 또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셀들을 제어하는 임의의 대응하는 네트워크 장치는 무선 자원들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진화된 패킷 코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기(100)에 통신 시스템과의 연결을 제공하는 컴퓨팅 디바이스이다. 전형적으로, 그렇다고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진화된 노드 B는 통신의 모든 무선 관련 기능성들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진화된 노드 B는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에 대해 특정의 업 링크 자원들을 할당하고 사용될 전송 포맷들에 관해 사용자 단말기에 통보함으로써 전송 신호들을 스케줄링한다. 노드(102)는 진화된 노드 B 기능성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진화된 노드 B는 또한 셀들을 제공하지만,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별개의 제어 장치 및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별개의 셀 제공 장치들을 갖는 해결책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셀들은 매크로 셀들 및/또는 소형 셀들일 수 있다.
eNB들은 예를 들어 S1-MME/S1-U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이동성 관리 엔티티/서빙 게이트웨이(104)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eNB들은 X2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언급한 바와 같이, 반송 주파수 오프셋(carrier frequency offset)(CFO) 및 위상 잡음으로 인한 공통 위상 오차(common phase error)(CPE)는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내재하며, 특히 반송 주파수가 높을 때 그러하다. 많은 통신 시스템들에서, 통신은 데이터 심볼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프레임들, 서브프레임들 또는 슬롯들과 같은 데이터 구조들을 이용하며, 여기서 각각의 데이터 심볼은 샘플들의 심볼 컨스텔레이션(constellation)을 형성한다. 컨스텔레이션은 예를 들어 직사각형 형태, 정사각형 또는 비 정사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2는 CPE/CFO가 수신된 컨스텔레이션을 회전시킨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 심볼의 예를 도시한다. 전송될 때, 직사각형 심볼 컨스텔레이션의 측면들은 수평(200) 및 수직(202) 축으로 정렬되었다. 그러나 CPE/CFO로 인해, 전체 컨스텔레이션은 위상 회전 각도(α)의 양을 회전시켰다. 수신기에서는 위상 회전 각도(α)를 결정하고 결정된 각도(α)에 기초하여 심볼을 디코딩하기 전에 컨스텔레이션을 반회전(derotate)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수신기에서 수신된 컨스텔레이션의 위상 회전을 추정하기 위해, 데이터 심볼들에 삽입될 수 있는 복조 기준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DMRS)를 이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CPE 추정을 위한 여러 가지 블라인드 방법들이 있다. 이러한 해결책들의 단점들은 높은 계산 복잡도 및/또는 낮은 신호 대 잡음비들을 갖는 열악한 성능이다. 다른 단점은 큰 위상 회전들이 검출될 수 없다는 것이다.
실시예에서, DMRS 심볼(들)은 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의 시작부에 위치되고, 데이터 심볼들이 DMRS 심볼들 뒤를 따른다. 이러한 구현은 프런트 로딩 방식(front-loaded) DMRS이라고 표시된다. 실시예에서, PN 프로세스의 연속적인 샘플들이 상관되고 연속적인 OFDM 심볼들 간의 위상 변화가 비교적 작은 "랜덤 워크(random walk)"로서 표시되는 위상 잡음의 특성이 이용된다.
도 3a는 통신 시스템의 수신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도면은 eNB 또는 사용자 단말기를 제어하는 것과 같은 장치의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흐름도의 단계들은 또한 도 3a에 도시된 것과 상이한 순서일 수 있다. 이하에서, 프레임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지만, 실시예들은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알고 있는 것처럼 서브프레임 또는 다른 데이터 구조들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단계(300)에서, 장치는 데이터 심볼들 및 참조 심볼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프레임을 입력으로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데이터 심볼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샘플들의 직사각형 심볼 컨스텔레이션을 형성한다. 참조 심볼들은 DMRS 심볼(들)일 수 있다.
단계(302)에서, 장치는 참조 심볼들에 기초하여 집합 중의 제 1 데이터 심볼을 반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단계(304)에서, 장치는 제 1 심볼의 위상 회전 각도를 추정하거나 0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참조 심볼들에 기초하여 제 1 데이터 심볼을 반회전시킴으로써, 위상 잡음의 영향이 제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레임의 시작부에서, 위상 잡음의 영향은 가장 작다.
심볼들의 집합에서 각각의 다음의 연속적인 심볼에 대해 다음 단계들이 취해질 수 있다.
단계(306)에서, 장치는 공지된 방법들을 사용하여 등화(equalization)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단계(308)에서, 장치는 두 개 또는 그 초과의 문턱 값들을 이용함으로써 컨스텔레이션의 두 개 또는 그 초과의 코너들에서 샘플들을 선택함으로써 컨스텔레이션 내 샘플들의 수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실시예에서, 문턱치들은 심볼들의 전송에 사용된 변조 방법에 종속한다.
단계(310)에서, 장치는 감소된 수의 샘플들로부터 심볼의 위상 회전 각도(α)를 추정하도록 구성된다.
단계(312)에서, 장치는 결정된 위상 회전 각도(α)에 기초하여 심볼을 반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심볼에 미치는 위상 잡음의 영향이 제거될 수 있다.
더 많은 심볼들이 있다면(314), 다음 심볼에 대해 단계들(306 내지 312)이 반복된다.
도 4a 및 도 4b는 이 실시예의 단계들(308 및 310)을 도시한다. 컨스텔레이션의 직사각형 형상이 여기서 이용될 수 있다. 도 4a는 위상 잡음 또는 CFO로 인해 회전되었던 수신된 심볼 컨스텔레이션을 도시한다. 이 예에서, 네 개의 문턱치들(400, 402, 404, 406)은 컨스텔레이션 내 샘플들의 수를 제한하기 위해 이용된다.
수신된 프레임의 n 번째 심볼이 처리되고 있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심볼은 위상 회전 각도(αn)를 갖는다. 네 개의 문턱치들은 x = kth * y + ath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 kth 및 ath는 심볼들의 전송에 사용된 변조 방법 및 이전 심볼의 위상 회전 각도(αn - 1)에 따라 결정되는 상수들이다. 심볼 컨스텔레이션의 크기 및 형상은 본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사용된 변조 방법에 따라 다르다. 언급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연속적인 심볼들 사이의 위상 변화는 비교적 작다. 이전 심볼의 위상 회전 각도에 관한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더 정확한 결과들이 얻어질 수 있다. 제 1 심볼의 각도는 0일 것으로 추정될 수 있다.
네 개의 문턱치들을 이용하여, 심볼 컨스텔레이션의 각 코너에서 샘플들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문턱치들을 이용한 이후, 네 개의 샘플 그룹들이 얻어지는데, 샘플 그룹들은 샘플 그룹 쌍의 샘플 그룹들이 컨스텔레이션의 반대 측면들에 있는 두 개의 샘플 그룹 쌍들을 형성한다. 도 4a 및 도 4b의 예에서, 문턱치들은 심볼 컨스텔레이션의 상부 좌측(408), 상부 우측(410), 하부 좌측(414) 및 하부 우측(412) 코너들에 있다. 제 1 샘플 그룹 쌍은 상부 좌측 및 하부 우측 코너들에 있는 샘플들을 포함하고, 제 2 샘플 그룹 쌍은 상부 우측 및 하부 좌측 코너들에 있는 샘플들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심볼의 위상 회전 각도는 다음과 같이 추정될 수 있다.
샘플 그룹 쌍, 예를 들어 컨스텔레이션의 상부 좌측 및 하부 우측 코너들에 있는 샘플들을 관통하는 제 1 라인(420)이 결정되고 라인의 기울기(k1)가 결정된다.
마찬가지로, 다른 샘플 그룹 쌍, 즉 컨스텔레이션의 상부 우측 및 하부 좌측 코너들에 있는 샘플들을 관통하는 제 2 라인(418)이 결정되고 라인의 기울기(k2)가 결정된다.
그 다음, 최종 기울기(k3)는 k3 = ½ * (k1 - 1/k2)로서 결정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검토 중인 심벌의 위상 회전 각도(αn)는 다음으로부터 구해진다.
αn = atan(k3) - π/4
이제, 결정된 위상 회전 각도(αn)에 기초하여 심볼은 반회전될 수 있고 심볼에 미치는 위상 잡음 또는 CPE/CFO의 영향은 제거될 수 있다.
도 3b는 통신 시스템의 수신기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도면은 eNB 또는 사용자 단말기를 제어하는 것과 같은 장치의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흐름도의 단계들은 또한 도 3b에 도시된 것과 상이한 순서일 수 있다.
도 3b의 단계들 중 일부는 도 3a의 흐름도와 유사하다. 유사한 단계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갖는다. 제 1 단계들(300, 302, 304 및 306)은 동일하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아래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반회전될 심볼의 임시 사본이 이용된다.
단계(320)에서, 장치는 등화 이후에 이전 심볼의 위상 회전 각도(αn - 1)를 사용하여 심볼의 임시 사본을 반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심볼 컨스텔레이션은 이전 심볼의 위상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반회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심볼의 회전 각도는 감소될 수 있다.
단계(322)에서, 장치는 심볼의 임시 사본의 반회전된 컨스텔레이션 내 샘플들의 수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이 단계는 아래에서 자세히 논의된다.
단계(324)에서, 장치는 감소된 수의 샘플들로부터 임시 심볼의 위상 회전 각도(αnT)를 추정하도록 구성된다. 이 단계는 아래에서 자세히 논의된다.
단계(326)에서, 장치는 추정된 위상 회전 각도(αnT)와 이전 심볼의 위상 회전 각도(αn - 1)의 합으로서 원 심볼의 위상 회전 각도(αn)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도 3a에서와 같이, 단계(312)에서, 장치는 결정된 위상 회전 각도(α)에 기초하여 심볼을 반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심볼에 미치는 위상 잡음의 영향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더 많은 심볼들이 있다면(314), 다음 심볼에 대해 단계(306 내지 312)가 반복된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단계들(324 및 326)을 실현하는 제 1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컨스텔레이션 내 샘플들의 수를 감소시키는 것은 먼저 미리 정해진 얼마간의 각도들로 심볼 컨스텔레이션의 임시 사본을 회전시키는 것이다. 이 경우, 컨스텔레이션이 직사각형인 경우, 각도들의 양은 예를 들어 약 45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회전 각도는 컨스텔레이션의 형상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이 경우, 회전에 의해 도 5a의 컨스텔레이션이 초래된다. 다음으로, 심볼 컨스텔레이션의 가장 작은 실수 부들을 가진 샘플들은 더 낮은 문턱치(500)를 적용하고 그 문턱치보다 작은 샘플들(504)을 선택함으로써 결정된다. 마찬가지로, 심볼 컨스텔레이션의 가장 큰 실수 부들을 가진 샘플들은 더 높은 문턱치(502)를 적용하고 그 문턱치보다 큰 샘플들을 선택함으로써 결정된다. 실시예에서, 더 낮고 더 높은 문턱치들(500, 502)은 심볼들의 전송에 사용된 변조 방법에 종속한다.
심볼의 임시 사본의 위상 회전 각도를 추정하는 것은 먼저 가장 작은 그리고 가장 큰 실수 샘플들(504, 506)을 통과하는 라인(508)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선형 회귀가 사용되어 이들 샘플들을 라인(y = kr * x)에 맞출 수 있다. 선형 회귀의 예로서, 라인의 계수 또는 기울기(kr)는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18040762866-pat00001
여기서 N은 샘플들의 수이고, xi 및 yi는 각 샘플의 실수 부 및 허수 부이다. 제시된 공식은 가능한 계산 방법들 중 한 예이다. 또한,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다른 공식들이 사용될 수 있다. 그 다음 회전 각도는 다음과 같이 추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8040762866-pat00002
원 심볼의 위상 회전 각도(αn)는 추정된 위상 회전 각도(αnT)와 이전 심볼의 위상 회전 각도(αn - 1)의 합으로서 계산될 수 있다.
αn = αnT + αn -1.
위에서는 실수 샘플 값들이 이용되었다. 허수 샘플들도 마찬가지로 사용될 수 있다. 그 경우, 컨스텔레이션 내의 샘플들의 수를 감소시키는 것은 먼저 더 낮은 문턱치를 적용하고 그 문턱치보다 작은 샘플들을 선택함으로써 심벌 컨스텔레이션의 가장 작은 허수 부들을 가진 샘플들을 선택하는 것 및 더 높은 문턱치를 적용하고 그 문턱치보다 큰 샘플들을 선택함으로써 심벌 컨스텔레이션의 가장 큰 허수 부들을 가진 샘플들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런 다음 가장 작은 그리고 가장 큰 허수 샘플들을 갖는 컨스텔레이션을 90도 회전시킨다. 상기와 유사한 방식으로, 심볼의 위상 회전 각도를 추정하는 것은 가장 작은 그리고 가장 큰 허수 샘플들을 통과하는 라인을 결정하는 것, 라인의 기울기(ki)를 결정하는 것 및 기울기에 기초하여 위상 회전 각도(αnT)를 계산하는 것을 포함한다. 위의 αnT 에 관한 수학식에서, 실수 샘플 라인의 기울기(kr)는 허수 샘플 라인의 기울기(ki)로 대체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실수 및 허수 샘플들 둘 다 모두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방법은 가장 작은 그리고 가장 큰 실수 샘플들에 기초하여 제 1 기울기(kr)에 대한 값 및 가장 작은 그리고 가장 큰 허수 샘플들에 기초하여 제 2 기울기(ki)에 대한 값을 결정하는 단계, 제 1 및 제 2 기울기의 평균을 취하는 단계 및 그 평균에 기초하여 위상 회전 각도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6a 및 도 6b는 단계들(324 및 326)을 실현하는 제 2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컨스텔레이션 내의 샘플들의 수를 감소시키는 것은 네 개의 문턱치들(600, 602, 604, 606)을 이용하여 컨스텔레이션 내의 샘플들의 수를 제한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4a 및 도 4b와 관련하여 위와 마찬가지로, 네 개의 문턱치들은 x = kth * y + ath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 kth 및 ath는 이 경우에 심볼들의 전송에 사용된 변조 방법에 따른 상수들이다.
네 개의 문턱치들을 이용하여, 심볼 컨스텔레이션의 각 코너에서 샘플들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문턱치들을 이용한 이후, 네 개의 샘플 그룹들이 얻어지는데, 샘플 그룹들은 샘플 그룹 쌍의 샘플 그룹들이 컨스텔레이션의 반대 측면들에 있는 두 개의 샘플 그룹 쌍들을 형성한다. 도 6a 및 도 6b의 예에서, 문턱치들은 심볼 컨스텔레이션의 상부 좌측(608), 상부 우측(610), 하부 좌측(614) 및 하부 우측(612) 코너들에 있다. 제 1 샘플 그룹 쌍은 상부 좌측 및 하부 우측 코너들에 있는 샘플들을 포함하고, 제 2 샘플 그룹 쌍은 상부 우측 및 하부 좌측 코너들에 있는 샘플들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심볼의 위상 회전 각도는 다음과 같이 추정될 수 있다.
샘플 그룹 쌍, 예를 들어 컨스텔레이션의 상부 좌측 및 하부 우측 코너들에 있는 샘플들을 통과하는 제 1 라인(618)이 결정되고 라인의 기울기(k4)가 결정된다.
마찬가지로, 다른 샘플 그룹 쌍, 즉 컨스텔레이션의 상부 우측 및 하부 좌측 코너들에 있는 샘플들을 통과하는 제 2 라인(620)이 결정되고, 라인의 기울기(k5)가 결정된다.
다음으로, 최종 기울기(k6)는 k6 = ½ *(k4 - 1/k5)로서 결정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검토 중인 심벌의 위상 회전 각도(αn)는 다음으로부터 얻어진다.
αn = atan(k6) - π/4.
이제, 결정된 위상 회전 각도(αn)에 기초하여 심볼이 반회전될 수 있고 심볼에 미치는 위상 잡음 또는 CPE/CFO의 영향이 제거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의 처리 역량이 제한될 때, 더 적은 처리량으로 최종 기울기를 얻기 위해 k4 또는 k5만이 계산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처리될 프레임들을 수신하는 수신기가 다중 안테나들 또는 안테나 그룹들을 이용하고 이에 따라 수신된 신호가 여러 층들을 포함할 수 있을 때, 처리는 각 층마다 개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문턱치들을 이용할 때, 샘플들의 수는 두 개 또는 그 초과의 문턱 값들을 이용하여 샘플들의 수를 감소시킨 이후에 결정된다. 남아있는 샘플들의 수가 주어진 제한치들보다 작거나 크면, 문턱 값들은 조정될 수 있고 컨스텔레이션 내 샘플들의 수는 다시 꾸려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k1, k2 및 k4, k5를 이용한 예들과 같이 두 개의 기울기들이 결정되는 경우, 기울기들을 결정하는데 부수적인 제약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종 기울기의 결정에 사용된 라인들이 수직이어야 한다고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위의 예들에서, k1 = -1/k2 및 k4 = -1/k5이다. 위의 예들에서, 최종 기울기는 αn = atan(k1)-π/4 및 αn = atan(k4)-π/4로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도 4b 및 6b를 참조하면, 상부 좌측 및 하부 우측 코너들의 샘플들은 90도 회전될 수 있으며 그후 모든 샘플들에 대해 선형 회귀를 수행함으로써 기울기를 계산할 수 있다.
도 7은 설명된 해결책의 성능의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블록 오류율(block error rate)(BLER) 또는 수신된 신호를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SNR의 함수로서 도시한다. 이 도면은 위상 잡음이 없는 이상적인 상황에서 BLER(700)을 도시한다. 그래프(702)는 위상 잡음 보상이 행해지지 않았을 때의 성능을 도시하며, 그래프(704)는 제안된 해결책을 적용한 성능을 도시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안된 해결책은 우수한 성능을 제공한다.
제안된 해결책은 많은 장점들을 갖는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능은 양호하다. 또한, 루프 구조로 인해 제안된 해결책은 수신된 심볼들이 큰 위상 회전 각도들을 갖는 사례들에서도 또한 잘 작동한다. 이 해결책은 어떠한 반복들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종래 기술의 방법들에 비해 복잡도가 낮다.
실시예에서, 해결책에 의해 제공된 위상 회전 정보는 위상 회전 정보를 간섭 제거에 대한 피드백으로 제공함으로써 부반송파간 간섭(inter-carrier interference)(ICI)을 감소시키기 위해 FFT 전에 수신기 내에서 이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안된 해결책은 위상 잡음 추적 참조 신호(phase noise tracking reference signal)(PTRS)와 같은 다른 방법들과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종 회전 각도 추정은 제안된 방법과 PTRS 기반 방법으로부터의 각도 추정의 조합일 수 있다. 한 사용자에 의해 사용된 PTRS 부반송파들은 동일한 또는 다른 사용자들에 의한 데이터에 사용될 수 없기 때문에 PTRS의 사용은 오버헤드를 수반한다는 것을 주목할 수 있다. 제안된 해결책으로, PTRS 오버헤드는 PTRS 부반송파들의 수를 감소시킴으로써 감소되거나 PTRS를 전혀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전체적으로 회피될 수 있다.
도 8a 및 8b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용하는 장치의 단순화된 예를 도시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장치는 eNB 또는 eNB의 일부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 또는 사용자 단말기의 일부일 수 있다.
장치는 본 명세서에서 일부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예로서 도시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장치가 다른 기능들 및/또는 구조들을 또한 포함할 수 있고 설명된 모든 기능들 및 구조들이 요구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명백하다. 장치가 하나의 엔티티로서 도시되었지만, 상이한 모듈들 및 메모리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물리적 또는 논리적 엔티티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신호가 수신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안테나들(800) 또는 안테나 그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된 신호는 무선 주파수 부품들(802) 및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ing)(FFT) 수단(804)으로 보내진다. FFT 이후에, 신호는 등화기(806)로 보내지고, 등화기(806)는 채널 추정기(808)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신호에 미친 신호 경로의 영향을 부분적으로 제거한다. 실시예에서, 언급된 구성요소들은 공지된 방법들을 사용하여 실현될 수 있다.
장치는 수신된 데이터 심볼들의 위상 회전 각도를 추정하기 위한 전술한 방법 단계들 중 일부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위상 오차 추정 및 보상 처리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8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제어기, 제어 회로 또는 프로세서(820)로 실현될 수 있다. 구성 요소들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8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회로(820)에 의해 실행 가능한 소프트웨어(824)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는 제어 회로에 통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824)는 제어 회로(820)로 하여금 데이터 심볼들 및 참조 심볼들의 집합 - 각각의 데이터 심볼은 샘플들의 직사각형 샘플 컨스텔레이션을 형성함 - 으로 이루어진 프레임을 입력으로서 수신하고, 참조 심볼들에 기초하여 집합 중의 제 1 심볼을 반회전시키고, 제 1 심볼의 위상 회전 각도를 추정하거나 0으로 설정하고, 심볼들의 집합 내 각각의 다음의 연속적인 심볼에 대해, 등화를 수행하고; 두 개 또는 그 초과의 문턱 값들을 이용하여 컨스텔레이션의 두 개 또는 그 초과의 코너들에서 샘플들을 선택함으로써 컨스텔레이션 내 샘플들의 수를 감소시키고; 감소된 수의 샘플들로부터 심볼의 위상 회전 각도를 추정하고; 그리고 결정된 위상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심볼을 반회전시키도록 적응된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위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단계들 및 관련 기능들은 절대적인 연대적 순서가 아니며, 단계들 중 일부는 동시에 수행되거나 주어진 순서와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다른 기능들은 단계들 사이 또는 단계들 내에서도 또한 실행될 수 있다. 단계들 중 일부는 또한 빼내거나 대응하는 단계로 대체될 수 있다.
전술한 단계들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들 또는 제어기들은 작업 메모리(RAM),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및 시스템 클록을 포함할 수 있는 전자 디지털 컴퓨터로서 구현될 수 있다. CPU는 레지스터들의 집합, 산술 논리 유닛 및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는 RAM으로부터 CPU로 전달되는 일련의 프로그램 명령어들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기는 기본 동작들을 위한 다수의 마이크로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 명령어들의 구현은 CPU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C, Java 등과 같은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 또는 기계어 또는 어셈블러와 같은 저급 프로그래밍 언어일 수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에 의해 코딩될 수 있다. 전자 디지털 컴퓨터는 또한 프로그램 명령어들로 작성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시스템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는 운영 체제를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회로'라는 용어는 다음과 같은 것들: (a)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회로 만의 구현들과 같은 하드웨어만의 회로 구현들, 및 (b) 회로들과 소프트웨어(및/또는 펌웨어)의 조합들, 예컨대, (해당되는 경우) (i) 프로세서(들)의 조합 또는 (ii) 함께 작동하여 장치로 하여금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하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 소프트웨어 및 메모리(들)를 포함하는 프로세서(들)/소프트웨어의 일부분들, 및 (c) 설령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가 물리적으로 존재하지 않을지라도,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일부분과 같이, 동작을 위한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를 필요로 하는 회로들의 모든 것을 지칭한다.
'회로'의 이와 같은 정의는 본 출원에서 이러한 용어의 모든 용도들에 적용된다. 추가의 예로서, 본 출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회로'라는 용어는 단지 하나의 프로세서(또는 다수의 프로세서들) 또는 프로세서 및 그의 (또는 그들의) 동반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의 일부분의 구현을 또한 망라할 것이다. '회로'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그리고 특정 요소에 해당되는 경우, 이동 전화용 베이스밴드 집적 회로 또는 애플리케이션스 프로세서 집적 회로(applications processor integrated circuit) 또는 서버 내의 유사한 집적 회로, 셀룰러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또한 망라할 것이다.
실시예는 전자 장치에 로딩될 때 그 장치를 제어하여 전술한 실시예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배포 매체상에서 구현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소스 코드 형태, 오브젝트 코드 형태 또는 일부 중간 형태일 수 있으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그램을 운반할 수 있는 임의의 엔티티 또는 디바이스일 수 있는 일종의 캐리어에 저장될 수 있다. 그러한 반송파들은 예를 들어, 기록 매체, 컴퓨터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및 소프트웨어 배포 패키지를 포함한다. 필요한 처리 능력에 따라, 컴퓨터 프로그램은 단일의 전자 디지털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거나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 사이에서 분산될 수 있다.
장치는 또한 주문형 집적 회로들(ASIC)과 같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집적 회로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별개의 로직 구성 요소들로 구축된 회로와 같은 다른 하드웨어 실시예들도 또한 실현 가능하다. 이러한 상이한 구현들의 혼합체도 또한 실현 가능하다. 구현의 방법을 선택할 때,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예를 들어, 장치의 크기 및 전력 소비, 필요한 처리 용량, 생산 비용들 및 생산량들에 대해 설정된 요건들을 고려할 것이다.
기술이 진보함에 따라, 발명의 개념이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음은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 및 그 실시예들은 전술한 예들에 제한되지 않고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Claims (21)

  1. 통신 시스템의 수신기에서의 방법으로서,
    데이터 심볼들 및 참조(reference) 심볼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데이터 구조를 입력으로서 수신하는 단계 - 각각의 데이터 심볼은 샘플들의 직사각형 심볼 컨스텔레이션(constellation)에 대응함 -;
    상기 참조 심볼들에 기초하여 상기 세트 중의 제 1 심볼을 반회전(derotate)시키는 단계;
    상기 제 1 심볼의 위상 회전 각도를 0으로 추정하는 단계;
    상기 심볼들의 세트 내의 각각의 다음의 연속적인 데이터 심볼에 대해:
    등화를 수행하는 단계;
    두 개 또는 그 초과의 문턱(threshold) 값들을 이용하여 상기 컨스텔레이션의 두 개 또는 그 초과의 코너들에서 샘플들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컨스텔레이션 내의 샘플들의 수를 감소시키는 단계;
    상기 감소된 수의 샘플들로부터 상기 심볼의 위상 회전 각도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추정된 위상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심볼을 반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수신기에서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등화 이후에, 이전 심볼의 위상 회전 각도를 사용하여 상기 심볼의 임시 사본(copy)을 반회전시키고; 그리고
    상기 심볼의 위상 회전 각도를 추정하는 것은, 상기 심볼의 상기 임시 사본의 위상 회전 각도를 추정하는 것, 및 상기 추정된 위상 회전 각도와 상기 이전 심볼의 위상 회전 각도의 합으로서 상기 심볼의 위상 회전 각도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수신기에서의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스텔레이션 내의 샘플들의 수를 감소시키는 단계는:
    미리 결정된 수치의 각도들로 심볼 컨스텔레이션을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두 개 또는 그 초과의 문턱 값들 중 더 낮은 문턱치를 적용하고 그리고 상기 더 낮은 문턱치보다 작은 샘플들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심볼 컨스텔레이션으로부터 가장 작은 실수 부를 갖는 샘플들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두 개 또는 그 초과의 문턱 값들 중 상기 더 낮은 문턱치에 비해 더 높은 문턱치를 적용하고 그리고 상기 더 높은 문턱치보다 큰 샘플들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심볼 컨스텔레이션으로부터 가장 큰 실수 부를 갖는 샘플들을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심볼의 위상 회전 각도를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가장 작은 실수 부 및 상기 가장 큰 실수 부를 갖는 샘플들을 통과하는 라인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라인의 기울기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기울기에 기초하여 상기 위상 회전 각도를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수신기에서의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스텔레이션 내의 샘플들의 수를 감소시키는 단계는:
    상기 두 개 또는 그 초과의 문턱 값들 중 더 낮은 문턱치를 적용하고 그리고 상기 더 낮은 문턱치보다 작은 샘플들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심볼 컨스텔레이션으로부터 가장 작은 허수 부를 갖는 샘플들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두 개 또는 그 초과의 문턱 값들 중 상기 더 낮은 문턱치에 비해 더 높은 문턱치를 적용하고 그리고 상기 더 높은 문턱치보다 큰 샘플들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심볼 컨스텔레이션으로부터 가장 큰 허수 부를 갖는 샘플들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가장 작은 허수 부 및 상기 가장 큰 허수 부를 가진 샘플들을 갖는 컨스텔레이션을 90도 회전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심볼의 상기 위상 회전 각도를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가장 작은 허수 부 및 상기 가장 큰 허수 부를 갖는 샘플들을 통과하는 라인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라인의 기울기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기울기에 기초하여 상기 위상 회전 각도를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수신기에서의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 작은 실수 부 및 상기 가장 큰 실수 부를 갖는 샘플들에 기초하는 제 1 기울기의 값 및 가장 작은 허수 부 및 가장 큰 허수 부를 갖는 샘플들에 기초하는 제 2 기울기의 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기울기 및 상기 제 2 기울기의 평균을 취하는 단계; 및
    상기 평균에 기초하여 상기 위상 회전 각도를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수신기에서의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더 낮은 문턱치 및 상기 더 높은 문턱치는 상기 심볼들의 전송에 사용되는 변조 방법에 종속하는, 통신 시스템의 수신기에서의 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심볼의 위상 회전 각도를 추정하는 단계는:
    네 개의 문턱치들을 이용하여, 상기 심볼 컨스텔레이션의 각 코너에서 샘플들을 선택하여 네 개의 샘플 그룹들을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샘플 그룹들은 샘플 그룹 쌍의 샘플 그룹들이 상기 컨스텔레이션의 반대 측들 상에 있는 두 개의 샘플 그룹 쌍들을 형성함 -;
    샘플 그룹 쌍을 통과하는 라인을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라인의 기울기(k1)를 결정하는 단계;
    다른 샘플 그룹 쌍을 통과하는 라인을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라인의 기울기(k2)를 결정하는 단계;
    ½ * (k1 - 1/k2)로서 k3을 결정하는 단계;
    atan(k3) - π/4로서 상기 위상 회전 각도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수신기에서의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네 개의 문턱치들은 x = kth * y + ath의 형식을 갖고, 여기서, kth 및 ath는 상기 심볼들의 전송에 사용되는 변조 방법에 따른 상수들인, 통신 시스템의 수신기에서의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스텔레이션 내의 샘플들의 수를 감소시키는 단계는:
    x = kth * y + ath 형식의 네 개의 문턱치들을 선택하는 단계 - 여기서 kth 및 ath는 상기 심볼들의 전송에 사용되는 변조 방법 및 이전 심볼의 위상 회전 각도에 따른 상수들임 -;
    상기 네 개의 문턱치들을 이용하여, 상기 심볼 컨스텔레이션의 각 코너에서 샘플들을 선택하여 네 개의 샘플 그룹들을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샘플 그룹들은 샘플 그룹 쌍의 샘플 그룹들이 상기 컨스텔레이션의 반대 측들 상에 있는 두 개의 샘플 그룹 쌍들을 형성함 -
    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심볼의 위상 회전 각도를 추정하는 단계는:
    제 1 샘플 그룹 쌍을 통과하는 라인을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라인의 기울기(k4)를 결정하는 단계;
    다른 샘플 그룹 쌍을 통과하는 라인을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라인의 기울기(k5)를 결정하는 단계;
    ½ * (k4 - 1/k5)로서 k6을 결정하는 단계;
    atan(k6)-π/4로서 상기 위상 회전 각도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수신기에서의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두 개 또는 그 초과의 문턱 값들을 이용하여 샘플들의 수를 감소시킨 이후에 상기 샘플들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샘플들의 수가 주어진 제한치들보다 작거나 크면 상기 문턱 값들을 조정하고 그리고 상기 컨스텔레이션 내의 샘플들의 수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수신기에서의 방법.
  11.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로서,
    데이터 심볼들 및 참조 심볼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데이터 구조를 입력으로서 수신하기 위한 수단 - 각 데이터 심볼은 샘플들의 직사각형 심볼 컨스텔레이션에 대응함 -;
    상기 참조 심볼들에 기초하여 상기 세트 중의 제 1 심볼을 반회전시키기 위한 수단;
    상기 제 1 심볼의 위상 회전 각도를 0으로 설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심볼들의 세트 내의 각각의 다음의 연속적인 심볼에 대해:
    등화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
    두 개 또는 그 초과의 문턱 값들을 이용하여 상기 컨스텔레이션의 두 개 또는 그 초과의 코너들에서 샘플들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컨스텔레이션 내의 샘플들의 수를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
    상기 감소된 수의 샘플들로부터 상기 심볼의 위상 회전 각도를 추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추정된 위상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심볼을 반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등화 이후에, 이전 심볼의 위상 회전 각도를 사용하여 상기 심볼의 임시 사본을 반회전시키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심볼의 상기 임시 사본의 위상 회전 각도를 추정하고 그리고 상기 추정된 위상 회전 각도와 상기 이전 심볼의 위상 회전 각도의 합으로서 상기 심볼의 위상 회전 각도를 결정함으로써 상기 심볼의 위상 회전 각도를 추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수치의 각도들로 심볼 컨스텔레이션을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
    상기 두 개 또는 그 초과의 문턱 값들 중 더 낮은 문턱치를 적용하고 그리고 상기 더 낮은 문턱치보다 작은 샘플들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심볼 컨스텔레이션으로부터 가장 작은 실수 부를 갖는 샘플들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
    상기 두 개 또는 그 초과의 문턱 값들 중 상기 더 낮은 문턱치에 비해 더 높은 문턱치를 적용하고 그리고 상기 더 높은 문턱치보다 큰 샘플들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심볼 컨스텔레이션으로부터 가장 큰 실수 부를 갖는 샘플들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
    상기 가장 작은 실수 부 및 상기 가장 큰 실수 부를 갖는 샘플들을 통과하는 라인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라인의 기울기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기울기에 기초하여 상기 위상 회전 각도를 계산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 또는 그 초과의 문턱 값들 중 더 낮은 문턱치를 적용하고 그리고 상기 더 낮은 문턱치보다 작은 샘플들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심볼 컨스텔레이션으로부터 가장 작은 허수 부를 갖는 샘플들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
    상기 두 개 또는 그 초과의 문턱 값들 중 상기 더 낮은 문턱치에 비해 더 높은 문턱치를 적용하고 그리고 상기 더 높은 문턱치보다 큰 샘플들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심볼 컨스텔레이션으로부터 가장 큰 허수 부를 갖는 샘플들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
    상기 가장 작은 허수 부 및 상기 가장 큰 허수 부를 가진 샘플들을 갖는 컨스텔레이션을 90도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
    상기 가장 작은 허수 부 및 상기 가장 큰 허수 부를 갖는 샘플들을 통과하는 라인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라인의 기울기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기울기에 기초하여 상기 위상 회전 각도를 계산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 작은 실수 부 및 상기 가장 큰 실수 부를 갖는 샘플들에 기초하는 제 1 기울기의 값 및 가장 작은 허수 부 및 가장 큰 허수 부를 갖는 샘플들에 기초하는 제 2 기울기의 값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1 기울기 및 상기 제 2 기울기의 평균을 취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평균에 기초하여 상기 위상 회전 각도를 계산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더 낮은 문턱치 및 상기 더 높은 문턱치는 상기 심볼들의 전송에 사용되는 변조 방법에 종속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
  17. 제 12 항에 있어서,
    네 개의 문턱치들을 이용하여, 상기 심볼 컨스텔레이션의 각 코너에서 샘플들을 선택하여 네 개의 샘플 그룹들을 획득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샘플 그룹들은 샘플 그룹 쌍의 샘플 그룹들이 상기 컨스텔레이션의 반대 측들 상에 있는 두 개의 샘플 그룹 쌍들을 형성함 -;
    샘플 그룹 쌍을 통과하는 라인을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라인의 기울기(k1)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다른 샘플 그룹 쌍을 통과하는 라인을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라인의 기울기(k2)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½ * (k1 - 1/k2)로서 k3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atan(k3) - π/4로서 상기 위상 회전 각도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네 개의 문턱치들은 x = kth * y + ath의 형식을 갖고, 여기서, kth 및 ath는 상기 심볼들의 전송에 사용되는 변조 방법에 따른 상수들인,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
  19. 제 11 항에 있어서,
    x = kth * y + ath 형식의 네 개의 문턱치들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 - 여기서 kth 및 ath는 상기 심볼들의 전송에 사용되는 변조 방법 및 이전 심볼의 위상 회전 각도에 따른 상수들임 -;
    상기 네 개의 문턱치들을 이용하여, 상기 심볼 컨스텔레이션의 각 코너에서 샘플들을 선택하여 네 개의 샘플 그룹들을 획득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샘플 그룹들은 샘플 그룹 쌍의 샘플 그룹들이 상기 컨스텔레이션의 반대 측들 상에 있는 두 개의 샘플 그룹 쌍들을 형성함 -;
    제 1 샘플 그룹 쌍을 통과하는 라인을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라인의 기울기(k4)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다른 샘플 그룹 쌍을 통과하는 라인을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라인의 기울기(k5)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½ * (k4 - 1/k5)로서 k6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atan(k6)-π/4로서 상기 위상 회전 각도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
  20. 제 11 항에 있어서,
    두 개 또는 그 초과의 문턱 값들을 이용하여 샘플들의 수를 감소시킨 이후에 상기 샘플들의 수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샘플들의 수가 주어진 제한치들보다 작거나 크면 상기 문턱 값들을 조정하고 그리고 상기 컨스텔레이션 내의 샘플들의 수를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
  21.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전자 장치에서 실행될 때,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의 단계들을 실행하기 위해 상기 장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80046977A 2017-04-24 2018-04-23 위상 잡음의 영향을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1194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167795 2017-04-24
EP17167795.8A EP3396916B1 (en) 2017-04-24 2017-04-24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effects of phase noi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136A KR20180119136A (ko) 2018-11-01
KR102119490B1 true KR102119490B1 (ko) 2020-06-08

Family

ID=58664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977A KR102119490B1 (ko) 2017-04-24 2018-04-23 위상 잡음의 영향을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411925B2 (ko)
EP (1) EP3396916B1 (ko)
JP (1) JP6574505B6 (ko)
KR (1) KR102119490B1 (ko)
CN (1) CN1087373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02709B (zh) * 2019-01-07 2021-06-04 复旦大学 基于mimo通信系统模拟移相器的网络强干扰消除算法
US11212155B2 (en) * 2019-06-19 2021-12-28 Altiostar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recep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11290316B2 (en) * 2020-03-13 2022-03-29 Keysight Technologies, In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efficient compensation of residual phase noise in 5G new radio (NR) downlink (DL) signal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11986A1 (en) 2014-04-23 2015-10-29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Phase Noise Tracking and Reductio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51368A (en) * 1999-03-22 2000-11-21 Sicom, Inc. Phase-noise compensated digital communication receiver and method therefor
US6151358A (en) * 1999-08-11 2000-11-2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producing filter coefficients for equalizers
US6856656B2 (en) * 2000-12-04 2005-02-15 Conexant Systems, Inc. Iterative carrier phase tracking decoding system
JP5803795B2 (ja) 2012-04-20 2015-11-04 富士通株式会社 受信装置、周波数偏差算出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2882652B (zh) * 2012-10-09 2014-04-16 南京六九零二科技有限公司 基于迭代译码和判决反馈的m-apsk信噪比估计方法
US9137065B2 (en) * 2012-12-20 2015-09-1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to mitigate phase noise
CN103746947A (zh) * 2014-01-07 2014-04-23 电子科技大学 一种相位噪声的估计方法
US9667458B1 (en) 2015-06-03 2017-05-30 Qualcomm Incorporated Feed-forward phase track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11986A1 (en) 2014-04-23 2015-10-29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Phase Noise Tracking and Reductio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61027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186504A (ja) 2018-11-22
US10411925B2 (en) 2019-09-10
CN108737312A (zh) 2018-11-02
KR20180119136A (ko) 2018-11-01
EP3396916A1 (en) 2018-10-31
JP6574505B2 (ja) 2019-09-11
US20180309604A1 (en) 2018-10-25
CN108737312B (zh) 2021-04-27
EP3396916B1 (en) 2020-04-01
JP6574505B6 (ja) 2019-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53587A1 (en) Station (STA) and Method for Usage of Phase Noise Compensation Based on Operational Parameters
KR102119490B1 (ko) 위상 잡음의 영향을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20224498A1 (en) Bayesian platform for channel estimation
CN109219982B (zh) 移动通信中追踪参考信号及其框架设定方法及其装置
US10469298B2 (en) Increasing reference signal density in wireless communications
CN115699689A (zh) 相位噪声稳健数据调制方案
Gao et al. Low-complexity block coordinate descend based multiuser detection for uplink grant-free NOMA
US9083597B1 (en) Method and recei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90149362A1 (en) Hybrid mimo detection of ofdm signals
Vasudevan Coherent turbo coded MIMO OFDM
US10361894B2 (en) Techniques for a unified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pattern for various multiplexing schemes
WO202211264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phase noise
KR20160016525A (ko) Lte-a ue에 대한 블라인드 검출된 간섭 매개변수들을 기반으로 하는 간섭 제거 기술
US9197267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joint demodulation with max-log MAP (MLM)
US11855811B1 (en) Interference rejection combining with reduced complexity
CN112751792B (zh) 一种信道估计方法及装置
US11894960B2 (en) Transmitting of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US20240014991A1 (en) Signaling patterns for time drift reference signals
WO2023173273A1 (en) Approximations in distribution matching procedures
US20230370101A1 (en) Frequency offset estimation and reduction
US20220330036A1 (en) Machine learning for 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based communication
Park et al. A Common Phase Error Estimation Scheme with MMSE Equalizer
CN116470986A (zh) 一种确定传输模式的方法、装置及系统
CN115801505A (zh) 信道估计方法、装置、通信设备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