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9167B1 - 이동식 우산 건조기 및 우산건조방법 - Google Patents

이동식 우산 건조기 및 우산건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9167B1
KR102119167B1 KR1020190160548A KR20190160548A KR102119167B1 KR 102119167 B1 KR102119167 B1 KR 102119167B1 KR 1020190160548 A KR1020190160548 A KR 1020190160548A KR 20190160548 A KR20190160548 A KR 20190160548A KR 102119167 B1 KR102119167 B1 KR 102119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rainwater
dryer
removal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0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홍진
최윤환
김욱중
김태욱
허용석
홍승준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공사 filed Critical 한국철도공사
Priority to KR1020190160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91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9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9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1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applying pressure, e.g. wringing; by brushing; by wip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1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10/10Umbrell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우산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건물 또는 공공장소의 실내오염 방지와 일회용품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우산에 남아있는 빗물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압축공기를 우산으로 분사하되, 우산을 식별하여 작동되고, 배터리의 이용으로 이동이 용이하며, 추가적으로 우산에 잔존되는 빗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한 이동식 우산 건조기 및 우산건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식 우산 건조기 및 우산건조방법{Mobile umbrella dryer and umbrella drying method}
본 발명은, 이동식 우산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건물 또는 공공장소의 실내오염 방지와 일회용품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우산에 남아있는 빗물의 제거가 용이한 이동식 우산 건조기 및 우산건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 눈 등을 피하기 위해 사용되는 우산은 실외에서는 유용한 수단이지만 실내로 진입 시 우산에 잔존되는 빗물이 떨어져 바닥을 오염시키고, 더 나아가 바닥에 형성되는 빗물에 의해 보행자들이 낙상을 입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때문에 지하철, 기차역 등 유동인구가 많은 공공장소에서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13-0102001호 ("우산비닐 및 이를 수거하는 우산비닐수거기" 2013.09.16.)와 같은 우산 외측에 비닐을 씌워 떨어지는 빗물을 방지하는 발명을 배치하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늘어나는 재활용품의 처리방법 및 환경오염 등에 의해 정부의 일회용품 규제가 늘어나는 추세이고, 따라서 상기된 우산비닐 및 이를 수거하는 우산비닐수거기와 같은 일회용품을 이용한 우산의 빗물제거장치의 개발이 쇠퇴하고 있다. 현재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173237호 ("우산 빗물 제거기" 2012.01.16.)와 같이 기계적으로 우산을 털어 빗물을 제거하는 방식, 더 나아가 공기를 분사하는 방식의 등의 일회용 비닐을 사용하지 않는 우산건조기 등이 개발되고 있지만 빗물 제거과정에서 우산에 손상을 줄 수 있고, 우산의 빗물을 완벽히 제거할 수 없기에 바쁜 이동시간 중 사용자들이 이를 사용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장치의 작동을 위한 전원연결이 필요하여 장치이동의 제약 및 누전의 위험 등과 같은 다양한 문제점들이 남아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13-0102001호 ("우산비닐 및 이를 수거하는 우산비닐수거기" 2013.09.16.)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173237호 ("우산 빗물 제거기" 2012.01.16.)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전원연결로 인한 장치이동의 제약을 해소하고, 다수의 사용자가 빠른 시간에 우산에 잔존하는 빗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고, 일회용품 배출을 줄이며, 종국적으로 공공장소 등에서 많은 사용자들이 사용할 수 있어 빗물로 인한 실내의 오염을 방지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삭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식 우산 건조기는 내부에 소정공간이 형성되고, 바닥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상면에 배치되되, 한 쌍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내측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빗물제거부; 상기 빗물제거부의 내측에 부착되고, 흡습재질로 형성되는 빗물흡수부; 상기 바닥부의 중앙에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빗물의 수집 및 배출을 위한 빗물배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양측 빗물제거부의 일측단에 배치되어 접근하는 우산을 식별하는 우산감지센서; 및 상기 바닥부 하면에 배치되는 이송장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빗물제거부는 상기 빗물제거부 내측의 적어도 한 영역에 배치되어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압축펌프 상기 빗물제거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압축펌프와 연결되며, 상기 빗물제거부 내부에서 압축공기를 전달하는 공기유로 상기 공기유로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되, 상기 빗물제거부 내측을 향해 연통되는 복수 개의 덕트 및 상기 덕트와 연결되어 배출되는 압축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후드캡을 포함하며 상기 빗물제거부는 일측부터 타측까지 세 구역으로 분할되어 상기 분할된 구역에 포함되는 상기 후드캡이 배출하는 압축공기의 방향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소정공간은 적어도 한 영역에서 내부를 감싸며 외부의 수분유입을 차단하는 방습하우징을 배치하고, 상기 방습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빗물제거부 및 상기 우산감지센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빗물흡수부, 상기 우산감지센서 및 상기 제어부로 전류를 공급하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 및 상기 제어부 및 상기 배터리를 감싸며 외부의 수분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습하우징;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때, 상기 후드캡은 상기 공기유로에서 전달되는 압축공기의 배출 방향이 우산이 진입하는 방향으로 편향되도록 각도가 조절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도는 지면을 바라보는 하측방향에서 우산이 진입하는 방향으로 10도 이상 35도 미만으로 편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여기서, 상기 빗물배출부는 우산이 진입하는 방향에서 바닥부의 저면과 각도를 가지는 제 1빗변, 우산이 배출되는 방향에서 바닥부의 저면과 각도를 가지는 제 2빗변 및 상기 제 1빗변 및 상기 제 2빗변에서 수집되는 빗물을 배출하는 배출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1빗변이 상기 바닥부의 저면과 형성하는 각도(A)가 상기 제 2빗변이 상기 바닥부의 저면과 형성하는 각도(B)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빗물흡수부는 상기 흡습재질을 외곽에서 고정하며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무게측정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흡습재질은 극세사 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빗물제거부의 외측면에 배치되고 기 저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상기된 이동식 우산 건조기를 이용한 우산건조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우산감지센서가 진입하는 우산을 식별하여 우산식별정보를 생성하는 우산식별단계; (b) 상기 우산식별정보를 토대로 상기 바닥부에 포함되는 제어부가 상기 빗물제거부를 구동하는 빗물제거부 구동단계; (c) 상기 우산식별단계에서 식별된 우산이 상기 소정간격으로 진입하는 우산진입단계; (d) 상기 (c)단계에서 진입되는 우산에서 빗물이 제거되는 빗물제거단계; 및 (e) 상기 (d)단계에서 빗물이 제거된 우산이 배출되는 우산배출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a)단계에서 식별되는 우산식별정보는 기계학습을 통해 학습된 알고리즘으로 우산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기계학습은 불특정 다수의 우산 이미지를 제공하는 우산이미지제공단계; 상기 불특정 다수의 우산의 이미지에서 특징부위를 추출하는 특징추출단계; 상기 특징추출단계에서 추출된 특징들로 우산을 식별하도록 학습하는 학습단계; 상기 학습단계에서 상기 특징부위와 우산의 상관관계를 상기 알고리즘으로 구축하는 알고리즘구축단계 및 상기 이동식 우산 건조기에 진입되는 우 을 상기 알고리즘으로 판단하여 상기 이동식 우산 건조기를 작동시키는 알고리즘적용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은, 우산에 손상을 주지 않고, 잔존한 빗물의 제거가 용이하며, 제거된 빗물의 배출이 용이함으로 바쁜 현대인의 이동시간 중에서도 효율적으로 우산의 빗물을 제거할 수 있어 출, 퇴근 시간에도 기기사용률을 높여 실내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식 우산 건조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식 우산 건조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식 우산 건조기의 내부를 나타낸 내부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동식 우산 건조기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이동식 우산 건조기의 추가구성을 포함하는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우산건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이동식 우산 건조기(1000)의 전체적인 구성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식 우산 건조기(1000)는 바닥부(100), 빗물제거부(200), 빗물흡수부(300), 빗물배출부(400), 우산감지센서(500) 및 이송장치부(600)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부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바닥부(100)는 상기 이동식 우산 건조기(1000)가 설치되는 바닥과 평행하고, 대체로 편평하게 형성되어 상기 이동식 우산 건조기(1000)의 작동을 위한 제어 및 전력을 공급받고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되는 역할을 한다. 다른 구성요소들을 상기 바닥부(100)의 외측과 연결되거나 내부에 소정공간을 형성하여 삽설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소정공간은 다른 구성요소와 간섭되지 않고, 외부에서 유입되는 이물질 또는 습기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바닥부(100)는 내부 소정공간 형성과 상기 이동식 우산 건조기(1000)의 용이한 이동을 위해 가벼우면서 일정강성을 가진 스테인리스, 강화플라스틱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빗물제거부(200)는 바닥부(100)의 상면에 배치되되, 한 쌍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내측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빗물제거부(200)로 진입되는 우산에 잔존한 빗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빗물재거부(200)는 내부에 압축공기를 상기 한 쌍의 빗물제거부(200)가 형성하는 소정공간으로 분사하는 구성을 설치할 수 있고 우산에 잔존하는 빗물을 더욱 용이하게 제거하는 해당 구성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3의 설명에서 다루고자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빗물제거부(200)가 형성하는 소정공간은 우산이 지나가며 손상을 주지 않고,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적정 공간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빗물흡수부(300)는 빗물제거부의 내측에 부착되고, 흡습재질로 형성되어 빗물제거부(200)에서 제거되는 빗물 중 일부가 사용자 또는 장치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빗물흡수부(300)는 빗물제거부(200)의 소정영역을 덮으며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빗물흡수부(300)에 부착되는 흡습재질이 빗물로 포화되는 것을 감지하는 추가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빗물배출부(400)는 바닥부(100)의 중앙에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빗물의 수집 및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빗물제거부(200)에 의해 진입된 우산에 잔존한 빗물이 제거되며 빗물흡수부(300)에서 일부 흡수된 뒤 여분의 빗물이 상기 빗물배출부(400)로 모이고, 이를 한곳으로 모아 용이하게 배출한다. 때문에 바닥부(100)의 상면에서 일정높이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함몰된 형상은 빗물제거부(200)의 영역에 따라 진입되는 우산에서 제거되는 빗물의 양이 상이하므로 이를 반영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우산감지센서(500)는 한 쌍의 빗물제거부의 일측단 즉, 우산이 진입하는 방향의 측단에 배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접근되는 우산을 식별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빗물제거부(200)의 작동 전 우산을 식별하여 상기 이동식 우산 건조기(1000)에 소모되는 전력량을 제어하고, 사용자가 적거나, 많은 경우 우산에 잔존되는 빗물 제거를 위해 압축공기의 양과 위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더 나아가 다양한 센싱장비를 추가하여 유동인구 측정 등을 보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 예시로 상기 우산감지센서(500)는 적외선 등으로 접근하는 물체를 식별하는 광학센서, 우산의 이미지를 파악하는 이미지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송장치부(600)는 상기 이동식 우산 건조기(1000)의 휴대를 위해 설치되는 역할을 한다. 도 1에는 바퀴와 고정축으로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정지장치 등을 포함하여 배치되는 장소에 고정할 수 있는 추가구성 및 상기 바닥부(100) 내부로 상기 이송장치부(600) 승하강하며 배치되는 장소에서 외관상의 이점을 얻을 수 있는 추가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이동식 우산 건조기(1000)의 세부구성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식 우산 건조기(1000)는 바닥부(100), 빗물제거부(200), 빗물흡수부(300), 빗물배출부(400) 및 우산감지센서(500)를 포함하되 각 부는 작동을 위한 세부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바닥부(100)는 내부에 마련된 소정공간에 방습하우징(110), 제어부(미도시) 및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방습하우징(110)은 상기 소정공간에 마련되되, 적어도 한 공간에서 내부에 상기 제어부, 상기 배터리 등의 전지전자회로를 포함하는 구성 등을 외부의 수분 및 이물질 등을 차단하도록 내측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방습하우징(110)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도록 일면이 개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식 우산 건조기(1000)의 작동 간 지속적인 습기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추가적인 방수처리 또는 방습제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빗물제거부(200), 빗물흡수부(300) 및 우산감지센서(500)와 연결되어 각 부를 제어하거나 센서에서 획득되는 정보를 판단 및 활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MCU(Micro Control Unit)등 전자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연산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터리(미도시)는 상기 이동식 우산 건조기(1000)의 이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치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로 대용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배터리에서 발생되는 발열을 제어하기 위한 열제어부 또는 빗물배출부(400)에서 배출되는 빗물을 상기 배터리가 내부에 포함되는 방습하우징 주위로 유로를 형성하여 배출 전 빗물이 상기 유로를 유동하며 냉각수로 활용하는 추가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빗물제거부(200)는 압축펌프(210), 공기유로(220), 덕트(230), 후드캡(240)을 포함한다.
상기 압축펌프(210)는 빗물제거부(200)의 내측의 적어도 한 영역에 배치되어 빗물제거부(200)으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공기유로(220)는 압축펌프(210)에서 생성된 압축공기를 빗물제거부(200)의 내측면으로 공급하도록 압축공기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공기유로(220)는 도 3에 도시된 형상 이외에도
상기 덕트(230)는 공기유로(220)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되, 빗물제거부(200) 내측을 향해 연통되어 압축공기를 빗물제거부(200)의 내측으로 분사한다. 이때 상기 덕트(230)상에 이물질 제거를 위한 필터가 부착된 실시예를 가질수도 있다.
상기 후드캡(240)은 덕트(230)와 연결되어 배출되는 압축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후드캡(240)의 방향(도 3에 도시된 S)은 우산이 빗물제거부(200)에 진입하는 방향으로 편향되도록 각도가 조절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도에 의해 압축공기가 배출되는 방향(도 3에 도시된 S)은 상기 후드캡(240)의 배출구가 지면을 바라보는 방향을 0도 라고 할 때 10도 이상 35도 미만으로 형성되어 진입하는 우산에 분사되는 압축공기가 우산의 진입에 따른 이동과 압축공기의 분사가 상대운동으로 우산에 잔존된 빗물을 쓸어내리며 분사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종래 우산 건조기와 달리 빠른 시간에 다량의 빗물을 우산에서 제거할 수 있고, 유동인구가 많은 지하철역 및 기차역에 상기 이동식 우산 건조기(1000)의 배치를 통해 내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물흡수부(300)는 빗물제거부(200)의 내측에 부착되고, 흡습재질로 형성되어 빗물제거부(200)에서 제거되는 빗물 중 일부를 흡수하여 사용자 또는 기기외부로 튀는 빗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흡습재질은 극세사를 이용한 직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극세사는 굵기가 0.1D에서 1.0D (D = Denier, 섬유 굵기 단위) 사이의 원사를 말한다. 더 나아가 상기 빗물흡수부(300)는 빗물제거부(200)에 부착되되, 부착되는 위치에 무게감지센서(미도시)를 배치하여 상기 빗물흡수부(300)의 흡습재질이 머금은 빗물이 포화상태에 도달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무게감지센서(미도시)를 통해 본 발명의 이동식 우산 건조기(1000)를 조작하는 사용자에게 상기 빗물흡수부(300)의 포화상태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물배출부(400)는 제1 빗변(410), 제 2 빗변(420) 및 배출배관(43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빗변(410)은 우산이 진입하는 방향에서 바닥부(100)의 저면 즉, 최하단면과 각도를 이루며 점차 낮아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빗물제거부(200)에 의해 제거되는 빗물이 상기 제 1빗변(410)을 바닥부(100)의 저면으로 수집된다.
상기 제 2빗변(420)은 우산이 배출되는 방향에서 바닥부(100)의 저면까지 각도를 이루며 점차 낮아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우산의 빗물 제거 후 배출 전 우산 하단에 맺힌 빗물이 떨어지는 경우 이를 수집하기위해 상기 제 2빗변(420)이 필요하다.
상기 배출배관(430)은 상기 제 1빗변(410) 및 상기 제 2빗변(420)에서 수집된 빗물을 한 곳으로 배출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배관 이외에도 여러 형태와 여러 방법을 통해 수집된 빗물을 배출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배출배관(430)에 연결되는 별도의 펌프와 유로를 구성하여 배출되는 빗물을 바닥부(100) 내부에 삽설되는 방습하우징(100)으로 냉각수로 활용한 뒤 배출하는 일실시예 등을 가질 수 있다.
더 나아가 빗물제거부(200)에 의해 제거되는 빗물은 상기 제 1빗변(410)의 위치에서 제거되는 빗물의 양이 상기 제 2빗변(420)에서 제거되는 빗물의 양보다 큰 것은 자명하기에 상기 제 1빗변(410)의 면적이 상기 제 2빗변(420)의 면적보다 크도록 상기 제 1빗변(410)이 상기 바닥부의 저면과 형성하는 각도(A)는 상기 제 2빗변(420)이 상기 바닥부(100)의 저면과 형성하는 각도(B)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a) 및 도 4(b)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유로(220)와 상기 후드캡(240)은 빗물제거부(200)로 압축공기의 균일한 전달과 우산에 잔존된 빗물을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일실시예를 더 가질 수 있다. 우선 빗물제거부(200)를 세 구역으로 나눌 수 있다. 빗물제거부(200)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압축공기가 분사되는 면적을 제 1구역(A), 제 2구역(B) 및 제 3구역(C)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된 구역의 구분은 면적, 배출되는 압축공기의 유량 및 상기 후드캡(240)의 개수 등에 따라 우산에서 빗물을 제거율을 높일 수 있는 인자들을 판단하여 사용자에 의해 조절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 1구역(A)은 우산이 최초 진입되어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빗물이 제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구역이다. 상기 제 2구역(B)은 우산에서 적정량 빗물이 제거된 상태로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빗물이 제거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없고 단부에 잔존된 빗물이 제거되는 구역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 3구역(C)은 사용자에 따라 진입된 우산을 사용자 취사선택에 따라 제거할 수 있는 영역 즉, 빗물제거부(200)를 모두 통과하지 않고 우산을 제거할 수 있는 영역으로 빗물제거부(200)를 통해 효율적인 빗물 제거가 이루어 지기 위해 상기 제 3구역(C)을 지나기 전 모든 빗물을 제거 할 수 있도록 빗물제거부(200)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요소들의 배치를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한 변형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우선, 공기펌프(210)에서 연결되되, 상측으로 연장되어 압축공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압축부(211)를 포함하고, 압축부(211)와 공기유로(220)는 상기된 구역별로 연결유로(212)에 의해 연결되되, 복수개의 제어벨브(213)를 통해 압축공기의 출입을 제어한다. 이후 상기 공기유로(220)는 제 1구역(A)에서는 상측의 압축공기 배출을 더 강하게 할 수 있도록 상측에서 연결유로(212-1)와 연결되고, 제 2구역(B)에서는 제 1구역에서 제거되며 내려오는 빗물을 이어서 제거할 수 있도록 공기유로(220)의 중단에서 연결유로(212-2)와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제 3구역(C)은 우산에서 잔여되는 빗물이 모이는 우산의 말단부에 압축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유로(220)의 하단에 연결유로(212-3)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된 내용에서 공기유로(220)로 배출되는 압축공기는 연결유로(212)와 연결되는 부위의 타 부위의 압력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으로 다른 부위에서 압축공기의 배출이 제한됨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추가적으로 제 3구역(C)을 지나고 남는 압축공기 중 남는 잔량은 공기배출관(214)을 통해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 예시로 상기 공기배출관(214)과 연결되어 빗물흡수부(300)에 다시 분사하여 흡수된 빗물을 증발시키는 일실시예를 가질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식 우산 건조기(1000)는 디스플레이부(700)을 더 포함하는 일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700)는 상기 빗물제거부의 외측면에 배치되고 기 저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역할을 한다. 더 나아가 우산감지센서(500)의 배치와 빗물제거부(200)의 외형을 통해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줄 수 있는 형상이 변형된 실시예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식 우산 건조기(1000)를 이용한 우산건조방법(S1000)은 우산식별단계(S110), 빗물제거부 구동단계(S120), 우산진입인단계(S130), 빗물제거단계(S140) 및 우산배출단계(S150)를 포함한다. 각 단계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우산식별단계(S110)는 우산감지센서가 이동식 우산 건조기로 진입하는 우산을 식별하는 단계로 우산감지센서의 여러 식별방법에 따라 구체적인 우산 식별 방법이 다르다. 그 예시로 광학센서의 경우 우산의 접근에 따라 반사되는 빛을 이용할 수도 있고, 우산 자체의 이미지를 형상화 하여 인식할 수도 있다.
상기 빗물제거부 구동단계(S120)는 상기 우산식별단계(S110)에서 우산이 식별된 경우 바닥부에 포함되는 제어부에 의해 압축펌프를 작동시켜 빗물제거부로 압축공기가 배출되는 단계이다. 상기 빗물제거부 구동단계(S12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작동시간 및 세부작동 방식이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우산진입단계(S130)는 사용자가 우산을 상기 이동식 우산 건조기(1000)로 진입시키는 단계로 한 쌍의 빗물제거부가 서로 마주보며 형성하는 소정간격으로 진입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빗물제거단계(S140)는 진입된 우산이 사용자의 이동과 양 측의 빗물제거부에서 배출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우산에 잔존한 빗물이 제거되는 단계이다. 상기 빗물제거단계(S140)의 자세한 구동은 상기 이동식 우산 건조기의 세부적인 설명과 중복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우산배출단계(S150)는 빗물이 제거된 우산이 사용자에 의해 제거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우산식별단계(S110)는 우산식별을 위해 다음과 같은 기계학습단계(S2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산식별방법(S200)은 우산감지센서가 이미지센서인 경우 진입되는 우산의 이미지를 판단해서 우산인 경우 상기 이동식 우산 건조기의 작동을 허가하는 기계학습을 이용한 방법이다. 구체적으로 기계학습단계(S200)는 우산이미지제공단계(S210), 특징추출단계(S220), 학습단계(S230), 알고리즘구축단계(S240) 및 알고리즘 적용단계(S250)를 포함한다. 각 단계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우산이미지제공단계(S210)는 불특정 다수의 우산 이미지를 지도학습모델에 제공하는 단계로 상기 특징추출단계(S220)에 사용되는 학습데이터를 제공받는 단계이다.
상기 특징추출단계(S220)는 상기 우산이미지 제공단계(S210)에서 제공받은 우산 이미지에서 우산의 특징 즉, 특징부위를 추출하는 단계이다. 상기 특징부위는 손잡이와 사용자 손의 위치, 우산의 꼭지의 위치, 장우산 및 단우산에 따른 우산의 길이를 그 예시로 들 수 있고 다른 특징부위을 추가한 기계학습모델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학습단계(S230)는 상기 우산이미지제공단계(S210)에서 제공되는 이미지에서 상기 특징추출단계(S220)를 거친 뒤 불특정다수의 물건 이미지와 불특정다수의 우산 이미지를 혼합 후 기계학습 모델에 제공하며 학습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특징부위의 비율이 높은 것을 기계학습 모델이 우산으로 인식하도록 학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고리즘 구축단계(S240)는 상기 특징추출단계(S220)에서 추출된 특징부위와 실제 우산간의 상관관계를 기계학습모델을 통해 알고리즘으로 구축하는 단계로 실제 불특정 다수의 물건의 이미지를 기계학습모델에 제공하여 상기 특징부위의 빈도가 높은 물건을 필터링하고, 그 중 비율이 높은 즉, 확률이 높은 물건을 우산으로 판독하도록 알고리즘을 구축하는 단계이다.
상기 알고리즘 적용단계(S250)는 상기 알고리즘 구축단계(S240)에서 구축된 알고리즘을 통해 본 발명의 이동식 우산 건조기에 진입되는 우산을 우산감지센서로 감지한 후 구축된 상기 알고리즘에서 우산인지 식별하여 상기 이동식 우산 건조기를 작동시켜 본 발명의 우산건조방법에 포함되는 빗물제거부 구동단계(S130)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더 나아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발명의 이동식 우산 건조기(1000)는 다음과 같은 형상 및 수치의 한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이동식 우산 건조기의 높이는 지면에서 이송장치부(300), 바닥부(100) 및 빗물제거부(200)의 높이를 더한 값은 불특정 다수 사용자의 허리위치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들이 도보로 이동하며 상기 이동식 우산 건조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동 간 편의를 위해 조절될 수 있는 값이다. 추가적으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이동식 우산 건조기가 배치되는 해당 국가에서 통계된 성인들의 평균값이거나 이보다 작은값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사용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또한 빗물제거부가 서로 마주보며 형성하는 소정간격은 사용 후 접힌 상태의 우산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을 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 이동식 우산 건조기
100 : 바닥부 110 : 방습하우징
200 : 빗물제거부 210 : 압축펌프
220 : 공기유로 230 : 덕트
240 : 후드캡 300 : 빗물흡수부
310 : 흡습부재 312 : 무게측정센서
400 : 빗물배출부 410 : 제 1빗면
420 : 제 2빗면 430 : 배출배관
440 : 배수프레임 500 : 우산감지센서
600 : 이송장치부 700 : 디스플레이부

Claims (14)

  1. 내부에 소정공간이 형성되고, 바닥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상면에 배치되되, 한 쌍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내측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빗물제거부;
    상기 빗물제거부의 내측에 부착되고, 흡습재질로 형성되는 빗물흡수부;
    상기 바닥부의 중앙에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빗물의 수집 및 배출을 위한 빗물배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양측 빗물제거부의 일측단에 배치되어 접근하는 우산을 식별하는 우산감지센서; 및
    상기 바닥부 하면에 배치되는 이송장치부;를 포함하되,(청구항 1항)
    상기 빗물제거부는
    상기 빗물제거부 내측의 적어도 한 영역에 배치되어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압축펌프
    상기 빗물제거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압축펌프와 연결되며, 상기 빗물제거부 내부에서 압축공기를 전달하는 공기유로
    상기 공기유로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되, 상기 빗물제거부 내측을 향해 연통되는 복수 개의 덕트 및
    상기 덕트와 연결되어 배출되는 압축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후드캡을 포함하며
    상기 빗물제거부는
    일측부터 타측까지 세 구역으로 분할되어 상기 분할된 구역에 포함되는 상기 후드캡이 배출하는 압축공기의 방향은 서로 다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우산 건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공간은
    적어도 한 영역에서 내부를 감싸며 외부의 수분유입을 차단하는 방습하우징을 배치하고,
    상기 방습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빗물제거부 및 상기 우산감지센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빗물흡수부, 상기 우산감지센서 및 상기 제어부로 전류를 공급하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 및
    상기 제어부 및 상기 배터리를 감싸며 외부의 수분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습하우징;이 배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우산 건조기.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캡은
    상기 공기유로에서 전달되는 압축공기의 배출 방향이 우산이 진입하는 방향으로 편향되도록 각도가 조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우산 건조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는
    지면을 바라보는 하측방향에서 우산이 진입하는 방향으로 10도 이상 35도 미만으로 편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우산 건조기.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배출부는
    우산이 진입하는 방향에서 바닥부의 저면과 각도를 가지는 제 1빗변,
    우산이 배출되는 방향에서 바닥부의 저면과 각도를 가지는 제 2빗변 및
    상기 제 1빗변 및 상기 제 2빗변에서 수집되는 빗물을 배출하는 배출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우산 건조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빗변이 상기 바닥부의 저면과 형성하는 각도(A)가 상기 제 2빗변이 상기 바닥부의 저면과 형성하는 각도(B)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우산 건조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흡수부는
    상기 흡습재질을 외곽에서 고정하며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무게측정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우산 건조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재질은
    극세사 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우산 건조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제거부의 외측면에 배치되고 기 저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우산 건조기.
  12. 제 1항, 제 2항, 제 4항, 제 5항, 및 제 7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의 이동식 우산 건조기를 이용한 우산건조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우산감지센서가 진입하는 우산을 식별하여 우산식별정보를 생성하는 우산식별단계;
    (b) 상기 우산식별정보를 토대로 상기 바닥부에 포함되는 제어부가 상기 빗물제거부를 구동하는 빗물제거부 구동단계;
    (c) 상기 우산식별단계에서 식별된 우산이 상기 소정간격으로 진입하는 우산진입단계;
    (d) 상기 (c)단계에서 진입되는 우산에서 빗물이 제거되는 빗물제거단계; 및
    (e) 상기 (d)단계에서 빗물이 제거된 우산이 배출되는 우산배출단계;
    를 포함하는 우산건조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식별되는 우산식별정보는 기계학습을 통해 학습된 알고리즘으로 우산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건조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학습은
    불특정 다수의 우산 이미지를 제공하는 우산이미지제공단계;
    상기 불특정 다수의 우산의 이미지에서 특징부위를 추출하는 특징추출단계;
    상기 특징추출단계에서 추출된 특징들로 우산을 식별하도록 학습하는 학습단계;
    상기 학습단계에서 상기 특징부위와 우산의 상관관계를 상기 알고리즘으로 구축하는 알고리즘구축단계 및
    상기 이동식 우산 건조기에 진입되는 우산을 상기 알고리즘으로 판단하여 상기 이동식 우산 건조기를 작동시키는 알고리즘 적용단계;
    를 포함하는 우산건조방법.
KR1020190160548A 2019-12-05 2019-12-05 이동식 우산 건조기 및 우산건조방법 KR102119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548A KR102119167B1 (ko) 2019-12-05 2019-12-05 이동식 우산 건조기 및 우산건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548A KR102119167B1 (ko) 2019-12-05 2019-12-05 이동식 우산 건조기 및 우산건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9167B1 true KR102119167B1 (ko) 2020-06-05

Family

ID=71089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0548A KR102119167B1 (ko) 2019-12-05 2019-12-05 이동식 우산 건조기 및 우산건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916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4718A (ja) * 1997-12-08 1999-06-22 Shiyuugo Miyagawa 傘の水きり機
KR20120046971A (ko) * 2010-11-03 2012-05-11 이정호 우산 건조기
KR101173237B1 (ko) 2012-01-16 2012-08-10 김광년 우산 빗물 제거기
KR20130102001A (ko) 2012-03-06 2013-09-16 김영수 우산비닐 및 이를 수거하는 우산비닐수거기
KR20160101378A (ko) * 2015-02-17 2016-08-25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우산 자동 건조 장치
KR20190015425A (ko) * 2019-01-24 2019-02-13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우산 드라이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4718A (ja) * 1997-12-08 1999-06-22 Shiyuugo Miyagawa 傘の水きり機
KR20120046971A (ko) * 2010-11-03 2012-05-11 이정호 우산 건조기
KR101173237B1 (ko) 2012-01-16 2012-08-10 김광년 우산 빗물 제거기
KR20130102001A (ko) 2012-03-06 2013-09-16 김영수 우산비닐 및 이를 수거하는 우산비닐수거기
KR20160101378A (ko) * 2015-02-17 2016-08-25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우산 자동 건조 장치
KR20190015425A (ko) * 2019-01-24 2019-02-13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우산 드라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8945B1 (ko) 피부 측정 센서를 구비한 화장품 사용 가이드 시스템
KR102207714B1 (ko) 이동로봇의 충전 스테이션 위치 추천 방법을 통해 추천된 충전 스테이션에서 충전 가능한 이동로봇
CN110259221A (zh) 一种具有智能管理系统的立体车库
KR102119167B1 (ko) 이동식 우산 건조기 및 우산건조방법
CN101541220A (zh) 门入口真空除尘设备
KR101798099B1 (ko) 피부 필링 방법 및 피부 필링기
CN106075846B (zh) 一种体育教学器材运输装置
CN110306454A (zh) 一种防止马路蜃景的自适应减速带及使用方法
JP2014230746A (ja) 自走式清掃設備の粉塵検出方法及びその装置
CN109140776A (zh) 一种智能控制的开水机
JP2014079513A (ja) 自走式掃除機
KR102176916B1 (ko) 고압분사 공기순환방식 우산 빗물 제거기
JP7052510B6 (ja) エレベーターピット用の自走式移動体および落下物回収システム
KR102134369B1 (ko) 다용도 자동 우산 건조기
CN106006318B (zh) 一种出风口自动遮挡的节能电梯轿厢通风系统
KR102121064B1 (ko) 원단합포장치
US20230210289A1 (en) Hanger device
CN108354818A (zh) 鼻腔污物实时检测器
KR100463022B1 (ko) 우산 물기 자동 제거기
CN108819735A (zh) 自升降冷却收纳充电桩
CN109124501A (zh) 一种厕所机器人
CN110485516B (zh) 一种基于大数据处理分析的智能公共服务方法及其系统
CN111973093B (zh) 具有自清洁功能的卫生间及卫生间自清洁方法
CN211533004U (zh) 一种雨伞除水器
CN105377100B (zh) 智能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