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8808B1 - 분할형 아이스캡슐 축열조 - Google Patents

분할형 아이스캡슐 축열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8808B1
KR102118808B1 KR1020180151025A KR20180151025A KR102118808B1 KR 102118808 B1 KR102118808 B1 KR 102118808B1 KR 1020180151025 A KR1020180151025 A KR 1020180151025A KR 20180151025 A KR20180151025 A KR 20180151025A KR 102118808 B1 KR102118808 B1 KR 102118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torage
storage tank
ice
ice capsule
br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1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성광
Original Assignee
씨케이이엔지 주식회사
동양미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케이이엔지 주식회사, 동양미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씨케이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1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88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2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atent heat
    • F28D20/023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atent heat the latent heat storage material being enclosed in granular particles or dispersed in a porous, fibrous or cellular stru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2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atent heat
    • F28D20/028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20/0065Details, e.g. particular heat storage tanks, auxiliary members within tanks
    • F28D2020/0086Part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염된 아이스캡슐의 교체작업 비용 및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분할구조로 설치되는 분할형 아이스캡슐 축열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형 아이스캡슐 축열조는, 복수로 구성되며, 디퓨저로부터 분사되는 브라인을 통해 하우징 내부에 적층된 아이스캡슐을 냉각시켜 빙축열을 저장하고, 저장된 빙축열이 순환되도록 하는 아이스캡슐 축열조; 및 하우징의 일측면과 접촉되어 아이스캡슐 축열조가 복수의 방향으로 분할설치되도록 하며, 일측면과 접촉되는 일면에 복수의 홈이 형성되는 격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분할형 아이스캡슐 축열조{Ice capsule heat storaging tank of Split type}
본 발명은 분할형 아이스캡슐 축열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염되거나 훼손된 아이스캡슐의 교체작업 비용 및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분할구조로 설치되는 분할형 아이스캡슐 축열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빙축열 냉각 시스템은, 전기소비가 폭주하는 낮(예: 1시~3시)에 에어컨 등의 냉방기기를 사용하지 않고, 심야시간(예: 23시~9시)에 얼음을 얼렸다가 낮에 이를 녹여 건물을 냉방하는 첨단방식의 시스템이다. 이러한 빙축열 냉각 시스템은 냉방을 하는 낮 시간에 오히려 전기 소모가 없어, 최대 부하시의 냉방전력의 사용을 피할 수 있다는 게 에어컨 등의 냉방기기와 다른 특징이다. 빙축열 냉각 시스템의 단점이라면, 초기 설치비가 에어컨의 설치 비용보다 평균적으로 30%이상 더 든다는 점이다. 그러나 저렴한 전기요금으로 연간 운영비는 절반밖에 되지 않아, 4년이면 투자비를 모두 회수할 수 있다.
그리고 빙축열 냉각 시스템은, 시스템의 구성상 필수적으로 축열조가 포함된다. 이러한 축열조는 야간에 생성된 얼음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축열조는, 슬러리형, 관외착빙형, 아이스캡슐형으로 운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축열조의 방식 중 아이스캡슐형은, 축열조를 순환하는 브라인이 분사되면서 축열조 내부에 본, 바, 볼 등의 형태로 적층되는 아이스캡슐의 주위를 순환하여 아이스캡슐에 빙축열이 저장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아이스캡슐형 축열조는, 파손 등의 외부 요인으로 인하여 브라인이 오염되었을 때, 전체 축열조의 내부에 적층된 아이스캡슐을 전부 교체해야 하므로, 아이스캡슐의 교체작업 비용 및 시간이 크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브라인이 오염되었을 때, 오염된 브라인이 순환된 아이스캡슐만을 교체함으로써, 아이스캡슐의 교체작업 비용 및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아이스캡슐형 축열조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9730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아이스캡슐 축열조를 분할설치하여, 분할설치된 아이스캡슐 축열조 중 오염된 브라인이 순환되는 아이스캡슐 축열조만을 교체함으로써, 오염된 아이스캡슐의 교체작업 비용 및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분할형 아이스캡슐 축열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형 아이스캡슐 축열조는, 복수로 구성되며, 디퓨저로부터 분사되는 브라인을 통해 하우징 내부에 적층된 아이스캡슐을 냉각시켜 빙축열을 저장하고, 저장된 빙축열이 순환되도록 하는 아이스캡슐 축열조; 및 하우징의 일측면과 접촉되어 아이스캡슐 축열조가 복수의 방향으로 분할설치되도록 하며, 일측면과 접촉되는 일면에 복수의 홈이 형성되는 격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아이스캡슐의 상측에 설치되며, 아이스캡슐을 향해 브라인을 분사하는 상부 디퓨저; 아이스캡슐의 하측에 설치되며, 아이스캡슐을 통과한 브라인을 순환시킨 후에 외부로 배출하는 하부 디퓨저; 상부 디퓨저와 하부 디퓨저에 각각 설치되며, 상부 디퓨저에 유입되기 전의 브라인과 하부 디퓨저를 통과하는 브라인의 온도값 및 농도값을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농도센서; 및 센서가 감지한 온도값과 농도값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이 기설정된 값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통해 아이스캡슐 축열조의 교체시기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디퓨저와 아이스캡슐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부 디퓨저에서 분사되는 브라인이 아이스캡슐을 향해 균등하게 낙하되도록 복수의 홈이 형성되는 격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디퓨저는, 아이스캡슐 축열조가 분할설치된 후에, 인접한 아이스캡슐 축열조의 디퓨저와 연결되어 브라인을 인접한 아이스캡슐 축열조로 순환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디퓨저는, 아이스캡슐 축열조가 분할설치된 후에, 인접한 아이스캡슐 축열조의 하부 디퓨저와 연결되어 브라인을 인접한 아이스캡슐 축열조로 순환시킨 후에 외부로 배출한다.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며, 센서가 감지한 온도값과 농도값, 하우징의 내부온도값, 상부 디퓨저가 분사하는 브라인의 종류, 아이스캡슐 축열조의 설치 및 교체상태, 하부 디퓨저를 통해 배출되는 브라인의 압력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격자와 접촉될 하우징의 일측면에 격자에 형성된 복수의 홈과 대응되는 복수의 홈이 더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아이스캡슐 축열조에 저장된 빙축열은, 하우징과 격자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홈에 의한 순환경로를 통해 인접한 아이스캡슐 축열조로 순환된다.
일 실시예에서, 브라인은, 무기 브라인인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또는 유기 브라인인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중 적어도 하나이다.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며, 아이스캡슐 축열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격자는, 아이스캡슐 축열조를 가로로 분할설치하기 위해 연장형성되는 가로격자; 및 가로격자와 직교방향으로 결합되어 아이스캡슐 축열조를 세로로 분할설치하는 세로격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아이스캡슐 축열조를 격자를 통해 분할설치하여 아이스캡슐 축열조 중 오염된 브라인이 순환되는 아이스캡슐이 적층된 아이스캡슐 축열조만을 교체하여 사용함으로써, 오염된 아이스캡슐의 교체작업 비용 및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형 아이스캡슐 축열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빙축열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캡슐 축열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캡슐 축열조의 추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제어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캡슐 축열조를 분할설치한 분할형 아이스캡슐 축열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자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형 아이스캡슐 축열조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빙축열 냉방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형 아이스캡슐 축열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빙축열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형 아이스캡슐 축열조(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빙축열 냉방시스템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먼저, 빙축열 냉방시스템은 빙축열 냉동기(1), 냉각탑(2), 열교환기(3), FCU(4) 및 분할형 아이스캡슐 축열조(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빙축열 냉동기(1)는 냉각탑(2)이 구성된 냉동 폐회로와 브라인이 순환되는 브라인 순환회로에 구성되며, 심야시간(예: 23시~9시)에 냉각탑(2)의 냉각수를 통해 순환되는 브라인을 냉각시킨다. 이와 같이, 냉각된 브라인은 브라인 순환회로를 통해 순환되어 브라인 순환회로에 구성되는 분할형 아이스캡슐 축열조(10)에 유입된다. 이때, 분할형 아이스캡슐 축열조(10)는 브라인이 적층된 아이스캡슐을 통과하면서 빙축열을 저장한다.
이러한 빙축열 냉동기(1)는 심야시간과 다른 시간인 낮시간(예:1시~3시)에 열교환기(3)를 통해 열교환되어 브라인 순환회로와 일부 중복되는 냉수 순환회로를 통해 순환되는 냉수를 냉각탑(2)의 냉각수를 통해 냉각시킨 후에 재차 열교환기(3)로 순환시킨다.
냉각탑(2)은 냉각수펌프가 설치된 냉동 폐회로에 구성되며, 냉각수펌프를 통해 냉동 폐회로에서 순환되는 냉각수를 이용하여 분할형 아이스캡슐 축열조(10)를 통과한 브라인 또는 열교환기(3)를 통과한 냉수를 냉각시키는 열 교환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냉각탑(2)은 냉각수를 이용한 냉각방식 뿐만 아니라, 실외공기를 직접 접촉시키는 냉각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열교환기(3)는 브라인 순환회로와 냉수 순환회로에 구성되며, 브라인의 유입 및 배출하기 위한 빙축열 유입관과 빙축열 배출관이 구비되고, 냉수의 유입 및 배출을 위한 냉수 유입관과 냉수 배출관이 구비된다. 이에, 브라인과 냉수는 상호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FCU(4)는 팬코일유닛(Fan Coil Unit)을 의미하는 것으로, 열교환기(3)에 의해 열교환되어 공기 순환회로에서 순환되는 냉방공기 또는 난방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는 장치이다.
분할형 아이스캡슐 축열조(10)는 복수의 아이스캡슐 축열조가 분할설치되며, 아이스캡슐 축열조마다 적층된 아이스캡슐을 통해 빙축열을 저장 및 순환시킨다. 이러한 분할형 아이스캡슐 축열조(10)의 구성 및 작용방식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아이스캡슐 축열조의 구성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캡슐 축열조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캡슐 축열조의 추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제어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아이스캡슐 축열조(10a)는 분할형 아이스캡슐 축열조(10)에 분할설치되는 하나의 축열조로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하우징(100), 상부 디퓨저(110), 격판(120), 아이스캡슐(130), 하부 디퓨저(140), 온도센서(150), 농도센서(160), 컨트롤러(170), 디스플레이(180), 제어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하우징(100)은 상부 디퓨저(110), 격판(120), 아이스캡슐(130), 하부 디퓨저(140)를 내부에 수용하며, 내부가 빈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축열조(10)의 기본적인 틀을 이룬다. 그리고 하우징(100)은 콘크리트 또는 내부에 우레탄 폼이 충진된 고밀도 폴리에틸린과 같은 단열재로 이루어짐으로써, 결빙과정과 해빙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하우징(100)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면이 개폐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00)은 일측면에 복수의 홈(105)이 형성된다. 하우징(100)에 이러한 복수의 홈(105)이 형성되는 것은, 아이스캡슐 축열조(10a)를 분할형 아이스캡슐 축열조(10)로 분할설치할 때, 후술될 격자(20)의 복수의 홈과 함께 빙축열 및 브라인(115)을 인접한 아이스캡슐 축열조로 순환시키기 위함이다.
상부 디퓨저(110)는 하우징(100)의 상측에 설치되며, 브라인(115)의 방사 압력을 균일하게 할 수 있는 토너먼트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부 디퓨저(110)는 내부에서 순환되는 브라인(115)을 분사한다. 더 나아가, 상부 디퓨저(110)는 상대적으로 하우징(100)의 하측에 수용되는 아이스캡슐(130)의 냉각을 위해, 브라인(115)을 하측으로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여기서, 브라인(115)이라 함은, 빙축열 냉방시스템에 사용되는 냉매로서, 무기 브라인인 염화나트륨(CaCl2), 염화칼슘(Nacl) 또는 유기 브라인인 에틸렌글리콜(C2H6O2), 프로필렌글리콜(C3H8O2)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브라인(115)의 조건은 비열, 열전도율이 커야하며, 점성, 동결온도, 부식성이 적거나 작아야 한다. 그리고 브라인(115)은 사용조건, 사용온도, 냉각방식 및 피냉각물의 종류 등의 요인을 검사한 후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격판(120)은 상부 디퓨저(110)와 아이스캡슐(130)의 사이에 설치된다. 이러한 격판(120)은 상부 디퓨저(110)에서 분사되는 브라인(115)이 아이스캡슐(130)을 향해 균등하게 낙하되도록 한다. 이러한 브라인(115)의 낙하를 위해, 격판(120)은 낙하방향인 폭방향을 향해 관통된 복수의 홈이 형성된다.
아이스캡슐(130)은 하우징(100)의 내부에 복수의 층으로 적층되며, 상부 디퓨저(110)와 격판(120)보다 상대적으로 하측에 적층된다. 아이스캡슐(130)은 구 형상의 플라스틱 용기에 물과 조핵제(상온결빙재)가 희석된 용액을 넣어 밀봉한 부재를 의미한다. 이러한 아이스캡슐(130)은 도면상에서 구 형상을 가지는 빙축볼(ice ball)로 도시되었으나, 이와는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하부 디퓨저(140)는 브라인(115)의 방사 압력을 균일하게 할 수 있는 토너먼트 방식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하부 디퓨저(140)는 아이스캡슐(130)보다 상대적으로 하우징(100)의 하측에 수용된다. 이러한 하부 디퓨저(140)는 아이스캡슐(130)을 통과하는 브라인(115)을 순환시킨 후에 배출한다.
여기서, 하부 디퓨저(140)에서 배출된 브라인(115)은 브라인 순환경로를 따라 빙축열 냉동기(1)로 순환되거나, 열교환기(3)에 유입된다.
온도센서(150)는 상부 디퓨저(110)와 하부 디퓨저(140)에 각각 설치되며, 상부 디퓨저(110)에 유입되기 전과 하부 디퓨저(140)를 통과하는 브라인(115)의 온도값을 감지한다.
농도센서(160)는 온도센서(150)와 마찬가지로 상부 디퓨저(110)와 하부 디퓨저(140)에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농도센서(160)는 상부 디퓨저(110)에 유입되기 전과 하부 디퓨저(140)를 통과하는 브라인(115)의 농도값을 감지한다.
컨트롤러(170)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우징(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아이스캡슐 축열조(10a)의 동작을 제어한다. 일 예로, 컨트롤러(170)는 상부 디퓨저(110)와 하부 디퓨저(140)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컨트롤러(170)는 상부 디퓨저(110)로부터 브라인(115)의 분사와 하부 디퓨저(140)로부터 브라인(115)의 배출을 제어한다.
이러한 컨트롤러(170)가 아이스캡슐 축열조(10a)에 구성됨에 따라, 아이스캡 슐 축열조(10a)와 인접한 위치의 사용자는 컨트롤러(170)를 통해 상부 디퓨저(110)와 하부 디퓨저(140)의 동작을 직접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디스플레이(180)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우징(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아이스캡슐 축열조(10a)의 정보를 출력한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180)는 온도센서(150)가 감지한 브라인(115)의 온도값, 농도센서(160)가 감지한 브라인(115)의 농도값, 하우징(100)의 내부온도값, 상부 디퓨저(110)가 분사하는 브라인의 종류, 아이스캡슐 축열조(10a)의 설치 및 교체상태, 하부 디퓨저(140)를 통해 배출되는 브라인의 압력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출력한다.
제어부(190)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우징(100)의 일측에 설치되거나 별도의 제어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90)는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부 디퓨저(110), 하부 디퓨저(140), 온도센서(150), 농도센서(160), 컨트롤러(170)의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온도센서(150)가 감지한 브라인(115)의 온도값과 농도센서(160)가 감지한 브라인(115)의 농도값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이 기설정된 값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통해 아이스캡슐 축열조(10a)의 교체시기를 판단한다. 즉, 제어부(190)는 브라인(115)의 온도값과 농도값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이 기설정된 값에 도달하면, 아이스캡슐 축열조(10a)가 교체시기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러한 제어부(190)가 아이스캡슐 축열조(10a)에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는 분할형 아이스캡슐 축열조(10)에 분할설치된 아이스캡슐 축열조(10a)의 교체시기를 확인하여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형 아이스캡슐 축열조(10)의 교체 방식은, 일부의 아이스캡슐(130)이 오염되면 아이스캡슐 전체를 교체하여만 했던 종래 축열조의 교체방식보다 아이스캡슐(130)의 교체작업 비용 및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이스캡슐 축열조의 분할설치 방식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캡슐 축열조를 분할설치한 분할형 아이스캡슐 축열조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자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형 아이스캡슐 축열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형 아이스캡슐 축열조(10)는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이스캡슐 축열조(10a)를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스캡슐 축열조(10a, 10b, 10c, 10d, 10e, 10f, 10n, 10n+1)와 이를 분할설치하기 위한 격자(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분할형 아이스캡슐 축열조(10)는 삽입공간이 복수로 형성된 본체(1000)가 구비된다. 이를 통해, 복수의 아이스캡슐 축열조(10a, 10b, 10c, 10d, 10e, 10f, 10n, 10n+1)는 본체(1000)의 삽입공간에 삽입이 가능하다.
격자(20)는 도 6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가로격자(200)와 세로격자(210)로 구성된다.
가로격자(200)는 분할형 아이스캡슐 축열조(10)를 가로로 분할설치하기 위해 연장형성되는 부재이다.
세로격자(220)는 가로격자(200)와 직교방향으로 결합되어 분할형 아이스캡슐 축열조(10)를 세로로 분할설치하는 부재이다.
즉, 분할형 아이스캡슐 축열조(10)는 가로격자(200)와 세로격자(210)를 통해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분할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가로격자(200)와 세로격자(210)는 아이스캡슐 축열조(10a, 10b, 10c, 10d, 10e, 10f, 10n, 10n+1)와 접촉되는 일면에 복수의 홈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가로격자(200)는 아이스캡슐 축열조(10a, 10b, 10c, 10d, 10e, 10f, 10n, 10n+1)가 접촉되는 일면에 복수의 홈(205)이 형성된다. 또한, 세로격자(210)는 아이스캡슐 축열조(10a, 10b, 10c, 10d, 10e, 10f, 10n, 10n+1)와 접촉되는 일면에 복수의 홈(215)이 형성된다.
그리고 아이스캡슐 축열조(10a, 10b, 10c, 10d, 10e, 10f, 10n, 10n+1)는 가로격자(200) 또는 세로격자(210)와 접촉되는 하우징(100)의 일측면에 복수의 홈(105a, 105b, 105c, 105d, 105e, 105f, 105n, 105n+1)이 형성된다.
이러한 복수의 홈(105, 205, 215)은 분할형 아이스캡슐 축열조(10)가 분할설치될 때, 브라인(115)과 빙축열의 순환경로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복수의 홈(105, 205, 215)의 순환경로를 통해, 브라인(115)과 빙축열은 분할형 아이스캡슐 축열조(10)에서 순환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형 아이스캡슐 축열조(10)는 가로, 세로격자(200, 210)를 통해 분할설치됨에도 불구하고, 브라인(115)과 빙축열의 순환이 가능해짐에 따라 종래의 축열조와 같은 역할수행이 가능해진다.
한편, 아이스캡슐 축열조(10a, 10b, 10c, 10d, 10e, 10f, 10n, 10n+1)에 구성된 상부 디퓨저(110)와 하부 디퓨저(140)는 분할설치될 때 인접한 아이스캡슐 축열조의 상부 디퓨저(110) 및 하부 디퓨저(140)와 서로 연결된다.
이때, 상부 디퓨저(110)는 브라인(115)이 분할형 아이스캡슐 축열조(10)에서 순환되도록 한다. 또한, 하부 디퓨저(140)는 아이스캡슐(130)을 통과한 브라인(115)을 순환시킨 후에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빙축열 냉동기,
2: 냉각탑,
3: 열교환기,
4: FCU,
10: 축열조,
20: 격자,
100: 하우징,
105: 하우징의 홈,
110: 상부 디퓨저,
115: 브라인,
120: 격판,
130: 아이스캡슐,
140: 하부 디퓨저,
150: 온도센서,
160: 농도센서,
170: 컨트롤러,
180: 디스플레이,
190: 제어부,
200: 가로격자,
205: 가로격자 홈,
210: 세로격자,
215: 세로격자 홈,
1000: 본체,

Claims (11)

  1. 복수로 구성되며, 디퓨저로부터 분사되는 브라인을 통해 하우징 내부에 적층된 아이스캡슐을 냉각시켜 빙축열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빙축열이 순환되도록 하는 아이스캡슐 축열조;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과 접촉되어 상기 아이스캡슐 축열조가 복수의 방향으로 분할설치되도록 하며, 상기 일측면과 접촉되는 일면에 복수의 홈이 형성되는 격자;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스캡슐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아이스캡슐을 향해 브라인을 분사하는 상부 디퓨저;
    상기 아이스캡슐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아이스캡슐을 통과한 브라인을 순환시킨 후에 외부로 배출하는 하부 디퓨저;
    상기 상부 디퓨저와 하부 디퓨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상부 디퓨저에 유입되기 전의 브라인과 상기 하부 디퓨저를 통과하는 브라인의 온도값 및 농도값을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농도센서; 및
    상기 센서가 감지한 온도값과 농도값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이 기설정된 값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통해 상기 아이스캡슐 축열조의 교체시기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아이스캡슐 축열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디퓨저와 상기 아이스캡슐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디퓨저에서 분사되는 상기 브라인이 상기 아이스캡슐을 향해 균등하게 낙하되도록 복수의 홈이 형성되는 격판;을 포함하는 분할형 아이스캡슐 축열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디퓨저는,
    상기 아이스캡슐 축열조가 분할설치된 후에, 상기 인접한 아이스캡슐 축열조의 상부 디퓨저와 연결되어 상기 브라인을 상기 인접한 아이스캡슐 축열조로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아이스캡슐 축열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디퓨저는,
    상기 아이스캡슐 축열조가 분할설치된 후에, 상기 인접한 아이스캡슐 축열조의 하부 디퓨저와 연결되어 상기 브라인을 상기 인접한 아이스캡슐 축열조로 순환시킨 후에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아이스캡슐 축열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센서가 감지한 온도값과 농도값, 상기 하우징의 내부온도값, 상기 상부 디퓨저가 분사하는 브라인의 종류, 상기 아이스캡슐 축열조의 설치 및 교체상태, 상기 하부 디퓨저를 통해 배출되는 브라인의 압력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아이스캡슐 축열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와 접촉될 하우징의 일측면에 상기 격자에 형성된 복수의 홈과 대응되는 복수의 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아이스캡슐 축열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캡슐 축열조에 저장된 빙축열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격자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홈에 의한 순환경로를 통해 인접한 아이스캡슐 축열조로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아이스캡슐 축열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인은,
    무기 브라인인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또는 유기 브라인인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아이스캡슐 축열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아이스캡슐 축열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아이스캡슐 축열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는,
    상기 아이스캡슐 축열조를 가로로 분할설치하기 위해 연장형성되는 가로격자; 및
    상기 가로격자와 직교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아이스캡슐 축열조를 세로로 분할설치하는 세로격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아이스캡슐 축열조.
KR1020180151025A 2018-11-29 2018-11-29 분할형 아이스캡슐 축열조 KR102118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025A KR102118808B1 (ko) 2018-11-29 2018-11-29 분할형 아이스캡슐 축열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025A KR102118808B1 (ko) 2018-11-29 2018-11-29 분할형 아이스캡슐 축열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8808B1 true KR102118808B1 (ko) 2020-06-05

Family

ID=71089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1025A KR102118808B1 (ko) 2018-11-29 2018-11-29 분할형 아이스캡슐 축열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88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0390B1 (ko) 2020-12-10 2021-08-17 김후배 빙축열용 금속이온 축열재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31395A (ja) * 1985-04-03 1986-10-15 Kajima Corp 蓄熱槽
KR20030061575A (ko) * 2002-01-15 2003-07-22 (주)이앤이 시스템 빙축열 냉각시스템의 축열조
JP2004053140A (ja) * 2002-07-19 2004-02-19 Taisei Corp 温度成層型蓄熱装置
KR101597309B1 (ko) 2015-10-05 2016-02-24 주식회사 티이애플리케이션 축열 시스템 및 축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31395A (ja) * 1985-04-03 1986-10-15 Kajima Corp 蓄熱槽
KR20030061575A (ko) * 2002-01-15 2003-07-22 (주)이앤이 시스템 빙축열 냉각시스템의 축열조
JP2004053140A (ja) * 2002-07-19 2004-02-19 Taisei Corp 温度成層型蓄熱装置
KR101597309B1 (ko) 2015-10-05 2016-02-24 주식회사 티이애플리케이션 축열 시스템 및 축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0390B1 (ko) 2020-12-10 2021-08-17 김후배 빙축열용 금속이온 축열재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33083B (zh) 冷却装置
US20070056312A1 (en) Cooling System
CN108224631B (zh) 一种数据中心应急制冷系统及其控制方法
CN104390311B (zh) 针对高温服务器的空调制冷方法、系统和装置
KR102118808B1 (ko) 분할형 아이스캡슐 축열조
CN105378402A (zh) 冷却设备和方法
KR101001293B1 (ko) 축·방냉 펌프를 분리한 에너지 절약형 빙축열 시스템
CN204854115U (zh) 蓄冷蓄热组合式恒温设备
KR100856030B1 (ko) 축냉동 에너지를 이용한 에어컨
JP4964439B2 (ja) 冷却コイルによる蓄熱量増強システムの運転方法
KR20070112590A (ko) 냉수 제조 시스템
KR100605022B1 (ko) 자연공조 냉방시스템 및 그 운전방법
KR100964360B1 (ko) 빙축열 냉방시스템 및 방법
KR20130127017A (ko) 지하저수조를 이용한 냉각 시스템 및 방법
Yedmel et al. A novel approach combining thermosiphon and phase change materials (PCM) for cold energy storage in cooling systems: A proof of concept
KR100695252B1 (ko) 자연공조지열시스템
KR102290390B1 (ko) 빙축열용 금속이온 축열재 제조방법
KR101194319B1 (ko) 냉,난방용 하이브리드 히트펌프장치
JP2021165427A (ja) 水素ガス製造設備および水素ガス製造方法
JP7370656B1 (ja) シェルター室内冷房装置
KR102193565B1 (ko) 고층건물용으로 수압과 부력을 이용한 냉난방장치
JP2008261600A (ja) 貯湯タンクユニット,ヒートポンプ式給湯機
KR101218653B1 (ko) 부동액을 이용한 냉동과 냉장 및 냉방장치
KR200478083Y1 (ko) 응축 폐열을 이용한 동파 방지 장치
CN107771016B (zh) 一种数据中心及散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