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8733B1 - 광학진단 이미지 검출장치 및 검출방법 - Google Patents

광학진단 이미지 검출장치 및 검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8733B1
KR102118733B1 KR1020180064901A KR20180064901A KR102118733B1 KR 102118733 B1 KR102118733 B1 KR 102118733B1 KR 1020180064901 A KR1020180064901 A KR 1020180064901A KR 20180064901 A KR20180064901 A KR 20180064901A KR 102118733 B1 KR102118733 B1 KR 102118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pole
location information
unit
pole
image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4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8441A (ko
Inventor
홍영기
김희석
박상준
신동선
조태희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80064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8733B1/ko
Publication of KR20190138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8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2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characterised by the flaw, defect or object feature examin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01N2021/8887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based on image processing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진단 이미지 검출장치를 제공한다. 광학진단 이미지 검출장치는 주행 중인 차량에 설치되어 전주를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가 획득한 이미지 내의 전주번호를 인식하는 이미지 인식부,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전주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GPS 장치 및 상기 전주의 위치정보와 상기 전주번호를 매칭시키는 매칭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광학진단 이미지 검출장치 및 검출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ptical diagnostic image}
본 발명은 전주번호를 인식하여 전주의 위치정보와 매칭시키는 광학진단 이미지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국 곳곳에 방대한 규모로 설치되어 있는 특고압 배전선로는 현수애자, 라인포스트애자, 전선, 피뢰기, COS등 다양한 기자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배전설비 기자재는 현장에 설치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자연열화가 이뤄지고, 조류둥지 수목 등의 외물접촉 등의 원인으로 년간 약 500여건의 일시정전이 발생하고 있다. 일시정전 건 중 진단과 순시로 예방가능한 정전이 190여건으로 전체 정전의 약 38%를 점유하고 있어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매년 수백억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설비에 대한 진단을 시행하고 전국의 약 2,400여명 직원이 매일 순시를 시행하고 있다.
현재, 배전설비의 불량을 진단하면서 해당 배전설비가 부착된 전주의 전주번호와 전주의 위치를 특정하는 작업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진행하고 있다.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전주번호와 전주의 위치정보를 특정하는 작업은 시간 소비가 많고 전주번호와 전주의 위치정보 각각을 파악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전주번호찰을 촬영부를 통해 촬영하고 전주번호찰을 분석하여 전주번호를 인식할 수 있는 광학진단 이미지 검출장치 및 검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인식된 전주번호와 전주의 위치정보가 매칭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광학진단 이미지 검출장치 및 검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진단 이미지 검출장치를 제공한다. 광학진단 이미지 검출장치는 주행 중인 차량에 설치되어 전주를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가 획득한 이미지 내의 전주번호를 인식하는 이미지 인식부,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전주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GPS 장치 및 상기 전주의 위치정보와 상기 전주번호를 매칭시키는 매칭부를 포함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매칭부는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전주번호와 상기 이미지 인식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획득한 상기 전주번호를 비교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매칭부는 상기 전주번호와 상기 기저장된 전주번호가 다른 경우 실시간으로 획득한 상기 전주번호를 기준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매칭부는 서로 매칭된 상기 전주번호와 상기 전주의 위치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매칭부는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전주의 위치정보와 상기 GPS 장치를 통해 실시간으로 획득한 상기 전주의 위치정보를 비교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매칭부는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기저장된 전주의 위치정보가 다른 경우 실시간으로 획득한 상기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촬영부는 상기 전주를 여러 번 촬영하여 복수개의 이미지들을 획득하고, 상기 이미지 인식부는 상기 전주번호가 기재된 전주번호찰을 인식하고, 상기 이미지 인식부는 상기 복수개의 이미지들 중 상기 전주번호찰이 이미지의 정중앙에 배치되도록 촬영된 이미지를 선택하여 상기 전주번호를 인식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GPS 장치는 상기 차량에 부착된 센서부를 통해 획득된 상기 차량과 상기 전주 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전주의 위치정보를 생성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촬영부는 상기 전주의 배전설비 부분을 촬영하는 제1 촬영부 및 상기 전주의 전주번호찰을 촬영하는 제2 촬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촬영부는 상기 전주를 향하는 각도가 고정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제1 촬영부는 상기 차량과 상기 전주 간의 거리에 따라 초점거리 및 상기 전주를 향하는 각도가 조절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GPS 장치는 상기 제2 촬영부가 상기 전주의 전주번호찰을 촬영한 위치를 기초로 상기 전주의 위치정보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진단 이미지 검출방법을 제공한다. 광학진단 이미지 검출방법은 차량에 설치된 촬영부를 통해 전주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부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전주에 부착된 전주번호찰을 인식하고, 상기 전주번호찰에 기재된 전주번호를 인식하는 단계, GPS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전주의 위치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주의 위치정보와 상기 전주번호를 매칭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예에 의하여, 사전에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전주의 위치정보 및 전주번호와 실시간으로 획득한 상기 전주의 위치정보와 상기 전주번호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전주의 위치정보와 상기 기저장된 전주의 위치정보가 서로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전주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전주번호와 상기 기저장된 전부번호가 서로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전주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전주번호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부를 통해 복수개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이미지들 중 상기 전주번호찰이 이미지 정중앙에 위치하는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전주번호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진단 이미지 검출장치는 전주에 부착된 전주번호를 실시간으로 인식할 수 있고, 해당 전주의 GPS 좌표를 생성할 수 있다. 광학진단 이미지 검출장치를 통해 특정 전주의 전주번호와 위치정보(GPS 좌표)를 서로 매칭시킨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고, 작업자는 획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주의 관리를 용이하기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전주의 배전설비에 불량이 발생한 것을 확인한 경우, 작업자는 전주번호와 전주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전주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인식부는 이미지의 정중앙에 전주번호찰이 위치하는 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이미지를 기반으로 전주번호를 인식하여 전주번호의 인식률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진단 이미지 검출장치를 이용하여 전주를 촬영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진단 이미지 검출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진단 이미지 검출장치를 이용하여 전주번호를 촬영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인식부가 전주번호를 인식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진단 이미지 검출장치를 이용하여 전주번호를 촬영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진단 이미지 검출장치를 이용하여 전주번호를 인식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진단 이미지 검출장치를 이용하여 전주를 촬영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광학진단 이미지 검출장치(1)는 차량(10)에 설치되어 도로 주변에 설치된 전주(20)를 촬영할 수 있다. 차량(10)이 주행 중일 때, 광학진단 이미지 검출장치(1)는 차량(10) 주변에 위치한 복수개의 전주(20)를 촬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학진단 이미지 검출장치(1)는 차량(10)의 주행방향(X)에 위치하는 전주(20)에 설치된 배전설비(25)를 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진단 이미지 검출장치(1)는 고화질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고배율의 광학 카메라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광학진단 이미지 검출장치(1)를 통해, 작업자는 차량에서 하차하지 않고도 배전설비(25)에 대한 고화질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고, 작업자는 고화질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배전설비(25)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애자, COS, 개폐기 등)에 발생한 불량을 검출할 수 있다.
광학진단 이미지 검출장치(1)는 어느 하나의 전주(20)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한 이후 차량(10)의 주행방향(X)에 위치하는 다른 전주에 대한 이미지를 계속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진단 이미지 검출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을 참조하면, 광학진단 이미지 검출장치(1)는 이미지 획득부(100), 설정 변경부(200), 이미지 인식부(300), 매칭부(400) 및 데이터베이스(50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500)는 차량에 부착된 것일 수 있으나, 차량 외부에 존재하는 구성일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500)는 전주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일부분일 수 있다.
이미지 획득부(100)는 촬영부(110)와 각도 조절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110)와 각도 조절부(130)는 차량에 설치될 수 있다.
촬영부(110)는 전주에 설치된 배전설비 및 전주에 설치된 전주번호찰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부(110)는 광학 카메라일 수 있다. 촬영부(110)는 1초당 4 프레임(frame) 이상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전주번호찰은 전주를 특정하기 위해 전주에 부착된 것이다. 전주번호찰에는 전주번호가 기재되어 있다. 전주번호는 국가기본도 상에서 가로, 세로를 일정한 간격으로 분할(관리구라 함)하여 얻은 고유번호와 각종 배전설비(또는 전주)가 위치한 특정지점의 고유번호를 합하여 만든 전산번호를 의미할 수 있다.
각도 조절부(130)는 촬영부(110)가 향하는 방향을 상하 및 좌우로 조절할 수 있다. 각도 조절부(130)는 별도의 지지부를 통해 차량에 거치될 수 있다. 각도 조절부(130)는 촬영부(110)를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 때,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설정 변경부(200)는 센서부(210), GPS 장치(230), 테이블(25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설정 변경부(200)는 촬영부(110) 및 각도 조절부(130)를 제어할 수 있고, 촬영부(110) 및 각도 조절부(130)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센서부(210)는 차량과 전주 간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210)는 카메라 또는 초음파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센서부(210)가 측정한 차량과 전주 간의 거리에 대한 데이터는 GPS 장치(230) 및 제어부(270)로 전송될 수 있다.
GPS 장치(230)는 차량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GPS 장치(230)는 차량이 전주를 지나칠 때 또는 차량이 전주를 촬영한 때를 기준으로 차량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GPS 장치(230)는 센서부(210)가 측정한 차량과 전주 간의 거리와 차량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전주의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GPS 장치(230)가 측정하는 차량의 위치정보는 전주의 위치정보와 상이할 수 있으므로, GPS 장치(230)는 차량과 전주 간의 거리를 고려하여 전주의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테이블(250)은 차량과 전주 간의 거리에 따라 달라지는 촬영부(110)의 초점거리값 및 각도 조절부(130)의 각도값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촬영부(110)에 설정된 초점거리값은 제1 초점거리이고 각도 조절부(130)에 설정된 각도값은 제1 각도일 때, 차량이 전주를 향해 주행을 지속하는 동안 변경되는 초점거리값 및 각도값이 테이블(250)에 저장될 수 있다. 이 때, 테이블(250)은 차량의 속도를 고려한 촬영부(110)의 초점거리값 및 각도 조절부(130)의 각도값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센서부(210)가 측정한 차량과 전주 간의 거리와 테이블(25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촬영부(110)의 초점거리 및 각도 조절부(13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촬영부(110)에 설정된 초점거리값은 제1 초점거리이고 각도 조절부(130)에 설정된 각도값은 제1 각도일 때, 특정 지점에서 촬영부(110)가 최적의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값은 제2 초점거리 및 제2 각도일 수 있다. 차량과 전주 간의 위치가 계속적으로 변경됨에 따라 초점거리값과 각도값은 달라질 수 있고, 차량과 전주 간의 거리 및 차량의 속도에 따라 달라지는 초점거리값과 각도값은 테이블(25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부(270)는 특정 지점에서 테이블(250)에 저장된 제2 초점거리 및 제2 각도를 촬영부(110) 및 각도 조절부(130)에 입력할 수 있다. 촬영부(110)가 설치된 차량은 주행 중이므로, 차량과 전주 간의 거리는 실시간으로 달라질 수 있다. 이 때, 촬영부(110)의 초점거리 및 각도 조절부(130)의 각도가 고정되어 있어 있으면 고화질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없다. 또한, 작업자가 실시간으로 변경되는 차량과 전주 간의 거리를 기초로 촬영부(110)의 초점거리 및 각도 조절부(130)의 각도를 수동으로 조절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70)는 센서부(230)로부터 획득한 데이터 및 데이블(250)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동으로 촬영부(110)의 초점거리 및 각도 조절부(13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촬영부(110)는 고화질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미지 인식부(300)는 촬영부(110)가 획득한 이미지를 통해 전주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촬영부(110)는 전주에 부착된 전주번호찰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고, 이미지 인식부(300)는 전주번호찰에 기재된 전주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즉, 이미지 인식부(300)는 이미지를 분석하여 숫자 및 글자를 인식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한 구성일 수 있다. 촬영부(110)는 동일 전주에 대한 복수개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고, 이미지 인식부(300)는 복수개의 이미지를 중 전주번호찰이 이미지의 정중앙에 위치하는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이미지 인식부(300)는 추출된 이미지를 기반으로 전주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인식부(300)는 복수개의 이미지들 중 전주번호를 인식하기 용이한 이미지를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전주번호를 인식하므로 전주번호를 인식하는 작업의 신뢰성이 증가될 수 있다.
이미지 인식부(300)는 이미지의 초점이 맞는지 여부 및 이미지 내의 배전설비 부분이 이미지의 정중앙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미지 인식부(300)는 이미지의 초점이 맞지 않거나 이미지 내의 배전설비 부분이 이미지의 정중앙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270)로 이미지를 다시 촬영하라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인식부(300)는 이미지의 초점이 맞지 않는 경우, 촬영부(110)에 입력되는 초점거리값을 조절하라는 신호를 제어부(27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인식부(300)는 이미지 내의 배전설비 부분이 이미지의 정중앙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각도 조절부(130)에 입력되는 각도값을 조절하라는 신호를 제어부(270)에 전송할 수 있다.
매칭부(400)는 이미지 인식부(300)가 인식한 전주번호와 GPS 장치(230)가 측정한 전주의 위치정보를 매칭시킬 수 있다. 매칭부(400)는 특정 전주의 위치정보와 전주번호를 매칭시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베이스(500)는 전주들 각각의 위치정보와 전주번호에 대한 데이터를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일 예로, 매칭부(400)는 실시간으로 측정한 전주번호와 데이터베이스(500)에 기저장된 전주번호를 서로 비교할 수 있고, 실시간으로 측정한 전주번호와 데이터베이스(500)에 기저장된 전주번호가 서로 다른 경우에는 실시간으로 측정한 전주번호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500)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매칭부(400)는 실시간으로 측정한 전주번호와 데이터베이스(500)에 기저장된 전주번호가 서로 다른 경우에 작업자에게 이를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작업자는 매칭부(400)가 판단한 결과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500)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 예로, 매칭부(400)는 실시간으로 측정한 전주의 위치정보와 데이터베이스(500)에 기저장된 전주의 위치정보를 서로 비교할 수 있고, 실시간으로 측정한 전주의 위치정보와 데이터베이스(500)에 기저장된 전주의 위치정보가 서로 다른 경우에는 실시간으로 측정한 전주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500)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매칭부(400)는 실시간으로 측정한 전주의 위치정보와 데이터베이스(500)에 기저장된 전주의 위치정보가 서로 다른 경우에 작업자에게 이를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작업자는 매칭부(400)가 판단한 결과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500)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진단 이미지 검출장치(1)는 전주에 부착된 전주번호를 실시간으로 인식할 수 있고, 해당 전주의 GPS 좌표를 생성할 수 있다. 광학진단 이미지 검출장치(1)를 통해 특정 전주의 전주번호와 위치정보(GPS 좌표)를 서로 매칭시킨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고, 작업자는 획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주의 관리를 용이하기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전주의 배전설비에 불량이 발생한 것을 확인한 경우, 작업자는 전주번호와 전주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전주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진단 이미지 검출장치(1)는 전국에 있는 전주들의 위치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으므로 전주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진단 이미지 검출장치를 이용하여 전주번호를 촬영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차량(10)에 부착된 촬영부(110)는 차량(10)의 진행방향에 위치하는 전주들(20a, 20b, 20c)을 촬영할 수 있다. 이 때, 촬영부(110)에 설정된 초점거리 및 각도에 의해 촬영부(110)는 제1 전주(20a)의 전주번호찰(28a) 및 제2 전주(20b)의 전주번호찰(28b)을 촬영할 수 있고 제2 전주(20b) 및 제3 전주(20c)의 배전설비(25b, 25c)를 촬영할 수 있다. 즉, 촬영부(110)는 제2 전주(20a)의 전주번호찰(28b) 및 배전설비(25b)을 동시에 촬영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10)에 하나의 촬영부(110) 만을 설치하여도 배전설비의 불량을 감지하기 위한 이미지와 전주번호를 인식하기 위한 이미지를 동시에 획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인식부가 전주번호를 인식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촬영부(110)는 복수개의 이미지들(50a, 50b, 50c, 50d)을 획득할 수 있다. 복수개의 이미지들(50a, 50b, 50c, 50d)은 먼저 촬영된 순서대로 제1 이미지(50a), 제2 이미지(50b), 제3 이미지(50c) 및 제4 이미지(50d)로 정의될 수 있다. 이미지 인식부(300)는 이미지들(50a, 50b, 50c, 50d) 중 가장 양호한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가장 양호한 이미지는 전주번호찰이 이미지 정중앙에 가장 가깝게 위치한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3 이미지(50c)의 정중앙에 전주번호찰(28)이 위치하므로, 제3 이미지(50c)가 가장 양호한 이미지이다. 따라서, 이미지 인식부(300)는 제3 이미지(50c)를 추출하여 전주번호(29)를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의 정중앙에 전주번호찰이 위치하는 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이미지를 기초로 전주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이미지의 정중앙에 전주번호찰이 위치하지 않고 이미지의 구석에 전주번호찰이 존재하는 이미지를 이용하여 전주번호를 인식하는 경우에는 전주번호 인식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인식부(300)는 이미지의 정중앙에 전주번호찰이 위치하는 이미지를 이용하여 전주번호를 인식하여 전주번호의 인식률을 높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진단 이미지 검출장치를 이용하여 전주번호를 촬영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설명의 간략을 위해 중복되는 내용의 기재는 생략한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차량(10)에는 촬영부(110)가 설치될 수 있고, 촬영부(110)는 제1 촬영부(110a) 및 제2 촬영부(11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촬영부(110a)는 전주들(20a, 20b, 20c)의 배전설비들(25a, 25b, 25c)를 촬영할 수 있고, 제2 촬영부(110b)는 전주들(20a, 20b, 20c)에 부착된 전주번호찰(28a, 28b, 28c)을 촬영할 수 있다. 제1 촬영부(110a)는 각도 조절부(130)에 의해 각도가 조절될 수 있고, 제2 촬영부(110b)는 차량(10)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촬영부(110b)는 차량(10)이 전주를 지나갈 때 전주번호찰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촬영부(110b)는 차량(10)이 제1 전주(20a)를 지나갈 때 제1 전주번호찰(28a)을 촬영할 수 있다. 이 때, 이미지 인식부(300)는 제1 전주번호찰(28a)을 촬영한 이미지로부터 전주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GPS 장치(230)는 제1 전주번호찰(28a)이 촬영될 때 차량(10)의 위치정보를 측정할 수 있고, 차량(10)의 위치정보는 제1 전주(20a)의 위치정보와 GPS의 오차범위 내일 수 있다. 따라서, 매칭부(400)는 차량(10)의 위치정보를 제1 전주(20a)의 위치정보로 판하여 제1 전주번호찰(28a)을 인식하여 획득한 전주번호와 제1 전주(20a)의 위치정보를 매칭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주번호찰을 촬영하는 별도의 촬영부를 이용하여 차량과 전주 간의 거리를 측정하지 않고도 특정 전주의 전주번호와 위치정보를 매칭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이 전주를 지나갈 때 GPS 장치가 전주의 위치정보를 측정하므로 GPS 장치는 보다 정확성이 높은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진단 이미지 검출장치를 이용하여 전주번호를 인식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차량에 설치된 촬영부를 이용하여 전주에 부착된 전주번호찰을 촬영할 수 있다. 이미지 인식부는 전주번호찰을 촬영한 복수개의 이미지들 중 전주번호찰이 이미지의 정중앙에 가장 가깝게 위치한 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한 이미지에서 전주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S100).
차량에 설치된 GPS 장치는 전주의 위치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GPS 장치는 전주번호찰을 촬영한 때 또는 전주번호가 인식된 때를 기준으로 전주의 위치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예로, GPS 장치는 차량과 전주 간의 거리를 고려하여 전주의 위치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GPS 장치는 차량에 설치된 것으로 차량의 위치정보를 1차적으로 획득하고, 차량과 전주 간의 거리를 고려하여 전주의 위치정보를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GPS 장치는 차량이 전주를 지나갈 때 차량의 위치정보를 1차적으로 획득하고, 차량의 위치정보를 전주의 위치정보와 동일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차량에는 전주번호찰을 촬영하기 위한 별도의 촬영부가 구비될 수 있다(S200).
매칭부는 전주번호와 전주의 위치정보를 서로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주의 위치정보와 전주번호 중 어느 하나를 알더라도 다른 하나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S300).
매칭부는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전주번호 및 전주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한 전주번호 및 전주의 위치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전주번호 및 전주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한 전주번호 및 전주의 위치정보와 상이한 경우, 매칭부는 실시간으로 측정한 전주번호 및 전주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시킬 수 있다(S400).
이상,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6)

  1. 주행 중인 차량에 설치되어 전주를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가 향하는 방향을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
    상기 촬영부가 획득한 이미지 내의 전주번호를 인식하는 이미지 인식부;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전주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GPS 장치;
    상기 전주의 위치정보와 상기 전주번호를 매칭시키는 매칭부; 및
    상기 차량과 상기 전주 간의 거리에 따라 달라지는 촬영부의 초점거리값 및 각도 조절부의 각도값을 저장하는 테이블을 포함하는 광학진단 이미지 검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부는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전주번호와 상기 이미지 인식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획득한 상기 전주번호를 비교하는,
    광학진단 이미지 검출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부는 상기 전주번호와 상기 기저장된 전주번호가 다른 경우 실시간으로 획득한 상기 전주번호를 기준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는,
    광학진단 이미지 검출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부는 서로 매칭된 상기 전주번호와 상기 전주의 위치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광학진단 이미지 검출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부는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전주의 위치정보와 상기 GPS 장치를 통해 실시간으로 획득한 상기 전주의 위치정보를 비교하는,
    광학진단 이미지 검출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부는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기저장된 전주의 위치정보가 다른 경우 실시간으로 획득한 상기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는,
    광학진단 이미지 검출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상기 전주를 여러 번 촬영하여 복수개의 이미지들을 획득하고,
    상기 이미지 인식부는 상기 전주번호가 기재된 전주번호찰을 인식하고,
    상기 이미지 인식부는 상기 복수개의 이미지들 중 상기 전주번호찰이 이미지의 정중앙에 배치되도록 촬영된 이미지를 선택하여 상기 전주번호를 인식하는,
    광학진단 이미지 검출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GPS 장치는 상기 차량에 부착된 센서부를 통해 획득된 상기 차량과 상기 전주 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전주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광학진단 이미지 검출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상기 전주의 배전설비 부분을 촬영하는 제1 촬영부; 및
    상기 전주의 전주번호찰을 촬영하는 제2 촬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촬영부는 상기 전주를 향하는 각도가 고정된,
    광학진단 이미지 검출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촬영부는:
    상기 차량과 상기 전주 간의 거리에 따라 초점거리 및 상기 전주를 향하는 각도가 조절되는,
    광학진단 이미지 검출장치.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GPS 장치는 상기 제2 촬영부가 상기 전주의 전주번호찰을 촬영한 위치를 기초로 상기 전주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광학진단 이미지 검출장치.
  12. 차량에 설치되고, 각도 조절부에 의해 향하는 방향이 조절되는 촬영부를 통해 전주를 촬영하되, 상기 차량과 상기 전주 간의 거리에 따라 달라지는 촬영부의 초점거리값 및 각도 조절부의 각도값을 테이블에서 독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상기 촬영부의 초점거리 및 각도 조절부의 각도를 조절하여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부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전주에 부착된 전주번호찰을 인식하고, 상기 전주번호찰에 기재된 전주번호를 인식하는 단계;
    GPS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전주의 위치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주의 위치정보와 상기 전주번호를 매칭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학진단 이미지 검출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사전에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전주의 위치정보 및 전주번호와 실시간으로 획득한 상기 전주의 위치정보와 상기 전주번호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광학진단 이미지 검출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주의 위치정보와 상기 기저장된 전주의 위치정보가 서로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전주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는,
    광학진단 이미지 검출방법.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주번호와 상기 기저장된 전부번호가 서로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전주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는,
    광학진단 이미지 검출방법.
  16.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주번호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부를 통해 복수개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이미지들 중 상기 전주번호찰이 이미지 정중앙에 위치하는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전주번호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학진단 이미지 검출방법.

KR1020180064901A 2018-06-05 2018-06-05 광학진단 이미지 검출장치 및 검출방법 KR102118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901A KR102118733B1 (ko) 2018-06-05 2018-06-05 광학진단 이미지 검출장치 및 검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901A KR102118733B1 (ko) 2018-06-05 2018-06-05 광학진단 이미지 검출장치 및 검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8441A KR20190138441A (ko) 2019-12-13
KR102118733B1 true KR102118733B1 (ko) 2020-06-04

Family

ID=68847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4901A KR102118733B1 (ko) 2018-06-05 2018-06-05 광학진단 이미지 검출장치 및 검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87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0757B1 (ko) * 2020-03-30 2021-10-08 한국과학기술원 순차적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람 모션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8223A (ja) 2005-08-12 2007-02-22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電力設備情報提供システム
KR101068477B1 (ko) * 2011-01-12 2011-09-28 투아이시스(주) 전주 인식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425B1 (ko) * 2007-09-03 2014-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의 자동 초점 조절 장치 및 방법
KR20150034860A (ko) * 2013-09-25 2015-04-06 한국철도공사 전주번호 인식을 통한 위치검지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34726A (ko) * 2014-09-22 2016-03-30 한국전력공사 현수애자 진단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8223A (ja) 2005-08-12 2007-02-22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電力設備情報提供システム
KR101068477B1 (ko) * 2011-01-12 2011-09-28 투아이시스(주) 전주 인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8441A (ko) 2019-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50723B (zh) 一种基于变电站巡检机器人系统的故障诊断及定位方法
CN110142785A (zh) 一种基于目标检测的巡检机器人视觉伺服方法
WO2020022042A1 (ja) 劣化診断装置、劣化診断システム、劣化診断方法、プログラムを記憶する記憶媒体
CN111141311B (zh) 一种高精度地图定位模块的评估方法及系统
CN108932273B (zh) 图片筛选方法及装置
KR102359306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영상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US20130335579A1 (en) Detection of camera misalignment
CN115171361B (zh) 一种基于计算机视觉的危险行为智能检测预警方法
CN108292469B (zh) 位置信息确定方法、装置以及计算机存储介质
CN109631768A (zh) 一种结构物二维位移监测装置及方法
CN108777070A (zh) 基于车道网格和车辆采样的道路实时监测方法和系统
KR102118733B1 (ko) 광학진단 이미지 검출장치 및 검출방법
JP2010039825A (ja) 駐車監視方法及びその監視装置
CN109791037B (zh) 位置信息确定方法、位置信息确定装置、以及,记忆媒体
CN116386373A (zh) 车辆定位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WO2019151704A1 (ko) 교통 모니터링 카메라를 이용하는 3차원 시정 측정 방법 및 시스템
CN114782852B (zh) 指针式工业仪表的读数方法、读数装置与读数系统
CN114724104B (zh) 一种视认距离检测的方法、装置、电子设备、系统及介质
JP2023112536A (ja) 路面損傷位置の算定方法
WO2019044345A1 (ja) 鉄道設備モニタリング装置及び鉄道設備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KR102112399B1 (ko) 광학진단 이미지 검출장치
CN115866212B (zh) 基于大数据判断画面优先级的应急指挥中控管理系统
CN115050191B (zh) 图像收集系统以及图像收集方法
KR102446235B1 (ko) 과속 측정장치
KR102336433B1 (ko) 카메라를 이용한 수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