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8031B1 - 전동 펌프 - Google Patents

전동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8031B1
KR102118031B1 KR1020140035944A KR20140035944A KR102118031B1 KR 102118031 B1 KR102118031 B1 KR 102118031B1 KR 1020140035944 A KR1020140035944 A KR 1020140035944A KR 20140035944 A KR20140035944 A KR 20140035944A KR 102118031 B1 KR102118031 B1 KR 102118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rotor
circumferential surface
housing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5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2245A (ko
Inventor
김상태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5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8031B1/ko
Publication of KR20150112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2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2/00 - F04C14/00
    • F04C15/0042Systems for the equilibration of forces acting on the machines or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2/00 - F04C14/00
    • F04C15/06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0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 F04C2/08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 F04C2/1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 F04C2/102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the two members rotating simultaneously around their respective a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20Fluid liquid, i.e. in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30Casings o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40Electric mo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And Applications Of Rotary Liquid Pumps (AREA)
  • Rotary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안쪽에 배치되는 로터코어와, 상기 로터코어에 결합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모터부; 상기 샤프트에 결합하며 외측로브가 형성된 내부로터와, 상기 내부로터의 바깥쪽에 배치되며 상기 외측로브와 걸리도록 형성되는 내측로브가 형성된 외부로터를 포함하는 펌프부; 상기 모터부를 포함하는 모터하우징과, 상기 모터하우징에 연결되며 상기 펌프부가 삽입되는 펌프 수용부가 형성된 펌프하우징을 포함하는 하우징부;및 상기 하우징부에 결합하여 상기 펌프 수용부를 덮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수용부는 상기 외부로터의 외주면과 마찰 접촉하여 상기 외부로터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영역과 상기 가이드영역보다 내경이 확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외부로터의 외주면과 여유공간을 형성하는 내경확장영역을 구비한 내주면을 포함하는 전동 펌프를 제공하여, 마찰 토크 발생에 큰 영향을 주는 펌프 수용부의 내주면과 외부로터의 외주면의 마찰 토크를 감소시켜 전동 펌프의 소비전력을 크게 감소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동 펌프{Electric pump}
본 발명은 전동 펌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를 통해 유체를 펌핑하는 전동 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오일펌프(Electric Oil Pump, EOP)는 차량에서 오일의 순환이 필요한 변속기 또는 제동장치 등에서 모터를 활용하여 유압 라인에 오일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HEV 차량의 경우, 운행 정지 시 엔진이 정지되기 때문에, 기계적인 오일펌프를 통해서는 변속기에 일정한 압력을 공급하는 것이 어렵다. 때문에 HEV 차량에서는 모터를 통하여 오일을 공급하는 전동오일펌프를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전동오일펌프의 토크는 통상적으로 유체의 용적에 의한 유압 토크와 기계적 마찰에 의한 마찰 토크로 구분될 수 있는데, 마찰 토크가 증가하면 마찰에 의한 손실을 보상하여야 하기 때문에 추가적이 동력이 소요되고 이로 인하여, 전동오일펌프의 소비 전력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마찰 토크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전동 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특히, 펌프하우징과 로터의 마찰 영역에서 발생하는 마찰 토크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전동 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안쪽에 배치되는 로터코어와, 상기 로터코어에 결합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모터부와, 상기 샤프트에 결합하며 외측로브가 형성된 내부로터와, 상기 내부로터의 바깥쪽에 배치되며 상기 외측로브와 걸리도록 형성되는 내측로브가 형성된 외부로터를 포함하는 펌프부와, 상기 모터부를 포함하는 모터하우징과, 상기 모터하우징에 연결되며 상기 펌프부가 삽입되는 펌프 수용부가 형성된 펌프하우징을 포함하는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에 결합하여 상기 펌프 수용부를 덮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수용부는 상기 외부로터의 외주면과 마찰 접촉하여 상기 외부로터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영역과 상기 가이드영역보다 내경이 확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외부로터의 외주면과 여유공간을 형성하는 내경확장영역을 구비한 내주면을 포함하는 전동 펌프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터하우징과 상기 펌프하우징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경확장영역은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내주면의 선단에서 시작하여 상기 모터부 쪽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내경확장영역의 폭은 상기 내주면 폭의 반값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펌프 수용부의 바닥면과 및 상기 커버부의 내측면에는 반경 방향으로 내주면과 외주면을 경계로 하는 흡입포트와 배출포트가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부는 상기 흡입포트와 연통되는 흡입구와, 상기 배출포트와 연통되는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입구와 상기 배출구는 상기 내부로터 및 외부로터를 마주보고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펌프 수용부의 내주면에 외부로터의 외주면과 여유공간을 형성하는 내경확장영역을 구비함으로써, 마찰 토크 발생에 큰 영향을 주는 펌프 수용부의 내주면과 외부로터의 외주면의 마찰 토크를 감소시켜 전동 펌프의 소비전력을 크게 감소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펌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펌프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펌프수용부에 형성된 흡입포트 및 배출포트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커버부에 형성된 흡입포트 및 배출포트를 도시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펌프 수용부의 내주면에 구비된 내경확장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펌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펌프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러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1 및 도 2를 병행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펌프는 모터부(110)와, 펌프부(120)와, 하우징부(130)와 커버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부(110)는 펌프부(120)에 동력을 전달하는 것으로, 스테이터(111)와 로터코어(112)와 샤프트(113)를 포함할 수 있다.
로터코어(112)의 둘레를 따라 간극을 두고 스테이터(113)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스테이터(113)에는 회전 자계를 형성하는 코일이 권선되어 로터코어(112)와의 전기적 상호 작용을 유발하여 로터코어(112)의 회전을 유도한다. 로터코어(112)가 회전하면 샤프트(113)가 회전하면서 펌프부(120)에 동력을 제공한다. 이때, 샤프트(113)는 단부가 하우징부(130)의 펌프수용부(S)의 내부까지 위치하도록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모터부(110)에는 인버터 및 인버터 구동부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인버터에 내장된 인쇄회로기판과 모터의 U,V,W 단자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펌프부(120)는 하우징부(130)에 형성된 펌프수용부(S)에 삽입되며 모터부(11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오일을 펌핑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펌프부(120)는 내부로터(121)와 외부로터(122)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로터(121)는 중심부에 샤프트(113)가 끼워져 모터부(110)로부터 회전력을 직접 전달 받는다.
외부로터(122)는 내부로터(121)의 바깥쪽에 배치된다. 그리고 내부로터(121)에는 회전중심을 기준하여 반경 방향으로 외향하여 N개의 외측로브가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외부로터(122)에는 반경 방향으로 내향하여 N+1개의 내측로브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외측로브(121a)가 내측로브에 걸리도록 형성되며 내부로터(121)가 회전함에 따라 외부로터(122)는 (N+1)/N의 회전비로 회전하게 된다.
펌프부(120)는 내부로터(121)가 회전할 때 일정한 편심 구조를 갖게 되는데, 이러한 편심에 의해 내부로터(121)와 외부로터(122) 사이에 오일을 운반할 수 있는 공간이 발생하게 된다. 즉, 내부로터(121)의 회전 운동시 체적이 증가한 부분은 압력 강하로 주위의 오일를 흡입하고, 체적이 감소한 부분은 압력의 증가로 오일을 토출하게 된다. 이러한 펌프 구조는 공지의 구조가 모두 적용될 수 있는바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히우징부(130)는 모터부(110)를 포함하는 모터하우징(도 1의 131)과 펌프수용부(133)를 형성하는 펌프하우징(도 1의 132)을 포함할 수 있다. 펌프하우징(132)은 샤프트(113)의 단부가 펌프수용부(S)에 위치하도록 모터하우징(131)의 선단에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모터하우징(131)과 펌프하우징(132)은 그 기능적 특성에 따라 구분되어 설명될 수 있을 뿐, 일체로 형성되어 서로 연결된 하나의 수단일 수 있다.
도 3은 펌프수용부에 형성된 흡입포트 및 배출포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커버부에 형성된 흡입포트 및 배출포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포트(10)는 하우징부(130)와 커버부(140)에서 반경 방향으로 기준으로 내주면(11)과 외주면(12)을 경계로 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출포트(20)도 하우징부(130)와 커버부(140)에서 반경 방향으로 기준으로 내주면(11)과 외주면(12)을 경계로 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커버부(140)에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포트(10)과 연통되는 흡입구(141)가 형성될 수 있으며, 배출포트(20)와 연통되는 배출구(142)가 형성될 수 이다. 흡입구(141)와 배출구(142)는 내부로터(121) 및 외부로터(122)를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흡입포트(10) 및 배출포트(20)는 하우징부(130) 및 커버부(140)에 각각 형성되어 유체가 펌프부(120)에 의해 원할하게 흡입되고 배출될 수 있게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흡입포트(10) 및 배출포트(20)는 공간 상 구획되어 형성된다. 이는 압력차에 의해 유체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때, 펌프부(120)와 하우징부(130) 및 커버부(140)의 접촉 부분에서는 마찰 손실이 일어난다. 때문에 펌프부(120)와 하우징부(130) 및 커버부(140)의 접촉 면적이 클수록 마찰 토크가 증가하게 된다.
도 5 및 도 6은 펌프 수용부의 내주면에 구비된 내경확장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펌프수용부(133)의 내주면은 가이드영역(133a)과, 내경확장영역(133b)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영역(133a)은 외부로터(122)의 외주면(122a)과 마찰 접촉하여 외부로터(122)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외부로터(122)의 가이드영역(133a)과 펌프수용부(133)의 내주면 사이에는 얇은 유막이 형성되고 얇은 유막에 의해 마찰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반면에, 내경확장영역(133b)은 펌프수용부(133)의 내주면과 외부로터(122)의 외주면(122a) 사이에서 여유공간(C)을 확보하여 마찰 토크를 감소시킨다. 전동 펌프에서 발생하는 마찰 토크 중 많은 부분은 펌프수용부(133)의 내주면과 외부로터(122)의 외주면(122a)의 마찰 영역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회전하는 로터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 토크는, 반경방향으로 기준으로 로터의 내주면과 하우징의 내주면과의 여유공간에 반비례하는 점을 고려할 때, 내경확장영역(133b)을 통해 마찰 토크를 크게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내경확장영역(133b)은 샤프트(113)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펌프수용부(133)의 내주면의 선단에서 시작하여 모터부(110) 쪽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내경확장영역(133b)의 폭(W1)은 펌프수용부(133)의 내주면의 폭(W2)의 반값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내경확장영역(133b)의 폭(W1)에 대한 이와 같은 기준은 마찰 토크의 저감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한 기준이다.
이러한 마찰 토크 저감 구성은 저압용 전동 펌프에 특히 유용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펌프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흡입포트
20: 배출포트
11,21: 내주면
12,22: 외주면
110: 모터부
111: 스테이터
112: 로터코어
113: 샤프트
120: 펌프부
121: 내부로터
122: 외부로터
122a: 외주면
130: 하우징부
131: 모터하우징
132: 펌프하우징
133: 펌프 수용부
133a: 가이드영역
133b: 내경확장영역
140: 커버부
141: 흡입구
142: 배출구

Claims (7)

  1.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안쪽에 배치되는 로터코어와, 상기 로터코어에 결합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모터부;
    상기 샤프트에 결합하며 외측로브가 형성된 내부로터와, 상기 내부로터의 바깥쪽에 배치되며 상기 외측로브와 걸리도록 형성되는 내측로브가 형성된 외부로터를 포함하는 펌프부;
    상기 모터부를 포함하는 모터하우징과, 상기 모터하우징에 연결되며 상기 펌프부가 삽입되는 펌프 수용부가 형성된 펌프하우징을 포함하는 하우징부;및
    상기 하우징부에 결합하여 상기 펌프 수용부를 덮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수용부는 상기 외부로터의 외주면과 마찰 접촉하여 상기 외부로터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영역과 상기 가이드영역보다 내경이 확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외부로터의 외주면과 여유공간을 형성하는 내경확장영역을 구비한 내주면을 포함하고, 상기 내경확장영역은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내주면의 선단에서 시작하여 상기 모터부 쪽을 향하여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내경확장영역의 폭은 상기 내주면 폭의 반값보다 크게 형성되는 전동 펌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하우징과 상기 펌프하우징은 일체로 형성되는 전동 펌프.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수용부의 바닥면과 및 상기 커버부의 내측면에는 반경 방향으로 내주면과 외주면을 경계로 하는 흡입포트와 배출포트가 구획되어 형성되는 전동 펌프.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흡입포트와 연통되는 흡입구와, 상기 배출포트와 연통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전동 펌프.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와 상기 배출구는 상기 내부로터 및 외부로터를 마주보고 형성되는 전동 펌프.
KR1020140035944A 2014-03-27 2014-03-27 전동 펌프 KR102118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944A KR102118031B1 (ko) 2014-03-27 2014-03-27 전동 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944A KR102118031B1 (ko) 2014-03-27 2014-03-27 전동 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2245A KR20150112245A (ko) 2015-10-07
KR102118031B1 true KR102118031B1 (ko) 2020-06-02

Family

ID=54343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5944A KR102118031B1 (ko) 2014-03-27 2014-03-27 전동 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80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65470B2 (ja) * 2017-09-13 2022-11-04 エルジー イノ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電動ポンプおよびモーター
CN111396736B (zh) * 2020-04-17 2021-05-04 江苏金湖输油泵有限公司 车桥电动润滑泵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5734A (ja) * 2008-02-07 2009-08-20 Jtekt Corp 内接ギヤポンプ及びこれを備えた電動ポンプ
JP2013060901A (ja) * 2011-09-14 2013-04-04 Jtekt Corp 内接ギアポンプ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5734A (ja) * 2008-02-07 2009-08-20 Jtekt Corp 内接ギヤポンプ及びこれを備えた電動ポンプ
JP2013060901A (ja) * 2011-09-14 2013-04-04 Jtekt Corp 内接ギアポ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2245A (ko) 2015-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0609B1 (ko) 모터
KR102118028B1 (ko) 전동식 펌프
EP3438463A1 (en) Centrifugal pump
JP6227445B2 (ja) 電動オイルポンプ
JP2014122629A (ja) 電動ポンプ
JP5391016B2 (ja) 電動ポンプ
KR102118031B1 (ko) 전동 펌프
EP2924291B1 (en) Electric pump
US20160369818A1 (en) Fuel pump
KR102405642B1 (ko) 전동 펌프
US10233881B2 (en) Fuel pump
US20220412349A1 (en) Pump
US20230003219A1 (en) Pump
JP7251227B2 (ja) ポンプ装置
US20220412351A1 (en) Pump
KR20220045754A (ko) 전동 펌프
US20160369810A1 (en) Fuel pump
US20180135640A1 (en) Fuel pump
KR20150067642A (ko) 오일 펌프
JP6418059B2 (ja) 燃料ポンプ
CN116325443A (zh) 电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