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7405B1 - 배액 카테터 장치 - Google Patents

배액 카테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7405B1
KR102117405B1 KR1020170102308A KR20170102308A KR102117405B1 KR 102117405 B1 KR102117405 B1 KR 102117405B1 KR 1020170102308 A KR1020170102308 A KR 1020170102308A KR 20170102308 A KR20170102308 A KR 20170102308A KR 102117405 B1 KR102117405 B1 KR 102117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catheter body
rotating member
catheter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2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7443A (ko
Inventor
조영준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02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405B1/ko
Priority to PCT/KR2018/009109 priority patent/WO2019031881A1/ko
Publication of KR20190017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7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47Tip steering devices with movable mechanical means, e.g. pull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4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pre-formed, e.g. specially adapted to fit with the anatomy of body chann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68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shape, atraumatic tip, curved tip or tip structure
    • A61M25/007Side holes, e.g. their profiles or arrangements; Provisions to keep side holes unblock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74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openable, closable, expandable or deform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8Strength or flexibility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7/00Drainage appliance for wounds or the like, i.e. wound drains, implanted drains
    • A61M27/002Implant devices for drainage of body fluids from one part of the body to another
    • A61M27/008Implant devices for drainage of body fluids from one part of the body to another pre-shaped, for use in the urethral or ureteral tra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025/0163Looped cathe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의 장기에서 체액의 배액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액 카테터 장치에 있어서, 체액이 배출되는 배액유로가 관통되게 구비되고, 상기 배액유로로 이송된 체액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액부가 일단에 형성되는 카테터 본체; 상기 카테터 본체의 타단에 연장되게 형성되며 탄성재질을 가지고, 끝단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둘레면에는 체액이 흡수되는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되는 배액관; 일단은 상기 카테터 본체의 상기 배액유로와 이격되게 위치하는 수용부의 내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배액관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구멍 중 하나의 구멍으로 삽입되어 상기 배액관의 끝단을 고리모양으로 형성하는 와이어부재; 및 상기 배액유로와 이격된 상기 수용부에 구비되고 상기 구멍으로 삽입된 와이어부재의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부재가 상기 카테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연결된 상기 와이어부재의 타단을 감거나 풀어 상기 배액관의 끝단을 고리모양으로 형성하거나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와이어 감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 감김부재는, 상기 카테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부재의 타단이 연결되며, 정회전 및 역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카테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부재에 밀착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을 단속하는 회전단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단속부재는, 상기 카테터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며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일단이 상기 회전부재에 밀착되는 걸림몸체와, 상기 걸림몸체의 일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카테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며 작업자가 상기 걸림몸체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해 파지하는 파지돌기와, 상기 카테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걸림몸체가 상기 회전부재에 밀착되도록 장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의 둘레면에는 기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액 카테터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배액관의 끝단을 고리모양으로 형성하기 위해 이용되는 와이어부재가 카테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부로 노출되는 와이어부재가 주변 장치 및 기기들에 감기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카테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와이어부재를 절단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작업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배액 카테터 장치{Drainage catheter equipment}
본 발명은 배액 카테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의 장기에서 체액의 배액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액 카테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액 카테터(Drainage Catheter)는 질병 또는 사고로 인하여 발생한 체내에 불필요하거나 인체에 유해한 체액을 체외로 배액하기 위한 다목적 용도의 카테터로서 PCN(Perocutanous nephrostomy), PCD(Percutaneous catheter drainage), PTBD(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 등에 사용된다.
상기 PCN(Perocutanous nephrostomy)은 옆구리를 통해 직접 신장 내로 관을 집어넣어 소변을 배출시키는 방법이다.
그리고 경피적 도관 배액술이라고 하는 PCD(Percutaneous catheter drainage)는 농양의 경우에 약물로 항생제를 처방하더라도 없어지지 않기 때문에 체외로 배농해야 하는데, 피부를 통해 관을 다양한 부위에 발생한 농양에 카테터를 넣고 농을 배출시키는 방법이다.
간농양까지 이은 다음에 간농양에 카테터를 넣고 농을 배출시키는 방법이다.
한편, 경피경간 담도 배액술인 PTBD(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는 방사선의 투시 영상을 이용하여 배액관을 체외에서 삽입하여 간 내의 담도에 위치시킴으로써 정상적으로 배출되지 못하는 담즙을 체외로 배출시키는 시술을 말한다. 담도가 좁아져 정상적인 배출이 어려울 때 시술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경피경간 담도 배액술에서는 시술 후 배액관이 담도 내에 잘 들어가 있는지 투시 영상으로 확인하고 배액관 통해 담즙이 흘러나오는 것으로 배액이 잘 되는지를 확인한 후 환자를 병실로 옮겨 매일 담즙의 배액량과 혈액 속의 담즙수치가 감소하는지 경과를 보게 된다. 환자의 증상이 호전되는 시기가 빠를수록 질병의 치료가 빨라지고, 시간이 경과할수록 일반적인 침습적인 시술, 즉 환자의 몸에 해를 가하더라도 치료나 진단 목적을 위해 행해지는 모든 시술에서 공통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대표적인 합병증인 감염의 기회가 늘어난다. 담도 배액술의 경우 담즙 자체가 장내 세균에 의해 이미 감염되어 있거나 오염되었을 가능성이 높아 감염의 위험은 더욱 커지므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담즙을 배액할 수 있는 카테터의 개발이 요구된다.
상기와 같이 다양한 배액술에 사용되는 중요한 시술 도구로 이른바 피그테일 카테터(Pigtail catheter)가 사용되며, 피크테일 카테터는 가늘고 긴 튜브의 끝 부분이 말려진 둥근 고리형상을 이루며, 이 고리 형상 부분에 담즙을 배액할 수 있는 다수의 배액 구멍이 형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피그테일 카테터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41067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담즙의 배액 향상을 위한 다양한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피그테일 카테터는 배액관의 끝단을 말려진 둥근 고리형상으로 형성한 후 고정하기 위해 와이어를 당겨준 후 외부로 노출되는 와이어를 고정함으로써 배액관을 둥근 고리형상으로 형성 후 고정하였으나, 외부로 노출된 와이어가 주변 장치들에 감기거나 손에 감기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고정한 후에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여부의 와이어를 절단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배액관의 끝단을 고리모양으로 형성하기 위해 이용되는 와이어부재가 카테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와이어부재가 주변 장치들에 감기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면서 노출된 와이어부재를 절단해야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배액 카테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체의 장기에서 체액의 배액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액 카테터 장치에 있어서, 체액이 배출되는 배액유로가 관통되게 구비되고, 상기 배액유로로 이송된 체액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액부가 일단에 형성되는 카테터 본체; 상기 카테터 본체의 타단에 연장되게 형성되며 탄성재질을 가지고, 끝단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둘레면에는 체액이 흡수되는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되는 배액관; 일단은 상기 카테터 본체의 상기 배액유로와 이격되게 위치하는 수용부의 내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배액관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구멍 중 하나의 구멍으로 삽입되어 상기 배액관의 끝단을 고리모양으로 형성하는 와이어부재; 및 상기 배액유로와 이격된 상기 수용부에 구비되고 상기 구멍으로 삽입된 와이어부재의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부재가 상기 카테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연결된 상기 와이어부재의 타단을 감거나 풀어 상기 배액관의 끝단을 고리모양으로 형성하거나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와이어 감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 감김부재는, 상기 카테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부재의 타단이 연결되며, 정회전 및 역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카테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부재에 밀착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을 단속하는 회전단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단속부재는, 상기 카테터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며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일단이 상기 회전부재에 밀착되는 걸림몸체와, 상기 걸림몸체의 일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카테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며 작업자가 상기 걸림몸체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해 파지하는 파지돌기와, 상기 카테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걸림몸체가 상기 회전부재에 밀착되도록 장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의 둘레면에는 기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액 카테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체의 장기에서 체액의 배액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액 카테터 장치에 있어서, 체액이 배출되는 배액유로가 관통되게 구비되고, 상기 배액유로로 이송된 체액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액부가 일단에 형성되는 카테터 본체; 상기 카테터 본체의 타단에 연장되게 형성되며 탄성재질을 가지고, 끝단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둘레면에는 체액이 흡수되는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되는 배액관; 일단은 상기 카테터 본체의 상기 배액유로와 이격되게 위치하는 수용부의 내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배액관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구멍 중 하나의 구멍으로 삽입되어 상기 배액관의 끝단을 고리모양으로 형성하는 와이어부재; 및 상기 배액유로와 이격된 상기 수용부에 구비되고 상기 구멍으로 삽입된 와이어부재의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부재가 상기 카테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연결된 상기 와이어부재의 타단을 감거나 풀어 상기 배액관의 끝단을 고리모양으로 형성하거나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와이어 감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 감김부재는, 상기 카테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부재의 타단이 연결되며, 정회전 및 역회전하는 제1회전부재와, 상기 카테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일측 둘레면이 상기 카테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제1회전부재와 기어 결합되어 정회전 및 역회전하면서 상기 제1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제2회전부재와, 상기 카테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제2회전부재에 밀착되어 상기 제2회전부재의 회전을 단속하는 회전단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단속부재는 상기 카테터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며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일단이 상기 제2회전부재에 밀착되는 걸림몸체와, 상기 걸림몸체의 일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카테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며 작업자가 상기 걸림몸체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해 파지하는 파지돌기와, 상기 카테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걸림몸체가 상기 제2회전부재에 밀착되도록 장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배액 카테터 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상기 제2회전부재는 상기 제1회전부재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상기 제1회전부재와 상기 제2회전부재의 둘레면에는 각각 제1기어부와 제2기어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기어부와 상기 제2기어부가 치합되어 기어 결합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상기 회전단속부재는, 상기 걸림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걸림몸체를 상부로 탄성지지하며 상부면으로 라운드부가 돌출되는 탄성지지편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걸림몸체의 하부에는 상기 라운드부와 대응되게 하부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카테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탄성지지편이 안착되는 제1안착부와, 상기 걸림몸체가 안착되는 제2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안착부에는 상기 라운드부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액유로의 둘레면에는 상기 와이어부재가 통과하는 통과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통과홀에는 상기 배액유로로 이동되는 체액이 상기 수용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패킹부재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패킹부재에는 상기 와이어부재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액 카테터 장치는 배액관의 끝단을 고리모양으로 형성하기 위해 이용되는 와이어부재가 카테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부로 노출되는 와이어부재가 주변 장치 및 기기들에 감기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카테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와이어부재를 절단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작업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액 카테터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카테터 본체의 내부를 확대한 후 와이어 감김부재에 의해 와이어부재가 감기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변형된 회전부재가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변형된 와이어 감김부재가 적용된 배액 카타테 장치의 내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와이어 감김부재에 의해 와이어부재가 감기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변형된 제1회전부재 및 제2회전부재가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카테터 본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액 카테터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카테터 본체의 내부를 확대한 후 와이어 감김부재에 의해 와이어부재가 감기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변형된 회전부재가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변형된 와이어 감김부재가 적용된 배액 카타테 장치의 내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와이어 감김부재에 의해 와이어부재가 감기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변형된 제1회전부재 및 제2회전부재가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카테터 본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액 카테터 장치(100)는 인체의 장기에서 체액의 배액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카테터 본체(110)와, 배액관(120)과, 와이어부재(130)와, 와이어 감김부재(140)를 포함한다.
상기 카테터 본체(110)에는 체액이 배출되는 배액유로(112)가 상기 카테터 본체(110)를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카테터 본체(110)의 일단에는 상기 배액유로(112)로 이송된 체액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액부(114)가 형성되며, 상기 배액유로(112)와 이격되게 수용부(116)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테터 본체(110)의 타단에는 배액관(120)이 연장되게 구비되며, 상기 배액관(120)은 탄성재질을 가지고, 상기 배액관(120)의 끝단에는 관통공(122)이 형성되며 둘레면에는 체액이 흡수되는 복수개의 구멍(12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액관(120)은 질병 또는 사고로 인하여 발생한 체내에 불필요하거나 인체에 유해한 체액을 체외로 배액하기 위한 다목적 용도로 사용되며, 상기 배액관(120)은 내부에 전, 후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카테터 본체(110)의 내부에는 와이어부재(130)의 일단이 고정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액유로(112)가 아닌 상기 수용부(116)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이어부재(130)의 일단이 상기 수용부(116)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와이어부재(130)의 일단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배액유로(112)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와이어부재(130)의 타단은 상기 배액관(120)을 일측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관통공(122)과 복수개의 상기 구멍(124) 중 하나의 구멍으로 삽입되어 상기 배액관(120)의 타측방향으로 관통하여 후술되는 와이어 감김부재(140)에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부재(130)는 상기 배액관(120)의 끝단을 고리모양으로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와이어 감김부재(140)는 상기 배액유로(112)와 이격되게 상기 카테터 본체(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수용부(116)에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 감김부재(140)는 상기 와이어부재(130)를 감거나 풀어서 상기 배액관(120)의 끝단을 고리모양으로 형성하거나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와이어 감김부재(140)는 회전부재(141)와, 회전단속부재(146)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재(141)는 상기 카테터 본체(110)의 상기 수용부(116)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부재(130)의 타단이 연결되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면서 상기 와이어부재(130)의 타단을 감거나 푸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부재(141)의 일측 둘레면은 상기 카테터 본체(110)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회전부재(141)는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상기 카테터 본체(110)의 외부로 노출된 일측 둘레면을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부재(141)의 둘레면에는 기어부(141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기어부(141a)는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기어(141a')가 상기 회전부재(141')의 둘레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와이어 감김부재(140)는 제1회전부재(142)와, 제2회전부재(144)와, 회전단속부재(146)를 포함한다. 상기 제1회전부재(142)는 상기 카테터 본체(110)의 상기 수용부(116)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부재(130)의 타단이 연결되며,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면서 상기 와이어부재(130)의 타단을 감거나 푸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회전부재(144)는 상기 제1회전부재(142)와 동일하게 상기 수용부(116)의 내부에 구비되며, 일측 둘레면은 상기 카테터 본체(110)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제1회전부재(142)와 기어 결합되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면서 상기 제1회전부재(142)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회전부재(144)는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상기 카테터 본체(110)의 외부로 노출된 일측 둘레면을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1회전부재(142)와 상기 제2회전부재(144)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회전부재(142) 보다 상기 제2회전부재(144)는 더 큰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회전부재(144) 보다 상기 제1회전부재(142)의 직경이 크게 되면 사용자가 상기 와이어 감김부재(140)를 회전시키는데 많이 힘이 들어 편의성을 향상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제1회전부재(142)와 상기 제2회전부재(144)의 둘레면에는 각각 제1기어부(142a)와 제2기어부(144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기어부(142a)와 상기 제2기어부(144a)가 치합되어 기어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2회전부재(144)를 사용자가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제1회전부재(142)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와이어부재(130)를 감거나 풀게 된다.
상기 제1기어부(142a)와 상기 제2기어부(144a)는 일방향으로 회전하기 용이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기어(142a', 144a')가 각각 상기 제1회전부재(142')와 상기 제2회전부재(144')의 둘레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부재(141) 및 상기 제2회전부재(144)는 회전단속부재(146)에 의해 회전이 단속되게 되며, 상기 회전단속부재(146)은 걸림몸체(146a)와, 파지돌기(146b)와, 탄성부재(146c)와, 탄성지지편(146d)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몸체(146a)는 상기 카테터 몸체(110)의 수용부(116) 내부에 위치하며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일단이 상기 회전부재(141) 및 제2회전부재(144)에 밀착되고, 상기 걸림몸체(146a)의 일단이 상기 회전부재(141) 및 제2회전부재(144)에 밀착 시에는 상기 제2회전부재(144)의 회전을 단속하게 되고, 상기 걸림몸체(146a)의 일단이 상기 제2회전부재(144)에 밀착되지 않을 시에는 상기 제2회전부재(144)의 회전을 단속하지 못하게 된다.
상기 걸림몸체(146a)의 일면에는 파지돌기(146b)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파지돌기(146b)는 상기 카테터 본체(110)의 외부로 노출되어 돌출되며, 상기 걸림몸체(146a)의 일단은 탄성부재(146c)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141) 및 제2회전부재(144)에 밀착되고, 상기 탄성부재(146c)는 상기 걸림부재(146a)의 일단이 상기 회전부재(141) 및 제2회전부재(144)에 밀착되도록 장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탄성부재(146c)에 의해 상기 걸림몸체(146a)의 일단은 항상 상기 회전부재(141) 및 제2회전부재(144)에 밀착되어 상기 회전부재(141) 및 제2회전부재(144)의 회전을 단속하나,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여 상기 카테터 본체(110)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회전부재(141) 및 제2회전부재(144)의 일면을 회전시키면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141) 및 제2회전부재(144)는 회전하게 되며, 상기 회전부재(141) 및 제2회전부재(144)의 회전이 멈추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146c)에 의해 상기 걸림부재(146a)의 일단이 상기 회전부재(141) 및 제2회전부재(144)에 밀착되면 상기 회전부재(141) 및 제2회전부재(144)의 회전을 단속하게 된다.
상기 걸림몸체(146a)의 하부에는 탄성지지편(146d)이 구비되며, 상기 탄성지지편(146d)는 상기 걸림몸체(146a)의 하부에서 상부로 탄성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탄성지지편(146d)의 상부면에는 라운드부(R)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몸체(146a)의 하부에는 상기 라운드부(R)와 대응되게 하부로 돌출되는 돌출부(P)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걸림몸체(146a)의 슬라이드 이동은 상기 탄성지지편(136d)에 의해 단속되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걸림몸체(146a)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상기 걸림몸체(146a)의 일단과 상기 회전부재(141) 및 제2회전부재(144)의 밀착을 해제시키면 상기 회전부재(141) 및 제2회전부재(144)를 보다 편안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카테터 본체(110)의 수용부(116)에는 제1안착부(110a)와, 제2안착부(110b)가 형성되며, 상기 카테터 본체(110)에는 상기 회전부재(141) 및 제2회전부재(144)의 일측 둘레면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는 장홈(110c)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안착부(110a)에는 상기 탄성지지편(146d)이 안착되고, 상기 제2안착부(110b)에는 상기 걸림몸체(146a)가 안착되며, 상기 제2안착부(110b)에는 상기 라운드부(R) 및 상기 돌출부(P)가 관통하는 관통홀(H)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테터 본체(110)의 배액유로(112) 일측 둘레면에는 통과홀(112a)이 형성되며, 상기 통과홀(112a)을 통해 상기 수용부(116)의 내부에 일단이 고정된 상기 와이어부재(130)의 타단이 상기 배액관(120)을 관통한 후 상기 와이어 감김부재(140)의 회전부재(141) 또는 제1회전부재(142)와 연결되게 된다.
상기 배액관(1120)의 통과홀(112a)에는 패킹부재(118)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패킹부재(118)는 상기 배액유로(112)로 이동되는 체액이 상기 수용부(116)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패킹부재(118)에는 상기 와이어부재(130)가 관통하는 관통공(118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와이어 감김부재(140)는 상기 카테터 본체(110)의 상부가 아닌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에는 상기 와이어 감김부재(140)가 상기 카테터 본체(110)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되어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 감김부재(140)가 상기 카테터 본체(110)의 측면에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카테터 본체(110)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상기 카테터 본체(110)의 디자인을 향상시키면서 크기에 대한 환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배액관(120)의 끝단을 고리모양으로 형성하기 위해 이용되는 와이어부재(130)가 카테터 본체(11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부로 노출되는 와이어부재(130)가 주변 장치 및 기기들에 감기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카테터 본체(1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와이어부재(130)를 절단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작업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배액 카테터 장치 110 : 카테터 본체
112 : 배액유로 114 : 배액부
116 : 수용부 118 : 패킹부재
120 : 배액관 122 : 관통공
124 : 구멍 130 : 와이어부재
140 : 와이어 감김부재 141 : 회전부재
142 : 제1회전부재 144 : 제2회전부재
146 : 회전단속부재

Claims (9)

  1. 인체의 장기에서 체액의 배액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액 카테터 장치에 있어서,
    체액이 배출되는 배액유로가 관통되게 구비되고, 상기 배액유로로 이송된 체액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액부가 일단에 형성되는 카테터 본체;
    상기 카테터 본체의 타단에 연장되게 형성되며 탄성재질을 가지고, 끝단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둘레면에는 체액이 흡수되는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되는 배액관;
    일단은 상기 카테터 본체의 상기 배액유로와 이격되게 위치하는 수용부의 내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배액관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구멍 중 하나의 구멍으로 삽입되어 상기 배액관의 끝단을 고리모양으로 형성하는 와이어부재; 및
    상기 배액유로와 이격된 상기 수용부에 구비되고 상기 구멍으로 삽입된 와이어부재의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부재가 상기 카테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연결된 상기 와이어부재의 타단을 감거나 풀어 상기 배액관의 끝단을 고리모양으로 형성하거나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와이어 감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 감김부재는,
    상기 카테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부재의 타단이 연결되며, 정회전 및 역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카테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부재에 밀착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을 단속하는 회전단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단속부재는,
    상기 카테터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며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일단이 상기 회전부재에 밀착되는 걸림몸체와,
    상기 걸림몸체의 일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카테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며 작업자가 상기 걸림몸체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해 파지하는 파지돌기와,
    상기 카테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걸림몸체가 상기 회전부재에 밀착되도록 장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의 둘레면에는 기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액 카테터 장치.
  2. 삭제
  3. 인체의 장기에서 체액의 배액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액 카테터 장치에 있어서,
    체액이 배출되는 배액유로가 관통되게 구비되고, 상기 배액유로로 이송된 체액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액부가 일단에 형성되는 카테터 본체;
    상기 카테터 본체의 타단에 연장되게 형성되며 탄성재질을 가지고, 끝단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둘레면에는 체액이 흡수되는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되는 배액관;
    일단은 상기 카테터 본체의 상기 배액유로와 이격되게 위치하는 수용부의 내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배액관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구멍 중 하나의 구멍으로 삽입되어 상기 배액관의 끝단을 고리모양으로 형성하는 와이어부재; 및
    상기 배액유로와 이격된 상기 수용부에 구비되고 상기 구멍으로 삽입된 와이어부재의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부재가 상기 카테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연결된 상기 와이어부재의 타단을 감거나 풀어 상기 배액관의 끝단을 고리모양으로 형성하거나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와이어 감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 감김부재는,
    상기 카테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부재의 타단이 연결되며, 정회전 및 역회전하는 제1회전부재와,
    상기 카테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일측 둘레면이 상기 카테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제1회전부재와 기어 결합되어 정회전 및 역회전하면서 상기 제1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제2회전부재와,
    상기 카테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제2회전부재에 밀착되어 상기 제2회전부재의 회전을 단속하는 회전단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단속부재는,
    상기 카테터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며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일단이 상기 제2회전부재에 밀착되는 걸림몸체와,
    상기 걸림몸체의 일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카테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며 작업자가 상기 걸림몸체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해 파지하는 파지돌기와,
    상기 카테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걸림몸체가 상기 제2회전부재에 밀착되도록 장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배액 카테터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부재는 상기 제1회전부재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상기 제1회전부재와 상기 제2회전부재의 둘레면에는 각각 제1기어부와 제2기어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기어부와 상기 제2기어부가 치합되어 기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액 카테터 장치.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회전단속부재는,
    상기 걸림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걸림몸체를 상부로 탄성지지하며 상부면으로 라운드부가 돌출되는 탄성지지편을 더 포함하며,
    상기 걸림몸체의 하부에는 상기 라운드부와 대응되게 하부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배액 카테터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탄성지지편이 안착되는 제1안착부와, 상기 걸림몸체가 안착되는 제2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안착부에는 상기 라운드부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배액 카테터 장치.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배액유로의 둘레면에는 상기 와이어부재가 통과하는 통과홀이 형성되며,
    상기 통과홀에는 상기 배액유로로 이동되는 체액이 상기 수용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패킹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패킹부재에는 상기 와이어부재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액 카테터 장치.
KR1020170102308A 2017-08-11 2017-08-11 배액 카테터 장치 KR102117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308A KR102117405B1 (ko) 2017-08-11 2017-08-11 배액 카테터 장치
PCT/KR2018/009109 WO2019031881A1 (ko) 2017-08-11 2018-08-09 배액 카테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308A KR102117405B1 (ko) 2017-08-11 2017-08-11 배액 카테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443A KR20190017443A (ko) 2019-02-20
KR102117405B1 true KR102117405B1 (ko) 2020-06-01

Family

ID=65562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2308A KR102117405B1 (ko) 2017-08-11 2017-08-11 배액 카테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740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78385A1 (en) * 2005-08-17 2007-04-05 Accisano Nicholas G Iii Drainage catheter with locking hub
KR101037970B1 (ko) 2008-07-31 2011-05-30 김희진 카테터
KR101342572B1 (ko) * 2013-09-06 2013-12-17 제이엠티(주) 제어가 용이한 카테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78385A1 (en) * 2005-08-17 2007-04-05 Accisano Nicholas G Iii Drainage catheter with locking hub
KR101037970B1 (ko) 2008-07-31 2011-05-30 김희진 카테터
KR101342572B1 (ko) * 2013-09-06 2013-12-17 제이엠티(주) 제어가 용이한 카테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443A (ko) 2019-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57008B2 (ja) 医療用マテリアルを患者に注入するための止血弁装置、および関連する方法
ES2921302T3 (es) Sistemas y métodos para controlar el tamaño de dispositivo de catéter
CA2935738C (en) Catheter cartridge assembli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for intermittent catheterization
AU2012340313B2 (en) Introducer sheath assembly having a locking dilator
AU663630B2 (en) Catheter device
JP3730126B2 (ja) 針シールドを備えたカテーテルと誘導針とのアセンブリ
JP2962268B2 (ja) 単一動作によるカテーテル進入及び針自動後退装置を備えたカテーテル及び針導入器アセンブリ
JP2022133286A (ja) 血管壁の穿刺部を閉鎖するための閉鎖システム
KR102528954B1 (ko) 혈관 통로를 위한 유입기 시스
JP2017533046A (ja) 一方向アクチュエータノブを有する血管内装置送入システム
US10406322B2 (en) Catheter assemblies having a protective lubricious sleeve
BR112014003044B1 (pt) kit de cateter
EP3755413B1 (en) Female urinary catheter deployment devic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WO2005092427A2 (en) Surgical guide valve
JPH06285172A (ja) 逆流血液収容装置
KR102081969B1 (ko) 자동 잠김 피그테일 카테터 장치
CA2984775A1 (en) Telescopic urinary catheter assemblies
US8932262B2 (en) Indwelling device
KR102117405B1 (ko) 배액 카테터 장치
JP2015036051A (ja) 側孔付き導入補助器具
WO2015011712A1 (en) Indwelling device
JP2018064866A (ja) カテーテル押込み補助具
US20230218860A1 (en) Medical elongated body
JP4490872B2 (ja) 医療用チューブ
JP6196917B2 (ja) 医療用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