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6966B1 - Specimen container - Google Patents

Specimen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6966B1
KR102116966B1 KR1020190176019A KR20190176019A KR102116966B1 KR 102116966 B1 KR102116966 B1 KR 102116966B1 KR 1020190176019 A KR1020190176019 A KR 1020190176019A KR 20190176019 A KR20190176019 A KR 20190176019A KR 102116966 B1 KR102116966 B1 KR 102116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ft pad
sample container
protrusion
sampl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60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찬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니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니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니트
Priority to KR1020190176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696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6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6966B1/en
Priority to PCT/KR2020/019079 priority patent/WO202113309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1Test tubes specially adapted for centrifugation purpo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2813Producing thin layers of samples on a substrate, e.g. smearing, spinning-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1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 B01L2300/042Caps; Plu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32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cylindrical, tube 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48Specific forms of parts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48Specific forms of parts of containers
    • B01L2300/0851Bottom wa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A specimen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pecimen container body in which a specimen to be inspected is accommodated in the interior space; a lid that opens and closes an open side of the specimen container body; a lower groove formed at a lower side of the specimen container body and recessed at a predetermined depth; a connection protruding part formed in the lower groove and protrud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soft pad provided in the connection protruding part and formed with an incision part.

Description

검체 용기{Specimen container}Specimen container}

본 발명은 검체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심분리를 통해 검체를 자동으로 분리해낼 수 있도록 구성된 검체 용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mple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ample container configured to automatically separate the sample through centrifugation.

일반적으로, 신체 이상 유무를 검사하기 위해 신체 검사 부위에 해당하는 세포를 채취하고, 채취된 세포를 세포보존액이 담겨진 검체용기에 보존한 후에, 세포를 슬라이드에 부착시킨 후에 현미경으로 검사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In general, in order to exa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bnormalities in the body, cells corresponding to the body test site are collected, the collected cells are stored in a sample container containing a cell preservation solution, and cells are attached to a slide, followed by microscopic examination. Doing.

기존의 도말과정은, 검솔에 묻은 세포를 액에 분산시키기 위한 솔루션통이 별도로 존재하고, 솔루션통을 흔들어서 세포들이 충분히 액중에 퍼진 상태에서 액을 다른 용기에 부어넣고 필터의 아래에 흡입기구를 밀착하여 액을 흡입하고, 필터에 걸러진 세포들을 슬라이드에 문질러 채취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In the existing smearing process, a solution container for dispersing the cells in the gum brush is separately present, and by shaking the solution container, the cells are sufficiently spread in the liquid, and the liquid is poured into another container, and the suction mechanism is adhered to the bottom of the filter. Therefore, the method adopts a method of sucking the liquid and collecting the cells filtered by the filter on a slide.

세포가 걸러진 채취막을 슬라이드에 접근시키기 위해 용기와 본체를 분리하면 용기에 남겨진 혼합액들이 중력에 의해 아래로 쏟아져서 소실된다. 그런데, 솔루션통으로부터 슬라이드로 세포를 옮기는 과정이 일일이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슬라이드로 오염물질이나 불순물이 옮겨질 수 있어서 세포 검사의 정확성을 떨어뜨릴 수 있었다. When the container and the body are separated in order to access the cell-collected sampling membrane to the slide, the mixed liquid left in the container is poured down by gravity and disappears. However, since the process of transferring cells from the solution container to the slide must be manually performed by the user, contaminants or impurities can be transferred from the user's hand to the slide, thereby reducing the accuracy of the cell test. there was.

그리고 솔루션통 내에 채취된 세포 외에 이물질이 함유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물질과 세포를 분리하기 쉽지 않으므로, 분리를 위한 별도의 도구가 요구된다.
(특허문헌 1) KR10-1170018 B
(특허문헌 2) KR10-1303598 B
In addition, a foreign substance may be contained in addition to the cells collected in the solution container. In this case, a separate tool for separation is required since it is not easy to separate the foreign substance from the cells.
(Patent Document 1) KR10-1170018 B
(Patent Document 2) KR10-1303598 B

본 발명은 환자에서 검출한 세포가 수용된 검체용기로부터 세포를 채취하여 슬라이드에 도말하는 일련의 도말 공정을 수행하는 도말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검체의 농축, 세포의 분리, 세포의 도말 과정을 자동화된 원심분리장치를 통해 연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도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earing device that performs a series of smearing processes for collecting cells from a sample container containing cells detected in a patient and smearing them on a slide, particularly automating the process of concentration of samples, separation of cells, and cell smearing. It relates to a smearing device that can be continuously processed through the centrifugal separator.

특히, 본 발명은 자동화된 원심분리형 도말장치에서, 세포가 수용된 검체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화 원심분리에 의하여 용기의 일측 또는 아래에 응축되어 모이도록 하는 검체용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mple container in which cells are accommodated in an automated centrifugal smearing device, and proposes a sample container to be condensed and collected at one side or under the container by automated centrifugation.

또한, 원하는 세포만을 분리하여 도말함으로써 검체의 상태에 무관하게 양질의 도말 품질을 일관되게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자동 도말장치의 검체용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propose a sample container of an automatic smearing device that allows to obtain consistently high-quality smearing quality regardless of the state of the sample by separating and plating only desired cells.

본 발명의 검체 용기는, 내부 공간에 검사 대상의 검체가 수용되는 검체 용기 바디와, 상기 검체 용기의 바디의 개방된 일측을 개폐하는 뚜껑과, 상기 검체 용기 바디의 하측에 형성되고, 소정 깊이 함몰된 하측홈과, 상기 하측홈 내에 형성되고, 소정 높이 돌출 형성된 접속 돌출부와, 상기 접속 돌출부 내에 마련되고, 절개부가 형성된 연질 패드를 포함한다. The sampl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sample container body in which a sample to be inspected is accommodated in an interior space, a lid for opening and closing an open side of the body of the sample container, and a lower depth of the sample container body, which is recessed at a predetermined depth. It includes a lower groove, a connection protrusion formed in the lower groove, and protrud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soft pad provided in the connection protrusion and formed with an incision.

본 발명의 제안되는 검체 용기에 의해서, 원심분리에 의하여 용기의 일측 또는 아래에 응축되어 모여서 선택적으로 다른 용기로 검체를 이동시킬 수 있어 안전하면서도 자동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By using the sample container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ndensed on one side or under the container by centrifugation to selectively move samples to another container.

도 1은 본 실시예의 검체용기가 실시되는 자동화 도말 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력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검체 용기를 포함하는 검체 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검체 용기와 세포 분리 용기 사이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검체 용기의 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검체 용기에서 연질 패드를 지지하는 구성을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검체 용기에서 연질 패드를 고정시키는 접속 돌출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연질 패드의 절개부를 접속 삽입부가 통과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검체 용기에서 연질 패드를 고정시키는 접속 돌출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automated smearing device in which a sample container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implemented.
2 is a view showing a sample means including a sampl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bind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ample container and the cell separation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6 are views for explaining in detail each configuration of the sampl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for supporting the soft pad in the sampl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ng protrusion for fixing the soft pad in the sampl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insert is passed through the incision of the soft pad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nection protrusion for fixing the soft pad in the sampl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개시하는 사항으로부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의 범위가 정해질 수 있을 것이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은 제안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구성요소의 추가, 삭제, 변경 등의 실시변형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invention possessed by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determined from the details disclosed by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spirit of the invention possessed by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erformed by adding, deleting, or modifying components with respect to the proposed embodiment. It will be said to include variations.

도 1은 본 실시예의 검체용기가 실시되는 자동화 도말 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automated smearing device in which a sample container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implemented.

본 발명의 도말 장치(1)는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세포만을 분리해내는 자동화 장치로서, 검체 용기와 세포 분리 용기를 포함하는 검체 수단(10)과, 상기 검체 수단(10)이 수용되는 도말 챔버(3)와, 상기 도말 챔버(3)가 연결되고 연결된 도말 챔버들을 회전시키는 회전부(2)를 포함한다. The smearing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tomated device for separating only cells using centrifugation, a sample container 10 including a sample container and a cell separation container, and a smearing chamber in which the sample device 10 is accommodated (3), the smear chamber (3) is connected and includes a rotating part (2) for rotating the smear chambers connected.

그리고, 상기 도말 챔버(3) 내에서 검체의 응축과, 세포의 분리 및 슬라이상에 세포를 흡착시키는 일련의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쉬프트 수단(5)을 포함하고, 상기 쉬프트 수단(5)은 후술하는 세포 분리 용기를 검체 용기에 결합시키거나, 세포 분리 용기를 오프너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쉬프트 수단(5)은 상기 세포 분리 용기를 지지하면서 좌우 또는 전후방으로 세포 분리 용기를 이동시킨다. And, in the smearing chamber 3, the condensation of the sample, the separation of the cells, and a shift means 5 for performing a series of processes for adsorbing the cells to the slag, and the shift means 5 will be described later. The cell separation container to be bound to the sample container, or serves to bind the cell separation container to the opener. To this end, the shifting means 5 moves the cell separation container left and right or front and rear while supporting the cell separation container.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회전부(2)의 분당회전수(rpm)와, 상기 쉬프트 수단(5)의 이동시기와, 쉬프트 수단(5)이 검체 용기 또는 오프너와의 결합 유지 시간을 설정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al speed per minute (rpm) of the rotating part 2, the moving time of the shifting means 5, and the shifting means 5 set the holding time of the sample container or the opener to be engaged. It is important.

한편, 상기 검체 수단(10)을 구성하는 오프너에는 필터 페이퍼(4)가 밀착되고, 상기 필터 페이퍼(4) 후면에는 검사 대상의 세포가 놓여지는 슬라이드가 놓여진다. 본 발명의 도말 장치를 통한 자동화 도말이 완료되면, 상기 도말 챔버(3)로부터 검사 대상의 세포만이 슬라이드에 흡착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lter paper 4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pener constituting the sample means 10, and a slide on which the cells to be examined is placed is placed on the back of the filter paper 4. When the automated smearing through the smea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d, only cells to be examined from the smearing chamber 3 are adsorbed on the slide.

도 2는 본 발명의 검체 용기를 포함하는 검체 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검체 용기와 세포 분리 용기 사이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 is a view showing a sample means including a sampl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ample container and the cell separation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검체 용기(100)는 보존액과 세포 검체를 함께 보관하는 기본적인 역할을 수행하면서, 하측 또는 후방에서 결합 또는 분리되는 세포 분리 용기(200)로 회전부(2)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세포 검체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sample container 100 of this embodiment performs the basic role of storing the preservative solution and the cell sample together, and the centrifugal force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art 2 is the cell separation container 200 that is coupled or separated from the lower side or the rear side. Use to serve to deliver the cell sample.

그리고, 세포 검체를 수용하게 된 세포 분리 용기(200) 내부에는 밀도 시약(density reagent)이 수용되어 있으며, 기설정된 밀도와 점도를 갖는 시약과 함께 세포 검체가 보관된다.In addition, a density reagent is accommodated inside the cell separation container 200 that accommodates the cell sample, and the cell sample is stored together with a reagent having a predetermined density and viscosity.

상기 세포 분리 용기(200)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후방에 배치된 오프너(300)와 결합하기 전에, 회전부(2)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을 이용하여 무거운 세포는 원심력방향(도말 장치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빨리 가라앉게 되고, 가벼운 세포는 천천히 가라앉게 된다. Before the cell separation container 200 moves backward and engages with the opener 300 disposed at the rear, heavy cells are moved in the centrifugal direction (outward direction of the smear device) using centrifugal forc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art 2. So it sinks quickly, and light cells sink slowly.

즉, 상기 밀도 시약이 갖는 밀도와 점도에 의해 가라앉는 속도가 세포마다 달라지게 되고, 도말하고자 하는 세포의 비중에 따라 밀도 시약의 밀도와 점도를 조절하면, 분리해내고자 하는 세포는 세포 분리 용기(200)의 바닥(도 1에서는 도말 장치 외측 방향, 도 2에서는 좌측 방향)으로 빠른 시간 내에 가라앉게 된다. That is, the settling rate varies depending on the density and viscosity of the density reagent, and if the density and viscosity of the density reagent are adjusted according to the specific gravity of the cells to be smeared, the cells to be separated are separated from the cell separation vessel ( The bottom of the 200 (in Fig. 1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smearing device, in Fig. 2 left) is settled within a short time.

한편, 분리하고자 하는 세포 검체가 세포 분리 용기(200)의 바닥으로 이동 및 수집되었다고 판단되는 시간에, 상기 세포 분리 용기(200)는 후방에 배치되어 있는 오프너(300)를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상기 세포 분리 용기(200)와 오프너(300)가 접촉 및 결합하게 되면, 세포 분리 용기(200)와 오프너(300)가 내통하게 되고, 분리된 세포가 상기 오프너(300)측으로 원심력에 의해 이동된다. Meanwhile, at a tim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ell sample to be separated is moved and collected to the bottom of the cell separation container 200, the cell separation container 200 moves toward the opener 300 disposed at the rear. When the cell separation container 200 and the opener 300 are contacted and combined, the cell separation container 200 and the opener 300 pass through, and the separated cells are moved by centrifugal force toward the opener 300. .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검체 용기의 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4 to 6 are views for explaining in detail each configuration of the sampl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검체 용기(100)의 구성을 자세히 살펴보면, 몸체를 형성하는 검체 용기 바디(101)와, 상기 검체 용기 바디(101)의 일측 개방부위를 개폐하는 뚜껑(102)과, 상기 검체 용기 바디(101)의 하측에서 소정 깊이 함몰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측 홈(110)과, 상기 하측 홈(110) 내 바닥에서 소정 높이 돌출 형성되는 접속 돌출부(120)와, 상기 접속 돌출부(120)내에 배치된 연질 패드(130)를 포함한다.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sample contain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 sample container body 101 forming a body, a lid 102 for opening and closing one side open portion of the sample container body 101, and the sample container body A lower groove 110 formed of a shape recessed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lower side of 101, a connecting protrusion 120 formed to protrude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in the lower groove 110, and disposed in the connecting protrusion 120 It includes a soft pad 130.

또한, 상기 검체 용기 바디(101)의 내주면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상기 연질 패드(130)가 위치한 하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경사벽(103)이 구성되고, 상기 경사벽(103)은 상기 검체 용기 바디(101)의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콘 형상을 갖는다. In addition, the inclined wall 103 is formed so as to exten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ample container body 101 to be inclined to the lower side where the soft pad 130 is located, and the inclined wall 103 is the sample container body 101 ) Is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have a cone shape.

원심력에 의한 세포 검체의 이동시, 즉, 원심분리시 상기 경사벽(103)이 갖는 콘 모양에 의해 세포 검체가 아래방향의 상기 연질 패드(130)측으로 이동하도록 안내될 수 있다. 상기 경사벽(103)에 의해 둘러싸이는 홀의 크기는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그 직경이 작아지는 모양을 갖게 되고, 그로 인해 상기 연질 패드(130)측에 가까운 위치는 작은 크기의 직경을 갖는 검체 통과홀(103a)을 갖는다. When the cell sample is moved by centrifugal force, that is, when centrifuged, the cell sample may be guided to move toward the soft pad 130 in a downward direction by a cone shape of the inclined wall 103. The size of the hole surrounded by the inclined wall 103 has a shape that gradually decreases in diameter toward the lower side, whereby a position close to the soft pad 130 side has a sample passage hole having a diameter of a small size ( 103a).

상기 경사벽(103) 상에는 메쉬(141)가 결합된 메쉬 프레임(140)이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메쉬 프레임(140)이 상기 검체 용기 바디(101) 내에서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검체 용기 바디(101) 내벽에는 소정 깊이 함몰된 형상의 메쉬 프레임 가이드 홈(105)이 형성된다. 상기 메쉬 프레임(140)의 단부가 상기 메쉬 프레임 가이드 홈(105) 내에 일부 삽입되는 것에 의해, 위치가 쉽게 이탈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The mesh frame 140 to which the mesh 141 is coupled is mounted on the inclined wall 103. In addition, a mesh frame guide groove 105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recessed shape is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specimen container body 101 so that the mesh frame 140 maintains a fixed position within the specimen container body 101. do. By partially inserting the end portion of the mesh frame 140 into the mesh frame guide groove 105,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position from being easily displaced.

한편, 콘 형상으로 이루어져 세포 검체를 검체 용기의 하측(도 3에서는 좌측, 도 5에서는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경사벽(103)은 하부의 접속 돌출부(120)로 연결된다. On the other hand, the inclined wall 103 made of a cone shape to guide the cell specimen to move to the lower side of the sample container (left in FIG. 3 and lower in FIG. 5) is connected to the lower connection protrusion 12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접속 돌출부(120) 내에는 연질 패드(130)가 수용되며, 상기 경사벽(103)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되는 세포 검체는 상기 연질 패드(130)까지 이동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soft pad 130 is accommodated in the connection protrusion 120, and the cell sample moved downward along the inclined wall 103 moves to the soft pad 130.

특히, 상기 연질 패드(130)에는 소정 길이의 절개부(131)가 형성되어 있어, 세포 분리 용기(200)의 접속 삽입부(220)가 상기 연질 패드(130)측으로 이동하여 연질 패드(130)의 절개부(131)로 삽입되는 경우에, 원심분리에 의해 세포 검체가 상기 접속 삽입부(220)를 경유하여 상기 세포 분리 용기(200)내부로 이동된다. 상기 연질 패드(130)는 바람직하게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soft pad 130 is formed with an incision 131 of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connection inserting portion 220 of the cell separation container 200 moves toward the soft pad 130, and thus the soft pad 130 When inserted into the incision 131 of the, the cell sample is centrifuged and moved to the inside of the cell separation container 200 via the connection insert 220. The soft pad 130 may be made of silicon.

상기 세포 분리 용기(200)는 상기 접속 돌출부(120)를 감싸는 크기와 형상을 갖는 가이드 외벽(210)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외벽(210)의 내측에 상기 접속 삽입부(22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접속 삽입부(220)를 상기 연질 패드(130)의 절개부(131)내로 이동시키는 때에, 상기 가이드 외벽(210)이 먼저 상기 접속 돌출부(120)와 접촉하여 결합 위치의 안내가 이루어진다. The cell separation container 200 includes a guide outer wall 210 having a size and shape surrounding the connection protrusion 120, and the connection inserting portion 220 is formed inside the guide outer wall 210. Therefore, when the connection insertion portion 220 is moved into the incision 131 of the soft pad 130, the guide outer wall 210 first contacts the connection protrusion 120 to guide the coupling position. .

도 7은 본 발명의 검체 용기에서 연질 패드를 지지하는 구성을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검체 용기에서 연질 패드를 고정시키는 접속 돌출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7 is a view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for supporting the soft pad in the sampl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8 and 9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on protrusion for fixing the soft pad in the sampl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연질 패드의 절개부를 접속 삽입부가 통과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And, Figure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insert through the incision of the soft pad of the present invention.

검체 용기(100)의 내벽으로부터 기설정된 각도로 하향 연장되는 경사벽(103)은 하측의 접속 돌출부(120)와 연결된다. 이들 구성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각각 별도로 제조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The inclined wall 103 extending downward from the inner wall of the sample container 100 at a predetermined angle is connected to the lower connection protrusion 120. It is also possible that these configurations are integrally formed, and it is also possible to manufacture each separately.

상기 접속 돌출부(1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검체 용기 바디(101)의 하측부에 형성된 하측홈(110) 내에 형성되는데, 절개부(131)가 형성되어 있는 연질 패드(130)를 고정하기 위하여 하측으로 연장되는 하향 돌출부(121)와, 소정 각도 절곡되도록 구성된 절곡 돌출부(12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연질 패드(1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 돌기(123)가 상기 절곡 돌출부(122)에 더 형성된다. The connection protrusion 120 is formed in the lower groove 110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ample container body 101 as described above, the lower side to fix the soft pad 130 is formed with the incision 131 It includes a downward protrusion 121 extending to, and a bending protrusion 122 configured to b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ddition, a locking protrusion 123 for preventing departure of the soft pad 130 is further formed on the bending protrusion 122.

상기 연질 패드(130)를 상기 접속 돌출부(120) 내에 끼웠을 때, 연질 패드(130)가 임의로 이탈되는 것은 상기 걸림 돌기(123)에 의해 방지되고, 상기 하향 돌출부(121) 및 절곡 돌출부(122)에 의해 연질 패드(130)가 둘러싸이기 때문에 이러한 이탈이 더욱 방지된다. When the soft pad 13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rotrusion 120, the soft pad 130 is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by the locking protrusion 123, and the downward protrusion 121 and the bending protrusion 122 ), The soft pad 130 is surrounded, and thus, this separation is further prevented.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 돌출부(122)의 단부를 높은 온도를 갖는 열 융착기로 가압하게 되면, 우측의 도면과 같이 그 절곡 돌출부(122)의 휨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열 융착공정을 수행하게 된다면, 연질 패드(130)의 위치 고정은 더욱 견고히 이루어질 수 있다. As shown in FIG. 9, when the end of the bending protrusion 122 is pressed with a heat fusion machine having a high temperature, bending of the bending protrusion 122 occurs as shown in the figure on the right. If performed, the positioning of the soft pad 130 can be made more robust.

만약, 이러한 열 융착 공정을 진행하게 된다면, 상기 절곡 돌출부(122)의 단부(122a)는 연질 패드(130)를 가압할 수 있는 위치까지 이동하게 된다. If the heat fusion process is performed, the end portion 122a of the bending protrusion 122 moves to a position capable of pressing the soft pad 130.

한편, 본 발명의 도말 장치(1)에서 회전부(2)의 회전으로 원심력이 발생하는 상태에서, 상기 쉬프트 수단(5)에 안착되어 있는 세포 분리 용기(200)가 검체 용기(100)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세포 분리 용기(200)의 접속 삽입부(220)가 상기 연질 패드(130)의 절개부(131) 내로 삽입된다. 이때, 경사벽(103)과 접속 돌출부(120)에 의해 형성되는 검체 통과홀(103a)을 세포 검체가 통과한 다음, 원심분리에 의해 접속 삽입부(200)의 홀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state in which centrifugal force is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art 2 in the smearing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ll separation container 200 seated on the shift means 5 moves to the sample container 100 side. When, the connection insertion portion 220 of the cell separation container 200 is inserted into the incision portion 131 of the soft pad 130. At this time, after the cell sample passes through the sample passage hole 103a formed by the inclined wall 103 and the connection protrusion 120, it moves to the inside of the hole of the connection insertion part 200 by centrifugation.

이러한 동작을 통해, 검체 용기(100)에 의한 검체의 농축이 이루어지며, 상기 세포 분리 용기(200)에서는 원심분리를 통한 세포의 분리가 수행되며, 상기 세포 분리 용기(200)의 후방에 배치되는 오프너(300)를 통해서 슬라이드로의 도말이 완성될 수 있다. Through this operation,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is made by the sample container 100, the separation of cells through centrifugation is performed in the cell separation container 200, and is disposed behind the cell separation container 200 Smearing to the slide may be completed through the opener 300.

도 11은 본 발명의 검체 용기에서 연질 패드를 고정시키는 접속 돌출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앞선 실시예에서는, 연질 패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연질 패드를 주변을 둘러싸는 돌출부를 형성하였다. 다른 실시예의 접속 돌출부(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체 용기 바디(101)의 하측부에 형성된 하측홈(110) 내에 형성된다. 상기 접속 돌출부(150)는 원통형의 바디(151),상기 바디(151)의 내부에 배치되는 연질 패드(152), 상기 바디(151)의 하단면에 결합되는 연질 패드 돌출방지 가이드(153, 154)를 포함한다. 11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nection protrusion for fixing the soft pad in the sampl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vious embodiment, a protrusion surrounding the soft pad was formed to prevent the soft pad from coming off. The connection protrusion 150 of another embodiment is formed in the lower groove 110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ample container body 101 as shown in FIG. 3. The connection protrusion 150 has a cylindrical body 151, a soft pad 152 disposed inside the body 151, and a soft pad protrusion prevention guide 153, 154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body 151 ).

상기 연질 패드(152)는 상기 바디(151)의 하단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위치에 고정되도록 상기 바디(151)의 내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연질 패드 돌출방지 가이드(153)는 상기 바디(151)의 하면에 결합되어 상기 연질 패드(152)의 하면을 커버하도록 배치된다. The soft pad 152 may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ody 151 so as to be fixed in a position that does not protrud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151, and the soft pad protruding prevention guide 153 may include the body 151 )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oft pad 152 to cover the lower surface.

상기 연질 패드 돌출방지 가이드는 재질에 따라 (a) 또는 (b)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a)에 개시된 연질 패드 돌출방지 가이드(153)는 상기 접속 돌출부(150)의 하면을 커버하도록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알루미늄 foil 또는 얇은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어 접속 삽입부(220)가 상기 접속 돌출부(150)에 접촉할 때 쉽게 관통될 수 있다. The soft pad protruding prevention guide may be formed as (a) or (b) depending on the material. The soft pad protruding prevention guide 153 disclosed in (a)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to cover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rotruding portion 150, and is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aluminum foil or thin plastic so that the connection inserting portion 220 is the connection. When contacting the protrusion 150, it can be easily penetrated.

(b)에 개시된 연질 패드 돌출방지 가이드(154)는 상기 접속 돌출부(150)의 하면을 커버하며 그 중심부에 일정 크기의 홈이 형성되는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b)의 연질 패드 돌출방지 가이드(154)의 형태는 접속 삽입부(220)가 쉽게 관통할 수 없는 재질일 경우에 선택될 수 있다. The soft pad protruding prevention guide 154 disclosed in (b) covers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rotrusion 150 and is formed in a ring shape in which a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thereof. The shape of the soft pad protruding prevention guide 154 of (b) may be selected when the connection insert 220 is made of a material that cannot be easily penetrated.

다른 실시예의 접속 돌출부(150)는, 연질 패드(2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바디(151)의 하면에 대한 정교한 가공이 필요없으며, 바디(151)의 하면에 부착하는 형태로 연질 패드(152)의 이탈을 막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rotrusion 150 of another embodiment does not require elaborate processing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151 to prevent the soft pad 220 from being detached, and the soft pad 152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151 ).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inly described for its preferred embodiment,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does not depart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not illustrated above are possible.

Claims (6)

내부 공간에 검사 대상의 검체가 수용되는 검체 용기 바디와,
상기 검체 용기의 바디의 개방된 일측을 개폐하는 뚜껑과,
상기 검체 용기 바디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검체 용기 바디의 내측으로 소정 깊이 함몰된 하측홈과,
상기 하측홈 내에 형성되고, 상기 검체 용기 바디 내측에서 외부를 향하여 소정 높이 돌출 형성된 접속 돌출부와,
상기 접속 돌출부 내에 구성되고, 상기 검체 용기 바디 내부의 상기 검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일부가 절개되어 있는 절개부를 갖는 연질 패드를 포함하는 검체 용기.
A sample container body in which the sample to be inspected is accommodated in the interior space,
A lid for opening and closing an open side of the body of the sample container,
A lower groov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ample container body and recessed a predetermined depth inside the sample container body,
A connection protrusion formed in the lower groove and protruding toward the outside from the inside of the sample container body,
A sample container configured in the connection protrusion, and including a soft pad having an incision part partially cut so that the sample inside the sample container body can pas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체 용기 바디의 내측면으로부터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경사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경사벽은 상기 접속 돌출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용기.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nclined wall extending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ample container body,
The inclined wall is a sampl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rotrus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벽에 안착되고, 메쉬가 구성되어 있는 메쉬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검체 용기.
According to claim 2,
Specimen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mesh frame that is seated on the inclined wall, the mesh is configur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돌출부는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향 돌출부와, 상기 하향 돌출부로부터 소정 각도 절곡되도록 형성된 절곡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용기.
According to claim 2,
The connection protrusion includes a downward protrusion extending in a downward direction and a bending protrusion formed to b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downward protrus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 돌출부에는 상기 연질 패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 두께 돌출형성된 걸림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용기.
The method of claim 4,
Specimen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bent protrusion is formed with a protrusion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protruding to prevent the soft pad from coming off.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돌출부는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바디와, 상기 바디의 하단면에 결합되는 연질 패드 돌출방지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연질 패드는 상기 바디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연질 패드 돌출방지 가이드는 상기 연질 패드가 상기 바디의 하단면 아래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연질 패드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커버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용기.
According to claim 2,
The connection protrusion includes a cylindrical body extending in a downward direction, and a soft pad protrusion prevention guide coupl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body,
The soft pad i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and the soft pad protruding prevention guide is configured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soft pad to prevent the soft pad from protruding below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Specimen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KR1020190176019A 2019-12-27 2019-12-27 Specimen container KR1021169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019A KR102116966B1 (en) 2019-12-27 2019-12-27 Specimen container
PCT/KR2020/019079 WO2021133095A1 (en) 2019-12-27 2020-12-24 Container for smearing specimen cel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019A KR102116966B1 (en) 2019-12-27 2019-12-27 Specimen contai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6966B1 true KR102116966B1 (en) 2020-05-29

Family

ID=70912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019A KR102116966B1 (en) 2019-12-27 2019-12-27 Specimen contai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696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33095A1 (en) * 2019-12-27 2021-07-01 주식회사 바이오니트 Container for smearing specimen cell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214Y1 (en) * 2019-04-19 2019-10-11 진영석 Filtering member for cytology diagnose including blade unit, and specimen container including the same
KR102056068B1 (en) * 2018-10-16 2019-12-16 주식회사 골든바이오텍 Container for preserving tissu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6068B1 (en) * 2018-10-16 2019-12-16 주식회사 골든바이오텍 Container for preserving tissue
KR200490214Y1 (en) * 2019-04-19 2019-10-11 진영석 Filtering member for cytology diagnose including blade unit, and specimen container includ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33095A1 (en) * 2019-12-27 2021-07-01 주식회사 바이오니트 Container for smearing specimen cell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7199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a cytology monolayer
US6296764B1 (en) Apparatus for mixing and separating particulate matter from a fluid
US8491498B2 (en) Sample collection implement
US7771662B2 (en) Vial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liquid-based specimens
EP0339429A2 (en) Filter and dispenser vial and use thereof
US20110177931A1 (en) Centrifugal assembly and method for ova detection
WO2008030607A2 (en) Centrifugal device and method for ova detection
KR102116966B1 (en) Specimen container
EP2985587A1 (en) Centrifugal smearing device and sealed rotating container
US20120190122A1 (en) Low volume liquid specimen apportionment device and method
KR10216882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sample
KR102142054B1 (en) Specimen cell separation container
KR102142061B1 (en) Opener for separating specimen cell
JPS5854860B2 (en) Centrifuge chamber block
KR20220160507A (en) Apparatus for separating of particle and method for separating of particle thereuse
JP2002519692A5 (en)
KR102142059B1 (en) Automatic smear apparatus using centrifuge
US5316731A (en) Device for collection and processing of biological samples
EP3574997B1 (en) Micro sampling chip, sample extraction tool and container
US20020057996A1 (en) Centrifuge tube assembly
EP2985588A1 (en) Centrifugal smearing device and sealed rotating container
WO2001014850A1 (en) Centrifuge tube apparatus
JPH0450611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aking a volume or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a portion of a low-flow fluid
US20220000456A1 (en) Collection device and method
KR102273536B1 (en) Filter Container for Liquid Base Cyt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