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6383B1 - 휴대용 포트 텀블러 - Google Patents

휴대용 포트 텀블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6383B1
KR102116383B1 KR1020200000556A KR20200000556A KR102116383B1 KR 102116383 B1 KR102116383 B1 KR 102116383B1 KR 1020200000556 A KR1020200000556 A KR 1020200000556A KR 20200000556 A KR20200000556 A KR 20200000556A KR 102116383 B1 KR102116383 B1 KR 102116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mbler
heating
tumbler body
contents
spi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0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윤준
Original Assignee
(주)피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앤씨 filed Critical (주)피앤씨
Priority to KR1020200000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63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6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6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12Audible, olfactory or visual signall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1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비된 배터리를 이용하여 텀블러에 수용된 내용물을 가열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휴대용 포트 텀블러에 관한 것으로, 액체 상태의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텀블러 바디; 및 상기 텀블러 바디의 상부 입구를 덮어 상기 텀블러 바디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는 텀블러 헤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포트 텀블러{PORTABLE PORT TUMBLER}
본 발명은 휴대용 포트 텀블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비된 배터리를 이용하여 텀블러에 수용된 내용물을 가열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휴대용 포트 텀블러에 관한 것이다.
텀블러는, 통상적으로 굽과 손잡이가 없고 바닥이 납작한 큰 잔을 일컫는 것으로서, 다량의 음료를 장시간에 걸쳐 조금씩 나누어 마실 수 있도록 비교적 큰 용량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텀블러는 일반적인 컵이나 일회용 컵에 비하여 보온성이나 휴대성이 우수하여 최근에는 따뜻한 커피나 녹차, 각종 다이어트 음료 등을 담아두고 보온을 유지한 상태에서 장시간에 걸쳐 수시로 나누어 마시는 용도로 많이 사용되는 등,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텀블러는 텀블러에 음료를 담고 장시간 시간이 지나거나 외부로 나갈 시에 내부에 담긴 음료가 식기 때문에, 따뜻한 음료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전기적 장치가 구비된 텀블러는 음료를 담는 컵이 본체와 분리되지 않아 세척에 어려움을 느낄 수 있고, 꼼꼼하게 세척되지 않기 때문에 위생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54009호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9-0002783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구비된 배터리를 이용하여 발열되는 발열체를 이용하여 텀블러에 수용된 내용물을 가열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휴대용 포트 텀블러를 제공한다.
또한, 제1 유도 나선 또는 제2 유도 나선을 따라 이동하면서 텀블러 바디에 담긴 내용물을 휘저어 교반시킴은 물론, 내용물을 교반시키는 동시에 가열된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전달받은 열을 전달하여 내용물을 가열하는 두 가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구성인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 및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포트 텀블러는, 액체 상태의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텀블러 바디; 및 상기 텀블러 바디의 상부 입구를 덮어 상기 텀블러 바디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는 텀블러 헤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포트 텀블러는, 상기 텀블러 바디의 하측에 설치되며, 발열되어 상기 텀블러 바디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을 가열시켜 주는 발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텀블러 헤드는, 상기 텀블러 바디의 상부 입구를 덮어 상기 텀블러 바디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는 덮개; 상기 덮개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발열부에 의해 가열된 상기 텀블러 바디에 수용된 내용물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원웨이 벨브; 상기 덮개의 상측을 덮는 보조 덮개; 상기 덮개와 상기 보조 덮개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텀블러 바디에 수용된 내용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 및 상기 보조 덮개의 상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온도 측정부에서 측정된 내용물의 온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발열부는, 상기 텀블러 바디의 하측에 설치되며, 전기를 공급받아 발열되어 상기 텀블러 바디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을 가열시켜 주는 발열 히터봉; 상기 텀블러 바디의 하측을 덮어 밀폐시키는 하부 덮개; 및 상기 하부 덮개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발열 히터봉으로 공급하기 위한 전기를 저장하여 두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발열 히터봉은, 내부가 관통 형성된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하측을 따라 형성되는 입구를 통해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내용물이 가열되면 상측 출구를 통해 상측 방향으로 배출시키는 발열관;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측에 상기 발열관이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발열관의 외측을 따라 기 설정된 간격으로 서로 이격 설치되며, 상기 발열관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텀블러 바디의 내주면까지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발열관과 상기 텀블러 바디 사이의 공간을 동일한 형태의 다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시키는 다수 개의 파티션; 및 상기 파티션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기 파티션과 인접하여 설치되는 다른 파티션에 다른 일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텀블러 바디의 내주면을 따라 하강하는 내용물에 의하여 회전함에 따라 상기 발열관의 외측에 위치하는 내용물을 상승시켜 주는 대류 유도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발열관의 입구는, 상기 파티션과 다른 파티션 사이 마다 형성되며,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발열 히터봉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안착홈으로부터 상기 발열관을 중심에 위치시키고 상기 발열관으로부터 이격되어 나선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유도 나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제2 안착홈으로부터 상기 발열관을 중심에 위치시키고 상기 발열관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1 유도 나선과도 만나지 아니하면서 나선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유도 나선; 상기 제1 안착홈에 안착되어 발열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가열되며, 상기 제1 유도 나선을 따라 나선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텀블러 바디에 수용된 내용물을 가열 및 교반시키는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안착홈에 안착되어 발열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가열되며, 상기 제2 유도 나선을 따라 나선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텀블러 바디에 수용된 내용물을 가열 및 교반시키는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유도 나선은,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슬라이딩홈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내부가 관통된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유도 나선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제1 유도 나선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내주면에 상기 제1 유도 나선의 상기 슬라이딩홈에 삽입되어 이동하기 위한 슬라이딩 돌기를 형성하는 내부 휠; 상기 내부 휠보다 큰 내부가 관통된 링 형태로 형성되어 내측 공간에 상기 내부 휠이 설치되는 외부 휠; 상기 내부 휠로부터 상기 외부 휠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내부 휠과 상기 외부 휠 사이를 지지하는 다수 개의 지지 바아; 및 상기 지지 바아와 다른 지지 바아 사이를 따라 설치되는 다수 개의 간격 바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구비된 배터리를 이용하여 발열되는 발열체를 이용하여 텀블러에 수용된 내용물을 가열시킴으로써, 짧은 시간에 식은 내용물을 가열하여 먹을 수 있어 보온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충전과 분리 가능한 배터리를 내장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 가능할 수 있고, 배터리가 텀블러 본체와 분리됨으로써 세척 시 효율적일 수 있다.
또한, 제1 유도 나선 또는 제2 유도 나선을 따라 이동하면서 텀블러 바디에 담긴 내용물을 휘저어 교반시킴은 물론, 내용물을 교반시키는 동시에 가열된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전달받은 열을 전달하여 내용물을 가열하는 두 가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여 보다 빠른 내용물을 가열시켜 가열 속도 향상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포트 텀블러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포트 텀블러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포트 텀블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포트 텀블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발열 히터봉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 히터봉의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3의 발열 히터봉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는 도 7의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포트 텀블러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포트 텀블러(10)는, 텀블러 바디(100) 및 텀블러 헤드(200)를 포함한다.
텀블러 바디(100)는, 액체 상태의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상측에 형성되는 개구부가 텀블러 헤드(200)에 의해 밀폐된다.
텀블러 헤드(200)는, 텀블러 바디(100)의 상부 입구(315)를 덮어 텀블러 바디(100)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포트 텀블러(10)는, 텀블러 바디(1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액체 상태의 내용물을 장시간 보온 또는 보냉할 수 있어 장시간 음식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시간 실외 활동을 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음식 본연의 맛을 장시간 간직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포트 텀블러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포트 텀블러(20)는, 텀블러 바디(100), 텀블러 헤드(200) 및 발열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텀블러 바디(100) 및 텀블러 헤드(2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발열부(300)는, 텀블러 바디(100)의 하측에 설치되며, 발열되어 텀블러 바디(1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을 가열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포트 텀블러(20)는, 구비된 배터리를 이용하여 발열되는 발열체를 이용하여 텀블러에 수용된 내용물을 가열시킴으로써, 짧은 시간에 식은 내용물을 가열하여 먹을 수 있어 보온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충전과 분리 가능한 배터리를 내장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 가능할 수 있고, 배터리가 텀블러 본체와 분리됨으로써 세척 시 효율적일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포트 텀블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포트 텀블러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텀블러 헤드(200)는, 덮개(210), 원웨이 벨브(220), 보조 덮개(230), 온도 측정부(240) 및 디스플레이(250)를 포함한다.
덮개(210)는, 텀블러 바디(100)의 상부 입구(315)를 덮어 텀블러 바디(100)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며, 텀블러 바디(100)의 상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부 내주면을 따라 텀블러 바디(100)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형상의 나사산(211)을 형성하며, 상부 일측에 원웨이 벨브(220)가 설치되고, 상측 공간(S1)이 보조 덮개(230)에 의해 밀폐된다.
원웨이 벨브(220)는, 덮개(210)의 일측에 설치되며, 발열부(300)에 의해 가열된 텀블러 바디(100)에 수용된 내용물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보조 덮개(230)는, 덮개(210)의 상측 공간(S1)을 덮으며, 상측면이 디스플레이(250)가 설치될 수 있도록 경사면을 형성한다.
온도 측정부(240)는, 덮개(210)와 보조 덮개(230) 사이의 공간(S1)에 설치되며, 텀블러 바디(100)에 수용된 내용물의 온도를 측정한다.
디스플레이(250)는, 보조 덮개(230)의 상측면에 설치되며, 온도 측정부(240)에서 측정된 내용물의 온도를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250)는, LED 또는 LCD 등의 표시 장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온도 측정부(240)로부터 전달되는 온도 정보를 상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하거나. 온도에 따라 상부 렌즈의 색상이 변함(예를 들어, 온도가 올라가면 파란색에서 빨간색으로 변색) 등으로 인해 텀블러 바디(100)에 수용된 내용물의 온도 변화를 직관적으로 통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발열부(300)는, 발열 히터봉(310), 하부 덮개(320) 및 배터리(330)를 포함할 수 있다.
발열 히터봉(310)은, 텀블러 바디(100)의 하측에 설치되며, 금형에 직접 인서트 하여 사출 제작됨으로써 텀블러 바디(100)의에서 누수 및 흔들림 방지가 가능하며, 전기를 공급받아 발열되어 텀블러 바디(1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을 가열시켜 준다.
하부 덮개(320)는, 텀블러 바디(100)의 하측을 덮어 밀폐시키며, 텀블러 바디(100)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나사산에 체결될 수 있도록 상부 내주면을 따라 텀블러 바디(100)의 나사산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나사산(321)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발열 히터봉(310)의 발열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 조절 다이얼 또는 해당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LCD 표시창(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이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배터리(330)는, 하부 덮개(320)의 하측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발열 히터봉(310)으로 공급하기 위한 전기를 저장하여 두며, 220V 가정용 콘센트로 충전 가능하도록 제작된다.
도 5는 도 4의 발열 히터봉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 히터봉의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 히터봉(310)은, 발열관(311), 베이스 플레이트(312), 다수 개의 파티션(313) 및 대류 유도 날개(314)를 포함한다.
발열관(311)은, 내부가 관통 형성된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베이스 플레이트(312)의 상측에 설치되며, 하측을 따라 형성되는 입구(315)를 통해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내용물이 가열되면 상측 출구(B)를 통해 상측 방향으로 배출시키며,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예를 들어, 파티션(313)이 4개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각 파티션(313)이 90°의 간격으로 설치)으로 파티션(313)이 설치된다.
베이스 플레이트(312)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측에 발열관(311)이 설치된다.
파티션(313)은, 발열관(311)의 외측을 따라 기 설정된 간격으로 서로 이격 설치되며, 발열관(311)의 외주면으로부터 텀블러 바디(100)의 내주면까지 연장 형성되어 발열관(311)과 텀블러 바디(100) 사이의 공간을 동일한 형태의 다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시킨다.
대류 유도 날개(314)는, 파티션(313)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파티션(313)과 인접하여 설치되는 다른 파티션(313)에 다른 일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텀블러 바디(100)의 내주면을 따라 하강하는 내용물에 의하여 회전함에 따라 발열관(311)의 외측에 위치하는 내용물을 상승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발열관(311)의 입구(315)는, 파티션(313)과 다른 파티션(313) 사이 마다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 히터봉(310)은, 텀블러 바디(1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이 냉각되어 텀블러 바디(100)의 하측으로 가라앉을 경우 보다 빠르게 냉각되는 텀블러 바디(100)의 내측면을 따라 대류 유도 날개(314)를 회전시키면서 하강한 내용물이 발열관(311)의 입구(315)를 통해 발열관(311)으로 삽입된 뒤 가열되는 발열관(311)에 의해 발열관(311)의 내부 공간을 통해 다시 배출되도록 하는 구조이다.
이때, 발열관(311)의 입구(315)를 통해 발열관(311)으로 삽입되지 못한 내용물의 경우에는 가열된 발열관(311)의 외주면을 따라 승강하게 될 것이며, 이때 발열관(311)의 외주면을 따라 승강되는 내용물은 대류 유도 날개(314)를 텀블러 바디(100)의 내측면을 따라 하강할 때와는 반대 방향으로 대류 유도 날개(314)를 회전시키게 됨에 따라 대류 유도 날개(314)의 회전에 따른 내용물의 하강 및 승강의 대류 현상을 가속시킴으로써 텀블러 바디(100)에 수용된 내용물의 가열 속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3의 발열 히터봉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열 히터봉(310)은, 발열관(311), 베이스 플레이트(312), 제1 유도 나선(316), 제2 유도 나선(317),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318) 및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319)를 포함한다. 여기서, 발열관(311) 및 베이스 플레이트(312)는, 도 5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유도 나선(316)은, 베이스 플레이트(312)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안착홈(3121)으로부터 발열관(311)을 중심에 위치시키고 발열관(311)으로부터 이격되어 나선형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318)가 이동하기 위한 유도 레일 역할을 수행하며, 상측 단부에는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318)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 턱(A1)이 형성된다.
제2 유도 나선(317)은, 베이스 플레이트(312)의 상부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제2 안착홈(3122)으로부터 발열관(311)을 중심에 위치시키고 발열관(311)으로부터 이격되고 제1 유도 나선(316)과도 만나지 아니하면서 나선형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319)가 이동하기 위한 유도 레일 역할을 수행하며, 상측 단부에는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319)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 턱(A2)이 형성된다.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318)는, 제1 안착홈(3121)에 안착되어 발열된 베이스 플레이트(312)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가열되며, 제1 유도 나선(316)을 따라 나선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텀블러 바디(100)에 수용된 내용물을 가열 및 교반시킨다.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319)는, 제2 안착홈(3122)에 안착되어 발열된 베이스 플레이트(312)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가열되며, 제2 유도 나선(317)을 따라 나선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텀블러 바디(100)에 수용된 내용물을 가열 및 교반시킨다.
즉,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318) 및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319)는, 제1 유도 나선(316) 또는 제2 유도 나선(317)을 따라 이동하면서 텀블러 바디(100)에 담긴 내용물을 휘저어 교반시킴은 물론, 내용물을 교반시키는 동시에 가열된 베이스 플레이트(312)로부터 전달받은 열을 절단하여 내용물을 가열하는 두 가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구성에 해당하는 것이다.
도 9는 도 7의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318), 내부 휠(3181), 외부 휠(3182), 다수 개의 지지 바아(3183) 및 다수 개의 간격 바아(3184)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319) 및 제2 유도 나선(317)는,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318) 및 제1 유도 나선(316)과 대칭구조로서 동일한 구조를 구비하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내부 휠(3181)은, 내부가 관통된 링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유도 나선(316)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제1 유도 나선(316)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내주면에 제1 유도 나선(316)의 슬라이딩홈(3161)에 삽입되어 이동하기 위한 슬라이딩 돌기를 형성한다.
외부 휠(3182)은, 내부 휠(3181)보다 큰 내부가 관통된 링 형태로 형성되어 내측 공간에 내부 휠(3181)이 설치된다.
지지 바아(3183)는, 내부 휠(3181)로부터 외부 휠(3182)로 연장 형성되어 내부 휠(3181)과 외부 휠(3182) 사이를 지지한다.
간격 바아(3184)는, 지지 바아(3183)와 다른 지지 바아(3183) 사이를 따라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유도 나선(316)는,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슬라이딩홈(3161)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318)는, 제1 안착홈(3121)에 안착되어 발열된 베이스 플레이트(312)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가열되며, 제1 유도 나선(316)을 따라 이동할 경우 내용물과의 마찰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거미집 형태의 구조를 형성하면서도, 제1 유도 나선(316)을 따라 이동하면서 텀블러 바디(100)에 담긴 내용물을 휘저어 교반시킴은 물론, 내용물을 교반시키는 동시에 가열된 베이스 플레이트(312)로부터 전달받은 열을 절단하여 내용물을 가열하는 두 가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구성에 해당하는 것이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휴대용 포트 텀블러
100: 텀블러 바디
200: 텀블러 헤드
300: 발열부

Claims (2)

  1. 액체 상태의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텀블러 바디; 및
    상기 텀블러 바디의 상부 입구를 덮어 상기 텀블러 바디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는 텀블러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텀블러 바디의 하측에 설치되며, 발열되어 상기 텀블러 바디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을 가열시켜 주는 발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텀블러 헤드는,
    상기 텀블러 바디의 상부 입구를 덮어 상기 텀블러 바디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는 덮개;
    상기 덮개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발열부에 의해 가열된 상기 텀블러 바디에 수용된 내용물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원웨이 벨브;
    상기 덮개의 상측을 덮는 보조 덮개;
    상기 덮개와 상기 보조 덮개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텀블러 바디에 수용된 내용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 및
    상기 보조 덮개의 상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온도 측정부에서 측정된 내용물의 온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발열부는,
    상기 텀블러 바디의 하측에 설치되며, 전기를 공급받아 발열되어 상기 텀블러 바디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을 가열시켜 주는 발열 히터봉;
    상기 텀블러 바디의 하측을 덮어 밀폐시키는 하부 덮개; 및
    상기 하부 덮개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발열 히터봉으로 공급하기 위한 전기를 저장하여 두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발열 히터봉은,
    내부가 관통 형성된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하측을 따라 형성되는 입구를 통해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내용물이 가열되면 상측 출구를 통해 상측 방향으로 배출시키는 발열관;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측에 상기 발열관이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발열관의 외측을 따라 기 설정된 간격으로 서로 이격 설치되며, 상기 발열관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텀블러 바디의 내주면까지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발열관과 상기 텀블러 바디 사이의 공간을 동일한 형태의 다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시키는 다수 개의 파티션; 및
    상기 파티션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기 파티션과 인접하여 설치되는 다른 파티션에 다른 일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텀블러 바디의 내주면을 따라 하강하는 내용물에 의하여 회전함에 따라 상기 발열관의 외측에 위치하는 내용물을 상승시켜 주는 대류 유도 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발열관의 입구는,
    상기 파티션과 다른 파티션 사이 마다 형성되며,
    상기 발열 히터봉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안착홈으로부터 상기 발열관을 중심에 위치시키고 상기 발열관으로부터 이격되어 나선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유도 나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제2 안착홈으로부터 상기 발열관을 중심에 위치시키고 상기 발열관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1 유도 나선과도 만나지 아니하면서 나선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유도 나선;
    상기 제1 안착홈에 안착되어 발열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가열되며, 상기 제1 유도 나선을 따라 나선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텀블러 바디에 수용된 내용물을 가열 및 교반시키는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안착홈에 안착되어 발열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가열되며, 상기 제2 유도 나선을 따라 나선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텀블러 바디에 수용된 내용물을 가열 및 교반시키는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유도 나선은,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슬라이딩홈이 연장 형성되는, 휴대용 포트 텀블러.
  2. 삭제
KR1020200000556A 2020-01-03 2020-01-03 휴대용 포트 텀블러 KR102116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556A KR102116383B1 (ko) 2020-01-03 2020-01-03 휴대용 포트 텀블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556A KR102116383B1 (ko) 2020-01-03 2020-01-03 휴대용 포트 텀블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6383B1 true KR102116383B1 (ko) 2020-05-29

Family

ID=70911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0556A KR102116383B1 (ko) 2020-01-03 2020-01-03 휴대용 포트 텀블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638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3278B1 (ko) * 2021-04-08 2021-10-14 유정현 영상 출력 가능한 텀블러
KR102431917B1 (ko) 2022-05-18 2022-08-16 포시엠컴퍼니(주) 가열식 휴대용 텀블러
KR102538921B1 (ko) * 2023-01-19 2023-06-01 정덕교 발열 기능이 구비된 보온병
KR20230124292A (ko) 2022-02-18 2023-08-25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Led 텀블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7004A (ko) * 2016-12-12 2018-06-20 최찬영 온도 유지기능과 믹서기능을 갖춘 텀블러
KR20190054009A (ko) 2017-11-11 2019-05-21 박진혁 발열 텀블러
KR20190002783U (ko) 2019-10-19 2019-11-06 김병열 오픈 텀블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7004A (ko) * 2016-12-12 2018-06-20 최찬영 온도 유지기능과 믹서기능을 갖춘 텀블러
KR20190054009A (ko) 2017-11-11 2019-05-21 박진혁 발열 텀블러
KR20190002783U (ko) 2019-10-19 2019-11-06 김병열 오픈 텀블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3278B1 (ko) * 2021-04-08 2021-10-14 유정현 영상 출력 가능한 텀블러
WO2022215926A1 (ko) * 2021-04-08 2022-10-13 유정현 영상 출력 가능한 텀블러
KR20230124292A (ko) 2022-02-18 2023-08-25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Led 텀블러
KR102431917B1 (ko) 2022-05-18 2022-08-16 포시엠컴퍼니(주) 가열식 휴대용 텀블러
KR102538921B1 (ko) * 2023-01-19 2023-06-01 정덕교 발열 기능이 구비된 보온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6383B1 (ko) 휴대용 포트 텀블러
US9357874B2 (en) Hot and cold beverage maker and method of use
CN205458091U (zh) 一种新型便携式手压咖啡机
TW200522904A (en) Coffeemaker
CN115500696A (zh) 加热或冷却的餐具和饮具
BRPI0709330A2 (pt) dispositivo de refrigeração e dosagem de lìquidos
CN102940449B (zh) 一种即热式多功能茶饮机
KR20130143501A (ko) 가정용 요구르트발효기
JP2017086744A (ja) コーヒーメーカー
CN209595584U (zh) 内部容器、烹饪制备附件和烹饪制备家电设备
CN104127085A (zh) 保温速冷一体杯
CN111493654A (zh) 一种具有保温和冷却功能的可调温烧水壶
CN108402844B (zh) 一种带有炖煮功能的加热杯
CN104138132B (zh) 水杯
CN209171899U (zh) 具有温热一体功能的保温杯
CN203860941U (zh) 杯盖组
CN208176490U (zh) 一种咖啡机
CN208973439U (zh) 一种用于加热装置的滤网固定机构及加热装置
CN202508462U (zh) 热能储存装置
CN112369888A (zh) 一种基于多吸嘴能够自由选择开闭的旋转密封盖
JP3164521U (ja) 2種類の保温温度のお湯が常時利用出来て、更に安全性を高めた電気ポット
CN210582250U (zh) 一种保温壶
CN207101052U (zh) 一种螺纹旋紧及杯口回荡式双重防洒保温多功能水杯
CN201798586U (zh) 一种冷热并用保温盘
CN219845995U (zh) 一种即时饮用保温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