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5608B1 - 건물 구조체 - Google Patents

건물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5608B1
KR102115608B1 KR1020200001104A KR20200001104A KR102115608B1 KR 102115608 B1 KR102115608 B1 KR 102115608B1 KR 1020200001104 A KR1020200001104 A KR 1020200001104A KR 20200001104 A KR20200001104 A KR 20200001104A KR 102115608 B1 KR102115608 B1 KR 102115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panel
container
washing water
main body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1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숙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한 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한 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한 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00001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56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5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5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5/00Apparatus or tools for roof working
    • E04D15/006Apparatus or tools for roof working for cleaning the ro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10Clean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2001/1283Small buildings of the ISO containers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02B10/1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Abstract

컨테이너; 및 상기 컨테이너의 지붕면에 마련되는 태양광 발전 장치;를 포함하는 건물 구조체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건물 구조체{BUILDING STRUCTURE}
본 발명은 건물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광 발전 설비를 구비하여 건물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는 건물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축분야에서는 국제적으로 온실효과와 지구온난화 현상을 줄이기 위해서 친환경건물이 주요 이슈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건물에서 신재생에너지 활용을 위한 많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건물에서의 전력 생산은 주로 태양광 에너지가 가장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한편, 컨테이너 건물은 화물 운송을 위해 사용되는 컨테이너에 소정의 설비가 구비되어 건설 공사의 현장 사무소 등으로 사용되는 임시 건물이다. 이러한 컨테이너 건물은 단가가 저렴하고, 시공기간이 매우 짧으며, 필요시 이동설치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져 그 용도가 더욱 다양화되고 있는 추세이나, 자체 전기에너지를 공급할 수 없어 열과 추위에 취약하다는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컨테이너 건물 자체적으로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켜 부하로 공급하되, 필요에 따라 복수의 컨테이너 건물 간 전기 에너지를 분담하여 공급하는 건물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태양광 발전 장치의 자체 세척 기능을 구비한 건물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컨테이너 건물을 지면으로부터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설치 블록을 포함하는 건물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물 구조체는 컨테이너; 및 상기 컨테이너의 지붕면에 마련되는 태양광 발전 장치;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컨테이너는, 벽체, 바닥면 및 지붕면을 형성하고, 상기 벽체의 일측에는 도어 및 창문이 구비되고, 상기 태양광 발전 장치는,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켜 상기 컨테이너의 부하로 공급하되, 소정의 중앙 관리 제어에 따라 변환한 전기 에너지를 다른 컨테이너의 부하로 공급하는 태양광 패널; 상기 컨테이너의 지붕면에 상기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는 설치 프레임; 상기 태양광 패널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모듈; 상기 세척수 분사에 의해 상기 태양광 패널로부터 제거되어 흩날리는 오염 물질을 흡입하는 흡입 모듈; 및 상기 태양광 패널로 분사되는 세척수를 집수하여 상기 컨테이너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설치 프레임은, 상기 컨테이너의 지붕면에 설치되는 하부바; 상기 태양광 패널의 후면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상부바; 및 상기 태양광 패널의 일측에 설치되는 상부바와 상기 하부바를 연결하되, 상기 태양광 패널이 소정의 경사면을 갖도록 상기 태양광 패널의 일측에 설치되는 상부바와 상기 하부바를 연결하는 각도 조절바;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 모듈은, 상기 태양광 패널이 형성하는 경사면을 따라 마련되며, 별도의 진공흡입기와 연결되는 흡입관; 및 상기 흡입관 단부에 연결되고, 깔대기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진공흡입기가 동작하는 경우, 상기 태양광 패널로부터 제거되어 흩날리는 오염 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관은, 상기 태양광 패널이 형성하는 경사면 하측에 대응하는 상기 컨테이너의 지붕면으로부터 상기 컨테이너의 벽체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태양광 패널의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세척수를 상기 컨테이너의 지붕면에서 집수하여 상기 컨테이너의 벽체를 따라 정해진 장소로 배출하고, 상기 분사 모듈은, 상기 태양광 패널의 경사면 상측에 배치되고, 별도의 세척수 공급기와 연결되어 상기 세척수 공급기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는 본체; 및 상기 태양광 패널의 경사면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는 분사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 노즐은,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를 분사하는 개구; 상기 개구와 연통되는 내부 공간에 내장되어,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개구로 이동하는 세척수의 이동 경로에 배치되되, 상기 본체 측에 배치되는 볼; 및 상기 개구와 연통되는 내부 공간에 내장되며,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개구로 이동하는 세척수의 이동 경로에 배치되되, 상기 볼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개구 측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로부터 세척수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세척수의 압력에 의해 상기 볼이 밀림과 동시에 완전히 수축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외주면에 복수의 볼록부가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볼록부에 의해 완전히 수축되는 경우, 측면에 복수의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의 압력에 의해 상기 볼이 밀림과 동시에 수축되는 경우, 측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상기 본체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가 상기 개구를 통해 분사되도록 하고,
상기 건물 구조체는, 상기 컨테이너의 바닥면 외측 각 모서리에 설치되어, 상기 건물 구조체의 설치 장소에 상기 컨테이너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 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설치 블록은, 상기 설치 위치에 체결수단에 의해 설치되는 하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측에 구비되며, 주름관으로 형성되는 진동 흡수 부재; 상기 진동 흡수 부재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컨테이너의 바닥면 외측 모서리에 체결되는 삽입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각각 철판에 내식성 수지가 피복된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 부재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컨테이너의 바닥면 외측 모서리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흡수 부재는, 상측 및 하측 양단부가 상기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각각 용착되거나 접착제로 접착되어 일체화되고, 내부에 양단이 각각 상기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코일 스프링을 구비하여, 상기 하부 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설치 위치로부터 진동이 가해지는 경우, 전후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발하여 상기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건물 구조체에서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생시키는 전기를 필요에 따라 각 건물 구조체로 분담하여 공급함으로써 환경보호와 에너지 절약에 일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태양광 발전 장치의 자체 세척 기능을 구비하여 태양광 발전 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태양광 패널의 세척 시 그 오염 물질이 컨테이너의 내외부를 다시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설치 블록을 통해 지면으로부터 컨테이너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컨테이너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에너지 분담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물 구조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태양광 발전 장치를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분사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설치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에너지 분담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에너지 분담 시스템(1000)은 복수의 건물 구조체(100)를 포함할 수 있다.
건물 구조체(100)는 컨테이너 건물일 수 있으며, 내부에 냉난방장치, 가전기기 등이 구비될 수 있다. 건물 구조체(100)는 이러한 냉난방장치, 가전기기 등으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에너지 분담 시스템(1000)은 복수의 건물 구조체(100)에서 발생시키는 전기를 중앙에서 관리할 수 있는데, 예컨대, 어느 건물 구조체(100)에서 발생시키는 전기를 다른 건물 구조체(100)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에너지 분담 시스템(1000)은 복수의 건물 구조체(100)에서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생시키는 전기를 필요에 따라 각 건물 구조체(100)로 분담하여 공급함으로써 환경보호와 에너지 절약에 일조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물 구조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건물 구조체(100)는 컨테이너(110), 태양광 발전 장치(150) 및 설치 블록(180)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110)는 일반적인 컨테이너로, 예컨대, 박스형 철제 구조물에 스티로폼 패널을 삽입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컨테이너(110)는 벽체, 바닥면 및 지붕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벽체의 일측에는 도어, 창문 등이 구비될 수 있다.
태양광 발전 장치(150)는 컨테이너(110)의 지붕면에 마련될 수 있다.
태양광 발전 장치(150)는 다수개의 태양광 모듈을 이용하여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 장치로, 본 실시예에서는 전기에너지를 컨테이너(110) 내외부에 구비된 전기기기로 공급할 수 있다.
설치 블록(180)은 건물 구조체(100)의 설치 장소에 컨테이너(110)를 설치할 수 있다.
설치 블록(180)은 컨테이너(110)의 바닥면 외측 각 모서리에 마련될 수 있으며, 컨테이너(110)는 이러한 설치 블록(180)을 통해 설치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설치 블록(180)은 지면으로부터 컨테이너(110)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컨테이너(110)가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태양광 발전 장치를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태양광 발전 장치(150)는 태양광 패널(P), 설치 프레임(151), 분사 모듈(153), 흡입 모듈(154) 및 배출관(155)을 포함할 수 있다.
태양광 패널(P)은 태양광을 집열하여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킬 수 있으며, 변환한 전기 에너지를 별도의 배터리 모듈에 충전시킬 수 있다.
설치 프레임(151)은 컨테이너(110)의 지붕면에 태양광 패널(P)을 설치할 수 있다.
설치 프레임(151)은 태양광 패널(P)이 최적의 집광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태양광 패널(P)이 소정의 상하각도를 가지며 컨테이너(110)의 지붕에 설치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설치 프레임(151)은 컨테이너(110)의 지붕에 설치되는 하부바, 태양광 패널(P)의 후면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상부바 및 태양광 패널(P)의 일측에 설치되는 상부바와 하부바를 연결하는 각도 조절바를 포함할 수 있다.
태양광 패널(P)은 이러한 설치 프레임(151)을 통해 컨테이너(110)의 지붕면에 소정의 경사를 갖도록 설치될 수 있다.
분사 모듈(153)은 태양광 패널(P)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분사 모듈(153)은 태양광 패널(P)의 경사면 상측에서 태양광 패널(P)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태양광 패널(P) 상측의 오염 물질이 제거되도록 한다.
흡입 모듈(154)은 세척수 분사에 의해 태양광 패널(P)로부터 제거되어 흩날리는 오염 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흡입 모듈(154)은 태양광 패널(P)의 경사면을 따라 복수 개 구비되어 태양광 패널(P) 상측의 오염 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입 모듈(154)은 태양광 패널(P)의 경사면을 따라 마련되는 흡입관 및 흡입관 단부에 연결되는 흡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관은 별도의 진공흡입기와 연결될 수 있으며, 흡입부는 깔대기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진공흡입기가 동작하는 경우, 흡입부는 태양광 패널(P)의 상측에 흩날리는 오염 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이러한 흡입 모듈(154)은 분사 모듈(153)에 의한 태양광 패널(P)의 세척 작업 시, 그 오염 물질이 비산되어 컨테이너(110) 내외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배출관(155)은 태양광 패널(P)의 경사면 하측에 설치되어, 태양광 패널(P)의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세척수를 집수하여 컨테이너(110)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출관(155)은 컨테이너(110)의 지붕면으로부터 벽체를 따라 설치되어, 컨테이너(110)의 지붕면에서 세척수를 집수하여 벽체를 따라 정해진 장소로 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150)는 컨테이너(110)로 전력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자체 세척 기능을 구비하여 태양광 발전 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태양광 패널(P)의 세척 시 그 오염 물질이 컨테이너(110)의 내외부를 다시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분사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분사 모듈(153)은 본체(1531) 및 분사 노즐(1532)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531)는 태양광 패널(P)의 경사면 상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별도의 세척수 공급기와 연결되어, 세척수 공급기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분사 노즐(1532)은 태양광 패널(P)의 경사면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본체(1531)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분사 노즐(1532)은 세척수 분사에 의해 태양광 패널(P)로부터 제거되어 흩날리는 오염 물질이 본체(153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측에 볼(1533) 및 스프링(1534)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분사 노즐(1532)은 전면에 개구(1532a)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개구(1532a)를 통해 본체(1531)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이때, 분사 노즐(1532)은 개구(1532a)와 연통되는 내부 공간을 가져 그 내부 공간에 볼(1533) 및 스프링(1534)을 내장할 수 있다. 즉, 분사 노즐(1532)은 본체(1531)로부터 개구(1532a)로 이동하는 세척수의 이동 경로에 배치될 수 있다.
볼(1533)은 분사 노즐(1532)의 내부 공간에서 본체(1531) 측에 배치되고, 스프링(1534)은 분사 노즐(1532)의 내부 공간에서 개구(1532a)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볼(1533) 및 스프링(1534)은 본체(1531)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의 압력에 의해 볼(1533)이 밀림과 동시에 스프링(1534)이 수축될 수 있다.
여기서, 도 5를 참조하면, 스프링(1534)은 외주면에 복수의 볼록부(1534a)가 구비될 수 있다. 스프링(1534)은 복수의 볼록부(1534a)에 의해 완전히 수축되더라도 측면에는 복수의 공간(w)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1531)로부터 세척수가 공급되어 볼(1533)이 밀림과 동시에 스프링(1534)이 완전히 수축되는 경우, 세척수는 스프링(1534)의 공간(w)을 통해 개구(1532a)로 분사될 수 있는 반면, 개구(1532a)를 통해 분사 노즐(1532)의 내부 공간으로의 이물질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사 모듈(153)은 내측에 볼(1533) 및 스프링(1534)을 포함하여 개구(1532a)를 통한 오염 물질 침투에 의한 고장을 방지함으로써, 유지 보수에 들이는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설치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설치 블록(180)은 상술한 것처럼 컨테이너(110)의 바닥면 외측 각 모서리에 설치되어, 컨테이너(110)와 지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설치 블록(180)은 하부 플레이트(181), 진동 흡수 부재(182), 상부 플레이트(183) 및 삽입 부재(184)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181) 및 상부 플레이트(183)는 평평한 판 형상으로, 그 사이에 진동 흡수 부재(182)가 배치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181)는 본 실시예에 따른 건물 구조체(100)가 설치되는 설치 위치에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하부 플레이트(181)는 철판을 기본 소재로 함으로써 충분한 지지력을 확보하되, 우레탄과 같은 내식성 수지가 피복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진동 흡수 부재(182)는 컨테이너(110)의 전후 방향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구성으로, 하부 플레이트(181)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진동 흡수 부재(182)는 주름관으로 형성되어 전후 방향 구부림에 원활함을 기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진동 흡수 부재(182)는 상측 및 하측 양단부가 각각 하부 플레이트(181) 및 상부 플레이트(183)에 용착되거나 접착제로 접착됨으로써 일체화를 이룰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183)는 진동 흡수 부재(182)의 상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183)는 하부 플레이트(181)와 같이 철판을 기본 소재로 함으로써 충분한 지지력을 확보하되, 우레탄과 같은 내식성 수지가 피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삽입 부재(184)는 상부 플레이트(183)의 상측에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
삽입 부재(184)는 지지 플레이트(184a) 및 지지대(184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 플레이트(184a) 및 지지대(184b)는 일체로 형성이 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84a)는 상부 플레이트(183)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부 플레이트(183)에 설치될 수 있다. 지지대(184b)는 지지 플레이트(184a)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컨테이너(110)의 바닥면 외측 각 모서리에 삽입되어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컨테이너(110)는 이와 같은 설치 블록(180)을 통해 지면에 설치될 수 있는데, 진동 흡수 부재(182)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 흡수되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하부 플레이트(181) 및 상부 플레이트(183)는 각각 철판(181a, 183a)에 내식성 수지가 피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진동 흡수 부재(182)는 주름관 내부에 코일 스프링(182a)을 구비할 수 있다.
코일 스프링(182a)은 양단이 각각 하부 플레이트(181) 및 상부 플레이트(183)에 결합될 수 있으며, 하부 플레이트(181)를 통해 진동이 가해지는 경우, 전후방향으로 굽힘 및 복원 운동을 통해 탄성 복원력을 발하여 진동이 컨테이너(11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주름관은 코일 스프링(182a)을 외부 이물질로부터 보호함은 물론 작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0: 건물 에너지 분담 시스템
100: 건물 구조체

Claims (2)

  1. 컨테이너; 및
    상기 컨테이너의 지붕면에 마련되는 태양광 발전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는,
    벽체, 바닥면 및 지붕면을 형성하고, 상기 벽체의 일측에는 도어 및 창문이 구비되고,
    상기 태양광 발전 장치는,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켜 상기 컨테이너의 부하로 공급하되, 소정의 중앙 관리 제어에 따라 변환한 전기 에너지를 다른 컨테이너의 부하로 공급하는 태양광 패널;
    상기 컨테이너의 지붕면에 상기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는 설치 프레임;
    상기 태양광 패널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모듈;
    상기 세척수 분사에 의해 상기 태양광 패널로부터 제거되어 흩날리는 오염 물질을 흡입하는 흡입 모듈; 및
    상기 태양광 패널로 분사되는 세척수를 집수하여 상기 컨테이너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설치 프레임은,
    상기 컨테이너의 지붕면에 설치되는 하부바;
    상기 태양광 패널의 후면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상부바; 및
    상기 태양광 패널의 일측에 설치되는 상부바와 상기 하부바를 연결하되, 상기 태양광 패널이 소정의 경사면을 갖도록 상기 태양광 패널의 일측에 설치되는 상부바와 상기 하부바를 연결하는 각도 조절바;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 모듈은,
    상기 태양광 패널이 형성하는 경사면을 따라 마련되며, 별도의 진공흡입기와 연결되는 흡입관; 및
    상기 흡입관 단부에 연결되고, 깔대기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진공흡입기가 동작하는 경우, 상기 태양광 패널로부터 제거되어 흩날리는 오염 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관은,
    상기 태양광 패널이 형성하는 경사면 하측에 대응하는 상기 컨테이너의 지붕면으로부터 상기 컨테이너의 벽체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태양광 패널의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세척수를 상기 컨테이너의 지붕면에서 집수하여 상기 컨테이너의 벽체를 따라 정해진 장소로 배출하고,
    상기 분사 모듈은,
    상기 태양광 패널의 경사면 상측에 배치되고, 별도의 세척수 공급기와 연결되어 상기 세척수 공급기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는 본체; 및
    상기 태양광 패널의 경사면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는 분사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 노즐은,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를 분사하는 개구;
    상기 개구와 연통되는 내부 공간에 내장되어,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개구로 이동하는 세척수의 이동 경로에 배치되되, 상기 본체 측에 배치되는 볼; 및
    상기 개구와 연통되는 내부 공간에 내장되며,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개구로 이동하는 세척수의 이동 경로에 배치되되, 상기 볼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개구 측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로부터 세척수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세척수의 압력에 의해 상기 볼이 밀림과 동시에 완전히 수축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외주면에 복수의 볼록부가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볼록부에 의해 완전히 수축되는 경우, 측면에 복수의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의 압력에 의해 상기 볼이 밀림과 동시에 수축되는 경우, 측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상기 본체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가 상기 개구를 통해 분사되도록 하는, 건물 구조체.
  2. 삭제
KR1020200001104A 2020-01-05 2020-01-05 건물 구조체 KR102115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104A KR102115608B1 (ko) 2020-01-05 2020-01-05 건물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104A KR102115608B1 (ko) 2020-01-05 2020-01-05 건물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5608B1 true KR102115608B1 (ko) 2020-05-27

Family

ID=70910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1104A KR102115608B1 (ko) 2020-01-05 2020-01-05 건물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56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9010B1 (ko) * 2020-07-13 2021-06-04 손성구 절첩식 태양광 패널 스카이 어닝
CN114000736A (zh) * 2021-11-17 2022-02-01 广东工业大学 一种球形海岛生活舱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561A (ko) * 2014-06-30 2016-01-08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컨테이너 태양광 시스템 구조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561A (ko) * 2014-06-30 2016-01-08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컨테이너 태양광 시스템 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9010B1 (ko) * 2020-07-13 2021-06-04 손성구 절첩식 태양광 패널 스카이 어닝
CN114000736A (zh) * 2021-11-17 2022-02-01 广东工业大学 一种球形海岛生活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5608B1 (ko) 건물 구조체
EP2884202B1 (en) Supporting device for solar panel
CN102589076B (zh) 换热器杀菌和加湿设备
JP2015532693A (ja) 屋上マウント用摩耗低減システム
KR101512673B1 (ko) 천정의 수막 형성 및 증발을 이용한 작업장 냉방 시스템
KR101120478B1 (ko) 조립식 지붕의 태양광모듈 지지구
KR101809452B1 (ko) 태양전지패널 장착이 용이한 방음벽
CN107204601A (zh) 一种带防震装置的电缆分支箱
CN106049698A (zh) 适用于任意夹角节点连接处的阻尼装置
EP3772175A1 (en) Waterproof structure for solar panel roof and solar panel wall
JP5945407B2 (ja) 太陽電池パネルの敷設構造及び太陽電池パネルの中間保持部材
KR101976347B1 (ko) 빗물유입방지의 조립식 지붕구조를 갖는 통합형 ess 외함
KR200451849Y1 (ko) 틈새밀봉용 실링장치를 구비한 태양광 발전설비장치
CN209266944U (zh) 一种使用寿命长且防护性好的配电箱
JP5483974B2 (ja) 建物
CN216757355U (zh) 一种太阳能光伏组件清扫机器人用横梁
CN219458405U (zh) 一种集装箱型变电站箱体
JP2011058227A (ja) 一体成型した散水管付架台フレームを用いた太陽光発電システム
CN215074233U (zh) 一种用于太阳能发电站的光伏大棚
CN212847486U (zh) 一种led显示屏箱体
US20240035298A1 (en) Platform for space-saving configuration of an energy conversion installation, and energy conversion installation
CN211114205U (zh) 防火阻尼墙
CN109873313A (zh) 一种户外抗噪的活动变电间
WO2016175270A1 (ja) 蓄電装置および補強構造
KR101372372B1 (ko) 차량용 배터리의 장착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