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5584B1 - 호이스트 지능화 단말 시스템 - Google Patents

호이스트 지능화 단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5584B1
KR102115584B1 KR1020180140102A KR20180140102A KR102115584B1 KR 102115584 B1 KR102115584 B1 KR 102115584B1 KR 1020180140102 A KR1020180140102 A KR 1020180140102A KR 20180140102 A KR20180140102 A KR 20180140102A KR 102115584 B1 KR102115584 B1 KR 102115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ist
intelligent terminal
unit
contro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6140A (ko
Inventor
송근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현대호이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현대호이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현대호이스트
Priority to KR1020180140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5584B1/ko
Publication of KR20200056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5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5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0Applications of devices for transmitting control pulses; Applications of remote 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22Control systems or devices for electric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6Arrangements or use of war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이스트 지능화 단말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호이스트 제어부(50); 상기 호이스트 제어부(50)에 연결되어 호이스트의 부하량 및 동작제어 정보를 수집하는 지능화 단말(100); 상기 지능화 단말(100)에 연결되어 호이스트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신호 처리부에 호이스트 제어 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 단말(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호이스트 지능화 단말 시스템{Hoist intellectualization terminal system}
본 발명은 호이스트 지능화 단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형 호이스트 내에 복수의 센서 및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지능형 단말을 부착 또는 내장하여 원격지로 센서 출력 및 호이스트 제어 정보를 전달하고 호이스트를 원격 제어가 가능하도록 만드는 호이스트 지능화 단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이스트는 천장에 가설된 레일을 타고 전후측(남북측) 및 좌우측(동서측)으로 이동되면서 중량물을 들어올려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호이스트는 천장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호이스트 본체에 모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축은 호이스트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와이어로프 드럼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호이스트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운반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와이어로프 드럼에 감겨진 와이어로프를 길게 푼 상태에서 후크에 중량물을 매단다. 이후, 모터를 구동시키면 와이어로프 드럼을 회전시키게 되므로 풀어져 있던 와이어로프가 와이어로프 드럼에 점진적으로 감기게 되고, 이에 따라 후크에 매달린 중량물이 상승하게 된다. 중량물이 상승되면, 호이트스 본체의 트래버스 모터를 구동시켜서 호이스트 본체가 레일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후크에 매달린 중량물이 이동하게 되므로, 후크에 매달린 중량물을 원하는 위치로 운반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기존에는 호이스트와의 통신방식이 없고, 스마트폰 앱에서의 연동 시스템도 없어서 원격 조정이 불가능하다. 또한, 기존의 호이스트 블랙박스는 사용현황 파악을 위해 위험지역에 설치된 호이스트에 접근해야만 사용현황을 인지가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06210호(2018년10월02일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0644322호(2006년11월02일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재 설치 운영중인 일반 호이스트를 미래 스마트팩토리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기능을 제공하는 지능화 제어 단말(H-ICU)과 호이스트 운영 플랫폼의 개발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또는 신규호이스트에 지능형 단말장치를 부착하여 통신이 가능하게 하여 호이스트의 사용현황을 파악하고, 호이스트별 고유번호 부여를 통해 모든 호이스트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호이스트를 원격 조작 및 스마트폰 을 통해서 볼 수 있도록 하여 위험지역에 설치된 호이스트에 접근하지 않고도 호이스트 사용현황을 PC 또는 스마트폰을 통해서 알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호이스트 제어부; 상기 호이스트 제어부로부터 호이스트의 부하량과 동작제어 정보를 수집하는 지능화 단말; 상기 지능화 단말에 연결되어 호이스트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신호 처리부에 호이스트 제어 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지능화 단말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호이스트 제어부는 부하 검출부와 동작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능화 단말은 부하량 수집부와 제어명령 수집부와 연결 제어명령 전달부 및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부하량 수집부와 상기 제어명령 수집부와 상기 연결 제어명령 전달부는 상기 통신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하량 수집부와 상기 제어명령 수집부는 호이스트 제어부의 부하 검출부와 동작 제어부에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호 처리부는 정보 저장부와 데이터 분석부와 경보 발생부 및 제어명령 전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명령 전달부는 지능화 단말에 구비된 통신부에 의해 연결 제어명령 전달부로 사용자 단말의 호이스트 제어명령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 분석부와 상기 경보 발생부는 사용자 단말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작 제어부는 호이스트 제어박스에 구비된 단자대와 상기 지능형 단말에 구비된 호이스트 컨트롤 회로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작 제어부는 호이스트 제어박스에 구비된 PCB와 상기 지능형 단말에 구비된 호이스트 컨트롤 회로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능형 단말에는 운영 플랫폼이 연결되고, 상기 운영 플랫폼에는 통합관리 시스템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능화 단말과 운영 플랫폼이 호이스트에 적용될 경우에 다음과 같은 기능 개선 및 제품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1) 고부가 가치의 지능화된 호이스트 개발
미래 스마트팩토리 환경 및 자동화 시스템 연동 등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
실시간 호이스트 상태모니터링 기능 제공.
(2) 구형 호이스트 업그레이드 솔루션 제공
기존에 판매한 구형의 호이스트를 저렴한 비용으로 신규 호이스트와 같은 ICT 기능을 가지는 지능형으로 개조. 도입 비용의 최소화 효과 제공
(3) 재해 사고 및 고장 예방
네트워크를 통하여 운영시스템과 연동하여 운전 및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부하량, 사용횟수, Load Limit 기능 적용으로 운전의 안전성 향상 및 최적 정비 시점 제공(소모성 부품 교체 및 안전 점검 시점 제시)
사고 및 고장 발생으로 인한 발생되는 비용의 감소에 기여함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호이스트 지능화 단말 시스템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호이스트 지능화 단말 시스템의 단자대 방식 컨트롤박스와 지능형 단말의 연결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호이스트 지능화 단말 시스템의 PCB 방식 컨트롤박스와 지능형 단말의 연결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호이스트 지능화 단말 시스템의 연결 개요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호이스트 지능화 단말 시스템의 개요도
도 6은 본 발명의 호이스트 지능화 단말 시스템에 의한 호이스트의 운전상태 정보 수집 플로우 챠트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호이스트 지능화 단말 시스템의 장치연결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호이스트 지능화 단말 시스템의 고속 데이터 전송 시스템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호이스트 지능화 단말 시스템에서 호이스트 운영정보 전달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호이스트 지능화 단말 시스템은 원격지로 호이스트 제어 정보를 전달하고 호이스트를 원격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호이스트 제어부(50)와 지능화 단말(100)과 신호 처리부 및 사용자 단말(300)을 기본 구성으로 포함한다.
호이스트 본체에 호이스트 박스가 장착되고, 상기 호이스트 박스에 호이스트 제어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호이스트 제어부(50)는 부하 검출부와 동작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부하 검출부에서는 호이스트가 이동시키는 물품의 중량을 검출하게 된다. 상기 동작 제어부에는 호이스트의 권상 권하 동작과 호이스트 이동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지능화 단말(100)에서는 부하량 수집, 제어명령 수집, 사용자 단말(300)측 제어명령 전달을 수행하게 된다. 지능화 단말(100)은 호이스트의 제어박스 내외에 설치되며 부하량 및 동작제어 정보를 수집한다. 부하량은 호이스트가 이동시키는 물품의 중량 등을 의미한다.
상기 지능화 단말(100)은 부하량 수집부(110)와 제어명령 수집부(120)와 연결 제어명령 전달부(130) 및 통신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부하량 수집부(110)와 제어명령 수집부(120)와 상기 연결 제어명령 전달부(130)는 통신부(140)에 연결된다.
상기 지능화 단말(100)에는 호이스트 제어부(50)의 부하 검출부와 연결된 부하량 수집부(110)가 구비된다. 상기 호이스트 제어부(50)의 부하 검출부에서 검출된 부하량을 지능화 단말(100)의 부하량 수집부(110)에서 수신하게 된다. 부하량은 부하검출부에서 측정되며, 지능형 단말은 부하검출부에서 측정된 부하 데이터를 다양한 장비간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수신하며, 사용가능한 통신방식으로는 블루투스, Zigbee, Wi-Fi와 같은 무선통신방식과, Rs-232/422/485, USB 등을 이용한 유선통신방식, I2C, UART 등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주변장치 간 통신방식이 있다.
지능화 단말(100)에는 호이스트 제어부(50)의 동작 제어부에 연결된 제어명령 수집부(120)가 구비된다. 제어명령 수집부(120)에서는 호이스트 제어부(50)의 동작 제어부에서 송신된 동작제어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동작제어부는 단자대 방식 컨트롤러(호이스트 제어부(50))와 지능형 단말을 연결하는 구성 또는 PCB 방식 컨트롤러(호이스트 제어부(50))와 지능형 단말을 연결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단자대 방식 컨트롤러의 경우 기존의 동작스위치 연결부와 지능화 단말(100)의 센싱부를 결선하여 사용자의 호이스트 제어 동작 신호를 검출한다. 상기 단자대와 지능화 단말(100) 사이에 신호선을 연결하여 제어신호(호이스트 동작 제어신호)를 검출한다. 단자대의 제어신호 연결단자에는 스위치가 연결된다. 호이스트 조작 스위치 버튼 패드의 각각의 스위치 버튼에 단자대의 제어신호 연결단자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지능화 단말(100)에는 이더넷에 의해 호이스트 제어부(50)의 동작제어부와 부하검출부가 연결되어 지능화 단말(100)의 제어명령 수집부(120)와 부하량 수집부(110)에 각각 호이스트 동작제어 신호와 부하량이 전송된다.
상기 PCB 방식 컨트롤러는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이용한 통신이 가능하므로, 지능화 단말(100)과 통신선 연결을 통하여 제어신호 및 부하량 정보를 전달받도록 구성한다. 추가로, PCB 방식 컨트롤러의 경우 단자대 방식과 동일한 결선 구조 이용하여 호이스트 제어동작 신호의 검출이 가능하다. 상기 PCB의 제어신호 연결단자에도 스위치가 연결된다. 호이스트 조작 스위치 버튼 패드의 각각의 스위치 버튼에 PCB의 제어신호 연결단자가 연결될 수 있다. PCB 컨트롤러의 경우에도 지능화 단말(100)에는 이더넷에 의해 호이스트 제어부(50)의 동작제어부와 부하검출부가 연결되어 지능화 단말(100)의 제어명령 수집부(120)와 부하량 수집부(110)에 각각 호이스트 동작제어 신호와 부하량이 전송된다.
상기 지능화 단말(100)에는 연결 제어명령 전달부(130)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 제어명령 전달부(130)는 호이스트 제어부(50)의 동작 제어부와 통신부(140)에 연결된다.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입력되는 호이스트 제어명령을 통신부(140)를 통하여 상기 연결 제어명령 전달부(130)가 수신한 다음 상기 연결 제어명령 전달부(130)에서 호이스트 제어부(50)의 동작제어부로 호이스트 제어명령을 송신하게 된다.
본 발명은 지능화 단말(100)에 연결되어 호이스트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신호 처리부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신호 처리부에 호이스트 제어 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 단말(300)을 포함한다.
상기 신호 처리부는 정보저장부(210)와 데이터 분석부(220)와 경보발생부(230) 및 제어명령 전달부(130)를 구비한다.
상기 지능화 단말(100) H-ICU 기판이 내장되고, H-ICU에는 SD 카드가 있는데, 상기 정보저장부(210)는 H-ICU 기판 내부의 SD 카드에 호이스트의 정보(예를 들어, 호이스트의 부하량, 전류 전압 등의 정보)를 저장하거나 서버로 보내서 서버에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서버는 통합 관리 시스템의 서버를 의미한다.
상기 경보발생부(230)는 Data를 판독하여 경보발생 필요시 관제용 PC나 스마트폰, 그리고 필요시 호이스트에서 울리게 된다. 경보발생부(230)는 호이스트 과부하시, 기타 이상신호 발생 시 경보를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장치이다. 한편, 상기 관제용 PC는 통합 관리 시스템의 서버가 될 수 있고, 스마트폰은 모바일 기기와 같은 사용자 단말(300)이 될 수 있다. 상기 호이스트 자체에 경보음 발생기를 구비하여, 호이스트에서 경보를 울릴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분석부(220)는 Data를 분석하여 설정된 한계값 초과 여부, 과부하장치, 또는 비상정지장치 등이 작동 되었는지 판단 분석한다. 데이터 분석이라 함은 호이스트의 작동 등과 관련된 데이터 분석을 의미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300)은 신호 처리부에 호이스트 제어 명령을 입력하게 된다. 사용자 단말(300)은 사용자측의 서버(컴퓨터 서버)에 연결된 단말기와 키보드와 같은 입력장치로 구성되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버의 경우 무선 통신망 또는 유선 통신망에 의해 상기 신호처리부(200)의 제어명령 전달부(240)에 연결되고, 상기 신호처리부(200)의 제어명령 전달부(2400)는 지능화 단말(100)에 구비된 통신부(140)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블루투스나 Wi-Fi와 같은 무선 통신망에 의해 신호처리부(200)의 제어명령 전달부(240)에 연결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연결된 신호처리부(200)의 제어명령 전단부(240)는 지능화 단말(100)에 구비된 통신부(140)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능형 단말에는 운영 플랫폼이 연결되고, 상기 운영 플랫폼에는 통합관리 시스템이 연결된다.
상기 지능형 단말은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운영 플랫폼은 각각의 지능형 단말에 연결되도록 복수개의 게이트웨이를 구비한다. 호이스트 작업 현장에 N개의 호이스트가 구비된다면 상기 지능형 단말과 게이트웨이도 N가 구비된다. 상기 게이트웨이는 지능형 단말과 통합관리 시스템의 서버(컴퓨터 서버 등)에 연결된 중간 서버(중간 컴퓨터 서버 등)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게이트웨이에 통합관리 시스템이 연결된다. 통합관리 시스템의 통합 관리 서버(통합 관리 컴퓨터 서버 등)에 상기 중간 서버라 할 수 있는 복수개의 게이트웨이들이 연결된다.
지능화 단말(100)(지능화 제어 단말)은 기존의 구형 호이스트에 부착되어 네트워크 및 제어 기능을 부여한다. 자동화 시스템과 연동으로 기존에 없는 고부가가치 지능형 호이스트로 개조할 수 있음. 또한, 다양한 센서를 적용하여 호이스트 운영 및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경보를 발생하여 작업 안전성 및 운영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운영 플랫폼은 스마트 팩토리(사물인터넷) 규격을 준수하여, 지능화 제어 단말을 검색 등록하고, 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표준화된 통신 프로토콜을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자동화 시스템과 연동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통합 관제시스템은 운영플랫폼을 통하여 수집되는 호이스트 운영 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호이스트의 운전 시간, 부하율을 분석하여 부품 교체시기 등 최적의 관리 시점을 관리자에게 제공한다.
[표 1] 운영플랫폼 / 관제시스템 요구 기능 및 기대 효과
Figure 112018113341387-pat00001
본 발명에 의한 지능화 단말(100)과 운영 플랫폼이 호이스트에 적용될 경우 다음과 같은 기능 개선 및 제품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1) 고부가 가치의 지능화된 호이스트 개발
미래 스마트팩토리 환경 및 자동화 시스템 연동 등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
실시간 호이스트 상태모니터링 기능 제공.
(2) 구형 호이스트 업그레이드 솔루션 제공
기존에 판매한 구형의 호이스트를 저렴한 비용으로 신규 호이스트와 같은 ICT 기능을 가지는 지능형으로 개조. 도입 비용의 최소화 효과 제공.
(3) 재해 사고 및 고장 예방
네트워크를 통하여 운영시스템과 연동하여 운전 및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모티터링, 부하량, 사용횟수, Load Limit 기능 적용으로 운전의 안전성 향상 및 최적 정비 시점 제공(소모성 부품 교체 및 안전 점검 시점 제시).
사고 및 고장 발생으로 인한 발생되는 비용의 감소에 기여함.
(4) 오픈 플랫폼을 이용하여 사물인터넷을 호이스트에 접목하여 호이스트의 사용현황을 통신을 통해 알 수 있도록 함.
(5) 원격조작을 할 수 있도록 하여 필요시 위험지역에 접근하지 않고도 호이스트를 조작할 수 있음.
(5) 호이스트 사용현황을 관리하는 서버용 PC 또는 스마트폰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함.
(6) 다양한 호이스트 관리 및 원격 조작을 가능하게 하여 미래형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의 구성 시 활용가능하게 함.
본 발명은 물류 및 제조 산업 전반에서 사용되는 호이스트 장치를 IT인프라와 연결하여, 실시간 운영 및 환경 정보 수집하고, 제어가 가능한 호이스트용 "지능화 플랫폼"을 제공한다. 특히, 소상공인 고객의 운영 환경에 적합하도록 호이스트 전원부분을 재 설계하고, 호이스트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모바일 앱을 개발한다.
소상공인 고객의 특성상 전문 운영 유지보수 인력의 확보가 어렵기 때문에 호이스트의 상태 및 정비 주기를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하여 중앙 서버에 실시간으로 호이스트 운영 데이트를 수집 저장하고, 신속한 AS와 예방 정비를 위한 운영 플랫폼을 개발한다.
호이스트 작업장에 있는 각각의 호이스트에는 지능화 단말(100)이 연결되는데, 상기 지능화 단말(100)에는 H-ICU 기판이 구비되고, 상기 H-ICH 기판에 구비된 부하량 수집부(110)는 호이스트에 있는 부하 검출부에 연결되고, 상기 H-ICU 기판에 구비된 제어명령 수집부(120) 및 제어명령 전단부가 호이스트 제어부(50)에 있는 동작제어부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 참조.
상기 통합 관리시스템의 서버는 LAN을 통해서 지능화 단말(100)에 연결된다. 지능화 단말(100)의 H-ICU 기판에 통합관리 시스템의 서버가 연결된다. 상기 통합 관리시스템의 서버에는 데이터베이스가 구비되고, 모니터와 키보드나 리모트 컨트롤러(리모트 컨트롤 시스템)로 이루어진 모니터링 시스템이 통합관리 시스템의 서버에 연결되고, 상기 통합관리 시스템의 서버에는 웹을 통해서 모바일 기기가 연결되며, 상기 모바일 기기에는 호이스트 컨트롤 앱이 구비되어, 상기 모바일측 호이스트 컨트롤 앱에 의해 호이스트를 모바일 기기에 의해 원격으로 조정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에서도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호이스트를 원격으로 조정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호이스트 작업 현장에 복수대의 호이스트가 구비되고, 상기 지능형 단말은 H-ICU 기판을 통해서 호이스트의 제어부에 연결되는데, 상기 지능형 단말과 통합관리 시스템의 서버는 각각의 지능형 단말과 각각의 게이트웨이는 LAN을 통해서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호이스트의 운전 상태 및 운영 정보 실시간 수집 기능이 있다. 본 발명에서 데이터 플로우는 DIO, ICU, SVR, WEB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도 6은 호이스트 운전상태 정보 수집 Flow이고, 도 7은 DIO, ICU, SVR, WEB의 연결 구성이다.
DIO는 디지털 입출력 포트를 가지는 장치로서 제어용 보드 또는 센서와 연결되는 보드이다. 호이스트 제어부(50)에 연결된 지능화 단말(100)의 제어용 보드인 H-ICU 또는 지능화 단말(100)에 구비된 센서에 DIO가 연결된다. DIO는 ICU로부터의 'R'-request 수신과 ICU로의 'R'-response를 수행한다.
ICU는 ARM 기반 CPU를 탑재하고 임베디드 OS(Linux 계열)를 가진 컨트롤 전용 단말로서, 상기 DIO로부터 'R'-response를 수신하여 호이스트의 상태비교, 호이스트의 이력 저장, 호이스트의 변경 이력을 SVR로 전송한다.
SVR은 관제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서버 및 웹서버로서 소켓통신서버가 포함된 서버군이다. SVR에서는 호이스트의 변경 이력을 저장한다.
WEB은 사용자 UI를 가지는 시스템. 모니터링 및 관제, 원격제어 시스템이 포함된 서버군이다. 사용자 단말(300)(즉, 사용자측의 모니터 또는 모바일 기기 등)에서 WEB을 통해서 SVR에 호이스트 상태 조회를 SVR에 요청하고, SVR에서는 사용자 단말(300)에 호이스트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도 7은 DIO, ICU, SVR, WEB의 연결 구성을 보여준다.
도 8은 서버 구성도이다. 도 8은 고속 데이터 전송 시스템 구성도라고도 할 수 있다. 도 8에서와 같이, 지능형 단말의 H-ICU 기판(Hoist 지능형 패널)이 운영 플랫폼에 연결되고, 운영 플랫폼측의 데이터 베이스에는 고속 서버를 통해 지능형 단말의 Hoist 지능형 패널이 연결된다.
도 8에서 TAS는 지능형 컨트롤러에서 수신된 정보를 고속서버 또는 운영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모듈이다. 지능형 컨트롤러라 함은 지능형 단말을 의미한다. 또한, High Speed Mrg는 TAS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DB에 저장하고, TCP/IP Socket을 생성하며, 다수의 Client 데이터를 처리한다. MY SQL DataBase 연동은 JDBC 를 사용한다. 다수의 클라이언트 데이터라 함은 개별 호이스트의 부하나 전류 전압 정보와 같은 호이스트의 구동 및 상태 데이터라 할 수 있다.
도 9는 호이스트 운영정보 전달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서, 컨트롤러에서 측정된 데이터는 H-ICU를 통하여 서버로 전송 저장된다. H-ICU는 최대 72시간의 실시간 동작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때, 컨트롤러라 함은 각각의 개별 호이스트의 호이스트 제어부(50)에 연결된 지능화 단말(100)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장점은 다음과 같다.
소상공인 고객 지향형 호이스트 개발, 일반 가정용 전압 사용, 모바일 앱을 통한 손쉬운 관리, 중앙 집중화된 이력관리로 신속, 편리한 AS수행준 리소스 지원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50. 호이스트 제어부 100. 지능화 단말
110. 부하량 수집부 120. 제어명령 수집부
130. 제어명령 전달부 140. 통신부
200. 신호처리부 210. 정보 저장부
220. 데이터 분석부 230. 경보 발생부
240. 제어명령 전달부 300. 사용자 단말

Claims (10)

  1. 호이스트 제어부(50);
    상기 호이스트 제어부(50)로부터 호이스트의 부하량과 동작제어 정보를 수집하는 지능화 단말(100);
    상기 지능화 단말(100)에 연결된 신호 처리부;
    상기 신호 처리부에 호이스트 제어 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 단말(3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능화 단말(100)에는 운영 플랫폼이 연결되고, 상기 운영 플랫폼에는 통합관리 시스템이 연결되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정보저장부(210)와 데이터 분석부(220)와 경보발생부(230) 및 제어명령 전달부(130)를 구비하고,
    상기 지능화 단말(100)에는 H-ICU 기판이 내장되고, H-ICU에는 SD 카드가 있고, 상기 정보저장부(210)는 H-ICU 기판 내부의 SD 카드에 호이스트의 정보를 저장하거나 서버로 보내서 서버에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서버는 통합 관리 시스템의 서버이고,
    데이터 플로우는 DIO, ICU, SVR, WEB를 통해서 이루어지고,
    상기 DIO는 디지털 입출력 포트를 가지는 장치로서 제어용 보드 또는 센서와 연결되는 보드이고, 상기 호이스트 제어부(50)에 연결된 상기 지능화 단말(100)의 제어용 보드인 H-ICU 또는 상기 지능화 단말(100)에 구비된 센서에 상기 DIO가 연결되고, 상기 DIO는 ICU로부터의 'R'-request 수신과 ICU로의 'R'-response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ICU는 ARM 기반 CPU를 탑재하고 임베디드 OS를 가진 컨트롤 전용 단말로서, 상기 DIO로부터 'R'-response를 수신하여 호이스트의 상태비교, 호이스트의 이력 저장, 호이스트의 변경 이력을 SVR로 전송하고,
    상기 SVR은 상기 통합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서버 및 웹서버로서 소켓통신서버가 포함된 서버이고, 상기 SVR에서는 호이스트의 변경 이력을 저장하고,
    상기 WEB은 사용자 UI를 가지는 시스템. 모니터링 및 관제, 원격제어 시스템이 포함된 서버군으로서, 사용자 단말(300)에서 WEB을 통해서 호이스트 상태 조회를 상기 SVR에 요청하고, 상기 SVR에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300)에 호이스트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지능화 단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트 제어부(50)는 부하 검출부와 동작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지능화 단말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부는 호이스트 제어박스에 구비된 단자대와 상기 지능화 단말(100)에 구비된 호이스트 컨트롤 회로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지능화 단말 시스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부는 호이스트 제어박스에 구비된 PCB와 상기 지능화 단말에 구비된 호이스트 컨트롤 회로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지능화 단말 시스템.
  10. 삭제
KR1020180140102A 2018-11-14 2018-11-14 호이스트 지능화 단말 시스템 KR102115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102A KR102115584B1 (ko) 2018-11-14 2018-11-14 호이스트 지능화 단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102A KR102115584B1 (ko) 2018-11-14 2018-11-14 호이스트 지능화 단말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140A KR20200056140A (ko) 2020-05-22
KR102115584B1 true KR102115584B1 (ko) 2020-06-05

Family

ID=70913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102A KR102115584B1 (ko) 2018-11-14 2018-11-14 호이스트 지능화 단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55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0123B1 (ko) * 2021-07-22 2021-11-23 주식회사 포인트 갠트리 크레인의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192B1 (ko) * 2011-02-01 2011-07-14 (주)하나닉스 2.4㎓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한 과부하 방호 장치 내장형 크레인 방향 제어 시스템
KR101738644B1 (ko) * 2016-07-04 2017-05-24 주식회사 대산이노텍 인버터 일체형 보드를 포함하는 호이스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4322B1 (ko) 2005-10-25 2006-11-10 주식회사 고려호이스트 에어밸런싱 호이스트의 콘트롤장치
KR101906210B1 (ko) 2017-05-29 2018-10-11 주식회사현대호이스트 Dps를 이용한 호이스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192B1 (ko) * 2011-02-01 2011-07-14 (주)하나닉스 2.4㎓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한 과부하 방호 장치 내장형 크레인 방향 제어 시스템
KR101738644B1 (ko) * 2016-07-04 2017-05-24 주식회사 대산이노텍 인버터 일체형 보드를 포함하는 호이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140A (ko) 2020-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13638B (zh) 机器人焊接制造生产线无线网络监控系统
KR102019077B1 (ko) 표준데이터를 활용한 통합적인 생산공정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생산공정관리방법
KR101374044B1 (ko) 통합형 감시 제어시스템
US9944500B2 (en) Material lifting system and method
JP6681282B2 (ja) 電力デマンド遠隔管理システム、デマンドコントローラ、デマンドコントローラの親機、および電力デマンドの遠隔管理方法
JP2013502865A (ja) 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US11208301B2 (en) Control switch,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crane
CN103051708B (zh) 基于Zigbee技术的电梯物联网系统
KR102115584B1 (ko) 호이스트 지능화 단말 시스템
CN112209193A (zh) 一种智能电梯系统
WO2006075337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remotely located sucker rod pumps
CN104326360B (zh) 门座式起重机全息检测方法
WO2013040852A1 (zh) 基于云计算的电梯设备管理控制系统及方法
CN104954207A (zh) 通信装置、通信方法以及通信系统
KR20220122922A (ko) Ai기반 데이터 로거 시스템
CN108466882B (zh) 一种电梯定位应急管理系统
KR100604228B1 (ko) 웹기반 빌딩 통합 관리 및 제어 시스템
CN111429603A (zh) 一种飞机修理坞的远程监控系统及方法
CN203086510U (zh) 基于Zigbee技术的电梯物联网系统
KR100604230B1 (ko) 웹기반 빌딩 통합 관리 및 제어 시스템
US1163587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program
CN202093377U (zh) 电梯远程监控装置
CN209797285U (zh) 一种起重机远程监控系统
CN102685168A (zh) 具有感知控制功能的社区网络系统及控制方法
CN111302176A (zh) 一种建筑用升降装置监控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