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5568B1 - 양면테이프 부착 장치 - Google Patents

양면테이프 부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5568B1
KR102115568B1 KR1020190030678A KR20190030678A KR102115568B1 KR 102115568 B1 KR102115568 B1 KR 102115568B1 KR 1020190030678 A KR1020190030678 A KR 1020190030678A KR 20190030678 A KR20190030678 A KR 20190030678A KR 102115568 B1 KR102115568 B1 KR 102115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ouble
sided tape
release paper
bas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0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세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케이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케이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케이엘
Priority to KR1020190030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55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5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5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2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for applying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4Article strippers, e.g. for stripping from advanc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by peeling, i.e. involving elongated elements traversing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1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 B65H2301/5113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applying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B65H2701/377Adhesive tape
    • B65H2701/3772Double-si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양면테이프 부착 장치는 하부 이형지 및 상부 이형지의 사이에 배치된 양면테이프를 모재에 부착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1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 이동 유닛, 상기 제1방향과 교차되는 제2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 이동 유닛 및 상기 제2 이동 유닛에 결합되며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3 이동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유닛; 상기 제3 이동 유닛에 결합 되며 상기 하부 이형지로부터 상기 양면테이프 및 상기 상부 이형지를 분리하는 픽업 유닛; 상기 픽업 유닛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모재 및 상기 양면테이프 사이에 기포가 발생 되지 않도록 상기 상부 이형지 및 상기 양면테이프를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누르는 기포 방지 유닛; 및 상기 픽업 유닛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모재에 부착된 상기 양면테이프에 부착된 상부 이형지를 상기 모재에 대하여 사선 방향으로 제거하는 이형지 제거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양면테이프 부착 장치{DOUBLE SIDED TAPE ATTACHING DEVICE}
본 발명은 양면테이프 부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재에 양면테이프의 일측면을 기포 발생 없이 부착 및 양면테이프의 상면에 부착된 이형 테이프(release tape)를 양면테이프로부터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양면테이프 부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면테이프(double-sided tape)는 가정용 또는 산업 전반에 걸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일측 부품에 타측 부품을 접합할 때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양면테이프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는 각각 이형테이프(release tape)가 배치되는데 양면테이프는 이형테이프들을 제거한 후 사용된다.
예를 들어, 핸드폰 등에 내장되는 박막 스피커는 베이스가 되는 철판에 얇은 두께를 갖는 진동유닛을 부착하여 구성되는데, 이때 철판 및 진동 유닛은 이형테이프가 제거된 양면테이프에 의하여 상호 견고하게 접합된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양면테이프 및 양면테이프에 접착되는 모재 사이에 기포(또는 기공)가 존재할 경우 양면테이프의 접착 성능이 감소 되는 문제점이 발생 된다. 한편, 앞서 소개한 박막 스피커의 경우 베이스가 되는 철판 및 진동유닛 사이에 기포가 존재할 경우 박막 스피커의 성능이 크게 감소 되는 문제점도 발생 된다.
등록특허 제10-1386775호, 접착테이프 부착 방법 및 이것을 이용한 점착테이프 부착장치, (2014.04.11)
본 발명은 하부 이형지 및 상부 이형지 사이에 배치된 양면테이프를 모재에 접합할 때 기포 발생을 방지하며, 양면테이프를 모재에 접합한 후 양면테이프 상에 배치된 상부 이형지를 양면테이프에 대하여 사선 방향으로 분리하여 적은 힘으로 양면테이프의 손상 없이 상부 이형지를 제거할 수 있는 양면테이프 부착 장치를 제공한다.
일실시예로서, 양면테이프 부착 장치는 하부 이형지 및 상부 이형지의 사이에 배치된 양면테이프를 모재에 부착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1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 이동 유닛, 상기 제1방향과 교차되는 제2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 이동 유닛 및 상기 제2 이동 유닛에 결합되며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3 이동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유닛; 상기 제3 이동 유닛에 결합 되며 상기 하부 이형지로부터 상기 양면테이프 및 상기 상부 이형지를 분리하는 픽업 유닛; 상기 픽업 유닛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모재 및 상기 양면테이프 사이에 기포가 발생 되지 않도록 상기 상부 이형지 및 상기 양면테이프를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누르는 기포 방지 유닛; 및 상기 픽업 유닛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모재에 부착된 상기 양면테이프에 부착된 상부 이형지를 상기 모재에 대하여 사선 방향으로 제거하는 이형지 제거 유닛을 포함한다.
양면테이프 부착 장치의 상기 픽업 유닛 중 상기 양면테이프를 흡착하는 콜렛은 상기 양면테이프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양면테이프 부착 장치의 상기 기포 방지 유닛은 상기 상부 이형지를 가압하는 롤러 부재, 상기 롤러 부재에 결합된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 및 상기 제3 이동 유닛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롤러 부재에 가해지는 압력을 조절하는 하중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양면테이프 부착 장치의 상기 이형지 제거 유닛은 상기 제3 이동 유닛에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는 수직 변위 발생 유닛, 상기 수직 변위 발생 유닛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상부 이형지의 상면을 고정하는 상면 고정 유닛 및 상기 수직 변위 발생 유닛의 하단에 결합 되고 상기 상부 이형지의 하면을 고정하는 하면 고정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이형지는 상기 상면 고정 유닛 및 상기 하면 고정 유닛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 변위 발생 유닛 및 상기 제2 이동 유닛이 동시에 이동되어 상기 모재에 대하여 사선 방향으로 벗겨진다.
본 발명에 따른 양면테이프 부착 장치는 하부 이형지 및 상부 이형지 사이에 배치된 양면테이프를 모재에 접합할 때 기포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양면테이프를 모재에 접합한 후 양면테이프 상에 배치된 상부 이형지를 양면테이프에 대하여 사선 방향으로 분리하여 적은 힘으로 양면테이프의 손상 없이 상부 이형지를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면테이프 부착 장치에 사용되는 양면테이프, 상부 이형지 및 하부 이형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양면테이프를 양면테이프 부착 장치에 의하여 모재에 부착하고 양면테이프에 진동 유닛을 부착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면테이프 부착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바령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면테이프 부착 장치에 의한 양면테이프 부착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실시예들이 각각 기재되어 있을 경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별다른 기재가 없더라도 각 실시예들은 구성요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호 병합 및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면테이프 부착 장치에 사용되는 양면테이프, 상부 이형지 및 하부 이형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하부 이형지(1)의 상면에는 양면테이프(2)가 배치된다.
하부 이형지(1)의 상면에는 양면테이프(2)가 배치되는데, 양면테이프(2)는 얇은 두께를 갖는 합성수지 시트, 합성수지 시트의 양쪽 면에 각각 배치된 접착층(미도시)을 포함한다.
상부 이형지(3)는 양면테이프(2)의 상면에 배치되며, 상부 이형지(3)는 양면테이프(2)를 완전히 덮게 배치된다.
상부 이형지(3)는 양면테이프(2)의 평면적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되며, 이로 인해 상부 이형지(3)의 일부는 양면테이프(2)의 일측으로 돌출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양면테이프를 양면테이프 부착 장치에 의하여 모재에 부착하고 양면테이프에 진동 유닛을 부착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모재(4)는, 예를 들어, 박막 스피커의 베이스로서 역할하며, 모재(4)는, 예를 들어,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금속판일 수 있다.
모재(4)의 상면에는 도 1에 도시된 양면테이프(2)가 배치되며, 양면테이프(2)의 상면에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유닛(5)이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모재(4)의 상면에 배치되는 양면테이프는 후술 될 양면테이프 부착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바, 이하 양면테이프 부착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면테이프 부착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따른 양면테이프 부착 장치(600)는 이동 유닛(100), 픽업 유닛(200), 기포 방지 유닛(300) 및 이형지 제거 유닛(400)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참조부호 8은 도 2에 도시된 모재(4)가 배치된 상태에서 양면테이프(2)가 접착되는 서포트 부재이며, 서포트 부재(8)는, 예를 들어, 픽업 유닛(2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동 유닛(100)은 후술 될 픽업 유닛(200), 기포 방지 유닛(300) 및 이형지 제거 유닛(400)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동 유닛(100)은 제1 이동 유닛(110), 제2 이동 유닛(120) 및 제3 이동 유닛(130)을 포함한다.
제1 이동 유닛(110)은 후술 될 픽업 유닛(200), 기포 방지 유닛(300) 및 이형지 제거 유닛(400)을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시킨다.
제2 이동 유닛(120)은 제1 이동 유닛(110)의 하부에 결합 되며, 제2 이동 유닛(120)은 제1 이동 유닛(110)의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픽업 유닛(200), 기포 방지 유닛(300) 및 이형지 제거 유닛(400)을 동시에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 이동 유닛(120)의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교차 또는 수직 하는 제2 방향(Y 축 방향)일 수 있다.
제3 이동 유닛(130)은 제2 이동 유닛(120)의 하부에 배치되며, 제3 이동 유닛(130)은 픽업 유닛(200), 기포 방지 유닛(300) 및 이형지 제거 유닛(400)을 지면에 대하여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제1 이동 유닛(110) 내지 제3 이동 유닛(130)들을 개별적으로 이동시킬 경우, 픽업 유닛(200), 기포 방지 유닛(300) 및 이형지 제거 유닛(400)은 3차원 공간 상에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픽업 유닛(200)은 제3 이동 유닛(130)에 결합되며 픽업 유닛(200)은 양면테이프 부착 장치(600)와 이격 된 곳에 배치된 하부 이형지로부터 양면테이프 및 상부 이형지를 픽업하는 역할을 한다.
양면테이프 및 상부 이형지를 픽업하는 픽업 유닛(200)은 픽업 몸체(210) 및 콜렛(220)을 포함하며, 콜렛(220)은 대기압보다 낮은 진공압으로 상부 이형지를 흡착하여 하부 이형지로부터 양면테이프를 분리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콜렛(220)은 양면테이프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양면테이프가 직사각형 형상일 경우 콜렛(220)도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더하여 양면테이프 부착 장치(600)와 인접하게 배치된 양면테이프 및 콜렛(220)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될 경우 양면테이프의 방향 및 콜렛(220)의 방향을 정렬하기 위해 콜렛(220)에는 콜렛(220)을 회전시키는 콜렛 회전 유닛(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콜렛 회전 유닛은, 예를 들어, 콜렛(220)을 회전시키는 풀리 및 풀리를 회전시키는 벨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기포 방지 유닛(300)은 픽업 유닛(200)에 의하여 픽업된 양면테이프가 모재에 접착될 때 기포가 발생 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기포 방지 유닛(300)은 제3 이동 유닛(130)에 결합되며, 기포 방지 유닛(300)은 제3 이동 유닛(130)에 결합된 픽업 유닛(200)의 일측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기포 방지 유닛(300)은 픽업 유닛(2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기포 방지 유닛(300)은 상부 이형지 및 양면테이프의 일측 단부로부터 타측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부 이형지를 순차적으로 눌러 모재 및 양면테이프 사이에 기포가 발생 되는 것을 방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포 방지 유닛(300)은 롤러 부재(310), 롤러 부재(310)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320) 및 하중 제어 유닛(330)를 포함한다.
롤러 부재(3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롤러를 포함하며, 롤러 부재(310)는 상부 이형지의 일측 단부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부 이형지의 일측 단부와 대향하는 타측 단부를 향해 이동되면서 상부 이형지의 하면에 배치된 양면테이프 및 모재 사이에 기포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 부재(320)는 롤러 부재(310)의 양쪽으로 돌출된 회전축에 각각 결합 되어 롤러 부재(310)가 지정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한다.
지지 부재(320)는 로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 부재(3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롤러 부재(310)는 픽업 유닛(200)에 픽업된 상부 이형지 및 양면테이프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고, 이로 인해 픽업 유닛(200)이 픽업한 상부 이형지 및 양면테이프가 모재로부터 이격 된 상태에서 롤러 부재(310)에 의하여 양면테이프가 모재에 부착될 수 있다.
한편, 롤러 부재(310)가 상부 이형지를 누르는 가압력을 조절 또는 롤러 부재(310)의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하기 위해 지지 부재(320) 및 제3 이동 부재(130)에는 각각 하중 제어 유닛(330)이 결합 된다. 하중 제어 유닛(330)은, 예를 들어, 제3 이동 유닛(130)과 동일한 방향으로 변위를 발생시키는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이형지 제거 유닛(400)은 모재에 부착된 양면테이프로부터 상부 이형지를 쉽고 빠르게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형지 제거 유닛(400)은 픽업 유닛(200)의 타측에 배치되며, 이형지 제거 유닛(400)은 모재에 부착된 양면테이프의 상면에 배치된 상부 이형지를 양면테이프의 손상 없이 신속하게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형지 제거 유닛(400)은 상부 이형지를 모재를 기준으로 사선 방향으로 제거하여 더 적은 힘으로 양면테이프의 손상 없이 양면테이프로부터 상부 이형지를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이형지 제거 유닛(400)은 상면 고정 유닛(410), 하면 고정 유닛(420) 및 수직 변위 발생 유닛(430)을 포함한다.
수직 변위 발생 유닛(430)은 제3 이동 유닛(130)에 결합 되어 제3 이동 유닛(130)과 함께 이동된다. 수직 변위 발생 유닛(430)은 제3 이동 유닛(130)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변위를 발생시킨다.
상면 고정 유닛(410)은, 모재에 부착된 양면테이프의 상면을 덮고 있는 상부 이형지의 상면 중 양면테이프의 바깥쪽으로 돌출된 부분을 고정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면 고정 유닛(410)은 대기압보다 낮은 진공압을 이용하여 양면테이프의 상면을 흡입하여 고정한다. 이를 위해 상면 고정 유닛(410)의 하면은 픽업 유닛(200)에 의하여 고정된 상부 이형지의 상면과 근접한 거리에서 상호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면 고정 유닛(410)만으로 상부 이형지를 흡입하여 양면테이프로부터 상부 이형지를 분리하면 상면 고정 유닛(410)으로부터 상부 이형지가 예상치 못하게 분리되거나 양면테이프가 모재로부터 들뜨는 불량이 발생 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직 변위 발생 유닛(430)에는 하면 고정 유닛(420)이 배치된다. 하면 고정 유닛(420)은 상부 이면지의 하면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하면 고정 유닛(420)은 수직/수평 이동 유닛(422) 및 하면 고정 부재(424)를 포함한다.
수직/수평 이동 유닛(422)은 제3 이동 유닛(130)에 직접 결합 되며, 수직/수평 이동 유닛(422)은 수직 방향(Z축 방향) 및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구성을 갖는다.
하면 고정 부재(424)는 수직/수평 이동 유닛(422)에 결합되며, 하면 고정 부재(424)는, 예를 들어, 수직/수평 이동 유닛(422)에 결합되며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수직부(425) 및 수직부(425)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수평부(426)를 포함한다.
수평부(426)는 수직/수평 이동 유닛(422)에 의하여 수직 방향 및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와 같은 이동 동작에 의하여 하면 고정 유닛(420)의 수평부(426)는 상부 이형지의 하면을 가압한다. 이때, 수평부(426)는 상면 고정 유닛(410)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상부 이형지는 수평부(426) 및 상면 고정 유닛(410)에 의하여 견고하게 클램핑된다.
수평부(426) 및 상면 고정 유닛(410)에 의하여 상부 이형지가 클램핑된 후 이형지 제거 유닛(400)은 모재에 대하여 사선 방향으로 상부 이형지를 분리한다.
모재에 대하여 사선 방향으로 상부 이형지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수직 변위 발생 유닛(430)을 이용해 상면 고정 유닛(410) 및 하면 고정 유닛(420)을 상승시킴과 동시에 제2 이동 유닛(120)을 후퇴시킴으로써 상부 이형지는 사선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로 인해 상부 이형지는 적은 힘으로도 빠르게 양면테이프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양면테이프 부착 장치를 이용하여 모재에 양면테이프를 부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도 4 내지 도 8에는 이동 유닛(100), 픽업 유닛(200), 기포 방지 유닛(300) 및 이형지 제거 유닛(400) 중 작동되는 부분만 선택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작동되지 않는 나머지 부분은 생략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양면테이프(2)를 모재(4)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먼저 서포트 부재(8)에 모재(4)가 제공된다. 모재(4)는 픽업 유닛(200)이 이송하거나 다른 로딩 유닛에 의하여 서포트 부재(8)로 제공될 수 있다.
모재(4)가 서포트 부재(8)에 제공되면 픽업 유닛(200)은 이동 유닛(100)을 이용하여 하부 이형지에 임시로 부착된 양면테이프(2) 및 양면테이프(2) 상에 배치된 상부 이형지(3)를 픽업하여 모재(4)의 상부로 이송한다.
이때, 픽업 유닛(200)에 흡착된 양면테이프(2) 및 상부 이형지(3)는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예를 들어, 양면테이프(2) 및 모재(4)는 1mm 내지 10mm 사이의 갭을 가질 수 있다.
양면테이프(2) 및 모재(4)의 간격이 1mm 미만일 경우 양면테이프(2)가 모재(4)와 임의로 부착되어 기포가 발생 될 수 있고, 양면테이프(2) 및 모재(4)의 간격이 10mm를 초과할 경우 롤러 부재(310)가 상부 이형지를 누르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양면테이프(2) 및 모재(4) 사이의 간격은 1mm 내지 10mm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픽업 유닛(200)에 의하여 양면테이프(2) 및 상부 이형지(3)가 모재(4) 상에 배치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포 방지 유닛(300)의 롤러 유닛(310)이 상부 이형지(3)의 상면을 누른 상태에서 이동 유닛(100)의 제2 이동 유닛(120)이 제2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로써, 상부 이형지(3)가 롤러 유닛(310)에 의하여 눌린 상태에서 픽업 유닛(200) 및 롤러 유닛(310)은 상부 이형지(3)에 대하여 전진되고 이로 인해 양면테이프(2)의 일측이 먼저 모재(4)에 부착되고 이후 양면테이프(2)는 일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모재(4)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포 발생 없이 부착된다.
양면테이프(2) 및 상부 이형지(3)가 모재(4)에 부착되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이형지(3)를 벗기는 공정이 수행되는데, 이때, 상부 이형지(3)를 모재(4)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벗길 경우 양면테이프(2)의 단부가 모재(4)로부터 분리되면서 기포가 발생 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양면테이프(2)로부터 상부 이형지(3)를 벗기기 위해서 이형지 제거 유닛(400)의 상면 고정 유닛(410)이 상부 이형지(3)의 단부의 상면을 흡착하여 고정하고, 하면 고정 유닛(420)이 상부 이형지(3)의 단부의 하면에 배치되면서 상부 이형지(3)는 상면 고정 유닛(410) 및 하면 고정 유닛(420)에 의하여 클램핑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부 이형지(3)가 상면 고정 유닛(410) 및 하면 고정 유닛(420)에 클램핑된 상태에서, 수직 변위 발생 유닛(430)을 이용해 상면 고정 유닛(410) 및 하면 고정 유닛(420)을 동시에 상승시킴과 동시에 제2 이동 유닛(120)을 상부 이형지(3)를 벗겨내는 방향으로 후퇴시킴으로써 상부 이형지(3)는 사선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로 인해 상부 이형지(3)는 적은 힘으로도 빠르게 양면테이프(2)로부터 분리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양면테이프 부착 장치는 하부 이형지 및 상부 이형지 사이에 배치된 양면테이프를 모재에 접합할 때 기포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양면테이프를 모재에 접합한 후 양면테이프 상에 배치된 상부 이형지를 양면테이프에 대하여 사선 방향으로 분리하여 적은 힘으로 양면테이프의 손상 없이 상부 이형지를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0...이동 유닛 200...픽업 유닛
300...기포 방지 유닛 400...이형지 제거 유닛

Claims (4)

  1. 하부 이형지 및 상부 이형지의 사이에 배치된 양면테이프를 모재에 부착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1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 이동 유닛, 상기 제1방향과 교차되는 제2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 이동 유닛 및 상기 제2 이동 유닛에 결합되며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3 이동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유닛;
    상기 제3 이동 유닛에 결합 되며 대기압보다 낮은 진공압으로 상기 하부 이형지로부터 상기 양면테이프 및 상기 상부 이형지를 분리하는 픽업 유닛;
    상기 픽업 유닛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모재 및 상기 양면테이프 사이에 기포가 발생 되지 않도록 상기 상부 이형지 및 상기 양면테이프를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누르는 기포 방지 유닛; 및
    상기 제3 이동 유닛에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는 수직 변위 발생 유닛, 상기 수직 변위 발생 유닛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상부 이형지의 상면을 고정하는 상면 고정 유닛 및 상기 수직 변위 발생 유닛의 하단에 결합 되고 상기 상부 이형지의 하면을 고정하는 하면 고정 유닛을 포함하는 이형지 제거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이형지 제거 유닛은 상기 수직 변위 발생 유닛에 의하여 상기 제1 방향으로 상승되면서 상기 제2 이동 유닛에 의하여 상기 제2 방향으로 후퇴되어 상기 상부 이형지에 대하여 사선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양면테이프의 상면에 부착된 상기 상부 이형지를 상기 모재에 대하여 사선 방향으로 제거하며,
    상기 모재로부터 사선 방향으로 제거되는 상기 상부 이형지는 항상 상기 이형지 제거 유닛의 전방에 배치되는 양면테이프 부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유닛은 상기 양면테이프를 흡착하는 콜렛을 포함하며, 상기 콜렛은 상기 양면테이프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양면테이프 부착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 방지 유닛은 상기 상부 이형지를 가압하는 롤러 부재, 상기 롤러 부재에 결합된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제3 이동 유닛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롤러 부재에 가해지는 압력을 조절하는 하중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양면테이프 부착 장치.
  4. 삭제
KR1020190030678A 2019-03-18 2019-03-18 양면테이프 부착 장치 KR102115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678A KR102115568B1 (ko) 2019-03-18 2019-03-18 양면테이프 부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678A KR102115568B1 (ko) 2019-03-18 2019-03-18 양면테이프 부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5568B1 true KR102115568B1 (ko) 2020-05-26

Family

ID=70914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678A KR102115568B1 (ko) 2019-03-18 2019-03-18 양면테이프 부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556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6226A (ja) * 2009-06-26 2011-01-13 Jptec Kk 剥離装置
KR101386775B1 (ko) 2013-03-13 2014-04-21 한희상 수술용 피넛 겸용 엔도 루프
JP2018080257A (ja) * 2016-11-16 2018-05-24 凸版印刷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貼付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6226A (ja) * 2009-06-26 2011-01-13 Jptec Kk 剥離装置
KR101386775B1 (ko) 2013-03-13 2014-04-21 한희상 수술용 피넛 겸용 엔도 루프
JP2018080257A (ja) * 2016-11-16 2018-05-24 凸版印刷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貼付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73791B2 (ja) 基板への接着テープ貼り付け装置
KR101612076B1 (ko) 보호필름 박리시스템
JP6324606B1 (ja) リリースフィルム剥離方法及びリリースフィルム剥離装置
KR100586928B1 (ko) 진공시스템에서의 기판홀딩장치와 이를 이용한 기판 척킹및 디척킹장치
JP2009044008A5 (ko)
KR102419700B1 (ko) 정렬 장치 및 정렬 방법
KR20170132093A (ko) 반도체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JP2009141070A (ja) 剥離装置及び剥離方法
WO2019039328A1 (ja) 切断装置
JP4938471B2 (ja) グリーンシートのスルーホール加工装置およびスルーホール加工方法
KR102115568B1 (ko) 양면테이프 부착 장치
JP2009535278A (ja) 少なくとも1つの貫通開口を備えるワークピースを取り扱う方法および機械アッセンブリ
WO2017164294A1 (ja) 剥離装置
KR101454172B1 (ko) 반도체용 기판 보호필름의 직립식 박리 방법 및 직립식 박리 장치
KR20160046732A (ko) 점착 테이프 부착 방법 및 점착 테이프 부착 장치
TW201934457A (zh) 真空吸附方法及真空吸附裝置
CN113968069B (zh) 软膜夹具
JP2001024050A (ja) ワーク保持装置
KR20180106375A (ko) 레이저 절단 장치
KR102033795B1 (ko) 시트 부착 장치 및 시트 부착 방법
JP2011148576A (ja) 枚葉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フィルムインサート成形品製造装置
JP2514437B2 (ja) スクリ―ン印刷工程における薄肉基板の整合方法
JP2014217980A (ja) ペースト印刷装置及びペースト印刷方法
JP2002144270A (ja) 吸着ジグ及び被搬送物の搬送方法
JP4363332B2 (ja) ワーク分離機能を備えたワーク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