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5132B1 - 스마트 디지털 프린터를 제어하는 프린팅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디지털 프린터를 제어하는 프린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5132B1
KR102115132B1 KR1020200024049A KR20200024049A KR102115132B1 KR 102115132 B1 KR102115132 B1 KR 102115132B1 KR 1020200024049 A KR1020200024049 A KR 1020200024049A KR 20200024049 A KR20200024049 A KR 20200024049A KR 102115132 B1 KR102115132 B1 KR 102115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temperature
injection
printing plate
printing
inten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4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연
장태곤
Original Assignee
이지연
장태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연, 장태곤 filed Critical 이지연
Priority to KR1020200024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51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5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5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8Printing on text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15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for treating before, during or after printing or for uniform coating or laminating the copy material before or after printing
    • B41J11/002Curing or drying the ink on the copy materials, e.g. by heating or irradi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26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20Physical treatments affecting dyeing, e.g. ultrasonic or electric
    • D06P5/2066Thermic treatments of textile materials
    • D06P5/2077Thermic treatments of textile materials after dye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30Ink jet printing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디지털 프린터를 제어하는 프린팅 시스템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 상에 전, 후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패턴을 전사할 기본소재가 안치되는 프린팅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부의 폭 방향을 따라 설치된 가이드부를 따라 좌, 우 반복 이동되며, 상기 프린팅플레이트에 안치된 기본소재에 패턴을 전사할 프린팅헤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린팅플레이트에는 상면을 향하는 내측으로 온도 조절이 가능한 열선이 포함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 디지털 프린터를 제어하는 프린팅 시스템{PRINTING SYSTEM FOR CONTROLLING SMART DIGITAL PRINTER}
본 발명은 디지털프린터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티셔츠와 같은 의류의 표면에 패턴이 최적의 상태에서 인쇄될 수 있는 스마트 디지털 프린터 장치를 제어하는 프린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섬유에 대한 프린팅 공정은 스크린 프린트 또는 롤러 프린트를 이용하였으나, 제도 및 제판 공정이 필요하여 그 과정이 매우 복잡하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은 유행에 신속하게 할 수 없어 다품종 소량 생산에는 적합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디지털 섬유 프린터가 개발, 이용되고 있다. 공개특허 제10-2007-0110973호(디지털 섬유 프린터), 공개특허 제10-2017-0133254호(3차원 물품에 인쇄하기 위한 시스템 및 특허공개 제10-2004-0096447호(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터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날염)호에 개시된 디지털 섬유 프린터는 섬유 원단에 디자인된 문양을 직접 출력하기 때문에 복잡한 디자인도 인쇄할 수 있으며, 또한, 디지털 섬유 프린터는 종래의 섬유 인쇄 장치에서 구현하기 어려운 다양한 색조들도 간단하게 출력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섬유 프린터는 컴퓨터를 통하여 디자인한 색상 및 패턴을 섬유에 곧바로 인쇄하게 되며,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조작만으로 디자인을 간단하게 변경하여 인쇄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 및 효율성 면에서 매우 우수하며, 디자인 및 색상을 거의 무제한으로 표현할 수 있다.
더욱이 디지털 섬유 프린터는 소량의 원단으로 견본 의류를 제조하여 시장의 반응에 따라 판매 가능성이 높은 제품만을 실시간으로 생산할 수 있어 재고 부담이 덜어지고, 이에 따라 원가의 절감에 큰 도움이 된다.
또한, 생산 설비면에서도 디지털 섬유 프린터는 넓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며, 정착 장치 및 세정 장치를 구비할 경우 자체 설비로 다양한 디자인된 프린팅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장점을 갖고 있는 디지털 섬유 프린터이지만, 분산염료의 접착성 약화, 원사 간의 화학적 구조의 차이로 인해 염료가 원단에 완벽하게 부착되지 못하고 쉽게 탈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프린팅플레이트에 열선이 내장 설치함으로써, 가열되는 프린팅플레이트를 통해 염료가 빠르게 섬유 원단에 착색되어 발색성을 높일 수 있는 스마트 디지털 프린터를 제어하는 프린팅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 상에 전, 후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패턴을 전사할 기본소재가 안치되는 프린팅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부의 폭 방향을 따라 설치된 가이드부를 따라 좌, 우 반복 이동되며, 상기 프린팅플레이트에 안치된 기본소재에 패턴을 전사할 프린팅헤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린팅플레이트에는 상면을 향하는 내측으로 온도 조절이 가능한 열선이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열선은 상기 프린팅플레이트에 지그재그로 배열되며, 섬유 원단에 따라 제1 제어 모듈에서 가열온도가 제어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지털 프린터를 제어하는 프린팅 시스템은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에서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기초이미지를 전사할 기초의류가 안치되는 프린팅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부의 폭 방향을 따라 설치된 가이드부를 따라 좌우 반복 이동되며, 상기 프린팅플레이트에 안치되는 상기 기초의류에 상기 기초이미지를 전사하는 프린팅헤드부; 를 포함하는 상기 스마트 디지털 프린터;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린팅플레이트에는, 상면을 향하는 내측으로 설치되어 열을 발산하는 열선부재; 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프린팅 시스템은, 제1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프린터관리 서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제1 의류의 섬유 원단에 따라 제1 발열온도를 설정하여 상기 열선부재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린팅 시스템은, 상기 프린팅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진동 센서; 및 제1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프린터관리 서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상기 진동 센서를 통하여 상기 프린팅플레이트에서 발생하는 진동 수치를 획득하고, 상기 진동 수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발열온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제1 발열온도를 상기 진동 수치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진동 정보와 소정의 임계치 사이의 비교 결과에 따라 제2 발열온도 또는 제3 발열온도로 재설정하여 상기 열선부재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디지털 프린터를 제어하는 프린팅 시스템에서는, 열선을 통해 프린팅플레이트가 적정 온도로 가열됨으로써, 염료가 빠르게 섬유 원단에 착색되어 발색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프린팅플레이트이 가열 온도가 적절하게 조절됨으로써, 면(Cotton) 또는 실크와 같이 취급이 까다로운 섬유도 손상없이 염료의 착색이 쉽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또한 다른 측면들과, 특징들 및 이득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처리되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지털 프린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지털 프린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팅플레이트에 열선이 표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팅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팅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관리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통해, 유사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혹은 유사한 엘리먼트들과, 특징들 및 구조들을 도시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에 유의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특정 시스템의 예를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명세서에서 청구하고자 하는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 및 서비스에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지털 프린터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지털 프린터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팅플레이트에 열선이 표시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지털 프린터(100)는 크게 베이스부(110)와, 베이스부(110) 상에 전진 및/또는 후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패턴 및/또는 소정의 이미지(예; 기초이미지, 기초이미지 정보 등)를 전사(transcribe)할 기본소재가 안치되거나 안착되는 프린팅플레이트(120)와, 프린팅플레이트(120)에 안치된 기본소재에 패턴 및/또는 소정의 이미지를 전사할 프린팅헤드부(130)로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린팅플레이트(120)에는 상면을 향하는 내측으로 온도 조절이 가능한 열선 부재(122)가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및 도 2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베이스부(110)는 프린팅헤드부(130)로부터 일정 높이의 하부에 구비되어 프린팅헤드부(130)와 프린팅플레이트(120)를 지지하도록 한다.
베이스부(110)는 전사 작업의 편의를 위하여 전사 작업하기 용이한 높이가 되도록 일정 높이로 구비되는 별도의 테이블에 올려놓거나 직접 하부로 일정 높이의 테이블이 일체로 연결되는 구성으로 구비되게 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베이스부(110)는 내부가 빈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바디본체(112)로 이루어지며, 바디본체(112)의 상면으로는 상방을 향하여 일정 면적으로 홈(112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홈(112a)에는 전사용 기본소재가 안치되는 프린팅플레이트(120)가 구비될 수 있다.
프린팅플레이트(120)는 안착플레이트(114)를 통해 전진 및/또는 후진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안착플레이트(114)는 금속 및/또는 합성수지재의 판상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프린팅플레이트(120)가 설치되며, 홈(112a)의 폭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안착플레이트(114)의 후단으로는 전후진이송수단(116)이 설치되며, 전후진이송수단(116)으로는 에어 또는 공압 실린더 또는 구동모터일 수 있으며, 기설정된 속도에 따라 전사되는 속도에 맞추어서 조금씩 전진 이동되고, 전사가 완료되면 후진하여 원위치로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프린팅플레이트(120)는 안착플레이트(114)의 상부면에서 일정 높이로 구비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사할 패턴 및/또는 소정의 이미지(예; 기초이미지, 기초이미지 정보 등)가 프린팅될 제1 의류(예; 기초의류, 기본소재, 기본의류 등)가 얹혀지거나 덮어 씌워질 수 있는 일정 두께와 면적을 가지는 금속재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서와 같이, 프린팅플레이트(120)에는 상면을 향하는 내측으로 온도 조절이 가능한 열선 부재(122)가 포함될 수 있다.
열선부재(122)는 전류를 통하여 열을 발생하기 위한 도선으로 프린팅플레이트(120)의 면적에 지그재그로(또는 교대로 또는 교차하여) 배열되며, 바람직하게 섬유 원단에 따라 제어 모듈에서 가열온도가 제어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섬유 원단은 면(cotton) 또는 실크와 같이 취급이 까다로운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섬유 원단은 천연 섬유와 인조 섬유를 포함할 수 있으며, 천연섬유는 면화(棉花), 케이폭면(kapok棉), 코이어(coier) 등의 종자섬유(種子纖維)와, 마닐라삼, 사이잘삼 등의 엽맥섬유(葉脈纖維)와, 아마, 모시풀, 황마, 삼 등의 인피섬유(靭皮纖維)와, 양모, 산양모, 낙타털, 캐시미어 등의 수모섬유(獸毛纖維)와, 가잠견(家蠶絹), 야잠견(野蠶絹) 등의 견섬유(絹纖維)와, 석면(石綿: 아스베스토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조섬유는 비스코스 레이온, 큐프라 레이온 등의 섬유소섬유와, 아세테이트, 트라이아세테이트 등의 반합성섬유와, 나일론섬유와, 폴리에스터계 섬유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제어 모듈(211)은 상기 섬유 원단의 특성에 따라 기설정된 온도로 열선부재(122)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제어 모듈(211)은 상기 섬유 원단의 특성에 기반하여 열선부재(122)의 기준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온도는, 전사 작업에 적합한 온도로써, 상기 제1 제어 모듈(211)이 유지시키고자 하는 상기 열선부재(122)의 온도(목표온도)일 수 있다.
한편, 베이스부(110)의 후측 상면으로는 폭 방향을 따라 가이드부(118)가 설치되며, 가이드부(118)는 프린팅헤드부(130)를 좌, 우 반복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써, 랙과 피니언으로 구성되거나, 실린더 일 수도 있다.
따라서 가이드부(118)는 프린팅헤드부(130)가 프린팅플레이트(120)에 놓인 섬유 원단에 프린팅을 위해 좌/우로 반복되는 동작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프린팅헤드부(130)는 가이드부(118)에 설치된 상태로 좌/우 일정간격 이동되면서 전/후로 이송되는 프린팅플레이트(120)의 전사물 표면을 인쇄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프린팅플레이트(120)는 인쇄를 위한 여러 색상의 잉크가 공급된 상태에서 그 하단에 형성된 각 압출 노즐을 통해 전사물에 대하여 분사식 인쇄가 이루어지는 통상의 프린팅헤드가 설치된다. 따라서 표면이 평평한 옷과 같은 전사물에 대한 표면 인쇄가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디지털 프린터를 제어하는 프린팅 시스템의 작용은, 다시 도 1 내지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프린팅플레이트(120)에 전사될 기본소재 즉, 제1 의류를 전면측으로부터 삽입하여 위치시키게 된다.
이때, 제1 제어 모듈(211)은 섬유 원단에 따라 프린팅헤드부(130)에 설치된 조작버튼을 온(on)작동 시키게 되며, 온 작동에 따라 열선 부재(122)가 적정 온도로 발열하게 된다.
이어서 프린팅플레이트(120)를 포함하는 안착플레이트(114)가 홈(112a)의 개방 전면을 따라 전진 작동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가이드부(118)를 따라 프린팅헤드부(130)가 반복되는 좌, 우 이동으로 프린팅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여러 색상의 잉크가 제1 의류(예; 기초의류, 기본소재, 기본의류 등)에 프린팅 되는 과정에서 열선부재(122)으로 가열된 프린팅플레이트(120)는 열이 제1 의류에 전달되어 잉크 염료가 빠르게 섬유 원단에 착색되어 발색성을 높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능들로 인해, 프린팅플레이트가 가열 온도가 적절하게 조절됨으로써, 면(Cotton) 또는 실크와 같이 취급이 까다로운 섬유도 손상없이 염료의 착색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팅 시스템(200)은 스마트 디지털 프린터(100), 프린터관리 서버(210), 및 사용자 단말(2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디지털 프린터(100)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특징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린터관리 서버(210)는 제1 제어 모듈(211), 제1 통신 모듈(212), 제1 입력 모듈(213), 및/또는 제1 출력 모듈(21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220)은 제2 제어 모듈(221), 제2 통신 모듈(222), 제2 입력 모듈(223, 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모듈(211, 1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단계/과정을 구현할 수 있도록 프린터관리 서버(210) 및/또는 사용자 단말(220)을 직/간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211, 121)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중앙 처리 유닛(CPU)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처리 디바이스(GPU)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212, 122)은 프린터관리 서버(210) 및/또는 사용자 단말(220) 등과 각종 데이터, 신호,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212, 122)은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212, 122)은 제1 네트워크(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 모듈(213, 123)은 프린터관리 서버(210) 및/또는 사용자 단말(220)의 구성요소(예: 제어 모듈(211, 121) 등)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프린터관리 서버(210) 및/또는 사용자 단말(220)의 외부(예: 사용자(예; 제1 사용자, 제2 사용자 등), 프린터관리 서버(210)의 관리자 등)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입력 모듈(213, 123)은 프린터관리 서버(210) 및/또는 사용자 단말(220)에 설치된 터치인식가능 디스플레이, 터치패드, 버튼형 인식 모듈, 음성인식센서,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인식가능 디스플레이, 터치패드, 버튼형 인식 모듈은 감압식 및/또는 정전식 방식을 통하여 사용자의 신체(예; 손가락)를 통한 터치를 인식할 수 있다.
출력 모듈(214, 124)은 프린터관리 서버(210) 및/또는 사용자 단말(220)의 제어 모듈(211, 121)에 의해 생성되거나 통신 모듈(212, 122)을 통하여 획득된 신호(예; 음성 신호), 정보, 데이터, 이미지, 및/또는 각종 객체(object) 등을 표시하는 모듈이다. 예를 들면, 출력 모듈(214, 124)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표시부(displaying unit), 스피커 및/또는 발광장치(예; LED 램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린터관리 서버(210) 및/또는 사용자 단말(220)은 저장 모듈(storage module)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프린터관리 서버(210) 및/또는 사용자 단말(220)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 모듈은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 모듈은 프린터관리 서버(210) 및/또는 사용자 단말(220)을 사용하는 제1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정보는 이름, 아이디(ID; identifier), 패스워드, 주민등록번호, 도로명 주소, 전화 번호, 휴대폰 번호, 및/또는 이메일 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 모듈(211, 121)은 저장 모듈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린터관리 서버(210)는 스마트 디지털 프린터(100)의 관리자/사용자에게 상기 스마트 디지털 프린터(100)의 제어를 위한 웹 사이트(web site) 및/또는 어플리케이션(app)을 운용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프린터관리 서버(210)는 웹(web) 서버, 웹투앱(web to app) 연동 서버, 사용자 인증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프린터관리 서버(210)의 기능 중 일부를 구현하는 서브 서버(예; 제1 서브 서버(sub server), 제2 서브 서버 등) 및/또는 각종 플랫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팅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분사세기, 제2 분사세기, 및/또는 제3 분사세기는, 프린팅플레이트(120)에 안치된 기본소재에 패턴 및/또는 소정의 이미지를 전사하는 프린팅헤드부(130)가 상기 전사를 위해 프린팅액을 전사하는 세기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1 분사시간, 제2 분사시간, 및/또는 제3 분사시간은, 상기 프린팅헤드부(130)가 상기 전사를 위해 프린팅액을 전사하는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1 발열온도, 제2 발열온도, 및/또는 제3 발열온도, 도 3의 열선부재가 발열하는 온도 및/또는 상기 열선부재가 발열을 통하여 온도를 상승시킨 후 일정 시간동안 유지시키려 하는 목표온도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열선부재는 상기 제1 의류의 섬유 원단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제1 발열온도로 발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발열 온도는 프린터관리 서버(210)의 제1 제어 모듈(211)에 의해 설정되거나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프린터관리 서버(210)의 제1 제어 모듈(211)은 상기 제1 의류의 섬유 원단이 천연 섬유인지 인조 섬유인지에 따라 제1 발열온도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린터관리 서버(210)의 제1 제어 모듈(211)는, 상기 제1 의류의 섬유 원단이 천연 섬유인 경우 상기 제1 발열온도를 낮게 설정(예; 제1 저온(低溫))하고, 상기 제1 의류의 섬유 원단이 인조 섬유인 경우 상기 제1 발열온도를 높게 설정(예; 제1 고온(高溫))할 수 있다.
또한 제1 의류(예; 기초의류, 기본소재, 기본의류 등)는 패턴 및/또는 소정의 이미지(예; 기초이미지, 기초이미지 정보 등)가 전사되기 전의 기본소재(예; 흰수건, 흰손수건 등), 기본의류(예; 흰티셔츠, 흰티 등)을 나타내고, 제2 의류는 본 발명의 스마트 디지털 프린터(100)에 의해 전사된 패턴 및/또는 소정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소재 및/또는 의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의류는, 상기 패턴 및/또는 소정의 이미지가 전사되어 부착된 의류(제1 의류)이거나 본 발명의 가공 프로세스를 거친 의류(제1 의류)를 일컬을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팅 시스템의 동작방법은 스마트 디지털 프린터(100)가 제1 분사세기, 제1 분사시간, 및/또는 제1 발열온도에 기반하여 제1 전사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310).
이를 위해 프린터관리 서버(210)는 상기 제1 전사 프로세스에 관한 제1 제어 명령어를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 디지털 프린터(10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사 프로세스 및/또는 제1 제어 명령어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스마트 디지털 프린터(100)의 특징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관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팅 시스템의 동작방법은 스마트 디지털 프린터(100)에 구비되는 진동센서를 통하여 상기 스마트 디지털 프린터(100)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여 진동 수치를 획득하거나, 및/또는 상기 진동 수치에 기반하여 진동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320). 예를 들면, 상기 진동센서는 프린팅플레이트(120)의 상측면, 하측면, 우측면, 좌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프린팅플레이트(120)에서 발생하는 진동 수치를 획득하거나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진동센서는 스마트 디지털 프린터(100)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진동센서는 스마트 디지털 프린터(100)가 제1 의류(예; 기초의류, 기본소재, 기본의류 등)에 소정의 패턴 및/또는 소정의 이미지(예; 기초이미지, 기초이미지 정보 등)가 전사되는 동안에 측정되는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감지된 진동에 대한 수치(예; 진동 수치)는 상기 프린터관리 서버(210)에 전달될 수 있으며, 상기 프린터관리 서버(210)는 상기 전달받은 진동에 대한 수치에 기반하여 진동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수치의 단위는 예를 들면, [m/s], [cm/s], [mm/s], [m/min], [cm/min], [mm/min], [m/hour], [cm/hour], [mm/hour] 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정보는 상/중/하, 위험/보통/여유, 1등급/2등급/3등급/4등급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팅 시스템의 동작방법은 프린터관리 서버(210)가 S320에서 획득한 진동 수치를 진동수치 임계값과 비교하거나 진동 정보를 진동정보 임계값과 비교하여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330).
진동수치 임계값의 단위는 [m/s], [cm/s], [mm/s], [m/min], [cm/min], [mm/min], [m/hour], [cm/hour], [mm/hour] 등 일 수 있다.
진동정보 임계값은 상/중/하, 위험/보통/여유, 1등급/2등급/3등급/4등급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조건은 상기 획득한 진동 수치가 상기 진동수치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 및/또는 상기 생성된 진동 정보가 상기 진동정보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포함하거나 기반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팅 시스템의 동작방법은 스마트 디지털 프린터(100)가 제2 분사세기, 제2 분사시간, 및/또는 제2 발열온도에 기반하여 제2 전사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340).
이를 위해 프린터관리 서버(210)는 상기 제2 전사 프로세스에 관한 제2 제어 명령어를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 디지털 프린터(10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진동 정도가 나타내는 진동 수치가 진동수치 임계값을 초과하거나 진동 정보가 진동정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프린터관리 서버(210)는 상기 제2 전사 프로세스에 관한 제2 제어 명령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진동 정보가 진동정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라 함은, 일 예로, 상기 진동정보 임계값이 '하'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진동 정보가 '상', '중'을 나타내는 경우이거나, 다른 예로, 상기 진동정보 임계값이 '보통'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진동 정보가 '위험'을 나타내는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분사세기는 상기 제1 분사세기보다 더 약한 세기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분사시간은 상기 제1 분사시간보다 더 짧은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발열온도는 상기 제1 발열온도와는 상이한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 세기가 지나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속도를 상대적으로 낮추더라도 의류에 전사되는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분사세기, 분사시간, 및/또는 발열온도를 재설정한다는 기술적인 효과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여기서 제2 전사 프로세스 및/또는 제2 제어 명령어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스마트 디지털 프린터(100)의 특징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관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팅 시스템의 동작방법은 스마트 디지털 프린터(100)가 제3 분사세기, 제3 분사시간, 및/또는 제3 발열온도에 기반하여 제3 전사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350).
이를 위해 프린터관리 서버(210)는 상기 제3 전사 프로세스에 관한 제3 제어 명령어를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 디지털 프린터(10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진동 정도가 나타내는 진동 수치가 진동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만, 프린터관리 서버(210)는 상기 제3 전사 프로세스에 관한 제3 제어 명령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진동 정보가 진동정보 임계값 이하인 경우라 함은, 일 예로, 상기 진동정보 임계값이 '하'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진동 정보가 '하'를 나타내는 경우이거나, 다른 예로, 상기 진동정보 임계값이 '보통'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진동 정보가 '보통', '여유'를 나타내는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3 분사세기는 상기 제1 분사세기보다 더 강한 세기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3 분사시간은 상기 제1 분사시간보다 더 짧은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3 발열온도는 상기 제1 발열온도와는 상이한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 세기가 지나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더 빠른 속도로 공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제어함으로써, 더 많은 생산량을 만족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 기술적인 효과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여기서 제3 전사 프로세스 및/또는 제3 제어 명령어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스마트 디지털 프린터(100)의 특징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관련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관리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프린터관리 서버(210)는 분사세기 관리부(410), 분사시간 관리부(420), 진동정보 관리부(430), 머신러닝 모듈(440), 웨어러블장치관리 모듈(450), 및/또는 이미지비교 모듈(460)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사세기 관리부(410)는 제1 분사세기, 제2 분사세기, 및/또는 제3 분사세기를 설정하거나 재설정할 수 있다.
분사시간 관리부(420)는 제1 분사시간, 제2 분사시간, 및/또는 제3 분사시간을 설정하거나 재설정할 수 있다.
진동정보 관리부(430)는 진동 수치에 기반하여 진동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머신러닝 모듈(440)는 인공지능망에 기반하여 제1 분사세기, 제2 분사세기, 제3 분사세기, 제1 분사시간, 제2 분사시간, 제3 분사시간, 제1 발열온도, 제2 발열온도, 제3 발열온도, 진동수치 임계값, 진동정보 임계값 등을 선택하거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머신러닝 모듈(460)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빅데이터(big data)에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을 이용하여 진동수치 임계값 및/또는 진동정보 임계값 등을 선택하거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머신러닝 모듈(460)은 관리서버(22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빅데이터를 입력변수로 하여 제1 인공지능망을 학습시키는데, 구체적으로는 머신러닝의 한 분야인 딥러닝(Deep Learning) 기법을 이용하여 정확한 상관 관계가 도출될 수 있도록 학습을 수행한다. 특히, 상술한 상관 관계의 경우, 입력(input)은 복수의 제2 의류에 대한 평가정보(이에 대해서는 이미지비교 모듈(460)과 관련하여 후술한다)이고, 출력(output)은 제1 분사세기, 제2 분사세기, 제3 분사세기, 제1 분사시간, 제2 분사시간, 제3 분사시간, 제1 발열온도, 제2 발열온도, 제3 발열온도, 진동수치 임계값, 진동정보 임계값 등에 대한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결국 머신러닝 모듈(460)은 딥러닝을 통하여 상기 함수에서의 복수 개의 입력들의 가중치(weight)를 학습을 통하여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input)은 제2의류결과 이미지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이미지비교 모듈(460)과 관련하여 후술한다. 또한, 이러한 학습을 위하여 활용되는 인공지능망 모델로는 RNN(Recurrent Neural Network), DNN(Deep Neural Network) 및 DRNN(Dynamic Recurrent Neural Network) 등 다양한 모델들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상기 기계학습부는 사용자가 통상적으로 프로그램의 사용을 중단하는 온도를 온도 임계치로서 결정하거나 설정할 수 있다.
웨어러블장치관리 모듈(450)은 제1 사용자(예; 관리자)의 사용자의 손목에 장착될 수 있는 제1 웨어러블 장치 및 제2 사용자(예; 고객)의 손목에 장착될 수 있는 제2 웨어러블 장치와 정보 및/또는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예; 제3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비교 모듈(460)은 프린팅이미지관리 서버(printing image management server, 미도시)로부터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거나, 및/또는 사용자의 손목에 장착될 수 있는 웨어러블 장치와 정보 및/또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관리 서버(210)는 아래와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도 있다.
웨어러블장치관리 모듈(450)은 제1 사용자(예; 관리자)의 사용자의 손목에 장착될 수 있는 제1 웨어러블 장치 및 제2 사용자(예; 고객)의 손목에 장착될 수 있는 제2 웨어러블 장치와 정보 및/또는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예; 제3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관리 서버(210)는 스마트 디지털 프린터(100)를 통하여 생산되는 복수의 제2 의류에 관한 피드백에 기반하여 각종 값들을 재설정/조율하는 특징을 아래와 같이 포함할 수도 있다.
이미지비교 모듈(460)은 상기 제3 통신 모듈을 통하여 제1 의류(기초의류, 기본소재, 기본의류 등)에 전사할 소정의 이미지(예; 기초이미지, 기초이미지 정보 등)에 대한 복수의 이미지 정보를 프린팅이미지관리 서버(printing image management server)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팅 시스템(200)은 프린팅플레이트(120)의 상판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미도시, 카메라 장치 포함) 제2 의류에 대한 제2의류결과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의류결과 이미지는 상기 이미지비교 모듈(460)에게 전달될 수 있다.
이미지비교 모듈(460)은 프린팅이미지관리 서버로부터 획득한 기초이미지 정보와 카메라 모듈을 통하여 획득한 제2의류결과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분사세기 관리부(410), 분사시간 관리부(420), 머신러닝 모듈(440), 및/또는 이미지비교 모듈(46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상기 분사세기 관리부(410), 분사시간 관리부(420), 머신러닝 모듈(440), 및/또는 이미지비교 모듈(460)은 상기 전달받은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제1 분사세기, 제2 분사세기, 제3 분사세기, 제1 분사시간, 제2 분사시간, 제3 분사시간, 제1 발열온도, 제2 발열온도, 제3 발열온도, 진동수치 임계값, 진동정보 임계값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이미지비교 모듈(460)은 프린팅이미지관리 서버로부터 획득한 기초이미지 정보와 카메라 모듈을 통하여 획득한 제2의류결과 이미지를 비교하여 유사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유사도는, 예를 들면, 30% 유사, 50% 유사, 80% 유사, 유사도 0.6, 유사도 0.9 등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기 분사세기 관리부(410), 분사시간 관리부(420), 머신러닝 모듈(440), 및/또는 이미지비교 모듈(460)은 상기 생성된 유사도 정보에 기반하여 제1 분사세기, 제2 분사세기, 제3 분사세기, 제1 분사시간, 제2 분사시간, 제3 분사시간, 제1 발열온도, 제2 발열온도, 제3 발열온도, 진동수치 임계값, 진동정보 임계값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초이미지 정보와 다르게 전사되는 경우를 방지하고 억제하는 조율 프로세스를 사용자, 관리자, 고객 등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지털 프린터(100)는 아래와 같은 특징을 포함하는 냉각 프로세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디지털 프린터(100)는 제1 의류 및/또는 제2 의류의 윗면(상부), 및/또는 프린팅플레이트(120)의 윗면(상부)에서 냉매를 분사하는 제1냉매분사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의류 및/또는 제2 의류의 아랫면(하부), 및/또는 상기 프린팅플레이트(120)의 아랫면(하부)에서 냉매를 분사하는 제2냉매분사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냉매분사 장치 및/또는 제2냉매분사 장치는 제1 의류가 프린팅플레이트(120)에 안치되기 전 단계, 제1 의류가 프린팅플레이트(120)에 안치된 후에 프린팅헤드부(130)로부터 프린팅액(또는 잉크)가 분사(또는 전사)되기 전 단계, 및/또는 제2 의류가 완성된 후(또는 프린팅헤드부(130)로부터 프린팅액(또는 잉크)가 분사(또는 전사)되는 과정이 완료된 후)에 냉매를 상기 제1 의류, 상기 제2 의류, 프린팅플레이트(120)의 상부 및/또는 프린팅플레이트(120)의 하부를 향하여 분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냉매분사 장치 및/또는 제2냉매분사 장치는 상기 제1 의류의 섬유 원단의 종류에 따라 제1냉매분사 세기, 제1냉매분사 시간, 제1냉매 온도, 제2냉매분사 세기, 제2냉매분사 시간, 및/또는 제2냉매 온도를 상이하게 하여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냉매분사 세기, 제1냉매분사 시간, 제1냉매 온도, 제2냉매분사 세기, 제2냉매분사 시간, 및/또는 제2냉매 온도는 프린터관리 서버(210)의 제1 제어 모듈(211)에 의해 설정되거나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프린터관리 서버(210)의 제1 제어 모듈(211)은 상기 제1 의류의 섬유 원단이 천연 섬유인지 인조 섬유인지에 따라 제1냉매분사 세기, 제1냉매분사 시간, 제1냉매 온도, 제2냉매분사 세기, 제2냉매분사 시간, 및/또는 제2냉매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예를 들면, 천연 섬유 <=> 제1냉매분사 세기, 제1냉매분사 시간, 제1냉매 온도이고, 인조 섬유 <=> 제2냉매분사 세기, 제2냉매분사 시간, 제2냉매 온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디지털 프린터(100)를 통하여 생성되는 제2 의류는 열선부재의 열로 인하여 사용자(예; 고객)이 바로 상기 제2 의류를 만지거나 입는 것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팅 시스템(200)은 전술한 냉각 프로세스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가 생산된 제2 의류를 바로 만지거나 바로 입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특정 관점에서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에서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computer readable code)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리드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이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의 예들은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와, 랜덤-접속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와, 컴팩트 디스크- 리드 온니 메모리(compact disk-read only memory: CD-ROM)들과, 마그네틱 테이프(magnetic tape)들과,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들과, 광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들, 및 캐리어 웨이브(carrier wave)들(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송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또한 네트워크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을 통해 분산될 수 있고, 따라서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는 분산 방식으로 저장 및 실행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성취하기 위한 기능적 프로그램들,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서 숙련된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쉽게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k: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제어부(제1 제어 모듈(211), 제2 제어 모듈(221))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이러한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디지털프린터 110 : 베이스부
112 : 바디본체 112a : 홈
114 : 안착플레이트 116 : 전후진이송수단
118 : 가이드부 120 : 프린팅플레이트
122 : 열선부재 130 : 프린팅헤드부

Claims (5)

  1. 스마트 디지털 프린터를 제어하는 프린팅 시스템에 있어서,
    i) 베이스부, ii) 상기 베이스부 상에서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기초 이미지를 전사할 기초의류가 안치되는 프린팅플레이트, 및 iii) 상기 베이스부의 폭 방향을 따라 설치된 가이드부를 따라 좌우 반복 이동되며, 상기 프린팅플레이트에 안치되는 상기 기초의류에 상기 기초 이미지를 전사하는 프린팅헤드부를 포함하는 상기 스마트 디지털 프린터; 및
    상기 스마트 디지털 프린터를 제어하는 관리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프린팅플레이트에는,
    i) 상면을 향하는 내측으로 설치되어 열을 발산하는 열선 부재, 및 ii) 진동 센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제1 발열온도를 설정하여 상기 열선 부재를 제어하고,
    상기 기초의류에 상기 기초 이미지를 전사하기 위한 제1 분사세기 및 제1 분사시간을 설정하여 상기 프린팅헤드부를 제어하고,
    상기 열선 부재가 상기 제1 발열온도에 기반하여 발열되고 상기 프린팅헤드부를 통하여 상기 기초의류에 상기 기초 이미지가 전사되는 동안, 상기 진동 센서를 통하여 상기 프린팅플레이트에서 발생하는 진동 수치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되는 진동 수치에 기반하여 위험 등급, 보통 등급, 또는 여유 등급으로 표현되는 진동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진동 정보가 상기 위험 등급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1 발열온도와 상이한 제2 발열온도를 설정하여 상기 열선 부재를 제어하고,
    상기 진동 정보가 상기 위험 등급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1 분사세기보다 약한 세기인 제2 분사세기를 설정하여 상기 프린팅플레이트를 제어하고,
    상기 진동 정보가 상기 위험 등급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1 분사시간보다 짧은 시간인 제2 분사시간를 설정하여 상기 프린팅플레이트를 제어하고,
    상기 진동 정보가 상기 여유 등급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1 발열온도 및 상기 제2 발열온도와 상이한 제3 발열온도를 설정하여 상기 열선 부재를 제어하고,
    상기 진동 정보가 상기 여유 등급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1 분사세기보다 강한 세기인 제3 분사세기를 설정하여 상기 프린팅플레이트를 제어하고,
    상기 진동 정보가 상기 여유 등급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1 분사시간보다 긴 시간인 제3 분사시간를 설정하여 상기 프린팅플레이트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 부재는,
    상기 프린팅플레이트에 지그재그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팅플레이트의 상부에 냉매를 분사하는 제1 냉매 분사 장치; 및
    상기 프린팅플레이트의 하부에 냉매를 분사하는 제2 냉매 분사 장치;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기초의류의 섬유 원단이 천연 섬유인 경우 상기 제1 발열온도를 설정하여 상기 열선 부재를 제어하고, 상기 기초의류의 섬유 원단이 인조 섬유인 경우 상기 제1 발열온도와는 상이한 제4 발열온도를 설정하여 상기 열선 부재를 제어하고,
    상기 기초의류의 섬유 원단이 상기 천연 섬유인지 또는 상기 인조 섬유인지에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냉매 분사 장치의 제1 냉매 분사 세기, 제1 냉매 분사 시간, 및 제1 냉매 온도를 설정하고, 상기 제2 냉매 분사 장치의 제2 냉매 분사 세기, 제2 냉매 분사 시간, 및 제2 냉매 온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서버에 저장된 상기 기초 이미지에 대한 제1 정보와 상기 기초 이미지가 전사된 의류에서 추출되는 제2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 사이의 유사도를 분석하여 유사도 정보를 생성하는 이미지 비교 모듈; 및
    RNN(Recurrent Neural Network) 또는 DNN(Deep Neural Network)와 관련되는 인공지능망을 운용하는 머신러닝 모듈;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머신러닝 모듈은,
    상기 제3 발열온도와 상기 기초 이미지가 전사된 의류에 대한 평가 정보 및 상기 유사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학습데이터와 상기 제1 분사세기, 상기 제2 분사세기, 상기 제3 분사세기, 상기 제1 분사시간, 상기 제2 분사시간, 상기 제3 분사시간, 상기 제1 발열온도, 상기 제2 발열온도, 및 상기 제3 발열온도를 포함하는 제2 학습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인공지능망을 학습시키고,
    상기 학습된 인공지능망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분사세기, 상기 제2 분사세기, 상기 제3 분사세기, 상기 제1 분사시간, 상기 제2 분사시간, 상기 제3 분사시간, 상기 제1 발열온도, 상기 제2 발열온도, 및 상기 제3 발열온도를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시스템.
  5. 삭제
KR1020200024049A 2020-02-27 2020-02-27 스마트 디지털 프린터를 제어하는 프린팅 시스템 KR102115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049A KR102115132B1 (ko) 2020-02-27 2020-02-27 스마트 디지털 프린터를 제어하는 프린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049A KR102115132B1 (ko) 2020-02-27 2020-02-27 스마트 디지털 프린터를 제어하는 프린팅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5132B1 true KR102115132B1 (ko) 2020-05-26

Family

ID=70915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4049A KR102115132B1 (ko) 2020-02-27 2020-02-27 스마트 디지털 프린터를 제어하는 프린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51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1452A1 (en) * 2022-04-28 2023-11-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ing on a garm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3251A (ja) * 2004-10-27 2006-05-18 Canon Inc 振動抑制機能を備えた印刷装置
KR100873785B1 (ko) * 2007-08-23 2008-12-15 이동엽 디지털 날염을 위한 로터리 방식 잉크젯 프린터
KR102030148B1 (ko) * 2019-02-21 2019-10-08 박재성 원단 프린팅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3251A (ja) * 2004-10-27 2006-05-18 Canon Inc 振動抑制機能を備えた印刷装置
KR100873785B1 (ko) * 2007-08-23 2008-12-15 이동엽 디지털 날염을 위한 로터리 방식 잉크젯 프린터
KR102030148B1 (ko) * 2019-02-21 2019-10-08 박재성 원단 프린팅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1452A1 (en) * 2022-04-28 2023-11-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ing on a gar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8995B2 (en) Apparel collection management with image preview
US11832670B2 (en) Apparel customized by using base templates and laser finishing
US20170263011A1 (en) Material recognition for object identification
US11028529B2 (en) Method for actively decreasing the temperature of a heatable soleplate in a textile treatment device
CN109641317A (zh) 服装的激光整理
KR102115132B1 (ko) 스마트 디지털 프린터를 제어하는 프린팅 시스템
CN109477824A (zh) 通过结构信息来确定织物的处理参数的方法
CN112272596B (zh) 激光整理服装的按需制造
JP2017064314A (ja) ゲーム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5706102A (zh) 信息处理设备
CN106886808A (zh) 一种瓶盖可变信息在线赋码装置与识别方法
CN106886809A (zh) 一种商品包装与标识可变信息在线赋码方法与识读方法
KR20190094156A (ko) 정보 캐리어에 의한 처리 파라미터 결정 방법
CN209037206U (zh) 美甲打印装置
CN106815825A (zh) 一种试衣信息显示方法及显示设备
CN106886810A (zh) 一种商品促销物联网系统的构成方法与识读方法
CN109493131A (zh) 无人值守试衣系统及电子设备
CN108292481A (zh) 电子显示装置及其信息显示方法
US11500256B1 (en) System and method for an on-demand rewritable, color display on soft material
CN106874981A (zh) 一种可装饰性的新型二维码的构成方法与印刷方法
CN105874421A (zh) 利用预处理流体打印具有变化的光泽级的图像
US20240051288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rect to garment printing
CN106037193A (zh) 智能时尚包及利用其的智能告知系统
KR20240062299A (ko) 복수의 가상피팅 모델을 이용한 의상 이미지 처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