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4731B1 - 용접 공사 용접 불티 차단막 - Google Patents

용접 공사 용접 불티 차단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4731B1
KR102114731B1 KR1020180163236A KR20180163236A KR102114731B1 KR 102114731 B1 KR102114731 B1 KR 102114731B1 KR 1020180163236 A KR1020180163236 A KR 1020180163236A KR 20180163236 A KR20180163236 A KR 20180163236A KR 102114731 B1 KR102114731 B1 KR 102114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extension
barrier film
present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3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원준
조재윤
조영래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63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47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06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 B23K9/321Protec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PSAFETY DEVICES IN GENERAL; SAFETY DEVICES FOR PRESSES
    • F16P1/00Safety devices independent of the control and operation of any machine
    • F16P1/06Safety devices independent of the control and operation of any machine specially designed for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용접 불티 차단막(100)이 제공된다. 상기 용접 불티 차단막(100)은 전방 및 상부가 개방된 중공 형상의 몸체부(10); 상기 몸체부(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수용되거나 또는 상기 몸체부(1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방사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20); 및 상기 몸체부(10)를 사용자 신체의 적어도 일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결합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용접 공사 용접 불티 차단막{SHIELDING FENCE OF WELDING SPARKS IN WELDING OPERATION}
본 발명은 용접 공사에서 발생하는 용접 불티를 차단하기 위한 용접 불티 차단막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신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현함으로써 차단막의 이동성을 보다 개선할 뿐만 아니라 연장부가 연장되는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함으로써 용접 작업 환경에 따라 적응적으로 그 구조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용접 불티 차단막에 관한 발명이다.
용접(welding)은 금속의 접합부를 열로 녹여서 접합하는 작업으로서, 볼트나 리벳에 비해 접합이 간편하고 가공 시간이 적게 들어 산업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작업 방식에 해당한다. 특히, 발전 설비 현장에서는 용접 모래와 용접봉 사이에 전류를 흘려 보냄으로써 발생하는 아크열로 용접봉을 녹여 모재를 체결하는 아크 용접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용접 과정에서 발생하는 용접 불티(또는 불꽃)는 사방으로 비산되어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고, 주위에 가연성 또는 인화성 물질이 있을 경우에 화재 발생 등 안전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실제로,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화재 사고 중 상당한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이 용접 불티에 의한 화재 사고이며, 통계적으로 그 수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실제로, 2007-2007년 경기도 부주의 발화 요인 별 피해 현황 통계를 참조하면, 총 화재 건수 중에서 불씨, 불꽃, 용접 등에 의한 화재 사고가 약 20%를 차지한다).
용접 작업 시에 발생하는 용접 불티에 의한 화재를 방지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장치들이 산업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다. 도 1a는 거치형 불티 차단막으로서 불티를 커버하는 영역이 넓다는 장점이 있으나, 고정되어 있는 방식으로 활용되고 지정된 장소에서만 활용되는 제약과 함께 무게가 무겁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도 1b에 도시되는 용접 우산은 아래 방향으로 떨어지는 불티만 막을 수 있고 특정 물체에 받쳐서 사용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크기가 커서 작업 현상의 많은 공간을 차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되는 일반적인 용접 불티 차단막의 경우 바닥이 있거나 허리 아래 부분에 위치한 자리에 용접을 하거나 선반 위 등과 같이 고정된 장소에만 활용할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어, 작업자가 다음 작업으로 이동할 때에 차단막을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고 다시 설치하는 데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그로 인해 작업의 효율성이 매우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용접 작업 현장에서 용접 불티 차단막의 이동성을 보다 개선하고 작업 환경에 따라 가변적으로 그 구성을 달리하게 구현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보다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타입의 용접 불티 차단막에 대한 수요가 당업계에서 점차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작업자의 신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현함으로써 작업 환경에서의 용접 불티 차단막의 이동성을 보다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용접 불티 차단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장부를 몸체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구현하되, 그 연장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다양한 용접 작업 환경에 적응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용접 불티 차단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용접 작업 시에 용접 불티가 주로 충돌하는 연장부를 버미글라스 소재로 구현함으로써 내열성을 보다 강화하고 인장 강도를 개선할 수 있는 용접 불티 차단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불티 차단막은, 전방 및 상부가 개방된 중공 형상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수용되거나 또는 상기 몸체부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방사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몸체부를 사용자 신체의 적어도 일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는 상기 연장부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는 몸체부에 대한 사용자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파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장부는 버미글라스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장부는 상기 몸체부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의 연장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부는 내측 벽에 형성된 돌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돌기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돌기부 사이의 홈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불티 차단막에 의하면, 작업자의 신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현함으로써 작업 환경에서의 용접 불티 차단막의 이동성을 보다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불티 차단막에 의하면, 연장부를 몸체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구현하되, 그 연장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다양한 용접 작업 환경에 적응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불티 차단막에 의하면, 용접 작업 시에 용접 불티가 주로 충돌하는 연장부를 버미글라스 소재로 구현함으로써 내열성을 보다 강화하고 인장 강도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a 및 도 1b는 일반적인 용접 불티 차단막의 실사진을 도시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불티 차단막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되는 용접 불티 차단막이 사용자의 팔목에 부착된 상태에 관한 예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장부의 방사형 연장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3b는 그러한 연장부가 몸체부에 대해 연장되는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장부가 몸체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수용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불티 차단막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용접 불티는 용접 작업 시에 수 천개가 발생하여 사방으로 비산되고, 축열에 의해서 상당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불꽃이 발생되어 화재를 일으키는 경향이 있다. 또한, 절단 작업 시에 비산되는 불티는 3000℃ 이상의 고온이며, 산소의 압력, 절단 속도, 절단기의 종류 및 방향, 풍속 등에 따라 불티의 양과 크기가 달라지며, 발화원이 될 수 있는 불티의 크기는 직경이 0.2mm 내지 3mm이다. 또한, 용접의 종류에 따라 불티의 온도가 상이한데, 예를 들어 철 아크의 경우 6000℃의 최고 온도를 갖고, 탄소 아크의 경우 5300℃의 최고 온도를 가지며, 원자 수소의 경우 4000℃의 최고 온도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용접 작업 환경에서 발생하는 용접 불티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면서 이동성을 또한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타입의 용접 불티 차단막에 대해서 이하에서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불티 차단막(100)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되는 용접 불티 차단막(100)이 사용자의 팔목에 부착된 상태에 관한 예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불티 차단막(100)은 몸체부(10)와, 연장부(20)와, 그리고 결합부(30)로 구성될 수 있다.
몸체부(10)는 전방 및 상부가 개방된 중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에서는 직육면체 형상의 몸체부(10)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몸체부(10)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삼각형, 등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몸체부(10)는 강도가 강하고 무게가 가벼운 섬유강화플라스틱(FRP)에 멜라민(melamine)을 첨가한 불연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참고로, 멜라민은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polyphosphate)계 난연제와 멜라민 시아누레이트(cyaurate)계 난연제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몸체부(10)의 폭과 너비는 약 400mm로 구현될 수 있다.
연장부(20)는 몸체부(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수용되거나 또는 몸체부(1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방사형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연장부(20)가 몸체부(1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방사형으로 연장 형성된 구성을 도시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연장부(20)는 몸체부(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예를 들어 수용부(11, 도 4 참조)에 수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연장부(20)의 연장 및 각도 조절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술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특히, 용접 작업 현장에서 불티가 주로 충돌하게 되어 실질상 차단막의 기능을 하는 연장부(20)는 내열성이 우수한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장부(20)는 버미글라스(vermiglass)로 제조될 수 있다. 참고로, 버미글라스는 비석면 파이버글라스 원단에 질석(vermiculite) 코팅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고, 따라서 용접 불티 차단막(100)의 열성, 불연성, 절연 성능을 보다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버미글라스는 순간 온도 약 1500℃, 지속 온도 약 1000℃를 지탱할 수 있으며, 내열성 및 융착성이 매우 우수하여 용접, 절단 시에 불티로 인한 화재 위험성을 방지할 수 있고 비석면 제품으로서 안정적이며 인장 강도가 우수하여 터지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결합부(30)는 몸체부(10)를 사용자 신체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사용자의 팔목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서는 사용자 팔목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현되는 결합부(30)로서 몸체부(10)의 양 측에 상호 연결되는 결합봉(31)과 상기 결합봉(31)의 적어도 일부 영역(예를 들어, 중간 영역)에 결합되어 사용자 팔목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벨크로(32)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사용자 팔목에 탈부착 가능한 다른 임의의 구성(예를 들어, 지퍼-타입, 단추-타입, 벨트-타입 등)이 또한 본 발명에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불티 차단막(100)에 의하면, 작업자의 신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팔목, 등)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현함으로써 작업 환경에서의 용접 불티 차단막의 이동성을 보다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접 작업 시에 용접 불티가 주로 충돌하는 연장부(20)를 버미글라스 소재로 구현함으로써 내열성을 보다 강화하는 동시에 인장 강도를 상당히 개선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장부(20)의 방사형 연장에 관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3b는 그러한 연장부(20)가 몸체부(10)에 대해 연장되는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21)의 예시도이다.
도 3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장부(20)는 몸체부(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수용되거나(예를 들어, 도 3a의 (a) 참조) 또는 몸체부(1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방사형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예를 들어, 도 3a의 (b) 및 (c) 참조), 따라서 용접 작업자의 작업 환경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용접 불티 차단막(100)의 구성을 적응적으로 변화시키면서 활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a의 (a)는 연장부(20)가 몸체부(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완전하게 수용된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10)는 연장부(20)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1)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그러한 수용부(11)의 구성이 도 3b 및 도 4에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장부(20)가 몸체부(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바람직하게는 수용부(11)에 수용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참고로, 도 4의 (a)는 수용부(11)에 연장부(20)가 수용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고, 도 4의 (b)는 수용부(11)에 연장부(20)가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다. 따라서, 용접 불티 차단막(10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3a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연장부(20)를 몸체부(10)의 수용부(11) 내측에 수용하여 보관할 수 있고, 따라서 용접 작업 공간의 효율성을 보다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도 3a의 (b) 및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장부(20)가 몸체부(1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방사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3a의 (c)는 연장부(20)가 몸체부(10)와 평행하게 전개된 예를 도시하나(이 경우, 용접 불티 차단막(100)의 전체 높이는 약 600mm로 구현될 수 있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연장부(20)는 몸체부(10)의 개구 방향을 따라 사용자 측으로 더 경사지게 전개될 수도 있다.
특히, 도 3a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장부(20)가 몸체부(1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방사형으로 연장 형성되되, 용접 작업 환경에 따라 특정한 각도(예를 들어, 45도)로 고정되어 활용될 수도 있다. 연장부(20)의 각도 조절 및 고정을 위해,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연장부(20)는 몸체부(10)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20)의 연장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21)를 더 포함하고, 이러한 각도조절부(21)의 일 예가 도 3b에서 도시된다.
도 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용접 작업 환경에 따라 연장부(20)의 연장 각도를 조절 및 고정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부(11)는 내측 벽에 돌기부(13)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돌기부(13)는 볼록한 돌기의 연속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장부(20)의 각도조절부(21)는 돌기부(13)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돌기부(13) 사이의 홈에 끼움 결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작업자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해당 위치에서 각도조절부(21)가 돌기부(13) 사이의 홈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연장부(20)가 특정 각도에서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작업자가 연장부(20)의 연장 각도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몸체부(10)의 내측으로(즉, 수용 방향) 또는 몸체부(10)의 외측으로(즉, 연장 방향) 연장부(20)를 수용 또는 인출함으로써 연장 각도의 용이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참고로, 도 3b에 도시되는 돌기부(13) 및 각도조절부(21)의 구성 및 형상은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하고, 따라서 연장부(20)를 방사형으로 몸체부(10)의 내측으로 또는 외측으로 이동시킴에 있어 특정 위치에서 연장부(20)를 고정시키는 다른 방식들이 또한 적용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12)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결합부(30)를 통해 용접 불티 차단막(100)을 사용자 신체, 예를 들어 사용자 팔목에 부착하는 경우에 그 결합력이 부족할 수도 있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부(10)의 내측 벽 사이에 형성되는 파지부(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결합부(30)를 신체 일부(예를 들어, 팔목)에 부착하는 것에 더하여 파지부(12)를 파지함으로써 용접 불티 차단막(100)을 보다 유연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불티 차단막(100)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작업자는 용접 작업 시에 신체에 착탈 가능하게 구현되는 용접 불티 차단막(100)을 이용함으로써 불티의 비산을 방지하는 동시에 용접 불티 차단막(100)의 이동성을 개선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작업의 이동 간 소요 시간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불티 차단막에 의하면, 작업자의 신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현함으로써 작업 환경에서의 용접 불티 차단막의 이동성을 보다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불티 차단막에 의하면, 연장부를 몸체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구현하되, 그 연장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다양한 용접 작업 환경에 적응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불티 차단막에 의하면, 용접 작업 시에 용접 불티가 주로 충돌하는 연장부를 버미글라스 소재로 구현함으로써 내열성을 보다 강화하고 인장 강도를 개선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몸체부 11: 수용부
12: 파지부 13: 돌기부
20: 연장부 21: 각도조절부
30: 결합부 31: 결합봉
32: 벨크로 100: 용접 불티 차단막

Claims (6)

  1. 용접 불티 차단막(100)으로서,
    전방 및 상부가 개방된 중공 형상의 몸체부(10);
    상기 몸체부(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수용되거나 또는 상기 몸체부(1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방사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20); 및
    상기 몸체부(10)를 사용자 신체의 적어도 일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결합부(30)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10)는 상기 연장부(20)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1)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20)는 상기 몸체부(10)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20)의 연장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21)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11)는 내측 벽에 형성된 돌기부(13)를 포함하되, 상기 각도조절부(21)가 상기 돌기부(13)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돌기부(13) 사이의 홈에 끼움 결합되는,
    용접 불티 차단막(100).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는 몸체부에 대한 사용자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파지부(12)를 더 포함하는,
    용접 불티 차단막(100).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20)는 버미글라스(vermiglass)로 제조되는,
    용접 불티 차단막(100).
  5. 삭제
  6. 삭제
KR1020180163236A 2018-12-17 2018-12-17 용접 공사 용접 불티 차단막 KR102114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236A KR102114731B1 (ko) 2018-12-17 2018-12-17 용접 공사 용접 불티 차단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236A KR102114731B1 (ko) 2018-12-17 2018-12-17 용접 공사 용접 불티 차단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4731B1 true KR102114731B1 (ko) 2020-05-25

Family

ID=70914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3236A KR102114731B1 (ko) 2018-12-17 2018-12-17 용접 공사 용접 불티 차단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473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51052A (ko) * 1973-09-05 1975-05-07
JPS5453519U (ko) * 1977-09-21 1979-04-13
JPS5484321U (ko) * 1977-11-25 1979-06-14
JPS5676793U (ko) * 1979-11-19 1981-06-23
JP3157609U (ja) * 2009-11-30 2010-02-25 正峰国際貿易有限会社 ガードフェンス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51052A (ko) * 1973-09-05 1975-05-07
JPS5453519U (ko) * 1977-09-21 1979-04-13
JPS5484321U (ko) * 1977-11-25 1979-06-14
JPS5676793U (ko) * 1979-11-19 1981-06-23
JP3157609U (ja) * 2009-11-30 2010-02-25 正峰国際貿易有限会社 ガードフェン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0979B1 (ko) 보호구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헤드밴드
KR102114731B1 (ko) 용접 공사 용접 불티 차단막
KR20100038925A (ko) 자석을 이용한 안전 불받이 장치
KR102124739B1 (ko) 용접 보호 장치
US8436274B2 (en) Hand shield system and method for welding
KR101115494B1 (ko) 화기작업용 절첩식 칸막이장치
KR200483332Y1 (ko) 용접 불꽃 비산 방지용 화재 방지장치
CN207970179U (zh) 一种焊接防护面罩
KR101900398B1 (ko) 슬라이드식 가드가 구비된 용접불티 비산 방지장치
US4556991A (en) Protecting veil for welding helmets
KR101372566B1 (ko) 방화문
CN104493348A (zh) 一种金属门窗焊接用焊枪架
KR200218599Y1 (ko) 용접 부산물 포집구
JP5913193B2 (ja) 溶接火花飛散防止具
US11553746B2 (en) Protective finger heat guard
KR200441927Y1 (ko) 용접 작업용 난연성 차단시트
KR101487899B1 (ko) 방화 댐퍼 기능을 갖는 과압 배출구
CN210024114U (zh) 一种光电子器件激光焊接机
KR20170059610A (ko) 용접 불꽃 비산 방지 기구
KR200470223Y1 (ko) 자바라형 방염 구조물
KR20130032712A (ko) 활선 작업용 추락방지 안전대
CN206982015U (zh) 一种用于防爆片焊接的安全焊机
US9371999B2 (en) Fireplace draft blocker
CN217402253U (zh) 用于高危环境动火作业的自动保护装置
KR102053549B1 (ko) 용접토치용 열차단 안전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