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4279B1 - 수중용 인명구조기구 연결끈 보관장치 - Google Patents

수중용 인명구조기구 연결끈 보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4279B1
KR102114279B1 KR1020190129593A KR20190129593A KR102114279B1 KR 102114279 B1 KR102114279 B1 KR 102114279B1 KR 1020190129593 A KR1020190129593 A KR 1020190129593A KR 20190129593 A KR20190129593 A KR 20190129593A KR 102114279 B1 KR102114279 B1 KR 102114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storage device
safety line
lifesav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9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경득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90129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42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26Cast or life lines; Attachments thereto; Containers therefor; Rescue ne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82Integral handles
    • B65D25/2885Integral handles provided on the side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nnular articles
    • B65D85/0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nnular articles for coils of wire, rope or h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6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without essentially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e.g. with stored material housed within casing or container, or intermittently engaging a plurality of supports as in sinuous or serpentine fashion
    • B65H75/36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without essentially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e.g. with stored material housed within casing or container, or intermittently engaging a plurality of supports as in sinuous or serpentine fashion with stored material housed within a casing or container
    • B65H75/36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without essentially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e.g. with stored material housed within casing or container, or intermittently engaging a plurality of supports as in sinuous or serpentine fashion with stored material housed within a casing or container the stored material being coi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5Ropes, lines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해안가, 저수지 등에서 피구조자에게 투척되는 튜브형태의 구명환(救命環) 등의 인명구조기구에 연결되는 로프 등의 안전줄이 꼬임 없이 원활하게 풀려나갈 수 있도록 수용하기 위한, 투척되는 수중용 인명구조기구 연결끈 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척되는 수중용 인명구조기구 연결끈 보관장치는
임의장소에 놓여지는 거치대에 홀딩되는 인명구조기구에 연결되는 안전줄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장치에 적용되고,
상기 안전줄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뚜껑이 개폐가능하게 힌지고정되는 용기형태의 몸체;
상기 몸체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안전줄 일단을 고정할 수 있는 결박통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척되는 수중용 인명구조기구 연결끈 보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중용 인명구조기구 연결끈 보관장치{rescue lope storage device}
본 명세서는 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저수지, 해안가 등에서 피구조자(익수자 등)에게 투척되는 튜브형태의 구명환(救命環)이나 구명볼 등의 인명구조기구에 연결되는 로프 등의 안전줄이 꼬임 없이 풀려나갈 수 있도록 수용하기 위한, 투척되는 수중용 인명구조기구 연결끈 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바다나 강에서 물놀이하는 도중에 파도에 휩쓸려 멀리 떠 내려가는 안전사고가 발생될 경우, 구조대원(안전요원) 등이 부력 가능한 구명환 등의 수중용 인명구조기구를 피구조자에게 투척하여 구조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는 미 도시 되었으나, 피구조자가 붙잡게 되는 인명구조기구를 구조대원 등이 잡아당겨 피구조자를 구조할 수 있도록 안전줄(연결용 로프를 말함)의 일단은 인명구조기구에 연결하고, 안전줄의 타단은 구조선박 등의 임의위치에 설치된 거치대에 걸어놓게 된다.
이로 인해, 구조대원이 물속에서 허우적대는 피구조자에게 구명환 등을 투척하여 피구조자를 구조할 경우, 안전줄이 거치대로부터 서서히 풀려나감에 따라 구명환이 피구조자쪽으로 전달될 수 있는 데, 구조대원의 작업경험 정도에 따라 구명환을 투척시 안전줄이 거치대에 꼬여 원활하게 풀려나가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평상시 안전줄이 구조선박 등의 거치대에 걸려 있어 직사광선, 비(雨), 눈(雪) 등에 항시 노출된 상태이므로 외관상 바람직하지 못하고, 거치대 주변을 통행하는 사람이 안전줄에 간섭받아 넘어질 수 있는 단점을 갖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62886호에 수중 인명구조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해안가 등에서 수중의 피구조자(조난자, 익수자 등)에게 투척되는 구명환 등에 연결되는 안전줄이 꼬임 없이 잘 풀려나갈 수 있도록 수용하기 위한, 투척되는 수중용 인명구조기구 연결끈 보관장치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인명구조경험이 충분치않는 비숙련자도 구명환 등을 안전줄 꼬임없이 피구조자에게 원활하게 투척할 수 있도록 한, 투척되는 수중용 인명구조기구 연결끈 보관장치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평상시 안전줄이 외부환경(직사광선, 비, 눈 등)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투척되는 수중용 인명구조기구 연결끈 보관장치와 관련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임의장소에 놓여지는 거치대에 홀딩되는 인명구조기구에 연결되는 안전줄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장치에 적용되고,
상기 안전줄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뚜껑이 개폐가능하게 힌지고정되는 용기형태의 몸체;
상기 몸체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안전줄 일단을 고정할 수 있는 결박통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척되는 수중용 인명구조기구 연결끈 보관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투척되는 수중용 인명구조기구 연결끈 보관장치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구조선박 등에서 수중의 피구조자에게 투척되는 구명환 등에 연결되는 안전줄이 보관함으로부터 꼬임 없이 잘 풀려나갈 수 있도록 하여 익수자 등을 구조하는 인명구조활동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인명구조경험이 충분치않는 비숙련자도 구명환 등을 안전줄 꼬임없이 피구조자에게 원활하게 투척할 수 있어 실용성을 갖는다.
또한, 평상시 안전줄이 보관함에 수용되므로 직사광선, 비 등으로부터 안전줄을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투척되는 수중용 인명구조기구 연결끈 보관장치에서, 안전줄이 수용되는 용기형태의 몸체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관장치에서, 안전줄이 몸체의 파지부에 형성된 결박통로에 고정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보관장치에서, 인명구조기구 및 몸체를 거치대에 홀딩시킴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보관장치에서, 거치대에 몸체를 홀딩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보관장치에서, 거치대로부터 용기를 탈거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투척되는 수중용 인명구조기구 연결끈 보관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척되는 수중용 인명구조기구 연결끈 보관장치는
임의장소에 놓여지는 거치대에 홀딩되는 인명구조기구에 연결되는 안전줄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장치에 적용되고,
로프형태의 안전줄(10)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뚜껑(11)이 개폐가능하게 힌지고정되는 용기형태의 몸체(12);
몸체(12)의 외측면에 돌출형성되고, 안전줄(10) 일단을 고정할 수 있는 결박통로(13)가 내부에 형성되는 파지부(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몸체(12) 상면에 형성되고, 몸체(12)에 뚜껑(11)이 닫힐 경우에 몸체(12)에 수용되는 안전줄(10)이 눌리지않고 인출할 수 있도록 한 안착홈(1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전술한 몸체(12)에 수용된 안전줄(10)을 인출할 경우에, 몸체(12)에 뚜껑(11)을 밀착되게 닫은 상태에서 안전줄(10)이 몸체(12) 상면에 형성된 안착홈(15)을 통과하여 몸체(12)로부터 인출된다. 즉 몸체(12)로부터 뚜껑(11)을 개방시키지 않고도 몸체(12)로부터 안전줄(10)을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몸체(12)의 내부 중앙에 돌출형성되고, 몸체(12) 내부에 수용되는 안전줄(10) 꼬임을 방지할 수 있도록 똬리 형태로 정렬하기 위한 원뿔형태의 폴(1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전술한 인명구조기구(29)를 사용후 몸체(12)를 거치대(20)에 홀딩시켜 보관할 경우 안전줄(10)을 몸체(12)에 수용하여 보관하게 된다. 즉 몸체(12)로부터 뚜껑(11)을 개방시킨 후, 몸체(12)의 파지부(14) 내부에 관통하도록 형성된 결박통로(13)에 일단이 고정된 안전줄(10)을 똬리 형태(나선형태를 말함)로 순차적으로 정렬시켜 보관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인명구조기구(29)를 사용해야 될 긴급상황이 발생되어 인명구조기구(29)에 끝단이 연결된 몸체(12)로부터 안전줄(10)을 인출시 꼬임없이 원활하게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전술한 인명구조기구(29)는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품이므로 이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뚜껑(11) 상면에 회동가능하게 형성되고, 몸체(12)를 휴대시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1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전술한 거치대(20)에 홀딩된 인명구조기구(29)를 들고 임의장소로 옮겨야 될 경우 뚜껑(11) 상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손잡이(17)를 파지하여 몸체(12)를 용이하게 옮길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몸체(12)로부터 뚜껑(11)이 임의적으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뚜껑(11)의 외측면 임의위치에 형성되는 로킹홈(18);
파지부(14) 외측면에 중앙부가 회동가능하게 힌지고정되는 로커(19);를 더 포함하되, 로커(19)의 일단(외측단)을 가압시 힌지핀(도면부호 미 표기됨)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로커(19)의 타단(내측단)을 로킹홈(18)에 로킹 또는 언로킹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전술한 안전줄(10)이 수용된 몸체(12) 상단에 형성된 뚜껑(11)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몸체(12) 내부에 유입되는 빗물 등에 의해 안전줄(10)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해 로커(19) 일단을 가압할 경우(이때 로커(19) 일단을 지지한 탄성부재(미 도시된 압축코일스프링이 사용됨)는 압축력을 받게 됨)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로커(19) 타단이 뚜껑(11)에 형성된 로킹홈(18)으로부터 이탈(로커(19)가 로킹 해제상태로 전환됨)되므로 몸체(12)로부터 뚜껑(11)을 개방시킬 수 있다.
이와 반면에, 몸체(12)에 뚜껑(11)을 닫은 상태에서, 로커(19) 일단을 가압한 외력을 제거함에 따라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로커(19) 타단을 로킹홈(18)에 압착하게 되어 로킹시킬 수 있다(로커(19)가 로킹상태로 전환됨).
이때, 전술한 뚜껑(11)에 형성된 로킹홈(18)에 로킹 또는 언로킹되도록 파지부(14)에 형성된 로커(19)에 의해 몸체(12)에 대해 뚜껑(11)을 로킹시키는 기술내용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몸체(12)를 붙잡은 상태에서 구명환 등의 인명보조기구(29)를 피구조자(익수자, 조난자 등)에게 투척할 경우, 뚜껑(11)에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손잡이(17)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뚜껑(11)에 형성되는 자성체(미 도시됨);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전술한 파지부(14)를 파지하여 몸체(12)를 붙잡은 상태에서 안전줄(10) 단부에 연결된 인명구조기구(29)를 피구조자에게 투척할 경우, 뚜껑(11) 상면에 회동가능하게 형성된 손잡이(17)가 뚜껑(11)에 형성된 자성체(미 도시됨)에 의해 뚜껑(11) 상면에 눕혀져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거치대(20)의 기둥(21)에 몸체(12)가 탈착가능하게 안착되는 안착홈(22)이 형성되는 거치판(23)을 형성하되, 안착홈(22)을 기준으로 거치판(23)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형성되고 몸체(12)의 걸림턱(24)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홈(25)이 형성되는 로킹구(26);
로킹구(26)와 대향되게 거치판(23) 타측에 형성되고, 안착홈(22)으로부터 몸체(12)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2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전술한 거치대(20)의 기둥(21)에 형성된 거치판(23)의 안착홈(15)에 몸체(12)를 홀딩시킬 경우, 안착홈(15)을 기준으로 거치판(23) 일측에 형성된 로킹구(26)를 거치판(23)으로부터 임의각도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몸체(12) 하단 외측면에 형성된 걸림턱(24)을 로킹구(26)의 결합홈(25)에 결합시킨 후, 몸체(12)를 안착홈(22)에 수평상태로 안착시킨다. 이때 몸체(12)의 파지부(14)가 거치판(23) 타측에 형성된 스토퍼(27)의 요홈(28)에 안착되므로 몸체(12)가 거치판(23)의 안착홈(2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스토퍼(27)의 상면에 형성되고, 안착홈(22)에 안착되는 몸체(12)의 파지부(14)가 안착되어 몸체(12)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요홈(28);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전술한 몸체(12)를 거치판(23)의 안착홈(22)에 안착시킬 경우, 몸체(12)의 파지부(14) 하단이 스토퍼(27)에 형성된 요홈(28)에 안착되므로 거치대(20)의 기둥(21)에 홀딩된 몸체(12)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척되는 수중용 인명구조기구 연결끈 보관장치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해안가 등에서 물놀이 하는 도중에 파도에 휩쓸려 멀리 떠 내려가는 안전사고가 발생될 경우, 인근의 구조선박, 또는 육지 등에 설치된 거치대(20)의 기둥(21)에 홀딩된 인명구조기구(구명볼, 또는 튜브형태의 구명환 등)(29)를 피구조자에게 투척하게 된다. 이때 인명구조기구(29)에 일단이 연결된 안전줄(10)은 기둥(21)의 거치판(23)에 탈착가능하게 안착된 몸체(12)에 수용된 상태이다.
따라서, 구조대원이 거치판(23)의 안착홈(22)으로부터 몸체(12)를 탈거하여 몸체(12)의 파지부(14)를 붙잡아 파지한 상태에서 안전줄(10)에 끝단에 연결된 인명구조기구(29)를 피구조자에게 투척할 수 있게 된다.
즉, 전술한 몸체(12)의 파지부(14)를 파지하여 스토퍼(27)의 요홈(28)으로부터 이탈시키도록 몸체(12)를 이의 걸림턱(24)을 중심으로 경사지게 들어올린 후(이때 로킹구(26)는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됨), 몸체(12)의 걸림턱(24)을 로킹구(26)의 결합홈(25)으로부터 분리시킨다. 따라서 몸체(12)를 거치대(20)의 거치판(23)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한편, 구조대원 1인이 몸체(12)의 파지부(14)를 붙잡은 상태에서 다른 구조대원 1인이 인명구조기구(29)를 피구조자에게 투척하여 피구조자를 구조하게 되는 2인 1조로 인명구조작전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몸체(12)의 파지부(14)를 붙잡은 상태에서 인명구조기구(29)를 피구조자에게 투척할 경우 몸체(12)에 수용된 안전줄(10)이 서서히 인출되어진다.
이때, 안전줄(10)이 몸체(12)의 내부 바닥면에 형성된 원뿔형태의 폴(16)에 의해 똬리 형태로 정렬되어 감겨져 수용된 상태이므로 안전줄(10)을 몸체(12)로부터 인출시킬 경우 꼬임 발생없이 원활하게 인출될 수 있다.
또한, 몸체(12)로부터 안전줄(10)을 잡아당겨 인출할 경우, 몸체(12) 상면에 형성된 안착홈(15)에 의해 뚜껑(11)을 몸체(12) 상면에 밀착시켜 닫은 상태에서도 안전줄(10)을 자연스럽게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명세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안전줄
11; 뚜껑
12; 몸체
13; 결박통로
14; 파지부
15; 안착홈
16; 폴
17; 손잡이
18; 로킹홈
19; 로커
20; 거치대
21; 기둥
22; 안착홈
23; 거치판
24; 걸림턱
25; 결합홈
26; 로킹구
27; 스토퍼
28; 요홈

Claims (8)

  1. 임의장소에 놓여지는 거치대에 홀딩되는 인명구조기구에 연결되는 안전줄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장치에 적용되고,
    상기 안전줄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뚜껑이 개폐가능하게 힌지고정되는 용기형태의 몸체;
    상기 몸체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안전줄 일단을 고정할 수 있는 결박통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파지부;
    상기 몸체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에 뚜껑이 닫힐 경우에 상기 몸체에 수용되는 상기 안전줄이 눌리지않고 인출할 수 있도록 한 안착홈;
    상기 몸체의 내부 중앙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몸체 내부에 수용되는 안전줄꼬임을 방지할 수 있도록 똬리형태로 정렬하기 위한 원뿔형태의 폴;
    상기 뚜껑 상면에 회동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몸체를 휴대시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뚜껑이 임의적으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뚜껑의 외측면 임의위치에 형성되는 로킹홈; 및
    상기 파지부 외측면에 중앙부가 회동가능하게 힌지고정되는 로커;를 더 포함하되, 상기 로커의 일단을 가압시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상기 로커의 타단을 상기 로킹홈에 로킹 또는 언로킹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척되는 수중용 인명구조기구 연결끈 보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를 붙잡은 상태에서 상기 인명구조기구를 피구조자에게 투척할 경우, 상기 뚜껑에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상기 손잡이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뚜껑에 형성되는 자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척되는 수중용 인명구조기구 연결끈 보관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의 기둥에 상기 몸체가 탈착가능하게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거치판을 형성하되, 상기 안착홈을 기준으로 상기 거치판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걸림턱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로킹구;
    상기 로킹구와 대향되게 상기 거치판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으로부터 상기 몸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척되는 수중용 인명구조기구 연결끈 보관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상기 몸체의 파지부가 안착되어 상기 몸체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요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척되는 수중용 인명구조기구 연결끈 보관장치.
KR1020190129593A 2019-10-18 2019-10-18 수중용 인명구조기구 연결끈 보관장치 KR102114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593A KR102114279B1 (ko) 2019-10-18 2019-10-18 수중용 인명구조기구 연결끈 보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593A KR102114279B1 (ko) 2019-10-18 2019-10-18 수중용 인명구조기구 연결끈 보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4279B1 true KR102114279B1 (ko) 2020-06-17

Family

ID=71405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9593A KR102114279B1 (ko) 2019-10-18 2019-10-18 수중용 인명구조기구 연결끈 보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427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4182U (ko) * 1995-04-21 1996-11-19 최인식 차량견인용 와이어로프 보관함
JP2001315831A (ja) * 2000-04-29 2001-11-13 Genji Fukumoto 磁石式キャップと磁石蓋
KR20050013463A (ko) * 2003-07-28 2005-02-04 송유천 침몰선박 최종 위치확인 및 인양장치
KR100898109B1 (ko) * 2008-05-21 2009-05-15 주식회사 화진인더스 밀폐용기 뚜껑의 체결부재 연결구조
US20150301562A1 (en) * 2011-08-23 2015-10-22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Docking station with ruggedized cas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4182U (ko) * 1995-04-21 1996-11-19 최인식 차량견인용 와이어로프 보관함
JP2001315831A (ja) * 2000-04-29 2001-11-13 Genji Fukumoto 磁石式キャップと磁石蓋
KR20050013463A (ko) * 2003-07-28 2005-02-04 송유천 침몰선박 최종 위치확인 및 인양장치
KR100898109B1 (ko) * 2008-05-21 2009-05-15 주식회사 화진인더스 밀폐용기 뚜껑의 체결부재 연결구조
US20150301562A1 (en) * 2011-08-23 2015-10-22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Docking station with ruggedized ca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32469B2 (ja) 津波待避用救命装置
US6935911B1 (en) Aquatic alarm, security and rescue station
JPH03284498A (ja) ネット状救命機器
KR102114279B1 (ko) 수중용 인명구조기구 연결끈 보관장치
CN206437180U (zh) 无人救生船
CA2020443A1 (en) Personnel transfer system
DK156041B (da) Redningsvest eller redningskrans
KR100938925B1 (ko) 조난 구조용 구명대
US20080254693A1 (en) Rescue line device
US3383721A (en) Inflated life raft launching device
US9233741B2 (en) Life saving dan buoy
CN111169609B (zh) 打捞篮及其打捞落水人员的使用方法
US9096298B1 (en) Rescue pole
US3712070A (en) Small portable underwater observation and communication chamber
CN215098184U (zh) 一种船用救生圈收纳结构
CA3076696C (en) Tangle-free rescue assist device
US7189129B2 (en) Life saver buoy
KR20170089612A (ko) 수난사고용 투척식 스핀형 타입의 구명장비
US20090197490A1 (en) Crew Overboard Rescue Hoist
CN215098172U (zh) 救生设备存储装置
CN211810142U (zh) 一种自带绳索可相互连接的救生圈
RU186103U1 (ru) Надувное спас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170089624A (ko) 수난사고용 투척식 여닫이형 타입의 구명장비
CN211943680U (zh) 一种应急用施救工具
CN208233301U (zh) 一种新型艏缆释放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