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3999B1 - A portable respiration measur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A portable respiration measur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3999B1
KR102113999B1 KR1020190123154A KR20190123154A KR102113999B1 KR 102113999 B1 KR102113999 B1 KR 102113999B1 KR 1020190123154 A KR1020190123154 A KR 1020190123154A KR 20190123154 A KR20190123154 A KR 20190123154A KR 102113999 B1 KR102113999 B1 KR 102113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piston
mouthpiece
exhalation
in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31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유홍
Original Assignee
(주)지에이치이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에이치이노텍 filed Critical (주)지에이치이노텍
Priority to KR1020190123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399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3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3999B1/en
Priority to PCT/KR2020/013367 priority patent/WO202106653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1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improving respiratory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7Measuring breath flow
    • A61B5/0875Measuring breath flow using means carried by the fluid stream, e.g. free floating ba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36Diagnosis combined with treatment in closed-loop system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5Sport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5Display arrangements, e.g. multiple display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75Means for generating exercise programs or schemes, e.g. computerized virtual trainer, e.g. using expert databa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31Portable apparatus, e.g. comprising a handle or c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43Modula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4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respiratory characteris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ulmon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respiration exercise and respiration measurement device. More specifically, the portable respiration exercise and respiration measurement device comprises a body part and a mouthpiece module selective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part as necessary. The body part comprises: a piston mov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inhalation or exhalation of a user through the mouthpiece module in the stopped state; a piston guid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part in a cylindrical shape and guid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piston; and a flow rate gauge moving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inhalation or exhalation of the user through the mouthpiece module. After the piston lifted by the user′s inhalation is stopped, the body part is rotated, and then the user′s inhalation and exhalation are compared through the degree of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piston by the user′s exhalation to exercise and measure the respiration. Accordingly, respiratory training can be guided based on the acquired data.

Description

휴대용 호흡운동 및 호흡측정장치{A portable respiration measuring apparatus}A portable respiration meas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용 호흡운동 및 호흡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호흡량을 측정하여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호흡 훈련을 안내할 수 있는 휴대용 호흡운동 및 호흡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breathing exercise and a breathing measuring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obtain data by measuring the user's respiratory volume, and can guide breathing training based on the acquired data. It is about the device.

호흡 훈련이란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을 완화시키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며, 일상생활에서 신체적 정서적인 참여를 확대시키기 위하여 호흡에 장애를 겪는 환자에게 적절한 호흡법을 훈련시키는 것이다. 특히, 폐 수술 후 환자, 만성 폐쇄성 호흡질환 환자는 치료 및 회복의 일환으로 호흡 훈련이 필수적이다.Breathing training is to train appropriate breathing techniques for patients with breathing difficulties to relieve symptoms such as shortness of breath, improve quality of life, and expand physical and emotional participation in everyday life. Particularly, after lung surgery, respiratory training is essential for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respiratory disease as part of treatment and recovery.

또한, 호흡근 및 횡경막 등의 호흡기 근육강화, 들숨 및 날숨 훈련을 통한 폐확장 및 안정적인 산소공급, 꾸준한 호흡훈련을 통한 폐활량 및 심폐기능 발달, 원활한 산소공급을 통한 체내 신진대사 활발, 심폐기능강화를 통한 레저/스포츠활동 참여를 위해 지속적인 호흡훈련이 필요하다.In addition, respiratory muscle strengthening of respiratory muscles and diaphragms, lung expansion and stable oxygen supply through inhalation and exhalation training, lung capacity and cardiopulmonary function development through steady breathing training, active metabolism in the body through smooth oxygen supply, cardiopulmonary function enhancement Continuous breathing training is necessary to participate in leisure / sports activities.

그리고, 일반적으로 호흡량 검사에 사용되는 측정 장치는 두가지 방식으로 분류된다. 첫번째 방식은 폐의 팽창과 수축에 따른 변화, 즉 폐용적의 변화를 양적으로 측정하는 방식으로서, 미리 정해진 양식에 따라 피검사자가 호흡하는 동안 폐용적의 변화를 직접 측정하는 방식이다. 두번째 방식은 피검사자가 숨쉬는 동안에 폐 내외로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감지 및 측정한 다음 이를 적분하여 호흡량을 측정하는 방식이다.In addition, measuring devices used in general to examine respiratory volume are classified into two methods. The first method is a method of quantitatively measuring a change in lung expansion and contraction, that is, a change in lung volume, and is a method of directly measuring a change in lung volume while a subject breathe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form. The second method is a method of detecting and measuring the flow of air flowing in and out of the lung while the subject breathes, and then integrating it to measure the respiratory volume.

예전에는 호흡량 측정 방식으로 첫번째 방식인 폐용적의 변화를 직접 측정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사용되는 검사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고 이동에 따른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어, 요즘에는 피검사자의 호흡에 따른 기류를 측정하는 방식 및 장치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In the past, the method of measuring the volume of lungs, which is the first method of measuring the volume of the lungs, was mainly used, but the structure of the test device used was complicated and the use of it was inconvenient due to movement.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re mainly used.

하지만, 상기한 기류를 측정하는 호흡량 측정 장치는 대체로 내부 형태가 복잡하고, 크기가 매우 커 휴대가 불가능하여 집 또는 병원에서만 사용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respiratory volume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the airflow has a problem in that it is used only in a home or hospital because the internal shape is generally complicated and the size is very large and is not portable.

최근에는 황사, 중금속, 미세먼지에 의한 대기오염이 급증하고 있고 이러한 환경에서 영유아나 노약자는 호흡기 질환에 매우 취약상기 때문에 호흡량 측정을 통한 호흡기의 건강 상태를 지속적으로 점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In recent years, air pollution caused by yellow dust, heavy metals, and fine dust is rapidly increasing. In this environment, infants and the elderly are very vulnerable to respiratory diseases, so it is very important to continuously check the health status of the respiratory system by measuring respiratory volume.

하지만, 병원이나 집을 벗어난 환경에서는 빠르고 간편하며 정확하게 피검사자의 호흡량을 측정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여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However, it has been pointed out as a problem because it is almost impossible to measure the respiratory volume of a test subject quickly, easily, and accurately in an environment outside the hospital or home.

종래의 호흡량을 측정하는 장치로는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4020호는 피측정자에 의해 내뿜어진 공기에 베르누이 현상으로 인한 인위적인 변화와 와류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피측정자의 폐활량을 정밀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정밀 폐활량 검사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A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apparatus for measuring respiratory volum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No. 20-0484020, for example, prevents artificial changes and vortex phenomena caused by Bernoulli in the air exhaled by the subject, thereby accurately measuring the lung capacity of the subject. Disclosed is a precision lung capacity inspection device that enables accurate measurement.

그러나, 사용자의 호흡량을 측정하며 각 사용자에 맞는 호흡 훈련을 안내할 수 없으며, 휴대용으로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 있다. 또한, 흡기와 호기를 나누어 측정하기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re is still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guide the breathing training suitable for each user by measuring the user's respiratory volume, and it cannot be continuously used as a portable devic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to measure by dividing inspiration and exhalation.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2017-0484020호(2017.07.20.)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2017-0484020 (2017.07.20.)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상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호흡량을 측정하여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호흡 훈련을 안내할 수 있는 휴대용 호흡운동 및 호흡측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obtain data by measuring the user's respiratory volume, and can guide breathing training based on the acquired data. And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respiratory measuring devic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not mentioned herein are from those described below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will be clearly understoo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호흡운동 및 호흡측정장치에 있어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마우스피스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정지상태에서 상기 마우스피스모듈을 통한 사용자의 흡기 또는 호기에 따라 승강되는 피스톤과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의 승강을 안내하는 피스톤가이드와 상기 마우스피스모듈을 통한 상기 사용자의 흡기 또는 호기에 따라 승강하는 유속게이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의 흡기에 의해 승강된 상기 피스톤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를 회동시킨 후, 상기 사용자의 호기에 의해 상기 피스톤의 승강되는 정도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흡기와 호기를 비교하여 운동하거나 측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ortable breathing exercise and breathing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ody part and a mouthpiece module selective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part as necessary, the body part, the stationary state, the mouse It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a piston that is elevated according to the user's intake or exhalation through a piece module, and according to the user's intake or exhalation through the mouthpiece module and a piston guide guiding the elevation of the piston. It includes a flow rate gauge for elevating, in the state in which the piston elevated by the user's intake is stopped, after rotating the main body, the user's inhalation through the degree of elevation of the piston by the user's exhalation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able to exercise or measure by comparing exhalation.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피스톤가이드는, 상기 피스톤가이드의 외주면 일측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다수개의 눈금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다수개의 눈금홈은, 상기 피스톤의 승강정도가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iston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ston guide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graduation grooves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plurality of graduation grooves, the lifting degree of the pist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displayed.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피스톤가이드는, 상기 사용자의 흡기 또는 호기에 의해 승강된 상기 피스톤이 초기위치로 승강될 수 있도록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홀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iston guid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of the intake or exhalation of the piston further comprises an exhaust hole for discharging the air inside to allow the piston to be elevated to the initial position to the outside , The discharge ho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as necessary.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마우스피스모듈을 통한 상기 사용자의 흡기 또는 호기의 압력 및 유량을 측정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을 전송받아 실시간으로 저장하고, 상기 측정값을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의 호흡을 분석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일정을 제공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분석결과와 운동일정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unit for measuring the pressure and flow rate of the intake or exhalation of the user through the mouthpiece module and the sensor unit measurement values are transmitted and stored in real tim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analyzing the user's breath based on the measured value, and providing a suitable exercise schedule for the user and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the analysis result and exercise schedule of the control unit.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마우스피스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흡기 또는 호기가 상기 센서부로 유동되는 양을 조절하는 조절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홀은, 상기 사용자의 호흡 측정 시, 폐쇄되어 상기 사용자의 흡기 또는 호기가 상기 센서부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의 호흡 운동 시, 개방되어 상기 사용자의 흡기 또는 호기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여, 상기 호흡 운동의 강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uthpiece modu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intake or exhalation further comprises an adjustment hole for adjusting the amount of flow to the sensor unit, the adjustment hole, the user's breath measurement When closed, the user's inhalation or exhalation is allowed to flow to the sensor unit, and when the user's breathing exercise is opened, the user's inhalation or exhalation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intensity of the breathing exercise can be adjusted.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able to.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휴대용 호흡운동 및 호흡측정장치은, 사용자의 흡기와 호기의 양을 비교할 수 있으며, 호흡측정 시, 상기 사용자의 흡기와 호기를 나누어 측정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흡기와 호기에 대한 보다 더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며, 호흡운동 시, 상기 사용자의 흡기와 호기를 나누어 운동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흡기와 호기 중 상대적으로 호흡양이 적은 부분을 선택하여 집중적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By means of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portable breathing exercise and breath meas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mpare the user's intake and exhalation amounts, and when measuring the breath, the user's intake and exhalation are measured separately It is possible to measure more accurately with and exhalation, and during breathing exercise, by dividing and exercising the user's inspiration and exhalation, the portion of the user's inspiration and exhalation that has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breath can be selected for intensive exercise. But it work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호흡운동 및 호흡측정장치는, 조립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피스톤의 지름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흡기 및 호기에 따른 상기 피스톤의 승강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사용자가 호흡운동량을 조절할 수 있는데 그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ortable breathing exercise and breathing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be assembled, and is provided to be able to adjust the lifting distance of the piston according to the user's intake and exhalation by selectively adjusting the diameter of the piston as needed. , The user can control the amount of breathing exercise, which is effectiv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호흡운동 및 호흡측정장치는, 피스톤의 외주면에 필름이 마련되어 사용자의 흡기나 호기가 정확한 위치로 유동되도록 사용자의 흡기나 호기의 유동을 제한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더 정확한 호흡의 측정이나 호흡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ortable breathing exercise and breathing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ilm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ston to limit the flow of the user's intake or exhalation so that the user's intake or exhalation flows to the correct position, so that the user can breathe more accurately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measure or breathe exercis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호흡운동 및 호흡측정장치는, 유속게이지가 마련되어, 상기 사용자의 흡기나 호기의 속도를 보다 더 측정할 수 있는데 그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ortable breathing exercise and respiratory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low rate gauge, it is possible to further measure the speed of the inhalation or exhalation of the user, it is effectiv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호흡운동 및 호흡측정장치는, 마우스피스가 탄성소재로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사용 시, 사용자의 구강에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데 그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ortable breathing exercise and breathing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thpiece is formed to be rotatable with an elastic material, and is formed to be adjustable in length, so that it can be easily reached to the user's mouth when used, It can be used conveniently, but it work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호흡운동 및 호흡측정장치는, 본체부와 마우스피스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어, 휴대와 보관이 용이하다는데 그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ortable breathing exercise and breathing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ortion and the mouthpiece can be selectively combined as needed, it is effective that it is easy to carry and stor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호흡운동 및 호흡측정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호흡운동 및 호흡측정장치의 피스톤의 구성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호흡운동 및 호흡측정장치의 마우스피스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호흡운동 및 호흡측정장치의 흡기 측정 시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호흡운동 및 호흡측정장치의 흡기 측정 시 피스톤이 상승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호흡운동 및 호흡측정장치의 호기 측정 시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호흡운동 및 호흡측정장치의 호기 측정 시 피스톤이 상승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호흡운동 및 호흡측정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호흡운동 및 호흡측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호흡운동 및 호흡측정장치의 제어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호흡운동 및 호흡측정장치의 호흡운동게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호흡운동 및 호흡측정장치의 호흡측정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의 (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호흡운동 및 호흡측정장치의 사용기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호흡운동 및 호흡측정장치의 호흡운동강도를 낮게 설정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호흡운동 및 호흡측정장치의 호흡운동강도를 높게 설정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호흡운동 및 호흡측정장치의 마우스피스감지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호흡운동 및 호흡측정장치의 마우스피스감지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호흡운동 및 호흡측정장치의 제어부및 디스플레이부의 동작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호흡운동 및 호흡측정장치의 제어부및 디스플레이부의 동작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호흡운동 및 호흡측정장치의 제어부및 디스플레이부의 동작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호흡운동 및 호흡측정장치의 제어부및 디스플레이부의 동작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호흡운동 및 호흡측정장치의 제어부및 디스플레이부의 동작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respiratory exercise and respiratory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iston of the portable respiratory exercise and respiratory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uthpiece module of a portable respiratory exercise and respiratory measur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n measuring the inhalation of the portable respiratory exercise and respiratory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iston rises when measuring the intake of the portable breathing exercise and respiratory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during the exhalation measurement of a portable breathing exercise and respiratory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iston rises when measuring the exhalation of the portable breathing exercise and respiratory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ide view of a portable breathing exercise and breathing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breathing exercise and breathing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control configuration of a portable respiratory exercise and respiratory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 is a diagram showing a breathing exercise game of a portable breathing exercise and breathing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b) is a view showing the results of breath measurement of a portable breathing exercise and breath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c) is a view showing a record of use of a portable respiratory exercise and respiratory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a)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spiratory exercise intensity of the portable respiratory exercise and respiratory measurement device is set low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spiratory exercise intensity of the portable respiratory exercise and respiratory measurement apparatus is set high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mouthpiece detection module of a portable breathing exercise and breath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 mouthpiece detection module of a portable breathing exercise and breathing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and the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respiratory exercise and respiratory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and the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respiratory exercise and respiratory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and the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respiratory exercise and respiratory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and the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respiratory exercise and respiratory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and the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respiratory exercise and respiratory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상기로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elected,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re selected, but this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or the appearance of a new technology.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s of the terms and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simply the names of the term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When a certain part of the specification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instead of excluding the other component,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easily practi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for the present invention, the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and specific details including the effect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to be described below.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clarifi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호흡운동 및 호흡측정장치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에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마우스피스모듈(200)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100)는, 정지상태에서 상기 마우스피스모듈(200)을 통한 사용자의 흡기 또는 호기에 따라 승강되는 피스톤(110)과 상기 마우스피스모듈(200)을 통한 상기 사용자의 흡기 또는 호기에 따라 승강하는 유속게이지(120)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의 흡기에 의해 승강된 상기 피스톤(110)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100)를 회동시킨 후, 상기 사용자의 호기에 의해 상기 피스톤(110)의 승강되는 정도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흡기와 호기를 비교하여 운동하거나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In a portable breathing exercise and breathing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1 to 8, the body part 100 and the body part 100 are selectively combined as necessary as necessary. It includes a mouthpiece module 200, the main body 100, the piston 110 and the mouthpiece module 200, which is elevated according to the intake or exhalation of the user through the mouthpiece module 200 in a stopped state ) Through the user's intake or exhalation flow velocity gauge 120, and the piston 110 is lifted by the user's intake is stopped, the main body 100 is rotated Then, by comparing the intake and exhalation of the user through the degree of elevation of the piston 110 by the exhalation of the user to exercise or measure.

또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에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110)의 승강을 안내하는 피스톤가이드(1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가이드(130)는, 상기 본체부(100)에 조립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피스톤가이드(130)를 교체하여 상기 피스톤가이드(130)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피스톤(110)의 지름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흡기 및 호기에 따른 상기 피스톤(110)의 승강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main body portion 100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100, further comprising a piston guide 130 for guiding the lifting of the piston 110, the piston guide 130 ) Is provided so as to be assembled to the main body part 100, optionally adjusting the diameter of the piston 110 provided inside the piston guide 130 by selectively replacing the piston guide 130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lifting distance of the piston 110 according to the intake and exhalation of the user.

먼저, 상기 본체부(100)가 마련된다.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상측에 구비되는 상판부(140)와 상기 상판부(140)와 대응되도록 상기 본체부(100)의 하측에 구비되는 하판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상판부(140)와 하판부(150)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피스톤가이드(130)가 구비된다. 상기 상판부(140)와 하판부(150)는 상기 피스톤가이드(130)를 고정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든 구비될 수 있다.First, the body portion 100 is provided. The body portion 100 includes an upper plate portion 140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the body portion 100 and a lower plate portion 150 provided below the body portion 100 so as to correspond to the upper plate portion 140. . The piston guide 130 is provided in a space between the upper plate portion 140 and the lower plate portion 150. The upper plate portion 140 and the lower plate portion 150 may be provided in any form as long as the piston guide 130 can be fixed.

또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상판부(140)와 하판부(150)의 외주면에 연장형성되는 손잡이(1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160)는 상기 상판부(140)의 일측에서부터 상기 하판부(150)의 일측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160)는 파지상기에 용이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160)의 외주면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파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돌기(도면 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portion 100 further includes a handle 160 extending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upper plate portion 140 and the lower plate portion 150. The handle 160 is formed to extend from one side of the upper plate portion 140 to one side of the lower plate portion 150. The handle 160 is formed to be rounded to facilitate gripping, and a protrusion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andle 160 to prevent slipping and improve gripping force.

다음으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상판부(140), 하판부(150) 및 손잡이(160)가 결합되는 형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본체부(100)를 횡으로 자른 두 단면이 서로 결합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본체부(100)는 ‘ㄷ’자 형태로 마련되는 상기 두 단면이 나사와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판부(140), 하판부(150) 및 손잡이(160)는 서로 분리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Next, the body portion 100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the upper plate portion 140, the lower plate portion 150 and the handle 160 are combined. More specifically, the body portion 100 is formed by combining two cross-sections of the body portion 100 transversely. That is, the main body portion 100 may be formed in such a way that the two cross-sections provided in the form of 'U' are joined by coupling means such as screws. In addition, the upper plate portion 140, the lower plate portion 150 and the handle 160 are formed to be separable from each other.

다음으로, 상기 피스톤가이드(130)가 마련된다. 상기 피스톤가이드(130)는 전체가 동일한 외경 및 내경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판부(140)와 하판부(150) 사이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가이드(130)는 상기 상판부(140), 하판부(150) 및 손잡이(160)와 같이 서로 분리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피스톤가이드(130)는 상기 피스톤가이드(130)를 횡으로 자른 두 단면이 서로 결합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판부(140)의 하부면 일측과, 상기 하판부(150)의 상부면 일측에는 상기 피스톤가이드(13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홈(도면 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으며, 조립 시, 상기 피스톤가이드(130)는 상기 홈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된다.Next, the piston guide 130 is provided. The piston guide 13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the same outer diameter and inner diameter as a whole, and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plate portion 140 and the lower plate portion 150. In addition, the piston guide 130 is formed to be separable from each other, such as the upper plate portion 140, the lower plate portion 150 and the handle 160. That is, the piston guide 130 is formed by combining two cross-sections of the piston guide 130 transversely. Accordingly, a groove (not shown) in which the piston guide 130 can be inserted and fixed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portion 140 and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portion 150. At the time, the piston guide 130 is coupled by the coupling means in a state fixed by the groove.

다음으로, 상기 피스톤(110)이 마련된다. 상기 피스톤가이드(130)의 내부에 상기 피스톤가이드(130)의 내경 보다 작은 지름의 상기 피스톤(110)이 마련되는 것이다. 상기 피스톤(110)은 상기 사용자의 흡기나 호기에 의해 승강되어, 상기 사용자의 흡기나 호기가 상기 피스톤가이드(130) 내부로 유동되고 있는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호흡운동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피스톤의 무게를 조절하여 상기 사용자의 호흡운동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피스톤가이드(130)는 상기 본체부(100)와 분리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110)을 교체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일례로, 상기 피스톤가이드(130)와 본체부(100)가 결합되는 부분에 나선형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가이드(130)가 회전함으로써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호흡운동 시, 상기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피스톤(110)을 교체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호흡운동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피스톤(110)의 무게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상기 사용자의 폐활량에 따라 단계적으로 호흡운동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상기 사용자의 폐활량이 작은 경우, 상기 피스톤(110)의 무게를 감소시켜 상기 피스톤(110)이 작은 호흡에도 승강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의 폐활량이 큰 경우, 상기 피스톤(110)의 무게를 증가시켜 상기 피스톤(110)이 작은 호흡에는 승강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Next, the piston 110 is provided. The piston guide 130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piston guide 130 is provided inside the piston guide 130. The piston 110 is elevated by the intake or exhalation of the user, so that it is possible to visually check whether the intake or exhalation of the user is flowing into the piston guide 130.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heck the user's breathing momentum, and by adjusting the weight of the piston, the user's breathing momentum can be adjusted. In more detail, the piston guide 130 is formed to be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100, and is provided to replace the piston 110. For example, a helical groove is formed in a portion where the piston guide 130 and the body portion 100 are coupled, so that the piston guide 130 may be rotated to be coupled and separated. Therefore, during the breathing exercise, the user can selectively control the piston 110 by selectively replacing the piston, thereby controlling the amount of breathing exercise of the user. That is, it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adjust the weight of the piston 110, so that the breathing exercise can be performed step by step according to the user's lung capacity. For example, when the user's lung capacity is small, the weight of the piston 110 is reduced so that the piston 110 can be elevated even in a small breath, and when the user's lung capacity is large, the piston's 110 By increasing the weight, it is possible to set the piston 110 so that it does not elevate in a small breath.

또한, 상기 피스톤(110)은 상기 피스톤(11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의 흡기나 호기가 상기 피스톤(110)과 피스톤가이드(130) 사이의 공간으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필름(111)을 포함한다. 즉, 상기 필름(111)은 상기 사용자가 보다 더 정확한 호흡의 측정이나 호흡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의 흡기나 호기의 유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iston 110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ston 110, the film 111 to block the intake or exhalation of the user from flowing into the space between the piston 110 and the piston guide 130 It includes. That is, the film 111 serves to limit the flow of inhalation or exhalation of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measure breathing or exercise more accurately.

또한, 상기 피스톤(110)은 외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연성이 높은 소재혹은 탄성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110)이 급격히 상승하거나 하강하여 상기 피스톤가이드(130)와 충돌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피스톤(110)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iston 110 may be provided with a high ductility material or an elastic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external impact. Therefore, even if the piston 110 rapidly rises or falls and a collision with the piston guide 130 occurs, damage to the piston 110 may be minimized.

그리고, 상기 피스톤(110)의 상부면 중심부에는 중심홈(112)이 마련되며, 상기 중심홈(112)의 중심부에는 중심돌기(113)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110)의 상부면에는 상기 피스톤(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다수개의 동심원돌기(114)가 마련된다. 먼저, 상기 피스톤(110)은 고무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피스톤(110)의 승강 시, 상기 피스톤가이드(130)와 피스톤(110) 사이의 마찰에 의해 상기 피스톤(110)의 변형이 발생하여 정확한 측정이 수행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중심돌기(113) 및 동심원돌기(114)가 마련되어, 상기 피스톤(110)의 강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피스톤(110)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보다 더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피스톤(110) 및 동심원돌기(114)는 동일한 중심으로 원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피스톤(110)이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균일한 변형이 일어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사용자의 흡기 또는 호기의 측정을 보다 더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중심홈(112) 및 동심원돌기(114)는 이물질이 상기 피스톤(110)과 피스톤가이드(130) 사이에 끼여 상기 피스톤(110)의 승강을 간섭하지 않도록 한다. 즉,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상기 피스톤가이드(130)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에, 상기 이물질을 상기 중심홈(112) 및 동심원돌기(114)에 걸려 상기 피스톤(110)과 피스톤가이드(130) 사이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의 흡기 또는 호기의 측정을 보다 더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 central groove 112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iston 110, and a central projection 113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central groove 112. In addition, a plurality of concentric projections 114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iston 110 based on the center of the piston 110. First, the piston 110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That is, when the piston 110 is elevat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ccurate measurement may not be performed due to deformation of the piston 110 due to friction between the piston guide 130 and the piston 110. Therefore, the central projection 113 and the concentric projection 114 is provided, by increasing the rigidity of the piston 110, by minimizing the deformation of the piston 110 so that more accurate measurement can be made. In addition, the piston 110 and the concentric projection 114 are formed in a circular shape with the same center, so that even if the piston 110 is deformed, uniform deformation occurs. As a result, the measurement of intake or exhalation of the user can be performed more accurately. In addition, the center groove 112 and the concentric projection 114 prevent foreign matters from being caught between the piston 110 and the piston guide 130 to interfere with the lifting of the piston 110. That is, when a foreign material flows into the piston guide 130 from the outside, the foreign material is caught in the central groove 112 and the concentric projection 114 and is not moved between the piston 110 and the piston guide 130. It is to preven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perform the measurement of the intake or exhalation of the user.

다음으로, 상기 유속게이지(120)가 마련된다. 상기 유속게이지(120)는 상기 상판부(140)와 하판부(150) 사이에 구비되는 유속게이지가이드(190) 내부에 마련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유속게이지가이드(190)는 상기 피스톤가이드(130)의 측면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유속게이지가이드(190)는 상기 유속게이지(120)가 상기 사용자의 흡기나 호기에 의해 승강될 수 있도록 하는 레일(191)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의 흡기나 호기 시, 상기 유속게이지(120)가 상기 레일(191)을 따라 승강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흡기나 호기의 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유속게이지(120)는 식약청 성능 평가 권장 기준에 따라 흡호기 폐활량 성능평가를 수행하는데, 에어 컴프레샤를 통하여 공기를 4L 유/흡입하여 유량센서로 측정한다. 또한, 상기 유속게이지가이드(190)는 상기 레일(191)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레일(191)을 중심으로 중앙부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절곡홈(192)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절곡홈(192)은 ‘V’자 형상으로 상기 레일(191)을 중심으로 양측면에 대칭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절곡홈(192)은 또한, 상기 배출홀(132)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일례로, 상기 사용자의 흡기 운동시에 흡기의 유속이 기준값을 초과하는 유속에 도달하면, 흡기 운동의 효율성이 감소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흡기의 속도가 2 내지 3초 사이에 4L에 도달하게 되면, 흡기 운동의 효율성이 감소하게 되며, 6 내지 8초 가량 흡기를 수행하여 4L에 도달하는 것이 흡기 운동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절곡홈(192)이 ‘V’자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흡기 운동 시, 상기 사용자의 흡기의 속도를 낮춰주는 역할을 하여, 보다 더 효율적으로 흡기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Next, the flow rate gauge 120 is provided. The flow velocity gauge 120 is provided inside the flow velocity guide guide 190 provided between the upper plate portion 140 and the lower plate portion 150. More specifically, the flow rate gauge guide 190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piston guide 130. In addition, the flow rate gauge guide 190 includes a rail 191 that allows the flow rate gauge 120 to be elevated by the user's intake or exhalation. Therefore, when inhaling or exhaling the user, the flow rate gauge 120 is provided to be able to measure the speed of the inhalation or exhalation of the user by elevating along the rail 191. The flow rate gauge 120 performs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absorber's lung capacity according to the KFDA performance evaluation recommendation criteria, and measures it with a flow sensor by introducing / inhaling 4L of air through an air compressor. In addition, the flow rate gauge guide 190 may extend along the rail 191, a pair of bending grooves 192 may be provided that is formed by bending the central portion around the rail 191. The bending groove 192 is formed in a 'V' shape to be symmetrical to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rail 191. The bending groove 192 is also formed to surround the discharge hole 132. For example, if the flow rate of the intake air reaches a flow rate exceeding a reference value during the intake exercise of the user, the efficiency of the intake exercise decreases. In more detail, when the speed of inspiration reaches 4L between 2 and 3 seconds, the efficiency of the intake exercise is reduced, and performing intake for 6 to 8 seconds to reach 4L effectively performs the inspiration exercise. Can be. Therefore, the bending groove 192 is formed in the shape of a 'V', and thus serves to lower the speed of the intake of the user during the intake exercise of the user, so that the intake exercise can be performed more efficiently. .

다음으로, 상기 마우스피스모듈(200)이 마련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마우스피스모듈(200)은 호흡운동용 마우스피스모듈(210)과 호흡측정용 마우스피스모듈(220)을 포함한다.Next, the mouthpiece module 200 is provided. 2, the mouthpiece module 200 includes a mouthpiece module 210 for breathing exercise and a mouthpiece module 220 for measuring breathing.

먼저, 상기 호흡운동용 마우스피스모듈(210)은 호흡운동 시, 상기 사용자의 구강에 삽입되는 유입구(211)와 상기 유입구(211)의 하부에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마우스피스 본체(212)와 상기 마우스피스 본체(212)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에 결합되는 마우스피스 결합부(213)를 포함한다. 상기 유입구(211)은 호흡운동 시, 상기 사용자의 구강에 삽입되어 상기 사용자의 흡기나 호기가 상기 피스톤가이드(130)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유입구(211)는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의 체액이 다른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분리 결합이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유입구(211)는 상기 마우스피스 본체(212)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First, the mouthpiece module 210 for the breathing exercise, the mouthpiece body 212 and the mouthpiece body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t the bottom of the inlet 211 and the inlet 211 is inserted into the mouth of the user during breathing exercise, and It includes a mouthpiece engaging portion 213 is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mouthpiece body 212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100. The inlet 211 is inserted into the mouth of the user during breathing exercise, so that the intake or exhalation of the user can flow to the piston guide 130. The inlet 211 is formed of a material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is formed to facilitate separation and coupling to prevent the user's body fluids from being transmitted to other users. That is, the inlet 211 may be selectively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mouthpiece body 212.

또한, 상기 마우스피스 본체(212)는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마우스피스 본체(212)의 내부에는 호흡강화기기(2121)가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호흡강화기기(2121)는 상기 사용자의 흡기나 호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유동관(2122)과 상기 유동관(2122)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기(2123)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mouthpiece body 212 forms an empty space therein, and a breath-enhancing device 2121 may be provided inside the mouthpiece body 212. More specifically, the breathing apparatus 2121 includes a flow pipe 2122 and a pressure regulator 2123 for adjusting the pressure inside the flow pipe 2122 to allow the user's intake or exhalation to flow.

또한, 상기 마우스피스 본체(212)는 탄성소재로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사용 시, 상기 사용자의 구강에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마우스피스 본체(212)는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사용 시, 상기 사용자의 구강에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본체부(100)의 움직임 없이 상기 유입구(211)가 상기 사용자의 구강에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하여, 호흡운동이나 호흡측정을 보다 더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mouthpiece body 212 is formed to be rotatable with an elastic material, so that, when used, it can easily reach the mouth of the user. In addition, the mouthpiece body 212 is formed to be adjustable in length, so that, when used, it can easily reach the user's mouth. That is, by allowing the inlet 211 to easily reach the user's mouth without movement of the main body 100, it is possible to perform breathing exercise or breath measurement more smoothly.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마우스피스 결합부(213)는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에 마련되는 연결홀(170)에 결합된다. 즉, 상기 사용자의 흡기나 호기가 상기 피스톤가이드(130) 내부로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마우스피스 결합부(213)를 상기 연결홀(170)에 결합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홀(170)을 사용하지 않을 시, 상기 연결홀(170)을 통해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로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18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홀(170)은 다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100)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180)는 상기 피스톤가이드(13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110)이 급격히 승강하여 충돌하더라도 상기 피스톤(110)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완충작용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7, the mouthpiece coupling portion 213 is coupled to a connection hole 17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100. That is, the mouthpiece coupling part 213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hole 170 so that the user's intake or exhalation flows into the piston guide 130. In addition, when the connection hole 170 is not used, a cover 180 may be further provided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connection hole 170. . In addition, a plurality of the connection holes 170 may be provided, and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0,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cover 180 is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piston guide 130, so that the piston 110 can be cushioned to minimize damage to the piston 110 even if it is suddenly raised and collided. .

다음으로, 상기 호흡측정용 마우스피스모듈(220)은 호흡측정 시, 상기 사용자의 구강에 삽입되는 유입구(221)와 상기 유입구(221)의 하부에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마우스피스 본체(222)와 상기 마우스피스 본체(222)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에 결합되는 마우스피스 결합부(223)를 포함한다. 상기 유입구(221)은 호흡측정 시, 상기 사용자의 구강에 삽입되어 상기 사용자의 흡기나 호기가 상기 피스톤가이드(130)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유입구(221)는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의 체액이 다른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상기 위해 분리 결합이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유입구(221)는 상기 마우스피스 본체(222)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Next, the mouthpiece module 220 for measuring breathing, when measuring breathing, the mouthpiece body 222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under the inlet 221 and the inlet 221 is inserted into the mouth of the user and It includes a mouthpiece engaging portion 223 is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mouthpiece body 222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100. The inlet 221 is inserted into the user's mouth during respiratory measurement, so that the user's intake or exhalation can flow to the piston guide 130. The inlet 221 is formed of a material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is formed to facilitate separation and coupling to prevent the user's body fluids from being transmitted to other users. That is, the inlet 221 may be selectively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mouthpiece body 222.

또한, 상기 마우스피스 본체(222)는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마우스피스 본체(222)의 내부에는 필터(2221)가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필터(2221)는 화학 합성섬유, 천연섬유, 기타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필터부(2221)는 상기 유입구(221)를 통과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유해물질 등을 필터링하여 깨끗한 공기만 상기 피스톤가이드(130)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서, 청결한 사용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필터부(2221)는 상기 사용자의 호흡을 필터링하여 보다 더 정확한 호흡의 측정이 가능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mouthpiece body 222 forms an empty space therein, and a filter 2221 may be provided inside the mouthpiece body 222. In more detail, the filter 2221 may be made of chemical synthetic fibers, natural fibers, and various other materials. The filter unit 2221 filters foreign substances and harmful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inlet 221 so that only clean air is delivered to the piston guide 130, thereby enabling clean use. In addition, the filter unit 2221 filters the user's breathing to enable more accurate measurement of breathing.

다음으로, 상기 마우스피스 본체(222)는 탄성소재로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사용 시, 상기 사용자의 구강에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마우스피스 본체(222)는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사용 시, 상기 사용자의 구강에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본체부(100)의 움직임 없이 상기 유입구(221)가 상기 사용자의 구강에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하여, 호흡운동이나 호흡측정을 보다 더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Next, the mouthpiece body 222 is formed to be rotatable with an elastic material, so that, when used, it can easily reach the mouth of the user. In addition, the mouthpiece body 222 is formed to be adjustable in length, so that, when used, it can easily reach the user's mouth. That is, by allowing the inlet 221 to easily reach the user's mouth without movement of the main body 100, it is possible to perform breathing exercise or breath measurement more smoothly.

또한, 상기 마우스피스 결합부(223)는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에 마련되는 연결홀(170)에 결합된다. 즉, 상기 사용자의 흡기나 호기가 상기 피스톤가이드(130) 내부로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마우스피스 결합부(223)를 상기 연결홀(170)에 결합시키는 것이다.In addition, the mouthpiece coupling portion 223 is coupled to a connection hole 17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100. That is, the mouthpiece coupling part 223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hole 170 so that the user's intake or exhalation flows into the piston guide 130.

다음으로, 상기 피스톤가이드(130)는 상기 피스톤가이드(130)의 외주면 일측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다수개의 눈금홈(131)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다수개의 눈금홈(131)은, 상기 피스톤(110)의 승강정도가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다수개의 눈금홈(131)은 상기 사용자의 흡기나 호기시에, 상기 피스톤(110)의 위치를 시각을 통해 보다 더 정확하게 상기 사용자의 흡기량이나 호기량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다수개의 눈금홈(131)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상기 사용자의 흡기량이나 호기량을 파악할 수 있어, 지속적인 호흡운동 시, 상기 사용자의 폐활량이 증가하는 것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흡기와 호기 모두 상기 피스톤(110)이 동일한 방향으로 상승하도록 하여, 상기 사용자의 흡기량과 호기량을 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Next, the piston guide 130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graduation grooves 131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ston guide 130, and the plurality of graduation grooves 131 include the piston ( 110) can be displayed.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graduation grooves 131 allow the user to recognize the intake amount or exhalation amount of the user more accurately through time when the user is inhaled or exhaled through the time. That is, it is possible to easily grasp the intake amount or exhalation amount of the user by using the plurality of graduation grooves 131, and there is an advantage of visually confirming that the user's lung capacity increases during continuous breathing exercise. In addition, both the intake and exhalation are such that the piston 110 rises in the same direction, so that the user's intake and exhalation amounts can be easily checked with eyes.

다음으로, 상기 피스톤가이드(130)는, 상기 사용자의 흡기 또는 호기에 의해 승강된 상기 피스톤(110)이 초기위치로 승강될 수 있도록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홀(132)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홀(132)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홀(132)은 상기 사용자의 흡기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실제 부피가 대비 수용하는 유량의 양을 맞추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배출홀(132)은 다수개로 마련된다. 먼저, 상기 배출홀(132)은 상기 피스톤가이드(130)의 하부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배출홀(132)의 개방 시, 상기 피스톤(110)이 초기위치로 승강되도록 한다. 즉, 상기 사용자의 흡기나 호기 시에는 상기 배출홀(132)이 막혀있는 상태로 상기 사용자의 흡기나 호기가 상기 피스톤(110)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의 흡기나 호기 후에는 상기 배출홀(132)을 개방시켜, 상기 피스톤(110)이 초기위치로 승강되도록 하는 것이다.Next, the piston guide 130 further includes a discharge hole 132 for discharging internal air to the outside so that the piston 110 elevated by the user's intake or exhalation can be elevated to an initial position. And, the discharge hole 132 may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as necessary. In addition, the discharge hole 132 allows the user's intake air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serves to match the amount of flow rate that the actual volume accommodates. In more detail, referring to FIG. 6,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132 are provided. First, the discharge hole 132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piston guide 130, and when the discharge hole 132 is opened, the piston 110 is elevated to the initial position. That is, during the intake or exhalation of the user, the intake or exhalation of the user is allowed to elevate the piston 110 while the discharge hole 132 is blocked, and after the intake or exhalation of the user By opening the hole 132, the piston 110 is to be elevated to the initial position.

또한, 상기 배출홀(132)은 상기 피스톤가이드(130)의 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피스톤가이드(130)의 상부를 향할수록 상기 배출홀(132)의 지름이 점점 증가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홀(132)이 상기 피스톤가이드(130)의 상부를 향할수록 상기 배출홀(132)의 지름이 점점 증가하도록 배열되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배출홀(132)의 일부를 차폐하여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상기 피스톤가이드(130) 내에 높은 압력을 유지해야할 경우, 상기 배출홀(132) 중 지름이 큰 배출홀(132)을 다수 차폐하고, 상기 피스톤가이드(130) 내에 낮은 압력을 유지해야할 경우, 상기 배출홀(132) 중 지름이 작은 배출홀(132)을 차폐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다수개의 배출홀(132)을 모두 차폐하거나 개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In addition, the discharge hole 132 may be arranged to gradually increase the diameter of the discharge hole 132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piston guide 130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ide surface of the piston guide 130. At this time, the discharge hole 132 is arranged to gradually increase in diameter of the discharge hole 132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piston guide 130, optionally shielding a part of the discharge hole 132 as needed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ressure can be adjusted. That is, when it is necessary to maintain a high pressure in the piston guide 130, if a large number of discharge holes 132 of the discharge hole 132 is shielded, and when the low pressure must be maintained in the piston guide 130, It is possible to shield the discharge hole 132 having a small diameter among the discharge holes 132. It is natural that all of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132 may be shielded or opened.

또한, 상기 배출홀(132)은 상기 유속게이지(12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속게이지(120)의 하부에 구비된 배출홀(132)은 상대적으로 지름이 더 크게 마련되며, 상기 사용자의 흡기 또는 호기 운동 시에 보다 더 용이하게 상기 피스톤(110)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사용자의 흡기 또는 호기 운동에 의해 상기 피스톤(110)이 승강하면서 상기 피스톤가이드(130) 내의 공기를 밀어내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출홀(132) 또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차폐하여 운동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charge hole 132 may be provided under the flow rate gauge 120. The discharge hole 132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low rate gauge 120 is provided with a relatively larger diameter, and makes it easier to elevate the piston 110 when the user intakes or exhales. . That is, the piston 110 is moved up and down by the user's intake or exhalation movement, thereby pushing out the air in the piston guide 130 and discharging it to the outside. The discharge hole 132 may also be selectively opened or shielded as necessary to control the exercise intensity.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마우스피스모듈(200)을 통한 상기 사용자의 흡기 또는 호기의 압력 및 유량을 측정하는 센서부(300)와 상기 센서부(300)의 측정값을 전송받아 실시간으로 저장하고, 상기 측정값을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의 호흡을 분석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일정을 제공하는 제어부(400)와 상기 제어부(400)의 분석결과와 운동일정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500)를 더 포함한다.Next, referring to FIG. 8, the sensor unit 300 measuring the pressure and flow rate of the intake or exhalation of the user through the mouthpiece module 200 and the measured values of the sensor unit 300 are transmitted in real time. Save, and analyzes the user's breath based on the measured value, the control unit 400 to provide a suitable exercise schedule for the user and the display unit 500 for outputting the analysis results and exercise schedule of the control unit 400 ).

먼저, 상기 센서부(300)가 마련된다. 상기 센서부(3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마우스피스모듈(20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즉, 상기 센서부(300)는 상기 사용자의 흡기나 호기의 압력 및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든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300)는 상기 사용자의 흡기나 호기의 압력 및 유량을 측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례로, 상기 센서부(300)는 상기 사용자의 폐활량을 측정하는 압력센서로 상기 피스톤(11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300)는 상기 사용자의 폐활량을 측정하는 압력센서로 상기 마우스피스모듈(200)의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First, the sensor unit 300 is provided. The sensor unit 30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it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outhpiece module 200. In addition, that is, the sensor unit 300 may be provided in any form as long as it can measure the pressure and flow rate of the intake or exhalation of the user. In addition, the sensor unit 300 serves to measure the pressure and flow rate of the intake or exhalation of the user. For example, the sensor unit 300 may be provided under the piston 110 as a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the user's lung capacity. In addition, the sensor unit 300 may be provided at an end of the mouthpiece module 200 as a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the user's lung capacity.

그리고, 상기 센서부(300)는 상기 센서부(300)의 충전상태, 작동상태 등을 나타내는 발광부(도면 미도시)와 상기 센서부(300)에 전력을 공급하는 공급부(도면 미도시) 및 블루투스, 와이파이, NFC 등과 같은 무선통신모듈(도면 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nsor unit 300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not shown in the drawing) and a supply unit (not shown in the figure) for supplying power to the sensor unit 300 indicating a charging state, an operating state, etc. of the sensor unit 300, and It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such as Bluetooth, Wi-Fi, NFC.

보다 상세하게, 상기 발광부는 LED 등으로 형성되어 상기 센서부(300)의 충전상태나, 작동상태 등에 따라 색을 달리하여 발광함으로써 상기 센서부(300)의 상태를 상기 사용자가 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평시에는 발광하지 않다가 상기 사용자가 흡기 또는 호기를 측정 시, 상기 발광부가 기설정된 색으로 발광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흡기 또는 호기가 측정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In more detail, the light emitting unit is formed of an LED or the like, and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state of the sensor unit 300 by emitting light by changing colors according to a charging state or an operating state of the sensor unit 300. Make it possible. For example, when the user does not emit light during normal times and the user measures inspiration or exhalation, the light emitting unit emits light in a predetermined color, so that the user's inhalation or exhalation can be checked.

다음으로,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대표적으로, 블루투스 칩, 와이파이 칩, NFC 칩, 무선 통신 칩(LTE 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근거리 통신 방식인 블루투스 칩을 이용하여 외부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지만, 이는 한 예시일뿐, 원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Next,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s provided to transmit and receive wireless signals with one or more external devices, and typically,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luetooth chip, a Wi-Fi chip, an NFC chip,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chip (LTE chip). ha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perform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terminal using a Bluetooth chip, which is a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is performed using a remote communication method. can do.

다음으로, 상기 공급부는 전원 제공을 위해 내장된 충전 가능한 하나 이상의 배터리로 형성되거나, 외부 전력을 유선으로 공급받을 수 있는 전원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supply unit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rechargeable battery built in to provide power, or may include a power module capable of receiving external power by wire.

또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센서부(300)는 상기 피스톤가이드(130)의 하부에 구비되는 본체부감지모듈(310)과 상기 마우스피스모듈(200)의 단부에 구비되는 마우스피스감지모듈(32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감지모듈(310)과 마우스피스감지모듈(320)은 상기 사용자의 흡기 또는 호기의 압력 또는 유량을 측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본체부감지모듈(310)과 마우스피스감지모듈(320)은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사용자의 흡기 또는 호기의 압력 또는 유량을 측정한 후 측정값을 상기 제어부(400)로 전송한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6 and 7, the sensor unit 300 is a mouse provided at an end of the main body detection module 310 and the mouthpiece module 200 provided below the piston guide 130. It includes a piece detection module 320. The main body detection module 310 and the mouthpiece detection module 320 serve to measure the pressure or flow rate of the intake or exhalation of the user. That is, the main body detection module 310 and the mouthpiece detection module 320 are provid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fter measuring the pressure or flow rate of the intake or exhalation of the user, and transmits the measured value to the control unit 400 do.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400)가 마련된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센서부(300)의 측정값을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의 호흡을 분석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일정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의 호흡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디바이스에 운동일정 관리, 운동상태 피드백, 운동결과 분석, 호흡운동에 의한 칼로리 소모량 및 호흡운동게임이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를 제어할 수 있다.Next, the control unit 400 is provided. The control unit 400 analyzes the user's breath based on the measured value of the sensor unit 300 and serves to provide a suitable exercise schedule for the user.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based on the user's breathing information, exercise schedule management, exercise status feedback, exercise result analysis, calorie consumption by breathing exercise on a device such as the user's smartphone And the display unit 500 so that the breathing exercise game can be output.

다음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500)가 마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는 상기 제어부(400)의 분석결과와 운동일정을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센서부(300)에 의해 산출된 값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폐활량을 디지털수치로 표기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400)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디바이스에 운동일정 관리, 운동상태 피드백, 운동결과 분석 및 호흡운동게임을 출력할 수 있다.Next, the display unit 500 is provided. The display unit 500 serves to output an analysis result and an exercise schedule of the control unit 400. That is, the user's lung capacity can be expressed as a digital value through a value calculated by the sensor unit 300, and the exercise schedule management and exercise status are managed by the control unit 400 on a device such as the user's smartphone. It can output feedback, exercise result analysis, and breathing exercise game.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500)의 스마트 앱과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어부(400)의 운동일정 관리, 운동상태 피드백, 운동결과 분석 및 호흡운동게임을 실시간으로 전달받아 확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 앱을 실행하여 로그인을 한 이후, 도 9의 (a)와 같은 호흡 운동 게임을 실행할 수 있고, 도 9의 (b)와 같은 최대흡기압 및 최대호기압을 측정할 수 있으며, 도 9의 (c)와 같이 상기 사용자의 사용기록을 조회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9, the control unit 400 interlocks with the smart app of the display unit 500 so that the user can manage the exercise schedule of the control unit 400, exercise status feedback, exercise result analysis, and breathing exercise game You can receive and check in real time. As an example, after the user logs in by executing the smart app, a breathing exercise game such as (a) of FIG. 9 may be executed, and the maximum inhalation pressure and the maximum exhalation pressure as shown in FIG. 9 (b) may be measured. In addition, as shown in (c) of FIG. 9, the user's usage record may be inquired.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마우스피스감지모듈(320)은 상기 마우스피스감지모듈(320)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의 흡기 또는 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홀부(3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우스피스감지모듈(320)은 상기 마우스피스감지모듈(32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 복수개의 돌출부(3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ure 10, the mouthpiece detection module 320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radially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outhpiece detection module 320, the hole portion for discharging the intake or exhaust of the user to the outside ( 321). In addition, the mouthpiece detection module 32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322 provided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uthpiece detection module 320.

그리고, 상기 호흡운동용 마우스피스모듈(210)은 상기 호흡운동용 마우스피스모듈(210)과 마우스피스감지모듈(320)을 결합하는 연결부(214)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215)는 상기 호흡운동용 마우스피스모듈(210)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복수개로 구비되는 홈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uthpiece module 210 for the breathing exercise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214 for coupling the mouthpiece module 210 for breathing exercise and the mouthpiece detection module 320, and the connecting portion 215 is the breathing It may include a groove 215 provided in a plurality in the radial direction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xercise mouthpiece module 210.

또한, 상기 홈부(215)는 상기 돌출부(322)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돌출부(322)가 상기 홈부(215)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호흡운동용 마우스피스모듈(210)과 상기 마우스피스감지모듈(320)이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돌출부(322)는 탄성소재로 형성되거나, 외력에 의해 상기 마우스피스감지모듈(320)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the groove portion 215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protrusion 322. That is, by inserting the protrusion 322 into the groove 215, the mouthpiece module 210 for breathing exercise and the mouthpiece detection module 320 are combined. The protrusion 322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or is formed to be drawn into or out of the mouthpiece detection module 320 by external force.

이때, 상기 홀부(321)를 외부로 노출시킨 상태로 상기 호흡운동용 마우스피스모듈(210)과 상기 마우스피스감지모듈(320)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흡기 또는 배기의 일부분이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여, 호흡운동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도 10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214)가 상기 마우스피스감지모듈(320)의 기저부에 근접하게 삽입되어 상기 홀부(32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상기 홀부(32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의 흡기 또는 배기가 유출되지 않아 호흡운동의 강도는 상대적으로 낮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214)가 상기 마우스피스감지모듈(320)의 단부에 근접하게 삽입되어 상기 홀부(321)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상기 홀부(321)가 외부로 노출되면, 상기 사용자의 흡기 또는 배기의 일부분이 외부로 유출되어 호흡운동의 강도는 상대적으로 높다고 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hole portion 321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mouthpiece module 210 for breathing exercise and the mouthpiece detection module 320 are combined, so that a portion of the user's intake or exhaust flows out. By doing so, the intensity of the breathing exercise can be adjusted. For example, referring to (a) of FIG. 10, the connection portion 214 is inserted close to the base portion of the mouthpiece detection module 320 to indicate that the hole portion 321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hole portion 321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e intake or exhaust of the user does not leak, so it can be said that the intensity of the breathing exercise is relatively low. In addition, referring to (b) of FIG. 10, the connection portion 214 is inserted close to an end of the mouthpiece detection module 320 to indicate a state in which the hole portion 321 is exposed to the outsid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hole portion 321 is exposed to the outside, a portion of the intake or exhaust of the us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so the intensity of the breathing exercise can be said to be relatively high.

즉, 상기 사용자의 흡기 또는 배기의 일부분이 상기 센서부(300)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센서부(300)가 감소된 흡기 또는 배기를 측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홀부(321)를 외부로 노출시킴으로써, 호흡운동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홀부(321)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개폐부재(도면 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개폐부재는 개별적으로 상기 다수개의 홀부(321) 중 일부분을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다수개의 홀부(321)가 외부로 노출되어 호흡운동의 강도가 높은 경우에, 상기 개폐부재가 개별적으로 상기 다수개의 홀부(321) 중 특정 홀부(321)를 개폐함으로써, 호흡운동의 강도를 보다 더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That is, a portion of the intake or exhaust of the user is not transmitted to the sensor unit 300, so that the sensor unit 300 measures the reduced intake or exhaust. Thus, by exposing the hole portion 321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intensity of the respiratory movement. In addition, an opening / closing member (not shown) may be provided to selectively open / close the plurality of hole portions 321 as necessary. That is,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provided to open and close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hole portions 321 individually. Therefore, when the plurality of hole portions 321 are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intensity of the breathing exercise is high,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ndividually opens and closes a specific hole portion 321 of the plurality of hole portions 321, thereby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breathing exercise. Can be adjusted more finely.

다음으로,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마우스피스모듈(200)은, 상기 사용자의 흡기 또는 호기가 상기 센서부(300)로 유동되는 양을 조절하는 조절홀(33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홀(330)은, 상기 사용자의 호흡 측정 시, 폐쇄되어 상기 사용자의 흡기 또는 호기가 상기 센서부(300)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의 호흡 운동 시, 개방되어 상기 사용자의 흡기 또는 호기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여, 상기 호흡 운동의 강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12의 (a)와 같이 상기 마우스피스감지모듈(320)을 상기 마우스피스 본체(212)의 길이방향을 축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조절홀(330)이 폐쇄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흡기 또는 호기가 유출되지않고 온전히 상기 센서부(300)로 유동하여, 상기 사용자의 흡기 또는 호기의 양이 정확히 측정될 수 있도록 한다. 반면에, 도 12의 (b)와 같이 상기 마우스피스감지모듈(320)을 상기 마우스피스 본체(212)의 길이방향을 축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조절홀(330)이 개방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흡기 또는 호기의 일부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호흡운동의 강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조절홀(330)이 개방된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호흡운동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더 효율적인 호흡운동을 가능하게 한다.Next, referring to Figure 12, the mouthpiece module 200, the user's intake or exhalation further comprises an adjustment hole 330 for adjusting the amount of flow to the sensor unit 300, the adjustment The hole 330 is closed when measuring the user's breathing, and allows the user's inhalation or exhalation to flow to the sensor unit 300, and when the user's breathing exercise is open, the user's inhalation or exhalation Is to flow out, so that the intensity of the breathing exercise can be adjusted. That is, when the adjustment hole 330 is closed by rotating the mouthpiece detection module 3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uthpiece main body 212 as an axis, as shown in FIG. Alternatively, the exhalation flows completely to the sensor unit 300 without leaking, so that the amount of intake or exhalation of the user can be accurately measur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adjustment hole 330 is opened by rotating the mouthpiece detection module 3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uthpiece main body 212 as an axis, as shown in FIG. By allowing a part of inhalation or exhalation to flow ou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intensity of the user's breathing exercise. As a result, by adjusting the degree to which the adjustment hole 330 is opene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intensity of the breathing motion of the user, thereby enabling more efficient breathing motion.

또한, 상기 조절홀(330)의 상부에는 상기 마우스피스 본체(212) 내부에 습도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2221)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호흡운동 및 호흡측정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호기를 측정할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호기로 인해 상기 마우스피스 본체(212) 내부의 습도가 높아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2221)가 구비되어 상기 마우스피스 본체(212) 내부의 습기를 제거함으로써, 보다 더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a filter 2221 may be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adjustment hole 330 to prevent the humidity from increasing inside the mouthpiece body 212. The portable breathing exercise and breath meas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measure the exhalation of the user,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humidity inside the mouthpiece body 212 may be increased due to the exhalation of the user. Therefore, the filter 2221 is provided to remove moisture inside the mouthpiece body 212, so that it can be used more hygienically.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호흡운동 및 호흡측정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breathing exercise and breath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상기 연결홀(170)에 상기 마우스피스모듈(200)을 결합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상기 호흡운동용 마우스피스모듈(210) 혹은 상기 호흡측정용 마우스피스모듈(220)을 결합할 수 있다.First, the mouthpiece module 200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hole 170. In this case, the mouthpiece module 210 for breathing exercise or the mouthpiece module 220 for breathing measurement may be combin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user.

이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호흡운동용 마우스피스모듈(210)을 상기 연결홀(170)에 결합시킨 경우, 상기 유입구(211)를 상기 사용자의 구강에 위치시킨 후, 상기 유입구 방향으로 흡기 또는 호기를 주입한다.Thereafter, when the user combines the mouthpiece module 210 for the breathing exercise with the connection hole 170, after placing the inlet 211 in the mouth of the user, intake or exhalation in the direction of the inlet Infuse.

이때, 도 4를 참조하면, 흡기 측정 시, 상기 사용자의 흡기로 인해 상기 피스톤(110)과 유속게이지(120)가 상승하게 된다. 즉, 상기 사용자의 흡기가 상기 피스톤(110)과 유속게이지(120)를 밀어 올리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피스톤(110)은 고무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가이드(130)와의 마찰력이 상기 피스톤(110)의 자중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의 흡기에 의해 승강된 상기 피스톤(110)은 상기 사용자의 흡기가 중단되더라도 상기 피스톤(110)과 피스톤가이드(130)의 마찰에 의해 그 위치에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후,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연결홀(170)이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부(100)를 뒤집은 상태로 상기 사용자의 호기를 측정한다. 즉, 상기 손잡이(160)가 동일한 형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본체부(100)의 중앙 종단면을 기준으로 180도 회전시키는 것이다. 이후, 상기 사용자의 호기에 의해 상기 피스톤(110)이 다시 상승하게 되며 이를 측정하여 상기 사용자의 흡기와 호기의 양을 비교 측정한다. 즉, 상기 사용자의 흡기로 인해 상승한 상태의 상기 피스톤(110)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호기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흡기와 호기의 양을 비교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referring to Figure 4, when measuring the intake, the piston 110 and the flow rate gauge 120 is increased due to the intake of the user. That is, the intake of the user pushes the piston 110 and the flow rate gauge 120 up. At this time, the piston 110 is formed of a rubber material, the friction force with the piston guide 130 is formed larger than the weight of the piston 110. Therefore, the piston 110 raised and lowered by the user's intake is to remain stationary at that position due to friction between the piston 110 and the piston guide 130 even when the user's intake is stopped. Thereafter, referring to FIG. 5, the user measures the exhalation of the user with the body portion 100 turned over so that the connection hole 170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That is, the handle 160 is rotated 180 degrees relative to the central longitudinal section of the main body 100 to maintain the same shape. Thereafter, the piston 110 is raised again by the user's exhalation, and this is measured to compare and measure the amount of intake and exhalation of the user. That is, by measuring the exhalation of the user using the piston 110 in an elevated state due to the intake of the user, it is possible to compare the intake and the amount of exhalation of the user.

결과적으로, 상기 사용자의 흡기에 의해 승강된 상기 피스톤(110)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100)를 회동시킨 후, 상기 사용자의 호기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피스톤(100)의 위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흡기와 호기를 나누어 운동하거나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사용자의 흡기와 호기의 양을 비교할 수 있으며, 호흡측정 시, 상기 사용자의 흡기와 호기를 나누어 측정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흡기와 호기에 대한 보다 더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며, 호흡운동 시, 상기 사용자의 흡기와 호기를 나누어 운동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흡기와 호기 중 상대적으로 호흡양이 적은 부분을 선택하여 집중적으로 운동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a result, after the piston 110 lifted by the user's intake is stopped, the main body 100 is rotated, and then the user's exhalation is measured to measure the position of the piston 100. Divide the user's inspiration and exhalation so that they can exercise or measure. That is, the amount of inhalation and exhalation of the user can be compared, and when measuring breathing, the user's inhalation and exhalation can be measured by dividing it, thereby enabling a more accurate measurement of the user's inhalation and exhalation. By dividing and exercising the user's intake and exhalation, there is an advantage of selecting a portion of the user's intake and exhalation that has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breath and exercising intensively.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호흡운동 및 호흡측정장치의 상기 제어부(400) 및 디스플레이부(500)의 동작 예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400 and the display unit 500 of the portable breathing exercise and breath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도 13 및 14를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500)의 화면을 통해 상기 제어부(400)에 사용자 정보를 등록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 정보는 복수개로 구분되어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정보를 등록한 후, 상기 사용자는 게임, 진단, 기록 탭을 실행하여 호흡운동 및 호흡측정을 진행한다.First, referring to FIGS. 13 and 14, the user registers user information with the control unit 400 through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500. At this time, the user information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and stored. After registering the user information, the user executes a game, diagnosis, and record tab to perform breathing exercise and breath measurement.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가 게임 탭을 실행한 경우 복수개의 게임 중 실행하고자 하는 게임을 선택한다. 일례로, 게임의 진행은 개인전, PC대전, PVP(사람 대전)를 선택하여 게임을 진행한다. 게임은 기본적으로 상기 사용자의 흡기 및 호기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500) 내의 캐릭터가 상승 및 하강하여 장애물을 피하고 과일 등을 획득하며 진행한다. 이후, 게임이 끝이나면 호흡 결과를 일례로, 압력 그래프 결과(압력/시간) 및 점수 결과(과일 점수, 남은 에너지) 등으로 출력되어 상기 사용자가 결과를 볼 수 있도록 한다.15, when the user executes the game tab, a game to be played is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games. In one example, the game proceeds by selecting an individual match, a PC match, or a PVP (person match). The game basically proceeds with the characters in the display unit 500 rising and falling according to the intake and exhalation of the user, avoiding obstacles, and acquiring fruits. Then, when the game ends, the breathing result is output as an example, a pressure graph result (pressure / time) and a score result (fruit score, energy remaining), so that the user can view the result.

다음으로,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가 진단 탭을 실행한 경우 최고기록, 평균기록과 같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일례로, 최근 5회 호흡운동 및 측정값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가로축은 시간, 세로축은 압력에 해당하는 그래프를 산출하여 평균값을 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최근 호흡운동 및 측정값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산출된 그래프를 파일로 자동 저장하여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산출된 그래프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장점 및 단점을 출력하고, 최적의 호흡을 수행한 그래프 형상을 재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Next, referring to FIG. 16, when the user executes the diagnostic tab, information such as the highest record and the average record can be checked, and for example, the recent five respiration exercises and measurement values can be output. In addition,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he time, and the vertical axis calculates the graph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so that the average value can be calculated, so that the recent respiratory movements and measured values can be viewed at a glance. Then, the calculated graph is automatically saved as a file so that it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Lastly, by analyzing the calculated graph, the user's strengths and weaknesses are output, and a method for reproducing the shape of the graph with optimal breathing is proposed.

다음으로, 도 17 및 18을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가 기록 탭을 실행한 경우 현재까지 저장된 호흡운동 및 측정값을 시간별로 볼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2019.09.09. 10:00:00, 운동시간 30sec를 클릭할 시, 최대흡기압력, 흡기압력평균, 최대호기압력, 호기압력평균, 총 운동시간과 같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호흡운동 및 측정은 3초 이상 운동하면 자동으로 기록이 저장되도록 한다.Next, referring to FIGS. 17 and 18, when the user executes the recording tab, it is possible to view the respiratory movements and measured values stored so far by time. As an example, 2019.09.09. When you click 10:00:00, exercise time 30sec, you can check information such as maximum intake pressure, intake pressure average, maximum exhalation pressure, exhalation pressure average, total exercise time. At this time, the breathing exercise and the measurement is automatically recorded if the exercise is performed for 3 seconds or more.

결과적으로, 상기 제어부(400) 및 디스플레이부(500)가 동작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보다 더 호흡운동 및 측정을 지루하지 않게 지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아이들의 경우 관심을 가지고 호흡운동 및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As a result, the control unit 400 and the display unit 500 are operated, so that the user can continuously proceed with breathing and measurement more boringly, and in the case of children, breathing exercises and measurements can be made with interest. It has the advantage of making it possible.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It should be construed that any altered or modified form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is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본체부
110 : 피스톤
111 : 필름
112 : 중심홈
113 : 중심돌기
114 : 동심원돌기
120 : 유속게이지
130 : 피스톤가이드
131 : 눈금홈
132 : 배출홀
140 : 상판부
150 : 하판부
160 : 손잡이
170 : 연결홀
180 : 커버
190 : 유속게이지가이드
191 : 레일
192 : 절곡홈
200 : 마우스피스모듈
210 : 호흡운동용 마우스피스모듈
211 : 유입구
212 : 마우스피스 본체
2121 : 호흡강화기기
213 : 마우스피스 결합부
214 : 연결부
215 : 홈부
220 : 호흡측정용 마우스피스모듈
221 : 유입구
222 : 마우스피스 본체
2221 : 필터
223 : 마우스피스 결합부
224 : 필터부
300 : 센서부
310 : 본체부감지모듈
320 : 마우스피스감지모듈
321 : 홀부
322 : 돌출부
400 : 제어부
500 : 디스플레이부
100: main body
110: piston
111: film
112: center groove
113: center projection
114: concentric circles
120: flow rate gauge
130: piston guide
131: Graduation groove
132: discharge hole
140: top plate
150: lower part
160: handle
170: connecting hole
180: cover
190: Flow rate gauge guide
191: Rail
192: Bending groove
200: mouthpiece module
210: Mouthpiece module for breathing exercise
211: inlet
212: Mouthpiece body
2121: Breathing apparatus
213: mouthpiece coupling
214: connection
215: home part
220: mouthpiece module for respiratory measurement
221: inlet
222: mouthpiece body
2221: filter
223: mouthpiece coupling
224: filter unit
300: sensor unit
310: main body detection module
320: Mouthpiece detection module
321: hole
322: protrusion
400: control unit
500: display unit

Claims (5)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마우스피스모듈; 및
상기 마우스피스모듈을 통한 사용자의 흡기 또는 호기의 압력 및 유량을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판부;
상기 상판부와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하판부;
상기 상판부와 하판부의 외주면에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
상기 상판부와 하판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연결홀;
상기 연결홀에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커버;
정지상태에서 상기 마우스피스모듈을 통한 상기 사용자의 흡기 또는 호기에 따라 승강되는 피스톤;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의 승강을 안내하는 피스톤가이드; 및
상기 마우스피스모듈을 통한 상기 사용자의 흡기 또는 호기에 따라 승강하는 유속게이지;를 포함하며,
상기 유속게이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유속게이지가이드;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유속게이지가이드는,
상기 유속게이지가 상기 사용자의 흡기 또는 호기에 의한 승강을 안내하는 레일; 및
상기 레일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레일을 중심으로 중앙부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절곡홈;을 포함하며,
상기 마우스피스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구강에 삽입되는 유입구;
상기 유입구의 하부에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마우스피스 본체; 및
상기 마우스피스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마우스피스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우스피스 본체는, 탄성소재로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사용 시, 상기 사용자의 구강에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하며,
합성섬유 또는 천연섬유로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과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피스톤가이드의 하부에 구비되는 본체부감지모듈; 및
상기 마우스피스모듈의 단부에 구비되는 마우스피스감지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마우스피스감지모듈은,
상기 마우스피스감지모듈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의 흡기 또는 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복수개의 홀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가이드는, 상기 본체부와 분리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을 교체할 수 있으며,
상기 피스톤은,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의 흡기 또는 호기가 상기 피스톤과 피스톤가이드 사이의 공간으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필름;
상기 피스톤의 상부면 중심부에 마련되는 중심홈;
상기 중심홈의 중심부에 마련되는 중심돌기; 및
상기 피스톤의 중심을 기준으로 구비되는 다수개의 동심원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의 흡기 또는 호기의 측정을 보다 더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호흡운동 및 호흡측정장치.
Body part;
A mouthpiece module selective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as necessary; And
Includes; a sensor unit for measuring the pressure and flow rate of the user's intake or exhalation through the mouthpiece module;
The body portion,
Top plate part;
A lower plate portion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plate portion;
A handle formed to exte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upper plate portion and the lower plate portion;
A plurality of connection hole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plate portion and the lower plate portion;
A cover selectively coupled to the connection hole as necessary;
A piston elevating according to the intake or exhalation of the user through the mouthpiece module in a stopped state;
A piston guid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in a cylindrical shape and guiding the lifting of the piston; And
Includes; flow velocity gauge that is elevated according to the intake or exhalation of the user through the mouthpiece module;
The flow rate gauge, a flow rate guid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is provided inside,
The flow rate gauge guide,
A rail through which the flow rate gauge guides the user's intake or exhalation; And
It includes; a pair of bending grooves extending along the rail and formed by bending a central portion around the rail;
The mouthpiece module,
An inlet inserted into the user's mouth;
A mouthpiece body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under the inlet; And
Included in the mouthpiece is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mouthpiece body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The mouthpiece body is formed so as to be rotatable with an elastic material so that when used, it can easily reach the mouth of the user,
It is formed of synthetic fibers or natural fibers to filter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inlet; includes,
The sensor unit,
A body part detection module provided under the piston guide; And
Includes; a mouthpiece detection module provided at the end of the mouthpiece module,
The mouthpiece detection module,
It includes a plurality of hole portions provided radially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uthpiece detection module, to discharge the intake or exhaust of the user to the outside;
The piston guide is formed so as to be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and the piston can be replaced.
The piston is formed of a rubber material so as to absorb external shock,
A film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ston to block the intake or exhalation of the user from flowing into the space between the piston and the piston guide;
A central groove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iston;
A central projection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central groove; And
Portable breathing exercise and breathing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enable more accurate measurement of the intake or exhalation of the user, including; a plurality of concentric projections provided based on the center of the pist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123154A 2019-10-04 2019-10-04 A portable respiration measuring apparatus KR1021139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154A KR102113999B1 (en) 2019-10-04 2019-10-04 A portable respiration measuring apparatus
PCT/KR2020/013367 WO2021066539A1 (en) 2019-10-04 2020-09-29 Portable respiration exercise and respiration measure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154A KR102113999B1 (en) 2019-10-04 2019-10-04 A portable respiration measur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3999B1 true KR102113999B1 (en) 2020-05-22

Family

ID=70913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3154A KR102113999B1 (en) 2019-10-04 2019-10-04 A portable respiration measuring apparatu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13999B1 (en)
WO (1) WO2021066539A1 (en)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6539A1 (en) * 2019-10-04 2021-04-08 (주)지에이치이노텍 Portable respiration exercise and respiration measurement apparatus
CN112619070A (en) * 2020-12-17 2021-04-09 宁波舜华医疗科技有限公司 Dual-purpose breathing training ware
CN112657144A (en) * 2020-12-24 2021-04-16 河南中医药大学第一附属医院 Respiration training device for department of respiration and use method
CN112807630A (en) * 2021-02-23 2021-05-18 河北医科大学第二医院 Intelligent heart and lung function trainer
CN113082646A (en) * 2021-05-17 2021-07-09 谢圆媛 Breathing training device for assisting rehabilitation of respiratory department with adjustable air pressure
KR102348292B1 (en) * 2021-07-23 2022-01-07 (주)지에이치이노텍 A portable respiration measuring apparatus
KR102352876B1 (en) * 2020-11-11 2022-01-18 (주)지에이치이노텍 Spirometer
CN114452619A (en) * 2022-03-14 2022-05-10 青海卫生职业技术学院 Clinical internal medicine is with breathing exercise testing arrangement
KR20220103310A (en) * 2021-01-15 2022-07-22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A personal portable spirometry device and method
KR20220125850A (en) * 2021-03-04 2022-09-15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omnidirectional robot of face-to-face interaction with human and medical service assistant robot capable of remote monitoring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72101A (en) * 2021-11-03 2022-04-05 苏州大学附属第二医院 Synchronous limb air pressure therapeutic instrument for lung function exercise
CN114515418A (en) * 2022-02-18 2022-05-20 郇丽婷 Respiratory trachea exercise equip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6512U (en) * 2017-12-07 2018-05-31 深中海医療用品(深▲せん▼)有限公司 Breathing exerciser
KR20180105404A (en) * 2017-03-15 2018-09-28 이욱진 Smart respiration train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0278A (en) * 2006-01-20 2007-08-02 Omron Healthcare Co Ltd Respiration training device
KR20190052748A (en) * 2017-11-09 2019-05-17 (주)지에이치이노텍 Respiration Rehabilitation Device based on IoT Technology
KR102113999B1 (en) * 2019-10-04 2020-05-22 (주)지에이치이노텍 A portable respiration measur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5404A (en) * 2017-03-15 2018-09-28 이욱진 Smart respiration training machine
JP3216512U (en) * 2017-12-07 2018-05-31 深中海医療用品(深▲せん▼)有限公司 Breathing exerciser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6539A1 (en) * 2019-10-04 2021-04-08 (주)지에이치이노텍 Portable respiration exercise and respiration measurement apparatus
WO2022102914A1 (en) * 2020-11-11 2022-05-19 (주)지에이치이노텍 Spirometer
KR102352876B1 (en) * 2020-11-11 2022-01-18 (주)지에이치이노텍 Spirometer
CN112619070A (en) * 2020-12-17 2021-04-09 宁波舜华医疗科技有限公司 Dual-purpose breathing training ware
CN112619070B (en) * 2020-12-17 2021-09-14 宁波舜华医疗科技有限公司 Dual-purpose breathing training ware
CN112657144A (en) * 2020-12-24 2021-04-16 河南中医药大学第一附属医院 Respiration training device for department of respiration and use method
KR102465031B1 (en) * 2021-01-15 2022-11-09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A personal portable spirometry device and method
KR20220103310A (en) * 2021-01-15 2022-07-22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A personal portable spirometry device and method
CN112807630A (en) * 2021-02-23 2021-05-18 河北医科大学第二医院 Intelligent heart and lung function trainer
KR20220125850A (en) * 2021-03-04 2022-09-15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omnidirectional robot of face-to-face interaction with human and medical service assistant robot capable of remote monitoring thereof
KR102552174B1 (en) * 2021-03-04 2023-07-06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omnidirectional robot of face-to-face interaction with human and medical service assistant robot capable of remote monitoring thereof
CN113082646A (en) * 2021-05-17 2021-07-09 谢圆媛 Breathing training device for assisting rehabilitation of respiratory department with adjustable air pressure
KR102348292B1 (en) * 2021-07-23 2022-01-07 (주)지에이치이노텍 A portable respiration measuring apparatus
WO2023003088A1 (en) * 2021-07-23 2023-01-26 (주)지에이치이노텍 Portable breathing measurement and breathing exercise device
CN114452619A (en) * 2022-03-14 2022-05-10 青海卫生职业技术学院 Clinical internal medicine is with breathing exercise testing arran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66539A1 (en) 2021-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3999B1 (en) A portable respiration measuring apparatus
EP2519905B1 (en) Biofeedback for program guidance in pulmonary rehabilitation
US9452317B2 (en) Breathing and respiratory muscle training method and system
US11617920B2 (en) Respiratory device and system for exercising and analyzing respiration of a user
US20160346603A1 (en) Pulmonary System Resistance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s
KR102099459B1 (en) Supply type respiratory disease examination and training kit
KR20180073839A (en) Portable respiration training device system and thereof methods
GB2523180A (en) A mask for measuring the composition of exhaled breath
US20110021940A1 (en) Incentive audio for pulmonary function diagnostics
CN108671497A (en) Breath training detector and its detection method
KR20190052748A (en) Respiration Rehabilitation Device based on IoT Technology
KR102348292B1 (en) A portable respiration measuring apparatus
CN209221445U (en) Breath training detector
KR102395159B1 (en) Cognitive ability training method linked to respiratory interface
KR20220086444A (en) Respiration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user customized type
CN106377262A (en) Portable sleeping breath monitoring device
CN107184212A (en) A kind of intelligent Pulmonary Function in Children test training aids
KR102326251B1 (en) Smart Lung-Capacity Training System
KR102300894B1 (en) System for improving respiration comprehension in internet of things
RU2688796C1 (en) Breathing trainer
KR102416723B1 (en) Breathing training device
CN220478020U (en) Respiratory pressure load type anti-resistance training device
KR102616166B1 (en) System for breathing training and health diagnosis and method for providing breathing training and health diagnosis service using thereof
CN220676687U (en) Breathing training device with sound excitation function
KR20220090614A (en) Cognitive ability training method linked to respiratory inte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