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2748A - Respiration Rehabilitation Device based on IoT Technology - Google Patents

Respiration Rehabilitation Device based on IoT Technolog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2748A
KR20190052748A KR1020170148412A KR20170148412A KR20190052748A KR 20190052748 A KR20190052748 A KR 20190052748A KR 1020170148412 A KR1020170148412 A KR 1020170148412A KR 20170148412 A KR20170148412 A KR 20170148412A KR 20190052748 A KR20190052748 A KR 20190052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unit
seat portion
air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84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유홍
Original Assignee
(주)지에이치이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에이치이노텍 filed Critical (주)지에이치이노텍
Priority to KR1020170148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2748A/en
Publication of KR20190052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74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1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improving respiratory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7Measuring breath flow
    • A61B5/0875Measuring breath flow using means carried by the fluid stream, e.g. free floating b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4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respiratory characteris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which provides health care service for a user in real time based on internet of things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providing health care service for a user in real time based on internet of things technology: improves portability; is able to release phlegm by the vibration of a shield unit during expiration; is able to control respiration intensity by a device control unit; enables breathing bidirectionally through an inhalation hole during inhalation; and is able to be washed by convenient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using, a mouthpiece, a flow regulator, a sensor unit, a control unit, and a communication unit.

Description

사물 인터넷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호흡 재활 기기 {Respiration Rehabilitation Device based on IoT Technology}[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piration rehabilitation device based on IoT technology,

본 발명은 사물 인터넷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의 헬스 케어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호흡 재활 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that provides a user's health care service in real time based on object Internet technology.

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공장이나 자동차 등에서 많은 공해 물질을 배출하고, 중금속을 함유한 황사나 미세 먼지 등으로 인해 폐질환이나 기관지 질환과 같은 호흡기 질환 등을 앓고 있는 사람의 수고 매년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dustry, many pollutants are emitted from factories and automobiles, and the number of people suffering from respiratory diseases such as lung diseases and bronchial diseases due to yellow dust or fine dust containing heavy metals is rapidly increasing every year.

이러한 호흡기 질환은 약물 치료뿐만 아니라 흉부 물리 치료, 심리 치료 등과 같은 포괄적인 호흡 재활 치료도 함께 받게 된다.This respiratory disease is not only a medication but also a comprehensive treatment such as thoracic physical therapy and psychotherapy. Respiratory rehabilitation treatment is also provided.

호흡 재활 치료로는 체위 배액 요법, 호흡 운동 및 이완 운동 등이 있다. Respiratory rehabilitation includes postural drainage, respiratory and relaxation exercises.

호흡 재활 치료를 통해 기관지 내의 분비물 제거, 기관지 경직의 완화 및 폐조직의 확장 또는 폐활량 증가에 많은 도움을 받게 되고, 호흡 형태의 개선 및 호흡 조절법을 습득하여 운동 능력을 증가시키며, 일상생활의 수행 능력을 증가시키게 된다.Respiratory rehabilitation therapy is very helpful in eliminating secretions in the bronchi, alleviating bronchial stiffness, expanding lung tissue, or increasing lung capacity, improving breathing patterns and breathing control techniques to increase exercise capacity, Lt; / RTI >

특히, 호흡 운동은 호흡 양상의 교정과 호흡근을 강화시켜 폐포 환기를 증가시키고, 기도내의 분비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기침 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필요한 치료 중의 하나이다.  In particular, respiration is one of the indispensable treatments to increase coughing ability to increase the alveolar ventilation and the discharge of secretions in the airways by strengthening the breathing pattern and breathing pattern.

흡기(吸氣) 호흡 훈련을 위해서는 여러 가지의 흡기 저장 호흡(inspiratory resistive breathing) 기구들을 사용하여 개인이 편리하게 훈련을 실시할 수 있다.For inspiratory breathing exercises, a variety of inspiratory resistive breathing instruments can be used to facilitate training by individuals.

다만, 호기(呼氣) 호흡 훈련을 위해서는 촛불 불기 및 병 불기 등과 비의료 장비가 많이 이용되고 있어 호기 호흡 훈련의 효능이나 효과를 정확하게 점검할 수 없다.However, for the breathing training, there are many non-medical devices such as candle blowing and bottle blowing, so it is not possible to accurately check the efficacy and effect of breath breathing training.

반면, 의료 장비를 이용하여 다양한 호흡 훈련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휴대가 불편한 별도의 의료 장비를 고가로 구입하고 휴대해야 하므로 사용자의 경제적인 부담감과 사용의 불편함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erform a variety of breathing exercises using medical equipment, there is an economical burden of the user and inconvenience of use because the user must purchase and carry the separate medical equipment, which is inconvenient to carry, at a high price.

한국등록특허공보 10-0231328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231328

본 발명의 목적은 사물 인터넷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의 헬스 케어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호흡 재활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that provides a user's health care service in real time based on object Internet technolog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물 인터넷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의 헬스 케어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호흡 재활 기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that provides a user's healthcare service in real time based on object Internet technology.

본 발명에 따른 호흡 재활 기기는 상기 호흡 재활 기기의 외관을 형성하여,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호흡에 의한 공기 유동을 안내하는 마우스피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로의 개도를 가변하여 호흡 시 걸리는 압력 부하를 변화시키는 유동조절부; 사용자의 호흡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사물인터넷 기능을 통해 주변 기기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respiratory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using forming an external appearance of the respiratory rehabilitation apparatus and having a channel formed therein; A mouthpiece coupled to the housing to guide air flow by breathing; A flow regulator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for vary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flow path to change a pressure load applied during breathing; A sensor unit for detecting information on a health state of the user by using the user's breath; A controller for collecting data sensed by the sensor unit;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data collected by the control unit to a peripheral device through the object Internet function.

상기 하우징은 호흡 재활 기기의 전체 바디를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의 한 측면에 흡기 시 공기가 유입되고 호기 시 공기를 차단하는 흡입홀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The housing forms an entire body of the respiratory rehabilitation apparatus, and further includes a suction hole for inserting air into the housing at the time of intake and blocking air at the time of exhalation.

상기 마우스피스는 하우징과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mouthpiece has a structure capable of being assembled and disassembled with the housing.

상기 유동조절부는 유로 상에 설치되어 호흡에 의한 공기가 유동하기 위한 홀을 형성하는 시트부; 및 상기 시트부에 근접 또는 이격되어 상기 시트부와 조절되는 방식으로 상기 유로의 개도를 가변시키는 차폐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차폐부는 시트부에 안착될 수 있는 볼 형상 또는 반구 형상일 수 있다.Wherein the flow regulating unit comprises: a sheet portion provided on the flow path to form a hole for flowing air by breathing; And a shielding portion for vary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flow path in a manner that is adjusted to the seat portion in proximity to or spaced from the seat portion. The shielding portion may be in the form of a ball or a hemisphere that can be seated on the seat portion.

또한, 상기 유동조절부는 상기 차폐부의 일측에 접촉되어 상기 차폐부가 상기 시트부에 안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The flow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that contacts one side of the shield to apply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hield is seated on the seat.

상기 호흡 재활 기기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차폐부가 이격되어 홀이 개방되기 위한 최소 압력 부하가 조절될 수 있도록 장치조절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respiratory rehabilitation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evice control unit installed in the housing so that the shielding unit is spaced apart and the minimum pressure load for opening the hole can be adjusted.

상기 장치조절부는 탄성부재의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일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자세를 유지시켜 주고, 상기 탄성부재에 의한 탄성력이 조정될 수 있도록 하는 원점조정부를 포함한다.The apparatus control unit includes an origin adjusting unit for holding an attitude such that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is fixed so that the elastic member can be deformed in one direction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can be adjusted.

본 발명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의 헬스 케어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호흡 재활 기기는 휴대가 용이하며, 호기(呼旗) 시 차폐부 진동에 의해 객담 배출이 가능하고, 장치조절부에 의해 호흡 강도 조절이 가능하며, 흡기(吸氣) 시 흡입홀(inhalation hole)을 통해 양방향으로 호흡이 가능하고, 간편한 조립 및 분해로 세척이 가능하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The 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that provides the user's health care service in real time based on the object Internet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carry and is capable of discharging sputum by the vibration of the shielding part at the time of a call flag,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respiratory intensity by the inhalation hole, and it is possible to breathe in both directions through the inhalation hole at the time of intake, and it is possible to clean by easy assembly and disassemb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기기의 전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기기의 흡기 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기기의 호기 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기기의 유동조절부 및 장치조절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기기의 이동가이드부 및 게이지 케이스의 체결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기기의 이동가이드부, 원점조정부 및 조정로드부의 세부 구성 및 결합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기기의 사물인터넷 본체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기기의 전면도이다.
1 is a front view of a respiratory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spiratory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spiratory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view of a flow control unit and a device control unit of a respiratory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fastening state of a movement guide unit and a gauge case of a respiratory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and a combined state of the movement guide unit, the origin adjustment unit, and the adjustment rod unit of the respiratory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nlarged view of the Internet of a respiratory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view of a respiratory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avoid unnecessary obsc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의 헬스 케어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호흡 재활 기기의 전면도이다. FIG. 1 is a front view of a respiratory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providing a user's health care service in real time based on object Internet techn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호흡 재활 기기(1)는 상기 호흡 재활 기기(1)의 외관을 형성하여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되어 호흡에 의한 공기 유동을 안내하는 마우스피스(2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respiratory rehabilitation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 forming an external appearance of the respiratory rehabilitation apparatus 1 and having a flow path formed therein, and a housing 10 coupled to the housing 10, And a mouthpiece 20 for guiding air flow.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하우징(10)의 일면에 위치하여 흡기 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흡입홀(11)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홀(11)은 양방향 호흡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호흡 재활에 보다 효과적으로 폐활량 운동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마우스 피스로 유입되는 공기가 후술할 배출구를 향하여 보다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housing 10 includes a suction hole 11 which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0 and allows air to flow in the suction hole 11. The suction hole 11 is capable of two-way breathing, The effect of enabling the spirometric exercise to be more effective is exhibited. In addition, the housing 10 may be formed so that air flowing into the dental mouthpiece can be smoothly flowed toward a discharge por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상기 흡입홀(11)에는 호기 시 공기 배출을 방지하기 위해 역류방지막(11a)이 설치되어, 흡기시에는 상기 역류방지막(11a)이 상기 흡입홀(11)을 개방하여 상기 흡입홀(11)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어 사용자의 호흡기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하고, 호기시에는 상기 역류방지막(11a)이 상기 흡입홀(11)을 차폐하여 사용자가 내뱉은 공기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통하여 후술할 시트부(31) 및 차폐부(32)를 향하여 유동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역류방지막(11a)은 사용자가 상기 마우스피스(20)를 물고 있는 상태에서 흡기 및 호기를 반복하여 호흡 운동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backflow prevention film 11a is provided in the suction hole 11 to prevent air from escaping during the exhalation and the backflow prevention film 11a opens the suction hole 11 to open the suction hole 11 The backflow prevention membrane 11a shields the suction hole 11 so that the air that the user exhales through the interior of the housing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interior of the housing, So that it can flow toward the portion (31) and the shielding portion (32). That is, the backflow prevention film 11a can repeatedly perform the breathing motion by repeating the intake and exhalation while the user is holding the mouthpiece 20 thereon.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의 헬스 케어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볼 형상의 호흡 재활 기기 단면도로서, 흡기 및 호기시 모습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의 헬스 케어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볼 형상의 호흡 재활 기기의 유동조절부 및 장치조절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기기의 이동가이드부 및 게이지 케이스의 체결 모습을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기기의 이동가이드부, 원점조정부 및 조정로드부의 세부 구성 및 결합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FIG. 2 and FIG. 3 are sectional views of a ball-shaped 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for providing a user's healthcare service in real time based on the object Internet techn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showing states of intake and expiration.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flow regulating unit and a device regulating unit of a ball-shaped respiratory rehabilitation apparatus, which provides a user's healthcare service in real time based on the object Internet techn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 fastening state of a movement guide unit and a gauge case of a respiratory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vement guiding unit and an origin adjustment unit of a respiratory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djusting rod portion.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호흡 재활 기기(1)는 외관을 형성하여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되어 호흡에 의한 공기 유동을 안내하는 마우스피스(20)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로의 개도를 가변하여 호흡 시 걸리는 압력 부하는 변화시키는 유동조절부(3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되는 상기 마우스피스(20)의 연결부에는 필터(미도시)가 더 설치되어 호흡과 함께 유입될 수 있는 침 등 오염물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 하도록 걸리질 수 있다. 2 to 6, a 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 having an outer channel formed therein and a flow path formed therein, And a flow control unit 30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for vary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flow path to change the pressure load applied during breathing. A filter (not shown) is further provided at a connection portion of the dental mouthpiece 20 coupled to the housing 10 so that contaminants such as needles, which may flow along with breathing, are prevented from entering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0. [ Can be.

본 발명의 상기 하우징(10)과 마우스피스(20)는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어, 조립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고, 조립 시 발생하는 공정 상의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간단한 방법으로 세척하기 편리하므로 사용자에게 위생적으로 우수하다는 장점을 갖는다.Since the housing 10 and the mouthpiec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tructured so as to be able to be assembled and disassembled, the assembly process can be simplified, errors in the process occurring during assembly can be reduced, It is advantageous to be hygienic to the us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호흡 재활 기기(1)는 장치조절부(5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respiratory rehabilita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vice control unit 50.

그리고, 상기 유동조절부(30)는 유도 상에 설치되어 호흡에 의한 공기가 유동하기 위한 홀이 형성되는 시트부(31)와, 상기 시트부(31)는 근접 또는 이격되어 상기 시트부(31)와 간격이 조절되는 방식으로 상기 유로의 개도를 가변시키는 차폐부(32)를 포함한다.The flow control unit 30 includes a seat portion 31 provided on the induction floor to form a hole through which breathing air flows, and the seat portion 31 is disposed adjacent to or spaced apart from the seat portion 31 And a shielding part 32 for vary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flow path in such a manner that an interval is adjusted.

상기 차폐부(32)는 상기 시트부(31)에 안착될 수 있는 볼 형상, 반구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 상기 차폐부(32)가 볼 형상인 호흡 재활 기기를 설명한다. The shielding portion 32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ball shape or a hemisphere shape that can be seated on the seat portion 31.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 rehabilitation equipment.

상기 시트부(31)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평상 시 상기 차폐부(32)를 하측면에서 받치고 있으며, 호흡 시 차폐부(32)가 상하 운동하면서 상기 시트부(31) 및 차폐부(32) 사이의 간격 즉,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 단면이 가변됨으로써 공기의 이동을 조절한다.The seat portion 31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and normally supports the shield portion 32 on the lower side and the shield portion 32 is moved up and down during respiration so that the seat portion 31 and the shield portion 32 That is, the cross-section of the flow path through which the air can flow, thereby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air.

상기 유동조절부(30)는, 상기 차폐부(32)의 일 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차폐부(32)가 상기 시트부(31)에 안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33)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3)에 의하여, 평상 시 또는 흡기 시에는 상기 차폐부(32)가 상기 시트부(31)의 상측면에 안착되어 홀을 차폐한 상태로 유지되고, 호기 시에는 공기 유동 압력에 의하여 상기 차폐부(32)가 밀려나면서 상기 시트부(31)로부터 이격되어 홀이 개방된다. The flow regulating portion 30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33 which is in contact with one side surface of the shield portion 32 and exerts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hield portion 32 is seated on the seat portion 31 As shown in FIG. By the elastic member 33, the shielding portion 32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 portion 31 so as to be kept in a state shielding the hole during normal operation or intake, The shielding portion 32 is pushed and separated from the seat portion 31 to open the hole.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하우징(10)의 마우스피스(20)를 입에 문 상태에서 숨을 내뱉는 경우에는 상기 내뱉는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차폐부(32)가 밀려 올라가면서 형성되는 상기 시트부(31)와 사이 통로를 통하여 공기가 유동한 후 상기 배출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user exhales the mouthpiece 20 of the housing 10 in a state of being in the mouth, the seat portion 31 formed by pushing up the shielding portion 32 by the pressure of the air spitting out And the ai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hole after the air flows through the passage.

이때, 상기 사용자의 호기에 의한 압력으로 상기 차폐부(32)가 밀려 올라가는 경우에, 상기 차폐부(32)가 상승할 수록 상기 탄성부재(33)가 더 압축됨으로써 탄성력 즉, 하방을 향한 반발력이 증가하게 되고, 탄성력과 상기 차폐부 자중의 합력이 상기 호기에 의한 압력보다 커지게 되면 상기 차폐부(32)가 다시 하강하게 된다. 그런 후, 상기 차폐부(32)가 하강 할 수록 상기 시트부(31)와 사이 통로가 좁아져 상기 호기에 의한 압력이 더 강해지는 동시에 상기 탄성부재가 인장되면서 탄성력은 다시 작아지므로, 상기 호기에 의한 압력이 상기 탄성력과 상기 차폐부 자중의 합력보다 커지면 다시 상승하게 된다. At this time, when the shielding part 32 is pushed up by the pressure of the user's breath, as the shielding part 32 rises, the elastic member 33 is further compressed so that the elastic force, that is, And when the resultant force of the elastic force and the self weight of the shield is larger than the pressure of the exhalation unit, the shield 32 is lowered again. Then, as the shielding portion 32 descends, the passageway between the seat portion 31 and the seat portion 31 becomes narrower, so that the pressure due to the breathing unit becomes stronger. At the same time, the elastic member is pulled and the elastic force is reduced again. When the pressure of the shielding part is larger than the sum of the elastic force and the self weight of the shielding part.

이와 같은 원리로, 사용자가 숨을 뱉고 있는 동안 상기 차폐부(32)가 상하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움직이면서 진동하게 되므로, 사용자 입장에서는 상기 차폐부(32) 및 시트부(31) 사이에 통로가 가변되면서 숨을 뱉는 데 걸리는 유동 저항이 주기적으로 가변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폐를 호흡기관에 걸리는 부하 압력이 주기적으로 진동함으로써, 호흡 재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객담 등의 배출 작용도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With this principle, while the user is breathing, the shield 32 vibrates while continuously moving in the up-and-down direction, so that, for the user, the passage is variable between the shield 32 and the seat 31 The flow resistance to spit is periodically variable. Accordingly, the load pressure applied to the respiratory organs by the user periodically vibrates, so that not only the respiration rehabilitation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but also the discharging action such as sputum can be performed smoothly.

한편, 사용자가 상기 마우스피스(20)를 물고 있는 상태에서 숨을 들이마시는 경우에는 상기 차폐부(32)가 내려오면서 상기 시트부(31)에 안착되어 상기 시트부(31)와 사이 통로를 차폐하게 되면서, 상기 흡입홀의 역류방지막(11a)이 열리면서 상기 흡입홀을 통하여 외부 공기가 상기 하우징(10)으로 유입된 후 사용자의 입으로 흡입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마우스피스(20)를 계속적으로 물고 있는 상태에서, 원활하게 호흡을 반복할 수 있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breathes while holding the dental mouthpiece 20, the shielding portion 32 is lowered to be seated on the seat portion 31 to shield the seat portion 31 and the passageway, The reverse flow prevention membrane 11a of the suction hole is opened and the outside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0 through the suction hole and then sucked into the user's mouth. That is, the user can repeatedly breathe smoothly while the mouthpiece 20 is continuously hel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호흡 재활 기기(1)는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되어 상기 차폐부(32)가 이격되어 상기 홀이 개방되기 위한 최소 압력 부하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조절부(50)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respiratory rehabilita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evice control unit (not shown) installed in the housing 10 to allow the minimum pressure load for opening the hole to be adjusted by separating the shielding unit 32 50).

상기 장치조절부(50)는, 상기 시트부(31)의 테두리로부터 상방으로 중공형의 원통 형상으로 연장되어 후술할 원점조정부(53)가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에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이동가이드부(55)와, 중공형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가이드부(55)의 외주면에 체결 고정되어 상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게이지 케이스(54)와, 상기 게이지 케이스(54)의 상단부에 상대적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조정단부(51)와, 상기 조정단부(51)의 내측에 상기 조정단부와 함께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고 하방으로는 상기 원점조정부가 나사면으로 결합되어 회전하여 상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중공형의 조정로드부(52)와, 내측 저면에 상기 탄성부재의 상단이 고정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신축 기준이 되는 원점 역할을 하면서 상기 조정로드부(52)의 외면에 나사면으로 결합되어 상기 조정로드부(52)가 회전함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가 가변될 수 있는 원점조정부(53)를 포함한다. The apparatus adjusting unit 50 includes a movement guide unit 50 which extends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upward from the rim of the seat unit 31 and guides the moving direction when the origin adjusting unit 53 moves in a vertical direction, A gauge case 54 which is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vement guide portion 55 so as to extend upwardly and upwardly and which is rotated relative to the upper end of the gauge case 54; An adjusting end portion 51 coupled to the adjusting end portion 51 so as to be able to move integrally with the adjusting end portion so as to be integrally rotatable together with the adjusting end portion, And an upper end of the elastic member is fixed to an inner bottom face of the adjustment rod portion 52 so as to serve as an origin of elasticity of the elastic member, Is coupled to the thread surfac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deubu 52 comprises a zero point adjustment section 53 with the position can be varied by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the adjustment rod 52 is rotated.

이때, 상기 원점조정부(53)는, 내측 저면에 상기 탄성부재(33)의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탄성부재(33)가 일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자세를 유지시켜 주고 상하 방향으로 위치가 가변되는 방식으로 상기 탄성부재(33)에 의한 탄성력이 조정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원점조정부(53)는 상기 탄성부재(33)의 일단 위치를 고정하여, 상기 탄성부재(33)가 일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할 수 있도록 상기 탄성부재(33)의 변형 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원점조정부(53)의 하단부 외측면과, 상기 이동가이드부(55)의 상단부 내측면에는 서로 맞물려 상대 운동할 수 있는 가이드레일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원점조정부(53)의 외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가이드홈(532)과, 상기 이동가이드부(55)의 내측면에 상기 가이드홈에 대응되는 지점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가이드돌기(5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돌기(553)가 상기 가이드홈(532)에 삽입되도록 상기 원점조정부(53)가 상기 이동가이드부(55)의 내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돌기(553)가 상기 가이드홈(532)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원점조정부(53)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가이드레일에 의하여, 상기 원점조정부(53)는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지 못 하도록 제한되고 상하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될 수 있는 것이다. At this time, the origin adjusting unit 53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33 is fixed to the inner bottom surface to maintain the posture so that the elastic member 33 can be deformed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33 can be adjusted. That is, the origin adjusting unit 53 fixes the position of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33 and guides the deformation direction of the elastic member 33 so that the elastic member 33 can exert an elastic force in one direction .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origin adjusting unit 53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movement guide unit 55 may be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guide rail includes a guide groove 532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rigin adjusting unit 53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guide groove 532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ovement guide unit 55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uide groov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guide protrusion 553 formed to be long. That is, the guide protrusion 553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553 in a state where the origin adjusting unit 53 is installed inside the movement guide unit 55 so that the guide protrusion 553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532, 532, the origin adjusting unit 53 can be guided to move up and down. That is, due to the guide rail, the origin adjustment unit 53 can be guided so as not to rot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o move only in the vertical direction.

보다 상세히, 사용자는 상기 조정단부(51)를 잡고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탄성부재(33)에 의하여 상기 차폐부(32)에 가해지는 탄성력이 조절됨으로써, 호흡시 상기 차폐부(32)에 의한 차폐 압력 및 진동 경향 등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조정단부(51)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조정로드부(52)가 함께 회전하게 되고, 상기 조정로드부(52)에 나사 결합된 상기 원점조정부(53)가 나사산을 따라 상대 운동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점조정부(52)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33)가 더 압축되거나 덜 압축되도록 압축 강도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user adjusts the elastic force applied to the shielding portion 32 by the elastic member 33 in such a manner as to hold the adjustment end portion 51, Shielding pressure and vibration tendency can be adjusted. When the adjusting end portion 51 is rotated, the adjusting rod portion 52 rotates together, and the origin adjusting portion 53 screwed to the adjusting rod portion 52 relatively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moved. As the origin adjustment unit 52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ompression strength can be adjusted so that the elastic member 33 is further compressed or less compressed.

즉, 상기 장치조절부(50)의 좌우 회전을 통해 상기 탄성부재(33)에 의한 탄성 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장치조절부(50)를 이용한 탄성 강도 조절은 호흡 재활에 있어서 체격, 연령 등 사용자의 상태에 관계없이, 사용자의 횡경막, 외늑간근, 소?O근, 사각근, 흉쇄유돌근 등 호흡과 관련된 근육을 운동시켜 원만한 호흡 재활이 가능하도록 한다.In other words,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member 33 can be adjusted through the left / right rotation of the device adjusting unit 50, and the adjustment of elasticity using the device adjusting unit 50 can be performed by adjusting the size, Regardless of the state of the user, the respiratory muscles associated with the user's diaphragm, external intercostal muscles, small intestine muscles, obturator muscles, and sternocleidomastoid muscles are exercised to enable smooth respiratory rehabilitation.

또한, 상기 게이지 케이스(54)의 하단부 내측면에는 체결 돌기(541)가 마련되고, 상기 이동가이드부(55)의 외측면에는 상기 체결 돌기(541)가 삽입되어 이탈하지 못 하도록 고정되는 체결홈(552)과 걸림턱(55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게이지 케이스(54)는 상기 이동가이드부(55)의 외측면에 위치하도록 조립한 상태에서, 상기 게이지 케이스(54)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체결 돌기(541)가 상기 체결홈(552)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검림턱(551)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A fastening protrusion 541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gauge case 54. A fastening protrusion 541 is inserted into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movement guide 55, The engaging protrusion 552 and the engaging protrusion 551 may be formed. That is, the gauge case 54 rotates the gauge case 54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ile being assembled so as to be positioned on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movement guide portion 55, so that the fastening protrusion 541 rotates in the fastening groove 552 and at the same time, it can be caught and fixed to the clamping jaw 551.

그리고, 상기 게이지 케이스(54)에는 상기 게이지 케이스(54)의 일측에는 내부가 투시될 수 있도록 투명하게 형성되고 눈금이 표시된 확인창(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확인창을 통하여 상기 게이지 케이스(54)의 내부에 위치한 상기 원점조정부(53)의 외주면에 표시된 원점 표시가 노출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확인창을 통하여 상기 원점 표시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상기 원점조정부(53)의 위치 즉, 상기 탄성부재(33)에 의한 탄성 강도를 명확히 인지할 수 있다. In the gauge case 54, a check window (not show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gauge case 54 so that the inside of the gauge case 54 can be seen through and is marked with a scale. The user can confirm the origin display through the confirmation window by exposing the origin display indica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origin adjustment unit 53 located in the inside of the origin 54. That is, It is possible to clearly recognize the elastic strength by the elastic member 33.

또한, 상기 조정로드부(52)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는 바디부(522)와, 상기 바디부의 상단부에 ‘+’자 형상으로 사방으로 돌기(523)가 연장되어 상기 조정단부(51)의 내측면 하단부에 걸려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52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원점조정부(53)는 상면을 가지는 중공형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면의 중심에는 상기 조정로드부(52)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홀(530)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530)의 주변에는 공기 유동을 위한 다수개의 유동홀(53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홀(530)의 내주면에는 상기 바디부(522)의 나사산과 맞물려 회전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원점조정부(53)의 측면에도 공기 유동을 위한 다수개의 유동홀(53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정단부(51)는 중공형으로 형성되면서 상면에 그릴 형상의 배출구(512)가 형성된다. The adjustment rod portion 52 includes a body portion 522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having threads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projection 523 extending in a four-sided shape i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a fixing portion 521 for engaging and fixing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adjusting end portion 51. The reference point adjusting unit 53 is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having an upper surface and a coupling hole 530 for coupling to the adjustment rod unit 5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A plurality of flow holes 531 for air flow are formed. A plurality of flow holes 531 are formed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530 for air flow on the side surface of the origin adjustment unit 53, . The adjusting end 51 is formed in a hollow shape, and a grill-shaped outlet 51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따라서, 상기 차폐부(32)와 시트부(31)의 사이 통로를 통하여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원점조정부(53)의 유동홀(531), 상기 조정로드부(52)의 ‘+'자 형상의 돌기(523) 사이의 공간, 상기 조정단부(51)의 배출구(512)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Therefore, the air flowing through the passage between the shielding portion 32 and the seat portion 31 flows through the flow hole 531 of the origin adjustment portion 53, the '+' shape of the adjustment rod portion 52 A space between the protrusions 523 of the adjusting end 51 and an outlet 512 of the adjusting end 51 may be sequenti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한편, 상기 게이지 케이스(54)의 상단부 내측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걸림턱(542)이 형성되고, 상기 조정단부(51)의 하단부 외측면에는 상기 걸림턱(542)에 걸릴 수 있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후크부(51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조정단부(51)를 상기 게이지 케이스(54)에 조립하는 경우에 상기 후크부(511)가 상기 걸림턱(542)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걸려 고정됨으로써, 상기 조정단부(51)는 상기 게이지 케이스(54)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회전 운동은 가능하면서도, 상방으로 이탈할 수 없도록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O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gauge case 54, a locking protrusion 542 is formed to protrude inward, and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regulating end portion 51 is protruded outward so as to be caught by the locking protrusion 542 The hook portion 511 is formed. Therefore, when the adjusting end portion 51 is assembled to the gauge case 54, the hook portion 511 is engaged and fixed to the engaging step 542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The gauge case 54 is rotat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ut can be fixed so as not to be separated upward.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의 헬스 케어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호흡 재활 기기(1)의 사물 인터넷 모듈(40) 확대도이다.FIG. 7 is an enlarged view of the object Internet module 40 of the 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1 that provides a user's health care service in real time based on the object Internet techn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헬스 케어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사물 인터넷 모듈(40)을 추가로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an object Internet module 40 for providing a user's healthcare service in real time is further included.

상기 호흡 재활 기기(1)는 사용자의 호흡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41)와, 상기 센서부(41)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제어부(42)와, 상기 제어부(42)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사물인터넷 기능을 통해 주변 기기에 전송하는 통신부(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사물 인터넷 모듈(40)은 상기 마우스피스(20)의 내부 또는 외부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센서부(41), 제어부(42) 및 통신부(43)는 상기 사물 인터넷 모듈(4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사물 인터넷 모듈(40)은 상기 마우스피스(20)의 외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마우스피스(20)의 내부와 유동관으로 연결되어 상기 마우스피스(20)의 내부 상태가 감지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설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1 includes a sensor unit 41 for sensing information on the health state of the user by using the user's breath, a controller 42 for collecting data sensed by the sensor unit 41, And a communication unit 43 for transmitting the data collected by the control unit 42 to the peripheral device through the object Internet function. The object Internet module 40 is located inside or outside the dental mouthpiece 20 and the sensor unit 41, the control unit 42 and the communication unit 43 communicate with the object Internet module 40 And can be installed inside. In particular, the object Internet module 40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dental mouthpiece 20 by a flow pipe in a state in which the dental mouthpiece module 20 is positioned outside the dental mouthpiece 20, It is desirable to install it in such a way.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센서부(41)는 상기 사물 인터넷 모듈(40)의 한 측면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호흡을 통해 이산화탄소, 공기유량 및 산소를 감지하는 호흡 감지 센서부(41a), 또는 사용자의 타액을 검출하는 타액 측정 센서부(41b)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센서부(41)가 상기 호흡 감지 센서부(41a), 타액 측정 센서부(41b)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량, 압력, 진동 등 다양한 특성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가 더 부가되어 사용자의 호흡 및 운동 능력을 점검할 수도 있다. The sensor unit 4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eathing sensor unit 41a located on one side of the object Internet module 40 and sensing carbon dioxide, air flow rate and oxygen through respiration of the user, And a saliva measurement sensor unit 41b for detecting saliva. Although the sensor unit 41 includes the respiration sensor unit 41a and the saliva measurement sensor unit 41b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haracteristics such as flow rate, pressure, and vibration may be detected A sensor unit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to check the user's breathing and exercise ability.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부(42)는 상기 마우스피스(20)의 내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사물 인터넷 모듈(40)의 일 측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ler 4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ental mouthpiece 20 and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object Internet module 40.

상기 제어부(42)는 상기 센서부(41)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통신부(43)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unit 42 collects data on the health state of the user detected by the sensor unit 41 and transmits the collected data to the communication unit 43.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통신부(43)는 상기 사물 인터넷 모듈(40)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어부(42)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사물인터넷 기능을 통해 주변 기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mmunication unit 4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side the object Internet module 40 and transmits data collected by the control unit 42 to a peripheral device through the object Internet function.

상기 통신부(43)는 이산화탄소, 공기유량 및 산소량을 검사하여 결과를 산출하는 호흡 분석 모듈(43a), 또는 사용자 타액의 pH 농도를 측정하여 산출하는 타액 측정 모듈(43b)일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43 may be a respiration analysis module 43a for examining carbon dioxide, air flow rate, and oxygen content and calculating a result, or a saliva measurement module 43b for measuring and calculating the pH concentration of user saliva.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기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술한 일실시예와 비교하여 하우징의 절곡되는 부분 각도가 다른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술한 일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일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원용한다.Hereinafter, a respiratory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embodiment differs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that the angle of the bent portion of the housing is differen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escription of the above embodiment will be referred to for the configuration overlapping with the above-described one embodiment.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기기의 전면도이다.8 is a front view of a respiratory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기기에서는, 하우징(20)이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마우스 피스(20)로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과 배출구(212)를 통한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이 서로 직각을 이룬다고 볼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in the respiratory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20 may be formed to be bent at right angles. That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air is introduced into the mouthpiece 20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212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이상,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 : 호흡 재활 기기
10 : 하우징
11 : 흡입홀
11a : 역류방지막
12 : 배출홀
20 : 마우스피스
30 : 유동조절부
31 : 시트부
32 : 차폐부
33 : 탄성부재
40 : 사물 인터넷
41 : 센서부
41a : 호흡 감지 센서부
41b : 타액 측정 센서부
42 : 제어부
43 : 통신부
43a : 호흡 분석 모듈
43b : 타액 측정 모듈
50 : 장치조절부
51 : 조정단부
52 : 조정로드부
53 : 원점조정부
54 : 게이지 케이스
55 : 이동가이드부
511 : 후크부
521 : 고정부
522 : 바디부
530 : 결합홀
531 : 유동홀
532 : 가이드홈
541 : 체결돌기
542 : 걸림턱
551 : 걸림턱
552 : 체결홈
553 : 가이드돌기
1: Respiratory rehabilitation equipment
10: Housing
11: suction hole
11a:
12: Exhaust hole
20: mouthpiece
30:
31: seat portion
32: Shielding
33: elastic member
40: Things Internet
41:
41a: respiration detection sensor unit
41b: saliva measurement sensor unit
42:
43:
43a: respiration analysis module
43b: Saliva measurement module
50:
51: Adjustment end
52:
53:
54: Gauge case
55:
511:
521:
522:
530: Coupling hole
531: flow hole
532: guide groove
541: fastening projection
542:
551:
552: fastening groove
553: guide projection

Claims (6)

외관을 형성하여,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호흡에 의한 공기 유동을 안내하는 마우스피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로의 개도를 가변하여 호흡 시 걸리는 압력 부하를 변화시키는 유동조절부;
사용자의 호흡을 이용하여 사용자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사물인터넷 기능을 통해 주변 기기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호흡 재활 기기.
A housing having an outer surface and a channel formed therein;
A mouthpiece coupled to the housing for guiding air flow through the breath;
A flow regulator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for vary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flow path to change a pressure load applied during breathing;
A sensor unit for detecting information on a user's health state using a user's breath;
A controller for collecting data sensed by the sensor unit; And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data collected by the control unit to the peripheral device through the object Internet fun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조절부는,
상기 유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호흡의 의한 공기가 유동하기 위한 홀이 형성되는 시트부; 및
상기 시트부에 근접 또는 이격되어 상기 시트부와 간격이 조절되는 방식으로 상기 유로의 개도를 가변시키는 차폐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호흡 재활 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low regulating unit includes:
A seat portion provided on the flow path and having a hole through which the air due to breathing flows; And
A shielding portion for vary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flow path in a manner that the space between the seat portion and the seat portion is adjusted to be close to or spaced from the seat portion;
Wherein the respiration rehabilitation device is based on the Interne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시트부에 안착될 수 있는 볼 형상 또는 반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호흡 재활 기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hielding portion has a ball shape or a hemispherical shape that can be seated on the seat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조절부는,
상기 차폐부의 일측에 접촉되어, 상기 차폐부가 상기 시트부에 안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평상시에는 차폐부가 시트부에 안착되어 홀을 차폐한 상태로 유지되고, 호기 시에는 공기 유동에 의하여 이격되어 홀이 개방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호흡 재활 기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low regulating unit includes:
And an elastic member which is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shielding portion and exerts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hielding portion is seated on the seat portion,
Wherein the shielding portion is normally seated on the seat portion to keep the hole in a shielded state, and when the air is exhaled, the hole is spaced apart by the air flow to open the ho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차폐부가 이격되고 상기 홀이 개방되기 위한 최소 압력 부하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조절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일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자세를 유지시켜 주고 상기 탄성부재에 의한 탄성력이 조정될 수 있도록 하는 원점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호흡 재활 기기.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 device control unit installed in the housing to allow the shielding unit to be spaced apart and adjust the minimum pressure load for opening the hole,
The apparatus control unit includes:
And an origin adjusting unit which fixes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to maintain the posture so that the elastic member can be deformed in one direction and adjust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위치하여 흡기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흡입홀; 및
상기 흡입홀에 설치되어 호기시 상기 흡입홀을 통한 공기 배출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막;를 포함하고,
상기 마우스피스는, 호흡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걸러질 수 있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호흡 재활 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includes:
A suction hole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to allow air to flow in during intake; And
And a backflow preventing film installed in the suction hole to prevent air from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suction hole during a breathing,
Wherein the mouthpiece includes a filter that can be filtered so that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breathing air can not be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KR1020170148412A 2017-11-09 2017-11-09 Respiration Rehabilitation Device based on IoT Technology KR2019005274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412A KR20190052748A (en) 2017-11-09 2017-11-09 Respiration Rehabilitation Device based on IoT Technolog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412A KR20190052748A (en) 2017-11-09 2017-11-09 Respiration Rehabilitation Device based on IoT Technolog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748A true KR20190052748A (en) 2019-05-17

Family

ID=66678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412A KR20190052748A (en) 2017-11-09 2017-11-09 Respiration Rehabilitation Device based on IoT Technolog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2748A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060A (en) 2020-07-01 2020-11-17 박병윤 Job Creating System for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CN112023363A (en) * 2020-07-31 2020-12-04 南通市第二人民医院 Breathe internal medicine with convenient type vital capacity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WO2021066539A1 (en) * 2019-10-04 2021-04-08 (주)지에이치이노텍 Portable respiration exercise and respiration measurement apparatus
IT202100013871A1 (en) 2021-05-27 2021-08-27 Innova S R L motor aid system
KR20220099625A (en) * 2021-01-07 2022-07-14 브레싱스 주식회사 Breathing control device and mouthpiece assembly for breathing measurement hav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1328B1 (en) 1997-06-17 1999-11-15 문재호 Breathing training device of pulmonary disease patient and chest physical remedy system using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1328B1 (en) 1997-06-17 1999-11-15 문재호 Breathing training device of pulmonary disease patient and chest physical remedy system using thereof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6539A1 (en) * 2019-10-04 2021-04-08 (주)지에이치이노텍 Portable respiration exercise and respiration measurement apparatus
KR20200129060A (en) 2020-07-01 2020-11-17 박병윤 Job Creating System for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CN112023363A (en) * 2020-07-31 2020-12-04 南通市第二人民医院 Breathe internal medicine with convenient type vital capacity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KR20220099625A (en) * 2021-01-07 2022-07-14 브레싱스 주식회사 Breathing control device and mouthpiece assembly for breathing measurement having the same
IT202100013871A1 (en) 2021-05-27 2021-08-27 Innova S R L motor aid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52748A (en) Respiration Rehabilitation Device based on IoT Technology
JP6302001B2 (en) Oxygen face mask with capnographic monitoring port
US5598839A (en) Positive expiratory pressure device
US8272378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endurance of inspiratory muscles
US5154167A (en) Lung and chest exerciser and developer
US953273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a gas in exhaled air
US20160346603A1 (en) Pulmonary System Resistance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s
EP3166675A2 (en) Facial access oxygen face mask and component system
US11673021B2 (en) Device for the care of respiratory wellbeing and for training and the improvement of respiratory function
JP2008113922A (en) Mask especially for nose inhalation and mouth exhalation
US11045112B2 (en) Incentive spirometer
KR20200082836A (en) functional mask
US10463912B2 (en) Bi-directional oxygenation apparatus for a non-intubated patient
US20220168613A1 (en) Bi-Directional Oxygenation Apparatus for a Non-Intubated Patient
CN113559470A (en) Breathe training appearance with detect function
RU171354U1 (en) Breathing simulator
CN218046366U (en) Artificial airway patient breathes training ware
CN220478020U (en) Respiratory pressure load type anti-resistance training device
CN211097365U (en) Expiration training device for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WO2024048977A1 (en) Device for combined breathing measurement and training
KR102663808B1 (en) Digital type inhale and exhale respiration monitoring device and manual ventilator equipped with thereof
RU24107U1 (en) DEVICE FOR NORMALIZING RESPIRATORY FUNCTION
CN220632933U (en) Audiovisual guide type respiration training device for lung rehabilitation
CN214550995U (en) Respiratory exercise device for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KR102617848B1 (en) Respiration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Measuring Lung Capacity and Breathing Pressure, and Training Respiratory Resist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