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6444A - Respiration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user customized type - Google Patents

Respiration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user customized ty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6444A
KR20220086444A KR1020210026202A KR20210026202A KR20220086444A KR 20220086444 A KR20220086444 A KR 20220086444A KR 1020210026202 A KR1020210026202 A KR 1020210026202A KR 20210026202 A KR20210026202 A KR 20210026202A KR 20220086444 A KR20220086444 A KR 20220086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ing
breathing
user
breathing training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62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성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애드에이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애드에이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애드에이블
Publication of KR20220086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644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1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improving respiratory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4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respiratory characteristics
    • A63B2230/42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respiratory characteristics rate
    • A63B2230/425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respiratory characteristics rate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맞춤형 흡기 및 호기훈련을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맞춤형 호흡훈련시스템이 제공된다. 호흡훈련시스템은 훈련관리서버에서 구성된 사용자별 호흡훈련 시나리오에 따라 호흡훈련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호흡훈련장치를 통해 호흡훈련을 수행하여 결과데이터를 생성한다. A user-customized breathing training system that can provide customized inspiratory and exhalation training optimized for the user is provided. The breathing training system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breathing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the breathing training scenario for each user configured in the training management server, and generates result data by performing breathing training through the breathing training device.

Description

사용자 맞춤형 호흡훈련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호흡훈련방법{Respiration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user customized type}Respiration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user customized type

본 발명은 호흡훈련시스템으로, 특히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맞춤형 흡기 및 호기훈련을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맞춤형 호흡훈련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호흡훈련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eathing training system, in particular, to a user-customized breathing training system capable of providing customized inspiratory and exhalation training optimized for a user, and a breathing training method using the same.

호흡 훈련이란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을 완화시키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며, 일상생활에서 신체적 정서적인 참여를 확대시키기 위하여 호흡에 장애를 겪는 환자에게 적절한 호흡법을 훈련시키는 것이다. 특히, 폐 수술 후 환자, 만성 폐쇄성 호흡질환 환자는 치료 및 회복의 일환으로 호흡 훈련이 필수적이다.Respiratory training is training appropriate breathing techniques to patients suffering from breathing difficulties in order to relieve symptoms such as breathing difficulties, improve quality of life, and expand physical and emotional participation in daily life. In particular, breathing training is essential for patients after lung surgery and chronic obstructive respiratory disease as part of treatment and recovery.

또한, 호흡근 및 횡경막 등의 호흡기 근육강화, 들숨 및 날숨 훈련을 통한 폐확장 및 안정적인 산소공급, 꾸준한 호흡훈련을 통한 폐활량 및 심폐기능 발달, 원활한 산소공급을 통한 체내 신진대사 활발, 심폐기능강화를 통한 레저/스포츠활동 참여를 위해 지속적인 호흡훈련이 필요하다.In addition, through strengthening respiratory muscles such as respiratory muscles and diaphragm, lung expansion and stable oxygen supply through in-breath and exhalation training, lung capacity and cardiopulmonary function development through steady breathing training, body metabolism activity through smooth oxygen supply, cardiopulmonary function enhancement Continuous breathing training is required to participate in leisure/sports activities.

종래의 호흡 훈련 방법으로는 실린더 안에 들어있는 공기의 높낮이를 변화시키면서 훈련시키는 방법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호흡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고안된 팬 호흡 훈련기도 개발되었다. As a conventional breathing training method, there was a method of training while changing the height of the air contained in the cylinder. In addition, a fan breathing trainer designed to allow the user to visually check the respiration volume has been developed.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장치들은 환자가 장치가 구비된 병원이나 재활 센터 등으로 방문해야 하므로 불편하고, 기기의 사용 시간에 제한이 있게 되므로, 수시로 훈련을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such conventional devices are inconvenient because a patient has to visit a hospital or a rehabilitation center equipped with the device, and there is a limitation in the use time of the device, so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train frequently.

또한, 환자들의 호흡 훈련은 환자들의 상태나 치료의 경과에 따라 호흡 시간과 호흡 운동량을 단계적으로 조절해 주어야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종래의 호흡 훈련 방법은 환자의 상태에 따른 훈련 시간 및 단계의 조절이 어려운 실정이다. In addition, in the breathing training of patients, the desired effect can be obtained by adjusting the breathing time and the amount of breathing exercise step by step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patient or the progress of treatment. It is difficult to control.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맞춤형 흡기 및 호기훈련을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맞춤형 호흡훈련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호흡훈련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 user-customized breathing training system capable of providing customized inspiratory and exhalation training optimized for the user and a breathing train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흡훈련시스템은, 사용자별 호흡훈련 시나리오를 구성하는 훈련관리서버; 사용자의 구강을 통해 호흡훈련이 진행되도록 하는 호흡훈련장치; 및 상기 훈련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호흡훈련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상기 호흡훈련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호흡훈련장치로부터 호흡훈련 결과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훈련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한다. Respiratory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raining management server for configuring a breathing training scenario for each user; Respiratory training device that allows breathing training to proceed through the user's mouth; and a user termi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reathing training apparatus based on the breathing training scenario transmitted from the training management server, receiving the breathing training result data from the breathing training apparatus, and transmitting it to the training management server.

상기 훈련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정보 및 호흡훈련 결과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호흡훈련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사용자별 맞춤형 호흡훈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training management server configures the breathing training scenario from at least one of user information and breathing training result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so that customized breathing training for each user is perform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흡훈련방법은, 훈련관리서버가 예비호흡훈련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예비호흡훈련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호흡훈련장치의 호흡조절부를 초기상태로 조절하는 단계; 상기 호흡훈련장치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예비호흡훈련에 따른 감지결과로부터 예비호흡 훈련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훈련관리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정보 및 상기 예비호흡 훈련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별 다수의 호흡훈련 시나리오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호흡훈련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호흡조절부의 개구영역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호흡훈련장치로부터 상기 호흡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호흡훈련의 감지결과를 제공받아 사용자의 훈련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훈련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Respiratory trai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ining management server generating a preliminary breathing training scenario; adjusting the breathing control unit of the breathing training apparatus to an initial state based on the preliminary breathing training scenario; generating preliminary breathing training data from the detection result according to the user's preliminary breathing training transmitted from the breathing training apparatus; configuring a plurality of breathing training scenarios for each user by using at least one of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preliminary breathing training data in the training management server; adjusting the size of the opening area of the breathing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breathing training scenario; and receiving the detection result of the breathing training according to the breathing training scenario from the breathing training device, generating training data of the user and transmitting it to the training management server.

본 발명의 호흡훈련시스템은, 사용자의 나이, 성별, 병력 등과 같은 사용자정보 또는 예비호흡훈련의 결과로부터 사용자별 맞춤형 호흡훈련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호흡훈련을 진행함으로써, 사용자의 호흡훈련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The respiratory train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user's breathing training by configuring a customized breathing training scenario for each user from user information such as the user's age, gender, medical history, etc. or the result of preliminary breathing training and performing breathing training. have.

또한, 본 발명의 호흡훈련시스템은 호흡훈련 시나리오에 따라 호흡훈련장치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공기유동량 또는 공기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난이도가 변경되는 호흡훈련을 제공하여 훈련의 효율성 및 효과를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breathing train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djusting the amount of air flow or air pressure flowing in the inside of the breathing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the breathing training scenario, to provide the user with breathing training in which the difficulty is chang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training hav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흡훈련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호흡훈련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제어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호흡조절부와 부하조절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흡훈련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부하조절부에 의한 호흡조절부의 동작 실시예들이다.
1 is a view showing a breathing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breathing training apparatus of Figure 1.
FIG. 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of FIG. 2 .
4 is a view showing a breathing control unit and a load control unit.
5 is a view showing a breathing trai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to 6C are operational embodiments of the breathing control unit by the load control unit.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일 수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have been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se term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legal or technical interpretation, and emergence of new technology. Also, some terms may be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These terms may be interpreted in the meanings defined herein, and in the absence of specific definitions, they may be interpreted based on the general cont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ommon technical common sense in the art.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각 도면에 기재된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서로 다른 실시 예들에서도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즉, 복수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지는 구성 요소를 모두 도시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복수의 도면들이 하나의 실시 예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Also, the same reference numerals or reference numerals in each drawing appended hereto indicate parts or components that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understanding, the same reference numbers o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in different embodiments to be described. That is, even though all the compon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ber are shown in the plurality of drawings, the plurality of drawings do not mean one embodiment.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는 구성요소들 간의 구별을 위하여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수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서수 사용으로 인하여 용어의 의미가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일 예로, 이러한 서수와 결합된 구성 요소는 그 숫자에 의해 사용 순서나 배치 순서 등이 제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각 서수들은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istinguish between elements. This ordinal number is used to distinguish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from each other, and the meaning of the term should not be limitedly interpreted due to the use of the ordinal number. As an example, for components combined with such an ordinal number, the order of use or arrangement of the element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number. If necessary, each ordinal number may be used interchangeably.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름을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성,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compris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existence of a characteristic,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tion or existence of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뿐 아니라, 다른 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의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의미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Also,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said that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direct connection but also indirect connection through another medium. In addition, the meaning that a certain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흡훈련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breathing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호흡훈련시스템(10)은 다수의 사용자들(400-1~400-N), 예컨대 폐 또는 기관지 근력의 향상을 위한 재활훈련이나 회복훈련이 요구되는 환자, 정확한 호흡운동과 심폐기능 및 지구력 향상 등을 목적으로 하는 사람들 각각에게 맞춤형의 호흡훈련을 제공할 수 있다. Respiratory training system 10 of this embodiment is a plurality of users (400-1 ~ 400-N), for example, patients who require rehabilitation training or recovery training for the improvement of lung or bronchial muscle strength, accurate breathing exercise and cardiopulmonary function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customized breathing training to each person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endurance.

여기서, 호흡훈련은 사람, 즉 사용자가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훈련과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호기훈련을 통칭할 수 있다. Here, the breathing training may collectively refer to an inhalation training in which a person, ie, a user, inhales external air and an exhalation training in which the user discharges air to the outside.

도면을 참조하면, 호흡훈련시스템(10)은 다수의 사용자들(400-1~400-N) 각각과 매칭되어 이들의 호흡훈련을 진행하는 다수의 호흡훈련장치(300-1~300-N), 상기 다수의 호흡훈련장치(300-1~300-N) 각각과 연결되어 사용자(400-1~400-N)의 호흡훈련을 제어하는 다수의 사용자단말기(200-1~200-N) 및 상기 다수의 사용자단말기(200-1~200-N)와 연결되어 호흡훈련을 관리하는 훈련관리서버(10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respiratory training system 10 is matched with each of a plurality of users (400-1 to 400-N) and a plurality of breathing training apparatuses (300-1 to 300-N) for performing their breathing training. ,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200-1 to 200-N)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breathing training devices (300-1 to 300-N) to control the breathing training of the user (400-1 to 400-N); and It may include a training management server 100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200-1 ~ 200-N) to manage breathing training.

여기서, 다수의 사용자단말기(200-1~200-N)와 훈련관리서버(100)는 유/무선 네트워크(미도시)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사용자단말기(200-1~200-N)와 다수의 호흡훈련장치(300-1~300-N)는 무선 네트워크(미도시)를 통해 일대일 매칭되어 연결될 수 있다. Here,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200-1 ~ 200-N) and the training management server 100 may be connected through a wired / wireless network (not shown). In addition,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200-1 ~ 200-N) and a plurality of breathing training apparatus (300-1 ~ 300-N) may be connected to one-to-one matching through a wireless network (not shown).

훈련관리서버(100)는 사용자별 호흡훈련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이를 다수의 사용자단말기(200-1~200-N)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훈련관리서버(100)는 다수의 사용자단말기(200-1~200-N)로부터 전송된 사용자(400-1~400-N)의 훈련데이터로부터 사용자별 호흡패턴을 분석하여 호흡훈련 결과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병원의 진료서버 등과 같은 외부장치(미도시) 또는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단말기(200-1~200-N)로 전송할 수 있다. The training management server 100 may configure a breathing training scenario for each user and transmit it to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200-1 to 200-N. In addition, the training management server 100 analyzes the breathing pattern for each user from the training data of the user (400-1 ~ 400-N) transmitted from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200-1 ~ 200-N), the breathing training result data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such as a medical treatment server of a hospital or the user terminals 200-1 to 200-N of the corresponding user.

훈련관리서버(100)는 사용자단말기(200-1~200-N)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정보 또는 호흡훈련장치(300-1~300-N)를 통해 진행된 호흡훈련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별 호흡훈련 시나리오를 구성할 수 있다. The training management server 100 is a breathing training scenario for each user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200-1 ~ 200-N) or the breathing training result conducted through the breathing training device (300-1 ~ 300-N). can be configured.

이러한 호흡훈련 시나리오는 훈련의 종류에 따라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단말기(200-1~200-N)의 선택에 따라 해당 호흡훈련 시나리오를 사용자단말기(200-1~200-N)로 전송할 수 있다. Such a breathing training scenario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according to the type of training, and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user terminal (200-1 ~ 200-N), the corresponding breathing training scenario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200-1 ~ 200-N). can

여기서, 호흡훈련 시나리오는 사용자의 호흡훈련 참여도 및 흥미도를 높이기 위하여 게임이나 애니메이션 등의 효과를 부여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다수의 사용자들(400-1~400-N) 각각은 자신의 사용자단말기(200-1~200-N)에 표시되는 호흡훈련 시나리오를 청취하면서 호흡훈련장치(300-1~300-N)를 통해 해당 시나리오에 따른 호흡훈련을 진행할 수 있다. Here, the breathing training scenario may be configured by giving effects such as games or animations to increase the user's breathing training participation and interest. Accordingly, a plurality of users (400-1 ~ 400-N) each of the breathing training device (300-1 ~ 300-N) while listening to the breathing training scenario displayed on their user terminal (200-1 ~ 200-N) ), you can proceed with breathing training according to the scenario.

다수의 사용자단말기(200-1~200-N) 각각은 훈련관리서버(100)로부터 전송된 호흡훈련 시나리오를 해당 사용자(400-1~400-N)가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사용자단말기(200-1~200-N) 각각은 대응되어 연결된 호흡훈련장치(300-1~300-N)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예컨대 훈련데이터를 훈련관리서버(100)로 전송함과 함께, 이를 이용하여 호흡훈련장치(300-1~300-N)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200-1 to 200-N) may display the breathing training scenario transmitted from the training management server 100 so that the user (400-1 to 400-N) can recognize it. In add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200-1 to 200-N) transmits data, for example, train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correspondingly connected respiratory training apparatus (300-1 to 300-N) to the training management server (100). Together with,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breathing training apparatus (300-1 ~ 300-N) using this.

이러한 사용자단말기(200-1~200-N)는 훈련관리서버(100) 및 호흡훈련장치(300-1~300-N)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폰, 테블릿PC등 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기(200-1~200-N) 각각에는 훈련관리서버(100)로부터 전송된 호흡훈련 시나리오를 구동하고, 각 사용자단말기(200-1~200-N)에 연결된 호흡훈련장치(300-1~300-N)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소정의 호흡훈련용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될 수 있다. These user terminals (200-1 ~ 200-N) may be a smart phone, tablet PC, etc. capable of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training management server 100 and the breathing training device (300-1 ~ 300-N). . In addition, each of the user terminals 200-1 to 200-N drives a breathing training scenario transmitted from the training management server 100, and a breathing training device 300 connected to each user terminal 200-1 to 200-N. A predetermined application for breathing training that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1 to 300-N) may be loaded.

한편, 다수의 사용자단말기(200-1~200-N) 각각은 해당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정보, 에컨대 사용자의 성별, 나이, 몸무게, 폐 또는 기관지에 대한 병력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훈련관리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훈련관리서버(100)는 사용자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별 호흡훈련 시나리오를 생성하고, 이를 해당 사용자단말기(200-1~200-N)로 전송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200-1 to 200-N) receives user information for the corresponding user, for example, user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user's gender, age, weight, and medical history information about the lungs or bronchial tubes. It can be collected and transmitted to the training management server 100 . Accordingly, the training management server 100 may generate a breathing training scenario for each user based on user information, and transmit it to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s 200-1 to 200-N.

다수의 호흡훈련장치(300-1~300-N) 각각은 사용자단말기(200-1~200-N)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400-1~400-N)의 호흡훈련을 진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다수의 사용자들(400-1~400-N) 각각은 사용자단말기(200-1~200-N)에 표시된 호흡훈련 시나리오에 따라 호흡훈련장치(300-1~300-N)를 이용하여 호기 및 흡기 동작을 포함하는 호흡훈련을 진행할 수 있다. Each of the plurality of breathing training apparatuses (300-1 to 300-N) may proceed with the breathing training of the user (400-1 to 400-N)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user terminal (200-1 to 200-N). In other words,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s (400-1 to 400-N) uses the breathing training device (300-1 to 300-N) according to the breathing training scenario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200-1 to 200-N). Thus, breathing training including exhalation and inspiratory movements can be performed.

도 2는 도 1의 호흡훈련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breathing training apparatus of Figure 1.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호흡훈련장치(300-1), 예컨대 제1호흡훈련장치를 예로 설명한다. 그러나, 나머지 호흡훈련장치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one breathing training device 300-1, for example, the first breathing training devic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rest of the breathing training apparatus has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호흡훈련장치(300-1)는 몸체부(310), 상기 몸체부(310)의 일단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구강에 삽입되는 마우스피스(320), 상기 몸체부(310)의 일단과 상기 마우스피스(320) 사이에 결합되어 몸체부(310) 내부에서 유동하는 공기량 또는 공기압력을 조절하는 호흡조절부(330) 및 상기 몸체부(310) 내에 배치되어 호흡훈련을 관리하는 제어유닛(34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breathing training apparatus 300-1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body part 310, a mouthpiece 320 coupled to one end of the body part 310 and inserted into the user's oral cavity, the body part ( 310) is coupled between one end and the mouthpiece 320 to adjust the amount of air or air pressure flowing inside the body 310 and a breathing control unit 330 disposed in the body 310 to perform breathing training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340 to manage.

이러한 호흡훈련장치(300-1)는 하나의 사용자단말기(200-1), 예컨대 제1사용자단말기와 연결되어 서로 데이터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This breathing training apparatus 300-1 may be connected to one user terminal 200-1, for example, a first user terminal and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몸체부(310)는 양측이 개방된 중공형의 일자형 흡배기관(311) 및 상기 흡배기관(31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는 손잡이(3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몸체부(310)는 T자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The body portion 310 may include a hollow straight intake and exhaust pipe 311 with both sides open and a handle 313 extending downward from the intake and exhaust pipe 311 to be gripped by the user's hand. The body portion 310 may have a T-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몸체부(310)의 흡배기관(311) 일단에는 마우스피스(32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마우스피스(320)가 결합된 흡배기관(311)의 내측에는 호흡조절부(330)가 배치될 수 있다. 호흡조절부(330)는 후술된 제어유닛(340)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되므로, 흡배기관(311)의 내측에서 제어유닛(340)에 인접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A mouthpiece 320 may be coupled to one end of the intake and exhaust pipe 311 of the body 310 . In addition, the breathing control unit 330 may be disposed inside the intake and exhaust pipe 311 to which the mouthpiece 320 is coupled. Since the operation of the breathing control unit 33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340 to be described later, it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control unit 340 inside the intake/exhaust pipe 311 .

흡배기관(311)은 사용자의 호흡훈련에 따라 개방된 측부를 통해 외부공기를 유입하여 마우스피스(320)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하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마우스피스(320)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The intake and exhaust pipe 311 introduces external air through the open side according to the user's breathing training and supplies it to the user through the mouthpiece 320 or discharges the air discharged from the user to the outside through the mouthpiece 320. can do.

또한, 흡배기관(311)은 사용자의 호흡동작에 의해 내부에서 난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측부의 개방된 영역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마우스피스(320)가 결합되는 흡배기관(311)의 일측 개방부의 직경은 타측 개방부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의 호흡동작 시 흡배기관(311) 내부에서 유동되는 공기에 의해 난류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urbulence from occurring inside the intake and exhaust pipe 311 due to the user's breathing operation, the size of the open areas of both sides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the diameter of the opening of one side of the intake and exhaust pipe 311 to which the mouthpiece 320 is coupled may be relative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opening of the other sid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urbulence from occurring due to the air flowing inside the intake and exhaust pipe 311 during the user's breathing operation.

손잡이(313)는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는 부분으로, 그 내부에는 호흡훈련장치(300-1)의 동작을 관리할 수 있는 제어유닛(340)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유닛(340)의 일부 구성은 손잡이(313)를 파지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접촉될 수 있도록 손잡이(313)의 외면에 노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The handle 313 is a part to be gripped by the user's hand, and a control unit 340 capable of managing the operation of the breathing training apparatus 300-1 may be disposed therein. Here, some components of the control unit 340 may be disposed to be ex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andle 313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user's finger holding the handle 313 .

마우스피스(320)는 몸체부(310)의 흡배기관(311) 일측 개방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구강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마우스피스(320)는 사용자의 호기동작에 따른 공기를 호흡조절부(330)를 통해 흡배기관(311)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마우스피스(320)는 사용자의 흡기동작에 따라 흡배기관(311) 및 호흡조절부(330)를 통해 공급되는 외부공기를 사용자의 구강으로 전달할 수 있다. The mouthpiece 320 may be coupled to one side opening of the intake and exhaust pipe 311 of the body 310 to be inserted into the user's oral cavity. The mouthpiece 320 may discharge air according to the user's exhalation motion to the outside of the intake/exhaust pipe 311 through the breathing control unit 330 . In addition, the mouthpiece 320 may deliver the external air supplied through the intake and exhaust pipe 311 and the breathing control unit 330 according to the user's intake operation to the user's oral cavity.

이러한 마우스피스(320)는 사용자의 호기 및 흡기에 의한 기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이물감을 줄이기 위해 연질, 예컨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mouthpiece 320 may be ergonomically designed to prevent loss of airflow due to the user's exhalation and inhalation, and may be formed of a soft, eg, silicone material to reduce the user's sense of foreign body.

호흡조절부(330)는 흡배기관(311)의 내측에 결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호흡조절부(330)는 제어유닛(340)에 의해 사용자의 호흡동작에 따른 흡배기관(311) 내부의 공기유동량 또는 공기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호흡조절부(330)의 동작은 후에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Respiratory control unit 330 may be arranged to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intake and exhaust pipe (311). Respiratory control unit 330 may adjust the amount of air flow or air pressure inside the intake/exhaust pipe 311 according to the user's breathing operation by the control unit 340 . The operation of the respiration control unit 3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제어유닛(340)은 호흡훈련 시나리오에 기초한 사용자단말기(200-1)의 제어에 따라 호흡훈련장치(300-1)의 동작, 다시 말해 호흡조절부(3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유닛(340)은 사용자의 호흡훈련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사용자단말기(200-1)로 전송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34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breathing training apparatus 300-1, that is, the operation of the breathing control unit 330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user terminal 200-1 based on the breathing training scenario.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40 may collect data on the user's breathing training and transmit it to the user terminal 200-1.

도 3은 도 2의 제어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of FIG. 2 .

도면을 참조하면, 제어유닛(340)은 산소포화도센서(341), 호흡감지센서(342), 부하조절부(343), 통신부(344), 표시부(345) 및 배터리(346)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ontrol unit 340 may include an oxygen saturation sensor 341 , a respiration sensor 342 , a load control unit 343 , a communication unit 344 , a display unit 345 and a battery 346 . have.

산소포화도센서(341)와 호흡감지센서(342)는 사용자의 호흡훈련이 진행될 때 호흡상태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감지결과를 통신부(344)를 통해 사용자단말기(200-1)로 전송할 수 있다. The oxygen saturation sensor 341 and the respiration sensor 342 may detect a respiration state when the user's respiration training is in progress, and transmit a corresponding detection result to the user terminal 200 - 1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44 .

산소포화도센서(341)는 몸체부(310)의 손잡이(313)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산소포화도센서(341)는 손잡이(313)를 파지한 사용자의 손가락에 접촉되고, 접촉된 손가락을 통해 호흡훈련시 사용자의 혈중 산소포화도를 감지할 수 있다. 산소포화도센서(341)에 의해 감지된 산소포화도값은 통신부(344)를 통해 사용자단말기(200-1)로 전송될 수 있다. The oxygen saturation sensor 341 may be dispos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andle 313 of the body 310 . The oxygen saturation sensor 341 may be in contact with the user's finger holding the handle 313, and may sense the user's blood oxygen saturation during breathing training through the contacted finger. The oxygen saturation value sensed by the oxygen saturation sensor 341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200 - 1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44 .

산소포화도센서(341)는 접촉되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서로 다른 파장대의 광, 예컨대 적외선과 자외선 각각을 투사하고, 손가락이 흡수한 광의 비율을 산출하여 산소포화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산소포화도센서(341)는 600~750nm의 파장대역을 갖는 적외선을 방출하는 제1광원부(미도시), 850~1000nm의 파장대역을 갖는 자외선을 방출하는 제2광원부(미도시) 및 손가락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xygen saturation sensor 341 may detect oxygen saturation by projecting light of different wavelength bands, for example, infrared rays and ultraviolet rays, respectively, to the user's finger being touched, and calculating a ratio of light absorbed by the finger. Accordingly, the oxygen saturation sensor 341 includes a first light source unit (not shown) emitting infrared rays having a wavelength band of 600 to 750 nm, a second light source unit emitting ultraviolet rays having a wavelength band of 850 nm to 1000 nm (not shown) and a finger It may include a light receiving unit (not shown) for receiving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호흡감지센서(342)는 손잡이(313) 내부에서 최상단, 즉 흡배기관(311) 내측에 접촉되는 손잡이(313)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호흡감지센서(342)는 사용자의 호흡훈련 시 흡배기관(311)에서 유동되는 공기의 압력 또는 유동량을 감지할 수 있다. 호흡감지센서(342)에서 감지된 공기압력 또는 공기유동량은 통신부(344)를 통해 사용자단말기(200-1)로 전송될 수 있다. The respiration sensor 342 may be disposed at the top of the handle 313 inside, that is, at the end of the handle 313 in contact with the intake and exhaust pipe 311 inside. Respiratory sensor 342 may detect the pressure or flow amount of air flowing in the intake and exhaust pipe 311 during the user's breathing training. The air pressure or air flow amount sensed by the respiration sensor 342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200 - 1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44 .

이에, 사용자단말기(200-1)는 산소포화도센서(341)와 호흡감지센서(342)로부터 전송된 감지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호흡훈련에 따른 훈련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단말기(200-1)는 생성된 훈련데이터를 훈련관리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terminal 200 - 1 may generate training data according to the user's breathing training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transmitted from the oxygen saturation sensor 341 and the respiration sensor 342 . Then, the user terminal 200 - 1 may transmit the generated training data to the training management server (100).

훈련관리서버(100)는 사용자단말기(200-1)에서 전송된 훈련데이터에 따라 사용자별 호흡훈련 시나리오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훈련관리서버(100)는 상기 훈련데이터에 따라 사용자의 호흡훈련 결과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The training management server 100 may configure a breathing training scenario for each user according to the train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200-1. In addition, the training management server 100 may generate the user's breathing training result data according to the training data.

부하조절부(343)는 호흡조절부(330)의 동작을 제어하여 호흡조절부(330)를 통해 흡배기관(311) 내부에서의 공기유동량 및 압력이 증가되거나 또는 감소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The load control unit 343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respiration control unit 330 to adjust the amount of air flow and pressure inside the intake/exhaust pipe 311 through the respiration control unit 330 to be increased or decreased.

부하조절부(343)는 사용자단말기(200-1)에서 전송된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호흡조절부(330)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직접 조작에 따라 호흡조절부(3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The load control unit 343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respiration control unit 330 based on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200-1, or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respiration control unit 330 according to the user's direct manipulation. can do.

도 4는 호흡조절부와 부하조절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breathing control unit and a load control unit.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호흡조절부(330)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겹쳐지도록 결합되는 제1구조체(331)와 제2구조체(335), 상기 제1구조체(331)에 결합되어 공기 흐름을 차폐하는 제1차폐막(331a) 및 상기 제2구조체(335)에 결합되어 공기 흐름을 차폐하는 제2차폐막(335a)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breathing control unit 330 of this embodiment is coupled to a first structure 331 and a second structure 335 that are coupled to overlap each other with respect to a central axis, and the first structure 331 is coupled to the air flow. It may include a first shielding film 331a for shielding and a second shielding film 335a coupled to the second structure 335 to block air flow.

제1구조체(331)와 제2구조체(335)는 서로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구조체(331)와 제2구조체(335) 각각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의 개구가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구는 그 수가 제한되지는 않으나, 짝수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는 제1구조체(331)와 제2구조체(335) 각각에 8개의 개구가 형성된 것을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first structure 331 and the second structure 335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having the same diameter. A plurality of opening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may be formed in each of the first structure 331 and the second structure 335 . Although the number of such openings is not limited, it is preferable to form an even number, and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in which eight openings are formed in each of the first structure 331 and the second structure 335 .

제1차폐막(331a)은 제1구조체(331)의 다수의 개구 중 일부, 예컨대 4개의 개구를 차폐할 수 있다. 제2차폐막(335a)은 제2구조체(335)의 다수의 개구 중 4개의 개구를 차폐할 수 있다. The first shielding layer 331a may shield some of the plurality of openings of the first structure 331 , for example, four openings. The second shielding film 335a may shield four openings among the plurality of openings of the second structure 335 .

이러한 제1차폐막(331a)과 제2차폐막(335a)은 최초 상태, 즉 사용자의 호흡훈련이 진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흡배기관(311) 내부에서는 제1차폐막(331a) 및 제2차폐막(335a)에 의해 차폐되지 않은 제1구조체(331) 및 제2구조체(335)의 개구를 통해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The first shielding film 331a and the second shielding film 335a may be dispos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 the initial state,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user's breathing training is not performed. Accordingly, inside the intake and exhaust pipe 311, air may flow through the openings of the first and second structures 331 and 335 that are not shielded by the first and second shielding films 331a and 335a. .

부하조절부(343)는 사용자단말기(200-1)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모터(343b)와, 상기 모터(343b)의 동작에 따라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기어(343a)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oad control unit 343 includes a motor 343b that operate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200-1, and a rotation gear 343a that rotates in one dire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tor 343b. can

회전기어(343a)는 제2구조체(335)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제2구조체(335)의 외주면에는 상기 회전기어(343a)에 맞물리는 기어홈(335b)이 형성될 수 있다. The rotation gear 343a may be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structure 335 . Accordingly, a gear groove 335b engaged with the rotation gear 343a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structure 335 .

부하조절부(343)는 모터(343b)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기어(343a)에 따라 제2구조체(335)를 일 방향으로 소정 회전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구조체(335)에 결합된 제2차폐막(335a)의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제1구조체(331)와 제2구조체(335)의 개구영역의 크기가 달라지게 된다. 이러한 제1구조체(331)와 제2구조체(335)의 개구영역 크기 변화는 호흡조절부(33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량 및 압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에, 호흡훈련장치(300-1)는 사용자의 호기동작과 흡기동작의 훈련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어 호흡훈련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호흡조절부(330)의 동작은 후에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load control unit 343 may rotate the second structure 335 in one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gear 343a rotated by the motor 343b. Due to this, the position of the second shielding film 335a coupled to the second structure 335 is changed, so that the size of the opening area of the first structure 331 and the second structure 335 is changed. The change in the size of the opening area of the first structure 331 and the second structure 335 may change the flow amount and pressure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breathing control unit 330 . Accordingly, the breathing training apparatus 300-1 can adjust the training difficulty of the user's exhalation and inspiratory movements, thereby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breathing training. The operation of the respiration control unit 3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통신부(344)는 블루투스 등과 같은 무선통신을 통해 사용자단말기(200-1)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344)는 산소포화도센서(341) 또는 호흡감지센서(342)의 감지결과를 사용자단말기(200-1)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44)는 사용자단말기(200-1)로부터 부하조절부(34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신호, 예컨대 모터구동신호를 수신하여 부하조절부(343)로 전송할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3 , the communication unit 344 may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200 - 1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The communication unit 344 may transmit the detection result of the oxygen saturation sensor 341 or the respiration sensor 342 to the user terminal 200-1.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344 may receiv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oad control unit 343 from the user terminal 200 - 1 , for example, a motor driving signal, and transmit it to the load control unit 343 .

표시부(345)는 사용자의 호흡훈련 진행상황을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345)는 흡배기관(311)의 외면에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로 구성되거나 소정 컬러를 발광하는 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345 may display the user's breathing training progress to the outside. The display unit 345 may be disposed to be ex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take and exhaust pipe 311 , and may be configured as a display device for outputting an image or a light emitting diode for emitting a predetermined color.

배터리(346)는 전술된 제어유닛(340)의 구성들, 즉 산소포화도센서(341), 호흡감지센서(342), 부하조절부(343), 통신부(344) 및 표시부(345)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346)는 통상의 건전지 또는 외부단자(미도시)에 의해 충전될 수 있는 충전지일 수 있다. The battery 346 controls the components of the above-described control unit 340, that is, the oxygen saturation sensor 341, the respiration sensor 342, the load control unit 343, the communication unit 344, and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unit 345. can supply power for The battery 346 may be a normal battery or a rechargeable battery that can be charged by an external terminal (not show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호흡훈련장치(300-1)는 사용자의 나이, 성별, 병력 등과 같은 사용자정보 또는 호흡훈련에 따른 훈련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별 맞춤형 호흡훈련이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호흡훈련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breathing training apparatus 300-1 of this embodiment allows customized breathing training for each user based on user information such as the user's age, gender, medical history, or the like or training data according to breathing training, so that the user's It can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breathing training.

또한, 호흡훈련장치(300-1)는 호흡훈련 시 내부에서 유동되는 공기유동량 또는 공기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난이도가 변경되는 호흡훈련을 제공하여 훈련의 효율성 및 효과를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breathing training apparatus 300-1 can increase the effectiveness and effectiveness of training by providing breathing training in which the difficulty is changed to the user by adjusting the amount of air flow or air pressure flowing therein during breathing training.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흡훈련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5 is a view showing a breathing trai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단말기(200-1~200-N)는 사용자의 성별, 나이, 몸무게 및 병력정보를 포하하는 사용자정보를 훈련관리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훈련관리서버(100)는 사용자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예비호흡 훈련을 위한 예비호흡 훈련시나리오를 구성할 수 있다. 예비호흡 시나리오는 해당 사용자단말기(200-1~200-N)로 전송될 수 있다(S10).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user terminals 200-1 to 200-N may transmit user information including the user's gender, age, weight, and medical history information to the training management server 100 . The training management server 100 may configure a preliminary breathing training scenario for the user's preliminary breathing training based on user information. The preliminary respiration scenario may be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s 200-1 to 200-N (S10).

훈련관리서버(100)에서 구성된 예비호흡훈련 시나리오는 3회 이상의 호기동작 및 흡기동작을 각 동작마다 수 초, 예컨대 5초 이상 진행하도록 하는 시나리오일 수 있다. 이러한 예비호흡훈련 시나리오는 사용자의 호흡근, 예컨대 횡경막의 동작에 따른 폐활량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게임이나 애니메이션 형태로 구성되어 사용자단말기(200-1~200-N)로 전송될 수 있다. The preliminary breathing training scenario configured in the training management server 100 may be a scenario in which three or more exhalation and inspiration operations are performed for several seconds, for example, 5 seconds or longer for each operation. This preliminary breathing training scenario is for measuring lung capacity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ser's respiratory muscles, for example, the diaphragm, and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game or animation and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s 200-1 to 200-N.

다음으로, 사용자단말기(200-1~200-N)는 예비호흡훈련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호흡훈련장치(300-1~300-N)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S20).Next, the user terminals 200-1 to 200-N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breathing training apparatus 300-1 to 300-N based on the preliminary breathing training scenario (S20).

사용자단말기(200-1~200-N)는 소정의 제어신호를 호흡훈련장치(300-1~300-N)로 전송할 수 있다. 호흡훈련장치(300-1~300-N)는 상기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부하조절부(343)를 통해 호흡조절부(330)의 개구영역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s 200-1 to 200-N may transmit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to the breathing training apparatus 300-1 to 300-N. The breathing training apparatus 300-1 to 300-N may adjust the size of the opening area of the breathing control unit 330 through the load control unit 343 based on the control signal.

이때, 부하조절부(343)는 호흡조절부(330)의 제2구조체(335)를 회전시켜 제1구조체(331)의 제1차폐막(331a)과 제2구조체(335)의 제2차폐막(335a)이 동일 위치에 대응되도록 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oad control unit 343 rotates the second structure 335 of the breathing control unit 330 to the first shielding film 331a of the first structure 331 and the second shielding film of the second structure 335 ( 335a) can be made to correspond to the same position.

즉, 사용자단말기(200-1~200-N)는 예비호흡훈련 시나리오에 따라 호흡조절부(330)를 초기상태, 즉 호흡조절부(330)의 개구영역 크기가 최대가 되도록 부하조절부(34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That is, the user terminals 200-1 to 200-N set the respiration control unit 330 in the initial state, that is, the size of the opening area of the respiration control unit 330 according to the preliminary breathing training scenario, to maximize the load control unit 343. ) can be controlled.

계속해서, 사용자단말기(200-1~200-N)는 예비호흡훈련 시나리오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사용자는 호흡훈련장치(300-1~300-N)를 이용하여 예비호흡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 호흡훈련장치(300-1~300-N)는 산소포화도센서(341) 및 호흡감지센서(342)를 통해 사용자의 예비호흡훈련에 따른 혈중 산소포화도, 공기유동량 및 공기압력을 감지하고, 이를 사용자단말기(200-1~200-N)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200-1~200-N)는 호흡훈련장치(300-1~300-N)에서 전송된 감지결과로부터 사용자의 예비호흡훈련에 대한 훈련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예비호흡 훈련데이터는 훈련관리서버(100)로 전송될 수 있다(S30). Subsequently, the user terminals 200-1 to 200-N may display a preliminary breathing training scenario to the user, and the user may perform preliminary breathing training using the breathing training apparatus 300-1 to 300-N. . The breathing training apparatus (300-1 ~ 300-N) detects blood oxygen saturation, air flow and air pressure according to the user's preliminary breathing training through the oxygen saturation sensor 341 and the respiration sensor 342, and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s 200-1 to 200-N. The user terminals 200-1 to 200-N may generate training data for the user's preliminary breathing training from the detection result transmitted from the breathing training apparatus 300-1 to 300-N. This preliminary breathing training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training management server 100 (S30).

예비호흡 훈련데이터는 사용자가 예비호흡 훈련을 진행한 횟수에 대응되어 생성될 수 있다. 즉, 예비호흡 훈련시나리오에서 3회 이상의 호흡동작이 요구되므로, 예비호흡 훈련을 진행하여 생성된 예비호흡 훈련데이터 역시 3개 이상일 수 있다.The preliminary breathing training data may be generat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has performed preliminary breathing training. That is, since three or more breathing movements are required in the preliminary breathing training scenario, the preliminary breathing training data generated by performing preliminary breathing training may also be three or more.

다음으로, 훈련관리서버(100)는 사용자정보 및 예비호흡 훈련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별로 다수의 호흡훈련 시나리오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다수의 호흡훈련 시나리오는 해당 사용자단말기(200-1~200-N)로 전송될 수 있다(S40). Next, the training management server 100 may generate a plurality of breathing training scenarios for each user based on user information and preliminary breathing training data. The generated multiple breathing training scenarios may be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200-1 ~ 200-N) (S40).

다수의 호흡훈련 시나리오는 각각 횡경막의 근력 증가를 위한 호흡훈련 시나리오(이하, 제1시나리오), 횡경막의 지구력 증가를 위한 호흡훈련 시나리오(이하, 제2시나리오) 및 횡경막의 근력 및 지구력 증가를 위한 호흡훈련 시나리오(이하, 제3시나리오)를 포함할 수 있다. A number of breathing training scenarios are, respectively, a breathing training scenario for increasing the diaphragm muscle strength (hereinafter, the first scenario), a breathing training scenario for increasing the endurance of the diaphragm (hereinafter the second scenario), and breathing for increasing the diaphragm strength and endurance. It may include a training scenario (hereinafter, a third scenario).

여기서, 제1시나리오는 다수의 예비호흡 훈련데이터의 평균값 또는 상기 평균값의 70~80%에 해당하는 값으로 훈련강도가 설정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시나리오는 설정된 훈련강도에 따라 사용자의 호기동작 및 흡기동작이 수 초, 예컨대 5초 이상 반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Here, the first scenario may be configured by setting the training intensity to an average value of a plurality of preliminary breathing training data or a value corresponding to 70 to 80% of the average value. In addition, the first scenario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user's exhalation and inhalation movements are repeated for several seconds, for example, 5 seconds or more according to the set training intensity.

또한, 제2시나리오는 다수의 예비호흡 훈련데이터의 평균값 또는 상기 평균값의 40~60%에 해당하는 값으로 훈련강도가 설정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시나리오는 설정된 훈련강도에 따라 사용자의 호기 및 흡기동작이 앞서 설명된 제1시나리오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1~2초 내에 반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scenario may be configured by setting the training intensity to an average value of a plurality of preliminary breathing training data or a value corresponding to 40 to 60% of the average value. In addition, the second scenario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user's exhalation and inspiratory movements are repeated within 1 to 2 seconds, which is relatively shorter than the first scenario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et training intensity.

사용자단말기(200-1~200-N)는 다수의 호흡훈련 시나리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호흡훈련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호흡훈련장치(300-1~300-N)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호흡훈련장치(300-1~300-N)를 이용하여 호흡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호흡훈련을 진행할 수 있다(S50). The user terminals 200-1 to 200-N may select one of a plurality of breathing training scenarios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breathing training apparatus 300-1 to 300-N based on the selected breathing training scenario. Then, the user may proceed with breathing training according to the breathing training scenario using the breathing training apparatus (300-1 ~ 300-N) (S50).

사용자단말기(200-1~200-N)는 선택된 호흡훈련 시나리오에 따라 호흡훈련장치(300-1~300-N)의 부하조절부(343)로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부하조절부(343)는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호흡조절부(330)의 개구영역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s 200-1 to 200-N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to the load control unit 343 of the breathing training apparatus 300-1 to 300-N according to the selected breathing training scenario. The load control unit 343 may adjust the size of the opening area of the respiration control unit 330 based on the control signal.

도 6a 내지 도 6c는 부하조절부에 의한 호흡조절부의 동작 실시예들이다. 6A to 6C are operational embodiments of the breathing control unit by the load control unit.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하조절부(343)는 사용자단말기(200-1~200-N)에서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343b) 및 이에 연결된 회전기어(343a)를 회전시켜 제2구조체(335)를 일 방향으로 소정, 예컨대 대략 45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As shown in FIG. 6A , the load control unit 343 rotates the motor 343b and the rotation gear 343a connected thereto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s 200-1 to 200-N to rotate the second The structure 335 may be rotated in one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for example, approximately 45 degrees.

이러한 제2구조체(335)의 회전에 따라 호흡조절부(330)에서는 제1차폐막(331a) 및 제2차폐막(335a)에 의해 차폐되지 않은 4개의 개구 중 1개가 제2차폐막(335a)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econd structure 335, in the breathing control unit 330, one of the four openings not shielded by the first shielding film 331a and the second shielding film 335a is opened by the second shielding film 335a. can be shielded.

이에, 호흡조절부(330)의 개구영역의 크기가 감소됨으로써, 이를 통해 유동되는 공기량은 초기상태의 호흡조절부(330)와 대비하여 대략 25% 감소되고, 공기의 압력은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호흡훈련 진행 시 호기 및 흡기동작에 부하가 발생되어 초기상태보다 호흡동작의 난이도가 증가될 수 있다. Accordingly, as the size of the opening area of the respiration control unit 330 is reduced, the amount of air flowing through it is reduced by approximately 25% compared to the respiration control unit 330 in the initial state, and the air pressure can be increased. Therefore, when the user's breathing training is in progress, a load is generated on the exhalation and inspiratory movements, so that the difficulty of the breathing operation can be increased compared to the initial state.

여기서, 초기상태의 호흡조절부(330)는 앞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차폐막(331a)과 제2차폐막(335a)이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호흡조절부(330)가 4개의 개구에 해당하는 개구영역을 갖는 상태를 말한다. Here, in the initial state of the respiration control unit 330,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4 , the first shielding film 331a and the second shielding film 335a are disposed at the same position, so that the breathing control unit 330 includes four It refers to a state with an opening area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하조절부(343)는 사용자단말기(200-1~200-N)에서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343b) 및 이에 연결된 회전기어(343a)를 회전시켜 제2구조체(335)를 일 방향으로 대략 90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As shown in FIG. 6B , the load adjusting unit 343 rotates the motor 343b and the rotary gear 343a connected thereto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s 200-1 to 200-N to rotate the second The structure 335 may be rotated by approximately 90 degrees in one direction.

이러한 제2구조체(335)의 회전에 따라 호흡조절부(330)에서는 제1차폐막(331a) 및 제2차폐막(335a)에 의해 차폐되지 않은 4개의 개구 중 2개가 제2차폐막(335a)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econd structure 335, in the breathing control unit 330, two of the four openings that are not shielded by the first shielding film 331a and the second shielding film 335a are opened by the second shielding film 335a. can be shielded.

이에, 호흡조절부(330)의 개구영역의 크기가 감소됨으로써, 이를 통해 유동되는 공기량은 초기상태의 호흡조절부(330)와 대비하여 대략 50% 감소되고, 공기의 압력은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호흡훈련 진행 시 호기 및 흡기동작에 부하가 발생되어 초기상태보다 호흡동작의 난이도가 증가될 수 있다. Accordingly, as the size of the opening area of the respiration control unit 330 is reduced, the amount of air flowing through it is reduced by approximately 50% compared to the respiration control unit 330 in the initial state, and the air pressure can be increased. Therefore, when the user's breathing training is in progress, a load is generated on the exhalation and inspiratory movements, so that the difficulty of the breathing operation can be increased compared to the initial state.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하조절부(343)는 사용자단말기(200-1~200-N)에서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343b) 및 이에 연결된 회전기어(343a)를 회전시켜 제2구조체(335)를 일 방향으로 대략 135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As shown in FIG. 6C , the load control unit 343 rotates the motor 343b and the rotation gear 343a connected thereto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s 200-1 to 200-N to rotate the second The structure 335 may be rotated by approximately 135 degrees in one direction.

이러한 제2구조체(335)의 회전에 따라 호흡조절부(330)에서는 제1차폐막(331a) 및 제2차폐막(335a)에 의해 차폐되지 않은 4개의 개구 중 3개가 제2차폐막(335a)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econd structure 335, in the breathing control unit 330, three of the four openings not shielded by the first shielding film 331a and the second shielding film 335a are opened by the second shielding film 335a. can be shielded.

이에, 호흡조절부(330)의 개구영역의 크기가 감소됨으로써, 이를 통해 유동되는 공기량은 초기상태의 호흡조절부(330)와 대비하여 대략 75% 감소되고, 공기의 압력은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호흡훈련 진행 시 호기 및 흡기동작에 부하가 발생되어 초기상태보다 호흡동작의 난이도가 증가될 수 있다. Accordingly, as the size of the opening area of the respiration control unit 330 is reduced, the amount of air flowing through it is reduced by approximately 75% compared to the respiration control unit 330 in the initial state, and the air pressure can be increased. Therefore, when the user's breathing training proceeds, a load is generated on the exhalation and inspiratory movements, so that the difficulty of the breathing operation can be increased compared to the initial state.

상술한 바와 같이, 호흡훈련장치(300-1~300-N)의 호흡조절부(330)는 호흡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사용자단말기(200-1~200-N)의 제어에 의해 개구영역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호흡훈련 난이도를 조절하여 호흡훈련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breathing control unit 330 of the breathing training apparatus (300-1 ~ 300-N) adjusts the size of the opening area by the control of the user terminal (200-1 ~ 200-N) according to the breathing training scenario. By adjusting the difficulty of breathing training of the user,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breathing training.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단말기(200-1~200-N)는 사용자의 호흡훈련에 따른 훈련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의 훈련데이터로 훈련관리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훈련데이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호흡훈련장치(300-1~300-N)의 산소포화도센서(341) 및 호흡감지센서(342)의 감지결과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훈련데이터는 호흡훈련의 횟수에 대응되어 생성될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5 , the user terminals 200-1 to 200-N may generate training data according to the user's breathing training, and transmit it to the training management server 100 as the user's training data. Training data may be generated from the detection results of the oxygen saturation sensor 341 and the respiration sensor 342 of the breathing training apparatus (300-1 ~ 300-N) as described above. Such training data may be generat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breathing exercises.

이어, 훈련관리서버(100)는 사용자단말기(200-1~200-N)를 통해 전송된 훈련데이터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분석하고, 분석된 호흡패턴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호흡훈련 결과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60). Then, the training management server 100 analyzes the user's breathing pattern from the training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1 ~ 200-N), and the user's breathing training result data including the analyzed breathing pattern can be created (S60).

훈련관리서버(100)는 생성된 호흡훈련 결과데이터를 병원의 진료관리서버 등과 같은 외부서버 또는 해당 사용자, 즉 호흡훈련을 진행한 사용자의 사용자단말기(200-1~200-N)로 전송할 수 있다. The training management server 100 may transmit the generated respiratory training result data to an external server, such as a hospital's medical management server, or the corresponding user, that is, the user terminals 200-1 to 200-N of the user who has undergone breathing training. .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add, change, delete or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It will be possible to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by, etc., which will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전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terms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10: 호흡훈련시스템 100: 훈련관리서버
200-1, 200-N: 사용자단말기 300-1, 300-N: 호흡훈련장치
310: 몸체부 320: 마우스피스
330: 호흡조절부 340: 제어유닛
341: 산소포화도센서 342: 호흡감지센서
343: 부하조절부 344: 통신부
345: 표시부 346: 배터리
10: breathing training system 100: training management server
200-1, 200-N: User terminal 300-1, 300-N: Respiratory training device
310: body 320: mouthpiece
330: breathing control unit 340: control unit
341: oxygen saturation sensor 342: respiration sensor
343: load control unit 344: communication unit
345: display 346: battery

Claims (15)

사용자별 맞춤형 호흡훈련을 제공하는 호흡훈련시스템으로,
사용자별 호흡훈련 시나리오를 구성하는 훈련관리서버;
사용자의 구강을 통해 호흡훈련이 진행되도록 하는 호흡훈련장치; 및
상기 훈련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호흡훈련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상기 호흡훈련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호흡훈련장치로부터 호흡훈련 결과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훈련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훈련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정보 및 호흡훈련 결과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호흡훈련 시나리오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훈련시스템.
As a breathing training system that provides customized breathing training for each user,
A training management server that configures a breathing training scenario for each user;
Respiratory training device that allows breathing training to proceed through the user's mouth; and
A user termi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reathing training device based on the breathing training scenario transmitted from the training management server, receiving the breathing training result data from the breathing training device and transmitting it to the training management server,
Respiratory trai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ining management server configures the breathing training scenario from at least one of user information and breathing training result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훈련장치는,
중공형의 흡배기관과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는 손잡이로 구성된 몸체부;
상기 흡배기관의 일측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구강에 삽입되는 마우스피스;
상기 마우스피스가 결합된 상기 흡배기관이 일측 내부에 배치된 호흡조절부;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전송된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호흡조절부의 개구영역 크기를 조절하고, 호흡훈련에 따른 감지결과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훈련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breathing training device,
a body portion comprising a hollow intake and exhaust pipe and a handle gripped by the user's hand;
a mouthpiece coupled to one side of the intake and exhaust pipe and inserted into the user's oral cavity;
a breathing control unit disposed inside one side of the intake and exhaust pipe to which the mouthpiece is coupled; and
Respiratory training system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opening area of the respiration control unit based on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transmitting a detection result according to the breathing training to the user termin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조절부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겹쳐지며,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개구가 형성된 제1구조체와 제2구조체;
상기 제1구조체에 결합되어 상기 제1구조체의 다수의 개구 중 일부를 차폐하는 제1차폐부; 및
상기 제2구조체에 결합되어 상기 제2구조체의 다수의 개구 중 일부를 차폐하는 제2차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구조체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구조체 및 제2구조체에 의한 개구영역 크기가 증가되거나 감소되도록 하여 상기 흡배기관 내부에서의 공기유동량 및 공기압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훈련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breathing control unit,
a first structure and a second structure overlapping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and having a plurality of openings formed at corresponding positions;
a first shielding unit coupled to the first structure to shield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openings of the first structure; and
and a second shielding part coupled to the second structure to shield some of the plurality of openings of the second structure;
The control unit rotates the second structure in one direc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to increase or decrease the size of the opening area by the first structure and the second structure to control the amount of air flow and the air pressure inside the intake and exhaust pipe. Respiratory trai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2구조체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회전기어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회전기어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로 구성된 부하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훈련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 unit is
Respiratory training system comprising: a rotation gear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structur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호흡훈련에 따라 사용자의 혈중 산소포화도를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산소포화도센서; 및
상기 호흡훈련에 따라 상기 흡배기관에서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량 및 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호흡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훈련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is
an oxygen saturation sensor that detects the user's blood oxygen saturation according to the breathing training and transmits it to the user terminal; and
Respiratory trai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spiration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flow amount and pressure of the air flowing in the intake and exhaust pipe according to the breathing training and transmits to the user termina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포화도센서는,
상기 손잡이의 외면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에 접촉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에 서로 다른 파장대의 광을 투사하여 손가락이 흡수한 광의 비율을 산출하여 사용자의 혈중 산소포화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훈련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oxygen saturation sensor is
Respirator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ranged to be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andle and is in contact with the user's finger, and by projecting light of different wavelength bands to the user's finger, calculating the ratio of light absorbed by the finger to detect the oxygen saturation of the user's blood train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훈련 시나리오는,
사용자의 폐활량측정을 위한 예비호흡훈련 시나리오, 사용자의 횡경막 근력 증가를 위한 호흡훈련 시나리오, 사용자의 횡경막 지구력 증가를 위한 호흡훈련 시나리오 및 사용자의 횡경막 근력 및 지구력 증가를 위한 호흡훈련 시나리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훈련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breathing training scenario is,
A preliminary breathing training scenario for measuring the user's spirometry, a breathing training scenario for increasing the user's diaphragm muscle strength, a breathing training scenario for increasing the user's diaphragm endurance, and a breathing training scenario for increasing the user's diaphragm muscle strength and endurance breathing training system.
사용자별 맞춤형 호흡훈련을 제공하는 호흡훈련방법으로,
훈련관리서버가 예비호흡훈련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예비호흡훈련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호흡훈련장치의 호흡조절부를 초기상태로 조절하는 단계;
상기 호흡훈련장치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예비호흡훈련에 따른 감지결과로부터 예비호흡 훈련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훈련관리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정보 및 상기 예비호흡 훈련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별 다수의 호흡훈련 시나리오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호흡훈련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호흡조절부의 개구영역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호흡훈련장치로부터 상기 호흡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호흡훈련의 감지결과를 제공받아 사용자의 훈련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훈련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호흡훈련방법.
As a breathing training method that provides customized breathing training for each user,
generating, by the training management server, a preliminary breathing training scenario;
adjusting the breathing control unit of the breathing training apparatus to an initial state based on the preliminary breathing training scenario;
generating preliminary breathing training data from the detection result according to the user's preliminary breathing training transmitted from the breathing training apparatus;
configuring a plurality of breathing training scenarios for each user by using at least one of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preliminary breathing training data in the training management server;
adjusting the size of the opening area of the breathing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breathing training scenario; and
Respiratory train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receiving the detection result of the breathing training according to the breathing training scenario from the breathing training device, generating the user's training data and transmitting it to the training management serv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호흡훈련 시나리오는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상기 사용자정보는 사용자의 나이, 성별, 몸무게, 폐 또는 기관지에 대한 병력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훈련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preliminary breathing training scenario is generated based on us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user information is a breathing train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user's age, sex, weight, history information about the lungs or bronchial tub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훈련장치의 호흡조절부를 초기상태로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호흡조절부의 개구영역 크기가 최대가 되도록 조절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훈련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tep of adjusting the breathing control unit of the breathing training device to the initial state,
Respiratory train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adjusting the size of the opening area of the respiration control unit to be maximum.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호흡 훈련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예비호흡훈련에 따른 사용자의 혈중 산소포화도 감지결과 또는 상기 호흡훈련장치의 흡배기관 내부에서의 공기유동량 및 공기압력의 감지결과로부터 생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훈련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tep of generating the preliminary breathing training data is,
Respiratory train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generating from the detection result of the user's blood oxygen saturation according to the preliminary breathing training or the detection result of the air flow amount and air pressure inside the intake and exhaust pipe of the breathing training apparatu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호흡훈련 시나리오를 구성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횡경막 근력 증가를 위한 호흡훈련 시나리오, 사용자의 횡경막 지구력 증가를 위한 호흡훈련 시나리오 및 사용자의 횡경막 근력 및 지구력 증가를 위한 호흡훈련 시나리오 중 적어도 하나를 구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훈련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tep of configuring the plurality of breathing training scenarios is,
Respiratory train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configuring at least one of a breathing training scenario for increasing the user's diaphragm muscle strength, a breathing training scenario for increasing the user's diaphragm endurance, and a breathing training scenario for increasing the user's diaphragm strength and enduranc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횡격막 근력 증가를 위한 호흡훈련 시나리오는 상기 예비호흡 훈련데이터의 평균값의 70~80%의 훈련강도가 설정되고,
상기 횡격막 지구력 증가를 위한 호흡훈련 시나리오는 상기 예비호흡 훈련데이터의 평균값의 40~60%의 훈련강도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훈련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In the breathing training scenario for increasing the diaphragm muscle strength, a training intensity of 70 to 80% of the average value of the preliminary breathing training data is set,
The breathing training scenario for increasing the diaphragm endurance is a breathing train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ining intensity of 40 to 60% of the average value of the preliminary breathing training data is se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조절부의 개구영역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호흡훈련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호흡조절부의 개구영역 크기가 증가되거나 감소되도록 조절하여 상기 호흡훈련장치의 흡배기관 내부의 공기유동량 및 공기압력을 조절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훈련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tep of adjusting the size of the opening area of the breathing control unit,
Respiratory train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adjusting the air flow rate and air pressure inside the intake and exhaust pipe of the breathing training apparatus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opening area of the breathing control unit to increase or decrease according to the breathing training scenario.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데이터로부터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분석하고, 분석된 호흡패턴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호흡훈련 결과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호흡훈련 결과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훈련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analyzing the user's breathing pattern from the training data, and generating the user's breathing training result data including the analyzed breathing pattern; and
Respiratory train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breathing training result data to the user terminal.
KR1020210026202A 2020-12-16 2021-02-26 Respiration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user customized type KR20220086444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997 2020-12-16
KR20200175997 2020-12-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444A true KR20220086444A (en) 2022-06-23

Family

ID=82221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6202A KR20220086444A (en) 2020-12-16 2021-02-26 Respiration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user customized ty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6444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8977A1 (en) * 2022-08-31 2024-03-07 (주)인트인 Device for combined breathing measurement and training
WO2024090594A1 (en) * 2022-10-25 2024-05-02 주식회사 휴원트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respiratory healthcare integration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8977A1 (en) * 2022-08-31 2024-03-07 (주)인트인 Device for combined breathing measurement and training
WO2024090594A1 (en) * 2022-10-25 2024-05-02 주식회사 휴원트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respiratory healthcare integra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5786B1 (en) Smart respiration training machine
US10835700B2 (en) Breathing training, monitoring and/or assistance device
EP3368116B1 (en) Breathing training, monitoring and/or assistance device
JP6843850B2 (en) Breathing training, observation and / or auxiliary equipment
JP5711661B2 (en) Ventilator with biofeedback monitoring and controls to improve patient activity and health
KR102113999B1 (en) A portable respiration measuring apparatus
US20070089740A1 (en) Pursed lip breathing device
KR20220086444A (en) Respiration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user customized type
JP2018533412A5 (en)
JP2018535728A5 (en)
KR20180073839A (en) Portable respiration training device system and thereof methods
JP6820656B2 (en) Cough assist and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KR102348292B1 (en) A portable respiration measuring apparatus
KR100231328B1 (en) Breathing training device of pulmonary disease patient and chest physical remedy system using thereof
KR20190087067A (en) Portable respiration training device system and thereof methods with training function to strengthen respiratory muscles
KR20200133913A (en) Respiratory rehabilitation exercise management system using breathing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that combines chest wall vibration function and respiratory muscle strengthening function
TW202228595A (en) Device for pulmonary rehabilitation
KR102326251B1 (en) Smart Lung-Capacity Training System
KR102365405B1 (en) Respiration training system using mobile game
Ogawa et al. The effects of cloth face masks on cardiorespiratory responses and VO2 during maximal incremental running protocol among apparently healthy men
RU2688796C1 (en) Breathing trainer
KR102404270B1 (en) Preventing diagnosing and treating device of pulmonary diseases
KR102539724B1 (en) Wearable breathing induction device to induce stable breathing
CN211752269U (en) Respiratory muscle strength training equipment for airflow impedance
KR102416723B1 (en) Breathing trai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