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3871B1 - Brms 기반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 - Google Patents

Brms 기반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3871B1
KR102113871B1 KR1020200024672A KR20200024672A KR102113871B1 KR 102113871 B1 KR102113871 B1 KR 102113871B1 KR 1020200024672 A KR1020200024672 A KR 1020200024672A KR 20200024672 A KR20200024672 A KR 20200024672A KR 102113871 B1 KR102113871 B1 KR 102113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nsurance
accident
rule engine
r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4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현섭
신광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룰스
Priority to KR1020200024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38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3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3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는, 보상 기준 정보 및 산출식 정보를 포함하는 손사담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제1 룰에 기반하여 손사담보를 확인하는 제1 룰 엔진; 및 제2 룰에 기반하여 보험금을 자동 산출하는 제2 룰 엔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룰 엔진은, 피보험자의 사고 정보 및 계약 정보를 획득하면, 상기 손사담보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사고 정보 및 상기 계약 정보에 따른 보상 대상 손사담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2 룰 엔진은, 상기 손사담보 데이터 중 상기 확인된 손사담보에 관련된 산출식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사고 정보에 따른 보험금을 산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BRMS 기반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Apparatus for calculating Insurance money based on business rule management system}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보험금 정산 기술과 관련된다.
보험 제도는 동일한 우발적 사고 위협에 처한 많은 사람들을 모집하고, 가입자 개인 별로 일정 보험료를 받아 예치하다가, 우발적 사고를 당한 가입자에게 예치 보험료의 일부를 보험금으로 지급하여, 그의 경제적 불안을 어느 정도 구제하기 위한 것이다.
보험사는 전산화된 보험 관리 시스템을 통해 보험료 납입 및 보험료 청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에, 가입자는 사고 발생 시에 해당 시스템을 통해 사고 정보(예: 사고 명칭, 증빙 서류)를 입력함에 따라 보험금을 청구할 수 있다. 이 경우, 보험사는 저장되어 있는 가입자의 계약 정보, 사고 정보, 기지급금 및 공제 금액에 기반하여 사고 정보에 따른 보험료를 산출한 후, 산출된 보험료를 지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험사의 손해사정 담당자는 입력된 사고 정보에 기반하여 고객의 가입 보험들 중에서 보상 담보(보상 가능한 담보)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손해사정 담당자는 담당자 재량에 따라 보상 가능한 손해인지 여부에 대한 판단(면부책 판단)한 후에 해당 판단 결과에 따라 보험금을 산출 및 지급할 수 있다.
종래의 보험금 산출 방식에서는 보상 담보(이하, “손사담보”로 언급될 수 있음)가 담당자에 의해 수동으로 선택되므로 오접수될 위험이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보험금 산출 방식에서는 면부책 판단이 담당자 재량에 따라 수행되므로 산출된 보험금에 담당자 별 편차가 있을 수 있다. 더욱이, 담당자의 수작업이 많으므로, 보험금 산출 및 지급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보험금 산출 방식에서는 보험금과 관련 자료(예: 보험금 청구 관련 영수증) 간의 연관성이 미흡하여, 보험사가 관리 감독 기관에 보험금 관련 서류를 제출하는 경우에는 보험금 산출에 관련된 자료를 검색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사고 정보에 따른 보험금을 자동으로 산출할 수 있는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는, 보상 기준 정보 및 산출식 정보를 포함하는 손사담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제1 룰에 기반하여 손사담보를 확인하는 제1 룰 엔진; 및 제2 룰에 기반하여 보험금을 자동 산출하는 제2 룰 엔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룰 엔진은, 피보험자의 사고 정보 및 계약 정보를 획득하면, 상기 손사담보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사고 정보 및 상기 계약 정보에 따른 보상 대상 손사담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2 룰 엔진은, 상기 손사담보 데이터 중 상기 확인된 손사담보에 관련된 산출식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사고 정보에 따른 보험금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고 정보에 따른 보험금을 자동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룰 기반 보험금 자동 산출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보험금 자동 산출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룰 기반 보험금 자동 산출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는 ①접수 단계, ②정보 입력 단계, ③손해액 심사 단계 및 ④보험금 산정 단계를 거쳐서 피보험자에게 보험금을 지급할 수 있다.
① 접수 단계
피보험자가 유효 계약 식별에 필요한 사고접수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일 수 있다. 상기 사고접수 정보는 예를 들면, 손해 당사자(또는, 치료 당사자) 정보, 사고 유형 정보(예: 질병, 상해, 교통사고, 휴대품 손해) 및 사고일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는 사고접수 정보에 기반하여 피보험자의 계약들 중에서 사고접수 정보에 부합하는 유효한 계약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는 유효한 계약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② 정보 입력 단계
피보험자가 사고 정보를 입력 또는 저장하는 과정일 수 있다. 상기 사고 정보는 예를 들면, 사고일시 정보, 사고 장소, 사고 원인, 사고 결과, 질병 분류 코드, 보험금 지급계좌 정보 및 손해 정보(예: 영수증 및 진료내역서)을 포함할 수 있다.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는 사고 정보가 입력되면, 피보험자의 계약 정보 및 사고 정보에 기반하여 피보험자의 보험 중에서 보상대상 손사담보(보상 담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는 확인된 손사담보의 손사담보코드와 영수증 정보를 매핑할 수 있다.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는 상기 확인된 손사담보코드에 관련된 산출식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산출식 정보에 기반하여 손사담보코드에 매핑된 영수증 단위로 사고 정보에 따른 보험금을 산출할 수 있다.
③ 손해액 심사 단계
심사자(예: 손해사정 담당자)가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에 의해 산출된 보험금을 확인한 후, 산출된 보험금에 대한 손해사정이 필요한 경우에 관련 심사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일 수 있다. 상기 심사 정보는 상기 사고 정보에 따른 손해 정보(예: 사고 유형, 질병 분류 코드), 손사담보코드 및 산출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갱신한 정보를 포함하는 수 있다.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는 심사 정보를 획득하면, 획득된 심사 정보에 기반하여 사고 정보에 따른 보험금을 재산출할 수 있다.
④ 보험금 산정 단계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가 피보험자에게 보험금 산출 결과를 제공하고 보험금을 지급하는 과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는 사고 정보에 따라 산출된 보험금 또는 심사 정보에 따라 재산출된 보험금을 피보험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는 상기 등록된 보험금 지급계좌 정보에 따라 피험자에게 보험금을 지급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에서,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는 지정된 웹 사이트를 통해서 사고접수 정보, 사고 정보 및 계약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는 지정된 웹 사이트를 통해 피보험자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포털 서버; 및 포털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상기 손사담보 및 상기 보험금 산출을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는 상기 포털 서버와 별개의 하드웨어 장치로 구성되어, 상기 포털 서버와 통신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본 문서에서는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가 포털 서버 및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예로 들어 설명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는 계약자(또는, 피보험자)에 의해 등록된 사고 정보에 따른 보험금 지급 가능 여부를 자동으로 심사한 후 보험금을 자동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는 심사자의 업무 부하를 덜어줄 수 있고, 보험금 청구와 지급의 효율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는 보험금 지급의 근거가 되는 영수증 정보를 손사담보코드와 매핑할 수 있어, 추후 기지급금 확인, 고객 응대 및 관리감독기관(예: 금감원, 보험협회, 한신정)에의 자료 제출에 대한 용이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200)는 통신 회로(210), 메모리(220) 및 프로세서(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200)는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200)의 구성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로 구성되되, 결합 이전의 해당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200)는 BRMS(business rule management system)의 일부이거나, BRMS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210)는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200)와 다른 장치(예: 사용자 단말) 간의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채널은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FTTH(Fiber to the home), xDSL(x-Digital Subscriber Line)과 같은 다양한 통신 방식의 통신 채널일 수 있다.
메모리(220)는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20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230))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20)는 보험금 자동 산출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을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메모리(220)는 손사담보 별 보상 기준 정보 및 산출식 정보를 포함하는 손사담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손사담보 데이터는 손사담보 별 속성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피보험자에 의해 가입된 계약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계약 정보는 피보험자 정보, 계약의 실효 여부 정보, 연금 개시 일자 정보 및 담보 가입 기간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제1 룰 및 제2 룰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에 따라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2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주문형 반도체(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에 따라 제1 룰 엔진(240) 및 제2 룰 엔진(250)을 실행할 수 있다. 제1 룰 엔진(240) 및 제2 룰 엔진(250) 각각은 하드웨어 모듈이거나 또는 프로세서(230)에 의해 구현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룰 엔진(240) 및 제2 룰 엔진(250) 각각은 프로세서(230)에 의해 수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이거나, 자체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모듈일 수 있다. 제1 룰 엔진(240)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룰에 기반하여 사고 정보에 관련된 손사담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제2 룰 엔진(250)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룰에 기반하여 사고 정보에 관련된 보험금을 자동으로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1 룰 및 제2 룰은 각기 테이블 룰, 플로우 룰, DB 룰, 브랜치 룰, 루프 룰, 디시전 테이블 룰, 데이터 룰, 콜백 룰 중 적어도 하나의 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이블 룰은 예를 들면, 엑셀과 같은 UI를 사용하고 조건을 만족할 경우에 해당 룰을 실행하는 테이블 형태의 룰일 수 있다. 상기 플로우 룰은 플로우 차트 형식으로 작업의 흐름을 표현하는 룰일 수 있다. 상기 DB 룰은 DB SQL문에 기반하여 작성된 DB 테이블 값과 관련된 룰일 수 있다. 상기 브랜치 룰은 입력 항목 값에 따라 분기되어 실행되는 룰일 수 있다. 상기 루프 룰은 입력된 값의 개수만큼 만복 수행되는 룰일 수 있다. 상기 디시전 테이블 룰은 내부 테이블 정의를 통해 기준 값을 저장 및 관리하고, 저장된 값의 참조 시에 실행되는 룰일 수 있다. 상기 테이터 룰은 물리적인 테이블을 논리적 관점으로 재정의하고 테이블의 칼럼을 대상으로 룰을 실행함에 따라 로우 칼럼 값을 리턴하는 룰일 수 있다. 상기 콜백 룰은 기존 프로그램과 통신함에 따라 결과의 실행 및 프로그램의 재활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룰일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지정된 웹사이트를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피보험자에 의해 입력된 사고접수 정보 또는 사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획득된 사고접수 정보 또는 사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메모리(220)에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제1 룰 엔진(240)에 의해 제공된 정보(예: 손사담보 정보) 및 제2 룰 엔진(250)에 의해 제공된 정보(예: 보험금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룰 엔진(240)은 프로세서(230)로부터 피보험자에 의해 입력된 사고접수 정보를 획득하면, 사고접수 정보에 관련된 계약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룰 엔진(240)은 사고접수 정보를 획득하면, 메모리(220)에 저장된 계약 정보에 따른 상기 피보험자의 계약들(또는, 가입 보험) 중에서 상기 사고접수 정보에 부합하는 유효 계약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예를 들면, 사고유형 정보에 따른 질병, 상해, 교통사고, 휴대품 손해를 보상 가능한 계약들 중에서 사고 일시 정보에 따른 사고를 보상 가능한 유효 계약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룰 엔진(240)은 실효되지 않은 계약, 연금으로 개시되지 않은 계약 및 담보 가입 기간 내에 있는 계약 중에서 사고접수 정보에 부합하는 유효한 계약을 확인할 수 있다.
제1 룰 엔진(240)은 유효 계약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또는 유효한 계약에 관련된 계약 정보를 프로세서(23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고접수 정보는 예를 들면, 손해 당사자(또는, 계약자 또는 치료 당사자) 정보, 사고 유형 정보 및 사고일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약 정보는 피보험자에 의해 가입된 보험 중 사고 정보에 관련된 유효 계약 정보일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제1 룰 엔진(240)을 통해 사고접수 정보에 부합하는 유효 계약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면,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230)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피보험자에게 요청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사고 정보는 예를 들면, 사고일시 정보, 사고 장소, 사고 원인, 사고 결과, 질병 분류 코드, 보험금 지급계좌 정보 및 손해 정보(예: 영수증 및 진료내역서)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룰 엔진(240)은 프로세서(230)로부터 사고 정보를 획득하면, 제1 룰에 따라 손사담보 데이터에 기반하여 사고 정보 및 계약 정보에 따른 보상 대상 손사담보(보상 담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룰 엔진(240)은 사고 정보로부터 사고 유형, 사고 원인, 사고 결과, 질병 분류 코드 및 손해 정보(진료 내역서)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제1 룰 엔진(240)은 계약 정보에 따른 보험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또는, 사고 정보에서 확인된 모든 정보)에 부합하는 손해를 보상 가능한 손사담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룰 엔진(240)은 적어도 하나의 정보로부터 사고 유형이 질병이고 손해 정보가 질병통원진료비이면, 질병통원의료비를 보상 가능한 손사담보 및 손사담보코드(예: 질병통원의료비담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룰 엔진(240)은 손사담보 데이터로부터 확인된 손사담보코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1 룰 엔진(240)은 확인된 손사담보에 따른 보상 기준 정보에 기반하여, 사고 정보에 따른 손해를 보상 가능한지에 대한 면부책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제1 룰 엔진(240)은 손사담보코드, 면부책 정보 및 영수증 정보를 매핑할 수 있다. 상기 보상 기준 정보는 예를 들면, 보상 제외 질병 정보, 보상 제외 손해 정보, 일정 공제액 정보(예: 1만원 공제) 및 공제 비율 정보(예: 진료비의 80% 또는 100%) 중 적어도 하나의 보상 기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룰 엔진(240)은 계약 정보에서 보험 중에서 손사담보가 확인되지 않으면, 프로세서(230)에 손사담보가 확인되지 않은 사유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유는 예를 들면, 피보험자에 의해 가입된, 사고 정보에 따른 손해를 보상 가능한 유효한 손사담보가 존재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제2 룰 엔진(250)은 제2 룰에 따라 손사담보코드에 맵핑된 면부책 정보에 기반하여 사고 정보에 따른 손해를 보상 가능한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면부책 정보는 사고 정보에 따른 손해를 보상 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므로, 제2 룰 엔진(250)은 면부책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손해를 보상 가능한지를 확인할 수 있다.
제2 룰 엔진(250)은 면부책 정보에 기반하여 사고 정보에 따른 손해를 보상 가능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 제2 룰에 따라 손사담보 데이터 중 상기 손사담보코드에 관련된 산출식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영수증 정보의 단위로 보험금을 산출할 수 있다. 제2 룰 엔진(250)은 손사담보코드에 관련된 복수의 산출식 정보를 확인하면, 손해 정보에 기반하여 복수의 산출식 정보 중 하나의 산출식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해 정보가 질병통원진료비의 경우, 제2 룰 엔진(250)은 손해 정보에서 의원, 병원 및 상급종합병원 중 병원 유형을 확인하고, 확인된 병원 유형에 따라 손해액에서 1만원, 1.5만원 또는 2만원과 같은 일정 공제액을 뺄셈하고, 최대보험금을 제한하는 산출식(또는, 산출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제2 룰 엔진(250)은 선택된 병원 유형에 관련된 산출식 정보에 따라 손해 정보에서 일정 공제액을 공제하고, 최대보험금을 초과하는 금액을 제외시킴에 따라 보험금을 산출할 수 있다. 제2 룰 엔진(250)은 각 영수증 정보 단위로 보험금을 산출하고, 산출된 보험금과 영수증 정보를 매핑할 수 있다. 제2 룰 엔진(250)은 산출된 보험금 정보를 프로세서(230)에 제공할 수 있다. 제2 룰 엔진(250)는 영수증 정보 단위로 산출된 보험금 목록 및 산출된 보험금의 총액 중 적어도 하나의 보험금 정보를 프로세서(230)로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손사담보코드는 하나의 산출식과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질병통원의료비의 손사담보코드는 서로 다른 산출식과 관련된 의원급 질병통원의료비, 병원급 질병통원의료비 및 종합병원급 질병통원의료비에 대하여 각기 마련되고, 각 질명통원의료비들의 손사담보코드는 각기 하나의 산출식 정보와 매핑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룰 엔진(240)은 손해 정보의 세부 내용에서 각 산출식 정보에 관련된 손사담보코드를 확인하고, 제2 룰 엔진(250)는 확인된 손사담보코드에 1:1로 매핑된 산출식을 이용하여 보험금을 산출할 수 있다.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200)는 보험금의 지급 전에 착오지급장지 룰에 기반하여 손사담보의 적정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룰 엔진(250)은 메모리(220)로부터 손사담보코드와 맵핑된 기지급금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제2 룰 엔진(250)은 손사담보코드와 매핑된 영수증 정보가 기지급금 정보에 포함되는지를 확인하고, 기지급금 정보에 해당하지 않는 상기 영수증 정보에 대해서 보험금을 산출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30)는 제2 룰 엔진(250)으로부터 보험금 정보를 획득하고, 검증을 위하여 심사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심사자(예: 손해사정 담당자)는 심사자 단말을 통해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에 의해 산출된 보험금을 확인하고, 산출된 보험금에 대한 추가적인 손해사정이 필요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심사자는 산출된 보험금에 추가적인 손해사정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심사자 단말을 통해 프로세서(230)로 추가적인 손해사정에 대한 심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심사 정보는 상기 사고 정보에 따른 손해 정보(예: 사고 유형, 질병 분류 코드(예: KCD)), 손사담보코드 및 산출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갱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심사 정보를 제2 룰 엔진(250)에 제공할 수 있다.
제2 룰 엔진(250)은 프로세서(230)를 통해 심사 정보를 획득하면, 획득된 심사 정보에 기반하여 사고 정보에 따른 보험금을 재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룰 엔진(250)은 수정된 손사담보코드에 관련된 산출식 정보 또는 수정된 산출식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산출식 정보를 기반하여 사고 정보에 따른 보험금을 재산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손해 정보가 수정된 경우에 제1 룰 엔진(240)은 수정된 손해 정보에 따른 손사담보코드를 재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2 룰 엔진(250)은 재확인된 손사담보코드에 관련된 산출식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산출식 정보에 기반하여 보험금을 재산출할 수 있다. 이후, 제2 룰 엔진(250)은 재산출된 보험금을 프로세서(230)에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보험금 산출이 완료되면, 산출된 보험금을 피보험자에게 지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산출 또는 재산출된 보험금 관련 정보를 피보험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30)는 사고 정보에 포함된 보험금 지급계좌 정보에 따라 피험자에게 보험금을 지급(예: 송금)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보험금 산출 내역 정보 및 보험금 지금 정보를 메모리(220)에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손사담보코드는 사고 정보에 따른 사망, 장해, 수술 진단, 입/통원 별로 구분되어 관리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1 룰 엔진(240)은 영수증 정보에 따른 손해 종류가 사망, 장해, 수술 진단, 입/통원 중 어느 종류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하고, 확인된 모든 종류에 대한 손사담보코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룰 엔진(240)은 한 가지 사고 정보에 복수 종류의 손해에 각기 대응하는 영수증 정보가 포함되면, 각 손해들에 대응하는 손사담보코드를 확인하고, 확인된 손사담보코드를 영수증 정보 단위로 매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30)는 사고 정보를 등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손해 종류 별로 영수증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230)는 영수증 정보 및 입력된 손해 종류 정보를 제1 룰 엔진(24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제1 룰 엔진(240)은 상기 손해 종류 정보에 대응하는 손사담보코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손사담보 데이터는 동일한 손사담보에 대해서 제도 개정 시점에 따른 복수의 보상 기준 정보 및 복수의 산출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룰 엔진(240) 및 제2 룰 엔진(250)은 확인된 손사담보에 관련된 복수의 보상 기준 정보 및 복수의 산출식 정보를 확인하면, 사고 정보에 따른 사고일시 정보에 기반하여 복수의 보상 기준 정보 및 복수의 산출식 정보 중 사고일시 정보에 관련된 제1 보상 기준 정보 및 제1 산출식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제1 룰 엔진(240) 및 제2 룰 엔진(250)은 제1 보상 기준 정보 및 제1 산출식 정보를 이용하여 각기 손사담보의 확인, 손사담보코드의 확인, 면부책 정보의 확인 및 보험금의 자동 산출을 각기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는 사고 정보에 따른 보험금 지급 가능 여부를 자동으로 심사하고 보험금을 자동으로 산출할 수 있어, 심사자의 업무 부하를 덜어줄 수 있고, 보험금 청구와 지급의 효율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는 보험금 지급의 근거가 되는 영수증 정보를 손사담보코드와 매핑할 수 있어, 추후 기지급금 확인의 용이성, 고객 응대의 편의성 및 관리감독기관(예: 금감원, 보험협회, 한신정)에 대한 자료 제출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보험금 자동 산출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동작 310에서,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200)는 피보험자에 의해 입력된 사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200)는 사고정보의 개요에 해당하는 사고접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동작 320에서,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200)는 사고 정보에 부합하는 계약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200)는 피보험자에 의해 가입된 보험에 관한 계약 정보 중에서 사고접수 정보에 부합하는 유요한 계약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200)는 유효한 계약에 대한 계약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330에서,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200)는 사고 정보 및 계약 정보에 따른 손사담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200)는 사고 정보로부터 사고 유형, 사고 원인, 사고 결과 및 질병 분류 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200)는 계약 정보에 따른 보험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또는, 사고 정보에서 확인된 모든 정보)에 부합하는 손해를 보상 가능한 손사담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340에서,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200)는 손사담보 관련된 산출식 정보에 기반하여 사고 정보에 따른 보험금을 자동으로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200)는 확인된 손사담보에 관련된 면부책 정보에 기반하여 사고 정보에 따른 손해를 보상 가능한지를 확인할 수 있다.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200)는 사고 정보에 따른 손해를 보상 가능한 경우에 확인된 손사담보에 관련된 산출식 정보에 기반하여 영수증 단위로 보험금을 산출할 수 있다. 이후,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200)는 산출된 보험금 정보를 피보험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는 사고 정보에 따른 보험금 지급 가능 여부를 자동으로 심사하고 보험금을 자동으로 산출할 수 있어, 심사자의 업무 부하를 덜어줄 수 있고, 보험금 청구와 지급의 효율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 "부" 및 "수단"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200))에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메모리(22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200))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23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10)

  1.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에 있어서,
    보상 기준 정보, 손사담보 별 속성 정보 및 산출식 정보를 포함하는 손사담보 데이터를 저장하되, 동일 손사담보에 대해 제도 개정 시점에 따른 복수의 보상 기준 정보 및 그에 대한 복수의 산출식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손사 담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제1 룰에 기반하여 손사담보를 확인하는 제1 룰 엔진;
    제2 룰에 기반하여 보험금을 자동 산출하는 제2 룰 엔진; 및
    보험금 자동 산출을 위한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에 따라 상기 제1 룰 엔진 및 제2 룰 엔진을 실행하고, 상기 제1 룰 엔진에 의해 제공되는 손사담보 정보와 상기 제2 룰 엔진에 의해 제공되는 보험금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룰 엔진은, 피보험자의 사고 정보 및 계약 정보를 획득하면, 상기 손사담보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사고 정보 및 상기 계약 정보에 따른 보상 대상 손사담보를 추출하되, 상기 손사담보 별 속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사고 정보로부터, 사고 유형, 사고 원인, 사고 결과 및 질병 분류 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부합하는 손사담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손사담보에 따른 손사담보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손사담보에 따른 보상 제외 질병 정보, 보상 제외 손해 정보, 공제액 정보 및 공제 비율 정보를 포함하는 보상 기준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사고 정보에 따른 손해의 보상 가능 여부에 대한 면부책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손사담보코드, 면부책 정보 및 영수증 정보를 매핑하고,
    상기 제2 룰 엔진은, 상기 추출된 손사담보에 따른 면부책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사고 정보에 따른 손해에 대해 보상 가능한 것으로 확인하면, 상기 손사담보 데이터 중 상기 추출된 손사담보에 관련된 산출식 정보에 기반하여 각 영수증 정보 단위로 사고 정보에 따른 보험금을 산출하되, 손해 정보에서 병원 유형을 확인한 결과에 따라 상기 보험금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보험금과 영수증 정보를 매핑하고, 영수증 정보 단위로 산출된 보험금 목록 및 산출된 보험금의 총액을 포함하는 상기 보험금 정보를 상기 프로세서로 제공하고,
    상기 손사담보코드는 사망, 장해, 입원, 통원 별로 구분되어 관리되고, 서로 다른 산출식과 관련된 의원급 손사담보코드, 병원급 손사담보코드 및 종합병원급 손사담보코드에 대하여 각기 마련되고, 상기 제1 룰 엔진은 한 가지 사고 정보에 복수 종류의 손해에 각기 대응하는 영수증 정보에 대해, 손해 정보의 세부 내용에서 각 손해들에 대응하는 각 산출식 정보에 관련된 상기 손사담보코드를 확인하고, 확인된 상기 손사담보코드를 영수증 정보 단위로 매핑하며, 상기 제2 룰 엔진은 확인된 상기 손사담보코드에 1:1로 매핑된 산출식을 이용하여 상기 보험금을 산출하고,
    상기 제1 룰 엔진 및 상기 제2 룰 엔진은, 상기 복수의 보상 기준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산출식 정보 중 사고 일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도 개정 시점에 따른 보상 기준 정보 및 산출식 정보를 이용하여 각기 상기 손사담보의 추출 및 상기 보험금의 산출을 수행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룰 엔진으로부터 보험금 정보를 획득하면, 검증을 위해 상기 보험금 정보를 심사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심사자 단말의 추가적인 손해사정의 필요 여부를 판단한 결과로서, 상기 사고 정보에 따른 손해 정보, 손사담보코드 및 산출식 정보에 대한 갱신 정보를 포함하는 심사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심사 정보를 상기 제2 룰 엔진으로 제공하고,
    상기 제2 룰 엔진은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심사 정보를 획득하면, 획득된 상기 심사 정보에 기반하여 수정된 손사담보코드에 관련된 산출식 정보 및 수정된 산출식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산출식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사고 정보에 따른 보험금을 재산출하고,
    상기 제1 룰 엔진은 상기 손해 정보가 수정된 경우 수정된 손해 정보에 따른 손사담보코드를 재확인하고, 상기 제2 룰 엔진은 재확인된 손사담보코드에 관련된 산출식 정보에 기반하여 보험금을 재산출하고, 재산출된 보험금을 상기 프로세서에 제공하는 것
    인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룰 엔진은,
    상기 피보험자의 사고접수 정보를 획득하면, 상기 피보험자의 계약들 중에서 상기 사고접수 정보에 부합하는 유효 계약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기지급금 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제2 룰 엔진은,
    상기 영수증 정보가 상기 기지급금 정보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기지급금 정보에 해당하지 않는 영수증 정보에 대하여 상기 보험금을 산출하는,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룰 엔진은,
    상기 보상 대상 손사담보가 추출되지 않으면, 손사담보가 추출되지 않은 사유를 제공하는,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
  10. 삭제
KR1020200024672A 2020-02-27 2020-02-27 Brms 기반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 KR102113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672A KR102113871B1 (ko) 2020-02-27 2020-02-27 Brms 기반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672A KR102113871B1 (ko) 2020-02-27 2020-02-27 Brms 기반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3871B1 true KR102113871B1 (ko) 2020-05-22

Family

ID=70913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4672A KR102113871B1 (ko) 2020-02-27 2020-02-27 Brms 기반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38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7058B1 (ko) 2023-02-22 2023-05-30 주식회사 티큐정보시스템즈 인공지능 모델 기반 보상 처리 및 과실 비율 시뮬레이션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538B1 (ko) * 2015-12-02 2017-02-09 주식회사 올댓인슈 보험증권 분석 및 보험금 청구 방법
KR101741960B1 (ko) * 2016-10-13 2017-05-30 홍병진 온라인 환경 기반 보험금 청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22506A (ko) * 2017-05-02 2018-11-13 기웅정보통신 주식회사 스크래핑 기반의 보험금 자동 청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538B1 (ko) * 2015-12-02 2017-02-09 주식회사 올댓인슈 보험증권 분석 및 보험금 청구 방법
KR101741960B1 (ko) * 2016-10-13 2017-05-30 홍병진 온라인 환경 기반 보험금 청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22506A (ko) * 2017-05-02 2018-11-13 기웅정보통신 주식회사 스크래핑 기반의 보험금 자동 청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7058B1 (ko) 2023-02-22 2023-05-30 주식회사 티큐정보시스템즈 인공지능 모델 기반 보상 처리 및 과실 비율 시뮬레이션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91046B2 (en) Systems and methods of managing payments that enable linking accounts of multiple guarantors
US20210012345A9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fraud in a card-not-present transaction
US20190164220A1 (en) System and method for dual blockchain based validation of instrument reference data and transaction reporting
WO2018188505A1 (zh) 理赔案件处理方法、装置、终端设备及介质
US20150120338A1 (en) Reconciliation, automation and tagging of healthcare information
US1018593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duct identification and computer routing services
JP655974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0458691B (zh) 一种贷前风险监控方法及装置
TW201535292A (zh) 用於促進金融貸款之系統及方法
US20150254767A1 (en) Loan service request documentation system
AU2022201833A1 (en) Rules engine for applying rules from a reviewing network to signals from an originating network
US2014029753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pliant Integrated Workflow
KR102113871B1 (ko) Brms 기반 보험금 자동 산출 장치
US20180197240A1 (en) Banking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credit management for structured finance
CN113344437A (zh) 理赔业务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US20180365761A1 (en) Platform for financing healthcare services
CN113822660B (zh) 数据处理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US20130226785A1 (en) Tax refund loan system absent irs and fms debt indicator
JP7355432B2 (ja) スマート年金運営システムおよびその駆動方法
KR102143958B1 (ko) 제휴채널을 통해 대출금액 변동에 연동된 신용보험 서비스 제공 방법
CN111932196A (zh) 案件处理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20210007927A (ko) 제휴채널을 통해 대출금액 변동에 연동된 신용보험 서비스 제공 방법
US1067928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lligent income verification to improve loan contract funding
KR102285735B1 (ko) 다이렉트채널을 통해 대출금액 변동에 연동된 신용보험 서비스 제공 방법
US20200234387A1 (en) Administering claims involving large member groups utilizing specifically programmed methods and computer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