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3599B1 - Lifting System - Google Patents

Lift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3599B1
KR102113599B1 KR1020180053461A KR20180053461A KR102113599B1 KR 102113599 B1 KR102113599 B1 KR 102113599B1 KR 1020180053461 A KR1020180053461 A KR 1020180053461A KR 20180053461 A KR20180053461 A KR 20180053461A KR 102113599 B1 KR102113599 B1 KR 102113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frame
support
steel structure
lifting equipment
hydraulic j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4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29189A (en
Inventor
박철수
유영기
김계열
박성환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프피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프피씨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3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3599B1/en
Publication of KR20190129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1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3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35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04G21/163Jack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up build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13Details concerning the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66F9/22Hydraulic devices or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5Extraordinary methods of construction, e.g. lift-slab, jack-block
    • E04B1/3511Lift-slab; characterised by a purely vertical lifting of floors or roof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선조립 철골 구조물(12)을 리프팅 하는 실내 리프팅 장비에 있어서, 철골 구조물(12)을 지지하는 후크(100); 상기 후크(100)가 장착된 수직 프레임(200); 및 상기 수직 프레임(200)을 지지하는 지지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수직 프레임(200)은 상기 지지부(300)와 결합된 제1 수직 프레임(210); 상기 제1 수직 프레임(210)에 가이드 되어 인출되는 제2 수직 프레임(220); 및 상기 제2 수직 프레임(230)에 가이드 되어 인출되는 제3 수직 프레임(2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리프팅 장비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크레인을 사용하지 아니하고도 고중량 철골 구조물을 실내에서 리프트 업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oor lifting equipment for lifting the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12, the hook 100 for supporting the steel structure 12; A vertical frame 200 on which the hook 100 is mounted; And a support part 300 supporting the vertical frame 200, wherein the vertical frame 200 includes a first vertical frame 210 coupled with the support part 300; A second vertical frame 220 guided and withdrawn from the first vertical frame 210; And a third vertical frame 230 guided and pulled out by the second vertical frame 2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lift up a heavy steel structure indoors without using a separate crane.

Description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실내 리프팅 장비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랙 구조물의 시공방법{Lifting System}Indoor lifting equipment of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pipe rack structure using the same {Lifting System}

본 발명은 실내 리프팅 장비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크레인 활용이 곤란한 실내 공간에서 철골 구조물과 같은 중량 구조체를 리프트 업 할 수 있도록 다단 연장 구조를 채용한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실내 리프팅 장비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랙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indoor lifting equipment.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lifting equipment of a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employing a multi-stage extension structure to lift up a heavy structure such as a steel structure in an indoor space where it is difficult to use a crane, and a construction method of a pipe rack structure using the same.

파이프 랙 구조물 등의 고중량 실내 구조물의 시공에 있어서 공기의 단축 및 현장 시공 난이도 저감을 위해 선조립 구조물을 지지기둥에 설치하여 구조물을 완성시키는 방안이 이용되고 있다. In the construction of a heavy-duty indoor structure such as a pipe rack structure, a method of completing the structure by installing a pre-assembled structure on a support pillar is used to shorten air and reduce the difficulty of construction on site.

다만, 이러한 선조립 고중량 철골 구조물을 지지기둥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철골 구조물을 리프트 업 할 것이 요구되는데, 종래에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내에서 크레인을 조립하여 철골 구조물을 리프트 업하고, 실내 시공이 종료되면 크레인을 해체하여 실내 공간에서 배출시키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However, it is required to lift up the steel structure in order to install such a pre-assembled heavy-weight steel structure on a support pillar. Conventionally, as shown in FIG. 1, a crane is assembled indoors to lift up the steel structure, and indoor construction is completed. When the crane is dismantled, a method of discharging it from an indoor space has been used.

다만, 이러한 실내 조립 크레인(1)은 장비 비용이 매우 고가이고 장비의 발주하여 반입시키는 데 장기간이 소요되므로 공사비용이 증대되고 공사일정을 관리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is indoor assembling crane 1 has a problem in that the cost of equipment is very high and it takes a long time for ordering and bringing in equipment, thereby increasing the construction cost and managing the construction schedule.

본 발명은 종래의 실내 크레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크레인을 사용하지 아니하고도 고중량 철골 구조물을 실내에서 리프트 업 할 수 있는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실내 리프팅 장비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랙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riv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indoor cran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door lifting equipment for a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capable of lifting up a heavy steel structure indoors without using a separate crane, and It is to provide a construction method of a pipe rack structure using thi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실내 리프팅 장비를 동기화하여 리프팅 효율을 높임과 아울러 고중량의 구조물을 안전하게 리프트할 수 있도록 하는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실내 리프팅 장비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랙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lifting equipment of a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pipe rack structure using the same, by synchronizing a plurality of indoor lifting equipment to increase lifting efficiency and to safely lift a heavy structure. hav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선조립 구조물을 이용하여 파이프 랙 구조물을 시공함으로써 공사 기간을 단축하고 현장 시공의 난이도를 낮추며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실내 리프팅 장비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랙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by constructing a pipe rack structure using a pre-assembled structure, reduce the difficulty of construction on site, and minimize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It is to provide a construction method of a pipe rack structure using thi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조립 철골 구조물(12)을 리프팅 하는 실내 리프팅 장비에 있어서, 철골 구조물(12)을 지지하는 후크(100); 상기 후크(100)가 장착된 수직 프레임(200); 및 상기 수직 프레임(200)을 지지하는 지지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수직 프레임(200)은 상기 지지부(300)와 결합된 제1 수직 프레임(210); 상기 제1 수직 프레임(210)에 가이드 되어 인출되는 제2 수직 프레임(220); 및 상기 제2 수직 프레임(230)에 가이드 되어 인출되는 제3 수직 프레임(2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리프팅 장비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door lifting equipment for lifting a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12, the hook 100 for supporting the steel structure 12; A vertical frame 200 on which the hook 100 is mounted; And a support part 300 supporting the vertical frame 200, wherein the vertical frame 200 includes a first vertical frame 210 coupled with the support part 300; A second vertical frame 220 guided and withdrawn from the first vertical frame 210; And a third vertical frame 230 guided and pulled out by the second vertical frame 230.

이 경우 상기 후크(100)는 상기 제3 수직 프레임(230)에 형성되며, 상기 후크(100)는, 철골 구조물(12)을 지지하는 철골 지지부(110); 및 상기 철골 지지부(110)에 거치된 철골 구조물(12)의 이탈을 방지하는 클램프(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리프팅 장비일 수 있다. In this case, the hook 100 is formed on the third vertical frame 230, and the hook 100 includes a steel support 110 supporting the steel structure 12; And a clamp 120 for preventing the steel structure 12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steel support 110.

또한, 상기 철골 지지부(110)는 전방(a)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며, 상기 클램프(120)는 상기 철골 지지부(110) 상면에 형성되되, 전방(a) 및 후방(b)으로 위치 변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리프팅 장비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eel support 110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front (a), the clamp 12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eel support 110,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position to the front (a) and rear (b) It may be an indoor lifting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또한, 상기 제1 수직 프레임(210)을 구동시키는 제1 유압잭(310); 상기 제2 수직 프레임(220)을 구동시키는 제2 유압잭(320); 및 상기 제3 수직 프레임(230)을 구동시키는 제3 유압잭(3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리프팅 장비일 수 있다. In addition, a first hydraulic jack 310 to drive the first vertical frame 210; A second hydraulic jack 320 driving the second vertical frame 220; And a third hydraulic jack 330 driving the third vertical frame 230.

또한, 상기 제1 유압잭(310)은 상기 제1 수직 프레임(210)을 눕히거나 기립시키며, 상기 제2 유압잭(320)은 상기 제2 수직 프레임(220)을 상기 제1 수직 프레임(210)에서 인출시키거나 인입시키고, 상기 제3 유압잭(330)은 상기 제2 수직 프레임(230)을 상기 제2 수직 프레임(220)에서 인출시키거나 인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리프팅 장비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hydraulic jack 310 lays or stands on the first vertical frame 210, and the second hydraulic jack 320 sets the second vertical frame 220 on the first vertical frame 210. Withdrawing or drawing in, the third hydraulic jack 330 may be indoor lifting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vertical frame 230 is withdrawn or drawn in from the second vertical frame 220.

또한, 상기 지지부(300)에 장착되며, 상기 지지부(300)와 함께 상기 수직 프레임(200)을 지지하는 수평 프레임(40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수평 프레임(400)은 상기 지지부(300)에서 인출되거나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리프팅 장비일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mounted on the support 300, a horizontal frame 400 for supporting the vertical frame 200 together with the support 300; further comprising, the horizontal frame 400 is the support 300 It may be an indoor lifting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withdrawn or drawn in.

또한, 상기 수평 프레임(400)은 상기 지지부(300)의 일방에 한 쌍으로 형성된 전방 수평 프레임(410); 및 상기 지지부(300)의 타방에 한 쌍으로 형성된 후방 수평 프레임(4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리프팅 장비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horizontal frame 400 is a front horizontal frame 410 formed in a pair on one side of the support 300; And a rear horizontal frame 420 formed in a pair on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art 300.

또한, 상기 수평 프레임(400)을 상기 지지부(300)에서 인출시키거나 인입시키는 제4 유압잭(3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리프팅 장비일 수 있다. In addition, it may be an indoor lifting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ourth hydraulic jack 340 for drawing out or drawing the horizontal frame 400 from the support part 300.

또한, 상기 지지부(200)를 이동시키는 이동부(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리프팅 장비일 수 있다. In addition, it may be indoor lifting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moving unit 500 for moving the support 200.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실내 리프팅 장비를 이용하여 파이프 랙 구조물(10)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랙 구조물(10)은 복수의 지지기둥(11); 및 상기 지지기둥(11)에 의해 지지되는 철골 구조물(12);을 포함하며, 현장 시공된 상기 복수의 지지기둥(11)의 하부에 선조립된 상기 철골 구조물(12)을 위치시키는 제1 단계(S100); 상기 철골 구조물(12)을 상기 실내 리프팅 장비를 이용하여 리프팅 시키는 제2 단계(S200); 및 상기 철골 구조물(12)을 상기 지지기둥(11)에 결합시키는 제3 단계(S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랙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ethod of constructing a pipe rack structure 10 using indoor lifting equipment, the pipe rack structure 10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pillars 11; And a steel structure (12) supported by the support column (11); including, the first step of positioning the steel structure (12) pre-assembled underneath the plurality of support columns (11) constructed in the field (S100); A second step of lifting the steel structure 12 using the indoor lifting equipment (S200); And a third step (S300) in which the steel structure 12 is coupled to the support pillar 11,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a pipe rack structure is provided.

이 경우 상기 제2 단계(S200)는 상기 수직 프레임(200)이 상기 지지부(300)에 대해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철골 구조물(12)로 이동시키는 이동 단계(S210); 상기 제1 유압잭(310)을 이용하여 상기 수직 프레임(200)을 기립시키는 기립 단계(S220); 상기 철골 구조물(12)을 상기 철골 지지부(110)에 거치시킴과 아울러 상기 클램프(120)의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철골 구조물(12)을 결착시키는 결착 단계(S230); 및 상기 제2 유압잭(320)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수직 프레임(220)을 상기 제1 수직 프레임(210)에서 인출시키는 제1 인출 단계(S240); 및 상기 제3 유압잭(330)을 이용하여 상기 제3 수직 프레임(230)을 상기 제2 수직 프레임(220)에서 인출시키는 제2 인출 단계(S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랙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일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econd step (S200) includes: a moving step (S210) in which the vertical frame 200 is moved to the steel structure 12 in a folded stat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art 300; An erecting step (S220) of erecting the vertical frame 200 using the first hydraulic jack 310; A step of attaching the steel structure 12 to the steel support 110 and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lamp 120 to bind the steel structure 12 (S230); And a first withdrawing step (S240) of drawing out the second vertical frame 220 from the first vertical frame 210 using the second hydraulic jack 320. And a second drawing step (S250) of drawing out the third vertical frame 230 from the second vertical frame 220 by using the third hydraulic jack 330. It may be a method of construction.

또한, 상기 기립 단계(S220) 이후에 상기 제4 유압잭(340)을 이용하여 상기 수평 프레임(400)을 상기 지지부(200)에서 인출시키는 수평 프레임 인출 단계(S22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랙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일 수 있다. In addition, after the erecting step (S220) using the fourth hydraulic jack 340, the horizontal frame withdrawal step (S221) for drawing out the horizontal frame 400 from the support unit 200; It may be a method of constructing a pipe rack structure.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크레인을 사용하지 아니하고도 고중량 철골 구조물을 실내에서 리프트 업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lift up a heavy steel structure indoors without using a separate crane.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실내 리프팅 장비를 동기화하여 리프팅 효율을 높임과 아울러 고중량의 구조물을 안전하게 리프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synchronizing a plurality of indoor lifting equipment to increase the lifting efficiency and to safely lift a heavy structure.

본 발명에 따르면 선조립 구조물을 이용하여 파이프 랙 구조물을 시공함으로써 공사 기간을 단축하고 현장 시공의 난이도를 낮추며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structing a pipe rack structure using a pre-assembled structure,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lower the difficulty of construction on site, and minimize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도 1은 종래의 실내 리프팅 크레인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리프팅 장비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리프팅 장비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리프팅 장비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리프팅 장비가 기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리프팅 장비의 후크 부분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리프팅 장비의 전방 수평 프레임이 인입된 상태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리프팅 장비를 이용하여 파이프 랙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indoor lifting crane.
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indoor lifting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of the indoor lifting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door lifting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door lifting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anding.
6 is a view showing a hook portion of the indoor lifting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ont horizontal frame of the indoor lifting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rawn and withdrawn
8 to 14 are views show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 pipe rack structure using indoor lifting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실내 리프팅 장비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랙 구조물의 시공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n embodiment of the indoor lifting equipment of the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ipe rack structure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n describing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nfiguration Elem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drawing numbers and redundant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used hereinafter are only identification symbols for distinguishing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nd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limited by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no.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term "combination" means not only a case in which a physical contact is directly made between each component in a contact relationship between each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are interposed between each component, so that the components are in different components. It should be used as a comprehensive concept until each contact is made.

본 발명은 선조립 철골 구조물과 같은 중량 구조물을 실내에서 리프팅 시키기 위한 실내 리프팅 장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indoor lifting equipment for lifting a heavy structure, such as a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indoors.

본 발명에서의 철골 구조물의 개념은 실내에서 리프팅 되는 모든 중량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한다. The concept of the steel structure in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as a concept including all weights that are lifted indoor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실내 리프팅 장비는 철골 구조물(12)을 지지하는 후크(100), 후크(100)가 장착된 수직 프레임(200), 수직 프레임(200)을 지지하는 지지부(300), 지지부(300)에 장착되며 지지부(300)와 함께 수직 프레임(200)을 지지하는 수평 프레임(400) 및 지지부(200)를 이동시키는 이동부(500)를 포함한다(도 2, 도 3). Indoor lifting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ok 100 supporting the steel structure 12, a vertical frame 200 on which the hook 100 is mounted, and a support portion 300 supporting the vertical frame 200. , It is mounted on the support 300 and includes a horizontal frame 400 supporting the vertical frame 200 together with the support 300 and a moving part 500 for moving the support 200 (FIGS. 2 and 3). .

수직 프레임(200)은 지지부(300)와 결합된 제1 수직 프레임(210), 제1 수직 프레임(210)에 가이드 되어 인출되는 제2 수직 프레임(220) 및 제2 수직 프레임(220)에 가이드 되어 인출되는 제3 수직 프레임(230)을 포함한다(도 2). The vertical frame 200 is guided to the first vertical frame 210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220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220 that are guided to the first vertical frame 210 combined with the support 300. And a third vertical frame 230 that is drawn out (FIG. 2).

실내 리프팅 장비는 철골 구조물(12)을 리프팅 해야 하므로 제2 수직 프레임(220)과 제3 수직 프레임(230)이 인입된 상태에서 후술되는 후크(100)를 철골 구조물(12)에 장착하고, 제2 수직 프레임(220)과 제3 수직 프레임(230)을 인출하여 철골 구조물(12)을 리프팅 하는 것이 가능하다. Since the indoor lifting equipment needs to lift the steel structure 12, the hook 100 to be described later is mounted on the steel structure 12 while the second vertical frame 220 and the third vertical frame 230 are inserted. 2 It is possible to lift the steel structure 12 by drawing out the vertical frame 220 and the third vertical frame 230.

여기서 제3 수직 프레임(230)은 다단 구조의 복수의 프레임 중 인출 시 가장 높이 위치되는 프레임을 의미하고, 제2 수직 프레임(220)은 지지부(300)와 결합된 제1 수직 프레임(210)과 제3 수직 프레임(230) 사이에 위치되는 프레임으로서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Here, the third vertical frame 230 refers to a frame that is positioned at the highest level when drawing out of a plurality of frames having a multi-stage structure,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220 and the first vertical frame 210 combined with the support 300 As a frame positioned between the third vertical frames 230, it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frames.

제1 수직 프레임(210)은 지지부(300)에 대해 힌지결합되어 눕혀지거나 기립될 수 있다. 이 경우 실내 공간에서의 실내 리프팅 장비의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어 이동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first vertical frame 210 may be hing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300 to lie down or stand.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volume of the indoor lifting equipment in the indoor space, which has the effect of ensuring the convenience of movement.

수직 프레임(200)의 구동은 유압잭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vertical frame 200 may be driven by a hydraulic jack.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리프팅 장비는 제1 수직 프레임(210)을 구동시키는 제1 유압잭(310), 제2 수직 프레임(220)을 구동시키는 제2 유압잭(320) 및 제3 수직 프레임(230)을 구동시키는 제3 유압잭(330)을 포함할 수 있다(도 2, 도 3). The indoor lifting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hydraulic jack 310 driving the first vertical frame 210, a second hydraulic jack 320 driving the second vertical frame 220 and a third vertical frame A third hydraulic jack 330 driving the 230 may be included (FIGS. 2 and 3).

이 경우 제1 유압잭(310)은 제1 수직 프레임(210)을 눕히거나 기립시키며, 제2 유압잭(320)은 제2 수직 프레임(220)을 제1 수직 프레임(210)에서 인출시키거나 인입시키고, 제3 유압잭(330)은 제2 수직 프레임(230)을 제2 수직 프레임(220)에서 인출시키거나 인입시킬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rst hydraulic jack 310 lays or stands the first vertical frame 210, and the second hydraulic jack 320 draws or pulls the second vertical frame 220 out of the first vertical frame 210 and , The third hydraulic jack 330 may draw or pull the second vertical frame 230 out of the second vertical frame 220.

수평 프레임(400)은 지지부(300)에서 인출되거나 인입될 수 있다(도 7). The horizontal frame 400 may be drawn out or drawn in from the support 300 (FIG. 7).

수평 프레임(400)은 지지부(300)의 일방에 한 쌍으로 형성된 전방 수평 프레임(410) 및 지지부(300)의 타방에 한 쌍으로 형성된 후방 수평 프레임(420)을 포함한다(도 7). The horizontal frame 400 includes a front horizontal frame 410 formed in a pair on one side of the support 300 and a rear horizontal frame 420 formed in a pair on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300 (FIG. 7).

수평 프레임(400)이 인출되는 경우 지지면적이 넓어지므로 더 높은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When the horizontal frame 400 is drawn out, a higher support area can be secured because the support area is widened.

구체적으로 제1 수직 프레임(210)이 지지부(300)에 대해 눕혀져 있는 경우 제1 수직 프레임(210)이 눕혀진 방향의 전방 수평 프레임(410) 또는 후방 수평 프레임(420)을 인출하여 수직 프레임(200)이 눕혀진 상태에서 제공되는 하중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Specifically, when the first vertical frame 210 is lai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art 300, the vertical frame is drawn by drawing the front horizontal frame 410 or the rear horizontal frame 42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vertical frame 210 is laid. 200)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load provided in the lying state.

더하여, 제2 수직 프레임(220) 및 제3 수직 프레임(230)이 인출되어 수직 프레임(200)의 높이가 높아지는 경우 전방 수평 프레임(410) 및 후방 수평 프레임(420)을 인출하여 지지면적을 넓힘으로써 장비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height of the vertical frame 200 is increased due to the withdrawal of the second vertical frame 220 and the third vertical frame 230, the front horizontal frame 410 and the rear horizontal frame 420 are pulled out to increase the support area This prevents the equipment from fall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리프팅 장비는 수평 프레임(400)을 지지부(300)에서 인출시키거나 인입시키는 제4 유압잭(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7).Indoor lifting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hydraulic jack 340 to withdraw or draw the horizontal frame 400 from the support unit 300 (FIG. 7).

후크(100)는 철골 구조물(12)을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가장 높이 위치되는 제3 수직 프레임(230)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 The hook 100 is preferably formed in the third vertical frame 230 positioned at the highest position as a configuration supporting the steel structure 12 (FIG. 2).

후크(100)는 철골 구조물(12)을 지지하는 철골 지지부(110) 및 철골 지지부(110)에 거치된 철골 구조물(12)의 이탈을 방지하는 클램프(120)를 포함할 수 있다(도 6). The hook 100 may include a steel support 110 for supporting the steel structure 12 and a clamp 120 for preventing departure of the steel structure 12 mounted on the steel support 110 (FIG. 6). .

이 경우 철골 지지부(110)는 전방(a)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며, 클램프(120)는 철골 지지부(110) 상면에 형성되되 전방(a) 및 후방(b)으로 위치 변경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In this case, the steel support 110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front (a), the clamp 12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eel support 110, there is a feature that can be changed to the front (a) and rear (b).

후크(100)가 지지하는 철골 구조물(12)의 폭이 각기 상이하므로 철골 구조물(12)의 폭에 따라 클램프(120)의 위치가 변경 가능토록 하여 철골 지지부(110)에 거치된 철골 구조물(12)을 견고하게 결착시키는 것이 가능토록 한다. Since the widths of the steel structures 12 supported by the hooks 100 are different, the position of the clamp 120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steel structures 12 so that the steel structures 12 mounted on the steel support parts 110 can be changed. ) To make it possible to bind firmly.

이동부(500)는 지지부(200)를 이동시킴으로서 실질적으로 실내 리프팅 장비 전체 구성을 이동시킨다. The moving part 500 substantially moves the entire configuration of the indoor lifting equipment by moving the support part 200.

이동부(500)는 지지부(200) 뿐만 아니라 수평 프레임(400)에도 형성될 수 있다. The moving part 500 may be formed on the horizontal frame 400 as well as the support part 200.

이 경우 수평 프레임(400)이 인출된 상태에서도 지지부(200)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move the support part 200 even when the horizontal frame 400 is drawn ou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리프팅 장비는 제2 수직 프레임(220)과 제3 수직 프레임(230)의 인출로 인하여 3단 이상의 다단 구조를 갖는다. Indoor lifting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ulti-stage structure of three or more stages due to the withdrawal of the second vertical frame 220 and the third vertical frame 230.

이 경우 인출된 수직 프레임(200)의 구조적 안전성 확보를 위해 각 수직 프레임(200) 연결부에 삽입되어 위치를 고정시키는 핀 고정부 또는 레챗(Ratchet)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in order to secure structural safety of the drawn vertical frame 200, a pin fixing part or a latchet fixing part that is inserted into a connection part of each vertical frame 200 to fix a position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리프팅 장비는 제3 수직 프레임(230)에 형성되며, 후크(10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후크 이동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수직 프레임(230) 범위 내에서도 후크(100)의 높이를 가변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철골 구조물(12)의 높이를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Indoor lifting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third vertical frame 230, may further include a hook moving unit 130 for raising or lowering the hook 100.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variably adjust the height of the hook 100 even within the range of the third vertical frame 230, thereby obtaining an effect that the height of the steel structure 12 can be finely adjusted.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리프팅 장비를 이용하여 파이프 랙 구조물(10)을 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constructing a pipe rack structure 10 using indoor lifting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랙 구조물은 시공현장에 복수의 지지기둥(11)을 형성하고, 공장 등에서 선조립된 철골 구조물(12)을 지지기둥(11)에 설치한 뒤 파이프 등의 시설물을 철골 구조물에 설치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The pipe rack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plurality of support pillars 11 in a construction site, installs a steel structure 12 pre-assembled in a factory, etc. in a support pillar 11, and then installs pipes, etc. to a steel structure. The installation proceeds.

이 경우 철골 구조물(12)을 지지기둥(11)의 소정의 높이까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리프팅 장비를 이용하여 리프팅 한다. In this case, the steel structure 12 is lifted up to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support pillar 11 using the indoor lifting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파이프 랙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은 현장 시공된 상기 복수의 지지기둥(11)의 하부에 선조립된 상기 철골 구조물(12)을 위치시키는 제1 단계(S100), 철골 구조물(12)을 실내 리프팅 장비를 이용하여 리프팅 시키는 제2 단계(S200) 및 철골 구조물(12)을 지지기둥(11)에 결합시키는 제3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pipe rack structure includes the first step (S100) of positioning the steel structure structure 12 pre-assembled under the plurality of support columns 11 installed on site (S100), and the steel structure structure 12 indoors. It may include a second step (S200) of lifting by using a lifting equipment and a third step (S300) of coupling the steel structure 12 to the support column 11.

이 경우 제2 단계(S200)는 수직 프레임(200)이 지지부(300)에 대해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철골 구조물(12)로 이동시키는 이동 단계(S210), 제1 유압잭(310)을 이용하여 수직 프레임(200)을 기립시키는 기립 단계(S220), 철골 구조물(12)을 철골 지지부(110)에 거치시킴과 아울러 클램프(120)의 위치를 조정하여 철골 구조물(12)을 결착시키는 결착 단계(S230) 및 제2 유압잭(320)을 이용하여 제2 수직 프레임(220)을 제1 수직 프레임(210)에서 인출시키는 제1 인출 단계(S240) 및 제3 유압잭(330)을 이용하여 제3 수직 프레임(230)을 제2 수직 프레임(220)에서 인출시키는 제2 인출 단계(S250)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econd step (S200) is a vertical frame using a moving step (S210) and a first hydraulic jack 310 to move the vertical frame 200 to the steel structure 12 in a folded stat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art 300. Standing step of standing (200) (S220), a step of mounting the steel structure (12) to the steel support (110) and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lamp (120) to bind the steel structure (12) (S230) And a third vertical frame using a first withdrawal step (S240) and a third hydraulic jack 330 to withdraw the second vertical frame 220 from the first vertical frame 210 using the second hydraulic jack 320. It may include a second drawing step (S250) for drawing out the 230 in the second vertical frame (220).

또한, 기립 단계(S220) 이후에 제4 유압잭(340)을 이용하여 수평 프레임(400)을 지지부(200)에서 인출시키는 수평 프레임 인출 단계(S2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fter the standing step (S220), a horizontal frame drawing step (S221) of drawing out the horizontal frame 400 from the support unit 200 using the fourth hydraulic jack 340 may be further included.

이 경우 전방 수평 프레임(410) 또는 후방 수평 프레임(420) 중 어느 하나의 수평 프레임(400)이 수직 프레임(200)의 눕혀진 상태에서의 이동을 위해 이미 인출된 상태라면, 인출되지 않은 전방 수평 프레임(410) 또는 후방 수평 프레임(420)을 인출하는 과정으로 충분하다. In this case, if either the horizontal frame 400 of the front horizontal frame 410 or the rear horizontal frame 420 has already been pulled out for movement in the lying state of the vertical frame 200, the front horizontal that has not been withdrawn The process of withdrawing the frame 410 or the rear horizontal frame 420 is sufficient.

제2 단계(S200)에서 철골 구조물(12)에 결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리프팅 장비는 복수일 수 있다(도 12). Indoor lifting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upled to the steel structure 12 in the second step (S200) may be a plurality (Fig. 12).

복수의 실내 리프팅 장비를 이용하여 철골 구조물(12)을 리프팅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실내 리프팅 장비를 동조화하여 복수개의 실내 리프팅 장비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면서 업 리프팅 또는 다운 리프팅 할 것이 요구된다. In order to lift the steel structure 12 using a plurality of indoor lifting equipments, it is required to synchronize the plurality of indoor lifting equipments, and uplift or downlift the plurality of indoor lifting equipments while maintaining the same height.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복수의 실내 리프팅 장비를 동조화하는 동조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uning unit 600 for synchronizing a plurality of indoor lifting equipmen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리프팅 장비는 후크(100)에 재하되는 하중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하중 측정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door lifting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load measuring unit 700 for measuring the load on the hook 100 in real time.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The above is merely a description of some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at can be implemented by the present invention, so, as is well know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will be said that both the technical idea and the technical idea together with the fundamental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후크
200 : 수직 프레임
300 : 지지부
400 : 수평 프레임
500 : 이동부
600 : 동조부
700 : 하중 측정부
100: hook
200: vertical frame
300: support
400: horizontal frame
500: moving part
600: tuning section
700: load measuring unit

Claims (12)

선조립 철골 구조물(12)을 리프팅 하는 실내 리프팅 장비에 있어서,
철골 구조물(12)을 지지하는 후크(100);
상기 후크(100)가 장착된 수직 프레임(200); 및
상기 수직 프레임(200)을 지지하는 지지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수직 프레임(200)은
상기 지지부(300)와 결합된 제1 수직 프레임(210);
상기 제1 수직 프레임(210)에 가이드 되어 인출되는 제2 수직 프레임(220); 및
상기 제2 수직 프레임(220)에 가이드 되어 인출되는 제3 수직 프레임(230);을 포함하되,
상기 후크(100)는 상기 제3 수직 프레임(230)에 형성되며,
상기 후크(100)는,
철골 구조물(12)을 지지하는 철골 지지부(110); 및
상기 철골 지지부(110)에 거치된 철골 구조물(12)의 이탈을 방지하는 클램프(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리프팅 장비.
In the indoor lifting equipment for lifting the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12),
Hook 100 for supporting the steel structure (12);
A vertical frame 200 on which the hook 100 is mounted; And
It includes; a support portion 300 for supporting the vertical frame 200;
The vertical frame 200 is
A first vertical frame 210 coupled with the support part 300;
A second vertical frame 220 guided and withdrawn from the first vertical frame 210; And
Including, but; a third vertical frame 230 guided and drawn out of the second vertical frame 220;
The hook 100 is formed on the third vertical frame 230,
The hook 100,
Steel structure support unit 110 for supporting the steel structure 12; And
Indoor lifting equipment comprising a; clamp 120 for preventing departure of the steel structure (12) mounted on the steel support (110).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골 지지부(110)는 전방(a)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며,
상기 클램프(120)는 상기 철골 지지부(110) 상면에 형성되되, 전방(a) 및 후방(b)으로 위치 변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리프팅 장비.
According to claim 1,
The steel support 110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front (a),
The clamp 12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eel support 110, indoor lifting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can be changed to the front (a) and rear (b).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 프레임(210)을 구동시키는 제1 유압잭(310);
상기 제2 수직 프레임(220)을 구동시키는 제2 유압잭(320); 및
상기 제3 수직 프레임(230)을 구동시키는 제3 유압잭(3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리프팅 장비.
According to claim 3,
A first hydraulic jack 310 driving the first vertical frame 210;
A second hydraulic jack 320 driving the second vertical frame 220; And
Indoor lifting equipment further comprising; a third hydraulic jack 330 for driving the third vertical frame 23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압잭(310)은 상기 제1 수직 프레임(210)을 눕히거나 기립시키며,
상기 제2 유압잭(320)은 상기 제2 수직 프레임(220)을 상기 제1 수직 프레임(210)에서 인출시키거나 인입시키고,
상기 제3 유압잭(330)은 상기 제2 수직 프레임(220)을 상기 제2 수직 프레임(220)에서 인출시키거나 인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리프팅 장비.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hydraulic jack 310 lays or stands the first vertical frame 210,
The second hydraulic jack 320 draws or draws the second vertical frame 220 from the first vertical frame 210,
The third hydraulic jack 330 is an indoor lifting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vertical frame 220 is withdrawn or drawn out from the second vertical frame 22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300)에 장착되며, 상기 지지부(300)와 함께 상기 수직 프레임(200)을 지지하는 수평 프레임(40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수평 프레임(400)은 상기 지지부(300)에서 인출되거나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리프팅 장비.
The method of claim 5,
It is mounted on the support 300, the horizontal frame 400 for supporting the vertical frame 200 together with the support 300; further includes,
The horizontal frame 400 is an indoor lifting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withdrawn or drawn out from the support part (30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프레임(400)은
상기 지지부(300)의 일방에 한 쌍으로 형성된 전방 수평 프레임(410); 및
상기 지지부(300)의 타방에 한 쌍으로 형성된 후방 수평 프레임(4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리프팅 장비.
The method of claim 6,
The horizontal frame 400 is
A front horizontal frame 410 formed in a pair on one side of the support part 300; And
Indoor lifting equipment comprising a; rear horizontal frame 420 formed in a pair on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30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프레임(400)을 상기 지지부(300)에서 인출시키거나 인입시키는 제4 유압잭(3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리프팅 장비.
The method of claim 7,
A fourth hydraulic jack 340 for drawing or drawing the horizontal frame 400 out of the support part 300;
Indoor lifting equipment further comprising.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300)를 이동시키는 이동부(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리프팅 장비.
The method of claim 8,
Moving unit 500 for moving the support 300;
Indoor lifting equipment further comprising.
제9항의 실내 리프팅 장비를 이용하여 파이프 랙 구조물(10)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랙 구조물(10)은
복수의 지지기둥(11); 및
상기 지지기둥(11)에 의해 지지되는 철골 구조물(12);을 포함하며,
현장 시공된 상기 복수의 지지기둥(11)의 하부에 선조립된 상기 철골 구조물(12)을 위치시키는 제1 단계(S100);
상기 철골 구조물(12)을 상기 실내 리프팅 장비를 이용하여 리프팅 시키는 제2 단계(S200); 및
상기 철골 구조물(12)을 상기 지지기둥(11)에 결합시키는 제3 단계(S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랙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
In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pipe rack structure 10 using the indoor lifting equipment of claim 9,
The pipe rack structure 10 is
A plurality of support pillars 11; And
Includes; steel structure 12 supported by the support column (11),
A first step (S100) of positioning the steel structure 12 pre-assembled under the plurality of support pillars 11 constructed in the field;
A second step of lifting the steel structure 12 using the indoor lifting equipment (S200); And
A third step (S300) of coupling the steel structure 12 to the support pillar 11;
Method of constructing a pipe rack structure comprising a.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S200)는
상기 수직 프레임(200)이 상기 지지부(300)에 대해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철골 구조물(12)로 이동시키는 이동 단계(S210);
상기 제1 유압잭(310)을 이용하여 상기 수직 프레임(200)을 기립시키는 기립 단계(S220);
상기 철골 구조물(12)을 상기 철골 지지부(110)에 거치시킴과 아울러 상기 클램프(120)의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철골 구조물(12)을 결착시키는 결착 단계(S230); 및
상기 제2 유압잭(320)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수직 프레임(220)을 상기 제1 수직 프레임(210)에서 인출시키는 제1 인출 단계(S240); 및
상기 제3 유압잭(330)을 이용하여 상기 제3 수직 프레임(230)을 상기 제2 수직 프레임(220)에서 인출시키는 제2 인출 단계(S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랙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he second step (S200)
A moving step of moving the vertical frame 200 to the steel structure 12 in a state in which it is fold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art 300 (S210);
An erecting step (S220) of erecting the vertical frame 200 using the first hydraulic jack 310;
A step of attaching the steel structure 12 to the steel support 110 and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lamp 120 to bind the steel structure 12 (S230); And
A first withdrawing step (S240) of drawing out the second vertical frame 220 from the first vertical frame 210 using the second hydraulic jack 320; And
A second withdrawing step (S250) of drawing out the third vertical frame 230 from the second vertical frame 220 using the third hydraulic jack 330;
Method of constructing a pipe rack structure comprising a.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립 단계(S220) 이후에 상기 제4 유압잭(340)을 이용하여 상기 수평 프레임(400)을 상기 지지부(300)에서 인출시키는 수평 프레임 인출 단계(S22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랙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A pip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horizontal frame withdrawing step (S221) for drawing out the horizontal frame 400 from the support part 300 by using the fourth hydraulic jack 340 after the standing step (S220). How to construct a rack structure.
KR1020180053461A 2018-05-10 2018-05-10 Lifting System KR1021135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461A KR102113599B1 (en) 2018-05-10 2018-05-10 Lift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461A KR102113599B1 (en) 2018-05-10 2018-05-10 Lift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189A KR20190129189A (en) 2019-11-20
KR102113599B1 true KR102113599B1 (en) 2020-05-20

Family

ID=68729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461A KR102113599B1 (en) 2018-05-10 2018-05-10 Lift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359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81525B (en) * 2020-12-14 2023-03-28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Jacking and supporting system and method for large-span steel structure
CN113737957A (en) * 2021-09-13 2021-12-03 中铁十八局集团有限公司 Construction method of large-span hangar
CN114525851B (en) * 2022-02-28 2023-10-24 广州城建职业学院 Steel mosaic structure for assembled building construction
KR102628253B1 (en) * 2022-11-28 2024-01-24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Stacker system and load dispersion type indoor lifting apparatus of prefabricated steel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6397A (en) * 2001-07-13 2003-01-29 Shimizu Corp Beam system form fitting lift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4144A (en) * 2016-10-21 2018-05-02 주식회사 근영산업 Portable lif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6397A (en) * 2001-07-13 2003-01-29 Shimizu Corp Beam system form fitting lif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189A (en) 2019-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3599B1 (en) Lifting System
US8348221B2 (en) Formwork system for constructing a structural concrete floor with projecting floor beams
JP2018530690A (en) Pile frame and its use and installation method
US6368022B1 (en) Lifting system for massive constructions
US20150143769A1 (en) Steel-frame building, plant, and method for assembling steel-frame building
CN109132843B (en) The installation method of super-section metal bellows in a kind of vertical shaft
US20130263549A1 (en) Safety screen system for steel erection work
KR100817883B1 (en) Slab mold setting structure
US9764932B2 (en) Jacking tower installation system
KR101001650B1 (en) Concrete form
CN210289183U (en) Auxiliary device for mounting beam steel bars
JP2002129747A (en) Lift-up method and lift-up system
KR102102440B1 (en) Apparatus for self lifting and pull down jack support using support, and method for lifting and pull down jack support using this same
KR100995116B1 (en) Assembly structure of Form And Support
KR20100004374U (en) Walls supporter of a truss type
JP2878589B2 (en) Temporary structure
CN110821158A (en) Roof panel formwork ultrahigh support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2002061385A (en) Temporary scaffold member of overhung bracket, etc.
JP6545965B2 (en) Climbing crane
JP2019157532A (en)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CN220666836U (en) Novel gate-type scaffold
CN114439248B (en) Steel column installation method
CN218114789U (en) Indoor and interlayer heavy component hoisting equipment
KR950012462B1 (en) Process and device for establishing safety nets
KR20130009225A (en) Rail-stopper for lifting-rail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