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8253B1 - Stacker system and load dispersion type indoor lifting apparatus of prefabricated steel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tacker system and load dispersion type indoor lifting apparatus of prefabricated steel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8253B1
KR102628253B1 KR1020220162050A KR20220162050A KR102628253B1 KR 102628253 B1 KR102628253 B1 KR 102628253B1 KR 1020220162050 A KR1020220162050 A KR 1020220162050A KR 20220162050 A KR20220162050 A KR 20220162050A KR 102628253 B1 KR102628253 B1 KR 102628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coupled
steel structure
load
outrig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20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천규
박성환
Original Assignee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프피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프피씨 filed Critical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62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825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8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8253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95Cooling arrangements for device or ope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59Stabiliz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04G21/163Jack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up building elements

Abstract

스태커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하중 분산형 실내 리프팅 장비가 개시된다. 개시된 스태커 시스템은 한쌍의 1단 마스트, 상기 한쌍의 1단 마스트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 한쌍의 2단 마스트, 상기 한쌍의 1단 마스트에 결합된 전기 패널, 상기 한쌍의 1단 마스트에 하나씩 결합된 한쌍의 아웃리거 장착 유닛, 및 상기 한쌍의 2단 마스트에 결합되어 상기 한쌍의 2단 마스트가 상하로 슬라이딩함에 따라 같이 상하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 포크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아웃리거 장착 유닛에 하나씩 결합된 한쌍의 전방 아웃리거, 상기 각각의 아웃리거 장착 유닛에 하나씩 결합된 한쌍의 측방 아웃리거 및 상기 각각의 아웃리거 장착 유닛에 하나씩 결합된 한쌍의 후방 아웃리거를 포함한다.A stacker system and load-distributing indoor lifting equipment for a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are disclosed. The disclosed stacker system includes a pair of first-stage masts, a pair of two-stage masts slidably coupled to the pair of first-stage masts, an electrical panel coupled to the pair of first-stage masts, one for each pair of first-stage masts. A pair of coupled outrigger mounting units, and a fork coupled to the pair of two-stage masts and configured to slide up and down as the pair of two-stage masts slides up and down, one coupled to each of the outrigger mounting units. It includes a pair of front outriggers, a pair of side outriggers one by one coupled to each of the outrigger mounting units, and a pair of rear outriggers one by one coupled to each of the outrigger mounting units.

Description

스태커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하중 분산형 실내 리프팅 장비{Stacker system and load dispersion type indoor lifting apparatus of prefabricated steel structure including the same}Stacker system and load dispersion type indoor lifting apparatus of prefabricated steel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스태커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하중 분산형 실내 리프팅 장비가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자체 수평 조절 기능, 전도 방지 기능, 고하중물 양중 기능 및 내구성이 우수하며 고하중의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양중시 하중 전달 매개체로 작용하도록 구성된 스태커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하중 분산형 실내 리프팅 장비가 개시된다.A stacker system and load-distributing indoor lifting equipment for pre-assembled steel structures including the same are disclosed. More specifically, a stacker system configured to have a self-leveling function, a tipping prevention function, a high load lifting function, and durability, and to act as a load transfer medium when lifting a high load prefabricated steel structure, and a prefabricated steel frame including the same. Disclosed is a load-distributing indoor lifting equipment for a structure.

선조립 고중량 철골 구조물(이하, 간단히 '모듈'로도 지칭된다)을 양중하여 하부 서포트를 장착(또는 구조물 상부에서 현수하여 구조물에 매달아 설치할 수 있는 연결재를 장착)하고 정확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종래에는 스트랜드 잭업(Strand Jack Up)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스트랜드 잭업 장치를 사용하여 고중량 모듈을 양중하고 다시 하강하여 정확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매우 긴 시간이 소요되며, 그 외에 스트랜드 잭업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상부 보의 골조 부분에 매립철물(Embedded Plate)을 적용하고 러그 플레이트(Lug Plate)를 용접해야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즉, 기존의 선조립 고중량 철골 구조물의 설치 방식을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건축 골조 부분에 매립철물의 적용 및 러그 플레이트의 용접 등의 작업이 선행되어야 하며, 상대적으로 긴 작업시간, 용접으로 인한 화재의 위험성, 작업 효율의 저하, 고소작업의 증가로 인한 안전성 위험이 있다. In order to lift a pre-assembled heavy steel structure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module') and install a lower support (or attach a connecting member that can be suspend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structure and installed on the structure) and fix it in the correct position, conventionally, strands were used. A method using a jack up (Strand Jack Up) device has been used. However, it takes a very long time to lift a heavy module using a strand jack-up device, lower it again, and fix it in the correct position. Additionally, in order to use a strand jack-up device, it is essential to install embedded hardware in the frame of the upper beam. There i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apply a plate and weld a lug plate. In other words, in order to efficiently apply the existing pre-assembled heavy-duty steel structure installation method, work such as application of embedded steel to the building frame and welding of lug plates must be carried out first. Relatively long work time and fire due to welding must be carried out first. There are safety risks due to the risk of work, reduced work efficiency, and increased work at heights.

또한, 매립철물이 설치되지 않은 위치에서는 모듈 양중이 원칙적으로 불가능하며, RC 골조, PC 골조라도 별도의 양중용 러그 플레이트를 설치하지 않으면 양중이 불가능하다. 일 예로서, PC 공법의 골조라면, PC 제작시 매립철물을 설치하여야 하며, 매우 복잡한 제작과정을 통해서 설치가 가능하여 단가 상승의 원인 및 제작기간 지연의 원인이 된다. 다른 예로서, 골조 부분이 철골 골조라면, 잭업을 수행할 수 있는 러그 플레이트(Lug Plate)를 철골 골조에 부착해야 하며, 이의 부착을 위해서는 스티프너(Stiffener) 등의 구조 보강작업이 필요하고, 현장에서 용접이 곤란하여(때로는 재질 성상 변경 우려로 불가능) 철골 골조의 제작공장에서 사전 제작후 반입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또 다른 예로서, LFC, LFG 골조 공법이라면 공장에서 매립철물을 사전에 설치한 후 LFC, LFG를 제작하여야 한다. In addition, in principle, it is impossible to lift a module in a location where embedded hardware is not installed, and even for RC frames and PC frames, lifting is impossible unless a separate lifting lug plate is installed. As an example, if it is a frame using the PC method, embedded hardware must be installed when manufacturing the PC, and installation can be done through a very complicated manufacturing process, which causes an increase in unit cost and a delay in the manufacturing period. As another example, if the frame part is a steel frame, a lug plate capable of jacking up must be attached to the steel frame, and for this attachment, structural reinforcement work such as a stiffener is required, and Because welding is difficult (sometimes impossible due to concerns about changes in material properties), it is necessary to pre-manufacture the steel frame and then bring it in at a manufacturing plant. As another example, in the case of the LFC and LFG framing method, the LFC and LFG must be manufactured after installing buried hardware in advance at the factory.

또한, 매립철물이 설치된 골조의 시공 후 현장에서 러그 플레이트의 용접이 필요하며, 화재의 위험성 등에 노출되고, 화기 감시자 배치 등 부수적 인원이 필요하다. 그리고, 러그 플레이트를 현장에 반입하여 설치하기 위해서는 수직 및 수평이동을 실시하여야 하며, 중량물의 취급으로 신호수, 유도원 등 부수적 인원이 필요하고, 지게차, 크레인 등 양중 보조 장치도 필요하다. In addition, after construction of the frame with embedded hardware, welding of lug plates is required on site, exposure to the risk of fire, etc., and additional personnel such as the placement of fire watchers are required. In addition, in order to bring the lug plate to the site and install it, vertical and horizontal movement must be performed. Additional personnel such as signalmen and guides are required to handle heavy objects, and lifting assistance devices such as forklifts and cranes are also required.

또한, 러그 플레이트의 용접 후 스트랜드 잭업용 와이어를 설치해야 하며, 모듈 이동 후 와이어에 잭업 유압장치 및 지그를 설치하여야 한다. 이러한 와이어 설치는 고소 위치에 설치되어야 하므로 테이블 리프트 장치가 필요하며, 와이어의 무게가 무거워 다수의 인원이 투입되어야 한다. In addition, the wire for strand jack-up must be installed after welding the lug plate, and the jack-up hydraulic device and jig must be installed on the wire after moving the module. This type of wire installation requires a table lift device because it must be installed at a high location, and the weight of the wire is heavy, so many people must be deployed.

또한, 잭업 유압장치, 유압펌프의 이동을 위하여 지게차 등 중량물 이송장치가 필요하고, 전원 연결, 유압 호스의 연결 및 양중지그의 연결도 필요하다. In addition, a heavy load transport device such as a forklift is required to move the jack-up hydraulic device and hydraulic pump, and it is also necessary to connect a power source, a hydraulic hose, and a lifting jig.

또한, 양중속도가 늦어 장기간 대기하여야 하며, 양중 후에는 양중의 역순으로 장비를 분해하여 해체하여야 하며, 모두 수동으로 작업이 진행되어 많은 인원과 시간이 필요하다.In addition, the lifting speed is slow, so you have to wait for a long time, and after lifting, the equipment must be disassembled and dismantled in the reverse order of lifting. All work is performed manually, requiring a large number of people and time.

또한, 건축 구조물이 콘크리트 구조물이 아닌 철골일 경우에는 철골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티프너(Stiffener)로 보강하거나 러그 플레이트를 사전에 용접하여야만 스트랜드 잭업 장치를 사용할 수 있어서 철골 재질에 열변형이 발생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f the building structure is a steel frame rather than a concrete structure, the strand jack-up device can only be used if it is reinforced with a stiffener or the lug plate is welded in advance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steel frame, which may cause thermal deformation in the steel frame material. .

또한, 중장비 임대사용 경비 및 화기작업에 의한 건설비가 상승하고, 현장내 보관하는 장비의 수량이 증가하여 현장공간, 작업공간을 점유하며, 이들 장비를 공사 진행에 따라 이동시켜야 하는 등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업무가 많아 시공 업무가 비효율적이 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st of renting heavy equipment and construction costs due to hot work are increasing, the number of equipment stored on site is increasing, occupying site space and work space, and incidental costs such as the need to move this equipment as construction progresses. Because there is a lot of work, construction work can become inefficient.

또한, 작업 소요시간이 길고, 복잡한 현장에서 스트랜드 잭업 장치를 위한 긴 와이어의 사용으로 인한 복잡성, 용접으로 인한 화재의 위험성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In addition, problems such as long work time, complexity due to the use of long wires for strand jack-up equipment in complex sites, and risk of fire due to welding may occur.

또한, 양중지그를 보관하였다가 사용을 위해 이동시킬 경우 지게차 또는 인력으로 이동시키거나, 유압장치 및 유압장치와 유압 엑추에이터간 연결용 유압 호스 등은 지게차를 이용하여 이동시켜야 하는 등의 불편함도 있다.In addition, when storing the lifting jig and then moving it for use, there are inconveniences such as having to move it with a forklift or manpower, or moving the hydraulic device and the hydraulic hose for connecting the hydraulic device and the hydraulic actuator using a forklift. .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자체 수평 조절 기능, 전도 방지 기능, 고하중물 양중 기능 및 내구성이 우수하며 고하중의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양중시 하중 전달 매개체로 작용하도록 구성된 스태커 시스템을 제공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acker system that has a self-leveling function, a tipping prevention function, a high load lifting function, and excellent durability, and is configured to act as a load transfer medium when lifting a prefabricated steel structure with a high load.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스태커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하중 분산형 실내 리프팅 장비를 제공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oad-distributing indoor lifting equipment for a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including the stacker system.

본 발명의 일 측면은,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한쌍의 1단 마스트;A pair of single masts;

상기 한쌍의 1단 마스트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 한쌍의 2단 마스트;A pair of two-stage masts coupled to the pair of first-stage masts so as to be able to slide up and down;

상기 한쌍의 1단 마스트에 결합된 전기 패널;An electrical panel coupled to the pair of first-stage masts;

상기 한쌍의 1단 마스트에 하나씩 결합된 한쌍의 아웃리거 장착 유닛; 및A pair of outrigger mounting units each coupled to the pair of first-stage masts; and

상기 한쌍의 2단 마스트에 결합되어 상기 한쌍의 2단 마스트가 상하로 슬라이딩함에 따라 같이 상하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 포크를 포함하고,A fork coupled to the pair of two-stage masts and configured to slide up and down as the pair of two-stage masts slides up and down,

상기 각각의 아웃리거 장착 유닛에 하나씩 결합된 한쌍의 전방 아웃리거, 상기 각각의 아웃리거 장착 유닛에 하나씩 결합된 한쌍의 측방 아웃리거 및 상기 각각의 아웃리거 장착 유닛에 하나씩 결합된 한쌍의 후방 아웃리거를 포함하는 스태커 시스템을 포함한다.A stacker system including a pair of front outriggers one by one coupled to each of the outrigger mounting units, a pair of lateral outriggers one by one coupled to each of the outrigger mounting units, and a pair of rear outriggers one by one coupled to each of the outrigger mounting units. Includes.

상기 한쌍의 전방 아웃리거는 동시에 또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상기 각각의 아웃리거 장착 유닛에 하나씩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전진시 하중을 하방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air of front outriggers may be coupled simultaneously or independently to each of the outrigger mounting units one by one to enabl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thereby transmitting the load downward when moving forward.

상기 포크는 상면에 형성된 홀을 포함할 수 있다.The fork may include a hole formed on its upper surface.

상기 한쌍의 측방 아웃리거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상기 각각의 아웃리거 장착 유닛에 하나씩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상기 각각의 아웃리거 장착 유닛에 밀착되게 수평으로 접히거나 상기 각각의 아웃리거 장착 유닛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되어 미리 결정된 각도로 전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air of lateral outriggers are each independently rotatably coupled to each of the outrigger mounting units, and are either folded horizontally in close contact with each outrigger mounting unit or partially separated from each of the outrigger mounting units in advance. It can be configured to unfold at a determined angle.

상기 한쌍의 후방 아웃리거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상기 각각의 아웃리거 장착 유닛에 하나씩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후진시 하중을 하방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air of rear outriggers may be independently coupled to each outrigger mounting unit one by one to enabl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thereby transmitting the load downward when moving backwards.

상기 한쌍의 전방 아웃리거, 상기 한쌍의 측방 아웃리거 및 상기 한쌍의 후방 아웃리거는 비수평 바닥부에 대하여 자동 수평 조절기능을 가질 수 있다.The pair of front outriggers, the pair of side outriggers, and the pair of rear outriggers may have an automatic leveling function with respect to a non-horizontal floor.

상기 스태커 시스템은 상기 한쌍의 1단 마스트의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하고 변형이 일어나지 않게 이들을 서로 결합시켜주도록 구성된 1단 마스트 보강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acker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first-stage mast reinforcement bar configured to secure the structural safety of the pair of first-stage masts and couple them to each other to prevent deformation.

상기 스태커 시스템은 상기 한쌍의 2단 마스트의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하고 변형이 일어나지 않게 이들을 서로 결합시켜주도록 구성된 2단 마스트 보강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acker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two-stage mast reinforcement bar configured to secure the structural safety of the pair of two-stage masts and couple them to each other to prevent deformation.

상기 스태커 시스템은 전기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acker system may further include an electrical panel.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상기 스태커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하중 분산형 실내 리프팅 장비를 제공한다.Provided is a load-distributing indoor lifting equipment for a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including the stacker system.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하중 분산형 실내 리프팅 장비는 이동대차, 상기 이동대차에 거치되도록 구성된 서포트 프레임, 상기 서포트 프레임에 거치되도록 구성된 리프팅 프레임 및 상기 서포트 프레임을 하방으로 지지하면서 상기 리프트 프레임을 상방으로 양중하도록 구성된 복수개의 스태커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The load-distributing indoor lifting equipment of the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includes a mobile cart, a support frame configured to be mounted on the mobile cart, a lifting frame configured to be mounted on the support frame, and a lifting frame configured to be mounted on the support frame downward while supporting the lift frame upward.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stacker systems configured to lift.

상기 서포트 프레임은 서로 이격되게 나란히 배치된 복수개의 가로바, 상기 복수개의 가로바의 단부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가로바의 단부들과 결합된 복수개의 세로바 및 상기 복수개의 가로바와 상기 복수개의 세로바의 결합체에 수직으로 서로 이격되게 결합된 복수개의 수직바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frame includes a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arranged side by sid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plurality of vertical bars coupled to ends of the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to connect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and the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The combination of vertical bars may include a plurality of vertical bars that ar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서포트 프레임은 상기 각각의 수직바의 하단부에 하나씩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결합된 복수개의 아웃리거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frame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outrigger supports, one by one, coupled to a lower end of each vertical bar so as to protrude outward.

상기 리프팅 프레임은 서로 이격되게 나란히 배치된 복수개의 가로바 및 상기 복수개의 가로바의 단부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가로바의 단부들과 결합된 복수개의 세로바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fting frame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arranged side by sid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vertical bars coupled to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to connect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to each other.

상기 리프팅 프레임은 상기 각각의 세로바의 하면에 하나씩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거나 내측으로 삽입되게 결합된 복수개의 확장형 포크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ifting frame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expandable fork supports that ar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each vertical bar one by one to protrude outwardly or to be inserted inwardly.

상기 복수개의 확장형 포크 지지대는 각각의 하면에 결합된 핀을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expandable fork supports may include pins coupled to their respective lower surfaces.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하중 분산형 실내 리프팅 장비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과 상기 리프팅 프레임의 내부에 수납되어 상기 복수개의 스태커 시스템 전체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통신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oad-distributing indoor lifting equipment of the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line stored inside the support frame and the lifting frame and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entire plurality of stacker systems.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하중 분산형 실내 리프팅 장비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과 상기 리프팅 프레임의 내부에 수납되어 상기 복수개의 스태커 시스템 전체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동력전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oad-distributing indoor lifting equipment of the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 power wire stored inside the support frame and the lifting frame and connected to the entire plurality of stacker systems.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하중 분산형 실내 리프팅 장비는 상기 각각의 스태커 시스템의 후방 아웃리거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제1 추가 서포트 빔 및 측방 아웃리거를 접은 상태에서 전방 아웃리거와 후방 아웃리거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제2 추가 서포트 빔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oad-distributing indoor lifting equipment of the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includes a first additional support beam configured to support the rear outrigger of each stacker system and a second additional support configured to support the front outrigger and the rear outrigger in a folded state of the side outrigger. I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the beams.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스태커 시스템은 자체 수평 조절 기능, 전도 방지 기능, 고하중물 양중 기능 및 내구성이 우수하며 고하중의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양중시 하중 전달 매개체로 작용할 수 있다.The stacker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self-leveling function, tipping prevention function, high load lifting function, and durability, and can act as a load transfer medium when lifting a high load prefabricated steel structure.

또한, 상기 스태커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하중 분산형 실내 리프팅 장비는 하기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In addition, the load-distributing indoor lifting equipment for prefabricated steel structures including the stacker system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1) 바닥부 허용 지지 하중이 약한 건물의 내부 현장에서도 선조립 철골 구조물(유닛)의 양중으로 발생하는 인가하중을 바닥허용 지지하중 이내로 분산시키면서, 고중량의 철골 구조물을 리프팅하여 고정하고자 하는 정확한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하여 고정설치하는 작업이 가능하다. (1) Even on site inside a building where the allowable floor support load is weak, the exact position where a heavy steel structure is to be lifted and fixed while distributing the applied load generated by lifting the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unit) within the allowable floor support load It is possible to finely adjust and install fixedly.

(2) 복수의 리프팅 장비를 동기화하여 리프팅 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고중량의 철골 구조물(유닛)을 한 블록 또는 여러 블럭을 동시에 안전하게 리프팅 또는 하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2)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lifting efficiency by synchronizing multiple lifting equipment and simultaneously safely lifting or lowering one block or multiple blocks of a heavy steel structure (unit).

(3) 바닥 고정 방식 선조립 철골 구조물(유닛)을 효율적으로 리프트 업 또는 하강시킬 수 있으므로 공사기간을 단축하고 현장시공의 난이도를 낮추며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3) Floor fixation method Since the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unit) can be efficiently lifted up or lowered, it has the effect of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lowering the difficulty of on-site construction, and minimizing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4) 상부 고정식 선조립 철골 구조물을 효율적으로 리프트 업, 하강 또는 미세조정하여 설치할 수 있다. (4) The upper fixed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can be installed by efficiently lifting up, lowering, or fine-tuning.

(5) 선조립 구조물의 이동 및 설치를 겸하여 할 수 있으며, 자체이동을 위한 바퀴에 의하여 건물내부에서 동서남북 방향으로 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5) It can be used to move and install pre-assembled structures, and the device can be moved in the east, west, north, south directions inside the building using wheels for self-movement.

(6) 본 발명의 장비를 사용하여 선조립 구조물을 설치하면 기존 방법에 반드시 필요했던 매립철물, 와이어 설치, 러그 플레이트 및 러그 플레이트의 용접이 불필요하여 사전작업의 축소 및 사전작업에 필요했던 중장비 사용의 축소로 효율성이 향상되며, 화기작업 생략에 의한 화재위험이 감소할 수 있다. (6) Installing a pre-assembled structure using the equip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liminates the need for embedded hardware, wire installation, lug plates, and welding of lug plates, which were necessary in the existing method, thereby reducing pre-work and using heavy equipment required for pre-work. Efficiency is improved by reduction, and fire risk due to omission of hot work can be reduced.

(7) 또한, 수동으로 이동했던 기존 장비 대비 본 발명의 장비는 배터리에 의한 구동으로 근골격계 질병을 예방할 수 있으며, 프레임도 유닛 이동에 사용되는 이동대차(SPMT)로 이동시킬 수 있어 기계화 및 자동화 시공이 실현되어 근골격계 질병을 예방할 수 있다. (7) In addition, compared to existing equipment that was moved manually, the equip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musculoskeletal diseases by being driven by a battery, and the frame can also be moved on a mobile truck (SPMT) used to move the unit, allowing for mechanized and automated construction. By realizing this, musculoskeletal diseases can be prevented.

(8) 기존의 스트랜드 잭업 공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와이어에 매달아서 설치하는 양중 지그를 이동시켜야 하나 양중 지그의 이동을 위해서는 지게차 또는 많은 작업자가 수동으로 밀어서 이동시켜야 하는 바,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배터리의 동력으로 무선 리모콘으로 이동이 가능한 양중 장치를 구현하였다.(8) In order to use the existing strand jack-up method, the lifting jig installed by hanging on a wire must be moved. However, to move the lifting jig, it must be manually pushed by a forklift or many workers. To solve this inconvenience, A lifting device that can be moved with a wireless remote control powered by a battery was implemented.

(9) 건물 기둥의 경간이 넓거나 좁은 구역에서도 건축물 바닥 슬라브에 하중을 분산시키며 구조물의 슬라브의 보강작업 없이 고하중의 유닛을 양중설치할 수 있다.(9) Even in areas where the span of building columns is wide or narrow, the load is distributed to the floor slab of the building, and high-load units can be lifted and installed without reinforcing the slab of the structure.

도 1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스태커 시스템을 서로 다른 각도에서 보여주면서 각각의 부재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하중 분산형 실내 리프팅 장비 중 이동대차, 서포트 프레임 및 리프팅 프레임의 구성 및 이들의 결합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하중 분산형 실내 리프팅 장비 중 이동대차, 서포트 프레임 및 리프팅 프레임의 구성 및 이들의 결합 방식을 도 4와 다른 각도에서 바라 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하중 분산형 실내 리프팅 장비를 구성하는 이동대차, 서포트 프레임, 리프팅 프레임 및 스태커 시스템의 구성 및 이들의 결합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하중 분산형 실내 리프팅 장비를 구성하는 이동대차, 서포트 프레임, 리프팅 프레임 및 스태커 시스템이 선조립 철골 구조물을 양중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하중 분산형 실내 리프팅 장비 중 서포트 프레임과 리프팅 프레임의 내부에 통신선을 수납하여 스태커 시스템 전체에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하중 분산형 실내 리프팅 장비 중 서포트 프레임과 리프팅 프레임의 내부에 동력전선을 수납하여 스태커 시스템 전체에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21은 고하중의 선조립 철골 구조물을 효율적으로 설치하도록 구성된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하중 분산형 실내 리프팅 장비를 이용한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설치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A to 3B are views showing the stack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different angles and explaining the operating principle of each member.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art, a support frame, and a lifting frame among the load-distributing indoor lifting equipment for a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combining them.
FIG. 5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art, a support frame, and a lifting frame among the load-distributing indoor lifting equipment for a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combining them, viewed from an angle different from FIG. 4.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art, a support frame, a lifting frame, and a stacker system that constitutes a load-distributing indoor lifting equipment for a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combining them.
Figure 7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principle of lifting the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by the mobile cart, support frame, lifting frame, and stacker system that constitute the load-distributing indoor lifting equipment for the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communication lines are stored inside the support frame and the lifting frame among the load-distributing indoor lifting equipment for pre-assembled steel structu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nnected to the entire stacker system.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power wires are stored inside the support frame and the lifting frame among the load-distributing indoor lifting equipment for pre-assembled steel structu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nnected to the entire stacker system.
10 to 21 are diagrams showing step-by-step the installation method of a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using load-distributing indoor lifting equipment for a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configured to efficiently install a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with a high load.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스태커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하중 분산형 실내 리프팅 장비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stack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load-distributing indoor lifting equipment for a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아웃리거(outrigger)"란 스태커 시스템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높이를 조절하는 역할과 함께 고하중의 선조립 철골 구조물을 양중할 경우 스태커 시스템에 인가되는 하중을 표적 지지부(예를 들어, 바닥부 또는 추가 서포트 빔)와 서포트 프레임으로 분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부재를 의미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outrigger" serves to fix the position of the stacker system and adjust its height, and when lifting a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with a high load, the load applied to the stacker system is transferred to the target support (e.g., refers to a member that plays a role in distributing the floor or additional support beam) and the support fram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부" 또는 "상방"이란 상대적으로 중력의 역방향에 위치한 부분 또는 그 부분으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하부" 또는 "하방"이란 상대적으로 중력의 순방향에 위치한 부분 또는 그 부분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Additionally, in this specification, “upper” or “upwards” refers to the part located relatively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gravity or the direction toward that part, and “lower” or “downward” refers to the part located relatively in the forward direction of gravity or the part thereof. It means the direction it is facing.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전방"이란 스태커 시스템에서 전방 아웃리거쪽으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후방"이란 스태커 시스템에서 후방 아웃리거쪽으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측방"이란 "전방" 및 "후방"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방향을 의미한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front” means the direction toward the front outrigger in the stacker system, “rear” means the direction toward the rear outrigger in the stacker system, and “side” is perpendicular to “front” and “rear.” means the direction that intersect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전방 아웃리거가 전진한다"는 것은 전방 아웃리거가 아웃리거 장착 유닛으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의미하고, "전방 아웃리거가 후진한다"는 것은 전방 아웃리거가 아웃리거 장착 유닛의 내부로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것을 의미한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the front outrigger advances” means that the front outrigger is pulled out of the outrigger mounting unit, and “the front outrigger moves backward” means that the front outrigger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outrigger mounting unit. it means.

또한 본 명세서에서, "후방 아웃리거가 전진한다"는 것은 후방 아웃리거가 아웃리거 장착 유닛의 내부로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것을 의미하고, "후방 아웃리거가 후진한다"는 것은 후방 아웃리거가 아웃리거 장착 유닛으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의미한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the rear outrigger advances” means that the rear outrigger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outrigger mounting unit, and “the rear outrigger moves backward” means that the rear outrigger moves out of the outrigger mounting unit. it mean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수평을 조절한다"는 것은 스태커 시스템의 전후좌우 높이를 조절하여 스태커 시스템이 평평한 지면에 놓여 있는 것과 같은 상태로 유지시켜준다는 것을 의미한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adjusting the horizontal” means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tacker system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to maintain the stacker system as if it were lying on a flat ground.

도 1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스태커 시스템(50)을 서로 다른 각도에서 보여주면서 각각의 부재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1A to 3B are diagrams showing the stacker system 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different angles and explaining the operating principle of each member.

도 1a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스태커 시스템(50)은 한쌍의 1단 마스트(51), 한쌍의 2단 마스트(52), 전기 패널(53), 한쌍의 아웃리거 장착 유닛(ORU), 한쌍의 전방 아웃리거(54), 포크(55), 한쌍의 측방 아웃리거(56), 한쌍의 후방 아웃리거(57) 및 복수개의 바퀴(58)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1A to 3B, the stacker system 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first-stage masts 51, a pair of second-stage masts 52, an electrical panel 53, and a pair of outriggers. It includes a mounting unit (ORU), a pair of front outriggers 54, a fork 55, a pair of lateral outriggers 56, a pair of rear outriggers 57, and a plurality of wheels 58.

스태커 시스템(50)은 자체 배터리 동력으로 전동 모터를 가동하여 양중 위치까지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tacker system 50 may be configured to move to the lifting position by operating an electric motor with its own battery power.

또한, 양중 위치로 이동한 스태커 시스템(50)은 후술하는 리프팅 프레임(30)을 리프팅할 수 있도록 정밀한 위치세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tacker system 50, which has moved to the lifting position, can be precisely positioned to lift the lifting frame 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양중 위치로 이동하여 그 위치에서 정밀하게 세팅된 스태커 시스템(50)은 셀프 세팅 기능에 의하여 아웃리거들(54, 56, 57)이 자동으로 세팅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acker system 50, which moves to the lifting position and is precisely set at that position, can automatically set the outriggers 54, 56, and 57 by the self-setting function.

한쌍의 1단 마스트(51)는 위치 고정될 수 있다.A pair of first stage masts 51 can be fixed in position.

한쌍의 2단 마스트(52)는 한쌍의 1단 마스트(51)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A pair of second-stage masts 52 may be coupled to a pair of first-stage masts 51 so as to be able to slide up and down.

또한, 스태커 시스템(50)은 한쌍의 2단 마스트(52)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 한쌍의 3단 마스트(미도시), 한쌍의 3단 마스트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 한쌍의 4단 마스트(미도시)와 같이 한쌍 이상의 추가 마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acker system 50 includes a pair of three-stage masts (not shown) coupled to a pair of two-stage masts 52 so as to be able to slide up and down, and a pair of four masts coupled to a pair of three-stage masts to be able to slide up and down. However, it may include one or more additional pairs of masts (not shown).

전기 패널(53)은 한쌍의 1단 마스트(51), 한쌍의 2단 마스트(52) 및/또는 다른 부분에 결합되어 스태커 시스템(50)의 각 부분에 전기를 공급하고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electrical panel 53 is coupled to a pair of first-stage masts 51, a pair of second-stage masts 52, and/or other parts to supply electricity to each part of the stacker system 50 and transmit signals. You can.

한쌍의 아웃리거 장착 유닛(ORU)은 한쌍의 1단 마스트(51)에 하나씩 결합될 수 있다.A pair of outrigger mounting units (ORU) can be coupled one by one to a pair of first-stage masts (51).

한쌍의 전방 아웃리거(54)는 동시에 또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각각의 아웃리거 장착 유닛(ORU)에 하나씩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전진시 하중을 하방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쌍의 전방 아웃리거(54)는 각각 수평부재, 상기 수평부재의 전단부에 결합된 중간 연결부재 및 상기 중간 연결부재에 결합된 바닥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한쌍의 전방 아웃리거(54)는 후술하는 서포트 프레임(20)의 아웃리거 지지대(24)를 하방으로 지지하여 스태커 시스템(50)에 인가되는 하중을 서포트 프레임(20) 전체 및 후술하는 이동대차(10) 전체에 순차적으로 분산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pair of front outriggers 54 may be coupled simultaneously or independently to each outrigger mounting unit (ORU) one by one to enabl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thereby transmitting the load downward when moving forward. Specifically, the pair of front outriggers 54 may each include a horizontal member, an intermediate connection member coupled to a front end of the horizontal member, and a bottom support member coupled to the intermediate connection member. More specifically, the pair of front outriggers 54 support the outrigger support 24 of the support frame 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downward and apply the load to the stacker system 50 to the entire support frame 20 and the movemen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t performs the role of sequentially distributing it throughout the bogie (10).

포크(55)는 한쌍의 2단 마스트(52)에 결합되어 한쌍의 2단 마스트(52)가 상하로 슬라이딩함에 따라 같이 상하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ork 55 may be coupled to a pair of two-stage masts 52 and configured to slide up and down together as the pair of two-stage masts 52 slide up and down.

또한, 스태커 시스템(50)이 한쌍의 2단 마스트(52)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 한쌍의 3단 마스트(미도시), 상기 한쌍의 3단 마스트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 한쌍의 4단 마스트(미도시)와 같이 한쌍 이상의 추가 마스트를 더 포함하는 경우, 포크(55)는 가장 높이 올라갈 있는 한쌍의 추가 마스트에 결합되어 당해 한쌍의 추가 마스트가 상하로 슬라이딩함에 따라 같이 상하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acker system 50 includes a pair of three-stage masts (not shown) coupled to a pair of two-stage masts 52 so as to be able to slide up and down, and a pair of three-stage masts coupled to the pair of three-stage masts so as to be able to slide up and down. When it includes one or more pairs of additional masts, such as a four-stage mast (not shown), the fork 55 is coupled to the pair of additional masts that rise highest and slides up and down together as the pair of additional masts slides up and down. It can be configured to do so.

구체적으로, 포크(55)는 후술하는 리프팅 프레임(30)의 확장형 포크 지지대(34)를 밀어올려 리프팅 프레임(30)을 서포트 프레임(20)과 분리시키면서 리프팅 프레임(30) 전체 및 후술하는 선조립 철골 구조물(PR) 전체를 순차적으로 양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Specifically, the fork 55 pushes up the extended fork support 34 of the lifting frame 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separate the lifting frame 30 from the support frame 20, and the entire lifting frame 30 and the pre-assembly described later. It plays the role of sequentially lifting the entire steel structure (PR).

또한, 포크(55)는 상면에 형성된 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리프팅 프레임(30)의 확장형 포크 지지대(34)의 하면에 결합된 핀(미도시)이 스태커 시스템(50)의 포크(55)의 상면에 형성된 홀에 결합되어 고소위치로 선조립 철골 구조물(PR)을 양중할 경우 미끄럼 등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핀과 상기 홀이 서로 기계적 결합을 이루기 때문에 안전하게 양중이 가능하다.Additionally, the fork 55 may include a hole (not shown) formed on its upper surface. Accordingly, a pin (not shown)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extended fork support 34 of the lifting frame 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to a hol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fork 55 of the stacker system 50 and is raised to a high position. When lifting a prefabricated steel structure (PR), safe lifting is possible because the pin and the hole are mechanically coupled to each other even if slipping occurs.

한쌍의 측방 아웃리거(56)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각각의 아웃리거 장착 유닛(ORU)에 하나씩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각각의 아웃리거 장착 유닛(ORU)에 밀착되게 수평으로 접히거나 상기 각각의 아웃리거 장착 유닛(ORU)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되어 미리 결정된 각도로 전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쌍의 측방 아웃리거(56)는 상기 각각의 아웃리거 장착 유닛(ORU)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되어 0° 초과 내지 90°이하의 범위의 미리 결정된 각도로 전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 pair of lateral outriggers 56 are each rotatably coupled to each outrigger mounting unit (ORU) one by on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nd are folded horizontally in close contact with each outrigger mounting unit (ORU) or are attached to each outrigger mounting unit. It may be configured to be partially separated from (ORU) and deployed at a predetermined angle. Specifically, the pair of lateral outriggers 56 may be configured to be partially separated from each of the outrigger mounting units (ORU) and deployed at a predetermined angle ranging from more than 0° to less than 90°.

구체적으로, 한쌍의 측방 아웃리거(56)는 바닥부(BT)를 지지하여 스태커 시스템(50)을 위치 고정시키거나, 측방 아웃리거(56)의 실린더 스트로크를 조정하여 스태커 시스템(50)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스태커 시스템(50)에 인가되는 하중을 바닥부(BT)(즉, 표적 지지부)로 분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표적 지지부란 현장 기둥부의 바닥 보강 구간(즉, 보 상부 슬라브 위치)을 지칭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air of lateral outriggers 56 support the bottom portion BT to fix the position of the stacker system 50, or adjust the height of the stacker system 50 by adjusting the cylinder stroke of the lateral outriggers 56. Alternatively, it serves to distribute the load applied to the stacker system 50 to the bottom portion (BT) (i.e., target support portion). Here, the target support may refer to the floor reinforcement section of the field column (i.e., the upper slab location of the beam).

보다 구체적으로, 한쌍의 측방 아웃리거(56)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접힐 수도 있고 한쌍의 전방 아웃리거(24)와 한쌍의 후방 아웃리거(57)의 하부에 추가 서포트 빔(ASB)을 더하여 서포트 프레임(20)이 없이도 선조립 철골 구조물(PR)의 양중하중을 건축구조물의 보 또는 서브보에 분산전달하여 중량물을 양중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air of side outriggers 56 may be fol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and an additional support beam (ASB) is added to the lower part of the pair of front outriggers 24 and the pair of rear outriggers 57 to form a support frame. (20) Even without this, heavy objects can be lifted by distributing the lifting load of the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PR) to the beam or sub-beam of the building structure.

한쌍의 후방 아웃리거(57)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각각의 아웃리거 장착 유닛(ORU)에 하나씩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후진시 하중을 하방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쌍의 후방 아웃리거(57)는 각각 수평부재, 상기 수평부재의 후단부에 결합된 수직부재 및 상기 수직부재에 결합된 바닥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pair of rear outriggers 57 may be independently coupled to each outrigger mounting unit (ORU) one by one to enabl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thereby transmitting the load downward when moving backward. Specifically, the pair of rear outriggers 57 may each include a horizontal member, a vertical member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horizontal member, and a floor support member coupled to the vertical member.

보다 구체적으로, 한쌍의 후방 아웃리거(57)의 경우, 일반구간보다 건축물의 경간이 넓어 스태커 시스템(50)의 아웃리거들(54, 56, 57)이 건축물 슬라브에 적용되는 형태가 될 때 측방 아웃리거(56)를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한쌍의 후방 아웃리거(57)를 사용하여야 한다. Mor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a pair of rear outriggers 57, when the span of the building is wider than the general section and the outriggers 54, 56, and 57 of the stacker system 50 are applied to the building slab, the lateral outriggers ( Since it is impossible to use 56), a pair of rear outriggers (57) must be used.

한쌍의 후방 아웃리거(57)를 사용할 경우에는 메인보 및 서브보를 가로지르는 H-빔 형태의 추가 서포트 빔(ASB)을 바닥부(BT)에 배치하고, 한쌍의 후방 아웃리거(57)를 추가 서포트 빔(ASB)의 상부에 안착시켜 양중 하중을 한쌍의 후방 아웃리거(57)를 통해 추가 서포트 빔(ASB)으로 전달하여 슬라브가 아닌 보에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덕트 샤프트나 배관 샤프트가 설치되어 홀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한쌍의 후방 아웃리거(57)와 추가 서포트 빔(ASB)을 상술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When using a pair of rear outriggers (57), an additional support beam (ASB) in the form of an H-beam crossing the main beam and sub beam is placed on the bottom (BT), and a pair of rear outriggers (57) are installed as additional support beams. By seating it on the top of the (ASB), the lifting load can be transferred to the additional support beam (ASB) through a pair of rear outriggers (57) so that it acts on the beam rather than the slab. Even when a duct shaft or pipe shaft is installed and a hole is installed, the work can be performed using a pair of rear outriggers 57 and an additional support beam (ASB)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구체적으로,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한쌍의 전방 아웃리거(54)는 후진하고 한쌍의 후방 아웃리거(57)는 전진하여 각각의 아웃리거 장착 유닛(ORU)의 내부로 하나씩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미사용 상태로 존재하고, 한쌍의 측방 아웃리거(56)도 모두 각각의 아웃리거 장착 유닛(ORU)에 밀착되게 수평으로 접혀 미사용 상태로 존재한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S. 1A and 1B, the pair of front outriggers 54 move backwards and the pair of rear outriggers 57 move forward and are partially inserted one by one into the interior of each outrigger mounting unit (ORU) in an unused state. exists, and both of the pair of side outriggers 56 are folded horizontally in close contact with each outrigger mounting unit (ORU) and exist in an unused state.

또한,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한쌍의 전방 아웃리거(54)는 전진하고 한쌍의 후방 아웃리거(57)는 후진하여 각각의 아웃리거 장착 유닛(ORU)으로부터 하나씩 부분적으로 빠져나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존재하고, 한쌍의 측방 아웃리거(56)는 모두 각각의 아웃리거 장착 유닛(ORU)에 밀착되게 수평으로 접혀 미사용 상태로 존재한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2A and 2B, the pair of front outriggers 54 move forward and the pair of rear outriggers 57 move backward, partially exiting each outrigger mounting unit (ORU) one by one, and remaining in a usable state. And, both of the pair of side outriggers 56 are folded horizontally in close contact with each outrigger mounting unit (ORU) and exist in an unused state.

또한,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한쌍의 전방 아웃리거(54)는 모두 전진하여 각각의 아웃리거 장착 유닛(ORU)으로부터 하나씩 부분적으로 빠져나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존재하고, 한쌍의 측방 아웃리거(56)도 모두 각각의 아웃리거 장착 유닛(ORU)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되어 수직으로 펼쳐져 사용 가능한 상태로 존재하고, 한쌍의 후방 아웃리거(57)는 모두 전진하여 각각의 아웃리거 장착 유닛(ORU)의 내부로 하나씩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미사용 상태로 존재한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3A and 3B, the pair of front outriggers 54 are all advanced and partially come out one by one from each outrigger mounting unit (ORU) and are present in a usable state, and the pair of lateral outriggers 56 All of them are partially separated from each outrigger mounting unit (ORU) and exist in a vertically unfolded and usable state, and the pair of rear outriggers 57 are all advanced and partially installed one by one into the inside of each outrigger mounting unit (ORU). It is inserted and remains unused.

또한, 한쌍의 전방 아웃리거(54), 한쌍의 측방 아웃리거(56) 및 한쌍의 후방 아웃리거(57)는 수평 바닥부(BT) 또는 비수평 바닥부(BT)에 대하여 자동 수평 조절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In addition, a pair of front outriggers 54, a pair of lateral outriggers 56, and a pair of rear outriggers 57 may have an automatic leveling function for the horizontal floor (BT) or the non-horizontal floor (BT). .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한쌍의 전방 아웃리거(54), 한쌍의 측방 아웃리거(56) 및 한쌍의 후방 아웃리거(57)는 고양중물의 양중시에도 전도 방지 기능을 가질수 있다.In addition, the pair of front outriggers 54, the pair of side outriggers 56, and the pair of rear outriggers 57 may have a fall prevention function even when lifting a high-lift heavy object.

또한, 스태커 시스템(50)은 한쌍의 1단 마스트(51)의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하고 변형이 일어나지 않게 이들을 서로 결합시켜주도록 구성된 1단 마스트 보강바(51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크(55)가 상승하기 위해서는 한쌍의 2단 마스트(52)가 한쌍의 1단 마스트(51) 상에서 상부로 상승하는 동작이 진행되며, 이와 동시에 포크(55)도 체인(미도시)에 의하여 한쌍의 2단 마스트(52) 사이에서 한쌍의 2단 마스트(52)가 상승한 높이와 동일한 높이만큼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포크(55)가 상부로 상승하면 한쌍의 1단 마스트(51) 및/또는 한쌍의 2단 마스트(52)에 가해지는 측방향 하중이 증가하면서 마주하는 한쌍의 1단 마스트(51) 및/또는 한쌍의 2단 마스트(52)는 서로 간의 간격이 벌어지거나 트위스트 형태로 변형되거나 새우등처럼 구부러지는 벤딩 모멘트를 받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때, 가장 우선적으로 오는 변형은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1단 마스트(51)의 상부쪽 끝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한쌍의 2단 마스트(52)가 한쌍의 1단 마스트(51)의 내부에서 외부로 탈락하는 현상이다. 1단 마스트 보강바(51b)는 이러한 한쌍의 1단 마스트(51)의 벌어짐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stacker system 50 may further include a first-stage mast reinforcement bar (51b) configured to secure the structural safety of the pair of first-stage masts 51 and couple them to each other to prevent deformation. Specifically, in order for the fork 55 to rise, a pair of second-stage masts 52 are raised upward on a pair of first-stage masts 51, and at the same time, the fork 55 is also connected to a chain (not shown). As a result, between the pair of two-stage masts 52, the pair of two-stage masts 52 rise to the same height as the raised height. In this way, when the fork 55 rises upward, the lateral load applied to the pair of first stage masts 51 and/or the pair of second stage masts 52 increases, and the pair of first stage masts 51 and /Or, a situation occurs in which a pair of two-stage masts 52 receive a bending moment where the gap between them widens, is deformed into a twisted shape, or is bent like a shrimp. At this time, the most priority deformation is that the gap 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first-stage masts 51 facing each other widens, and the pair of second-stage masts 52 move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pair of first-stage masts 51. It is a phenomenon of dropping out. The first-stage mast reinforcement bar (51b) serves to prevent the pair of first-stage masts (51) from opening apart.

또한, 스태커 시스템(50)은 한쌍의 2단 마스트(52)의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하고 변형이 일어나지 않게 이들을 서로 결합시켜주도록 구성된 2단 마스트 보강바(52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크(55)도 한쌍의 2단 마스트(52)의 상부쪽 끝으로 상승하게 되면 한쌍의 2단 마스트(52)의 상부쪽 끝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포크(55)의 베어링(미도시)이 한쌍의 2단 마스트(52)의 내부에서 탈락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2단 마스트 보강바(52b)는 이러한 한쌍의 2단 마스트(52)의 벌어짐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stacker system 50 may further include a two-stage mast reinforcement bar (52b) configured to secure the structural safety of the pair of two-stage masts 52 and couple them to each other to prevent deformation. Specifically, when the fork 55 also rises to the upper end of the pair of two-stage masts 52, the gap 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two-stage masts 52 widens and the bearing of the fork 55 (not shown) ) falls off from the inside of the pair of two-stage masts (52). The two-stage mast reinforcement bar (52b) serves to prevent the pair of two-stage masts (52) from opening apart.

결과적으로, 1단 마스트 보강바(51b) 및 2단 마스트 보강바(52b)는 스태커 시스템(50)에 인가되는 하중으로 인한 스태커 시스템(50)의 변형을 방지하여 그의 내구성을 향상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한다.As a result, the first-stage mast reinforcement bar 51b and the second-stage mast reinforcement bar 52b prevent deformation of the stacker system 50 due to the load applied to the stacker system 50 and serve to improve its durability. Perform.

이하, 상술한 스태커 시스템(50)을 포함하는 선조립 철골 구조물(PR)의 하중 분산형 실내 리프팅 장비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load distribution type indoor lifting equipment for a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PR)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stacker system 5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선조립 철골 구조물(PR)의 하중 분산형 실내 리프팅 장비 중 이동대차(10), 서포트 프레임(20) 및 리프팅 프레임(30)의 구성 및 이들의 결합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선조립 철골 구조물(PR)의 하중 분산형 실내 리프팅 장비 중 이동대차(10), 서포트 프레임(20) 및 리프팅 프레임(30)의 구성 및 이들의 결합 방식을 도 4과 다른 각도에서 바라 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선조립 철골 구조물(PR)의 하중 분산형 실내 리프팅 장비를 구성하는 이동대차(10), 서포트 프레임(20), 리프팅 프레임(30) 및 스태커 시스템(50)의 구성 및 이들의 결합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선조립 철골 구조물(PR)의 하중 분산형 실내 리프팅 장비를 구성하는 이동대차(10), 서포트 프레임(20), 리프팅 프레임(30) 및 스태커 시스템(40)이 선조립 철골 구조물(PR)을 양중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4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mobile cart 10, the support frame 20, and the lifting frame 30 among the load-distributing indoor lifting equipment for a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P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ir coupling method. It is a drawing showing, and FIG. 5 is a configuration of the mobile cart 10, the support frame 20, and the lifting frame 30 among the load-distributing indoor lifting equipment of a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P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ir coupling method as seen from an angle different from that of FIG. 4, and FIG. 6 shows a mobile cart (10) constituting a load-distributing indoor lifting equipment for a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P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frame 20, the lifting frame 30, and the stacker system 50 and their coupling method, and Figure 7 shows the load of the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P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rawing to explain the principle by which the mobile truck 10, support frame 20, lifting frame 30, and stacker system 40, which constitute distributed indoor lifting equipment, lift a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PR).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선조립 철골 구조물(PR)의 하중 분산형 실내 리프팅 장비는 이동대차(10), 서포트 프레임(20) 리프팅 프레임(30) 및 복수개의 스태커 시스템(50)을 포함한다.4 to 7, the load-distributing indoor lifting equipment for a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P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bile cart 10, a support frame 20, a lifting frame 30, and a plurality of It includes two stacker systems (50).

선조립 철골 구조물(PR)은 파이프 랙(pipe rack)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선조립 철골 구조물(PR)은 공기의 단축 및 현장시공의 난이도 저감을 위하여 선조립된 구조물로서, 하부 구조물 없이 낮은 위치에서 선조립을 진행하여 제작된 것일 수 있다.The prefabricated steel structure (PR) may be a pipe rack,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is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PR) is a pre-assembled structure to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and reduce the difficulty of on-site construction, and may be manufactured by pre-assembling at a low location without a lower structure.

이동대차(10)는 몸체(11) 및 복수개의 바퀴(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cart 10 may include a body 11 and a plurality of wheels 12.

또한, 이동대차(10)는 몸체(11)가 바퀴(12)를 기준으로 상승하거나 하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cart 10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body 11 rises or falls relative to the wheels 12.

또한, 이동대차(10)는 복수개의 유압식 서스펜션(suspension)을 겸비하여 이동대차(10)의 상부에 거치된 서포트 프레임(20)에 인가되는 하중을 복수개의 바퀴(12)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cart 10 i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hydraulic suspensions so that the load applied to the support frame 20 mounted on the top of the mobile cart 10 can be distributed to a plurality of wheels 12. It can be.

예를 들어, 이동대차(10)는 SPMT(self propelled modular transporter)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SPMT는 중량물 운송에 사용되는 장비로서, 명칭 그대로 자체 동력을 가지고 스스로 주행할 수 있으며 유닛 형식으로 제작되어 다양한 요구에 맞게 대응 가능한 유연성을 가진 운반 장비이다.For example, the mobile truck 10 may be a self-propelled modular transporter (SPM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SPMT is equipment used to transport heavy goods. As the name suggests, it can drive on its own with its own power and is manufactured in unit form, making it a flexible transport equipment that can respond to various needs.

또한, 이동대차(10)는 높이를 낮춰서 현장내 별도 보관된 서포트 프레임(20)과 리프팅 프레임(30)의 결합체의 하부로 진입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bile truck 10 can be lowered in height to enter the lower part of the combination of the support frame 20 and the lifting frame 30 stored separately in the field.

또한, 이동대차(10)는 높이를 상승시켜 바닥부(BT)와의 간섭 없이 서포트 프레임(20)과 리프팅 프레임(30)의 결합체를 들어올려 선조립 철골 구조물(PR)의 설치 위치로 이동시켜 선조립 철골 구조물(PR)의 하부로 진입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bile truck 10 raises the height and lifts the combination of the support frame 20 and the lifting frame 30 without interference with the floor (BT) and moves it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PR). It can be entered into the lower part of the prefabricated steel structure (PR).

또한, 선조립 철골 구조물(PR)의 하부로 진입한 이동대차(10)는 높이를 상승시켜 서포트 프레임(20)과 리프팅 프레임(30)의 결합체의 상부가 선조립 철골 구조물(PR)의 하부와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truck 10, which entered the lower part of the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PR), raises its height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combination of the support frame 20 and the lifting frame 30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PR). You can connect.

만일, 선조립 철골 구조물(PR)의 하중이 증가할 경우에는 이동대차(10)의 길이를 길게 연장하거나, 하중을 분산하는 바퀴의 개수를 증가시켜 건축구조물 허용 하중 범위 이내에서의 양중 하중이 작용하도록 하중을 분산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f the load of the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PR) increases, the length of the mobile cart (10) is extended or the number of wheels that distribute the load is increased to apply a lifting load within the allowable load range of the building structure. This can achieve the effect of distributing the load.

서포트 프레임(20)은 이동대차(10)에 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upport frame 20 may be configured to be mounted on the mobile cart 10.

예를 들어, 서포트 프레임(20)은 복수개의 가로바(21), 복수개의 세로바(22) 및 복수개의 수직바(23)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upport frame 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21, a plurality of vertical bars 22, and a plurality of vertical bars 23.

복수개의 가로바(21)는 서로 이격되게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21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복수개의 세로바(22)는 이들을 매개로 하여 복수개의 가로바(21)의 단부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복수개의 가로바(21)의 단부들과 결합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vertical bars 22 may be coupled to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21 to connect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21 to each other through these.

복수개의 수직바(23)는 복수개의 가로바(21)와 복수개의 세로바(22)의 결합체에 수직으로 서로 이격되게 결합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vertical bars 23 may be vertically coupled to a combination of the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21 and the plurality of vertical bars 22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또한, 서포트 프레임(20)은 복수개의 아웃리거 지지대(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upport frame 2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outrigger supports 24.

복수개의 아웃리거 지지대(24)는 스태커 시스템(50)에 인가된 하중을 스태커 시스템(50)의 전방 아웃리거(54)를 통해 전달받아 서포트 프레임(20) 전체 및 이동대차(10) 전체에 순차적으로 분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plurality of outrigger supports 24 receive the load applied to the stacker system 50 through the front outrigger 54 of the stacker system 50 and sequentially distribute it to the entire support frame 20 and the entire mobile cart 10. Perform the role instructed.

예를 들어, 복수개의 아웃리거 지지대(24)는 각각의 수직바(23)의 하단부에 하나씩 외측방향(즉, 서포트 프레임(20)의 테두리 바깥쪽)으로 돌출되게 결합될 수 있다.For example, a plurality of outrigger supports 24 may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each vertical bar 23 one by one to protrude in an outward direction (i.e., outside the edge of the support frame 20).

또한, 서포트 프레임(20)은 2 이상의 부분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개의 세로바(22) 중 서로 인접한 두개의 세로바(22)가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포트 프레임(20)은 일반도로 이동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도로통행규격 이하의 규격으로 분할 가능하도록 구성하였으며, 분할된 상태에서도 서포트 프레임(20)과 리프팅 프레임(30)은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이들 두 부재를 하나의 차량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포트 프레임(20)은 3개로 분할될 수 있다. 서포트 프레임(20)은 분할된 상태에서도 이동이 가능하도록 4개 위치에 고하중 바퀴가 부착되어 이동성이 확보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upport frame 20 may be configured to be separable into two or more parts. In this case, among the plurality of vertical bars 22, two adjacent vertical bars 22 may be configured to be separable. Specifically, the support frame 20 is configured to be divided into sizes below road traffic standards to ensure mobility on general roads, and even in the divided state, the support frame 20 and the lifting frame 30 remain coupled to each other. It was constructed so that these two members could be moved by one vehicle. More specifically, the support frame 20 may be divided into three. Mobility of the support frame 20 can be secured by attaching high-load wheels at four positions so that it can be moved even in a divided state.

또한, 서포트 프레임(20)은 분할된 상태에서 크레인으로 양중이 가능하도록 러그(lug)가 설치될 수 있으며, 3개의 분리된 부분이 다시 조립된 상태에서도 크레인으로 양중이 가능하도록 별도의 러그가 부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frame 20 can be equipped with lugs to enable lifting with a crane in a divided state, and a separate lug is attached to enable lifting with a crane even when the three separated parts are reassembled. It can be.

또한, 서포트 프레임(20)은 보관의 편리성 및 이동대차(10)의 출입을 위한 공간확보를 위하여 책상다리와 같은 서포트(즉, 수직바(23))가 설치되어 있으며, 서포트 프레임(20)의 남북방향, 동서방향 및/또는 사선방향의 이동을 위하여 서포트 프레임(20)의 하부에는 고하중 바퀴가 부착되어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착된 고하중 바퀴는 90°방향으로 회전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건물 내에서 기둥과 충돌이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남북방향, 동서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핀을 제거하면 자유각도로 변경이 가능하여 사선방향 및 회전선회 등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support frame 20 is equipped with a support such as a desk leg (i.e., a vertical bar 23) for convenience of storage and to secure space for entering and exiting the mobile truck 10. For movement in the north-south, east-west, and/or diagonal directions, high-load wheels may be attached to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frame 20 to facilitate movement. The attached high-load wheels can be rotated and fixed in a 90° direction, allowing movement in the north-south and east-west directions without colliding with pillars within the building. In addition, by removing the fixing pin, the angle can be changed freely, allowing diagonal directions and rotations.

리프팅 프레임(30)은 서포트 프레임(20)에 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lifting frame 30 may be configured to be mounted on the support frame 20.

예를 들어, 리프팅 프레임(30)은 복수개의 가로바(31) 및 복수개의 세로바(32)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lifting frame 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31 and a plurality of vertical bars 32.

복수개의 가로바(31)는 서로 이격되게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31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복수개의 세로바(32)는 이들을 매개로 하여 복수개의 가로바(31)의 단부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복수개의 가로바(31)의 단부들과 결합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vertical bars 32 may be coupled to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31 to connect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31 to each other through these.

또한, 리프팅 프레임(30)은 복수개의 확장형 포크 지지대(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lifting frame 3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expandable fork supports 34.

복수개의 확장형 포크 지지대(34)는 스태커 시스템(50)의 포크(54)가 상승함에 따라 같이 상승하여 리프팅 프레임(30) 전체 및 파이프 랙(PR) 전체를 순차적으로 상승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리프팅 프레임(30)은 상승하고 서포트 프레임(20)은 스태커 시스템(50)의 전방 아웃리거(54)가 서포트 프레임(20)의 아웃리거 지지대(24)를 밀어내림에 따라 위치 고정된다. 따라서 이 경우, 서포트 프레임(20)과 리프팅 프레임(30)은 서로 분리되게 된다.The plurality of extended fork supports 34 rise together as the forks 54 of the stacker system 50 rise and serve to sequentially raise the entire lifting frame 30 and the entire pipe rack (PR). In this case, the lifting frame 30 rises and the support frame 20 is fixed in position as the front outrigger 54 of the stacker system 50 pushes down the outrigger support 24 of the support frame 20. Therefore, in this case, the support frame 20 and the lifting frame 3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예를 들어, 복수개의 확장형 포크 지지대(34)는 각각의 세로바(32)의 하면에 하나씩 외측방향(즉, 리프팅 프레임(30)의 테두리 바깥쪽)으로 돌출되거나 내측(즉, 리프팅 프레임(30)의 테두리 안쪽)으로 삽입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리프팅 프레임(30)의 하부에는 확장형 포크 지지대(34)를 수용하는 하우징(33)이 장착되고, 확장형 포크 지지대(34)는 필요에 따라 하우징(33)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외부로 돌출되거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For example, a plurality of expandable fork supports 34 protrude one by one on the lower surface of each vertical bar 32 outwardly (i.e., outside the edge of the lifting frame 30) or inwardly (i.e., the lifting frame 30 ) can be combined to be inserted inside the border of ). To this end, a housing 33 accommodating an expandable fork support 34 is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lifting frame 30, and the expandable fork support 34 slides along the housing 33 as needed or protrudes outward. Can be inserted internally.

또한, 복수개의 확장형 포크 지지대(34)는 각각의 하면에 결합된 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lurality of expandable fork supports 34 may include pins (not shown) coupled to the lower surfaces of each.

또한, 리프팅 프레임(30)은 2 이상의 부분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개의 세로바(32) 중 서로 인접한 두개의 세로바(32)가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로에서 통행가능 규격을 감안하여 1개의 리프팅 프레임(30)은 3개로 분할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lifting frame 30 may be configured to be separable into two or more parts. In this case, among the plurality of vertical bars 32, two adjacent vertical bars 32 may be configured to be separable. Specifically, one lifting frame 30 can be divided into three in consideration of the standards for passage on the road.

리프팅 프레임(30)은 분할된 상태에서 크레인으로 양중이 가능하도록 러그(lug)가 설치될 수 있으며, 3개의 분리된 부분이 다시 조립된 상태에서도 크레인으로 양중이 가능하도록 별도의 러그가 부착될 수 있다. The lifting frame 30 may be equipped with lugs to enable lifting with a crane in a divided state, and a separate lug may be attached to enable lifting with a crane even when the three separated parts are reassembled. there is.

또한, 서포트 프레임(20)과 리프팅 프레임(30)은 결합시 서로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서포트 프레임(20)과 리프팅 프레임(30)의 결합체의 총 두께는 서포트 프레임(20)의 실제 두께와 리프팅 프레임(30)의 실제 두께의 합보다 작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서포트 프레임(20)의 가로바들(21)의 간격과 길이, 그리고 리프팅 프레임(30)의 가로바들(31)의 간격과 길이는 결합체의 총 두께 감소 및 내구성 유지 등을 고려하여 적합하게 조절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support frame 20 and the lifting frame 30 may be configured to partially overlap each other when combined. Accordingly, the total thickness of the combination of the support frame 20 and the lifting frame 30 may be less than the sum of the actual thickness of the support frame 20 and the actual thickness of the lifting frame 30. For this purpose, the spacing and length of the horizontal bars 21 of the support frame 20 and the spacing and length of the horizontal bars 31 of the lifting frame 30 are appropriately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reducing the total thickness of the combination and maintaining durability. It can be adjusted.

또한, 서포트 프레임(20)과 리프팅 프레임(30)은 결합되어 현장내 별도 보관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support frame 20 and the lifting frame 30 can be combined and stored separately in the field.

또한, 서포트 프레임(20)의 내부로 리프팅 프레임(30)의 일부분이 매립된 형태로 겹쳐질 때 원만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접촉부에 사선으로 가공된 가이드를 부착하여 자연스럽게 유도되어 겹쳐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선으로 가공되어 부착된 부분은 리프팅 프레임(30)만 보관시 리프팅 프레임(30)의 내부에 설치된 미세위치 조정장치(40)를 보호하고 이동 보관의 편리성을 위하여 책상다리와 같이 서포트 기능을 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parts of the lifting frame 30 overlap inside the support frame 20 in an embedded form, a diagonally processed guide is attached to the contact part to enable smooth coupling, so that the lifting frame 30 can be naturally guided and overlapped. there is. The part processed and attached diagonally protects the fine positioning device 40 installed inside the lifting frame 30 when only the lifting frame 30 is stored, and also serves as a support function like a desk leg for the convenience of moving and storage. It can be configured to do so.

또한,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하중 분산형 실내 리프팅 장비는 복수개의 미세위치 조정장치(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ad-distributing indoor lifting equipment for the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fine position adjustment devices 40.

복수개의 미세위치 조정장치(40)는 리프팅 프레임(30)에 장착되어 선조립 철골 구조물(PR)을 수평이동 및 회전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fine positioning devices 40 may be mounted on the lifting frame 30 and configured to horizontally and rotationally move the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PR).

구체적으로, 선조립 철골 구조물(PR)은 미세위치 조정장치(40)의 상부에 지지되어 양중되며, 미세위치 조정장치(40)는 베어링(미도시)을 사용한 슬라이드와 이를 이동하기 위한 유압실린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미세하게 X, Y방향 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PR) is supported and lift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ne positioning device 40, and the fine positioning device 40 includes a slide using a bearing (not shown) and a hydraulic cylinder system to move it. It can be configured to allow fine positioning in the X and Y directions.

또한, 미세위치 조정장치(40)는 선조립 철골 구조물(PR)의 형태에 따라 리프팅 프레임(30) 상의 위치를 변경하여 설치될 수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미세위치 조정장치(40)는 유압장치(미도시)로 X, Y 방향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 복수개의 미세위치 조정장치(40)에 장착된 복수개의 유압장치의 조합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선조립 철골 구조물(PR)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ne positioning device 40 can be installed by changing the position on the lifting frame 30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PR), and as described above, the fine positioning device 40 is a hydraulic device. (not shown) can be configured to adjust the position in the (PR) may be configured to rotate.

미세위치 조정장치(40)는 리프팅 프레임(30)에 안착되어 선조립 철골 구조물(PR)을 서포트하며, 리프팅 프레임(30)에 고정시키는 볼트와 볼트 홀은 종방향으로 길게 가공되어 미세위치 조정장치(40)의 위치를 변경하여 설치될 수 있다. 미세위치 조정장치(40)의 위치를 변경하면 선조립 철골 구조물(PR)의 형태 및 거더의 위치 변경이 발생되더라도 선조립 철골 구조물(PR)을 서포트할 수 있다.The fine positioning device 40 is seated on the lifting frame 30 and supports the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PR), and the bolts and bolt holes that secure it to the lifting frame 30 are machin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a fine positioning device. It can be installed by changing the position of (40).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fine positioning device 40, the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PR) can be supported even if the shape of the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PR) and the position of the girder are changed.

또한, 리프팅 프레임(30)에 설치된 미세위치 조정장치(40)는 통신 및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나 리프팅 프레임(30)이 분리되어 이동할 경우 통신 및 전력선을 분리할 수 있도록 리프팅 프레임(30)의 분리되는 부분에 커넥터 장치를 구비하여 쉽게 연결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ne positioning device 40 installed on the lifting frame 30 operates by receiving communication and power, but when the lifting frame 30 is separated and moves, the lifting frame 30 must be separated so that the communication and power lines can be separated. It can be configured to be easily connected and disconnected by providing a connector device at the connecting part.

또한,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하중 분산형 실내 리프팅 장비는 복수개의 서포트 빔(SB)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ad-distributing indoor lifting equipment of the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support beams (SB).

상기 복수개의 서포트 빔(SB)은 선조립 철골 구조물(PR)의 양중 후 선조립 철골 구조물(PR)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도 12, 도 13 및 도 17 내지 도 20 참조).The plurality of support beams (SB) may be configured to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PR) after lifting the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PR) (see FIGS. 12, 13, and 17 to 20).

또한,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하중 분산형 실내 리프팅 장비는 건축기둥간격(경간)이 넓은 구간에서도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양중하중을 건축구조물의 보 또는 서브보에 분산전달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추가 서포트 빔(ASB)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21 참조).In addition, the load distribution type indoor lifting equipment for the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has one or more additional support beams to distribute and transfer the lifting load of the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to the beam or sub-beam of the building structure even in sections where the spacing (span) between building columns is wide. (ASB) may further be included (see FIG. 21).

추가 서포트 빔(ASB)은 각각의 스태커 시스템(50)의 후방 아웃리거(57)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제1 추가 서포트 빔 및 측방 아웃리거(56)를 접은 상태에서 전방 아웃리거(54)와 후방 아웃리거(57)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제2 추가 서포트 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도 21 참조).The additional support beam (ASB)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rear outrigger 57 of each stacker system 50, and the front outrigger 54 and the rear outrigger 57 are formed in a folded state with the first additional support beam and the side outrigger 56.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econd additional support beam configured to support (see FIG. 21).

또한, 서포트 프레임(20)은 선조립 철골 구조물(PR)의 하중에 따라 4개 또는 6개의 스태커 시스템(50)으로 선조립 철골 구조물(PR)을 양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선조립 철골 구조물(PR)이 경량이어서 4개의 스태커 시스템(50)으로 양중할 경우 중앙부에 설치된 아웃리거 지지대(24)는 사용하지 않는 상태로, 외곽에 설치된 아웃리거 지지대(24)에만 스태커 시스템(50)의 전방 아웃리거(54)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frame 20 may be configured to lift the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PR) with 4 or 6 stacker systems 50 depending on the load of the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PR). Since the structure (PR) is lightweight, when it is lifted with four stacker systems (50), the outrigger support (24) installed in the center is not used, and only the outrigger support (24) installed on the outside is used as the front outrigger of the stacker system (50). (54) can be used in combination

이와 유사하게, 리프팅 프레임(30)은 선조립 철골 구조물(PR)의 하중에 따라 4개 또는 6개의 스태커 시스템(50)으로 선조립 철골 구조물(PR)을 양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선조립 철골 구조물(PR)이 경량이어서 4개의 스태커 시스템(50)으로 양중시 중앙부에 설치된 확장형 포크 지지대(34)는 확장하지 않은 상태로 외곽에 설치된 4개의 확장형 포크 지지대(34)만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Similarly, the lifting frame 30 may be configured to lift the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PR) with four or six stacker systems 50 depending on the load of the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PR), Since the prefabricated steel structure (PR) is lightweight, when lifting with the four stacker system (50), the expandable fork supports (34) installed in the center can be used by expanding only the four expandable fork supports (34) installed on the outside without expanding. there is.

또한,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PR)의 하중 분산형 실내 리프팅 장비는 통신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ad-distributing indoor lifting equipment of the prefabricated steel structure (PR)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line.

도 8를 참조하면, 상기 통신선은 서포트 프레임(20)과 리프팅 프레임(30)의 내부에 수납되어 스태커 시스템(50) 전체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포트 프레임(20)과 리프팅 프레임(30)에는 이들의 양쪽 반대편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스태커 시스템(50)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통신 케이블을 매립 설치하여 통신 케이블이 바닥부(BT)에 놓여지지 않아 선조립 철골 구조물(PR)의 이동 및 양중 작업시 통신 케이블에 의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동대차(10)의 이동 및 기타 선조립 철골 구조물(PR)의 양중과 관계 없는 물류 및 이동에 사용되는 통행장치에 의해 케이블이 손상되거나,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communication line may be configured to be stored inside the support frame 20 and the lifting frame 30 and connected to the entire stacker system 50. Specifically, communication cables are embedded in the support frame 20 and the lifting frame 30 to transmit signals to a plurality of stacker systems 50 installed on opposite sides of the support frame 20 and the lifting frame 30, so that the communication cables are connected to the floor (BT). Since it is not placed,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interference from communication cables during the moving and lifting work of the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PR), and is related to the movement of the mobile truck (10) and the lifting of other pre-assembled steel structures (PR).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cable damage or interference from traffic devices used for logistics and movement.

또한,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하중 분산형 실내 리프팅 장비는 동력전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ad-distributing indoor lifting equipment of the prefabricated steel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 power wire.

도 9을 참조하면, 상기 동력전선은 서포트 프레임(20)과 리프팅 프레임(30) 의 내부에 수납되어 스태커 시스템(50) 전체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포트 프레임(20)과 리프팅 프레임(30)에는 이들의 양쪽 반대편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스태커 시스템(5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력 케이블을 매립 설치하여 전력 케이블이 바닥부(BT)에 놓여지지 않아 선조립 철골 구조물(PR)의 이동 및 양중 작업시 전력 케이블에 의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power wire may be configured to be stored inside the support frame 20 and the lifting frame 30 and connected to the entire stacker system 50. Specifically, power cables are installed embedded in the support frame 20 and the lifting frame 30 to supply power to the plurality of stacker systems 50 installed on opposite sides of the support frame 20 and the lifting frame 30, so that the power cables are connected to the floor (BT). Since it is not placed,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interference from power cables when moving and lifting the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PR).

이하, 도 10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상술한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하중 분산형 실내 리프팅 장비를 이용한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설치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installing a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using the load-distributing indoor lifting equipment for the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21.

먼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트 프레임(20)에 리프팅 프레임(30)을 결합하여 결합체를 얻는다(단계(S10)). 구체적으로, 건축 구조물의 기둥들(CL) 사이의 바닥부(BT) 위에서 서포트 프레임(20)에 리프팅 프레임(30)을 결합하여 결합체를 얻는다.First, as shown in FIG. 10, the lifting frame 30 is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20 to obtain a combined body (step S10). Specifically, the lifting frame 30 is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20 on the floor BT between the columns CL of the building structure to obtain a combined body.

다음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대차(10)를 작동시켜 상기 결합체의 하부로 이동대차(10)를 진입시킨 후 이동대차(10)의 몸체(11)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결합체(구체적으로, 서포트 프레임(20))의 하부와 이동대차(10)(구체적으로, 몸체(11))의 상부를 밀착시킨다(단계(S20)). Next, as shown in FIG. 11, the mobile truck 10 is operated to enter the mobile truck 10 into the lower part of the combination, and then the height of the body 11 of the mobile truck 10 is adjusted to control the combination ( Specifically,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frame 20) and the upper part of the mobile cart 10 (specifically, the body 11)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step S20).

다음으로,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대차(10)를 작동시켜 상기 결합체를 선조립 철골 구조물(PR)의 하부로 진입시킨 후 이동대차(10)의 몸체(11) 높이를 조절하여 선조립 철골 구조물(PR)의 하부와 상기 결합체(구체적으로, 리프팅 프레임(30))의 상부를 밀착시킨다(단계(S30)). 이때, 선조립 철골 구조물(PR)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던 임시 서포트 빔(SB)을 제거한다.Next, as shown in FIGS. 12 to 14, the mobile truck 10 is operated to enter the combination into the lower part of the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PR), and then the height of the body 11 of the mobile truck 10 is increased. By adjusting, the lower part of the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PR) and the upper part of the combination (specifically, the lifting frame 30)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step S30). At this time, the temporary support beam (SB)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PR) is removed.

다음으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체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일렬씩 복수개의 스태커 시스템(50)을 배치한다(단계(S40)).Next, as shown in FIG. 15, a plurality of stacker systems 50 are arranged in a row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combination (step S40).

다음으로, 상기 단계(S40) 이후에, 서포트 프레임(20)과 리프팅 프레임(30)의 내부에 수납되거나 별도로 보관된 통신선과 동력전선을 복수개의 스태커 시스템(50) 전체에 연결시킨다(단계(S50)).Next, after the step (S40), the communication lines and power wires stored inside or separately stored in the support frame 20 and the lifting frame 30 are connected to the entire plurality of stacker systems 50 (step S50 )).

다음으로, 상기 단계(S50) 이후에, 스태커 시스템(50)의 한쌍의 전방 아웃리거(54), 한쌍의 측방 아웃리거(56) 및 한쌍의 후방 아웃리거(57)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웃리거의 높이를 조절하여 수평 바닥부(BT) 또는 비수평 바닥부(BT)에 대하여 스태커 시스템(50)의 수평을 자동으로 조절한다(단계(S60)). 예를 들어, 한쌍의 전방 아웃리거(54) 및 한쌍의 측방 아웃리거(56)를 작동시켜 스태커 시스템(50)의 수평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고, 한쌍의 전방 아웃리거(54) 및 한쌍의 후방 아웃리거(57)를 작동시켜 스태커 시스템(50)의 수평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Next, after the step (S50), at least one outrigg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air of front outriggers 54, a pair of lateral outriggers 56, and a pair of rear outriggers 57 of the stacker system 50 By adjusting the height, the level of the stacker system 50 is automatically adjust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floor (BT) or the non-horizontal floor (BT) (step S60). For example, the horizontal of the stacker system 50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by operating a pair of front outriggers 54 and a pair of side outriggers 56, and a pair of front outriggers 54 and a pair of rear outriggers 57 ) can be operated to automatically adjust the horizontality of the stacker system 50.

또한, 상기 단계(S60)에서는 측방 아웃리거(56)를 전개하여 바닥부(BT)를 지지하거나, 후방 아웃리거(57)를 전개하여 바닥부(BT)에 미리 설치된 추가 서포트 빔(ASB)을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step S60, the lateral outriggers 56 may be deployed to support the bottom portion BT, or the rear outriggers 57 may be deployed to support the additional support beam (ASB) previously installed on the bottom portion BT. You can.

다음으로,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계(S60) 이후에, 각각의 스태커 시스템(50)을 작동시켜 전방 아웃리거(54)로 서포트 프레임(20)의 아웃리거 지지대(24)를 밀어내리고, 포크(55)로 리프팅 프레임(30)의 확장형 포크 지지대(34)를 밀어올려 리프팅 프레임(30)을 서포트 프레임(20)과 분리시켜 상승시킴으로써 선조립 철골 구조물(PR)을 양중한다(단계(S70)). 이후, 선조립 철골 구조물(PR)의 하부에 다시 서포트 빔(SB)을 장착한다. 이 경우, 선조립 철골 구조물(PR)의 하중은 미세위치 조정장치(40) 및 리프팅 프레임(30)에 순차적으로 인가된 후 리프팅 프레임(30)의 확장형 포크 지지대(34)와 스태커 시스템(50)의 포크(55)를 통해 복수개의 스태커 시스템(50)으로 1차 분산되고, 이어서 상기 하중은 스태커 시스템(50)의 전방 아웃리거(54)와 서포트 프레임(20)의 아웃리거 지지대(24)를 통해 서포트 프레임(20) 전체로 2차 분산되고, 이어서 상기 하중은 이동대차(10) 전체로 3차 분산된 후 바퀴(12)를 거쳐 바닥부(BT) 전체로 골고루 4차 분산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하중 분산형 실내 리프팅 장비를 이용한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설치방법에 따르면 바닥 허용 지지 하중이 약한 건물의 내부 현장에서도 고중량의 철골 구조물을 리프팅하여 고정하고자 하는 위치에 고정설치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S. 16 and 17, after the step (S60), each stacker system 50 is operated to install the outrigger support 24 of the support frame 20 with the front outrigger 54. Push down, push up the extended fork support 34 of the lifting frame 30 with the fork 55, separate the lifting frame 30 from the support frame 20, and lift the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PR) ( Step (S70)). Afterwards, the support beam (SB) is again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PR). In this case, the load of the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PR) is sequentially applied to the fine positioning device 40 and the lifting frame 30, and then to the extended fork support 34 and the stacker system 50 of the lifting frame 30. It is first distributed to a plurality of stacker systems 50 through the forks 55, and then the load is supported through the front outrigger 54 of the stacker system 50 and the outrigger support 24 of the support frame 20. The load is distributed secondarily throughout the frame 20, and then the load is third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mobile bogie 10 and then evenly distributed fourthly throughout the floor portion BT via the wheels 12.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method of a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using a load-distributing indoor lifting equipment for a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sition where a heavy steel structure is to be lifted and fixed even on the inside site of a building with a weak floor allowable support load. It can be fixedly installed.

다음으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계(S70) 이후에, 선조립 철골 구조물(PR)의 하부에 다시 복수개의 서포트 빔(SB)을 장착한다(단계(S80)).Next, as shown in FIG. 17, after the step (S70), a plurality of support beams (SB) are again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PR) (step (S80)).

다음으로, 상기 단계(S80) 이후에, 리프팅 프레임(30)에 장착된 복수개의 미세조정장치(40)를 작동시켜 선조립 철골 구조물(PR)의 미세 위치를 조정한다(단계(S90)).Next, after the step (S80), the plurality of fine adjustment devices 40 mounted on the lifting frame 30 are operated to finely adjust the position of the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PR) (step S90).

다음으로,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계(S90) 이후에, 각각의 스태커 시스템(50)을 작동시켜 선조립 철골 구조물(PR)을 기준 높이까지 하강시킨다(단계(S100)).Next, as shown in FIGS. 18 and 19, after step S90, each stacker system 50 is operated to lower the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PR to the reference height (step S100) ).

다음으로, 상기 단계(S100) 이후에, 각각의 스태커 시스템(50)을 작동시켜 포크(55)를 하강시켜 리프팅 프레임(30)의 확장형 포크 지지대(34)와 함께 리프팅 프레임(30)을 하강시킴으로써 리프팅 프레임(30)을 서포트 프레임(20)에 안착시켜 다시 결합체를 얻고, 전방 아웃리거(54)를 상승시켜 서포트 프레임(20)의 아웃리거 지지대(24)와 분리시킨다(단계(S110)).Next, after the above step (S100), each stacker system 50 is operated to lower the fork 55 to lower the lifting frame 30 together with the extended fork support 34 of the lifting frame 30. The lifting frame 30 is seated on the support frame 20 to obtain a combined body again, and the front outrigger 54 is raised to separate it from the outrigger support 24 of the support frame 20 (step S110).

다음으로, 상기 단계(S110) 이후에, 복수개의 스태커 시스템(50) 전체에 연결된 통신선과 동력전선을 분리하여 서포트 프레임(20)과 리프팅 프레임(30)의 내부에 수납시킨다(단계(S120)).Next, after the step (S110), the communication lines and power wires connected to the entire plurality of stacker systems 50 are separated and stored inside the support frame 20 and the lifting frame 30 (step S120). .

다음으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계(S120) 이후에, 이동대차(10)를 작동시켜 상기 결합체를 선조립 철골 구조물(PR)의 하부로부터 보관장소로 이동시킨다(단계(S130)).Next, as shown in FIG. 20, after the step (S120), the mobile truck 10 is operated to move the assembly from the lower part of the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PR) to the storage location (step (S130) ).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하중 분산형 실내 리프팅 장비를 이용한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설치방법은 하기와 같은 기능을 갖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다양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다수의 버튼 및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ethod of installing a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using a load-distributing indoor lifting equipment for a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having the following functions, and the control unit executes various functions. It may include a number of buttons and a display unit.

본 발명은 도면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구현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illustrative exampl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implementations can be mad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scope of technical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ttached patent claims.

10: 이동대차 11: 몸체
12: 바퀴 20: 서포트 프레임
21: 가로바 22: 세로바
23: 수직바 24: 아웃리거 지지대
30: 리프팅 프레임 31: 가로바
32: 세로바 33: 확장형 포크 지지대 하우징
34: 확장형 포크 지지대 40: 미세위치 조정장치
50: 스태커 시스템 51: 1단 마스트
51b: 1단 마스트 보강바 52b: 2단 마스트 보강바
52: 2단 마스트 53: 전기패널
54: 전방 아웃리거 55: 포크
56: 측방 아웃리거 57: 후방 아웃리거
58: 바퀴 ORU: 아웃리거 장착 유닛
CL: 기둥 BT: 바닥부
PR: 파이프랙 PP: 파이프
10: mobile cart 11: body
12: Wheel 20: Support frame
21: horizontal bar 22: vertical bar
23: vertical bar 24: outrigger support
30: lifting frame 31: horizontal bar
32: Vertical bar 33: Extendable fork support housing
34: Extended fork support 40: Fine positioning device
50: Stacker system 51: 1st stage mast
51b: 1st stage mast reinforcement bar 52b: 2nd stage mast reinforcement bar
52: Two-stage mast 53: Electric panel
54: Front outrigger 55: Fork
56: side outrigger 57: rear outrigger
58: Wheel ORU: Outrigger mounting unit
CL: Column BT: Floor
PR: Pipe Rack PP: Pipe

Claims (19)

한쌍의 1단 마스트;
상기 한쌍의 1단 마스트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 한쌍의 2단 마스트;
상기 한쌍의 1단 마스트에 하나씩 결합된 한쌍의 아웃리거 장착 유닛;
상기 한쌍의 2단 마스트에 결합되어 상기 한쌍의 2단 마스트가 상하로 슬라이딩함에 따라 같이 상하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 포크; 및
복수개의 바퀴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아웃리거 장착 유닛에 하나씩 결합된 한쌍의 전방 아웃리거, 상기 각각의 아웃리거 장착 유닛에 하나씩 결합된 한쌍의 측방 아웃리거 및 상기 각각의 아웃리거 장착 유닛에 하나씩 결합된 한쌍의 후방 아웃리거를 포함하고,
상기 한쌍의 전방 아웃리거, 상기 한쌍의 측방 아웃리거 및 상기 한쌍의 후방 아웃리거는 비수평 바닥부에 대하여 자동 수평 조절기능을 갖고,
상기 한쌍의 전방 아웃리거는 동시에 또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상기 각각의 아웃리거 장착 유닛에 하나씩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전진시 하중을 하방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한쌍의 전방 아웃리거는 각각 수평부재, 상기 수평부재의 전단부에 결합된 중간 연결부재 및 상기 중간 연결부재에 결합된 바닥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한쌍의 측방 아웃리거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상기 각각의 아웃리거 장착 유닛에 하나씩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상기 각각의 아웃리거 장착 유닛에 밀착되게 수평으로 접히거나 상기 각각의 아웃리거 장착 유닛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되어 미리 결정된 각도로 전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한쌍의 후방 아웃리거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상기 각각의 아웃리거 장착 유닛에 하나씩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후진시 하중을 하방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한쌍의 후방 아웃리거는 각각 수평부재, 상기 수평부재의 후단부에 결합된 수직부재 및 상기 수직부재에 결합된 바닥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자체 배터리 동력으로 전동 모터를 가동하여 양중 위치까지 이동하도록 구성된 스태커 시스템.
A pair of single masts;
A pair of two-stage masts coupled to the pair of first-stage masts so as to be able to slide up and down;
A pair of outrigger mounting units each coupled to the pair of first-stage masts;
a fork coupled to the pair of two-stage masts and configured to slide up and down as the pair of two-stage masts slides up and down; and
Includes a plurality of wheels,
It includes a pair of front outriggers, one pair coupled to each of the outrigger mounting units, a pair of side outriggers, one pair coupled to each of the outrigger mounting units, and a pair of rear outriggers, one pair coupled to each of the outrigger mounting units,
The pair of front outriggers, the pair of side outriggers and the pair of rear outriggers have an automatic leveling function with respect to a non-horizontal floor,
The pair of front outriggers are configured to be coupled simultaneously or independently to each of the outrigger mounting units so as to be abl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one by one to transfer the load downward when moving forward,
The pair of front outriggers each include a horizontal member, an intermediate connection member coupled to a front end of the horizontal member, and a floor support member coupled to the intermediate connection member,
The pair of lateral outriggers are each rotatably coupled to each of the outrigger mounting units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nd are either folded horizontally in close contact with each outrigger mounting unit or partially separated from each outrigger mounting unit in advance. It is configured to unfold at a determined angle,
The pair of rear outriggers are each independently coupled to each of the outrigger mounting units one by one to enabl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and are configured to transmit the load downward when moving backward,
The pair of rear outriggers each include a horizontal member, a vertical member coupled to a rear end of the horizontal member, and a floor support member coupled to the vertical member,
A stacker system configured to move to the lifting position by operating an electric motor with its own battery pow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는 상면에 형성된 홀을 포함하는 스태커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ork is a stacker system including a hol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1단 마스트의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하고 변형이 일어나지 않게 이들을 서로 결합시켜주도록 구성된 1단 마스트 보강바를 더 포함하는 스태커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A stacker system further comprising a first-stage mast reinforcement bar configured to secure the structural safety of the pair of first-stage masts and couple them to each other to prevent de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2단 마스트의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하고 변형이 일어나지 않게 이들을 서로 결합시켜주도록 구성된 2단 마스트 보강바를 더 포함하는 스태커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A stacker system further comprising a two-stage mast reinforcement bar configured to secure the structural safety of the pair of two-stage masts and couple them to each other to prevent de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전기 패널을 더 포함하는 스태커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A stacker system further comprising electrical panels.
삭제delete 이동대차;
상기 이동대차에 거치되도록 구성된 서포트 프레임;
상기 서포트 프레임에 거치되도록 구성된 리프팅 프레임; 및
제1항, 제3항 및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스태커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스태커 시스템은 상기 서포트 프레임을 하방으로 지지하면서 상기 리프팅 프레임을 상방으로 양중하도록 구성된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하중 분산형 실내 리프팅 장비.
mobile truck;
a support frame configured to be mounted on the mobile cart;
a lifting frame configured to be mounted on the support frame; and
Comprising a stacker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and 7 to 9,
The stacker system is a load-distributing indoor lifting equipment for a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configured to lift the lifting frame upward while supporting the support frame downwar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프레임은 서로 이격되게 나란히 배치된 복수개의 가로바, 상기 복수개의 가로바의 단부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가로바의 단부들과 결합된 복수개의 세로바 및 상기 복수개의 가로바와 상기 복수개의 세로바의 결합체에 수직으로 서로 이격되게 결합된 복수개의 수직바를 포함하는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하중 분산형 실내 리프팅 장비.
According to clause 11,
The support frame includes a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arranged side by sid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plurality of vertical bars coupled to ends of the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to connect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and the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A load-distributing indoor lifting equipment for a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including a plurality of vertical ba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vertically in a combination of vertical bar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프레임은 상기 각각의 수직바의 하단부에 하나씩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결합된 복수개의 아웃리거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하중 분산형 실내 리프팅 장비.
According to clause 12,
The support frame is a load-distributing indoor lifting equipment of a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outrigger support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each vertical bar one by one to protrude outwar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프레임은 서로 이격되게 나란히 배치된 복수개의 가로바 및 상기 복수개의 가로바의 단부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가로바의 단부들과 결합된 복수개의 세로바를 포함하는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하중 분산형 실내 리프팅 장비.
According to clause 11,
The lifting frame distributes the load of a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including a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arranged side by sid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vertical bars coupled to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to connect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to each other. Mold indoor lifting equipmen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프레임은 상기 각각의 세로바의 하면에 하나씩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거나 내측으로 삽입되게 결합된 복수개의 확장형 포크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하중 분산형 실내 리프팅 장비.
According to clause 14,
The lifting frame is a load-distributing indoor lifting equipment of a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extended fork supports that ar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each vertical bar one by one to protrude outwardly or to be inserted inward.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확장형 포크 지지대는 각각의 하면에 결합된 핀을 포함하는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하중 분산형 실내 리프팅 장비.
According to clause 15,
The plurality of expandable fork supports are load-distributing indoor lifting equipment of a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including pins coupled to each lower surfa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프레임과 상기 리프팅 프레임의 내부에 수납되어 상기 복수개의 스태커 시스템 전체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통신선을 더 포함하는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하중 분산형 실내 리프팅 장비.
According to clause 11,
Load distribution type indoor lifting equipment for a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line housed inside the support frame and the lifting frame and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entire plurality of stacker system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프레임과 상기 리프팅 프레임의 내부에 수납되어 상기 복수개의 스태커 시스템 전체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동력전선을 더 포함하는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하중 분산형 실내 리프팅 장비.
According to clause 11,
Load distribution type indoor lifting equipment for a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further comprising a power wire that is stored inside the support frame and the lifting frame and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entire plurality of stacker system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스태커 시스템의 후방 아웃리거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제1 추가 서포트 빔 및 측방 아웃리거를 접은 상태에서 전방 아웃리거와 후방 아웃리거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제2 추가 서포트 빔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하중 분산형 실내 리프팅 장비.
According to clause 11,
A pre-assembled steel structure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first additional support beam configured to support the rear outrigger of each stacker system and a second additional support beam configured to support the front outrigger and the rear outrigger in a folded state of the side outrigger. Load-distributing indoor lifting equipment.
KR1020220162050A 2022-11-28 2022-11-28 Stacker system and load dispersion type indoor lifting apparatus of prefabricated steel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KR1026282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2050A KR102628253B1 (en) 2022-11-28 2022-11-28 Stacker system and load dispersion type indoor lifting apparatus of prefabricated steel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2050A KR102628253B1 (en) 2022-11-28 2022-11-28 Stacker system and load dispersion type indoor lifting apparatus of prefabricated steel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8253B1 true KR102628253B1 (en) 2024-01-24

Family

ID=89717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2050A KR102628253B1 (en) 2022-11-28 2022-11-28 Stacker system and load dispersion type indoor lifting apparatus of prefabricated steel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8253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5591A (en) * 2005-08-11 2007-02-2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Supporting frame
KR20130007255U (en) * 2012-06-11 2013-12-19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Support member for fit-up of the pipe support
KR20150093484A (en) * 2014-02-07 2015-08-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pparatus for installing heavy object and Method for installing heavy object
KR20180046799A (en) * 2016-10-28 2018-05-09 삼성물산 주식회사 lift up device for lifting high floor and high load
KR20190129189A (en) * 2018-05-10 2019-11-20 삼성물산 주식회사 Lifting System
JP2019203249A (en) * 2018-05-21 2019-11-28 株式会社竹中工務店 Mobile scaffold equipment
KR102145817B1 (en) * 2019-02-26 2020-08-19 (주)동우엠이시 Lifting-up device for lifting weight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5591A (en) * 2005-08-11 2007-02-2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Supporting frame
KR20130007255U (en) * 2012-06-11 2013-12-19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Support member for fit-up of the pipe support
KR20150093484A (en) * 2014-02-07 2015-08-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pparatus for installing heavy object and Method for installing heavy object
KR20180046799A (en) * 2016-10-28 2018-05-09 삼성물산 주식회사 lift up device for lifting high floor and high load
KR20190129189A (en) * 2018-05-10 2019-11-20 삼성물산 주식회사 Lifting System
JP2019203249A (en) * 2018-05-21 2019-11-28 株式会社竹中工務店 Mobile scaffold equipment
KR102145817B1 (en) * 2019-02-26 2020-08-19 (주)동우엠이시 Lifting-up device for lifting weigh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46631B1 (en) Apparatus for use in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EP0654571B1 (en) Zone module construction method of steel structure construction
EP0358433B1 (en) Construction apparatus and construction method
US11680411B2 (en) System and method of assembling and installing commercial roofing
KR102628253B1 (en) Stacker system and load dispersion type indoor lifting apparatus of prefabricated steel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KR102623001B1 (en) Dual frame structure for lifting prefabricated steel structure and load dispersion type indoor lifting apparatus of prefabricated steel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KR102584877B1 (en) Load dispersion type indoor lifting apparatus of prefabricated steel structure and method of installing prefabricated steel structure using the same
JP6646220B2 (en) Construction method of suspended steel frame for suspended ceiling
AU2003221623B2 (en) A transportable building and self-levelling chassis therefor
JP3453181B2 (en) Working steel stand and method of assembling tower-like structure using the working steel stand
RU2759467C1 (en) Method for automated installation of the power structure of a gravitational energy storage device and a set of devices for its implementation
CN220283407U (en) Crawler crane walking platform
CN115162823B (en) Assembling method of pinnacle steel member
JP4446567B2 (en) Transporting heavy structures
JP3217773B2 (en) How to carry heavy objects into the building and how to carry heavy objects outside the building
CN214575473U (en) Portable equipment removes operation platform
JP4922509B2 (en) How to install a lifting machine
JPH0642186A (en) Erection method of steel-structure dwelling house
EP3423390B1 (en) A foldable platform lift
JP2016079022A (en) Dismantling method, assembling method, and dismantling and assembling device of elevator for construction
KR20220165039A (en) Construction method for turbular supporting pole
CN115929052A (en) Indoor steel beam reinforcing installation tool and use method thereof
JPH0411843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on of building
JPH04231530A (en) Method for constructing main frames of high-rise building
JPH0797866A (en) Construction of unit type building and supporting tool for building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