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5039A - Construction method for turbular supporting pole - Google Patents

Construction method for turbular supporting po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5039A
KR20220165039A KR1020210073500A KR20210073500A KR20220165039A KR 20220165039 A KR20220165039 A KR 20220165039A KR 1020210073500 A KR1020210073500 A KR 1020210073500A KR 20210073500 A KR20210073500 A KR 20210073500A KR 20220165039 A KR20220165039 A KR 20220165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tubular support
tubular
cylinder
steel t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35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원교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073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5039A/en
Publication of KR20220165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503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04H12/10Truss-lik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34Arrangements for erecting or lowering towers, masts, poles, chimney stack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tallation method of a tubular support, which can replace an existing steel tower with the tubular support without a temporary facility using a mobile crane apparatus.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tubular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oundation construction step of constructing a base unit, which is a foundation of a support, at an inside space of the steel tower; an equipment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the mobile crane apparatus in a position close to the steel tower; and a support assembly step of stacking and installing a plurality of pipe material units at an upside of the base unit. In the support assembly step, by using the mobile crane apparatus, the pipe materials are sequentially assembled at least twice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so that the existing steel tower can be replaced with the tubular support without any temporary facility.

Description

관형지지물의 설치방법{CONSTRUCTION METHOD FOR TURBULAR SUPPORTING POLE}Installation method of tubular support {CONSTRUCTION METHOD FOR TURBULAR SUPPORTING POLE}

본 발명은 관형지지물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식 크레인장치를 이용하여 별도의 가시설물 없이 관형지지물로 기설철탑을 대체할 수 있는 관형지지물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installing a tubular suppor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installing a tubular support that can replace an existing steel tower with a tubular support without a separate temporary facility using a mobile crane device.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을 송배전용 송전탑 등에 사용되고 있는 가장 간단한 지지물은 기둥 형태의 관형지지물이 적용된다. 관형지지물은 운반 및 설치 편이성을 높이기 위해 모듈 형태로 분할하여 여러 개의 원통형 관재나 각형 관재를 연결하여 시공할 수 있다. 송배전용 관형지지물은 사용되는 관재가 지지하는 하중에 따라 일반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중량물로 구성된다. 이러한 관형지지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모듈 형태의 관재(管材)를 설치장소로 운반한 뒤 장비를 이용하여 연결해야 한다. In general, a column-shaped tubular support is applied as the simplest support that uses power generated in a power plant, such as a transmission tower fo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Tubular supports can be divided into modules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and installation, and can be constructed by connecting several cylindrical or rectangular pipes. Tubular supports for powe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are generally composed of heavy materials with a thick thickness depending on the load supported by the used pipe material. In order to construct such a tubular support, it is necessary to transport prefabricated modular pipe materials at the factory to an installation site and then connect them using equipment.

통상적으로 송배전용 철탑의 설치 지역은 작업 조건이 어려운 경사지 산악지형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송배전용 철탑의 재질은 고강도의 파이프나 형강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송배전용 철탑의 설치 시 크레인을 이용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이러한 송배전용 철탑은 일반적으로 평탄지에만 설치하며, 조립공법으로는 100TON 정도의 크레인을 사용하여 부재를 들어 올려 조립하는 시공 방식이 적용된다. 송배전용 철탑은 평탄지에서 시공하는 방식이므로, 헬기를 사용하여 산악지에 설치하거나, 케이블카를 사용하여 산악지에 설치하는 방식으로는 적절하지 않다. 헬기와 케이블카 운반 구간은 관형지지물 송전탑을 설치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 In general,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steel towers are often installed in sloped or mountainous terrain where working conditions are difficult. Since the material of such a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tower is made of high-strength pipe or section steel, a crane is often used when installing the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tower. In addition, such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steel towers are generally installed only on flat land, and as an assembly method, a construction method in which members are lifted and assembled using a crane of about 100 tons is applied. Since the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steel tower is constructed in a flat area, it is not appropriate to install it in a mountainous area using a helicopter or in a mountainous area using a cable car. There are many problems in installing tubular support transmission towers in the helicopter and cable car transport section.

모듈 형태의 관재는 관형지지물 설치 시 관재가 받는 하중을 고려하여 분할된 형태로 제작된다. 설치장소로 모듈 형태의 관재를 운반할 때는 설계에 맞춰 분할한 관재를 화물트럭에 적재하여 운반한다. 이때, 관재의 길이가 커서 수송 중 터널과 같은 상하 제한 장소를 만나는 경우에 관재를 눕히는 방법을 통해 해결이 가능하나, 관재의 지름이 클 경우 트럭이 진입하지 못해 운반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된다. 이 경우에는 관재를 횡방향(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분할하여 더 짧은 관재로 만든 후 세워서 운반해야 한다. 그러나, 관재의 횡방향 분할이 많아지는 경우 상하 관재의 체결을 위해 볼트로 연결한다. 이를 위해 관재 끝부분에 플랜지 용접이 필요하고, 용접부위의 보강을 위해서 보강 리브 플레이트가 추가로 필요하다. 이러한 방식은 중량 증가는 물론, 제작 어려움 및 제작비 상승을 유발시키며, 결합부가 관재에서 튀어 나와 보이기 때문에 매끄럽지 못한 표면을 가지게 되어 외관상 미려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The modular tubing is manufactured in a divided form considering the load the tubular support receives when installing the tubular support. When transporting modular tubing to the installation site, the tubing divided according to the design is loaded onto a truck and transported. At this time, when the length of the pipe material is larg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by laying the pipe material in case it encounters an upper and lower restricted place such as a tunnel during transportation. In this case, the pipe material must be divid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ength direction) to make a shorter pipe material, and then transported standing upright. However, when the horizontal division of the pipe material increases, bolts are used to fasten the upper and lower pipe materials. To this end, flange welding is required at the end of the pipe, and a reinforcing rib plate is additionally required to reinforce the welded part. This method causes an increase in weight as well as difficulty in manufacturing and an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and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appearance is poor because the coupling part protrudes from the pipe material and has a non-smooth surface.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5-013970호(1995. 06. 15 공개, 발명의 명칭: 톱크레인을 탑재한 케이지를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는 크레인의 클라이밍 장치 및 원리)에 개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995-013970 (published on June 15, 1995, title of the invention: Climbing device and principle of a crane capable of lifting a cage equipped with a top crane up and down) hav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impro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 의한 관형지지물의 설치방법에 따르면, 이동식 크레인 장치 및 관형지지물을 이용하여 대형 차량의 출입이 어려운 산간지역의 접근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tubular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access in mountainous areas where access of large vehicles is difficult by using a mobile crane device and a tubular support.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관형지지물의 설치방법은, 기존의 철탑 교체방식과 달리, 별도의 시설물의 설치 없이도 철탑을 교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tubular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existing steel tower replacement method, can replace the steel tower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facility.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한 관형지지물의 설치방법은, 활선상태를 유지하며 기설철탑을 교체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tubular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place the existing steel tower while maintaining the live wire state.

본 발명은 기존에 설치된 철탑과 이동식 크레인장치를 이용한 관형지지물 설치방법으로서, 상기 철탑의 내측공간에 지지물의 기초인 베이스부를 공사하는 기초 공사단계; 상기 철탑과 근접한 위치에 상기 이동식 크레인장치를 설치하는 장비 설치단계; 및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에서 복수개의 관재부를 적층 설치하는 지지물 조립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물 조립단계는, 상기 이동식 크레인장치를 이용하여 하측에서 상측으로 적어도 2회 이상 순차적으로 관재들이 조립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installing a tubular support using a previously installed steel tower and a mobile crane device, comprising: a foundation construction step of constructing a base part, which is the foundation of the support, in the inner space of the steel tower; Equipment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the mobile crane device in a position close to the steel tower; And a support assembly step of stacking and installing a plurality of pipe materials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part; Including, in the support assembling step, the pipe materials may be sequentially assembled at least twice or more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using the mobile crane device.

이때, 상기 지지물 조립단계는, 실린더부의 둘레를 따라 관재부를 배치하는 관형지지물 배치단계; 크레인부가 배치된 상기 관재부를 조립함에 따라 복수 층의 관형지지물을 적층하는 관형지지물 적층단계; 상기 실린더부가 신장됨에 따라 마스트부와 상기 크레인부를 상승시키는 실린더 신장단계; 상기 실린더부가 수축되면서 상기 마스트부 측으로 상승하는 실린더 수축단계; 및 상기 적층된 관형지지물의 높이가 목표높이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관형지지물 높이 확인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upport assembling step may include a tubular support arranging step of arranging a tubular memb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ylinder portion; A tubular support stacking step of stacking a plurality of layers of tubular supports by assembling the tubular member on which the crane unit is disposed; Cylinder elongation step of raising the mast part and the crane part as the cylinder part elongates; a cylinder contraction step of rising toward the mast part while the cylinder part is contracted; and a step of checking the height of the tubular supports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height of the stacked tubular supports has reached a target height.

또한, 상기 관형지지물 배치단계는, 상기 관형지지물 높이 확인단계에서, 상기 적층된 관형지지물의 높이가 목표높이 이하인 경우, 다시 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ep of arranging the tubular supports, in the step of checking the height of the tubular supports, when the height of the stacked tubular supports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target height, it may be restart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관형지지물 설치방법은 상기 지지물 조립단계의 종료 후, 상기 이동식 크레인장치를 이용하여 기설철탑을 분해하는 철탑 해체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ubular support install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el tower disassembly step of disassembling the existing steel tower using the mobile crane device after the support assembly step is finished; may further include.

이때, 상기 철탑 해체단계는, 상기 기설철탑의 내부에 설치된 관형지지물에, 철탑의 아암부재를 연결하는 아암 연결단계; 및 상기 철탑의 철골 자재를 상측부터 순차적으로 철거하는 철골 철거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eel tower dismantling step may include an arm connecting step of connecting an arm member of the steel tower to a tubular support installed inside the existing steel tower; and a steel frame demolition step of sequentially removing the steel frame materials of the steel tower from the upper side. can include

한편, 상기 기초 공사단계는, 상기 베이스부가 타설될 수 있는 공간을 파내는 굴착 작업단계; 상기 굴착 작업단계에서 형성된 공간의 외벽에 토류판을 설치하는 흙막이 작업단계; 상기 형성된 공간의 내부에 상기 베이스부의 골조를 형성하는 철근 배설단계; 및 상기 철근 배설단계의 종료 후, 상기 형성된 공간에 콘크리트를 유입하는 콘크리트 타설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장비 설치단계는, 상기 콘크리트 타설단계의 종료 후, 소정의 시간이 도과된 뒤 개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oundation construction step, the excavation work step of digging a space in which the base portion can be poured; Earth retaining work step of installing an earth plate on the outer wall of the space formed in the excavation work step; A reinforcing bar installation step of forming a framework of the base part in the formed space; and a concrete pouring step of introducing concrete into the formed space after the completion of the reinforcing bar excretion step. Including, the equipment installation step, after the end of the concrete pouring step, may be initiat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이때, 상기 굴착 작업단계에서 형성되는 공간은, 소정의 깊이를 갖는 대략적인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space formed in the excavation operation step may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한편, 상기 장비 설치단계는, 상기 이동식 크레인장치의 각 구성을 조립하는 기초 조립단계; 서포팅 와이어를 마스트부에 연결 고정하는 와이어 연결단계; 상기 서포터 와이어를 리프팅 윈치부로 말아 감는 와이어 권취단계; 및 리프팅 와이어를 이용해, 상기 기초 조립단계에서 조립된 구성들을 수직하게 세우는 조립체 인양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quipment installation step, the basic assembly step of assembling each component of the mobile crane device; A wire connection step of connecting and fixing the supporting wire to the mast; a wire winding step of winding the supporter wire with a lifting winch; and an assembly lifting step of vertically erecting the components assembled in the basic assembly step using a lifting wire. can includ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형지지물 설치방법은 상기 철탑 해체단계의 종료 후, 상기 이동식 크레인장치를 해체하는 장비 철거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ubular support install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quipment removal step of dismantling the mobile crane device after the completion of the tower dismantling step; may further include.

한편, 상기 지지물 조립단계는, 상기 관형지지물 적층단계가 상기 관형지지물 배치단계에 선행하여 개시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support assembling step, the tubular support stacking step may be initiated prior to the tubular support arranging step.

한편, 상기 지지물 조립단계는, 상기 관형지지물 높이 확인단계의 종료 후, 상기 관형지지물의 둘레부에 복수의 외부 지지대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외부 지지대 결합단계; 및 상기 복수의 외부 지지대에 작업 발판을 연결하는 작업 발판 연결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assembling step, after the completion of the step of checking the height of the tubular support, an external support coupling step of detachably coupling a plurality of external supports to the circumference of the tubular support; And a working scaffold connecting step of connecting the working scaffold to the plurality of external supports; may further include.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식 크레인 장치를 이용하여 기존에 설치된 철탑을 철거할 수 있으며, 분리 가능한 관형지지물을 이용해 기설철탑을 대체할 수 있어 접근이 어려운 산간 지역에서 교체작업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isting steel tower can be removed using a mobile crane device, and the existing steel tower can be replaced using a detachable tubular support, so that the replacement work can be smoothly performed in mountainous areas where access is difficul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휴전이나 가 시설물 설치 없이 철탑을 교체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하고 작업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steel tower without a power failure or installation of temporary facilities, thereby reducing costs and shortening the work period.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활선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기설철탑을 교체할 수 있어, 전력 공급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m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place an existing steel tower while maintaining a live wire state, thereby preventing problems in power supp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실린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의 실린더부에서 구름볼부와 실린더 지지판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의 실린더부에서 구름볼부와 실린더 지지판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마스트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마스트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리프팅 가이드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리프팅 가이드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크레인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외부 지지대와 작업 발판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외부 지지대와 작업 발판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관형지지물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관형지지물에 서포트바가 연결되는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관형지지물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서포트바와 실린더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실린더부, 마스트부 및 크레인부가 조립된 상태로 바닥에 놓여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실린더부가 상승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실린더부의 상승시 서포트바의 동작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형지지물이 철탑 내부 공간에 설치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1 및 도 2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형지지물의 설치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obile cran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base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ylinder part in a mobile cran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rolling ball part and a cylinder support plate part in a cylinder part of a mobile cran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rolling ball part and a cylinder support plate part in a cylinder part of a mobile cran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ast in a mobile cran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st in a mobile cran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ifting guide in a mobile cran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ifting guide in a mobile cran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crane unit in a mobile cran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ternal support and a working scaffold in a mobile cran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ternal support and a working scaffold in a mobile cran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tubular support in a mobile cran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support bar is connected to a tubular support in a mobile cran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tubular support in a mobile cran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support bar and a cylinder part in a mobile cran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cylinder part, a mast part, and a crane part are assembled and placed on the floor in a mobile cran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process in which a cylinder part is raised in a mobile cran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support bar when the cylinder unit is raised in the mobile cran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ubular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teel tower.
21 and 22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method of installing a tubular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may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erms are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The term “and/or”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can be understood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ing"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may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may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It may not be.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o those with average knowledge in the art, and the shapes and siz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earer explanation.

이하,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이용되는 이동식 크레인장치 및 관형지지물에 대하여 상술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8, first, a mobile crane device and a tubular support u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실린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의 실린더부에서 구름볼부와 실린더 지지판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의 실린더부에서 구름볼부와 실린더 지지판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분해도이다.Figure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obile cran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 base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ylinder part in the mobile crane device, and FIG.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rolling ball part and the cylinder support plate part in the cylinder part of the mobile cran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rolling ball part and the cylinder support plate part in the cylinder part of the mobile cran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는 실린더부(110), 마스트부(130), 크레인부(140), 복수의 관재부(150), 복수의 서포트바(160) 및 리프팅 가이드부(170)를 포함한다.1 to 5, a mobile cran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ylinder part 110, a mast part 130, a crane part 140, a plurality of pipe parts 150, and a plurality of support bars. 160 and a lifting guide portion 170.

실린더부(110)는 베이스부(10)에 지지된다. 베이스부(10)에는 복수의 베이스 볼트부(미도시)가 고정된다. 이때, 베이스부(10)는 실린더 하우징부(111)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베이스부(10)에 고정되고, 실린더 지지판부(115)가 삽입되도록 삽입홀부(122)가 형성되는 실린더 고정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ylinder part 110 is supported on the base part 10 . A plurality of base bolt parts (not shown) are fixed to the base part 10 . At this time, the base part 10 is fixed to the base part 10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cylinder housing part 111, and the cylinder fixing part 120 in which the insertion hole 122 is formed to insert the cylinder support plate part 115. ) may further include.

도 2를 참조하면, 베이스부(10)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대략적인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10)는 일예로 콘크리트 타설을 통해 시공될 수 있으며, 시공되는 장소의 지리적 위치, 토양의 성질, 자연 환경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base part 10 may be formed in an approximate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The base part 10 may be constructed through, for example, concrete pouring, and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in comprehensive consideration of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place to be constructed, the nature of soil, and the natural environment.

베이스부(10)는 기존에 설치된 철탑(T)의 내부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부(10)의 시공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 도 21을 참고하여 후술하기로 한다.The base part 10 may be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existing steel tower (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base portion 1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21 .

실린더 고정부(120)는 중심부에 삽입홀부(122)가 형성되는 원형 프레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실린더 고정부(120)의 상측와 하측에는 고정 볼트부가 체결되도록 고정홀부(미도시)가 형성된다. 고정홀부는 실린더 고정부(120)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된다.The cylinder fixing part 12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frame shape in which an insertion hole 122 is formed in the center. Fixing holes (not shown)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ylinder fixing part 120 so that the fixing bolt part is fastened. The fixing hole is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ylinder fixing part 120 .

실린더부(110)는 실린더 하우징부(111), 실린더 로드부(113) 및 실린더 지지판부(115)를 포함한다.The cylinder part 110 includes a cylinder housing part 111, a cylinder rod part 113 and a cylinder support plate part 115.

실린더 하우징부(111)는 실린더부(110)의 외형을 이루며, 마스트부(130)에 연결될 수 있다.The cylinder housing part 111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cylinder part 11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mast part 130 .

실린더 로드부(113)는 실린더 하우징부(111)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실린더 로드부(133)는 실린더 하우징부(111)에서 인출되며, 실린더 하우징부(111)를 상측으로 밀어 올릴 수 있다. 즉, 실린더 로드부(113)가 실린더 하우징부(111)에서 인출됨에 따라 실린더 하우징부(111)가 상측으로 일정 높이 상승된다. The cylinder rod part 113 may be movably coupled to the cylinder housing part 111 . The cylinder rod part 133 is drawn out from the cylinder housing part 111 and can push the cylinder housing part 111 upward. That is, as the cylinder rod part 113 is withdrawn from the cylinder housing part 111, the cylinder housing part 111 rises upward to a certain height.

또한, 실린더 하우징부(111)가 일정 높이 상승된 상태에서, 실린더 로드부(113)가 상승하여 실린더 하우징부(111)에 인입된 후, 다시 약간 하강되면, 실린더 지지판부(115)가 서포트바(160)에 안정되게 지지된다. 따라서, 실린더부(110)가 일정 높이씩 상승하면서 관재부(150)를 인양함에 따라 원통형의 관형지지물(150a)을 적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 state where the cylinder housing part 111 is raised to a certain height, when the cylinder rod part 113 is raised and drawn into the cylinder housing part 111 and then slightly lowered again, the cylinder support plate part 115 is a support bar. It is stably supported by (160). Therefore, as the cylinder portion 110 lifts the tubular portion 150 while rising at a predetermined height, the cylindrical tubular supports 150a may be stacked.

실린더 하우징부(111)의 하측에는 서포트바(160)에 지지되도록 실린더 플랜지부(112)가 구비될 수 있다.A cylinder flange 112 may be provided below the cylinder housing 111 to be supported by the support bar 160 .

실린더 플랜지부(112)의 직경은 실린더 하우징부(111)의 직경보다 더 길게형성될 수 있다. The diameter of the cylinder flange portion 112 may be longer than that of the cylinder housing portion 111 .

실린더 플랜지부(112)의 반경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실린더홀부(112a)가 형성될 수 있다. 실린더홀부(112a)에는 실린더 볼트부(112b)가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린더 하우징부(111)가 서포트바(160)에 안정되고 움직이지 않고 구속된다.A plurality of cylinder hole parts 112a may be formed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ylinder flange part 112 . A cylinder bolt portion 112b may be bolted to the cylinder hole portion 112a. Accordingly, the cylinder housing portion 111 is stable and constrained to the support bar 160 without moving.

실린더 로드부(113)의 하측 단부에는 대략적인 구형상의 구름볼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An approximately spherical rolling ball portion 114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ylinder rod portion 113 .

실린더 지지판부(115)의 상측에는 구름볼부(114)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름홈부(116)가 형성된다. 구름홈부(116)는 실린더 지지판부(115)의 상측에서 하방으로 소정의 깊이만큼 함몰 형성될 수 있다.A rolling groove 116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cylinder support plate 115 so that the rolling ball 114 is rotatably coupled thereto. The rolling groove 116 may be recessed by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upper side of the cylinder support plate 115 to the lower side.

구름볼부(114)가 구름홈부(11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실린더 하우징부(111), 마스트부(130) 및 크레인부(140)가 약간 기울어지면서 상승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서포트바(160)가 조립 공차 등에 의해 수평방향과 약간 기울어지거나 수평이 맞지 않더라도, 실린더 지지판부(115)가 약간 기울어진 상태로 서포트바(160, 도 15 참조)에 안착될 수 있다.Since the rolling ball part 114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olling groove part 116, the cylinder housing part 111, the mast part 130, and the crane part 140 can be slightly inclined and raised. Therefore, even if the plurality of support bars 160 are slightly inclined or not level with the horizontal direction due to assembly tolerances, etc., the cylinder support plate 115 can be seated on the support bar 160 (see FIG. 15) in a slightly inclined state. hav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마스트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마스트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6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ast part in a mobile cran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st part in a mobile cran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마스트부(130)는 실린더부(110)가 신장됨에 따라 상승되도록 실린더부(110)에 연결된다. 마스트부(130)는 실린더부(110)의 상측에 기둥 형태로 형성된다. 마스트부(130)는 복수의 단위 마스트(131)와 마스트 플랜지부(13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6 and 7 , the mast part 130 is connected to the cylinder part 110 so as to rise as the cylinder part 110 is extended. The mast portion 130 is formed in a columnar shape on the upper side of the cylinder portion 110 . The mast portion 130 includes a plurality of unit masts 131 and a mast flange portion 133 .

복수의 단위 마스트(131)는 실린더 하우징부(111)의 상측에 실린더 하우징부(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조립될 수 있다. 마스트 플랜지부(133)는 단위 마스트(131)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형성되고, 마스트 플랜지부(133)에는 실린더 하우징부(111)와 단위 마스트(131)에 각각 조립되도록 마스트 볼트홀부(134)가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unit masts 131 may be assemb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er housing part 111 on the upper side of the cylinder housing part 111 . The mast flange portion 133 is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unit mast 131, and the mast flange portion 133 has a mast bolt hole portion 134 to be assembled to the cylinder housing portion 111 and the unit mast 131, respectively. can be formed

마스트 볼트홀부(134)는 마스트 플랜지부(133)의 반경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웃한 마스트 플랜지부(133)가 서로 대향되고, 마스트 볼트홀부(134)에 마스트 볼트부(135)가 체결됨에 따라 복수의 단위 마스트(131)가 길이방향을 따라 조립될 수 있다. 단위 마스트(131)의 길이는 관재부(150)의 높이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A plurality of mast bolt hole portions 134 may be provided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mast flange portion 133 . Adjacent mast flange parts 133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as the mast bolt part 135 is fastened to the mast bolt hole part 134, a plurality of unit masts 131 may be assemb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length of the unit mast 131 may be appropriately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height of the pipe section 150.

최상층에 배치되는 단위 마스트(131)에는 인양 케이블(147)에 연결되도록 마스트 고정홀부(136)가 형성될 수 있다. A mast fixing hole 136 may be formed in the unit mast 131 disposed on the uppermost layer to be connected to the lifting cable 147 .

작업자는 마스트 고정홀부(136)에 인양 케이블(147)를 연결한 후 크레인부(140)를 구동시킴으로써, 단위 마스트(131)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실린더부(110), 단위 마스트(131) 및 크레인부(140)를 조립한 후 마스트 고정홀부(136)에 지상의 서포팅 와이어(30, 도 16 참조)를 연결하고, 리프팅 윈치(20)를 구동하여 실린더부(110), 마스트부(130) 및 크레인부(140)의 조립체를 수직하게 세울 수 있다.A worker may move the unit mast 131 to a desired position by connecting the lifting cable 147 to the mast fixing hole 136 and then driving the crane unit 140 . In addition, after assembling the cylinder part 110, the unit mast 131, and the crane part 140, the operator connects the ground supporting wire 30 (see FIG. 16) to the mast fixing hole 136, and lifts the winch ( 20), the assembly of the cylinder part 110, the mast part 130 and the crane part 140 can be erected vertically.

마스트부(130)에는 착탈 가능하도록 발판 볼트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마스트부(130)에는 발판 볼트부가 체결되도록 발판 볼트홀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발판 볼트부를 발판 볼트홀부에 체결하면서 마스트부(130)를 타고 올라갈 수 있다. 또한, 이동식 크레인장치(100)가 완전히 설치되기 이전에는, 작업상 편의를 위하여 발판 볼트부를 발판 볼트홀부에 체결하지 않을 수 있다.A scaffolding bolt unit (not shown) may be installed in the mast unit 130 to be detachable. In addition, a scaffolding bolt hole portion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mast portion 130 to fasten the scaffolding bolt portion. Therefore, the operator can climb up the mast part 130 while fastening the foothold bolt part to the foothold bolt hole part. In addition, before the mobile crane device 100 is completely installed, the scaffolding bolt portion may not be fastened to the scaffolding bolt hole portion for work convenienc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리프팅 가이드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리프팅 가이드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크레인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외부 지지대와 작업 발판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외부 지지대와 작업 발판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ifting guide part in a mobile cran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ifting guide part in a mobile cran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crane unit in a mobile cran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ternal support and a working scaffolding unit in a mobile cran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an view, and FIG. 12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ternal support and a working scaffold in a mobile cran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내지 도 12을 참조하면, 크레인부(140)는 마스트부(130)에 설치되어, 인양 케이블(147)을 권취하거나 풀어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크레인부(140)는 회전 모터부(141), 회전 테이블(142), 크레인붐(143), 각도조절 실린더부(145) 및 크레인 윈치부(146)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8 to 12 , the crane unit 140 is installed on the mast unit 130 and may perform a function of winding or unwinding the lifting cable 147 . The crane unit 140 includes a rotation motor unit 141, a rotation table 142, a crane boom 143, an angle adjusting cylinder unit 145, and a crane winch unit 146.

회전 모터부(141)는 마스트부(130)의 상측에 배치된다. 회전 모터부(141)는 인양 케이블(147)을 권취하는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rotation motor unit 141 is disposed above the mast unit 130 . The rotation motor unit 141 may generate rotational force for winding the lifting cable 147 .

회전 테이블(142)은 회전 모터부(14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The rotation table 142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rotation motor unit 141 .

크레인붐(143)은 회전 테이블(142)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인양 케이블(147)이 지지된다. The crane boom 143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rotation table 142, and the lifting cable 147 is supported.

각도조절 실린더부(145)는 크레인붐(143)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크레인붐(143)에 연결된다. The angle adjusting cylinder unit 145 is connected to the crane boom 143 to adjust the angle of the crane boom 143.

크레인 윈치부(146)는 인양 케이블(147)을 권취하거나 풀어주도록 회전 테이블(142)에 설치된다.The crane winch unit 146 is installed on the rotary table 142 to wind or unwind the lifting cable 147.

크레인붐(143)에는 인양 케이블(147)이 지지되도록 복수의 풀리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크레인 윈치부(146)가 구동됨에 따라 인양 케이블(147)이 권취되거나 풀어진다. 이때, 복수의 풀리부가 인양 케이블(147)에 의해 회전된다.A plurality of pulley parts (not shown) may be installed in the crane boom 143 so that the lifting cable 147 is supported. As described above, as the crane winch unit 146 is driven, the lifting cable 147 is wound or unwound.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pulleys are rotated by the lifting cable 147.

회전 모터부(141)가 구동됨에 따라 인양 케이블(147)의 방향이 마스트부(130)의 원주방향을 따라 선회된다. 각도조절 실린더부(145)가 신축됨에 따라 크레인붐(143)의 상하방향 각도가 변경된다. 또한, 크레인 윈치부(146)가 구동됨에 따라 인양 케이블(147)이 아래로 내려오거나 위로 상승될 수 있다.As the rotary motor unit 141 is driven, the direction of the lifting cable 147 is turn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mast unit 130 . As the angle adjusting cylinder unit 145 expands and contracts, the vertical angle of the crane boom 143 is changed. In addition, as the crane winch unit 146 is driven, the lifting cable 147 may be lowered or raised.

관재부(150)와 서포트바(160)에 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pipe section 150 and the support bar 16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리프팅 가이드부(170)는 마스트부(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마스트부(13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리프팅 가이드부(170)는 마스트부(130)의 이동시 마스트부(130)를 지지하도록 복수의 서포트바(16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리프팅 가이드부(170)는 마스트부(130)의 둘레를 따라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리프팅 가이드부(170)가 마스트부(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므로, 리프팅 가이드부(170)를 마스트부(130)의 상측으로 이동시킨 후 복수의 서포트바(160)에 결합하여 위치 고정시킨다. 그리고, 실린더 하우징과 함께 마스트부(130)가 상승될 때에 리프팅 가이드부(170)가 마스트부(130)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마스트부(130)를 지지하므로, 마스트부(130)가 원활하고 안정되게 상승될 수 있다. The lifting guide part 170 may be installed on the mast part 130 so as to be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st part 130 . In addition, the lifting guide part 17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plurality of support bars 160 to support the mast part 130 when the mast part 130 moves. The lifting guide part 170 may be formed in an annular shap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mast part 130 . Since the lifting guide part 170 m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st part 130, the lifting guide part 170 is moved to the upper side of the mast part 130 and then coupled to the plurality of support bars 160 to fix the position. let it In addition, since the lifting guide part 170 supports the mast part 130 so that the mast part 130 does not tilt when the mast part 130 is raised together with the cylinder housing, the mast part 130 is smoothly and stably. can rise

또한, 마스트부(130)를 상층의 관형지지물(150a)로 이동시킬 때에는 리프팅 가이드부(170)가 서포트바(160)에서 분리되므로, 리프팅 가이드부(170)의 위치를 높이면서 마스트부(130)를 상승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lifting guide part 170 is separated from the support bar 160 when moving the mast part 130 to the tubular support 150a on the upper floor, while raising the position of the lifting guide part 170, the mast part 130 ) can be increased.

리프팅 가이드부(170)의 둘레부에는 서포트바(160)의 자유단부를 리프팅 볼트부(173)에 의해 체결하도록 리프팅 고정홀부(171)가 형성된다. 리프팅 고정홀부(171)를 서포트바(160)의 자유단부에 대응시킨 후 리프팅 볼트부(173)를 리프팅 고정홀부(171)에 체결하면, 서포트바(160)와 리프팅 가이드부(170)가 서로 구속되어 리프팅 가이드부(170)가 상하로 이동되지 않는다.A lifting fixing hole 171 is formed on the circumference of the lifting guide 170 so that the free end of the support bar 160 is fastened by the lifting bolt 173. When the lifting fixing hole 171 corresponds to the free end of the support bar 160 and then the lifting bolt 173 is fastened to the lifting fixing hole 171, the support bar 160 and the lifting guide 17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t is constrained so that the lifting guide part 170 does not move up and down.

리프팅 가이드부(170)의 상측에는 인양 케이블(147)이 연결되도록 리프팅 고리부(175)가 형성된다. 인양 케이블(147)이 리프팅 고리부(175)에 연결된 후 크레인 윈치부(146)가 인양 케이블(147)을 권취하면, 리프팅 가이드부(170)가 마스트부(130)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된다. 또한, 리프팅 가이드부(170)와 서포트바(160)가 리프팅 볼트부(173)에 의해 구속된 후 인양 케이블(147)을 리프팅 고리부(175)에서 분리할 수 있다.A lifting ring part 175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lifting guide part 170 so that the lifting cable 147 is connected. After the lifting cable 147 is connected to the lifting ring part 175, when the crane winch part 146 winds the lifting cable 147, the lifting guide part 170 moves upward along the mast part 130. In addition, after the lifting guide part 170 and the support bar 160 are restrained by the lifting bolt part 173, the lifting cable 147 can be separated from the lifting ring part 175.

일 실시예에서, 이동식 크레인장치(100)는 복수의 외부 지지대(181)와 작업 발판대(1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mobile crane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external supports 181 and a work platform 183.

외부 지지대(181)는 관형지지물(150a)의 둘레부에 하나 이상이 착탈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지지대(181)는 관형지지물(150a)의 둘레부를 따라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One or more external supports 181 may be detachably fastene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tubular support 150a. In addition, the external support 181 may be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ubular support (150a).

작업 발판대(183)는 관형지지물(150a)의 둘레부를 따라 배치되도록 복수의 외부 지지대(181)에 연결된다. 작업 발판대(183)는 그물망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작업 발판대(183)는 작업자가 밟고 작업을 할 수 있는 구조물이다.The work scaffold 183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external supports 181 so as to be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ubular support 150a. The work platform 183 may be formed in a mesh shape. The work scaffold 183 is a structure on which a worker can step on and work.

이동식 크레인장치(100)는 복수의 외부 지지대(181)를 지지하도록 외부 지지대(181)와 관형지지물(150a)의 외측면에 힌지부(186)에 의해 결합되는 외부 보강바(1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obile crane device 100 further includes an external reinforcing bar 185 coupled by a hinge portion 186 to the outer surface of the external support 181 and the tubular support 150a to support the plurality of external supports 181 can do.

외부 보강바(185)는 외부 지지대(181)를 하방에서 경사진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외부 보강바(185)가 외부 지지대(181)를 지지하므로, 외부 지지대(181)와 작업 발판대(183)의 강성을 보강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The external reinforcing bar 185 may support the external support 181 in a downwardly inclined state. Since the external reinforcing bar 185 supports the external support 181, the rigidity of the external support 181 and the scaffold 183 can be reinforced to promote worker safety.

복수의 외부 지지대(181)에는 인양 케이블(147)이 연결되도록 외부 고정홀부(182)가 형성될 수 있다. 외부 고정홀부(182)는 외부 지지대(181)의 외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External fixing holes 182 may be formed in the plurality of external supports 181 so that the lifting cables 147 are connected thereto. The external fixing hole 182 may be formed at an outer end of the external support 181 .

외부 고정홀부(182)에 인양 케이블(147)이 연결된 후 외부 지지대(181)와 외부 보강바(185)를 관형지지물(150a)에서 분리시키고, 크레인 윈치부(146)가 인양 케이블(147)을 권취함에 따라 외부 지지대(181), 작업 발판대(183) 및 외부 보강바(185)가 당겨져 상승될 수 있다. 따라서, 관형지지물(150a)의 적층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외부 지지대(181), 작업 발판대 및 외부 보강바(185)의 설치 높이를 높일 수 있다. After the lifting cable 147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fixing hole 182, the external support 181 and the external reinforcing bar 185 are separated from the tubular support 150a, and the crane winch 146 lifts the cable 147. As it is wound, the external support 181, the working scaffold 183 and the external reinforcing bar 185 may be pulled and raised. Therefore, as the stacking height of the tubular support 150a increases,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external support 181, the working scaffold, and the external reinforcing bar 185 can be increased.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관형지지물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관형지지물에 서포트바가 연결되는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관형지지물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서포트바와 실린더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1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tubular support in a mobile cran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 support bar connected to a tubular support in a mobile cran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Figure 1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tubular support in a mobile cran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 mobile c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upport bar and the cylinder part in the device.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복수의 관재부(150)는 인양 케이블(147)에 연결되고, 크레인부(140)의 구동에 의해 실린더부(110)와 마스트부(130)를 둘러싸도록 조립되고, 복수 층으로 적층되는 관형지지물(150a)을 형성할 수 있다. 13 to 16, a plurality of tubular parts 150 are connected to the lifting cable 147 and assembled to surround the cylinder part 110 and the mast part 130 by driving the crane part 140, and , It is possible to form a tubular support (150a) that is stacked in a plurality of layers.

관재부(150)는 관형지지물(150a)의 원주방향을 따라 원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관재부(150)가 실린더부(110)와 마스트부(130)의 둘레를 따라 조립되어 원기둥 형태의 관형지지물(150a)을 형성한다. 이때, 하나의 관형지지물(150a)은 2개의 관재부(150)가 조립되어 이루어지거나 3개 이상의 관재부(150)가 조립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tubular member 150 may be formed in an arc shap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ubular support 150a. A plurality of tubular parts 150 are assembled along the circumferences of the cylinder part 110 and the mast part 130 to form a cylindrical tubular support 150a. At this time, one tubular support (150a) may be formed by assembling two tubular members (150) or by assembling three or more tubular members (150).

관형지지물(150a)은 실린더부(110)와 마스트부(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층이 적층될 수 있다. 관재부(150)는 종방향으로 분할되고 라운드진 형태의 분할패널이다. 관재부(150)가 종방향으로 분할되므로, 관재부(150)를 차량에 적재하더라도 관재부(150)가 적재된 차량이 터널과 같은 상하 제한 장소를 충분히 통과할 수 있다. 또한, 관재부(150)의 무게가 현저히 감소되므로, 관재부(150)가 평탄지나 산악지에 용이하게 운반되고, 헬기나 케이블카를 이용하여 운반될 수 있다. 나아가, 관재부(150)의 적층되는 개수를 선택하여 관형지지물(150a)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관형지지물(150a)이 설치되는 위치 및 지형에 따라 편리하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layers of the tubular support 150a may be stack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er portion 110 and the mast portion 130 . The pipe section 150 is di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a divided panel in a round shape. Since the canning unit 150 is di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ven if the canning unit 150 is loaded on a vehicle, the vehicle loaded with the canning unit 150 can sufficiently pass through an upper and lower restricted area such as a tunnel. In addition, since the weight of the tubing unit 150 is significantly reduced, the tubing unit 150 can be easily transported in a flat or mountainous area, and can be transported using a helicopter or cable car. Furthermore, the height of the tubular support 150a can be adjusted by selecting the number of stacked tubular supports 150, so that the height can be conveniently adjusted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terrain where the tubular support 150a is installed.

관재부(150)의 둘레부에는 복수의 조립홀부(157)가 형성되고, 조립홀부(157)에는 조립 볼트부(미도시)가 체결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assembly holes 157 are formed on the circumference of the pipe member 150, and assembly bolts (not shown) may be fastened to the assembly holes 157.

복수의 서포트바(160)는 관재부(150)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관재부(1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서포트바(160)는, 실린더부(110)의 구동시 실린더부(110)가 관형지지물(150a)의 상측으로 이동되도록 실린더부(110)를 지지한다. The plurality of support bars 16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pipe member 150 so as to protrude toward the inside of the pipe member 150 . The support bar 160 supports the cylinder portion 110 so that the cylinder portion 110 moves upward of the tubular support 150a when the cylinder portion 110 is driven.

이때, 관재부(150)의 내측면에는 서포트 블록부(151)가 고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upport block part 151 may b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ipe material part 150.

서포트바(160)는 서포트 볼트부(152)에 의해 서포트 블록부(151)에 결합되고, 서포트 블록부(151)에는 서포트바(160)가 하측으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스토퍼부(154)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support bar 160 is coupled to the support block portion 151 by the support bolt portion 152, and the support block portion 151 has a stopper portion 154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support bar 160 downward. It can be formed to protrude.

또한, 서포트 블록부(151)에서 서포트바(160)의 상측에는 서포트바(160)의 상측 회전 범위를 제한하도록 회전 허용부(155)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rotation allowance part 155 may be formed above the support bar 160 in the support block part 151 to limit the upper rotation range of the support bar 160 .

서포트바(160)의 자유단부는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린더부(110)가 상측으로 이동될 때에 실린더부(110)의 실린더 지지판부(115)가 서포트바(160)의 상측으로 밀어올리고, 실린더 지지판부(115)가 서포트바(160)를 벗어나면 서포트바(160)가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수평하게 복귀될 수 있다. 또한, 서포트바(160)가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복귀되면, 서포트바(160)의 자유단부가 실린더 지지판부(115)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실린더 지지판부(115)가 서포트바(160)의 하측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실린더부(110)가 상승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 free end of the support bar 160 may be inclined upward. Accordingly, when the cylinder part 110 moves upward, the cylinder support plate part 115 of the cylinder part 110 pushes up the support bar 160, and the cylinder support plate part 115 moves the support bar 160 If out of the support bar 160 can be horizontally returned to the lower side by its own weight. In addition, when the support bar 160 is returned to the lower side by its own weight, the free end of the support bar 160 may support the cylinder support plate 115 . Therefore, si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ylinder support plate portion 115 from falling to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bar 160, the cylinder portion 110 can maintain an elevated state.

스토퍼부(154)는 서포트 블록부(151)에 상하방향으로 다단으로 형성되고, 회전 허용부(155)는 스토퍼부(154)의 하측면에 실린더부(110) 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The stopper part 154 may be formed in multiple stages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support block part 151, and the rotation permitting part 155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topper part 154 to be inclined upward toward the cylinder part 110.

스토퍼부(154)는 서포트바(160)를 수평하게 지지하도록 서포트 블록부(151)에 수평방향으로 대략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stopper portion 154 may be form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support block portion 151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horizontally support the support bar 160 .

회전 허용부(155)는 관재부(150)의 내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부를 의미할 수 있다. 스토퍼부(154)가 서포트바(160)를 하측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지지하므로, 실린더부(110)가 상측으로 이동될 때에 실린더부(110)의 실린더 지지판부(115)가 서포트바(160)의 상측으로 이동된 후 서포트바(160)의 상측에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실린더부(110)와 크레인부(140)가 일정 높이씩 상측으로 이동되므로, 크레인부(140)가 일정 높이씩 상승되면서 관재부(150)를 조립하여 관형지지물(150a)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관형지지물(150a)의 높이가 일정 높이 이상으로 높아지더라도 실린더부(110)와 크레인부(140)의 길이를 증가시키지 않아도 된다.The rotation allowing portion 155 may refer to an inclined surface portion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toward the inside of the pipe material portion 150 . Since the stopper part 154 supports the support bar 160 so that it does not rotate downward, the cylinder support plate part 115 of the cylinder part 110 supports the support bar 160 when the cylinder part 110 moves upward. After moving upward, it can be stably suppor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bar 160 . Therefore, since the cylinder part 110 and the crane part 140 are moved upward by a certain height, the tubular support 150a can be formed by assembling the tubular part 150 while the crane part 140 is raised by a certain height. . In addition, even if the height of the tubular support 150a increases to a certain height or more, the lengths of the cylinder part 110 and the crane part 140 do not need to be increase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 및 이동식 크레인장치를 이용한 관형지지물의 설치방법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 mobile crane device and a method for installing a tubular support using the mobile crane device will be described.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실린더부, 마스트부 및 크레인부가 조립된 상태로 바닥에 놓여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실린더부가 상승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실린더부의 상승시 서포트바의 동작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형지지물이 철탑 내부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형지지물의 설치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 및 관형지지물의 상세한 설치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17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cylinder part, a mast part, and a crane part are assembled on the floor in a mobile cran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8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process of raising the cylinder part in the mobile cran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9 is a configuration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support bar when the cylinder part is raised in the mobile cran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0 shows a state in which a tubular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side a steel tower, and FIG. 21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installing a tubular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2 is It is a flow chart showing a detailed installation method of a mobile crane device and a tubular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관형지지물의 설치 방법은, 기초 공사단계(S100), 장비 설치단계(S200), 지지물 조립단계(S300), 철탑 해체단계(S400 및 장비 철거단계(S500)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ure 21,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tubular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foundation construction step (S100), equipment installation step (S200), support assembly step (S300), steel tower disassembly step (S400 and equipment removal step (S500)) can include

기초 공사단계(S100)에서는 기존에 설치된 철탑의 내부공간에 베이스부(10)를 시공할 수 있다. In the foundation construction step (S100), the base part 10 may be construct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existing steel tower.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는 이동식 크레인장치(100), 보다 구체적으로 실린더부(110)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관형지지물(150a)을 설치하기 위하여, 작업자는 철탑의 내부공간에 베이스부(10)를 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 the base portion 10 is a configuration for supporting the mobile crane device 100, more specifically, the cylinder portion 110. In order to install the tubular support 150a, a worker may construct the base part 10 in the inner space of the steel tower.

작업자는 철탑의 내부공간에 일차적으로 굴착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S110) 굴착작업은 철탑 내부공간에 소정의 깊이만큼 토양을 파내는 작업을 의미할 수 있다. 굴착작업을 통해 베이스부(10)가 고정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Workers can primarily perform excavation work in the inner space of the steel tower. (S110) The excavation work may mean an operation of digging soil to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inner space of the steel tower. A space to which the base part 10 can be fixed may be provided through the excavation work.

굴착작업이 종료된 후, 작업자는 상기 토양이 파내어진 빈 공간의 벽을 막는 흙막이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S120) 흙막이 작업에서, 작업자는 상기 빈 공간에 토양이 다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토류판을 설치할 수 있다. 토류판은 목재 기타 흙을 막을 수 있는 다양한 재질이 선택될 수 있다. 토류판은 일 예로,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평판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토양의 성질, 지형 공간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fter the excavation work is finished, the worker may perform earth retaining work to block the wall of the empty space in which the soil is excavated. (S120) In the retaining work, the worker may install a soil board to prevent the soil from flowing down again in the empty space. The soil plate may be selected from various materials capable of blocking wood and other soil. For example, the soil plate may be formed as a flat plate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in consideration of soil properties and geographic space.

상기 흙막이 작업의 종료 후, 작업자는 토굴된 내부공간에 베이스부(10)의 골조를 구성하는 철근을 배설할 수 있다(S130)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베이스부(10)는 콘크리트 또는 시멘트와 같은 공사용 재질이 굳어져 형성될 수 있다. 배설된 철근은 베이스부(10)의 골조를 형성할 수 있다.After the completion of the earth retaining work, the worker may install the reinforcing bars constituting the framework of the base part 10 in the excavated inner space (S130). The same construction material can be hardened and formed. The discharged reinforcing bars may form the frame of the base part 10 .

상기 철근 배설작업의 종료 후, 작업자는 융해된 상태의 콘크리트를 상기 내부공간에 유입하는 콘크리트 타설단계(S140)가 개시될 수 있다. 유입된 콘크리트는 일정 시간이 도과한 후 고체화될 수 있다.After completion of the rebar excretion work, a concrete pouring step (S140) in which the worker introduces the molten concrete into the internal space may be initiated. The introduced concrete may be solidifie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한편, 상기 콘크리트는 현장의 기후상태, 토양상태 등을 고려하여 다른 재질로 대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실시예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당연하다.On the other hand, the concrete can be replaced with other materials in consideration of the climatic conditions and soil conditions of the site, and it is natural that these modified examples a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콘크리트 타설단계(S140)가 종료되면 베이스부(10)는 시공이 완료되어, 이동식 크레인장치(100)를 설치할 준비가 완료된다.When the concrete pouring step (S140) ends, the construction of the base part 10 is completed, and preparation for installing the mobile crane device 100 is completed.

장비 설치단계(S200)에서는 기존에 설치된 철탑과 근접한 위치에 이동식 크레인장치(100)를 설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초 공사단계(S100)에서 타설 완료된 베이스부(10)의 상측에 이동식 크레인장치(100)를 설치할 수 있다.In the equipment installation step (S200), the mobile crane device 100 may be installed in a location close to the previously installed steel tower. Specifically, in the foundation construction step (S100), the mobile crane device 10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st-completed base portion 10.

도 22를 참조하면, 구체적으로 장비 설치단계(S200)는 기초 조립단계(S210), 와이어 연결단계(S220), 와이어 권취단계(S230), 와이어 고정단계(S240) 및 조립체 인양단계(S250)를 포함할 수 있다.22, in detail, the equipment installation step (S200) includes a basic assembly step (S210), a wire connection step (S220), a wire winding step (S230), a wire fixing step (S240) and an assembly lifting step (S250). can include

먼저, 기초 조립단계(S210)에서는 전술한 이동식 크레인장치(100)의 실린더부(110), 마스트부(130) 및 크레인부(140)가 조립될 수 있다. 이때, 실린더부(110), 마스트부(130) 및 크레인부(140)의 조립체가 일렬로 배열된다. 또한, 실린더 고정부(120)가 실린더 하우징부(111)의 하부에 조립된다.First, in the basic assembly step (S210), the cylinder part 110, the mast part 130, and the crane part 140 of the mobile crane device 100 described above may be assembled. At this time, assemblies of the cylinder part 110, the mast part 130 and the crane part 140 are arranged in a line. In addition, the cylinder fixing part 120 is assembled to the lower part of the cylinder housing part 111.

기초 조립단계(S210)에서 실린더부(110), 마스트부(130) 및 크레인부(140)의 조립이 완료되면, 와이어 연결단계(S220)가 개시될 수 있다.When the assembly of the cylinder part 110, the mast part 130, and the crane part 140 is completed in the basic assembly step (S210), the wire connection step (S220) may be initiated.

와이어 연결단계(S220)에서 작업자는, 마스트부(130)의 마스트 고정홀부(136)에 서포팅 와이어(30)를 연결한다. 이때, 마스트부(130)의 지지력을 일정 강도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복수개,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의 서포팅 와이어(30)가 마스트 고정홀부(136)에 연결될 수 있다.In the wire connection step (S220), the operator connects the supporting wire 30 to the mast fixing hole 136 of the mast unit 130. At this time, in order to maintain the support force of the mast part 130 at a certain strength or higher, a plurality of, preferably three or more supporting wires 30 may be connected to the mast fixing hole 136 .

와이어 연결단계(S220)에서 서포팅 와이어(30)의 연결이 완료되면 와이어 권취단계(S230)가 개시될 수 있다.When the connection of the supporting wire 30 is completed in the wire connection step (S220), the wire winding step (S230) may be initiated.

와이어 권취단계(S230)에서 리프팅 윈치부(20)는 서포팅 와이어(30)를 권취한다. 서포팅 와이어(30)가 리프팅 윈치부(20)에 권취, 즉 말아져 감겨짐에 따라 실린더부(110), 마스트부(130) 및 크레인부(140)의 조립체가 대략적으로 수직하게 세워진다.In the wire winding step (S230), the lifting winch unit 20 winds the supporting wire 30. As the supporting wire 30 is wound, that is, rolled around the lifting winch 20, the assembly of the cylinder part 110, the mast part 130, and the crane part 140 is erected substantially vertically.

와이어 고정단계(S240)에서 작업자는, 리프팅 와이어를 지상에 고정한다. 리프팅 와이어가 지상에 고정되면 조립체 인양단계(S250)가 개시될 수 있다.In the wire fixing step (S240), the operator fixes the lifting wire to the ground. When the lifting wire is fixed to the ground, the assembly lifting step (S250) may be initiated.

조립체 인양단계(S250)에서 실린더부(110), 마스트부(130) 및 크레인부(140)의 조립체는 리프팅 와이어에 의해 수직하게 세워진다. 이에 따라, 이동식 크레인장치(100)의 설치가 완료된다.In the assembly lifting step (S250), the assembly of the cylinder part 110, the mast part 130 and the crane part 140 is erected vertically by a lifting wire. Accordingly, the installation of the mobile crane device 100 is completed.

지지물 조립단계(S300)에서는 베이스부(10)의 상측에서 복수개의 관재부(150)를 적층 설치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관재부(150)를 적층하여 관형지지물을 조립 설치할 수 있다.In the support assembly step (S300), a plurality of pipe parts 150 may be stacked and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part 10. That is, it is possible to assemble and install a tubular support by stacking a plurality of tubular members 150.

도 20을 참조하면, 지지물 조립단계(S300)는 관형지지물 배치단계(S310), 관형지지물 적층단계(S320), 실린더 신장단계(S330), 실린더 수축단계(S340) 및 관형지지물 높이 확인단계(S3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0, the support assembly step (S300) includes a tubular support arrangement step (S310), a tubular support stacking step (S320), a cylinder extension step (S330), a cylinder contraction step (S340), and a tubular support height check step (S350). ) may be included.

먼저 관형지지물 배치단계(S310)에서 작업자는, 인양 케이블(147)에 관재부(150)를 연결하고, 크레인 윈치부(146)를 구동한다. 크레인 윈치부(146)는 인양 케이블(147)을 권취하여 관재부(150)를 실린더부(110)의 둘레부에 위치시킨다. 이때, 관재부(150)는 크레인 윈치부(146)에 실린더부(110)의 둘레부에 위치되고, 작업자가 관재부(150)의 조립홀부(157)에 조립볼트부(미도시)를 조립한다.First, in the step of arranging the tubular support (S310), the operator connects the pipe section 150 to the lifting cable 147 and drives the crane winch section 146. The crane winch unit 146 winds the lifting cable 147 to position the tubing unit 150 at the circumference of the cylinder unit 110. At this time, the pipe material part 150 is located on the circumference of the cylinder part 110 in the crane winch part 146, and a worker assembles an assembly bolt part (not shown) into the assembly hole part 157 of the pipe material part 150.

관형지지물 적층단계(S320)에서는, 상기 관형지지물 배치단계(S310)에서 배치된 복수개의 관재부(150)를 조립하여 관형지지물(150a)을 적층할 수 있다. In the tubular support stacking step (S320), the tubular supports 150a may be stacked by assembling the plurality of tubular members 150 arranged in the tubular support arranging step (S310).

구체적으로, 복수의 관재부(150)를 조립하여 최초의 관형지지물(150a)을 형성할 수 있다. 단층의 관형지지물(150a)이 완성되면, 상기 관형지지물(150a)의 상측에 복수의 관재부(150)를 조립하여 상부층(제2층)의 관형지지물(150a)을 형성한다. 작업자는 제2층의 관형지지물(150a)의 상측에서 다시 복수개의 관재부(150)를 조립하여 더욱 높은층의 관형지지물(150a)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0 참조)Specifically, the first tubular support 150a may be formed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tubular members 150 . When the single-layer tubular support 150a is completed, a plurality of tubular members 150 are assembled on the upper side of the tubular support 150a to form the upper (second layer) tubular support 150a. A worker may assemble a plurality of tubular parts 150 again on the upper side of the tubular support 150a of the second layer to form a tubular support 150a of a higher layer. (See Fig. 10)

관형지지물 적층단계(S320)에서 관형지지물(150a)이 실린더부(110)에서 일정한 높이 이상 적층되면, 더 이상 이동식 크레인장치(100)의 구성들이 관형지지물(150a)을 적층할 수 없는 높이에 도달하게 된다. 관형지지물(150a)의 높이가 상기 적층 불가 높이에 도달하면, 관형지지물 적층단계(S320)가 종료된다.In the tubular support stacking step (S320), when the tubular support 150a is stacked above a certain height in the cylinder part 110, the components of the mobile crane device 100 reach a height at which the tubular support 150a can no longer be stacked. will do When the height of the tubular support 150a reaches the non-stacking height, the tubular support stacking step (S320) ends.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관형지지물 적층단계(S320)가 관형지지물 배치단계(S310)보다 선행하여 실시될 수도 있다.Meanwhil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ubular support stacking step (S320) may be performed prior to the tubular support arranging step (S310).

즉, 제1층 관형지지물(150a)를 먼저 조립한 후, 조립되지 않은 관재부(150)를 지상에서 먼저 조립하여 직경이 더 짧은 제2층 관형지지물(150a)을 형성할 수 있다. 제1층 관형지지물(150a)의 직경보다 직경이 더 짧은 제2층 관형지지물(150a)을, 제1층 관형지지물(150a)을 통과시켜 상승시킬 수 있다.That is, after assembling the first layer tubular support (150a) first, it is possible to form a second layer tubular support (150a) having a shorter diameter by first assembling the unassembled tubular member 150 on the ground. The second layer tubular support 150a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layer tubular support 150a may be raised by passing through the first layer tubular support 150a.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작업자가 상공에서 관재부(150)를 조립하여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blems that may occur when a worker assembles the pipe unit 150 in the sky can be prevented.

구체적으로, 높은 상공에서 조립되는 관형지지물(150a)의 특징상, 작업자의 작업 능률이 하락하는 문제점이나 오작업시 관형지지물(150a)을 해체한 후 재조립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할 수 있다.Specifically,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ubular support 150a assembled at high altitude, there may be a problem in that the work efficiency of the operator decreases or it is difficult to disassemble and reassemble the tubular support 150a in case of malfunction.

그러나, 지상에서 관형지지물(150a)을 조립하여 상승시키는 경우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assembling and raising the tubular support 150a on the ground, this problem can be prevented.

관형지지물 적층단계(S320)가 종료되면, 실린더 신장단계(S330)가 개시될 수 있다.When the tubular support stacking step (S320) ends, the cylinder extension step (S330) may be initiated.

실린더 신장단계(S330)에서, 실린더부(110)가 신장됨에 따라 마스트부(130)와 크레인부(140)를 상승시킨다. 이때, 리프팅 가이드부(170)가 마스트부(130)의 상측으로 이동되고, 리프팅 가이드부(170)가 상층의 서포트바(160)에 체결되며, 실린더부(110)의 실린더 하우징부(111)가 실린더 로드부(113)의 인출에 의해 상승된다. 이때, 리프팅 가이드부(170)의 리프팅 고정홀부(171)에 서포트바(160)의 자유단부가 대응된 후 리프팅 볼트부(173)가 리프팅 고정홀부(171)에 체결되어 리프팅 가이드부(170)가 서포트바(160)에 구속된다.In the cylinder extension step (S330), the mast section 130 and the crane section 140 are raised as the cylinder section 110 is extended. At this time, the lifting guide part 170 is moved to the upper side of the mast part 130, the lifting guide part 170 is fastened to the upper support bar 160, and the cylinder housing part 111 of the cylinder part 110 is raised by the withdrawal of the cylinder rod portion 113. At this time, after the free end of the support bar 160 corresponds to the lifting fixing hole 171 of the lifting guide part 170, the lifting bolt part 173 is fastened to the lifting fixing hole 171 to lift the lifting guide part 170 Is constrained to the support bar 160.

실린더 수축단계(S340)에서는, 실린더부(110)가 수축되면서 마스트부(130) 측으로 상승시킨다. 즉, 실린더부(110)의 실린더 로드부(113)가 실린더 하우징부(111)에 인입되면서 상승된다. 이때, 실린더 지지판부(115)가 하층의 서포트바(160)를 통과하도록 상승되고, 서포트바(160)가 자중에 의해 하강되어 수평하게 복귀된다. 따라서, 실린더 지지판부(115)가 서포트바(160)를 통과할 수는 있지만 서포트바(160)에서 아래로 빠지지는 않으므로, 실린더부(110)가 상측으로 일정 높이씩 이동될 수 있다.In the cylinder contraction step (S340), the cylinder part 110 is contracted and raised toward the mast part 130 side. That is, the cylinder rod part 113 of the cylinder part 110 rises while being drawn into the cylinder housing part 111 . At this time, the cylinder support plate portion 115 is raised to pass through the support bar 160 of the lower layer, and the support bar 160 is lowered by its own weight and returned horizontally. Therefore, since the cylinder support plate portion 115 can pass through the support bar 160 but does not fall down from the support bar 160, the cylinder portion 110 can be moved upward by a certain height.

한편, 실린더 로드부(113)가 하강됨에 따라 서포트바(160)에 실린더 지지판부(115)가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서포트바(160)가 복귀된 후 실린더 로드부(113)가 약간 하강되면 실린더 지지판부(115)가 서포트바(160)의 상측에 안정되게 안착된다. 따라서, 실린더 지지판부(115)가 서포트바(160)의 하측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실린더부(110)가 상승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Meanwhile, as the cylinder rod part 113 descends, the cylinder support plate part 115 may be supported by the support bar 160 . At this time, when the cylinder rod part 113 is slightly lowered after the support bar 160 is returned, the cylinder support plate part 115 is stably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bar 160. Therefore, si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ylinder support plate portion 115 from falling to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bar 160, the cylinder portion 110 can maintain an elevated state.

관형지지물 높이 확인단계(S350)에서 작업자는, 현재까지 설치된 관형지지물(150a)의 높이가 목표높이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확인 및 판단할 수 있다.In the step of checking the height of the tubular support (S350), the operator can check and determine whether the height of the tubular support (150a) installed so far has reached the target height.

관형지지물 높이 확인단계(S350)에서 작업자는, 관형지지물(150a)의 높이가 목표높이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에는 다시 관형지지물 적층단계(S320)를 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형지지물(150a)의 높이를 목표치에 도달할 때까지 신장시킬 수 있다.In the step of checking the height of the tubular support (S350), when the height of the tubular support (150a) does not reach the target height, the worker may start the tubular support stacking step (S320) again. Accordingly, the height of the tubular support 150a may be increased until reaching a target value.

본 발명의 목적은, 기설된 철탑을 대체할 수 있는 관형지지물(150a)을 설치하며, 특히 산간지역에 설치된 고압전선용 철탑을 대체할 수 있는 관형지지물(150a)을 설치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tubular support (150a) that can replace an existing steel tower, and in particular, to install a tubular support (150a) that can replace a steel tower for high voltage wires installed in a mountainous area.

고압전선용 철탑은 일반인들의 접촉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며, 기타 차량이나 건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하여 높이가 높게 설계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를 대체하기 위한 관형지지물(150a)의 높이도 일정 높이 이상 형성될 필요가 있다.Steel towers for high voltage wires need to be designed high in height to prevent safety accidents caused by contact by ordinary people and to avoid interference from other vehicles or buildings. Therefore, the height of the tubular support 150a to replace it also needs to be formed above a certain height.

본 발명에 의한 관형지지물(150a)의 설치방법은 작업자가 관형지지물(150a)의 높이를 판단하여 조절할 수 있어, 목표 높이 이상의 관형지지물(150a)을 제공할 수 있다.In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tubular support 150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or can determine and adjust the height of the tubular support 150a, so that the tubular support 150a having a target height or higher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지지물 조립단계(S300)는 관형지지물 높이 확인단계(S350)에서 관형지지물(150a)의 높이가 목표높이에 도달한 경우 종료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assembling step (S300) may end when the height of the tubular support (150a) reaches the target height in the tubular support height check step (S350).

다른 실시예에서, 지지물 조립단계(S300)는 관형지지물 높이 확인단계(S350)의 종료 후, 외부 지지대 결합단계(S360) 및 작업 발판 연결단계(S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upport assembling step (S300) may further include an external support coupling step (S360) and a working scaffold connection step (S370) after the end of the tubular support height checking step (S350).

외부 지지대 결합단계(S360)에서 작업자는 관형지지물(150a)의 둘레부에 복수의 외부 지지대(181)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In the external support coupling step (S360), the operator may detachably couple the plurality of external supports 181 to the circumference of the tubular support 150a.

외부 지지대(181)의 결합이 완료된 후, 작업 발판 연결단계(S370)에서 작업자는 복수의 외부 지지대(181)에 작업 발판을 연결할 수 있다. 작업 발판대는(183) 작업자가 밟고 작업을 할 수 있는 구조물이므로, 작업자의 사고 가능성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After the combination of the external supports 181 is completed, the operator can connect the working scaffolds to the plurality of external supports 181 in the step of connecting the scaffolds (S370). Since the work scaffold 183 is a structure that a worker can step on and work on,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possibility of a worker's accident.

실린더부(110)의 둘레부에 일정 높이의 관형지지물(150a)이 조립되면, 실린더부(110)는 상기와 같이 일정 높이 더 상승된 후 관재부(150)를 다시 조립한다. 따라서, 실린더부(110)와 크레인부(140)가 일정 높이씩 상측으로 이동되므로, 크레인부(140)가 일정 높이씩 상승되면서 관재부(150)를 조립하여 관형지지물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관형지지물의 높이가 높아지더라도 실린더부(110)와 크레인부(140)의 길이를 증가시키지 않아도 된다.When the tubular support 150a of a certain height is assemble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cylinder part 110, the cylinder part 110 is further raised to a certain height as described above, and then the tube member 150 is reassembled. Therefore, since the cylinder part 110 and the crane part 140 are moved upward by a certain height, a tubular support can be formed by assembling the pipe member 150 while the crane part 140 is raised by a certain height. In addition, even if the height of the tubular support increases, the lengths of the cylinder part 110 and the crane part 140 do not need to be increased.

도 20을 참조하면, 지지물 조립단계(S300)가 완료된 상태에서 기설철탑(T)의 내부에 관형지지물(150a)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지지물 조립단계(S300)의 종료 후, 이동식 크레인장치(100)를 이용하여 기설철탑을 분해하는 철탑 해체단계(S400)가 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0 , a tubular support 150a may be installed inside the existing steel tower T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assembly step (S300) is completed. Meanwhile, after the support assembling step (S300) is finished, a steel tower disassembly step (S400) of disassembling the existing steel tower using the mobile crane device 100 may be initiated.

철탑 해체단계(S400)는 아암 연결단계(S410) 및 철골 철거단계(S420)를 포함한다.The steel tower dismantling step (S400) includes an arm connecting step (S410) and a steel frame demolition step (S420).

아암 연결단계(S410)는 기설철탑의 내부에 설치된 관형지지물(150a)의 상측에 구비된 아암부재(150b)에 철탑의 아암부재를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아암부재에 연결된 고압전선이 관형지지물(150a)에 연결될 수 있다.In the arm connecting step (S410), the arm member of the steel tower may be connected to the arm member 150b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tubular support 150a installed inside the existing steel tower. Therefore, the high voltage wire connected to the arm member may be connected to the tubular support 150a.

아암 연결단계(S410)의 종료 후 철탑의 철골 자재를 순차적으로 철거하는 철탑 철거단계(S420)가 개시될 수 있다. 철탑 철거단계(S420)에서 철탑은 상측부터 하측으로 해체될 수 있다.After the end of the arm connection step (S410), a steel tower demolition step (S420) of sequentially removing steel frame materials of the steel tower may be initiated. In the steel tower demolition step (S420), the steel tower may be dismantl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철탑 철거단계(S420)는 기 설치된 이동식 크레인장치(100)를 활용하여 철거가 진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헬기를 이용하여 철탑을 철거할 수도 있다.In the steel tower demolition step (S420), the demolition may proceed by utilizing the previously installed mobile crane device 100. In another embodiment, the steel tower may be removed using a helicopter.

장비 철거단계(S500)에서는 설치된 이동식 크레인장치(100)를 철거할 수 있다.In the equipment removal step (S500), the installed mobile crane device 100 may be removed.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such,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베이스부 20: 리프팅 윈치부
100: 이동식 크레인장치 110: 실린더부
111: 실린더 하우징부 112: 실린더 플랜지부
112a: 실린더홀부 112b: 실린더 볼트부
113: 실린더 로드부 114: 구름볼부
115: 실린더 지지판부 116: 구름홀부
120: 실린더 고정부 122: 삽입홀부
130: 마스트부 131: 단위 마스트
133: 마스트 플랜지부 134: 마스트 볼트홀부
135: 마스트 볼트부 136: 마스트 고정홀부
137: 발판 볼트부 137a: 발판 볼트홀부
140: 크레인부 141: 회전 모터부
142: 회전 테이블 143: 크레인붐
145: 각도조절 실린더부 146: 크레인 윈치부
147: 인양 케이블 150: 관재부
150a: 관형지지물 151: 서포트 블록부
152: 서포트 볼트부 154: 스토퍼부
155: 회전 허용부 157: 조립홀부
158: 조립 볼트부 160: 서포트바
170: 리프팅 가이드부 171: 리프팅 고정홀부
173: 리프팅 볼트부 175: 리프팅 고리부
181: 외부 지지대 182: 외부 고정홀부
183: 작업 발판부 185: 외부 보강바
186: 힌지부
S100: 기초 공사단계 S200: 장비 설치단계
S300: 지지물 조립단계 S400: 철탑 해체단계
S500: 장비 철거단계
10: base part 20: lifting winch part
100: mobile crane device 110: cylinder part
111: cylinder housing portion 112: cylinder flange portion
112a: cylinder hole portion 112b: cylinder bolt portion
113: cylinder rod part 114: rolling ball part
115: cylinder support plate part 116: rolling hole part
120: cylinder fixing part 122: insertion hole part
130: mast part 131: unit mast
133: mast flange portion 134: mast bolt hole portion
135: mast bolt part 136: mast fixing hole part
137: scaffolding bolt part 137a: scaffolding bolt hole part
140: crane unit 141: rotation motor unit
142: rotary table 143: crane boom
145: angle adjusting cylinder part 146: crane winch part
147: lifting cable 150: administration department
150a: tubular support 151: support block
152: support bolt part 154: stopper part
155: rotation allowance part 157: assembly hole part
158: assembly bolt part 160: support bar
170: lifting guide part 171: lifting fixing hole part
173: lifting bolt part 175: lifting hook part
181: external support 182: external fixing hole
183: work scaffold 185: external reinforcing bar
186: hinge part
S100: foundation construction step S200: equipment installation step
S300: support assembly step S400: steel tower disassembly step
S500: equipment demolition step

Claims (11)

기존에 설치된 철탑과 이동식 크레인장치를 이용한 관형지지물 설치방법에 있어서,
상기 철탑의 내측공간에 지지물의 기초인 베이스부를 공사하는 기초 공사단계;
상기 철탑과 근접한 위치에 상기 이동식 크레인장치를 설치하는 장비 설치단계; 및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에서 복수개의 관재부를 적층 설치하는 지지물 조립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물 조립단계는,
상기 이동식 크레인장치를 이용하여 하측에서 상측으로 적어도 2회 이상 순차적으로 관재들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지지물 설치방법.
In the method of installing a tubular support using an existing steel tower and a mobile crane device,
A foundation construction step of constructing a base part, which is a foundation of a support, in the inner space of the steel tower;
Equipment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the mobile crane device in a position close to the steel tower; and
A support assembly step of stacking and installing a plurality of pipe materials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part;
Including,
The step of assembling the support is
Tubular support install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pipe materials are sequentially assembled at least twice or more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using the mobile cran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물 조립단계는,
실린더부의 둘레를 따라 관재부를 배치하는 관형지지물 배치단계;
크레인부가 배치된 상기 관재부를 조립함에 따라 복수 층의 관형지지물을 적층하는 관형지지물 적층단계;
상기 실린더부가 신장됨에 따라 마스트부와 상기 크레인부를 상승시키는 실린더 신장단계;
상기 실린더부가 수축되면서 상기 마스트부 측으로 상승하는 실린더 수축단계; 및
상기 적층된 관형지지물의 높이가 목표높이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관형지지물 높이 확인단계;
를 포함하는 관형지지물 설치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assembling the support is
A tubular support arranging step of arranging a tubular memb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ylinder portion;
A tubular support stacking step of stacking a plurality of layers of tubular supports by assembling the tubular member on which the crane unit is disposed;
Cylinder elongation step of raising the mast part and the crane part as the cylinder part elongates;
a cylinder contraction step of rising toward the mast part while the cylinder part is contracted; and
a height checking step of the tubular support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height of the stacked tubular supports has reached a target height;
Tubular support installation method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지지물 배치단계는,
상기 관형지지물 높이 확인단계에서, 상기 적층된 관형지지물의 높이가 목표높이 이하인 경우, 다시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지지물 설치방법.
According to claim 2,
In the step of arranging the tubular support,
In the step of checking the height of the tubular support, when the height of the stacked tubular supports is less than the target height, the method of installing the tubular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the start aga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물 조립단계의 종료 후, 상기 이동식 크레인장치를 이용하여 기설철탑을 분해하는 철탑 해체단계;
를 더 포함하는 관형지지물 설치방법.
According to claim 1,
A steel tower disassembly step of disassembling an existing steel tower using the mobile crane device after the support assembly step is finished;
Tubular support installation method further comprising 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철탑 해체단계는,
상기 기설철탑의 내부에 설치된 관형지지물에, 철탑의 아암부재를 연결하는 아암 연결단계; 및
상기 철탑의 철골 자재를 상측부터 순차적으로 철거하는 철골 철거단계;
를 포함하는 관형지지물 설치방법.
According to claim 4,
The steel tower dismantling step,
An arm connection step of connecting an arm member of the steel tower to a tubular support installed inside the existing steel tower; and
A steel frame demolition step of sequentially removing the steel frame materials of the steel tower from the upper side;
Tubular support installation metho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공사단계는,
상기 베이스부가 타설될 수 있는 공간을 파내는 굴착 작업단계;
상기 굴착 작업단계에서 형성된 공간의 외벽에 토류판을 설치하는 흙막이 작업단계;
상기 형성된 공간의 내부에 상기 베이스부의 골조를 형성하는 철근 배설단계; 및
상기 철근 배설단계의 종료 후, 상기 형성된 공간에 콘크리트를 유입하는 콘크리트 타설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장비 설치단계는,
상기 콘크리트 타설단계의 종료 후, 소정의 시간이 도과된 뒤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지지물 설치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foundation construction stage,
Excavation work step of digging a space in which the base part can be poured;
Earth retaining work step of installing an earth plate on the outer wall of the space formed in the excavation work step;
A reinforcing bar installation step of forming a framework of the base part in the formed space; and
A concrete pouring step of introducing concrete into the formed space after the completion of the reinforcing bar excretion step;
Including,
The equipment installation step,
Tubular support install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start after the elapse of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end of the concrete pouring step.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굴착 작업단계에서 형성되는 공간은, 소정의 깊이를 갖는 대략적인 직육면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지지물 설치방법.
According to claim 6,
The tubular support install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space formed in the excavation step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비 설치단계는,
상기 이동식 크레인장치의 각 구성을 조립하는 기초 조립단계;
서포팅 와이어를 마스트부에 연결 고정하는 와이어 연결단계;
상기 서포팅 와이어를 리프팅 윈치부로 말아 감는 와이어 권취단계; 및
리프팅 와이어를 이용해, 상기 기초 조립단계에서 조립된 구성들을 수직하게 세우는 조립체 인양단계;
를 포함하는 관형지지물 설치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equipment installation step,
A basic assembly step of assembling each component of the mobile crane device;
A wire connection step of connecting and fixing the supporting wire to the mast;
a wire winding step of winding the supporting wire with a lifting winch; and
An assembly lifting step of vertically erecting the components assembled in the basic assembly step using a lifting wire;
Tubular support installation method comprising 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철탑 해체단계의 종료 후, 상기 이동식 크레인장치를 해체하는 장비 철거단계;
를 더 포함하는 관형지지물 설치방법.
According to claim 4,
Equipment demolition step of dismantling the mobile crane device after the completion of the tower dismantling step;
Tubular support installation method further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물 조립단계는,
상기 관형지지물 적층단계가 상기 관형지지물 배치단계에 선행하여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지지물 설치방법.
According to claim 2,
The step of assembling the support is
The tubular support install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stacking the tubular support is initiated prior to the step of arranging the tubular suppor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물 조립단계는,
상기 관형지지물 높이 확인단계의 종료 후, 상기 관형지지물의 둘레부에 복수의 외부 지지대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외부 지지대 결합단계; 및
상기 복수의 외부 지지대에 작업 발판을 연결하는 작업 발판 연결단계;
를 더 포함하는 관형지지물 설치방법.
According to claim 2,
The step of assembling the support is
An external support coupling step of detachably coupling a plurality of external supports to the circumference of the tubular support after completion of the step of checking the height of the tubular support; and
Working scaffold connecting step of connecting the working scaffold to the plurality of external supports;
Tubular support installation method further comprising a.
KR1020210073500A 2021-06-07 2021-06-07 Construction method for turbular supporting pole KR2022016503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500A KR20220165039A (en) 2021-06-07 2021-06-07 Construction method for turbular supporting po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500A KR20220165039A (en) 2021-06-07 2021-06-07 Construction method for turbular supporting po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5039A true KR20220165039A (en) 2022-12-14

Family

ID=84438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3500A KR20220165039A (en) 2021-06-07 2021-06-07 Construction method for turbular supporting po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503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29316B2 (en) Telescopic tower assembly and method
CN107155336B (en) Concrete tower and associated formwork and associated construction method
US8959870B2 (en) Fluid-actuated telescoping tower for supporting heavy loads
US11274465B2 (en) Tower erection and climbing systems
US10012005B2 (en) Crane system incorporated into a tower
US20120210668A1 (en) Tubular building structure with hingedly connected platform segment
KR20110112228A (en) Method of building a hybrid tower for a wind generator
CA2823814C (en) Mounting assembly and method to erect in sections an annular tower for wind or heliostatic power generators in an energy farm
CN112554577B (en) Construction method of large-diameter thick-wall continuous Y-shaped steel pipe column
JP2018044318A (en) Construction method of silo roof section, and silo roof structure
KR20220165039A (en) Construction method for turbular supporting pole
KR102207793B1 (en) Moving type crane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JP7058892B1 (en) Steel structure constructed around the existing columnar body and its construction method
JP3905103B2 (en) Tower-like building erection method and erection device
JP3220397B2 (en) Elevating scaffold
JP2006118245A (en) Construction method of large scaled high-rise tower structure by moving stage mounting heavy equipment thereon
JP6953655B1 (en) A set of boxes that make up the scaffold
AU2003221623B2 (en) A transportable building and self-levelling chassis therefor
WO2023095002A1 (en) Apparatus for assembling wind turbines and method therefor
JPH03125755A (en) Constructing method for cylindrical multistoried structure
CN211034823U (en) Assembled derrick
US20230243176A1 (en) Modular foundation for tower with expandable base
CN116856543A (en) Construction method of stacked dome steel structure
JP6355801B2 (en) Construction method of dome-like roof structure
CN118047314A (en) Rotary tower inner support climbing cran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