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3529B1 - 녹조 제거 초음파 장치 - Google Patents

녹조 제거 초음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3529B1
KR102113529B1 KR1020180069829A KR20180069829A KR102113529B1 KR 102113529 B1 KR102113529 B1 KR 102113529B1 KR 1020180069829 A KR1020180069829 A KR 1020180069829A KR 20180069829 A KR20180069829 A KR 20180069829A KR 102113529 B1 KR102113529 B1 KR 102113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 algae
ultrasonic
output unit
sensor
ref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9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2646A (ko
Inventor
손영규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69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3529B1/ko
Publication of KR20190142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2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3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3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echanical oscillations
    • C02F1/3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echanical oscillations ultrasonic vib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녹조 제거 초음파 장치가 개시된다. 녹조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100); 녹조 여부에 따라 녹조가 발생된 수면 아래로 이동되어 녹조에 초음파가 집중 조사되도록 초음파를 반사하는 반사판(200); 및 수면 위에 위치하고 초음파를 수면 아래로 출력하고 반사판(200)에서 초음파가 반사되어 정상파를 이루는 초음파 출력부(300)를 포함한다. 따라서 초음파를 수면 아래로 출력하고 반사판에서 초음파가 반사되어 정상파를 이룸으로써 초음파가 녹조에 작용해서 녹조가 성장하지 못하게 할 수 있고, 초음파 출력부를 녹조 깊이에 비례하게 수면 아래로 이동시켜 초음파가 수면에 반사되어 정상파를 이룸으로써 초음파가 녹조에 작용해서 녹조가 성장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녹조 제거 초음파 장치{ULTRAVIOLET DISINFECTING PLANTS FOR GREENERY}
본 발명은 녹조 제거 초음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음파로 녹조를 제거하는 녹조 제거 초음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녹조 제거 초음파 장치는 수면 아래로 초음파를 출력해서 초음파에 의해 녹조를 제거한다. 초음파는 녹조 세포에 작용해서 성장을 멈추게 할 수 있다. 녹조는 연못, 호수, 저수지와 같이 물이 순환하지 않고 정체되어 있는 수역에서 발생한다. 녹조는 물 속의 용존 산소량을 떨어 뜨려 물고기 폐사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녹조를 제거하는 장치로는 녹조 제거 초음파 장치가 있다. 녹조 제거 초음파 장치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녹조에 초음파를 조사해서 녹조 세포가 성장하지 못하도록 한다.
녹조 제거 초음파 장치에서 핵심 부품을 이루는 초음파 출력부는 수면 위에서 수면 아래로 초음파를 출력하는데 초음파가 녹조에 집중 조사되지 않고 퍼져 나가는 성질이 있다. 종래 녹조 제거 초음파 장치는 녹조에 초음파가 집중 조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녹조 제거 초음파 장치는 센서로 녹조 여부를 감지하고 녹조가 발생한 경우 초음파를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녹조마다 수면 아래로 발생하여 부유하는 깊이가 달라질 수 있다. 종래 녹조 제거 초음파 장치는 녹조가 발생한 깊이에 관계없이 초음파를 수면 아래로 출력해서 녹조 제거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번호 제10-1769516호, 초음파를 이용한 녹조제거장치 등록번호 제10-1775960호, 초음파를 이용한 유해 조류제거장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초음파가 녹조에 집중 조사되도록 초음파를 수면 아래로 출력하고 반사판에서 초음파가 반사되어 정상파를 이루는 녹조 제거 초음파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센서가 감지한 녹조 여부에 따른 녹조 깊이에 반응하여 초음파 출력부를 녹조 깊이에 비례하게 수면 아래로 이동시키는 녹조 제거 초음파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녹조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100); 녹조 여부에 따라 녹조가 발생된 수면 아래로 이동되어 녹조에 초음파가 집중 조사되도록 초음파를 반사하는 반사판(200); 및 수면 위에 위치하고 초음파를 수면 아래로 출력하고 반사판(200)에서 초음파가 반사되어 정상파를 이루는 초음파 출력부(300)를 포함한다.
또한, 녹조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100); 및 녹조 여부에 따라 녹조가 발생된 수면 아래로 이동되어 녹조에 초음파가 집중 조사되도록 초음파를 출력하는 제1초음파 출력부(310)를 포함한다.
또한, 제1초음파 출력부(310)는 초음파를 반사하는 반사판(200)을 포함하고, 수면 위에 위치하고 초음파를 수면 아래로 출력하고 제1초음파 출력부(310)에서 초음파가 반사되어 정상파를 이루는 제2초음파 출력부(32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센서(100)가 감지한 녹조 여부에 따른 녹조 깊이에 반응하여 초음파 출력부(300), 제1초음파 출력부(310) 또는 제2초음파 출력부(320) 중 어느 한 초음파 출력부(300)를 녹조 깊이에 비례하게 수면 아래로 이동시키는 이동부(50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이동부(500)는 고속 구동부를 이용한 스텝 모터를 구동하여 초음파 출력부를 이동시킨다. 고속 구동부는 스텝 모터를 구동하는 드라이버에 펄스 간격을 고속 가속하여 출력한다. 고속 구동부는 가속 테이블을 이용하여 펄스 간격을 정지 가속과 일정 속도에서 다른 일정 속도로 가속한다. 가속 테이블은 정지 가속하는 수학식 1의
Figure 112018059595444-pat00001
과 고속 가속하는 수학식 2의
Figure 112018059595444-pat00002
(N은 2보다 큰 자연수)로 만들어진다.
또한, 센서(100)는 초분광 센서, 엽록소 센서 및 온도 센서 중 어느 하나이다.
또한, 반사판(200)은 중간에 공기층을 가져 수면과 같은 물과 공기의 반사층을 형성한다.
또한, 초음파 출력부(300)는 20 내지 40 킬로헤르츠의 초음파를 출력하고, 초음파 출력부(300)와 반사판(200)의 거리는 10λ초음파 파장 범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녹조 제거 초음파 장치를 이용할 경우에는 초음파를 수면 아래로 출력하고 반사판에서 초음파가 반사되어 정상파를 이룸으로써 초음파가 녹조에 작용해서 녹조가 성장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초음파 출력부를 녹조 깊이에 비례하게 수면 아래로 이동시켜 초음파가 수면에 반사되어 정상파를 이룸으로써 초음파가 녹조에 작용해서 녹조가 성장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녹조 제거 초음파 장치의 제1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녹조 제거 초음파 장치의 제2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녹조 제거 초음파 장치의 제3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녹조 제거 초음파 장치의 제1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녹조 제거 초음파 장치는 녹조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100); 녹조 여부에 따라 녹조가 발생된 수면 아래로 이동되어 녹조에 초음파가 집중 조사되도록 초음파를 반사하는 반사판(200); 및 수면 위에 위치하고 초음파를 수면 아래로 출력하고 반사판(200)에서 초음파가 반사되어 정상파를 이루는 초음파 출력부(300)를 포함한다.
센서(100)는 녹조 여부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센서(100)는 초분광 센서, 엽록소 센서 및 온도 센서 중 어느 하나이다. 초분광 센서는 해상도가 약간 낮지만 최대 천개 정도의 좁은 스펙트럼 밴드를 촬영할 수 있어 녹조의 반사특성을 그대로 기록할 수 있고, 엽록소 센서는 엽록소 형광을 측정할 수 있고, 온도 센서는 물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외에 센서(100)에는 녹조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센서(100)는 녹조 센서에 용존산소(DO) 측정 센서를 추가하고, 용존산소 센서가 용존산소를 측정하여 일정 농도 미만일 경우 공기를 주입하는 산기관을 통해 호수 또는 하천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용존 가스가 많을수록 초음파 공동 현상이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다는 실험 결과에 기반을 두고 있다. 즉, 녹조 센서에 의해 반사판(200) 위치가 조절되며, 용존산소 측정 센서에 의해 용존산소 농도를 충분한 수준으로 유지하여 초음파 공동 현상의 정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반사판(200)은 중간에 공기층을 형성한다. 반사판(200)은 녹조 여부에 따라 녹조가 발생된 수면 아래로 이동되어 녹조에 초음파가 집중 조사되도록 초음파를 반사한다.
초음파 출력부(300)는 수면 위에 위치하고 초음파를 수면 아래로 출력하고 반사판(200)에서 초음파가 반사되어 정상파를 이룬다. 초음파 출력부(300)는 20 내지 40 킬로헤르츠의 초음파를 출력하고, 초음파 출력부(300)와 반사판(200)의 거리는 10λ초음파 파장 범위이다.
실시예로, 센서(100)는 초음파 출력부(300) 일측으로부터 수면 아래로 이동하여 녹조 여부를 감지하거나 수면 아래 일정 거리에 위치해서 녹조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100)는 수면 아래로 이동할 때 접힌 링크가 펼쳐져 늘어나서 길이 조정되는 말단에 위치할 수 있다.
녹조 제거 초음파 장치는 센서(100)가 감지한 녹조 여부에 따른 녹조 깊이에 반응하여 반사판(200)을 녹조 깊이에 비례하게 수면 아래로 이동시키는 이동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500)는 반사판(200)을 수면 아래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적 구조를 가진다. 기구적 구조는 수면 위에 뜰 수 있는 부표(400); 및 부표(400)와 반사판(200)을 링크 연결하고 스텝 모터의 구동으로 링크를 펼치거나 접어 반사판(200)의 수면 아래 이동 거리를 조절하는 이동부(500)를 포함한다. 초음파 출력부(300)에는 초음파 소자가 2D로 배열되어 있고, 부표(400)가 반사판(200)의 네 모서리에 연결될 수 있다. 부표(400)와 반사판(200) 사이에 위치하는 이동부(500)가 스텝 모터를 구동해서 반사판(200)의 수면 아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동부(500)는 고속 구동부를 이용한 스텝 모터를 구동하여 반사판(200)을 이동시킨다. 고속 구동부는 스텝 모터를 구동하는 드라이버에 펄스 간격을 고속 가속하여 출력한다. 고속 구동부는 가속 테이블을 이용하여 펄스 간격을 정지 가속과 일정 속도에서 다른 일정 속도로 가속한다. 가속 테이블은 정지 가속하는 수학식 1의
Figure 112018059595444-pat00003
과 고속 가속하는 수학식 2의
Figure 112018059595444-pat00004
(N은 2보다 큰 자연수)로 만들어진다.
실시예로, 부표(400) 대신 보트가 구성될 수 있다. 보트는 수면 아래에 잠긴 외형에 초음파 출력부(300)가 구성되고, 반사판(200)이 초음파 출력부(300) 네 모서리에 연결되고 이동부(500)에 의해 수면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보트는 GPS를 탑재하여 호수 수면 위를 돌아 다닐 수 있다. 보트는 GPS로 현재 위치를 계산하고 호수의 경계선 데이터를 참조하여 호수 수면 위를 주행하면서 센서(100)로 녹조 여부를 감지하면서 초음파 출력부(300)를 구동해서 녹조 성장을 제한할 수 있다. 보트는 평상시에는 정박해 있다 녹조 경보가 발생하면 녹조 제거를 실행할 수 있다. 녹조 경보는 원격 통지될 수 있고, 보트도 원격 제어될 수 있다. 보트에 탑재된 카메라가 관리 서버로 주행 영상을 전송해서 관리자가 주행 영상을 보면서 녹조 제거 작업이 원할하게 수행되는지를 감시할 수 있다. 관리 서버는 녹조 제거 작업에 따른 데이터를 수집하고, 다음 녹조 제거 작업에 반영할 수 있다.
도 2는 녹조 제거 초음파 장치의 제2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녹조 제거 초음파 장치는 녹조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100); 및 녹조 여부에 따라 녹조가 발생된 수면 아래로 이동되어 녹조에 초음파가 집중 조사되도록 초음파를 출력하는 제1초음파 출력부(310)를 포함한다.
센서(100)는 녹조 여부를 감지한다. 센서(100)는 초분광 센서, 엽록소 센서 및 온도 센서 중 어느 하나이다. 초분광 센서는 해상도가 약간 낮지만 최대 천개 정도의 좁은 스펙트럼 밴드를 촬영할 수 있어 녹조의 반사특성을 그대로 기록할 수 있고, 엽록소 센서는 엽록소 형광을 측정할 수 있고, 온도 센서는 물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1초음파 출력부(310)는 녹조 여부에 따라 녹조가 발생된 수면 아래로 이동되어 녹조에 초음파가 집중 조사되도록 초음파를 출력한다. 제1초음파 출력부(310)는 20 내지 40 킬로헤르츠의 초음파를 출력하고, 제1초음파 출력부(310)와 수면과의 거리는 10λ초음파 파장 범위이다.
실시예로, 센서(100)는 제1초음파 출력부(300) 일측에 위치해서 제1초음파 출력부(300)가 수면 아래로 이동할 때 녹조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1초음파 출력부는 수면 아래로 이동할 때 접힌 링크가 펼쳐져 늘어나서 길이 조정될 수 있다.
녹조 제거 초음파 장치는 센서(100)가 감지한 녹조 여부에 따른 녹조 깊이에 반응하여 제1초음파 출력부(310)를 녹조 깊이에 비례하게 수면 아래로 이동시키는 이동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500)는 초음파 출력부(300)를 수면 아래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적 구조를 가진다. 기구적 구조는 수면 위에 뜰 수 있는 부표(400); 및 부표(400)와 제1초음파 출력부(310)를 링크 연결하고 스텝 모터의 구동으로 링크를 펼치거나 접어 제1초음파 출력부(310)의 수면 아래 이동 거리를 조절하는 이동부(500)를 포함한다. 제1초음파 출력부(310)에는 초음파 소자가 2D로 배열되어 있고, 부표(400)가 제1초음파 출력부(310)의 네 모서리에 연결될 수 있다. 부표(400)와 제1초음파 출력부(310) 사이에 위치하는 이동부(500)가 스텝 모터를 구동해서 제1초음파 출력부(310)의 수면 아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동부(500)는 고속 구동부를 이용한 스텝 모터를 구동하여 제1초음파 출력부(310)를 이동시킨다. 고속 구동부는 스텝 모터를 구동하는 드라이버에 펄스 간격을 고속 가속하여 출력한다. 고속 구동부는 가속 테이블을 이용하여 펄스 간격을 정지 가속과 일정 속도에서 다른 일정 속도로 가속한다. 가속 테이블은 정지 가속하는 수학식 1의
Figure 112018059595444-pat00005
과 고속 가속하는 수학식 2의
Figure 112018059595444-pat00006
(N은 2보다 큰 자연수)로 만들어진다.
실시예로, 부표(400) 대신 보트가 구성될 수 있다. 보트는 수면 아래에 잠긴 외형에 제1초음파 출력부(300)가 구성되고, 제1초음파 출력부(300)가 이동부(500)에 의해 수면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보트는 GPS를 탑재하여 호수 수면 위를 돌아 다닐 수 있다. 보트는 GPS로 현재 위치를 계산하고 호수의 경계선 데이터를 참조하여 호수 수면 위를 주행하면서 센서(100)로 녹조 여부를 감지하면서 제1초음파 출력부(300)를 구동해서 녹조 성장을 제한할 수 있다. 보트는 평상시에는 정박해 있다 녹조 경보가 발생하면 녹조 제거를 실행할 수 있다. 녹조 경보는 원격 통지될 수 있고, 보트도 원격 제어될 수 있다. 보트에 탑재된 카메라가 관리 서버로 주행 영상을 전송해서 관리자가 주행 영상을 보면서 녹조 제거 작업이 원할하게 수행되는지를 감시할 수 있다. 관리 서버는 녹조 제거 작업에 따른 데이터를 수집하고, 다음 녹조 제거 작업에 반영할 수 있다.
도 3은 녹조 제거 초음파 장치의 제3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녹조 제거 초음파 장치는 녹조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100); 및 녹조 여부에 따라 녹조가 발생된 수면 아래로 이동되어 녹조에 초음파가 집중 조사되도록 초음파를 출력하는 제1초음파 출력부(310)를 포함한다.
제1초음파 출력부(310)는 초음파를 반사하는 반사판(200)을 포함하고, 녹조 제거 초음파 장치는 수면 위에 위치하고 초음파를 수면 아래로 출력하고 제1초음파 출력부(310)에서 초음파가 반사되어 정상파를 이루는 제2초음파 출력부(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100)는 녹조 여부를 감지한다. 센서(100)는 초분광 센서, 엽록소 센서 및 온도 센서 중 어느 하나이다. 초분광 센서는 해상도가 약간 낮지만 최대 천개 정도의 좁은 스펙트럼 밴드를 촬영할 수 있어 녹조의 반사특성을 그대로 기록할 수 있고, 엽록소 센서는 엽록소 형광을 측정할 수 있고, 온도 센서는 물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반사판(200)은 중간에 공기층을 가져 수면과 같은 물과 공기의 반사층을 형성하며, 제1초음파 출력부(310)에 구성될 수 있다.
제1초음파 출력부(310)와 제2초음파 출력부(320)는 20 내지 40 킬로헤르츠의 초음파를 출력하고, 제2초음파 출력부(320)와 반사판(200)의 거리는 10λ초음파 파장 범위이다.
실시예로, 센서(100)는 제1초음파 출력부(300) 일측에 위치해서 제1초음파 출력부(300)가 수면 아래로 이동할 때 녹조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1초음파 출력부는 수면 아래로 이동할 때 접힌 링크가 펼쳐져 늘어나서 길이 조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센서(100)는 제2초음파 출력부(300) 일측으로부터 수면 아래로 이동하여 녹조 여부를 감지하거나 수면 아래 일정 거리에 위치해서 녹조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100)는 수면 아래로 이동할 때 접힌 링크가 펼쳐져 늘어나서 길이 조정되는 말단에 위치할 수 있다.
녹조 제거 초음파 장치는 센서(100)가 감지한 녹조 여부에 따른 녹조 깊이에 반응하여 제1초음파 출력부(310)를 녹조 깊이에 비례하게 수면 아래로 이동시키는 이동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500)는 초음파 출력부(300)를 수면 아래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적 구조를 가진다. 기구적 구조는 수면 위에 뜰 수 있는 부표(400); 및 부표(400)와 제1초음파 출력부(310)를 링크 연결하고 스텝 모터의 구동으로 링크를 펼치거나 접어 제1초음파 출력부(310)의 수면 아래 이동 거리를 조절하는 이동부(500)를 포함한다. 제1초음파 출력부(310)에는 초음파 소자가 2D로 배열되어 있고, 부표(400)가 제1초음파 출력부(310)의 네 모서리에 연결될 수 있다. 부표(400)와 제1초음파 출력부(310) 사이에 위치하는 이동부(500)가 스텝 모터를 구동해서 제1초음파 출력부(310)의 수면 아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동부(500)는 고속 구동부를 이용한 스텝 모터를 구동하여 제1초음파 출력부(310)를 이동시킨다. 고속 구동부는 스텝 모터를 구동하는 드라이버에 펄스 간격을 고속 가속하여 출력한다. 고속 구동부는 가속 테이블을 이용하여 펄스 간격을 정지 가속과 일정 속도에서 다른 일정 속도로 가속한다. 가속 테이블은 정지 가속하는 수학식 1의
Figure 112018059595444-pat00007
과 고속 가속하는 수학식 2의
Figure 112018059595444-pat00008
(N은 2보다 큰 자연수)로 만들어진다.
실시예로, 부표(400) 대신 보트가 구성될 수 있다. 보트는 수면 아래에 잠긴 외형에 제2초음파 출력부(312)가 구성되고, 제1초음파 출력부(300)가 이동부(500)에 의해 수면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보트는 GPS를 탑재하여 호수 수면 위를 돌아 다닐 수 있다. 보트는 GPS로 현재 위치를 계산하고 호수의 경계선 데이터를 참조하여 호수 수면 위를 주행하면서 센서(100)로 녹조 여부를 감지하면서 제1초음파 출력부(300)를 구동해서 녹조 성장을 제한할 수 있다. 보트는 평상시에는 정박해 있다 녹조 경보가 발생하면 녹조 제거를 실행할 수 있다. 녹조 경보는 원격 통지될 수 있고, 보트도 원격 제어될 수 있다. 보트에 탑재된 카메라가 관리 서버로 주행 영상을 전송해서 관리자가 주행 영상을 보면서 녹조 제거 작업이 원할하게 수행되는지를 감시할 수 있다. 관리 서버는 녹조 제거 작업에 따른 데이터를 수집하고, 다음 녹조 제거 작업에 반영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센서 200: 반사판
300: 초음파 출력부 310: 제1초음파 출력부
320: 제2초음파 출력부

Claims (7)

  1. 녹조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100);
    상기 녹조 여부에 따라 녹조가 발생된 수면 아래로 이동되어 녹조에 초음파가 집중 조사되도록 초음파를 반사하는 반사판(200); 및
    수면 위에 위치하고 초음파를 수면 아래로 출력하고 상기 반사판(200)에서 초음파가 반사되어 정상파를 이루는 초음파 출력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100)가 감지한 녹조 여부에 따른 녹조 깊이에 반응하여 초음파 출력부(300) 또는 반사판(200)을 녹조 깊이에 비례하게 수면 아래로 모터의 구동에 의해 이동시키는 이동부(5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반사판(200)은 중간에 공기층을 갖는 녹조 제거 초음파 장치.
  2. 녹조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100); 및
    상기 녹조 여부에 따라 녹조가 발생된 수면 아래로 이동되어 녹조에 초음파가 집중 조사되도록 초음파를 출력하는 반사판(200) 및 제1초음파 출력부(310)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100)가 감지한 녹조 여부에 따른 녹조 깊이에 반응하여 제1초음파 출력부(310) 또는 반사판(200)을 녹조 깊이에 비례하게 수면 아래로 모터의 구동에 의해 이동시키는 이동부(5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반사판(200)은 중간에 공기층을 갖는 녹조 제거 초음파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초음파 출력부(310)는 초음파를 반사하는 반사판(200)을 포함하고,
    수면 위에 위치하고 초음파를 수면 아래로 출력하고 상기 제1초음파 출력부(310)에서 초음파가 반사되어 정상파를 이루는 제2초음파 출력부(320)를 더 포함하는 녹조 제거 초음파 장치.
  4. 삭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100)는 초분광 센서, 엽록소 센서 및 온도 센서 중 어느 하나인 녹조 제거 초음파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출력부(300)는 20 내지 40 킬로헤르츠의 초음파를 출력하고, 상기 초음파 출력부(300)와 상기 반사판(200)의 거리는 10λ초음파 파장 범위인 녹조 제거 초음파 장치.
KR1020180069829A 2018-06-18 2018-06-18 녹조 제거 초음파 장치 KR102113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829A KR102113529B1 (ko) 2018-06-18 2018-06-18 녹조 제거 초음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829A KR102113529B1 (ko) 2018-06-18 2018-06-18 녹조 제거 초음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646A KR20190142646A (ko) 2019-12-27
KR102113529B1 true KR102113529B1 (ko) 2020-05-21

Family

ID=69062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9829A KR102113529B1 (ko) 2018-06-18 2018-06-18 녹조 제거 초음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352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7904B2 (ja) * 1997-08-20 2002-03-25 株式会社マリン技研 水域浄化装置
JP2014519402A (ja) * 2011-05-03 2014-08-14 クレスト オイル アンド ガス,インク 超音波空気ブランケット反射器
KR101570120B1 (ko) * 2015-04-01 2015-11-19 주식회사 현진기업 초음파 녹조제거 시스템
KR101769516B1 (ko) * 2015-10-19 2017-08-21 (주)가람이앤씨 초음파를 이용한 녹조제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5960B1 (ko) 2016-01-12 2017-09-07 주식회사 캡쳐 초음파를 이용한 유해 조류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7904B2 (ja) * 1997-08-20 2002-03-25 株式会社マリン技研 水域浄化装置
JP2014519402A (ja) * 2011-05-03 2014-08-14 クレスト オイル アンド ガス,インク 超音波空気ブランケット反射器
KR101570120B1 (ko) * 2015-04-01 2015-11-19 주식회사 현진기업 초음파 녹조제거 시스템
KR101769516B1 (ko) * 2015-10-19 2017-08-21 (주)가람이앤씨 초음파를 이용한 녹조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646A (ko) 2019-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89528A1 (en) Robotic Aquaculture System and Methods
BR112017025697B1 (pt) Sistema de controle para um objeto, objeto e método para fornecer um sistema antibioincrustação
Liedermann et al. Typification of vessel-induced waves and their interaction with different bank types, including management implications for river restoration projects
KR20190129505A (ko) 양식장 관리 장치
KR101811527B1 (ko) 산호 개체군의 모니터링 방법
KR101235053B1 (ko) 녹조제거초음파장비
KR102113529B1 (ko) 녹조 제거 초음파 장치
Erm et al. The impact of fast ferry traffic on underwater optics and sediment resuspension
Beckert et al. Theoretical an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of an attached remora (Echeneis naucrates)
BR112018077129B1 (pt) Elemento de guia de luz, sistema antibioincrustação, objeto e método para prevenir e/ou reduzir a bioincrustação
Cheriton et al. Physical and biological controls on the maintenance and dissipation of a thin phytoplankton layer
FI123257B (fi) Menetelmä elektronisen kalastuslaitteen kontrolloimiseksi ja siihen liittyvä ohjelmisto, vedenalainen laite ja tiedonsiirtoväline
Abernethy et al. Laboratory studies of the effects of pressure and dissolved gas supersaturation on turbine-passed fish
KR102299007B1 (ko) 실시간 오손-방지 및 생물오손 모니터링을 위한 통합 시스템
KR200469633Y1 (ko) 해안 수심 측량 장치
EP2876520A1 (en) An altitude controlled profiler for use in coastal waters
KR102124538B1 (ko) 이동식 양식장 및 양식장 이동시스템
CN216898900U (zh) 一种海洋环境实时检测系统
KR101310918B1 (ko) 소형 선박을 위한 접안시설용 부유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접안시설
Miller et al. Incipient breaking of steady waves in the presence of surface wakes
KR102141531B1 (ko) 적조 탐지장치 및 탐지방법
Wenzhöfer et al. TRAMPER-An autonomous crawler for long-term benthic oxygen flux studies in remote deep sea ecosystems
JP2006175305A (ja) 水中生物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
Woods et al. Quantifying turbulence microstructure for improvement of underwater imaging
JP7292770B1 (ja) 浮遊物回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