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3319B1 - 원료충진기 체결 브라켓트 - Google Patents

원료충진기 체결 브라켓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3319B1
KR102113319B1 KR1020190132293A KR20190132293A KR102113319B1 KR 102113319 B1 KR102113319 B1 KR 102113319B1 KR 1020190132293 A KR1020190132293 A KR 1020190132293A KR 20190132293 A KR20190132293 A KR 20190132293A KR 102113319 B1 KR102113319 B1 KR 102113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d fixture
horizontal connector
raw material
supports
fasten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2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용태
Original Assignee
(주) 대기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대기정공 filed Critical (주) 대기정공
Priority to KR1020190132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33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3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3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6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Landscapes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료충진기를 금형에 고정 시키는 체결 브라켓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료공급장치의 몸체에 연결되어 있는 실린더(홀더)에 결합되어 있으며 U자형 고정구에 수평연결구가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고 U자형 고정구와 수평연결구 사이에 간격홈이 형성되어 있어 U자형 고정구의 양쪽 지지대가 볼트에 의하여 단단하게 고정되며 U자형 고정구를 단단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무리한 힘을 가하는 경우 U자형 고정구의 양쪽 지지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 및 홀더의 면을 감싸 보다 정확하게 밀착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원료충진기 체결 브라켓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Description

원료충진기 체결 브라켓트{CONNECTING BRACKET}
본 발명은 원료충진기를 금형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 브라켓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료공급장치의 몸체에 연결되어 있는 실린더(홀더)에 결합되어 있으며 U자형 고정구에 수평연결구가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고 U자형 고정구와 수평연결구 사이에 간격홈이 형성되어 있어 U자형 고정구의 양쪽 지지대가 볼트에 의하여 단단하게 고정되며 U자형 고정구를 단단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무리한 힘을 가하는 경우 U자형 고정구의 양쪽 지지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 및 실린더(홀더)를 감싸주어 원료충진기를 금형에 고정 할 수 있는 체결 브라켓트에 관한 것이다.
발포성형장치는 한쌍의 금형으로 구성된 금형틀에 열가소성 수지 발포입자를 충진한 후 가열매체에 의해 금형틀에 충진된 발포 입자를 가열하여 입자 간에 서로 융착시켜 금형틀과 동일한 성형물이 제조되게 된다.
발포성형장치의 프레임에 설치된 금형틀로 원료를 공급하는 방법으로 금형에 결합 고정되어 원료가 유입되고 유입된 원료는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실린더 로드가 전진하면서 원료를 금형틀로 공급하게 된다.
종래의 원료공급장치는 금형틀로 원료를 공급하는 공급관이 설치되는 공급부와 공급부로 공급된 원료를 금형틀로 유입할 때 원료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주입부와 주입부에 충진된 원료를 가압하여 금형틀로 공급하는 실린더로 구성되어 있다.
원료공급장치의 실린더에는 실린더 로드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하여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주입구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어서 원료공급장치를 금형에 설치할 때 공기유입구의 위치를 고려하여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원료공급장치를 설치하는데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원료공급장치의 실린더 로드가 전진한 상태에서 후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실린더의 전방에 설치되는 공기주입구가 실린더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어 원료공급장치를 금형틀에 설치하고자 할 때 측부로 돌출된 공기주입구의 위치를 고려하여 다른 부품 장치들에 걸리지 않게 설치하여 금형틀에 원료공급장치를 설치하는 위치가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다.
특허 제10-1211174호에는 원료공급장치의 몸체 양쪽에 실린더가 연결되어 있으며, 한쪽 실린더에 원료충진기 또는 이젝트핀 홀더 체결 브라켓트가 결합되어 있다.
종래의 원료충진기 또는 이젝트 핀 홀더 체결 브라켓트는 U자형 고정구에 수평연결구가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있는데 U자형 고정구와 수평연결구 사이에 간격홈이 없어 U자형 고정구의 양쪽 지지대가 볼트에 의하여 단단하게 고정되지 않으며, U자형 고정구를 단단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무리한 힘을 가하는 경우 U자형 고정구의 양쪽 지지대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원료충진기 또는 이젝트 핀 홀더를 정확하게 밀착시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밀착력이 떨어져 피더 홀더와의 체결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원료공급장치의 몸체에 연결되어 있는 실린더에 결합되어 있으며 U자형 고정구에 수평연결구가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고 U자형 고정구와 수평연결구 사이에 간격홈이 형성되어 있어 U자형 고정구의 양쪽 지지대가 볼트에 의하여 단단하게 고정되며 U자형 고정구를 단단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무리한 힘을 가하는 경우 U자형 고정구의 양쪽 지지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원료충진기 체결 브라켓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원료공급장치(300)의 몸체(302)에 연결되어 있는 피더 홀더(310)에 결합되어 있으며 U자형 고정구에 수평연결구가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는 원료충진기 체결 브라켓트에 있어서 원료공급장치(300)의 피더 홀더(3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U자형 고정구(100)에 수평연결구(200)가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고, U자형 고정구(100)와 수평연결구(200)의 연결부위(110)는 U자형 고정구(100)의 한쪽 측면하부와 수평연결구(200)의 한쪽 측면하부가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U자형 고정구(100)를 볼트로 고정시킬 때 U자형 고정구(100)의 양쪽 지지대(140, 140')에 간격 유동이 생길 수 있도록 U자형 고정구(100)와 수평연결구(200)의 연결부위(110) 상부쪽에 간격홈(120)이 형성되어 있으며, U자형 고정구(100)는 수평연결구(200)의 관통홀(130)과 연결된 상태로 U자형 고정구(100)의 몸체 중앙 부위에 관통홀(130)이 형성되어 있고, U자형 고정구(100)의 몸체 상부쪽에 지지대(140, 140')가 형성되어 있으며, 볼트(190)와 너트(192)가 결합될 수 있도록 지지대(140, 140')에는 너트홀(150')이 형성되어 있으며, 수평연결구(200)는 U자형 고정구(100)의 관통홀(130)과 연결된 상태로 수평연결구(200)의 몸체 중앙 부위에 관통홀(130)이 형성되어 있고, 볼트(290)와 와셔(292)가 결합될 수 있도록 수평연결구(200)의 몸체 양쪽에 볼트홈(210, 210')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무패킹(293)이 삽입될 수 있도록 수평연결구(200)의 몸체 한쪽 측면에 고무패킹 또는 고무링 삽입홈(22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원료충진기 또는 이젝트핀 홀더 체결 브라켓트는 원료공급장치의 몸체에 연결되어 있는 실린더에 결합되어 있으며 U자형 고정구에 수평연결구가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고 U자형 고정구와 수평연결구 사이에 간격홈이 형성되어 있어 U자형 고정구의 양쪽 지지대가 볼트에 의하여 단단하게 고정되며 U자형 고정구를 단단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무리한 힘을 가하는 경우 U자형 고정구의 양쪽 지지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원료충진기 체결 브라켓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원료충진기 체결 브라켓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원료충진기 체결 브라켓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원료충진기 체결 브라켓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원료충진기 체결 브라켓트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원료충진기 체결 브라켓트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원료충진기 체결 브라켓트를 나타낸 단면도.
도 8,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간극조절볼트를 형성한 사용상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이동,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함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이동,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원료공급장치(300)의 몸체(302)에 연결되어 있는 피더 홀더(310)에 결합되어 있으며 U자형 고정구에 수평연결구가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는 원료충진기 체결 브라켓트에 있어서 원료공급장치(300)의 피더 홀더(3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U자형 고정구(100)에 수평연결구(200)가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고, U자형 고정구(100)와 수평연결구(200)의 연결부위(110)는 U자형 고정구(100)의 한쪽 측면하부와 수평연결구(200)의 한쪽 측면하부가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U자형 고정구(100)를 볼트로 고정시킬 때 U자형 고정구(100)의 양쪽 지지대(140, 140')에 간격 유동이 생길 수 있도록 U자형 고정구(100)와 수평연결구(200)의 연결부위(110) 상부쪽에 간격홈(120)이 형성되어 있으며, U자형 고정구(100)는 수평연결구(200)의 관통홀(130)과 연결된 상태로 U자형 고정구(100)의 몸체 중앙 부위에 관통홀(130)이 형성되어 있고, U자형 고정구(100)의 몸체 상부쪽에 지지대(140, 140')가 형성되어 있으며, 볼트(190)와 너트(192)가 결합될 수 있도록 지지대(140, 140')에는 너트홀(150')이 형성되어 있으며, 수평연결구(200)는 U자형 고정구(100)의 관통홀(130)과 연결된 상태로 수평연결구(200)의 몸체 중앙 부위에 관통홀(130)이 형성되어 있고, 볼트(290)와 와셔(292)가 결합될 수 있도록 수평연결구(200)의 몸체 양쪽에 볼트홈(210, 210')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무패킹(293)이 삽입될 수 있도록 수평연결구(200)의 몸체 한쪽 측면에 고무패킹 또는 고무링 삽입홈(22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충진기 체결 브라켓트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7과 같이 본 발명의 원료충진기 체결 브라켓트(10)는 원료공급장치(300)의 몸체(302)에 연결되어 있는 피더 홀더(310)에 결합되어 있으며 U자형 고정구에 수평연결구가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U자형 고정구와 수평연결구 사이에 간격홈이 형성되어 있어 U자형 고정구의 양쪽 지지대가 볼트에 의하여 단단하게 고정되며 U자형 고정구를 단단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무리한 힘을 가하는 경우 U자형 고정구의 양쪽 지지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볼트가 망가질 경우에는 볼트의 중앙을 절단하여 너트와 볼트가 분리되어 재사용 및 수리가 가능한 특징이 있다.
도 1 내지 도 7과 같이 본 발명의 원료충진기 체결 브라켓트(10)는 원료공급장치(300)의 피더 홀더(3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U자형 고정구(100)에 수평연결구(200)가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고, U자형 고정구(100)와 수평연결구(200)의 연결부위(110)는 U자형 고정구(100)의 한쪽 측면하부와 수평연결구(200)의 한쪽 측면하부가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어 U자형 고정구의 양쪽 지지대가 볼트에 의하여 단단하게 고정되며 U자형 고정구를 단단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무리한 힘을 가하는 경우 U자형 고정구의 양쪽 지지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 및 피더홀더(310)의 체결력을 높여준다.
도 1 내지 도 7과 같이 본 발명의 원료충진기 체결 브라켓트(10)는 U자형 고정구(100)를 볼트로 고정시킬 때 U자형 고정구(100)의 양쪽 지지대(140, 140')에 간격 유동이 생길 수 있도록 U자형 고정구(100)와 수평연결구(200)의 연결부위(110) 상부쪽에 간격홈(120)이 형성되어 있어 U자형 고정구의 양쪽 지지대가 볼트에 의하여 단단하게 고정되며 U자형 고정구를 단단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무리한 힘을 가하는 경우 U자형 고정구의 양쪽 지지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과 같이 본 발명의 원료충진기 체결 브라켓트(10)에서 U자형 고정구(100)는 수평연결구(200)의 관통홀(130)과 연결된 상태로 U자형 고정구(100)의 몸체 중앙 부위에 관통홀(130)이 형성되어 있고, U자형 고정구(100)의 몸체 상부쪽에 지지대(140, 140')가 형성되어 있으며, 볼트(190)와 너트(192)가 결합될 수 있도록 지지대(140, 140')에는 너트홀(150')이 형성되어 있어 U자형 고정구의 양쪽 지지대가 볼트에 의하여 단단하게 고정되며 U자형 고정구를 단단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무리한 힘을 가하는 경우 U자형 고정구의 양쪽 지지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과 같이 본 발명의 원료충진기 체결 브라켓트(10)에서 수평연결구(200)는 U자형 고정구(100)의 관통홀(130)과 연결된 상태로 수평연결구(200)의 몸체 중앙 부위에 관통홀(130)이 형성되어 있고, 볼트(290)와 와셔(292)가 결합될 수 있도록 수평연결구(200)의 몸체 양쪽에 볼트홈(210, 210')이 형성되어 있으며, 패킹(29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수평연결구(200)의 몸체 한쪽 측면에 고무패킹 또는 고무링 삽입홈(220)이 형성되어 있어 U자형 고정구의 양쪽 지지대가 볼트에 의하여 단단하게 고정되며 U자형 고정구를 단단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무리한 힘을 가하는 경우 U자형 고정구의 양쪽 지지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 및 및 피더홀더(310)의 체결력을 높여준다.
본 발명의 도 8과 도 9에 도시한 다른 실시예는 상기 U자형 고정구(100)와 수평연결구(200)는 상부쪽의 간격홈(12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되, 수평연결구(200)의 간극조절볼트(350)가 삽입되도록 돌출된 장착구(360)와 U자형 고정구(100)에 간극조절볼트(350)가 체결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구(370)가 형성되어 상기 간극조절볼트로 간격홈(120)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진동이 심할 경우에는 체결된 상태에서 간극이 있는 상태에서 진동으로 풀리지 않도록 간극홈(120)을 고정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고무패킹 또는 고무링 삽입홈(220)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링삽입홈에 원형의 고무패킹(293)을 삽입할 수 있는 별도의 링시트(미도시함)를 추가로 삽입하여 형성한 특징이 있다.
10: 원료충진기 체결 브라켓트
100: U자형 고정구
200: 수평연결구 300: 원료공급장치
302: 몸체 320: 실린더

Claims (3)

  1. 원료공급장치(300)의 몸체(302)에 연결되어 있는 피더 홀더(310)에 결합되어 있으며 U자형 고정구에 수평연결구가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는 원료충진기 체결 브라켓트에 있어서,
    상기 원료충진기 체결 브라켓트는
    원료공급장치(300)의 피더 홀더(3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U자형 고정구(100)에 수평연결구(200)가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고, U자형 고정구(100)와 수평연결구(200)의 연결부위(110)는 U자형 고정구(100)의 한쪽 측면하부와 수평연결구(200)의 한쪽 측면하부가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U자형 고정구(100)를 볼트로 고정시킬 때 U자형 고정구(100)의 양쪽 지지대(140, 140')에 간격 유동이 생길 수 있도록 U자형 고정구(100)와 수평연결구(200)의 연결부위(110) 상부쪽에 간격홈(120)이 형성되어 있으며,
    U자형 고정구(100)는 수평연결구(200)의 관통홀(130)과 연결된 상태로 U자형 고정구(100)의 몸체 중앙 부위에 관통홀(130)이 형성되어 있고, U자형 고정구(100)의 몸체 상부쪽에 지지대(140, 140')가 형성되어 있으며, 볼트(190)와 너트(192)가 결합될 수 있도록 지지대(140, 140')에는 너트홀(150')이 형성되어 있으며,
    수평연결구(200)는 U자형 고정구(100)의 관통홀(130)과 연결된 상태로 수평연결구(200)의 몸체 중앙 부위에 관통홀(130)이 형성되어 있고, 볼트(290)와 와셔(292)가 결합될 수 있도록 수평연결구(200)의 몸체 양쪽에 볼트홈(210, 210')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무패킹(293)이 삽입될 수 있도록 수평연결구(200)의 몸체 한쪽 측면에 고무패킹 또는 고무링 삽입홈(22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충진기 체결 브라켓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U자형 고정구(100)와 수평연결구(200)는 상부쪽의 간격홈(12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되, 수평연결구(200)의 간극조절볼트(350)가 삽입되도록 돌출된 장착구(360)와 U자형 고정구(100)에 간극조절볼트(350)가 체결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구(370)가 형성되어 상기 간극조절볼트로 간격홈(120)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충진기 체결 브라켓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패킹 또는 고무링 삽입홈(220)은
    상기 링삽입홈에 원형의 고무패킹(293)을 삽입할 수 있는 링시트를 추가로 삽입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충진기 체결 브라켓트.

KR1020190132293A 2019-10-23 2019-10-23 원료충진기 체결 브라켓트 KR102113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293A KR102113319B1 (ko) 2019-10-23 2019-10-23 원료충진기 체결 브라켓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293A KR102113319B1 (ko) 2019-10-23 2019-10-23 원료충진기 체결 브라켓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3319B1 true KR102113319B1 (ko) 2020-05-20

Family

ID=70919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2293A KR102113319B1 (ko) 2019-10-23 2019-10-23 원료충진기 체결 브라켓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331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2369Y1 (ko) * 1996-12-19 1999-06-01 한상열 건축용 배관덕트의 배관지지장치
KR20110124017A (ko) * 2010-05-10 2011-11-16 주식회사 동원산업 입상배관용 편심형 고정클램프
KR101211174B1 (ko) * 2010-10-08 2012-12-11 김현기 원료 공급장치용 실린더
KR101576210B1 (ko) * 2014-07-09 2015-12-09 이종인 피더 체결브라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2369Y1 (ko) * 1996-12-19 1999-06-01 한상열 건축용 배관덕트의 배관지지장치
KR20110124017A (ko) * 2010-05-10 2011-11-16 주식회사 동원산업 입상배관용 편심형 고정클램프
KR101211174B1 (ko) * 2010-10-08 2012-12-11 김현기 원료 공급장치용 실린더
KR101576210B1 (ko) * 2014-07-09 2015-12-09 이종인 피더 체결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76838B2 (ja) シール成形システム及び方法
DE102007032957B4 (de) Elastisches Lager
US7635259B2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having a load cell disposed on a predetermined connecting bar
CA2671786C (en) Apparatus for injection molding
KR102113319B1 (ko) 원료충진기 체결 브라켓트
US9738020B2 (en) Mold clamping mechanism
JP2010111018A (ja) 型締装置
BRPI0516584A (pt) aparelho de moldagem por injeção, conjunto de um distribuidor e pelo menos dois moldes, distribuidor, e, método para moldar por injeção produtos plásticos
US3718166A (en) Manifold and adjustable nozzle assembly for molding machines
KR20170111686A (ko) 레버를 포함하는 3d 프린터용 익스트루더
KR101986992B1 (ko) 치공구용 클램핑 장치
KR101576210B1 (ko) 피더 체결브라켓
JP6367095B2 (ja) 射出装置
KR102429140B1 (ko) 사출장치
KR20070019015A (ko) 자동문 안내레일 및 이를 위한 지지부재와 고정장치
KR20190045741A (ko) 스태빌라이저바 고무 가류접착용 금형 구조
KR20210099341A (ko) 사출성형기
JP7339118B2 (ja) 射出成形機の制御盤
US5853777A (en) Nozzle retaining apparatus
JPH044883B2 (ko)
KR101945982B1 (ko) 히트 스프레더를 적용한 핫 런너 시스템
CN206085487U (zh) 一种注塑机快速更换熔胶筒结构
JPH0451329B2 (ko)
JPH0218226B2 (ko)
US8277213B2 (en) Apparatus for injection mo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