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2855B1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signal using on-off keying schem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signal using on-off keying schem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2855B1
KR102112855B1 KR1020180002211A KR20180002211A KR102112855B1 KR 102112855 B1 KR102112855 B1 KR 102112855B1 KR 1020180002211 A KR1020180002211 A KR 1020180002211A KR 20180002211 A KR20180002211 A KR 20180002211A KR 102112855 B1 KR102112855 B1 KR 102112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signal
modulator
transistor
demod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2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84445A (en
Inventor
서문교
메무드 주바이르
김동우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02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2855B1/en
Publication of KR20190084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4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8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2Amplitud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using on-off keying; Single sideband or vestigial sideband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2Amplitud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using on-off keying; Single sideband or vestigial sideband modulation
    • H04L27/04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온-오프 키잉(On-Off keying) 변조 방식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장치에 있어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RF 모듈(radio frequency module); 및 상기 RF 모듈과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변조기(modulator)를 포함하고, 상기 변조기는, 기저 신호(baseband signal)이 전송되는 제 1 선로와 캐리어 신호(carrier signal)이 전송되는 제 2 선로에 각각 배치되는 인덕터(inductor)를 포함하며, 각 선로에 배치된 인덕터는 상기 변조기에 포함되는 트랜지스터의 기생 캐패시터(capacitor)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transmissio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signal using an on-off keying modulation meth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n RF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wireless signal; And a modulator functionally connected to the RF module, wherein the modulator is disposed on a first line through which a baseband signal is transmitted and a second line through which a carrier signal is transmitted. It comprises an inductor (inductor), the inductor disposed on each line is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parasitic capacitor (capacitor) of the transistor included in the modulator.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온-오프 키잉 방식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SIGNAL USING ON-OFF KEYING SCHEM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signal using an on-off keying meth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SIGNAL USING ON-OFF KEYING SCHEM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명세서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온-오프 키잉 방식의 변조기 및 복조기를 이용한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s to a transmitting device and a receiving device for transmitting a sig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ansmitting device and a receiving device using an on-off keying modulator and a demodulator.

온-오프 변조(On-off keying, OOK)는 반송파의 유무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를 표시하는 변조 방식의 한 종류이며, 진폭 편이 변조 중에서 가장 단순한 방식이다.On-off keying (“OOK”) is a type of modulation method for displaying “digital” data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carrier,” and “amplitude shifting” is the simplest method among modulation.

즉, 온-오프 변조는 가장 단순한 변조 방식으로서 어떤 시간에 보내는 반송파의 존재는 바이너리 '1'로 표시하고, 어떤 시간에 보내는 반송파의 부족(존재하지 않는 상태)은 바이너리 '0'으로 표시한다.That is, on-off modulation is the simplest modulation method, and the presence of a carrier transmitted at a certain time is represented by binary '1', and a lack of a carrier transmitted at a certain time (non-existent state) is represented by binary '0'.

더욱 복잡한 방법으로 추가 정보를 더하기 위해 온, 오프의 길이를 변화시키는 방법(예:모스 부호)도 있다.There are also ways to change the length of on and off (eg Morse code) to add additional information in a more complex way.

온-오프 변조는 무선 주파수를 보내는 모스 부호의 송신에 사용된다(연속 파형을 참조). 이 모스 부호는 기본적인 디지털 복조 회로도 사용하지 않고 있다. 또한 OOK는 컴퓨터 간의 ISM 밴드 데이터 송수신에 사용된다.On-off modulation is used to transmit the Morse code that transmits the “radio frequency” (see Continuous Waveform). This morse code does not use a basic digital demodulation circuit. Also, OOK is used to transmit / receive “ISM band” data between “computers”.

OOK는 반송파의 진폭을 크게 변화시키기 때문에 스펙트럼 효율은 좋지 않다. Since OOK greatly changes the amplitude of the carrier, the spectral efficiency is not good.

저속에서 중속의 전송 속도에서는 반송파 진폭의 상승과 하강을 조정하면 효율 등을 완화시키 것이 가능하다. 고속에서는 더욱 효율적인 변조 방식(예를 들면 주파수 편이 변조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At low to medium speed transmission spe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efficiency and the like by adjusting the rise and fall of the carrier amplitude. At high speed, a more efficient modulation method (eg, “frequency shift modulation”) is generally used.

즉, 기존 온-오프 키잉 변조기 및 복조기는 트랜지스터의 기생 성분으로 인하여 고주파로 갈수록 스위칭 손실이 커지고 특성이 나빠지는 측면이 있다.That is, the existing on-off keying modulator and demodulator has a side in which switching loss increases and characteristics deteriorate toward high frequencies due to parasitic components of the transistor.

즉,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요구하는 무선 통신에서 이러한 트랜지스터의 기생 커패시턴스 성분은 신호의 느린 응답 속도를 야기한다.That is, in wireless communication requiring high data rates, the parasitic capacitance component of such transistors causes a slow response speed of the signal.

이는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가지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현을 어렵게 만드는 요소이다.This is a factor that makes it difficult to implement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high data rate.

본 명세서는 트랜지스터의 기생 커패시턴스 성분을 분산 배치되는 인덕터의 구조를 이용하여 제거하고, 그에 따라 기존 대비 더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가지는 온-오프 키잉 변조기 및 복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is specification is to remove the parasitic capacitance component of the transistor by using a structure of a distributed inductor, thereby providing an on-off keying modulator and demodulator having a higher data rate than the conventional one.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able to.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온-오프 키잉(On-Off keying) 변조 방식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장치에 있어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RF 모듈(radio frequency module); 및 상기 RF 모듈과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변조기(modulator)를 포함하고, 상기 변조기는, 기저 신호(baseband signal)이 전송되는 제 1 선로와 캐리어 신호(carrier signal)이 전송되는 제 2 선로에 각각 배치되는 인덕터(inductor)를 포함하며, 각 선로에 배치된 인덕터는 상기 변조기에 포함되는 트랜지스터의 기생 캐패시터(capacitor)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transmissio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signal using an on-off keying modulation meth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n RF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wireless signal; And a modulator functionally connected to the RF module, wherein the modulator is disposed on a first line through which a baseband signal is transmitted and a second line through which a carrier signal is transmitted. It comprises an inductor (inductor), the inductor disposed on each line is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parasitic capacitor (capacitor) of the transistor included in the modulator.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제 1 선로에 배치된 인덕터와 상기 제 2 선로에 배치된 인덕터는 상기 기생 캐패시터와 각각 인공 전송 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inductor disposed on the first line and the inductor disposed on the second line form an artificial transmission line with the parasitic capacitor, respectively.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변조기는, 상기 형성된 각각의 인공 전송 선로를 통해 출력된 신호의 시간 지연을 동일하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modulato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adjusts the time delay of the signal output through each of the formed artificial transmission lines in the same way.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변조기는 상기 기저 신호의 전압 값에 따라 상기 트랜지스터의 온-오프 상태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modulat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n-off state of the transistor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voltage value of the base signal.

또한, 본 명세서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온-오프 키잉(On-Off keying) 변조 방식을 이용하여 신호를 변조하는 변조기에 있어서, 기저 신호(baseband signal)이 전송되는 제 1 선로; 캐리어 신호(carrier signal)이 전송되는 제 2 선로;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1 선로 및 상기 제 2 선로에 각각 배치되는 인덕터(inductor)를 포함하며, 각 선로에 배치된 인덕터는 상기 트랜지스터의 기생 캐패시터(capacitor)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modulator for modulating a signal using an on-off keying modulation meth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e modulator comprising: a first line through which a baseband signal is transmitted; A second line through which a carrier signal is transmitted; At least one transistor; And an inductor disposed on the first line and the second line, and the inductor disposed on each line is connected to a parasitic capacitor of the transistor.

또한, 본 명세서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온-오프 키잉(On-Off keying) 복조 방식을 이용하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장치에 있어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RF 모듈(radio frequency module); 및 상기 RF 모듈과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복조기(demodulator)를 포함하고, 상기 복조기는, 기저 신호(baseband signal)이 전송되는 제 1 선로와 캐리어 신호(carrier signal)이 전송되는 제 2 선로에 각각 배치되는 인덕터(inductor)를 포함하며, 각 선로에 배치된 인덕터는 상기 복조기에 포함되는 트랜지스터의 기생 캐패시터(capacitor)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receiving device for receiving a signal using an on-off keying demodulation meth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e RF device (radio frequency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adio signal; And a demodulator functionally connected to the RF module, wherein the demodulator is disposed on a first line through which a baseband signal is transmitted and a second line through which a carrier signal is transmitted. It includes an inductor (inductor), the inductor disposed on each line is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parasitic capacitor (capacitor) of the transistor included in the demodulator.

또한, 본 명세서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온-오프 키잉(On-Off keying) 복조 방식을 이용하여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기(demodulator)에 있어서, 기저 신호(baseband signal)이 전송되는 제 1 선로; 캐리어 신호(carrier signal)이 전송되는 제 2 선로;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1 선로 및 상기 제 2 선로에 각각 배치되는 인덕터(inductor)를 포함하며, 각 선로에 배치된 인덕터는 상기 트랜지스터의 기생 캐패시터(capacitor)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demodulator demodulating a signal using an on-off keying demodulation meth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e demodulator comprising: a first line through which a baseband signal is transmitted; A second line through which a carrier signal is transmitted; At least one transistor; And an inductor disposed on the first line and the second line, and the inductor disposed on each line is connected to a parasitic capacitor of the transistor.

본 명세서는 각 선로에 분산 배치된 인덕터를 이용하여 트랜지스터의 기생 커패시턴스의 성분 및/또는 하모닉 성분을 제거함으로써 신호에 대한 빠른 응답 속도를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an effect of having a fast response speed to a signal by removing components of parasitic capacitance and / or harmonic components of a transistor by using inductors distributed in each line.

이를 통해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온-오프 키잉 변조기 및 복조기는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가지는 고속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Through this, the on-off keying modulator and demodulator proposed in this specification enable high-speed communication with a higher data rate.

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분산 배치의 인덕터 구조를 통해 CMOS를 이용한 고속통신에서 하나의 칩만으로 통신이 가능한 칩간 통신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inductor structure of the distributed arrangement prop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n inter-chip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only one chip in high-speed communication using CMOS.

이는 사물 인터넷 및 자동차 내부 전자 장치 간의 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It is expected to be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the Internet of Things and communication between electronic devices inside the car.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온-오프 키잉 변조기의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온-오프 키잉 복조기의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도 3a는 기저 신호의 일례를 나타낸 도이며, 도 3b는 캐리어 신호의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변조기 및 복조기에 적용될 수 있는 기저 신호, 캐리어 신호 및 두 신호가 합쳐진 신호의 일례를 각각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간단한 1단 형태의 OOK 변조기(modulator)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단순한 형태의 OOK 변조기를 나타낸다.
도 7a는 복조기로 입력되는 변조 신호의 일례를 나타내며, 도 7b는 복조기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8은 기생 캐패시턴스의 성분 및 그로 인해 신호가 왜곡되는 일례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변조기 및 복조기에 적용할 수 있는 분산 배치된 인덕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예시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as part of the detailed description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escribe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on-off keying modulator prop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on-off keying demodulator prop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3A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base signal, and FIG. 3B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arrier signal.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base signal, a carrier signal, and a signal in which two signals are combined, which can be applied to a modulator and a demodulator prop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respectively.
5 shows a simple one-stage OOK modulator prop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6 shows a simple type of OOK modulator proposed in this specification.
7A shows an example of a modulated signal input to the demodulator, and FIG. 7B shows an example of a signal output through the demodulator.
8 shows an example of the components of parasitic capacitance and the resulting signal distortion.
9 shows an example of a distributedly arranged inductor structure applicable to the modulator and demodulator prop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10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The suffixes "modules" and "parts"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simply given in consideration of the ease of writing this specification, and the "modules" and "parts" may be used interchangeably.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장치 또는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로서, 스마트 폰을 포함한 휴대폰, 태블릿 PC,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 TV, IPTV 등을 포함한 텔레비전 등이 가능하다.Meanwhile, the apparatus or device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a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and may include a mobile phone including a smart phone, a tablet PC, a desktop computer, a laptop, a smart TV, and a TV including an IPTV.

또한,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ls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The terminology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a general terminology that is currently widely used while considering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or the appearance of a new technology.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In addition, in certain cases, some terms are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ir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applicable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Therefore, it is intended to clarify that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to be interpreted based on the actual meaning of the terms and the cont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not simply the names of the terms.

이하,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시간 지연 없이 제공하기 위한 온-오프 키잉(ON-OFF Keying) 방식의 변조기(modulator) 및 복조기(demodulator)와 관련된 내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contents related to an on-off keying type modulator and a demodulator for providing a high data rate proposed in this specification without time delay will be described.

즉, 본 발명은 트랜지스터의 기생 커패시턴스 성분에 의해 느린 응답 속도가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생 커패시턴스 성분을 추출하고, 상기 기생 커패시턴스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인덕터를 분산 배치하는 온-오프 키잉 변조기 및 복조기를 나타낸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n-off keying modulator for extracting a parasitic capacitance component and distributing an inductor to remove the parasitic capacitance component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a slow response speed caused by the parasitic capacitance component of the transistor, and It represents a demodulator.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생 커패시턴스 성분의 효과를 제거하기 위한 인덕터(L/2)는 캐리어 신호(carrier signal)와 기저 신호(baseband signal) 각각이 지나가는 선로에 분산 배치된다.That is,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inductor L / 2 for removing the effect of the parasitic capacitance component is distributedly disposed on a line through which a carrier signal and a baseband signal each pass. .

즉, 분산 배치된 인덕터는 트랜지스터 내부의 커패시터와 합쳐져서 인공 전송 선로 형태를 만든다.That is, the distributedly arranged inductor is combined with a capacitor inside the transistor to form an artificial transmission line.

즉, 본 발명의 인덕터 분산 배치 구조의 변조기 및 복조기는 기저 신호 및 캐리어 신호 각각에 대해 인공 전송 선로처럼 동작하며, 이에 따른 시간 지연을 동일하게 하여 무 손실 전송 선로처럼 동작하도록 한다.That is, the modulators and demodulators of the inductor distributed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 like an artificial transmission line for each of the base signal and the carrier signal, and have the same time delay to operate like a lossless transmission line.

따라서, 이러한 분산 배치되는 인덕터의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시간 지연에 의한 신호 왜곡 없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refore, by using the structure of the inductor distributed in this manner, a signal can be output without distortion due to time delay.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온-오프 키잉 변조기의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on-off keying modulator prop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의 변조기는 후술할 도 10의 송신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The modulator of FIG. 1 may be included in the transmission device of FIG. 1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변조기는 아래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The modulator may include the following configuration.

즉, 상기 변조기는 기저 신호(baseband signal)이 전송되는 제 1 선로, 캐리어 신호(carrier signal)이 전송되는 제 2 선로,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1 선로 및 상기 제 2 선로에 각각 배치되는 인덕터(inductor)를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modulator is a first line through which a baseband signal is transmitted, a second line through which a carrier signal is transmitted, at least one transistor, and an inductor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first line and the second line (inductor).

여기서, 각 선로에 배치된 인덕터는 상기 트랜지스터의 기생 캐패시터(capacitor)에 연결된다.Here, the inductors disposed on each line are connected to the parasitic capacitor of the transistor.

또한, 상기 제 1 선로에 배치된 인덕터와 상기 제 2 선로에 배치된 인덕터는 상기 기생 캐패시터와 각각 인공 전송 선로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ductor disposed on the first line and the inductor disposed on the second line may form an artificial transmission line with the parasitic capacitor, respectively.

도 1에 도시된 온-오프 키잉 변조기는 기저 신호의 전압 값에 따라서 트랜지스터의 온-오프 상태가 결정되며, 이에 따라 캐리어 신호의 진폭이 출력 단에 다르게 나타난다.The on-off keying modulator shown in FIG. 1 determines the on-off state of the transistor according to the voltage value of the base signal, so that the amplitude of the carrier signal appears differently at the output stage.

만약 게이트의 전압이 켜진 경우, 캐리어 신호는 공통 단자로 빠지면서 출력 단은 아주 작은 진폭만을 가진다.If the gate voltage is on, the carrier signal is pulled out to the common terminal and the output stage has only a very small amplitude.

만약 게이트의 전압이 꺼진 경우, 대부분의 신호는 분산 선로를 따라 그대로 이동하며, 출력 단에 입력된 캐리어 신호와 비슷한 진폭을 가지는 캐리어 신호가 출력된다.If the voltage of the gate is off, most of the signals move along the distributed line, and a carrier signal having an amplitude similar to that of the carrier signal input to the output terminal is output.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온-오프 키잉 복조기의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on-off keying demodulator prop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2의 복조기는 후술할 도 10의 수신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The demodulator of FIG. 2 may be included in the receiving device of FIG. 1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복조기는 아래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The demodulator may include the following configuration.

즉, 상기 복조기는 기저 신호(baseband signal)이 전송되는 제 1 선로, 캐리어 신호(carrier signal)이 전송되는 제 2 선로,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1 선로 및 상기 제 2 선로에 각각 배치되는 인덕터(inductor)를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demodulator is a first line through which a baseband signal is transmitted, a second line through which a carrier signal is transmitted, at least one transistor, and an inductor disposed in each of the first line and the second line (inductor).

여기서, 각 선로에 배치된 인덕터는 상기 트랜지스터의 기생 캐패시터(capacitor)에 연결될 수 있다.Here, an inductor disposed in each line may be connected to a parasitic capacitor of the transistor.

또한, 상기 제 1 선로에 배치된 인덕터와 상기 제 2 선로에 배치된 인덕터는 상기 기생 캐패시터와 각각 인공 전송 선로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ductor disposed on the first line and the inductor disposed on the second line may form an artificial transmission line with the parasitic capacitor, respectively.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온-오프 키잉 복조기는 분산 배치된 인덕터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기생 커패시턴스의 성분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하모닉 성분도 제거한다.The on-off keying demodulator proposed in this specification removes components of parasitic capacitance as well as harmonic components by using a distributed inductor structure.

기존 복조기는 다단 구조에 의해 신호가 겪는 시간 지연이 발생하여 하모닉 성분이 나타나지만,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온-오프 키잉 복조기는 각 신호에 대한 인공 전송 선로의 지연을 조절함으로써 시간 지연으로 발생하는 하모닉 효과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Conventional demodulators have a time delay experienced by the signal due to the multi-stage structure, so that a harmonic component appears, but the on-off keying demodulator prop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a harmonic effect caused by time delay by adjusting the delay of an artificial transmission line for each signal. Can be removed.

요약하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온-오프 키잉 변조기 및 복조기는 기저 신호의 논리값에 따라 캐리어 신호의 진폭이 변하는 변조 및 복조 방식을 구현한다.In summary, the on-off keying modulator and demodulator shown in FIGS. 1 and 2 implement a modulation and demodulation scheme in which the amplitude of the carrier signal varies according to the logic value of the base signal.

여기서, 기저 신호와 캐리어 신호는 분산 배치된 인덕터와 트랜지스터의 기생 커패시턴스(드레인과 소스 사이의 커패시턴스(Cds)와 게이트와 소스 사이의 커패시턴스(Cgs))에 의해 형성되는 인공 전송 선로를 지나간다.Here, the base signal and the carrier signal pass through the artificial transmission line formed by the parasitic capacitance of the distributedly arranged inductor and transistor (capacitance between the drain and source (Cds) and the capacitance between the gate and source (Cgs)).

캐리어 신호가 지나가는 선로는 분산 배치된 인덕터(L/2)와 드레인-소스 사이의 커패시턴스에 의해 인공 전송 선로가 형성되며, 기저 신호가 지나가는 선로는 분산 배치된 인덕터(L/2)과 게이트-소스 사이의 커패시턴스에 의해 인공 전송 선로가 형성된다.The line through which the carrier signal passes is formed by an artificial transmission line by the capacitance between the distributed inductor (L / 2) and the drain-source, and the line through which the base signal passes is distributed by the distributed inductor (L / 2) and the gate-source An artificial transmission line is formed by the capacitance between them.

즉, 본 발명은 기저 신호와 캐리어 신호에 대해 각각의 인공 전송 선로를 지나면서 발생하는 시간 지연을 동일하게 하는 경우, 시간 지연이 없는 것과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ime delay occurring while passing through the respective artificial transmission lines is the same for the base signal and the carrier signal, the same result as without the time delay can be obtained.

이는 앞서 살핀 것처럼, 트랜지스터의 기생 커패시턴스를 구하고, 그에 따른 인덕턴스 값을 계산하여 각 신호에 대해 인공 전송 선로를 형성함으로써 가능할 수 있다.This may be possible by obtaining the parasitic capacitance of the transistor, as previously discussed, and calculating the inductance value accordingly to form an artificial transmission line for each signal.

한편,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변조기 및 복조기에 이용되는 트랜지스터의 크기는 기생 커패시턴스 성분을 최대한 작게 하여 회로의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size of the transistor used in the modulator and demodulator prop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to minimize the parasitic capacitance component to reduce the size of the circuit.

또한, 전체 변조기의 단수는 삽입 손실과 isolation을 고려하여 결정된다.In addition, the number of stages of the entire modulator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insertion loss and isola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온-오프 키잉 변조기 및 복조기는 기존 변조기 및 복조기 대비 더 높은 데이터 전송률에 대해 응답 시간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on-off keying modulator and demodulator proposed in this specification can speed up response time for higher data rates than conventional modulators and demodulators.

여기서, 기저 신호(baseband signal)는 실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로, 0또는 1로 표현될 수 있다. 도 3a는 기저 신호의 일례를 나타내며, 도 3b는 캐리어 신호의 일례를 나타낸다.Here, the baseband signal is a signal including actual information, and may be represented by 0 or 1. 3A shows an example of a base signal, and FIG. 3B shows an example of a carrier signal.

또한, 캐리어 신호(carrier signal)은 정보를 포함하는 기저 신호를 싣고 전송하기 위한 신호로서, 기저 신호보다 훨씬 높은 주파수를 가지는 고주파 신호를 말한다. In addition, the carrier signal (carrier signal) is a signal for loading and transmitting a base signal containing information, and refers to a high frequency signal having a much higher frequency than the base signal.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변조기 및 복조기에 적용될 수 있는 기저 신호, 캐리어 신호 및 두 신호가 합쳐진 신호의 일례를 각각 나타낸 도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base signal, a carrier signal, and a signal in which two signals are combined, which can be applied to a modulator and a demodulator prop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respectively.

도 5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온-오프 키잉 변조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가장 간단한 1단 형태의 OOK 변조기(modulator)를 나타낸다.5 shows an example of an on-off keying modulator prop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shows the simplest one-stage OOK modulator.

또한, 도 5는 게이트에 걸리는 기저 신호의 전압 값에 따라 도 6과 같이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다.In addition, FIG. 5 can be simply expressed as shown in FIG. 6 according to the voltage value of the base signal applied to the gate.

도 6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단순한 형태의 OOK 변조기를 나타낸다.6 shows a simple type of OOK modulator proposed in this specification.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gate)가 On인 경우, Vout은 0V(이상적으로)가 되며,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가 Off인 경우, Vout은 캐리어 신호(carrier signal)이 그대로 나타난다.As shown in Figure 6a, when the gate (gate) is On, Vout is 0V (ideally), as shown in Figure 6b, when the gate is Off, Vout is the carrier signal (carrier signal) It appears as it is.

도 6에서의 기저 신호는 도 3a에 도시된 0과 1을 가지는 신호를 사용할 수 있다.The base signal in FIG. 6 may use signals having 0 and 1 shown in FIG. 3A.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온-오프 키잉 복조기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Next, the on-off keying demodulator shown in FIG. 2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온-오프 키잉 복조기는 온-오프 키잉 변조기에서의 출력(변조된 신호)를 차동 구조로 활용한다.The on-off keying demodulator utilizes the output (modulated signal) from the on-off keying modulator as a differential structure.

즉, 도 2에서 변조 신호 1과 변조 신호 2는 위상차가 180도이다.That is, in FIG. 2, the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modulated signal 1 and the modulated signal 2 is 180 degrees.

변조기에서의 동작과 비슷하게 게이트의 전압이 켜지면 Vout은 0V가 되고, 게이트의 전압이 꺼지면 Vdd 전압이 출력된다.Similar to the operation in the modulator, Vout becomes 0V when the voltage of the gate is turned on, and Vdd voltage is output when the voltage of the gate is turned off.

여기서, 복조기로 입력되는 변조된 신호(도 7a)는 복조기를 거쳐 도 7b의 출력과 같이 나타난다.Here, the modulated signal input to the demodulator (FIG. 7A) appears as the output of FIG. 7B through the demodulator.

여기서, 복조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기저 신호에 해당한다.Here, the signal output from the demodulator corresponds to a base signal containing information.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온-오프 키잉 복조기가 가지는 장점에 대해 간략히 정리한다.The advantages of the on-off keying demodulator propo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briefly summarized.

먼저, 수많은 구조를 가지는 온-오프 키잉 복조기가 존재한다.First, there are on-off keying demodulators with numerous structures.

하지만, 기존의 온-오프 키잉 복조기는 트랜지스터의 기생 커패시턴스 성분으로 인해 높은 주파수(높은 데이터 전송률, 고속 동작 등)에 대해 응답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on-off keying demodulator has a disadvantage that the response speed is slow for high frequencies (high data rate, high-speed operation, etc.) due to the parasitic capacitance component of the transistor.

즉, 기존의 복조기는 느린 응답 속도로 인해 출력되는 기저 신호가 도 8a와 같이 왜곡되어 나타나고, 이는 도 8b의 기생 커패시턴스 성분(Cgs 및 Cds) 때문이다.That is, the existing demodulator appears distorted as shown in FIG. 8A due to the slow response speed, because of the parasitic capacitance components Cgs and Cds of FIG. 8B.

따라서, 도 1 및 2와 같이 인덕터를 각 신호에 대한 선로에 분산 배치함으로써 즉, 각 신호에 대해 인공 전선 선로를 형성하게 하여 기생 커패시턴스(Cgs, Cgd)의 효과를 제거할 수 있어 빠른 응답 속도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S. 1 and 2, by distributing the inductor on the line for each signal, that is, by forming an artificial wire line for each signal, the effect of parasitic capacitances (Cgs, Cgd) can be eliminated, resulting in fast response speed. Can be obtained.

즉,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온-오프 키잉 변조기 및 복조기는 인덕터를 각신호에 대한 선로에 분산 배치함으로써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on-off keying modulator and demodulator proposed in this specification can implement a high data rate by distributing the inductors in a line for each signal.

도 9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변조기 및 복조기에 적용할 수 있는 분산 배치된 인덕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9 shows an example of a distributedly arranged inductor structure applicable to the modulator and demodulator prop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9의 좌측 부분은 앞서 살핀 인덕터와 커패시턴스로 이루어진 인공 전송 선로를 나타낸다.The left part of FIG. 9 shows an artificial transmission line consisting of a salpin inductor and capacitance.

이 인공 전송 선로를 지나는 신호는 (LC)1/2 의 시간 지연을 가진다.The signal passing through this artificial transmission line has a (LC) 1/2 time delay.

즉, 도 9와 같이 인덕터를 배치함으로써, 기생 커패시턴스(Cgd와 Cgs)와 인덕터는 인공 전송 선로를 형성하여 트랜지스터의 기생 커패시턴스에 대한 효과를 제거하게 된다.That is, by arranging the inductor as shown in FIG. 9, the parasitic capacitances Cgd and Cgs and the inductor form an artificial transmission line, thereby removing the effect on the parasitic capacitance of the transistor.

이 때, 캐리어 신호와 기저 신호가 각각 지나는 인공 전송 선로의 시간 지연을 동일하게 하여 (시간 지연으로 인해) 신호가 왜곡되지 않고 출력을 제공할 수 있게 해준다.At this time, the time delay of the artificial transmission line through which the carrier signal and the base signal pass respectively is equal, so that the signal can be provided without distortion (due to the time delay).

이처럼, 도 9의 인덕터 구조를 통해 기생 커패시턴스의 성분을 제거하는 내용은 온-오프 키잉 변조기 및 복조기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ent of removing the components of parasitic capacitance through the inductor structure of FIG. 9 can be applied to both on-off keying modulators and demodulators.

특히,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온-오프 키잉 복조기는 기생 커패시턴스의 효과뿐만 아니라 하모닉에 대한 효과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on-off keying demodulator proposed in this specification can simultaneously remove not only the effect of parasitic capacitance but also the effect on harmonics.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장치 일반General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예시한다.10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송신 장치(1010)와 수신 장치(102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0,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transmitting device 1010 and a receiving device 1020.

송신 장치(1010)는 프로세서(processor, 1011), 메모리(memory, 1012) 및 통신 모듈(communication module, 1013)을 포함한다. The transmitting device 1010 includes a processor (processor, 1011), a memory (memory, 1012) and a communication module (communication module, 1013).

프로세서(1011)는 앞서 도 1 내지 도 9에서 제안된 기능, 구조,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유/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들은 프로세서(101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The processor 1011 implements the functions, structures, processes, and / or methods proposed in FIGS. 1 to 9 above. Layers of the wired / wireless interface protocol may be implemented by the processor 1011.

특히, 프로세서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온-오프 키잉 변조기를 포함하거나 또는 온-오프 키잉 변조기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processor may include an on-off keying modulator proposed herein or may be implemented to perform the function of an on-off keying modulator.

또는, 상기 온-오프 키잉 변조기는 프로세서와 별개로 구현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on-off keying modulator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processor.

메모리(1012)는 프로세서(1011)와 연결되어, 프로세서(1011)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The memory 1012 is connected to the processor 1011, and stores various information for driving the processor 1011.

통신 모듈(1013)은 프로세서(1011)와 연결되어, 유/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The communication module 1013 is connected to the processor 1011, and transmits and / or receives wired / wireless signals.

상기 통신 모듈(1013)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RF부(radio frequency unit)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1013 may include a radio frequency unit (RF) unit for transmitting / receiving radio signals.

수신 장치(1020)은 프로세서(1021), 메모리(1022) 및 통신 모듈(또는 RF부)(1023)을 포함한다.The receiving device 1020 includes a processor 1021, a memory 1022, and a communication module (or RF unit) 1023.

프로세서(1021)는 앞서 도 1 내지 도 9에서 제안된 기능, 구조,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들은 프로세서(102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The processor 1021 implements the functions, structures, processes, and / or methods proposed in FIGS. 1 to 9 above. The layers of the radio interface protocol may be implemented by the processor 1021.

특히, 프로세서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온-오프 키잉 복조기를 포함하거나 또는 온-오프 키잉 복조기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processor may include an on-off keying demodulator proposed in this specification or may be implemented to perform the function of an on-off keying demodulator.

또는, 상기 온-오프 키잉 복조기는 프로세서와 별개로 구현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on-off keying demodulator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processor.

메모리(1022)는 프로세서(1021)와 연결되어, 프로세서(1021)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통신 모듈(1023)는 프로세서(1021)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The memory 1022 is connected to the processor 1021, and stores various information for driving the processor 1021. The communication module 1023 is connected to the processor 1021, and transmits and / or receives radio signals.

메모리(1012, 1022)는 프로세서(1011, 1021)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1011, 1021)와 연결될 수 있다. The memories 1012 and 1022 may be inside or outside the processors 1011 and 1021, and may be connected to the processors 1011 and 1021 by various well-known means.

또한, 송신 장치(1010) 및/또는 수신 장치(1020)은 한 개의 안테나(single antenna) 또는 다중 안테나(multiple antenna)를 가질 수 있다.Also, the transmitting device 1010 and / or the receiving device 1020 may have a single antenna or multiple antennas.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hose in which componen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in a predetermined form. Each component or feature should be considered optional unless stated otherwise. Each component or feature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that is not combined with other components or features. It is also possible to constitute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by combining some components and / or features. The order of the operation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hanged. Some configurations or features of one embodiment may be included in other embodiments, or may be replaced with corresponding configurations or features of other embodiments. It is obvious that the claims may be combined with claims that do not have an explicit citation relationship in the claims, or may be included as new claims by amendment after filing.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various means, for example, hardware, firm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For implementation by hardware,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ne or mor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PGAs (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the like.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In the case of implementation by firmware or softwar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odule, procedure, function, etc. that performs the functions or operations described above. The software code can be stored in memory and driven by a processor. The memory is located inside or outside the processor, and can exchange data with the processor by various means already known.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술한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in all respects, but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온-오프 키잉 변조 및 복조의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들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Although the description has been focused on examples of on-off keying modulation and demod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pply to various other methods.

1100: 송신 장치
1120: 수신 장치
1100: transmitting device
1120: receiving device

Claims (1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온-오프 키잉(On-Off keying) 변조 방식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장치에 있어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RF 모듈(radio frequency module); 및
상기 RF 모듈과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변조기(modulator)를 포함하고, 상기 변조기는,
기저 신호(baseband signal)이 전송되는 제 1 선로와 캐리어 신호(carrier signal)이 전송되는 제 2 선로에 각각 배치되는 인덕터(inductor)를 포함하고, 상기 변조기의 단수는 삽입 손실과 아이솔레이션(isolation)에 따라 결정되며,
각 선로에 배치된 인덕터는 동일한 인덕턴스값을 갖고, 상기 변조기에 포함되는 트랜지스터의 기생 캐패시터(capacitor)에 연결되며,
상기 트랜지스터가 턴온 상태에서 상기 캐리어 신호는 공통 단자로 흐르고, 턴오프 상태에서 상기 캐리어 신호는 분산 선로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In the transmissio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signal using an on-off keying (On-Off keying) modulation meth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 RF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adio signal (radio frequency module); And
A modulator functionally connected to the RF module, the modulator comprising:
And an inductor disposed on a first line through which a baseband signal is transmitted and a second line through which a carrier signal is transmitted, wherein the number of stages of the modulator is based on insertion loss and isolation. Depends on,
The inductors disposed in each line have the same inductance value, and are connected to a parasitic capacitor of a transistor included in the modulator,
When the transistor is turned on, the carrier signal flows to a common terminal, and in the turned off state, the carrier signal is moved along a distributed lin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선로에 배치된 인덕터와 상기 제 2 선로에 배치된 인덕터는 상기 기생 캐패시터와 각각 인공 전송 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d an inductor disposed on the first line and an inductor disposed on the second line form an artificial transmission line with the parasitic capacitor, respectively.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기는,
상기 형성된 각각의 인공 전송 선로를 통해 출력된 신호의 시간 지연을 동일하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odulator,
A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ime delay of the signal output through each of the formed artificial transmission lines is equally adjus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기는 상기 기저 신호의 전압 값에 따라 상기 트랜지스터의 온-오프 상태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modulat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n-off state of the transistor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voltage value of the base signal.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온-오프 키잉(On-Off keying) 변조 방식을 이용하여 신호를 변조하는 변조기에 있어서,
기저 신호(baseband signal)이 전송되는 제 1 선로;
캐리어 신호(carrier signal)이 전송되는 제 2 선로;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1 선로 및 상기 제 2 선로에 각각 배치되는 인덕터(inductor)를 포함하고, 상기 변조기의 단수는 삽입 손실과 아이솔레이션(isloation)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인덕터는 동일한 인덕턴스값을 갖고,
각 선로에 배치된 인덕터는 상기 트랜지스터의 기생 캐패시터(capacitor)에 연결되며,
상기 트랜지스터가 턴온 상태에서 상기 캐리어 신호는 공통 단자로 흐르고, 턴오프 상태에서 상기 캐리어 신호는 분산 선로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기.
In a modulator for modulating a signal using an on-off keying modulation meth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 first line through which a baseband signal is transmitted;
A second line through which a carrier signal is transmitted;
At least one transistor; And
And an inductor disposed on the first line and the second line, respectively, and the number of stages of the modulator is determined according to insertion loss and isolation,
The inductors have the same inductance value,
The inductors disposed in each line are connected to the parasitic capacitors of the transistors,
The modul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carrier signal flows to a common terminal when the transistor is turned on, and the carrier signal moves along a distributed line in the turned off stat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선로에 배치된 인덕터와 상기 제 2 선로에 배치된 인덕터는 상기 기생 캐패시터와 각각 인공 전송 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기.
The method of claim 5,
And an inductor disposed on the first line and an inductor disposed on the second line form an artificial transmission line with the parasitic capacitor, respectively.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된 각각의 인공 전송 선로를 통해 출력된 신호의 시간 지연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기.
The method of claim 6,
A modul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time delay of the signal output through each of the formed artificial transmission lines is the sam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 신호의 전압 값에 따라 상기 트랜지스터의 온-오프 상태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기.
The method of claim 5,
The on-off state of the transistor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voltage value of the base signal.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온-오프 키잉(On-Off keying) 복조 방식을 이용하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장치에 있어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RF 모듈(radio frequency module); 및
상기 RF 모듈과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복조기(demodulator)를 포함하고, 상기 복조기는,
기저 신호(baseband signal)이 전송되는 제 1 선로와 캐리어 신호(carrier signal)이 전송되는 제 2 선로에 각각 배치되는 인덕터(inductor)를 포함하고,
상기 복조기의 단수는 삽입 손실과 아이솔레이션(isolation)에 따라 결정되며,
각 선로에 배치된 인덕터는 동일한 인덕턴스값을 갖고 상기 복조기에 포함되는 트랜지스터의 기생 캐패시터(capacitor)에 연결되며,
상기 트랜지스터가 턴온 상태에서 상기 캐리어 신호는 공통 단자로 흐르고, 턴오프 상태에서 상기 캐리어 신호는 분산 선로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In a receiving apparatus for receiving a signal using an on-off keying (On-Off keying) demodulation meth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 RF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adio signal (radio frequency module); And
A demodulator functionally connected to the RF module, the demodulator comprises:
And an inductor disposed on a first line through which a baseband signal is transmitted and a second line through which a carrier signal is transmitted,
The number of stages of the demodulator is determined according to insertion loss and isolation,
The inductors disposed on each line have the same inductance value and are connected to a parasitic capacitor of a transistor included in the demodulator,
When the transistor is turned on, the carrier signal flows to a common terminal, and in the turned off state, the carrier signal is moved along a distributed line.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선로에 배치된 인덕터와 상기 제 2 선로에 배치된 인덕터는 상기 기생 캐패시터와 각각 인공 전송 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And an inductor disposed on the first line and an inductor disposed on the second line form an artificial transmission line with the parasitic capacitor, respectively.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온-오프 키잉(On-Off keying) 복조 방식을 이용하여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기(demodulator)에 있어서,
기저 신호(baseband signal)이 전송되는 제 1 선로;
캐리어 신호(carrier signal)이 전송되는 제 2 선로;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1 선로 및 상기 제 2 선로에 각각 배치되는 인덕터(inductor)를 포함하며,
상기 복조기의 단수는 삽입손실과 아이솔레이션(isolation)에 따라 결정되고, 각 선로에 배치된 인덕터는 동일한 인덕턴스 값을 가지며 상기 트랜지스터의 기생 캐패시터(capacitor)에 연결되고, 상기 기생 캐패시터가 연결되는 상기 트랜지스터가 턴온 상태에서 상기 캐리어 신호는 공통 단자로 흐르고, 턴오프 상태에서 상기 캐리어 신호는 분산 선로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조기.
In a demodulator (demodulator) for demodulating a signal using an on-off keying (On-Off keying) demodulation meth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 first line through which a baseband signal is transmitted;
A second line through which a carrier signal is transmitted;
At least one transistor; And
And an inductor disposed on the first line and the second line, respectively.
The number of stages of the demodulator is determined according to insertion loss and isolation, and the inductors disposed in each line have the same inductance value, are connected to the parasitic capacitor of the transistor, and the transistor to which the parasitic capacitor is connected In the turn-on state, the carrier signal flows to a common terminal, and in the turn-off state, the carrier signal moves along a distributed line.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선로에 배치된 인덕터와 상기 제 2 선로에 배치된 인덕터는 상기 기생 캐패시터와 각각 인공 전송 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조기.
The method of claim 11,
The inductor disposed in the first line and the inductor disposed in the second line form a demodulator, each of which forms an artificial transmission line with the parasitic capacitor.
KR1020180002211A 2018-01-08 2018-01-08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signal using on-off keying schem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1128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211A KR102112855B1 (en) 2018-01-08 2018-01-08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signal using on-off keying schem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211A KR102112855B1 (en) 2018-01-08 2018-01-08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signal using on-off keying schem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445A KR20190084445A (en) 2019-07-17
KR102112855B1 true KR102112855B1 (en) 2020-05-19

Family

ID=67512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211A KR102112855B1 (en) 2018-01-08 2018-01-08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signal using on-off keying schem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2855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2323B1 (en) * 2012-11-01 2014-05-07 한국과학기술원 Ook modulator and wireless communication transceiver includ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00236B2 (en) * 2015-11-10 2017-10-24 Infineon Technologies Ag Integrated analog delay line of a pulse-width modula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2323B1 (en) * 2012-11-01 2014-05-07 한국과학기술원 Ook modulator and wireless communication transceiver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445A (en) 2019-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19256B2 (en) OOK modulation device and wireless transmit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191004B2 (en) Signal converting device and digital transmitting apparatus applying the signal converting device
US8160518B2 (en) Multi-mode transceiver having tunable harmonic termination circuit and method therefor
US8498583B2 (en) Signal receiving apparatus, signal receiving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06135829A (en) Variable inductor, and oscillator and information equipment using the same
CN103986450A (en) Switch, tuner of antenna and radio frequency device
US9024796B2 (en) Radio frequency digital to analog converter
KR20120098543A (en) High-frequency switching assembly, transmitter and method
JP7177247B2 (en) Modal antenna control method and system
KR10211285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signal using on-off keying schem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6377290B1 (en) Communications system
JP2010193258A (en) Ask modulator
US8195109B2 (en) Single ended switched power amplifier with tuned load coupling block
US9263990B2 (en) Impedance transformer for use with a quadrature passive CMOS mixer
CN110896338B (en) Clock transmission module and network transmission method
JP4170310B2 (en) Transmitter and transceiver
US8154357B2 (en) Modulation for amplitude-modulating a signal
CN109428558B (en) Power amplifier, integrated circuit and power amplifying method
CN101527553B (en) Pulse-generating circuit and communication device
CN219577031U (en) Direct pulse generating circuit
TWI521878B (en) Inductive digital isolation circuit
CN202488484U (en) Super Nyquist application device
US11128338B2 (en) Switchable electromagnetic ring
CN105577219A (en) Broadband transceiver used for wired coaxial Ethernet
Kim et al. A low-overhead and low-power rf transceiver for short-distance on-and off-chip interconn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