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2419B1 - Miniature self-help Spider Crane - Google Patents

Miniature self-help Spider Cra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2419B1
KR102112419B1 KR1020180155499A KR20180155499A KR102112419B1 KR 102112419 B1 KR102112419 B1 KR 102112419B1 KR 1020180155499 A KR1020180155499 A KR 1020180155499A KR 20180155499 A KR20180155499 A KR 20180155499A KR 102112419 B1 KR102112419 B1 KR 102112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elled
self
crane
spider
outrig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54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영재
양동욱
이강원
Original Assignee
(주) 나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나래 filed Critical (주) 나래
Priority to KR1020180155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241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4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8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 B66C23/80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hydraul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57Cranes on road or off-road vehicles, on trailers or towed vehicles; Cranes on wheels or crane-trucks
    • B66C2700/0378Construction details related to the travelling, to the supporting of the crane or to the blocking of the axles; Outriggers; Coupling of the travelling mechamism to the crane mechanism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niature self-propelled spider crane, which comprises: a base unit provided with a travelling unit at a lower part; a lifting unit provided at an upper part of the base unit; and an outrigger installed so as to support the bas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imension smaller than a standard elelvator specification for 13 persons is formed, and the spider c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after being loaded on an elevator, and thus work at a high floor is possible. The outrigger is installed to be rotated left and right at a vertex position of the base unit.

Description

초소형 자주식 거미크레인{Miniature self-help Spider Crane}Miniature self-help spider crane

본 발명은 초소형 자주식 거미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와 실외에서 적용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는 초소형 자주식 거미크레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niature self-propelled spider cra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iniature self-propelled spider crane provided in a form applicable to indoors and outdoors.

일반적으로, 자주식 크레인은 자체 동력원을 구비하여 주행할 수 있는 크레인으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163551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주행할 수 있는 차체(1)와, 중량물을 인양하기 위한 크레인(2)과, 중량물 인양 시 차체(1)를 지지하기 위한 아우트리거(5) 및 아우트리거(5)로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부(6)를 마련하고 있다.In general, the self-propelled crane is a crane capable of traveling with its own power source, as described in Korean Patent No. 10-1635517, a vehicle body 1 capable of traveling, and a crane 2 for lifting heavy objects. , It is provided with an outrigger (5) for supporting the vehicle body (1) when lifting heavy objects and a fluid supply (6) for supplying the working fluid to the outrigger (5).

그러나, 종래의 자주식 크레인은 아우트리거(5)의 지면 지지에 대해서만 지지를 의존함으로써 중량물의 무게가 무거워지거나 크레인의 길이를 길게 형성할 시에는 크레인의 전복사고가 빈번하였으며, 특히 최근에는 크레인의 일 구성인 붐대의 길이가 점차 증가하면서 이와 같은 추세가 더 늘어나고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self-propelled crane relies on the support only for the ground support of the outrigger 5, and when the weight of the heavy object becomes heavy or the length of the crane is long, the crane overturning accident is frequent, especially in recent years. This trend is increasing as the length of the boom, which is the composition, gradually increases.

한편, 건물의 구조나 형태가 점차 디자인적인 측면이 강화되면서 다양한 구조물과 재료 등을 사용하는 추세이고, 특히 구조 상 독특한 구조를 형성하면서 내부에서도 크레인을 사용해야 하는 지경에 이르렀다.On the other hand, as the structure or shape of the building is gradually strengthening its design aspects, it is a trend to use various structures and materials, and in particular, while forming a unique structure, it has reached the point of using a crane inside.

그러나, 종래의 자주식 크레인은 주로 외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기에, 전장, 전폭, 전고 등이 실내로 유입될 수 있는 조건이 아니며, 유입된다 하더라도 구조 상 실내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self-propelled crane is mainly designed to be used from the outside, so it is not a condition that the length, width, height, etc. can be introduced into the room.

따라서, 건물의 발전 형태에 따라 실내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자주식 크레인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self-propelled crane that can be easily used even indoor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form of a building.

또한, 실내외에서 사용할 시, 에너지 효율이 좋은 자주식 크레인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In addition, when used indoors or outdoors, the development of energy-efficient self-propelled self-propelled crane is urgently required.

본 발명은 상기의 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되는 것으로, 초소형 자주식 거미크레인은 실내 또는 실외에서도 모두 적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초소형 자주식 거미크레인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ultra-compact self-propelled spider crane is formed to be applicable both indoors and outdoor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iniature self-propelled spider cran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소형 자주식 거미크레인에 있어서, 하부에 주행부가 구비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부에 구비되는 인양부 및 상기 베이스부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아우트리거를 포함하며, 13인용 기준 표준 승강기 제원보다 작은 제원을 형성하여, 승강기에 적재한 후 이동하여 고층에서 작업이 가능하며, 상기 아우트리거가 베이스부의 꼭지점 위치에 좌우로 회동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iniature self-propelled spider c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base portion provided with a running portion at the bottom; It includes a lifting part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and an outrigger installed to support the base portion, and forms a smaller dimension than the standard standard elevator specification for 13 people, loads on the elevator and moves, so it is possible to work on high floors.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rigger is installed to be rotated left and right at the vertex position of the base portion.

또한, 상기 아우트리거는, 상기 베이스부의 꼭지점 위치에 수직축을 형성하는 회전지지부; 상기 회전지지부에 결속되어 좌우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브라켓; 상기 회전브라켓에 수평축으로 연결되는 연결링크; 상기 연결링크 단부에 구비되는 연결브라켓; 일단이 상기 회전브라켓 상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브라켓과 연결되는 상부실린더; 상기 연결브라켓과 수평축으로 연결되는 다단형의 지지대 및 상기 연결링크의 하부측에서 상기 수평축과 지지대를 연결하는 하부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rigger includes: a rotation support portion forming a vertical axis at a vertex position of the base portion; A rotating bracket that is attached to the rotating support part and is rotatably installed left and right; A connecting link connected to the rotating bracket on a horizontal axis; A connection bracket provided at the end of the connection link; An upper cylind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rotating bracke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connecting bracket; It may include a multi-stage support connected to the connecting bracket and the horizontal axis and a lower cylinder connecting the horizontal axis and the support on the lower side of the connection link.

또한, 상기 주행부는, 전기로 구동되는 모터, 유체로 구동되는 엔진 중 하나를 택일적으로 사용하여 구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riv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driven by using alternatively one of an electric motor, a fluid driven engine.

또한, 실외인지 실내인지 판별할 수 있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센서를 이용해 상기 모터와 엔진의 구동을 자동적으로 전환하여 상기 주행부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 detection sensor capable of determining whether it is outdoor or indoor,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drives the driving unit by automatically switching the driving of the motor and the engine using the detection sensor.

또한, 상기 주행부를 양측방으로 확장하여 무게 중심을 낮게 형성하도록 하는 확장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n expansion cylinder to expand the driving portion to both sides to form a low center of gravity.

또한, 상기 감지센서는, 초음파 또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tection sensor may include an ultrasonic or infrared sensor.

또한, 상기 감지센서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ing sensor may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또한, 상기 베이스부 전방에 구비되는 고리걸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hook may be further provided in front of the base por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소형 자주식 거미크레인은, 전복방지를 보조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을 함께 마련하여 미세한 조정이 가능하면서도, 오작동에 대비할 수 있는 등 보다 효과적으로 전복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ultra-compact self-propelled spider c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various devices capable of assisting to prevent overturning, and can be finely adjusted, but also has an advantage of preventing overturning more effectively, such as being prepared for a malfunc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소형 자주식 거미크레인은, 실내에서 사용이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어 실내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제작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ultra-compact self-propelled spider c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form that can be used indoors,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manufactured to be used indoors.

또한, 에너지 효율이 좋아 실외와 실내에 따라 전력소비를 합리적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nergy efficiency is good, so it is possible to rationalize power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outdoor and the indoo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복방지형 자주식 크레인의 개략도이다.
도 2의 (a) 및 (b)는 도 1의 전복방지형 자주식 크레인의 균형유지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의 (a)는 이동부가 마련된 본 발명의 전복방지형 자주식 크레인의 평면도이며, (b)는 (a)의 이동부를 단면을 통해 바라본 구성도이다.
도 4의 (a) 및 (b)는 에어튜브를 통한 본 발명의 전복방지형 자주식 크레인의 균형유지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복방지형 자주식 크레인의 일 구성인 균형유지부를 개략화한 도면이다.
도 6의 (a) 내지 (c)는 도 5의 균형유지부에 대한 물 공급 구성을 예시화한 도면이다.
도 7의 (a) 및 (b)는 도 5의 균형유지부를 활용하는 방안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소형 자주식 거미크레인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초소형 자주식 거미크레인의 아우트리거 상세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초소형 자주식 거미크레인의 접힘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의 (a)는 도 8의 초소형 자주식 거미크레인의 주행부를 확장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b)는 주행부를 확장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소형 자주식 거미크레인의 모터와 엔진을 혼용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3은 감지센서를 이용한 도 12의 초소형 자주식 거미크레인의 모터와 엔진 혼용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elf-propelled self-propelled c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 and 2 (b) are views illustrating a method for maintaining the balance of the self-propelled self-propelled crane of FIG. 1.
3 (a) is a plan view of the self-propelled self-propelled c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with a moving part, (b) is a configuration view of the moving part of (a) through a cross section.
4 (a) and (b) are views illustrating a method for maintaining the balance of the self-propelled self-propelled c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an air tube.
5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balance maintaining unit, which is one configuration of an overturning-type self-propelled c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 to 6 (c) are views exemplifying a water supply configuration for the balance maintaining unit of FIG. 5.
7A and 7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method of utilizing the balance maintaining unit of FIG. 5.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miniature self-propelled spider c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etailed view of the outrigger of the miniature self-propelled spider crane of FIG. 8.
10 is a view illustrating a folded state of the ultra-small self-propelled spider crane of FIG. 8.
FIG. 11 (a)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raveling portion of the miniature self-propelled spider crane of FIG. 8 is not expanded, and (b)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raveling portion is expanded.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ixing a motor and an engine of a miniature self-propelled spider c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ixing the motor and the engine of the ultra-small self-propelled spider crane of FIG. 12 using a sensor.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embodiment, and various conversions may be applied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provided.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ontents described below include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terms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in meaning to themselves, and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us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denote the same components.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have” or “have” described below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ar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nd understood to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y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복방지형 자주식 크레인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self-propelled self-propelled c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3.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복방지형 자주식 크레인의 개략도이며, 도 2의 (a) 및 (b)는 도 1의 전복방지형 자주식 크레인의 균형유지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overturning self-propelled self-propelled c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a) and (b) are views illustrating a method for maintaining the balance of an overturning self-propelled self-propelled crane in FIG.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복방지형 자주식 크레인은, 지지를 위한 복수의 아우트리거가 장착된 자주식 크레인을 바탕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크레인에 대해 편심이 발생될 시에 아우트리거(30)의 유량을 조절하여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자주식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1 and 2, the roll-over preventing self-propelled c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on the basis of a self-propelled crane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outriggers for support, when eccentricity occurs with respect to the crane It relates to a self-propelled crane that can maintain the horizontal by adjusting the flow rate of the outrigger (30).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전복방지형 자주식 크레인은 종래에 공지된 자주식 크레인에도 적용될 수 있고, 후술하는 초소형 자주식 거미크레인(100)에도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초소형 자주식 거미크레인은 13인용 기준 표준 승강기 제원인 1,350mm*1,600mm*2,050mm(깊이*폭*높이, 도어 폭:900mm)보다 작은 제원인 1,220mm*600mm*1,310mm(전장*전폭*전고)를 형성하며, 아우트리거(30)의 설치 위치가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이 아닌 대각선방향 즉, 자주식 크레인의 베이스부(10) 꼭지점 위치에 설치되는 자주식 크레인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바람직한 형태의 자주식 크레인이며,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In more detail, the roll-over preventing self-propelled c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conventional self-propelled self-propelled crane, and can also be applied to an ultra-small self-propelled spider crane 100 described later. Here, the ultra-compact self-propelled spider crane is smaller than 1,350mm * 1,600mm * 2,050mm (depth * width * height, door width: 900mm), which is a standard lift standard for 13 people, which is 1,220mm * 600mm * 1,310mm (length * full * Forming the front heigh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outrigger 30 is not a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but a diagonal direction, that is, a self-propelled crane installed at the vertex position of the base part 10 of the self-propelled crane,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ferably applied It is a self-propelled crane of the form,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3.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복방지형 자주식 크레인은, 기본적으로 베이스부(10), 인양부(20) 및 아우트리거(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ll-over type self-propelled c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asically include a base portion 10, a lifting portion 20, and an outrigger 30.

여기서, 베이스부(10)는 크레인을 구성하는 몸체로서 하부로는 주행부(15)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부로는 중량물의 인양을 위한 인양부(2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10)의 측방 또는 후방 주위를 따라서 복수의 아우트리거(30)가 마련되어 확장될 수 있으며, 아우트리거(30)는 확장 시 지면(E) 등에 안착되어 베이스부(10)를 지지할 수 있다.Here, the base portion 10 is a body constituting the crane, the lower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traveling portion 15, and the upper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lifting portion 20 for lifting heavy objects. In addition, a plurality of outriggers 30 may be provided and extended along the lateral or rear circumference of the base part 10, and the outriggers 30 are seated on the ground E or the like when extended to support the base part 10 can do.

상세하게, 주행부(15)는 동력원에 의해 구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동력원은 엔진 또는 모터일 수 있고, 주행부(15)는 바퀴형이나 궤도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엔진 또는 모터(미도시)에 의해 발생되는 동력에 의해 바퀴 또는 궤도로 형성되는 주행부(15)는 베이스부(10)를 이동시킬 수 있다.In detail, the driving unit 15 may be formed to be driven by a power source, the power source may be an engine or a motor, and the driving unit 15 may be formed in a wheel shape or a track shape. That is, the driving unit 15 formed of a wheel or a track by power generated by an engine or a motor (not shown) may move the base unit 10.

인양부(20)는 컬럼(21), 붐대(22) 및 윈치(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fting part 20 may include a column 21, a boom stand 22 and a winch 23.

여기서, 컬럼(21)은 베이스부(10)에 장착되되,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붐대(22)는 컬럼(21)에서 연장되도록 컬럼(21)의 단부에 장착될 수 있는데, 이때 붐대(22)와 컬럼(21)의 결합은 수평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붐대(22)와 컬럼(21) 사이로 실린더(24)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실린더(24)의 동작에 의해 붐대(22)는 컬럼(21)에 대하여 회동이 가능하다. 또한, 붐대(22)는 다단구조를 형성하여 길이가 확장될 수 있다. 이때, 붐대의 단면 형상은 한정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강도를 높이기 위해 사각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윈치(23)는 컬럼(21)과 붐대(22)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붐대(22) 끝단에 마련되는 도르레(25)까지 연결될 수 있으며, 끝단에는 고리(26)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윈치(23)는 컬럼(21), 붐대(22) 및 도르레(25)의 회동에 따라 위치가 조절될 수 있으며, 중량물을 고리(26) 등으로 걸어 인양할 수 있다.Here, the column 21 is mounted to the base portion 10, it can be mounted to be rotated left and right. In addition, the boom 22 can be mounted to the end of the column 21 so as to extend from the column 21, where the boom 22 and the column 21 can be combined by a horizontal axis, the boom 22 Cylinder 24 may be installed between and column 21. That is, the boom stand 22 can rotate relative to the column 21 by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24.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boom stand 22 can be extended by forming a multi-stage structure. At this tim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boom is not limited, but may preferably form a square cross-section to increase strength. In addition, the winch 23 is installed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column 21 and the boom 22 can be connected to the pulley 25 provided at the end of the boom 22, the end can form a ring 26 . The winch 23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olumn 21, the boom 22 and the pulley 25, it can be lifted by lifting the heavy weight with a ring (26).

아우트리거(30)는 베이스부(10)의 지지를 위해 베이스부(10)에 일단부가 설치되며, 타단부는 실린더(도 1 및 도 2에 미도시)에 의해 동작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확장 또는 축소되거나 회동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특징은 아우트리거(30)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연결하는 실린더(도 1 및 도 2에 미도시)에 공급하는 유량을 제어하여 수평을 유지하는 것에 있다.The outrigger 30 has one end installed on the base 10 for support of the base 10, and the other end is formed to be operated by a cylinder (not shown in FIGS. 1 and 2) and expanded or It can be reduced or rotated. At this time, on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intain the horizontal by controlling the flow rate supplied to the cylinder (not shown in FIGS. 1 and 2) connect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outrigger 30.

구체적으로, 양측방으로 대향 배치되는 아우트리거(30)로 예시하면, 먼저 크레인의 중심에는 수평센서(미도시)를 장착할 수 있으며, 이 수평센서(미도시)가 항시 크레인의 균형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크레인의 중심이 일측으로 기울어져 편심될 때에 수평센서(미도시)로 편심이 감지되며, 이는 설정된 단말 또는 크레인에 설치된 설정 기기로 알림이 전송되거나,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Specifically, exemplified by the outriggers 30 disposed opposite to each side, a horizontal sensor (not shown) may be mounted at the center of the crane first, and this horizontal sensor (not shown) can always check the balance of the crane. have. At this time, when the center of the crane is tilted to one side and is eccentric, eccentricity is detected by a horizontal sensor (not shown), and a notification is transmitted to a set terminal or a setting device installed in the crane, or the operator can visually confirm.

이를 확인한 작업자는 도 2의 (a)와 같이 복수의 아우트리거 중 기울어지는 측의 아우트리거들로 유압을 가하여 아우트리거를 확장 또는 축소시키거나 회동시켜 균형을 맞출 수 있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는, 도 2의 (b)와 같이 복수의 아우트리거 중 기울어지는 측의 타측으로 유압을 더 많이 공급하여 무게를 타측으로 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균형을 맞출 수도 있는 것이다. As shown in FIG. 2 (a), the operator who checks this may apply hydraulic pressure to the outriggers on the inclined side of the plurality of outriggers to expand or contract the outriggers or rotate them to balance the outriggers. In another method, as shown in (b) of FIG. 2, the weight may be applied to the other side by supplying more hydraulic pressure to the other side of the inclined side among the plurality of outriggers, thereby balancing it.

한편, 상기에서는 작업자가 알림 또는 육안으로 확인하여 직접 제어하는 것을 바탕으로 예시하였으나,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평센서(미도시)를 통한 기울임 감지시에 유량의 제어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수평센서와 유량 공급량 조절을 위한 아우트리거(30)의 밸브(미도시)는 서로 연동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 it is illustrated based on the operator directly controlling by confirming with the notification or the naked eye, but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and control of the flow rate may be automatically performed when tilt is detected through a horizontal sensor (not shown). That is, the horizontal sensor and the valve (not shown) of the outrigger 30 for adjusting the flow rate supply may b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복방지형 자주식 크레인은, 편하중에 따른 크레인 전복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인명피해와 구조물 피해를 줄여 발생되는 사회 비용을 줄일 수가 있다.Through this, the self-propelled self-propelled c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a safety accident due to the overturning of the crane due to the unloading load, thereby reducing human damage and damage to structures, thereby reducing social costs. have.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복방지형 자주식 크레인은, 아우트리거의 유량조절을 통한 수평유지를 보조하기 위하여 이동부(50), 에어튜브(60) 및 균형유지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Meanwhile, the self-propelled self-propelled c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moving part 50, an air tube 60, and a balance maintaining part 70 in order to assist horizontal maintenance through flow control of the outrigger. can do.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7.

도 3의 (a)는 이동부가 마련된 본 발명의 전복방지형 자주식 크레인의 평면도이며, (b)는 (a)의 이동부를 단면을 통해 바라본 구성도이며, 도 4의 (a) 및 (b)는 에어튜브를 통한 본 발명의 전복방지형 자주식 크레인의 균형유지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Figure 3 (a) is a plan view of the self-propelled self-propelled c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with a moving part, (b) is a configuration view of the moving part of (a) through a cross section, Figure 4 (a) and (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maintaining the balance of the self-propelled self-propelled c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an air tube.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복방지형 자주식 크레인의 일 구성인 균형유지부를 개략화한 도면이며, 도 6의 (a) 내지 (c)는 도 5의 균형유지부에 대한 물 공급 구성을 예시화한 도면이고, 도 7의 (a) 및 (b)는 도 5의 균형유지부를 활용하는 방안을 예시한 도면이다.In addition, FIG.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balance maintaining part, which is one configuration of an overturning type self-propelled c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6A to 6C show water for the balance maintaining part of FIG. 5. It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upply configuration, and FIGS. 7A and 7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method of utilizing the balance maintaining unit of FIG. 5.

먼저, 도 3의 (a) 및 (b)를 참조하면, 이동부(50)는 베이스부(10)에 대한 아우트리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베이스부(10)에 형성되는 레일부(51)와, 상기 레일부(51)에 대해 이동하도록 형성되며 아우트리거(30)의 일단부와 결합되는 이동체(55)를 포함할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a) and (b) of FIG. 3, the moving part 50 is formed so as to be moved outwardly with respect to the base part 10, and the rail part formed in the base part 10 51 and a movable body 55 that is formed to move relative to the rail portion 51 and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outrigger 30.

구체적으로, 레일부(51)는 아우트리거(30)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지점에서 시작단을 형성하여 내측으로 길이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베이스부(10) 꼭지점 위치에 아우트리거(30)가 장착되는 거미형 크레인(100)의 경우는 레일부(51)가 베이스부(10)의 꼭지점에서 시작단을 형성하여 베이스부(10)의 내측 대각선 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레일부(5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정성을 위해 복수의 바퀴 또는 롤러(58)가 유동될 수 있도록 복수의 레일(51a)을 형성할 수 있으나,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레일(51a)의 개수 등 레일부(51)의 형태는 다양화 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rail part 51 may form a length inward by forming a starting end at a point at which one end of the outrigger 30 is fix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spider-type crane 100 in which the outrigger 30 is mounted at the vertex position of the base part 10, the rail part 51 forms a starting end at the vertex of the base part 10 to form the base end 10 ) May be formed in the diagonal direction of the inner side. Here, the rail part 51 may form a plurality of rails 51a to allow a plurality of wheels or rollers 58 to flow for stability, as shown in the drawings,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hape of the rail part 51 such as the number of 51a) may be diversified.

이동체(55)는 레일부(51)를 따라 이동하도록 이동체 몸체(56)와, 이동체 몸체(56)를 측방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이동축(57)과, 이동축(57) 양단에 각기 결합되어 레일부(51)의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바퀴 또는 롤러(58)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축(57)의 일부 또는 이동축(57) 전체에 모터(59)가 장착되어 이동체(55)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이동체(55)에는 아우트리거(30)의 일단부가 고정됨으로써, 아우트리거(30)가 베이스부(10)에 대하여 내외측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The movable body 55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movable body 56 to move along the rail part 51, a plurality of movable shafts 57 that penetrate the movable body 56 laterally, and both ends of the movable shaft 57.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wheels or rollers 58 that are formed to move along the rail of the rail portion 51, the motor 59 is mounted on a part of the moving shaft 57 or the entire moving shaft 57, the moving body (55) can be moved. At this time, one end of the outrigger 30 is fixed to the moving body 55, so that the outrigger 30 can be formed to move inward and outward with respect to the base part 10.

이러한 내외측으로 이동하는 아우트리거(30)는 실린더(도 3에 미도시)로서 조절하지 못하는 축소 또는 확장 범위를 보다 확대시켜주며, 아우트리거의 조절 수단을 다양화 해주고, 특히 아우트리거의 유량 조절 외에도 무게 중심에 따라 아우트리거를 이동시켜 균형을 맞출 수 있어 수평유지에 효과적일 수 있다.The outrigger 30 moving to the inside and outside is a cylinder (not shown in FIG. 3), which further expands a reduction or expansion range that cannot be adjusted, diversifies the adjustment means of the outrigger, in particular, in addition to the flow rate adjustment of the outrigger By moving the outrigger according to the center of gravity, it can be balanced, so it can be effective in maintaining the horizontal.

도 4를 참조하면, 에어튜브(60)는 아우트리거(30) 또는 크레인의 주행부(15)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에어튜브(60)는 아우트리거마다 개별적으로 설치되거나, 바퀴 또는 궤도마다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air tube 60 may be mounted on the outrigger 30 or the traveling part 15 of the crane. That is, the air tube 60 may be individually installed for each outrigger, or individually for each wheel or track.

여기서, 에어튜브(60)는 사용시에만 크레인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는 에어공급부(미도시)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도록 형성되는데, 이를 통해 평상시에는 공기공급을 차단하여 에어튜브(60)를 사용하지 않다가 자주식 크레인에 편심이 발생하여 기울어지거나 균형이 맞지 않는 상황이 발생할 시에 이를 감지해 기울어지는 측으로 에어튜브(60)가 작동되도록 하며, 에어튜브(60)의 팽창으로 반력을 받는 자주식 크레인은 유압과 더불어 공압을 함께 이용하여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Here, the air tube 60 is formed to receive air from an air supply unit (not shown) that is installed inside or outside the crane only when in use, and through this, the air tube 60 is not used by blocking the air supply during normal use. When the inclined or unbalanced situation occurs due to eccentricity in the self-propelled crane, the air tube 60 is operated toward the inclined side, and the self-propelled crane receiving reaction force due to the expansion of the air tube 60 is hydraulic and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of maintaining the balance by using pneumatics together.

한편, 에어튜브(60)도 상술한 수평센서(미도시)를 이용한 자동 또는 수동의 작동이 가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에어공급부(미도시)는 수평센서(미도시)와 연동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ir tube 60 may also be capable of automatic or manual operation using the above-described horizontal sensor (not shown). To this end, the air supply unit (not shown) may be interlocked with a horizontal sensor (not shown).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균형유지부(70)는 유동관로(71), 복수의 개폐밸브(72), 복수의 개별관로(74) 및 물 공급부(75)를 포함하여 베이스부(10)에 구성될 수 있다.5 to 7, the balance maintaining unit 70 includes a flow channel 71, a plurality of opening / closing valves 72, a plurality of individual pipelines 74, and a water supply unit 75, including a base unit 10 ).

구체적으로, 유동관로(71)는 베이스부(10) 둘레를 따라 길이를 형성하며, 길이를 따라 곳곳에는 개폐밸브(72)가 설치될 수 있고, 이러한 복수의 개폐밸브(72)들로 인해 유동관로(71)는 복수의 구역(73)으로 구간화 될 수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개폐밸브(72a)와 제2 개폐밸브(72b) 사이에는 제1 구역(73a)이 형성되며, 제2 개폐밸브(72b)와 제3 개폐밸브(72c) 사이에는 제2 구역(73b)이 형성되는 것이다.Specifically, the flow pipe 71 forms a length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ase portion 10, and an open / close valve 72 may be installed in various places along the length, and the flow pipe may be caused by the plurality of open / close valves 72. The furnace 71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zones 73. That is, as shown in the drawing, a first zone 73a is formed between the first on-off valve 72a and the second on-off valve 72b, and the second on-off valve 72b and the third on-off valve 72c are formed. The second zone 73b is formed therebetween.

이렇게 구역화된 유동관로(71)는 각각의 구역(73)마다 개별관로(74)를 설치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별관로(74)는 하나 이상의 공급펌프(76)와 연결되어 물 공급부(75)로부터 물(W)을 공급받을 수 있다. The zoning flow conduit 71 may be provided with an individual conduit 74 for each zone 73, and a plurality of individual conduits 74 are connected to one or more feed pumps 76 from the water supply 75. Water (W) can be supplied.

예컨대, 복수의 개별관로(74)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공급펌프(76)를 통해 물을 공급하도록 형성될 시에는, 물을 공급받는 물 공급관로(77)는 분기라인(78)을 형성하여 복수의 개별관로(74)와 연결될 수 있으며, 여기서 복수의 개별관로(74) 또는 분기라인(78)은 각기 밸브(79)를 구비하여 물 공급이 필요한 구역으로 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공급펌프(76)를 구비하여 복수의 개별관로(74)로 물을 공급하도록 형성될 시에는 복수의 구역을 일정구간으로 나누어 각각 복수의 공급펌프(76)와 대응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관로(74)마다 따로 공급펌프(76)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when the plurality of individual pipelines 74 are formed to supply water through one supply pump 76 as shown in FIG. 6 (a), the water supply pipeline 77 receiving water is The branch line 78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individual pipelines 74, where the plurality of individual pipelines 74 or the branch lines 78 are provided with valves 79, respectively, to go to an area in need of water supply. Can be formed. In addition, as shown in (b) of FIG. 6, when a plurality of supply pumps 76 are provided to supply water to a plurality of individual pipelines 74, a plurality of zones are divided into predetermined sections, each of which is a plurality. It can also be made to correspond to the supply pump (76).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6 (c),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separate supply pump 76 for each individual pipeline (74).

상기의 구조를 통한 본 발명의 전복방지형 자주식 크레인은 균형유지가 필요할 시에, 구역별로 물 공급을 조절하여 균형을 유지할 수가 있다. 예컨대, 도 7의 (a)와 같이 제1 구역(73a)측으로 크레인이 기울어질 시에는 제1 구역(73a)과 대향되는 제5 구역(73e)을 형성하는 제6 및 제7 개폐밸브(72e, 72f)를 폐쇄 후, 제5 구역(73e)측으로 물(W)을 공급하여 균형을 맞추며, 도 7의 (b)와 같이 제2 구역(73b)과 제3 구역(73c) 사이 부근이 기울어질 시에는 이와 대응되는 제6 구역(73f)과 제7 구역(73g)을 형성하는 개폐밸브(72f 내지 72h)들을 폐쇄 후, 물(W)을 공급하여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기본적으로 유량을 이용하여 균형을 유지하는 것 외에도 균형유지부(70)를 통해 보조하여, 보다 안전하고 세세하게 전복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The self-propelled self-propelled c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above structure can maintain the balance by adjusting the water supply for each zone when balance is required. For example, as shown in (a) of FIG. 7, when the crane is inclined toward the first zone 73a, the sixth and seventh open / close valves 72e forming the fifth zone 73e facing the first zone 73a , 72f) is closed, the water (W) is supplied to the fifth zone 73e to balance it, and the vicinity between the second zone 73b and the third zone 73c is inclined as shown in FIG. 7 (b). In the vaginal period, after closing and closing the valves 72f to 72h forming the corresponding 6th zone 73f and 7th zone 73g, water W is supplied to maintain the balance. Through this, basically, in addition to maintaining the balance by using the flow rate, it is assisted through the balance maintaining unit 70, and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rollover more safely and finely.

한편, 유동관로(71)는 물을 순환시키거나 분사하는 곳에도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유동관로(71)는 물 공급부(75)와 연결되는 물 순환펌프(미도시)를 따로 구비할 수 있으며, 일측 구역 또는 복수의 구역에는 하나 이상의 물 분사장치(미도시)와 연결되는 분사관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low pipe 71 can also be used where water is circulated or sprayed. To this end, the flow pipe 71 may separately include a water circulation pump (not shown)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unit 75, and is connected to one or more water jetting devices (not shown) in one or a plurality of zones. An injection pipe (not shown) may be formed.

먼저, 물을 순환시키는 것은 크레인의 베이스부(10) 주변을 냉각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의 냉각수와 같이 크레인의 온도상승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물 분사는 주변 열을 식히는 등 크레인 주변으로 물 분사가 필요한 시점에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물을 순환시키고자 할 때는 구역을 형성하는 복수의 개폐밸브(72)를 모두 개방시켜 순환시킬 수 있다.First, circulating water is for cooling the surroundings of the base portion 10 of the crane, and ha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temperature rise of the crane, such as cooling water of a vehicle, and water spraying cools the surrounding heat and sprays water around the crane. Can be used when needed. Here, when it is desired to circulate water, all of the plurality of on-off valves 72 forming the zone may be opened and circulated.

또한, 유동관로(71)에 따로 열교환장치(미도시)를 마련하여 냉수가 아닌 온수를 사용할 수도 있는데, 온수는 동절기 등에 크레인 구성 부품들이 잘 작동되도록 온기를 공급하며, 지면(E)에 눈이 쌓이거나 얼어 이동이 비용이 할 시에 눈 또는 얼음을 녹이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In addition, a separate heat exchanger (not shown) may be used in the flow pipe 71 to use hot water instead of cold water. Hot water supplies warmth so that crane components work well in winter, etc., and snow on the ground (E) Stacking or freezing can have the effect of melting snow or ice when the movement is costly.

즉, 균형유지부(70)는 1차적으로는 크레인의 전복방지 보조역할을 하며, 2차적으로는 물 순환펌프(미도시), 물 분사장치(미도시), 분사관로(미도시), 열교환장치(미도시) 등을 더 포함하여 다양한 계절에도 크레인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That is, the balance maintaining unit 70 primarily serves as an auxiliary for preventing the tipping of the crane, and secondly, a water circulation pump (not shown), a water spraying device (not shown), and a spray pipe (not shown), Including various heat exchangers (not shown), it can exhibit an effect of easily using the crane in various seasons.

상술한 이동부(50), 에어튜브(60), 균형유지부(70)는 모두 따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같이 구비될 수도 있다. 다만, 이동부(50), 에어튜브(60), 균형유지부(70)는 유량조절을 통한 수평유지를 보조하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1차적으로는 유량조절을 통해 수평유지를 우선하고, 2차적으로 이동부(50) 또는 에어튜브(60) 또는 균형유지부(70)를 활용하여 수평유지를 차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동부(50), 에어튜브(60), 균형유지부(70)만을 활용하여 수평유지도 할 수는 있다.The above-described moving part 50, the air tube 60, and the balance maintaining part 70 may all be provided separately or may be provided together. However, the moving part 50, the air tube 60, and the balance maintaining part 70 are used to assist the horizontal maintenance through the flow control, and primarily the horizontal maintenance through the flow control, 2 It is preferable to use the moving part 50 or the air tube 60 or the balance maintaining part 70 to lane horizontally. However,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and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horizontal by utilizing only the moving part 50, the air tube 60, and the balance maintaining part 70.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복방지형 자주식 크레인이 적용될 수 있는 일례인 초소형 자주식 거미크레인(100)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ultra-small self-propelled spider crane 100, which is an example to which the self-propelled self-propelled c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소형 자주식 거미크레인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초소형 자주식 거미크레인의 아우트리거 상세도이고, 도 10은 도 8의 초소형 자주식 거미크레인의 접힘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ltra-small self-propelled spider c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outrigger detail view of the ultra-small self-propelled spider crane of FIG. 8, and FIG. 10 illustrates a folded state of the ultra-small self-propelled spider crane of FIG. It is one drawing.

또한, 도 11의 (a)는 도 8의 초소형 자주식 거미크레인의 주행부를 확장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b)는 주행부를 확장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소형 자주식 거미크레인의 모터와 엔진을 혼용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13은 감지센서를 이용한 도 12의 초소형 자주식 거미크레인의 모터와 엔진 혼용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In addition, FIG. 11 (a)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raveling portion of the ultra-compact self-propelled spider crane of FIG. 8 is not expanded, and (b)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raveling portion is expanded, and FIG. 12 is a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mixing a motor and an engine of a miniature self-propelled spider c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13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mixing a motor and an engine of the miniature self-propelled spider crane of FIG. 12 using a detection sensor.

먼저,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소형 자주식 거미크레인(100)은 상술하였듯이 13인용 기준 표준 승강기 제원인 1,350mm*1,600mm*2,050mm(깊이*폭*높이, 도어 폭:900mm)보다 작은 제원인 1,220mm*600mm*1,310mm(전장*전폭*전고)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초소형 자주식 거미크레인의 제원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한정되지 않으며 13인용 기준 표준 승강기 제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조절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S. 8 to 10, the ultra-compact self-propelled spider cra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andard lift for 1 person, as described above, 1,350mm * 1,600mm * 2,050mm (depth * width * height, Door width: 900mm) smaller than 1,220mm * 600mm * 1,310mm (full length * full width * height) can be formed. (Here, the specifications of the miniature self-propelled spider crane are not limited to examples and can be adjusted within a range not exceeding the standard lift specification for 13 persons)

또한, 상술한 기본 구성인 베이스부(10), 인양부(20) 및 아우트리거(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아우트리거(30)의 설치 위치를 포함한 일부 구조와 구성에서 차이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기본 구성에서 차이를 보이는 부분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구분을 위해 도면부호를 베이스부는 110, 인양부는 120, 아우트리거는 130와 같이 100단위로 기재하기로 한다)In addition,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base portion 10, the lifting portion 20 and the outrigger 30, which is the basic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However, some structures and configurations including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outrigger 30 may exhibit differences. Therefore, hereinafter, redundant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and only parts showing differences in the basic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reference numbers will be written in units of 100, such as 110 for the base part, 120 for the lifting part, and 130 for the outrigge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소형 자주식 거미크레인(100)은, 아우트리거(130)가 베이스부(110)의 꼭지점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아우트리거(130)는 베이스부(110)의 꼭지점 위치에 수직축(131a)을 형성하는 회전지지부(131)에 회전브라켓(132)을 통해 결속되어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베이스부(110)의 꼭지점 위치에는 설치되나, 양측방 또는 전후방으로 아우트리거(130)를 회동시켜 초소형 자주식 거미크레인(100)을 지지시킬 수도 있다.In the miniature self-propelled spider cra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rigger 130 may be installed at a vertex position of the base 110. At this time, the outrigger 130 may be installed to be rotated left and right through a rotation bracket 132 to the rotation support portion 131 forming the vertical axis 131a at the vertex position of the base portion 110. Through this, it is installed at the vertex position of the base portion 110, but it is also possible to support the ultra-small self-propelled spider crane 100 by rotating the outrigger 130 in both sides or front and rear.

회전브라켓(132)에는 연결링크(133)가 수평축(133a)에 의해 연결되며, 상측으로는 연결링크(133)의 단부에 구비되는 연결브라켓(134)과 연결되는 상부실린더(135)가 장착될 수 있다. 이 상부실린더(135)에 신장과 신축에 의해 연결링크(133)가 상하로 회동할 수 있다. 연결브라켓(134)에는 지면에 안착되기 위한 지지부(137)가 끝단에 마련되는 다단형의 지지대(136)가 수평축(136a)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지지대(136)를 결합하는 수평축(136a)에는 연결링크(133)의 하부측에서 연결링크(133)에 의해 지지되는 하부실린더(138)가 장착되어, 하부실린더(138)의 신장과 신축에 따라 지지대(136)가 축심을 기준으로 회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지면에 안착되기 위한 지지부(137)는 지지대(136)에 대하여 회동가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아우트리거(130)는 다각도로 조절이 가능한 관절로 형성될 수가 있고, 지면에 대하여 균형을 용이하게 맞출 수가 있으며, 주행이나 미 사용시에는 도 10과 같이 아우트리거(130)를 접어서 사용할 수도 있다.On the rotating bracket 132, a connecting link 133 is connected by a horizontal axis 133a, and an upper cylinder 135 connected to a connecting bracket 134 provided at an end of the connecting link 133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Can be. The linking link 133 can be rotated up and down by elongation and expansion and contraction to the upper cylinder 135. To the connection bracket 134, a multi-stage support 136 having a support portion 137 for seating on the ground may be connected by a horizontal axis 136a. In addition, the lower cylinder 138 supported by the connecting link 133 on the lower side of the connecting link 133 is mounted on the horizontal axis 136a coupling the support 136, so that the lower cylinder 138 is elongated and stretched. According to the support 136 may be formed to rotate based on the axis. 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 137 for being seated on the ground is form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136, so that the outrigger 130 can be formed with a joint that can be adjusted at multiple angles and easily balances the ground. When running or not in use, the outrigger 130 may be folded and used as shown in FIG. 10.

한편, 본 발명의 특징인 아우트리거(130)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연결하는 실린더(도 1 내지 도 7에 미도시)는 상술한 상부실린더(135) 또는 하부실린더(138)를 의미할 수 있다. 즉, 결과적으로 초소형 자주식 거미크레인(100)에 있어서는 아우트리거(130)의 상부실린더(135) 또는 하부실린더(138)의 유량을 제어함으로써 전복방지형 자주식 크레인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cylinder connecting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outrigger 130, which i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shown in FIGS. 1 to 7), may mean the upper cylinder 135 or the lower cylinder 138 described above. have. That is, as a result, in the ultra-small self-propelled spider crane 100,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self-propelled self-propelled crane by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upper cylinder 135 or the lower cylinder 138 of the outrigger 130.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소형 자주식 거미크레인(100)의 또 다른 특징은, 주행부(115)의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another feature of the miniature self-propelled spider cra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can be used by extending the driving unit 115.

구체적으로 도 11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주행부(115)는 바퀴 또는 궤도형으로 형성될 수가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경사나 불규칙한 지면에서도 용이하게 사용 가능하도록 궤도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때, 궤도형의 주행부(115)는 확장실린더(140)를 장착하여 양측방으로 확장이 가능할 수 있으며, 확장범위는 약 800mm까지 가능할 수 있다. 즉, 궤도를 확장하여도 13인용 표준 승강기 제원 기준의 도어 폭보다 작은 폭을 형성함으로써 주행부(115)의 확장 시에나 비 확장이 시에 모두 승강기 탑승이 용이한 구조로서, 중량물의 무게에 따라 무게 중심을 낮게 형성해야 할 시에는 주행부(115)를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고, 무게 중심을 낮출 필요성이 없거나 비교적 빠른 주행이 필요할 시에는 주행부(115)를 확장하지 않고 사용이 가능하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11, as described above, the driving unit 115 may be formed in a wheel or a track type, and preferably may be formed in a track type so that it can be easily used even on an inclined or irregular surface. At this time, the track-type travel unit 115 may be extended to both sides by mounting the expansion cylinder 140, and the expansion range may be up to about 800 mm. That is, even if the track is extended, a structure smaller than the door width of the standard lift specification for 13 persons is formed, so that the elevator can be easily boarded at the time of expansion or non-expansion of the driving unit 115. When it is necessary to form a low center, the driving unit 115 can be extended and used. When there is no need to lower the center of gravity or relatively fast driving is required, the driving unit 115 can be used without being extend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소형 자주식 거미크레인(100)의 일 특징은 도 12를 참조하면 전기와 유체로 혼합 구동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초소형 자주식 거미크레인(100)은 상술하였듯이 전기로 구동할 수 있는 모터(미도시)와, 유체로 구동할 수 있는 엔진(미도시)을 각각 마련할 수 있는데, 모터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거나 따로 장착되는 배터리(미도시)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주로 적은 힘이 필요한 실내 작업에서 사용될 수 있고, 엔진은 주로 많은 힘이 필요한 실외 작업에서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feature of the ultra-compact self-propelled spider cra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rive a mixture of electricity and fluid with reference to FIG. 12. To this end, the miniature self-propelled spider crane 100 may be provided with a motor (not shown) that can be electrically driven and an engine (not shown) that can be driven with fluid, respectively, as described above. Power can be supplied from a supplied or separately mounted battery (not shown), and can be mainly used in indoor work requiring little power, and the engine can be mainly used in outdoor work requiring a lot of power.

그러나,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한 힘에 따라 엔진을 실내 작업에서 사용하거나, 모터를 실외 작업에서 사용하는 것 모두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구동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닐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and it is possible to use the engine in indoor work or use the motor in outdoor work depending on the required forc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 advantage of saving driving energy.

또한,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소형 자주식 거미크레인(100)은, 실외랑 실내를 스스로 판별하도록 하여 모터와 엔진의 구동이 판별에 따라 자동적으로 변환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13, the ultra-compact self-propelled spider cra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outdoor and indoor to be determined by itself, so that the driving of the motor and the engine can be automatically convert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이를 위해, 초소형 자주식 거미크레인(100)은 실내와 실외의 차이를 구분할 수 있도록 거리 또는 온도 등의 판별조건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미도시)를 하나 이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감지센서는 거리 등을 판별할 수 있는 초음파 또는 적외선 센서일 수 있으며, 온도를 판별할 수 있는 온도 센서일 수 있다.To this end, the miniature self-propelled spider crane 100 may include one or more detection sensors (not shown) capable of detecting discrimination conditions such as distance or temperature so as to distinguish between indoor and outdoor differences. Here, the sensing sensor may be an ultrasonic or infrared sensor capable of determining distance, or the like, and may be a temperature sensor capable of determining temperature.

이들의 활용은 예컨대, 거리측정의 경우 실외는 상측이 주로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초음파나 적외선을 상방으로 발산하였을 때, 응답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응답이 늦을 수가 있으며, 실내는 상측이 주로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초음파나 적외선을 상방으로 발산하였을 때, 응답이 일정시간 이내에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하여 실외와 실내를 구분하는데 이용할 수가 있고, 온도측정의 경우 실외와 실내의 온도차이를 이용하여 구분할 수가 있다. In the case of distance measurement, for example, in the case of distance measurement, since the upper side is mainly open, when the ultrasound or infrared rays are emitted upward, the response may not be made or the response may be slow, and the indoor side is mainly closed because the upper side is mainly closed. B When infrared rays are emitted upward, it can be used to distinguish between outdoor and indoor by confirming that the response is made within a certain time. In the case of temperature measurement, it can be distinguished by us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outdoor and indoor.

다만, 온도차이의 경우 실외와 실내가 유사하거나 동일할 수 있으므로, 거리와 온도 측정을 함께하여 정확하게 구분 짓는 것이 바람직하며, 온도의 경우 그날의 평균온도를 직접 입력하거나 기상청 등과 연계되어 온도를 알려주는 프로그램 등을 통해 시간대별로 기준온도가 자동으로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 temperature difference, it is preferable to accurately classify the distance and temperature together, since outdoor and indoor may be similar or the same, and in the case of temperature, the average temperature of the day is entered directly or the temperature is connected to the weather station to inform the temperature. A reference temperature may be automatically input for each time zone through a program or the like.

이에 따라, 모터와 엔진의 혼용 구동하는 본 발명의 초소형 자주식 거미크레인(100)은, 모터와 엔진을 사용을 작업자가 직접적으로 설정할 수도 있으나, 편리하게 자동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Accordingly, the ultra-compact self-propelled spider cran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driving the mixing of the motor and the engine, the operator can directly set the use of the motor and the engine, but may be set automatically and conveniently.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소형 자주식 거미크레인(100)은, 인양부(120)의 윈치(123)의 끝단에 마련되는 고리(126)를 미사용 시에 베이스부(110)에 걸도록 베이스부(110) 전방에 고리걸이(15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크레인의 미사용 시에는 안전한 보관이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ltra-compact self-propelled spider cra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to be hooked to the base portion 110 when not using the ring 126 provided at the end of the winch 123 of the lifting portion 120 The hook 110 in front of the unit 110 may be further included. Accordingly, safe storage may be possible when the crane is not in use.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소형 자주식 거미크레인(100)은, 전술한 베이스부(110), 인양부(120) 및 아우트리거(130)를 포함하며, 유량으로 균형을 조절하면서도 보조적으로 이동부(50), 에어튜브(60) 및 균형유지부(70)를 더 포함하여 수평유지에 사용할 수 있고, 엔진과 모터를 혼용하여 사용하며, 주행부(115)의 확장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특히 13인용 표준 승강기에도 탑승할 수 있을 정도로 초소형으로 제작되어 실외와 실내를 아울러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Such, the ultra-compact self-propelled spider cra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above-described base portion 110, lifting portion 120 and outrigger 130, while adjusting the balance with the flow rate while moving auxiliaryly The unit 50, the air tube 60 and the balance maintaining unit 70 may be further used to maintain the horizontal shape, and the engine and the motor may be used in combination, and the driving unit 115 may be extended. In particular,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used in various ways, both outdoors and indoors.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implement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is not limiting.

10 : 베이스부
15 : 주행부
20 : 인양부
30 : 아우트리거
50 : 이동부
51 : 레일부
55 : 이동체
56 : 이동체 몸체
57 : 이동축
58 : 바퀴 또는 롤러
59 : 모터
60 : 에어튜브
70 : 균형유지부
71 : 유동관로
72 : 개폐밸브
73 : 구역
74 : 개별관로
75 : 물 공급부
76 : 공급펌프
77 : 물 공급관로
78 : 분기라인
79 : 밸브
100 : 초소형 자주식 거미크레인
110 : 베이스부
115 : 주행부
120 : 인양부
130 : 아우트리거
131 : 회전지지부
132 : 회전브라켓
133 : 연결링크
134 : 연결브라켓
135 : 상부실린더
136 : 지지대
137 : 지지부
138 : 하부실린더
140 : 확장실린더
150 : 고리걸이
E : 지면
W : 물
10: base
15: driving unit
20: salvage department
30: outrigger
50: moving part
51: rail part
55: moving object
56: moving body
57: moving axis
58: wheel or roller
59: motor
60: air tube
70: balance maintenance
71: flow pipeline
72: open / close valve
73: zone
74: individual pipeline
75: water supply
76: supply pump
77: water supply pipeline
78: branch line
79: valve
100: ultra-small self-propelled spider crane
110: base
115: driving unit
120: salvage department
130: outrigger
131: rotating support
132: rotating bracket
133: Link
134: connecting bracket
135: upper cylinder
136: support
137: support
138: lower cylinder
140: expansion cylinder
150: hook
E: Ground
W: water

Claims (8)

초소형 자주식 거미크레인에 있어서,
하부에 주행부가 구비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부에 구비되는 인양부 및
상기 베이스부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아우트리거를 포함하며,
13인용 기준 표준 승강기 제원보다 작은 제원을 형성하여, 승강기에 적재한 후 이동하여 고층에서 작업이 가능하며, 상기 아우트리거가 베이스부의 꼭지점 위치에 좌우로 회동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주행부는,
전기로 구동되는 모터, 유체로 구동되는 엔진 중 하나를 택일적으로 사용하여 구동될 수 있고,
상기 초소형 자주식 거미크레인은,
실외인지 실내인지 판별할 수 있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센서를 이용해 상기 모터와 엔진의 구동을 자동적으로 전환하여 상기 주행부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자주식 거미크레인.
In the miniature self-propelled spider crane,
A base portion provided with a running portion at the bottom;
The lifting portion provided on the base portion and
It includes an outrigger installed to support the base portion,
Forming a smaller dimension than the standard lift standard for 13 people, it is possible to work on a high floor by moving it after loading it on an elevator, and the outrigger is installed to rotate left and right at the vertex position of the base,
The driving unit,
It can be driven by using alternatively one of an electric powered motor and a fluid driven engine,
The miniature self-propelled spider crane,
It further includes a detection sensor capable of determining whether it is outdoor or indoor,
A compact self-propelled spider crane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ing unit is driven by automatically switching the driving of the motor and the engine using the sens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트리거는,
상기 베이스부의 꼭지점 위치에 수직축을 형성하는 회전지지부;
상기 회전지지부에 결속되어 좌우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브라켓;
상기 회전브라켓에 수평축으로 연결되는 연결링크;
상기 연결링크 단부에 구비되는 연결브라켓;
일단이 상기 회전브라켓 상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브라켓과 연결되는 상부실린더;
상기 연결브라켓과 수평축으로 연결되는 다단형의 지지대 및
상기 연결링크의 하부측에서 상기 수평축과 지지대를 연결하는 하부실린더를 포함하는 초소형 자주식 거미크레인.
According to claim 1,
The outrigger,
A rotation support part forming a vertical axis at the vertex position of the base part;
A rotating bracket that is attached to the rotating support part and is rotatably installed left and right;
A connecting link connected to the rotating bracket on a horizontal axis;
A connection bracket provided at the end of the connection link;
An upper cylind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rotating bracke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connecting bracket;
Multi-stage support that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bracket and the horizontal axis and
An ultra-compact self-propelled spider crane including a lower cylinder connecting the horizontal shaft and a support on the lower side of the link.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부를 양측방으로 확장하여 무게 중심을 낮게 형성하도록 하는 확장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초소형 자주식 거미크레인.
According to claim 1,
The self-propelled self-propelled spider crane further includes an expansion cylinder that expands the driving portion to both sides to form a low center of gravit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초음파 또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하는 초소형 자주식 거미크레인.
According to claim 1,
The detection sensor,
Small self-propelled spider crane with ultrasonic or infrared sensor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초소형 자주식 거미크레인.
The method of claim 6,
The detection sensor,
A miniature self-propelled spider crane further comprising a temperature sens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 전방에 구비되는 고리걸이를 더 포함하는 초소형 자주식 거미크레인.

According to claim 1,
An ultra-compact self-propelled spider crane further comprising a hook provided in front of the base portion.

KR1020180155499A 2018-12-05 2018-12-05 Miniature self-help Spider Crane KR1021124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499A KR102112419B1 (en) 2018-12-05 2018-12-05 Miniature self-help Spider Cra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499A KR102112419B1 (en) 2018-12-05 2018-12-05 Miniature self-help Spider Cra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2419B1 true KR102112419B1 (en) 2020-05-18

Family

ID=70912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5499A KR102112419B1 (en) 2018-12-05 2018-12-05 Miniature self-help Spider Cra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241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475Y1 (en) * 2004-12-02 2005-03-11 주식회사수산중공업 Battery car crane
JP2011168342A (en) * 2010-02-16 2011-09-01 Maeda Seisakusho Co Ltd Outrigger grounding detecting device of self-traveling crane
KR20160033182A (en) * 2013-10-18 2016-03-25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Hybrid-type construction machine
JP2016215744A (en) * 2015-05-18 2016-12-22 コベルコクレーン株式会社 Undercarriage of Work Mach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475Y1 (en) * 2004-12-02 2005-03-11 주식회사수산중공업 Battery car crane
JP2011168342A (en) * 2010-02-16 2011-09-01 Maeda Seisakusho Co Ltd Outrigger grounding detecting device of self-traveling crane
KR20160033182A (en) * 2013-10-18 2016-03-25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Hybrid-type construction machine
JP2016215744A (en) * 2015-05-18 2016-12-22 コベルコクレーン株式会社 Undercarriage of Work Mach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41267A1 (en) Multipurpose load lifting work platform or/and composite bridge structure
WO2017020539A1 (en) Tower crane with a traveling mechanism
CN202073341U (en) Self-moving type two-layer stereo parking equipment
CN105714690A (en) Segmental cantilever girder lifter for large span steel and concrete composite beam erection construction
KR20140057756A (en) Self-propelled lift for transferring heavy structure
CN111502293B (en) Method and system for hoisting single peripheral component of assembly type building
KR102112419B1 (en) Miniature self-help Spider Crane
CN110655015A (en) Trackless self-propelled platform car for subway tunnel maintenance
KR102100569B1 (en) Self-propelled cranes with prevent rollover
CN101225716A (en) Double-layer parking hoister
WO2007018487A2 (en) Overhead crane
CN207194545U (en) One kind is exempted to avoid trackless multi-storied garage
CN108842612A (en) Bridge operation platform cart
CN108560510A (en) Surface low road movable overhaul platform in a kind of power station
CN211226069U (en) Hoisting machinery for pipeline construction
CN107235422A (en) It is exclusively used in the crane device of lifting steel pipes and welding
CN105672136A (en) Erecting construction process for large-span steel-concrete combination beam
CN111661768B (en) Method and system for hoisting multiple peripheral components of assembly type building
CN206615931U (en) The hanging apparatus and melting furnace system of melting furnace bell
CN113638313A (en) Bridge engineering safety construction platform
JP2615379B2 (en) How to drive a caisson trolley
CN106907596A (en) Multistage nodular nested type movable lighting system
JP4187445B2 (en) crane
CN201257920Y (en) Special type equipment detecting vehicle
CN214573366U (en) Tool vehicle for construction of building bridge enginee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