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2078B1 - 데이터 송신 방법, 단말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장비 - Google Patents

데이터 송신 방법, 단말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2078B1
KR102112078B1 KR1020187024879A KR20187024879A KR102112078B1 KR 102112078 B1 KR102112078 B1 KR 102112078B1 KR 1020187024879 A KR1020187024879 A KR 1020187024879A KR 20187024879 A KR20187024879 A KR 20187024879A KR 102112078 B1 KR102112078 B1 KR 102112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main resource
time domain
downlink data
pucch
time inter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4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8740A (ko
Inventor
차오준 리
용시아 류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108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8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5Adaptation of specific ARQ protocol parameters according to transmission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78Timing of allocation
    • H04L5/0082Timing of alloca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common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multiple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4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7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downlink data fl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데이터 송신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 상태 정보를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 간격은 수신 상태 정보의 송신 시간 간격보다 작고,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 간격은 1ms보다 작다. 데이터 송신 방법에 따르면, 다운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 간격, 및 수신 상태 정보의 전송 시간과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 시간 사이의 시간 간격이 단축됨으로써, 대기시간을 감소시킨다.

Description

데이터 송신 방법, 단말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장비
본 발명은 무선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고, 특히 데이터 송신 방법, 단말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롱 텀 에볼루션(LTE)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에, 단말 디바이스는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 확인응답(HARQ-ACK) 피드백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할 필요가 있다. 다운링크 데이터가 정확하게 수신되면, 단말 디바이스는 확인응답(ACK) 정보를 반환한다; 다운링크 데이터가 정확하게 수신되지 않으면, 단말 디바이스는 비-확인응답(NACK) 정보를 반환한다. HARQ-ACK 피드백 정보는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또는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서 반송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대기시간은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들 중 하나이다. 또한, 차량 인터넷의 관련 서비스와 같은 새로운 서비스들의 등장은 적은 대기시간에 점점 더 가혹한 요건을 부과한다. 따라서, 기존의 LTE 시스템에서는, 1-서브프레임 송신 시간 간격(TTI)에 기반한 송신 메커니즘은 저-대기시간 서비스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없다. 대기시간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긴급히 해결되어야 하는 문제가 된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통신 시스템의 대기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해 데이터 송신 방법, 단말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전술한 기술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음의 기술적 해결책들을 개시한다.
제1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데이터 송신 방법을 제공하며, 이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수신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수신 상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고,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와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 사이의 시간 간격은 4 밀리초보다 작고, 수신 상태 정보의 송신 시간 간격은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 간격보다 크고,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 간격은 1 밀리초보다 작음 -.
제1 양태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송신 방법에 따르면, 다운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 간격 및 수신 상태 정보의 전송 시간과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 시간 사이의 시간 간격이 단축됨으로써, 대기시간을 감소시킨다. 또한, 업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 간격은 다운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 간격보다 크다. 이는 수신 상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성능을 향상시키고,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반환된 수신 상태 정보를 정확하게 수신할 확률을 증가시킨다.
제1 양태를 참조하면, 제1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 간격의 길이는 4개 심벌 또는 3개 심벌이고, 수신 상태 정보의 송신 시간 간격은 0.5ms이고;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타임슬롯 n-2 또는 타임슬롯 n-3이고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타임슬롯 n이고, 타임슬롯 n-2는 타임슬롯 n으로부터 역방향으로 카운팅된 2번째 타임슬롯이고, 타임슬롯 n-3은 타임슬롯 n으로부터 역방향으로 카운팅된 3번째 타임슬롯이다.
제1 양태를 참조하면, 제1 양태의 제2 가능한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 간격의 길이는 2개 심벌 또는 1개 심벌이고, 수신 상태 정보의 송신 시간 간격은 0.5ms이고;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타임슬롯 n-2이고,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타임슬롯 n이고, 타임슬롯 n-2는 타임슬롯 n으로부터 역방항으로 카운팅된 2번째 타임슬롯이다.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제2 가능한 구현예를 참조하면, 제1 양태의 제3 가능한 구현예에서, 이 방법은 다음을 추가로 포함한다: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데 실패하는 경우,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재송신된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타임슬롯 n+2 또는 타임슬롯 n+3이고, 타임슬롯 n+2는 타임슬롯 n으로부터 순방향으로 카운팅된 2번째 타임슬롯이고, 타임슬롯 n+3은 타임슬롯 n으로부터 순방향으로 카운팅된 3번째 타임슬롯이다.
제1 양태를 참조하면, 제1 양태의 제4 가능한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 간격은 0.5ms이고, 수신 상태 정보의 송신 시간 간격은 1ms이고;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2 또는 서브프레임 n-3이고,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이고, 서브프레임 n-2는 서브프레임 n으로부터 역방향으로 카운팅된 2번째 서브프레임이고, 서브프레임 n-3은 서브프레임 n으로부터 역방향으로 카운팅된 3번째 서브프레임이다.
제1 양태의 제4 가능한 구현예를 참조하면, 제1 양태의 제5 가능한 구현예에서, 이 방법은 다음을 추가로 포함한다: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데 실패하는 경우,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재송신된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2 또는 서브프레임 n+3이고, 서브프레임 n+2는 서브프레임 n으로부터 순방향으로 카운팅된 제2 서브프레임이고, 서브프레임 n+3은 서브프레임 n으로부터 순방향으로 카운팅된 3번째 서브프레임임 -.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제1 내지 제3 가능한 구현예들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제1 양태의 제6 가능한 구현예에서, 수신 상태 정보는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 PUCCH에서 반송되고, 수신 상태 정보의 송신 시간 간격은 0.5ms이고;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수신 상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하는 단계는 다음을 포함한다: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처음 N개의 연속적 심벌에서 PUCCH 복조 기준 신호 DMRS를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하고,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7-N개 심벌 또는 6-N개 심벌에서 PUCCH를 전송하는 단계- N은 1, 2 또는 3임 -.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제1 내지 제3 가능한 구현예들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제1 양태의 제7 가능한 구현예에서, 수신 상태 정보는 PUCCH에서 반송되고, 수신 상태 정보의 송신 시간 간격은 0.5ms이고, PUCCH는 제1 PUCCH 및 제2 PUCCH를 포함하고, PUCCH DMRS는 제1 PUCCH DMRS 및 제2 PUCCH DMRS를 포함하고;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수신 상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하는 단계는 다음을 포함한다: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처음 M1개 심벌에서 제1 PUCCH 및 제1 PUCCH DMRS를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하는 단계- 제1 PUCCH 및 제1 PUCCH DMRS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1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를 점유함 -; 및 제2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의 마지막 M2개 심벌에서 제2 PUCCH 및 제2 PUCCH DMRS를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하는 단계- 제2 PUCCH 및 제2 PUCCH DMRS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2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를 점유하고, 각각의 타임슬롯이 7개 심벌을 포함하는 경우, M1은 3이고 M2는 4이거나, M1은 4이고 M2는 3임 -.
삭제
제2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데이터 송신 방법을 제공하며, 이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하는 단계; 및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수신 상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 수신 상태 정보가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고, 수신 상태 정보의 송신 시간 간격은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 간격보다 크고,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 간격은 1 밀리초보다 작고,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와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 사이의 시간 간격은 4 밀리초보다 작다.
제2 양태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송신 방법에 따르면, 다운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 간격 및 수신 상태 정보의 전송 시간과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 시간 사이의 시간 간격이 단축됨으로써, 대기시간을 감소시킨다. 또한, 업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 간격은 다운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 간격보다 크다. 이는 수신 상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성능을 향상시키고,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반환된 수신 상태 정보를 정확하게 수신할 확률을 증가시킨다.
제2 양태를 참조하면, 제2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 간격의 길이는 4개 심벌 또는 3개 심벌이고, 수신 상태 정보의 송신 시간 간격은 0.5ms이고;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타임슬롯 n-2 또는 타임슬롯 n-3이고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타임슬롯 n이고, 타임슬롯 n-2는 타임슬롯 n으로부터 역방향으로 카운팅된 2번째 타임슬롯이고, 타임슬롯 n-3은 타임슬롯 n으로부터 역방향으로 카운팅된 3번째 타임슬롯이다.
제2 양태를 참조하면, 제2 양태의 제2 가능한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 간격의 길이는 2개 심벌 또는 1개 심벌이고, 수신 상태 정보의 송신 시간 간격은 0.5ms이고;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타임슬롯 n-2이고,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타임슬롯 n이고, 타임슬롯 n-2는 타임슬롯 n으로부터 역방항으로 카운팅된 2번째 타임슬롯이다.
제2 양태의 제1 또는 제2 가능한 구현예를 참조하면, 제2 양태의 제3 가능한 구현예에서, 이 방법은 다음을 추가로 포함한다: 수신 상태 정보가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가 수신되는데 실패함을 나타내는 경우,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재송신하는 단계-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타임슬롯 n+2 또는 타임슬롯 n+3이고, 타임슬롯 n+2는 타임슬롯 n으로부터 순방향으로 카운팅된 2번째 타임슬롯이고, 타임슬롯 n+3은 타임슬롯 n으로부터 순방향으로 카운팅된 3번째 타임슬롯임 -.
제2 양태를 참조하면, 제2 양태의 제4 가능한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 간격은 0.5ms이고, 수신 상태 정보의 송신 시간 간격은 1ms이고;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2 또는 서브프레임 n-3이고,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이고, 서브프레임 n-2는 서브프레임 n으로부터 역방향으로 카운팅된 2번째 서브프레임이고, 서브프레임 n-3은 서브프레임 n으로부터 역방향으로 카운팅된 3번째 서브프레임이다.
제2 양태의 제4 가능한 구현예를 참조하면, 제2 양태의 제5 가능한 구현예에서, 이 방법은 다음을 추가로 포함한다: 수신 상태 정보가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가 수신되는데 실패함을 나타내는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재송신하는 단계-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2 또는 서브프레임 n+3이고, 서브프레임 n+2는 서브프레임 n으로부터 순방향으로 카운팅된 2번째 서브프레임이고, 서브프레임 n+3은 서브프레임 n으로부터 순방향으로 카운팅된 3번째 서브프레임임 -.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제1 내지 제3 가능한 구현예들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제2 양태의 제6 가능한 구현예에서, 수신 상태 정보는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 PUCCH에서 반송되고, 수신 상태 정보의 송신 시간 간격은 0.5ms이고;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수신 상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는 다음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처음 N개의 연속적 심벌에서 PUCCH 복조 기준 신호 DMRS를 수신하고,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7-N개 심벌 또는 6-N개 심벌에서 PUCCH를 수신하는 단계- N은 1, 2 또는 3임 -.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제1 내지 제3 가능한 구현예들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제2 양태의 제7 가능한 구현예에서, 수신 상태 정보는 PUCCH에서 반송되고, 수신 상태 정보의 송신 시간 간격은 0.5ms이고, PUCCH는 제1 PUCCH 및 제2 PUCCH를 포함하고, PUCCH DMRS는 제1 PUCCH DMRS 및 제2 PUCCH DMRS를 포함하고;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수신 상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는 다음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처음 M1개 심벌에서 제1 PUCCH 및 제1 PUCCH DMRS를 수신하는 단계- 제1 PUCCH 및 제1 PUCCH DMRS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1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를 점유함 -;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마지막 M2개 심벌에서 제2 PUCCH 및 제2 PUCCH DMRS를 수신하는 단계- 제2 PUCCH 및 제2 PUCCH DMRS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2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를 점유하고, 각각의 타임슬롯이 7개 심벌을 포함하는 경우, M1은 3이고 M2는 4이거나, M1은 4이고 M2는 3임 -.
제3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수신기 및 송신기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양태의 구현예들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송신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4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2 양태의 구현예들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송신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송신 방법에 따르면,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네트워크에 의해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후 수신 상태 정보를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한다는 것을 전술한 기술적 해결책들로부터 알 수 있다.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 간격은 수신 상태 정보의 송신 시간 간격보다 작고,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 간격은 1ms보다 작다. 또한,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와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 사이의 시간 간격은 4 밀리초보다 작다. 데이터 송신 방법에 따르면, 다운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 간격, 및 수신 상태 정보의 전송 시간과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 시간 사이의 시간 간격이 단축됨으로써, 대기시간을 감소시킨다. 또한, 업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 간격은 다운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 간격보다 크다. 이는 수신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성능을 향상시키고,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반환된 수신 상태 정보를 정확하게 수신할 확률을 증가시킨다.
본 출원의 일부인 명세서의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이해를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 및 그 설명들은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해 의도되며, 본 발명에 대한 임의의 부적절한 제한을 구성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ARQ 시간 시퀀스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HARQ 시간 시퀀스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HARQ 시간 시퀀스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HARQ 시간 시퀀스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HARQ 시간 시퀀스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HARQ 시간 시퀀스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HARQ 시간 시퀀스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HARQ 시간 시퀀스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HARQ 시간 시퀀스의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HARQ 시간 시퀀스의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상태 정보 송신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수신 상태 정보 송신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수신 상태 정보 송신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수신 상태 정보 송신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수신 상태 정보 송신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4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수신 상태 정보 송신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4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수신 상태 정보 송신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4g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수신 상태 정보 송신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4h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수신 상태 정보 송신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또는 종래 기술에서의 기술적 해결책들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는 실시예들 또는 종래 기술을 설명하는데 요구되는 첨부 도면들을 간단히 설명한다. 명백히, 본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는 창의적인 노력 없이도 이러한 첨부 도면들로부터 다른 도면들을 여전히 도출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기술적 해결책들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명백하게,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 모두가 아니라 단지 일부이다. 창의적인 노력들 없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기초하여 본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획득되는 다른 모든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들어갈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은 단말 디바이스(110)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언급된 단말 디바이스(110)는 음성 및/또는 데이터 접속성, 무선 접속 기능을 갖는 핸드헬드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된 다른 처리 디바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를 통해 하나 이상의 코어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모바일 폰("셀룰러(cellular)" 폰으로서 또한 지칭됨)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 또는 모바일 단말기를 갖는 컴퓨터일 수 있고, 예를 들어, 휴대용, 포켓 크기의, 핸드헬드, 컴퓨터 내장형, 또는 차량-내 모바일 장치일 수 있으며, 이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음성 및/또는 데이터를 교환한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는 개인 통신 서비스(PCS) 폰, 코드리스 전화기(cordless telephone) 세트,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폰, 무선 로컬 루프(WLL) 스테이션, 또는 개인용 디지털 단말기(PDA)와 같은 디바이스일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시스템, 가입자 유닛, 가입자국, 이동국, 원격국, 액세스 포인트, 원격 단말기, 액세스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장비로서 또한 지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언급된 네트워크 디바이스(120)는 기지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일 수 있거나, 액세스 네트워크의 에어(air) 인터페이스에서 하나 이상의 섹터를 통해 무선 단말기와 통신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기지국은 수신된 오버 디 에어(over-the-air) 프레임과 IP 패킷을 상호 변환하고 무선 단말기와 액세스 네트워크의 나머지 부분 사이의 라우터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액세스 네트워크의 나머지 부분은 인터넷 프로토콜(IP)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에어 인터페이스의 속성 관리를 추가로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GSM 또는 CDMA에서의 기지 송수신기국(BTS)일 수 있거나, WCDMA에서의 노드B일 수 있거나, 또는 LTE에서의 진화된 노드B(eNB)일 수 있다. 이러한 것이 본 발명에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4.5G(제4.5세대 이동 통신), 5G(제5세대 이동 통신) 및 더 진보된 통신 기술들에 적용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110)에 의해 네트워크 디바이스(120)에 전송된 데이터는 업링크 데이터로서 지칭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120)에 의해 단말 디바이스(110)에 전송된 데이터는 다운링크 데이터로서 지칭된다.
이 실시예에서, LTE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은 설명을 위한 예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는 스케줄링을 통해 데이터 송신이 수행되는 임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고, LTE 시스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LTE 시스템에서, 각 무선 프레임은 길이가 1ms인 10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서브프레임들의 수는 0 내지 9이다. 서브프레임 n-a는 서브프레임 n 이전의 a번째 서브프레임이며, 즉 서브프레임 n-a는 서브프레임 n으로부터 역방향으로 카운팅된 a번째 서브프레임이다. 예를 들어, n=4이고 a=2인 경우, 서브프레임 n-a는 서브프레임 n이 속하는 무선 프레임에서의 서브프레임 2이다. 다른 예의 경우, n=0이고 a=2인 경우, 서브프레임 n-a는 서브프레임 n이 속하는 무선 프레임 이전의 무선 프레임에서의 서브프레임 8이다. 서브프레임 n+a는 서브프레임 n 다음의 a번째 서브프레임이며, 즉 서브프레임 n+a는 서브프레임 n으로부터 순방향으로 카운팅된 a번째 서브프레임이다. 예를 들어, n=4이고 a=3인 경우, 서브프레임 n+a는 서브프레임 n이 속하는 무선 프레임에서의 서브프레임 7이다. 다른 예의 경우, n=8이고 a=2인 경우, 서브프레임 n+a는 서브프레임 n이 속하는 무선 프레임 다음의 무선 프레임에서의 서브프레임 0이다.
LTE 시스템에서,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타임슬롯(슬롯으로서도 지칭됨)을 포함하는데, 즉 각각의 무선 프레임은 20개의 타임슬롯을 포함하고, 타임슬롯의 수는 0 내지 19이다. 타임슬롯 n-a는 타임슬롯 n 이전의 a번째 타임슬롯이고, 즉, 타임슬롯 n-a는 타임슬롯 n으로부터 역방향으로 카운팅된 a번째 타임슬롯이다. 예를 들어, n=4이고 a=2인 경우, 타임슬롯 n-a는 타임슬롯 n이 속하는 무선 프레임에서의 타임슬롯 2이다. 예를 들어, n=0이고 a=2인 경우, 타임슬롯 n-a는 타임슬롯 n이 속하는 무선 프레임 이전의 무선 프레임에서의 타임슬롯 18이다. 타임슬롯 n+a는 타임슬롯 n 다음의 a번째 타임슬롯이고, 즉, 타임슬롯 n+a는 타임슬롯 n으로부터 순방향으로 카운팅된 a번째 타임슬롯이다. 예를 들어, n=4이고 a=3인 경우, 타임슬롯 n+4는 타임슬롯 n이 속하는 무선 프레임에서의 타임슬롯 7이다. 예를 들어, n=18이고 a=2인 경우, 타임슬롯 n+2는 타임슬롯 n이 속하는 무선 프레임 다음의 무선 프레임에서의 타임슬롯 0이다.
정상 사이클릭 프리픽스(normal CP)의 경우, 각 서브프레임은 14개 심벌로 구성되고, 즉, 각 서브프레임은 시퀀스 번호들{#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을 갖는 심벌들로 구성된다. 확장 사이클릭 프리픽스(extended CP)의 경우,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12개 심벌로 구성되고, 즉, 각 서브프레임은 시퀀스 번호들{#0, #1, #2, #3, #4, #5, #6, #7, #8, #9, #10, #11}을 갖는 심벌들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업링크 심벌 및 다운링크 심벌 양자 모두는 줄여서 심벌로서 지칭된다. 업링크 심벌은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SC-FDMA) 심벌로서 지칭된다. 다운링크 심벌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심벌로서 지칭된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의 업링크 다중 액세스 방식이 후속 기술에 도입되면, 업링크 심벌은 OFDM 심벌로서 또한 지칭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업링크 다중 액세스 방식 및 다운링크 다중 액세스 방식에 제한이 부과되지 않는다.
LTE 시스템에서, 단말 디바이스(110)는 네트워크 디바이스(120)에 의해 전송된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 수신 상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120)에 전송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120)가 단말 디바이스(110)에 의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상태를 알 필요가 있다. 저-대기시간 서비스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짧은 TTI 데이터 송신 메커니즘이 도입되며, 즉, 다운링크 데이터의 TTI가 단축된다. 또한, 수신 상태 정보의 성능 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해, 수신 상태 정보의 TTI는 다운링크 데이터의 TTI보다 커지도록 제어한다.
기존의 LTE 시스템에서, TTI 길이가 1ms인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점유되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1ms보다 작거나 같다. 예를 들어,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서의 처음 1, 2, 3 또는 4개 심벌은 PDCCH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고, 서브프레임에서의 다른 심벌들은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TTI가 1ms인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점유된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1ms보다 작다. 예를 들어,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심벌은 사운딩 기준 신호(SRS)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TTI 길이가 1ms인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실제로 점유된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1ms이거나 1ms보다 작다.
짧은 TTI는 TTI 길이가 1ms보다 작은 TTI, 예컨대 0.5ms, 4개 심벌의 길이, 3개 심벌의 길이, 2개 심벌의 길이 또는 1개 심벌의 길이이다. 유사하게, TTI 길이가 짧은 업링크 데이터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점유된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짧은 TTI 길이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S110.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에 대응하여,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다운링크 데이터는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 또는 다운링크 반-지속 스케줄링(SPS) 릴리즈 시그널링을 통해 반송되는 데이터일 수 있다.
S120.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 상태에 기초하여 수신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 단말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가 정확하게 수신되는지를 결정할 필요가 있고, 그 후 수신 상태, 즉 수신 결과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피드백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수신 상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 상태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수신 상태 정보는 HARQ-ACK 피드백 정보, 줄여서 HARQ-ACK 정보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수신 상태 정보는 PUCCH 또는 PUSCH에서 반송될 수 있고, 즉, 수신 상태 정보는 PUCCH 또는 PUSCH에서 반송되는 업링크 데이터 타입이다.
HARQ-ACK 정보는 ACK, NACK 및/또는 불연속적 송신(DTX)를 포함한다. ACK는 수신이 정확함을 나타내고, NACK는 수신이 부정확함을 나타내고, DTX는 다운링크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다운링크 데이터가 PDSCH에서 반송된 데이터인 경우, 수신 상태 정보는 ACK 및 NACK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수신 상태 정보는 ACK, NACK 및 DTX를 포함할 수 있다. DTX는 다운링크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다운링크 데이터가 SPS 릴리즈 시그널링일 때, 그리고 단말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SPS 릴리즈 시그널링을 검출하면, 수신 상태 정보는 ACK이다; 단말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SPS 릴리즈 시그널링을 검출하지 않으면, 수신 상태 정보는 DTX이다. 선택적으로,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 상태가 DTX인 것으로 결정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 상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가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 상태에 기초하여 수신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모든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 상태들을 결정하고, 모든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 상태들에 기초하여 수신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가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 상태에 기초하여 수신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에서의 모든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 상태들에 대해 AND 논리 연산을 수행하고, 그 후 수신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포함한다. 수신 상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 중 하나가 수신되는데 실패하면 수신이 실패함을 나타내며; 수신 상태 정보는 모든 다운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수신된 경우 수신이 성공함을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가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 상태에 기초하여 수신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모든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 상태들에 기초하여 수신 상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하고, 복수의 PUCCH 리소스로부터 수신 상태 정보를 반송하기 위한 PUCCH 리소스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고, 수신 상태 정보와 PUCCH 리소스는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 상태를 공동으로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가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 상태에 기초하여 수신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모든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 상태들에 기초하여 수신 상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생성된 수신 상태 정보는 복수의 정보 필드를 포함하고, 상이한 정보 필드들에서의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 상이한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 상태들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수신 상태 정보가 생성되는 방법은 본 발명에서 제한되지 않고, 전술한 해결책들은 선택적 해결책들이라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 상태가 결정되는 방법도 또한 본 발명에서 제한되지 않고, 다운링크 데이터가 수신기에 의해 성공적으로 수신되는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는 임의의 방식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S130. 단말 디바이스는 수신 상태 정보를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전송한다.
수신 상태 정보의 송신 시간 간격은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 간격보다 크고,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 간격은 1ms보다 작다. 또한,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와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 사이의 시간 간격은 4ms보다 작다.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시간 길이는 수신 상태 정보의 송신 시간 간격과 동일하다.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시간 길이는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 간격보다 크다.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즉,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수신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상이한 다운링크 데이터는 상이한 심벌들에 위치된다.
다음 2개의 선택적 해결책에서,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시간 길이는 수신 상태 정보의 송신 시간 간격과 같다.
선택적 해결책 1: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수신 상태 정보는 PUCCH에서 반송되고, PUCCH와 PUCCH 복조 기준 신호(DMRS)에 의해 함께 점유되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시간 길이는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시간 길이와 같다.
선택적 해결책 2: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수신 상태 정보는 PUCCH에서 반송되고, PUCCH에 의해 점유되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시간 길이는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시간 길이와 같다. 즉, PUCCH와 PUCCH DMRS에 의해 함께 점유되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시간 길이는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시간 길이보다 크다. PUCCH DMRS는 PUCCH 이전이다. 예를 들어,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시간 길이가 2개 심벌이고, PUCCH가 2개 심벌을 점유하고, PUCCH DMRS가 1개 또는 2개 심벌을 점유할 때, PUCCH 및 PUCCH DMRS는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길이보다 큰 3개 또는 4개 심벌을 함께 점유한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제1 단말 디바이스로서 지칭됨)의 PUCCH DMRS는 제2 단말 디바이스의 PUCCH와 시간 도메인에서 중첩하고, 그 후 (예를 들어, 상이한 사이클릭 시프트들 또는 직교 확산 코드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코드 분할이 수행된다. 유사하게, 단말 디바이스의 PUCCH는 시간 도메인에서 제3 단말 디바이스의 PUCCH DMRS와 중첩될 수 있고, 그 후 코드 분할이 수행된다. 제1 단말 디바이스, 제2 단말 디바이스 및 제3 단말 디바이스는 상이한 단말 디바이스들이다.
대기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TTI 길이가 단축될 필요가 있을 뿐만 아니라,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 시간과 HARQ-ACK 피드백 정보의 전송 시간 사이의 시간 간격도 감소될 필요가 있다. 기존의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FDD) 시스템에서,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 시간과 HARQ-ACK 피드백 정보의 전송 시간 사이의 시간 간격은 4ms이다. 예를 들어, 업링크/다운링크 데이터의 TTI 길이는 0.5ms, 4개 심벌, 3개 심벌, 2개 심벌 또는 1개 심벌의 길이로 단축될 수 있다. 그러나,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성능은 업링크 데이터의 TTI가 단축된 후에 영향을 받는다.
수신 상태 정보(즉,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신 상태 정보의 TTI 길이는 다운링크 데이터의 TTI 길이보다 크도록 설정된다. 예를 들어, 수신 상태 정보의 TTI 길이는 0.5ms 또는 1ms이고, 다운링크 데이터의 TTI 길이는 1, 2, 3 또는 4개 심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상태 정보의 TTI 길이는 3 또는 4개 심벌이고, 다운링크 데이터의 TTI 길이는 1 또는 2개 심벌이다. 다른 예의 경우, 수신 상태 정보의 TTI 길이는 1ms이고, 다운링크 데이터의 TTI 길이는 0.5ms이다.
종래 기술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시간 시퀀스는 업링크 수신 상태 정보의 TTI 길이와 다운링크 데이터의 TTI 길이 사이의 불균등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없다. 따라서, HARQ 시간 시퀀스는 재정의될 필요가 있다. HARQ 시간 시퀀스는 다운링크 데이터와 수신 상태 정보(즉, HARQ-ACK 피드백 정보) 사이의 송신 시간 시퀀스이다.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 시간과 HARQ-ACK 피드백 정보의 전송 시간 사이의 시간 간격이 4ms보다 작도록 HARQ 시간 시퀀스가 재정의된다.
S140.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수신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수신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데이터 송신 방법의 흐름도는, 단계 S140 후의 다음의 단계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S150. 수신 상태 정보가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가 수신되는데 실패함을 나타내는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재송신한다.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와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 사이의 시간 간격은 8ms보다 작다.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와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 사이의 시간 간격은 HARQ 왕복 시간(RTT)이다. HARQ RTT는 재송신된 데이터 패킷과 초기에 송신된 데이터 패킷 사이의 최소 시간 간격이다. 기존의 FDD 시스템에서, 재송신된 데이터 패킷과 초기 송신된 데이터 패킷 사이의 최소 시간 간격은 8ms이다. HARQ RTT를 단축하는 것에 의해 대기시간이 더 감소될 수 있다.
S160. 단말 디바이스는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재송신된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데 실패하는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재송신되는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 실시예의 단계 S120 및 단계 S130이 단말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고, 즉 단계 S120 및 단계 S130은 단말 디바이스 측의 발명 실시예로서 사용되며 네트워크 디바이스 측의 동작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 실시예는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S120.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S130. 단말 디바이스는 수신 상태 정보를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전송한다.
선택적으로, 단계 S160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데 실패하는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재송신된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유사하게, 이 실시예에서의 단계 S110 및 단계 S140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고, 즉, 단계 S110 및 단계 S140은 네트워크 디바이스 측의 발명 실시예로서 사용되고 단말 디바이스 측의 동작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 실시예는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S110.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한다.
S140.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수신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단계 S150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수신 상태 정보가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가 수신되는데 실패함을 나타내는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재송신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송신 방법에 따르면,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후 수신 상태 정보를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전송한다.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와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 사이의 시간 간격은 4ms보다 작고,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 간격은 수신 상태 정보의 송신 시간 간격보다 작고,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송신 간격은 1ms보다 작다. 데이터 송신 방법에 따르면, 다운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 간격, 및 수신 상태 정보의 전송 시간과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 시간 사이의 시간 간격이 단축됨으로써, 대기시간을 감소시킨다. 또한, 수신 상태 정보(즉, 업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 간격은 다운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 간격보다 크다. 이는 수신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성능을 향상시키고,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반환된 수신 상태 정보를 정확하게 수신할 확률을 증가시킨다. 또한, 데이터 송신 방법에 따르면, 다운링크 데이터의 TTI, 및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 시간과 수신 상태 정보의 전송 시간 사이의 시간 간격이 단축된다는 전제 하에, HARQ RTT가 감소되고, 대기시간은 효과적으로 더 감소된다.
HARQ 시간 시퀀스는 도 3 내지 도 12에 대응하는 다음의 실시예들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단말 디바이스로 전송하기 전에,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시그널링을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이에 대응하여,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기 전에,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시그널링을 수신한다. 시그널링은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와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 사이의 시간 간격, 및/또는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와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 사이의 시간 간격, 및/또는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와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 사이의 시간 간격 시간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ARQ 시간 시퀀스의 개략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수신 상태 정보의 TTI 길이는 0.5ms(즉, 1개 타임슬롯)이고,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TTI 길이는 4개 심벌 또는 3개 심벌이다.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타임슬롯 n-2(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음) 또는 타임슬롯 n-3이고,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타임슬롯 n이다. 타임슬롯 n-2는 타임슬롯 n 이전의 2번째 타임슬롯이고, 타임슬롯 n-3은 타임슬롯 n 이전의 3번째 타임슬롯이다.
타임슬롯은 7 또는 6개 심벌을 포함하고,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TTI 길이는 4개 심벌 또는 3개 심벌이다. 따라서,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기껏해야 2개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는 TTI 길이가 4개 심벌인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 및/또는 TTI 길이가 3개 심벌인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는 TTI가 3개 심벌인 1개 또는 2개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타임슬롯 n-2 또는 타임슬롯 n-3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단말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이에 대응하여,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타임슬롯 n-2 또는 타임슬롯 n-3에서 수신한다. 그 후, 단말 디바이스는 타임슬롯 n에서 수신 상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이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타임슬롯 n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수신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가 타임슬롯 n-2인 경우,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 시간(타임슬롯 n-2)과 수신 상태 정보의 전송 시간(타임슬롯 n) 사이의 시간 간격(즉,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와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 사이의 시간 간격)은 1ms(2개 타임슬롯의 길이)보다 작거나 같다.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가 타임슬롯 n-3인 경우,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 시간(타임슬롯 n-3)과 수신 상태 정보의 전송 시간(타임슬롯 n) 사이의 시간 간격은 1.5ms(3개 타임슬롯의 길이)보다 작거나 같다. 따라서, 이 실시예가 사용된 후,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 시간과 수신 상태 정보의 전송 시간 사이의 시간 간격은, 기존의 FDD 시스템에서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 시간과 수신 상태 정보의 전송 시간 사이의 시간 간격(4ms)보다 훨씬 더 작다. 이러한 방식으로, 대기시간이 효과적으로 감소된다.
또한, 수신 상태 정보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가 수신하는데 실패한 것(부정확하게 수신되거나 수신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타임슬롯 n+2 또는 타임슬롯 n+3에서, 수신되는데 실패한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재송신할 수 있다. 즉,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타임슬롯 n+2 또는 타임슬롯 n+3이다.
이에 대응하여,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가 수신되는데 실패하는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타임슬롯 n+2 또는 타임슬롯 n+3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재송신되는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가 타임슬롯 n-2인 경우, HARQ RTT는 2ms 또는 2.5ms(4 또는 5개 타임슬롯의 길이)보다 크지 않으며, 이는 기존 FDD 시스템에서의 8ms보다 훨씬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가 타임슬롯 n-3이면, HARQ RTT는 2.5ms 또는 3ms보다 크지 않으며, 이는 기존의 8ms보다 작다.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HARQ 시간 시퀀스는 수신 상태 정보의 TTI 길이와 다운링크 데이터의 TTI 길이 사이의 불균등에 대한 시간 시퀀스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말 디바이스가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시간과 단말 디바이스가 수신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시간 사이의 시간 간격도 감소시킴으로써 대기시간을 감소시킨다. 또한, HARQ RTT가 감소된다; 따라서, 대기시간이 효과적으로 더 감소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HARQ 시간 시퀀스의 개략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수신 상태 정보의 TTI 길이는 0.5ms이고,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TTI 길이는 4개 심벌 또는 3개 심벌의 길이이다.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타임슬롯 n-3의 마지막 3개 심벌 또는 4개 심벌 및 타임슬롯 n-2의 처음 4개 심벌 또는 3개 심벌이고,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타임슬롯 n이다.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 시간과 수신 상태 정보의 전송 시간 사이의 시간 간격은 1.5ms(3개 타임슬롯의 길이)보다 작고, 이는 기존의 FDD 시스템에서의 4ms보다 훨씬 작다는 것을 도 4에서 알 수 있다. 따라서, 대기시간이 효과적으로 감소된다.
또한,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가 수신되는데 실패하는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가 수신되는데 실패함을 나타내는 수신 상태 정보를,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수신 상태 정보를 수신한 후,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재송신한다. 이에 대응하여, 단말 디바이스는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재송신된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타임슬롯 n+2의 마지막 3개 심벌 또는 4개 심벌 및 타임슬롯 n+3의 처음 4개 심벌 또는 3개 심벌이거나,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타임슬롯 n+2 또는 타임슬롯 n+3이다. 이 실시예에서의 HARQ RTT는 3ms(6개 타임슬롯의 길이)보다 크지 않으며, 이는 기존의 FDD 시스템에서의 8ms보다 훨씬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대기시간이 효과적으로 감소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HARQ 시간 시퀀스의 개략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수신 상태 정보의 TTI 길이는 0.5ms이고,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TTI 길이는 2개 심벌 또는 1개 심벌이다.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타임슬롯 n-2이고,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타임슬롯 n이다.
선택적으로,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TTI 길이가 2개 심벌이고 다운링크 데이터가 타임슬롯 n-2의 마지막 심벌 및 타임슬롯 n-1의 1번째 심벌에 위치되는 경우, 다운링크 데이터는 타임슬롯 n-2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다운링크 데이터로서 간주될 수도 있다.
이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타임슬롯 n-2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고, 단말 디바이스는 타임슬롯 n-2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 후, 단말 디바이스는 수신 상태 정보를 타임슬롯 n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타임슬롯 n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수신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이 실시예에서,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 시간과 수신 상태 정보의 전송 시간 사이의 시간 간격은 1ms(2개 타임슬롯의 길이)보다 작거나 같고, 이는 기존의 FDD 시스템에서의 4ms보다 훨씬 작다. 따라서, 대기시간이 효과적으로 감소된다.
또한,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가 수신되는데 실패하고,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TTI 길이가 1개 심벌의 길이인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수신 상태 정보가 전송된 후 4개 심벌, 0.5ms, 1ms 또는 1.5ms 후에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재송신되는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수신 상태 정보가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가 수신되는데 실패함을 나타내고,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TTI 길이가 1개 심벌의 길이인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수신 상태 정보가 수신된 후 4개 심벌, 0.5ms, 1ms 또는 1.5ms 후에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재송신할 수 있다. HARQ RTT는 2.5ms(5개 타임슬롯의 길이)보다 크지 않고, 이는 기존의 FDD 시스템에서의 8ms보다 훨씬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대기시간이 효과적으로 감소된다.
또한,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가 수신되는데 실패하고,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TTI 길이가 2개 심벌의 길이인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수신 상태 정보가 전송된 후 8개 심벌, 1ms 또는 1.5ms 후에,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재송신되는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수신 상태 정보가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가 수신되는데 실패한 것을 나타내고,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TTI 길이가 2개 심벌의 길이인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수신 상태 정보가 수신된 후 8개 심벌, 1ms 또는 1.5ms 후에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재송신할 수 있다. HARQ RTT는 2.5ms(5개 타임슬롯의 길이)보다 크지 않고, 이는 기존의 FDD 시스템에서의 8ms보다 훨씬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대기시간이 효과적으로 감소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HARQ 시간 시퀀스의 개략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수신 상태 정보의 TTI 길이는 0.5ms이고,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TTI 길이는 1개 심벌이다.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타임슬롯 n-2의 마지막 3개 심벌 및 타임슬롯 n-1의 처음 4 또는 3개 심벌이고,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타임슬롯 n이다.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 시간과 수신 상태 정보의 전송 시간 사이의 시간 간격은 1ms(2개 타임슬롯의 길이)보다 작고, 이는 기존 FDD 시스템에서의 4ms보다 훨씬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대기시간이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가 수신되는데 실패하는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가 수신되는데 실패함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수신 상태 정보를,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이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수신 상태 정보가 수신된 후 4개 심벌, 0.5ms, 1ms 또는 1.5ms 후에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재송신할 수 있다. 즉, 단말 디바이스는 수신 상태 정보가 전송된 후 4개 심벌, 0.5ms, 1ms 또는 1.5ms 후에,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재송신되는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HARQ RTT는 2.5ms보다 크지 않고, 이는 기존 FDD 시스템에서의 8ms보다 훨씬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대기시간이 효과적으로 감소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HARQ 시간 시퀀스의 개략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수신 상태 정보의 TTI 길이는 1ms이고,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TTI 길이는 0.5ms이다.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2(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음) 또는 서브프레임 n-3이고,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이다.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가 서브프레임 n-2인 경우,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 시간과 수신 상태 정보의 전송 시간(서브프레임 n) 사이의 시간 간격은 2ms보다 작고;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가 서브프레임 n-3인 경우,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 시간과 수신 상태 정보의 전송 시간(서브프레임 n) 사이의 시간 간격은 3ms보다 작다. 2개의 시나리오에서,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 시간과 수신 상태 정보의 전송 시간 사이의 시간 간격은 기존 FDD 시스템에서의 4ms보다 작다. 따라서, 대기시간이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가 수신되는데 실패하는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가 수신되는데 실패함을 나타내는 수신 상태 정보를,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전송한다. 수신 상태 정보를 수신한 후,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서브프레임 n+2 또는 서브프레임 n+3에서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재송신할 수 있다. 즉, 단말 디바이스는 서브프레임 n+2 또는 서브프레임 n+3에서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HARQ RTT는 4ms, 5ms 또는 6ms보다 크지 않고, 이는 기존 FDD 시스템에서의 8ms보다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대기시간이 더 감소된다.
이 실시예의 다른 적용 시나리오에서, 수신 상태 정보의 TTI 길이는 1ms이고,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TTI 길이는 4, 3, 2 또는 1개 심벌이다.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2이고,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이다.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 시간과 수신 상태 정보의 전송 시간 사이의 시간 간격은 2ms보다 작거나 같고, 이는 기존의 FDD 시스템에서의 4ms보다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대기시간이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데 실패하는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재송신되는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2일 수 있다. HARQ RTT는 4ms보다 작거나 같고, 이는 기존의 FDD 시스템에서의 8ms보다 훨씬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대기시간이 더 감소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HARQ 시간 시퀀스의 개략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수신 상태 정보의 TTI 길이는 1ms이고,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TTI 길이는 0.5ms이다.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3의 2번째 타임슬롯 및 서브프레임 n-2의 1번째 타임슬롯이고,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이다.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 시간과 수신 상태 정보의 전송 시간 사이의 시간 간격은 3ms보다 작고, 이는 기존 FDD 시스템에서의 4ms보다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대기시간이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의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가 수신되는데 실패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가 수신되는데 실패함을 나타내는 수신 상태 정보가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전송된 후,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서브프레임 n+2의 2번째 타임슬롯 및 서브프레임 n+3의 1번째 타임슬롯, 또는 서브프레임 n+2, 또는 서브프레임 n+3에서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재송신할 수 있다. 즉, 단말 디바이스는 서브프레임 n+2의 2번째 타임슬롯 및 서브프레임 n+3의 1번째 타임슬롯, 또는 서브프레임 n+2, 또는 서브프레임 n+3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재송신되는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HARQ RTT는 6ms 또는 5ms보다 작고, 이는 기존 FDD 시스템에서의 8ms보다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대기시간이 더 감소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HARQ 시간 시퀀스의 개략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수신 상태 정보의 TTI 길이는 1ms이고,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TTI 길이는 3개 심벌 또는 4개 심벌이다.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2의 마지막 10개 심벌 또는 9개 심벌 및 서브프레임 n-1의 처음 4개 심벌 또는 3개 심벌이고,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이다.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 시간과 수신 상태 정보의 전송 시간 사이의 시간 간격은 2ms보다 작고, 이는 기존 FDD 시스템에서의 4ms보다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대기시간이 효과적으로 감소된다.
또한,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가 수신되는데 실패하고,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가 수신되는데 실패함을 나타내는 수신 상태 정보가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전송되는 경우, 수신 상태 정보를 수신한 후,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서브프레임 n+2에서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재송신한다. 즉, 단말 디바이스는 서브프레임 n+2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재송신되는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HARQ RTT는 4ms보다 작고, 이는 기존의 FDD 시스템에서의 8ms보다 훨씬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대기시간이 더 감소된다.
도 10를 참조하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HARQ 시간 시퀀스의 개략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수신 상태 정보의 TTI 길이는 1ms이고,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TTI 길이는 2개 심벌이다.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2의 마지막 6개 심벌 및 서브프레임 n-1의 처음 8 또는 6개 심벌이거나,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2의 2번째 타임슬롯 및 서브프레임 n-1의 1번째 타임슬롯이거나,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2의 마지막 8개 심벌 및 서브프레임 n-1의 처음 6 또는 4개 심벌이다.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이다.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 시간과 수신 상태 정보의 전송 시간 사이의 시간 간격은 2ms보다 작고, 이는 기존 FDD 시스템에서의 4ms보다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대기시간이 효과적으로 감소된다.
또한,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가 수신되는데 실패하고,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가 수신되는데 실패함을 나타내는 수신 상태 정보가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전송되는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서브프레임 n+2에서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재송신할 수 있다. 즉, 단말 디바이스는 서브프레임 n+2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재송신되는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HARQ RTT는 4ms보다 작고, 이는 기존의 FDD 시스템에서의 8ms보다 훨씬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대기시간이 더 감소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HARQ 시간 시퀀스의 개략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수신 상태 정보의 TTI 길이는 1ms이고,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TTI 길이는 1개 심벌이다.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2의 마지막 3개 심벌 및 서브프레임 n-1의 처음 11 또는 9개 심벌일 수 있거나,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2의 2번째 타임슬롯 및 서브프레임 n-1의 1번째 타임슬롯일 수 있다.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이다.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 시간과 수신 상태 정보의 전송 시간 사이의 시간 간격은 2ms보다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대기시간이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가 수신되는데 실패하고,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가 수신되는데 실패함을 나타내는 수신 상태 정보가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전송되는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서브프레임 n+2에서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재송신할 수 있다. 즉, 단말 디바이스는 서브프레임 n+2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재송신되는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HARQ RTT는 4ms보다 작고, 이는 기존의 FDD 시스템에서의 8ms보다 훨씬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대기시간이 더 감소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HARQ 시간 시퀀스의 개략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수신 상태 정보의 TTI 길이는 4개 심벌 또는 3개 심벌의 길이이고,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TTI 길이는 1개 심벌 또는 2개 심벌의 길이이다.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1에서의 심벌 세트이고,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에서의 심벌 세트이다.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와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 사이의 시간 간격은 1ms보다 작거나 같고, 이는 기존의 FDD 시스템에서의 4ms보다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대기시간이 효과적으로 감소된다.
선택적으로,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1에서의 i번째 다운링크 심벌 세트일 수 있고,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에서의 i번째 업링크 심벌 세트일 수 있고, i는 1, 2, 3 또는 4이다.
선택적으로,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1에서의 2번째 다운링크 심벌 세트일 수 있고,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에서의 1번째 업링크 심벌 세트일 수 있거나;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1에서의 3번째 다운링크 심벌 세트일 수 있고,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에서의 2번째 업링크 심벌 세트일 수 있거나;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1에서의 4번째 다운링크 심벌 세트이고,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에서의 3번째 업링크 심벌 세트일 수 있거나; 또는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에서의 1번째 다운링크 심벌 세트일 수 있고,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에서의 4번째 업링크 심벌 세트일 수 있다.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이 실시예에서 심벌 세트의 개념이 도입된다. 정상 CP 서브프레임은 다음의 심벌 세트 구조들의 처음 8개 타입을 설명하기 위해 예로서 사용된다. 정상 CP 서브프레임은 시퀀스 번호들{#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을 갖는 심벌들을 포함한다. 확장 CP는 구조 9 및 구조 10을 설명하는 예로서 사용되고, 확장 CP 서브프레임은 시퀀스 번호들{#0, #1, #2, #3, #4, #5, #6, #7, #8, #9, #10, #11}을 갖는 심벌들을 포함한다.
하나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은 4개의 다운링크 심벌 세트를 포함하고, 다운링크 구조 1, 2, 3, 4, 5, 6, 7, 8, 9 또는 10에 기초하여 1번째 다운링크 심벌 세트, 2번째 다운링크 심벌 세트, 3번째 다운링크 심벌 세트 및 4번째 다운링크 심벌 세트로 구체적으로 분할된다. 하나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은 4개의 업링크 심벌 세트를 포함하고, 이하의 업링크 서브프레임 심벌 세트 구조 1, 2, 3, 4, 9 또는 10에 기초하여 1번째 업링크 심벌 세트, 2번째 업링크 심벌 세트, 3번째 업링크 심벌 세트 및 4번째 업링크 심벌 세트로 구체적으로 분할된다.
수신 상태 정보가 심벌 세트에서 송신될 때, 수신 상태 정보의 TTI는 심벌 세트에 포함된 모든 심벌이다. 예를 들어, 수신 상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심벌 세트가 4개 심벌을 포함하는 경우, 수신 상태 정보의 TTI는 4개 심벌의 길이가 되고; 수신 상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심벌 세트가 3개 심벌을 포함하는 경우, 수신 상태 정보의 TTI는 3개 심벌의 길이가 된다.
업링크/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심벌 세트 구조 1: 1번째 업링크/다운링크 심벌 세트는 시퀀스 번호들{#0, #1, #2, #3}을 갖는 심벌들을 포함하고, 2번째 업링크/다운링크 심벌 세트는 시퀀스 번호들{#4, #5, #6}을 갖는 심벌들을 포함하고, 3번째 업링크/다운링크 심벌 세트는 시퀀스 번호들{#7, #8, #9, #10}을 갖는 심벌들을 포함하고, 4번째 업링크/다운링크 심벌 세트는 시퀀스 번호들{#11, #12, #13}을 갖는 심벌들을 포함한다.
업링크/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심벌 세트 구조 2: 1번째 업링크/다운링크 심벌 세트는 시퀀스 번호들{#0, #1, #2}을 갖는 심벌들을 포함하고, 2번째 업링크/다운링크 심벌 세트는 시퀀스 번호들{#3, #4, #5, #6}을 갖는 심벌들을 포함하고, 3번째 업링크/다운링크 심벌 세트는 시퀀스 번호들{#7, #8, #9}을 갖는 심벌들을 포함하고, 4번째 업링크/다운링크 심벌 세트는 시퀀스 번호들{#10, #11, #12, #13}을 갖는 심벌들을 포함한다.
업링크/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심벌 세트 구조 3: 1번째 업링크/다운링크 심벌 세트는 시퀀스 번호들{#0, #1, #2, #3}을 갖는 심벌들을 포함하고, 2번째 업링크/다운링크 심벌 세트는 시퀀스 번호들{#4, #5, #6}을 갖는 심벌들을 포함하고, 3번째 업링크/다운링크 심벌 세트는 시퀀스 번호들{#7, #8, #9}을 갖는 심벌들을 포함하고, 4번째 업링크/다운링크 심벌 세트는 시퀀스 번호들{#10, #11, #12, #13}을 갖는 심벌들을 포함한다.
업링크/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심벌 세트 구조 4: 1번째 업링크/다운링크 심벌 세트는 시퀀스 번호들{#0, #1, #2}을 갖는 심벌들을 포함하고, 2번째 업링크/다운링크 심벌 세트는 시퀀스 번호들{#3, #4, #5, #6}을 갖는 심벌들을 포함하고, 3번째 업링크/다운링크 심벌 세트는 시퀀스 번호들{#7, #8, #9, #10}을 갖는 심벌들을 포함하고, 4번째 업링크/다운링크 심벌 세트는 시퀀스 번호들{#11, #12, #13}을 갖는 심벌들을 포함한다.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심벌 세트 구조 5: 1번째 다운링크 심벌 세트는 시퀀스 번호들{#0, #1, #2, #3}을 갖는 심벌들을 포함하고, 2번째 다운링크 심벌 세트는 시퀀스 번호들{#4, #5, #6, #7}을 갖는 심벌들을 포함하고, 3번째 다운링크 심벌 세트는 시퀀스 번호들{#8, #9, #10, #11}을 갖는 심벌들을 포함하고, 4번째 다운링크 심벌 세트는 시퀀스 번호들{#12, #13}을 갖는 심벌들을 포함한다.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심벌 세트 구조 6: 1번째 다운링크 심벌 세트는 시퀀스 번호들{#0, #1, #2, #3}을 갖는 심벌들을 포함하고, 2번째 다운링크 심벌 세트는 시퀀스 번호들{#4, #5, #6, #7}을 갖는 심벌들을 포함하고, 3번째 다운링크 심벌 세트는 시퀀스 번호들{#8, #9}을 갖는 심벌들을 포함하고, 4번째 다운링크 심벌 세트는 시퀀스 번호들{#10, #11, #12, #13}을 갖는 심벌들을 포함한다.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심벌 세트 구조 7: 1번째 다운링크 심벌 세트는 시퀀스 번호들{#0, #1, #2, #3}을 갖는 심벌들을 포함하고, 2번째 다운링크 심벌 세트는 시퀀스 번호들{#4, #5}을 갖는 심벌들을 포함하고, 3번째 다운링크 심벌 세트는 시퀀스 번호들{#6, #7, #8, #9}을 갖는 심벌들을 포함하고, 4번째 다운링크 심벌 세트는 시퀀스 번호들{#10, #11, #12, #13}을 갖는 심벌들을 포함한다.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심벌 세트 구조 8: 1번째 다운링크 심벌 세트는 시퀀스 번호들{#0, #1}을 갖는 심벌들을 포함하고, 2번째 다운링크 심벌 세트는 시퀀스 번호들{#2, #3, #4, #5}을 갖는 심벌들을 포함하고, 3번째 다운링크 심벌 세트는 시퀀스 번호들{#6, #7, #8, #9}을 갖는 심벌들을 포함하고, 4번째 다운링크 심벌 세트는 시퀀스 번호들{#10, #11, #12, #13}을 갖는 심벌들을 포함한다.
업링크/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심벌 세트 구조 9: 1번째 업링크/다운링크 심벌 세트는 시퀀스 번호들{#0, #1, #2}을 갖는 심벌들을 포함하고, 2번째 업링크/다운링크 심벌 세트는 시퀀스 번호들{#3, #4, #5}을 갖는 심벌들을 포함하고, 3번째 업링크/다운링크 심벌 세트는 시퀀스 번호들{#6, #7, #8}을 갖는 심벌들을 포함하고, 4번째 업링크/다운링크 심벌 세트는 시퀀스 번호들{#9, #10, #11}을 갖는 심벌들을 포함한다.
업링크/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심벌 세트 구조 10: 1번째 업링크/다운링크 심벌 세트는 시퀀스 번호들{#0, #1, #2, #3}을 갖는 심벌들을 포함하고, 2번째 업링크/다운링크 심벌 세트는 시퀀스 번호들{#4, #5}을 갖는 심벌들을 포함하고, 3번째 업링크/다운링크 심벌 세트는 시퀀스 번호들{#6, #7, #8, #9}을 갖는 심벌들을 포함하고, 4번째 업링크/다운링크 심벌 세트는 시퀀스 번호들{#10, #11}을 갖는 심벌들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가 수신되는데 실패하는 경우, 그리고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가 수신되는데 실패함을 나타내는 수신 상태 정보가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전송된 후,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재송신할 수 있다. 즉, 단말 디바이스는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재송신되는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1에서의 i번째 다운링크 심벌 세트일 수 있고, i는 1, 2, 3 또는 4이다.
선택적으로,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가 서브프레임 n+1에서의 1번째 업링크 심벌 세트일 수 있는 경우,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에서의 4번째 다운링크 심벌 세트일 수 있거나;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가 서브프레임 n에서의 2번째 업링크 심벌 세트인 경우,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1에서의 1번째 다운링크 심벌 세트이거나;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가 서브프레임 n에서의 3번째 업링크 심벌 세트인 경우,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1에서의 2번째 다운링크 심벌 세트이거나; 또는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가 서브프레임 n에서의 4번째 업링크 심벌 세트인 경우,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1에서의 3번째 다운링크 심벌 세트이다. HARQ RTT가 2ms보다 작거나 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대기시간이 효과적으로 감소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수신 상태 정보의 TTI 길이는 2개 심벌의 길이이고,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TTI 길이는 1개 심벌의 길이이다.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와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 사이의 시간 간격은 1ms보다 작다. 기존의 FDD 시스템에서는 시간 간격이 4ms보다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대기시간이 효과적으로 감소된다.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심벌 세트의 개념이 또한 도입된다. 하나의 정상 CP 서브프레임은 7개 심벌 세트를 포함하고, 매 2개 심벌이 1개의 심벌 세트를 형성하고, 7개 심벌 세트는 1번째 심벌 세트, 2번째 심벌 세트, 3번째 심벌 세트, 4번째 심벌 세트, 5번째 심벌 세트, 6번째 심벌 세트 및 7번째 심벌 세트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1에서의 5번째 심벌 세트일 수 있고,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에서의 1번째 심벌 세트일 수 있거나;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1에서의 6번째 심벌 세트일 수 있고,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에서의 2번째 심벌 세트일 수 있거나;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1에서의 7번째 심벌 세트일 수 있고,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에서의 3번째 심벌 세트일 수 있거나;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에서의 1번째 심벌 세트일 수 있고,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에서의 4번째 심벌 세트일 수 있거나;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에서의 2번째 심벌 세트일 수 있고,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에서의 5번째 심벌 세트일 수 있거나;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에서의 3번째 심벌 세트일 수 있고,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에서의 6번째 심벌 세트일 수 있거나; 또는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에서의 4번째 심벌 세트일 수 있고,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에서의 7번째 심벌 세트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1에서의 4번째 심벌 세트일 수 있고,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에서의 1번째 심벌 세트일 수 있거나;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1에서의 5번째 심벌 세트일 수 있고,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에서의 2번째 심벌 세트일 수 있거나;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1에서의 6번째 심벌 세트일 수 있고,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에서의 3번째 심벌 세트일 수 있거나;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1에서의 7번째 심벌 세트일 수 있고,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에서의 4번째 심벌 세트일 수 있거나;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에서의 1번째 심벌 세트일 수 있고,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에서의 5번째 심벌일 수 있거나;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에서의 2번째 심벌 세트일 수 있고,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에서의 6번째 심벌 세트일 수 있거나; 또는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에서의 3번째 심벌 세트일 수 있고,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에서의 7번째 심벌 세트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심벌 j-6 및 심벌 j-5이거나,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심벌 j-8 및 심벌 j-7이거나,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심벌 j-5 및 심벌 j-4이다.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심벌 j 및 심벌 j+1이다. 심벌 j-4는 심벌 j로부터 역방향으로 카운팅된 4번째 심벌이고; 심벌 j-5는 심벌 j로부터 역방향으로 카운팅된 5번째 심벌이고; 심벌 j-6은 심벌 j로부터 역방향으로 카운팅된 6번째 심벌이고; 심벌 j-7은 심벌 j로부터 역방향으로 카운팅된 7번째 심벌이고; 심벌 j-8은 심벌 j로부터 역방향으로 카운팅된 8번째 심벌이다. 심벌 j+1은 심벌 j로부터 순방향으로 카운팅된 1번째 심벌이다. 예를 들어, j=0인 경우, 즉, 심벌 j가 시퀀스 번호 #0을 갖는 심벌인 경우, 심벌 j-4는 심벌 j가 속하는 서브프레임 이전의 서브프레임에서 시퀀스 번호 #11을 갖는 심벌 등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예들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다양한 경우들이 하나씩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가 수신되는데 실패하는 경우, 그리고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가 수신되는데 실패함을 나타내는 수신 상태 정보가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전송되는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재송신할 수 있다. 즉, 단말 디바이스는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재송신되는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와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 사이의 시간 간격은 8ms보다 작다.
선택적으로,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가 서브프레임 n에서의 1번째 심벌 세트일 수 있고,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에서의 4번째 심벌 세트일 수 있거나;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에서의 2번째 심벌 세트일 수 있고,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에서의 5번째 심벌 세트일 수 있거나;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에서의 3번째 심벌 세트일 수 있고,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에서의 6번째 심벌 세트일 수 있거나;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에서의 4번째 심벌 세트일 수 있고,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에서의 7번째 심벌 세트일 수 있거나;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에서의 5번째 심벌 세트일 수 있고,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1에서의 1번째 심벌 세트일 수 있거나;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에서의 6번째 심벌 세트일 수 있고,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1에서의 2번째 심벌 세트일 수 있거나; 또는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에서의 7번째 심벌 세트일 수 있고,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1에서의 3번째 심벌 세트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에서의 1번째 심벌 세트일 수 있고,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에서의 5번째 심벌 세트일 수 있거나;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에서의 2번째 심벌 세트일 수 있고,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에서의 6번째 심벌 세트일 수 있거나;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에서의 3번째 심벌 세트일 수 있고,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에서의 7번째 심벌 세트일 수 있거나;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에서의 4번째 심벌 세트일 수 있고,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1에서의 1번째 심벌 세트일 수 있거나;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에서의 5번째 심벌 세트일 수 있고,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1에서의 2번째 심벌 세트일 수 있거나;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에서의 6번째 심벌 세트일 수 있고,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1에서의 3번째 심벌 세트일 수 있거나; 또는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에서의 7번째 심벌 세트일 수 있고,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n+1에서의 4번째 심벌 세트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심벌 j 및 심벌 j+1이고;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심벌 j+6 및 심벌 j+7, 심벌 j+8 및 심벌 j+9, 또는 심벌 j+5 및 심벌 j+6이다. 심벌 j+6은 심벌 j로부터 순방향으로 카운팅된 6번째 심벌이고; 심벌 j+7은 심벌 j로부터 순방향으로 카운팅된 7번째 심벌이고; 심벌 j+8은 심벌 j로부터 순방향으로 카운팅된 8번째 심벌이고; 심벌 j+9는 심벌 j로부터 순방향으로 카운팅된 9번째 심벌이다. 예를 들어, j=9인 경우, 즉, 심벌 j가 시퀀스 번호 #9를 갖는 심벌인 경우, 심벌 j+5는 심벌 j가 속하는 서브프레임 이전의 서브프레임에서 시퀀스 번호 #0을 갖는 심벌이다.
HARQ RTT는 2ms보다 작고, 이는 기존의 FDD 시스템에서의 8ms보다 훨씬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대기시간이 더 감소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수신 상태 정보는 PUCCH에서 반송되고, 수신 상태 정보의 TTI 길이는 0.5ms이다. 이 적용 시나리오에서, PUCCH 및 PUCCH DMRS의 송신 구조는 다음의 구조 1 또는 구조 2일 수 있다.
구조 1: PUCCH DMRS는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처음 N개 심벌(타임슬롯 n으로서 기록됨)에 위치되고, PUCCH는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다른 7-N 또는 6-N개의 심벌에 위치되고, N은 1, 2 또는 3이다. 즉, 단말 디바이스는,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처음 N개 연속적 심벌에서 PUCCH DMRS를 전송하고,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다른 심벌들에서 PUCCH를 전송한다. PUCCH DMRS는 PUCCH를 복조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상태 정보 송신 구조의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을 위한 예로서 정상 CP 서브프레임이 사용되고, 정상 CP 서브프레임은 14개 심벌을 포함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상태 정보는 하나의 타임슬롯을 점유한다. 타임슬롯은 7개 심벌을 포함하고, 처음 2개 심벌은 PUCCH DMRS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고, 마지막 5개 심벌은 PUCCH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 단말 디바이스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복조하고, 복조 결과에 기초하여 수신 상태 정보를 구성한다.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는 다운링크 데이터 복조가 완료될 때까지 수신 상태 정보를 구성하기 시작할 수 없다. 그러나, PUCCH DMRS의 구성은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 상태와 무관한데, 즉, 단말 디바이스가 송신된 다운링크 데이터가 있는 것으로 결정하면, 단말 디바이스는 PUCCH DMRS를 구성하기 시작할 수 있다. 따라서, PUCCH DMRS의 전송 순간은 PUCCH의 전송 순간보다 이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더 많은 처리 시간이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예약될 수 있다.
구조 2: PUCCH는 제1 PUCCH 및 제2 PUCCH를 포함하고, PUCCH DMRS는 제1 PUCCH DMRS 및 제2 PUCCH DMRS를 포함한다.
제1 PUCCH와 제1 PUCCH DMRS는 시간 도메인에서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처음 M1개 심벌에 위치되고,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1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에 위치된다. 제2 PUCCH와 제2 PUCCH DMRS는 시간 도메인에서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마지막 M2개 심벌들에 위치되고,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2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에 위치된다. 이 실시예는 설명을 위한 예로서 정상 CP 서브프레임을 또한 사용한다. M1은 3이고 M2는 4이거나, M1은 4이고 M2는 3이다. 구조 2가 사용될 때, 주파수 도메인 다이버시티 이득이 획득될 수 있고, PUCCH 복조 성능이 향상된다.
이에 대응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수신 상태 정보를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은 다음을 포함한다: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처음 M1개 심벌에서 제1 PUCCH 및 제1 PUCCH DMRS를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하는 것- 제1 PUCCH 및 제1 PUCCH DMRS가 제1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를 점유함 -; 및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마지막 M2개 심벌에서 제2 PUCCH 및 제2 PUCCH DMRS를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하는 것- 제2 PUCCH 및 제2 PUCCH DMRS가 제2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를 점유함 -.
도 14a 내지 도 14h를 참조하여, 구조 2에서의 수신 상태 정보 송신 구조는 다음의 구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a, 도 14b, 도 14c 또는 도 1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PUCCH 및 제1 PUCCH DMRS는 시간 도메인에서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처음 3개 심벌에 위치되고,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1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에 위치되고; 제2 PUCCH 및 제2 PUCCH DMRS는 시간 도메인에서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마지막 4개 심벌에 위치되고,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2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에 위치된다.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PUCCH DMRS는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2번째 심벌에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도 14c 및 도 1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PUCCH DMRS는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1번째 심벌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PUCCH DMRS는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5번째 심벌 및 6번째 심벌에 위치될 수 있거나;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PUCCH DMRS는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5번째 심벌에 위치될 수 있거나;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PUCCH DMRS는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4번째 심벌 및 5번째 심벌에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도 1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PUCCH DMRS는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4 심벌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4e, 도 14f, 도 14g, 또는 도 14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PUCCH와 제1 PUCCH DMRS는 시간 도메인에서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처음 4개 심벌에 위치되고,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1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에 위치되고; 제2 PUCCH 및 제2 PUCCH DMRS는 시간 도메인에서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마지막 3개 심벌에 위치되고,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2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에 위치된다.
도 1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PUCCH DMRS는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2번째 심벌 및 3번째 심벌에 위치되거나; 도 1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PUCCH DMRS는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2번째 심벌에 위치되거나; 도 14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PUCCH DMRS는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1번째 심벌 및 2번째 심벌에 위치되거나; 또는 도 14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PUCCH DMRS는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1번째 심벌에 위치된다.
도 14e 또는 도 1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PUCCH DMRS는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6번째 심벌에 위치되거나; 또는 도 14g 또는 도 14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PUCCH DMRS는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5번째 심벌에 위치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디바이스는 수신기(210) 및 송신기(220)를 포함한다.
수신기(210)는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송신기(220)는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수신 상태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수신 상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수신 상태 정보의 송신 시간 간격은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 간격보다 크고,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 간격은 1ms보다 작고,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와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 사이의 시간 간격은 4ms보다 작다.
선택적으로,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여, 프로세서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의 입력단은 수신기와 결합되고, 프로세서의 출력단은 송신기와 결합된다. 프로세서는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 상태에 기초하여 수신 상태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가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 상태에 기초하여 수신 상태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모든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 상태들을 결정하고, 모든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 상태들에 기초하여 수신 상태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 상태가 결정되는 방법은 본 발명에서 한정되지 않고, 다운링크 데이터가 수신기에 의해 성공적으로 수신되는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는 임의의 방식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 모든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 상태들에 기초하여 수신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방법 실시예들에서 대응하는 내용에 대해 참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세부 사항들은 본 명세서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수신기(210)는: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가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수신되는데 실패하는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재송신되는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와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 사이의 시간 간격은 8ms보다 작다.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 및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특정 분포에 대해서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에서 대응하는 내용을 참조한다. 세부 사항들은 본 명세서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수신 상태 정보 송신 구조에 대해서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에서 대응하는 내용을 참조한다. 세부 사항들은 본 명세서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후 수신 상태 정보를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전송한다.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와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 사이의 시간 간격은 4ms보다 작고,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 간격은 수신 상태 정보의 송신 시간 간격보다 작고,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송신 간격은 1ms보다 작다. 단말 디바이스가 데이터를 송신할 때, 다운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 간격 및 수신 상태 정보의 전송 시간과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 시간 사이의 시간 간격이 단축됨으로써, 대기시간을 감소시킨다. 또한, 수신 상태 정보(즉, 업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 간격은 다운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 간격보다 크다. 이는 수신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성능을 향상시키고,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반환된 수신 상태 정보를 정확하게 수신할 확률을 증가시킨다. 또한, HARQ RTT가 감소되고(8ms보다 작음), 대기시간이 효과적으로 더 감소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송신기(310) 및 수신기(320)를 포함한다.
송신기(310)는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기(310)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수신기(320)는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수신 상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수신 상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수신 상태 정보의 송신 시간 간격은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 간격보다 크고,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 간격은 1ms보다 작고,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와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 사이의 시간 간격은 4ms보다 작다.
선택적으로, 송신기(310)는 수신 상태 정보가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가 수신되는데 실패함을 나타낼 때,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재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와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 사이의 시간 간격은 8ms보다 작다.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 및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특정 분포에 대해서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에서 대응하는 내용을 참조한다. 세부 사항들은 본 명세서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전송하고; 그 후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수신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와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 사이의 시간 간격은 4ms보다 작다. 또한,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 간격은 수신 상태 정보의 송신 시간 간격보다 작고,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 간격은 1ms보다 작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데이터를 송신할 때, 다운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 간격 및 수신 상태 정보의 전송 시간과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 시간 사이의 시간 간격이 단축되어, 대기시간을 감소시킨다. 또한, 수신 상태 정보(즉, 업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 간격은 다운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 간격보다 크다. 이는 수신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성능을 향상시키고,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반환된 수신 상태 정보를 정확하게 수신할 확률을 증가시킨다. 또한,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와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 사이의 시간 간격은 감소되고(HARQ RTT가 8ms보다 작음), 대기 시간이 효과적으로 더 감소된다.
이 명세서에서, "제1" 및 "제2"와 같은 관계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엔티티 또는 동작을 또 다른 것과 구별하는데 사용될 뿐이며, 임의의 실제 관계성 또는 시퀀스가 이들 엔티티 또는 동작 간에 존재하는 것을 반드시 요구하거나 암시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에 유의해햐 한다. 더구나, 용어들 "포함한다"("include", "comprise") 또는 그 임의의 다른 변동은 비-배타적 포함을 커버하려는 것이므로, 요소들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는 이들 요소들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명시적으로 리스팅되지 않은 다른 요소들도 포함하거나, 그러한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본질적인 요소들을 추가로 포함한다. "~을 포함한다"에 의해 선행되는 요소는 추가 제한들 없이, 그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서 추가적인 동일한 요소들의 존재를 전제로 하지 않는다.
전술한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들이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의 원리를 벗어나지 않고 몇몇 개선들 또는 연마를 행할 수 있고, 이러한 개선들 또는 연마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할 것이라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Claims (30)

  1. 데이터 송신 방법으로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수신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상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와 상기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 사이의 시간 간격은 4 밀리초보다 작고, 상기 수신 상태 정보를 반송하는 업링크 채널의 송신 시간 간격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반송하는 다운링크 채널의 송신 시간 간격보다 크고, 상기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반송하는 상기 다운링크 채널의 상기 송신 시간 간격은 1 밀리초보다 작은, 데이터 송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반송하는 상기 다운링크 채널의 상기 송신 시간 간격은 1, 2, 3, 또는 4개 심벌이고, 상기 수신 상태 정보를 반송하는 상기 업링크 채널의 상기 송신 시간 간격은 0.5ms 또는 1ms인, 데이터 송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상기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반송하는 상기 다운링크 채널의 상기 송신 시간 간격의 길이는 2개 심벌 또는 1개 심벌이고, 상기 수신 상태 정보를 반송하는 상기 업링크 채널의 상기 송신 시간 간격은 0.5ms이고;
    상기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타임슬롯 n-2이고, 상기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타임슬롯 n이고, 상기 타임슬롯 n-2는 상기 타임슬롯 n으로부터 역방항으로 카운팅된 2번째 타임슬롯이고, 상기 타임슬롯들 각각은 6개 또는 7개의 심벌로 구성되고, 상기 타임슬롯들 각각은 0.5ms의 길이를 갖는, 데이터 송신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시그널링은: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와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 사이의 시간 간격,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와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 사이의 시간 간격, 또는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와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 사이의 시간 간격
    중 어느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을 나타내는, 데이터 송신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상태 정보는 PUCCH에서 반송되고, 상기 PUCCH의 상기 송신 시간 간격은 0.5ms이고, 상기 PUCCH는 제1 PUCCH 및 제2 PUCCH를 포함하고, PUCCH DMRS는 제1 PUCCH DMRS 및 제2 PUCCH DMRS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수신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처음 M1개 심벌에서 상기 제1 PUCCH 및 상기 제1 PUCCH DMRS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PUCCH 및 상기 제1 PUCCH DMRS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1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를 점유함 -; 및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마지막 M2개 심벌에서 상기 제2 PUCCH 및 상기 제2 PUCCH DMRS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PUCCH 및 상기 제2 PUCCH DMRS는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2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를 점유함 -를 포함하고;
    각각의 타임슬롯이 7개 심벌을 포함하는 경우, M1은 3이고 M2는 4이거나, M1은 4이고 M2는 3인, 데이터 송신 방법.
  6. 데이터 송신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수신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 상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 상태를 나타내는데 사용됨 -
    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상태 정보를 반송하는 업링크 채널의 송신 시간 간격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반송하는 다운링크 채널의 송신 시간 간격보다 크고, 상기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반송하는 상기 다운링크 채널의 상기 송신 시간 간격은 1ms보다 작고, 상기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와 상기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 사이의 시간 간격은 4ms보다 작은, 데이터 송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반송하는 상기 다운링크 채널의 상기 송신 시간 간격은 1, 2, 3, 또는 4개 심벌이고, 상기 수신 상태 정보를 반송하는 상기 업링크 채널의 상기 송신 시간 간격은 0.5ms 또는 1ms인, 데이터 송신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상기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반송하는 상기 다운링크 채널의 상기 송신 시간 간격의 길이는 2개 심벌 또는 1개 심벌이고, 상기 수신 상태 정보를 반송하는 상기 업링크 채널의 상기 송신 시간 간격은 0.5ms이고;
    상기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타임슬롯 n-2이고, 상기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타임슬롯 n이고, 상기 타임슬롯 n-2는 상기 타임슬롯 n으로부터 역방항으로 카운팅된 2번째 타임슬롯이고, 상기 타임슬롯들 각각은 6개 또는 7개의 심벌로 구성되고, 상기 타임슬롯들 각각은 0.5ms의 길이를 갖는, 데이터 송신 방법.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시그널링을 전송하고, 상기 시그널링은: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와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 사이의 시간 간격,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와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 사이의 시간 간격, 또는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와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 사이의 시간 간격
    중 어느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을 나타내는, 데이터 송신 방법.
  10.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상태 정보는 PUCCH에서 반송되고, 상기 PUCCH의 상기 송신 시간 간격은 0.5ms이고, 상기 PUCCH는 제1 PUCCH 및 제2 PUCCH를 포함하고, PUCCH DMRS는 제1 PUCCH DMRS 및 제2 PUCCH DMRS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상기 수신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처음 M1개 심벌에서 상기 제1 PUCCH 및 상기 제1 PUCCH DMRS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PUCCH 및 상기 제1 PUCCH DMRS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1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를 점유함 -; 및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마지막 M2개 심벌에서 상기 제2 PUCCH 및 상기 제2 PUCCH DMRS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PUCCH 및 상기 제2 PUCCH DMRS는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2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를 점유함 -를 포함하고;
    각각의 타임슬롯이 7개 심벌을 포함하는 경우, M1은 3이고 M2는 4이거나, M1은 4이고 M2는 3인, 데이터 송신 방법.
  11. 단말 디바이스로서,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및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수신 상태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신기
    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상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와 상기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 사이의 시간 간격은 4 밀리초보다 작고, 상기 수신 상태 정보를 반송하는 업링크 채널의 송신 시간 간격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반송하는 다운링크 채널의 송신 시간 간격보다 크고, 상기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반송하는 상기 다운링크 채널의 상기 송신 시간 간격은 1 밀리초보다 작은, 단말 디바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반송하는 상기 다운링크 채널의 상기 송신 시간 간격은 1, 2, 3, 또는 4개 심벌이고, 상기 수신 상태 정보를 반송하는 상기 업링크 채널의 상기 송신 시간 간격은 0.5ms 또는 1ms인, 단말 디바이스.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상기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반송하는 상기 다운링크 채널의 상기 송신 시간 간격의 길이는 4개 심벌 또는 3개 심벌이고, 상기 수신 상태 정보를 반송하는 상기 업링크 채널의 상기 송신 시간 간격은 0.5ms이고; 상기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타임슬롯 n-2 또는 타임슬롯 n-3이고 상기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타임슬롯 n이고, 상기 타임슬롯 n-2는 상기 타임슬롯 n으로부터 역방향으로 카운팅된 2번째 타임슬롯이고, 상기 타임슬롯 n-3은 상기 타임슬롯 n으로부터 역방향으로 카운팅된 3번째 타임슬롯이고, 상기 타임슬롯들 각각은 6개 또는 7개의 심벌로 구성되고, 상기 타임슬롯들 각각은 0.5ms의 길이를 갖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상기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상기 송신 시간 간격의 길이는 2개 심벌 또는 1개 심벌이고, 상기 수신 상태 정보의 상기 송신 시간 간격은 0.5ms이고; 상기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타임슬롯 n-2이고 상기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타임슬롯 n이고, 상기 타임슬롯들 각각은 6개 또는 7개의 심벌로 구성되고, 상기 타임슬롯들 각각은 0.5ms의 길이를 갖는, 단말 디바이스.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시그널링은: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와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 사이의 시간 간격,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와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 사이의 시간 간격, 또는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와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 사이의 시간 간격
    중 어느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을 나타내는, 단말 디바이스.
  15.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상태 정보는 PUCCH에서 반송되고, 상기 PUCCH의 상기 송신 시간 간격은 0.5ms이고, 상기 PUCCH는 제1 PUCCH 및 제2 PUCCH를 포함하고, PUCCH DMRS는 제1 PUCCH DMRS 및 제2 PUCCH DMRS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기는: 상기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처음 M1개 심벌에서 상기 제1 PUCCH 및 상기 제1 PUCCH DMRS를 전송하고- 상기 제1 PUCCH 및 상기 제1 PUCCH DMRS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1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를 점유함 -; 상기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마지막 M2개 심벌에서 상기 제2 PUCCH 및 상기 제2 PUCCH DMRS를 전송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PUCCH 및 상기 제2 PUCCH DMRS는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2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를 점유함 -;
    각각의 타임슬롯이 7개 심벌을 포함하는 경우, M1은 3이고 M2는 4이거나, M1은 4이고 M2는 3인, 단말 디바이스.
  16. 네트워크 디바이스로서,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신기; 및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수신 상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상기 수신 상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 상태를 나타내는데 사용됨 -
    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상태 정보를 반송하는 업링크 채널의 송신 시간 간격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반송하는 다운링크 채널의 송신 시간 간격보다 크고, 상기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반송하는 상기 다운링크 채널의 상기 송신 시간 간격은 1ms보다 작고, 상기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와 상기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 사이의 시간 간격은 4ms보다 작은, 네트워크 디바이스.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반송하는 상기 다운링크 채널의 상기 송신 시간 간격은 1, 2, 3, 또는 4개 심벌이고, 상기 수신 상태 정보를 반송하는 상기 업링크 채널의 상기 송신 시간 간격은 0.5ms 또는 1ms인, 네트워크 디바이스.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에서의 상기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반송하는 상기 다운링크 채널의 상기 송신 시간 간격의 길이는 2개 심벌 또는 1개 심벌이고, 상기 수신 상태 정보를 반송하는 상기 업링크 채널의 상기 송신 시간 간격은 0.5ms이고; 상기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타임슬롯 n-2이고 상기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타임슬롯 n이고, 상기 타임슬롯들 각각은 6개 또는 7개의 심벌로 구성되고, 상기 타임슬롯들 각각은 0.5ms의 길이를 갖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시그널링을 전송하고, 상기 시그널링은: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와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 사이의 시간 간격,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와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 사이의 시간 간격, 또는
    제3 시간 도메인 리소스와 제1 시간 도메인 리소스 사이의 시간 간격
    중 어느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을 나타내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20.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상태 정보는 PUCCH에서 반송되고, 상기 PUCCH의 상기 송신 시간 간격은 0.5ms이고, 상기 PUCCH는 제1 PUCCH 및 제2 PUCCH를 포함하고, PUCCH DMRS는 제1 PUCCH DMRS 및 제2 PUCCH DMRS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처음 M1개 심벌에서 상기 제1 PUCCH 및 상기 제1 PUCCH DMRS를 수신하고- 상기 제1 PUCCH 및 상기 제1 PUCCH DMRS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1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를 점유함 -; 상기 제2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마지막 M2개 심벌에서 상기 제2 PUCCH 및 상기 제2 PUCCH DMRS를 수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PUCCH 및 상기 제2 PUCCH DMRS는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2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를 점유함 -;
    각각의 타임슬롯이 7개 심벌을 포함하는 경우, M1은 3이고 M2는 4이거나, M1은 4이고 M2는 3인, 네트워크 디바이스.
  21.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2.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KR1020187024879A 2016-02-03 2016-02-03 데이터 송신 방법, 단말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장비 KR1021120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6/073335 WO2017132888A1 (zh) 2016-02-03 2016-02-03 一种数据传输方法、终端设备及网络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8740A KR20180108740A (ko) 2018-10-04
KR102112078B1 true KR102112078B1 (ko) 2020-05-18

Family

ID=59500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4879A KR102112078B1 (ko) 2016-02-03 2016-02-03 데이터 송신 방법, 단말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장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693614B2 (ko)
EP (1) EP3399689B1 (ko)
KR (1) KR102112078B1 (ko)
CN (1) CN108702284B (ko)
WO (1) WO20171328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96062A (zh) * 2019-06-14 2022-11-25 华为技术有限公司 应答信息的传输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905428B (zh) * 2005-07-25 2010-08-18 上海原动力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低时延特性的时分双工移动通信系统的传输方法
US9112662B2 (en) * 2013-01-17 2015-08-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Overhead reduction for transmission of acknowledgment signals
US9397796B2 (en) 2013-03-13 2016-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uting and transmit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adaptively configured TDD communication systems
CN103354482B (zh) 2013-06-17 2017-09-29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系统及基站和用户设备
US20150085721A1 (en) 2013-09-26 2015-03-26 Ht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ul harq process
CN104518854B (zh) * 2013-09-27 2018-03-02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用于tdd‑fdd联合操作的harq时序和pucch资源的配置方法
CN105594149B (zh) * 2013-10-04 2019-04-09 Lg 电子株式会社 终端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ack/nack的方法及其设备
EP3136644A4 (en) * 2014-05-15 2017-05-10 Huawei Technologies Co., Ltd. Data transmission apparatuses and methods
WO2016142978A1 (ja) * 2015-03-06 2016-09-15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局、無線端末装置、及びこれらの方法
CN104883744B (zh) * 2015-05-08 2018-09-25 京信通信系统(中国)有限公司 一种进行应答处理的方法和设备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56540*
3GPP R1-156819*
3GPP R2-15241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8740A (ko) 2018-10-04
US10693614B2 (en) 2020-06-23
CN108702284A (zh) 2018-10-23
CN108702284B (zh) 2020-11-06
WO2017132888A1 (zh) 2017-08-10
EP3399689B1 (en) 2023-09-06
EP3399689A1 (en) 2018-11-07
US20180343099A1 (en) 2018-11-29
EP3399689A4 (en) 2018-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52582B (zh) 无线通信系统中的上行链路信号发送或接收方法及其设备
CN109392152B (zh) 通信方法和通信装置
CN109845180B (zh) 无线通信系统中用于支持短传输时间间隔的终端发送或者接收上行链路信号的方法及其装置
CN109997327B (zh)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上行链路信号的方法及其装置
US11032807B2 (en) Uplink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in overlapping time domain resource
US11683807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uplink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363799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 uplink control signal, user equipment, method for receiving an uplink signal, and base station
EP2564534B1 (en) System and method for channel state feedback in carrier aggregation
CN109496399B (zh) 用于频分双工传输时间间隔操作的系统和方法
KR102315253B1 (ko) 주파수-분할 듀플렉스 송신 시간 간격 동작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US20180048447A1 (en) User equipments, base stations and methods
CN109152053B (zh) 传输时序确定及指示方法、通信设备及存储介质
EP348559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ime reduction signaling
KR20190004261A (ko) Lte 네트워크의 물리 채널에서의 레이턴시 감소
EP3745630B1 (en) Method and apparatus
CN110622609B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接收下行链路信号的方法和装置
WO2013138715A1 (en) Method for half-duplex fdd operation in lte fdd network
US20080130526A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providing LCR-TDD compatible frame structure
CN110268665B (zh) 在无线通信系统中支持多个传输时间间隔的方法和装置
CN108809541B (zh) 上行数据的传输方法和装置
KR20160078953A (ko) Tdd 셀과 fdd 셀이 반송파 집성에 포함된 상황에서 harq 동작
KR2019010931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CN114930752A (zh) 连续数据分组反馈
CN105207757A (zh) 通信系统的载波聚合方法及装置
WO2019166010A1 (zh) 上行控制信息的传输方法、接收方法、终端、基站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