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1943B1 -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신발 - Google Patents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신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11943B1 KR102111943B1 KR1020180091690A KR20180091690A KR102111943B1 KR 102111943 B1 KR102111943 B1 KR 102111943B1 KR 1020180091690 A KR1020180091690 A KR 1020180091690A KR 20180091690 A KR20180091690 A KR 20180091690A KR 102111943 B1 KR102111943 B1 KR 1021119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ta
- area
- main body
- pressing force
- genera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 A43B3/0005—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5/00—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two or more fluid pressure values simultaneous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 세기의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판이 구비되어 좌측 또는 우측 신발 내부의 바닥면에 장착되되 기설정된 반경 내에서 상호 연동되는 적어도 한 쌍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단, 하단 및 양측단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가해지는 가압력에 기초하여 순서 정보 및 데이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에 기초한 진동을 해당 영역에 발생시키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다수가 참여하는 회의를 위해 회장 내에 모인 복수의 인원 중 일부에게 논의 중인 특정 안건에 대한 답변을 어느 하나로 결정하도록 신속하게 유도할 수 있어 다수결로 결정되는 중요 사안에 대한 빠른 의견 통합이 가능하고 특정인에게 유리한 결과를 비밀리에 도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다수가 참여하는 회의를 위해 회장 내에 모인 복수의 인원 중 일부에게 논의 중인 특정 안건에 대한 답변을 어느 하나로 결정하도록 신속하게 유도할 수 있어 다수결로 결정되는 중요 사안에 대한 빠른 의견 통합이 가능하고 특정인에게 유리한 결과를 비밀리에 도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둘 이상의 사용자가 착용 중인 신발을 이용하여 여러 유형의 데이터를 한꺼번에 구별 가능한 형태로 주고받을 수 있는 대화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 단말 기술과 모바일 네트워크 기술, 그리고 관련된 SW 기술의 발전은 컴퓨팅 패러다임(computing paradigm)을 변화시키고 있다. 특히, 스마트한 특성을 갖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들이 보편화되면서 사용자의 모바일 라이프에 가장 많은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신체에 부착하여 컴퓨팅 행위를 할 수 있는 모든 전자 장비'를 통칭하는 것으로, 최근에는 신체 가까운 곳에서 사용자와 인터랙션할 수 있는 기기들까지 포괄하고 있다.
최근 이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워킹(walking), 러닝(running) 등 인간의 신체 활동 중에 각종 상태를 감지하여 더 효율적인 신체 활동을 위한 정보 또는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를 위한 한 방법으로써, 사용자의 발바닥이 닿는 인솔(insole)에 압력 센서를 부착하여 족부의 압력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압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보행 자세 등의 신체 활동 정보를 분석하고 제공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대부분의 연구는 스마트 인솔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활동 정보를 분석하는 데에만 집중되고 있다. 즉, 스마트 인솔에 구비된 센서를 이용하여 단순히 소정의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는 데에만 초점을 맞춘 것들이 대부분이라, 이러한 스마트 인솔 등과 같이 사용자의 신체와 밀접한 연관을 가지는 물건 등을 이용한 다양한 응용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둘 이상의 사용자가 착용 중인 신발을 이용하여 여러 유형의 데이터를 한꺼번에 구별 가능한 형태로 주고받을 수 있는 대화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신발은, 소정 세기의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판이 구비되어 좌측 또는 우측 신발 내부의 바닥면에 장착되되 기설정된 반경 내에서 상호 연동되는 적어도 한 쌍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단, 하단 및 양측단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가해지는 가압력에 기초하여 순서 정보 및 데이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에 기초한 진동을 해당 영역에 발생시키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연동 상태에 있는 상기 적어도 한 쌍의 본체부 중 어느 하나가 초기 구동되는 경우, 구동중인 본체부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를 상기 연동 상태에 있는 나머지 본체부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 생성 모듈은, 상기 본체부의 상단 또는 하단 중 어느 하나의 제1 영역에 설치되되, 현재 동작 상태와 상기 제1 영역에 가해지는 가압력에 기초하여 초기 구동 여부를 결정하거나, 혹은 입력 변수를 상기 순서 정보 및 상기 데이터 정보로 구분하여 입력받기 위한 구분 신호를 생성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생성 모듈은, 상기 본체부의 상단 또는 하단 중 나머지 하나의 제2 영역에 설치되되, 상기 제2 영역에 가해지는 가압력 및 가압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순서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카운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카운터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측단에 해당하는 제3 영역 및 제4 영역에 설치되되, 상기 제3 영역 또는 상기 제4 영역에 가해지는 가압력 및 가압지속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입력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제1 영역, 상기 제2 영역, 상기 제3 영역 및 상기 제4 영역에 각각 상기 구분 신호, 상기 카운트 데이터 및 상기 입력 데이터에 기초한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부는, 정지 상태일 때 상기 제1 영역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기설정된 최소값 이상이면 초기 구동 개시되되, 초기 구동된 후 상기 제1 영역에 가해지는 가압력의 지속시간이 기설정된 구분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구분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지속시간이 상기 구분기준값 미만이면 현재 입력된 상기 구분 신호, 상기 카운트 데이터 및 상기 입력 데이터를 초기화하는 리셋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가 참여하는 회의를 위해 회장 내에 모인 복수의 인원 중 일부에게 논의 중인 특정 안건에 대한 답변을 어느 하나로 결정하도록 신속하게 유도할 수 있어 다수결로 결정되는 중요 사안에 대한 빠른 의견 통합이 가능하고 특정인에게 유리한 결과를 비밀리에 도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계급 간 위계 질서를 중시하는 직업군(군인 및 경찰)에서는 상급자가 하급자에게 명령을 하달하는 행정 체계를 고수하는데, 대화가 곤란한 재난 상황이나 적군과 아군이 뒤섞여 혼선을 이루는 군사 훈련 상황의 경우에 본부로부터 전달된 군사 작전 등 중요 사항에 대한 명령을 상급자가 다수의 하급자에게 무선 통신을 통해 비밀리에 동시 다발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신발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신발의 내부 구성 및 연결 관계와 상기 신발이 발신용으로 동작할 때의 데이터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신발이 수신용으로 동작할 때의 제어신호의 전달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구동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가해지는 시간별 가압력에 기초한 그래프를 이용하여 초기 구동 여부를 결정하고 구분 신호 및 리셋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제1 입력 데이터 생성부 및 제2 입력 데이터 생성부에 각각 대응하는 영역에 가해지는 시간별 가압력에 기초한 그래프를 이용하여 짧게 누름과 길게 누름을 구분하여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2의 구동부, 카운터부, 제1 입력 데이터 생성부 및 제2 입력 데이터 생성부에 각각 대응하는 영역에 가해지는 시간별 가압력에 기초한 그래프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제어신호를 제2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신발의 내부 구성 및 연결 관계와 상기 신발이 발신용으로 동작할 때의 데이터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신발이 수신용으로 동작할 때의 제어신호의 전달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구동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가해지는 시간별 가압력에 기초한 그래프를 이용하여 초기 구동 여부를 결정하고 구분 신호 및 리셋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제1 입력 데이터 생성부 및 제2 입력 데이터 생성부에 각각 대응하는 영역에 가해지는 시간별 가압력에 기초한 그래프를 이용하여 짧게 누름과 길게 누름을 구분하여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2의 구동부, 카운터부, 제1 입력 데이터 생성부 및 제2 입력 데이터 생성부에 각각 대응하는 영역에 가해지는 시간별 가압력에 기초한 그래프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제어신호를 제2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려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신발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신발의 내부 구성 및 연결 관계와 상기 신발이 발신용으로 동작할 때의 데이터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신발이 수신용으로 동작할 때의 제어신호의 전달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구동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가해지는 시간별 가압력에 기초한 그래프를 이용하여 초기 구동 여부를 결정하고 구분 신호 및 리셋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제1 입력 데이터 생성부 및 제2 입력 데이터 생성부에 각각 대응하는 영역에 가해지는 시간별 가압력에 기초한 그래프를 이용하여 짧게 누름과 길게 누름을 구분하여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2의 구동부(100), 카운터부(200), 제1 입력 데이터 생성부(310) 및 제2 입력 데이터 생성부(320)에 각각 대응하는 영역에 가해지는 시간별 가압력에 기초한 그래프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제어신호를 제2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전술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신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신발은 크게 본체부(10), 데이터 생성 모듈(20) 및 통신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체부(10)는 소정의 신발용 인솔 형태로 마련되어 좌측 또는 우측 신발 내부의 바닥면에 장착된다.
여기서, 본체부(10)는 적어도 한 쌍으로 구비되어 각각의 본체부(10)가 발신용과 수신용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고, 각각의 본체부(10a,10b)의 내부에는 기설정된 반경 내의 또 다른 본체부(10)와 상호 연동하도록 하는 연동 모듈(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을 참조하면, 연동 상태에 있는 두 쌍의 본체부(10) 중에서 한 쌍의 본체부(10a)는 제1 사용자의 좌우 신발에 각각 장착되고 나머지 한 쌍의 본체부(10b)는 제2 사용자의 좌우 신발에 각각 장착된 상태일 때, 만약 제1 사용자가 착용한 한 쌍의 본체부 중 어느 하나의 본체부(10a)를 초기 구동한다면, 초기 구동된 본체부(10a)는 발신용으로 동작하여 소정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게 되고, 제2 사용자가 착용한 한 쌍의 본체부 중 어느 하나의 본체부(10b)가 수신용으로 동작하여 발신용으로 동작하는 본체부(10a)에 의해 생성된 제어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연동 모듈(미도시)은 소정의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한 페어링(paring) 기능을 수행하여 근거리에 있는 본체부(10b)와 상호 연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연동 모듈(미도시)은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및 지그비(Zigbee)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근거리 통신망은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및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중 하나일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10)가 제1 본체부(10a)와 제2 본체부(10b)를 포함할 때, 만약 제2 본체부(10b)가 제1 시점일 땐 제1 본체부(10a)를 중심으로 한 기설정된 반경 범위를 벗어난 위치에 있었으나 상기 제1 시점 이후의 제2 시점일 땐 상기 반경 범위 이내에 위치한다면, 제1 본체부(10a)와 제2 본체부(10b)는 상기 제2 시점부터 상호 연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여기서, 본체부(10)의 내부에는 소정 세기의 진동이 발생하는 진동판이 구비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진동판은 사용자의 발이 안착하는 본체부(10)의 상면 영역에 수직 하방으로 대응되는 본체부(10)의 내부 영역에 마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복수 개로 마련되어 사용자의 발의 상측, 하측, 좌측, 우측이 각각 접촉하는 영역에 대응하도록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되, 각각의 영역마다 소정 세기의 진동을 개별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 생성 모듈(20)은 본체부(10)의 상단, 하단 및 양측단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가해지는 가압력에 기초하여 순서 정보 및 데이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에 기초한 진동을 해당 영역에 발생시키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데이터 생성 모듈(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00), 카운터부(200), 입력 데이터 생성부(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00)는 본체부(10)의 상단 또는 하단 중 어느 하나의 제1 영역(A1)에 설치되어 제1 영역(A1)에 가해지는 가압력에 기초하여 초기 구동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구동부(100)는 본체부(10)가 초기 구동된 상태에서 제1 영역(A1)에 가해지는 가압력에 기초하여 입력 변수를 순서 정보 및 데이터 정보로 구분하여 입력받기 위한 구분 신호(Si)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입력 변수는 제1 사용자가 연동 상태에 있는 본체부(10)를 착용한 제2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유형별로 구분하여 발신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순서 정보는 복수 개의 문항 중에서 발신 역할을 수행하는 사용자가 선택한 어느 하나의 문항에 대한 순서 정보(예, 3번째 문항)를 나타내고, 상기 데이터 정보는 해당 문항에 대한 복수 개의 객관식 형태의 답변 중에서 발신 역할을 수행하는 사용자가 다수 의견으로 유도하고자 하는 답변에 대한 데이터 정보(예컨대, 2번 답변)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부(100)는, 정지 상태일 때 제1 영역(A1)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기설정된 최소값(fc) 이상이면 초기 구동 개시되되, 초기 구동된 후 제1 영역(A1)에 가해지는 가압력의 지속시간이 기설정된 구분기준값(Vr) 이상이면 구분 신호(Si)를 생성하고, 상기 지속시간이 구분기준값(Vr) 미만이면 현재 입력된 구분 신호(Si), 카운트 데이터(Sc) 및 입력 데이터(Sd)를 초기화하는 리셋 신호(Sr)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를 참조하면, 정지 상태인 본체부(10)의 제1 영역(A1)에 기설정된 최소값(fc) 이상의 제1 가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본체부(10)는 정지 상태에서 상기 제1 가압력이 해제되는 시점(t2)에 초기 구동 개시되어 구동 상태로 전환된다.
이후, 구동 중인 본체부(10)의 제1 영역(A1)에 최소값(fc) 이상의 제2 가압력이 가해진다고 할 때, 만일 상기 제2 가압력의 가압 지속시간이 기설정된 구분기준값(Vr) 이상이면(t3~t4) 구동부(100)에 의해 구분 신호(Si)가 생성되나, 반대로, 상기 제2 가압력의 가압 지속시간이 구분기준값(Vr) 미만이면(t5~t6) 구동부(100)에 의해 리셋 신호(Sr)가 생성되게 된다.
여기서, 구분 신호(Si)는 제1 구분 신호(Si_1)와 제2 구분 신호(Si_2)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1 구분 신호(Si_1)는 본체부(10)의 초기 구동 후 가장 먼저 생성된 구분 신호(Si)이고, 제2 구분 신호(Si_2)는 제1 구분 신호(Si_1)와 상기 순서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생성한 이후에 생성된 구분 신호(Si)일 수 있다.
예컨대, 도 6을 참조하면, 제1 구분 신호(Si_1)는 본체부(10)가 초기 구동된 시점(t2)과 카운터부(200)에 의해 상기 순서 정보에 대한 데이터(Sc)가 생성되기 시작한 시점(t5) 사이에 생성되고, 제2 구분 신호(Si_2)는 카운터부(200)에 의해 상기 순서 정보에 대한 데이터의 생성이 완료된 시점(t10)과 입력 데이터 생성부(300)에 의해 상기 데이터 정보에 의한 데이터(Sd)가 생성되기 시작한 시점(t13) 사이에 생성되게 된다.
카운터부(200)는 본체부(10)의 상단 또는 하단 중 나머지 하나의 제2 영역(A2)에 설치되되, 제2 영역(A2)에 가해지는 가압력 및 가압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순서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카운트 데이터(Sc)를 생성한다.
여기서, 카운터부(200)는 구동부(100)에 의해 구동 신호(Si)가 최초로 생성된 시점 이후 제1 영역(A2)에 가해지는 가압력 및 가압횟수에 기초한 카운트 데이터(Sc)를 생성할 수 있다.
아래의 표 1은 본체부(10)의 제2 영역(A2)에 가해지는 가압력의 가압 횟수에 기초하여 매칭되는 순서 정보를 표로 정리하여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은 가압 지속시간이 기설정된 구분기준값(Vr) 미만이어서 '짧게 누름'으로 인식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은 가압 지속시간이 구분기준값(Vr) 이상이어서 '길게 누름'으로 인식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예컨대,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카운터부(200)는 본체부(10)의 제2 영역(A2)에 기설정된 최소값(fc) 이상의 가압력이 가해지되, 상기 가압력의 가압 지속 시간이 기설정된 구분기준값(Vr) 미만인 경우엔 가압 횟수에 대응하는 카운트 정보, 가령, 가압 횟수가 한 번일 땐 '1번째', 두 번일 땐 '2번째', 세 번일 땐 '3번째'와 같은 카운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가압 지속 시간이 구분기준값(Vr) 이상인 경우엔 기설정된 배수 단위에 대응하는 카운트 정보, 가령, 만약 기설정된 상기 배수 단위가 '5'라면, 가압 횟수가 한 번일 땐 '5번째', 가압 횟수가 두 번일 땐 '10번째'와 같은 카운트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비록, 전술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카운터부(200)의 경우, 제2 영역(A2)에 가해지는 가압력의 가압 지속시간에 기초하여 '짧게 누름'과 '길게 누름'으로 구분하여 인식한 후, '짧게 누름'의 경우엔 가압 횟수에 대응하는 카운트 데이터를 생성하고, '길게 누름'의 경우엔 가압 횟수에 기설정된 배수 단위를 적용한 카운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압 지속시간에 관계없이 가압 횟수에 일대일로 대응하는 카운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식일 수도 있고, 제2 영역(A2)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짧게 누름'과 '길게 누름' 중 어느 하나로만 단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짧게 누름'과 '길게 누름'을 이용하여 조합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테이블 형태로 기저장한 후 이에 기초한 카운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식일 수도 있다.
입력 데이터 생성부(300)는 본체부(10)의 양측단에 해당하는 제3 영역(A3) 및 제4 영역(A4)에 설치되되, 제3 영역(A3) 또는 제4 영역(A4)에 가해지는 가압력 및 가압지속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입력 데이터(Sd)를 생성한다.
여기서, 입력 데이터 생성부(300)는 카운터부(200)에 의해 카운트 데이터(Sc)가 생성되고 나서 구동부(100)에 의해 두번째 구동 신호(Si)가 생성되는 시점 이후 제3 영역(A3) 또는 제4 영역(A4)에 가해지는 가압력 및 가압지속시간에 기초한 입력 데이터(Sd)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 데이터 생성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입력 데이터 생성부(310) 및 제2 입력 데이터 생성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입력 데이터 생성부(310)는 본체부(10)의 일측단에 해당하는 제3 영역(A3)에 설치되되, 카운터부(200)에 의한 카운트 데이터(Sc)의 생성 이후에 제3 영역(A3)에 가해지는 가압력의 지속시간을 기설정된 임계값(Tr)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짧게 누름 또는 길게 누름으로 구분하여 입력받아 제1 입력 데이터(Sd1)를 생성한다.
제2 입력 데이터 생성부(320)는 본체부(10)의 타측단에 해당하는 제4 영역(A4)에 설치되되, 상기 카운트 데이터(Sc)의 생성 이후에 제4 영역(A4)에 가해지는 가압력의 지속시간을 기설정된 임계값(Tr)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짧게 누름 또는 길게 누름으로 구분하여 입력받아 제2 입력 데이터(Sd2)를 생성한다.
아래의 표 2는 본체부(10)의 양측단 영역에 해당하는 제3 영역(A3) 및 제4 영역(A4)에 가해지는 가압력의 세기 및 가압 지속시간에 기초하여 매칭되는 데이터 정보를 표로 정리하여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은 가압 지속시간이 기설정된 임계값(Tr) 미만이어서 '짧게 누름'으로 인식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은 가압 지속시간이 임계값(Tr) 이상이어서 '길게 누름'으로 인식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예컨대, 상기 표 2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입력 데이터 생성부(310)는 본체부(10)의 제3 영역(A3)에서 기설정된 최소값(fc) 이상의 가압력이 기설정된 임계값(Tr) 미만의 시간(t11~t12) 동안 가해지는 경우엔 '짧게 누름'으로 인식한 후 '입력값 1'에 해당하는 데이터 정보를 생성하고, 본체부(10)의 제3 영역(A3)에서 최소값(fc) 이상의 가압력이 임계값(Tr) 이상의 시간(t13~t14) 동안 가해지는 경우엔 '길게 누름'으로 인식한 후 '입력값 2'에 해당하는 데이터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또한, 제2 입력 데이터 생성부(320)는 본체부(10)의 제4 영역(A4)에서 최소값(fc) 이상의 가압력이 기설정된 임계값(Tr) 미만의 시간(t15~t16) 동안 가해지는 경우엔 '짧게 누름'으로 인식한 후 '입력값 3'에 해당하는 데이터 정보를 생성하고, 본체부(10)의 제4 영역(A4)에서 최소값(fc) 이상의 가압력이 임계값(Tr)이상의 시간(t17~t18) 동안 가해지는 경우엔 '길게 누름'으로 인식한 후 '입력값 4'에 해당하는 데이터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또한, 제1 입력 데이터 생성부(310) 및 제2 입력 데이터 생성부(320)는 본체부(10)의 제3 영역(A3) 및 제4 영역(A4)에서 동시에 최소값(fc) 이상의 가압력이 소정 시간(t19~t20) 동안 가해지는 경우엔 '입력값 5'에 해당하는 데이터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비록, 전술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 데이터 생성부(300)의 경우, 제3 영역(A3)과 제4 영역(A4)에 동시에 최소값(fc) 이상의 가압력이 소정 시간 이상 가해지는 경우엔 '입력값5'에 해당하는 데이터 정보만을 생성하는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3 영역(A3)과 제4 영역(A4)에 동시에 가해지는 가압력의 가압 지속 시간에 기초하여 '짧게 누름'과 '길게 누름'으로 구분한 후 '짧게 누름'의 경우와 '길게 누름'의 경우에 각기 다른 데이터 정보를 생성하는 방식일 수도 있고, '짧게 누름'과 '길게 누름'을 이용하여 조합 가능한 다양한 실시예를 고려하여 기저장된 테이블에 기초하여 데이터 정보를 생성하는 방식일 수도 있다.
제어부(400)는 본체부(10)의 상면의 제1 영역(A1), 제2 영역(A3), 제3 영역(A3) 및 제4 영역(A4)에 각각 구분 신호(Si), 카운트 데이터(Sc) 및 입력 데이터(Sd)에 기초한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신호는, 본체부(10)의 제1 영역(A1)에는 구동부(100)에 의해 생성된 구분 신호(Si)의 파형 및 생성 구간에 대응하여 소정 세기의 진동이 발생하도록 제어하고, 본체부(10)의 제2 영역(A2)에는 카운터부(200)에 의해 생성된 카운트 데이터(Sc)의 신호 파형 및 신호 생성 구간에 대응하여 소정 세기의 진동이 발생하도록 제어하고, 본체부(10)의 제3 영역(A3) 및 제4 영역(A4)에는 입력 데이터 생성부(300)에 의해 생성된 입력 데이터(Sd)의 신호 파형 및 신호 생성 구간에 대응하여 소정 세기의 진동이 발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400)는, 가장 먼저 제1 영역(A1)에 제1 구동 신호(Si_1)의 파형 및 생성 구간(t3~t4)에 대응하는 시간 동안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고, 다음으로 제2 영역(A2)에 카운트 데이터(Sc)의 신호 파형 및 생성 구간(t5~t6,t7~t8,t9~t10)에 대응하는 시간 동안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한 후, 그 다음으로 제1 영역(A1)에 제2 구동 신호(Si_2)의 파형 및 생성 구간(t11~t12)에 대응하는 시간 동안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고, 마지막으로 제3 영역(A3) 또는 제4 영역(A4)에 입력 데이터의 신호 파형 및 신호 생성 구간(t13~t14)에 대응하는 시간 동안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게 된다.
통신부(500)는 연동 상태에 있는 적어도 한 쌍의 본체부(10a, 10b) 중 어느 하나가 초기 구동되는 경우, 구동중인 본체부(10a)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를 상기 연동 상태에 있는 나머지 본체부(10b)로 전송한다.
이와 관련하여, 만약 제1 본체부(10a)와 제2 본체부(10b)가 기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하여 상호 연동된 상태일 때, 제1 본체부(10a)를 착용한 제1 사용자가 제1 본체부(10a)의 상단, 하단, 양측단 중 적어도 하나를 가압하는 방식으로 구분 정보, 순서 정보 및 데이터 정보에 기초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게 되면, 생성된 제어신호는 연동 상태에 있는 제2 본체부(10b)를 착용한 제2 사용자에게 전송된다.
이 경우, 제2 사용자는 제1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제2 본체부(10b)의 상단, 하단, 양측단 중 적어도 하나에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데이터에 기초한 진동을 느끼게 됨으로써, 제1 사용자가 전달하는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신발을 이용하여 대화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제1 실시예
여러 안건에 대한 회의를 진행하고자 소정의 실내 공간(예. 회의실)에 다수의 인원이 모여 있을 때, 회의 참석자 중 과반수 이상의 인원이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신발을 착용하고 있는 경우, 복수의 신발 착용자 중에서 제1 사용자가 본체부(10)의 제1 영역(A1)을 가압하여 본체부(10)를 초기 구동한다면, 상기 제1 사용자가 발신자로서 순서 정보 및 데이터 정보를 발신하는 역할을 맡게 되고, 상기 복수의 신발 착용자 중 상기 제1 사용자를 제외한 나머지 신발 착용자들은 모두 수신자로서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이때, 회의 중인 안건이 총 5개이고 각 안건별로 답변이 5지선다의 객관식 형태로 사전에 제시되어 회의 참석자들은 답변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회의가 진행되는 방식이라고 가정할 때, 만약 상기 제1 사용자가 '3번째' 안건에 대한 답변을 '2번'으로 하여 다수결로 결정되도록 유도하고자 한다면, 상기 제1 사용자는 착용 중인 본체부(10)의 제1 영역(A1)을 가압하여 제1 구분 신호(Si_1)를 생성하고 제2 영역(A2)을 3회 연달아 가압하여 '3번째'에 해당하는 카운트 데이터(Sc)를 생성한 다음, 제1 영역(A1)을 다시 가압하여 제2 구분 신호(Si_2)를 생성하고 제3 영역(A3)을 가압하여 '입력값 2'에 해당하는 데이터 정보(Sd)를 생성한 후, 최종적으로 제1 구분 신호(Si_1), 카운트 데이터(Sc), 제2 구분 신호(Si_2) 및 데이터 정보(Sd)를 각각 생성된 순서대로 배열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이후, 상기 제1 사용자는 생성된 제어신호를 나머지 신발 착용자들의 본체부(10)에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신발 착용자들의 본체부(10)의 제1 영역(A1), 제2 영역(A2) 및 제3 영역(A3)에서 각각 제1 구분 신호(Si_1), 카운트 데이터(Sc), 제2 구분 신호(Si_2) 및 데이터 정보(Sd)에 대응하는 진동이 순차적으로 발생하게 됨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가 전달한 '3번째' 안건에 대한 답변은 '2번'으로 통일하자는 메시지가 동시 다발적으로 전달되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 회의에서 논의 중인 특정 안건에 대한 답변을 어느 하나로 결정하도록 신속하게 유도할 수 있어 다수결로 결정되는 중요 사안에 대한 빠른 의견 통합이 가능하고 특정인에게 유리한 결과를 비밀리에 도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2) 제2 실시예
계급 간 위계 질서를 중시하는 직업군(군인 및 경찰)에서는 상급자가 하급자에게 명령을 하달하는 행정 체계를 고수하는데, 일반적인 상황일 땐 대화를 통해 명령을 전달하면 되나, 직업 특성상 자주 맞닥뜨리게 되는 특수한 상황, 가령, 대화가 곤란한 재난 상황이나 적군과 아군이 뒤섞여 혼선을 이루는 군사 훈련 상황의 경우에는 신속하게 명령을 하달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만약 아군에 속하는 인원들이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신발을 착용하고 있다면, 신발 착용자 중 가장 상급자에 해당하는 제1 사용자가 본체부(10)의 제1 영역(A1)을 가압하여 본체부(10)를 초기 구동하여 발신자로서 순서 정보 및 데이터 정보를 발신하는 역할을 맡고, 상기 제1 사용자를 제외한 나머지 신발 착용자, 즉, 다수의 하급자들은 모두 수신자로서 상기 제1 사용자(상급자)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맡게 되며, 이를 이용한 대화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방식과 다르지 않으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이 경우, 본부로부터 전달된 군사 작전 등 중요 사항에 대한 명령을 상급자가 다수의 하급자에게 무선 통신을 통해 비밀리에 동시 다발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강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으므로, 상술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형상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써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에서 기술된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이러한 다양한 수정 및 변경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전술한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본체부
20: 데이터 생성 모듈
100: 구동부
200: 카운터부
300: 입력 데이터 생성부
310: 제1 입력 데이터 생성부
320: 제2 입력 데이터 생성부
400: 제어부
500: 통신부
20: 데이터 생성 모듈
100: 구동부
200: 카운터부
300: 입력 데이터 생성부
310: 제1 입력 데이터 생성부
320: 제2 입력 데이터 생성부
400: 제어부
500: 통신부
Claims (5)
- 소정 세기의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판이 구비되어 좌측 또는 우측 신발 내부의 바닥면에 각각 장착되되 기설정된 반경 내에서 상호 연동되는 적어도 한 쌍의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단, 하단 및 양측단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가해지는 가압력에 기초하여 순서 정보 및 데이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에 기초한 진동을 해당 영역에 발생시키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신발. - 제1항에 있어서,
연동 상태에 있는 상기 적어도 한 쌍의 본체부 중 어느 하나가 초기 구동되는 경우, 구동중인 본체부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를 상기 연동 상태에 있는 나머지 본체부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신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생성 모듈은,
상기 본체부의 상단 또는 하단 중 어느 하나의 제1 영역에 설치되되, 현재 동작 상태와 상기 제1 영역에 가해지는 가압력에 기초하여 초기 구동 여부를 결정하거나, 혹은 입력 변수를 상기 순서 정보 및 상기 데이터 정보로 구분하여 입력받기 위한 구분 신호를 생성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신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생성 모듈은,
상기 본체부의 상단 또는 하단 중 나머지 하나의 제2 영역에 설치되되, 상기 제2 영역에 가해지는 가압력 및 가압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순서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카운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카운터부;
상기 본체부의 양측단에 해당하는 제3 영역 및 제4 영역에 설치되되, 상기 제3 영역 또는 상기 제4 영역에 가해지는 가압력 및 가압지속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입력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제1 영역, 상기 제2 영역, 상기 제3 영역 및 상기 제4 영역에 각각 상기 구분 신호, 상기 카운트 데이터 및 상기 입력 데이터에 기초한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신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정지 상태일 때 상기 제1 영역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기설정된 최소값 이상이면 초기 구동 개시되되, 초기 구동된 후 상기 제1 영역에 가해지는 가압력의 지속시간이 기설정된 구분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구분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지속시간이 상기 구분기준값 미만이면 현재 입력된 상기 구분 신호, 상기 카운트 데이터 및 상기 입력 데이터를 초기화하는 리셋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신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1690A KR102111943B1 (ko) | 2018-08-07 | 2018-08-07 |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신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1690A KR102111943B1 (ko) | 2018-08-07 | 2018-08-07 |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신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16504A KR20200016504A (ko) | 2020-02-17 |
KR102111943B1 true KR102111943B1 (ko) | 2020-05-18 |
Family
ID=69670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91690A KR102111943B1 (ko) | 2018-08-07 | 2018-08-07 |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신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11943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40135954A1 (en) | 2012-11-13 | 2014-05-15 | John M. Vranish | Balance-assist shoe |
JP2016073306A (ja) | 2015-12-17 | 2016-05-12 | みかど化工株式会社 | 農業用多層マルチフィルム |
KR101757377B1 (ko) | 2016-04-06 | 2017-07-12 | 한국기계연구원 | 정보 전달 기능을 갖는 스마트 신발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75880B1 (ko) | 2000-09-01 | 2003-03-15 | 임석형 | 저주파 마사지 기능을 갖춘 신발 |
KR20160127493A (ko) | 2015-04-27 | 2016-11-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스마트 인솔 |
KR102423494B1 (ko) * | 2016-04-18 | 2022-07-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스마트 신발 시스템 및 스마트 신발 데이터를 처리하는 이동 단말기 |
-
2018
- 2018-08-07 KR KR1020180091690A patent/KR10211194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40135954A1 (en) | 2012-11-13 | 2014-05-15 | John M. Vranish | Balance-assist shoe |
JP2016073306A (ja) | 2015-12-17 | 2016-05-12 | みかど化工株式会社 | 農業用多層マルチフィルム |
KR101757377B1 (ko) | 2016-04-06 | 2017-07-12 | 한국기계연구원 | 정보 전달 기능을 갖는 스마트 신발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16504A (ko) | 2020-02-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30024866A1 (en) | Tactile information supply module | |
KR102697111B1 (ko) | 촉각 메시지 제공 방법 및 촉각 메시지 제공 장치 | |
CN105050929B (zh) | 具有目的地控制系统的电梯分组控制器 | |
US12007749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 |
CN109600699B (zh) | 用于处理服务请求的系统及其中的方法和存储介质 | |
US20160179075A1 (en) | Wearable apparatus, management server, management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
CN114762388B (zh) | 清除单个pdu传输和侧链路资源分配的侧链路许可的一部分 | |
CN102298363A (zh) | 简单节点式运输系统的控制方法与装置 | |
CN103930851A (zh) | 信息处理设备和方法 | |
CN105731198A (zh) | 电梯群目的楼预登录系统及方法 | |
CN107708938A (zh) | 一种云机器人系统、机器人及机器人云平台 | |
KR102111943B1 (ko) |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신발 | |
EP2936067A2 (en) | Method and system for patterning elements having two states | |
Sfikas et al. | Creating a Smart Room using an IoT approach | |
CN107962574A (zh) | 一种可自动使用电梯的机器人系统及方法 | |
CN109919342A (zh) | 会议室预定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设备 | |
CN106535149A (zh) | 终端自动呼叫转移方法与系统 | |
JP2007160473A (ja) | ロボットにおける対話相手識別方法およびロボット | |
CN108764405A (zh) | 一种确定用户所处区域的系统及方法 | |
WO2015184701A1 (zh) | 单呼即通实况通信终端、方法及工具 | |
CN109405193A (zh) | 空调系统及其遥控器配对方法 | |
JP6543891B2 (ja) | コミュニケーション補助装置、コミュニケーション補助システム、コミュニケーション補助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CN103581603A (zh) | 一种多媒体数据的传输方法及电子设备 | |
US10002502B2 (en) |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signal localization and differentiation | |
CN105430018B (zh) | 一种数据处理方法、控制设备及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