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1756B1 - 항균처리된 일회용 조립식 구급용 들것 - Google Patents

항균처리된 일회용 조립식 구급용 들것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1756B1
KR102111756B1 KR1020190020899A KR20190020899A KR102111756B1 KR 102111756 B1 KR102111756 B1 KR 102111756B1 KR 1020190020899 A KR1020190020899 A KR 1020190020899A KR 20190020899 A KR20190020899 A KR 20190020899A KR 102111756 B1 KR102111756 B1 KR 102111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tcher
plate
antibacterial
sides
corrugated card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0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용
Original Assignee
김진용
주식회사 에너지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용, 주식회사 에너지아이 filed Critical 김진용
Priority to KR1020190020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17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1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1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13Stretchers foldable or collapsi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e.g. head-, foot-, or like rests specially adapted for stretchers
    • A61G1/044Straps, bands 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e.g. head-, foot-, or like rests specially adapted for stretchers
    • A61G1/048Hand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2201/128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균처리된 일회용 조립식 구급용 들것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람을 눕힌 상태로 들어 옮길 수 있도록 신체의 하중을 견디기 위해 적어도 2개의 골판지를 적층한 들것 플레이트; 상기 들것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에서 3면으로 꺽여 연장 형성되고, 제1면이 삼각형의 밑면을 형성하고 제2면과 제3면은 삼각형의 양변을 형성하는 삼각 지관; 상기 들것 플레이트의 상기 길이 방향의 양측부에서 내부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삼각 지관의 제1면과 복수개 접착되는 연결 밴드; 상기 들것 플레이트 상기 양측부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연결 밴드와 접착되는 들것 손잡이판; 상기 들것 손잡이판의 표면의 일정 부분에 일련하여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손을 끼울 수 있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를 잡아 당기면서 동시에 연결 밴드를 위로 올리면 상기 연결 밴드에 연결된 제1면이 들것 플레이트의 최외각 방향으로 밀려가면서 상기 제2면과 제3면이 세워져 삼각형 형상의 지관을 형성하는 항균처리된 일회용 조립식 구급용 들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항균처리된 일회용 조립식 구급용 들것{Antibacterial disposable prefabricated stretcher}
본 발명은 항균처리된 일회용 조립식 구급용 들것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람을 눕힌 상태로 들어 옮길 수 있도록 신체의 하중을 견디기 위해 적어도 2개의 골판지를 적층한 들것 플레이트; 상기 들것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에서 3면으로 꺽여 연장 형성되고, 제1면이 삼각형의 밑면을 형성하고 제2면과 제3면은 삼각형의 양변을 형성하는 삼각 지관; 상기 들것 플레이트의 상기 길이 방향의 양측부에서 내부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삼각 지관의 제1면과 복수개 접착되는 연결 밴드; 상기 들것 플레이트 상기 양측부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연결 밴드와 접착되는 들것 손잡이판; 상기 들것 손잡이판의 표면의 일정 부분에 일련하여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손을 끼울 수 있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를 잡아 당기면서 동시에 연결 밴드를 위로 올리면 상기 연결 밴드에 연결된 제1면이 들것 플레이트의 최외각 방향으로 밀려가면서 상기 제2면과 제3면이 세워져 삼각형 형상의 지관을 형성하는 항균처리된 일회용 조립식 구급용 들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최초 수요와 개발 제안을 한 기관은 서울의 모 대학 병원이다.
서울의 모 대학 병원의 경우 주차난이 매우 심각한 수준으로 일반인들 병원 방문객들은 빼고 24시간 거의 1백여 대 이상 구급차가 오갈 때가 많다.
구급차에서 위중한 환자의 경우 목부목과 들것에 환자들이 이송된다. 응급센터에 이송 후 바로 구급차 상비용인 들것과 목부목을 회수하지 않으면 환자가 기본 검사 마칠 때까지 기다려야 하며 약 30분 ~ 40분 동안 응급센터 앞에 대기하고 있어야 하는 큰 문제가 발생한다.
이때 다른 구급차들이 환자이송을 위해 들어오면 앞에 들어온 구급차는 비좁은 구급차 주차장에서 빨리 나가야 되는 구급차 정체 문제도 발생 되었다.
더 중요한 문제는 응급환자가 응급센터에 들어온 후 구급차 상비용인 목부목과 들것을 회수하기 위해 응급실 침대로 옮기는 중간에 환자가 2차 부상이 발생할 소지가 매우 높다는 것이다.
그래서 응급실 원칙은 이송된 상태에서 의사가 진료와 검사지시가 있을 때 까지는 이송된 상태 그대로 있어야 하는 게 원칙이다.
또한 이러한 구급차 운영상황에서 구급차 안의 심각한 오염문제로 이송환자의 2차 감염방지 등과 같은 구급차의 오염은 어쩔 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국민건강 불안요소를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구급차 또는 지자체에 일회용으로 비치할 수 있고 국가 대규모 재해 재난과 민방위 대비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항균처리된 일회용 목부목과 들것"을 만들어 보급할 필요가 발생하였다.
한편 종래 발명인 한국등록특허 제1468170호의 환자 배치 플레이트는, 상기 보조 플레이트와 나란한 방향을 따라 마련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환자 배치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환자를 외부로 이동시키는 환자 이동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 이동 롤러는, 상기 환자의 이동 시 상기 환자를 지지하는 동시에 회전 가능한 회전봉과, 상기 회전봉의 표면을 감싸 상기 회전봉으로부터 상기 환자의 신체를 보호하는 커버쿠션을 포함하며, 상기 환자 이동 롤러의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가상적으로 구분되는 상기 환자 이동 롤러의 일부는 상기 환자 배치 플레이트에 수용되며, 다른 일부는 상기 환자 배치 플레이트의 외부 표면보다 돌출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환자 이동 롤러, 회전봉 등이 필요한 이유가 다른 침대로의 빠른 환자의 이동인 데 옮기는 중간에 환자가 2차 부상이 발생할 소지가 매우 높다.
또한 한국등록실용 제0457630호는 들것을 구급차의 들것 안착부에 안착할 때 슬라이딩 방식으로 안내하도록 중앙 연장봉의 표면에 설치된 가이드 바퀴와, 들것을 안착할 때 스토퍼가 고정수단에 안정적으로 삽입되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스토퍼의 일측에 설치된 안내 바퀴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 발명은 복잡한 구조는 물론이고, 구급차가 응급센터에서 회수가 필요하여 대기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미국등록특허 제7337484호 미국등록특허 제6244270호 미국등록특허 제622720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1회용으로 골판지로 이루어진 구급용 들것으로 구급차 환자이송 및 국가 재해 재난과 민방위 훈련 대비시 사용되고, 응급환자들의 2차 감염과 부상의 위험을 낮춰 국민의 의료의 질 향상과 공공의 목적에 이바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들것 플레이트의 가로 보강부재(조립식 삼각 지관) 및 세로 보강부재(ㄷ"자형 보강재)에 의해 견고하게 보강 지지되어 골판지 간의 결합력과 지지력이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항균처리된 일회용 조립식 구급용 들것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람을 눕힌 상태로 들어 옮길 수 있도록 신체의 하중을 견디기 위해 적어도 2개의 골판지를 적층한 들것 플레이트; 상기 들것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에서 3면으로 꺽여 연장 형성되고, 제1면이 삼각형의 밑면을 형성하고 제2면과 제3면은 삼각형의 양변을 형성하는 삼각 지관; 상기 들것 플레이트의 상기 길이 방향의 양측부에서 내부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삼각 지관의 제1면과 복수개 접착되는 연결 밴드; 상기 들것 플레이트 상기 양측부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연결 밴드와 접착되는 들것 손잡이판; 상기 들것 손잡이판의 표면의 일정 부분에 일련하여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손을 끼울 수 있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를 잡아 당기면서 동시에 연결 밴드를 위로 올리면 상기 연결 밴드에 연결된 제1면이 들것 플레이트의 최외각 방향으로 밀려가면서 상기 제2면과 제3면이 세워져 삼각형 형상의 지관을 형성한다.
상기 들것 손잡이판의 내부에는 지지판이 더 형성된다.
상기 조립형 삼각 지관과 하측 플레이트는 양면 테이프를 사이에 두고, 하측 플레이트와 닿는 면은 비닐층을 벗기지 않은 채 점착되고, 조립형 삼각 지관과 닿는 면은 비닐층을 벗겨 연결 밴드와 점착된다.
상기 들것 플레이트의 양단부에서 "ㄷ"자형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들것 플레이트 하측 방향으로 접혀 끼워져 지지력을 보강시키는 "ㄷ"자형 보강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연결 밴드의 하측부와 상기 삼각 지관의 제1면을 접착하는 접착층; 및 상기 들것 플레이트의 하측부에 상기 삼각 지관의 제1면과 점착되어, 상기 제1면이 상기 연결 밴드에 의해 당겨지면 상기 연결 밴드의 상측부 일단에 묻어 있던 점착액과 상기 들것 플레이트의 하측부가 서로 이탈되도록 하는 점착층;을 더 포함한다.
상기 항균 골판지의 하측부에 밀착되면서 상기 연결 밴드가 결합된다.
상기 신체 중 머리를 고정하기 위한 머리 보호틀;을 더 포함하여, 상기 들것 플레이트에 상기 머리 보호틀의 저면을 벨크로 밴드 또는 접착테이프 방식으로 조립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골판지를 이용하여 1회용 저가로 보급이 가능하면서 종이 재질이지만 환자 몸무게를 130kg 까지 지지할 수 있는 내구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은 소독이 필요 없는 향균성 제품이며, 구급차가 응급센터에서 목부목 및 들것의 회수가 필요 없는 일회용이기 때문에 대기시간 없이 바로 다른 환자를 위해 출동 가능하여 구급차 활용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조립식 삼각 지관과 보강재를 추가하여 보관성이 뛰어나고, 경량화를 이룰 수 있음은 물론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골판지의 항균작용은 미생물의 구조를 파괴하거나 주요 대사를 저해함으로써 미생물의 작용을 억제하여 이송환자의 다중 이송시설인 구급차에서 2차 감염을 최소화할 수 있어 운반에 인명 구조용으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3중 합성 골판지는 내수성과 방습 기능이 강하여 운송 도중 일어나는 환경변화로부터 환자를 완벽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1회용 항균 제품으로서 병원, 구급차, 학교 및 각종 산업현장 등에서 환자의 구급을 위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문제점 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들것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균처리된 일회용 조립식 구급용 들것이 압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 등이 펼쳐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균처리된 일회용 조립식 구급용 들것의 지관의 조립되기 바로 전 상황을 자세히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균처리된 일회용 조립식 구급용 들것의 손잡이의 양면 테이프가 떨어지면서 이동하는 순간을 자세히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균처리된 일회용 조립식 구급용 들것의 손잡이의 조립이 완료된 순간을 자세히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균처리된 일회용 조립식 구급용 들것의 손잡이의 조립 과정을 전체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균처리된 일회용 조립식 구급용 들것의 "ㄷ"자형 보강재가 꺽여서 결합되기 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균처리된 일회용 조립식 구급용 들것의 "ㄷ"자형 보강재 등을 더 자세히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균처리된 일회용 조립식 구급용 들것의 점착층과 접착층을 실시예를 나누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연결 밴드를 당겼을 때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판지는 기본적으로 생분해성으로 친환경적인 제품으로 여기에 항균처리(예 : 유기복합체 항균제)된 골판지를 사용해서 항균처리된 일회용 조립식 구급용 들것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3D 디자인 시뮬레이션을 최대한 활용하여 골판지가 130kg까지 지지하면서 특히 환자의 허리 부분에 대한 보강을 위해 설계가 필요하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측 플레이트(5), 들것 플레이트(10), 삼각 지관(11, 12, 13), 연결 밴드(21), 들것 손잡이판(22), 손잡이부(24) 등으로 구성된다. 추가적으로 머리보호대(50)와 밴드(55)가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m2당 골판지수직압력 167kg 이하의 구조이고, 골판지 종류는 크라프트지, 환자 체중은 160kg 까지 지지하고, 들것의 무게는 3.5kg 이하이고, 형태는 높이 16cm x 가로 40cm x 세로 180cm이다.
여기에서 1m2당 골판지수직압력 구조는 판지의 변형까지 포함한 무게 환산 수치이다.
들것 플레이트(10)는 골심지가 조밀하게 구성된 항균 3중 합성 골판지로 이루어지고 사람을 눕힌 상태로 들어 옮길 수 있도록 신체의 하중을 견디기 위해 적어도 2개의 3중 합성 골판지를 적층한 플레이트로서, 평균 신장의 환자가 누울 수 있는 40cm(폭 방향) x 182cm(길이 방향) 면적으로 제조된다.
상기 들것 플레이트(10)의 너비 보다 하측 플레이트(5)의 폭이 좁아 양측단에 조립형 삼각 지관(11, 12, 13)이 걸려 고정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한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 지관(11, 12, 13)은 상기 들것 플레이트(10)의 길이 방향으로 적층된 골판지의 양옆에 삼각형으로 조립되는 강도와 지지력을 증가시키는 지관이다. 이렇게 조립형인 삼각 지관(11, 12, 13)을 사용하면 조립되지 않은 상태로 부피가 줄어 수납하기 편리하고 조립 후에는 지관의 외경이 커져 지관의 강도가 향상되고 구조적 강성 저하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처음에 들것 손잡이판(22)과 조립형 삼각 지관(11, 12, 13)이 들것 플레이트(10) 중심으로 각각 상하측에서 접혀진 상태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접혀진 상태로 제공될 경우 조립식 삼각 지관(11, 12, 13)으로 이루어진 구급용 들것을 최대한 적재할 수 있어 적재 공간을 여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만일 응급 상황이 발생하여 환자를 옮겨야 할 경우 접혀진 조립식 삼각 지관(11, 12, 13)으로 이루어진 구급용 들것을 적재 공간에서 빼낸 후 평평한 바닥에 놓고 들것 손잡이판(22)을 펴서 수직으로 세운다.
그리고 상기 들것 손잡이판(22)을 상측 방향으로 잡아 당겨 조립형 삼각 지관(11, 12, 13)과 하측 플레이트(5)의 점착면(도 5와 도 6의 A면)이 밀려 가면서 이탈하도록 한다.
이때, 조립형 삼각 지관(11, 12, 13)과 하측 플레이트(5)는 양면 테이프를 사이에 두고 하측 플레이트(5)와 닿는 면은 박리지를 벗기지 않은 채 점착되고, 조립형 삼각 지관(11, 12, 13)과 닿는 면은 박리지를 벗겨 점착시킨다.
따라서 들것 손잡이판(22)을 상측 방향으로 잡아 당길 경우 박리지를 벗기지 않은 채 점착된 하측 플레이트(5)와 닿는 면은 수평으로 밀리면서 하측 플레이트(5)의 양측면에 확보된 공간(들것 플레이트와 이보다 작은 폭을 갖는 하측 플레이트에 의해 만들어지는 공간)으로 밀려 가면서 상기 하측 플레이트(5)와 닿는 면에는 비닐층이 남게 되고, 비닐층이 벗겨진 점착면은 상기 들것 플레이트(10)와 하측 플레이트(5)가 접착되면서 형성한 공간으로 끼어 들어가게 된다.
이렇게 조립되면 상기 조립형 삼각 지관(11, 12, 13)의 제1면(11)이 삼각형의 밑면을 형성하고 제2면(12)과 제3면(13)은 삼각형의 양변을 형성하여 일정한 강도의 삼각 지관 모양을 형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점착면이 없이 실시될 수도 있는 데, 항균 골판지로 이루어지고 사람을 눕힌 상태로 들어 옮길 수 있도록 신체의 하중을 견디기 위해 적어도 2개의 골판지를 적층한 들것 플레이트(10), 상기 들것 플레이트(10)의 길이 방향에서 3면으로 꺽여 연장 형성되고, 제1면(11)이 삼각형의 밑면을 형성하고 제2면(12)과 제3면(13)은 삼각형의 양변을 형성하는 삼각 지관(11, 12, 13), 상기 들것 플레이트(10)의 양측부에서 내부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삼각 지관(11, 12, 13)의 제1면과 복수개 접착되는 연결 밴드(21), 항균 골판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들것 플레이트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며, 상기 연결 밴드(21)와 접착되는 들것 손잡이판(22), 상기 들것 손잡이판(22)의 표면의 일정 부분에 일련하여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손을 끼울 수 있는 손잡이부(24)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24)를 잡아 당겨 연결 밴드(21)를 상측부로 올리면 상기 제1면이 들것 플레이트(10)의 최외각 방향으로 밀려와서 상기 제2면과 제3면이 세워져 삼각형을 형성한다.
여기에 접착층(51-1, 51-2, 51-3)과 점착층(53)과 비닐층(52-1, 52-2)을 추가할 수 있는 데, 예를 들어 상기 연결 밴드의 하측부와 상기 삼각 지관의 제1면을 접착하는 접착층, 상기 들것 플레이트의 하측부에 상기 삼각 지관의 제1면과 점착되어, 상기 제1면이 상기 연결 밴드에 의해 당겨지면 상기 연결 밴드의 상측부 일단에 묻어 있던 점착액과 상기 들것 플레이트의 하측부가 서로 이탈되도록 하는 점착층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밴드(21)는 상기 들것 플레이트(10)의 양측부에 마주하는 방향으로 복수개 접착되는 밴드이며, 접착제는 환자의 체중 허용량인 160kg을 충분히 견딜 정도의 접착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들것 손잡이판(22)은 항균 3중 합성 골판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들것 플레이트(10)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며, 상기 연결 밴드(21)와 접착되는 3중 합성 골판지로서 손잡이부(24)가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 들것 손잡이판(22)의 내부에는 지지판(25)이 더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25)은 상기 들것 손잡이판(22)의 상측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손잡이부(24)를 관통한 손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배치된다.
상기 손잡이부(24)는 상기 들것 손잡이판(22)의 표면의 일정 부분에 일련하여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손을 그 관통부에 끼울 수 있다.
본 발명의 들것 자체 무게는 3.6kg 미만이고, 3중 합성 골판지 재질은 생분해성, 재활용 재생용이고, 몸고정 방식은 (고정부를 관통하는) 벨크로 밴드 또는 천 매듭방식 등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상기 들것 플레이트의 바닥에 관통된 일자 형태의 고정부(12)를 형성하고, 상기 신체를 고정하기 위한 횡방향 벨크로 밴드(40)들을 상기 고정부(12)에 고정한다.
상기 벨크로 밴드(40)는 수평압력 10㎠ 당 50kg 이상이고, 사이즈(암)는 넓이 5cm x 65cm x 3개, 사이즈(수)는 넓이 5cm x 30cm x 3개, 머리고정틀에는 넓이 5cm x 50cm x 1개, 턱고정틀에는 넓이 5cm x 40cm x 1개가 사용된다.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벨크로 밴드의 힘은 수평압력 10㎠ 당 50kg 이상 제품을 사용하고, 몸을 고정하는 벨크로 밴드의 경우 암수 중에서 암이 넓이 5cm에 길이 65cm로 제작하여 밴드형태로 만들고 수의 경우 넓이 5cm에 길이 30cm로 보드에 부착된 상태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3중 합성 골판지가 130kg까지 지지하기 위해서는 특히 환자의 허리부분에 대한 보강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골판지의 종류로는 3중 양면 골판지를 이용하여 환자 체중이 130kg까지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한다.
본 발명에 따라 1m2당 골판지 수직압력 167kg 이하의 골판지 구조를 가지되 골판지의 변형까지 고려하여 단일이 아닌 복합적으로 중첩하거나 합지한 3중 합성 골판지를 사용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사용할 수 있는 양면골판지(SW)는 편면 골판지의 양면에 라이너 원지를 접합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포장 상자용 원단이다.
본 발명의 양면골판지를 사용한 일실시예로서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체 중 머리를 고정하기 위한 머리 보호틀(50) 및 머리 밴드(55)를 포함하며, 상기 들것 플레이트에 벨크로 및 접착테이프 방식으로 조립한다.
상기 머리 보호틀(50)은 골판지로 양면 골판지를 사용하고 수직압력도는 관계없으며, 크라프트지 등을 사용하여 전체 무게를 500g 이하로 맞춘다.
상기 머리 보호틀(50)은 높이 16cm x 가로 20cm x 세로 40cm로 하고, 표면 항균 처리한다.
머리 보호틀(50)은 몸을 지탱하는 들것 플레이트(10)의 상단부에 벨크로 밴드 또는 접착테이프 방식으로 탈부착할 수 있게 제작한다.
머리 보호틀(50)은 기본적으로 현장에 출동 시 빠른 시간 안에 조립이 가능해야 하며, 높이 16cm x 가로 20cm x 세로 40cm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가운데에 환자의 머리가 고정되고 상단부와 턱부분은 벨크로 밴드를 통해 머리를 고정하고, 항균처리는 유기복합제를 사용하여 컴프레셔를 통한 살포방식으로 코팅하여 항균처리한다.
이중양면골판지(DW)는 양면 골판지의 한쪽에 면을 밖으로 한 편면골판지를 접합한 것으로 중량 또는 내용품 손상이 쉬운 물품 포장 상자용으로 사용된다.
그런데 삼중골판지는 이중양면 골판지에 면을 밖으로 한 편면골판지를 접합한 것으로 초중량물의 운송 포장용으로도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양면 골판지 보다 삼중골판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3중 합성 골판지는 편면과 양면을 필요한 사양에 따라 3개층으로 합성 제조한 골판지이다.
합성 골심지로는 골이 생긴 형상에 따라 나뉘는 A골(4.6~4.8mm), B골(2.5~2.8mm), C골(3.5~3.8mm) 등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3중 합성 골판지는 3종류의 골을 여러 방법으로 짜맞추어 만들더라도 이중양면골판지 보다도 더욱 강한 구조체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여러 골을 갖는 3중 합성 골판지는 내수성과 방습 기능이 강하여 운송 도중 일어나는 환경변화로부터 환자를 완벽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중 합성 골판지의 허니콤 구조는 구조역학적 복합 샌드위치 구조체로서 사용하는 소재인 라이너와 골심지의 물성과 이것을 접착가공해서 생산하는 골판지 제조기술에 의하여 결정된다.
이러한 3중 합성 골판지의 골 형상(flute profile)은 파형(wave)의 곡면모양으로서 역 방향으로 교차하여 결합하고 있으며, 골 꼭대기(flute tip)에 접착제 등의 가공처리시 형상 및 재질 등에 대하여 복잡한 변화가 생길 수 있지만 골판지가 구조체로서의 역학적 강도를 발휘하는 것은 원지의 품질과 싱글페이서(single facer)에서의 정확한 골 성형 및 접착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3중 합성 골판지의 강도특성으로 평면압축강도 및 수직압축강도가 중요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3중 합성 골판지의 평면압축강도(flat crush strength)는 구조체로서의 골판지의 단단함(hardness)을 나타내고, 골심지의 강도나 골 성형의 좋고 나쁨, 골의 찌부러짐 등에 좌우되며, 최종적으로 압축강도에도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3중 합성 골판지의 평면압축강도는 수직압축강도와도 연관성이 있으며, 평면압축강도가 낮으면 압축 하중에 의해 골이 찌부러져 골판지의 두께손실이 발생하고 상자의 압축강도도 저하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3중 합성 골판지의 수직압축강도(edgewise crush strength)는 골판지를 수직으로 골판지의 벽면이 좌굴할 때의 최대 하중을 말하고 링크러시 강도(RCT)나 골판지 상자의 압축강도(BCT)와 상관되고 있는데, 본 발명의 3중 합성 골판지의 압축강도와 가장 상관성이 큰 물성이다. 상기 3중 합성 골판지의 가공은 레이저를 이용해서 커팅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항균 3중 합성 골판지는 항균 실험을 통해 엄격하게 관리되며, 환자들에게 감염 위험성을 최소화한다.
이러한 항균제(항미생물제)는 미생물의 생장이나 생존을 억제하는 천연화합물 혹은 합성화합물을 의미한다.
상기 항균제는 미생물의 생장이나 생존을 억제하는 천연화합물 혹은 합성화합물로서, 주로 1 mg/ml 이하의 농도에서 작용하는 저분자(통상적으로 5 kDa 이하)화합물이다.
보통 항균제의 항균활성은 항균범위(antimicrobial spectrum)와 항균효능(antimicrobial efficacy)으로 평가한다.
본 발명의 항균제의 사용 목적은 미생물의 구조를 파괴하거나 주요 대사를 저해함으로써 미생물의 작용을 억제하는 데 있다.
이러한 항균범위는 항균활성이 나타나는 표적 미생물군이 얼마나 다양한지를, 항균효능은 표적 미생물에 대해 얼마나 적은 양으로 항균활성을 보이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항균제를 작용대상에 따라 항세균제(antibacterials), 항진균제(antifungals), 항원충제(antiprotozoals), 또는 항바이러스제(antivirals)로 구분하고 각각의 범주 내에서 항균범위를 정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되는 항균제는 표적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의 양상에 따라 정균형(static), 살균형(cidal), 용균형(lytic)으로 구분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사용되는 유기계 기존 방곰팡이제(Monomer)가 여러가지 복합되어있는 폴리머(Polymer) 세균과 곰팡이균의 세포벽만을 파괴하여 단백질과 DNA, SH 기 등의 합성을 저해, 균류에 대해 저지능력을 발휘시키고, 합성을 저해 당한 균은 동종균에 위험신호를 전달하여 동 종류는 유기복합체에 다가오지 않게 되고(기피효과) 균의 생육에 필요한 영양분 등을 공급받지 못해 결국 사멸된다.
즉 본 발명은 항균성 시험에서 황색포도상구균, 대장균, MRSA, 살모넬라균의 항균 효과가 99.99% 이상이다.
이 외에도 무독성시험, 중금속시험, 피부자극성 시험 등을 통해 항균제의 성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중 합성 골판지의 항균처리를 하는 방법은 살포 건조방식으로 항균제에 바인더 성분이 들어간 것을 선정하고 코팅하여 항균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3중 합성 골판지 제조시 교반 과정에 항균제를 투입할 수도 있다.
종래에는 항균제 성분이 밀착성분 즉 바인더 성분이 없어 빨리 사라지는 항균제를 사용해 왔지만 본 발명은 나노 단위 미립자로 바인더 기능이 포함된 항균제를 살포하여 코팅하는 방식을 적용하여 오랜 기간 부착상태를 유지하는 항균제를 사용한다.
한편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들것 플레이트(10)의 양단부(도 2의 A, B)에서 "ㄷ"자형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들것 플레이트 하측 방향으로 접혀 끼워져 지지력을 보강시키는 "ㄷ"자형 보강재(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ㄷ"자형 보강재(17)는 상기 들것 플레이트(10)의 양단부에서 날개처럼 연장되어 도 2의 A, B 부분을 감싸듯이 하측 방향으로 굽어지는 데, 상술한 가로 보강부재(조립식 삼각 지관)와 더불어 세로 보강부재(ㄷ"자형 보강재)의 역할을 하여, 들것 플레이트(10)를 견고하게 보강 지지하기 위한 3중 합성 골판지 간의 결합력과 지지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점착층(53)과 제2 접착층(54) 사이에 연결 밴드(21)를 위치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접착층(51)으로 하측 플레이트(5)와 비닐층(52)이 결합되고 연결 밴드(21)와 점착층(53)을 사이에 두고 결합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점착층(53) 아래에 제2 비닐층(52-2)을 두고 연결 밴드(21)와 제2 접착층(51-2)으로 접착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밴드(21)를 잡아 당기는 힘에 의해 점착층(52, 53)이 들것 플레이트(10)와 점착되면서 삼각 지관(11, 12, 13)의 제1면(11)이 하측 플레이트(5)와 수평 라인에 맞춰 고정되게 된다.
이때 점착층(51, 52, 53, 54)과 연결 밴드(21) 등의 용이한 박리를 위해 끝단을 결합시킬 수도 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보면 구급차 1대당 연평균 1천234명(지난 2014년 1천235명, 2015년 1천261명, 2016년 1천238명, 2017년 1천202명)의 환자를 이송하는 것으로 분석됐는데 이는 전국 1일 구급차 한 대당 3.4회, 서울지역 6.1회로 환자를 이송한다.
서울의 모 대학 병원은 사전에 본 발명 관련 기술개발을 제안한 상태로 선행연구개발이 진행되었고 완료되면 시험 테스트를 진행하겠다고 의향을 줬으며, 서울대에서 사용하면 국내 모든 병원에서 사용이 가능한 영업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서울의 모 대학 병원이 내부적으로 본 제품의 사용이 필요한 이유는 2018년 외국인들이 이용하는 의료기관 등급 중에서 높은 등급으로의 판정이 필요한데 의료서비스 질에 대한 차원에서 본 제품의 사용도 등급판정에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된다는 연유로 제품 판매가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구급차용으로 이미 대학 병원과 사전에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는 바 구급차에 사용하는 일회용으로 판매한다면 수요는 1일 500개씩 사용을 1차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기타 보건소, 질병관리본부, 각 소방서, 의사협회, 국군의무사령부 등 구급차 관련 직사용 기관에 본 제품의 특장점을 시각화하여 영업을 진행하고자 한다.
또한 고객 만족을 통한 신뢰구축을 위한 사용 현장 중심적인 제품화는 지속적인 사용으로 바뀔 것으로 판단되는데 고객을 위한 세밀한 부분에 대해서도 영업의 포인트를 축출하여 판로를 개척할 수 있다.
본 제품은 국내 최초로 초기에 브랜드 이미지를 제고하여 3중 합성 골판지를 통한 일회용 및 재해 재난대비 제품 판매업체라는 인식을 심어주고 브랜드에 충성도를 높일 계획이다.
10 : 들것 플레이트
11, 12, 13 : 삼각 지관
17 : "ㄷ"자형 보강재
21 : 연결 밴드
22 : 들것 손잡이판
24 : 손잡이부
40 : 횡방향 벨크로 밴드
50 : 머리 보호틀
51-1 : 제1 접착층
51-2 : 제2 접착층
51-3 : 제3 접착층
52-1 : 제1 비닐층
52-2 : 제2 비닐층
53 : 점착층
55 : 머리 밴드

Claims (7)

  1. 사람을 눕힌 상태로 들어 옮길 수 있도록 신체의 하중을 견디기 위해 적어도 2개의 항균 골판지를 적층한 들것 플레이트;
    상기 들것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에서 3면으로 꺽여 연장 형성되고, 제1면이 삼각형의 밑면을 형성하고 제2면과 제3면은 삼각형의 양변을 형성하는 삼각 지관;
    상기 들것 플레이트의 상기 길이 방향의 양측부에서 내부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삼각 지관의 제1면과 복수개 접착되는 연결 밴드;
    상기 들것 플레이트 상기 양측부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연결 밴드와 접착되는 들것 손잡이판;
    상기 들것 손잡이판의 표면의 일정 부분에 일련하여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손을 끼울 수 있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를 잡아 당기면서 동시에 연결 밴드를 위로 올리면 상기 연결 밴드에 연결된 제1면이 들것 플레이트의 최외각 방향으로 밀려가면서 상기 제2면과 제3면이 세워져 삼각형 형상의 지관을 형성하는 항균처리된 일회용 조립식 구급용 들것.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들것 손잡이판의 내부에는 지지판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처리된 일회용 조립식 구급용 들것.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 지관과 하측 플레이트는 양면 테이프를 사이에 두고, 하측 플레이트와 닿는 면은 비닐층을 벗기지 않은 채 점착되고, 삼각 지관과 닿는 면은 비닐층을 벗겨 연결 밴드와 점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처리된 일회용 조립식 구급용 들것.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들것 플레이트의 양단부에서 "ㄷ"자형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들것 플레이트 하측 방향으로 접혀 끼워져 지지력을 보강시키는 "ㄷ"자형 보강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처리된 일회용 조립식 구급용 들것.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밴드의 하측부와 상기 삼각 지관의 제1면을 접착하는 접착층; 및
    상기 들것 플레이트의 하측부에 상기 삼각 지관의 제1면과 점착되어, 상기 제1면이 상기 연결 밴드에 의해 당겨지면 상기 연결 밴드의 상측부 일단에 묻어 있던 점착액과 상기 들것 플레이트의 하측부가 서로 이탈되도록 하는 점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처리된 일회용 조립식 구급용 들것.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골판지의 하측부에 밀착되면서 상기 연결 밴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처리된 일회용 조립식 구급용 들것.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중 머리를 고정하기 위한 머리 보호틀;을 더 포함하여, 상기 들것 플레이트에 상기 머리 보호틀의 저면을 벨크로 밴드 또는 접착테이프 방식으로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처리된 일회용 조립식 구급용 들것.
KR1020190020899A 2019-02-22 2019-02-22 항균처리된 일회용 조립식 구급용 들것 KR102111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899A KR102111756B1 (ko) 2019-02-22 2019-02-22 항균처리된 일회용 조립식 구급용 들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899A KR102111756B1 (ko) 2019-02-22 2019-02-22 항균처리된 일회용 조립식 구급용 들것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1756B1 true KR102111756B1 (ko) 2020-05-15

Family

ID=70678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0899A KR102111756B1 (ko) 2019-02-22 2019-02-22 항균처리된 일회용 조립식 구급용 들것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175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6037A (ja) * 1998-12-18 2000-06-27 Tokai Riken Kk 緊急用具収納箱
US6227201B1 (en) 1999-11-05 2001-05-08 Ferko, Iii Joseph G. Immobilization backboard and blank for forming a backboard
US6244270B1 (en) 1999-05-17 2001-06-12 Bremen Corporation Head immobilizer apparatus for use with a spine board
JP2002345894A (ja) * 2001-05-28 2002-12-03 Itochu Corp 担 架
US7337484B2 (en) 2005-04-14 2008-03-04 Vandor Corporation Disposable body board
JP2010279640A (ja) * 2009-06-08 2010-12-16 Kawakami Sangyo Co Ltd 簡易担架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066416A (ja) * 2013-09-28 2015-04-13 孝典 福元 緊急避難用簡易担架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6037A (ja) * 1998-12-18 2000-06-27 Tokai Riken Kk 緊急用具収納箱
US6244270B1 (en) 1999-05-17 2001-06-12 Bremen Corporation Head immobilizer apparatus for use with a spine board
US6227201B1 (en) 1999-11-05 2001-05-08 Ferko, Iii Joseph G. Immobilization backboard and blank for forming a backboard
JP2002345894A (ja) * 2001-05-28 2002-12-03 Itochu Corp 担 架
US7337484B2 (en) 2005-04-14 2008-03-04 Vandor Corporation Disposable body board
JP2010279640A (ja) * 2009-06-08 2010-12-16 Kawakami Sangyo Co Ltd 簡易担架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066416A (ja) * 2013-09-28 2015-04-13 孝典 福元 緊急避難用簡易担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51679A1 (en) Subway evacuation mattress and method of manufacture
CA2680167C (en) Disposable transporter
US20130276235A1 (en) Roll up evacuation mattress
AU2007256627A1 (en) Evacuation sled and temporary surge capacity bed
KR102132735B1 (ko) 항균 골판지 보드로 이루어진 일회용 조립식 구급용 들것
KR102111756B1 (ko) 항균처리된 일회용 조립식 구급용 들것
US20050241648A1 (en) Patient privacy screen
CN102858282A (zh) 用于固定关节的夹板
US10932963B2 (en) Rapid evacuation sled for patients and victims
US11911318B2 (en) Rapid evacuation sled for patients and victims
US11744749B2 (en) Rapid evacuation sled for patients and victims
CN203107471U (zh) 一种可与标准电梯相匹配的切角组合医用担架
WO2010148465A1 (en) Building arrangement introduced in biodegradable funerary urn
CN207837759U (zh) 一种急诊护理担架
Matsumura et al. First experience using cultured epidermal autografts in Taiwan for burn victims of the Formosa Fun Coast Water Park explosion, as part of Japanese medical assistance
Morell et al. Burns caused by the terrorist bombing of the department store Hipercor in Barcelona. Part I
Keeley et al. Should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raction be transferred to a tertiary center for primary angioplasty or receive it at qualified hospitals in the community? The case for emergency transfer for primary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EP3379974A1 (en) Supine patient transfer package
CN110547920A (zh) 一种智能转运床
Rahardjo et al. Toward more efficient multinational work on rescue and aid for disasters: lessons learned during the Aceh tsunami and Yogya earthquake
RU2809584C2 (ru) Комплект средств спасателя для эвакуации и экстренной помощи пострадавшему в чрезвычайных ситуациях
Ryu et al. Sodium phenylbutyrate prolongs survival and regulates expression of anti-apoptotic genes in transgenic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mice
CN202620022U (zh) 一种折叠式担架
Holden Whistleblower woes.
CN202933119U (zh) 急救软担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